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4953B1 - 콘센트 - Google Patents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4953B1
KR100284953B1 KR1019980006100A KR19980006100A KR100284953B1 KR 100284953 B1 KR100284953 B1 KR 100284953B1 KR 1019980006100 A KR1019980006100 A KR 1019980006100A KR 19980006100 A KR19980006100 A KR 19980006100A KR 100284953 B1 KR100284953 B1 KR 10028495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nd
housing
terminal
piece
spr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061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448A (ko
Inventor
타카시 카와모토
마스오 키타무라
Original Assignee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마이 기요스케,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이마이 기요스케
Publication of KR199900364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44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495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4953B1/ko

Links

Landscapes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Abstract

접지극을 구비한 플러그와 접지선을 가지는 플러그를 동시에 사용할 수 있음과 동시에 소형이고 외관상 보기에도 좋은 콘센트를 제공한다.
하우징(1)의 전면에는 3개 1조(組)의 플러그날 삽입구(4)가 긴쪽방향으로 2조(組)나란히 마련되어 있다. 또한, 하우징(1)의 긴쪽방향의 단부에는 문짝(70)에 의해 개구(開口)가 개폐 자유롭게 덮여지는 오목(凹)부분(43)이 마련되어 있다. 오목(凹)부분(43)의 저부(底部)에는 접지선이 삽입되는 접지선 삽입구(51, 51)가 마련되어 있다. 접지선 삽입구(51)로부터 삽입된 접지선은, 하우징(1) 내부에서 고정스프링(53)과 단자편(86)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되고, 단자편(86)과 접촉 도통한다. 따라서, 스프링식의 접지선 접속부에 비해서 스페이스가 작게 됨과 동시에, 문짝(70)을 닫으면 접지선 삽입구(51, 51)도 감추어지기 때문에 외관상 모양새도 좋게 된다.

Description

콘센트
본 발명은 접지선(接地線)이 접속 가능한 접지 접속부를 구비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최근, 감전사고의 방지 등을 목적으로 해서 접지극(接地極)을 가지는 플러그(전원 플러그)나 접지선을 구비한 전기기기가 보급됨에 따라, 접지극 혹은 접지 접속부의 어느 것인가를 구비한 콘센트가 사용되는 경우가 증가하고 있다.
그런데, 접지 접속부를 스프링식의 단자구조로 한 경우, 접지 접속부의 스페이스(space)가 비교적 크기 때문에, 접지극을 구비한 플러그가 2개 접속되도록 하면 하우징이 대형화해 버리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스프링식의 접지 접속부에서는 스프링이 노출되어 있기 때문에 외관상 보기에도 좋지 않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의 해결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서, 접지극을 구비한 플러그와 접지선을 따로 필요로 하는 플러그를 동시에 사용하여도 각각 접지가 얻어짐과 동시에 소형이고 외관상 보기에도 좋은 콘센트를 제공하는자 하는 것이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제2도는 동상(同上)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2(a)도는 문짝을 연 상태의 정면도.
(b)는 커버(1b)를 벗긴 상태의 정면도이다.
제3도는 동상에서의 접지측 인수(刃受) 스프링 블록을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3(a)도는 정면도.
제3(b)도는 측면도.
제3(c)도는 측면도.
제3(d)도는 일부를 파단(破斷)한 측면도이다.
제4도는 동상에서의 접지 인수스프링 블록과 접지 접속부 블록을 결합한 상태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제4(a)도는 정면도.
제4(b)도는 측면도.
제4(c)도는 측면도.
제4(d)도는 측면도이다.
제5도는 동상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한 측면도이다.
제6도는 동상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일부 파단한 측면도이다.
제7도는 동상에서의 문짝의 부착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설명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4 : 플러그날 삽입구
32 : 접지 단자판 43 : 오목(凹)부분
50 : 접지 접속부 51 : 접지선 삽입구
53 : 고정스프링 54 : 해제레버
70 : 문짝 86 : 단자편
청구항 1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압측의 플러그날, 접지측의 플러그날 및 접지극의 플러그날이 각각 삽입되는 3개 1조(組)의 플러그날 삽입구가 전면(前面)에 2조(組) 마련된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있어서 각 플러그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플러그날과 각별히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압측 인수스프링, 접지측 인수스프링 및 접지 인수스프링과, 이들 인수스프링이 각각 각별히 접속된 전압측 단자판, 접지측 단자판 및 접지 단자판과, 각 단자판에 외부의 전선을 접속하는 단자부와,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접지선이 삽입되는 접지선 삽입구, 접지 단자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편(端子片), 하우징내에 있어서 접지선 삽입구로 삽입된 접지선을 단자편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여 접지선과 단자편을 접촉 도통시키는 고정스프링을 가지는 접지 접속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접지극을 구비한 플러그와 접지선을 따로 필요로 하는 플러그를 동시에 사용하여도, 각각 접지가 얻어지며, 또한 접지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접지선이 고정스프링에 의해 단자편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되어 접지 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스프링식의 단자구조에 비해서 스페이스가 작게 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전압측의 플러그날, 접지측의 플러그날 및 접지극의 플러그날이 각각 삽입되는 3개 1조(組)의 플러그날 삽입구가 전면에 2조(組) 마련된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있어서 각 플러그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플러그날과 각별히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압측 인수스프링, 접지측 인수스프링 및 접지 인수스프링과, 이들 인수스프링이 각각 각별히 접속된 전압측 단자판, 접지측 단자판 및 접지 단자판과, 각 단자판에 외부의 전선을 접속하는 단자부와,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접지선이 삽입되는 접지선 삽입구, 접지 단자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편, 하우징내에 있어서 접지선 삽입구로 삽입된 접지선을 단자편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여 접지선과 단자편을 접촉 도통시키는 고정 스프링을 가지는 접지 접속부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한 