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5514B1 - 방수 스위치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 - Google Patents

방수 스위치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5514B1
KR102365514B1 KR1020200071562A KR20200071562A KR102365514B1 KR 102365514 B1 KR102365514 B1 KR 102365514B1 KR 1020200071562 A KR1020200071562 A KR 1020200071562A KR 20200071562 A KR20200071562 A KR 20200071562A KR 102365514 B1 KR102365514 B1 KR 1023655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witch
waterproof
terminal
contact
brack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715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54493A (ko
Inventor
사공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Priority to KR10202000715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5514B1/ko
Priority to US16/931,533 priority patent/US11250999B2/en
Priority to JP2020128457A priority patent/JP7028477B2/ja
Priority to CN202010879790.0A priority patent/CN113808873A/zh
Publication of KR20210154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4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5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5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07Wire harnesses
    • B60R16/0215Protecting, fastening and routing means therefo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00Contacts
    • H01H1/58Electric connections to or between contacts; Termin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0Bases; Stationary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01H13/18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adapted for actuation at a limit or other predetermined position in the path of a body, the relative movement of switch and body being primarily for a purpose other than the actuation of the switch, e.g. door switch, limit switch, floor-levelling switch of a lif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29/00Manufacturing
    • H01H2229/044Injection mou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ush-Button Switches (AREA)
  • Switch Cases, Indication, And Locking (AREA)

Abstract

방수 스위치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이 개시된다. PCB를 사용하지 않고, 스위치 단자들과 스위치 리드부들 제공하는 한 쌍의 스위치 터미널이 인서트 사출로 스위치 브라켓과 일체화 된다. 푸시 버튼부가 노출된 스위치 단자들을 스위칭할 수 있고 또한 그 스위치 단자들과 스위치 콘택트를 내포하는 공간이 방수되도록 스위치 브라켓의 상면부와 밀봉 결합된다. 스위치 터미널들의 리드부들과 스위치 케이블들이 스위치 브라켓의 터미널 수용공간 내에서 연결되고, 방수부가 이들이 완전히 파묻히도록 터미널 수용공간을 채워 방수되게 한다.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은 이러한 방수 스위치 장치를 채택하면서 부가적인 방수구조를 적용하여 이중 방수구조로 구성된다.

Description

방수 스위치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Waterproof Switch Device, and Waterproof Switch Module for Trunk Door of Car}
본 발명은 스위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인쇄회로기판(printed circuit board: PCB)를 사용하지 않는 방수 스위치 장치와 이를 이용한 차량용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트렁크 도어에는 그것이 열렸을 때에 트렁크 실내등이 켜지고, 닫혔을 때 그 트렁크 실내등이 꺼지도록 스위칭 동작을 하는 차량용 트렁크 도어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도 1은 상용되고 있는 종래의 차량용 트렁크 도어 스위치(1)를 촬영한 사진이다. 종래의 차량용 트렁크 도어 스위치(1)는 PCB(2)에 일반 스위치(3)가 탑재되고, 그 PCB(2)에는 케이블 납땜부(4)가 구비된다. 케이블 납땜부(4)는 그 일반 스위치(3)와 회로적으로 연결됨과 동시에 스위칭 신호를 전달하는 외부 케이블과 납땜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PCB(2)의 저면에는 절연용 사출판(5)이 부가되고, 배면 방수 처리를 위한 몰딩부(6)가 그 사출판(5)을 덮어 마감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구성을 갖는 종래의 차량용 트렁크 도어 스위치(1)는 브라켓 하우징(비도시)에 내장되어 상기 몰딩부(6)에 의해 밀봉 처리됨으로써 방수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차량용 트렁크 도어 스위치(1)가 브라켓 하우징에 내장되어 몰딩부(6)로 밀봉 처리된 것을 브라켓 어셈블리(Bracket assembly)라 할 수 있다.
종래의 차량용 트렁크 도어 스위치(1)는 일반 스위치 및 PCB 제작, 일반 스위치 및 PCB의 조립, 케이블 납땜부에 납땜으로 케이블을 연결, 브라켓 어셈블리 조립(프론트 케이스에 조립), 에폭시 몰딩부 형성 등의 공정을 거쳐 제작될 수 있다.
그런데, 종래의 차량용 트렁크 도어 스위치(1)는 PCB(2)를 필수 구성요소로 채용한 PCB(2) 기반 스위치이므로, PCB(2)의 제작 공정, 일반 스위치(3)와 PCB(2)의 조립 공정, PCB(2)의 케이블 납땜부(4)와 외부 케이블의 납땜 연결 등과 같은 공정들이 수행될 필요가 있다. 그에 따라 조립 공수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고, 생산성이 저하되고 코스트가 상승된다. 이런 단점들은 PCB(2)를 채용하기 때문에 생겨나는 것들이다.
한국등록특허 제10-0364275호(2002년11월28일 등록)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6460(1999년02월25일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 공수의 증가와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PCB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위치 단자와 케이블을 직접 연결할 수 있는 콤팩트 한 구조로 설계되어 조립공수와 원가를 줄일 수 있고, 완전한 방수성을 제공할 수 있는 방수 스위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방수 스위치 장치를 채택하면서 부가적인 방수구조를 적용하여 이중 방수구조로 된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술한 과제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하게 확장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방수 스위치 장치는 스위치 브라켓,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부, 제1 및 제2 스위치 케이블, 푸시 버튼부, 그리고 방수부를 포함한다. 상기 스위치 브라켓은 상면부와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와 상기 측벽부로 둘러싸인 터미널 수용공간을 제공한다. 상기 상면부는 스템 마운팅부와 터미널 고정편(a terminal fixing piece)을 포함하는 터미널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스템 마운팅부는 상기 상면부에 일정한 높이의 측벽으로 둘러싸이고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과는 분리 독립된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터미널 고정편은 상기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면서 상기 스템 마운팅부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된 절연성 플라스틱 사출물이다.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부는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의 바닥에 적어도 일부가 각각 노출된 채 상기 터미널 고정편 속에 매설된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에 일부가 각각 노출되되 각각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터미널 고정편 속에 매설되되 상기 터미널 고정편과 일체로 결합되어 결합부위를 통한 수분 침투가 일어나지 않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터미널 리드부를 각각 포함한다.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케이블는 말단 전선들이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 리드부의 노출된 부분들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 속에 위치하고, 나머지 구간들은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 바깥으로 연장된다. 상기 푸시 버튼부는 누르는 힘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들을 턴온 또는 턴오프 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스위치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들과 상기 스위치 콘택트를 내포하는 스위치 접점 공간을 밀폐시켜 방수되도록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상기 상면부에 결합된다. 상기 방수부는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 내의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 리드부의 노출된 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케이블이 완전히 파묻히도록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을 채워 방수시킨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브라켓 속에 매설되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부의 상기 제1 및 제2 나머지 부분의 일측 말단은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측벽부까지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나머지 부분의 일측 말단까지의 소정 구간의 표면에는 그 표면을 타고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한 울퉁불퉁한 노칭 구조가 형성될 수 있다.
삭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방수부는 에폭시, 실리콘, 그리고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수지가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 속에 충전되어 경화된 것일 수 있다.
