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4267B1 - 케이스의 시일구조 및 그 조립방법 - Google Patents

케이스의 시일구조 및 그 조립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4267B1
KR100224267B1 KR1019960022233A KR19960022233A KR100224267B1 KR 100224267 B1 KR100224267 B1 KR 100224267B1 KR 1019960022233 A KR1019960022233 A KR 1019960022233A KR 19960022233 A KR19960022233 A KR 19960022233A KR 100224267 B1 KR100224267 B1 KR 100224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se
sealing rubber
assembling
opening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222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4996A (ko
Inventor
요시아끼 하야시
Original Assignee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타오카 마사타카, 알프스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가타오카 마사타카
Publication of KR9700049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49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4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4267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6Hermetically-sealed casings
    • H05K5/068Hermetically-sealed casings having a pressure compensation device, e.g. membran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04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 H05K5/0013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comprising several parts forming a closed casing assembled by resilient memb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3/00Casings
    • H01H2223/002Casings sealed

Abstract

본 발명은 케이스의 방진이나 방수 등을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케이스의 시일구조 및 그 조립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면부(11)와 측면부(12)를 구비하여 아래쪽이 개구한 상케이스(1)와, 저면부(21)와 측면부(22)를 구비하여 상케이스(1)의 개구부에 끼워맞추는 위쪽 개구부를 가지는 하케이스(2)와, 상면부(41)와 측면부(42)를 구비하여 상하케이스(1, 2)내에 수납되는 실링러버(4)를 가지고, 이 실링러버(4)의 내벽부에는 프린트기판(3)의 외주연이 끼워맞춰지는 홈부(47)가 형성되고, 이 홈부(47)에 끼워맞춰진 프린트기판(3)의 외주연과 하케이스(2)의 내벽부에 의해 실링러버(4)를 끼워유지한다.

Description

케이스의 시일구조 및 그 조립방법
제1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실링러버를 반전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의 요부종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상케이스 2 : 하케이스
3 : 프린트기판 4 : 실링러버
11,41 : 상면부 12,22,42 : 측면부
13 : 개구부 21 : 저면부
23 : 리브부 24 : 돌기부
25 : 전지 26 : 전지홀더부
27 : 단자편 43 : 플랜지부
47 : 홈부 48 : 계합오목부
49 : 계합돌출부 50 : 돌조
53 : 조작버튼부 54 : 계지돌기
본 발명은 송신기와 같은 기기의 케이스에 있어서의 방진이나 방수를 위한 시일구조 및 그 조립방법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차로부터 떨어진 위치에서 도어를 잠그거나 또는 열기위하여 휴대소지하는 차량용 송신기나 탑승한 상태에서 개리지의 도어의 개폐를 행하기 위한 개리지오프너에 사용되는 송신기와 같이 모래 먼지가 많고 또 비에 젖을 가능성이 높은 실외에서 사용될 경우, 그 케이스내에 먼지나 수분이 침입하지 않도록 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은 케이스에는 방진이나 방수를 위한 시일구조가 실시되는 것이 통례이다. 또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부주의에 의한 낙하 등의 충격으로부터 내부에 유지된 전자부품을 설치할 프린트기판을 보호하기 위하여 댐퍼를 설치하거나 포올에 의해 강고하게 케이스에 고정하는 등의 처리가 행하여지고 있다.