오목(凹)부분의 저부(底部)에 접지선 삽입구를 마련함과 동시에, 오목(凹)부분의 개구(開口)를 개폐 자유롭게 덮는 문짝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접지극을 구비한 플러그와 접지선을 따로 필요로 하는 플러그를 동시에 사용하여도 각각 접지가 얻어지며, 또한 접지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접지선이 고정스프링에 의해 단자편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되어 접지 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스프링식의 단자구조에 비해서 스페이스가 작게 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더구나 접지선 삽입구는 오목(凹)부분의 개구를 덮는 문짝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감추어지므로 외관상 모양새를 좋게 할 수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조작시에 고정스프링을 해제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해제레버를 하우징의 전면측에 가동(可動) 자유롭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해제레버를 조작하여 고정스프링을 휘어지게 함으로써 접지선을 용이하게 접속하며, 또 떼어낼 수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단자부가, 외부의 전선을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는 고정스프링과, 고정스프링을 해제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해제버튼을 구비하는 속결(速結) 단자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전선의 접속작업을 간소화 할 수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접지선과 접촉 도통하는 단자편을 접지 단자판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스페이스의 절감과 부품 점수(点數)의 삭감이 도모된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접지선과 접촉 도통하는 단자편과 고정스프링을 코킹(calking) 혹은 용접 등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단자편과 고정스프링을 굳게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청구항 1의 발명에 있어서, 각 조(組)의 접지측 플러그날 삽입구에 대응하는 한쌍의 전압측 인수(刃受)스프링을 접압측 단자판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전압측 인수스프링 블록과, 각 조(組)의 접지측 플러그날 삽입구에 대응하는 한쌍의 접지측 인수스프링을 접지측 단자판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접지측 인수스프링 블록과를 긴쪽방향에 따른 하우징내의 양측부(兩側部)에 내장하여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긴쪽방향에 따른 양측면(兩側面)의 일부를 외측으로 팽창시킴으로써 하우징내에 수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압측 단자판 및 접지측 단자판, 고정스프링, 해제버튼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부를 각각 각 수납부에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부품 점수의 저감과 스페이스의 생략화가 도모된다.
청구항 8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하우징에 고정되는 각편(脚片)과 오목(凹)부분의 개구를 덮는 주편(主片)을 얇은 힌지부를 통해서 일체로 형성하여 문짝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문짝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문짝의 각편에 계지부(係止部)를 마련함과 동시에, 이 계지부가 걸리는 피(被) 계지부를 하우징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각편에 마련한 계지부를 하우징의 피 계지부에 걸리게 하는 것만으로 문짝을 하우징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청구항 2의 발명에 있어서, 문짝을 닫은 경우에 문짝과 하우징을 록(lock)하는 록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문짝이 부주의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이하, 제1도∼제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는 본 실시형태의 분해 사시도로서, 합성수지제의 바디(1a)와 커버(1b)를 금속제의 조립틀(2)에 의해 결합하여 하우징(1)을 구성하고 있다. 이 조립틀(2)은, 소위 매입박스 등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틀을 겸한 것으로서, 매입형의 배선기구용으로 규격화 되어 있는 일련의 부착틀과 거의 동일한 형상 및 치수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우징(1)은 상기 규격화된 일련의 부착틀(3)에 3개까지 부착할 수 있는 단위 치수의 배선기구 3개분의 치수(3개 모듈치수라 한다)로 형성되어 있고, 바디(1a)의 커버(1b)의 양측면에 돌출 설치된 볼록(凹)부(3a, 3b)가 조립틀(2)의 양측편(2a, 2a)으로부터 각각 한쌍씩 돌출 설치되어 있는 거의 U자형의 돌출편(2b,…)의 내측 주연(周緣)에 걸리는 것에 의해 바디(1a)과 커버(1b)가 조립틀(2)에 의해 고정되어 하우징(1)이 조립되고 있다. 또, 조립틀(2)의 긴쪽방향에 대향하는 부착편(2c, 2c)에는 상기 매입박스에 부착하기 위한 박스 나사용의 긴 구멍(2d, 2d)과 벽을 구성하는 석고 보드 등에 부착하기 위한 종래 주지의 끼움 쇠 장식물(도시하지 않음)이 붙여 고정되는 취착(取着)구멍(2e, 2e)과, 전연에 플레이트 틀(도시하지 않음)등을 부착하기 위한 플레이트 나사용의 나사구멍(2f, 2f)과, 벽재 등에 조립틀(2)을 바로 부착할 때의 부착나사 등이 삽입 관통되는 나사삽입 관통구멍(2g,...…)등을 적어도 마련하고 있다.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b)의 전면(하우징(1)의 전면)에는 3개 1조(組)의 플러그날 삽입구(4a, 4b, 4c)가 긴쪽방향을 따라 2조(組), 마련되어 있고, 접지극부착의 플러그(도시하지 않음)가 2개 동시에 접속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플러그의 접지측 플러그날(평판형상의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플러그날 삽입구(4a, 4a)와, 같은 플러그의 전압측 플러그날(평판형상의 플러그날)이 삽입되는 플러그날 삽입구(4b, 4b)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되어 있고, 전압측 플러그날 삽입구(4a, 4b)에 비해서 접지측 플러그날 삽입구(4a, 4b)의 쪽이 긴쪽방향의 치수를 길게 하고 있다. 또한, 플러그의 접지극(예컨대, 단면형상이 거의 U자형이거나 원주 형상 등인 접지 핀)이 삽입되는 플러그날 삽입구(4c, 4c)는 거의 반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1도 및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우징(1)의 내부에는 플러그날 삽입구(4a,…)로부터 삽입된 플러그날 및 접지극과 각별히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되는 한쌍의 접지측 인수스프링(11, 11), 전압측 인수스프링(21, 21) 및 접지 인수스프링(31, 31)이 각 플러그날 삽입구(4a, 4b, 4c)의 안에 위치하도록 수납되어 있다. 여기서, 접지측 인수스프링(11, 11) 및 접압측 인수스프링(21, 21)은 판(板) 형상의 금속부재를 가공함으로써, 고정스프링(40, 40) 및 해제버튼(41)과 함께 속결단자를 구성하는 접지측 단자판(12) 및 전압측 단자판(22)의 양단에 거의 역Ω형태로 일체 형성되고, 접지측 인수스프링(11, 11)과 접지측 단자판(12)으로 접지측 인수스프링 블록(10)이 구성됨과 동시에, 전압측 인수스프링(21, 21)과 전압측 단자판(22)으로 전압측 인수스프링 블록(20)이 구성되어 있다.
