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5036B1 - 전선도출부의방수구조및이것을만드는방법 - Google Patents

전선도출부의방수구조및이것을만드는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5036B1
KR100285036B1 KR1019970074117A KR19970074117A KR100285036B1 KR 100285036 B1 KR100285036 B1 KR 100285036B1 KR 1019970074117 A KR1019970074117 A KR 1019970074117A KR 19970074117 A KR19970074117 A KR 19970074117A KR 100285036 B1 KR100285036 B1 KR 100285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proof
housing
wire
cover
wire l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41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677A (ko
Inventor
데츠오 가토
노부유키 아사쿠라
아키라 신치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야스히코
Publication of KR199800646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6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5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50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05Sealing means between cable and housing, e.g. gromm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2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 H01R13/521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es characterised by the sealing material, e.g. gels or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4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different pieces being moulded, cemented, welded, e.g. ultrasonic, or swaged togeth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49Method of mechanical manufacture
    • Y10T29/49002Electrical device making
    • Y10T29/49117Conductor or circuit manufacturing
    • Y10T29/49204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 Y10T29/49208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 Y10T29/4921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with bonding
    • Y10T29/49211Contact or terminal manufacturing by assembling plural parts with bonding of fused materia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Manufacturing Of Electrical Connectors (AREA)
  • Connections Effected By Soldering, Adhesion, Or Permanent Deformation (AREA)
  • Cable Accessories (AREA)

Abstract

하우징의 전선 도출부에 대한 방수구조가 제공된다. 그 구조는 두 개의 커버 몸체와 그 커버 몸체에 의해 운반된 두 개의 방수부재를 포함하고 그 방수부재는 압력하에서 초음파 진동에 의해 절연커버에서 융합할 수 있고 서로 용해할 수 있는 탄성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그 커버 몸체를 초음파 진동에 의해 상호 용접하는 경우에, 방수부재는 서로 융합되고, 그 방수부재는 절연커버에서 융합되고 그 커버 몸체는 하우징에 용접된다.