삭제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푸시 버튼부는 스위치 콘택트, 밀봉 부재, 스템,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콘택트는 상기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와는 항상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스위치 단자와는 하방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만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이 완전히 덮여 방수되도록 상기 스템 마운팅부의 상면과 밀봉 접합되고 상기 스위치 콘택트의 상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근접될 수 있다. 상기 스템은 상기 밀봉 부재 상에 배치되고, 하부가 상부보다 더 굵어 측면에 단턱이 마련된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커버는 상기 밀봉 부재 위에 포개지면서 결합되고, 상기 스템의 상부가 삽입 관통되고, 상기 단턱이 걸려 상기 스템의 하부가 이탈하지 못하게 잡아주며, 상기 스템이 아래위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스템 마운팅부의 상단면 전구간과 방수성 접착제로 밀봉 접합되는 고리형 평면부; 상기 평면부에 포위되면서 아래로 싱크(sink)되어 바깥으로 돌출된 고리형 푸싱가이드 돌부; 및 상기 푸싱가이드 돌부의 중심부에서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스위치 콘택트의 상면 중앙부와 접촉 또는 근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콘택트를 균일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된 푸싱 블록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고리형 평면부, 상기 푸싱가이드 돌부, 상기 푸싱 블록부는 한 몸체를 이룰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밀봉 부재는 방수성을 갖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중 어느 한 가지로 만들어진 것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콘택트는 가장자리 부분에서 가운데 부분으로 가면서 볼록해지는 돔 형상의 전도체이고, 상기 가운데 부분에 가해지는 하방 압력에 의해 상기 가운데 부분이 상기 가장자리 부분과 같은 높이가 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그 하방 압력이 해제되면 원래의 돔 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돔 콘택트일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브라켓은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터미널 고정편의 저부에서 아래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을 물리적으로 분리해주는 분리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스위치 브라켓은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상기 분리벽의 양쪽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케이블을 수용하여 상기 분리벽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가이드 하는 케이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부는 제1단계로 상기 터미널 케이스와 먼저 인서트 사출된 다음 제2단계로 상기 스위치 브라켓과 일체가 되도록 상기 스위치 브라켓에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부는,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측벽부를 통해 밖으로 노출되지는 않고,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으로만 노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푸시 버튼부는 스위치 콘택트와 방수 커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콘택트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와는 항상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스위치 단자와는 하방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만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방수 커버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 및 상기 스위치 콘택트를 내포하도록 전부 덮으면서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상면부와 밀봉 접합되어,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상면부와 협력하여 형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 및 상기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을 방수되도록 밀폐시킬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따른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은 위의 실시예들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기재된 방수 스위치 장치와, 케이스부, 그리고 탄성 누름부를 포함한다. 상기 케이스부는 서로 끼움 결합되어 상기 방수 스위치 장치를 내포하는 방수 스위치 수납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부 및 하부 케이스를 포함한다.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가운데 부분은 개방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면에 상기 수납공간의 주위를 따라 일주하면서 방수용 요홈 또는 철부가 형성된다. 상기 탄성 누름부는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방된 상기 가운데 부분을 완전히 덮는 형태로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된다. 상기 탄성 누름부의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주하면서 형성된 방수용 철부 또는 요홈이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방수용 요홈 또는 철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방수 스위치 수납공간으로의 수분 침투를 차단할 수 있다. 상기 탄성 누름부의 저면의 일부가 상기 방수 스위치 장치의 상기 푸시 버튼부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바닥면에 직립 고착되고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 배치되고 상단에 걸림턱이 마련되어, 끼움 삽입된 상기 방수 스위치 장치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켜주는 한 쌍의 스위치 지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상기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의 한 쌍의 스위치 지지부 사이에 깔려서 그 위에 상기 방수 스위치 장치가 놓여져 상기 방수 스위치 장치의 하부 쪽 방수성을 강화시켜주는 탄성 방수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스위치는 스위치 단자와 케이블 연결용 터니멀 리드를 제공하는 스위치 터미널부를 스위치 브라켓과 일체화 시킨 구조이므로 PCB를 채용하지 않아도 된다. PCB 생략에 따라, PCB 제작 공정, PCB를 기반으로 하는 조립 공정이 생략될 수 있다. 그 결과, 방수 스위치 제작에 필요한 조립 공수가 전체적으로 줄어들 수 있고, 생산 공정이 단순화될 수 있어 생산성 향상과 원가 절감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스위치는 PCB를 사용하지 않고 스위치 브라켓을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스위치 터미널과 일체화 시킨 구조를 기반으로 하므로, 그 스위치 브라켓에 스위치 단자의 접점 공간과 스위치 케이블 연결 공간을 마련하기가 용이하다. 그리고 그런 공간들을 밀봉 커버나 실링 필름으로 덮거나 방수용 수지를 몰딩하여 메우는 간단한 방식으로 방수가 가능하게 밀봉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스위치의 모든 도전체 부품들에 대한 완벽한 방수 구조를 갖출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스위치는 완전 방수구조로 되어 있으므로 양호한 방수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사용환경에 적용될 수 있다. 대표적인 예로,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스위치는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은 방수 스위치의 방수 구조 외에도 그것을 수납하는 케이스부와 탄성 누름부가 별도의 방수 구조를 가지므로, 방수 스위치는 이중 방수구조로 보호될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PCB 채용 트렁크 도어 스위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방수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절단선 A-A'를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에서 절단선 B-B'를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의 케이블 가이드부에 스위치 케이블이 안착되어 스위치 터미널과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의 스위치 터미널을 서로 다른 두 대각선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터미널부의 수평 터미널 리드부에 레이저 에칭으로 형성된 노칭 구조를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사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의 조립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1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3은 도 12에 도시된 방수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의 조립된 상태의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4에 도시된 방수 스위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를 적용한 차량용 트렁크 도어 방수 스위치 모듈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7은 도 16의 차량용 트렁크 도어 방수 스위치 모듈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8은 도 16에서 절단선 C-C'를 따라서 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본문에 개시되어 있는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서, 특정한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즉,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도 2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10)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방수 스위치(1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와 도 5는 도 2에 도시된 방수 스위치(10)를 서로 직교하는 두 절단선 A-A'와 B-B'을 따라 절단하였을 때 보이는 종단면도들이다.
도 2 내지 5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10)는 푸시버튼부(15), 스위치 터미널부(40), 스위치 브라켓(20), 스위치 신호용 스위치 케이블(50), 그리고 방수부(6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터미널부(40)는 제1 스위치 터미널(40a)과 제2 스위치 터미널(40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40a, 40b)은 스위치 온/오프용 스위치 단자들(46a, 46b)과, 그 스위치 단자들(46a, 46b)에서 연장된 제1 터미널 리드부(42a, 44a) 및 제2 터미널 리드부(42b, 44b)을 각각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미널 리드부(42a, 44a) 및 제2 터미널 리드부(42b, 44b) 각각의 일부분은 스위치 브라켓(20) 내에 매설되고, 나머지 부분은 스위치 브라켓(20)이 제공하는 터미널 수용공간(28) 내에 노출될 수 있다. 스위치 단자들(46a, 46b)은 스위치 브라켓(20)의 외부에 노출될 수 있다.
푸시버튼부(15)는 누르는 힘의 인가 여부에 따라 스위치 터미널부(40)의 스위치 단자들(46a, 46b)을 온 또는 오프 시킬 수 있다. 또한, 푸시버튼부(15)는 제1 수용공간(26)을 밀폐시켜 스위치 터미널부(40)에 대한 외부에서의 수분 침투를 막아주도록 스위치 브라켓(20)과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 브라켓(20)은 위에서 언급한 것처럼 한 쌍의 스위치 터미널(40a, 40b)의 일부분을 내부에 매설하는 형태로 한 쌍의 스위치 터미널(40a, 40b)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브라켓(20)는 스위치 단자들(46a, 46b)이 바깥이 노출되고 스위치 콘택트(32)가 수용되는 제1 수용공간 즉,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과, 한 쌍의 스위치 터미널(40a, 40b)의 수직 리드부(42a, 42b)가 노출되는 제2 수용공간 즉, 터미널 수용공간(28)을 각각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 케이블(50)은 한 쌍의 케이블(50a, 50b)을 포함할 수 있다. 그 두 스위치 케이블(50a, 50b)의 절연 피복이 제거된 말단 전선은 터미널 수용공간(28) 내에서 한 쌍의 스위치 터미널(40a, 40b)의 수직 리드부들(42a, 42b)과 각각 연결되고, 절연 피복으로 절연된 나머지 구간의 적어도 일부는 그 터미널 수용공간(28) 밖으로 연장된다.
방수부(60)는 터미널 수용공간(28) 내에 존재하는 한 쌍의 스위치 터미널(40a, 40b)의 수직 리드부들(42a, 42b)과 한 쌍의 스위치 케이블(50a, 50b)의 도전체에 대한 수분침투를 막아주도록 터미널 수용공간(28)을 밀폐시키면서 스위치 브라켓(20)과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위치 브라켓(20)은 사각형의 상면부(20t)의 네 모서리에 측벽부(20a, 20b, 20c, 20d)가 연결되고, 하부는 개방되어, 사각형 케이스 형상일 수 있다. 스위치 브라켓(20)의 상면부(20t)와 측벽부(20a-20d)로 둘러싸인 공간은 한 쌍의 스위치 터미널(40)과 스위치 케이블(50)을 수용하여 연결되게 하는 수용공간(28)으로 제공될 수 있다.
스위치 브라켓(20)은 스템 마운팅부(22)와 그 아래에 일체로 결합된 터미널 고정편(24)을 포함하는 터미널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템 마운팅부(22)는 스위치 브라켓(20)의 상면부(20t)에 형성될 수 있다. 일예로서, 스템 마운팅부(22)는 위로 일정한 높이로 돌출되고 상면은 평편한 원형 또는 다각형 측벽 구조일 수 있다. 도면에는 사각형 측벽 구조가 예시되어 있다. 그 다각형 측벽 구조에 의해 둘러싸인 중앙은 상부가 개방되어,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으로 제공될 수 있다. 스템 마운팅부(22)의 상면의 복수 지점에는 복수 개의 돌출핀(22P)이 구비될 수 있다. 즉, 그 복수개의 돌출핀(22P)은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의 주위에 배치될 수 있다.
터미널 고정편(24)은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의 바닥을 형성하면서 스템 마운팅부(22)의 아래쪽으로 돌출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40a, 40b)의 일부분인 제1 및 제2 수평 리드부(44a, 44b)의 일부분들과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들(46a, 46b)의 기부가 터미널 고정편(24) 속에 서로 이격되어 매설되고, 제1 및 제2 터미널(40a, 40b)의 수직 리드부(42a, 42b)는 터미널 고정편(24) 밖으로 연장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들(46a, 46b)이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의 바닥에 박힌 형태로 노출될 수 있다.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의 바닥에는 제1 스위치 터미널(40a)의 두 개의 공통단자(common terminal)(46a)가 서로 이격 배치되고, 그 두 공통단자(46a) 사이에 제2 스위치 터미널(40b)의 콘택트 단자(46b)가 배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40a, 40b)은 터미널 고정편(24)을 통해 스위치 브라켓(20)에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푸시 버튼부(15)는 스템(30), 스위치 콘택트(32), 커버(34), 밀봉 부재(36)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콘택트(32)는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 내에 배치되어 제1 스위치 단자(공통 단자)(46a)와는 항상 접촉을 유지하고, 제2 스위치 단자(콘택트 단자)(46b)와는 하방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만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스위치 콘택트(32)는 누르는 힘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들을 턴온 또는 턴오프 시킬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위치 콘택트(32)는 원형이되 측면에서 보았을 때 가장자리 부위에서 가운데 부위로 갈수록 높이가 서서히 높아지는 돔 콘택트일 수 있다. 돔 콘택트(32)는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에 수용된 상태에서, 돔 콘택트(32)의 가장자리 부위는 제1 스위치 터미널(40a)의 두 개의 공통단자(46a)와 접촉된 상태를 유지하는 반면, 돔 콘택트(32)의 가운데 부위는 제2 스위치 터미널(40b)의 콘택트 단자(46b)와는 비접촉 상태(즉, 스위치 오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형상일 수 있다. 일예로, 돔 콘택트(32)는 외력이 가해지면 가운데 부위가 내려앉아 제2 스위치 터미널(40b)과 접촉(턴온)될 수 있고, 그 외력이 제거되면 다시 비접촉 상태(턴오프)로 회복될 수 있는 탄성이 있는 도전체로 만들어질 수 있다.
