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7745B1 -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 Google Patents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7745B1
KR102127745B1 KR1020180170451A KR20180170451A KR102127745B1 KR 102127745 B1 KR102127745 B1 KR 102127745B1 KR 1020180170451 A KR1020180170451 A KR 1020180170451A KR 20180170451 A KR20180170451 A KR 20180170451A KR 102127745 B1 KR102127745 B1 KR 1021277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switch
switch case
stem
waterproo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04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공봉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스위치코리아
Priority to KR10201801704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277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77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77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04Cases; Covers
    • H01H13/06Dustproof, splashproof, drip-proof, waterproof or flameproof cas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12Movable parts; Contacts mounted thereon
    • H01H13/14Operating parts, e.g. push-butt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13/00Switches having rectilinearly-movable operating part or parts adapted for pushing or pulling in one direction only, e.g. push-button switch
    • H01H13/02Details
    • H01H13/26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 H01H13/48Snap-action arrangements depending upon deformation of elastic members using buckling of disc spr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HELECTRIC SWITCHES; RELAYS; SELECTORS; EMERGENCY PROTECTIVE DEVICES
    • H01H2231/00Applications
    • H01H2231/026Ca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성은 스위치 케이스(20);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 구비된 스템(30);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 결합되며 상기 스템(30)의 하부에 배치된 터미널(40); 상기 스템(30)의 하부와 상기 터미널(40) 사이에 배치된 돔콘택트(32); 상기 터미널(40)에 연결된 케이블(50);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 구비된 방수부(6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Car door waterproof switch}
본 발명은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피씨비가 제거된 새로운 구성의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트렁크 도어가 열렸을 때에 실내등이 켜지고, 트렁크가 닫혔을 때 실내등이 꺼지도록 구성된 차량용 트렁크 도어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또한, 차량의 도어가 열렸을 때에 실내등이 켜지고, 차량의 도어가 닫혔을 때에 실내등이 꺼지도록 구성된 차량용 도어 스위치가 구비되어 있다.
종래의 차량용 트렁크 도어 스위치는 피씨비(PCB)에 일반 스위치가 탑재되고, 피씨비에는 케이블 납땜부가 구비되어 일반 스위치와 회로적으로 연결되고, 상기 케이블 납땜부에는 케이블을 납땜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고, 피씨비의 저면에 사출부가 구비되며, 사출부에는 배면 방수 처리를 위한 몰딩부가 구비된다. 이러한 차량용 트렁크 도어 스위치는 브라켓 하우징에 내장되어 상기 몰딩부에 의해 밀봉처리됨으로써 방수가 되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차량용 트렁크 도어 스위치가 브라켓 하우징에 내장되어 몰딩부로 밀봉처리된 것을 브라켓 어세이(Bracket assembly)라 할 수 있다.
종래의 스위치 스위치 제작 공정은 일반 스위치 및 피씨비 제작, 일반 스위치 및 피씨비 조립, 납땜으로 케이블 조립(연결), 브라켓 어세이 조립(프론트 케이스에 조립), 에폭시 몰딩부 형성 공정을 거치게 된다.
