KR19990027502U -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9990027502U
KR19990027502U KR2019970040095U KR19970040095U KR19990027502U KR 19990027502 U KR19990027502 U KR 19990027502U KR 2019970040095 U KR2019970040095 U KR 2019970040095U KR 19970040095 U KR19970040095 U KR 19970040095U KR 19990027502 U KR19990027502 U KR 19990027502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adrest
driver
vehicle
electromagnets
electro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4009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우
Original Assignee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양재신, 대우자동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양재신
Priority to KR2019970040095U priority Critical patent/KR19990027502U/ko
Publication of KR19990027502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27502U/ko

Links

Landscapes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본 고안은 차량용 시트(10)의 상면에 설치부(12)를 형성하고, 이 설치부(12)에 전자석(24A,24B,23)을 구비한 작동수단(20)을 설치하며, 이 작동수단(20)의 각 전자석(24A,24B,23)은 제어부(40)와 연결하고, 이 제어부(40)는 차량의 급정거, 충돌과 추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50)와 연결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급정거, 또는 충.추돌시 관성에 의해 전방부로 쏠린 운전자의 머리부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할 때, 상기 헤드레스트(2)와 운전자 머리부의 거리를 좁힐 수 있도록 각 전자석(24A,24B,24)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헤드레스트(2)와 결합된 지지부재(30)를 전방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운전자의 머리부와 헤드레스트(2)의 거리가 좁혀져, 이 헤드레스트(2)에 충돌하는 운전자의 충돌력을 완화시킬 수 있고, 이로써 운전자의 목부위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
본 고안은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용 시트의 상부에 설치부를 각각 형성하고, 이 설치부에 전자석을 구비한 작동수단을 매설하며, 이 작동수단은 제어부와 연결하고, 이 제어부는 차량의 급정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연결하여, 이 감지센서가 차량의 급감속상태, 즉 충돌이나 추돌과 같은 차량의 급정거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발신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작동수단의 각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하여, 차량의 충돌이나 추돌시 상기 작동수단과 결합된 헤드레스트의 지지부재가 관성과 상기 전자석의 인력에 의해 전방부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운전자나 승객의 머리부가 관성에 의해 전방부로 쏠렸다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헤드레스트와 충돌할 때, 상기 헤드레스트와 운전자의 머리부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고, 이로써 머리부의 충돌력을 완화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각종 안전장치가 설치되는데, 이는 차량의 충돌시 운전자나 승객이 차내의 구조물에 부딪힘으로써 발생하는 부상을 최소화하거나 방지하기 위하여 설치되는 것이다.
특히, 차량에 설치된 시트는 운전자나 승객이 편안한 상태에서 운전을 할 수있도록 설계되어 있고, 이 시트의 상부에는 헤드레스트가 장착되는데, 이 헤드레스트는 운전자나 승객이 머리부를 지지할 수 있도록 장착되는 것이다.
그러나, 종래의 헤드레스트(A)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하부에 고정된 지지봉(B)이 시트(C)의 상면에 고정된 관계로, 차량이 충돌, 또는 추돌을 했을 경우에, 운전자(D)는 관성에 의해 전방부로 쏠리고 있었고, 이와 같이 전방부로 쏠린 승객은 다시 후방부로 이동하여 시트(C)에 부딪히고 있었던 것이다.
이때, 후방부로 이동하는 상기 운전자(D)의 머리부(D-1)는 시트(C)의 상면에 고정된 헤드레스트(A)에 충돌하여 부상을 입고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와 같이, 운전자(D)의 머리부(D-1)가 헤드레스트(A)와 충돌할 때, 상기 헤드레스트(A)가 시트(C)의 상면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있었기 때문에, 그 부상의 정도는 가중되었다.
