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62427B1 -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62427B1
KR100262427B1 KR1019940702799A KR19940702799A KR100262427B1 KR 100262427 B1 KR100262427 B1 KR 100262427B1 KR 1019940702799 A KR1019940702799 A KR 1019940702799A KR 19940702799 A KR19940702799 A KR 19940702799A KR 100262427 B1 KR100262427 B1 KR 10026242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lycidyl
ether
polyol
stabilizer
te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7027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700340A (ko
Inventor
유끼오 오무레
다쯔미 쯔찌야
기요히로 유게
히또시 무라마쯔
Original Assignee
다께다 구이오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우에 노리유끼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께다 구이오, 다케다 야쿠힌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이노우에 노리유끼, 다이낑 고오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께다 구이오
Publication of KR9507003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7003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624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6242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08J9/143Halogen containing compounds
    • C08J9/144Halogen containing compounds containing carbon, halogen and hydrogen only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7/00Preparation of halogenated hydrocarbons
    • C07C17/38Separation; Purification; Stabilisation; Use of additives
    • C07C17/42Use of additives, e.g. for stabilis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19/00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 C07C19/08Acyclic saturated compounds containing halogen atoms containing fluori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61Catalysts containing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18/166, C08G18/18 or C08G18/22
    • C08G18/163Catalysts containing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18/166, C08G18/18 or C08G18/22 covered by C08G18/18 and C08G18/22
    • C08G18/165Catalysts containing two or more components to be covered by at least two of the groups C08G18/166, C08G18/18 or C08G18/22 covered by C08G18/18 and C08G18/22 covered by C08G18/18 and C08G18/2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180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having alkylene polyamin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18Catalysts containing secondary or tertiary amines or salts thereof
    • C08G18/20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 C08G18/2009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containing one heterocyclic ring
    • C08G18/2027Heterocyclic amines; Salts thereof containing one heterocyclic ring having two nitrogen atoms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08Processes
    • C08G18/16Catalysts
    • C08G18/22Catalysts containing metal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40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 C08G18/48Polyethers
    • C08G18/50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 C08G18/5021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 C08G18/5033Polyethers having heteroatoms other than oxygen having nitrogen containing carbocyclic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18/00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 C08G18/06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08G18/28Polymeric products of isocyanates or isothiocyanates with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characterised by the compounds used containing active hydrogen
    • C08G18/65Low-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with high-molecular-weight compounds having active hyd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9/00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 C08J9/0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 C08J9/12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 C08J9/14Working-up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to porous or cellular articles or materials; After-treatment thereof using blowing gases generated by a previously added blowing agent by a physical blowing agent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2110/00Foam properties
    • C08G2110/0025Foam properties rigi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75/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ureas or polyurethanes;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75/04Polyurethan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olyurethanes Or Polyureas (AREA)
  • Manufacture Of Porous Articles, And Recovery And Treatment Of Waste Products (AREA)

Abstract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HCFC-141b)의 분해 생성물의 발생을 실질적으로 방지하면서 발포제로서 HCFC-141b를 이용하여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이 방법은 유기 금속 촉매 및/또는 이미다졸 촉매를 이용하여 HCFC-141b 및 그에 대한 안정화제의 존재하에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의 혼합물을 발포시킴을 포함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발포제로서 안정화제를 포함하는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이하 HCFC-141b로 언급) 및 촉매로서 유기 금속 촉매 및/또는 이미다졸 화합물 촉매를 이용하여 HCFC-141b의 분해를 조절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및 HCFC-141b 유래 분해 생성물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 수득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결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우수한 절연 물질이며 성형성 및 가공성이 매우 우수하다. 그러므로 이들 발포체는 예컨대 냉장고, 빌딩, 저온 창고, 저장 탱크, 냉동선, 파이프 등의 다양한 분야에 절연 물질로서 광범위하게 사용된다. 이들의 열전도성은 매년 개선되어왔다. 현재 이들 발포체는 상업 제품 수준에서 약 0.015 W/mK 정도의 낮은 열 전도성을 가질 수 있으며 상온 부근의 온도에서 사용되는 절연 물질중에서 가장 우수한 절연성을 나타낸다. 그러나 절연 물질이 더욱 낮은 열 전도성을 가져야 한다는 요구 사항은 에너지 절약에 대한 최근의 더욱 높은 요망에 따라 높아만 가고 있다.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있어서, 주성분으로서 폴리올, 촉매, 발포조절제(기포 안정제) 및 발포제를 포함하는 조성물(A)을 주성분으로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포함하는 조성물(B)과 혼합하여 발포 공정 및 경화 공정이 발포체 형성시 함께 진행되는 소위 원-샷(one-shot) 공정을 일반적으로 이용한다.
