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9925B1 -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 Google Patents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9925B1
KR101789925B1 KR1020160069951A KR20160069951A KR101789925B1 KR 101789925 B1 KR101789925 B1 KR 101789925B1 KR 1020160069951 A KR1020160069951 A KR 1020160069951A KR 20160069951 A KR20160069951 A KR 20160069951A KR 101789925 B1 KR101789925 B1 KR 1017899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body
upper mold
fixing
lower mold
button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699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엽
김효진
김진우
권현중
Original Assignee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아이탑스오토모티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600699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8992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99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992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밀한 방수 구조를 구현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수명 연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어 조립성과 제작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플레이트 형태의 버튼 부재; 이중 사출 방식으로 상기 버튼 부재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프레임(frame) 형태의 상부 몰드체; 상기 버튼 부재와 상기 상부 몰드체 간을 고정시키는 제1 고정 수단; 내측에 수용 공간을 갖고 형성되고, 일측에 와이어링 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몰드체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 몰드체;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 간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 수단; 상기 하부 몰드체의 수용 공간에 구비되는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을 하부 몰드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위칭수단 고정수단; 및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 간의 결합면에 구비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PUSH BUTTON SWITCH ASSEMBLY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기밀한 방수 구조를 구현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수명 연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어 조립성과 제작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운전자와 탑승객의 편의를 위해 다양한 기계장치와 전자기기들이 차량에 장착되고 있는데, 이러한 기계장치 및 전자기기들에는 엑추에이터 구동 개폐 시스템, 오디오 시스템, 비디오 시스템, 네비게이션 등 매우 다양한 장치들이 있다.
따라서, 차량에는 이러한 기계장치 및 전자기기들을 작동하기 위한 각종 버튼이 매우 다양하게 설치되며, 버튼의 종류 또한 작동 방법, 기능 또는 차량의 미감 등을 고려하여 매우 다양하게 디자인된다.
차량에 가장 일반적으로 장착되는 스위치인 푸시버튼 스위치는 a접점 스위치와 b접점 스위치로 구분되며 a접점은 평상시에는 접점이 열려 있고, 버튼을 누르면 접점이 닫히어 회로(回路)를 폐로(閉路)로 만든다. 이러한 푸시버튼 스위치는 예를 들면 트렁크 열림 스위치로서 실외에 장착되게 설치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인서트 성형기술에 의해 하우징 (10)의 개구부(10a)의 내저면에 쌍을 이루는 고정접점(11, 12)이 노출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고정접점(11, 12)으로부터 도출되는 외부접속용 단자 (13, 14)가 하우징(10)의 외벽면에 노출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개구부(10a) 안에는 일방의 고정접점(11)과 항상 접촉하고 타방의 고정접점(12)과 접촉 및 분리 가능하게 대향하는 대략 원형 접시상의 메탈 콘택트(15)가 수납되어 있다. 또한, 이면에 점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가요성 필름(16 이 하우징(10)의 상단면에 점착되어 상기 개구부(10a)를 막고 있으므로 메탈 콘택트(15)는 이 가요성 필름(16)으로 완전히 덮혀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푸시버튼 스위치는 도시하지 않은 회로 기판상에 장착되어 조작체의 하방에 배치되고 이 조작체를 통하여 메탈 콘택트(15)가 손가락 등으로 눌려지도록 되어 있다. 즉, 상방으로부터의 조작력으로 메탈 콘택트(15)의 중앙부가 가요성 필름(16)과 함께 소정 스트로크 눌리면, 이 메탈 콘택트(15)가 반전하여 고정접점(12)에 맞닿으므로, 양 고정접점(11, 12)이 메탈 콘택트(15)를 통하여 도통되어 스위치 회로는 오프에서 온 상태로 전환된다.
또한, 이러한 온 상태에서 상방으로부터의 조작력이 제거되면 메탈 콘택트(15)는 자신의 탄성으로 본래 형상으로 복귀하므로, 고정접점(12)에서 이간하여 스위치 회로는 오프 상태로 되돌아가며 가요성 필름(16)도 초기위치까지 밀려 올라간다.
