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70433B1 - 가라오케 장치 - Google Patents

가라오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70433B1
KR100270433B1 KR1019960039758A KR19960039758A KR100270433B1 KR 100270433 B1 KR100270433 B1 KR 100270433B1 KR 1019960039758 A KR1019960039758 A KR 1019960039758A KR 19960039758 A KR19960039758 A KR 19960039758A KR 100270433 B1 KR100270433 B1 KR 1002704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sound
harmony
vocal
singing vo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39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17577A (ko
Inventor
유이치 나가타
Original Assignee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우에시마 세이스케, 야마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우에시마 세이스케
Publication of KR9700175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175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04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0433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H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INSTRUMENTS IN WHICH THE TONES ARE GENERATED BY ELECTROMECHANICAL MEANS OR ELECTRONIC GENERATORS, OR IN WHICH THE TONES ARE SYNTHESISED FROM A DATA STORE
    • G10H1/00Details of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 G10H1/36Accompaniment arrangements
    • G10H1/361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 G10H1/366Recording/reproducing of accompaniment for use with an external source, e.g. karaoke systems with means for modifying or correcting the external signal, e.g. pitch correction, reverberation, changing a singer's voi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KSOUND-PRODUCING DEVICES; METHODS OR DEVICES FOR PROTECTING AGAINST, OR FOR DAMPING, NOISE OR OTHER ACOUSTIC WAVES IN GENERAL; 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0Acoustic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0K15/04Sound-producing devic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04Chorus; ensemble; celest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84/00Music
    • Y10S84/26Reverber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Reverberation, Karaoke And Other Acoustics (AREA)
  • Electrophonic Mus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가라오케장치는 가창음성을 수집해서 그 것을 대응 음성신호로 변환하는 픽업장치를 구비한다. 또한 악음발생기는 상기 가창음성을 따르도록 선택된 가라오케 반주사운드를 나타내는 악음신호를 발생한다. 하모니 발생장치는 상기 가창음성사운드와 일치하는 하모니 코러스 사운드를 나타내는 하모니신호를 발생한다. 제 1프로세서장치는 상기 음성신호를 처리해서 상기 수집된 음성사운드에 효과를 부여한다. 제 2프로세서장치는 상기 가창음성으로 부터 독립적으로 상기 하모니코러스 사운드에 다른 효과를 부여한다. 사운드장치는 처리된 음성신호, 처리된 하모니신호 및 발생된 악음신호를 증폭해서 상기 가창음성사운드 및 하모니코러스사운드 및 가라오케 반주사운드를 동시에 발음한다.

Description

가라오케 장치
본 발명은 가창음성과 음악적으로 하모니되는 하모니신호를 발생하는 하모니 장치를 갖춘 가라오케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가라오케분야에서는 가라오케연주를 향상시키도록 마이크로 취입되는 가창 보컬신호에 에코 및 반향 등의 사운드효과를 부여하여 가라오케 사운드를 재생하는 가라오케 장치가 공지되 있다.
최근의 가라오케 장치는 가창음성과 하모니되는 하모니 코러스 신호를 생성하기위한 하모니 장치를 갖추고 있다. 본 출원인은 일본 특원평 7-16181호에 상기의 가라오케 장치를 이미 제안한바 있다. 상기 출원에서 상기 가창음성과 하모니되는 하모니 신호를 발생하는 보컬신호의 피치를 이동시키므로써 하모니 기능이 성취된다. 발생된 하모니 신호는 상기 가창음성과 믹스된다.
상기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에코 및 반향 등의 사운드효과는 입력보컬신호 및 하모니신호를 합하므로써 발생된 오디오신호에 부가된다. 따라서 원래의 보컬신호 및 합성된 하모니 신호에 항상 동일한 사운드효과가 부여된다.