이는 관성에 의해 전방부로 쏠린 운전자(D)의 머리부(D-1)가 다시 후방부로 이동할 때, 운전자(D)의 머리부(D-1)와 헤드레스트(A) 사이의 거리가 멀어, 운전자(D)의 머리부(D-1)의 머리부(D-1)가 헤드레스트(A)에 충돌함으로써 받는 충격력이 가중되었기 때문이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용 시트의 상부에 설치부를 각각 형성하고, 이 설치부에 전자석을 구비한 작동수단을 매설하며, 이 작동수단은 제어부와 연결하고, 이 제어부는 차량의 급정거 상태를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연결하여, 이 감지센서가 충돌이나 추돌과 같은 차량의 급정거 상태를 감지하고, 그 감지신호를 제어부에 발신하도록 하며, 상기 제어부는 감지센서의 감지신호에 의해 상기 작동수단의 각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하여, 차량의 충.추돌시 상기 작동수단과 결합된 헤드레스트의 지지부재가 관성과 상기 전자석의 인력에 의해 전방부로 이동하도록 하여, 운전자나 승객의 머리부가 관성에 의해 전방부로 쏠렸다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헤드레스트와 충돌할 때, 상기 헤드레스트와 운전자의 머리부 사이의 간격을 줄일 수 있음으로써, 머리부의 충돌력을 완화할 수 있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이러한 본 고안의 기술적 과제는 차량의 시트 상면에 운전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그 상면 양측에 설치부가 형성된 시트와; 상기 설치부에 각각 매설되는 몸체의 제 1,2 수직부재 상부에 제 1 전자석이 내설되며, 상기 제 1,2 수직부재 하부에는 가이드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 1 전자석의 각 내측면에 이동부재가 각각 코일스프링으로 연결되며, 상기 이동부재의 각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요홈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 1,2 수직부재의 전방부와 결합되는 전방수직부재에 제 2 전자석이 내설된 작동수단과; 상기 이동부재의 요홈부에 중간부가 삽입되고, 그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에 삽입되도록 끼움단이 형성되며, 그 상단부가 헤드레스트와 결합된 지지부재와; 상기 제 1,2 전자석과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와; 상기 차량의 급정거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에 전달하는 감지센서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를 제공함으로써 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전자석과 제 2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한 후에, 상기 제 1 전자석이 해제되도록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의한 헤드레스트가 장착된 시트에 승객이 착석한 상태에서 차량의 급정거시 승객의 몸이 전방부로 쏠리는 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목보호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목보호 장치가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
도 6a, 6b는 본 고안에 의한 목보호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고안에 의한 목보호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블럭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헤드레스트 10 : 시트
12 : 설치부 20 : 작동수단
21 : 몸체 22A,22B : 제 1,2 수직부재
23 : 제 2 전자석 24A,24B : 제 1 전자석
25A,25B : 가이드 홈 26A,26B : 이동부재
27A,27B : 코일스프링 28A,28B : 요홈부
29 : 전방수직부재 30 : 지지부재
32 : 끼움단 40 : 제어부
50 : 감지센서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고안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된 도면 중에서, 도 2는 본 고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목보호 장치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에 의한 헤드레스트의 목보호 장치가 시트에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한편, 도 6a, 6b는 본 고안에 의한 목보호 장치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차량의 시트(10) 상면에 운전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그 상면 양측에 설치부(12)가 형성된 시트(10)와; 상기 설치부(12)에 각각 매설되는 몸체(21)의 제 1,2 수직부재(22A,22B) 상부 내측면에 제 1 전자석(24A,24B)이 내설되고, 상기 제 1,2 수직부재(22A,22B) 의 하부 내측면에는 가이드 홈(25A,25B)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자석(24A,24B)의 각 내측면에 이동부재(26A,26B)가 각각 코일스프링(27A,27B)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재(26A,26B)의 각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요홈부(28A,28B)가 형성되며, 상기 제 1,2 수직부재(22A,22B)의 전방부와 결합되는 전방수직부재(29)에 제 2 전자석(23)이 내설된 작동수단(20)과; 상기 이동부재(26A,26B)의 요홈부(28A,28B)에 중간부가 삽입되고, 그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25A,25B)에 삽입되도록 끼움단(32)이 형성되며, 그 상단부가 헤드레스트(2)와 결합된 지지부재(30)와; 상기 제 1,2 전자석(24A,24B,23)과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차량의 급정거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에 전달하는 감지센서(50)로 구성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감지센서(5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전자석(24A,24B)과 제 2 전자석(23)에 전원을 인가한 후에, 상기 제 1 전자석(24A,24B)이 해제되도록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을 첨부된 도면을 토대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에 의한 헤드레스트(2)의 목보호 장치를 차량용 시트(10)에 설치하기 위해서는 먼저, 상기 시트(10)의 상면 양측에 설치부(12)를 각각 형성한다.
상기 시트(10)의 상면에 설치부(10)가 형성되면, 이 설치부(10)에 헤드레스트(2)의 지지부재(30)와 결합된 작동수단(20)의 몸체(21)를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때, 상기 작동수단(20)은 다음과 같이 형성한다.
먼저, 몸체(21)를 사각박스 형상으로 형성하되, 이 몸체(21)의 제 1,2 수직부재(22A,22B) 상부에 삽입홈을 각각 형성하고 이 삽입홈에 제 1 전자석(24A,24B)을 삽입하여 설치한다.
