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819B1 - 화상형성장치및방법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및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819B1
KR100283819B1 KR1019980012603A KR19980012603A KR100283819B1 KR 100283819 B1 KR100283819 B1 KR 100283819B1 KR 1019980012603 A KR1019980012603 A KR 1019980012603A KR 19980012603 A KR19980012603 A KR 19980012603A KR 100283819 B1 KR100283819 B1 KR 1002838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data
data bus
value
double
value im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26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1240A (ko
Inventor
마사까쯔 오오시따
Original Assignee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토가 미찌야, 가부시키가이샤 리코 filed Critical 이토가 미찌야
Publication of KR19980081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1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8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8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 H04N1/40Picture signal 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1/00Scanning, transmission or reproduction of documents or the like, e.g. facsimile transmission; Details thereof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ccessory Devices And Overall Control Thereof (AREA)
  • Facsimiles In General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Facsimile Transmission Control (AREA)
  • Laser Beam Printer (AREA)

Abstract

화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기 위한 장치와 그 방법으로서, 화상데이터버스 절환부는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선택하고 반면에 2중치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선택한다. 동기클럭 절환부는 다중치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클럭신호를 전송상태에 두고 반면에 2중치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클럭을 정지상태에 둔다. 화상데이터가 다중치로부터 2중치로 절환되는 경우에 클럭은 전송상태에서 정지상태로 절환된다. 화상데이터가 2중치로부터 다중치로 절환되는 경우에 화상데이터버스는 2중치에서 다중치로 절환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
본 발명은 다중치 화상데이터 또는 2중치 화상데이터에 기초하여 선택적으로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구체적으로는 레이저 프린터 등과 같은 전자사진방식의 광학프린터, 디지틀 복사기, 보통용지 복사기, 보통용지 팩시밀리장치 등에 적용할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LD(레이저 다이오우드) 기록제어부로부터 LD제어부로 다중치 화상데이터 또는 2중치 화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므로써 화상을 형성하는 화상형성장치에 대하여 다음에 기술하는 두가지 (1), (2)형태의 화상전송방법이 있다.
(1) 방법1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첫 번째 방법은 화상데이터버스로서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채용하는 것이다. 또한 첫 번째 방법은 단지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상의 화상데이터와 동기하여 클럭신호를 사용하는 클럭동기 전송제어 시스템을 사용한다.
예로서, 8-비트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00H″:전소등, ″백″; ″FFH″:전점등, ″백″; ″01H″-″FEH″:하프톤 점등)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화상데이터가 다중치인 경우 ″00H″-″FFH″의 256개의 값이 클럭과 동기되어 전송된다. 반면에 화상데이터가 2중치이면 백 도트(white dot)와 흑 도트(black dot)는 클럭과 동기하는 더미(dummy) 다중치 데이터의 상태에서 각각 ″00H″와 ″FFH″로 전송된다.
(2) 방법 2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두 번째 방법은 화상데이터버스로서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채용하는 것이다. 또한 두 번째 방법은 단지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상의 화상데이터와 동기되는 클럭신호를 사용하지 않는 클럭동기 전송제어 시스템을 사용한다.
화상데이터가 다중치 데이터인 경우에 각 도트(dot)는 1-도트 주기내에서PWM(Pulse Width Modulation)으로 전송된다. 반면에 화상데이터가 2중치데이터인 경우에는 백 도트와 흑 도트는 각각 ″전구간 하이 레벨″과 ″전구간 로 레벨″의 조건에서 전송된다.
그러나, 디지틀 복사기 또는 데이터 복합기에서 프린터 콘트롤러 등의 응용으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를 다룬 후 스캐너로부터 전송된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다루는 경우 또는 그 역동작의 경우에서와 같이 LD(레이저 다이오우드)에서 데이터를 기록하는 시간에 처리되는 화상데이터의 종류는 각 프린팅 작업마다 서로 다르기 때문에 위에서 설명한 두가지의 방법 (1), (2)이 다중치 화상데이터 전송과 2중치 화상데이터 전송 모두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목적(이 경우에서는 2)에 폭넓게사용될 수 없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또한 전자사진 형태의 화상형성장치에서 레이저 다이오우드는 주주사 동기신호를 얻기 위하여 화상 유효영역의 외부에 조사되고, 레이저 다이오우드를 점등하여 얻은 광 신호는 센서에 의하여 주주사 동기검지신호로서 검지되고 주주사 동기검지신호의 상태는 화상데이터를 다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로 또는 그 반대로 절환할 때 전송되는 화상에 악영향을 끼친다. 이러한 것도 또한 해결하여야 할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고려하여 이러한 여러가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이다.
