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50103345A -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 Google Patents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50103345A
KR20050103345A KR1020040028587A KR20040028587A KR20050103345A KR 20050103345 A KR20050103345 A KR 20050103345A KR 1020040028587 A KR1020040028587 A KR 1020040028587A KR 20040028587 A KR20040028587 A KR 20040028587A KR 20050103345 A KR20050103345 A KR 200501033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folding
bracket
vehicle
til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28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68980B1 (ko
Inventor
김상호
Original Assignee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아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기아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2858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68980B1/ko
Priority to JP2004348271A priority patent/JP2005313867A/ja
Priority to US11/009,987 priority patent/US7246857B2/en
Priority to DE102004061852A priority patent/DE102004061852B4/de
Priority to CNB2004101036401A priority patent/CN100475599C/zh
Publication of KR200501033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501033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689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689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88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 B60N2/309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link ro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 B60N2/3038Cushion movements
    • B60N2/3063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 B60N2/3065Cushion movements by composed movement in a longitudinal-vertical pla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를 개선하여 외관미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시트가 작은 궤적을 이루어 원활하게 폴딩 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고정된 시트브래킷(600)의 가이드레일(610) 상에서 전후 유동 가능한 시트프레임(100)과; 상기 시트프레임(100)의 전방측 중단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두 개의 폴딩브래킷(200)과; 저면이 상기 폴딩브래킷(200)의 일측 단부에 힌지 체결된 틸팅브래킷(300)과; 상기 틸팅브래킷(300)의 상측면에 고정 체결된 시트쿠션(400)으로 구성되어, 외관미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은 물론 차량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Device for folding a seat for vehicles}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를 개선하여 외관미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시트가 작은 궤적을 이루어 원활하게 폴딩 되도록 하기 위한 장치로써, 외관미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사용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은 물론 차량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RV(Recreation Vehicle)차량에는 차량의 기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시트의 배열을 다양하게 구현할 수 있도록 다양한 형태의 시트가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2003-20204호인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에는 후석시트의 시트백 및 시트쿠션이 더블 폴딩 되도록 구현함으로써, 평상시에는 상기 후석시트에 승객이 착석할 수 있으며, 화물을 적재하고 할 때에는 상기 후석시트의 시트백 및 시트쿠션을 더블 폴딩 시켜 후석부의 공간을 확보한 후 각종 화물을 적재할 수 있는 내용이 공개되어 있다.
또한, 이와 유사하게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시트를 도시하는 측면도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카고플랫(cargo flat), 즉 차실 내부의 적재공간이 평행한 면을 이룰 수 있도록, 2열의 시트쿠션(21)은 1열의 시트백(10)을 향하여 폴딩 시킨 후, 2열의 시트백(22)을 폴딩 전의 시트쿠션(21)이 위치하던 곳으로 폴딩 시키거나, 3열의 시트백(30)을 완전히 폴딩 시킬 수 있는 기술이 적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종래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는 통상 2열 시트에 적용된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21)의 전방에 폴딩브래킷(23)이 체결되고, 상기 폴딩브래킷(23)은 힌지 포인트(24)가 노출되도록 차체에 마련되어 있어, 힌지 포인트(24)를 중심으로 시트쿠션(21)을 폴딩 시킨 후, 시트쿠션(21)이 위치하였던 곳에 시트백이 폴딩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는 시트쿠션의 폴딩을 위한 힌지 포인트가 외부로 노출되어 있어 외관미가 떨어질 뿐 아니라, 힌지 포인트의 외부 노출을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사출물을 추가로 적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으며, 특히 폴딩브래킷의 회전 궤적이 크기 때문에 때때로 1열의 시트를 전방으로 이동시켜야만 2열 시트쿠션의 폴딩이 이루어진다는 어려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여성이나 노약자의 경우 시트쿠션의 폴딩이 쉽지 않으며, 차량의 전방 충돌시 시트쿠션이 쉽게 전도된다는 기술상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차량의 시트 폴딩 힌지포인트 및 폴딩된 시트쿠션의 저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미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시트가 작은 궤적을 이루어 원활하게 폴딩될 뿐 아니라, 폴딩시 시트쿠션의 틸트업과 함께 안전장치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은 물론 차량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도록 하는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이러한 본 발명은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고정된 시트브래킷의 가이드레일 상에서 전후 유동 가능한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의 전방측 중단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두 개의 폴딩브래킷과; 저면이 상기 폴딩브래킷의 일측 단부에 힌지 체결된 틸팅브래킷과; 상기 틸팅브래킷의 상측면에 고정 체결된 시트쿠션으로 구성함으로써 달성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를 도시하는 저면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에 대한 평상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에 대한 폴딩 초기 시트쿠션이 틸팅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에 대한 폴딩 완료시를 도시하는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고정된 시트브래킷(600)의 가이드레일(610) 상에서 전후 유동 가능한 시트프레임(100)과; 상기 시트프레임(100)의 전방측 중단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두 개의 폴딩브래킷(200)과; 저면이 상기 폴딩브래킷(200)의 일측 단부에 힌지 체결된 틸팅브래킷(300)과; 상기 틸팅브래킷(300)의 상측면에 고정 체결된 시트쿠션(400)으로 구성되는 것을 그 기술상의 기본 특징으로 한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는 도 3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통상 카고플랫을 구현하기 위한 RV차량의 2열 시트에 적용되며, 크게, 기존의 가이드레일(610)이 형성된 시트브래킷(600) 상에서 전후로 유동 가능한 시트프레임(100)의 전방 중단에 폴딩브래킷(200) 및 틸팅브래킷(300)을 통하여 시트쿠션(400)이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다.
