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60039B1 -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0039B1
KR100360039B1 KR1020000049238A KR20000049238A KR100360039B1 KR 100360039 B1 KR100360039 B1 KR 100360039B1 KR 1020000049238 A KR1020000049238 A KR 1020000049238A KR 20000049238 A KR20000049238 A KR 20000049238A KR 100360039 B1 KR100360039 B1 KR 1003600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cushion
rear seat
cushion
hinge
fol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2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16090A (ko
Inventor
이광노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92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0039B1/ko
Publication of KR200200160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60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00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00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0Non-dismountable or dismountable seats storable in a non-use position, e.g. foldable spare sea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리어시트쿠션 저면의쿠션패널에 제1힌지점이 되는 쿠션 장착용 브라켓을 장착하고, 플로어패널에 제2힌지점이 되는 플로어패널 장착용 브라켓을 장착하며, 상기 제1힌지점과 제2힌지점간에는 힌지와이어를 연계되도록 삽입하여서, 리어시트쿠션의 전방 폴딩시 제1힌지점에서 제2힌지점을 중심으로 리어시트쿠션이 수평이동을 하는 동시에 제1힌지점을 중심으로 리어시트쿠션을 수직으로 세워서 폴딩시킴에 따라, 종래에 리어시트쿠션의 전방 폴딩시 프론트시트를 앞으로 이동시키는 번거로움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Device for folding rearseat cushion of automobile}
본 발명은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리어시트쿠션의 전방 폴딩시 프론트 시트백에 간섭없이 이루어지도록 한 폴딩궤적을 제공하여 리어시트쿠션의 전방 폴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 자동차용 리어시크쿠션의 폴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자동차용 리어시트는 전방으로 폴딩(Folding)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데, 즉 리어시트쿠션을 먼저 앞으로 젖힌 후, 리어시트백을 앞으로 젖힘으로써, 리어시트가 설치된 실내공간은 트렁크룸과 서로 개방되어진 상태가 되어, 길다란 물건등을 트렁크룸과 앞으로 접혀진 리어시트에 걸쳐 수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첨부한 도 6을 참조로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징장치의 설치상태와 그 폴딩 작동상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리어시트쿠션(10)의 저면에는 쿠션패널(24)이 일체로 장착되어 있고, 이 쿠션패널(24)의 앞쪽단에는 힌지브라켓(28)의 상단이 고정되어 있으며, 힌지브라켓(28)의 타단은 리어시트쿠션(10)의 앞단과 일치된 플로어 패널(28)의 경사면에 힌지회동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리어시트쿠션(10)의 후부쪽 면에는 당김용 고리(26)가 외부로 노출되게 일체로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상기 리어시트쿠션의 당김용 고리(26)를 당기면, 상기 쿠션패널(24)에 고정된 힌지브라켓(30)의 상단이 플로어 패널(28)에 고정된 하단 힌지점을 중심으로 원호를 그으며 전방 회동을 하게 되는 동시에 리어시트쿠션(10)의 후방부분이 앞쪽으로 동일한 원호의 궤적을 그리며 회동하게 되어, 결국 리어시트쿠션은 수직으로 세워져 접혀지게 된다.