그리고 종래 푸시버튼 스위치의 경우, 하우징(10)의 개구부(10a)를 가요성 필름(16)으로 막는 방수구조를 채택하고 있어 개구부(10a) 내의 접점부위로 물 및 먼지 등이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한편, 다른 종래기술로서 하우징의 개구부의 주위에 코킹벽을 설치해두고, 이 개구부 내에 수납된 메탈 콘택트의 외주부를 이 코킹벽에서 코킹함으로써 상기 가요성 필름을 생략한 구성의 푸시버튼 스위치도 제안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푸시버튼 스위치에서는 가요성 필름(16)을 상면에 부착하여도 메탈 콘택트(15)의 동작특성에 악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이 가요성 필름(16)의 이면에는 접착제가 아닌 점착제를 도포형성해 두어야만 하는데, 점착제에 의한 부착 강도는 별로 강하지 않기 때문에 가요성 필름(16)이 하우징(10)의 상단면에서 벗겨질 우려가 있었다. 따라서, 도 1에 2점 쇄선으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17a)를 갖는 금속 프레임(17)을 가요성 필름(16) 및 하우징(10)의 외주부에 코킹한 푸시버튼 스위치도 사용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금속 프레임(17)을 부설하면 부품 가지수나 조립 공정수가 증가하고 제품의 두께도 늘어나기 때문에, 소형박형화나 코스트 다운을 촉진하는 데 바람직한 대책이라 할 수 없었다.
한편, 메탈 콘택트의 외주부를 하우징의 코킹벽에서 코킹하는 후자의 종래기술에서는, 코킹 조건의 미미한 상위로 메탈 콘택트의 동작특성이 크게 변화되는 사정 때문에, 엄격한 코킹 관리가 요구되므로 필연적으로 코킹 공정이 번잡화되어 생산성을 높이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이러한 종래의 푸시버튼 스위치에서는 하우징의 개구부를 메탈 콘택트로 밀폐할 수 없고, 압압 조작시에 메탈 콘택트의 주위에 형성되는 간극으로부터 이 개구부 안으로 먼지 등의 이물이 침입하기 쉬우므로 방수 및 방진성(防塵性) 면에서도 문제가 있었다.
한편, 종래 다른 실시 형태로, 조작부를 버튼 러버(rubber)로 하고, 내부에 스위칭부를 수용한 사출물 조립부를 실리콘 도포하여 확실한 방수 구조를 갖도록 하는 푸시버튼 스위치도 제안되어 있으나, 이러한 푸시버튼 스위치는 온도 및 습도와 같은 환경적 요인으로 인해 실리콘 파손으로 방수 성능 저하 및 오작동을 일으킬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실시 형태 및 사출물 조립부를 갖는 푸시버튼 스위치는 내부의 스위치 고정구조가 접착식 투명 필름으로만 고정되어 있어, 자동화 설비를 이용한 제조 방식 적용이 불가능함에 따라 제품 단가 상승 요인이 되는 문제점이 있다.
(문헌 1)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제20-0266646호(2002.02.19.) (문헌 2)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003280호(2010.12.15.) (문헌 3)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324784호(2002.02.04.) (문헌 4)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171325호(1998.10.19.)