밀봉 부재(36)는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을 완전히 덮어 방수되도록 스템 마운팅부(22)의 상면과 밀봉 접합되고 돔 콘택트(32)의 상면에 접촉 또는 근접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밀봉 부재(36)는 평면부(36-1), 푸싱가이드 돌부(36-4), 그리고 푸싱 블록부(36-2)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36-1)는 고리형이며, 스템 마운팅부(22)의 상단면 전 구간과 예컨대 방수성 접착제로 완전히 밀봉 접합될 수 있다. 푸싱가이드 돌부(36-4)는 고리형이고 평면부(36-1)에 포위되면서 아래로 싱크되어 바깥으로 돌출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푸싱 블록부(362)는 푸싱가이드 돌부(36-4)의 중심부에 아래로 돌출되어 돔 콘택트(32)의 상면과 접촉 또는 근접되게 배치될 수 있다. 푸싱가이드 돌부(36-4)와 푸싱 블록부(36-2)는 밀봉 부재(36)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동심원 형태로 배열될 수 있다. 푸싱 블록부(36-2)의 바깥 저면은 돔 콘택트(32)의 상면과 근접되거나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고, 푸싱 블록부(36-2)의 내측 싱크에는 스템(30)이 안치될 수 있다. 밀봉 부재(36)의 평면부(36-1)에는 복수의 핀 삽입공(36-3)이 형성될 수 있다. 밀봉 부재는 방수성이 우수한 고무,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재질로 만들 수 있다. 조립 시, 복수의 핀 삽입공(36-3)에 복수 개의 돌출핀(22P)이 삽입되면, 밀봉 부재(36)가 스템 마운팅부(22)의 상면을 완전히 덮을 수 있다. 이런 상태에서 접착제로 접합함으로써,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은 밀봉 부재(36)에 의해 밀봉되어 방수 공간이 될 수 있다.
스템(30)은 전체적으로 원기둥 형상이며, 스템(30)의 하부에는 상부보다 더 굵은 스템 플랜지부(30-1)가 마련된다. 스템(30)의 상부와 하부 간에 단턱이 형성될 수 있다. 스템(30)은 밀봉 부재(36)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스템(30)의 하부는 밀봉 부재(36)의 푸싱 블록부(36-2)의 내측 싱크 안에 수용될 수 있다.
커버(34)는 밀봉 부재(36) 위에 포개지면서 결합되고, 스템(30)의 상부가 삽입 관통되고, 스템(30)의 단턱이 걸려 스템(30)의 하부가 이탈하지 못하게 잡아주며, 스템(30)이 아래위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커버(34)는 밀봉 부재(36)의 평면부(36-1)와 맞접하는 평면부(34-1)와, 그 평면부(34-1)의 가운데 부위에서 위로 돌출되고 수직방향으로 스템 결합공(34-3)이 마련된 고리형 구조의 스템 스톱퍼(34-2)를 포함할 수 있다. 평면부(34-1)에는 복수의 핀 삽입공(34-4)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핀 삽입공(34-4)에 복수 개의 돌출핀(22P)을 삽입될 수 있다. 스템 스톱퍼(34-2)의 스템 결합공(34-3)의 하단부 직경은 스템 플랜지부(30-1)의 직경보다 크지만, 상단부 직경은 스템 플랜지부(30-1)의 직경보다는 작고 스템(30)의 상부 직경보다는 크다.
상기 스템(30)은 커버(34)에 구비된 스템 결합공(34H)에 아래쪽에서 위로 삽입되어 커버(34)에 대하여 스템 결합공(34-3)을 통해 수직운동을 할 수 있도록 결합될 수 있다. 스템 플랜지부(30-1)는 스템 스톱퍼(34-2)에 걸려 밖으로 나오지 못하고, 스템(30)의 상부만 핀 삽입공(34-3) 밖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6은 방수 스위치(10)의 케이블 가이드부(39)에 스위치 케이블(50)이 안착되어 스위치 터미널(40)과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이다. 도 7과 도 8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터미널(40)을 서로 다른 두 대각선 방향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6 내지 8을 더 참조하면, 제1 스위치 터미널(40a)은 서로 일체로 연결된 공통 단자(46a)와 제1 터미널 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터미널 리드부는 수평으로 연장된 제1 수평 리드부(44a)와, 그 제1 수평 리드부(44a)의 일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제1 수직 리드부(42a)를 포함할 수 있다. 공통 단자(46a)는 소정 간격만큼 이격되되 제1 수평 리드부(44a)를 통해 서로 연결된 두 개의 공통단자(46a)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스위치 터미널(40b)는 서로 일체로 연결된 콘택트 단자(46b)와 제2 터미널 리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터미널 리드부는 수평으로 연장된 제2 수평 리드부(44b)와, 그 제2 수평 리드부(44b)의 일단에서 수직 절곡되어 연장된 제2 수직 리드부(42b)를 포함할 수 있다. 콘택트 단자(46b)는 두 공통단자(46a)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직 리드부(42a, 42b)에는 케이블 결합공(48a, 48b)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수직 리드부(42a, 42b)는 도 7과 8에 도시된 것처럼 스위치 케이블(50a, 50b)과 결합된 후 제1 및 제2 수평 리드부(44a, 44b)와 평행하도록 수평방향으로 절곡될 수 있다.
두 공통단자(46a)는 제1 수평 리드부(44a)의 두 지점에서 제1 수평 리드부(44a)와 직교하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1 수평 리드부(44a)보다 더 높게 마련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콘택트 단자(46b) 역시 제2 수평 리드부(44b)의 단 지점에서 제2 수평 리드부(44b)와 직교하는 대각선 방향으로 연장되어 제2 수평 리드부(44b)보다 더 높게 마련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위치 브라켓(20)은 절연성을 갖는 플라스틱 사출 원료를 이용하여 플라스틱 사출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다. 즉, 스위치 브라켓(20)의 몸체와 그 상면(20t)의 스템 마운팅부(22)가 한 몸체로 사출 성형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사출 성형 시, 스위치 터미널(40a, 40b)이 스위치 브라켓(20) 몸체 안에 매설되도록 하여 스위치 터미널(40a, 40b)과 스위치 브라켓(20)를 일체로 결합시킬 수 있다. 스위치 브라켓(20)은 사출 성형으로 제작되므로 스위치 터미널(40a, 40b)과 치밀하게 결합될 수 있어 그 결합부위를 통한 수분침투는 어렵다.
예시적일 실시예에서, 제1 스위치 터미널(40a)과 제2 스위치 터미널(40b)의 일부분은 스위치 브라켓(20)에 매설되어 서로 일체화 될 수 있다. 스위치 브라켓(20)의 사출 성형 시, 예컨대 도 8에서 제1 스위치 터미널(40a)과 제2 스위치 터미널(40b)의 빗금 친 부분 즉, 제1 및 제2 수평 리드부(44a, 44b), 공통 단자와 콘택트 단자(46a, 46b)의 상면 돌출부를 제외한 나머지 부분, 그리고 제1 및 제2 수직 리드부(42a, 42b)의 저부가 스위치 브라켓(20) 속에 매설될 수 있다. 이들은 스위치 브라켓(20)의 터미널 고정편(24)에 매설될 수 있다. 나머지 부분 즉, 제1 및 제2 수평 리드부(44a, 44b)의 말단부는 스위치 브라켓(20)의 측벽부(20a) 바깥으로 노출되고, 제1 및 제2 수직 리드부(42a, 42b)의 상부는 스위치 브라켓(20)의 터미널 수용공간(28)에 노출되고, 공통 단자와 콘택트 단자(46a, 46b)의 상면 돌출부는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에 노출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40a, 40b)의 수평 리드부(44a, 44b)의 표면에는 노칭 구조(또는 serration)(49a, 49b)가 형성될 수 있다. 도 9는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스위치 터미널(40a, 40b)의 수평 리드부(44a, 44b)에 형성된 노칭 구조(49a, 49b)를 일부 확대하여 보여준다. 노칭 구조(49a, 49b)는 수평 리드부(44a, 44b)의 표면이 울퉁불퉁하도록 복수개의 돌기가 구비된 구조이다. 노칭 구조(49a, 49b)는 레이저 엣칭이나 프레스 금형 등의 방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스위치 터미널(40a)과 제2 스위치 터미널(40b)의 노칭 구조(49a, 49b)는 스위치 브라켓(20)의 터미널 고정편(24)에 매설된다.