Description

전선 도출부의 방수구조 및 이것을 만드는 방법{WATERPROOF STRUCTURE FOR CONDUCTOR LEADING PART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본 발명은 커넥터의 전선 도출부의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더 상세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방수부재로 배선기기(예, 방수 커넥터, 전기접속박스 등)의 전선 도출부를 피복하여 방수하는 방수구조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일본실개소 50-54591호는 복수의 피복된 전선이 상반부 고무플러그와 하반부 고무플러그 사이에 끼워져서 플러그 조립체가 커넥터 하우징에 형성된 오목부에 억지 끼워 맞춤되어 있는 종래 방수구조를 개시하고 있다.
하지만, 상기 종래 방수구조에서는, 복수의 전선이 일체적으로 방수됨에도 불구하고 해결해야 할 문제가 있다. 즉, 작업자가 고무 플러그 조립체를 커넥터 하우징에 끼워맞추는 것이 어려워 극수와 전선 크기에 따라서 상부와 하부 고무 플러그에 대한 상이한 금형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제조 비용이 증가된다.
더욱이, 종래 방수구조의 제조과정에서는, 틈새없이 두 개의 고무 플러그를 함께 맞추는 것이 어렵다. 그러므로, 이러한 구조의 방수기능은 불리하게 상부와 하부 고무 플러그의 이음부에서 저하되기 쉽다.
그러므로, 적은 제조비용에도 불구하고 높은 방수능력을 나타내고 다양한 전선과 전선크기에 적용가능한 전선도출부의 방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도 1은 도 2의 라인 I-I을 따라 취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전선 도출부의 방수구조를 갖춘 커넥터의 횡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도 1의 커넥터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커넥터의 제조공정을 도시한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1의 커넥터의 제조 공정을 도시한 일부 단면 정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서, 방수구조를 갖춘 커넥터 하우징의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라서, 방수구조를 갖춘 커넥터 하우징의 분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서, 방수부재가 전선 도출부에 채워지기 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4 실시예에 따라서, 방수부재가 도 7의 전선 도출부에 채워진 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제5 실시예에 따라서, 전선 도출부를 도시한 사시도;
도 10은 도 9의 전선 도출부가 눌리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도 11은 도 9의 전선 도출부가 눌린 후에 가열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그리고
도 12는 도 9의 전선 도출부가 눌리고 가열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
상기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전선도출부에 대한 방수구조에 의해 달성될 수 있는데, 이것을 통해서 수지절연커버로 커버된 복수의 전선이 하우징으로부터 나와 있고, 그 방수구조는 전선도출부에서의 전선 주위에 정렬된 하나 또는 다수의 방수부재로 구성되어 있고, 그 방수부재는 서로 용해되고, 수지절연커버와 융합된다.
전선도출부에 대한 방수구조에서, 그 전선이 하우징으로부터 나와 있는 상태하에서, 전선도출부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방수부재와 융합되는 한편, 그 방수부재는 일체화를 위해 절연커버와 함께 녹는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하게, 전선은 서로 평행하게 전선도출부로부터 나와 있는 복수의 전선이다.
더욱 바람직하게, 하우징은 전선을 평행하게 정렬시키기 위한 방향으로 하우징을 양분함으로써 얻은 두 개의 하우징 요소로 구성되어 있고, 그 방수부재는 전선도출부를 양분함으로써 얻은 절반 전선 도출부에 각각 정렬된다.
이 경우에, 하우징 요소와 절반 전선 도출부의 상호 접합하는 상태에서, 전선은 방수부재 사이에 끼워진다. 따라서, 상기 끼워짐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에 예를 들어, 초음파 진동에 의해 전선 도출부를 가열함으로써, 방수부재는 일체화를 위해 전선의 절연커버와 상호 녹아서 융합된다.
선택적으로, 전선의 절연커버의 녹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방수부재를 구성하는 물질을 녹여서, 그 결과 녹은 물질은 전선 도출부에서의 전선 주위에 채워져서 방수부재를 제공한다. 이 경우에, 절연커버는 방수부재와 함께 녹아서 하나의 몸체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전선 도출부에 대한 방수구조에 의해 또한 달성될 수 있는데, 이것을 통해서 절연커버로 커버된 복수의 전선이 나와 있고, 방수구조는 전선 도출부에서 그들 사이에 전선을 끼우고, 압력하에서 초음파진동에 의해 서로 용해될 수 있고, 절연커버와 용해될 수 있는 탄성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두 개의 방수부재; 그리고 각각 방수부재를 지지하고 압력하에서 초음파진동에 의해 서로 용융될 수 있는 하우징과 용해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두 개의 커버몸체;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장치로, 초음파 진공에 의해서 커버 몸체를 상호 융합시킴과 동시에 방수부재와 전선의 절연커버 사이의 융합, 그리고 하우징에의 커버몸체용접을 실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결과적으로, 상기 융합과 용접으로, 하우징, 커버몸체, 방수부재 그리고 전선이 일체화된 부품인 것처럼 구성되어 있다.