한편, 상기 제 1,2 수직부재(22A,22B)의 하부 내측면에는 가이드 홈(25A,25B)을 각각 형성한다.
상기 제 1,2 수직부재(22A,22B)에 제 1 전자석(24A,24B)이 설치되고, 그 하부에 가이드 홈(25A,25B)이 형성되면, 상기 제 1 전자석(24A,24B)에 다수개의 코일스프링(27A,27B)의 일단을 일정간격으로 고정하고, 이 코일스프링(27A,27B)의 각 타단을 이동부재(26A,26B)의 일측면에 각각 고정한다.
이때, 상기 이동부재(26A,26B)의 각 내측면에는 요홈부(28A,28B)를 연속되도록 형성하되, 이 요홈부(28A,28B)의 크기는 헤드레스트(2)의 지지부재(30) 직경과 동일하거나 크게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1,2 수직부재(22A,22B)의 각 내측면에 이동부재(26A,26B)가 코일스프링(27A,27B)에 의해 연결되어 결합되면, 상기 제 1,2 수직부재(22A,22B)의 하부에 형성된 가이드 홈(25A,25B)에 끼움단(32)의 양측을 삽입하고, 이 끼움단(32)은 지지부재(30)의 하단부와 결합하되, 이 지지부재(30)의 하단부에 나사부를 형성하고 상기 끼움단(32)의 상면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상호 체결되어 결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나사공은 끼움단(32) 상면 일측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지지부재(30)가 용이하게 제 2 전자석(23)에 흡착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끼움단(32)이 가이드 홈(25A,25B)에 삽입되고, 이 끼움단(32)과 지지부재(30)가 결합되면, 상기 제 1,2 수직부재(22A,22B)의 전.후방면에 전방수직부재(29)와 후방수직부재의 각 일면을 밀착시키고 볼팅하여 견고히 결합한다.
이때, 상기 전방수직부재(29)의 내측면에는 제 2 전자석(23)이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홈을 형성하고, 이 삽입홈에 제 2 전자석(23)을 삽입하여 고정한다.
상기와 같이, 몸체(21)의 제 1,2 수직부재(22A,22B)에 이동부재(26A,26B)가 각각 코일스프링(27A,27B)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제 1,2 수직부재(22A,22B)의 하부에 지지부재(30)의 끼움단(32)이 슬라이딩 되도록 삽입되며, 상기 제 1,2 수직부재(22A,22B)의 전.후방면이 전방수직부재(29)와 후방수직부재가 볼팅되어 상호 견고히 결합되면, 상기 지지부재(30)의 중간부는 상기 이동부재(26A,26B)의 각 요홈부(28A,28B)에 안착되는데, 이때 상기 이동부재(26A,26B)는 코일스프링(27A,27B)의 탄성에 의해 각각 요홈부(28A,28B)에 안착된 지지부재(30)를 압박하여, 이 지지부재(30)의 유동을 방지한다.
본 고안에 의한 작동수단(20)이 상기와 같이 형성되고 상호 결합된 상태에서, 이를 시트(10)의 설치부(12)에 설치하기 전에, 상기 제 1 전자석(23A,24B)과 제 2 전자석(23)을 제어부(40)와 연결하고, 이 제어부(40)는 감지센서(50)와 연결한다.
이때, 상기 감지센서(50)는 차량의 급감속 상태, 또는 충,추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감지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반적으로 사용중인 에어백 시스템의 충돌감지센서를 사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작동수단(20)과 헤드레스트(2)의 지지부재(30)가 결합되고, 상기 작동수단(20)의 각 전자석(24A,24B,23)과 제어부(40)가 연결되며, 이 제어부(40)는 감지센서(50)와 연결되면, 상기 작동수단(20)을 시트(10)의 설치부(12)에 삽입하여 설치한다.
상기 헤드레스트(2)의 지지부재(30)와 결합된 작동수단(20)이 시트(10)의 설치부(12)에 삽입되어 설치된 상태에서, 차량이 급감속을 하거나, 충돌 또는 추돌을 하게 되면, 본 고안에 의한 목보호 장치는 다음과 같이 작동한다.
도 6a, 6b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이 급감속을 하거나, 충.추돌을 하게 되면, 운전자는 관성에 의해 전방부로 쏠리게 되고, 이와 동시에 감지센서(50)가 차량의 급감속이나 충.추돌상태를 감지하여,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로 발신하게 된다.