따라서,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 스위치의 고정 구조를 용이하게 하여 품질 및 가격 경쟁력을 가질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밀한 방수 구조를 구현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수명 연장을 확보할 수 있고,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어 조립성과 제작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켜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들 및 다른 특징들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플레이트 형태의 버튼 부재; 이중 사출 방식으로 상기 버튼 부재와 일체로 이루어지는 프레임(frame) 형태의 상부 몰드체; 상기 버튼 부재와 상기 상부 몰드체 간을 고정시키는 제1 고정 수단; 내측에 수용 공간을 갖고 형성되고, 일측에 와이어링 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몰드체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 몰드체;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 간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 수단; 상기 하부 몰드체의 수용 공간에 구비되는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을 하부 몰드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위칭수단 고정수단; 및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 간의 결합면에 구비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따르면, 플레이트 형태의 버튼 부재; 이중 사출 방식으로 상기 버튼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frame) 형태의 상부 몰드체; 상기 버튼 부재와 상기 상부 몰드체 간을 고정시키는 제1 고정 수단; 내측에 수용 공간을 갖고 형성되고, 일측에 커넥터 수용홈과 와이어링 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몰드체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 몰드체;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 간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 수단; 상기 하부 몰드체의 수용 공간에 구비되되, 다수의 돔 버튼이 구비되는 돔 버튼형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을 하부 몰드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위칭수단 고정수단; 및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 간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관점들에 있어서, 상기 버튼 부재는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면의 중앙부에 누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돌기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면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몰드체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 부재의 외곽 형태에 상응하는 고리형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고정 수단은 상기 버튼 부재의 사방 가장자리가 다른 부위보다 돌출되게 연장되는 연장 결합부와, 상기 연장 결합부의 내측 면에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상부 몰드체의 가장자리의 사방 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몰드체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스위칭 수단의 전력 와이어가 인출되는 와이어링 인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돔형 상부 스위치; 및 상기 돔형 상부 스위치의 하부에 구비되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형 하부 스위치를 포함하며, 상기 와이어링 인출부에 구비되는 와이어 씰(wire sea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형 하부 스위치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구멍, 및 상기 하부 몰드체의 내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구멍이 삽입되는 융합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융합 돌기는 융착으로 함몰되어 상기 고정 구멍 주변을 덮도록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몰드체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스위칭 수단의 전력 와이어가 인출되는 와이어링 인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은 소정 패턴의 도전 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랫 타입(flat type)의 상부 스위치와, 상기 상부 스위치의 하부에 구비되고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형 하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링 인출부에 구비되는 와이어 씰(wire sea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있어서, 상기 스위칭수단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 스위치의 가장자리 및 하부 스위치의 가장자리 각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구멍, 및 상기 하부 몰드체의 내면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 스위치와 하부 스위치의 고정 구멍이 삽입되는 융합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융합 돌기는 융착으로 함몰되어 상기 고정 구멍 주변을 덮도록 이루어지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하부 몰드체는 일면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커넥터 수용홈이 형성되며, 전력 와이어가 인출되는 와이어링 인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면에 형성되어 도전성 패턴이 구비되는 하부 필름, 상기 도전성 패턴이 연장되어 집결 수용되는 커넥터, 및 상기 하부 필름 상면의 도전성 패턴에 일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돔 버튼을 포함하며, 상기 스위칭수단 고정수단은 상기 하부 필름을 하부 몰드체의 하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관점에 있어서, 상기 전원 와이어가 인출되는 상기 와이어링 인출부에 도포되는 에폭시 도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관점들에 있어서, 상기 제2 고정 수단은 상기 상부 몰드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 및 상기 하부 몰드체의 가장자리의 사방 면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가 마주하는 경계면에 구비되는 테두리 방수 씰(seal)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가 마주하는 두 경계면 또는 경계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에 의하면,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방진 구조와 기밀한 방수 구조를 구현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수명 연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어 조립성과 제작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된 것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아니한 다른 해결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되어 질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9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0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목적들, 특징들 및 장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도면으로부터 보다 명료하게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앞서,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도모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 예를 가질 수 있는바, 아래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예시들은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유닛",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한 구성 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 구조체 및 그의 제작방법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 구조체를 도 2 내지 7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 및 도 5는 각각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와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4의 A-A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5의 B-B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 구조체는 도 2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형태의 버튼 부재(100); 상기 버튼 부재(100)와 일체화되고, 중앙부가 뚫린 개구부를 구비하며, 소정 두께를 갖고 형성되는 프레임(frame) 형태의 상부 몰드체(200); 상기 버튼 부재(100)와 상기 상부 몰드체(200) 간을 고정시키는 제1 고정 수단; 내측에 수용 공간을 갖고 형성되고, 일측에 와이어링 인출부(31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몰드체(200)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 몰드체(300); 상기 상부 몰드체(200)와 하부 몰드체(300) 간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 수단; 상기 상부 몰드체(200)와 하부 몰드체(300) 사이, 즉 상기 하부 몰드체(300)의 수용 공간에 구비되는 스위칭 수단(400); 상기 스위칭 수단(400)을 하부 몰드체(3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위칭수단 고정수단; 및 상기 상부 몰드체(200)와 하부 몰드체(300) 간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방수 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부재(100)는 신축성을 갖는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라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를 들면 고무류나 실리콘류와 같은 재질로 이루어지며, 성형성과 제작성 및 경제성을 고려할 때 고무 재질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버튼 부재(100)는 하면의 중앙부에 소정 높이 돌출 형성되는 누름돌기(110)가 형성되고, 이 누름돌기(110)는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두께가 두껍게 형성되어 그 하면에서 스위칭 수단(400) 측으로 더 돌출되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상기 버튼 부재(100)는 그 상면에 고리 형태의 홈(120)이 형성되어 그 중앙 측이 누름부로서 기능을 하는데, 이 홈은 상기 누름돌기(110)의 가장자리 형태에 대응하는 형태로 형성된다. 다시 말해서, 상기 버튼 부재(100)는 상기와 같이 형성되는 누름돌기(110)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면에 소정 깊이와 폭을 갖는 홈(120)이 형성되게 된다.