이러한 노칭 구조(49a, 49b)는 터미널 고정편(24)의 사출물과 더욱 타이트하게 밀착 결합할 수 있다. 그에 따라, 외부에서 수분이 수평 리드부(44a, 44b)의 표면을 따라 터미널 고정편(24) 속으로 침투해 들어오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해줄 수 있다. 즉, 노칭 구조(49a, 49b)는 수평 리드부(44a, 44b)의 방수기능을 강화시켜 줄 수 있다.
제1 스위치 터미널(40a)과 제2 스위치 터미널(40b)의 제1 및 제2 수평 리드부(44a, 44b)는 스위치 브라켓(20)의 터미널 고정편(24)에 나란하게 매설되어 고정될 수 있다. 그 상태에서 제2 스위치 터미널(40b)의 콘택트 단자(46b)는 제1 스위치 터미널(40a)의 두 개의 공통단자(46a) 사이에 위치할 수 있고, 이들 세 단자(46a, 46b)는 일렬로 배치될 수 있다. 두 공통단자(46a)와 콘택트 단자(46b)의 상면은 같은 높이를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스위치 터미널(40a)의 제1 수직 리드부(42a)와 제2 스위치 터미널(40b)의 제2 수직 리드부(42b)는 터미널 수용 공간(28) 내에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위치 브라켓(20)의 터미널 수용공간(28)에는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40a, 40b)을 물리적으로 분리하기 위한 분리벽(separation wall)(38)이 마련될 수 있다. 분리벽(38)은 소정의 높이를 가지면서 하나의 측벽부에서 그의 맞은편 측벽부 쪽으로 소정길이 연장된 구조일 수 있다. 도 6에는 제3 측벽부(20c)에서 제1 측벽부(20a) 쪽으로 연장된 분리벽(38)이 도시되어 있다. 제1 스위치 터미널(40a)과 제2 스위치 터미널(40b)는 분리벽(38)을 사이에 두고 그 양 옆에 나란히 배치될 수 있다. 즉, 분리벽(38)은 제1 스위치 터미널(40a)과 제2터미널(40a)을 물리적으로 분리시켜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즉, 분리벽(38)에 의해 제1 스위치 터미널(40a)과 제2 스위치 터미널(40b)은 물리적으로 접촉할 수 없고 전기적으로 절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브라켓(20)은 케이블 가이드부(39)를 포함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부(39)는 스위치 브라켓(20)의 터미널 수용 공간(28) 내에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 가이드부(39)의 외측단이 스위치 브라켓(20)의 복수개의 측벽부 중에서 하나의 측벽부 안쪽 면에 구비된다. 도 6에서는, 한 쌍의 케이블 가이드부(39)가 분리벽(38)의 양쪽에 배치되도록 제1 측벽부(20a)의 내면에 형성된 경우를 도시한다. 각 케이블 가이드부(39)에는 케이블 가이드 홈(39-1)이 형성된다. 한 쌍의 케이블 가이드 홈(39-1)이 스위치 브라켓(20)의 제1 측벽부(20a) 내면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연장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 결합 가이드 홈(39-1)은 둥근 케이블을 수용하기에 적합하게 반원형 홈일 수 있다.
스템(30)의 하부와 스위치 터미널(40) 사이에는 돔 콘택트(32)가 배치된다. 상기 스템(30)의 하단부 아래에 밀봉 부재(36)가 구비되고, 상기 밀봉 부재(36)와 스위치 브라켓(20)의 내부 터미널 고정편(24) 사이에 돔 콘택트(32)가 배치된다. 돔 콘택트(32)는 밀봉 부재(36) 쪽으로 볼록하게 배치되는데, 밀봉 부재(36)의 저면에 구비된 푸싱 블록부(36-2)의 중심부에 돔 콘택트(32)의 중심부가 상하로 만나도록 배치된다. 스템(30)을 누르지 않은 상태에서는, 돔 콘택트(32)의 둘레부만 제1 스위치 터미널(40a)의 공통단자(46a)에 접촉되어 있다. 외력을 가하여 스템(30)을 눌러서 밀봉 부재(36)의 푸싱 블록부(36-2)가 돔 콘택트(32)를 누르면, 돔 콘택트(32)가 제2 스위치 터미널(40b)의 콘택트 단자(46b)에 접촉된다.
스위치 터미널(40)에 케이블(50)이 연결된다. 제1 케이블(50a)과 제2 케이블(50b)의 절연피복이 제거된 말단 구간이 제1 스위치 터미널(40a)의 수직 리드부(42a)와 과 제2 스위치 터미널(40b)의 수직 리드부(42b)에 각각 연결된다. 예컨대 납땜으로 연결될 수 있다. 수직 리드부(42a, 42b)들은 선형 상태에서 케이블들(50a, 50b)과 연결되고 난 다음, 수직 리드부들(42a, 42b)은 연결부위를 포함한 부분이 수평 리드부(44a, 44b)와 나란해지도록 벤딩될 수 있다. 수직 리드부들(42a, 42b)에 연결된 케이블들(50a, 50b)은 케이블 가이드부(39)의 케이블 가이드 홈(39-1)에 삽입된 상태로 상기 스위치 브라켓(20) 바깥으로 연장되어 나온다. 터미널 수용공간(28) 안에는 수직 리드부들(42a, 42b)와 이에 연결되고 케이블 가이드 홈(39-1)에 수용된 케이블들(50a, 50b)이 존재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위치 브라켓(20)에는 터미널 수용공간(28)을 방수처리하기 위한 방수부(60)가 구비될 수 있다. 방수부(60)는 수직 리드부들(42a, 42b)와 이에 연결된 케이블들(50a, 50b) 완전히 덮어버리면서 스위치 브라켓(20)의 터미널 수용 공간(28)을 빈틈없이 채우는 방수물질일 수 있다. 예컨대 에폭시, 실리콘, 우레탄 등과 같은 몰딩용 수지의 적어도 한 가지가 그 방수물질로 사용될 수 있는데, 이는 예시적인 것이다. 방수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다른 물질도 방수부(60) 구성에 사용될 형성할 수 있다 일 예로, 방수부(60)는 터미널 수용 공간(28)에 몰딩용 수지를 주입한 후 그것을 경화시킨 것일 수 있다. 방수부(60)는 수지 몰딩부라 할 수 있다. 방수부(60)는 외부에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스위치 브라켓(20)의 터미널 수용 공간(28)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기능을 제공한다.
도 10은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의 조립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준다.
도 10을 참조하면, 스위치 브라켓(20)과 스템 마운팅부(22)를 한번에 일체로 사출 성형할 수 있도록 제작된 사출 금형(비도시)에 제1 및 제2 터미널(40a, 40b)을 위치시킨 다음, 사출 원료를 사출 금형에 주입하여 제1 및 제2 터미널(40a, 40b)이 매설되고 스템 마운팅부(22)가 일체화 된 스위치 브라켓(20)의 플라스틱 사출물을 만들 수 있다. 이 때, 사출원료를 금형에 주입하는 동안에도 제1 및 제2 수평 리드부(44a, 44b)가 움직이지 않도록 고정시켜주기 위해, 제1 및 제2 수평 리드부(44a, 44b)는 각각의 말단구간이 사출 금형에 의해 붙잡힐 수 있도록 스위치 브라켓(20)의 측벽 밖으로 돌출될 수 있는 길이를 가질 수 있다. 사출 후에는 스위치 브라켓(20)의 측벽 밖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수평 리드부(44a, 44b)의 말단구간은 더 이상 필요하지 않으므로 예컨대 레이저 커팅으로 잘라낼 수 있다.
이런 사출 공정에 의해, 터미널 수용공간(28)을 통해 바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수직 리드부(42a, 42b)와,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의 바닥면에 노출된 공통단자(46a)와 콘택트 단자(46b)를 제외하고,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40a, 40b)의 제1 및 제2 수평 리드부(44a, 44b)를 포함한 나머지 부분은 스위치 브라켓(20) 사출물 속에 매설되어 일체화된다. 즉,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40a, 40b)은, 스위치 브라켓(20)과 일체로 사출하는 간단한 공정에 의해, 종래기술에서 사용한 PCB를 사용할 필요 없이, 돔 콘택트(32)에 대한 스위칭 단자를 제공함과 동시에 스위칭 신호용 케이블(50a, 50b)과 직접 연결될 수 있는 리드부를 제공할 수 있다.
푸시 버튼부(15)의 스위치 브라켓(20)에 대한 조립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돔 콘택트(32)가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 내에 안치되어 두 개의 공통단자(46a)와 접촉된다. 그 위에 밀봉 부재(36)가 배치되어 돔 콘택트(32)와 스템 마운팅부(22)의 상부를 덮는다. 이 때, 밀봉 부재(36)는 방수성 접착제와 같은 밀봉 접합수단으로 스템 마운팅부(22)의 상면에 밀착 결합되어, 돔 콘택트(32)와 터미널 단자(46a, 46b)들이 있는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을 밀봉하는 패킹 역할을 할 수 있다. 밀봉 부재(36)의 패킹 기능에 의해,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은 외부로부터 수분 침투가 불가한 밀폐된 방수 공간이 될 수 있다.