제3도는 접지측 인수스프링 블록(10)을 나타내고, 한쌍의 접지측 인수스프링(11, 11)이 대판(帶板) 형상의 연결편(13)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연결편(13)의 중앙으로부터 약간 한쪽으로 치우친 위치에서 거의 E자 형태로 형성된 단자판(12)이 연장 설치되어 있다. 연결편(13)과 단자판(12)과는 거의 평행하게 면(面) 대향되어 있고, 양자의 사이에 고정스프링(40, 40)이 나란히 위치된다(제3(a)도 참조). 연결편(13)의 단자판(12)과 대향하는 부분에는 한쌍의 돌기(14, 14)가 마련되어 있고, 연결편(13)과 단자판(12)과의 사이에 나란히 위치되는 각 고정스프링(40, 40)에 상기 돌기(14, 14)가 맞닿아 고정스프링(40, 40)이 기울어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돌기(14)에 가까운 쪽의 연결편(13) 단부에는 돌기(14)와 마찬가지로 고정스프링(40)에 맞닿아 그 기울어짐을 방지하는 절기편(切起片)이 마련되어 있다. 이와 같이, 단자판(12), 연결편(13), 고정스프링(40, 40) 및 해제버튼(41)에 의해 속결 단자구조를 가지는 단자부가 구성되고, 돌기(14, 14) 및 절기편(15)에 의해 고정스프링(40, 40)의 기울어짐을 방지할 수 있고, 그 결과 단자부에서의 접속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여기에서는 접지측 인수스프링 블록(10)에 대해서 설명하였지만, 전압측 인수스프링 블록(20)도 연결편(23)에 대한 단자판(22)의 위치가 반대측으로 치우쳐 있는 것 이외에는 접지측 인수스프링 블록(10)과 공동의 구조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금속부재로 이루어지는 대판 형상의 교락편(橋絡片)(32)의 양단에 접지 인수스프링(31, 31)이 일체로 형성되어 접지 인수스프링 블록(30)이 구성되어 있다. 교락편(32)에는 긴쪽방향을 따라 돌조(突條)(33)가 마련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강도(强度) 업(up)이 도모되고 있다. 또한, 접지 인수스프링(31, 31)의 기부(基部)에는 접지극의 삽입방향에 따른 긴 구멍형상의 슬릿(34)이 마련되어 있기 때문에, 접지 인수스프링(31, 31)을 휘어짐 쉽게 해서 접지극이 용이하게 접속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교락편(32)의 일단부로부터는 거의자형의 연결편(35)이 일체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이 연결편(35)의 외측면에는 한쌍의 원주형상 돌기(도시하지 않음)가 교락편(32)의 긴쪽방향에 따르도록 돌출 설치되어 있다. 이들 돌기는 후술하는 접지 접속부 블록(80)과 접지 인수스프링 블록(30)을 고정할 때 이용되는 것이다. 고정스프링(40, 40) 및 해제버튼(41)과 함께 속결 단자구조를 가지는 접지 단자부를 구성하는 접지 단자판(81)과, 후술하는 접지 접속부(50, 50)를 구성하는 단자편(86, 86)이 판 형상 금속부재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접지 접속부 블록(80)이 구성된다. 접지 단자판(81)은 평판 형상의 주부(主部)(82)의 양 단연(端緣)에서 거의자형의 각편(83) 및 거의 E형의 당접편(當接片)(84)이 같은 측으로 구부러져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당접편(84)에는 소(小)구경부와 대(大)구경부를 가지는 한쌍의 관통구멍(85, 85)이 마련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한쌍의 관통구멍(85, 85)에 상기 돌기가 소구경부측에서 관통되고, 또 코킹되는 것에 의해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지 단자판(81)(접지 접속부 블록(80))이 접지 인수스프링 블록(30)과 고정되는 것이다. 또한 면 대향한 각편(83)과 당접편(84)의 사이에 한쌍의 고정스프링(40) 및 해제버튼(41′)이 배치되어 속결 단자구조를 가지는 접지 단자부가 구성된다(제5도 참조).
