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2436B1 - 전자 사진형 칼라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전자 사진형 칼라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2436B1
KR100272436B1 KR1019970073314A KR19970073314A KR100272436B1 KR 100272436 B1 KR100272436 B1 KR 100272436B1 KR 1019970073314 A KR1019970073314 A KR 1019970073314A KR 19970073314 A KR19970073314 A KR 19970073314A KR 100272436 B1 KR100272436 B1 KR 1002724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age
color mode
mode
toner
bearing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733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64599A (ko
Inventor
하야또 시노하라
Original Assignee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라이 후지오, 캐논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미다라이 후지오
Publication of KR199800645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645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4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4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14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 G03G15/1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 G03G15/1605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 G03G15/161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transferring a pattern to a second base of a toner pattern, e.g. a powder pattern, e.g. magnetic transfer using at least one intermediate support with means for handling the intermediate support, e.g. heating, cleaning, coating with a transfer agent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1/00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 G03G21/0005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by groups G03G13/00 - G03G19/00, e.g. cleaning, elimination of residual charge for removing solid developer or debris from the electrographic recording medium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1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 G03G2215/0167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 G03G2215/0174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for producing multicoloured copies single electrographic recording member plural rotations of recording member to produce multicoloured cop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lor Electrophotography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 Cleaning In Electrography (AREA)
  • Electrostatic Charge, Transfer And Separation In Electrograph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 사진 시스템에 의해 화상 베어링 부재 상에 단색 모드 및 풀 칼라 모드의 화상을 형성하는 칼라 화상 형성 장치를 크리닝함으로써 화상 베어링 부재를 보호하고, 화상 베어링 부재 상의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크리닝 수단의 잉여 동작 시간을 제거하여, 화상 형성 속도의 개선을 가능하게 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전자 사진형 칼라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칼라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사 장치 또는 프린터로 사용되는 전자 사진형의 칼라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는, 중간 전사 부재를 갖는 칼라 화상 형성 장치는 화상 형성 조건에 의해 가변적으로 제어가능한 중간 전사 부재에 대한 크리닝 시간을 정하지 않고, 그 최악의 경우를 상정하여 크리닝 시간을 결정하며, 그 결정에 따라 크리닝을 수행하였다. 특히, 연속 프린팅의 중간에 풀(full) 칼라 모드 프린팅과 단색 모드 프린팅이 혼재된 칼라 모드의 혼합이 가능한 프린터에 있어서, 프린터를 제어하는 호스트 컴퓨터가 명령하는 칼라 조건은 불확정이다. 그러므로, 중간 전사 부재의 크리닝의 양에 있어서, 풀 칼라 모드에 의한 연속 프린팅의 최대 프린트 매수는 자연히 최악의 경우로 상정되고, 칼라 모드 및 프린트 매수에 있어서도, 크리닝의 효과는 확실히 발휘되어, 다음 프린팅의 품질을 보장한다.
그러나, 연속 프린팅 중에 풀 칼라 모드 및 단색 모드의 혼재를 허용하고 최악의 경우를 상정하여 크리닝 시간을 제어하는 종래 기술에 따른 프린터에 있어서, 단색 프린팅 중에도 크리닝이 수행될 때마다 다음 프린팅까지 최악의 경우에 결정된 크리닝 시간 동안 동작자는 대기 할 필요가 있다. 또한, 프린터에 있어서, 실제 사용 상황을 고려한 현실적 수명이 설정될 수 없고, 부품 선택에 있어서 요구 수명을 과도하게 설정할 필요가 있다. 또한, 크리닝 방법에 따라, 잡음이 생성되고, 원래는 짧은 단색 모드의 프린팅 동안에도 잡음은 풀 칼라 모드에 의한 프린팅 시간에 대응하는 긴 크리닝 시간 동안 생성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단색 모드 프린팅 및 풀 칼라 모드 프린팅의 실제 상황을 고려하여 크리닝 시간을 결정할 수 있는 전자 사진 방식의 칼라 화상 형성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는 본 발명은 전자 사진 시스템에 의해 단색 모드 및 풀 칼라 모드에서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화상 형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장치는 선정 칼라 모드로 화상 베어링 부재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수단, 토너 화상을 전사 부재로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 전사 이후에 화상 베어링 부재 상에 남아있는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크리닝 수단, 선택된 칼라 모드의 종류를 감지하기 위한 칼라 모드 감지 수단, 및 칼라 모드의 감지된 종류를 기준으로 크리닝 수단이 화상 베어링 부재를 크리닝하는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수단을 가진다. 결정 수단은 풀 칼라 모드보다 단색 모드에 대해 크리닝 수단의 수행 시간을 짧게 설정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자-사진 시스템에 의해 화상 베어링 부재 상에 단색 모드 및 풀 칼라 모드의 화상을 형성하는 칼라 화상 형성 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방법은 선정 칼라 모드로 상기 화상 베어링 부재 상에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전사 부재로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단계, 상기 전사 이후에 화상 베어링 부재 상에 남아있는 토너를 제거하는 크리닝 단계, 선택된 칼라 모드의 종류를 감지하는 칼라 모드 감지 단계, 및 상기 칼라 모드의 감지된 종류를 기준으로 상기 크리닝 수단이 상기 화상 베어링 부재를 크리닝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를 가진다. 상기 결정 단계는 풀 칼라 모드보다는 단색 모드에 대해 크리닝 수단의 수행 시간을 짧게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일반적 구조를 도시하는 도면.
