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51719Y1 - 자동차용 뒤의자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뒤의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51719Y1
KR200151719Y1 KR2019960062533U KR19960062533U KR200151719Y1 KR 200151719 Y1 KR200151719 Y1 KR 200151719Y1 KR 2019960062533 U KR2019960062533 U KR 2019960062533U KR 19960062533 U KR19960062533 U KR 19960062533U KR 200151719 Y1 KR200151719 Y1 KR 20015171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ckrest
cable
hooks
cable guide
fold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6006253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49368U (ko
Inventor
허준열
Original Assignee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몽규, 현대자동차주식회사 filed Critical 정몽규
Priority to KR201996006253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51719Y1/ko
Publication of KR1998004936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4936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5171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51719Y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24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 B60N2/3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 B60N2/36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for particular purposes or particular vehicles convertible for other use into a loading plat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차용 뒤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좌측등받이와 우측등받이의 바깥쪽 선단 상,하에 절첩힌지를 설치하고, 다른 타단에는 상,하부에 훅크와 스트라이커를 각각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케이블가이드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상,하부의 훅크와 스트라이커는 케이블가이드를 통하여 손잡이부를 가지는 케이블로 연결되어 하나의 손잡이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등받이가 절첩힌지를 중심으로 좌,우측도어쪽으로 각각 전개되도록 하므로서 간단한 조작으로 보다 안정된 화물적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자동차용 뒤의자
본 고안은 자동차용 뒤의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뒤의자의 좌우측단 상하에 절첩힌지를 설치하고, 중앙부에 훅크와 스트라이커와 케이블 가이드 등을 설치하여서 케이블로 을 훅크를 제어하므로서 뒤의자의 등받이가 좌,우측으로 전개되어지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웨건형 자동차용 뒤의자는 첨부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등받이(10)와 우측등받이(11)가 하부를 중심으로하여 시트상에 엎어지듯 절첩되도록 되어져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구조에 있어서는 시트자체의 경사각에 등받이(18)의 경사각이 더해져서 화물의 적재가 곤란하고, 적재된 화물이 주행중에 좌우측의 도어가 있는 차체벽에 부딛히게 되므로 운전자를 불안하게 하는 등 안전운전에 많은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좌측등받이와 우측등받이의 바깥쪽 선단 상,하에 절첩힌지를 설치하고, 다른 타단에는 상,하부에 훅크와 스트라이커를 각각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케이블가이드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상,하부의 훅크와 스트라이커는 케이블가이드를 통하여 손잡이부를 가지는 케이블로 연결되어 하나의 손잡이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등받이가 절첩힌지를 중심으로 좌,우측도어쪽으로 각각 전개되도록 하므로서 간단한 조작으로 보다 안정된 화물적재가 가능하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자동차용 뒤의자의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뒤의자의 사시도,
도 3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차용 뒤의자로서 승객사용 상태도,
도 4는 도 3의 A-A선 단면도,
도 5는 도 3의 B-B선 단면도,
도 6는 도 3의 C-C선 단면도,
도 7는 본 고안에 따른 케이블 가이드의 사시도,
도 8는 본 고안에 따른 훅크의 사시도,
도 9는 본 고안에 따른 스트라이커의 사시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좌측등받이11: 우측등받이
12: 절첩힌지13: 훅크
14: 스트라이커15: 케이블가이드
16: 손잡이부17: 케이블
18: 등받이19: 복원스프링
20: 차체패널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은 좌측등받이(10)와 우측등받이(11)의 바깥쪽 선단 상,하에 절첩힌지(12)가 설치되고, 다른 타단에는 상,하부에 훅크(13)와 스트라이커(14)가 각각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케이블가이드(15)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하부의 훅크(13)와 스트라이커(14)는 케이블가이드(15)를 통하여 손잡이부(16)를 가지는 케이블(17)로 연결되어져서 이루어 진 것이다,
또한, 상기 절첩힌지(12)는 등받이(18)가 외향 절첩되도록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훅크(13)는 복원스프링(19)이 설치되어져 있다.
이를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첨부도 2 내지 도 9는 본 고안의 구성도로서, 자동차 뒤의자의 좌측등받이(10)와 우측등받이(11)의 바깥쪽 선단에는 상,하에 절첩힌지(12)가 각각 설치되어서 차체패널(20)과 연결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좌측등받이(10)와 우측등받이(11)의 안쪽 선단에는 상,하에 훅크(13)와 스트라이커(14)가 설치되어져 있으며, 상기 훅크(13)에는 복원스프링(19)이 설치되어져 있고, 상기 스트라이커(14)는 차체패널(20)에 각각 고정 설치되어져 있다.
또한, 상기 상부훅크(13)와 하부훅크(13)의 사이에는 케이블가이드(15)가 설치되어서 상부훅크(13)와 하부훅크(13)가 케이블(17)로 연결되어서 상기 케이블가이드(15)로 모아져 있어서, 케이블(17)의 선단에는 손잡이부(16)가 형성되어져 있다.
한편,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작용효과를 설명하면, 뒤위자가 승객용으로 사용될 경우에는 통상의 뒤의자와 같이 시트(21)위에 일정각도를 이루고 있는 등받이(18)로 존재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등받이(18)를 절첩하고 뒷 트렁크에 화물을 적재하고자 할 경우에는 좌측등받이(10)와 우측등받이(11)의 사이로 돌출되어있는 손잡이부(16)를 잡아당김으로서 케이블가이드(15)에 모아져 있는 케이블(17)이 일시에 당겨져서 상하부의 스트라이커(14)에 걸려져 있는 훅크(13)가 회전되도록 하면 상기 좌측등받이(10)와 우측등받이(11)는 각각 차체패널(20)과의 사에에 설치되어져 있는 절첩힌지(12)를 중심으로 회전되어 좌우측도어가 있는 방향으로 벌려지듯 전개되게 된다.
따라서, 좌우측으로 각각 절첩 전개되어진 좌측등받이(10)와 우측등받이(11)의 사이에 화물을 적재하면 되는 것이다.
또한, 이러한 상태에서는 절첩되어진 좌측등받이(10)와 우측등받이(11)의 사이에 화물이 적재되므로 보다 안정적일수 있으며, 경사가 심하지 않은 시트위에 화믈을 올려놓게 되므로 화물의 적재가 더더욱 안정되게 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등받이(18)를 승객사용용으로 복원하고자 할 경우에는 좌측등받이(10)와 우측등받이(11)를 각각 절첩힌지(12)를 중심으로 회전되도록 밀어 주므로서 복원스프링(19)에 의하여 탄력을 지니고 있는 훅크(13)가 다시 차체패널(20)에 고정설치된 스트라이커(14)에 걸려지게 되므로서 복원이 완료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고안은 좌측등받이와 우측등받이의 바깥쪽 선단 상,하에 절첩힌지를 설치하고, 다른 타단에는 상,하부에 훅크와 스트라이커를 각각 설치하며, 중앙부에는 케이블가이드를 설치하는 한편, 상기 상,하부의 훅크와 스트라이커는 케이블가이드를 통하여 손잡이부를 가지는 케이블로 연결되어 하나의 손잡이로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여, 상기 등받이가 절첩힌지를 중심으로 좌,우측도어쪽으로 각각 전개되도록 하므로서 간편한 조작으로 보다 안정된 화물적재가 가능한 장점을 지니는 것이다.