그러나 원래의 보컬신호에 적합한 사운드효과의 타입 및 깊이는 하모니 신호의 그것과 다르다. 예를들면 임의의 타입 또는 깊이를 가지는 사운드효과가 원래의 보컬신호에 적합하지만 상기 효과가 하모니 신호에는 과도하거나 부족할 수도 있다. 한편 임의의 타입 또는 깊이를 가지는 상기 사운드효과가 상기 하모니 신호에는 적합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효과가 보컬신호에는 과도하거나 부족할 수도 있다. 상기 보컬 및 하모니 신호에 맞는 타입 및 깊이를 가지는 사운드 효과가 선택될 수도 있지만 그것은 상기 신호들에 최적의 것으로 선택되지 않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 하모니 신호를 발생 또는 합성하는 신호처리에 수밀리초내지 수십밀리초가 걸려 상기 하모니 신호는 딜레이를 가지고 상기 보컬신호를 뒤따른다. 상기 딜레이를 고려하지 않고 상기 지연 하모니 신호에 동일한 효과의 보컬신호를 부여하면 부자연스러운 하모니 효과가 발생된다. 따라서 싱어는 상기 효과에 의한 방해를 받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의 문제를 해결해서 가라오케 싱어가 가라오케연주시 편안하게 노래할 수 있도록 보컬 및 하모니 신호와 무관하게 최적의 사운드 효과를 제공하는데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장치에 대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가라오케 장치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 하모니 발생장치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가라오케 장치의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의 DSP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제4도는 상기 DSP에 설치된 주파수 응답조정기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제5도는 상기 DSP에 설치된 에코 제어기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제6도는 상기 DSP에 설치된 에코 제어기의 다른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제7도는 상기 DSP에 설치된 반향 제어기의 배열을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
제8(a), 8(b), 및 8(c)도는 마이크를 통해 취입된 주요 보컬신호에 인가된 각종의 사운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9(a), (b) 및 (c)도는 상기 주요 보컬신호와 하모니 되는 하모니 신호에 인가된 각종의 사운드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제10(a) 내지 10(c)도는 가라오케 악음신호에 인가된 각종의 사운드 효과를 나타내는 그래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마이크 2,5,9 : A/D변환기
3,7,10 : DSP 4,8,11 : D/A변환기
6 : 하모니 발생장치 12 : 증폭기
13 : CPU 14 : 키 제어기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가라오케 장치는 가창음성을 수집해서 그것을 대응 보컬신호로 변환하는 픽업장치. 상기 가창음성을 수반하도록 선택된 가라오케 반주음을 나타내는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악음발생장치, 상기 가창음성과 일치하도록 된 하모니 코러스 사운드를 나타내는 하모니 신호를 발생하는 하모니 발생장치, 상기 수집된 가창음성에 효과를 부여하도록 보컬신호를 처리하는 제 1 프로세서 장치, 상기 가창음성과 독립하여 상기 하모니 코러스 사운드에 다른 효과를 부여하도록 상기 보컬신호에서 분리하여 상기 하모니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프로세서 장치, 및 상기 처리된 보컬신호, 하모니 신호 및 상기 발생된 악음신호를 증폭해서 동시에 가창음성, 하모니 코러스 사운드 및 가라오케 반주 사운드를 발생하는 사운드장치를 구비한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가라오케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 블록도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 기술하는 실시예로만 제한되지 않는다. 도 1에서 마이크(1) 등의 픽업장치는 가라오케 싱어의 가창음성을 픽업 또는 수집하여 그것을 전기 보컬신호로 변환해서 그 보컬신호를 출력한다. 상기 보컬신호는 원음처리계 OS 및 하모니신호발생계 HS로 분할된다. 상기 원음처리계 OS에 있어서 A/D(아날로그/디지탈)변환기(2)는 입력된 원음의 보컬신호를 대응 디지탈신호로 변환한다. DSP(3) 형태의 제 1프로세서장치는 상기 A/D변환기(2)에 의해 디지탈화된 보컬신호에 에코, 반향, 및 주파수응답 등의 각종의 사운드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효과가 부여된 보컬신호는 D/A변환기(4)에 의해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하모니신호발생계 HS에 있어서 A/D변환기(5)는 입력보컬신호를 대응 디지탈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A/D변환기로 부터 공급된 디지탈 보컬신호의 피치는 원래의 보컬신호와 음악적으로 하모니되는 하모니 신호를 발생하도록 하모니 발생장치(6)에 의해 천이된다. DSP(7)는 상기 DSP(3)과 유사한 구조의 제 2 프로세서 장치로서 상기 하모니 발생장치(6)에서 발생된 하모니 신호에 각종의 사운드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DSP(7)에 의해 처리 및 효과가 부여된 하모니 신호는 D/A 변환기(8)에로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D/A변환기(8)의 출력은 D/A변환기(4)로 부터 공급된 원래의 보컬신호와 합해진다.