이와 같이 홈(120)에 의해 중앙 측이 누름부로 형성됨으로써, 버튼 부재(100)의 다른 부위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원활한 이동성이 확보되어 누름부를 누를 때 그 하부에 형성된 누름 돌기(110)가 스위칭 수단(400)을 눌러 스위칭 동작을 실행하고, 누름 압력을 해제하게 되면 원위치로 복원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버튼 부재(100)는 바람직하게 고무재질의 재료를 사출 방식으로 하여 구성될 수 있고, 이에 따라 제작성과 가공성이 우수하다.
다음으로, 상부 몰드체(200)는 중앙에 개구부를 갖는 고리형태의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뚫려 있는 중앙의 개구부를 통해 상기 버튼 부재(100)의 누름 돌기(110)는 스위칭 수단(400)을 누를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상부 몰드체(200)는 수지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또한 사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작성과 가공성이 향상된다.
계속해서, 상기 버튼 부재(100)와 상기 상부 몰드체(200) 간을 고정시키는 제1 고정 수단은 이중 사출 방식을 통해 형성되는 고정 구조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다시 말해서, 상기 제1 고정 수단은 상부 몰드체(200)를 사출한 후, 상기 버튼 부재(100)를 사출하여 버튼 부재(100)와 상부 몰드체(200)가 부착 결합되도록 하는 구조로 이루어지게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구조에서 상기 제1 고정 수단을 통해 결합되는 결합 구조를 보면, 상기 버튼 부재(100)의 사방 가장자리가 내면보다 돌출되게 연장되는 연장 결합부(130)와, 상기 연장 결합부(130)의 내측 면에 형성되는 걸림홈(140), 상기 상부 몰드체(200)의 가장자리의 사방 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140)에 걸리도록 형성되는 걸림턱(210)으로 이루어진다.
도면에서 상기 걸림턱(210)은 상부 몰드체(200)의 가장자리의 사방 면의 상단부에 형성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다음으로, 상기 상부 몰드체(200)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 몰드체(300)는, 일면(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스위칭 수단(400)의 전력 와이어 또는 스위칭 수단(400)에 접속되는 전력 와이어가 인출되는 와이어링 인출부(31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몰드체(300)는 수지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또한 사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작성과 가공성이 향상된다.
계속해서, 상기 제2 고정 수단은 상기 상부 몰드체(20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220) 및 상기 하부 몰드체(300)의 가장자리의 사방 면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220)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320)로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제2 고정 수단(220, 320)은 상부 몰드체(200)와 하부 몰드체(300)가 형성될 때 일체로 형성된다.
다음으로, 상기 스위칭 수단(400)은 판 스프링 형태와 같이 중앙부가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돔형 상부 스위치(410); 및 상기 돔형 상부 스위치(410)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돔형 상부 스위치(410)의 이동에 따른 접촉으로 통전(通電)되도록 도전성 재질(예를 들면, 철)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형 하부 스위치(420)(예를 들면, 철판)를 포함한다.
상기 돔형 상부 스위치(410)와 플레이트형 하부 스위치(420)는 전도성 재질로 이루어지며, 각각 와이어링 인출부(310)를 통해 외부로 인출되는 전원 와이어가 연결된다.