한편, 단자편(86, 86)은 접지 단자판(81)의 각편(83)과 당접편(84)의 대향방향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대향하도록 주부(82)로부터 각편(83) 및 당접편(84)과는 반대측으로 구부려 형성되어 있다. 또한, 단자편(86, 86)의 양측단부에는 내측에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져 이루어지는 측편(86a, 86a)이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단자편(86, 86)은 제1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스프링(53, 53) 및 해제레버(54, 54)와 함께 외부의 접지선(예컨대, 전기기기가 구비하는 접지선)이 접속되는 접지 접속부(50)를 구성하고 있다. 고정스프링(53, 53)은 대판 형상의 금속부재를 구부려서 형성되고, 주편(53a)의 일단측에는 거의 직각으로 구부러진 지지편(支持片)(53b)을 가지며, 타단측에는 거의 반원형상의 만곡부(彎曲部)(53c)로부터 지지편(53b)의 방향으로 경사져 연장되는 접촉편(53d)을 가지고 있다. 그리고, 고정스프링(53, 53)의 주편(53a)이 접지 접속부(50, 50)를 구성하는 단자편(86, 86)의 당접편(84)측의 측편(86a) 내측면에 코킹이나 용접 등의 방법에 의해 붙여 고정된다.
한편 해제레버(54)는 합성수지제로서, 직사각형상의 주부(54a)의 일단면 거의 중앙에서 사각기둥(角柱) 형상의 조작부(54b)가 돌출 설치됨과 동시에, 주부(54a)의 양측면에서 거의 삼각기둥 형상의 당접부(當接部)(54c, 54c)가 돌출 설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다. 주부(54a)의 긴쪽방향 양단면에는 커버(1b)에 마련한 가이드 홈(62)과 미끌어져 접촉하는 돌조(突條) 형상의 접동(摺動)리브(54d, 54d)가 조작부(54b)의 돌출방향을 따라 마련되어 있다. 또한, 주부(54a)의 당접부(53c, 53c)가 돌출 설치되어 있는 측의 선단부 타단면에서 접지선 삽입구(51)에서 삽입되는 접지선(60)의 적어도 일부가 고정스프링(53)과 단자편(86)에 끼워 지지되는 범위에서 벗어나는 것을 규제하는 규제리브(54e)가 돌출 설치되어 있다. 게다가, 조작부(54b)의 상면에는 해제레버(54)의 조작을 드라이버 등의 공구를 사용해서 행하는 경우에 드라이버의 선단부가 걸려 맞추어지는 계합(係合) 홈(54f)이 설치되어 있다.
그런데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박스형의 바디(1a)내에는 격절벽(隔絶壁)(5) 및 칸막이 벽(6)에 의해 구분된 4개의 수납부(71∼74)가 마련되어 있다. 그 중, 바디(1a)의 긴쪽방향을 따라 세워 설치된 격절벽(5)으로 구분된 양측의 제1 및 제2의 수납부(71, 72)에는 각각 접지측 인수스프링 블록(10), 고정스프링(40, 40) 및 해제버튼(41)과, 전압측 인수스프링 블록(20), 고정스프링(40) 및 해제버튼(41)이 수납된다. 여기서, 바디(1a)의 긴쪽방향에 따른 양측면의 거의 중앙 일부를 외측으로 팽창시키는 것에 의해 제1 및 제2의 수납부(71, 72)에서의 다른 부분보다도 광폭(廣幅)으로 형성하고 있고, 이 광폭의 부분에 접지측 단자판(12), 고정스프링(40) 및 해제버튼(41)과 전압측 단자판(22), 고정스프링(40) 및 해제버튼(41)이 수납된다. 이와 같이, 고정스프링(40)이나 해제버튼(41)이 수납되는 수납부를, 바디(1A)의 일부만을 폭방향으로 팽창시켜 형성하고 있기 때문에, 바디(1a) 더 나아가서는 하우징(1)의 소형화, 스페이스 절감이 도모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 이 광폭 부분의 개부면에는 커버(1b)의 양측면이 거의 중앙부에서 외측으로 돌출 설치된 돌편(突片)(8, 8)에 의해 닫혀 막혀진다. 또한, 상기 수납부의 저면에는 전선 삽입구(63, 63)와, 해제버튼(41)의 조작부분을 노출시키는 해제버튼 노출구멍(65)이 마련되어 있다.
한편,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디(1a)의 거의 중앙부에 긴쪽방향을 따라 형성된 제3의 수납부(73)에는 접지 인수스프링 블록(30)의 양 접지 인수스프링(31, 31)이 수납되고, 바디(1a)의 긴쪽방향에 따른 일단측에 칸막이 벽(6, 6)으로 구분된 제4의 수납부(74)에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지 인수스프링 블록(30)과 코킹 고정된 접지 접속부 블록(80)의 접지 단자판(81), 고정스프링(40, 40) 및 해제 버튼(41′)이 수납되며, 접지 단자판(81)의 각편(83)에는 고정스프링(40)에 마련한 고정편(40a) 및 접촉편(40b)이 대향한다. 고정편(40a) 및 접촉편(40b)은 탄성을 가지는 도전재료의 대판의 양단부를 구부려 중앙편(40c)의 양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고정편(40a)은 중앙편(40c)과의 연결부위에서 선단연(先端緣)을 향해서 접지 단자판(81)의 각편(83)에 가까운 방향으로 경사지고, 접촉편(40b)은 거의 S자형으로 구부러져 있다. 또한, 중앙편(40c)은 거의 평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어 당접편(84)에 맞닿는다. 그리고, 고정스프링(40)의 고정편(40a) 및 접촉편(40b)과 접지 단자판(81)의 각편(83)과의 사이에 바디(1a)의 저부에 마련한 전선 삽입구멍(63)으로부터 삽입된 도시하지 않은 전선이 삽입되면, 고정편(40a)의 선단이 전선으로 파고 들어가 빼냄 멈춤이 이루어짐과 동시에, 고정편(40a)및 접촉편(40b)에 의해 전선이 각편(83)에 압접(壓接)되는 것에 의해 전선과 접지 단자판(81)과의 도통(접속)이 도모된다. 또한, 해제버튼(41′)은 조작되는 것에 의해 고정스프링(40)의 고정편(40a)을 압접 해제방향으로 휘어지게 하고, 고정편(40a)의 선단을 전선으로부터 떼어내서 접지 단자판(81)과 전선과의 접속을 해제하는 것이다. 또, 제1 및 제2의 수납부(71, 72)에서 광폭의 부분에 수납된 접지측 단자판(12), 전압측 단자판(22)과, 고정스프링(40) 및 해제버튼(41′)으로 이루어지는 속결 단자구조는 상술의 접지 접속부 블록(80)에서의 속결 단자구조와 공통이기 때문에, 설명은 생략한다.