A/D변환기 (9)는 멜로디부와 리듬부로된 가라오케 반주음을 나타내는 악음신호를 대응 디지탈 신호로 변환하는데 상기 멜로디부 및 리듬부는 LD(Laser Disc) 및 CD(Compact Disc) 등의 외부 메모리 매체에 기억된 노래 데이터에 따라 제공된다. DSP(10)형태의 제 3의 프로세서장치는 에코, 반향, 및 주파수 응답 등의 각종의 사운드효과를 A/D변환기(9)로 디지탈화된 악음신호에 부여한다. 그러나 상기 제 3의 DSP(10)의 구조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 1 DSP(3) 및 제 2 DSP(7)의 구조와는 다소 상이하다. DSP(10)으로 처리 및 효과가 부여된 악음신호는 D/A변환기(11)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다. 상기 D/A변환기(11)의 출력은 D/A변환기(4, 8)에서 공급된 신호와 합해진다.
증폭기(12)는 각각의 D/A 변환기(4, 8)로 부터의 출력들에 대한 합성신호를 증폭한다. 즉 상기 증폭기(12) 및 스피커 SP가 사운드 장치를 구성한다.
CPU(13)는 전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며 키 제어기(14)로 부터의 키 입력정보에 응답하여 하모니 발생장치(6) 및 DSP(3, 7 10)를 제어한다. 상기의 키입력정보는 선곡명령, 에코 등의 효과 모드의 지정 및 하모니 동작에 대한 명령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CPU(13)는 악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악음발생장치의 일부를 형성한다. 상기 하모니 발생장치(6)의 상세한 구조는 도 2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모니 발생 장치(6)는 필터(60) 및 피치 변환기(61 내지 64)로 이루어진다. 상기 필터(60)는 원래의 보컬신호의 입력으로 부터 바람직하지 못한 노이즈성분을 제거한다. 상기 피치변환기(61내지 64)는 원래의 가창음성과 잘 하모니되는 하모니 코러스 사운드를 나타내는 하모니 신호를 발생하기 위해 소정의 정도로 상기 필터(60)를 통과한 원래의 음성신호의 피치(주파수)를 천이시킨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4개의 피치변환기(61 내지 64)의 채널을 통해 하모니 코러스 사운드를 발생하므로써 각종의 코드를 가지는 병렬부의 코러스 사운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피치 천이를 제어하기 위한 파라미터는 ROM에 기억될 수 있다. CPU(13)는 상기 ROM으로 부터 파라미터를 판독해서 그것을 피치변환기(61내지 64)에 분배한다.
DSP(3, 7 10)의 구조를 도 3내지 7을 참조하여 이하 기술한다. 원래의 보컬신호를 처리하는 제 1 DSP(3)의 구조는 하모니 신호 상의 신호처리를 다루는 제 2 DSP(7)의 구조와 동일하다. 그러나 상기 악음신호를 다루는 제 3 DSP(10)의 구조는 에코 제어기와 관련한 DSP(3, 7)의 구조와 다르다. 상기의 차이를 이하 기술한다. 따라서 DSP의 일반구조를 일례로서 제 1 DSP(3)를 참조하여 설명하며 DSP(10)의 구조를 에코 제어기와 관련하여 이하 설명한다.
도 3은 DSP(3)의 일실시예를 설명하는 개략 블록도로서 이 도면에서 DSP(3)는 LPS(Low Pass Filter;31), HPF(High Pass Filter;32), 주파수응답조정기(33), 에코 제어기(34), 및 반향제어기(35)를 포함한다. LPF(31), HPF(32)는 고조파 및 저주파 성분을 제거하고 입력신호의 필요한 범위 만을 통과시킨다.
주파수응답조정기(33)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탈필터의 형태로 구성된다. 도 4에서 필터계수 A0, A1, A2, B1, B2는 키제어기(14)가 제공한 키 입력정보에 응답하여 ROM으로 부터 판독된 파라미터에 따라 CPU(13)에 의해 제어된다. 입력 보컬신호는 상기의 파라미터로 특정된 임의의 주파수 응답특성을 가지도록 조정된다.