또한, 상기 스위칭 수단(400)의 변형 예로서, 상부 스위치는 소정 패턴의 도전 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랫 타입(flat type)으로 이루어지고, 하부 스위치는 상기 상부 스위치의 하부에 구비되어 상기 상부 스위치의 이동에 따른 접촉으로 통전되도록 도전성 재질(예를 들면, 철)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형 하부 스위치(예를 들면, 철판)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변형 예를 이루어지는 스위칭 수단의 경우, 작동 스트로크(stroke)를 균일화하여 작동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칭수단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형 하부 스위치(420)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구멍(421), 및 상기 플레이트형 하부 스위치(420)의 고정 구멍(421)의 위치에 상응하게 상기 하부 몰드체(300)의 내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구멍(421)이 삽입되는 융합 돌기(330)를 포함하되, 상기 융합 돌기(330)는 융착으로 함몰되어 상기 고정 구멍(421) 주변을 덮도록 이루어진다.
여기에서, 상기 스위칭 수단이 변형 예로 이루어지는 경우, 상부 스위치의 가장자리 및 하부 스위치의 가장자리에 각각 하나 이상의 고정 구멍이 형성되고, 이 고정 구멍이 형성되는 위치에 상응하게 하부 몰드체의 가장자리에 각각 하나 이상의 융합 돌기가 형성되어 이 융합 돌기를 융착시킴으로써 상기 상부 스위치가 하부 몰드체에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칭수단 고정수단(421, 330)은 각각 플레이트형 하부 스위치(320)와 하부 몰드체(300)가 형성될 때 일체로 형성된다.
계속해서, 상기 방수 부재(500)는 상기 상부 몰드체(200)와 하부 몰드체(300)가 마주하는 경계면에 구비되는 테두리 방수 씰(seal)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상기 방수 부재(500)인 테두리 방수 씰(seal)은 상기 상부 몰드체(200)와 하부 몰드체(300)가 마주하는 두 경계면 또는 경계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테두리 방수 씰은 고무류나 실리콘류 또는 수지류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신축성있는 재질로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 구조체는 전원 와이어가 인출되는 상기 와이어링 인출부(310)에 구비되는 와이어 씰(wire seal)(31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 구조체는 상부 몰드체(200)와 하부 몰드체(300) 사이에서의 긴밀한 방수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와이어링 인출부(310)도 와이어 씰에 의해 긴밀한 방수 구조를 갖게 되어, 전체적으로 뛰어난 방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 구조체에 대하여 도 8 내지 도 12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9 및 도 10은 각각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9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며, 도 1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를 나타내는 단면도로서, 도 10의 D-D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아래 설명되는 제2 실시 예는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에서, 스위칭수단 및 하부 몰드체의 구성에서 차이가 있다. 이에 따라서, 아래의 제2 실시 예에 대한 설명에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부호를 부여하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거나 간략히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 구조체는 도 2 내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신축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 형태의 버튼 부재(100); 상기 버튼 부재(100)의 일면에 결합 고정되고, 중앙부가 뚫여 형성되며, 소정 두께를 갖고 형성되는 프레임(frame) 형태의 상부 몰드체(200); 상기 버튼 부재(100)와 상기 상부 몰드체(200) 간을 고정시키는 제1 고정 수단; 내측에 수용 공간을 갖고 형성되고, 일측에 커넥터 수용홈(610)과 와이어링 인출부(620)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몰드체(200)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 몰드체(600); 상기 상부 몰드체(200)와 하부 몰드체(600) 간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 수단; 상기 상부 몰드체(200)와 하부 몰드체(600) 사이, 즉 상기 하부 몰드체(600)의 수용 공간에 구비되되, 다수의 돔 버튼(710)이 구비되는 돔 버튼형 스위칭 수단(700); 상기 스위칭 수단(700)을 하부 몰드체(600)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위칭수단 고정수단; 및 상기 상부 몰드체(200)와 하부 몰드체(600) 간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방수 부재(500)를 포함한다.