그런데, 커버(1b)의 전면 단부에는 거의자형의 오목(凹)부분(43)의 마련되어 있고, 이 오목(凹)부분(43)의 저부에는 접지선이 삽입되는 한쌍의 접지선 삽입구(51, 51)가 개구(開口)되어 있다. 또한, 각 접지선 삽입구(51, 51)의 안측(側)에는 각각 단자편(86, 86) 및 고정스프링(53, 53)이 위치되어 있다.
또한, 오목(凹)부분(43)의 저부에는 해제레버(54, 54)의 사각기둥 형상의 조작부(54b, 54b)가 내측으로부터 진퇴 자유롭게 삽입 관통되는 조작구멍(55, 55)이 접지선 삽입구(51, 51)의 상측(긴쪽방향에 따른 내측)에 마련되어 있다. 게다가, 커버(1b)에는 조작구멍(55, 55)과 연이어 통하는 해제레버 수납오목(凹)부(64, 64)가 마련되어 있다.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해제레버 수납오목(凹)부(64, 64)의 내측면에는 가이드 홈(62)이 형성되어 있다. 즉, 커버(1b)의 내측으로부터 해제레버(54)에 마련한 접동리브(54d, 54d)를 가이드 홈(62)에 미끌어져 접촉시키고, 상기 조작구멍(55, 55)에 해제레버(54, 54)의 조작부(54d, 54d)를 삽입 관통시키며, 또 커버(1B)를 바디(1a)에 조립하여 하우징(1)을 형성하면, 조작부(55b)가 조작구멍(55)으로부터 진퇴 자유롭게 되도록 해제레버(54)를 커버(1b)에 조립할 수 있다.
더구나, 제5도 및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해제레버(54, 54)의 당접부(54c, 4c)가 그 경사면의 부분에서 고정스프링(53, 53)의 접촉편(53d, 53d)에 맞닿기 때문에, 해제레버(54)의 동작에 따라서 당접부(54c)에 의해 고정스프링(53)이 휘어지게 된다.
또한, 개폐 자유롭게 오목(凹)부분(43)의 개구면을 덮는 문짝(70)을 하우징(1)의 전면에 부착하고 있다. 합성수지제의 문짝(70)은 거의자형의 주편(主片)과, 주편(71)의 양단부에 얇은 힌지부(75, 75)를 통해서 일체로 형성된 각편(72, 72)을 구비하고 있다. 각 각편(72, 72)의 측단면에서는 문짝(70)을 하우징(1)에 걸어 고정하기 위한 계지클립(73, 73)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한편, 주편(71)의 측단면에서는 돌편(74)이 돌출되어 있다. 이 돌편(74)의 양측 선단부에는 계지클립(76, 76)이 돌출 설치되어 있다. 또한, 돌편(74)의 기부에는 접지선의 피복을 벗기는 경우에 심선(芯線)의 길이의 목표가 되는 홈(77)이 마련되어 있다. 즉, 이 홈(77)의 길이에 맞도록 접지선의 피복을 벗기면 심선의 길이를 적절한 길이로 할 수 있는 것이고, 이와 같은 홈(77)은 일반적으로 스트립 게이지(strip gauge)로 불려지고 있다. 게다가, 돌편(74)의 선단연(先端緣)에는 오목(凹)부분(78)이 마련되어 있다. 상기와 같이, 주편(71), 각편(72, 72), 힌지부(75, 75)등을 합성수지제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면, 문짝(70)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 또한 돌편(74)의 양 어깨부분에 닿는 주편(71)의 편면측에는 접지선이 접지 접속부(50)에 접속된 상태에서 문짝(70)을 닫는 경우에, 문짝(70)이 접지선에 닿아 닫기 어렵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접지선 도피용 오목(凹)부(79)가 마련되어 있다.
그런데,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1b)의 전면의 오목(凹)부분(43)의 저부에는 문짝(70)의 각편(72, 72)이 삽입되는 각편 삽입구멍(44, 44)이 마련되어 있다. 이 각편 삽입구멍(44, 44)에 삽입된 각편(72, 72)의 계지클립(73, 73)이 커버(1b)의 내측면 단부에 형성된 계지 오목(凹)부(45)에 걸리는 것에 의해, 문짝(70)이 커버(1b)(하우징(1))에 부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계지 오목(凹)부(45)와 대향하는 위치에는 돌기(49)가 마련되어 있고, 각편(72)의 내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함으로써 계지클립(73)과 계지 오목(凹)부(45)의 걸림이 풀리기 어렵게 되어 있다. 그리고, 문짝(70)을 힌지부(75, 75)의 부분에서 구부리면, 주편(71)에 의해 오목(凹)부분(43)의 개구를 개폐 자유롭게 덮을 수 있는 것이다. 또한, 오목(凹)부분(43)의 양측 및 하측(긴쪽방향의 외측)에는 문짝(70)을 닫은 경우에 주편(71)에 맞닿는 받침부(46a∼46c)가 마련되어 있다. 요컨대, 이들 받침부(46a∼46c)에 주편(71)을 맞닿게 함으로써 문짝(70)이 오목(凹)부분(43)내로 밀려 들어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게다가, 하측의 받침부(46c)의 양단부에는 문짝(70)에 마련한 계지편(76, 76)이 걸리는 계지구멍(47, 47)이 마련되어 있고, 문짝(70)을 닫은 경우에 계지편(76, 76)을 계지구멍(47, 47)에 걸면, 문짝(70)이 부주의하게 열리지 않도록 록(lock)할 수 있다. 또, 돌편(74)에는 오목(凹)부(78)가 마련되어 있으므로, 문짝(70)을 여는 경우에는 손가락 혹은 드라이버 등의 공구의 선단을 오목(凹)부(78)로부터 삽입하여 끌어올림으로써 용이하게 문짝(70)을 열 수 있다.