에코제어기(34)는 또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디지탈 필터의 형태로 구성된다. 도 5에서 입력신호 L 및 R은 감쇠기(51)에 의해 감쇄된 다음 가산기(53)에 의해 차 신호 L-R이 발생된다. 상기 차신호 L-R은 "서라운드(surround)"성분의 조정을 위해 사용되며 필터(54)를 통해 딜레이메모리(55)로 공급된다. 상기 메모리(55)는 입력 보컬신호 용의 딜레이 시간을 발생한다. 이 딜레이 시간은 메모리(55)의 기록/판독 타이밍 사이의 간격에 상단한다. 상기 메모리(55)로 부터 유도된 다르게 딜레이된 신호는 가산기(57)에서 합해진다. 이러한 신호처리에 의해 보컬신호 용으로 소정의 에코패턴이 발생될 수 있다. 상기 딜레이시간은 메모리(55)의 기록/판독타이밍에 따라 제어될 수 있으며 에코레벨은 감쇠기(56)의 계수로 제어된다.
제 3 DSP(10) 의 에코제어기(34')는 도 6과 같이 구성된다. 상기 에코제어기(34')에 있어서 메모리(55)로 부터 지연된 신호는 두 개의 채널 L 및 R로 분할된다. 상기 분할신호 L, R은 각 채널마다 감쇠기 (56L 및 56R)에 의해 서로 독립적으로 감쇄되며 가산기(57L, 57R)에 의해 합해진다. 상기 제어기의 나머지 구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에코제어기(34)의 구조와 같다.
반향제어기(35)는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디지탈 필터의 형태로 구성된다. 이 도면에서 반향패턴은 딜레이(71, 72)의 딜레이시간 및 이득계수 g1, g2를 변경하므로서 제어될 수 있다.
DSP(3, 7, 10) 은 보컬신호, 하모니신호, 악음신호를 서로 분리하여 각각의 하나에 대해 사운드효과신호처리를 제어하기 위해 상이한 파라미터에 따라 CPU(13) 에 의해 제어된다. 이하 본 발명의 가라오케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원래의 보컬신호는 원음처리계OS 및 하모니신호발생계HS로 분리된다. 원음처리계 OS에 있어서 상기 보칼신호는 A/D 변환기에 의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된 다음 제 1 DSP(3)가 주요 가창음성에 적합한 사운드효과를 상기 디지탈보컬신호에 부여한다. 예를들면 상기 주요 보컬신호는 도 8(a)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의 주파수 특성을 가지도록 조어되며 도 8(b) 에 도시한 적합한 에코패턴 및 반향패턴과 합해진다. 상기 효과가 부여된 보컬신호는 D/A변환기(4)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다.
한편 하모니신호발생계HS로 들어간 원래의 보칼신호는 디지탈신호로 변환되며 이어서 보컬신호의 피치가 하모니발생장치(6)에 의해 천이되어 원래의 보컬신호와 하모니되는 하모니신호를 발생한다. 상기 하모니신호는 제 2 DSP(7)에 의해 하모니코러스사운드에 적합한 사운드효과를 받는다. 예를들면 상기 하모니신호는 도 9(a)에 도시된 소정의 주파수특성을 가지도록 조정되고 도 9(b)에 도시한 적합한 에코패턴이 부가된다. 도 9(b)의 에코패턴은 도 8(b)의 에코패턴보다 약하거나 강하게 설정될 수 있다. 그러나 반향패턴은 가창음성신호에서 하모니코러스사운드를 구별하도록 도 9(c) 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모니신호에 인가되지 않는다. 효과가 부여된 하모니신호는 D/A변환기(8)에 의해 아날로그신호로 변환된 다음 D/A 변환기(4)로 부터 출력된 보컬신호와 합해진다.