상기 감지센서(50)의 감지신호를 수신한 제어부(40)는 상기 작동수단(20)의제 1 전자석(24A,24B)과 제 2 전자석(23)에 전원을 인가한다.
상기 제어부(40)가 작동수단(20)의 각 전자석(24A,24B,23)에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상기 각 전자석(24A,24B,23)은 자기력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때 상기 제 1 전자석(24A,24B)은 각 이동부재(26A,26B)을 제 1,2 수직부재(22A,22B) 내측면으로 당기게 된다.
상기 제 1 전자석(24A,24B)이 이동부재(26A,26B)을 제 1,2 수직부재(22A,22B) 내측면으로 당기게 되면, 지지부재(30)를 압박하고 있던 힘, 즉 구속력이 소멸됨으로써, 상기 지지부재(30)는 유동할 수 있게 된다.
이와 동시에, 상기 제 2 전자석(24)에도 전원이 인가되어 제 2 전자석(23)이 자기력을 발생하게 되는데, 이때 발생하는 제 2 전자석(23)의 자기력은 구속력이 소멸된 지지부재(30)를 당기게 되고, 상기 제 2 전자석(23)의 자기력을 받는 지지부재(30)는 관성과 제 2 전자석(23)의 자기력에 의해 전방수직부재(29) 쪽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동하게 된다.
이는 상기 지지부재(30)의 하단부에 형성된 끼움단(32)이 제 1,2 수직부재(22A,22B)의 가이드 홈(25A,25B)에 삽입되어 있기 때문이다.
상기 전방수직부재(29)의 내측면에 설치된 제 2 전자석(23)의 자기력과 관성에 의해 전방부로 이동한 지지부재(30)는 상기 제 2 전자석(23)에 밀착되어 고정되고, 이로써 상기 지지부재(30)와 결합된 헤드레스트(2)는 전방부로 이동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헤드레스트(2)가 전방부로 이동하게 되면, 운전자와 헤드레스트(2)의 거리는 좁혀지게 되고, 이러한 상태에서, 운전자의 머리부는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전방부로 이동된 헤드레스트(2)에 부딪혀 지지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40)는 제 1 전자석(24A,24B)과 제 2 전자석(23)에 전원을 인가하여 지지부재(30)가 전방부로 이동하게 한 후에, 다시 제 1 전자석(24A,24B)에 인가되던 전원을 차단하게 된다.
이와 같이, 인가되던 전원이 차단됨으로써, 상기 이동부재(26A,26B)는 코일스프링(27A,27B)의 탄성에 의해 몸체(21)의 내부로 이동된다.
이는 운전자의 머리부가 충돌하는 헤드레스트(2)가 그 충돌력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즉, 제 2 전자석(23)의 자기력으로 전방부로 이동한 헤드레스트(2)에 전방부로 이동했던 운전자의 머리부가 다시 후방으로 이동하여 헤드레스트(2)에 충돌하게 되면, 그 충격력에 상기 헤드레스트(2)의 지지부재(30)가 상기 제 2 전자석(23)으로부터 떨어져, 다시 후방으로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운전자의 머리부와 헤드레스트(2)의 충돌력이 크게 되면, 상기 지지부재(30)가 부득이 후방으로 이동하게 되는데, 이때 지지부재(30)가 쉽게 후방으로 이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즉, 지지부재(30)가 후방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코일스프링(27A,27B)의 탄성을 극복하면서 이동하도록 함으로써 지지부재(30)가 용이하게 후방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차량의 급정거, 또는 충.추돌시 관성에 의해 전방부로 쏠린 운전자의 머리부와 헤드레스트(2)의 거리를 좁힐 수 있도록 각 전자석(24A,24B,24)에 전원을 인하여 상기 헤드레스트(2)와 결합된 지지부재(30)를 전방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운전자의 머리부와 헤드레스트(2)의 거리가 좁혀져, 이 헤드레스트(2)에 충돌하는 운전자의 충돌력을 완화시킬 수 있고, 이로써 운전자의 목부위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한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는 차량용 시트의 상면에 설치부를 형성하고, 이 설치부에 전자석을 구비한 작동수단을 설치하며, 이 작동수단의 각 전자석은 제어부와 연결하고, 이 제어부는 차량의 급정거, 충돌과 추돌을 감지하는 감지센서와 연결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하면, 차량의 급정거, 또는 충.추돌시 관성에 의해 전방부로 쏠린 운전자의 머리부와 헤드레스트의 거리를 좁힐 수 있도록 각 전자석에 전원을 인가하여 상기 헤드레스트와 결합된 지지부재를 전방부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운전자의 머리부와 헤드레스트의 거리가 좁혀져, 이 헤드레스트에 충돌하는 운전자의 충돌력을 완화시킬 수 있고, 이로써 운전자의 목부위 부상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제공된다.

