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3607B1 - 건설기계의 운전실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운전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3607B1
KR100283607B1 KR1019980052716A KR19980052716A KR100283607B1 KR 100283607 B1 KR100283607 B1 KR 100283607B1 KR 1019980052716 A KR1019980052716 A KR 1019980052716A KR 19980052716 A KR19980052716 A KR 19980052716A KR 100283607 B1 KR100283607 B1 KR 1002836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
construction machine
filler
hollow
right end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2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62749A (ko
Inventor
츠요시 사쿄
도이치 히라타
가즈히사 다무라
쥰 소노다
다카시 나카가와
Original Assignee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구치 류이치, 히다치 겡키 가부시키 가이샤 filed Critical 세구치 류이치
Publication of KR199900627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627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6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607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16Cabins, platforms, or the like, for drivers
    • E02F9/163Structures to protect drivers, e.g. cabins, doors for cabins; Falling object protection structure [FOPS]; Roll over protection structure [RO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9Means for mounting load bearing surfa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62D27/026Connections by glue bon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33/00Superstructures for load-carrying vehicles
    • B62D33/06Drivers' cab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Component Parts Of Construction Machinery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서로 접합된 바깥쪽 패널과 안쪽 패널에 의하여 중공 형상 필러부를 형성하고, 이 중공 형상 필러부를 운전실 구조체로 한 건설기계의 운전실은, 중공 형상 필러부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도록 바깥쪽 패널 및/또는 안쪽 패널에 접합된, 얇은 판자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를 구비한다.

Description

건설기계의 운전실
본 발명은, 유압셔블이나 휠 로더 등의 건설기계의 운전실에 관한 것이다.
건설기계에 있어서는, 최근 안전성 지향이 특히 강조되고 있어, 건설현장에서의 작업시에 생기는 각종 조건, 예를 들어 위쪽으로부터의 낙하물, 앞면으로부터의 비산물, 전도(轉倒) 등을 상정하여, 운전실 내의 탑승자 보호를 위한 각종 규격이 설정되고 있다. 그 중 하나인 T0PS(Tipping 0ver Protective Structure)에서는, 작업시에 차체가 전도되어, 유압셔블의 운전실의 측면 위쪽에 전도하중이 부하되어 운전실을 형성하고 있는 프레임에 변형이 생긴 경우에 있어서도, 탑승자 보호의 관점에서 운전실 내에 설치되는 운전석 근방으로의 변형부재의 침입을 막는 것으로 정해져 있다.
유압셔블의 운전실의 종래 구조로서는, 운전실쪽에 설치된 안쪽 패널과, 안쪽 패널의 바깥쪽에 설치된 바깥쪽 패널을 서로 중첩시키도록 접합하여, 다시 안쪽 패널의 일부와 바깥쪽 패널의 일부를 각각 운전실의 안쪽 및 바깥쪽으로 팽출되게, 중공 형상 필러부를 형성하도록 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와 같은 필러부를 가지는 운전실 구조에 대하여, 상기한 바와 같은 운전실의 강도 향상의 요망에 부응하기 위하여, 예를 들어 일본국 특개 평9-25648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중공 형상 필러부 내에 강관 또는 봉강(棒鋼)으로 이루어지는 보강재를 끼워 설치하여 전도하중에 대한 강도를 향상시키도록 한 것이 있다.
그러나, 중공 형상 필러부 내에 강관 또는 봉강과 같은 시판품을 보강재로서 사용한 것에서는, 기존의 필러 형상을 유지한 채로 보강재를 끼워 설치하려고 하면 필러 형상에 따라 강관 또는 봉강의 크기가 제약을 받게 되어 필러부를 강도적으로 최적 형상으로 하기는 곤란하다. 또, 강관 또는 봉강에 적합하도록 필러 형상을 변경하면 대폭적인 설계 변경을 동반하여 비용의 상승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기존 운전실의 필러 형상을 대폭 변경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의 운전실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도 1은 유압셔블의 운전실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운전실의 수평 방향 단면도,
도 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1 필러의 수평 방향 단면도,
도 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필러의 수평 방향 단면도,
도 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3 필러의 수평 방향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필러의 수직 방향 단면도,
도 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제 2 필러 위쪽 지붕부의 측방(側方) 단면도,
도 8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세로 보강재와 가로 보강재의 접합을 나타낸 사시도,
도 9는 운전실 측면에 부하되는 전도하중과 변위의 관계를 나타낸 도,
도 10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변형예로서의 제 1 필러의 수평 방향 단면도,
도 11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다른 변형예로서의 제 1 필러의 수평 방향 단면도,
도 12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또다른 변형예로서의 제 1 필러의 수평 방향 단면도,
도 13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또다른 변형예로서의 제 1 필러의 수평 방향 단면도,
도 14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또하나의 다른 변형예로서의 제 1 필러의 수평 방향 단면도,
도 15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변형예로서의 제 2 필러의 수직 방향 단면도,
도 16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변형예로서의 제 2 필러의 위쪽 수직 방향 단면도,
도 17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운전실의 변형예로서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도.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건설기계의 운전실은, 서로 접합된 바깥쪽 패널과 안쪽 패널에 의하여 중공 형상 필러부를 형성하고, 이 중공 형상 필러부를 운전실 구조체로 한 건설기계의 운전실로서, 중공 형상 필러부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도록 바깥쪽 패널 및/또는 안쪽 패널에 접합된, 얇은 판자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종래의 운전실 형상을 유지한 채로 효과적으로 필러부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전도하중에 대한 운전실의 강도 향상을 달성할 수 있다. 또, 보강재는 얇은 판자 형상의 것으로 구성되므로, 시판하는 강관, 봉강 등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하여 설계의 자유도가 크고 강도적으로 최적 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건설기계의 운전실에 있어서, 중공 형상 필러부의 굽힘응력을 완화하도록, 운전실 구조체의 바닥면에 가까워질수록 중공 형상 필러부의 단면계수를 크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운전실의 바닥면 부근의 단면계수를 크게 하였으므로, 바닥면 부근에 생기는 과대한 굽힘응력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운전실의 바닥부를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보강재가 접합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운전실 바닥면 부근 즉 측면의 낮은 부분의 강성은 커진다.