다음에, 제5도를 참조하여 접지 접속부(50)로의 접지선(60)의 접속방식을 설명한다.
우선, 문짝(70)을 열어서 접지선 삽입구(51, 51)를 노출시키고, 오목(凹)부분(43)의 저부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해제레버(54)의 조작부(54)를 밀어 내리면서 접지선 삽입구(51)에 접지선(60)의 심선을 삽입한다. 이때, 조작부(54b)의 노출면에 마련한 계합홈(係合溝)(54f)에 예컨대 마이너스 드라이버의 선단을 걸어 맞추어서 눌러 조작하면, 조작하기 쉬운 것이다. 접지선(60)의 비접속 상태에 있어서는 고정스프링(53)의 접촉편(53d) 선단이 단자편(86)의 측편(86a) 내측면에 맞닿아 있는 것이지만, 조작부(54b)가 눌려 해제레버(54)가 하우징(1)의 내부로 밀려 들어가면, 그것에 따라서 해제레버(54)의 당접부(54c)에 의해 접촉편(53d)이 휘어지고, 그 결과 접촉편(53d)의 선단이 단자편(86)의 측편(86a) 내측면에 떨어져 양자의 사이에 간극(隙間)이 생긴다. 따라서, 이 간극에 접지선(60)의 심선을 삽입 관통시킨 후, 조작부(54b)를 놓으면 고정스프링(53)의 복원력에 의해 접촉편(53d)과 단자편(86)의 측편(86a)에 접지선(60)의 심선이 끼워 지지되고, 또 접촉 도통한다. 더구나, 접촉편(53d)은 접지선(60)의 삽입방향(접지선 삽입구(51)로부터 하우징(1)내부로의 방향)으로 향해서 경사져 있으므로, 확실한 빼냄 멈춤이 가능하게 된다. 또, 해제레버(54)의 양측면에 마련한 접동리브(54d, 54d)를 커버(1b)에 마련한 가이드 홈(62)에 미끌어져 접촉시키고 있기 때문에, 해제레버(54)의 흔들림을 억제할 수 있어 확실한 조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오목(凹)부분(43) 저부의 하측(긴쪽방향의 외측)에는 개구 단연(端緣)을 향하는 경사면(48)이 마련되어 있고, 더구나 문짝(70)을 닫은 상태라도 문짝(70)의 양 어깨부분(돌편(74)의 양측부분)이 개구하고 있으므로, 접지 접속부(50)에 접속된 접지선(60)을 경사면(48)을 따라서 상기 어깨부분의 개구로부터 오목(凹)부분(43)의 밖으로 도출(導出)시킬수 있다. 이와 같이, 접지선(60)을 접지 접속부(50)에 접속한 상태라도 문짝(70)을 닫을 수 있으므로, 외관상 모양새를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접지선(60)을 떼어내는 경우도 같은 형태의 조작을 행하면 되고, 조작부(54b)를 눌려서 접촉편(53d)을 휘어지게 하면, 접촉편(53d)과 단자편(86)의 측편(86a)에 끼워 지지되어 있던 심선이 해방되기 때문에, 접지선(60)을 빼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는, 종래의 드라이버 혹은 수동에 의한 스프링 식의 단자(접자단자) 대신에, 원 터치(one touch)로 접지선(60)의 접속이 가능한 속결 단자구조를 가지는 접지 접속부(50)를 구비함으로써, 접지선(60)의 접속작업이 용이하게 되어 시공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보통의 단선뿐만 아니라 복선(複線)으로 이루어지는 접지선(60)이라도 확실하게 접속 가능하고, 더구나 하우징(1)의 전면에 단자 스프링과 같은 대형 부품이 돌출하는 것과 같은 일이 없게 되어 한정된 스페이스를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해제레버(54)의 조작부(54b) 및 접지선 삽입구(51, 51)가 오목(凹)부분(43)내에 수납되고 또 문짝(70)에 의해 오목(凹)부분(43)의 개구면이 덮여지기 때문에, 조작부(54b)나 접지선 삽입구(51, 51)등이 하우징(1)의 전면측으로 노출 및 돌출하지 않고, 접지선 삽입구(51, 51)나 조각부(54B, 54B)를 감춤과 동시에 하우징(1)의 전면을 거의 평탄한 상태로 할 수 있어 모양새를 좋게 할 수 있다. 게다가, 한쌍의 접지 인수스프링(31, 31)과 접지 접속부(50)의 단자편(86, 86)이나 접지 단자판(81) 등을 접지 인수스프링 블록(30) 및 접지 접속부 블록(80)으로서 일체로 결합하고 있기 때문에, 스페이스 절감이나 부품 점수의 삭감이 도모된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접지극 부착의 플러그가 접속 가능함과 동시에 2개의 접지선 접속부(50, 50)를 구비하고 있으므로, 플러그의 접지극과 접지선과의 양쪽에서 확실하게 접지를 얻을 수 있어 안정성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 좌금(座金)과 단자 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스프링 멈춤식의 접지 접속부라면 단선과 복선을 동시에 접속한 경우에 복선을 견고하게 고정할 수 없어 용이하게 빠져 버린다는 것과 같은 문제점이 생기는 경우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고정스프링(53)에 의해 단선과 복선을 동시에 확실하게 끼워 지지하는 것이 가능하고, 상기와 같은 문제점이 생기지 않는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매입형의 배선기구와 마찬가지로 매입박스 등에 용이하게 부착할 수 있어, 시공작업의 간소화나 부품의 공통화가 도모한다.