Claims (2)

  1. 차량의 시트(10) 상면에 운전자의 머리를 지지하도록 설치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있어서, 그 상면 양측에 설치부(12)가 형성된 시트(10)와; 상기 설치부(12)에 각각 매설되는 몸체(21)의 제 1,2 수직부재(22A,22B) 상부에 제 1 전자석(24A,24B)이 내설되며, 하부에는 가이드 홈(25A,25B)이 형성되며, 상기 제 1 전자석(24A,24B)의 각 내측면에 이동부재(26A,26B)가 각각 코일스프링(27A,27B)으로 연결되고, 상기 이동부재(26A,26B)의 각 내측면에는 다수개의 요홈부(28A,28B)가 형성되며, 상기 제 1,2 수직부재(22A,22B)의 전방부와 결합되는 전방수직부재(29)에 제 2 전자석(23)이 내설된 작동수단(20)과; 상기 이동부재(26A,26B)의 요홈부(28A,28B)에 중간부가 삽입되고, 그 하단부에는 상기 가이드 홈(25A,25B)에 삽입되도록 끼움단(32)이 결합되며, 그 상단부가 헤드레스트(2)와 결합된 지지부재(30)와, 상기 제 1,2 전자석(24A,24B,23)과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하거나 차단하는 제어부(40)와; 상기 차량의 급정거 상태를 감지하고 감지된 신호를 제어부(40)에 전달하는 감지센서(50)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40)는 상기 감지센서(5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여 상기 제 1 전자석(24A,24B)과 제 2 전자석(23)에 전원을 인가한 후에, 상기 제 1 전자석(24A,24B)이 해제되도록 인가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
KR2019970040095U 1997-12-24 1997-12-24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 KR19990027502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095U KR19990027502U (ko) 1997-12-24 1997-12-24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40095U KR19990027502U (ko) 1997-12-24 1997-12-24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27502U true KR19990027502U (ko) 1999-07-15

Family

ID=696952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40095U KR19990027502U (ko) 1997-12-24 1997-12-24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9990027502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704B1 (ko) * 2009-08-03 2012-02-22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102429571B1 (ko) * 2022-04-13 2022-08-04 허영무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16704B1 (ko) * 2009-08-03 2012-02-22 주식회사 한일씨엔에프 차량용 액티브 헤드레스트 장치
KR102429571B1 (ko) * 2022-04-13 2022-08-04 허영무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484189A (en) Retractable pop-up head rest usable with a vehicle passenger seat
US6142564A (en) Rearward moving seat with breakaway latch
US5507519A (en) Motor vehicle having an occupant protection device
US6227597B1 (en) Vehicle seat with limited rearward movement
JPH07172254A (ja) 自走車両の乗員室用安全装置
JP4121276B2 (ja) 走行車座席におけるチャイルドシートの配置
KR19990027502U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에 부설된 운전자의 목보호 장치
JP2894833B2 (ja) 自動車の安全装置
JP3653932B2 (ja) フレーム付車両の車体構造
KR0175530B1 (ko) 충돌시 돌출하는 자동차 헤드 레스트 구조
KR100254551B1 (ko) 자동차의 승객보호용 안전장치
KR19980046830U (ko) 자동차용 시트의 측면 보호장치
CN110857071B (zh) 用于车辆的安全防护方法及车辆
US20050253408A1 (en) Seat component to prevent whiplash injury
KR200212329Y1 (ko) 자동차용 의자
KR200151422Y1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 레스트의 충격흡수장치
KR19980012959U (ko) 자동차의 안전 벨트 인장력 조절 장치
KR0185082B1 (ko)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
WO2000050256A8 (en) A device for counteracting the occurrence of whiplash injuries
KR100254790B1 (ko) 자동차의 리어 시트용 보조 헤드레스트 장치
KR100410512B1 (ko) 자동차용 에어백시스템의 충돌감지장치
KR100318072B1 (ko) 크래쉬패드의임펙트부함몰장치
KR20000074656A (ko) 자동차 충격 완충 의자
KR19980052941U (ko) 충돌시 구속력을 향상시킨 어깨 벨트가이드
KR19990036556U (ko) 자동차용 승객 보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C193 Request for withdrawal (abandon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