또, 운전실의 바닥부를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보강재가 이간되어 있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최저한 필요한 부분에만 보강재를 설치할 수 있어 보강재의 재료비용을 삭감할 수 있다.
또, 중공 형상 필러부는 가늘고 긴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가늘고 긴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보강재를 구비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운전실은 소위 빔구조가 되고 운전실의 강도는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또, 운전실의 앞면 좌우 끝단부, 뒷면 좌우 끝단부 및 이들 앞뒷면 좌우 끝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좌우 끝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좌우 끝단부에 중공 형상 필러부를 설치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운전실의 각부(角部) 또는 중간부가 보강되어 운전실의 강도는 효과적으로 향상된다.
또, 보강재의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보강재의 단면계수를 효과적으로 크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건설기계의 운전실은, 서로 접합된 바깥쪽 패널과 안쪽 패널에 의하여 중공 형상 필러부를 형성하고, 이 중공 형상 필러부를 운전실 구조체로 한 건설기계의 운전실로서, 중공 형상 필러부의 내부공간의 바깥에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중공 형상 필러부의 바깥쪽에 접합된, 얇은 판자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기존의 운전실에서도 용이하게 보강구조로 할 수 있다.
이 건설기계의 운전실에 있어서도, 보강재의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건설기계의 운전실은, 서로 접합된 바깥쪽 패널과 안쪽 패널에 의하여 중공 형상 필러부를 형성하고, 이 중공 형상 필러부를 운전실 구조체로 한 건설기계의 운전실로서, 운전실의 앞면과 뒷면의 중간부의 좌우 끝단부에 설치된 중간 중공 형상 필러부와, 중간 중공 형상 필러부의 내부에 설치된 보강재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적은 부재로 효과적으로 운전실 강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운전자에게 가장 가까운 부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고, 안전면의 향상에 있어서도 효율적이다.
이 건설기계의 운전실에 있어서도, 보강재는, 얇은 판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보강재는,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다른 건설기계의 운전실은, 서로 접합된 바깥쪽 패널과 안쪽 패널에 의하여 중공 형상 필러부를 형성하고, 이 중공 형상 필러부 위쪽에 지붕을 가지는 운전실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건설기계의 운전실로서, 운전실의 좌우로 뻗어 있고 지붕과의 사이에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지붕에 접합된 지붕용 보강재를 구비한다. 이에 따라, 운전실 위쪽의 강성은 커지고, 위쪽으로부터의 낙하물에 대한 강도도 향상된다.
이 건설기계의 운전실에 있어서, 중공 형상 필러부에는, 필러용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러용 보강재와 지붕용 보강재를 접합하여 일체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지붕용 보강재와 필러용 보강재를 동시에 구비하도록 하였으므로 운전실의 강도는 한층더 향상된다.
또, 이 경우에 있어서도, 지붕용 보강재는 얇은 판자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지붕용 보강재는 단면형상이 대략 ㄷ자형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운전실의 앞면 좌우 끝단부, 뒷면 좌우 끝단부 및 이들 앞뒷면 좌우 끝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좌우 끝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좌우 끝단부에 중공 형상 필러부를 설치하고, 한 쌍의 중공 형상 필러부의 상단 사이에 지붕용 보강재를 가로로 걸쳐놓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공 형상 필러부에는, 필러용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필러용 보강재와 지붕용 보강재를 접합하여 일체 구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관한 운전실의 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Ⅱ-Ⅱ선 단면도이다.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실(1)의 좌우 측면은 한 쌍의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에 의하여 형성되고, 운전실(1)의 앞뒷면은, 프론트 패널(9), 리어 패널(10)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은 각각 중합되는 모양으로 접합되고, 운전실(1)의 가장 앞부분, 가장 뒷부분 및 그들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부에서는,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 사이에 중공 형상의 필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들 필러부는, 앞부터 차례로 제 1 필러(3A, 3B), 제 2 필러(4A, 4B), 제 3 필러(5A, 5B)라고 불리고, 각 필러(3A, 3B 내지 5A, 5B) 내에는 후기하는 제 1 보강재(30, 40, 50)가 설치되어 있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운전실(1)의 밑면은 베이스 플레이트(2)에 의하여 형성되고, 베이스 플레이트(2) 위에는 제 1 필러(3A, 3B) 내지 제 3 필러(5A, 5B)가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운전실(1)의 윗면은 각 필러(3A, 3B 내지 5A, 5B)의 상단에 설치된 지붕(6)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운전실(1)의 주요 골격인 운전실 프레임(FR)은 전후좌우, 상하의 각 면으로 이루어지고,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나타내고 있다. 운전실 프레임(FR)의 앞면, 뒷면에는 프론트 글라스 설치용 개구부(FH), 리어 글라스 설치용 개구부(RH)가 각각 설치되고, 프레임(FR)의 좌우측면에는 창문 설치용 개구부(WH)가 설치되어 있다. 프레임(FR)의 좌측면에는 도어 설치용 개구부(DH)가 설치되고, 지붕(6)의 앞쪽에는 천창용 개구부(TH)가 설치되어 있다.