외부 메모리 매체로 부터 판독된 가라오케 곡데이타에서 재생 즉 발생된 악음신호는 A/D변환기(9)에 의해 디지탈신호로 변환되고 이어서 제 3 DSP(10)가 가라오케반주음에 적합한 사운드효과를 부여한다. 예를들면 악음신호의 주파수특성은 싱어가 가라오케반주의 리듬트랙을 용이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도10(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조정된다. 채널 L, R의 악음신호의 에코패턴의 경우에 도 10(b), 10(c)에 도시한 바와 같이 비교적 짧은 딜레이 시간 및 큰 반복율이 선택된다. 반향패턴의 딜레이 시간은 도 10(d)에 도시한 바와 같이 다소 짧게 조정된다. 효과부여악음신호는 보컬신호 및 하모니신호와 합해진 다음 그 합성오디오신호가 스피커SP를 구동하도록 증폭기(12)에 의해 증폭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가라오케장치에 있어서 마이크(1) 등의 픽업장치는 가창음성을 수집해서 그것을 대응 보컬신호로 변환한다. CPU(13) 등을 포함하는 악음발생장치는 상기 가창음성을 따르도록 선택된 가라오케반주음을 나타내는 악음신호를 발생한다. 하모니발생장치(6)는 상기 가창음성과 일치하는 하모니코러스사운드를 나타내는 하모니신호를 발생한다. DSP(3) 형태의 제 1 프로세서장치는 수집된 가창음성에 음향효과를 부여하도록 보컬신호를 처리한다. DSP(7)형태의 제 2프로세서장치는 상기 보컬신호와 분리하여 하모니신호를 처리하여 가창음성과 독립적으로 하모니코러스사운드에 다른 음향효과를 부여한다. 증폭기(12) 및 스피커SP로 구성된 사운드장치는 처리된 보컬신호와 하모니신호 그리고 생성된 악음신호를 증폭해서 가창음성, 하모니코러스사운드, 가라오케반주음을 동시에 방음한다. 제 1 DSP(3)는 상기 가창음성에 비교적 강한 효과를 부여하며 제 2 DSP(7)는 상기 하모니 코러스사운드에 비교적 약하거나 중간의 효과를 부여한다. 상기 제 1 DSP(3) 및 제 2 DSP(7)는 상기 가창음성과 하모니코러스사운드 사이에서 다른 정도로 에코, 반향 및 주파수응답으로 구성된 그룹에서 선택된 하나의 효과를 부여한다. 가라오케장치는 또한 가창음성과 하모니코러스사운드에서 독립적으로 가라오케반주음에 다른 효과를 부여하도록 보컬신호와 하모니신호에서 분리하여 악음신호를 처리하는 DSP(10)의 형태의 제 3의 프로세서장치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하모니발생장치(6)는 보컬신호의 피치를 천이하여 그것을 하모니신호로 변경한다. 전술한 바와 같이 원래의 보컬신호, 합성하모니신호, 및 발생된 악음신호는 DSP(3, 7, 10)에 의해 각각 처리되는데 상기 DSP들은 CPU(13) 에 의해 독립적으로 제어되어 각각의 신호에 대해 최적의 사운효과가 얻어질 수 있다.
상기 하모니발생장치(6)는 상기 실시예에서 4개의 피치변환기(61내지 64)로 이루어진다. 그러나 피치변환기의 수는 4개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하모니발생장치(6)에 임의 수의 추가 피치변환기가 가산될 수 있다. 네트워크가라오케시스템에 있어서 네트워크를 통해 주 컴퓨터에 의해 분배된 MIDI(Musical Instrument Digital Interface)데이타에 응답하여 악음발생장치에 의해 악음신호가 발생된다. 상기 피치변환기(61 내지 64)를 제어하는 파라미터는 주컴퓨터로 부터 전송된 MIDI데이타에 포함될 수 있다.
상술한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음성신호 및 하모니신호가 서로 독립적으로 다른 종류 및 깊이의 사운드효과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신호에 대해 최적의 사운드효과가 선택될 수 있어서 가라오케싱어가 가라오케 연주시 안락하게 노래할 수 있다.

Claims (10)

  1. 가창음성을 수집해서 그것을 대응 보컬신호로 변환하는 픽업장치; 상기 가창음성을 수반하도록 선택된 가라오케 반주음을 나타내는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악음발생장치; 상기 가창음성과 일치하도록 된 하모니 코러스 사운드를 나타내는 하모니 신호를 발생하는 하모니 발생장치; 상기 수집된 가창음성에 효과를 부여하도록 보컬신호를 처리하는 제 1 프로세서 장치; 상기 가창음성과 독립하여 상기 하모니코러스사운드에 다른 효과를 부여하도록 상기 보컬신호에서 분리하여 상기 하모니 신호를 처리하는 제 2 프로세서 장치; 및 상기 처리된 보컬신호, 하모니신호 및 상기 발생된 악음신호를 증폭해서 동시에 상기 가창음성, 하모니코러스사운드 및 가라오케반주사운드를 발음하는 사운드장치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로세서장치는 상기 가창음성에 비교적 강한 효과를 부여하며 상기 제 2프로세서장치는 상기 하모니코러스사운드에 비교적 약한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프로세서장치 및 제 2프로세서장치는 에코, 반향 및 주파수응답으로 이루어진 일 그룹에서 선택된 효과를 상기 가창음성 및 하모니코러스사운드 사이에 다른 정도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창음성 및 하모니신호에서 독립적으로 상기 가라오케반주음에 다른 효과를 부여하도록 상기 보컬신호 및 상기 하모니신호에서 분리하여 악음신호를 처리하는 제 3프로세서장치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모니발생장치는 상기 보컬신호의 피치를 천이시켜서 상기 보컬신호를 하모니신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장치.