본 발명은 목적은 상기의 과제 또는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해결하고 향상시키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의 과제 또는 종래 기술의 결점을 본 발명과 관련하여 해결하고 향상시킬 수 있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2중치 화상데이터와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할 때 폭 넓은 유용성을 증진시키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주주사 동기검지신호가 화상데이터를 다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로 또는 그 반대로 절환할 때 전송되는 화상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는 화상형성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실시예로서 디지틀 복사기를 도시한 개략적 단면 구조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화상형성장치의 주요 부분인 LD기록제어부와 LD제어부를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3은 도 2의 LD기록제어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4는 도 3에서 도시한 화상데이터버스 절환부에서 화상데이터버스선택신호, 다중치 화상데이터, 2중치 화상데이터간의 관계를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도 5는 도 3에서 도시한 동기클럭 절환부에서 동기클럭 제어신호와 동기클럭신호간의 관계를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도 6은 도 2에서 도시한 LD제어부를 상세하게 도시한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7은 도 6에서 도시한 LD제어부에서 LD구동신호를 설명하는 설명도이다.
도 8은 LD기록제어부와 LD제어부의 주요신호를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도 9는 도 2에서 도시한 LD기록제어부를 절환하는 동작을 설명하는 블록다이어그램이다.
도 10은 화상데이터를 다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하는 경우의 주요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도 11은 화상데이터를 다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하는 경우의 주요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도 12는 화상데이터를 다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하는 경우의 주요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도 13은 화상데이터를 2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하는 경우의 주요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도 14는 화상데이터를 2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하는 경우의 주요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도 15는 화상데이터를 2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하는 경우의 주요 신호를 도시한 타이밍챠트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WD0-7 ...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LDON ...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
LDCLK ... 클럭라인
/DETP ... 주주사 동기검지신호
101 ... LD기록제어부
102 ... LD제어부
103 ... LD
104 ... 화상데이터버스 절환부
105 ... 동기클럭 절환부
104a, 104b, 105a ... 3-스테이트버퍼
104c ... 인버터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첫 번째 상태에 따라, 화상형성장치는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상데이터 전송기,/ 화상데이터 전송기로부터 전송된 화상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데이터 수신기,/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2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 다중치 화상데이터와 동기하여 클럭신호를 전송하는 클럭라인을 포함하며, 여기에서 화상데이터 전송기는,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는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선택하고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선택하는 화상데이터버스 선택매체,/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클럭신호를 전송상태로 설정하고 2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클럭신호를 전송정지상태로 설정하는 동기클럭 절환매체를 포함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첫 번째 상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두 번째 상태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전송되는 화상데이터가 다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되는 경우, 상기 동기클럭 절환매체는 상기 화상데이터버스 선택매체가 화상데이터버스를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 절환한 후 클럭신호의 설정을 전송상태로부터 전송정지상태로 절환한다.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첫 번째 또는 두 번째 상태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세 번째 상태에 따라,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전송되는 화상데이터가 2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되는 경우, 상기 화상데이터버스 선택매체는 상기 동기클럭 절환매체가 클럭신호의 설정을 전송정지상태로부터 전송상태로 절환한 후 화상데이터버스를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 절환한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에서 도시한 디지틀 복사기는 개략적으로 스캐너부 201과 프린터부 204의 두 부분으로 나누어진다. 이들 두 부분은 디지틀 복사기를 구성한다.
스캐너부 201에서, 원고는 콘택트 유리위에 놓여지고 압판 339에 의하여 눌려진다. 원고는 광원 302a와 302b에 의하여 조명된다. 원고에서 반사된 광선은 미러 303-307에 의하여 차례로 반사된다. 이렇게 반사된 광선은 화상을 형성하기 위하여 렌즈 308에 의하여 CCD 화상센서 309의 수광면에 모인다. 광원 302a, 302b와 미러 303은 제1 캐리지 310에 장착되고 미러 304, 305는 제2 캐리지 311에 장착된다. 제2 캐리지 311은 제1 캐리지 310이 움직이는 속도의 절반의 속도로 움직인다. 이러한 방법으로, 원고는 부주사 방향으로 주사된다. 주주사 방향으로의 원고의 주사는 CCD화상센서 309에 의하여 수행된다.
대체로 프린터부 204는 레이저기록부, 화상 재발생부, 용지급지부로 구성된다. 레이저 기록부는 레이저출력 유니트 321, 포커스 렌즈 322, 미러 323을 포함한다. 레이저 출력 유니트 321은 화상데이터에 따라 변조된 레이저광을 조사하는 레이저 다이오우드(LD), 레이저광을 주주사 방향으로 주사하기 위한 다각형 미러와 모터를 포함한다. 잠상은 이렇게 변조된 LD광에 의하여 화상 재발생장치의 감광체 드럼 324상에 형성된다.
감광체 드럼은 324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감광체 드럼의 주변에는 대전기 325, 이레이저 326, 위에서 설명한 레이저 기록 장치, 형상 유니트 327, 전사 차저 328, 분리차저 328, 분리 클로(claw) 329, 크리닝 유니트 331이 회전방향을 따라 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또한 LD광을 검지하고 후술하는 주주사 독기 검지신호(/DETP)를 출력하는 빔센서가 감광체 드럼 324의 측면 가장자리에 설치된다. 빔 센서는 도 1에서는 도시되지 않았다.