그런데, 종래에는 피씨비가 필수적으로 필요하게 되어서 피씨비 제작 공정, 일반 스위치 및 피씨비 조립 공정이 더 요구되므로, 조립 공수가 늘어나는 단점이 있고, 생산성 저하 및 코스트 상승 등의 문제가 초래된다.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7-15164(1997년04월28일 공개) 한국등록특허 제10-0364275호(2002년11월28일 등록) 한국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6460(1999년02월25일 공개)
본 발명은 전술한 바와 같은 조립 공수의 증가와 생산성 저하 등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피씨비가 제거된 새로운 구성의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하면, 스위치 케이스;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구비된 스템;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결합되며 상기 스템의 하부에 배치된 터미널; 상기 스템의 하부와 상기 터미널 사이에 배치된 돔콘택트; 상기 터미널에 연결된 케이블;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구비된 방수 몰딩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가 제공된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는 상면부에 스템 마운팅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부의 터미널 수용 공간부에 방수재를 충전하여 방수 몰딩부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템 마운팅부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상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템이 상기 스템 마운팅부에 승강 가능하게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템은 커버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는 상기 스템 마운팅부를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와 상기 스템 마운팅부 사이는 실링 러버에 의해 밀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터미널은 코먼 단자가 구비된 제1터미널과, 콘택트 단자가 구비된 제2터미널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은 돔콘택트 터미널부와,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에 연결된 커넥션 터미널부와, 상기 커넥션 터미널부에 연결된 리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는 스위치 케이스에 매설되고, 상기 제1터미널의 돔콘택트 터미널에 코먼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2터미널의 돔콘택트 터미널에는 콘택트 단자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상부에 구비된 스템 마운팅부에 스템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템의 하부와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의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 사이에 돔콘택트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의 각각의 돔콘택트 터미널에 구비된 코먼 단자와 콘택트 단자는 상기 돔콘택트의 하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의 리드부는 스위치 케이스의 내부 공간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의 리드부에는 케이블이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부 공간부는 방수 몰딩부에 의해 밀봉되며, 상기 케이블에서 상기 제1터미널과 상기 제2터미널의 리드부에 연결된 통전 코어선은 상기 방수 몰딩부에 매설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방수 몰딩부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의 내부에 에폭시를 주입 경화시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는 케이블 가이드부가 구비된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에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의 각각의 돔콘택부가 각각 매설되고,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들에는 노칭 부위가 구비된다.
상기 제1터미널과 제2터미널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하는 세퍼레이션 월이 스위치 케이스의 내부 터미널 수용 공간부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는 종래에 비하여 피씨비 제작 공정과 일반 스위치 및 피씨비 조립 공정이 생략되므로, 조립 공수가 줄어드는 장점이 있고, 조립 공수가 줄어드는 만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와 제품의 코스트도 낮아지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PCB 타입 트렁크 도어 스위치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도록 도 3의 종단면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으로 종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의 다른 주요부인 케이블 가이드부에 케이블이 안착되어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배면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주요부인 터미널의 저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터미널의 상면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의 조립 공정을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의 배면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의 또 다른 주요부인 터미널의 노칭 부위를 개략적으로 보여주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노칭 부위가 레이저 에칭에 의해 형성된 상태를 일부 확대하여 보여주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본 발명의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첨부도면 및 다음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함으로써 더욱 쉽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는 스위치 케이스(20)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 구비된 스템(30)과,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 결합되어 스템(30)의 하부에 배치된 터미널(40)과, 상기 스템(30)의 하부와 터미널(40) 사이에 배치된 돔콘택트(32)와, 상기 터미널(40)에 연결된 케이블(50)과,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 구비된 방수부(60)를 구비한다. 본 발명은 차량용 트렁크 및 도어 적용 스위치이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20)는 단면 사각 블록 형상으로 구성된다. 스위치 케이스(20)는 네 개의 케이스 측벽부에 상면부가 연결된 육면체 블록 형상이다. 스위치 케이스(20)는 상면부에 스템 마운팅부(22)를 구비한다. 스템 마운팅부(22)는 스위치 케이스(20)의 상면부에서 돌출된다. 스위치 케이스(20)는 상면부의 아래에 배치되도록 내부 터미널 고정편(24)을 구비한다. 상기 내부 터미널 고정편(24)과 상면부 사이의 공간부는 돔콘택트(32) 수용 공간부로 확보된다. 또한, 상기 내부 터미널 고정편(24)과 스위치 케이스(20)의 후단부 사이의 공간부가 터미널(40) 수용 공간부로 확보된다. 상기 돔콘택트(32) 수용 공간부는 스템 마운팅부(22)에 구비된 개방홀과 연통된다. 상기 돔콘택트(32) 수용 공간부가 개방홀에 의해 외부로 연통된 구조가 된다. 또한, 스위치 케이스(20) 내부의 내부 터미널(40) 수용 공간부는 스위치 케이스(20)의 후단부로 개방된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상면부에 구비된 스템 마운팅부(22)의 상면에는 돌출핀(22P)이 구비된다. 복수개의 돌출핀(22P)이 개방홀의 주위에 배치된다.