도 2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내의 크리닝 수단을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엔진부의 개략적인 시스템도.
도 4a는 단색 모드의 연속 프린팅의 경우 크리닝 공정의 시간 흐름도.
도 4b는 풀 칼라 모드의 연속 프린팅의 경우 크리닝 공정의 시간 흐름도.
도 5는 도 4a 및 도 4b의 시간 흐름도에 따른 단색 모드 및 풀 칼라 모드의 연속 프린팅 이후의 크리닝 공정의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크리닝 공정의 시간 흐름도.
도 7은 도 6의 경우의 연속 프린팅의 마지막에 수행된 크리닝 공정의 흐름도.
도 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크리닝 공정의 시간 흐름도.
도 9는 도 8의 시간 흐름도에 의한 연속 프린팅 동안 수행된 크리닝 공정의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전사재
9 : 전사 부재
10 : 전사 벨트
38 : 크리닝 수단
39 : 크리닝 브러시
40 : 폐 토너 탱크
(제1 실시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도 1을 참조로 아래에 설명된다.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는 칼라 레이저 프린터를 포함하는데, 여기서 아래에 설명된 구조를 가지는 화상 형성부에 의해 현상(develope)되고 중간 전사 부재(11)로 전사되는 칼라 화상은 급송부(feeding portion: 1)로부터 급송된 전사재(transfer material: 2)로 전사되어 칼라 화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전사재(2)는 정착부(fixating portion: 25)로 반송되어 전사재(2) 상에 칼라 화상을 정착하고, 배출 롤러(discharge roller)에 의해 프린터 본체의 상부 표면 상의 배출부(37)로 배출된다. 화상 형성부는 고정 블랙 현상기 및 프린터 본체에 대해 각각이 제거 가능하게 장착될 수 있는 3개의 회전 가능 칼라 현상기를 포함한다.
화상 형성부로의 노광에 있어서, 화상 신호가 스캐너부(30)로부터 레이저 다이오드로 반송되는 경우, 이러한 레이저 다이오드는 화상 신호에 대응하는 화상광을 다각형 미러(31)로 조사한다. 일정 속도로 회전하는 감광 드럼(15)의 표면이 화상 렌즈(32) 및 반사 미러(33)를 통해 다각형 미러(31)에 의해 반사된 화상광으로 선택적으로 노광되는 구조를 갖는다.
화상 형성부의 각각의 부분의 구조가 아래에 설명된다.
(1) 화상 베어링 부재 유닛
드럼 유닛(13)은 감광 드럼(15) 및 감광 드럼(15)의 홀더의 역할도 하는 크리닝 장치의 용기(14)를 일체적으로 포함하며, 드럼 유닛(13)은 프린트 본체에 대해 착탈 가능하게 지지되고, 감광 드럼(15)의 수명에 따라 용이하게 교체가능하다. 감광 드럼(15)은 직경이 t인 알루미늄 실린더의 외부에 유기적 광도전성 재료층을 인가함에 의해 형성되며, 감광 드럼(15)의 홀더 역할을 하는 크리닝 장치의 용기(14)에 의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크리너 블레이드(16) 및 1차 대전 수단(primary charging means: 17)은 감광 드럼(15)의 주변 상에 배치된다. 또한, 감광 드럼(15)은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후방에 제공된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해 화상 형성 동작과 일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2) 대전 수단
대전 수단(17)은 접촉 대전형이며, 도전성 롤러는 감광 드럼(15)의 주변부 표면과 접촉되고, 전압은 도전성 롤러에 인가되어 감광 드럼(15)의 주변 표면을 균일하게 대전한다.
(3) 감광 드럼(15)에 대한 크리닝 장치
크리너 블레이드(16)은 현상 수단에 의해 감광 드럼 상에 가시화된 토너가 중간 전사 부재(9)로 전사된 이후에 감광 드럼(15)의 주변 표면 상에 남아있는 토너를 제거한다. 크리너 블레이드(16)에 의해 제거된 폐 토너는 용기(14)내에 저장된다. 용기(14)내에 저장된 폐 토너의 양은 보통 감광 드럼(15)의 수명보다 일찍 용기(14)를 충만시키지는 않으며, 따라서 용기(14)는 감광 드럼(15)의 교환 동안 일체적으로 교환된다. 이러한 크리너 블레이드(16)에 의한 감광 드럼의 크리닝은 항상 행해진다.