이어서, 리어시트백을 전방으로 폴딩함으로써, 트렁크룸과 실내를 서로 개방된 공간으로 사용 가능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 리어시트쿠션의 전방 폴딩시, 폴딩되는 궤적공간을 많이 차지함에 따라 폴딩된 리어시트쿠션이 프론트시트의 시트백에 닿아 간섭이 일어나는 바, 먼저 리어시트쿠션 폴딩시 프론트시트를 앞으로 슬라이드 이동시켜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시 궤적공간을 넓게 만들어주어야 하는 불편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리어시트쿠션 저면의쿠션패널에 제1힌지점이 되는 쿠션 장착용 브라켓을 장착하고, 플로어패널에 제2힌지점이 되는 플로어패널 장착용 브라켓을 장착하며, 상기 제1힌지점과 제2힌지점간에는 힌지와이어를 연계되도록 삽입하여서, 리어시트쿠션의 전방 폴딩시 제1힌지점에서 제2힌지점을 중심으로 리어시트쿠션이 수평이동을 하는 동시에 제1힌지점을 중심으로 리어시트쿠션을 수직으로 세워서 폴딩시킴에 따라, 종래에 리어시트쿠션의 전방 폴딩시 프론트시트를 앞으로 이동시키는 번거로움을 배제시킬 수 있도록 한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과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
도 3,4,5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 저면에 폴딩장치가 장착된 상태와 리어시트쿠션을 폴딩시키는 단계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6은 종래의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징장치의 설치상태와 그 폴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어시트쿠션 12 : 힌지 와이어
14 :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 16 : 플로어 패널 장착용 브라켓
18 : 돌기 20 : 제1힌지점
22 : 제2힌지점 24 : 쿠션패널
26 : 고리 28 : 플로어패널
30 : 힌지브라켓 32 : 힌지구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로 본 발명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리어시트쿠션(10) 저면의 쿠션패널(24)에 장착되는 한 쌍의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과; 이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의 앞쪽에 위치되어 플로어패널(28)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플로어패널 장착용 브라켓(16)과; 상기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에 형성된 힌지구(32)에 삽입되어 제1힌지점(20)을 만들어주고, 상기 플로어패널 장착용 브라켓(16)에 형성된 힌지구(32)에 삽입되어 제2힌지점(22)을 만들어주는 힌지와이어(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한 쌍의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의 바깥쪽면에는 상기 힌지와이어(12)에 걸리게 되는 고정돌기(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본 발명을 실시예로서, 첨부한 도면을 참조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 1과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로서, 상기 리어시트쿠션(10)의 저면에는 쿠션패널(24)이 장착되어 있는 바, 이 쿠션패널(24)에 한 쌍의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이 볼팅으로 장착된다.
상기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의 후단에는 힌지구(32)가 형성되고, 각 안쪽면에는 원추형의 돌기(18)가 일체로 형성된다.
한편, 상기 한 쌍의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의 앞쪽에는 한 쌍의 플로어패널 장착용 브라켓(16)이 플로어 패널(28)에 장착되는 바, 이 플로어패널 장착용 브라켓(16)의 앞단에는 힌지구(32)가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플로어패널 장착용 브라켓(14)의 힌지구(32)에 힌지와이어(12)가 연통되게 끼워져 제2힌지점(22)을 형성하게 되고, 이 힌지와이어(12)는 후방으로 수직 절곡되는 동시에 다시 안쪽방향으로 수직 절곡되어 상기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의 힌지구(32)에 삽입되어 제1힌지점(20)을 형성하게 된다.
한편, 상기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의 돌기(18)는 첨부한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와이어(12)의 밑에 위치되어 힌지와이어(12)를 받쳐주는 동시에 리어시트쿠션(10)의 락킹상태룰 유지시켜주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리어시트쿠션(10)의 상면 앞쪽에는 당김용 고리(26)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폴딩장치의 작동상태를 첨부한 도 3,4,5를 참조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리어시트쿠션(10)을 전방으로 폴딩시키려면, 상기 당김용 고리(26)를 전방으로 당기게 되는 바, 이때 리어시트쿠션(10)의 쿠션패널(24)에 장착되어 있는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의 돌기(18)가 첨부한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힌지와이어(12) 위쪽으로 이동하며 걸림해제된다.
계속해서, 상기 리어시트쿠션(10)을 전/상방으로 당기면, 제2힌지점(22)을 중심으로 힌지와이어(12)가 전방으로 회동하게 되는 바, 이때 리어시트쿠션(10)은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과 함께 상방향으로 약간 이동되면서 전방으로 수평이동하게 된다.
즉, 상기 힌지와이어(12)가 제2힌지점(22)을 중심으로 첨부한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평상태로부터 수직상태로 세워질때까지 회동을 함에 따라, 리어시트쿠션(10)도 상향 이동하며 전방으로 수평이동을 하게 된다.