상기 스템(30)은 커버(34)에 구비된 스템 결합홀(34H)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된다. 스템(30)의 하부에 구비된 스템 플랜지부가 커버(34)의 안쪽면에 걸려지게 된다. 상기 커버(34)가 스위치 케이스(20)의 스템 마운팅부(22)에 결합된다. 커버(34)는 스템 결합홀(34H) 주위에 복수개의 핀삽입홀이 구비되며, 상기 핀삽입홀이 스위치 케이스(20)의 스템 마운팅부(22)에 구비된 돌출핀(22P)에 끼워지며, 상기 커버(34)가 스위치 케이스(20)의 스템 마운팅부(22)에 구비된 개방홀을 막아주게 된다. 상기 커버(34)에 스템(30)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어서, 스위치 케이스(20)의 스템 마운팅부(22)에 스템(30)이 승강 가능하게 내장된 구조가 된다.
상기 스템(30)은 커버(34)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34)는 스위치 케이스(20)의 스템 마운팅부(22)를 덮도록 구성되는데, 상기 커버(34)와 스템 마운팅부(22) 사이는 실링러버(36)에 의해 밀봉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실링러버(36)는 상면과 저면 둘레부가 각각 커버(34)의 저면과 스위치 케이스(20)의 상면에 밀착되도록 결합됨으로써 커버(34)와 스위치 케이스(20)의 스템 마운팅부(22) 사이가 밀봉될 수 있다. 상기 실링러버(36)에는 상면에서 저면쪽으로 돌출된 폐루프형 푸싱 가이드 돌부가 구비된다. 또한, 실링러버(36)의 저면에는 푸싱 가이드 돌부의 안쪽 영역에 배치되도록 푸싱 블록부가 구비된다. 상기 푸싱 가이드 돌부와 푸싱 블록부는 실링러버(36)의 중심부를 기준으로 동심원 형태로 배열된다. 상기 실링러버(36)까지 스위치 케이스(20)의 스템 마운팅부(22)에 결합됨으로써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스템 마운팅부(22)에 구비된 개방홀은 외기와 차단되도록 밀봉 상태가 될 수 있다. 상기 실링러버(36)에 의해 스위치 케이스(20)의 개방홀로 외부의 수분이 들어오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구조가 될 수 있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 터미널(40)이 내장된다. 터미널(40)은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로 구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40)은 돔콘택트 터미널부와,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에 연결된 커넥션 터미널부와, 상기 커넥션 터미널부에 연결된 리드부를 구비한다. 제2터미널(40)도 돔콘택트 터미널부와,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에 연결된 커넥션 터미널부와, 상기 커넥션 터미널부에 연결된 리드부를 구비한다.
상기 커넥션 터미널부의 일단부에 돔콘택트 터미널부가 연결되고, 상기 커넥션 터미널부의 타단부에 리드부가 연결된다. 상기 커넥션 터미널부를 기준으로 돔콘택트 터미널부과 커넥션 터미널부는 서로 마주하도록 구성된다.
상기 제1터미널(40)의 돔콘택트 터미널부에 코먼 단자(공통 단자)가 구비된다. 제1터미널(40)의 돔콘택트 터미널부의 한쪽 측단부에 브릿지편을 매개로 연결된 코먼 단자가 연결된다. 상기 코먼 단자는 제1터미널(40)의 돔콘택트 터미널부에 두 개로 구비된다.
상기 제2터미널(40)의 돔콘택트 터미널부에 콘택트 단자가 구비된다. 제2터미널(40)의 돔콘택트 터미널부의 한쪽 측단부에 브릿지편을 매개로 연결된 콘택트 단자가 연결된다.
상기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각각의 돔콘택트 터미널부들은 스위치 케이스(20)에 매설된다.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 고정편(24)에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각각의 돔콘택트 터미널부가 매설된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20)를 사출 성형할 때에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돔콘택트 터미널부가 상기 내부 터미널 고정편(24)에 매설된다. 플라스틱 사출 원료에 의해 스위치 케이스(20)를 사출 성형할 때에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돔콘택트 터미널부가 상기 내부 터미널 고정편(24)에 매설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 매설(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 고정편(24)에 매설)된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각각의 돔콘택트 터미널부에는 노칭 부위(또는 serration)가 구비된다. 노칭 부위는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의 표면이 울퉁불퉁하도록 복수개의 돌기가 구비된 구조이다. 상기 노칭 부위는 레이져 엣칭이나 프레스 금형 등으로 구현이 가능하다.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상기 노칭 부위가 구비된 돔콘택트 터미널부가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 고정편(24)에 매설된다.