상기 방수구조에서, 바람직하게, 커버 몸체중 하나는 전체적으로 하우징으로 형성되는 한편, 커버 몸체의 다른 하나는 힌지(hinge)를 통해서 하우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경우에, 방수구조를 형성하는 부품의 수를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추가로, 본 발명에 따라, 커넥터에 방수구조가 또한 제공되고,
하우징; 그리고
전체적으로 하우징으로 형성되고 절연 커버로 커버된 복수의 전선이 도출되어 있고, 초음파 진동에 의해 절연 커버와 융합할 수 있는 물질로 구성되어 있는 전선 도출부;로 구성되어 있다.
이 방수구조에서, 전선이 하우징에서 나와 있는 상태에서, 전선 도출부는 초음파 진공에 의해 압착되고 가열된다. 그러므로, 전선 도출부와 전선의 절연 커버는 융합되고 일체로 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방수구조를 만드는 방법이 하우징의 전선 도출부에 또한 제공되고, 그 방법은
절연 커버로 커버된 적어도 하나의 전선을 전선 도출부를 통해서 하우징에서 부분적으로 도출시키는 단계;
커버 몸체에 의해 운반되는 방수부재가 서로 접합하는 방식으로 전선 도출부에서 두 개의 방수부재 사이에 전선을 끼우는 단계; 그리고
커버 몸체를 통한 초음파에 의해 방수부재를 진동시키고, 그것에 의해 서로 방수부재를 용융하고, 그리고 하우징에서 커버 몸체를 일체로 융합하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특징과 다른 목적과 본 목적은 첨부한 도면과 관련된 첨부 청구범위와 다음 설명으로 더 분명해질 것이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여러 실시예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다.
제1 실시예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라서 전선 도출부의 방수구조를 도시하고, 또한 커넥터의 전선 도출부에 적용되는 구조의 예를 도시하고 있다.
커넥터(1)에서, 하우징(2)에서 뽑아내진 커버된 전선(7)은 그 전선(7)을 끼운 두 개의 분할방수부재(3, 4)로 커버되는 한편, 그 전선(7)을 커버하는 방수부재(3, 4)는 하우징(2)과 일체로 형성된 두 개의 분할커버몸체(5, 6)에 의해 지지되고, 그것에 의해 이 실시예의 방수구조를 제공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2)은 그 하우징의 끝단면에 작은 사각기둥의 형태로 앞으로 튀어나온 도출부(8)가 제공된다. 그 도출부(8)에서, 복수의 도출부 홀(8b)은 하우징(2)의 내부와 연통하고 도출부(8)의 앞끝단면에서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그 커버된 전선(7)은 각각 도출부 홀(8b)을 통해서 하우징(2)에서 부분적으로 뽑아내진다.
방수부재(3, 4)는 압력하에서 초음파 진동에 의해 서로 용해되고 전선(7)의 절연 커버(7b)에 대해 상호 용해성을 나타내는 탄성 물질로 구성되어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수부재(3, 4)는 그 상호 양 표면부상에 립(3b, 4b)에 의해 분할된 수용홈(3a, 4a)이 제공된다. 각각 이 수용홈(3a, 4a)은 도출부 홀(8b)에 대응하게 형성된다.
상기 커버몸체(5, 6)의 물질로 바람직하게 추천되는 것은 절연커버(7b)를 위해 사용되는 비닐클로라이드 등등과 비교하여 딱딱한 아크릴수지,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수지, PC(폴리카보네이트)수지, PVC(폴리비닐클로라이드)수지, PE(폴리에틸렌)수지, PEI(폴리에테르 이미드)수지, PB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네이트)수지 등이다. 상기 수지를 채택하는 경우에 커버 몸체(5, 6)의 적합성에 관하여, 모든 수지가 전도성과 전도안정성의 점에서 실용적으로 사용될 것으로 평가된다. 더욱이, 외관과 절연을 포함한 수지를 평가하는 경우에는 PEI(폴리에테르 이미드)수지와 PBT(폴리에틸렌 테레프탈네이트)수지가 특히 적합하다.
탄성부재로서 폴리에테르 탄성중합체를 채택하는 경우에는, PBT가 커버몸체(5, 6)에 대한 수지로서 가장 좋은 물질이 될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 폴리에테르 탄성중합체의 화학구조가 PBT와 폴리에스테르로 구성된 블록 혼성중합체를 나타내므로 상호 용해를 실행하는 것이 쉬울 수 있다.
반면에, 탄성부재로서, 절연커버(7b)의 물질에 대하여 상호 용해도를 가지는 수지물질; 합성 고무 또는 합성 플라스틱과 같은 탄성중합체 물질, 즉 실온에서 낮은 응력으로 원래 길이보다 두배로 늘어날 수 있고 응력이 제거될 때 원래길이로 되돌아올 수 있는 물질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절연 커버(7b)에서 상호 용해도를 가진 수지를 바람직하게 추천되는 것은 (1) ABS(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와 비닐 클로라이드의 혼합물, (2) 아크릴로니트릴과 비닐 클로라이드의 혼합물, (3)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 등이다. 이들 물질중에서, 폴리에스테르 탄성중합체 등(예, 폴리부티렌 테레프탈네이트와 폴리에테르로 구성된 블록 혼성중합체)이 더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 상기 용어 "상호 용해도"는 두 물질 사이의 친밀도를 나타내고 이 명세서에서 특히 플라스틱이 고폴리머와 혼합되고 플라스틱 물질이 고 폴리머에 부가되는 경우에 상이탈이 발생되지 않는 곳에서 플라스틱 물질의 정량 제한에 의해 표현되는 특성에 관한 것을 나타낸다.
각각 수용부(5b, 6b)가 갖추어지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커버 몸체(5, 6)는 실질적으로 U자형 구성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방수부재(3, 4)는 각각 수용부(5b, 6b)에서 수용되고, 그것에 의해 방수부품(20)을 구성한다. 방수부품(20) 각각이 커버몸체(5, (6))와 방수부재(3, (4))를 서로 결합하므로서 구성되고, 상세히는 이들 양자는 커버몸체(5, (6))에서 방수부재(3, (4))를 수동으로 끼워서 개별적으로 형성되지만, 커버몸체(5, (6))와 방수부재(3, (4))를 하나의 몸체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커버몸체(5, (6))와 방수부재(3, (4))의 일체화로 인해, 방수부재(3, (4))와 커버몸체(5, (6)) 사이의 맞물림부의 액체 방수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 따라서, 방수부재(3, 4)는 커버몸체(5, 6)에 각각 조립될 때, 립(3b, 4b)의 각각의 팁이 커버몸체(5, 6)로부터 외부쪽으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형성된다. 이 형성으로, 초음파를 발생시키는 동안에, 방수부재(3, 4)는 서로를 강하게 누르고, 그것에 의해 커버된 전선(7)의 절연 커버(7b)와 함께 녹는 것과 상호 녹는 것을 촉진시킨다.