이와 같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사용되는 발포제의 전형적인 예로는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R-11)을 들 수 있다. R-11은 흔히 물과 함께 사용되는데 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하여 이상화탄소를 형성하는 화학적 발포제이다. 그러나, 기존의 클로로플루오로카본(CFC) 발포제, 전형적으로 R-11은 화학적으로 안정하여, 이제까지 지적한 바와 같이 성층권으로 깊이 분산되어 오존층을 파괴한다. 그 결과, 태양으로부터의 자외선이 오존층에 흡수되지 않고 지표면에 이르게 되어 피부 암 등을 야기시킨다. 이와 같은 현상은 현재 심각한 범-지구적인 환경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이에 1989년부터는 CFC의 사용을 제한하고 있다. 물론 우레탄 발포체 제조에 R-11을 사용하는 것도 통제되고 있다.
따라서 CFC 가스의 대체물로 사용될 수 있는 발포제를 개발하기 위한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예컨대 HCFC-141b 는 CFC 의 유력한 대체눌로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 방법으로 경질 폴리우탄 발포체의 제조에 예컨대 HCFC-141b을 발포제로서 사용할 경우 환원 반응의 결과로서 1-클로로-1-플루오로에탄(이하 HCFC-151a로 언급) 및/또는 탈염화 수소화 반응의 결과로서 1-클로로-1-플루오로에틴(이하 HCFC-1131a로 언급)이 생성된다. 이들 분해 생성물의 독성 및 물성은 아직 여러면에서 밝혀지지 않았으며 따라서 환경에 해를 끼칠 수 있다.
[발명의 개시]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HCFC-141b로부터의 분해 생성물을 실질적으로 형성하지 않으면서 경질 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기술적인 문제점의 측면에서, 본 발명자들은 HCFC-141b로부터 분해 생성물을 생성하지 않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을 개발하기 위하여 많은 연구를 거듭한 결과, 발포제로서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및 그에 대한 안정화제, 및 유기 금속 촉매 및/또는 이미다졸 화합물 촉매의 존재하에 폴리올을 발포용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킬 경우 HCFC-141b로부터 어떠한 분해 생성물도 형성되지 않고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얻을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와 같은 발견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포제로서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 및 그에 대한 안정화제 및 유기 금속 촉매 및/또는 이미다졸 화합물 촉매의 존재하에 폴리올을 발포용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시킴을 포함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될 폴리올은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에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폴리올로서, 예컨대 2 내지 8개의 작용기를 함유하고 약 300 내지 600mg KOH/g의 하이드록실가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2 내지 4개의 작용기를 합유하고 약 250 내지 500mg KOH/g의 하이드록실가를 갖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예컨대 반응성 메틸올 그룹을 갖는 페놀 수지도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폴리올중에서 특히 바람직한 것ㅇ로는 약 300 내지 600mg KOH/g의 하이드록실가를 갖는, 에틸렌 옥사이드 및/또는 프로필렌 옥사이드를 첨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 소르비톨, o-또는 m-톨릴렌디아민 등으로부터 유도된 폴리에테르 폴리올이다.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바람직하게는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이하 TDI로 언급함) 및/또는 하기 일반식으로 표시되는 폴리메틸렌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이하 c-MDI로 언급함)이다 :
상기 식에서, n은 0 내지 6의 정수이다.