화상 재발생 시스템의 과정을 간단히 설명하면, 감광체 드럼의 표면이 대전기 325에 의하여 균일하게 대전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레이저광이 감광체 드럼 324의 표면으로 조사되고, 조사된 영역의 전위는 낮아진다. 레이저광은 화상데이터의 흑과 백에 상당하는 각각에서 턴온 그리고 턴오프된다.
따라서 전위분포, 즉 화상데이터의 흑백에 상당하는 정전잠상은 감광체 드럼 324의 표면에 형성된다. 다음으로 그 위에 정전잠상이 형성된 영역은 현상 유니트 327을 통과하고 전위분포의 레벨에 따라 토너가 그 표면에 붙고, 그리하여 토너가 붙은 영역에 토너화상이 형성된다. 그렇게 형성된 토너화상은 전사 차저 328에 의하여 기록지에 전사된다. 다음으로 기록지는 분리차저 329와 분리 클로 330에 의하여 감광체 드럼 324로부터 분리된다. 그런 다음 감광체 드럼 324의 표면은 크리닝 유니트 331에 의하여 크리닝된다.
용지급지장치는 두 개의 용지급지 카세트 333a, 333b와 수동 용지급지단 333c를 포함한다. 상단의 용지급지 카세트 333a와 수동 급지단 333c에 세트된 기록지 332a는 용지급지 롤러 337a에 의하여 급지된다. 반면에 하단의 용지급지 카세트 333b에 세트된 기록지 332b는 다른 용지급지 롤러 337b에 의하여 급지된다.
이러한 방법으로 급지된 기록지 332는 레지스트 롤러 338로 바로 보내어져서 접촉하게 되고 여기에서 일시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그런 다음, 기록지는 감광체 드럼 324에 형성된 토너화상과 일치하도록 이송된다.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토너화상이 기록지상에 전사되면 기록지는 반송벨트 334에 의하여 반송되고 기록지상의 토너화상은 한 쌍의 정착롤러 335에 의하여 정착된다. 다음으로 화상이 정착된 기록지는 용지배출 트레이상에 배출된다.
도 2에서 LD기록제어부 101과 LD제어부 102는 8-비트의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WD0-7과 1-비트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LDON)의 두 화상데이터버스 시스템을 통하여 서로 연결된다. 또한 동기클럭 LDCLK은 LD기록제어부 101로부터 LD제어부 102로 인가되고 주주사 동기검지신호(/DETP)는 LD제어부 102로부터 LD기록제어부 101로 인가된다. LD제어부 102측에 있는 LD 103은 LD기록제어부 101로부터 전송되는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WD0-7과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LDON)상의 신호에 따라 턴온된다.
도 3에서 더욱 상세히 도시한 바와 같이, LD기록제어부 101은 화상데이터버스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WD0-7을 선택하고 2중치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는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선택하는 화상데이터버스 절환부 104와 동기클럭 제어신호에 기초하여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동기클럭 LDCLK을 전송상태에 두고 2중치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동기클럭 LDCLK을 정지상태에 두는 동기클럭 절환부 105를 포함한다.
화상데이터버스 절환부 104는 3-스테이트버퍼 104a, 104b와 인버터 104c를 포함한다. 도 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데이터버스 제어신호가 로 레벨이면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WD0-7상의 데이터는 유효하게 되고 동시에 3-스테이트버퍼 104b의 출력인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LDON)상의 신호는 하이 레벨로 된다. 한편으로는, 화상데이터버스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이면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LDON)상의 데이터가 유효하게 되고 동시에 3-스테이트버퍼 104a의 출력인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WD0-7상의 신호는 하이임피던스상태로 된다.
또한 동기클럭 절환부 105는 3-스테이트버퍼 105a를 포함한다.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클럭 제어신호가 로 레벨이면 3-스테이트버퍼 105a의 출력신호인 동기클럭 LDCLK은 유효하게 된다. 한편으로, 동기클럭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이면 3-스테이트버퍼 105a의 출력신호는 하이임피던스상태로 된다.
도 6에서 상세하게 도시한 바와 같이 LD제어부 102에서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WD0-7은 각각 D플립플롭 117-110의 D단자에 인가되고 동기클럭은 공통적으로 각각의 클럭단자에 인가된다.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LDON)상의 신호는 인버터 118에 인가된다. 데이터 룩업 테이블(LUT) 119는 D플립플롭 117-110의 각각의 Q출력에 기초하여 신호를 5-비트 PWM 구동신호로 변환하고 각각의 비트는 오아 게이트 124-120의 한쪽 입력 단자로 출력된다.