스템(30)을 밀봉 부재(36)의 푸싱 블록부(36-2)의 내측 싱크에 올려지도록 배치한다. 그런 다음, 스템(30)의 상부가 스템 결합공(34-3)에 삽입되게 하면서, 커버(34)를 밀봉 부재(36) 위에 포개지게 배치한다. 이러한 결합과정에서 복수의 돌출핀(22p)은 밀봉 부재(36)의 핀 삽입공(36-3)들과 커버(34)의 핀 삽입공(34-4)에 삽입된다. 커버(34) 역시 접착제로 밀봉 부재(36)에 접합될 수 있다. 커버(34) 밖으로 돌출된 복수의 돌출핀(22p) 상단부를 녹여 못 머리를 형성할 수도 있다.
또한, 밀봉 부재(36) 위에 놓인 스템(30)은 돔 구조의 스위치 콘택트(32)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어 있다. 스템(30)을 누르는 외력이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스템 플랜지부(30-1)가 스템 스톱퍼(34-2)에 걸린 채 맞붙어 있는 상태일 수 있다. 스템(30)의 상부를 아래로 누르는 외력이 가해지면, 스템(30)이 아래쪽으로 움직이면서 밀봉 부재(36)를 통해 돔 콘택트(32)를 눌러줄 수 있다. 공통 단자(46a)와 접촉상태에 있던 돔 콘택트(32)가 콘택트 단자(46b)와도 접촉되어 스위치 장치(10)가 턴온될 수 있다. 그 외력이 제거되면, 돔 콘택트(32)는 자체의 탄성에 의해 콘택트 단자(46b)와 분리될 수 있다.
케이블(50a, 50b)을 터미널(40a, 40b)에 연결한 다음, 터미널(40a, 40b)을 벤딩하여 그 터미널 수용공간(28) 속에 위치시킨다. 그 상태에서 에폭시를 터미널 수용공간(28)에 주입한 다음 경화시켜 방수부(60)를 형성한다. 이에 의해, 도 11에 도시된 것처럼, 터미널 수용공간(28) 내에 있는 케이블(50a, 50b)과 터미널(40a, 40b)도 그 방수부(60)에 의해 완전히 덮이고, 피복 절연된 케이블(50a, 50b)만 스위치 브라켓(20) 밖으로 노출된 방수 구조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처럼 본 발명에 의한 방수 스위치(10)는 PCB를 사용하지 않고도 스위칭 신호용 케이블과 연결될 수 있는 간단한 일체형 구조로 제작될 수 있다. PCB를 사용하지 않고, 사출과 케이블 납땜, 에폭시 몰딩 등의 간소화된 공정으로 제작될 수 있으므로, 기존에 비하여 조립 공수가 줄어들어 생산성이 향상되고,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와 동시에 일체형 방수 스위치(10)는 완벽한 방수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 접점(32, 46a, 46b)이 위치하는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은 밀봉 부재(36)에 의해 외부로부터 완전히 밀폐된 방수 공간이 될 수 있다. 케이블(50)과 이에 연결되는 스위치 터미널(40)의 리드부(42a, 42b)가 위치하는 터미널 수용공간(28)도, 상기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26)과 분리 독립된 공간으로서(도 3-5 참조), 방수부(60)에 의해 완전히 밀폐되어 외부로부터 수분 침투가 불가능한 방수구조로 될 수 있다.
또한, 노칭 구조(49a, 49b)에 의해 제1 스위치 터미널(40a)과 제2 스위치 터미널(40b)의 수평 리드부(44a, 44b)에 다수의 굴곡부가 형성된다. 그 노칭 구조(49a, 49b)에 의해 스위치 터미널(40)과 터미널 고정편(24) 사출물 간의 밀접성이 크게 강화될 수 있다. 이러한 노칭 구조(49a, 49b)는 외부에서 수분이 수평 리드부(44a, 44b) 표면을 따라 침투하지 못하게 해준다. 또한, 이러한 굴곡부는 사출물(이때, 사출물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된 스위치 브라켓(20)를 의미함)의 터미널 고정편(24)과 수평 리드부(44a, 44b)에 다수의 차단편을 형성함으로써, 액상의 몰딩액을 주입하여 방수부(6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액상의 몰딩액의 일부가 터미널(40a, 40b)의 수평 리드부(44a, 44b)와 터미널 고정편(24) 간의 틈새로 유입되는 것을 막아줄 수 있다. 액상의 비통전성 몰딩액의 침투에 의해 돔 콘택트(32)와 제1 및 제2 터미널(40a, 40b) 사이의 통전성이 낮아지거나 통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것이다. 이처럼,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스위치(10)는 수분이 유입될 수 있는 모든 통로를 밀봉함으로써 매우 높은 수준의 방수기능을 가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방수 스위치(10)는 제1 및 제2 스위치 케이블(50a, 50b)이 스위치 브라켓(20)에 구비된 케이블 가이드부(39)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방수부(60)의 밖으로 나오므로, 케이블(50)의 유동을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케이블(50a, 50b)의 유동에 의해 케이블(50a, 50b)의 통전선이 제1 및 제2 터미널(40a, 40b)의 리드부(42a, 42b)와 접촉 해제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브라켓(20)의 터미널 수용 공간(28)에 액상의 몰딩액(예: 에폭시 몰딩액)을 주입할 때, 케이블(50)이 케이블 가이드부(39)에 수용되어 고정된 상태로 있을 수 있다. 그에 따라, 액상의 몰딩액 주입 시 케이블(50a, 50b)이 걸리적거려서 방수부(60) 형성에 방해물로 작용하지 않게 할 수 있다.
또한, 스위치 브라켓(20)에 구비된 분리벽(38)로 인하여 제1 스위치 터미널(40a)과 제2 스위치 터미널(40b)들이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스위치 작동 중에 제1 스위치 터미널(40a)과 제2 스위치 터미널(40b)이 접촉되어 숏트가 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스위치의 오작동 등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밀봉 부재(36)에는 상면에서 저면 쪽으로 돌출된 폐루프형 푸싱 가이드 돌부(36-4)가 구비되어 있어서, 스템(30)을 눌러서 밀봉 부재(36)까지 눌릴 때에 밀봉 부재(36)의 가운데 부분이 푸싱 가이드 돌부(36-4)에 의해 균일하게 눌리게 된다. 그러므로, 돔 콘택트(32)를 밀봉 부재(36)의 가운데 부분에 균일하게 눌러주면서 스위칭 작동이 더 원활하게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밀봉 부재(36)의 저면에는 푸싱 가이드 돌부(36-4)의 안쪽 영역에 배치되도록 푸싱 블록부(36-2)가 구비되어 있다. 스템(30)에 의해 밀봉 부재(36)를 눌러줄 때에 푸싱 블록부(36-2)가 돔 콘택트(32)의 가운데 부분을 더욱 균일하고 보다 더 적은 힘으로 눌려지도록 할 수 있다. 그에 따라, 돔 콘택트(32)의 원활한 접촉에 의한 스위칭 작동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커버(34)는 스템 결합공(34-3) 주위에 복수개의 핀 삽입공(34-4)이 구비된다. 핀 삽입공(34-4)이 스위치 브라켓(20)의 스템 마운팅부(22)에 구비된 돌출핀(22P)에 끼워져서 결합되므로, 커버(34)를 스위치 브라켓(20)의 스템 마운팅부(22)에 보다 손쉽고 안정적으로 결합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2와 13에는 예시적인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100)의 조립된 상태와 분해된 상태가 도시되어 있다.
앞서 언급했듯이,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10)의 경우, 스위치 브라켓(20) 사출 시 고정수단으로 활용하기 위해 제1 및 제2 수평 리드부(44a, 44b)의 말단 구간이 스위치 브라켓(20)의 측벽 밖으로 노출된다. 그런 구조는 제1 및 제2 수평 리드부(44a, 44b)와 스위치 브라켓(20) 간의 접합면에 대한 별도의 방수 수단이 필요할 수 있고, 노칭 부위(49a, 49b)가 그 방수 수단의 예로서 제시되었다.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100)는 스위치 터미널(140)의 수평 리드부(144a, 144b)가 스위치 브라켓(120)의 측벽 밖으로 노출되지 않게 매설되는 점에서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10)와 차이가 있다. 물론, 제2 실시예의 방수 스위치(100)도 PCB를 사용하지 않는 구조라는 점에서는 제1 실시예와 동일하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40a, 40b)은 제1단계로 터미널 케이스(122)와 먼저 인서트 사출된 다음, 제2단계로 스위치 브라켓(120)과 일체가 되도록 스위치 브라켓(120)에 인서트 사출될 수 있다. 이에 의하면, 스위치 브라켓(120) 속에 매설되는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40a, 40b)은 스위치 브라켓(120)의 측벽부(122a~122d)를 통해 밖으로 노출되지는 않고 터미널 수용공간(128)으로만 노출될 수 있다. 수평 리드부(144a, 144b)가 스위치 브라켓(120)의 측벽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제1 및 제2 수평 리드부(144a, 144b)와 스위치 브라켓(120) 간의 접합면은 원천적으로 수분 침투가 불가능한 구조이다. 도 12 및 도 13을 참조하면, 방수 스위치(100)는 스위치 터미널부(40)와 일체로 결합된 터미널 케이스(122), 푸시 버튼부(15), 스위치 브라켓(120), 케이블(50), 방수부(160을 포함할 수 있다.