  6. 가창음성을 수집해서 그것을 대응 보컬신호로 변환하는 단계; 상기 가창음성을 수반하도록 선택된 가라오케 반주음을 나타내는 악음신호를 발생하는 악음발생장치; 상기 가창음성과 일치하도록 된 하모니 코러스 사운드를 나타내는 하모니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 상기 수집된 가창음성에 효과를 부여하도록 보컬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상기 가창음성과 독립하여 상기 하모니코러스사운드에 다른 효과를 부여하도록 상기 보컬신호에서 분리하여 상기 하모니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처리된 보컬신호, 하모니신호 및 상기 발생된 악음신호를 증폭해서 동시에 상기 가창음성, 하모니코러스사운드 및 가라오케반주사운드를 발음하는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실행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가창음성에 비교적 강한 효과를 부여하며 상기 하모니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는 상기 하모니코러스사운드에 비교적 약한 효과를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실행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보컬신호를 처리하고 상기 하모니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들은 에코, 반향 및 주파수응답으로 이루어진 일 그룹에서 선택된 효과를 상기 가창음성 및 하모니코러스사운드 사이에 다른 정도로 부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실행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가창음성 및 하모니신호에서 독립적으로 상기 가라오케반주음에 다른 효과를 부여하도록 상기 보컬신호 및 상기 하모니신호에서 분리하여 악음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실행방법.
  10.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하모니신호발생단계는 상기 보컬신호의 피치를 천이시켜서 상기 보컬신호를 하모니신호로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라오케실행방법.
KR1019960039758A 1995-09-13 1996-09-13 가라오케 장치 KR1002704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3579395A JP3183117B2 (ja) 1995-09-13 1995-09-13 カラオケ装置
JP95-235793 1995-09-1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17577A KR970017577A (ko) 1997-04-30
KR100270433B1 true KR100270433B1 (ko) 2000-11-01

Family

ID=169913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39758A KR100270433B1 (ko) 1995-09-13 1996-09-13 가라오케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739452A (ko)
JP (1) JP3183117B2 (ko)
KR (1) KR100270433B1 (ko)
CN (1) CN1154974C (ko)
HK (1) HK1001298A1 (ko)
SG (1) SG46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8598B2 (ja) * 1995-07-31 2004-12-08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114587B2 (ja) * 1995-10-23 2000-12-04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アンプ
JP3952523B2 (ja) * 1996-08-09 2007-08-01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JP3246347B2 (ja) * 1996-08-26 2002-01-15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システム
EP0913808B1 (en) * 1997-10-31 2004-09-29 Yamaha Corporation Audio signal processor with pitch and effect control
JP2000039894A (ja) * 1998-07-24 2000-02-08 Yamaha Corp カラオケ装置
JP4106765B2 (ja) * 1998-09-22 2008-06-25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のマイク信号処理装置
US6114774A (en) * 1998-11-10 2000-09-05 Fiegura; Michael A. Entertainment system for motor vehicles
JP3491553B2 (ja) * 1999-03-02 2004-01-26 ヤマハ株式会社 演奏データ処理装置及びその記録媒体
US7476799B2 (en) * 2004-07-07 2009-01-13 Jeffrey Howard Purchon Sound-effect foot pedal for electric/electronic musical instruments
JP2009086481A (ja) * 2007-10-02 2009-04-23 Pioneer Electronic Corp 音響装置、残響音付加方法、残響音付加プログラム及びその記録媒体
TW200942954A (en) * 2008-04-10 2009-10-16 Coretronic Corp Audio processing system of projector
US8265304B2 (en) * 2009-12-09 2012-09-11 Osborne Gary T Microphone suitable for professional live performance