이어서, 도 2의 제 1 필러(3A), 제 2 필러(4A), 제 3 필러(5A)의 확대도인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본 실시형태에 관한 필러 형상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필러(3A)부는, 각각 대향하게 되는 단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져 안쪽과 바깥쪽으로 각각 팽출된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 사이에 중공부(3C)를 가지며,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의 앞뒤는 서로 중첩하여 접합되어 있다. 중공부(3C)에는, 안쪽 패널(7)과 대향하도록 단면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는 세로 보강판(30)이 설치되고, 세로 보강판(30)의 운전실 전후방향의 안쪽면은 안쪽 패널(7)의 내면에 이간되어 2개소에서 접합되고, 중공부(3C)는 2분할되어 있다. 프론트 패널(9)의 단면 L자 형상의 끝단부는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의 앞쪽 접합부에서 안쪽 패널(7)의 안쪽면에 접합되어 있다. 세로 보강재(30)는 얇은 판자를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한 것이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필러(4A)부도 제 1 필러(3A)부와 동일하게, 각각 대향하게 되는 단면 대략 ㄷ자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 사이에 중공부(4C)를 가지고 있다. 중공부(4C)에는, 바깥쪽 패널(8)과 대향하도록 단면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는 세로 보강판(40)이 설치되고, 세로 보강판(40)의 운전실 전후방향의 바깥쪽면은 바깥쪽 패널(8)의 내면에 이간되어 2개소에서 접합되고, 중공부(4C)는 2분할되어 있다. 세로 보강재(40)는 얇은 판자를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한 것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3 필러(5A)부도 제 1 필러(3A)부와 동일하게, 각각 대향하게 되는 단면 대략 ㄷ자형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 사이에 중공부(5C)를 가지고 있다. 중공부(5C)에는, 바깥쪽 패널(8)과 대향하도록 단면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는 세로 보강판(50)이 설치되고, 세로 보강판(50)의 운전실 전후 방향의 바깥쪽면은 바깥쪽 패널(8)의 내면에 이간되어 2개소에서 접합되고, 중공부(5C)는 2분할되어 있다. 리어 패널(10)의 단면 L자 형상의 끝단부는,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의 뒤쪽 접합부로서 안쪽 패널(7)의 안쪽면에 접합되어 있다. 세로 보강재(50)는 얇은 판자를 프레스 가공하여 성형한 것이다. 또한, 운전실 프레임(FR)의 일부를 구성하는 각 필러부(3A, 3B 내지 5A, 5B)는 좌우 대칭 형상을 가지며, 설명을 생략하는 다른 필러부(3B, 4B, 5B)에도 상기한 필러부(3A, 4A, 5A)와 동일하게 세로 보강판(30, 40, 50)이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세로 보강판(30, 40, 50)의 상하 형상에 대하여, 도 1의 VI-VI선 단면도(제 2 필러 4A의 수직 방향 단면도)인 도 6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바깥쪽 패널(8)의 하단은 단면 L자 형상을 가지는 베이스 플레이트(2)의 바깥쪽면에 접합되어 있다. 바깥쪽 패널(8)의 위쪽은 운전실(1)의 안쪽을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지고, 상단에 설치된 플랜지(8A)의 안쪽면은 안쪽 패널(7)의 상단부(7A)의 바깥쪽면에 접합되어 있다. 바깥쪽 패널(8)의 안쪽에는, 상기한 세로 보강재(40)가 바깥쪽 패널(8)과 평행하게 배치되고, 세로 보강재(40)의 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2) 윗면에 접합되어 있다. 세로 보강재(40)의 위쪽은 운전실(1)의 안쪽을 향하여 대략 직각으로 구부려지고, 그 끝단은 세로 보강판(40)의 단면과 동일 형상으로 개구된 안쪽 패널(7)의 개구부(7B)를 관통하여 개구부(7B)에서 안쪽 패널(7)에 접합되어 있다. 안쪽 패널(7)의 하단은 베이스 플레이트(2)의 윗면에 접합되고, 그 위쪽에는 프론트 글라스 수납용의 레일굴곡부(7C)가 설치되어 있다. 제 2 필러(4B)에 대해서도 완전히 동일하다.