터미널 케이스(122)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10)의 스템 마운팅부(22)와 터미널 고정편(24)을 합친 구성요소에 해당할 수 있다. 즉, 터미널 케이스(122)의 상부는 제1 실시예의 스템 마운팅부(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이고, 하부는 터미널 고정편(24)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일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140a, 140b)는 제1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140a, 140b)는 수지 사출 공정으로 터미널 케이스(122)와 일체로 먼저 결합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140a, 140b)은 그의 수평 리드부(144a, 144b)의 적어도 가운데 구간이 터미널 케이스(122)의 몸체 속에 매설된 형태로 터미널 케이스(122)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수평 리드부(144a, 144b)의 양쪽 단부 구간은 터미널 케이스(122)의 두 측면 바깥으로 수평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140a, 140b)의 공통 단자(146a)와 콘택트 단자(146b)는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126)의 바닥면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140a, 140b)의 제1 및 제2 수직 리드부(142a, 142b)는 수평 리드부(144a, 144b)의 일측 단부에서 수직 절곡되어 아래쪽으로 연장된 상태로 터미널 케이스(122) 바깥에 노출될 수 있다.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140a, 140b)과 터미널 케이스(122)의 결합체는 다시 제2단계의 수지 사출 공정으로 스위치 브라켓(120)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스위치 브라켓(120)은 터미널 케이스(122)와 동일한 사출 원료를 사용하여 사출할 수 있다. 터미널 케이스(122)의 상부는 스위치 브라켓(120) 사출용 금형의 바깥으로 돌출될 수 있으므로, 수지 사출 시 돌출 부분을 이용하여 터미널 케이스(122)를 스위치 브라켓(120) 사출용 금형에 고정시킬 수 있다.
사출된 스위치 브라켓(120)은 상면(122a)과 이의 네 모서리와 결합된 네 측벽부(122a, 122b, 122c, 122d)를 포함하며, 이들에 의해 둘러싸이는 터미널 수용공간(128)을 제공할 수 있다. 스위치 브라켓(120)의 상면(122t)에 마련된 결합공(120-1)의 내측벽은 터미널 케이스(122)의 외측벽을 감싸면서 일체로 접합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도 12에 도시된 것처럼 터미널 케이스(122)의 상부 일부 높이 구간이 스위치 브라켓(120)의 상면(122t) 위로 돌출될 수 있다. 또한, 터미널 케이스(122) 밖으로 돌출된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140a, 140b)의 부분들 일부가 스위치 브라켓(120)의 상면(122t) 속에 매설되어 터미널 케이스(122)와 스위치 브라켓(120) 간의 결합을 더욱 견고하게 해줄 수 있다. 이렇게 스위치 터미널(140a, 140b)를 터미널 케이스(122)에 먼저 인서트 사출한 다음, 그 사출물과 일체가 되게 스위치 브라켓(120)을 사출하면, 제1 및 제2 수평 리드부(144a, 144b)가 스위치 브라켓(120)의 상면(122t) 내에 매설되고 측벽(122b) 밖으로 노출되지 않는다. 따라서 측방 외부에서 제1 및 제2 수평 리드부(144a, 144b)를 통한 수분 침투는 원천적으로 차단될 수 있다.
터미널 케이스(122)의 돌출된 상부 구조는 제1 실시예의 스템 마운팅부(22)와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제1 실시예의 푸시 버튼부(15)의 구성은 제2 실시예에도 동일하게 그대로 적용될 수 있다. 그러므로 그 터미널 케이스(122)의 상면에 마련된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126) 내에 돔 콘택트(32)가 공통 단자(146a)들과 접촉되게 배치되고, 밀봉 부재(36)가 그 위를 덮으면서 접착제로 터미널 케이스(122)의 상면과 밀폐되게 접합될 수 있다. 나아가, 그 밀봉 부재(36) 위에 스템(30)과 그리고 커버(34)가 복수 개의 돌출핀(22P)과 결합되면서 순차적으로 배치되어 터미널 케이스(122)에 고정될 수 있다.
스위치 브라켓(120)의 터미널 수용공간(128)으로 나와있는 스위치 터미널(140a, 140b)의 제1 및 제2 수직 리드부(142a, 142a)에 스위칭 케이블(50a, 50b)이 예컨대 납땜으로 연결될 수 있다. 그런 다음, 그 제1 및 제2 수직 리드부(142a, 142a)를 수평방향으로 절곡시켜 케이블(50a, 50b)의 노출 도체부위와 함께 터미널 수용공간(128) 내에 위치시킬 수 있다. 그 상태에서 몰딩용 수지를 그 터미널 수용공간(128)을 전부 메우도록 주입한 후 경화시키는 방법으로 방수부(160)가 형성될 수 있다. 방수부(160)의 대응하는 두 측면에는 스위치 브라켓(120) 내의 터미널 수용공간(128)으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해주는 언더컷부(160-1)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방수부(160)의 상면에는 터미널 케이스(122)의 하부의 형상과 대응되는 짝 형상의 홈부(160-2)가 형성될 수 있다.
도 14와 도 15에는 예시적인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200)가 도시되어 있다.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면,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200)는 선행 실시예에 비해 더욱 슬림화된 간단한 구조를 갖는 점에 특징이 있다. 방수용 스위치(200)는 푸시 버튼부(230), 스위치 터미널부(240), 터미널 케이스(222), 스위치 브라켓(220), 방수부(260), 케이블(50)을 포함할 수 있다.
푸시 버튼부(230)는 돔 콘택트(232)와 방수 커버(236)를 포함할 수 있다. 돔 콘택트(232)는 제1 또는 제2 실시예의 돔 콘택트(32)와 동일한 것일 수 있다. 즉, 돔 콘택트(232)는 탄성이 있는 도전체로 원형 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방수 커버(236)는 돔 콘택트(32)와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246a, 246b)을 내포할 수 있는 충분한 사이즈를 가질 수 있다. 방수 커버(236)는 돔 콘택트(32)와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246a, 246b)을 전부 덮으면서 스위치 브라켓(220)의 상면부와 밀봉 접합될 수 있다. 방수 커버(236)는 예컨대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ethylene terephthalate, )필름과 같은 열가소성 수지 필름 또는 예컨대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필름과 같은 열경화성 필름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이런 수지 필름으로 만드는 방수 커버(236)는 예컨대 열을 가하여 터미널 케이스(222) 상면에 융착시킬 수 있다. 방수 커버(236)는 예컨대 고무(rubber)나 실리콘으로도 만들어질 수 있다. 이 경우, 방수 커버(236)는 예컨대 접착제를 사용하여 터미널 케이스(222) 상면에 접합될 수 있다.
이러한 밀봉 접합에 의해, 방수 커버(236)는 터미널 케이스(222) 상면부 내지 스위치 브라켓(220)의 상면부와 협력하여 돔 콘택트(232)와 터미널 케이스(222) 상면에 돌출된 스위치 단자들(246a, 246b)을 포함하는 스위칭 접점 공간을 밀폐시킬 수 있다. 즉, 방수 커버(236)는 그 스위칭 접점 공간으로 수분이 침투되는 것을 차단시키는 방수기능을 제공할 수 있어, 방수 커버(236)는 제1 및 제2 실시예의 밀봉 부재(36)의 역할을 대신할 수 있다.
푸시 버튼부(230)는 돔 콘택트(232)의 가운데 부분에서 위로 돌출된 돌출 버튼(23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돌출 버튼(231)는 사용자가 돔 콘택트(232)를 더 확실하게 누를 수 있게 도와줄 수 있다. 그 돌출 버튼(231)은 방수 커버(236)의 외면에 접합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돌출 버튼(231)은 돔 콘택트(232) 상면에 직접 접합되거나 또는 돔 콘택트(232)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 방수 커버(236)는 돔 콘택트(232)와 돌출 버튼(231)을 함께 덮을 수 있다.
스위치 터미널부(240)는 앞의 실시예와 동일한 구성을 갖는 한 쌍의 스위치 터미널(240a, 240b)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실시예처럼, 수지 원료를 인서트 사출하여 스위치 터미널부(240)와 일체로 결합된 터미널 케이스(222)가 성형될 수 있다. 그런 다음, 수지 원료를 인서트 사출하여 스위치 터미널부(240)와 터미널 케이스(222)의 결합체와 일체로 결합된 스위치 브라켓(220)이 성형될 수 있다. 스위치 브라켓(220)은 상면과 네 측벽으로 둘러싸이는 터미널 수용공간(228)을 제공할 수 있다.
이렇게 2단계의 인서트 사출 공정을 통해, 스위치 브라켓(220)과 그의 상면에 일체로 결합된 터미널 케이스(222), 그리고 그 터미널 케이스(222)에 일부가 매설되어 일체로 결합된 스위치 터미널부(240)를 얻을 수 있다. 이 때, 스위치 터미널부(240)의 공통 단자(246a)와 콘택트 단자(246b)는 터미널 케이스(222)의 상면에 돌출되고, 스위치 터미널부(240)의 제1 및 제2 수직 리드부(242a, 242b)는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계속해서, 제2 실시예처럼, 제1 및 제2 수직 리드부(242a, 242b)이 케이블(50a, 50b)에 연결된 상태로 직각으로 절곡되어 터미널 수용공간(228)내에 위치된 상태에서, 그 터미널 수용공간(228)에 방수물질을 주입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방수부(260)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실시예처럼, 스위치 터미널부(240)를 사출 금형에 고정시킨 상태에서, 한 번의 인서트 사출공정을 통해 터미널 케이스(222)와 스위치 브라켓(220)을 한꺼번에 성형할 수도 있다.