이때, 상기 폴딩브래킷(200)은 중단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굴곡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일측은 상기 시트프레임(100)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되며, 타측은 상기 틸팅브래킷(300)의 저면과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폴딩브래킷(200)과 연결된 틸팅브래킷(300)은 상기 폴딩브래킷(200)으로부터 회동 가능하며, 그 상측면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400)의 저면에 볼트, 스크류 등의 체결수단(미도시)에 의하여 고정 체결된다.
이와 같이 함으로써, 종래에 폴딩브래킷(200)의 힌지 포인트가 전방으로 향하여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이러한 힌지 포인트를 커버하기 위한 별도의 사출물을 배제할 수도 있는 것이다.
또한, 시트쿠션(400)의 폴딩시 회전 궤적이 줄어들어 공간활용성도 높일 수 있는 이점이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시트쿠션(400)의 폴딩을 여성운전자나 노약자도 적은 힘으로 손쉽게 수행할 수 있도록, 상기 폴딩브래킷(200)과 틸팅브래킷(300)에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틸팅브래킷(300)의 전방측을 폴딩브래킷(200)으로부터 소정 각도 탄성적으로 틸트업시키는 틸트업장치(500)를 추가로 마련할 수 있다.
이때, 틸팅브래킷(300)을 통하여 시트쿠션(400)의 전방을 탄성력을 이용하여 상측으로 틸트업(tilt up) 시키는 다양한 형태의 틸트업장치(500)를 상기 폴딩브래킷(200)과 틸팅브래킷(300)에 적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틸트업장치(500)에 대한 적절한 실시예로는,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두 개의 상기 폴딩브래킷(200)을 연결시키며 그 중단에 스트라이커(511)가 마련된 틸팅축(510)과; 상기 폴딩브래킷(200)으로부터 상기 틸팅브래킷(300)의 전방을 상승시키는 탄성수단(520)과; 상기 틸팅브래킷(300)에 지지되어 상기 스트라이커(511)에 고정 가능한 래치(530)와; 일측이 상기 래치(530)에 연결되고 타측이 시트쿠션(400)의 외부로 인출된 폴딩밴드(54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두 개의 폴딩브래킷(200)이 틸팅브래킷(300)과 연결된 부위에 스트라이커(511)가 마련된 틸팅축(510)을 설치하고, 상기 스트라이커(511)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잠금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래치(530)를 틸팅브래킷(300)에 추가로 마련하여, 사용자가 상기 래치(530)에 연결된 폴딩밴드(540)를 당겨 상기 래치(530)가 스트라이커(511)로부터 해제되는 경우 탄성수단(520)에 의하여 틸팅브래킷(300)과 시트쿠션(400)의 전방이 상측으로 틸팅되도록 구현하여 시트쿠션의 폴딩을 용이하게 수행할 수 있게 도모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탄성수단(5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틸팅브래킷(300)과 시트쿠션(400) 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되며, 그 중단이 시트쿠션(400)의 저면 및 틸팅브래킷(300)에 고정되고 양단이 상기 폴딩브래킷(200)과 접촉하도록 하는 것이 적절하다.
이와 같이 하여, 탑승객이 착좌하기 위하여 상기 시트쿠션(400)을 수평하게 위치시켰을 경우 상기 래치(530)가 스트라이커(511)와 잠금 고정되면 상기 탄성수단(520)은 최대의 탄성변형을 유지하고 있다가, 상기 래치(530)가 폴딩밴드(540)의 인출에 의해 스트라이커(511)로부터 해제되면 변형하였던 상기 탄성수단(520)의 탄성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틸팅브래킷(300)의 전방, 즉 시트쿠션(400)의 전방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틸트업(tilt up) 되도록 하는 것이 본 발명에 있어서 적절하다.