이와같은 케이스는 내부에 공간이 생기도록 상케이스와 하케이스를 접합함과 동시에 이들 상하 케이스간에 실링러버와 그 위에 전자부품을 설치한 프린프기판이 마련되어 있다. 상케이스에는 원하는 기능을 달성하기 위한 조작버튼부가 뒤측에서 삽입된 형으로 설치하고, 하케이스에는 전원인 전지의 교환을 행하기 위한 개구부가 마련되고, 이 개구부에는 착탈자유로운 덮개체가 설치되어 있다. 실링러버는 프린트기판상에 설치된 회로구성부품을 덮고, 방진이나 방수의 역할을 다하고 있다. 이 실링러버의 프린트기판과 상대하는 면에는 조작버튼부를 가지며, 조작버튼부의 푸싱에 의하여 프린트기판상에 탑재된 푸시스위치를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은 종래의 케이스에 있어서는 상케이스를 뒤집어 그 속에 실링러버를 수납하고, 프린트기판을 상하중 어느 한 케이스에 형성된 포올이나 위치결정용 돌기 등에 의하여 유극(遊隙)을 취하도록 하여 고정한 후, 하케이스로 누르도록 되어 있으나, 상하케이스 및 실링러버의 치수오차, 또는 경시변화에 따라 방진성이나 방수성등이 나빠질 염려가 있다. 또 복수의 조작버튼부는 수작업에 의하여 뒤집은 상케이스의 복수의 개구에 조작버튼부의 상부를 밑으로하여 삽입하나, 조작버튼부에 표시된 기호나 그림이 그 기능에 대응하는 개구와 일치하도록 조립할 필요가 있어 오조립의 염려가 있다. 또한 전지교환은 하케이스에 설치된 덮개체를 벗기고 행하도록 되어 있고 덮개체의 끼워맞춤부에 극간이 생기기 쉬워 방진성이나 방수성이 나빠질 염려가 있었다.
본 발명의 제1목적은 케이스의 방진이나 방수 등을 간단한 구성에 의하여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케이스의 시일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2목적은 조작버튼부의 오조립의 염려없이 조립할 수 있는 케이스의 시일구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제3목적은 방진성이나 방수성이 좋은 케이스를 간단한 공정으로 조립할 수 있는 상기한 바와같은 송신기의 조립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제1목적은 상케이스의 개구부와 하케이스의 개구부를 맞추어 일체적으로 구성된 케이스와, 이 케이스내에 수납하고 내벽부전주에 걸쳐 홈부를 형성한 실링러버와, 이 실링러버의 내벽부의 홈부에 끼워맞춘 프린트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프린트기판의 외주연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부에 의해 상기 실링러버를 끼워유지하는 제1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목적은 상기 제1수단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실링러버의 내벽부와 닿아접촉하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부에 의해 상기 실링러버를 끼워유지하는 제2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2목적은 상기 제1수단에 있어서, 상기 상케이스에 조작버튼부용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조작버튼부 개구부에 배치되는 조작버튼부를 상기 실링러버와 일체적으로 형성한 제3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3목적은 하케이스의 저면부에 설치된 전지홀더에 상기 전지홀더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 단자편을 설치하는 제1공정과, 이 단자편에 외주연이 접하도록 전원전지를 조립하는 제2공정과, 실링러버의 내벽부전주에 걸쳐 형성된 홈부에 프린트기판을 설치하는 제3공정과, 이 실링러버를 상케이스에 조립하는 제4공정과, 상기 하케이스와 상케이스를 끼워맞추는 제5고정을 가지는 제4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이 제3목적은 실링러버의 내벽부전주에 걸쳐 형성된 홈부에 프린트기판을 설치하는 제1공정과, 이 실링러버를 상케이스에 조립하는 제2공정과, 하케이스의 저면부에 설치된 전지홀더에 상기 전지홀더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 단자편을 설치하는 제3공정과, 이 단자편에 외주연이 접하도록 전원전지를 조립하는 제4공정과, 상기 상케이스와 하케이스를 끼워맞추는 제5공정을 가지는 제5수단에 의하여 달성된다.