c-MDI 및/또는 TDI는 다른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혼합되거나 또는 하이드록실-함유 화합물과의 예비중합체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록실-함유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1개의 작용기를 함유하고 약 32 내지 30의 분자량을 갖는 1가 알콜 및 페놀; 2 또는 3개의 작용성 그룹을 함유하고 약 62 내지 600의 분자량을 갖는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특정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및 디에틸렌 글리콘 모노메틸 에테르와 같은 1가 알콜; 페놀, o-, m- 및 p-크레솔과 같은 페놀;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4-부탄디올 및 1,6-헥산 디올과 같은 디올; 글리세롤 및 트리메틸을 프로판과 같은 트리올; 및 2- 또는 3-작용성 폴리에테르 폴리올,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 또는 3- 작용성 폴리에테르 폴리올의 예로서는 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또는 비스페놀 A와 같은 디올, 글리세롤 또는 트리메틸올프로판과 같은 트리올 등을 개시제로서 이용하여,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등과 같은 하나 이상의 알킬렌 옥사이드를 중합시킴으로써 얻어질 수 있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2- 또는 3-작용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의 예로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1,4-부탄디올 또는 티리메틸올프로판과 같은 폴리을을 아디프산, 숙신산, 말레산 무수물 또는 프탈산과 같은 이카복실산과 축합시켜 수득할 수 있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등을 들 수 있다. 개시제로서 다가 알콜을 이용하여 에틸렌 옥사이드, 프로필렌 옥사이드, 부틸렌 옥사이드 등과 같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킬렌 옥사이드의 중합에 의하여 얻어질 수 있는 폴리에테르 폴리올뿐만 아니라 메틸 글루코사이드, 수크로스, 소르비톨, 둘시톨 등과 같은 다가 알콜 등을 언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HCFC-141b는 발포제로서 사용된다. 이것은 화학적 발포제로서 물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발포제의 양은 원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밀도에 따라 적합하게 선택될 수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발포제는 폴리올 기준으로 약 1 내지 100%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 발포제로서 사용될 수 있는 안정화제로는 탄소원자수 1 내지 8의 니트로알칸, 니트로벤젠, 디니트로벤젠, 트리니트로벤젠, 할로겐화 니트로벤젠, 니트로아니솔, 니트로스티렌, 니트로페놀, 니트로카테콜 등과 같은 니트로 화합물; 헥사디엔, 알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펜타디엔, β-마이르센, 이소프로페닐톨루엔, 디이소프로페닐벤젠, 알로옥시멘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가지는 알케닐-함유 화합물; 1,2-부틸렌 옥사이드, 이소부틸렌 옥사이드, 글리시딜 알릴 에테르, 글리시딜 페닐 에테르, 글리시딜 p-이소프로페닐페닐 에테르, 글리시딜 p-니트로페닐 에테르, 1,3-부타디에닐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푸란카복실레이트, N,N-디글리시딜아닐린 등과 같은 에폭시-함유 화합물;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과 같은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2,6-디-3급-부틸-p-크레솔, 티몰, p-3급-부틸페놀, 유게놀, 이소유게놀,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 3급-부틸카테콜, 2,5-디-3급-부틸하이드로퀴논 등과 같은 페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언급된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이와 같은 니트로 화합물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이중 결합을 포함하는 알케닐-함유 화합물, 에톡시-함유 화합물, 아크릴산 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및 페놀중에서 센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안정화제의 양은 발포 조건 및 기타 조건에 따라 다양하나 발포제를 기준으로 0.1 내지 10중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0.3 내지 6중량% 범위이다. 발포제를 기준으로 0.1 중량% 미만의 안정화제 양은 때때로 HCFC-141b로부터 HCFC-151a의 형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으나 발포제를 기준으로 10중량% 이상의 안정화제 양은 발포체의 성질에 역효과를 미쳐 일부 경우에는 실질적인 개선이 이루어질 수 없다. 