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5082B1 -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 - Google Patents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5082B1
KR0185082B1 KR1019960051302A KR19960051302A KR0185082B1 KR 0185082 B1 KR0185082 B1 KR 0185082B1 KR 1019960051302 A KR1019960051302 A KR 1019960051302A KR 19960051302 A KR19960051302 A KR 19960051302A KR 0185082 B1 KR0185082 B1 KR 018508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iver
headrest
collision
neck
vehic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513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31741A (ko
Inventor
최종욱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60051302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85082B1/ko
Publication of KR199800317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317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508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508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888Head-rests with arrangements for protecting against abnormal g-forces, e.g. by displacement of the head-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80Head-rests
    • B60N2002/899Head-res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or mechanical 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 Chair Legs, Seat Parts, And Backres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운행하거나 주정차시킨 상태에서 후방차량과의 추돌로 인하여 운전자의 목부위와 헤드레스트의 충동될 때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 후방차량의 달리는 속도에 의해 전방차량과 부딪힐 때 운전자의 목부위와 헤드레스트의 충돌로 인하여 운전자의 목부위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100)의 삽탈봉(11)이 내부가 내입되고, 내부가 관통되어 시트백의 지지대(12)에 삽입되는 고정패드(10)와, 후방차량의 추돌로 인하여 상기 고정패드(10)에 고정된 삽탈봉(11)의 고정축(14)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15)와, 상기 고정패드(10)에 고정된 삽탈봉(11)에 관통되어 시트백의 배면에 고정되며,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다수의 완충구(22)가 구비된 완충봉(20)으로 이루어지므로 후방차량과의 추돌시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는 장치인 것이다.