상기 배열로, 전선 도출부의 방수구조는 다음과 같이 실현될 수 있다.
먼저, 커버된 전선(7)과 연결된 암단자(52)는 커넥터 하우징(2)에 맞물려 있고, 그후 전선(7)은 도출부 홀(8b)을 통하여 하우징(2)으로부터 부분적으로 뽑아내진다. 크림프부(52a, 52b) 각각에 의해 크림프(crimp)된 코어라인(7a)과 커버부(7b)를 갖추고, 그 커버된 전선(7)은 암단자(52)와 연결된다(도 1). 도 1에서 참조숫자(50)는 커넥터(1)와 연결된 결합 커넥터를 지시하고 참조숫자(51)는 커넥터(50)와 연결되어 있을 때 커넥터(1)내의 암단자(52)에 삽입되는 수단자를 표시한다.
다음, 커버된 전선(7)은 방수부재(3, 4)의 수용홈(3a, 4a)에 끼워 맞춰지고, 방수부품(20, 20)은 각각 립(4b)에 대하여 립(3b)을 접합하는 동안에 서로 만나게 된다. 이 접합으로, 커버 몸체(5)의 양 측면상의 각각의 립(5c)은 커버 몸체(6)의 양 측면상의 립(6c)과 대립하게 되고, 유사하게 몸체(5, 6)의 내면(5a, 6a)은 그 도출부(8)의 외면(8a)에 대하여 대립된다.
상기 상태하에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접합되는 방수부재(20, 20)는 테이블(41)상에 장착되고, 초음파가 초음파 혼(horn)(40)에 의해 커버몸체(6)상에서 발생하는 한편 몸체(6)를 아래로 누른다. 결과적으로, 커버몸체(5, 6)의 양쪽에서 접합 립(5c, 6c)은 서로 융합되어 몸체(5, 6)는 하나로 통합된다.
초음파 진동에 의해 커버몸체(5, 6)를 서로 융합시에, 몸체(5, 6)의 내면(5a, 6a)은 하우징(2)과 일체로 도출부(8)의 외면(8a)에 놓이는 한편(도 1) 방수부재(3, 4)의 대응립(3a, 4a)은 서로 융합된다. 동시에, 방수부재(3, 4)에서, 수용홈(3a, 4a)은 전선(7)의 절연커버(7b)와 일체로 되게 부분적으로 녹는다. 절연커버(7b)와 함께 수용홈(3a, 4a)을 녹이는 것은 도 1에서의 융합구역(9)에 의해 표시된다.
이 방식에서, 이 실시예에 따라서, 커넥터(1)의 전선 도출부에 대한 방수구조는 방수부재(3, 4)를 서로 융합함으로써, 커버된 전선(7)의 절연커버(7b)에 부재(3, 4)를 용해함으로써, 그리고 그 분리된 커버몸체(5, 6)를 초음파 진동에 의해 융합함과 동시에 하우징(2)에 커버몸체(5, 6)를 융합함으로써 제공된다.
또한, 이 실시예에 따라서, 커버몸체(5)와 커버몸체(6), 커버몸체(5, 6)와 하우징(2), 그리고 방수부재(3, 4)와 전선(7)의 절연커버(7b)를 각각 그리고 동시에 서로 일체로 하는 것은 초음파 진동 공정뿐이기 때문에, 커넥터의 제조공정을 단순화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방수구조에서 상기 용융과 융합으로 인해, 이들이 하나의 일체로 된 부품인 것처럼 하우징(2), 커버몸체(5, 6), 방수부재(3, 4) 그리고 전선(7)을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방수능력은 개선되어 이들 요소를 따라서 밀봉성능이 강화된다.
이 실시예에 따라서, 초음파 진동에서 방수부재(3)와 방수부재(4), 그리고 부재(3, 4)와 전선(7)의 절연커버(7b)를 융합함으로 인해, 전선의 여러 종류 및 크기에 관하여 상기 고방수 능력을 나타내는 일체로 된 부품으로서 방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의 방수구조는 광범위한 응용이 가능하다.
추가로, 상기 간단한 제조공정과 광범위한 응용으로, 제조비용을 줄이는 것이 가능하다.
제2 실시예
도 5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서 전선 도출부의 방수구조를 갖춘 커넥터를 도시하고 있다. 단지 제2 실시예는 커버 몸체(5, 6)에 대한 장착 배열에 관하여 제1 실시예와 다르다.
즉, 이 실시예에 따라서, 커버몸체(5)는 도출부(8)의 측면상에 하우징(2)의 끝단면으로부터 돌출하도록 하우징(2)과 일체로 형성된다. 반면, 다른 커버몸체(6)는 힌지(34)를 통하여 상기 끝단면의 상부 에지에 일체로 결합된다.
커버몸체(5, 6)의 이러한 형성은 하우징(2)을 일체로 성형하는 한편 커버몸체(6)는 개방되고 방수부재(3, 4)는 하우징(2)에서 조립된다.
이 실시예에서, 전선(7)이 도출부 홀(8b)로부터 수축된 후에, 커버몸체(6)는 힌지(34) 주위에 닫히는 방향으로 회전되어 커버몸체(6)에 접합한다. 그러면, 커버된 전선(7)은 상부 방수부재(4)와 하부 방수부재(3) 사이에 끼워지는 한편, 방수부재(3, 4) 모두는 서로 접합한다. 이러한 상태에서, 앞서 언급된 실시예와 유사하게 초음파 진동을 진동시킴으로써, 유사한 방수구조를 얻는 것이 가능하다.
이 실시예에 따라서, 방수부재(4)는 커버몸체(6)에 조립될 때 립(4b)이 몸체(6)로부터 외부로 돌출되는 한편, 다른 방수부재(3)는 커버몸체(5)에 조립될 때, 립(3b)이 몸체(5) 아래로 가도록 형성된다. 이 배열은 커버(6)의 닫힌 회전이 돌출 립(4b)에 의해 매끄럽고 정확하게 가이드되게 한다.
커버몸체(5, 6)가 이 실시예에서 하우징(2)의 한 부품으로서 구성되어 있으므로, 부품의 수는 줄일 수 있고 그것에 의해 부품의 조정이 쉽고 제조공정이 간단해진다.
제3 실시예
여기서, 우리는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따라서, 커넥터(10)의 하우징(11)이 전선 도출부(12)와 함께 두 부분으로 나뉘어지는 반면, 반 방수부재(13)는 두 부분으로 나뉘어진 전선 도출부(12)상에 정렬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우징(11a)은 한 측면에 형성된 절반 후드(14a)와 다른 측면상에 형성된 절반 전선 도출부(12a)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하우징(11b)의 절반 전선 도출부(12b)와 절반 후드(14b)상에 배치되면, 절반후드(14a)와 절반 전선 도출부(12a)는 각각 후드(14)와 전선 도출부(12)로 구성된다.