(4) 현상 수단
현상 수단은 감광 드럼(15)의 주변 표면 상에 형성된 잠상을 가시화하도록, 황색, 자홍색, 청록색 및 흑색의 현상을 행하는 것이 가능한 3개의 회전 가능 현상기(20Y, 20M, 및 20C) 및 블랙 현상기(21B)로 구성된다.
블랙 현상기(21B)는 고정 현상기이며, 슬리브(21BS)는 감광 드럼(15)에 대해 미세한 간격으로 감광 드럼(15)에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고, 감광 드럼(15) 상의 블랙 토너에 의해 가시 화상을 형성한다. 블랙 현상기(21B)는 급송 기구에 의해 용기내의 토너를 슬리브(21BS)로 급송하며, 슬리브(21BS)의 외곽 주변에 대하여 압착된 블레이드(21BB)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슬리브(21BS)의 외곽 주변으로 토너 박막을 도포하고, 토너에 전하를 대전(마찰 전하) 한다. 또한, 슬리브(21BS)로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함으로써, 잠상에 일치하여 감광 드럼(15) 상에 토너 현상을 행한다.
3개의 회전 가능 현상 장치(20Y, 20M, 및 20C)은 샤프트(22) 주위로 회전 이동하도록 샤프트(22) 주위로 회전 가능한 현상 로터리(23) 상에 제거 가능하게 지지되고, 화상부 상의 현상 로터리(23) 상에 지지되며, 현상기의 선정 개체는 감광 드럼(15)에 대향된 위치에서 정지된다. 또한, 슬리브는 그 사이에 미세한 간격만큼 감광 드럼(15)에 대향되도록 위치하고, 다음으로 가상 화상이 감광 드럼(15)의 주위 표면 상에 형성된다. 칼라 화상의 형성 동안, 현상 로터리(23)는 각각의 중간 전사 부재(9)의 1 완전 회전에 대해 1 완전 회전을 수행하고, 현상 공정은 황색 현상기(20Y), 자홍색 현상기(20M), 청록색 현상기(20C) 및 블랙 현상기(21B)의 순서로 수행된다. 그러므로, 중간 전사 부재(9)는 4 완전 회전을 수행하는데, 황색, 자홍색, 청록색 및 흑색의 각 토너에 가시 화상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중간 전사 부재(9) 상에 풀 칼라 화상이 형성된다.
도 1에서, 황색 현상기(20Y)가 감광 드럼(15)에 대향하는 위치에 위치하고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다. 황색 현상 장치(20Y)는 용기내의 토너를 급송 기구에 의해 도포 롤러(20YR)로 급송되고, 토너의 박막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도포 롤러(20YR) 및 슬리브(20YS)의 주변 표면에 압착된 블레이드(20YB)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슬리브(20YSA)의 주변 표면에 도포하며, 토너로 전하를 대전(마찰 대전) 한다.
잠상이 형성된 감광 드럼(15)에 대향하는 슬리브(20YS)에 현상 바이어스를 인가함으로써, 토너 현상은 잠상에 일치하여 감광 드럼(15)에 수행된다. 자홍색 현상기(20M) 및 청록색 현상기(20C)에 있어서, 토너 현상은 상술한 것과 유사한 구조 및 동작에 의해 수행된다.
또한, 각각의 현상 장치가 현상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이동하는 경우, 회전 가능 현상기(20Y, 20M, 및 20C)의 각각의 슬리브는 각각의 칼라 현상 및 프린터 본체에 제공된 각 현상용 고 전압원 및 구동 기구에 접속되어 있고, 전압은 각각의 칼라 현상마다 선택적으로 슬리브에 인가되고, 구동 기구는 슬리브에 접속된다.
(5) 중간 전사 부재
중간 전사 부재(9)(화상 베어링 부재는 칼라 화상 형성 동작 동안 감광 드럼(15)으로부터의 4회의 전사를 수신하도록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며, 전사재(2)를 유지하고 이송하도록 전사 롤러(10)와 협동하여 중간 전사 부재(9) 상의 각각의 칼라 토너 화상을 한번에 전사재(2)로 전사한다. 중간 전사 부재(9)는 180mm의 직경을 가지는 알루미늄 실린더(12)의 외곽 주변이 중 저항 스폰지 또는 중 저항 러버등의 탄성층(11)으로 덮힌다. 중간 전사 부재(9)는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회전되도록 프린터 본체에 일체적으로 고정된 기어(도시 없음)로부터 구동력을 받는다.
(6) 중간 전사 부재(9)용 크리닝 수단
크리닝 수단(38)은 중간 전사 부재(9) 상의 각각의 칼라 토너 화상이 전사재(2)로 전사된 이후에 중간 전사 부재(9)의 주변 표면 상의 나머지 토너를 제거한다.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내의 크리닝 수단(38)를 상세하게 도시한 도 2를 참조로, 전사재(2)가 수송되며, 전사 벨트(10)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9)에 압착된다. 결과적으로, 중간 전사 부재(9) 상의 주 전사된 화상이 전사 벨트(10) 상의 전사재(2) 상에 2차로 전사된다.