상기 제1수단에 있어서는 전자부품 등이 설치되는 프린트기판은 그 외주연을 실링러버의 내벽부의 홈부에 끼워맞춰 지지되어 있기 때문에 이 실링러버에 의하여 프린트기판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낙하 등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고, 실링러버는 프린트기판의 외주연과 상 또는 하케이스의 내벽부간에 끼워유지되기 때문에 실링러버내로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제2수단에 의하면, 상 또는 하 케이스의 내벽부에 형성된 돌기부에 실링러버의 측면부에 형성된 계합오목부를 계합시키고 있기 때문에 실링러버를 상 또는 하케이스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제3수단에 의하면, 실링러버의 상면부의 일부에 조작버튼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들 조작버튼부를 상케이스의 조작버튼부용 개구부에 뒤측으로부터 삽입할 뿐으로 조작버튼부의 조립을 행을 수 있고, 부품점수를 삭감시킴과 더불어 조작버튼부의 오조립의 염려를 해소시킬 수 있다.
제4수단에 있어서는 하케이스에 전지의 단자편을 설치한 후, 전원전지를 조립하고, 홈부에 프린트기판을 설치한 실링러버를 상케이스에 조립하고, 마지막으로 하케이스와 상케이스를 끼워맞추는 적은 공정으로 송신기를 조립할 수 있어 부품점수의 삭감과 더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수단과 같이 상기 제4수단에서 설명한 상케이스와 하케이스의 조립순서를 반대로 하여도 제4수단과 같은 작용효과가 발휘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 실시예를 분해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실링러버를 반전하여 나타낸 사시도, 제3도는 실시예의 요부종단면도이다.
송신기는 합성수지 등으로 만들어진 상케이스(1)와 이 상케이스(1)에 끼워맞추어진 하케이스(2) 2개로 분할된 케이스와, 전자부품등이 설치된 프린트기판(3)을 내부에 수납하는 탄성고무 등으로 만들어진 실링러버(4)를 가지고 있다.
상케이스(1)는 상면부(11)와, 이 상면부(11)의 외주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측면부(12)를 구비하여 아래쪽이 개구되어 있다. 상면부(11)에는 후기하는 조작버튼부(표시부)를 드러내 보이기 위한 복수의 개구부(13, 13)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케이스(1)의 상면부(11)의 이면에는 후기하는 실링러버(4)의 계합오목부(48)가 끼워넣어지는 돌기부(52)가 복수개 돌출설치되고, 실링러버(4)의 플랜지부(43)에 푸싱접촉하는 계지돌기(5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케이스(1)의 측면부(12)의 외주면에는 케이스고정용 계합돌기부(49)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하케이스(2)는 저면부(21)와 이 저면부(21)의 외주부로부터 위쪽으로 돌출하는 측면부(22)를 구비하며 위쪽이 개구되고, 이 개구부를 상케이스(1)의 개구부에 맞추도록 하여 상하케이스(1, 2)는 끼워맞춰진다. 하케이스(2)의 저면부(21)에는 측면부(22)와 간격을 두고 그 전주위에 걸쳐 대략 사각틀형상으로 리브부(23)가 형성되어 있다. 이 리브부(23)의 상단면에는 프린트기판(3)의 하면연부에 닿아접촉하는 돌기부(24)가 간격을 두고 복수개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리브부(23)내의 저면부(21)에는 전원용 전지(25)를 그 내측에 수납하도록 전지홀더부(26)가 형성되어 있다. 이 전지홀더부(26)에는 전지(25)의 외주연이 접하도록 전지(25)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 도전성 금속으로 만들어진 단자편(27)이 설치되어 있다. 