도 6의 Ⅶ-Ⅶ선 단면도인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2 필러(4A, 4B) 상단이 접합되는 지붕(6) 부분에는 팽출부(6B)가 운전실 좌우방향으로 연장 설치되어 있다. 지붕(6)의 내면에는, 팽출부(6B)에 대향하도록 단면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는 가로 보강재(60)가 운전실 좌우 방향으로 연장 설치되고, 운전실 전후 방향으로 이간되어 2개소에서 지붕(6)과 접합되고, 중공부(6C)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붕(6)의 왼쪽 끝단부(도 6의 오른쪽 끝단부)에 플랜지(6A)가 설치되고, 플랜지(6A)의 측면은 안쪽 패널 상단부(7A)의 안쪽면에 접합되어 있다. 도 6의 Ⅷ부 사시도인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보강재(60)의 왼쪽 끝단부(도 6의 오른쪽 끝단부)는, 단붙임 형상으로 프레스 가공(소위 조클 가공)되고, 세로 보강재(40)의 오른쪽 끝단부(도 6의 왼쪽 끝단부)가 이 단붙임부에 삽입설치되어 접합되어 있다. 또한, 도시생략한 다른 제 1 필러(3A와 3B) 사이, 제 3 필러(5A와 5B) 사이의 지붕(6)에도 제 2 필러(4A, 4B)와 동일하게 팽출부(6B)와 가로 보강재(60)에 의한 중공부(6C)가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지붕에도 보강재를 설치하도록 하였으므로, 운전실 위쪽의 강성은 커지고, 위쪽으로부터의 낙하물에 대한 강도도 향상한다. 필러부 및 지붕의 팽출부와 가로 보강재는 가늘고 긴 공간이기 때문에, 운전실이 소위 빔구조로 되어 강도가 향상된다.
도 1에 있어서, 운전실(1)의 왼쪽(제 2 필러 4A)의 X부에 전도하중(F)이 부하되었을 때의 X부의 변형량과 전도하중의 관계를 도 9에 나타낸다. 도면 중, 곡선(A)은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지 않는 종래 기술에 의한 운전실의 강도특성, 곡선(B)은 보강재(30, 40, 50, 60)를 가지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운전실의 강도특성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관한 운전실의 강도는 종래의 것에 비하여 각별히 향상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운전실 프레임(FR)의 각 필러(3A, 3B 내지 5A, 5B) 및 지붕(6)에 얇은 판자로 형성된 세로 보강재(30, 40, 50) 및 가로 보강재(60)를 설치하도록 하였으므로, 보강재로서 시판품의 강관, 봉강을 사용한 경우와 같이 설계의 자유도가 제약되는 일도 없고, 효과적으로 운전실(1)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종래의 안쪽 패널(7), 바깥쪽 패널(8)을 그대로 이용할 수 있으므로, 제작공정의 대폭적인 변경도 없고 비용의 상승도 최저한으로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운전실(1)의 주요 골격을 형성하는 필러(3A, 3B 내지 5A, 5B) 및 지붕(6)에만 보강재(30, 40, 50, 60)를 설치하도록 하였으므로, 보강재 사용에 의한 중량의 증가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 있고, 동작성능 등에 악영향을 미치게 하는 일도 없다.
제 1 필러(3A)에 설치된 세로 보강재(30)의 형상을 도 3에 나타냈으나, 세로 보강재(30)의 형상은 도 10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은 것이어도 되며, 이것에 대하여 이하에 설명한다.
도 10에서는, 단면 대략 ㄷ자 형상을 가지는 세로 보강재(31)는, 안쪽으로 팽출된 안쪽 패널(7)과 바깥쪽으로 팽출된 바깥쪽 패널(8)의 운전실 전후 방향의 접합부에서 이간되어 2개소에서 끼워져 설치되어 있다. 도 11도 도 10과 마찬가지로, 세로 보강재(32)는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의 접합부에서 끼워져 설치되어 있으나,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의 앞쪽 형상이 도 10과는 다르다. 도 10, 11과 같이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 사이에 세로 보강재(31, 32)를 끼워 설치함으로써,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을 접합할 때에 세로 보강재(31, 32)를 동시에 접합할 수 있어 운전실의 제작공정을 단축할 수 있다.
도 12에서는, 세로 보강재(33)의 뒤쪽 끝단이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의 접합부에 끼워져 설치되고, 그 앞쪽 끝단은 팽출된 안쪽 패널(7)의 내면에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은 세로 보강재(33)를 설치함으로써, 필러 내에 세로 보강재(33)의 접합부가 가려지기 때문에 미관적으로 좋은 것이 된다.
도 13에서는,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 사이에 설치된 중공부(3C) 바깥에, 이 중공부(3C)에 인접된 다른 중공부(3D)가 형성되도록, 바깥쪽 패널(8)의 외면에 세로 보강재(34)가 접합되어 있다. 이와 같이 바깥쪽 패널(8)의 바깥쪽면에 세로 보강재(34)를 설치함으로써, 현존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에 있어서도 간단하게 보강재를 사용한 구조로 할 수 있다.