제3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200)는 상부 쪽과 하부 쪽의 방수기능을 방수 커버(236)와 방수부(260)를 통해 구현할 수 있어 제2 실시예와 동등한 방수 성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비해 푸시 버튼부(230)를 단순화 시킴으로써 터미널 케이스(222)의 두께도 크게 줄일 수 있다. 방수 스위치(200)가 전체적으로 단순화되고 슬림화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제1 및 제2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10, 100)가 구비한 스템, 커버, 밀봉 부재 등과 같은 부품이 필요 없고, 돔 콘택트(232)와 접합된 방수 커버(236)을 터미널 케이스(222)에 접합하면 되므로, 제1 및 제2 실시예에 비해 부품 수가 줄고 조립 공정이 간단해진다.
한편, 도 16 내지 도 18은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에 따른 방수 스위치(10, 100, 또는 200)를 적용한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300)을 도시한다.
도 16 내지 18을 참조하면, 차량용 트렁크 도어 방수 스위치 모듈(300)은 위에서 설명한 방수 스위치(10, 100 또는 200) 및 이를 수용하여 차량 트렁크 도어에 적용하도록 구성된 스위치 케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스위치 케이스는 탄성 누름부(310, 330), 상부 케이스(320), 하부 케이스(350)를 포함할 수 있다. 스위치 케이스는 탄성 방수 패드(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하부 케이스(350)는 바닥면과 네 측벽으로 둘러싸이고 상부는 개방된 스위치 수납공간(354)를 제공하도록 구성된 대략 사각형 케이스(352)일 수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350)는 네 측벽의 상단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소정의 폭으로 연장된 상부 바깥 테두리(357)를 포함할 수 있다. 그 상부 바깥 테두리(357)의 가운데 부분에는 방수용 요홈(358)이 스위치 수납공간(354)의 주위를 일주하면서 완전히 포위하는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하부 케이스(350)는 그 바닥면에 직립 고착되고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 배치되며, 상단에 걸림턱이 마련된 한 쌍의 스위치 지지부(356)를 포함할 수 있다. 한 쌍의 스위치 지지부(356) 사이에 방수 스위치(10, 100, 또는 200)가 끼움 삽입될 수 있다. 방수 스위치(10, 100, 또는 200)는 그 한 쌍의 스위치 지지부(356)에 의해 탄성적으로 지지되고, 걸림턱에 의해 이탈되지 않게 고정될 수 있다. 방수 스위치(10, 100, 또는 200)의 케이블(50)은 하부 케이스(350)의 바닥을 통해 밖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부 케이스(350)의 바닥면의 한 쌍의 스위치 지지부(356) 사이에 탄성 방수패드(340)가 배치될 수 있다. 그 탄성 방수패드(340) 위에 방수 스위치(10, 100, 또는 200)가 놓일 수 있다. 그 탄성 방수패드(340)는 방수 스위치(10, 100, 또는 200)의 하부 쪽 방수성을 강화시켜줄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0)는 네 측벽과 상부 테두리(326)를 포함하며 내부에 수용공간(324)을 제공하는 사각형 사진틀 구조일 수 있다. 상부 케이스(320)의 수용공간(324)에 하부 케이스(350)가 끼움 결합될 수 있다.
탄성 누름부는 탄성 누름부재(310)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누름부재(310)는 노브 수용공간(317)을 제공하는 융기부(314)와, 그 융기부(314)의 하단에서 외측 수평방향으로 소정 폭만큼 연장된 바닥 테두리부(312)를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누름부재(310)는 예컨대 고무나 실리콘 등과 같은 탄성 재질로 만들 수 있다. 그 바닥 테두리부(312)의 하면에 융기부(314)를 포위하면서 일주하는 형태로 방수용 철부(316)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누름부재(310)의 상면에는 스위칭 누름 동작을 용이하게 해주는 하나 이상의 돌출부(316)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누름부재(310)는 상부 케이스(320)의 수용공간(324)의 개방된 상부를 덮어서 폐쇄하도록 상부 케이스(3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때, 방수용 철부(316)는 방수용 요홈(358)에 끼움 삽입되어 방수구조(315)를 형성할 수 있다. 이 방수 구조(315)에 의해 방수 스위치(10, 100, 또는 200)가 수납된 공간으로의 수분 침투가 차단될 수 있다.
위의 구성과 반대로, 방수용 철부(316)와 방수용 요홈(358)은 하부 케이스(350)와 탄성 누름부재(310)에 각각 마련될 수도 있다.
탄성 누름부는 노브(330)를 포함할 수 있다. 노브(330)는 탄성 누름부재(310)의 노브 수용공간(317)에 수납되어, 하부 케이스(350)의 상부를 덮으면서 노브(330)의 상면이 융기부(314)의 내면과 맞접할 수 있다. 노브(330)의 하면에는 방수 스위치(10, 100, 또는 200)의 푸시 버튼부(15, 230)와 맞접하는 돌부(332)가 마련될 수 있다. 탄성 누름부재(310)의 융기부(314)를 누르는 힘이 가해지면, 그 힘은 돌부(332)를 통해 방수 스위치(10, 100, 또는 200)의 푸시 버튼부(15, 230)로 전달되어 돔 콘택트(32, 232)를 누를 수 있게 된다.
차량용 트렁크 도어 방수 스위치 모듈(300)은 방수 스위치(10, 100, 또는 200) 자체의 방수구조와 함께, 끼움 결합되는 방수용 요홈(358)과 방수용 철부(316)가 제공하는 방수 구조(315), 그리고 탄성 방수 패드(340)가 제공하는 방수 구조까지 더 포함하여, 이중의 방수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이상에서는 방수 스위치(10, 100, 또는 200)가 차량용 트렁크 도어에 적용되는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하였지만, 방수 스위치(10, 100, 또는 200)는 방수성이 요구되는 환경에서 사용되는 여러 다양한 장치나 구조에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방수 스위치 장치를 제작하는 데 이용될 수 있다. 나아가, 차량의 트렁크 도어 등을 비롯하여 방수성이 요구되는 다양한 환경에 널리 이용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 100, 200: 방수 스위치 장치 15, 230: 푸시버튼부
20, 120, 220: 스위치 브라켓 22: 스템 마운팅부
30: 스템 32: 스위치 콘택트(돔 콘택트)
40, 240: 스위치 터미널부 50: 스위치 케이블
60, 160, 260: 방수부
300: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
310: 탄성 누름부재 315: 방수구조
320: 상부 케이스 330: 노브
340: 탄성 방수패드 350: 하부 케이스

Claims (16)

  1. 상면부와 측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면부와 상기 측벽부로 둘러싸인 터미널 수용공간을 제공하되, 상기 상면부는 스템 마운팅부와 터미널 고정편(a terminal fixing piece)을 포함하는 터미널 케이스를 구비하고, 상기 스템 마운팅부는 상기 상면부에 일정한 높이의 측벽으로 둘러싸이고 상부가 개방되고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과는 분리 독립된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을 제공하고, 상기 터미널 고정편은 상기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의 바닥을 형성하면서 상기 스템 마운팅부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구성되고, 인서트 사출 방식으로 형성된 절연성 플라스틱 사출물인 스위치 브라켓;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의 바닥에 적어도 일부가 각각 노출된 채 상기 터미널 고정편 속에 매설된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와,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에서 각각 연장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에 일부가 각각 노출되되 각각의 나머지 부분은 상기 터미널 고정편 속에 매설되되 상기 터미널 고정편과 일체로 결합되어 결합부위를 통한 수분 침투가 일어나지 않도록 형성된 제1 및 제2 터미널 리드부를 각각 포함하는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부;
    말단 전선들이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 리드부의 노출된 부분들과 전기적으로 각각 연결되어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 속에 위치하고, 나머지 구간들은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 바깥으로 연장되는 제1 및 제2 스위치 케이블;
    누르는 힘의 인가 여부에 따라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들을 턴온 또는 턴오프 시킬 수 있도록 배치된 스위치 콘택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들과 상기 스위치 콘택트를 내포하는 스위치 접점 공간을 밀폐시켜 방수되도록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상기 상면부에 결합된 푸시 버튼부; 및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 내의 상기 제1 및 제2 터미널 리드부의 노출된 부분과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케이블이 완전히 파묻히도록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을 채워 방수시키는 방수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스위치 장치.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브라켓 속에 매설되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부의 상기 제1 및 제2 나머지 부분의 일측 말단은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측벽부까지 연장되어 외부에 노출되고, 상기 제1 및 제2 나머지 부분의 일측 말단까지의 소정 구간의 표면에는 그 표면을 타고 수분이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한 울퉁불퉁한 노칭 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스위치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는 에폭시, 실리콘, 그리고 우레탄 중 적어도 어느 한 가지를 포함하는 수지가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 속에 충전되어 경화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스위치 장치.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부는, 상기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 내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와는 항상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스위치 단자와는 하방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만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위치 콘택트; 상기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이 완전히 덮여 방수되도록 상기 스템 마운팅부의 상면과 밀봉 접합되고 상기 스위치 콘택트의 상면에 접촉되거나 또는 근접된 밀봉 부재; 상기 밀봉 부재 상에 배치되고, 하부가 상부보다 더 굵어 측면에 단턱이 마련된 원기둥 형상의 스템; 및 상기 밀봉 부재 위에 포개지면서 결합되고, 상기 스템의 상부가 삽입 관통되고, 상기 단턱이 자신에게 걸려 상기 스템의 하부가 이탈하지 못하게 잡아주며, 상기 스템이 아래위로 움직일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스위치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상기 스템 마운팅부의 상단면 전구간과 방수성 접착제로 밀봉 접합되는 고리형 평면부; 상기 평면부에 포위되면서 아래로 싱크되어 바깥으로 돌출된 고리형 푸싱가이드 돌부; 및 상기 푸싱가이드 돌부의 중심부에서 아래로 돌출되고 상기 스위치 콘택트의 상면 중앙부와 접촉 또는 근접하게 배치되어 상기 스위치 콘택트를 균일하게 눌러줄 수 있도록 된 푸싱 블록부를 포함하고, 상기 고리형 평면부, 상기 푸싱가이드 돌부, 상기 푸싱 블록부는 한 몸체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스위치 장치.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봉 부재는 방수성을 갖는 고무, 실리콘, 우레탄 중 어느 한 가지로 만들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스위치 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콘택트는 가장자리 부분에서 가운데 부분으로 가면서 볼록해지는 돔 형상의 전도체이고, 상기 가운데 부분에 가해지는 하방 압력에 의해 상기 가운데 부분이 상기 가장자리 부분과 같은 높이가 되는 형상으로 변형될 수 있고, 그 하방 압력이 해제되면 원래의 돔 형상으로 회복될 수 있는 탄성을 갖는 돔 콘택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스위치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브라켓은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 내에서 상기 터미널 고정편의 저부에서 아래로 돌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부를 물리적으로 분리해주는 분리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스위치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브라켓은 상기 측벽부의 내면에 상기 분리벽의 양쪽에 수직방향으로 나란히 형성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케이블을 수용하여 상기 분리벽의 양쪽에 위치하도록 가이드하는 케이블 가이드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스위치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부는 제1단계로 상기 터미널 케이스와 먼저 인서트 사출된 다음 제2단계로 상기 스위치 브라켓과 일체가 되도록 상기 스위치 브라켓에 인서트 사출되어,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터미널부는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측벽부를 통해 밖으로 노출되지는 않고 상기 터미널 수용공간으로만 노출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스위치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버튼부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 위에 배치되어, 상기 제1 스위치 단자와는 항상 접촉을 유지하고, 상기 제2 스위치 단자와는 하방 압력이 가해지는 동안에만 접촉될 수 있도록 구성된 스위치 콘택트; 및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 및 상기 스위치 콘택트를 내포하도록 전부 덮으면서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상면부와 밀봉 접합되어, 상기 스위치 브라켓의 상면부와 협력하여 형성하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 단자 및 상기 스위치 콘택트 수용공간을 방수되도록 밀폐시키는 방수 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수 스위치 장치.