안정화제(들)를 미리 HCFC-141b에 용해시키거나 또는 발포제와는 독립적으로 발포시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폴리올 양과 관련한 NCO/OH 비가 1.0 내지 3.0이 되도록 하는 범위내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기존의 발포 조절제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발포 조절제로서 사용되는 것으로는 양이온,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활성제뿐만 아니라 유기폴리실옥산, 유기폴리실옥산-폴리옥시알킬렌 공중합체, 폴리옥시알킬렌 측쇄를 갖는 폴리알케닐실옥산 등과 같은 실리콘형 계면활성제 등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발포 조절제는 폴리올을 기준으로 약 0.2 내지 1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발포는 유기 금속 촉매 및/또는 이미다졸 화합물 촉매를 이용하여 이루어진다. 유기 금속 촉매로는 예컨대 제1주석 옥토에이트, 디부틸틴디라우레이트, 납 옥틸레이트 등과 같은 유기 금속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미다졸 화합물 촉매로는 이미다졸, 1-메틸-이미다졸, 1,2-디메틸이미다졸, 1-메틸-2-프로필-이미다졸, 1-메틸-2-이소부틸이미다졸, 1-n-부틸-2-메틸이미다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촉매는 상기 화합물의 둘 또는 그 이상의 혼합물로서 사용될 수 있다. 촉매는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를 기준으로 약 0.01 내지 20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상기 원재료로부터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제조하는 수단은 원재료를 균일하게 혼합하기에 적합한 장치를 포함하기만 하면 특정하게 제한되지 않는다. 따라서 예컨대 원하는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소규모의 실험실용 혼합기, 발포기 등을 이용하여 상기 원재료를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쉽게 수득될 수 있다.
[발명의 효과]
본 발명에 따라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기존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서, 발포제로서 안정화제-함유 HCFC-141b을 사용하고, 촉매로서 유기 금속 촉매 및/또는 이미다졸 화합물 촉매를 사용할 경우 HCFC-141b를 분해시키지 않고 기존 공정에 의해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를 수득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방법에 의하여 수득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는 HCFC-141b로부터 환원 반응에 의하여 형성되는 HCFC-151a 및 HCFC-141b로부터 탈연화수소화 반응에 의하여 형성되는 HCFC-1131a을 실질적으로 함유하지 않는다.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태양]
이하 비교 실시예 및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실시예에서, 하기의 원재료를 사용하였다 :
폴리올 : 400mg KOH/g 의 하이드록실가를 갖는 o-톨릴렌디아민-계 폴리에테르 폴리올
기포 조절제 : 토레이 실리콘사(Toray Silicone Kabushiki Kaisha)로부터 입수한 실리콘형 기포 조절제 SH-193
촉매 A : 테트라메틸헥사메틸렌디아민
촉매 B : 유기 금속 촉매 ;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TL-1000), 요시토미사(Yoshitomi Pharmaceutical Industries)로부터 입수
촉매 C : 이미다졸 화합물 촉매; 1-n-부틸-2-메틸이미다졸
발포제 : HCFC-141b
안정화제 A : 니트로벤젠
안정화제 B : p-이소프로페닐톨루엔
안정화제 C : 2,6-디-3급-부틸-p-크레솔
안정화제 D : 이소부틸렌 옥사이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 : c-MDI
[표 1]
표 1에 주어진 각 발포체 조성에 따라, 원재료를 20±1℃의 온도로 조정한 다음 5초 동안 고속 교반함으로써 함께 혼합하여 반응을 진행시켰다. 발포후 새성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가스 성분 농도를 기존의 가스 크로마토그래피로 측정하였다.
비교 실시예 1의 결과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발포 직후 및 90℃에서 발포체를 1주 방치한 후 가스분석하면 발포제로서 HCFC-141b를 이용하여 기존 방법에 의해 생성된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에서 HCFC-1131a 및 HCFC-151a이 높은 수준으로 검출되었다.
이와는 대조적으로 비교 실시예 2 및 3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촉매로서 유기 금속 촉매 및/또는 이미다졸 화합물 촉매를 사용하면 HCFC-1131a가 매우 낮은 수준으로 형성되었다.