Claims (3)

  1. 좌측등받이(10)와 우측등받이(11)의 바깥쪽 선단 상,하에 절첩힌지(12)가 설치되고, 다른 타단에는 상,하부에 훅크(13)와 스트라이커(14)가 각각 설치되고, 중앙부에는 케이블가이드(15)가 설치되는 한편, 상기 상,하부의 훅크(13)와 스트라이커(14)는 케이블가이드(15)를 통하여 손잡이부(16)를 가지는 케이블(17)로 연결되어져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뒤의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첩힌지(12)는 등받이(18)가 외향 절첩되도록 설치되어져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뒤의자.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훅크(13)는 복원스프링(19)이 설치되어져서 이루어 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뒤의자.
KR2019960062533U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뒤의자 KR20015171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533U KR200151719Y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뒤의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60062533U KR200151719Y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뒤의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368U KR19980049368U (ko) 1998-10-07
KR200151719Y1 true KR200151719Y1 (ko) 1999-07-15

Family

ID=194862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60062533U KR200151719Y1 (ko) 1996-12-30 1996-12-30 자동차용 뒤의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51719Y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49368U (ko) 1998-10-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24132B1 (en) Easily handled movable vehicle seat assembly
EP0565221A1 (en) Cross body motor vehicle security shade
US20030098600A1 (en) Vehicle seat portion
KR20050103345A (ko) 차량의 시트 폴딩 장치
KR200151719Y1 (ko) 자동차용 뒤의자
KR100520775B1 (ko) 차량의 자동접이식 시트
JP3537676B2 (ja) 車両用シート
KR200163100Y1 (ko) 승합차용 보조 시트 체결장치
KR100208615B1 (ko) 자동차용 뒷좌석
KR100405465B1 (ko) 자동차용 폴딩시트의 래치구조
JP3672676B2 (ja) 車両用トノカバー装置
KR100535068B1 (ko) 자동차용 리어시트백의 갭 막음용 백보드 전개 구조
KR0134192Y1 (ko) 자동차의 이중절첩의자
KR19990024688U (ko) 자동차의 간이용 거울 수납장치
KR100520768B1 (ko) 자동차의 뒷좌석 강도 보강장치
KR100315193B1 (ko) 자동차용 접이식 보조시트
KR200291461Y1 (ko) 차량 시트의 폴딩 장치
KR0117327Y1 (ko) 자동차용 보조거울
KR0134194Y1 (ko) 자동차의 뒷 시트 백 리클라이닝장치
KR100371542B1 (ko) 자동차용 조수석 젖힘 구조
KR20070004299A (ko) 자동차용 접이식 의자
JPS63219432A (ja) 自動車のシ−ト装置
JPH078090U (ja) 自動車のトノカバー装置
KR19980026103U (ko) 이중절첩시트 고정장치
KR19990028382U (ko) 자동차 리어 시트의 접이식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402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