반면에 인버터 118의 출력신호는 공통적으로 오아게이트 124-120 의 다른 쪽 입력단자에 인가된다.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5-비트 PWM 구동신호 D4-D0은 오아게이트 124-120으로부터 LD구동회로 125에 인가된다. LD구동회로 125는 PWM 구동신호 D0-D4에 기초하여 LD 103을 구동한다.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LD기록제어부 101은 LD 103을 사용하여 화상기록을 수행하기 위한 주주사 동기검지신호(/DETP)를 얻기 위하여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LDON)상의 타이밍 A에서 LD를 강제적으로 점등하도록 한다. LD제어부 102가 LD강제점등신호의 동작에 의하여 LD 103을 점등하도록 하는 경우 레이저광은 레이저빔센서에 의하여 검지되고 주주사 동기검지신호(/DETP)는 LD제어부 102로부터 LD기록제어부 101로 다시 인가된다. LD제어부 102는 주주사 동기검지신호(/DETP)의 동작에 의하여 LD강제점등신호를 네게이트(negate)한다.
LD제어부 102는 주주사 동기검지신호(/DETP)의 동작에 의하여 주주사 동기신호(/LSYNC)와 주주사화상유효신호(/LGATE)를 생성한다. 주주사 화상유효신호(/LGATE)는 어서트(assert) 구간에서 다중치 또는 2중치 화상데이터를 출력한다.
2중치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에 LD기록제어부 101은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LDON)를 선택한다. 101은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LDON)상의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타이밍 A에서 LD강제점등신호를 어서트한다. 다음으로 101이 주주사 동기검지신호(/DETP)를 수신하면 101은 LD강제점등신호를 턴오프하고 주주사화상영역유효신호(/LGATE)의 어서트 구간에서 화상데이터의 2중치를 출력한다.
반면에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출력하는 경우 LD기록제어부 101은 먼저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LDON)를 선택하고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타이밍으로 LD강제점등신호를 어서트한다. 다음으로 101이 주주사 동기검지신호(/DETP)를 수신하면 101은 LD강제점등신호를 턴오프한다. 다음으로, 101은 다중치 화상데이터 WD0-7을 선택하고 동시에 동기클럭 LDCLK을 턴온하는 상태에서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WD0-7상의 주주사화상영역유효신호(/LGATE) 어서트 구간의 동기클럭 LDCLK과 동기하여 다중치 화상데이터 WD0-7을 출력한다.
따라서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유효 화상데이터영역에 기록되는 화상데이터에 대하여 두 가지의 화상데이터, 즉 스캐너부 201에 의하여 독취된 다중치 화상데이터와 호스트 컴퓨터로부터 전송된 2중치 화상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를 처리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0에서 도 12를 참조하여 화상데이터를 다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0은 주주사 동기검지신호(/DETP)를 얻기 위한 LD강제점등신호가 네게이트 상태에 놓여질 때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신호와 동기클럭 제어신호가 동시에 로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절환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절환제어에 관련한 신호선은 LD제어부 102측의 LD 103의 점등/소등에 연결된 신호를 직접 처리하고 만약 복사기측이 유효화상영역에 기록하는 시간동안 절환동작을 수행하면 동작은 기록되는 화상에 악영향을 미친다. 그래서 화상이 부분적으로 상실되거나 다른 비정상적인 화상상태가 발생하는 바람직하지 못한 현상이 일어날 가능성이 높다. 이러한 이유로 절환 동작은 유효화상에 기록하는 동작시간중에는 수행되지 않는다. 대신에 이 동작은 LD에 의하여 기록 동작이 수행되지 않는 인접하는 기록지 사이의 시간에 또는 프린트 작업간의 시간에 수행된다.
예를들어, 복사기에 대한 프린팅 명령으로서 교대로 또는 연속적으로 페이지별로 복사 화상(다중치 화상데이터)과 프린터 화상(2중치 화상데이터)을 처리하는 명령을 수신한 경우, 페이지별로 모드를 다중치→2중치→다중치→2중치→…와 같이 변환하기 위하여 화상데이터버스는 절환된다.
여기서, 특히 고속 프린팅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형성장치에 의한 기록으로서 화상을 기록지에 기록하는 동작을 연속적으로 수행하는 경우, 고속 프린팅 동작을 유지하기 위하여 다각형 미러의 회전은 정지되지 않으며, 주주사 동기검지신호(/DETP)를 얻기 위한 LD강제점등신호의 출력도 또한 정지되지 않으며 인접하는 기록지간 또는 프린트 작업간의 시간동안에도 정지되지 않는다. 주주사 동기검지신호(/DETP)를 얻기 위하여 프린트될 화상데이터를 다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하는 타이밍이 LD강제점등신호를 어서트하는 시간중에 되는 가능성이 있다.