상기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각각의 돔콘택트 터미널부들이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 고정편(24)에 나란하게 매설되어 고정된 상태에서 상기 제2터미널(40)의 콘택트 단자는 제1터미널(40)의 두 개의 코먼 단자 사이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커넥션 터미널부와 리드부는 서로 나란하게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의 내부 터미널(40) 수용 공간부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40) 수용 공간부에는 새퍼레이션 월(38)이 구비된다. 새퍼레이션 월(38)은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간격을 유지하도록 지지한다. 나란한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을 물리적으로 분리시키게 된다. 상기 새퍼레이션 월(38)이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서로 마주하는 측면 사이에 개재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터미널(40)의 커넥션 터미널부 및 리드부의 한쪽 측면과 제2터미널(40)의 커넥션 터미널부 및 리드부의 한쪽 측면이 서로 마주하게 되는데, 상기 새퍼레이션 월(38)이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서로 마주하는 커넥션 터미널부와 리드부의 한쪽 측면 사이에 개재됨으로써 새퍼레이션 월(38)에 의해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이 물리적으로 분리하게 된다. 상기 새퍼레이션 월(38)에 의해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커넥션 터미널부와 리드부의 측면들이 접촉되는 경우가 방지된다. 즉, 상기 새퍼레이션 월(38)로 인하여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들이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경우가 방지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는 케이블 가이드부(39)가 구비된다. 케이블 가이드부(39)는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40) 수용 공간부에 구비되는데, 케이블 가이드부(39)의 외측단이 스위치 케이스(20)의 복수개의 측벽부 중에서 하나의 측벽부 안쪽면에 구비된다. 본 발명에서는 새퍼레이션 월(38)의 양쪽에 배치되도록 한 쌍의 케이블 가이드부(39)가 스위치 케이스(20)의 하나의 측벽부 안쪽면에 구비된다. 또한, 상기 케이블 가이드부(39)의 내부에는 케이블 결합 가이드홀이 구비된다. 케이블 결합 가이드홀은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40) 수용 공간부에서부터 스위치 케이스(20)의 후단부까지 연장되도록 구성된다. 상기 케이블 결합 가이드홀을 일자형 홀 형상으로 구성된다. 케이블 결합 가이드홀은 케이블 가이드부(39)의 내측단으로도 연통된다.
상기 스템(30)의 하부와 터미널(40) 사이에는 돔콘택트(32)가 배치된다. 돔콘택트(32)는 스위치 케이스의 내부 터미널 고정편(24)과 상면부 사이의 공간부에 확보된 돔콘택트(32) 수용 공간부에 내장된다. 돔콘택트(32)는 탄성이 있는 스프링강 등에 의해 돔형상으로 구성된다. 상기 스템(30)의 하단부 아래에 실링러버(36)가 구비되고, 상기 실링러버(36)와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 고정편(24) 사이에 돔콘택트(32)가 배치된다. 상기 돔콘택트(32)는 실링러버(36) 쪽으로 볼록하게 배치되는데, 실링러버(36)의 저면에 구비된 푸싱 블록부의 중심부에 돔콘택트(32)의 중심부가 상하로 만나도록 배치된다. 상기 돔콘택트(32)의 둘레부는 제2터미널(40)의 코먼 단자에 접촉되어 있고, 상기 스템(30)을 눌러서 실링러버(36)의 푸싱 블록부가 돔콘택트(32)를 누르면 돔콘택트(32)가 제1터미널(40)의 콘택트 단자에 접촉된다.