크리닝 수단(38)은 중간 전사 부재(9)에 맞물리고 2차 전사 이후에 중간 전사 부재(9) 상의 비전사된 토너를 긁어내는 크리닝 브러시(39) 및 그 내부의 긁혀진 토너를 보유하는 폐 토너 탱크(40)를 포함한다. 크리닝 브러시(39)는 모터(41)로 접속되며, 이 모터(41)에 의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구동된다. 크리닝 브러시(39)는 기구(도시 없음)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9)의 주변 표면으로부터 맞물리거나 이격되도록 설계된다. 맞물림 및 이격의 타이밍은 크리닝 브러시의 구동과 동일한 타이밍이며, 후술한 기계적 제어 CPU(302)에 의해 제어된다.
(7) 용지 급송부
용지 급송부는 전사재(2)를 화상 형성부로 급송하며, 주로 그 내부에 다수의 전사재(2)를 포함하는 카세트(1), 용지 급송 롤러(3), 급송 롤러(4), 다중 급송을 방지하는 지연 롤러(5), 용지 급송 가이드(6) 및 레지스터 롤러(8)로 구성된다. 화상 형성 동안, 시트 급송 롤러(3)는 화상 형성 동작과 일치하여 회전 구동되고, 차례로 카세트(1)내의 전사재(2)를 이산 급송한다. 전사재(2)는 용지 급송 가이드(6)에 의해 가이드되고 반송 롤러(7)를 통해 레지스터 롤러(8)로 도달한다. 레지스터 롤러(8)은 전사재(2)가 화상 형성 동안 대기하도록 하는 비-회전 동작 및 전사재(2)를 선정 순서로 중간 전사 부재(9)로 반송하는 회전 동작을 수행하여, 전사 공정 동안의 화상 및 전사재(2)는 다음 단계에서 정렬된다.
(8) 전사부
전사부는 축운동을 하는 전사 벨트(10)를 포함한다. 전사 벨트(10)는 금속 샤프트가 중 저항 발포 탄성체로 감기고, 수직적으로 축운동을 하며, 구동 기구로 접속되는 구조이다. 4 칼라의 토너 화상이 중간 전사 부재(9) 상에 형성되는 경우, 즉, 중간 전사 부재(9)가 다수회 회전되는 경우, 전사 벨트(10)는 아래에 위치되고, 중간 전사 부재(9)로부터 이격되어 화상은 방해되지 않는다.
4 칼라 토너가 중간 전사 부재(9) 상에 화상을 형성한 이후에, 전사 벨트(10)는 전자재(2)의 반송 경로가 일점 쇄선으로 표시된 것처럼 상위 방향이 되도록 칼라 화상의 전사와 타이밍을 일치시키는 관계로 캠 부재(도시 없음)에 의해 전사재(2)로 상승되며, 전사재(2)를 통해 선정 압력으로 중간 전사 부재(9)에 압착된다. 동시에, 중간 전사 부재(9) 상의 토너 화상을 전사재(2)로 전사하도록 전사 벨트(10)로 바이어스를 인가한다. 중간 전사 부재(9) 및 전사 벨트910)가 각각의 구동 기구에 의해 구동되므로, 사이에 끼인 전사재(2)는 전사 단계로 진행되고 동시에 선정 속도로 도 1에 도시된 것처러 좌측으로 반송되며, 다음 단계인 고정부(25)쪽으로 반송된다.
(9) 고정부
고정부(25)는 도 1에 도시된 것처럼 중간 전사 부재(9)를 통해 전사재(2) 상에 전사되는 회전 가능 현상기(20Y, 20M, 20C) 및 블랙 현상기(21B)에 의해 형성된 토너 화상에 의해 전사재(2)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을 고정한다. 전재재(2)에 열을 전달하기 위한 고정 롤러(26) 및 전사재(2)를 고정 롤러(26)에 압착하기 위한 압력 롤러(27)를 포함한다. 고정 롤러(26) 및 가압 롤러(27)는 그 내부에 각각 히터(28 및 29)를 가지는 중공(hollow) 롤러이며, 회전 구동되는 경우 전사재(2)를 반송하도록 설계된다. 즉, 그 위에 토너 화상을 유지하는 전사재(2)는 고정 롤러(26) 및 가압 롤러(27)에 의해 반송되며, 그 위로 열 및 압력을 가한다. 결과적으로, 토너 화상은 전사재(2) 상에 고정된다.
(10) 화상 형성 동작
상술한 구조의 장치에 의해 화상 형성을 수행하는 동작이 도 1을 참조로 아래에 설명된다.