도 11은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신호와 동기클럭 제어신호가 LD강제점등신호를 어서트하는 동안 로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동시에 절환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 도 10에서, 다중치 화상데이터와 2중치 화상데이터는 화상데이터버스를 절환하는 전후로 화이트 화상데이터를 처리하고 LD 103의 소등상태는 계속되고 그리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된다. 반대로, 도 11에서, LD강제점등신호가 화상데이터버스 절환시 어서트 상태에 있으므로 다중치 화상데이터와 2중치 화상데이터는 모두 블랙 화상데이터를 처리하고 그리하여 LD 103은 화상데이터버스를 절환하는 전후에 점등상태에 있게 된다.
여기서,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동작에서 언급할 만한 중요한 점은 LD기록제어부 101의 동작에 관련하여 LD강제점등신호의 어서트 상태를 변화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화상데이터를 LD제어부 102로 보낸다는 것이다.
그러나 도 11의 하부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LD기록제어부 101로부터 전송된 화상데이터에 상당하는 LD 103의 점등상태에 관하여 프린트될 화상데이터를 다중치로부터 2중치로 절환한 후 LD 103은 2중치 화상데이터(/LDON)를 로 레벨(=점등상태)에서 하이 레벨(=소등상태)로 절환한 후에도 계속 점등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LD기록제어부 101로부터의 화상데이터의 동작과 다르게 동작하게 된다.
그 이유는 앞에서 설명한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신호와 동기클럭제어신호가 동시에 로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절환되기 때문에 2중치 화상데이터(/LDON)는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WD0-7대신에 선택되고 동시에 다중치 화상데이터 WD0-7과 동기된 클럭신호 LDCLK는 정지상태에 놓여진다. 따라서 도 6에서 도시된 LD제어부 102의 동작에 관하여 주주사 동기검지신호(/DETP)를 얻기 위한 LD강제점등신호는 어서트 상태에서 절환된다.
또한 신호의 절환 바로 직전의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WD0-7상의 신호는 LD 103의 전점등상태(예를 들면 신호 WD0-7의 모두가 하이 레벨임)에서의 신호이고 LD제어부 102측의 룩업 테이블의 데이터 보유에 관해서도 화상데이터버스의 절환직전의 클럭신호 LDCLK의 동작에 의하여 다중치 화상데이터 WD0-7에 의하여 LD 103의 전점등상태가 유지된다.
다음으로 화상데이터버스를 절환한 후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LD제어부로의 데이터전송제어에 관하여 신호(/LDON)는 유효하게 되고 동시에 다중치 화상데이터 WD0-7은 하이임피던스상태에 놓이게 된다. 데이터 전송제어는 LD제어부 102의 회로구성에 의하여 LD를 소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로 레벨 고정 상태로 절환한다.
그러나 절환시 다중치 화상데이터 WD0-7과 동기되는 클럭신호는 또한 정지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LD제어부 102측의 데이터 룩업 테이블 119의 데이터 보유에 관하여 다중치 화상데이터 WD0-7에 의한 LD 103의 전소등상태는 유지될 수 없고 그리하여 절환직전의 클럭신호 LDCLK에 의하여 유지되는 LD 103의 전점등상태가 계속하여 유지된다.
그리고 나서 다시 한번 클럭신호 LDCLK와 동기하여,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가 LD 103의 전소등상태를 나타내는 신호를 LD기록제어부 101로부터 LD제어부 102로 전송할 때까지 LD 103은 전점등상태에서 유지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2중치 화상데이터 모드가 선택되고 LD 103의 점등/소등이 신호(/LDON)의 동작에 의하여 수행된다하더라도 LD 103의 전점등상태를 유지하는 결과로 출력화상이 블랙 프린팅 화상이 되는 문제를 야기한다.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도 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은 제어동작이 본 발명에 따라 수행된다. 도 12의 동작은 도 11의 동작과는 다르다. 즉,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신호와 동기클럭 제어신호 로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동시에 절환되지 않는다. 대신에 화상데이터 선택신호가 로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그런 다음 동기클럭 제어신호가 로 레벨에서 하이 레벨로 절환된다.
도 6에서 설명한 LD제어부의 동작에 대하여 LD강제점등신호가 어서트 시간중에 절환되므로 화상데이터버스의 절환 직전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상의 신호 WD0-7은 LD 103이 전점등되는 상태(예를들면 WD0-7의 모든 신호가 하이 레벨 상태에 있음)를 나타내는 신호이고, 화상데이터버스의 절환직전까지의 동작상태가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더라도 LD제어부 102로의 데이터전송제어는 신호(/LDON)가 화상데이터버스직후에 유효하게 되고 신호 WD0-7은 하이 임피던스 상태로 된다.
그 결과, 데이터 전송제어가 LD제어부 102의 회로구성에 의하여 LD를 소등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로 레벨 고정 상태로 절환되더라도 절환시 다중치 화상데이터 WD0-7과 동기되는 클럭신호는 정지상태에 놓이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데이터 룩업 테이블 119의 데이터 보유에 관하여 LD 103의 전소등상태를 나타내는 로 레벨은 신호 WD0-7의 동작에 의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절환직전 클럭신호 LDCLK에 의하여 유지되는 LD 103의 전점등상태를 나타내는 데이터는 계속하여 유지될 수 없다. 그리하여 2중치 화상데이터의 프린트 모드가 선택되고 LD 103의 점등/소등 동작이 프린트 화상에 바르게 반영된다. 이것은 보다 바람직한 상태를 보여주고 어떠한 문제도 야기하지 않는다.