상기 터미널(40)에 케이블(50)이 연결된다.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에 케이블(50)이 연결된다. 제1터미널(40)의 리드부와 제2터미널(40)의 리드부는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케이블(50) 수용 공간부에 내장되는데, 상기 제1터미널(40)의 리드부와 제2터미널(40)의 리드부에 각각 케이블(50)이 연결된다. 상기 리드부들은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 고정편(24)과 마주하는 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케이블(50)의 피복이 벗겨진 통전선(주로 구리선)이 납땜에 의해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리드부에 연결된다. 상기 리드부들에 연결된 케이블(50)은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 구비된 케이블 가이드부(39)의 케이블 결합 가이드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후단부 쪽으로 연장되어 나온다. 상기 케이블(50)에서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리드부들에 연결된 통전선과 피복의 일부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 고정편(24)과 나란한 방향으로 배치되고 케이블(50)의 나머지 부분(상기 피복이 벗겨진 통전선에 계속 이어진 나머지 통전선과 상기 피복의 일부에 계속 이어진 나머지 피복 부분)은 상기 노출 통전선과 피복의 일부에서 꺾여짐과 동시에 상기 케이블 가이드부(39)의 케이블 결합 가이드홀에 끼워진 상태에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후단부로 연장되어 나온 구조가 된다.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는 방수부(60)가 구비된다.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40) 수용 공간부에 에폭시, 우레탄과 같은 수지가 주입되어 경화됨으로써 방수부(60)가 구비된다. 방수부(60)는 에폭시, 우레탄과 같은 수지 몰딩부라 할 수 있다. 방수부(60)는 외부에서 수분 등의 이물질이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40) 수용 공간부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는 방수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는 피씨비가 제거되도록 구현되어 있어서, 일체형 방수 스위치 제작, 케이블(50) 조립(납땜), 에폭시 몰딩의 간소화된 공정에 의해 제작되므로, 기존에 비하여 조립 공수가 줄어드는 효과가 있고, 조립 공정의 간소화로 인하여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며, 조립 공수 단축과 생산성 향상으로 인하여 코스트를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체형 방수 스위치는 스위치 케이스(20)의 스템 마운팅부(22)에 커버(34)의 스템(30)을 결합하고, 스위치 케이스(20)의 스템 마운팅부(22)에 있는 개방홀을 실링러버(36)에 의해 막아주게 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커버(34)와 실링러버(36)는 접착제와 같은 밀봉 접합수단으로 스위치 케이스(20)의 스템 마운팅부(22)에 결합되어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상부 개방홀을 밀봉시킨 일체형 방수 스위치로 제작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에는 노칭 부위가 구비된다.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돔콘택트 터미널부에 노칭 부위가 구비되고, 상기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각각의 돔콘택트 터미널부는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40) 지지편에 인서트 사출되는데, 상기 노칭 부위에 의해 사출물과의 부착성을 더 높여주게 되고, 액상의 몰딩 작업시(액상의 에폭시 몰딩 작업시)에 터미널(40)과 사출물로 액상의 몰딩액(액상의 에폭시 수지 몰딩액)이 유입되는 것을 방지하여 액상의 몰딩 유입에 의한 통전성이 낮아지는 경우를 방지하게 된다. 상기 노칭 부위에 의해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돔콘택트 터미널부에 다수의 굴곡부가 형성되고, 이러한 굴곡부는 사출물(이때, 사출물은 인서트 사출에 의해 형성된 스위치 케이스(20)를 의미함)의 내부 터미널(40) 지지편과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에 다수의 차단편을 형성하게 되어서, 액상의 몰딩액을 주입하여 상기 방수부(60)를 형성하는 과정에서 액상의 몰딩액의 일부가 상기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돔콘택트 터미널부와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40) 지지편 사이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액상의 비통전성 몰딩액의 침투에 의해 돔콘택트(32)와 제1터미널(40) 및 제2터미널(40) 사이의 통전성이 낮아지거나 통전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를 방지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케이블(50)은 스위치 케이스(20)에 구비된 케이블 가이드부(39)에 안정적으로 결합된 상태에서 방수부(60)의 밖으로 인출되어 나오므로, 케이블(50)이 유동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가 있고, 케이블(50)의 유동에 의해 케이블(50)의 통전선이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의 리드부에서 접촉 해제되는 경우를 더 확실하게 방지하는 효과도 있다.
또한,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40) 수용 공간부에 액상의 몰딩액(에폭시 몰딩액)을 주입할 때에 케이블 가이드부(39)에 케이블(50)이 고정된 상태로 있게 되어서 액상의 몰딩액 주입시 케이블(50)이 걸리적거려서 방수부(60)가 제대로 형성되는데 있어서 방해를 받는 경우도 방지된다.