마지막으로, 첨부한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리어시트쿠션(10)의 뒤쪽을 잡고 상방향으로 원호를 그으며 당겨주면, 상기 시트 쿠션 장착용 브라켓(14)이 수평상태에서 제1힌지점(20)을 중심으로 수직으로 세워지게 되고, 동시에 리어시트쿠션(10)도 수직으로 세워지게 됨에 따라 전방폴딩이 이루어진다.
좀 더 상세하게는, 상기 리어시트쿠션(10)의 앞단이 하부에 후단이 상부쪽에 위치되며 수직으로 세워져 전방폴딩이 이루어진다.
이상에서 본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에 의하면, 종래에 리어시트쿠션 전방 폴딩시 프론트시트를 전방으로 먼저 슬라이드 이동시켜 전방폴딩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는 불편함을 배제하고, 전후 작은 길이의 폴딩공간에서도 프론트시트에 간섭없이 용이하게 전방 폴딩이 이루어지는 장점이 있다.

Claims (2)

  1. 리어시트쿠션(10) 저면의 쿠션패널(24)에 장착되는 한 쌍의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과;
    상기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의 앞쪽에 위치되어 플로어패널(28)에 장착되는 한 쌍의 플로어패널 장착용 브라켓(16)과;
    상기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에 형성된 힌지구(32)에 삽입되어 제1힌지점(20)을 만들어주고, 상기 플로어패널 장착용 브라켓(16)에 형성된 힌지구(32)에 삽입되어 제2힌지점(22)을 만들어주는 힌지와이어(1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시트쿠션 장착용 브라켓(14)의 바깥쪽면에는 상기 힌지와이어(12)에 걸리게 되는 고정돌기(18)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
KR1020000049238A 2000-08-24 2000-08-24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 KR1003600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238A KR100360039B1 (ko) 2000-08-24 2000-08-24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238A KR100360039B1 (ko) 2000-08-24 2000-08-24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090A KR20020016090A (ko) 2002-03-04
KR100360039B1 true KR100360039B1 (ko) 2002-11-07

Family

ID=196849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238A KR100360039B1 (ko) 2000-08-24 2000-08-24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6003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980B1 (ko) * 2004-04-26 2006-04-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20439B1 (ko) * 2006-09-27 2008-04-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리어시트 쿠션 폴딩부 구조
KR100972234B1 (ko) * 2008-06-27 2010-07-23 김완철 제습 가능한 가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68980B1 (ko) * 2004-04-26 2006-04-07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6090A (ko) 2002-03-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0832A (en) Auxiliary seat assembly for use in vehicles
US20080174136A1 (en) Device holder for fitting in a motor vehicle
KR100837911B1 (ko) 자동차용 더블폴딩 시트의 리어캐치 이동구조
KR100360039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폴딩장치
JP2006219012A (ja) 車両用サンバイザ
KR100360040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쿠션의 전방 이동 락킹장치
JP3987910B2 (ja) 車両用リヤシート
JP3537676B2 (ja) 車両用シート
KR100448117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 폴딩 구조
KR100520775B1 (ko) 차량의 자동접이식 시트
JP2002191467A (ja) 自動車前席用テーブル装置
KR100521588B1 (ko) 차량용 리어시트의 폴딩구조
KR0140658Y1 (ko) 크기가 다양한 컵을 수용하는 자동차용 컵 홀더
KR200146808Y1 (ko) 보조 컵 호울더
JPH06115390A (ja) 容器支持装置
KR100448335B1 (ko) 자동차의 회동 가능한 구조의 화물 분리 장치
KR200151719Y1 (ko) 자동차용 뒤의자
KR0117327Y1 (ko) 자동차용 보조거울
KR100515436B1 (ko) 자동차용 아웃사이드 리어 뷰 미러
KR100820420B1 (ko) 자동차용 카고스크린
JPH09301042A (ja) カップホルダー
KR100309842B1 (ko) 자동차용 발판부 구조
KR20000021778A (ko) 자동차 리어시이트 폴딩장치
KR19980036413U (ko) 차량용 컵 홀더
KR0185347B1 (ko) 자동차의 컵 홀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00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