상기 버튼 부재(100)와 상부 몰드체(200) 및 이의 결합 구조(제1 고정 수단)는 앞서 설명한 일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하부 몰드체(600)는, 일면(상부)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돔 버튼형 스위칭 수단(700)을 구성하는 각 돔 버튼(710)의 와이어가 집결되는 커넥터(720)를 수용할 수 있는 커넥터 수용홈(610)이 형성되고, 상기 커넥터(720)에 접속되는 전력 와이어가 인출되는 와이어링 인출부(620)가 형성된다.
상기 하부 몰드체(600)는 수지류의 재질로 이루어지며, 또한 사출 방식으로 형성할 수 있어 제작성과 가공성이 향상된다.
상기 제2 고정 수단은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위칭 수단(700)은 상면에 형성되어 상기 커넥터로 연장되는 연장라인을 갖는 도전성 패턴이 구비되는 하부 필름(730), 및 상기 하부 필름(730) 상면의 도전성 패턴에 일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어 상기 하부 필름과 통전(通電)되도록 하는 돔 버튼(710)을 포함한다.
다음으로, 상기 스위칭수단 고정수단은 상기 하부 필름(730)을 하부 몰드체(600)의 하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진다.
계속해서, 상기 방수 부재(500) 또한 앞서 설명한 제1 실시 예와 동일한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본 발명의 푸시버튼 스위치 구조체는 전원 와이어가 인출되는 상기 와이어링 인출부(610)에 도포되는 에폭시 도포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 구조체는 상부 몰드체(200)와 하부 몰드체(600) 사이에서의 긴밀한 방수 구조를 가질 뿐만 아니라, 와이어링 인출부(610)도 에폭시 도포체에 의해 긴밀한 방수 구조를 갖게 되어, 전체적으로 뛰어난 방수 구조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푸시버튼 스위치 구조체에 의하면, 이물질의 침투를 방지할 수 있는 방진 구조와 기밀한 방수 구조를 구현하여 제품의 신뢰성과 수명 연장을 확보할 수 있으며, 상대적으로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어 조립성과 제작성 및 경제성을 향상시키고, 제품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와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에 포함되는 기술적 사상의 일부를 예시적으로 설명하는 것에 불과하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이러한 실시 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명세서 및 도면에 포함된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업자가 용이하게 유추할 수 있는 변형 예와 구체적인 실시 예는 모두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버튼 부재
110: 누름 돌기
120: 홈
130: 연장 결합부
140: 걸림홈
200: 상부 몰드체
210: 걸림턱
220: 결합 구몽
300, 600: 하부 몰드체
310, 620: 와이어링 인출부
311: 와이어 씰
320: 결합 돌기
330: 융합 돌기
400, 700: 스위칭 수단
410: 상부 스위치
420: 하부 스위치
421: 고정 구멍
500: 방수 부재
610: 커넥터 수용홈
700: 돔 버튼형 스위칭 수단
710: 돔 버튼
720: 커넥터
730: 하부 필름

Claims (11)

  1. 플레이트 형태의 버튼 부재;
    상기 버튼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frame) 형태의 상부 몰드체;
    상기 버튼 부재와 상기 상부 몰드체 간을 결합시키는 제1 고정 수단;
    내측에 수용 공간을 갖고 형성되고, 일측에 와이어링 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몰드체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 몰드체;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 간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 수단;
    상기 하부 몰드체의 수용 공간에 구비되는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을 하부 몰드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위칭수단 고정수단; 및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 간의 결합면에 구비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부재는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면의 중앙부에 누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돌기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면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몰드체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 부재의 외곽 형태에 상응하는 고리형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 부재와 상부 몰드체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화되고,
    상기 제1 고정 수단은 상기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고정 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버튼 부재의 사방 가장자리가 다른 부위보다 돌출되게 연장되는 연장 결합부와, 상기 연장 결합부의 내측 면에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상부 몰드체의 가장자리의 사방 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몰드체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스위칭 수단의 전력 와이어가 인출되는 와이어링 인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라운드지는 돔형 상부 스위치; 및 상기 돔형 상부 스위치의 하부에 구비되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형 하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링 인출부에 구비되는 와이어 씰(wire sea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수단 고정수단은 상기 플레이트형 하부 스위치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구멍, 및 상기 하부 몰드체의 내면 가장자리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 구멍이 삽입되는 융합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융합 돌기는 융착으로 함몰되어 상기 고정 구멍 주변을 덮도록 이루어지도록 구성되고,