또한,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 구비된 새퍼레이션 월(38)로 인하여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들이 물리적으로 접촉되는 경우가 방지되므로, 스위치 작동 중에 제1터미널(40)과 제2터미널(40)이 접촉되어 숏트가 되는 경우가 방지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하여 스위치의 오작동 등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실링러버(36)에는 상면에서 저면쪽으로 돌출된 폐루프형 푸싱 가이드 돌부가 구비되어 있어서, 상기 스템(30)을 눌러서 실링러버(36)까지 눌릴 때에 실링러버(36)의 가운데 부분이 푸싱 가이드 돌부에 의해 균일하게 눌리게 되므로, 상기 돔콘택트(32)를 실링러버(36)의 가운데 부분에 균일하게 눌러주면서 스위칭 작동이 더 원활하게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실링러버(36)의 저면에는 푸싱 가이드 돌부의 안쪽 영역에 배치되도록 푸싱 블록부가 구비되어, 상기 스템(30)에 의해 실링러버(36)를 눌러줄 때에 상기 푸싱 블록부가 돔콘택트(32)의 가운데 부분을 더욱 균일하고 보다 더 적은 힘으로 눌려지도록 할 수 있으므로, 돔콘택트(32)의 원활한 접촉에 의한 스위칭 작동이 더욱 확실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또한, 상기 커버(34)는 스템 결합홀(34H) 주위에 복수개의 핀삽입홀이 구비되며, 상기 핀삽입홀이 스위치 케이스(20)의 스템 마운팅부(22)에 구비되는 돌출핀(22P)에 끼워져서 결합되므로, 상기 커버(34)를 스위치 케이스(20)의 스템 마운팅부(22)에 결합할 때에 보다 손쉽고 안정적이다. 돌출핀(22P)의 경우 추후 융착하여 조립하는 융착핀의 기능을 하게 된다. 주로 커버(34)와 추후 융착되어 조립됨으로써 융착핀으로서의 기능을 하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 대하여 상술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는 이러한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본 발명의 요지를 변경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므로,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하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20. 스위치 케이스 22. 스템 마운팅부
24. 내부 터미널 고정편 22P. 돌출핀
30. 스템 32. 돔콘택트
34. 커버 34H. 스템 결합홀
36. 실링러버 38. 세퍼레이션 월
39. 케이블 가이드부 40. 터미널
50. 케이블 60. 방수부

Claims (12)

  1. 스위치 케이스(20);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 구비된 스템(30);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 결합되며 상기 스템(30)의 하부에 배치된 터미널(40);
    상기 스템(30)의 하부와 상기 터미널(40) 사이에 배치된 돔콘택트(32);
    상기 터미널(40)에 연결된 케이블(50);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 구비된 방수부(60);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터미널(40)은 코먼 단자가 구비된 제1터미널(40)과, 콘택트 단자가 구비된 제2터미널(40)로 구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40)과 상기 제2터미널(40)은 돔콘택트 터미널부와,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에 연결된 커넥션 터미널부와, 상기 커넥션 터미널부에 연결된 리드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에 매설되고, 상기 제1터미널(40)의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에 코먼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2터미널(40)의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에는 콘택트 단자가 구비되고,
    상기 제1터미널(40)과 상기 제2터미널(40)의 각각의 돔콘택트 터미널부에는 노칭 부위가 구비되고, 상기 노칭 부위에 의해 상기 제1터미널(40)과 상기 제2터미널(40)의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에 다수의 굴곡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1터미널(40)과 상기 제2터미널(40)의 상기 노칭 부위가 구비된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가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터미널 고정편(24)에 매설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20)는 상면부에 스템 마운팅부(22)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의 터미널(40) 수용 공간부에 방수재를 충전하여 방수부(60)를 형성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 마운팅부(22)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상면부에서 돌출되어, 상기 스템(30)이 상기 스템 마운팅부(22)에 승강 가능하게 내장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스템(30)은 커버(34)에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커버(34)는 상기 스템 마운팅부(22)를 덮도록 구성되고, 상기 커버(34)와 상기 스템 마운팅부(22) 사이는 실링러버(36)에 의해 밀봉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상부에 구비된 스템 마운팅부(22)에 스템(30)이 승강 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스템(30)의 하부와 상기 제1터미널(40)과 상기 제2터미널(40)의 상기 돔콘택트 터미널부 사이에 돔콘택트(32)가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40)과 상기 제2터미널(40)의 각각의 돔콘택트 터미널부에 구비된 코먼 단자와 콘택트 단자는 상기 돔콘택트(32)의 