하우징(11a)은 서로 평행한 3개의 단자수용홈(16, 16, 16)이 제공된다. 각각의 단자수용홈(16)에 수용되는 것은 크림프부(18)를 통하여 커버 전선(17)에 연결되어 있는 숫단자(19)이다. 각각의 단자(19)는 그 접촉부(30)가 절반후드(14a)로 돌출하도록 배열된다. 이 방식으로, 커버된 전선(17)(도면에 단지 하나만 도시)은 전선 도출부(12a)를 통하여 하우징(11a)에서 뽑아내진다.
방수부재(13)를 구성하는 절반 방수부재(13a)는 절반 전선 도출부(12a)에 배열된다. 하우징(11a, 11b)이 서로 겹칠 때, 절반 방수부재(13a)는 하우징(11b)의 절반 전선 도출부(12b)에서 다른 절반 방수부재(13b)상에 놓이게 되어 방수부재(13)를 제공한다. 절반 방수부재(13a, 13b)의 각각은 전선(17)을 받기 위해 3개의 전선 수용홈(21)이 제공된다. 이 방식에서, 하우징(11a, 11b)이 서로 겹친 상태하에서, 커버된 전선(17)은 절반 방수부재(13a, 13b) 사이에 끼워진다.
하우징(11a, 11b)과 절반 방수부재(13a, 13b)의 각각의 물질은 각각 제1 실시예의 커버몸체(5, 6)와 탄성부재(방수부재(3, 4))의 각각의 물질과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커넥터(10)에 대한 방수구조의 전선 도출부를 얻기 위해서, 전선(17)에 연결된 숫단자(19)는 먼저 그들의 접촉부(20)가 절반후드(14a)내로 돌출하는 방식으로 하우징(11a)의 단자수용홈(16)에 수용되는 한편, 커버된 전선(17)은 절반방수부재(13a)상의 홈(21)에 삽입되고 하우징(11a)에서 뽑아내진다.
다음, 다른 하우징(11a)이 일체화를 위해 하우징(11a)상에 겹친다. 결과적으로, 절반 전선 도출부(12a, 12b)가 서로 겹치기 때문에, 전선(17)은 절반 방수부재(13a, 13b) 사이에 끼워진다.
이어서, 결과적인 하우징(11)을 위해 초음파 진동으로, 하우징(11a, 11b)은 절반 방수부재(13a, 13b)가 서로 융합되는 동안에 융합된다. 동시에, 절반 방수부재(13a, 13b)가 전선(17)의 절연커버(17a)에서 융합되는 한편, 하우징(11a, 11b)은 절반 방수부재(13a, 13b)에서 융합된다.
이 실시예에 따라서, 전선 도출부(12)가 초음파 진동을 받는 한편 커버된 전선(17)은 절반방수부재(13a, 13b) 사이에 끼워지기 때문에, 전선(17)의 절연커버(17a)와 절반 방수부재(13a, 13b)는 일체로 융합된다. 그러므로, 전선(17)과 방수부재(13) 사이에 틈새가 만들어지지 않고, 그것에 의해 고방수력을 달성한다.
더욱이, 절반 방수부재(13a, 13b) 사이 그리고 부재(13a, 13b)와 전선(17)의 절연커버(17a) 사이의 초음파 진동으로 인하여, 전선의 여러 종류와 크기에 관하여 상기 고방수력을 나타내는 일체로 된 부품으로서 방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이 실시예의 방수구조는 광범위한 응용이 가능하다.
추가로, 고무플러그를 사용하는 종래 방수구조와 본 실시예의 방수구조를 비교할 때, 본 방수구조는 종래 구조의 고무 플러그가 견딜 수 있는 압축공기 압력의 2 ½배의 압력을 견딜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7과 도 8를 참조하여, 제4 실시예는 아래에 설명될 것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커넥터(22)의 전선 도출부(23)는 복수 전선(17)이 외부로 뽑아내진 박스형태이다. 전선 도출부(23)의 내벽(23a)과 커버된 전선(17) 사이에 배치된 것은 전선 도출부(23)에 채워지고 전선(17)의 절연커버(17a)의 녹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녹는 방수부재(24)이다. 그러므로, 녹은 방수부재(물질)(24)가 전선 도출부(23)에 채워질 때, 전선(17)의 절연커버(17a)는 부재(24)와 일체로 되도록 융합된다.
전선 도출부(23)와 방수부재(24)의 각각의 물질은 각각 제1 실시예의 커버몸체(5, 6)와 탄성부재(방수부재(3, 4))의 각각의 물질과 유사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 전선(17)의 절연커버(17a)에서 용해할 수 있는 방수부재(24)의 충전으로 인해, 고방수력을 가진 방수구조를 제공하는 것이 가능하다.
제5 실시예
여기서, 도 9 내지 도 12에 도시된 제5 실시예를 설명한다. 이 실시예에 따라서, 커넥터(25)는 전선(17)의 절연커버(17a)내의 용해물질을 성형하고 커버된 전선(17)이 뽑아내어지는 동안 방수구조에 대하여 눌리고 가열되는 전선 도출부(26)를 포함하고 있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실시예의 전선 도출부(26)는 숫단자(27)가 각각 삽입되는 4개의 평형 단자 수용 챔버(28)가 제공된다. 각각의 숫단자(27)는 전선(17)의 끝단에 연결되고 크림프되고 개방부(28a)를 통해서 챔버(28)에 삽입된다.
커버된 전선(17)이 개구부(18a)를 통해서 당겨지는 상태에서, 가압력이 마주보는 지그(33, 33)에 의해 폭방향으로 전선 도출부(26)에 가해진다. 이 가압으로 인해, 인접한 전선(17, 17) 사이의 틈새는 좁아진다.
다음,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압된 전선 도출부(26)는 전극(29)에 의해 가열되고 융합된다. 결과적으로, 지지된 전선(17)을 가진 전선 도출부(26)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평평한 구성이 되도록 융합되고 동시에 그 전선 도출부(26)와 전선(17)의 절연커버(17a)는 하나의 몸체로 상호 용해된다.
이런 상태에서, 전선(17)과 전선 도출부(26)는 일체화를 위해 녹기 때문에, 그들 사이에 만들어지는 틈새는 없고, 그것에 의해 고방수력을 실현할 수 있다.
물론, 절연커버(17a)에서 상호 용해할 수 있는 물질, 즉, 제3 실시예의 절반 방수부재(13a, 13b)와 유사한 물질이 전선 도출부(26)에 적합한 물질이다.
최종적으로, 이 실시예의 상기 방수구조가 일반적으로 전기 커넥터에 적용되지만, 본 발명은 도시된 실시예에 제한하지 않고 전기접속박스 전선 도출부 또는 유사한 것을 가진 모든 배선기구에 적용할 수 있다는 것을 당업자는 이해할 것이다.
방수부재와 전선의 절연커버 사이의 융합 그리고 방수부재 사이의 상호 융합은 초음파 진동에 의해 실현되지만, 이들 요소는 다른 용접방법에 의해 가열되고 용접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더욱이, 상기 실시예는 커버된 전선으로서 전선을 채택한 기구로 표시되었지만, 본 발명은 전선으로서 FPC를 사용하는 다른 기구에 적용될 수 있다.