또 하케이스(2)의 측면부(22)의 내주면에는 상케이스(1)의 계합돌기부(49)에 끼워맞추는 돌조(50)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실링러버(4)는 상면부(41)와 이 상면부(41)의 외주부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측면부(42)와, 이 측면부(42)의 하단에서 바깥쪽으로 대략 직각으로 연장되는 플랜지부(43)를 구비하며, 아래쪽이 개구되어 있다. 실링러버(4)의 상면부(41)의 이면에는 상케이스(1)의 개구부(13)에 대응하여 사각틀상의 환상홈(44)이 형성되고, 이 환상홈(44)내의 상면부(41)의 상면이 일체적으로 돌출성형되어 푸시버튼부(53)가 설치되어 있다. 이들 푸시버튼부(53, 53)의 각 이면중앙에는 돌기부(46, 46)가 각각 돌출설치되고, 이 돌기부(46)가 후기하는 푸시스위치(31)의 스템(32)에 대향하고 있다. 실링러버(4)의 측면부(42)의 내측에는 프린트기판(3)의 외주연이 끼워맞춰지는 홈부(47)가 전주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실링러버(4)의 개구연은 바깥쪽으로 연장설치되어 플랜지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실링러버(40)는 케이스가 조립되었을 때, 하케이스(2)으 저면부(21)와 상케이스(1)의 측면부(12) 하단의 계지돌기(54)간에 그 플랜지부(43)가 끼워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로서 실링러버(4)는 단단히 케이스내에 고정되고, 또 그 플랜지부(43)는 하케이스(2)의 저면부(21)에 푸시접촉시킬 수 있어 실링러버(4)내에 먼지나 물방울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51은 실링러버(4)의 내저부에 돌출설치된 복수의 프린트기판지지 기둥부, 55는 실링러버(4)의 상면부(4)의 상면부(41)로부터 위쪽으로 돌출설치되고, 상케이스(1)의 이면에 탄성접촉되는 공기모양 탄성체이다.
프린트기판(3)상에는 실링러버(4)의 홈부(47)에 그 외주연이 끼워맞춰졌을 때, 실링러버(4)의 돌기부(46)에 대향하여 스템(32)이 위치하도록 푸시 스위치(31, 31)를 각각 장착하고 있다.
다음에 상기 실시예에 의하여 송신기의 케이스를 조립하는 경우를 다음에 설명한다.
하케이스(2)의 저면부(21)에 설치된 전지홀더부(26)에 단자편(27)을 설치하고, 이어서 이 단자편(27)에 그 외주연이 접하도록 전지(25)를 장착한다. 또 실링러버(4)에 있어서는 그 상면부(41)의 푸시버튼부(53)가 눌려져 하강하였을 때, 그 이면에 설치된 돌기부(46)가 프린트기판(3)상의 푸시스위치(31)의 스템(32)에 대향하도록 위치시키면서 그 측면부(42)내측의 홈부(47)에 프린트기판(3)의 외주연을 끼워맞추도록 하여 프린트기판(3)을 실링러버(4)내에 조립한다. 이와 같이 하여 프린트기판(3)을 조립한 실링러버(4)를 다음에 상케이스(1)에 조립한다. 이 조립은 실링러버(4)의 푸시버튼부(53)를 상케이스(1)의 조작버튼부용 개구부(13)에 끼워맞추도록 하여 행한다. 마지막으로 상케이스(1)의 개구부와 하케이스(2)의 개구부를 맞추도록 하여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상케이스(1)와 하케이스(2)를 돌기(49)와 돌조(50)를 끼워맞추어 고정한다. 또한 양자의 고정은 한쪽 케이스에 돌기나 돌출줄을 마련하고, 다른쪽 케이스에는 이들 돌기나 돌출줄을 계지하는 오목부를 마련하면 좋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3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복수의 상케이스(1)의 돌출부(52)와 하케이스(2)의 돌기부(24)에 의하여 실링러버(4)와 프린트기판(3)이 끼워지고, 또 그 상태에서 프린트기판(30)의 외주연이 실링러버(4)의 홈부(47)에 끼워넣어져 유지되고, 또 상케이스(1)의 측면부(12)의 내벽부와 하케이스(2)의 리브부(23) 및 돌기부(24)에 의해서도 실링러버(4)는 끼워져 고정된다. 또한 실링러버(4)의 플랜지부(43)는 상케이스(1)의 측면부(12)의 하단부와 하케이스(2)의 저면부(21)와의 사이에서 끼워유지되고 있다.