하부에 배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터미널(40)과 상기 제2터미널(40)의 리드부는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공간부에 내장되고, 상기 제1터미널(40)과 상기 제2터미널(40)의 리드부에는 케이블(50)이 연결되고,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 공간부는 방수부(60)에 의해 밀봉되며, 상기 케이블(50)에서 상기 제1터미널(40)과 상기 제2터미널(40)의 리드부에 연결된 통전 코어선은 상기 방수부(60)에 매설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방수부(60)는 상기 스위치 케이스(20)의 내부에 수지를 주입 경화시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KR1020180170451A 2018-12-27 2018-12-27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KR1021277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451A KR102127745B1 (ko) 2018-12-27 2018-12-27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0451A KR102127745B1 (ko) 2018-12-27 2018-12-27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27745B1 true KR102127745B1 (ko) 2020-06-30

Family

ID=711208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0451A KR102127745B1 (ko) 2018-12-27 2018-12-27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7745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15164U (ko) 1995-09-04 1997-04-28 자동차의 도어개폐감지및 트렁크 램프용 컨텍스위치 설치구조
KR19980054193U (ko) * 1996-12-31 1998-10-07 조희재 푸시버튼 스위치
KR19990006460U (ko) 1997-07-26 1999-02-25 홍종만 차량용 도어 스위치
KR100254532B1 (ko) * 1994-07-14 2000-05-01 모리시타 요이찌 박형푸시스위치
KR100364275B1 (ko) 2000-09-21 2002-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렁크리드스위치와 연료필러도어스위치
JP3391172B2 (ja) * 1995-11-28 2003-03-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20050114783A (ko) * 2004-06-01 2005-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택트 스위치
KR20170008425A (ko) * 2015-07-14 2017-01-24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푸시 스위치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4532B1 (ko) * 1994-07-14 2000-05-01 모리시타 요이찌 박형푸시스위치
KR970015164U (ko) 1995-09-04 1997-04-28 자동차의 도어개폐감지및 트렁크 램프용 컨텍스위치 설치구조
JP3391172B2 (ja) * 1995-11-28 2003-03-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プッシュオンスイッチ
KR19980054193U (ko) * 1996-12-31 1998-10-07 조희재 푸시버튼 스위치
KR19990006460U (ko) 1997-07-26 1999-02-25 홍종만 차량용 도어 스위치
KR100364275B1 (ko) 2000-09-21 2002-12-12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자동차의 트렁크리드스위치와 연료필러도어스위치
KR20050114783A (ko) * 2004-06-01 2005-12-07 엘지전자 주식회사 택트 스위치
KR20170008425A (ko) * 2015-07-14 2017-01-24 도쿄파츠고교 가부시키가이샤 푸시 스위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2700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20170317443A1 (en) Waterproof electrical connector having a sealer between conatct module and outer shell
CN108695639B (zh) 连接器
CN104953522A (zh) 电气安装设备的暗装嵌件
KR102127745B1 (ko) 차량용 도어 방수 스위치
KR101013738B1 (ko)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KR101685923B1 (ko) 양면 유에스비 타입 단조 소켓 커넥터의 제조방법
US6752639B1 (en) Elastomeric connector assembly and method for producing the assembly
JP7028477B2 (ja) 防水スイッチ装置及びこれを採用した車両トランクドア用防水スイッチモジュール
KR100824909B1 (ko) 수중용 마이크로스위치의 제조방법
KR100998813B1 (ko) 차폐형 커넥터 하우징 어셈블리 및 이를 위한 도전성탄성부재
JP5117499B2 (ja) 電気器具用防水ケース、及び該防水ケースの製造方法
JP3932149B2 (ja) 電気コネクタ組立体及びその製造方法
CN206992374U (zh) 连接器
US10673176B1 (en) Signal connector with elastic clamping plates and to-be-pressed-against posts for ensuring secure connection and watertightness
KR20090102268A (ko) 반도체 검사장비 및 통신장비용 케이블 커넥터의 접속구조
CN217086413U (zh) 一种线上开关
JP2001127312A5 (ko)
CN218039965U (zh) 插座电连接器
CN201000828Y (zh) 开关
KR100642527B1 (ko) 전기콘넥터의 제조방법
KR100843356B1 (ko) 인서트 사출 성형용 접속단자
CN216378805U (zh) 用于洗衣机的排水电机组件和洗衣机
CN113097774B (zh) 插座连接器及其制造方法
CN218039966U (zh) 插座电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