먼저, 용지 급송 롤러(3)는 카세트910)내의 전사재(2)를 이격하도록 회전되고, 레지스터 롤러(8)로 이를 반송한다. 반면에, 감광 드럼(15) 및 중간 전사 부재(9)는 화살표 방향으로 회전하고, 감광 드럼(15)의 주변 표면은 대전 수단(17) 의해 불균일하게 대전된다. 또한, 황색 화상의 광 인가는 스캐너부(30)에 의해 수행되어, 감광 드럼(15) 상에 황색 잠상을 형성한다.
이러한 잠상의 형성과 동시에, 황색 현상기(20Y)가 구동되고, 감광 드럼(15)의 대전 극성과 동일한 극성의 전압 및 감광 드럼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상이 인가되어, 황색 토너는 감광 드럼(15) 상의 잠상에 고착되어 황색 현상을 수행한다. 상술한 토너의 극성과 반대 극성의 전압이 중간 전사 부재(9)에 인가되어 감광 드럼(15) 상의 황색 토너를 중간 전사 부재(9)로 전사한다.
중간 전사 부재(9)로의 황색 토너의 전사가 상술한 것처럼 중단되는 경우, 현상 로터리(23)는 회전되고, 다음으로 자홍색 현상기(20M)는 회전 이동되고, 감광 드럼(15)에 대향되는 위치에 위치되며, 자홍색 토너가 현상되며 황색 토너와 유사하게 전사된다. 다음으로, 청록색 및 흑색 잠상의 형성 및 현상과 이러한 토너의 중간 전사 부재(9)로의 전사가 이행하여, 4종 즉, 황색, 자홍색, 청록색 및 흑색 토너의 칼라 화상을 중간 전사 부재(9)의 주변 표면 상에 형성한다.
토너에 의한 칼라 화상이 중간 전사 부재(9)의 주변 표면에 형성된 이후에, 레지스터 롤러(8)에서 대기중인 전사 부재(2)는 반송되며, 전사재(2)는 전사 벨트(10)에 의해 중간 전사 부재(9)에 압착된다. 동시에, 토너의 극성에 반대인 바이어스가 중간 전사 부재(9) 상의 토너에 의해 칼라 화상을 전사재(2)로 전사한다. 전사 단계로 진행된 전사재(2)는 중간 전사 부재(9)로부터 이격되고 고정부(25)로 반송되어 토너를 고정한다. 다음으로, 전사재는 프린터 본체의 상부 상의 방전 트레이(37) 상으로 방전되고, 그 화상 베어링 표면은 3 쌍의 방전 롤러(34, 35 및 36)을 통해 아래로 향하여, 화상 형성 동작을 완료한다.
도 3은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의 엔진부의 개략적 시스템도이다. 참조 번호(300)은 엔진을 제어하기 위한 외장 제어기를 갖는 인터페이스 부분인 비디오 인터페이스(비디오 I/F)를 지정하고, 주 제어부(301) 및 화상 처리 GA(309)로 접속된다. 주 제어부(301)는 고정부(306), 센서부(307), 화상 처리 GA(306), 센서부(307), 화상 처리 GA(309), 화상 형성부(308) 및 기계적으로 제어된 CPU(302)에 접속된다. 센서부(307)는 습도 센서, 토너 잔량 검출 센서 등을 포함한다. 화상 처리 GA(309)는 인터페이스(300)로부터 수신된 화상 데이타 상에 γ 보정과 같은 화상 처리를 수행한다. 화상 형성부(308)는 레이저 출력 및 스캐너 모터 등의 화상 출력을 수행한다. 기계적 제어 COU(302)는 서브-CPU로서 기능한다. 기계적 제어 CPU(302)는 후술할 크리닝 수단(38)을 위한 모터(41)과 같은 모터, 센서부(303), 공급 제어부(304) 및 전압 제어부(305)를 제어한다. 참조 번호(310)는 도 1의 화상 형성 장치 전체에 전력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을 표시한다.
도 4a는 단색 모드로 연속 프린팅시의 크리닝의 시간 흐름도이며, 도 4b는 풀 칼라 모드의 연속 프린팅 시의 크리닝의 시간 흐름도이다. 이러한 도면에서, ITOP은 서브-스캐닝 방향의 화상 동기화된 신호이며, 이러한 신호가 도 2의 비디오 인터페이스(200)를 통해 제어기로 전송되는 경우, 제어기는 이러한 신호와 동기화하여 비디오 데이타(IVDO)를 출력한다. 이 도면에서, 2차 전사의 타이밍 및 크리닝 브러시의 구동 타이밍이 같이 도시된다.