또한 실시예 1 내지 7에서 알수 있는 바와 같이, 안정화제를 혼합 사용하면 역시 HCFC-151a의 형성을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발포제로서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과 상기 발포체에 대한 안정화제의 존제하에서, 그리고 유기 금속 촉매 및 이미다졸 화합물중 하나 이상의 촉매의 존재하에서 발포를 위해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반응시키는 것으로 구성되며, 이때 상기 안정화제는 니트로메탄, 니트로에탄 및 n-니트로프로판을 제외한 니트로알칸, 니트로벤젠, 디니트로벤젠, 트리니트로벤젠, 할로겐화 니트로벤젠, 니트로아니솔, 니트로스티렌, 니트로페놀 및 니트로카테콜로부터 선택되는 니트로 화합물; 헥사디엔, 알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펜타디엔, β-마이르센, 이소프로페닐톨루엔, 디이소프로페닐벤젠 및 알로옥시멘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함유한 알케닐 화합물; 1,2-부틸렌 옥사이드, 이소부틸렌 옥사이드, 글리시딜 알릴 에테르, 글리시딜 페닐 에테르, 글리시딜 p-이소프로페닐페닐 에테르, 글리시딜 p-니트로페닐에테르, 1,3-부타디에닐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푸란카복실레이트 및 N,N-디글리시딜아닐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에폭시-함유 화합물;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및; 2,6-디-3급-부틸-p-크레솔, 티몰, p-3급-부틸페놀, 유게놀, 이소유게놀,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 3급-부틸카테콜 및 2,5-디-3급-부틸하이드로퀴논으로부터 선택되는 페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며, 안정화제의 사용량은 발포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인,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이 2 내지 8개의 작용기를 함유하고 300 내지 600mg KOH/g의 하이드록실가를 가지는 폴리에테르 폴리올, 2 내지 4개의 작용기를 함유하고 250 내지 500mg KOH/g의 하이드록실가를 가지는 폴리에스테르 폴리올 및 반응성 메틸을 그룹을 함유한 페놀 수지중에서 선택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폴리올이 에틸렌 옥사이드 및 프로필렌 옥사이드중 하나이상을 첨가하여 트리메틸올프로판, 소르비톨, o-톨릴렌디아민 및 m-톨릴렌디아민중 하나 이상으로부터 유도된, 300 내지 600mg KOH/g의 하이드록실가를 갖는 폴리에테르 폴리올인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하기 일반식의 폴리메틸렌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인 방법 :
    상기 식에서, n은 0 내지 6의 정수이다.
  5. 제1항에 있어서,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가 하기 일반식의 폴리메틸렌폴리페닐 이소시아네이트 및/또는 톨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하이드록실-함유 화합물로부터 유도되는 방법 :
    상기 식에서, n은 0 내지 6의 정수이다.
  6. 제5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실-함유 화합물이 하나의 작용기를 함유하고 32 내지 300의 분자량을 가지는 1가 알콜, 하나의 작용기를 함유하고 94 내지 300의 분자량을 가지는 페놀, 및 2 또는 3개의 작용기를 함유하고 62 내지 600의 분자량을 가지는 폴리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하이드록실-함유 화합물이 메탄올, 에탄올, n-부탄올, 에틸렌 글리콜 모노 메틸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페놀, o-, m-, p-크레솔, 에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1,4-부탄디올, 1,6-헥산디올, 글리세롤, 트리메틸올프로판, 2- 또는 3-작용성 폴리에테르 폴리올 및 2- 또는 3-작용성 폴리에스테르 폴리올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발포제인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올 폴리올의 중량을 기준으로 1 내지 100%의 양으로 사용하는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안정화제를 발포제의 중량을 기준으로 0.3 내지 6%의 양으로 사용하는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폴리올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비율은, NCO/OH 당량비가 1.0 내지 3.0의 범위내에 있도록 하는 양인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유기 금속 촉매가 제1주석 옥토에이트, 디부틸틴 디라우레이트 및 납 옥틸레이트로 구성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화합물인 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이미다졸 화합물 촉매가 이미다졸, 1-메틸이미다졸, 1,2-디메틸이미다졸, 1-메틸-2-프로필이미다졸, 1-메틸-2-이소부틸이미다졸 및 1-n-부틸-2-메틸 이니다졸로 구성된 군으로 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는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촉매를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중량을 기준으로 0.01 내지 20%의 양으로 사용하는 방법.