도 14에서는, 안쪽 패널(7)과 바깥쪽 패널(8) 사이에 설치된 중공부(3C) 내에서, 안쪽 패널(7)의 내면 및 바깥쪽 패널(8)의 내면에 각각 세로 보강재(35, 36)의 앞뒤 끝단부가 접합되고, 중공부(3C)는 3분할되어 있다. 이와 같이 중공부(3C)에 2매의 세로 보강재(35, 36)를 설치함으로써, 제 1 필러(3A)의 단면계수는 더욱 커지고 운전실의 강도는 한층더 향상된다.
또한, 보강재(30, 40, 50, 60)의 형상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단면계수를 향상시키는 것이라면 상기한 것 이외의 다른 형상이더라도 좋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쪽 패널(7) 및 세로 보강부재(9)는 바깥쪽 패널(8)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하였으나,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쪽 패널(7) 및 세로 보강부재(40)의 아래쪽 부분이 운전실 안쪽으로 만곡되도록 해도 된다. 즉, 운전실의 바닥면 부근(운전실 측면의 낮은 부분)의 단면계수를 크게 하였으므로, 바닥면 부근에 생기는 과대한 굽힘응력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운전실(1)의 측면 위쪽에 부하되는 전도하중(F)에 대한 운전실 프레임(FR)의 구부림 강성은 한층더 향상된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운전실(1)에 세로 보강재(30, 40, 50)와 가로 보강재(60)를 설치하도록 하였으나, 필러부(3A, 3B 내지 5A, 5B)에 세로 보강재(30, 40, 50)만, 또는 제 2 필러(4A)의 위쪽 수직 방향 단면도인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가로 보강재(60)만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한, 운전실의 다른 프레임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인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지붕(6)의 위쪽에 각 필러(3A, 3B 내지 5A, 5B)의 보강재(30, 40, 50, 60)에 의하여 지지된 지붕가드(11)가 배치되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지붕(6)의 강성은 한층더 높아지며, 위쪽으로부터의 낙하물에 대해서도 충분한 운전실 강도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보강재(30, 40, 50)와 가로 보강재(60)는, 베이스 플레이트(2)로부터 운전실(1)의 측면, 윗면에 걸쳐 좌우로 연속하여 설치되도록 하였으나, 연속한 것이 아니어도 되고, 강도상 필요한 개소에만 단속적으로 설치되도록 해도 된다. 따라서, 베이스 플레이트(2)와 보강재(30, 40, 50)는 반드시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이간되어 있어도 된다. 또, 안쪽 패널(7), 바깥쪽 패널(8), 보강재(30, 40, 50, 60) 등의 접합에 있어서는, 용접, 납땜, 접착제, 볼트너트, 리벳 고정 등의 각종 수법을 생각할 수 있다.
또, 상기의 실시형태에서는, 세로 보강재(30, 40, 50)를 필러부(3A, 3B 내지 5A, 5B)에 각각 설치하는 예로 설명하였으나, 반드시 모두에 설치할 필요는 없고 어느 1세트의 필러부(3A, 3B 내지 5A, 5B)에 설치하는 것만으로도 되고, 어느 2세트의 필러부(3A, 3B 내지 5A, 5B)에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또, 운전실 앞면은 프론트 패널(9)에 의하여, 뒷면은 리어 패널(10)에 의하여 어느 정도의 강도가 유지되기 때문에, 그와 같은 패널이 없는 한가운데의 필러부(4A, 4C)에만 보강판(40)을 설치하도록 해도 된다. 이에 따라, 적은 부재로 효과적으로 운전실 강도의 향상이 도모된다. 또한, 운전자에게 가장 가까운 부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어, 안전면의 향상에 있어서도 효율적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기존 운전실의 필러 형상을 대폭 변경하지 않고, 효과적으로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의 운전실을 제공하는 효과를 갖게 된다.