US9601127B2 (en) * 2010-04-12 2017-03-21 Smule, Inc. Social music system and method with continuous, real-time pitch correction of vocal performance and dry vocal capture for subsequent re-rendering based on selectively applicable vocal effect(s) schedule(s)
US10930256B2 (en) 2010-04-12 2021-02-23 Smule, Inc. Social music system and method with continuous, real-time pitch correction of vocal performance and dry vocal capture for subsequent re-rendering based on selectively applicable vocal effect(s) schedule(s)
US9318086B1 (en) * 2012-09-07 2016-04-19 Jerry A. Miller Musical instrument and vocal effects
KR20150025646A (ko) * 2013-08-29 2015-03-11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원 생성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CN105654932B (zh) * 2014-11-10 2020-12-15 乐融致新电子科技(天津)有限公司 实现卡拉ok应用的系统和方法
CN106653037B (zh) * 2015-11-03 2020-02-14 广州酷狗计算机科技有限公司 音频数据处理方法和装置
CN105827829B (zh) * 2016-03-14 2019-07-26 联想(北京)有限公司 收音方法及电子设备
US10235984B2 (en) * 2017-04-24 2019-03-19 Pilot, Inc. Karaoke device
JP7190284B2 (ja) * 2018-08-28 2022-12-15 ローランド株式会社 ハーモニー生成装置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11916039B (zh) * 2019-05-08 2022-09-23 北京字节跳动网络技术有限公司 音乐文件的处理方法、装置、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128796A (ja) * 1990-09-19 1992-04-30 Brother Ind Ltd 音楽再生装置
JP3068226B2 (ja) * 1991-02-27 2000-07-24 株式会社リコス バックコーラス合成装置
JPH05341793A (ja) * 1991-04-19 1993-12-24 Pioneer Electron Corp カラオケ演奏装置
JP3072452B2 (ja) * 1993-03-19 2000-07-31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US5518408A (en) * 1993-04-06 1996-05-21 Yamaha Corporation Karaoke apparatus sounding instrumental accompaniment and back chorus
JP2947032B2 (ja) * 1993-11-16 1999-09-13 ヤマハ株式会社 カラオケ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53963A (zh) 1997-07-09
KR970017577A (ko) 1997-04-30
CN1154974C (zh) 2004-06-23
SG46759A1 (en) 1998-02-20
HK1001298A1 (en) 1998-06-12
JP3183117B2 (ja) 2001-07-03
JPH0981167A (ja) 1997-03-28
US5739452A (en) 1998-04-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70433B1 (ko) 가라오케 장치
US5621182A (en) Karaoke apparatus converting singing voice into model voice
KR100270434B1 (ko) 생음성의 음역을 검출하여 하모니음성을 조절하는 가라오케 장치
KR100267662B1 (ko) 음성사운드로부터 유도된 합창사운드를 발생하는 하모니 합창장치
US5703311A (en) Electronic musical apparatus for synthesizing vocal sounds using format sound synthesis techniques
KR100283134B1 (ko) 악곡과 매칭되는 음성 효과를 생성하는 가라오케 장치 및 방법
US5741992A (en) Musical apparatus creating chorus sound to accompany live vocal sound
US5966687A (en) Vocal pitch corrector
JPH0816169A (ja) サウンド生成方法、サウンド生成装置、及びサウンド生成制御装置
US5862232A (en) Sound pitch converting apparatus
US5902951A (en) Chorus effector with natural fluctuation imported from singing voice
KR980011002A (ko) 음성 신호 처리 장치
JP3279861B2 (ja) 楽音信号発生装置
WO2021175460A1 (en) Method, device and software for applying an audio effect, in particular pitch shifting
KR20040101192A (ko) 내장된 디바이스들에서의 타악기 소리 발생
JP3575730B2 (ja) 歌唱音声合成装置、歌唱音声合成方法および記憶媒体
JP3556997B2 (ja) 電子楽曲発生装置
JP2734797B2 (ja) 電子楽器
JP3648783B2 (ja) 演奏データ処理装置
JP2000010572A (ja) 歌声発生装置およびカラオケ装置
JP3778361B2 (ja) 音源装置および音源装置を備えた電子機器
JP3551000B2 (ja) 自動演奏装置、自動演奏方法及び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媒体
JP3610732B2 (ja) 反響音発生装置
JP3455976B2 (ja) 楽音発生装置
JP3951326B2 (ja) カラオケ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0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19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