Description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
본 발명은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차를 운행하거나 주정차시킨 상태에서 후방차량과의 추돌로 인하여 운전자의 목부위와 헤드레스트가 충돌될 때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시트에는 운전자 및 승차원의 머리를 편안한 자세로 위치시킬 수 있는 헤드레스트가 구비되어 있으며, 이 헤드레스트는 보통 사용자의 체형(신장)에 따라 높이 조절이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또한, 시트의 등판을 뉘어 좌판과 수평을 이루도록 함으로써, 차내의 공간을 활용하기 위하여 헤드레스트를 분리 및 결합 가능하게 되어 있다.
첨부도면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이다. 제1도를 살펴보면, 쿠션이 있는 재질로 형성된 헤드레스트(100)의 하부 양측으로 시트 백에 탈거가능하게 고정되는 지지봉(101)이 구비되며, 상기 지지봉(101)으로 걸림홈(104)이 형성된다.
또한, 시트백의 상단에는 지지봉(101)의 걸림홈(104)에 걸려지게 압지구(102)가 탄성가압수단(103)에 의해 고정되며, 이 압지구(102)는 지지대(105)의 내부에 설치된다.
따라서, 자동차의 헤드레스트는 운전자가 원하는 높이로 이동시키기 위하여 시트의 상단에 위치된 지지대(105)의 압지구(102)를 눌러 상기 지지대(105)의 걸림홈(104)을 탈거시킨 상태에서 헤드레스트(100)를 원하는 높이로 상승시킨 뒤 압지구(102)의 누름을 해제하면 압지구(102)가 지지대(105)의 걸림홈(104)에 삽입되어 고정된다.
이와 같이 고정된 헤드레스트(100)는 시트의 상단 지지대(105)에 지지봉(101)이 고정된 상태에서 운전자의 필요에 따라 높이를 조절하여 운전자의 머리부분을 편한상태로 받쳐주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헤드레스트(100)는 시트 상단에 고정되어 있으며, 후방차량과의 추돌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경우엔 외부의 힘에 의해 운전자의 목부위와 헤드레스트(100)가 부딪히게 된다. 따라서, 후방 차량의 달리는 속도에 의해 부딪힐 때 운전자의 목부위와 헤드레스트(100)의 충돌로 인하여 운전자의 목부위 상해를 입게 되는 문제점을 갖게 된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고려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자동차를 운행하거나 주정차시킨 상태에서 후방차량과의 추돌로 인하여 운전자의 목부위와 헤드레스트가 충돌될 때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한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후방차량의 달리는 속도에 의해 전방차량과 부딪힐 때 운전자의 목부위와 헤드레스트의 충돌로 인하여 운전자의 목부위 상해를 입게 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헤드레스트의 지지봉이 내부가 내입되고, 내부가 관통되어 시트백의 지지대에 삽입되는 고정패드와, 후방차량의 추돌로 인하여 상기 고정패드에 고정된 지지봉의 고정축에 의해 회동가능하도록 구비된 가이드부와, 상기 고정패드에 고정된 지지봉에 관통되어 시트백의 배면에 고정되며,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다수의 완충구가 구비된 완충봉으로 이루어진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다.
제1도는 일반적인 자동차의 헤드레스트가 결합된 상태를 보인 사시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고정패드 11 : 지지봉
12 : 압지구 14 : 고정축
15 : 가이드부 20 : 완충봉
22 : 완충구 24 : 개구공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가 설치된 상태를 보인 단면도이다. 제2도를 살펴보면, 후방의 차량이 달리는 속도에 의해 전방차량과의 부딪히게 될 때 운전자의 목부위와 헤드레스트의 충돌로 인한 상해를 방지하기 위해 헤드레스트(100)의 하부 양측으로 설치된 지지봉(11)을 지지 고정되는 고정패드(10)로, 시트백의 상부에 고정 설치된 지지대(12)에 내입되도록 내부가 관통되고, 일측이 절결된 상태로 고정되며, 상기 시트의 지지대(12)에 내입된다.
또한, 시트에 고정된 지지대(12)로 삽입된 지지봉(11)에 관통되어 설치되며, 후방차량과 추돌로 인하여 운전자의 목부위와 헤드레스트(100)가 충돌에 의해 운전자의 목부위 상해를 방지하도록 다수의 완충구(22)를 구비한 완충봉(20)을 고정시키게 된다. 상기 완충봉(20)은 내부가 천공되어 있으며, 상기 완충봉(20) 내부에 완충구(22)의 일측이 고정된 상태로 외부로 돌출 되도록 등간격으로 개구공(24)이 형성되며, 후방차량의 추돌로 인하여 헤드레스트(100)로 전달되는 충격을 완충시키도록 탄성력을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지지대(12)에 내입된 고정패드(10)의 고정축(14)에 의해 외부로부터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지지봉(11)의 고정축(14)을 중심으로 회동되는 가이드부(15)가 구비된다. 따라서, 후방차량과의 추돌로 인하여 운전자의 목부위와 헤드레스트가 충돌하게 되면 지지대(12)에 내입된 지지봉(11)이 고정패드(10)의 절결부분으로 탈거되면서 1차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고, 지지봉(11)에 관통되어 설치된 완충봉(20)의 완충구(22)로 2차적인 충격을 완충시키게 된다.
따라서, 제3도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보인 작동상태도이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차량의 추돌로 인하여 운전자의 목부위와 헤드레스트가 충격될 때 고정패드(10)의 절결부분으로 탈거되면서 1차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고, 지지봉(11)에 관통되어 설치된 완충봉(20)의 완충구(22)로 2차적인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헤드레스트(100)가 뒤쪽으로 젖혀짐으로 운전자의 목부위 상해를 방지하게 된다.
한편, 후방차량의 추돌로 인하여 젖혀진 헤드레스트(100)는 운전자가 완충구(22)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운전자의 몸쪽으로 당겨 헤드레스트(100)는 원위치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좀 더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은 주정차중인 차량 또는 운행중인 차량이 후방의 차량과 추돌하는 사고가 발생함으로 인해 탑승자의 머리가 헤드레스트(100)에 순간적으로 강하게 부딪힐 때 지지봉(11)이 완충봉(20)에 탄력있게 돌출되어 있는 다수의 완충구(22)들에 차례로 걸려 제어를 받으면서 뒤로 이동하므로 그 충격을 완충시켜 최소화시킬 수가 있다.
즉, 상기 지지대(12)에 내입된 고정패드(10)의 고정축(14)에 의해 외부로부터 일정이상의 충격이 가해지게 되면 지지봉(11)의 고정축(14)을 중심으로 헤드레스트(100)가 회전된다. 그러므로, 후방차량의 추돌로 인하여 운전자의 목부위와 헤드레스트가 충격될 때 고정패드(10)의 절결부분으로 탈거되면서 1차 충격을 완충시키게 되고, 지지봉(11)에 관통되어 설치된 완충봉(20)의 완충구(22)로 2차적인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헤드레스트(100)가 뒤쪽으로 젖혀짐으로 운전자의 목부위 상해를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후방차량의 추돌로 인하여 전달되는 압을 탄성력을 갖는 완충구(22)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헤드레스트(200)가 뒤쪽으로 젖혀짐으로 운전자의 목부위 상해를 방지하게 된다. 또한, 후방차량의 추돌로 인하여 젖혀진 헤드레스트(200)는 운전자의 완충구(22)를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누른 상태에서 운전자의 몸쪽으로 당겨 헤드레스트(200)가 원위치된다.
그리고, 이때 뒤로 회전되는 헤드레스트(100)는 이동되지 않는 완충봉(20)이 탑승자의 목에 전혀 닿지 않을 정도의 거리만큼만 헤드레스트(100)가 뒤로 이동하는 것이므로 완충봉(20)에 탑승자의 목에 상해될 우려가 없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로, 후방의 차량과 추돌사고로 인하여 운전자의 목부위와 헤드레스트가 충돌될 때 충격을 완충시키기 위해 탄성력을 갖는 완충구에 의해 충격을 완충시킴과 동시에 헤드레스트가 뒤쪽으로 젖혀짐으로 운전자의 목부위 상해를 방지하게 되는 장치인 것이다.