Claims (8)

  1. 수지절연커버로 커버된 복수의 전선이 도출되는 하우징의 전선 도출부에 대한 방수구조에 있어서,
    상기 전선 도출부에서의 상기 전선 주위에 배열되어 있고 서로 융합가능하고, 상기 수지절연커버와 융합될 수 있는 하나 또는 다수의 방수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전선은 서로 평행이 되도록 상기 전선 도출부에서 뽑아내어진 복수의 전선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전선을 평행하게 배열하는 방향으로 상기 하우징을 이등분함으로써 얻은 두 개의 하우징 요소로 구성되어 있는 한편,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전선 도출부를 이등분함으로써 얻은 절반 전선 도출부에 각각 배열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 요소와 상기 절반 전선 도출부의 상호 접합되는 상태에서, 상기 전선이 상기 방수부재 사이에 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재는 상기 전선의 상기 절연커버의 녹는점 이상의 온도에서 상기 부재를 구성하는 물질을 녹이고 그리고 상기 전선 주위의 상기 녹은 물질을 상기 전선 도출부에 채움으로써 얻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5. 절연커버로 커버된 복수의 전선이 도출되는 하우징의 전선 도출부에 대한 방수구조에 있어서,
    방수부재 사이의 상기 전선을 상기 전선 도출부에 끼우고, 압력하에서 초음파 진동에 의해 서로 융합가능하고, 상기 절연커버와 융합될 수 있는 탄성물질로 만들어진 두 개의 방수부재; 그리고
    상기 방수부재를 각각 지지하고, 압력하에서 초음파 진동에 의해 서로 융합될 수 있고, 상기 하우징과 융합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진 두 개의 커버 몸체;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방수부재는 초음파 진동에 의해 상기 커버 몸체를 서로 융합함과 동시에, 서로 융합될 수 있고, 상기 절연커버와 융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몸체중 하나는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는 한편, 상기 커버몸체중 나머지는 힌지를 통하여 상기 하우징과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7. 커넥터에 대한 방수구조에 있어서,
    하우징; 그리고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절연커버로 커버된 복수의 전선이 도출되어 있는 전선 도출부로서, 초음파 진동에 의해 상기 절연커버와 융합될 수 있는 물질로 만들어진 전선 도출부;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전선 도출부는 상기 전선이 상기 하우징에서 부분적으로 도출되어 있는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을 가압하고 가열함으로써 제공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구조.
  8. 하우징의 전선 도출부에 대한 방수구조를 만드는 방법에 있어서,
    절연커버로 커버된 적어도 하나의 전선을 상기 전선 도출부를 통해서 상기 하우징에서 부분적으로 도출시키는 단계;
    방수부재가 서로 접합하고, 커버몸체에 의해 각각 운반되는 방식으로, 상기 전선 도출부에서 2개의 방수부재 사이에 상기 전선을 끼워놓는 단계; 그리고
    상기 커버몸체를 통해서 초음파에 의해 상기 방수부재를 진동시켜서, 상기 방수부재를 서로 융합시키고, 상기 방수부재를 상기 절연커버와, 융합시키고, 그리고 상기 커버몸체를 상기 하우징과 일체로 융합시키는 단계;로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70074117A 1996-12-26 1997-12-26 전선도출부의방수구조및이것을만드는방법 KR100285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48057 1996-12-26
JP34805796 1996-12-26
JP97-132515 1997-05-22
JP13251597A JP3311640B2 (ja) 1996-12-26 1997-05-22 電線導出部の防水構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677A KR19980064677A (ko) 1998-10-07
KR100285036B1 true KR100285036B1 (ko) 2001-03-15