따라서 실링러버(4)는 케이스내에 단단히 고정되고, 또 플랜지부(43)는 하케이스(2)의 저면부(21)에 밀접되기 때문에 실링러버(4)내의 프린트기판(3)을 먼지나 물방울로부터 확실하게 막을 수 있다. 또한 실링러버(4)는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낙하의 충격 등에 대해서는 댐퍼로서 작용하여 프린트기판(3)에 전달되는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전지(25)는 하케이스(2)의 저면부(21)에 설치된 전지홀더부(26)에 수납되어지고, 전지교환용 개구나 이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체 등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전지교환용 개구나 이 개구를 개폐하기 위한 덮개체등은 마련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종래와 같이 이와 같은 개구부나 덮개체의 간극등으로부터 먼지나 수분이 침입하는 일은 없다. 전지(25)의 교환은 상하케이스(1, 2)를 분리함으로서 행할 수 있다. 즉 상하케이스(1, 2)를 분리하면, 실링러버(4)는 상케이스(1)와 더불어 분리되고, 전지홀더부(26)를 드러낼 수 있다.
또한 상케이스와 하케이스의 조립순서를 반대로 하여도 상기 실시예와 같은 작용효과는 발휘된다.
청구한 1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전자부품등이 설치되는 프린트기판은 그 외주연을 실링러버의 내벽부의 홈부에 끼워맞추어 지지하고 있기 때문에 이 실링러버에 의하여 프린트기판에 대한 외부로부터의 진동이나 낙하등의 충격을 완화시킬 수 있다. 또 실링러버는 프린트기판의 외주연과 케이스의 내벽부간에 끼워유지되기 때문에 실링러버내로의 먼지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부품점수도 삭감할 수 있어 저렴하게 제공할 수 있다.
청구항 2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케이스 실링러버의 내벽부와 닿아접촉하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와 케이스의 내벽부에 의해 실링러버를 끼워유지하였기 때문에 실링러버를 케이스에 단단히 고정시킬 수 있다.
청구항 3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실링러버의 상면부의 일부에 조작버튼부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이 조작버튼부를 상케이스의 조작버튼부용 개구부에 이면측에서 삽입할 뿐으로 조작버튼부의 조립을 행할 수 있고, 조작버튼부용 탄성시이트는 이 실링러버로 겸용할 수 있는 등, 부품점수를 삭감시킴과 더불어 조작버튼부의 오조립의 염려를 해소시킬 수 있다.
청구항 4, 5기재의 발명에 의하면, 적은 공정으로 송신기를 조립할 수 있어 부품점수의 삭감과 더불어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5)

  1. 상케이스의 개구부와 하케이스의 개구부를 맞추어 일체적으로 구성한 케이스와, 이 케이스내에 수납하고, 내벽부에 전주에 걸쳐 홈부를 형성한 실링러버와, 이 실링러버의 내벽부의 홈부에 끼워맞춘 프린트기판을 구비하고, 상기 프린트기판의 외주연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부에 의해 상기 실링러버를 끼워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의 시일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상기 실링러버의 내벽부와 닿아 접촉하는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와 상기 케이스의 내벽부에 의해 상기 실링러버를 끼워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의 시일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에 조작버튼부용 개구부를 형성하고, 이 조작버튼부용 개구부에 배치된 조작버튼부를 상기 실링러버와 일체적으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케이스의 시일구조.
  4. 하케이스의 저면부에 설치된 전지홀더에 상기 전지홀더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 단자편을 설치하는 제1공정과, 이 단자편에 외주연이 접하도록 전원전지를 조립하는 제2공정과, 실링러버의 내벽부전주에 걸쳐 형성된 홈부에 프린트기판을 설치하는 제3공정과, 이 실링러버를 상케이스에 조립하는 제4공정과, 상기 하케이스와 상케이스를 끼워맞추는 제5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의 조립방법.
  5. 실링러버의 내벽부전주에 걸쳐 형성된 홈부에 프린트기판을 설치하는 제1공정과, 이 실링러버를 상케이스에 조립하는 제2공정과, 하케이스의 저면부에 설치된 전지홀더에 상기 전지홀더의 형상에 맞추어 형성된 단자편을 설치하는 제3공정과, 이 단자편에 외주연이 접하도록 전원전지를 조립하는 제4공정과, 상기 상케이스와 하케이스를 끼워맞추는 제5공정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송신기의 조립방법.