  14. 발포제로서 1,1-디클로로-1-플루오로에탄과 상기 발포제에 대한 안정화제의 존재, 및 유기 금속 촉매 및 이미다졸 화합물중 하나 이상의 촉매의 존재하에서 발포를 위해 유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폴리올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며, 이때 상기 안정화제는 니트로메탄, 니트로에탄 및 n-니트로프로판올 제외한 니트로알칸, 니트로벤젠, 디니트로벤젠, 트리니트로벤젠, 할로겐화 니트로벤젠, 니트로아니솔, 니트로스티렌, 니트로페놀 및 니트로카테콜로부터 선택되는 니트로 화합물; 헥사디엔, 알렌, 부타디엔, 이소프렌, 펜타디엔, β-마이르센, 이소프로페닐톨루엔, 디이소프로페닐벤젠 및 알로옥시멘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이중 결합을 함유한 알케닐 화합물; 1,2-부틸렌 옥사이드, 이소부틸렌 옥사이드, 글리시딜 알릴 에테르, 글리시딜 페닐 에테르, 글리시딜 p-이소프로페닐페닐 에테르, 글리시딜 p-니트로페닐 에테르, 1,3-부타디에닐 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시딜 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 푸란카복실레이트 및 N,N-디글리시딜아닐린으로부터 선택되는 에폭시-함유 화합물; 2-하이드록시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및 메톡시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에틸 메타크릴레이트로부터 선택되는 아크릴산 에스테르 및 메타크릴산 에스테르 및; 2,6-디-3급-부틸-p-크레솔, 티몰, p-3급-부틸페놀, 유게놀, 이소유게놀, 부틸화 하이드록시아니솔, 3급-부틸카테콜 및 2,5-디-3급-부틸하이드로퀴논으로부터 선택되는 페놀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되며, 안정화제의 사용량은 발포체의 중량을 기준으로 0.1 내지 10%인,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
KR1019940702799A 1992-02-14 1993-02-12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10026242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8500 1992-02-14
JP4028500A JPH05222146A (ja) 1992-02-14 1992-02-14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PCT/JP1993/000175 WO1993016122A1 (en) 1992-02-14 1993-02-12 Process for producing rigid polyurethane foam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700340A KR950700340A (ko) 1995-01-16
KR100262427B1 true KR100262427B1 (ko) 2000-08-01

Family

ID=122503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702799A KR100262427B1 (ko) 1992-02-14 1993-02-12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561172A (ko)
EP (1) EP0626399B1 (ko)
JP (1) JPH05222146A (ko)
KR (1) KR100262427B1 (ko)
CN (1) CN1051778C (ko)
DE (1) DE69325707T2 (ko)
TW (1) TW322501B (ko)
WO (1) WO19930161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319092B2 (ja) * 1993-11-08 2002-08-26 住友化学工業株式会社 ポジ型レジスト組成物
EP0672696B1 (en) * 1994-03-18 1999-05-19 Air Products And Chemicals, Inc. Low odor amine catalysts for polyurethane flexible slabstock foams based on polyester polyols
BE1009630A3 (fr) * 1995-09-26 1997-06-03 Solvay Premelanges pour la preparation de mousses de polyurethane ou de polyisocyanurate.
TR199900970T2 (en) 1996-11-04 1999-07-21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B�k�lmez poli�retan k�p�kleri.