Claims (20)

  1. 서로 접합된 바깥쪽 패널과 안쪽 패널에 의하여 중공 형상 필러부를 형성하고, 이 중공 형상 필러부를 운전실 구조체로 한 건설기계의 운전실은, 상기한 중공 형상 필러부의 내부공간을 분할하도록 상기한 바깥쪽 패널 및/또는 상기한 안쪽 패널에 접합된, 얇은 판자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공 형상 필러부의 굽힘응력을 완화하도록, 상기한 운전실 구조체의 바닥면에 가까워질수록 상기한 중공 형상 필러부의 단면계수를 크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의 바닥부를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에 상기 보강재가 접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의 바닥부를 이루는 베이스 플레이트와 상기 보강재가 이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공 형상 필러부는 가늘고 긴 공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한 가늘고 긴 공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상기 보강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의 앞면 좌우 끝단부, 뒷면 좌우 끝단부 및 이들 앞뒷면 좌우 끝단부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좌우 끝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좌우 끝단부에 상기한 중공 형상 필러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8. 서로 접합된 바깥쪽 패널과 안쪽 패널에 의하여 중공 형상 필러부를 형성하고, 이 중공 형상 필러부를 운전실 구조체로 한 건설기계의 운전실은, 상기한 중공 형상 필러부의 내부공간의 바깥에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상기한 중공 형상 필러부의 바깥쪽에 접합된, 얇은 판자 형상의 적어도 하나의 보강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의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10. 서로 접합된 바깥쪽 패널과 안쪽 패널에 의하여 중공 형상 필러부를 형성하고, 이 중공 형상 필러부를 운전실 구조체로 한 건설기계의 운전실은, 상기 운전실의 앞면과 뒷면의 중간부의 좌우 끝단부에 설치된 중간 중공 형상 필러부와,
    상기한 중간 중공 형상 필러부의 내부에 설치된 보강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얇은 판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재는, 단면 형상이 대략 ㄷ자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13. 서로 접합된 바깥쪽 패널과 안쪽 패널에 의하여 중공 형상 필러부를 형성하고, 이 중공 형상 필러부 위쪽에 지붕을 가지는 운전실 구조체로 이루어지는 건설기계의 운전실은, 상기 운전실의 좌우로 뻗어 있어 상기 지붕과의 사이에 중공부를 형성하도록 상기 지붕에 접합된 지붕용 보강재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공 형상 필러부에는, 필러용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필러용 보강재와 상기한 지붕용 보강재를 접합하여 일체 구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16.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붕용 보강재는 얇은 판자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한 지붕용 보강재는 단면형상이 대략 ㄷ자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18.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운전실의 앞면 좌우 끝단부, 뒷면 좌우 끝단부 및 이들 앞뒷면 좌우 끝단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중간 좌우 끝단부 중 적어도 하나의 좌우 끝단부에 상기한 중공 형상 필러부를 설치하고, 한 쌍의 상기한 중공 형상 필러부의 상단 사이에 상기한 지붕용 보강재를 가로로 걸쳐놓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한 중공 형상 필러부에는, 필러용 보강재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20. 제 19 항에 있어서,
    상기한 필러용 보강재와 상기한 지붕용 보강재를 접합하여 일체 구조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운전실.
KR1019980052716A 1997-12-04 1998-12-03 건설기계의 운전실 KR10028360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446397A JP3474417B2 (ja) 1997-12-04 1997-12-04 建設機械の運転室
JP9-334463 1997-12-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62749A KR19990062749A (ko) 1999-07-26
KR100283607B1 true KR100283607B1 (ko) 2001-03-02

Family

ID=1827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2716A KR100283607B1 (ko) 1997-12-04 1998-12-03 건설기계의 운전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6209949B1 (ko)
EP (2) EP0921055B1 (ko)
JP (1) JP3474417B2 (ko)
KR (1) KR100283607B1 (ko)
CN (1) CN1092738C (ko)
DE (2) DE69831276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509888C2 (sv) * 1997-06-10 1999-03-15 Ssab Hardtech Ab Sidostolpe för fordonskaross
US6672415B1 (en) * 1999-05-26 2004-01-06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Moving object with fuel cells incorporated therein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010087448A (ko) * 1999-12-31 2001-09-21 이계안 자동차의 리어엔드 크로스멤버 보강구조
JP3747733B2 (ja) * 2000-03-28 2006-02-22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運転室
CN1140676C (zh) * 2000-09-18 2004-03-03 日立建机株式会社 施工机械用驾驶室
AU759661B2 (en) * 2000-09-18 2003-04-17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Cab for construction machinery
DE10126234B4 (de) 2001-05-30 2005-03-24 Dr.Ing.H.C. F. Porsche Ag Aufbaustruktur für ein Kraftfahrzeug mit zusammengesetzten Trägern
US6619729B2 (en) * 2001-06-07 2003-09-16 Mazda Motor Corporation Side body structure of vehicle
DE10133454A1 (de) * 2001-07-10 2003-01-30 Benteler Automobiltechnik Gmbh Sicherheitseinrichtung für Kraftfahrzeuge
US6572179B2 (en) * 2001-10-12 2003-06-03 Clark Equipment Company Side panel assembly for wheeled work machine
DE10212990B4 (de) 2002-03-22 2004-06-17 Webasto Product International Gmbh Dachrahmen eines öffnungsfähigen Fahrzeugdaches
JP2004042739A (ja) 2002-07-10 2004-02-12 Komatsu Ltd 作業車両における運転室