KR1019960022233A 1995-06-20 1996-06-19 케이스의 시일구조 및 그 조립방법 KR100224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5345395A JP3320259B2 (ja) 1995-06-20 1995-06-20 ケースのシール構造
JP95-153453 1995-06-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4996A KR970004996A (ko) 1997-01-29
KR100224267B1 true KR100224267B1 (ko) 1999-10-15

Family

ID=155628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22233A KR100224267B1 (ko) 1995-06-20 1996-06-19 케이스의 시일구조 및 그 조립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822192A (ko)
JP (1) JP3320259B2 (ko)
KR (1) KR100224267B1 (ko)
DE (1) DE19624101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19250B1 (en) * 1996-04-03 2001-04-17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Night vision binoculars
DE19711278B4 (de) * 1997-03-18 2009-06-04 Deutsche Telekom Ag Gerätegehäuse
US5936214A (en) * 1998-05-07 1999-08-10 Eaton Corporation Apparatus for restricting operation of push buttons on electric switching apparatus
FI982586A (fi) * 1998-11-30 2000-05-31 Nokia Mobile Phones Ltd Elektroninen laite
GB2347269B (en) * 1999-02-25 2002-08-14 Valeo Electronique Water-resistant switching device
DE10003699A1 (de) * 2000-01-28 2001-08-09 Siemens Ag Gerät mit wechselbarem Gehäuseteil
JP2001339176A (ja) * 2000-05-29 2001-12-07 Alps Electric Co Ltd 小型電気装置
WO2004032587A1 (en) * 2002-10-03 2004-04-15 Poly-Products Ind. Co. Ltd. Electrical with a water-tight housing and method of making same
JP4190934B2 (ja) * 2003-04-10 2008-12-03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型送信機
DE10334623A1 (de) * 2003-07-29 2005-03-03 Siemens Ag Haltevorrichtung
US7151433B2 (en) * 2003-08-05 2006-12-19 Chun James K Combination LED flashlight and garage door transmitter
DE10356838A1 (de) * 2003-12-05 2005-07-21 Tecpharma Licensing Ag Dichtungselement
JP2005179942A (ja) * 2003-12-17 2005-07-07 Denso Corp 自動車用ワイヤレス送受信機
KR100546965B1 (ko) 2005-01-31 2006-01-26 (주)블루버드 소프트 모바일 단말기
US7764936B2 (en) 2005-05-12 2010-07-27 Panasonic Corporation Dust and water resistant electronics enclosure
DE202005007668U1 (de) * 2005-05-14 2005-07-21 Sommer Antriebs- Und Funktechnik Gmbh Handsender
EP1748346A1 (de) * 2005-07-28 2007-01-31 Wachendorff Elektronik GmbH & Co. KG Elektronisches Gerät
DE102006037790B4 (de) * 2006-03-07 2009-02-12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Kadoma-shi Elektronische Vorrichtung
JP2007265461A (ja) * 2006-03-27 2007-10-11 Denso Corp 車載装置
JP4725895B2 (ja) * 2006-09-28 2011-07-13 Necカシオモバイルコミュニケーションズ株式会社 筐体の防水構造
KR100877049B1 (ko) 2006-09-28 2009-01-07 가시오 히타치 모바일 커뮤니케이션즈 컴퍼니 리미티드 방수구조
US7688574B2 (en) 2007-01-05 2010-03-30 Apple Inc. Cold worked metal housing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218306B2 (en) * 2007-09-04 2012-07-10 Apple Inc. Assembly of a handheld electronic device
JP4983578B2 (ja) * 2007-12-03 2012-07-25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携帯用通信機の防水パッキング
CN101572197B (zh) * 2008-04-28 2012-09-19 深圳富泰宏精密工业有限公司 按键结构