CA2268141A1 (en) 1996-11-04 1998-05-14 Imperial Chemical Industries Plc Rigid polyurethane foams
US6013690A (en) * 1997-10-23 2000-01-11 Basf Corporation Low density rigid polyurethane foams having improved substrate adhension characteristics
PL1756224T3 (pl) * 2004-05-28 2008-03-31 Albemarle Corp Poliuretany niepodtrzymujące płomienia oraz dodatki do nich
CA2885423C (en) * 2012-09-24 2020-09-22 Arkema Inc. Improved stability of polyurethane polyol blends containing halogenated olefin blowing agent
CN103709371B (zh) * 2013-12-13 2016-01-20 山东一诺威新材料有限公司 连续式生产超厚冷库板用组合聚醚
CN103709355B (zh) * 2013-12-20 2016-01-27 山东一诺威新材料有限公司 用于超低温lng储罐储保冷的改性聚氨酯喷涂组合料及其制备方法
CN103709372B (zh) * 2013-12-23 2016-01-27 山东一诺威新材料有限公司 医用冷柜型聚氨酯保温材料及其制备方法
JP6951012B2 (ja) * 2016-05-16 2021-10-20 積水ソフランウイズ株式会社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ポリオール組成物、及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BR112020022108A2 (pt) * 2018-05-14 2021-01-26 Huntsman International Llc composição reativa, método para reduzir a viscosidade de uma composição reativa, processo para produzir uma espuma rígida, espuma rígida, e, uso da espuma rígida.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4544A1 (en) * 1989-05-10 1991-05-02 Asahi Glass Company Ltd. Method of producing rigid foam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363498A (en) * 1976-11-18 1978-06-06 Kohkoku Chem Ind Manufacture of fireeproof* lowwfuming soft polyurethane foam
DE2825569A1 (de) * 1978-06-10 1979-12-20 Basf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chtbestaendigen polyurethan-integralschaumstoffen
JPS565422A (en) * 1979-06-25 1981-01-20 Showa Denko Kk Stabilization of chlorinated and fluorinated lower aliphatic hydrocarbon
JPS5667331A (en) * 1979-11-13 1981-06-06 Sanyo Chem Ind Ltd Polyol composition
JPS5928578B2 (ja) * 1980-01-10 1984-07-13 東洋ゴム工業株式会社 無黄変性一体スキン層付きポリウレタン成型品の製造法
US4318999A (en) * 1980-11-13 1982-03-09 The Quaker Oats Company Low fire hazard rigid urethane insulation foam, polyol mixtures used in the manufacture thereof, and method for manufacture thereof
JPS59168020A (ja) * 1983-03-15 1984-09-21 Toyoda Gosei Co Ltd 無黄変半硬質ポリウレタンフオ−ム
JPS60116636A (ja) * 1983-11-30 1985-06-24 Asahi Glass Co Ltd フロンを安定化する方法
US4652589A (en) * 1985-02-08 1987-03-24 Union Carbide Corporation Polymer/polyols having improved combustion resistance and intrinsic viscosity, methods of making same and polyurethanes prepared therefrom
DE3527863A1 (de) * 1985-08-02 1987-02-05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lichtbestaendigen, elastischen polyurethan-formteilen
US4711910A (en) * 1986-10-24 1987-12-08 Atlantic Richfield Company Preparation of fire retardant flexible polyester based polyurethane foams having reduced discoloration and scorch
JPS6450829A (en) * 1987-08-21 1989-02-27 Asahi Glass Co Ltd Method for stabilizing hydrogen-containing flon
JPS6456630A (en) * 1987-08-28 1989-03-03 Asahi Glass Co Ltd Stabilization of hydrogen-containing flon
JPH01103687A (ja) * 1987-10-16 1989-04-20 Asahi Glass Co Ltd フツ素化炭化水素系混合物
JPH01128944A (ja) * 1987-11-13 1989-05-22 Asahi Glass Co Ltd 水素含有フロンを安定化する方法
JPH01211538A (ja) * 1988-02-16 1989-08-24 Asahi Glass Co Ltd 水素含有フロンを安定化する方法
JPH01265042A (ja) * 1988-04-15 1989-10-23 Asahi Glass Co Ltd 水素含有フロンを安定化する方法
JPH02123119A (ja) * 1988-10-31 1990-05-10 Matsushita Refrig Co Ltd 発泡断熱材
US4904704A (en) * 1988-12-22 1990-02-27 The Dow Chemical Company Rigid foams prepared from treated toluene diisocyanate residue
EP0401722B1 (en) * 1989-06-05 1996-04-24 Daikin Industries, Limited Use of blowing compositions