청구항 1의 발명은, 전압측의 플러그날, 접지측의 플러그날 및 접지극의 플러그날이 각각 삽입되는 3개 1조(組)의 플러그날 삽입구가 전면에 2조(組) 마련된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있어서 각 플러그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플러그날과 각별히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압측 인수스프링, 접지측 인수스프링 및 접지 인수스프링과, 이들 인수스프링이 각각 각별히 접속된 전압측 단자판, 접지측 단자판 및 접지 단자판과, 각 단자판에 외부의 전송을 접속하는 단자부와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접지선이 삽입되는 접지선 삽입구 접지 단자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편, 하우징내에 있어서 접지선 삽입구로 삽입된 접지선을 단자편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여 접지선과 단자편을 접촉 도통시키는 고정스프링을 가지는 접지 접속부를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접지극을 구비한 플러그와 접지선을 따로 필요로 하는 플러그를 동시에 사용하여도 각각 접지가 얻어지며, 또한 접지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접지선이 고정스프링에 의해 단자편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되어 접지 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스프링식의 단자구조에 비해서 스페이스가 작게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게 된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은, 전압측의 플러그날, 접지측의 플러그날 및 접지극의 플러그날이 각각 삽입되는 3개 1조(組)의 플러그날 삽입구가 전면에 2조(組) 마련된 하우징과, 하우징내에 있어서 각 플러그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플러그날과 각별히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압측 인수스프링, 접지측 인수스프링 및 접지 인수스프링과, 이들 인수스프링이 각각 각별히 접속된 전압측 단자판, 접지측 단자판 및 접지 단자판과, 각 단자판에 외부의 전선을 접속하는 단자부와,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접지선이 삽입되는 접지선 삽입구, 접지 단자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편, 하우징내에 있어서 접지선 삽입구로 삽입된 접지선을 단자편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여 접지선과, 단자편을 접촉 도통시키는 고정스프링을 가지는 접지 접속부를 구비하고,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한 오목(凹)부분의 저부에 접지선 삽입구를 마련함과 동시에, 오목(凹)부분의 개구를 개폐 자유롭게 덮는 문짝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접지극을 구비한 플러그와 접지선을 따로 필요로 하는 플러그를 동시에 사용하여도 각각 접지가 얻어지고, 또한 접지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접지선이 고정스프링에 의해 단자편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되어 접지 단자판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때문에, 스프링식의 단자구조에 비해서 스페이스가 작게되므로 소형화가 가능하게 되고, 더구나 접지선 삽입구는 오목(凹)부분의 개구를 덮는 문짝에 의해 개폐 자유롭게 감추어지므로 외관상의 보임을 좋게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은, 조작시에 고정스프링을 해제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해제레버를 하우징의 전면측에 가동 자유롭게 마련한 것이기 때문에, 해제레버를 조작하여 고정스프링을 휘어지게 함으로써 접지선을 용이하게 접속하고, 또 떼어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은, 단자부가, 외부의 전선을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는 고정스프링과, 고정스프링을 해제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해제버튼을 구비하는 속결(速結) 단자구조를 가지는 것이기 때문에, 전선의 접속작업을 간소화 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은, 접지선과 접촉 도통하는 단자편을 접지 단자판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스페이스의 절감과 부품 점수의 삭감이 도모된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은, 접지선과 접촉 도통하는 단자편과 고정스프링을 코킹(calking)혹은 용접 등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이기 때문에, 단자편과 고정스프링을 굳게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은, 각 조(組)의 전압측의 플러그날 삽입구에 대응하는 한쌍의 전압측 인수(刃受)스프링을 전압측 단자판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전압측 인수스프링 블록과, 각 조(組)의 접지측 플러그날 삽입구에 대응하는 한쌍의 접지측 인수스프링을 접지측 단자판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접지측 인수스프링 블록과를 긴쪽방향에 따른 하우징내의 양측부에 내장하여 이루어지고, 하우징의 긴쪽방향에 따른 양측면의 일부를 외측으로 팽창시킴으로써 하우징내에 수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압측 단자판 및 접지측 단자판, 고정스프링, 해제버튼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부를 각각 각 수납부에 수납한 것이기 때문에, 부품 점수의 저감과 스페이스 절감이 도모된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은, 하우징내에 고정되는 각편(脚片)과 오목(凹)부분의 개구를 덮는 주편(主片)을 얇은 힌지부를 통해서 일체로 형성하여 문짝을 구성한 것이기 때문에, 문짝을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은, 문짝의 각편에 계지부(係止部)를 마련함과 동시에, 이 계지부가 걸리는 피 계지부를 하우징에 마련한 것이기 때문에, 각편에 마련한 계지부를 하우징의 피 계지부에 걸리게 하는 것만으로 문짝을 하우징에 용이하게 부착하여 고정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은, 문짝을 닫을 경우에 문짝과 하우징을 록(lock) 하는 록 수단을 구비한 것이기 때문에, 문짝이 부주의하게 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10)