풀 칼라 모드(도 4b)의 경우와 비교할 때 단색 모드(도 4a)의 경우 연속 프린팅 이후의 크리닝 시간은 짧은 것을 알 수 있다. 이는 풀 칼라 모드의 경우에, 중간 전사 부재(9)의 경우, 중간 전사 부재(9) 상의 4 칼라(Y, M, C, K)의 형성이 4 완전 회전 이후에 완료된다. 다음으로, 칼라 화상은 전사 벨트(10)에 의해 전사재(2) 상에 일괄적으로 2차 전사되어, Y, M, 및 C에 대한 회전 동안, 크리닝 브러시(39)는 중간 전사 부재(9)로부터 이격되며, 크리닝은 수행되지 않는다. 이와 비교할 때, 단색 모드의 경우, 크리닝 브러시에 의한 크리닝이 중간 전사 부재(9)의 각 1 완전 회전 동안 수행되고, 그러므로 중간 전사 부재(9) 상의 축적된 비전사 토너는 그 양에서 작고, 크리닝 시간은 짧다.
도5는 도4a 및 도4b의 시간 흐름도에 따른 단색 모드 및 풀 칼라 모드의 연속 프린팅 이후의 크리닝 공정의 흐름도이다. 도5의 공정은 기계 제어 CPU(302)에 의해 수행된다.
먼저, 단계(S501)에서, 프린팅 모드가 풀 칼라 모드의 연속 프린팅 인지가 판정된다. 단계(S501)에서, 프린팅 모드가 풀 칼라 모드의 연속 프린팅이 아닌 경우, 크리닝 브러시(39)는 (1회전+α) 시간 동안 회전되고(단계 S502), 이 공정은 종료된다. 여기서, (1회전+α)는 중간 전사 부재(9)가 1회전+α만큼 회전되는 시간을 위미한다(아래에 동일하게 적용됨). 단계(S501)에서, 프린팅 모드가 풀 칼라 모드의 연속 프린팅인 경우, 크리닝 브러시(39)는 (3회전+α) 시간 동안 회전되며(단계 S503), 이 공정은 종료된다.
이러한 제1 실시예에 따르면, 풀 칼라 모드 및 단색 모드가 연속 프린팅 동안 혼재되지 않는다면, 단색 모드의 프린팅 동안의 크리닝 시간은 풀 칼라 모드의 프린팅 시간에 대응하는 장시간의 크리닝 시간으로 설정되지 않고, 실제 사용을 고려한 조건으로 결정된다.
(제2 실시예)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도6 및 도7을 참조로 아래에 설명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는 풀 칼라 모드 및 단색 모드가 연속 프린팅 동안 혼재되지 않을 때의 고정된 값들 중으로부터 크리닝의 양을 선택하는 유형인데, 제2 실시예는 풀 칼라 모드와 단색 모드가 연속 프린팅 동안 혼재되는 경우 크리닝 시간으로서의 변수값을 사용하는 유형인 점에서 제1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기본 구조는 도1 내지 3을 참조로 설명된 제1 실시예의 구조와 동일하며, 설명되지 않는다.
특히, 도6에서, 카운터(N)은 칼라 모드에 가중된 데이타를 가산하는데 사용된다. 카운터(N)은 칼라 모드가 풀 칼라 모드인 경우는 카운트 값으로서 +8을 카운트하고, 칼라 모드가 단색 모드인 경우 +1을 카운트한다. 연속 프린팅의 종료 이후에, 카운터(N)에 의해 가산된 카운트 값에 비례하는 크리닝 시간(T)가 발견된다. 도6의 경우, 풀 칼라 모드에 의한 프린팅은 1회이고, 단색 모드에 의한 프린팅은 4회므로, 카운터(N)에 의해 가산된 값은 8×1+1×4=12이다. 도7에서, 크리닝 브러시(39)의 회전 회수(T)는 카운터(N)의 카운트 값의 함수F(N)으로부터 계산된다. 이러한 공정의 종료 이후에, 카운터(N)의 카운트 값은 클리어된다.
제2 실시예에 따르면, 풀 칼라 모드 프린팅 및 단색 모드 프린팅이 연속 프린팅 동안 혼재되는 경우, 크리닝 시간은 단색 모드의 프린팅 시간 및 풀 칼라 모드의 프린팅 시간의 실제 이용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된다.
(제3 실시예)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가 도8 및 도9를 참조로 아래에 설명된다.
상술한 제2 실시예는 풀 칼라 모드 및 단색 모드가 연속 프린팅 동안 혼재되는 유형이며, 풀 칼라 모드 및 단색 모드가 가중되고, 크리닝 시간이 그 카운트 값을 기준으로 결정되며, 크리닝이 연속 프린팅 이후에 수행된다. 여기서, 제3 실시예는 연속 프린팅 동안 가산된 값이 선정 수를 넘는 경우에 중간 전사 부재(9) 상의 잔류 토너가 다음 화상을 수행할 정도로 축적되었다고 판정되어, 연속 프린팅이 종료되고, 크리닝 공정이 수행되는 점에서 제2 실시예와는 상이하다. 본 발명의 제3 실시예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의 구조는 도1 내지 도3을 참조로 제1 실시예와 동일하며, 설명되지 않는다.