이와 더불어, 도 3 및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시트프레임(100)의 후측에는 상방향을 향하여 고정고리(110)가 추가로 마련되고; 상기 시트쿠션(400)의 후단에는 상기 고정고리(110)를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어 잠금고리(410)가 추가로 마련될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하여 평상시 시트쿠션(400)이 수평하게 위치한 경우 차량의 급제동이 충돌 사고시 도 3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400)의 후방이 전방으로 전도되는 현상을 원천적으로 방지할 수도 있는 것이다.
이와 함께, 상기 시트쿠션(400)의 저면에는 도 4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레이트패널(420)이 추가로 마련되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400)의 폴딩완료시 폴딩된 시트쿠션(400)의 저면이 직접 외부로 노출되어 외관미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에 대한 작동예를 평상시, 폴딩초기 틸팅시, 폴딩 완료시를 각각 구분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명확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평상시, 즉 상기 시트쿠션(400)이 수평하게 위치하여 탑승객이 착좌 가능한 상태에서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래치(530)가 스트라이커(511)와 맞물려 있으며, 탄성수단(520)은 최대로 변형된 상태를 유지하고 있다.
시트를 폴딩시키고자 하여 사용자가 폴딩밴드(540)를 당기면, 폴딩초기 틸팅시에는 스트라이커(511)와 맞물려 있던 래치(530)가 해제되면서 변형하였던 탄성수단(520)이 원래의 형태로 탄성 복원되면서 상기 틸팅브래킷(300)의 전방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트쿠션(400)과 함께 폴딩브래킷(300)으로부터 틸트업 된다.
이러한 동작과 함께, 상기 시트쿠션(400)의 후단에 마련된 잠금고리(410)가 시트프레임(100)에 용접 등에 의하여 고정된 고정고리(110)로부터 이탈하게 된다.
이후, 사용자는 폴딩밴드(540)를 지속적으로 당겨 폴딩브래킷(300)을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시켜 1열의 시트백 후측에 수직하게 2열의 시트쿠션(400)이 위치하도록 하여 폴딩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수직하게 위치하도록 폴딩된 시트쿠션(400)의 저면은 플레이트패널(420)에 의하여 외부로 직접 노출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는 카고플랫을 구현하기 위하여 시트쿠션(400)의 폴딩시 작은 궤적으로도 시트쿠션(400)을 원활하게 폴딩시킬 수 있을 뿐 아니라, 외관미가 저감되는 것 또한 방지할 수 있다.
이뿐 아니라, 여성운전자나 노약자도 적은 힘으로 손쉽게 시트쿠션(400)을 폴딩시킬 수 있으며, 시트쿠션(400)의 미폴딩시에는 잠금고리(410)가 고정고리(110) 내에 위치하게 되어 시트쿠션(400)의 전도현상 또한 방지할 수 있어, 사용자의 편의성과 안전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차량의 시트 폴딩 힌지포인트 및 폴딩된 시트쿠션의 저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외관미가 저감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시트가 작은 궤적을 이루어 원활하게 폴딩될 뿐 아니라, 폴딩시 시트쿠션의 틸트업과 함께 안전장치가 해제되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안전성 및 편의성은 물론 차량의 상품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발명인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차량의 시트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2는 종래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를 도시하는 저면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에 대한 평상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6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에 대한 폴딩 초기 시트쿠션이
틸팅된 상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에 대한 폴딩 완료시를 도시하는
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시트프레임 110 : 고정고리
200 : 폴딩브래킷 300 : 틸팅브래킷
400 : 시트쿠션 410 : 잠금고리
420 : 플레이트패널 500 : 틸트업장치
510 : 틸팅축 511 : 스트라이커
520 : 탄성수단 530 : 래치
540 : 폴딩밴드 600 : 시트브래킷
610 : 가이드레일

Claims (6)

  1. 차량의 플로어패널에 고정된 시트브래킷의 가이드레일 상에서 전후 유동 가능한 시트프레임과;
    상기 시트프레임의 전방측 중단에 회동 가능하게 체결된 두 개의 폴딩브래킷과;
    저면이 상기 폴딩브래킷의 일측 단부에 힌지 체결된 틸팅브래킷과;
    상기 틸팅브래킷의 상측면에 고정 체결된 시트쿠션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폴딩브래킷과 틸팅브래킷에는 사용자의 제어에 따라 상기 틸팅브래킷의 전방측을 폴딩브래킷으로부터 소정 각도 탄성적으로 틸트업시키는 틸트업장치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프레임의 후측에는 상방향을 향하여 고정고리가 추가로 마련되고;
    상기 시트쿠션의 후단에는 상기 고정고리를 관통하여 위치하도록 소정의 경사각을 이루어 잠금고리가 추가로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의 저면에는 플레이트패널이 추가로 마련되어 시트쿠션의 폴딩시 외관미의 저감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틸트업장치는