  14. 제1항, 제3-4항, 제6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른 방수 스위치 장치;
    서로 끼움 결합되어 상기 방수 스위치 장치를 내포하는 방수 스위치 수납공간을 제공하도록 구성된 상부 및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가운데 부분은 개방되고, 상기 하부 케이스의 상단면에 상기 수납공간의 주위를 따라 일주하면서 방수용 요홈 또는 철부가 형성되는 케이스부; 및
    상기 상부 케이스의 개방된 상기 가운데 부분을 완전히 덮는 형태로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고, 가장자리 둘레를 따라 일주하면서 형성된 방수용 철부 또는 요홈이 상기 하부 케이스에 형성된 상기 방수용 요홈 또는 철부에 끼움 결합되어 상기 방수 스위치 수납공간으로의 수분 침투를 차단할 수 있고, 저면의 일부가 상기 방수 스위치 장치의 상기 푸시 버튼부와 접촉되게 배치되는 탄성 누름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는 바닥면에 직립 고착되고 서로 마주보면서 이격 배치되고 상단에 걸림턱이 마련되어, 끼움 삽입된 상기 방수 스위치 장치를 탄성적으로 지지하면서 이탈되지 않게 고정시켜주는 한 쌍의 스위치 지지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케이스의 바닥면의 한 쌍의 스위치 지지부 사이에 깔려서 그 위에 상기 방수 스위치 장치가 놓여져 상기 방수 스위치 장치의 하부 쪽 방수성을 강화시켜주는 탄성 방수패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
KR1020200071562A 2020-06-12 2020-06-12 방수 스위치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 KR102365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562A KR102365514B1 (ko) 2020-06-12 2020-06-12 방수 스위치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
US16/931,533 US11250999B2 (en) 2020-06-12 2020-07-17 Waterproof switch device, and waterproof switch module for trunk door of car
JP2020128457A JP7028477B2 (ja) 2020-06-12 2020-07-29 防水スイッチ装置及びこれを採用した車両トランクドア用防水スイッチモジュール
CN202010879790.0A CN113808873A (zh) 2020-06-12 2020-08-27 防水开关装置和用于汽车后备箱门的防水开关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71562A KR102365514B1 (ko) 2020-06-12 2020-06-12 방수 스위치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4493A KR20210154493A (ko) 2021-12-21
KR102365514B1 true KR102365514B1 (ko) 2022-02-21

Family

ID=78825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71562A KR102365514B1 (ko) 2020-06-12 2020-06-12 방수 스위치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250999B2 (ko)
JP (1) JP7028477B2 (ko)
KR (1) KR102365514B1 (ko)
CN (1) CN11380887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61080B1 (ko) * 2022-03-16 2024-04-25 강성준 설치면과 연속되는 평평한 면을 포함하는 히든 스위치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6969A (ja) * 1999-03-29 2000-10-06 Nihon Kaiheiki Industry Co Ltd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13225423A (ja) * 2012-04-23 2013-10-31 Alps Electric Co Ltd 防水型電子部品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57214A (en) * 1978-10-23 1980-04-26 Omron Tateisi Electronics Co Waterproof microswitch
JPS5767328U (ko) * 1980-10-09 1982-04-22
JPH0447861Y2 (ko) * 1986-07-18 1992-11-11
JPS6429726U (ko) * 1987-08-14 1989-02-22
DE9305073U1 (ko) 1993-04-02 1993-06-09 Schaltbau Ag, 8000 Muenchen, De
JPH0831266A (ja) 1994-07-14 1996-02-02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薄形プッシュスイッチ
JP3391172B2 (ja) 1995-11-28 2003-03-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19980054193U (ko) 1996-12-31 1998-10-07 조희재 푸시버튼 스위치
KR100240115B1 (ko) * 1997-04-09 2000-01-15 구자홍 푸쉬보턴스위치
KR19990006460U (ko) 1997-07-26 1999-02-25 홍종만 차량용 도어 스위치
KR100364275B1 (ko) 2000-09-21 2002-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렁크리드스위치와 연료필러도어스위치
KR20050114783A (ko) 2004-06-01 2005-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택트 스위치
US8497440B2 (en) * 2010-05-21 2013-07-30 Tokyo Parts Industrial Co., Ltd. Push switch
JP6005448B2 (ja) * 2012-09-04 2016-10-12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防水コネクタ
JP2016225176A (ja) 2015-06-01 2016-12-28 ホシデン株式会社 防水構造及びこれを備えたスイッチ装置
KR20170008425A (ko) * 2015-07-14 2017-01-24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푸시 스위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276969A (ja) * 1999-03-29 2000-10-06 Nihon Kaiheiki Industry Co Ltd 押しボタンスイッチ
JP2013225423A (ja) * 2012-04-23 2013-10-31 Alps Electric Co Ltd 防水型電子部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50999B2 (en) 2022-02-15
JP7028477B2 (ja) 2022-03-02
JP2021197353A (ja) 2021-12-27
CN113808873A (zh) 2021-12-17
US20210391127A1 (en) 2021-12-16
KR20210154493A (ko) 2021-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50581B2 (en) Push-on switch
EP1928008B1 (en) Arrangement for surface mounting an electrical component by soldering, and electrical component for such an arrangement
KR950010194B1 (ko) 푸쉬버튼 스위치와, 이에 사용되는 키이상부 및 이러한 키이상부의 제조방법
US9893459B2 (en)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tongue portion extending beyond a metallic shell
JPH0414497A (ja) Icカード
US7371985B2 (en) Watertight key switch assembly and its fabrication
KR102365514B1 (ko) 방수 스위치 장치 및 이를 채용한 차량 트렁크 도어용 방수 스위치 모듈
US8149575B2 (en) Waterproof electronic device
KR101624729B1 (ko) 차량용 도어 안테나 스위치
TWI666829B (zh) Waterproof connector
CN104395861B (zh) 具有用于用户接口中的键帽的底座的双射注塑成型外壳
KR101789925B1 (ko) 푸시버튼 스위치 조립체 및 그의 제작 방법
KR101948101B1 (ko) 전자 제어 장치
KR101663018B1 (ko) 차량용 도어 안테나 스위치
KR20030085088A (ko) 인쇄 회로의 표면 실장용 커넥터 및 제조 방법
JP2000113764A (ja) スイッチ
TWI778713B (zh) 防水按鍵之製造方法及使用該防水按鍵之電子裝置
JP2000082353A (ja) スイッチ
TW202338876A (zh) 開關總成
KR102127745B1 (ko)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KR100458968B1 (ko) 플랙시블 피씨비형 택트 스위치
JP2869698B2 (ja) キートップ板
WO2019163730A1 (ja) 押圧構造体、スイッチ装置、および押圧構造体の製造方法
GB2327908A (en) Keypad membrane having integrated elastomeric connectors
KR20210117834A (ko) Pcb 일체형 smt용 돔 스위치가 구비된 인쇄회로기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