Family

ID=264670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4117A KR100285036B1 (ko) 1996-12-26 1997-12-26 전선도출부의방수구조및이것을만드는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928033A (ko)
EP (1) EP0851536B1 (ko)
JP (1) JP3311640B2 (ko)
KR (1) KR100285036B1 (ko)
CN (1) CN1146082C (ko)
AU (1) AU706204B2 (ko)
CA (1) CA2225473C (ko)
DE (1) DE69719480T2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8486A1 (en) * 2012-06-13 2013-12-19 Remy Technologies, L.L.C. Machine housing having a conductor seal system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D15837A (id) * 1996-01-24 1997-08-14 Raychem Sa Nv Penutup kabel
JP3311641B2 (ja) * 1997-05-30 2002-08-05 矢崎総業株式会社 端子及び端子と電線との接続構造
JP3517116B2 (ja) * 1998-07-09 2004-04-05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00048900A (ja) * 1998-07-24 2000-02-18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JP2000048901A (ja) * 1998-07-27 2000-02-18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DE19835670A1 (de) * 1998-08-06 2000-04-20 Delphi Automotive Systems Gmbh Dichtungsanordnung zwischen einem elektrischen Verbinder und einem elektrischen Leiter
JP2000323226A (ja) * 1999-03-09 2000-11-24 Sumitomo Wiring Syst Ltd コネクタ
JP3691287B2 (ja) * 1999-06-10 2005-09-07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の防水構造
JP3696455B2 (ja) 1999-10-08 2005-09-21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KR200198490Y1 (ko) * 2000-03-20 2000-10-02 은성균 방수구조를 갖는 단자 조립체
AU2003236055A1 (en) * 2002-04-11 2003-10-20 Nok Corporation Sealing structure
CN100507982C (zh) 2002-09-20 2009-07-01 矢崎总业株式会社 Led显示元件,显示器组件,运行组件,连接器组件以及使用了这些组件的仪表
JP2005005177A (ja) * 2003-06-13 2005-01-06 Yazaki Corp ケーブルとハウジング間の防水装置
JP4267518B2 (ja) 2004-05-13 2009-05-27 矢崎総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4800904B2 (ja) * 2006-02-22 2011-10-26 矢崎総業株式会社 コネクタ
WO2007131539A1 (en) * 2006-05-12 2007-11-22 Fci Electrical connector
JP4783212B2 (ja) * 2006-06-02 2011-09-28 矢崎総業株式会社 連鎖状フェルール
JP2007324082A (ja) * 2006-06-05 2007-12-13 Yazaki Corp 防水コネクタ
US7488196B2 (en) * 2006-11-02 2009-02-10 Tyco Electronics Corporation Wire retention connector system
JP5145010B2 (ja) * 2006-11-09 2013-02-13 矢崎総業株式会社 シール体、及びそのシール体を有するコネクタ
JP2008301659A (ja) * 2007-06-01 2008-12-11 Nok Corp 電線シールパッキン
WO2009005416A1 (en) * 2007-07-05 2009-01-08 Cyrba Ab Cable fitting arrangement
DE102008018758A1 (de) * 2008-04-14 2009-10-15 Kmi-Holding Gmbh Steckverbindervorrichtung
KR200450639Y1 (ko) * 2008-06-30 2010-10-20 한국단자공업 주식회사 터미널
CN101742852B (zh) * 2008-11-10 2012-10-17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防水塞及应用该防水塞的电子装置
TWI407883B (zh) * 2008-11-28 2013-09-01 Fih Hong Kong Ltd 防水塞及應用該防水塞之電子裝置
JP5380749B2 (ja) * 2009-11-04 2014-01-08 日立金属株式会社 ワイヤハーネス及びその製造方法
DE202010003649U1 (de) * 2010-03-16 2010-07-15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Hochstromsteckverbinder
JP5041559B2 (ja) * 2010-09-13 2012-10-03 Smk株式会社 コネクタ類の防水取付構造
CN102694354A (zh) * 2011-03-25 2012-09-26 李浩日 接线盒及其制造方法
JP2013038039A (ja) * 2011-08-11 2013-02-21 Yazaki Corp フラットケーブル防水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5846052B2 (ja) * 2012-06-14 2016-01-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箱
ES2760979T3 (es) * 2012-11-13 2020-05-18 Gjm S A Procedimiento para la fabricación de un conector estanco y conector estanco obtenido
KR101470276B1 (ko) * 2014-02-18 2014-12-0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방수 커넥터
DE102014006244A1 (de) * 2014-04-28 2015-10-29 Rosenberger Hochfrequenztechnik Gmbh & Co. Kg Crimp-Schweißverbindung
JP6725843B2 (ja) * 2017-02-03 2020-07-22 山一電機株式会社 モジュール用コネクタ
CN108054561A (zh) * 2017-12-21 2018-05-18 泰州市航宇电器有限公司 一种连接器基座的防水密封结构
JP2019220251A (ja) * 2018-06-15 2019-12-26 住友電装株式会社 多芯電線の防水構造
CN110635303B (zh) * 2019-08-16 2021-02-26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网关设备
JP2021158037A (ja) * 2020-03-27 2021-10-07 日本電産トーソク株式会社 アクチュエータ
CN113871944B (zh) * 2020-06-30 2024-02-23 富士康(昆山)电脑接插件有限公司 电连接器
JP2022099946A (ja) * 2020-12-23 2022-07-05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配線モジュール及び弾性止水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16354A1 (de) * 1971-04-03 1972-10-19 Kabel Metallwerke Gh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mittels Ultraschalls verschweißbaren Materials aus Polyvinylchlorid
US3777048A (en) * 1971-09-22 1973-12-04 Kaiser Aluminium Chem Corp Molding process for splicing cable and product formed thereby
FR2243022B1 (ko) * 1973-09-10 1977-09-23 Rhone Progil
US4083902A (en) * 1977-01-10 1978-04-11 Raychem Corporation Method of sealing a connector
DE3227403A1 (de) * 1982-07-22 1984-01-26 Bayerische Motoren Werke AG, 8000 München Steckverbinder, insbesondere fuer kraftfahrzeuge
JPS59123981U (ja) * 1983-02-09 1984-08-21 日本電子機器株式会社 防水型コネクタ−
JPS6021897U (ja) * 1983-07-18 1985-02-15 三菱重工業株式会社 伸縮噴出装置