JP2010097397A (ja) * 2008-10-16 2010-04-30 Panasonic Electric Works Co Ltd セキュリティシステムの送信機
JP5206438B2 (ja) * 2009-01-16 2013-06-12 株式会社Jvcケンウッド 筐体の防水構造
FR2952461B1 (fr) * 2009-11-09 2012-01-13 Valeo Securite Habitacle Dispositif de commande a distance pour vehicule automobile
US8264854B2 (en) 2009-11-12 2012-09-11 Roche Diagnostics Operations, Inc. Consumer electronic device with elastomeric mat
JP4947179B2 (ja) * 2010-03-30 2012-06-06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型送信機
US9417659B2 (en) * 2012-12-21 2016-08-16 Kabushiki Kaisha Toshiba Electronic apparatus
JP6425002B2 (ja) * 2013-10-30 2018-11-21 株式会社デンソー 携帯型無線キー
US9442518B2 (en) * 2014-06-02 2016-09-13 Microsoft Technology Licensing, Llc Mounting wedge for flexible material
JP6733404B2 (ja) * 2016-07-29 2020-07-29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回路基板ユニットの防水固定装置
CN107401821A (zh) * 2017-07-27 2017-11-28 南京慧和建筑技术有限公司 一种毛细监控传感器的可替换防结露保护结构
CN108773203A (zh) * 2018-07-16 2018-11-09 浙江安吉华普电子有限公司 一种用于打印机的防尘防水装置
JP2021057541A (ja) * 2019-10-02 2021-04-08 日本電産モビリティ株式会社 携帯機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733807A (en) * 1971-06-05 1973-05-22 Seiko Instr & Electronics Watertight watch case
GB2116777B (en) * 1982-03-03 1985-07-17 Casio Computer Co Ltd Sheet-like compact electronic equipment
JPS61105897A (ja) * 1984-10-30 1986-05-23 キヤノン株式会社 電子機器
US4980522A (en) * 1988-06-13 1990-12-25 Mitsubishi Denki Kabiushiki Kaisha Operating key switch unit
JPH046462A (ja) * 1990-04-24 1992-01-10 Mitsubishi Heavy Ind Ltd 超音波探傷方法
JP2673392B2 (ja) * 1991-05-24 1997-11-0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子機器筐体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822192A (en) 1998-10-13
DE19624101A1 (de) 1997-01-09
DE19624101C2 (de) 1998-07-02
KR970004996A (ko) 1997-01-29
JPH098474A (ja) 1997-01-10
JP3320259B2 (ja) 2002-09-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4267B1 (ko) 케이스의 시일구조 및 그 조립방법
US5701355A (en) Microphone for a two way radio
US6456499B1 (en) Electronic apparatus having insulator for fixing wiring substrate
US7683278B2 (en) Pushbutton switch mounting structure
JP3907403B2 (ja) 防水スイッチ
JP2001339176A (ja) 小型電気装置
JP4019298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内蔵防水回路装置
JP2001297658A (ja) スライドスイッチ
JP2004068417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の携帯機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189268A (ja) ケース開口の防水密封構造
JP4337261B2 (ja) 携帯電話機
JPH10223080A (ja) スイッチ装置
JPH11185720A (ja) 防水型電池蓋の取付構造
KR101789925B1 (ko)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JP3598721B2 (ja) 平面アンテナ
JPH07249880A (ja) 携帯形電子機器
JPH0425736Y2 (ko)
JP3581553B2 (ja) 防滴防水構造を有する電池室開閉蓋
JP3748187B2 (ja) スイッチ機構
JPH0621140Y2 (ja) 防水式パネルスイッチ
JPH0818640A (ja) 電子機器の筐体構造
JPH034065Y2 (ko)
JP2001200664A (ja) キーレスエントリー装置の携帯機
JP2542387Y2 (ja) 電子機器筐体
JPH0284617A (ja) 液晶表示器保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628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