도8에서, 풀 칼라 모드 및 단색 모드가 연속 프린팅 동안 혼재되는 경우, 칼라 모드로 가중된 데이타가 가산된다. 카운터(N)은 칼라 모드로 가중된 이러한 데이타를 가산하는데 사용된다. 카운터(N)은 칼라 모드가 풀 칼라 모드인 경우 카운트 값으로서 +8을 가산하고, 칼라 모드가 단색 모드인 경우 +1을 가산한다. 연속 프린팅 동안 가산된 값이 선정 수를 넘는 경우, 중간 전사 부재(9) 상에 잔류된 토너는 다음 화상을 수행할 만큼 축적되어, 연속 프린팅이 종료되며, 크리닝 공정이 수행된다.
도9에서, 제1 단계(S901)에서, 카운터(N)의 값이 선정 값(Q)에 도달한지가 판정된다. 단계(S901)에서, 카운터(N)의 값이 선정 값(Q)에 도달한 경우, 크리닝 모터(39)는 선정 시간(T) 동안 구동되어, 크리닝 공정을 수행하고(단계 S902), 이 공정을 종료한다. 단계(S901)에서, 카운터(N)의 값이 선정값(Q)에 도달하지 않은 경우, 이러한 공정은 즉시 종료된다. 이러한 공정의 종료 이후에, 카운터(N)의 카운트값은 클리어된다. 크리닝의 종료 이후에, 중단된 연속 프린팅이 재개된다.
제3 실시예에 따르면, 풀 칼라 모드 및 단색 모드가 연속 프린팅 동안 혼재되는 경우, 크리닝 시간은 단색 모드의 프린팅 시간 및 풀 칼라 모드의 프린팅 시간의 실제 사용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중간 전사 부재(9) 상의 잔류 토너는 다음 화상을 수행할 정도의 양으로 축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것처럼,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사진형 칼라 화상 형성 장치 및 전자 사진형 칼라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 결정 수단은 결정 수단에 의해 검출된 칼라 모드의 종류를 기준으로 화상 베어링 부재를 위한 크리닝 공정의 수행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풀 칼라 모드 및 단색 모드가 연속 프린팅 동안 혼재되지 않는 경우, 단색 모드로 프린팅하는 동안의 크리닝 시간은 풀 칼라 모드의 프린팅에 대응하는 장시간 크리닝 시간으로 설정되지 않고, 실제 사용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풀 칼라 모드 및 단색 모드가 연속 프린팅 동안 혼재되는 경우, 크리닝 시간은 단색 모드의 프린팅 시간 및 풀 칼라 모드의 프린팅 시간의 실제 사용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또한, 풀 칼라 모드 및 단색 모드가 연속 프린팅 동안 혼재되는 경우, 크리닝 시간은 단색 모드의 프린팅 시간 및 풀 칼라 모드의 프린팅 시간의 실제 사용 상황을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고, 또한 화상 베어링 부재 상의 잔류 토너가 다음 화상을 수행할 만한 양만큼 축적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Claims (6)

  1. 전자 사진 시스템에 의해 화상 베어링(bearing) 부재 상에 단색 모드 및 풀 칼라 모드의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칼라 화상 형성 장치에 있어서,
    상기 화상 베어링 부재 상에 선정 칼라 모드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기 위한 수단;
    전사재 상에 상기 토너 화상을 전사하기 위한 전사 수단;
    전사 동작 이후에 상기 화상 베어링 부재 상의 잔류 토너를 제거하기 위한 크리닝 수단;
    선택된 칼라 모드의 종류를 검출하기 위한 칼라 모드 검출 수단; 및
    검출된 칼라 모드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크리닝 수단이 상기 화상 베어링 부재를 크리닝하는 시간을 결정하기 위한 결정 수단
    을 포함하되, 상기 결정 수단은 크리닝 수단의 수행 시간을 풀 칼라 모드보다 단색 모드에서 더 짧게 설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 형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베어링 부재는 전자 사진 감광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 형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화상 베어링 부재는, 그 위로 전자 사진 감광 부재 상에 형성된 토너 화상이 전사되고, 상기 전사된 토너를 상기 전사재로 더 전사하는데 사용되는 중간 전사 부재(intermediate transfer memb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 형성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크리닝 수단의 수행 시간은 단색 모드 및 풀 칼라 모드 각각에 대해 가중치를 가지고, 상기 검출 수단은 상기 가중치를 표시하는 값의 가산된 값에 기초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 형성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수단이 상기 가중치의 값이 선정 값을 넘는 것을 결정한 경우, 크리닝 수단이 동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 형성 장치.