JPS60108769U (ja) * 1983-12-27 1985-07-24 住友電装株式会社 点火ケ−ブル付きデイストリビユ−タキヤツプ
JPH0273073U (ko) * 1988-11-24 1990-06-04
US5109603A (en) * 1989-08-09 1992-05-05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ethod of waterproof sealing a lead from a pressure or temperature responsive switch
JP2602975Y2 (ja) * 1991-07-29 2000-02-07 日東電工株式会社 電線接続部用防水カバー
JP2562613Y2 (ja) * 1991-12-21 1998-02-16 住友電装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H06203909A (ja) * 1992-10-07 1994-07-22 Amp Japan Ltd 防水型コネクタ
JPH0745316A (ja) * 1993-08-02 1995-02-14 Sumitomo Wiring Syst Ltd 端子用防水キヤップ
US5372665A (en) * 1993-09-17 1994-12-13 General Motors Corporation Thermoplastic terminal encapsulation method and apparatus
JPH08111260A (ja) * 1994-10-12 1996-04-30 Sumitomo Electric Ind Ltd 回転センサにおけるハーネス口出し部のシール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88486A1 (en) * 2012-06-13 2013-12-19 Remy Technologies, L.L.C. Machine housing having a conductor seal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677A (ko) 1998-10-07
EP0851536B1 (en) 2003-03-05
JPH10241782A (ja) 1998-09-11
CN1146082C (zh) 2004-04-14
CA2225473C (en) 2000-07-04
JP3311640B2 (ja) 2002-08-05
AU4927497A (en) 1998-07-02
AU706204B2 (en) 1999-06-10
CA2225473A1 (en) 1998-06-26
EP0851536A2 (en) 1998-07-01
US5928033A (en) 1999-07-27
DE69719480D1 (de) 2003-04-10
EP0851536A3 (en) 1999-12-15
CN1186360A (zh) 1998-07-01
DE69719480T2 (de) 2003-12-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5036B1 (ko) 전선도출부의방수구조및이것을만드는방법
JP3311638B2 (ja) 被覆導体導出部の防水方法
JP3522974B2 (ja) 被覆電線の接合構造
US7344408B2 (en) Waterproof packing, waterproof connector using the same and process for producing waterproof connector
JP3311639B2 (ja) 被覆電線の接合構造
JP3231242B2 (ja) 被覆電線の接合構造
CA2238921C (en) Connection structure of wire and terminal, connecting method therefor and a terminal
JP3195263B2 (ja) 防水コネクタ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276511B1 (ko) 전선 및 단자의 접속방법
JP2004039612A (ja) 電気コネクタ
US6485333B1 (en) Waterproof connector
US6485325B1 (en) Waterproof structure of connector
US20010035296A1 (en) Connection structure of coated electric wire
JP3311644B2 (ja) 電線と端子との接続構造
JP2005347143A (ja) コネクタ
JPH07106015A (ja) 防水コネクター及びその製造方法
JPH10275648A (ja) コネクタ
JP3121764B2 (ja) 被覆電線の接合方法及び被覆電線の接合構造
JP2004098615A (ja) 配線板がインサート成形されたプラスチック部品の接合構造、及びその接合方法
JPH10312869A (ja) 中継コネクタ
JP2002134244A (ja) 被覆電線の接合方法および被覆電線の接合構造並びにその接合構造を備えた電気接続箱
JPH11195449A (ja) 防水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115602A (ja) コネク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19971226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atent event code: PA02012R01D

Patent event date: 19971226

Comment text: Request for Examination of Applic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E0902 Notice of grounds for rejection

Comment text: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Patent event date: 20000322

Patent event code: PE09021S01D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001012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001228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001229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31107

Start annual number: 4

End annual number: 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41227

Start annual number: 5

End annual number: 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51222

Start annual number: 6

End annual number: 6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61226

Start annual number: 7

End annual number: 7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71224

Start annual number: 8

End annual number: 8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81224

Start annual number: 9

End annual number: 9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091224

Start annual number: 10

End annual number: 10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01208

Start annual number: 11

End annual number: 11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11202

Start annual number: 12

End annual number: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30

Year of fee payment: 13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21130

Start annual number: 13

End annual number: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18

Year of fee payment: 14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31218

Start annual number: 14

End annual number: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5

Year of fee payment: 15

PR1001 Payment of annual fee

Payment date: 20141205

Start annual number: 15

End annual number: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PC1903 Unpaid annual fee

Termination category: Default of registration fee

Termination date: 2016120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