JPH0764909B2 (ja) * 1989-10-06 1995-07-12 東ソー株式会社 スプレー式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JPH0386838A (ja) * 1989-06-30 1991-04-11 Asahi Glass Co Ltd 1,1,2―トリクロロ―2,2―ジフルオロエタンの安定化方法
JP2887206B2 (ja) * 1989-08-31 1999-04-26 三井化学株式会社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JP3028119B2 (ja) * 1990-03-16 2000-04-04 旭硝子株式会社 硬質発泡合成樹脂の製造方法
US5216042A (en) * 1991-07-10 1993-06-01 The Dow Chemical Company Process for preparing viscosity-stabilized reactive toluene diisocyanate distillation residues and blends thereof
SI9200047A (en) * 1991-04-11 1992-11-27 Ausimont S.P.A. Methods for inhibition of degradation of chlorofluorhydrocarbons used as foaming agents in polyurethane and polyisocianurate foams preparation
US5137929A (en) * 1991-06-21 1992-08-11 Allied-Signal Inc. Additives which stabilize hydrohalocarbon blowing agent in polyurethane and polyisocyanurate foam formulations during polymerization
US5135680A (en) * 1991-10-09 1992-08-04 Elf Atochem North America, Inc. Stabilized 14 lb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424544A1 (en) * 1989-05-10 1991-05-02 Asahi Glass Company Ltd. Method of producing rigid foa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626399B1 (en) 1999-07-21
DE69325707T2 (de) 2000-06-15
KR950700340A (ko) 1995-01-16
CN1076459A (zh) 1993-09-22
DE69325707D1 (de) 1999-08-26
EP0626399A4 (en) 1994-09-28
EP0626399A1 (en) 1994-11-30
TW322501B (ko) 1997-12-11
US5561172A (en) 1996-10-01
JPH05222146A (ja) 1993-08-31
CN1051778C (zh) 2000-04-26
WO1993016122A1 (en) 1993-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250196B (zh) 硬质聚氨酯泡沫
KR100262427B1 (ko)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KR100493771B1 (ko) 불소-함유탄화수소조성물
EP3350240B1 (en) Polyol pre-mixes having improved shelf life
JP5684576B2 (ja) 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発泡性組成物及び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
US9321892B2 (en) Blowing agent enhancers for polyurethane foam production
EP2915850A1 (en) Resin premix composition, composition for hard polyurethane foam, and hard polyurethane foam
EP1131376A1 (en) Method of preparing rigid polyurethane foam
JP2008081701A (ja) 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および該組成物を用い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581384B2 (ja) フルオロプロパンからなる発泡剤
JP2019085496A (ja) ハロアルケン発泡ポリウレタン製造用の触媒組成物
JPH10226718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JP4106794B2 (ja) 硬質発泡合成樹脂の製造方法、および、ヒドロキシ化合物混合物
KR100188474B1 (ko) 경질 폴리우레탄 발포체의 제조 방법
JP2002128850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及びこれを用い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3041011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法
KR100188473B1 (ko) 폴레우레탄 발포체의 제조방법
ES2384049T3 (es) Procedimiento para la obtención de mezclas de poliol
EP4353764A1 (en) Polyurethane foam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
JP6753614B2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ポリオール組成物、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組成物、および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01064349A (ja) 変性ポリイソシアネート組成物、並びにこれを用いた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又はイソシアヌレート変性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H10182776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の製造方法
JP2008031351A (ja) 硬質ポリウレタンフォーム用ポリオール組成物
JPH11228662A (ja) 硬質スプレーフォーム用ポリイソシアネート
JP2002363241A (ja) ポリイソシアヌレートフォー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3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