Claims (1)

  1. 탑승자의 머리를 받쳐주기 위한 자동차용 헤드레스트를 구성함에 있어서, 시트의 상단 내부에 후미를 향해 가이드부(15)가 구비된 고정패드(10)를 설치한 후 상기 고정패드(10)내에 헤드레스트(100)의 지지봉(11) 하단을 고정축(14)으로 축설하여 헤드레스트(100)의 지지봉(11)이 가이드부(15)에서 후방으로 회전되게 설치하고, 다수의 개구공(24)마다 탄발력있게 완충구(22)가 설치된 상태에서 지지봉(11)의 회전각도로 만곡된 완충봉(20)의 하단은 시트백 배면에 고정시키고 그 상단은 지지봉(11)에 관통시켜서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
KR1019960051302A 1996-10-31 1996-10-31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 KR018508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302A KR0185082B1 (ko) 1996-10-31 1996-10-31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51302A KR0185082B1 (ko) 1996-10-31 1996-10-31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41A KR19980031741A (ko) 1998-07-25
KR0185082B1 true KR0185082B1 (ko) 1999-04-01

Family

ID=194804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51302A KR0185082B1 (ko) 1996-10-31 1996-10-31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85082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31741A (ko) 1998-07-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733003A (en) Child safety seat
GB2300391A (en) Vehicle safety system including a seat and seat mounting which absorbs shocks from front, rear or side impact
KR0185082B1 (ko)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
KR0185085B1 (ko)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
KR19980031742A (ko) 후방차량과 추돌시 운전자의 목 상해 방지용 헤드레스트
KR200141719Y1 (ko) 자동차 시트
KR0159477B1 (ko) 헤드레스트의 목 보호장치
KR200141645Y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릴리저
KR100519232B1 (ko) 자동차의 헤드 레스트
KR100217988B1 (ko) 자동차용 헤드 레스트의 충격 완화장치
KR19990053367A (ko) 자동차용 시트의 헤드레스트를 통한 머리 완충구조
KR200141707Y1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장착구조
KR200141716Y1 (ko) 자동차 시트용 헤드레스트
KR100207915B1 (ko) 자동차 대시보드의 완충구조
KR100200085B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스프링구조식 릴리저
KR100333873B1 (ko) 승객 보호용 헤드 레스트
KR200209010Y1 (ko) 헤드레스트 조립체
KR0140290Y1 (ko) 후방추돌시 작동되는 자동차의 안전장치
KR19980023469U (ko) 자동차 헤드레스트 장착구조
KR0132479Y1 (ko) 차량용 헤드레스트의 충격흡수구조
KR200141721Y1 (ko) 완충장치가 구비된 차량 시트의 헤드레스트
KR0138731Y1 (ko) 자동차용 시트
KR19990018781A (ko) 2단계 헤드레스트
KR20050115108A (ko) 차량 시트의 안전장치
KR19980049508A (ko) 충격흡수재가 부설된 헤드 레스트의 완충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