다음으로, 도 13에서 도 13을 참조하여 화상데이터를 2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3은 주주사 동기검지신호(/DETP)를 얻기 위한 LD강제점등신호가 네게이트 상태에 놓여질 때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신호와 동기클럭 제어신호가 동시에 하이 레벨에서 로 레벨로 절환되는 것을 설명하고 있다. 이 경우에서도, 프린트될 화상데이터를 다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하는 타이밍은 주주사 동기검지신호(/DETP)를 얻기 위한 LD강제점등신호를 어서트하는 시간중에 될 가능성이 있다.
도 14의 동작은 도 13의 동작과 다르다. 즉, 도 14의 동작은, 주주사 동기검지신호(/DETP)를 얻기 위한 LD강제점등신호를 어서트하는 시간중에 동기클럭 제어신호는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신호후에 절환된다. 도 13에서, 다중치 화상데이터와 2중치 화상데이터는 화상데이터버스를 절환하는 전후로 화이트 화상데이터 ″00h″를 처리하고 LD 103의 소등상태는 계속되고 그리하여 정상적인 동작이 된다.
반대로, LD강제점등신호는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데이터버스 절환시 어서트 상태에 놓여 있으므로 다중치 화상데이터와 2중치 화상데이터는 모두 블랙 화상데이터를 처리하고 LD 103은 절환 전후에서 점등상태에 있게 된다.
여기서, 언급할 만한 점은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동작이 수행되면 LD강제점등신호의 어서트상태는 LD기록제어부 101의 동작에 따라 변화되고 화상데이터를 LD제어부 102로 올바르게 전송할 수 없다. 그리하여 LD기록제어부 101로부터의 화상 전송에 상당하는 LD 103은 화상데이터버스신호(다중치 화상데이터 WD0-7)의 첫 번째 신호가 프린트될 화상데이터를 2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한 후 클럭신호 LDCLK에 기초하여 LD제어부 102에 의하여 유지될 때까지 소등상태에 놓인다. 그 결과 점등상태는 유지될 수 없다.
또한 화상데이터의 절환 후 화상데이터버스신호WD0-7의 첫 번째 신호가 클럭신호 LDCLK에 기초하여 LD제어부 102에 의하여 유지될 때까지의 구간에서 모드의 절환동작은 클럭신호 LDCLK와 동기되지 않는다. 더욱이 소트트웨어 등을 사용하여 제어동작을 수행하는 경우에서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신호와 동기클럭제어신호 사이에 시간차가 발생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에 LD강제점등신호의 어서트상태에 있는 구간에 LD 103을 점등하지 못하는 수 ㎲의 구간이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또한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신호를 하이 레벨에서 로 레벨로 절환한 후 동기클럭 제어신호가 하이 레벨에서 로 레벨로 절환되면 화상데이터버스 WD0-7이 2중치 화상데이터(/LDON)로부터 선택되더라도 화상데이터버스신호 WD0-7과 동기된 클럭신호 LDCLK는 정지상태에 놓여진다.
따라서 LD제어부 102의 동작에 관하여 LD강제점등신호가 어서트 상태에 놓여질 때 그 동작의 절환이 수행되므로 화상데이터버스의 절환직전의 2중치 화상데이터(/LDON)는 LD 103의 전점등상태(예를들면 신호 (/LDON)가 로 레벨임)에서의 신호이다.
화상데이터버스의 절환직전의 LD제어부 102의 데이터 룩업 테이블(LUT) 119의 데이터 보유에 관해서 픽쳐 드로잉(picture drawing)이 정상적으로 2중치 화상데이터를 사용하여 수행된다면 LD 103의 전소등상태가 신호 WD0-7의 작용에 의하여 유지된다.
다음으로 절환 직후 LD제어부 102로의 데이터전송제어의 결과로서 신호 WD0-7은 유효하게 되고 신호(/LDON)는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이 임피던스 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 결과, LD제어부 102의 회로구성은 LD소등상태를 나타내는 하이 레벨 고정 상태로 절환한다. 그러나 신호 WD0-7과 동기되는 클럭신호 LDCLK는 절환시 정지상태에 놓이게 되므로, 데이터 룩업 테이블(LUT) 119의 데이터 보유에 관하여 LD 103의 전소등상태를 나타내는 로 레벨은 신호 WD0-7의 작용에 의하여 유지된다.