    두 개의 상기 폴딩브래킷을 연결시키며 그 중단에 스트라이커가 마련된 틸팅축과;
    상기 폴딩브래킷으로부터 상기 틸팅브래킷의 전방을 상승시키는 탄성수단과;
    상기 틸팅브래킷에 지지되어 상기 스트라이커에 고정 가능한 래치와;
    일측이 상기 래치에 연결되고 타측이 시트쿠션의 외부로 인출된 폴딩밴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틸팅브래킷과 시트쿠션 저면 사이에 위치하도록 지그재그로 배열되며, 그 중단이 시트쿠션의 저면 및 틸팅브래킷에 고정되고 양단이 상기 폴딩브래킷과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KR1020040028587A 2004-04-26 2004-04-26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KR1005689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587A KR100568980B1 (ko) 2004-04-26 2004-04-26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JP2004348271A JP2005313867A (ja) 2004-04-26 2004-12-01 車両のシートフォールディング装置
US11/009,987 US7246857B2 (en) 2004-04-26 2004-12-10 Seat folding device of vehicle
DE102004061852A DE102004061852B4 (de) 2004-04-26 2004-12-22 Vorrichtung zum Umklappen eines Sitzes eines Fahrzeugs
CNB2004101036401A CN100475599C (zh) 2004-04-26 2004-12-29 车辆座椅折叠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28587A KR100568980B1 (ko) 2004-04-26 2004-04-26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50103345A true KR20050103345A (ko) 2005-10-31
KR100568980B1 KR100568980B1 (ko) 2006-04-07

Family

ID=351356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28587A KR100568980B1 (ko) 2004-04-26 2004-04-26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7246857B2 (ko)
JP (1) JP2005313867A (ko)
KR (1) KR100568980B1 (ko)
CN (1) CN100475599C (ko)
DE (1) DE102004061852B4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981B1 (ko) 2015-12-24 2017-03-1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 폴딩 래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73839B2 (en) * 2004-10-29 2006-07-11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 mount attachment to vehicle underbody
DE102005030032A1 (de) * 2005-06-27 2007-01-04 Johnson Controls Gmbh Fahrzeugsitz mit Gebrauchs- und Ladestellung
ATE508004T1 (de) * 2007-03-21 2011-05-15 Fiat Ricerche Zweitreihensitz mit umlegbarer rückenlehne für ein kraftfahrzeug
FR2939732B1 (fr) * 2008-12-16 2014-07-18 Faurecia Sieges Automobile Assis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et vehicule automobile comprenant une telle assise
JP5555439B2 (ja) * 2009-03-31 2014-07-23 テイ・エス テック株式会社 シート装置
JP2012240609A (ja) * 2011-05-23 2012-12-10 Honda Motor Co Ltd 車両用シート
JP5782632B2 (ja) * 2012-03-26 2015-09-24 株式会社タチエス シートクッション跳ね上げ式の車両用シート
JP5767156B2 (ja) * 2012-04-24 2015-08-19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シート装置
US9371021B2 (en) 2012-10-25 2016-06-21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Double-folding-type automotive seat with headrest
CN103273858A (zh) * 2013-05-31 2013-09-04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座垫翻折组件及汽车
CN106143219B (zh) * 2015-03-30 2018-10-16 长城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座垫总成及座垫翻折机构
US10640013B2 (en) * 2015-04-23 2020-05-05 Tachi-S Co., Ltd. Seat for vehicles
US10173556B2 (en) * 2015-04-23 2019-01-08 Tachi-S Co., Ltd. Seat for vehicles
US10344796B2 (en) * 2017-03-17 2019-07-0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tention mechanism for a forward folding seat assembly
CN107298038A (zh) * 2017-06-30 2017-10-27 奇瑞汽车股份有限公司 汽车坐垫的翻转机构
US10821857B2 (en) * 2018-12-06 2020-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Hinge assembly for vehicle seat

Family Cites Families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02234A (en) * 1901-06-27 1902-06-10 Alfred James Morley Chair.