    상기 제2 고정 수단은 상기 상부 몰드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 및 상기 하부 몰드체의 가장자리의 사방 면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로 이루어지며,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가 마주하는 경계면에 구비되는 테두리 방수 씰(seal)로 이루어지는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2. 플레이트 형태의 버튼 부재;
    상기 버튼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frame) 형태의 상부 몰드체;
    상기 버튼 부재와 상기 상부 몰드체 간을 결합시키는 제1 고정 수단;
    내측에 수용 공간을 갖고 형성되고, 일측에 커넥터 수용홈과 와이어링 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몰드체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 몰드체;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 간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 수단;
    상기 하부 몰드체의 수용 공간에 구비되되, 다수의 돔 버튼이 구비되는 돔 버튼형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을 하부 몰드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위칭수단 고정수단; 및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 간의 결합부에 구비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부재는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면의 중앙부에 누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돌기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면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몰드체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 부재의 외곽 형태에 상응하는 고리형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 부재와 상부 몰드체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화되고,
    상기 제1 고정 수단은 상기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고정 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버튼 부재의 사방 가장자리가 다른 부위보다 돌출되게 연장되는 연장 결합부와, 상기 연장 결합부의 내측 면에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상부 몰드체의 가장자리의 사방 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몰드체는 일면 개방된 함체 형태로 형성되고, 일측에는 커넥터 수용홈이 형성되며, 전력 와이어가 인출되는 와이어링 인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은 상면에 형성되어 도전성 패턴이 구비되는 하부 필름, 상기 도전성 패턴이 연장되어 집결 수용되는 커넥터, 및 상기 하부 필름 상면의 도전성 패턴에 일정 간격을 갖고 구비되는 돔 버튼을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수단 고정수단은 상기 하부 필름을 하부 몰드체의 하면에 고정시키기 위한 양면 테이프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 고정 수단은 상기 상부 몰드체의 가장자리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구멍, 및 상기 하부 몰드체의 가장자리의 사방 면 외측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멍으로 결합되는 하나 이상의 결합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가 마주하는 경계면에 구비되는 테두리 방수 씰(seal)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력 와이어가 인출되는 상기 와이어링 인출부에 도포되는 에폭시 도포체를 더 포함하는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플레이트 형태의 버튼 부재;
    상기 버튼 부재와 일체로 형성되는 프레임(frame) 형태의 상부 몰드체;
    상기 버튼 부재와 상기 상부 몰드체 간을 결합시키는 제1 고정 수단;
    내측에 수용 공간을 갖고 형성되고, 일측에 와이어링 인출부가 형성되며, 상기 상부 몰드체에 결합 고정되는 하부 몰드체;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 간을 고정시키는 제2 고정 수단;
    상기 하부 몰드체의 수용 공간에 구비되는 스위칭 수단;
    상기 스위칭 수단을 하부 몰드체에 고정시키기 위한 스위칭수단 고정수단; 및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 간의 결합면에 구비되는 방수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버튼 부재는 고무 재질 또는 실리콘 재질로 이루어지고, 하면의 중앙부에 누름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누름돌기의 가장자리를 따르는 부위에 대응하는 위치의 상면에 소정 깊이의 홈이 형성되고,
    상기 상부 몰드체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 부재의 외곽 형태에 상응하는 고리형태 프레임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버튼 부재와 상부 몰드체는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화되고,