따라서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절환시의 신호(/LDON)가 LD 103의 점등/소등제어와 관련하여 무효가 되는 이후로부터 클럭신호 LDCLK를 사용하여 LD 103의 전점등상태를 나타내는 신호 WD0-7의 데이터 룩업 테이블(LUT)의 데이터가 유지될 때까지의 구간에서 LD 103을 전점등상태로 하기 위한 데이터는 LD제어부 102의 다중치와 2중치 제어신호중 어느 것에도 존재하지 않는다. 클럭신호 LDCLK는 동기클럭제어신호의 작용에 의하여 LD기록제어부 101로부터 LD제어부 102로 전송하는 상태에 놓이게 된다.
따라서 LD 103은 모두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WD0-7이 첫 번째 클럭 LDCLK와 동기하여 LD 103을 전점등하는 것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보유할 때까지 소등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리하여 LD강제점등신호의 어서트상태는 유지(계속)될 수 없고 그럼으로써 상태는 네게이트 상태로 된다.
이러한 이유로 예를들어 절환직후 첫 번째 화소(픽셀)가 LD강제점등신호의 어서트상태에서의 최종 픽셀인 경우 LD 103의 점등이 주주사 동기검지센서에 의하여 검지되지 않고 그리하여 동기 검지 에러가 발생할 가능성이 있다. 따라서 화상형성동작에서 문제를 야기시킨다.
이러한 상황에서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화상데이터 선택신호를 하이 레벨에서 로 레벨로 절환한 후 동기클럭 제어신호는 하이 레벨에서 로 레벨로 절환되지 않는다. 대신에 도 1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동기클럭 제어신호를 하이 레벨에서 로 레벨로 절환한 후 화상데이터 선택신호가 하이 레벨에서 로 레벨로 절환된다.
그러한 절환에 의하여 수행되는 LD제어부 102의 동작을 확실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LD강제점등신호가 어서트 상태에서 절환되는 경우 절환 직전의 2중치 화상데이터(/LDON)는 LD 103이 전점등되는 때(예를들면 /LDON 신호가 로 레벨 상태에 놓임)의 신호이고, 절환직전까지의 LD 103의 점등상태는 도 14에서 도시한 바와 같다.
그러나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신호에 의한 절환 동작에 따라 LD제어부 102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제어는 ″신호 WD0-7″이 유효한 상태에 있게 된다. 또한 신호 WD0-7과 동기된 클럭신호 LDCLK는 신호(/LDON)가 무효하게 되기 전에 전송상태에 놓여진다. 데이터 룩업 테이블(LUT) 119에 보유하는 데이터는 신호 WD0-7이 유효하게 되기 전에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화상데이터버스의 절환직후 클럭신호 LDCLK에 의하여 유지되는 LD 103의 전점등 상태의 데이터는 유지될 수 있으므로 그리하여 다중치 화상데이터의 작용에 의한 프린트 모드가 선택되고 LD 103은 프린트 화상에 정상적으로 반영될 수 있다. 따라서 어떠한 문제도 야기하지 않는다.
이제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첫 번째 상태에서,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는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선택하고 동시에 클럭신호를 전송상태로 설정한다. 반면에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선택하고 동시에 클럭신호를 전송정지상태로 설정한다. 따라서 2중치 화상데이터와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선택적으로 전송하는 경우 장치를 보편적으로 사용하는 것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두 번째 상태에서, 전송되는 화상데이터가 다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되는 경우, 화상데이터버스를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 절환한 후 클럭신호의 설정을 전송상태로부터 전송정지상태로 절환하므로, 레이저 다이오우드가 화상 유효영역의 외부에서 점등되고 점등된 레이저 다이오우드는 센서에 의하여 주주사 동기검지신호로서 검지되는 구조를 채택하므로써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세 번째 상태에서, 전송되는 화상데이터가 2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되는 경우, 클럭신호의 설정을 전송정지상태로부터 전송상태로 절환한 후 화상데이터버스를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 절환하므로 레이저 다이오우드가 화상 유효영역의 외부에서 점등되고 점등된 레이저 다이오우드는 센서에 의하여 주주사 동기검지신호로서 검지되는 구조를 채택하므로써 문제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상데이터 전송기;
    상기 화상데이터 전송기로부터 전송된 화상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데이터 수신기;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2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
    다중치 화상데이터와 동기하여 클럭신호를 전송하는 클럭라인;을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상데이터 전송기와 상기 화상데이터 수신기는 상기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상기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 상기 클럭라인을 통하여 서로 연결되고,
    상기 화상데이터 전송기는,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는 상기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선택하고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선택하는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수단; 및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클럭신호를 전송상태로 설정하고 2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클럭신호를 전송정지상태로 설정하는 동기클럭절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전송되는 화상데이터가 다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되는 경우, 상기 동기클럭절환수단은 상기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수단이 화상데이터버스를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 절환한 후 클럭신호의 설정을 전송상태로부터 전송정지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전송되는 화상데이터가 2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되는 경우, 상기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수단은 상기 동기클럭절환수단이 클럭신호의 설정을 전송정지상태로부터 전송상태로 절환한 후 화상데이터버스를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전송되는 화상데이터가 2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되는 경우, 상기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수단은 상기 동기클럭절환수단이 클럭신호의 설정을 전송정지상태로부터 전송상태로 절환한 후 화상데이터버스를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
  5. 화상형성방법에 있어서,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상데이터 전송기를 준비하는 단계;