JP4397147B2 (ja) 2002-07-10 2010-01-1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作業車両の運転室
US7140670B2 (en) * 2003-08-19 2006-11-28 Custom Products Of Litchfield Interconnection system for overhead frame structures
DE502004005381D1 (de) * 2003-08-27 2007-12-13 Thyssenkrupp Steel Ag Säule in einer tragstruktur eines kraftfahrzeugs in spacefra me-bauweise
WO2005025965A2 (ja) * 2003-09-09 2005-03-24 Komatsu Mfg Co Ltd 建設機械のキャブ
JP4470494B2 (ja) * 2004-01-13 2010-06-02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構造
JP2005219634A (ja) * 2004-02-05 2005-08-18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DE102004012879A1 (de) * 2004-03-16 2005-10-06 Daimlerchrysler Ag Hochdach für ein Fahrerhaus
GB2412088B (en) 2004-03-19 2007-09-19 Zipher Ltd Liquid supply system
JP4673004B2 (ja) * 2004-06-03 2011-04-2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7712824B2 (en) 2004-07-16 2010-05-11 Komatsu Ltd. Cab for construction machine
US20060017308A1 (en) * 2004-07-22 2006-01-26 Kobelco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Driver's cabin of construction machine
JP2006088924A (ja) * 2004-09-24 2006-04-06 Mitsubishi Automob Eng Co Ltd 車体構造
DE102005009162A1 (de) * 2005-02-25 2006-09-07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raftfahrzeug mit einem Seitenschweller
JP4801913B2 (ja) * 2005-03-07 2011-10-26 プレス工業株式会社 建設機械用キャビン
US7152914B2 (en) * 2005-03-21 2006-12-26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Inc. Vehicle center pillar structure
JP2006290103A (ja) * 2005-04-08 2006-10-26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のキャノピ構造
JP2006298237A (ja) * 2005-04-22 2006-11-02 Shin Caterpillar Mitsubishi Ltd 建設機械のキャノピ構造
KR100689292B1 (ko) * 2005-06-01 2007-03-02 볼보 컨스트럭션 이키프먼트 홀딩 스웨덴 에이비 중장비 운전실에 장착되는 운전자 보호구조물
JP2006335259A (ja) * 2005-06-03 2006-12-14 Kyowa Sangyo Kk 作業車のキャビン構造
JP2007106286A (ja) * 2005-10-14 2007-04-26 Kobelco Contstruction Machinery Ltd 作業機械のキャブ
US20070163121A1 (en) * 2006-01-19 2007-07-19 Shiloh Industries, Inc. Metal fram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DE102006045494A1 (de) * 2006-09-27 2008-04-03 Bayerische Motoren Werke Ag Karosserie für ein Kraftfahrzeug
JP5019922B2 (ja) 2007-03-26 2012-09-05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補強構造および作業機械用キャブ
JP5157403B2 (ja) * 2007-12-05 2013-03-06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上部体及びこれを備えた建設機械
ATE529318T1 (de) * 2007-12-19 2011-11-15 Honda Motor Co Ltd Seitenstrukturteil eines fahrzeugs
US9235644B2 (en) * 2008-07-14 2016-01-12 Qualcomm Incorporated Operator, device and platform independent aggregation, cross-platform translation, enablement and distribution of user activity catalogs
US7758107B2 (en) * 2008-07-29 2010-07-20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Dual cell body side rail for automotive vehicles
JP4906132B2 (ja) * 2009-04-22 2012-03-28 キャタピラージャパン株式会社 建設機械におけるキャブ
JP2009287391A (ja) * 2009-09-08 2009-12-10 Hitachi Constr Mach Co Ltd 建設機械
US8491045B2 (en) * 2010-01-29 2013-07-23 Nissan North America, Inc. Vehicle body side structure
JP5872566B2 (ja) * 2010-10-20 2016-03-01 ボルボ コンストラクション イクイップメント アーベー 建設機械用転覆防止構造のキャブ
WO2012114878A1 (ja) * 2011-02-24 2012-08-30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US8702154B1 (en) * 2013-02-07 2014-04-22 Caterpillar Inc. Cab frame with integrated rollover protective structure
ITMO20130161A1 (it) * 2013-06-04 2014-12-05 Cnh Italia Spa Cabina per un veicolo.
US9174680B2 (en) * 2013-10-24 2015-11-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ormation in hollow extruded vehicle frame component for subassembly attachment and method of forming the same
US9027989B1 (en) * 2013-10-24 2015-05-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Extruded body component with notched flange to reduce strain in bending
USD732261S1 (en) * 2014-02-10 2015-06-16 Src Innovations, Llc Bagging machine cabin
JP6020484B2 (ja) * 2014-02-17 2016-11-0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作業機械のフロア部材、および作業機械
CN104093914B (zh) * 2014-03-28 2016-05-25 株式会社小松制作所 驾驶部和作业车辆
DE102014209816A1 (de) * 2014-05-22 2015-11-26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Türsäule einer Kraftwagenkarosserie in Schalenbauweise
USD747839S1 (en) * 2014-07-29 2016-01-19 Crown Equipment Corporation Fork lift truck
USD746013S1 (en) * 2014-07-29 2015-12-22 Crown Equipment Corporation Overhead guard for a lift truck
USD747840S1 (en) * 2014-07-29 2016-01-19 Crown Equipment Corporation Fork lift truck
USD748563S1 (en) * 2014-09-26 2016-02-02 Kubota Corporation Cabin for construction equipment