    상기 제1 고정 수단은 상기 이중 사출 방식으로 일체화되어 이루어지는 고정 구조로 구성되되, 상기 고정 구조는 상기 버튼 부재의 사방 가장자리가 다른 부위보다 돌출되게 연장되는 연장 결합부와, 상기 연장 결합부의 내측 면에 형성되는 걸림홈, 상기 상부 몰드체의 가장자리의 사방 면에서 외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걸림홈에 결합되는 걸림턱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하부 몰드체는 수지 재질로 이루어지고, 일면 개방된 함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일측에는 스위칭 수단의 전력 와이어가 인출되는 와이어링 인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스위칭 수단은 소정 패턴의 도전 판으로 이루어지는 플랫 타입(flat type)의 상부 스위치와, 상기 상부 스위치의 하부에 구비되며 도전성 재질로 이루어지는 플레이트형 하부 스위치를 포함하고,
    상기 와이어링 인출부에 구비되는 와이어 씰(wire seal)을 더 포함하고,
    상기 스위칭수단 고정수단은 상기 상부 스위치의 가장자리 및 하부 스위치의 가장자리 각각에 형성되는 하나 이상의 고정 구멍, 및 상기 하부 몰드체의 내면 가장자리에 각각 형성되어 상기 상부 스위치와 하부 스위치의 고정 구멍이 삽입되는 융합 돌기를 포함하되, 상기 융합 돌기는 융착으로 함몰되어 상기 고정 구멍 주변을 덮도록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는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청구항 1, 2 및 6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 부재는 상기 상부 몰드체와 하부 몰드체가 마주하는 두 경계면 또는 경계면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안착되도록 구성되는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KR1020160069951A 2016-06-05 2016-06-05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17899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951A KR101789925B1 (ko) 2016-06-05 2016-06-05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69951A KR101789925B1 (ko) 2016-06-05 2016-06-05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89925B1 true KR101789925B1 (ko) 2017-10-25

Family

ID=60299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69951A KR101789925B1 (ko) 2016-06-05 2016-06-05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992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550A (ko) * 2017-12-07 2019-06-17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CN112309745A (zh) * 2020-10-31 2021-02-02 爱马斯克(深圳)科技有限公司 按键组件及电动牙刷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858B1 (ko) * 2001-11-29 2004-11-06 유철상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KR200389777Y1 (ko) * 2005-04-29 2005-07-18 한국오발주식회사 유량 연산기용 방폭박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55858B1 (ko) * 2001-11-29 2004-11-06 유철상 로터리형 푸쉬스위치
KR200389777Y1 (ko) * 2005-04-29 2005-07-18 한국오발주식회사 유량 연산기용 방폭박스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67550A (ko) * 2017-12-07 2019-06-17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KR102526494B1 (ko) 2017-12-07 2023-04-26 엘에스오토모티브테크놀로지스 주식회사 차량용 트렁크 스위치 유닛
CN112309745A (zh) * 2020-10-31 2021-02-02 爱马斯克(深圳)科技有限公司 按键组件及电动牙刷
CN112309745B (zh) * 2020-10-31 2023-08-22 爱马斯克(深圳)科技有限公司 按键组件及电动牙刷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191387B2 (ja) 防水型押しボタンスイッチ
US7938460B2 (en) Latch release operating apparatus
US7485824B2 (en) Electrical switch component
JPH04349316A (ja) 電子機器用防水スイッチ
US20150027868A1 (en) Button, button arrangement and electronic device employing same
US9368297B2 (en) Illuminated, water- and dust-proof switching element
JP2014532973A5 (ko)
US9185193B2 (en) Gasket structure for a terminal apparatus
KR101789925B1 (ko)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US20110308925A1 (en) Push switch
JP2013062243A (ja) 防水装置及び防水加工方法
US6621446B1 (en) Remote control unit
JP3158483U (ja) 携帯装置の押しボタンの固定構造
WO2021071704A1 (en) Charging or refuelling recess
JP6045114B2 (ja) 防水防塵スイッチ
JP5681505B2 (ja) プッシュスイッチ
CN104217879A (zh) 灯具及按键装置
KR101624729B1 (ko) 차량용 도어 안테나 스위치
KR101385139B1 (ko) 차량용 도어 안테나 스위치의 수밀구조
JP5722198B2 (ja) 防水用押釦スイッチ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TWI421890B (zh) 防水防塵按鈕及應用該按鈕的電子裝置
KR102365514B1 (ko) 방수 스위치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
JP5722199B2 (ja) 防水用押釦スイッチ部材およびそれを備える電子機器
TWI410994B (zh) 按鍵結構
KR20150137142A (ko) 차량용 도어 안테나 스위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