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2554B1 - 자동차의 시트구조 - Google Patents

자동차의 시트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2554B1
KR0162554B1 KR1019950062901A KR19950062901A KR0162554B1 KR 0162554 B1 KR0162554 B1 KR 0162554B1 KR 1019950062901 A KR1019950062901 A KR 1019950062901A KR 19950062901 A KR19950062901 A KR 19950062901A KR 0162554 B1 KR0162554 B1 KR 0162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seat cushion
fixed
support
cush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629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36664A (ko
Inventor
이인환
Original Assignee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구, 대우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태구
Priority to KR1019950062901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62554B1/ko
Publication of KR9700366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366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2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2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on the vehicle fram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4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 B60N2/3045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 B60N2/3047Cushion movements by rotation only about transversal axis the cushion being hinged at the back-res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54Cushion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 B60N2/3056Cushion movements by translation only along longituna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프 또는 미니 밴과 같이 승객룸과 화물칸이 연통된 자동차에 탑승자가 설치되며,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쿠션(18)과 그 시트 쿠션에 대해 회동가능한 시트 백(22)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트 쿠션(18)과 시트 백(22)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시트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시트 구션(18)과 시트 백(22)의 일측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에 고정되는 회전축(12)과, 상기 회전축(12)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플로어패널(20)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14)와,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하는 경우에는 전개되어 플로어패널(20)에 지지되며 시트 쿠션(18)을 접는 경우에는 그 시트 쿠션(18)의 하부면에 밀착유지되도록 상기 시트 쿠션(18)의 하부면의 일측에 회동접철식으로 고정되는 지지봉(16)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트 쿠션을 접거나 전개시켜 목적에 따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자동차 시트구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를 보여주는 정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가 접혀져 회동되는 상태를 보여주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지지부재 12 : 회전축
14 : 지지플레이트 16 : 지지봉
18 : 시트 쿠션 20 : 플로어패널
22 : 시트 백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지프 또는 밴과 같은 차량에서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트를 접거나 전개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의 플러어(floor)에는 앞 시트와 리어 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프론트 시트는 주로 분리식을 채용하는 한편, 리어 시트는 2개의 좌석이 일체로 결합된 벤치식을 채용하고 있다. 이들 시트에는 충돌 사고시, 탑승자가 충격에 의해 외부로 튀어 나가는 것을 막기 위한 안전벨트가 장치되어 있다. 특히, 앞 시트에는 탑승자의 체형에 따라 시트의 높이를 조절하는 높이 조절레버가 시트 쿠션 아래에 설치되어 있으며, 등받이 부분인 시트 백의 경사 각도를 조절하는 각도 조절레버가 시트의 측면에 장치되어 있다.
또한, 시트 백의 윗부분에는 차량의 후방 충돌이나 급발진시의 충격으로부터 승객의 목부분을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한 헤드 레스트(head rest)가 설치되어 있으며, 시트 백의 일측과 타측에는 승객이 팔을 올려놓을 수 있도록 아암 레스트(arm rest)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최근에 유행하고 있는 일명 RV(recreational vehicle)라 칭하는 지프나 밴과 같이 승객룸과 화물칸이 연통된 자동차에는 3열시트 및 5열시트가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의 시트는 화물칸에 다량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하여 선택적으로 접철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지프나 미니 밴과 같이 승객룸과 화물칸이 연통된 자동차에는 다량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하여 후방에 설치된 시트를 이탈시켜 화물을 화물칸에 적재하여야 함으로 사용자가 다량의 화물을 적재하기가 번거로우며 동시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를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트를 접어 회동시켜 화물을 다량으로 용이하고 신속하게 적재하여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자동차의 시트구조를 제공함에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지프 또는 미니 밴과 같이 승객룸과 화물칸이 연통된 자동차자가 설치되며, 탑승자가 착석할 수 있는 시트 쿠션과 그 시트 쿠션에 대해 회동가능한 시트 백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과 시트 백의 일측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와, 상기 지지부재에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플로어패널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와,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하는 경우에 전개되어 플로어패널에 지지되며 시트 쿠션을 접는 경우에는 그 시트 쿠션의 하부면 밀착유지되도록 상기 시트 쿠션의 하부면의 일측에 회동접철식으로 고정되는 지지봉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트 구종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좀 더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트를 구성하는 시트 쿠션(18)과 시트 백(22)은 일정범위에서 회동가능하도록 각각의 일측 모서리 부분이 지지부재(10)에 의해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또한 그 지지부재(10)에는 회전축(12)이 고정되며, 그 회전축(12)은 플로어패널(20)에 고정된 지지플레이트(14)에 회전가능하게 삽설고정된다. 특히, 상기 시트 쿠션(18)의 하부면의 일측에는 회동접척실으로 형성되는 지지봉(16)이 고정되는 바, 그 고정봉(16)은 시트 쿠션(18)에 승객이 착석하는 경우에 전개되어 플로어패널 (20)에 지지되는 반면, 시트 쿠션(18)이 접혀지는 경우에는 그 시트 쿠션(18)의 바닥면에 밀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물론 상기 지지플레이트(14)는 용접 또는 볼트 등의 고정수단으로 플로어패널(20)에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시트 백(22)의 하부의 타측부, 보다 상세하게는 상기 지지부재(10)가 설치된 일측부에 대해 측방으로 위치하는 타측 모서리 부분에는 시트의 안정적인 지지를 위해 역시 접척식으로 회동가능한 지지편(23)이 제공될 수 있는 바, 이 같은 지지편(23)은 시트 백(22)에 대해서는 회동가능하게 고정되지만 플로어패널(20)에는 접촉상태를 이루도록 형성되어야 한다. 동일 방식으로 시트 쿠션(18)의 하부면의 전방의 일측 모서리에도 또한 그 시트 쿠션을 안정적으로 지지하기 위해 지지편(19)이 역시 회동가능하게 고정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각각의 지지편(19,23)은 생략될 수 있는 바, 이는 시트 전체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부재(10) 단독으로도 시트를 충분하게 견고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자동차용 시트구조는 화물칸에 다량의 화물을 적재할 경우 시트 쿠션(18)을 시트 백(22)을 향해 회동시켜 밀착시키는 바, 이 전에 시트 쿠션(18)의 하단 타측에형성된 지지봉(16)을 회동시켜 시트 쿠션(18)을 일측으로 밀착시키고 또한 시트 쿠션(18)과 시트 백(22)에 각각 지지편이 제공된 경우에는 이들 또한 각각 회동시켜시트 쿠션의 하부면 또는 시트 백의 하부면에 밀착시킨다. 상기 시트 쿠션(18)이 시트 백(22)의 일측에 밀착되면 시트 쿠션(18)과 시트 백(22)을 회동시켜 화물칸의 일측으로 이동시킨다. 즉, 회전축(12)이 지지플레이트(14)에서 회전함에 따라 시트 쿠션(18)과 시트 백(22)이 이동되어 화물칸에 일측에 밀착되므로 화물칸에 다량의 화물을 적재할 수 있다.
역으로 시트 쿠션(18)을 사용할 경우에는 화물칸의 일측에 밀착된 시트 쿠션(18)과 시트 백(22)을 회동시킨 상태에서 시트 쿠션(18)을 시트 백(22)에서 이탈시킨다.
이후 시트 쿠션(18)의 하단 타측에 형성된 지지봉(16)을 회동시켜 플로어 패널(20)에 지지하고 또한 각각의 지지편을 전개시켜 시트 쿠션 및 시트 백을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승객이 정상적으로 착석하여 이용할 수 있다.
즉, 종래에는 다량의 화물을 적재하기 위하여 후방에 설치된 시트를 플로어패널에서 이탈시킨 상태에서 화물을 화물칸에 적재하여야 함으로 사용자가 다량의 화물을 적재하기가 번거로우며 동시에 작업성이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지만, 본 발명은 하단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축(12)이 삽입된 지지플레이트(14)가 구비되고 타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지지봉(16)이 횡방향으로 구비된 시트쿠션(18)을 구비하여 간편하고 신속하게 시트 쿠션(18)을 재취된 자리에서 이탈시킴은 물론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의 시트구조는 하단 일측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회전축이 삽입된 지지플레이트가 구비되고 타측에 회동 가능하게 고정된 지지봉이 횡방향으로 구비된 시트 쿠션을 구비하여 시트 쿠션을 신속하고 용이하게 접거나 전개시켜 사용목적에 따라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갖는다.