US2153155A (en) * 1938-12-21 1939-04-04 Stubnitz Greene Spring Corp Seat
US4008919A (en) * 1974-05-20 1977-02-22 Nissan Motor Co., Ltd. Tiltable seat latch devices
JPS57205239A (en) * 1981-06-11 1982-12-16 Mazda Motor Corp Rear seat of automobile
US4475769A (en) * 1982-07-23 1984-10-09 General Motors Corporation Hinge and latch arrangement for vehicle seats
JPS59104836A (ja) * 1982-12-07 1984-06-16 Fujitsu Ltd パイロツト信号によるagc方式
JPS61113138U (ko) * 1984-12-28 1986-07-17
GB2205230B (en) * 1987-04-24 1990-06-06 Cinnamon Limited J Chair
US4852849A (en) * 1988-02-17 1989-08-01 Jones Eifion R Lifting seats
JPH0684140B2 (ja) * 1988-03-04 1994-10-26 日産車体株式会社 折畳シート
SE464071B (sv) * 1989-12-12 1991-03-04 Saab Automobile Arrangemang vid passagerarsaete i fordon
US5082327A (en) * 1990-10-19 1992-01-21 Crisp Charles D Lift apparatus for use with a chair
US5898953A (en) * 1992-11-16 1999-05-04 Paxon; John B. Rising seat for seating including toilets
JP3413326B2 (ja) * 1996-05-21 2003-06-03 高島屋日発工業株式会社 車輌用リヤシート
US5934732A (en) * 1996-09-30 1999-08-10 Chrysler Corporation Lock mechanism for foldable vehicle seat
JPH10226253A (ja) * 1997-02-18 1998-08-25 Mitsubishi Motors Corp 車両用座席
FR2777233B1 (fr) * 1998-04-08 2000-05-19 Peugeot Assise de siege arriere de vehicule automobile avec dispositif d'anti-soumarinage
FR2777838B1 (fr) * 1998-04-22 2000-06-23 Cesa Agencement d'une assise de siege de vehicule automobile sur un support
DE19932214B4 (de) * 1999-07-09 2011-12-29 Lear Corp. Fahrzeugsitz
JP3623153B2 (ja) * 2000-05-30 2005-02-23 ダイハツ工業株式会社 連結装置
KR100360039B1 (ko) * 2000-08-24 2002-11-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
JP2002293178A (ja) 2001-03-29 2002-10-09 Johnson Controls Automotive Systems Corp 車両用折りたたみシート
JP3606227B2 (ja) * 2001-05-11 2005-01-05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用シート
DE10123592C1 (de) * 2001-05-15 2003-01-30 Keiper Gmbh & Co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Fahrzeugsitz
CA2418733A1 (en) * 2002-02-12 2003-08-12 Intier Automotive Inc. Two way cushion floor latch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6981B1 (ko) 2015-12-24 2017-03-16 현대다이모스(주) 시트 폴딩 래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68980B1 (ko) 2006-04-07
JP2005313867A (ja) 2005-11-10
US7246857B2 (en) 2007-07-24
CN1689861A (zh) 2005-11-02
DE102004061852B4 (de) 2011-03-03
CN100475599C (zh) 2009-04-08
DE102004061852A1 (de) 2005-11-10
US20050236879A1 (en) 2005-10-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68980B1 (ko)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EP1916149B1 (en) Frame structure of seatback for vehicle
JP3722798B2 (ja) 折り畳み位置を備えた車両用座席
US8388054B2 (en) Stowable vehicle seat
US20130328341A1 (en) Cargo management system
US20040108755A1 (en) Stow to floor seat assembly having a cantilevered seat cushion
JP5624886B2 (ja) 車両座席
US6290292B1 (en) Seat back structure of hinged vehicle seat
JP5742537B2 (ja) 自動車のシート位置調整装置
JP2002079864A (ja) 自動車
JP3541602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JP6068413B2 (ja) シート構造
KR100559597B1 (ko) 자동차용 폴드 앤 다이브식 시트의 시트백 각도조절 구조
KR100461110B1 (ko) 자동차용 시트백 록킹 장치
JP7424239B2 (ja) 車両の後部構造
JPS6256810B2 (ko)
KR100197259B1 (ko) 차량용 보조시트 폴딩장치
JP2000229527A (ja) 自動車用シート構造
JPH11217034A (ja) 車両用シート構造
JP4296942B2 (ja) 車両用シートベルトの取付構造
KR0139558Y1 (ko) 뒷좌석의 시트백을 뒤로 젖힐 수 있는 자동차
JP2532615Y2 (ja) 自動車用シート
JPH09118158A (ja) 自動車用補助座席
JPH11342778A (ja) 自動車の後部座席
KR100220565B1 (ko) 왜건형차량의 리어시트 절첩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FPAY Annual fee pay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