WO2018113963A1 (en) * 2016-12-21 2018-06-28 Arcelormittal Reinforcement structure for the back face of a vehicle compartment
WO2018151636A1 (en) * 2017-02-15 2018-08-23 Volvo Construction Equipment Ab A post for a cab of a vehicle
KR102440609B1 (ko) * 2017-12-27 2022-09-05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측방 차체 보강구조
JP7195105B2 (ja) * 2018-10-09 2022-12-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及び作業機械
JP1655685S (ko) * 2019-07-05 2020-03-23
JP7473305B2 (ja) * 2019-07-10 2024-04-23 株式会社小松製作所 キャブおよび作業車両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104455A1 (de) * 1971-01-30 1972-08-17 Daimler-Benz Ag, 7000 Stuttgart Tragwerk für Personenkraftwagen
GB1572155A (en) * 1975-12-12 1980-07-23 Massey Ferguson Services Nv Roll-over protective structure for vehicles and method of construction therefor
US4252364A (en) * 1977-07-05 1981-02-24 Mitsubishi Jidosha Kogyo Kabushiki Kaisha Outer panel construction for a vehicle or the like
JPS5945550B2 (ja) * 1979-02-28 1984-11-0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車体補強構造
US4550948A (en) * 1983-09-12 1985-11-05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Reinforced side door support structure
JPS6126679U (ja) * 1984-07-23 1986-02-17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ピラ−構造
US4669565A (en) * 1984-12-20 1987-06-02 Kubota, Ltd. Agricultural tractor with a driver's cabin
DE3810268A1 (de) * 1987-03-26 1988-10-13 Nissan Motor Dachanordnung fuer eine fahrzeugkarosserie in modulbauweise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dachanordnung fuer eine fahrzeugkarosserie in modulbauweise
DE3918283C1 (ko) * 1989-06-05 1990-05-31 Audi Ag, 8070 Ingolstadt, De
DE69226196T2 (de) * 1991-10-18 1999-01-07 Komatsu Mfg Co Ltd Fahrerhaus fuer eine planierraupe
US5388885A (en) * 1993-02-01 1995-02-14 General Motors Corporation Body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US5560672A (en) * 1993-12-27 1996-10-01 Ford Motor Company Energy absorbing beam
DE69503685T2 (de) * 1994-04-11 1998-12-24 Ford Werke Ag Struktur einer energieabsorbierenden Säule für Kraftfahrzeuge
JPH07315247A (ja) * 1994-05-24 1995-12-05 Honda Motor Co Ltd 車両の構造部材
JP3422574B2 (ja) * 1994-08-31 2003-06-30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車体の側面衝突対策構造
JP3697557B2 (ja) * 1994-10-15 2005-09-21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DE4446046C1 (de) * 1994-12-22 1995-12-21 Man Nutzfahrzeuge Ag Kippbares Fahrerhaus eines Frontlenker-Lastkraftwagens
JPH0925648A (ja) 1995-07-12 1997-01-28 Komatsu Ltd 作業車両のキャブ構造
JP3430727B2 (ja) * 1995-09-07 2003-07-28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自動車の後部車体補強構造
JP3796777B2 (ja) * 1995-09-18 2006-07-12 マツダ株式会社 自動車の上部車体構造
US5720510A (en) * 1996-03-28 1998-02-24 Ford Global Technologies, Inc. Energy absorbing vehicle pillar structure
TW556692U (en) 1997-01-31 2003-10-01 Mazda Motor Body structure for vehic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74417B2 (ja) 2003-12-08
US6209949B1 (en) 2001-04-03
EP1369341A2 (en) 2003-12-10
EP0921055B1 (en) 2004-08-18
US6325450B2 (en) 2001-12-04
CN1218863A (zh) 1999-06-09
EP1369341B1 (en) 2005-08-17
EP0921055A2 (en) 1999-06-09
CN1092738C (zh) 2002-10-16
KR19990062749A (ko) 1999-07-26
US20010005092A1 (en) 2001-06-28
DE69831276T2 (de) 2006-06-08
EP1369341A3 (en) 2004-02-04
JPH11166247A (ja) 1999-06-22
EP0921055A3 (en) 2001-03-14
DE69825711T2 (de) 2005-07-14
DE69831276D1 (de) 2005-09-22
DE69825711D1 (de) 2004-09-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83607B1 (ko) 건설기계의 운전실
JP3783546B2 (ja) 車両のサイドシル構造
EP0937631B1 (en) Automobile body frame
KR950010168Y1 (ko) 자동차의 측부차체구조
KR100998455B1 (ko) 차체 하부 구조
KR100552528B1 (ko) 차량의차체구조
US4822096A (en) Front frame structure for vehicle
KR100332567B1 (ko) 건설기계의 운전실
KR20070075335A (ko) 차체 후방부 구조
CN111434569B (zh) 车体下部构造
JP6698393B2 (ja) 車体側部構造
JP5120268B2 (ja) ピラー上部結合構造
JP7289434B2 (ja) 上部車体構造
JP4734294B2 (ja) 車両後部の上側コーナ部のフレーム構造
GB2345671A (en) Fastening arrangement for a door sill of a motor vehicle
CN106882269B (zh) 车身侧边梁与横梁的连接结构
KR100280940B1 (ko) 자동차의 차체 하부 보강구조
JP2007069776A (ja) キャブ用補強部材、キャブおよび作業機械
JPH0885472A (ja) 自動車のフロントサイドフレーム構造
JP4553515B2 (ja) 作業車両のキャブ構造
JP2023143080A (ja) 車両側部構造
JP2009061858A (ja) 自動車のセンターピラー構造
CN115140177A (zh) 车身侧部构造
JP4200360B2 (ja) 車体構造
CN112092912A (zh) 上部车身构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2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18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20

Year of fee payment: 1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