Claims (1)

  1. 지프 또는 미니 밴과 같이 승객룸과 화물칸이 연통된 자동차에 탑승자가 설치되며, 탑승자가 착척할 수 있는 시트 쿠션(18)과 그 시트 쿠션에 대해 회동가능한 시트 백(22)으로 구성되는 자동차의 시트에 있어서, 상기 시트 쿠션(18)과 시트 백(22)의 일측 모서리 부분을 지지하는 지지부재(10)와, 상기 지지부재(10)에 고정되는 회전축(12)과, 상기 회전축(12)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플로어패널(20)에 고정되는 지지플레이트(14)와, 시트에 탑승자가 착석하는 경우에는 전개되어 플로어패널(20)에 지지되며 시트쿠션(18)을 접는 경우에는 그 시트 쿠션(18)의 하부면에 밀착유지되도록 상기 시트쿠션(18)의 하부면의 일측에 회동접철식으로 고정되는 지지봉(16)을 더 포함하는 자동차의 시트 구조.
KR1019950062901A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시트구조 KR0162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901A KR0162554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시트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62901A KR0162554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시트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664A KR970036664A (ko) 1997-07-22
KR0162554B1 true KR0162554B1 (ko) 1998-12-01

Family

ID=194463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62901A KR0162554B1 (ko) 1995-12-29 1995-12-29 자동차의 시트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6255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32505A (ko) * 2001-10-18 2003-04-26 기아자동차주식회사 버스의 회동식 시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36664A (ko) 1997-07-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81761B2 (en) Seat configuration system for an automotive interior
US5056849A (en) Limousine construction
KR20090076748A (ko) 자동차의 승객용 좌석 장치
US6893095B2 (en) Horizontally pivoting headrest for motor vehicle
US6447068B1 (en) Pop-up headrest for a vehicle
US6076880A (en) Vehicular seat system and method of folding
US6039378A (en) Cargo tray for a motor vehicle
EP1461225B1 (en) Motor vehicle seat, with a knee-rest element
JP2007504994A (ja) 載荷位置を特色とする自動車用シート
KR0162554B1 (ko) 자동차의 시트구조
EP1972490B1 (en) Motor vehicle with a second-row seat having a backrest and sitting surface that can both be tipped over
EP1419928A2 (en) Folding type center headrest for vehicle
JPS58183321A (ja) 自動車の後部座席
CN113942433B (zh) 车辆的座椅装置
JP2532615Y2 (ja) 自動車用シート
JPH11217034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4090684B2 (ja) 折りたたみシート
JP3261972B2 (ja) 車両用シート
JPH0611229Y2 (ja) 自動車用リヤシート
KR0139558Y1 (ko)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JP2549365Y2 (ja) ワゴン車等のサードシート
JPH11342778A (ja) 自動車の後部座席
KR19980039859A (ko) 화물칸 공간 확보용 리어 시트
JPH0322334B2 (ko)
JPH08132938A (ja) 車両用多目的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