  1. 전압측의 플러그날, 접지측의 플러그날 및 접지극의 플러그날이 각각 삽입되는 3개 1조(組)의 플러그날 삽입구가 전면(前面)에 2조(組)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있어서 각 플러그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플러그날과 각별히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압측 인수스프링, 접지측 인수스프링 및 접지 인수스프링과, 이들 인수스프링이 각각 각별히 접속된 전압측 단자판, 접지측 단자판 및 접지 단자판과, 상기 각 단자판에 외부의 전선을 접속하는 단자부와,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접지선이 삽입되는 접지선 삽입구, 접지 단자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편 상기 하우징내에 있어서 접지선 삽입구로 삽입된 접지선을 단자편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여 접지선과 단자편을 접촉 도통시키는 고정스프링을 가지는 접지 접속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2. 전압측의 플러그날, 접지측의 플러그날 및 접지극의 플러그날이 각각 삽입되는 3개 1조(組)의 플러그날 삽입구가 전면(前面)에 2조(組) 마련된 하우징과, 상기 하우징내에 있어서 각 플러그날 삽입구로부터 삽입되는 플러그날과 각별히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압측 인수스프링, 접지측 인수스프링 및 접지 인수스프링과, 이들 인수스프링이 각각 각별히 접속된 전압측 단자판, 접지측 단자판 및 접지 단자판과, 상기 각 단자판에 외부의 전선을 접속하는 단자부와,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되어 접지선이 삽입되는 접지선 삽입구, 접지 단자판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단자편, 상기 하우징내에 있어서 접지선 삽입구로 삽입된 접지선을 단자편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여 접지선과 단자편을 접촉 도통시키는 고정스프링을 가지는 접지 접속부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의 전면에 마련한 오목(凹)부분의 저부에 접지선 삽입구를 마련함과 동시에, 오목(凹)부분의 개구를 개폐 자유롭게 덮는 문짝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조작시에 고정스프링을 해제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해제레버를 상기 하우징의 전면측에 가동 자유롭게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자부는 외부의 전선을 단자판과의 사이에서 끼워 지지하는 고정스프링과, 고정스프링을 해제방향으로 휘어지게 하는 해제버튼을 구비하는 속결(速結) 단자구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과 접촉 도통하는 단자편을 상기 접지 단자판과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접지선과 접촉 도통하는 단자편과 고정스프링을 코킹(calking) 혹은 용접 등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접속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조(組)의 전압측의 플러그날 삽입구에 대응하는 한쌍의 전압측 인수(刃受)스프링을 접압측 단자판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전압측 인수스프링 블록과, 상기 각 조(組)의 접지측 플러그날 삽입구 대응하는 한쌍의 접지측 인수스프링을 접지측 단자판의 양단에 일체로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접지측 인수스프링 블록과를 긴쪽방향에 따른 하우징내의 양측부에 내장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하우징의 긴쪽방향에 따른 양측면의 일부를 외측으로 팽창시킴으로써 상기 하우징내에 수납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전압측 단자판 및 접지측 단자판, 고정스프링, 해제버튼으로 이루어지는 단자부를 각각 각 수납부에 수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과 고정되는 각편(脚片)과 오목(凹)부분의 개구를 덮는 주편(主片)를 얇은 힌지부를 통해 일체로 형성하여 문짝을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9.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의 각편에 계지부(係止部)를 마련함과 동시에, 상기 계지부가 걸리는 피(被)계지부를 상기 하우징에 마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10.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문짝을 닫은 경우에 문짝과 상기 하우징을 록(lock)하는 록 수단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콘센트.
KR1019980006100A 1997-10-28 1998-02-26 콘센트 KR10028495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7-295201 1997-10-28
JP29520197A JPH11135197A (ja) 1997-10-28 1997-10-28 コンセン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448A KR19990036448A (ko) 1999-05-25
KR100284953B1 true KR100284953B1 (ko) 2001-03-15

Family

ID=1781751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06100A KR100284953B1 (ko) 1997-10-28 1998-02-26 콘센트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JP (1) JPH11135197A (ko)
KR (1) KR100284953B1 (ko)
ID (1) ID21132A (ko)
TW (1) TW3632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59102B2 (ja) * 2003-02-25 2008-03-12 松下電工株式会社 単相3線配線100v・200v共用コンセント
JP4770630B2 (ja) * 2006-07-26 2011-09-14 パナソニック電工株式会社 コンセント
JP7026326B2 (ja) * 2018-04-24 2022-02-2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配線器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448A (ko) 1999-05-25
ID21132A (id) 1999-04-29
JPH11135197A (ja) 1999-05-21
TW363289B (en) 1999-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8250216A (ja) 電気コネクタ及びそれを含む電気コネクタ組立体
JP2001185297A (ja) コネクタ
JP2574781Y2 (ja) コネクタ
JPH11297403A (ja) 圧接コネクタ
JPH11250967A (ja) 端子保持装置を有するコネクタ装置
JPH10144424A (ja) コンセント
KR100284953B1 (ko) 콘센트
JP3302622B2 (ja) レバー嵌合式コネクタ
JPH06283219A (ja) 端子台
JPH1050366A (ja) 電線接続端子
JP2775225B2 (ja) コネクタハウジング
JP3546677B2 (ja) コンセント
JP3721809B2 (ja) 扉付きコンセント
JP3463485B2 (ja) コンセント
JP3119229B2 (ja) コネクタ
EP0952633B1 (en) Connector assembly
KR100416857B1 (ko) 콘센트 및 콘센트 장치
JPH1186955A (ja) モジュラジャック
JP3004899B2 (ja) 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3054722B2 (ja) 圧接コネクタの電線組付方法
JP2000012146A (ja) コンセント
JPH10302917A (ja) コンセント
JPH1186926A (ja) 同軸ケーブル接続器
JP2001028282A (ja) フラットケーブル用コネクタ
JP2971742B2 (ja) 電気接続箱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2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202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203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18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