    상기 화상데이터 전송기로부터 전송된 화상데이터를 수신하는 화상데이터 수신기를 준비하는 단계;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사용하여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사용하여 2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단계;
    클럭라인을 통하여 다중치 화상데이터와 동기하여 클럭신호를 전송하는 단계;
    상기 화상데이터 전송기와 상기 화상데이터 수신기를 상기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 상기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 상기 클럭라인을 통하여 서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화상데이터전송기는,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할 경우에는 상기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선택하고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상기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를 선택하는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수단; 및
    다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클럭신호를 전송상태로 설정하고 2중치 화상데이터를 전송하는 경우에는 클럭신호를 전송정지상태로 설정하는 동기클럭절환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전송되는 화상데이터가 다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되는 경우, 상기 동기클럭절환수단은 상기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수단이 화상데이터버스를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부터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 절환한 후 클럭신호의 설정을 전송상태로부터 전송정지상태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전송되는 화상데이터가 2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되는 경우, 상기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수단은 상기 동기클럭절환수단이 클럭신호의 설정을 전송정지상태로부터 전송상태로 절환한 후 화상데이터버스를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전송되는 화상데이터가 2중치 화상데이터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로 절환되는 경우, 상기 화상데이터버스 선택수단은 상기 동기클럭절환수단이 클럭신호의 설정을 전송정지상태로부터 전송상태로 절환한 후 화상데이터버스를 2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부터 다중치 화상데이터버스로 절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방법.
KR1019980012603A 1997-04-09 1998-04-09 화상형성장치및방법 KR1002838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9094097A JP3570849B2 (ja) 1997-04-09 1997-04-09 画像形成装置
JP9-090940 1997-04-09
JP9-90940 1997-04-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240A KR19980081240A (ko) 1998-11-25
KR100283819B1 true KR100283819B1 (ko) 2001-03-02

Family

ID=14012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2603A KR100283819B1 (ko) 1997-04-09 1998-04-09 화상형성장치및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072593A (ko)
JP (1) JP3570849B2 (ko)
KR (1) KR1002838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90676B1 (en) * 1999-05-18 2003-07-08 Electronics For Imaging, Inc. Image reconstruction architecture
JP3990086B2 (ja) * 2000-02-22 2007-10-10 株式会社リコー 画像データ処理装置
US8446601B2 (en) * 2007-12-26 2013-05-21 Ricoh Company, Ltd. Control device and image forming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98061B2 (ja) * 1990-05-17 1999-05-31 キヤノン株式会社 印刷制御方法及び装置と印刷装置
JPH0491966A (ja) * 1990-08-08 1992-03-25 Canon Inc 印刷装置
DE69125792T2 (de) * 1990-11-16 1997-10-09 Canon Kk Bildschnittstellenanordnung
US5495341A (en) * 1991-03-06 1996-02-2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apparatus which selects from one of plural generated clock counts
US5465165A (en) * 1991-06-11 1995-11-07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processing system
US5606648A (en) * 1994-12-08 1997-02-25 Xerox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 for modulating image signals in a high addressability printing machi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1240A (ko) 1998-11-25
JPH10285373A (ja) 1998-10-23
US6072593A (en) 2000-06-06
JP3570849B2 (ja) 2004-09-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1933B1 (en) Image reading apparatus
JP4248633B2 (ja) 画像読み取り装置およびディジタル複写機
JPH1175025A (ja) 画像読み取り装置
KR100283819B1 (ko) 화상형성장치및방법
US5481371A (en) Image reading device having variable internal synronization setting control
JP2001186311A (ja) 画像読取装置、複写機、ファクシミリ装置および複合機
JPS63281844A (ja) デジタルカラ−複写機
JPH08289053A (ja) デジタル複写機の連結装置
US6462843B2 (en) Image processing apparatus, and processing method in the image processing apparatus
JP2002326386A (ja) 画像形成装置
JP3574724B2 (ja) 画像形成装置
JP3451452B2 (ja) 画像形成装置
JP3037368B2 (ja) デジタル複写装置
JPH06164875A (ja) ファクシミリ装置
JPH05142902A (ja) 複写機のページ連写方法
JPH1155524A (ja) 画像処理装置
JP2991247B2 (ja) 複合デジタル複写機
JPH0556220A (ja) 画像形成装置
JPH0937070A (ja) 画像処理装置
JPH04368059A (ja) 画像形成装置
JP2001066955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方法
JPH0588522A (ja) 複写機の頁連写方法
JP2001094787A (ja) 画像処理装置
JPH0974468A (ja) 画像処理装置
JPH10200685A (ja) 画像形成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1210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