  6. 전자 사진 시스템에 의해 화상 베어링 부재 상에 단색 모드 및 풀 칼라 모드의 화상을 형성하는 칼라 화상 형성 방법에 있어서,
    상기 화상 베어링 부재 상에 선정 칼라 모드의 토너 화상을 형성하는 단계;
    전사재로 상기 토너 화상을 전사하는 전사 단계;
    상기 전사 단계 이후에 상기 화상 베어링 부재 상의 잔류 토너를 제거하는 크리닝 단계;
    선택된 칼라 모드의 종류를 검출하는 칼라 모드 검출 단계; 및
    검출된 칼라 모드의 종류에 기초하여, 상기 크리닝 수단이 상기 화상 베어링 부재를 크리닝하는 시간을 결정하는 결정 단계
    를 포함하되,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크리닝 수단의 수행 시간은 풀 칼라 모드보다 단색 모드에서 더 짧게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칼라 화상 형성 방법.
KR1019970073314A 1996-12-26 1997-12-24 전자 사진형 칼라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KR1002724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57177 1996-12-26
JP35717796A JP3294521B2 (ja) 1996-12-26 1996-12-26 電子写真方式カラー画像形成装置及び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64599A KR19980064599A (ko) 1998-10-07
KR100272436B1 true KR100272436B1 (ko) 2000-11-15

Family

ID=184527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73314A KR100272436B1 (ko) 1996-12-26 1997-12-24 전자 사진형 칼라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470154B1 (ko)
EP (1) EP0851317B1 (ko)
JP (1) JP3294521B2 (ko)
KR (1) KR100272436B1 (ko)
CN (1) CN1113276C (ko)
DE (1) DE69729168T2 (ko)
HK (1) HK101156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4726B1 (en) 1996-05-22 2004-10-12 Geovector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electrical devices in response to sensed conditions
JP2005077967A (ja) * 2003-09-03 2005-03-24 Minolta Co Ltd 画像形成装置
KR100565090B1 (ko) * 2004-10-28 2006-03-30 삼성전자주식회사 싱글패스방식 칼라인쇄기의 단색화상인쇄방법
JP4765825B2 (ja) * 2006-08-09 2011-09-07 コニカミノルタビジネステクノロジーズ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137447B2 (ja) * 2012-11-09 2017-05-3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263169A (ja) * 1984-06-11 1985-12-26 Sharp Corp 複写機
JPS6388572A (ja) 1986-10-02 1988-04-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カラ−電子写真方法
JPH0467188A (ja) * 1990-07-07 1992-03-03 Ricoh Co Ltd カラープリンタ
JP2567520B2 (ja) 1990-11-30 1996-12-25 三田工業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US5357318A (en) * 1991-08-19 1994-10-18 Konica Corporation Color image forming apparatus with interchangeable charging and transferring devices
JPH0580676A (ja) * 1991-09-21 1993-04-02 Ricoh Co Ltd 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装置
JPH05313457A (ja) * 1992-05-08 1993-11-26 Ricoh Co Ltd カラー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方法及び装置
JPH0635378A (ja) * 1992-07-21 1994-02-10 Konica Corp 画像形成装置
JPH07168494A (ja) * 1993-12-13 1995-07-04 Fuji Xerox Co Ltd 多色画像形成装置のクリーニング制御装置
JPH08334953A (ja) 1995-06-05 1996-12-17 Canon Inc 画像処理装置
JP3365198B2 (ja) * 1996-03-21 2003-01-08 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851317A3 (en) 1999-01-13
CN1186266A (zh) 1998-07-01
DE69729168T2 (de) 2005-05-25
HK1011563A1 (en) 1999-07-16
JPH10186990A (ja) 1998-07-14
EP0851317B1 (en) 2004-05-19
US6470154B1 (en) 2002-10-22
CN1113276C (zh) 2003-07-02
EP0851317A2 (en) 1998-07-01
JP3294521B2 (ja) 2002-06-24
KR19980064599A (ko) 1998-10-07
DE69729168D1 (de) 2004-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9025814A (ja) 画像形成装置
JP4343324B2 (ja) 画像形成装置
JPH10260618A (ja) 画像形成装置
KR100272436B1 (ko) 전자 사진형 칼라 화상 형성 장치 및 그 방법
JPH1115216A (ja) 画像処理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並びに、記録媒体
JP4422848B2 (ja) 画像形成装置
US6327449B1 (en) Electrophotographic apparatus for forming color image
JP2000112304A (ja) 画像形成装置
JP2013064961A (ja) 画像形成装置
EP1199611A2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02244386A (ja) 画像形成装置
JPH1010955A (ja) 画像形成装置
JP3501640B2 (ja) 多色電子写真画像形成装置
JP2014016567A (ja) 画像形成装置
CN111522211B (zh) 图像形成装置及图像形成装置的控制方法
JP2005316230A (ja) トナー補給装置
US8311433B2 (en) Image forming device including a cleaning member and a method of operating the same
JP2009181115A (ja) 画像形成装置
JP2008197189A (ja) 画像形成装置
US20200110348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JP2022151914A (ja) 画像形成装置
JP2006030863A (ja) 画像形成装置
JPH06324565A (ja) 多色現像装置における現像剤の補給回収方法
JPH096206A (ja) 画像形成装置
JP2000075738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723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