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13738B1 -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 Google Patents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13738B1
KR101013738B1 KR1020090012428A KR20090012428A KR101013738B1 KR 101013738 B1 KR101013738 B1 KR 101013738B1 KR 1020090012428 A KR1020090012428 A KR 1020090012428A KR 20090012428 A KR20090012428 A KR 20090012428A KR 101013738 B1 KR101013738 B1 KR 1010137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rminal
mold
fixed
coaxial connector
connec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12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93304A (ko
Inventor
임종인
Original Assignee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케이. 에이. 이 (주) filed Critical 케이. 에이. 이 (주)
Priority to KR1020090012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13738B1/ko
Publication of KR201000933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933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137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137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42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 H01R24/4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comprising impedance matching means or electrical components, e.g. filters or switches comprising switch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1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 H01R13/631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engagement only allow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upling parts, e.g. floating connection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mounted on a PCB [Printed Circuit Board]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접속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는, 외부단자가 끼워지는 핀홀이 중심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절연몰드(10)와, 상기 절연몰드(10)의 핀홀(10a)로 삽입되는 외부단자(2)와 접속되고 상기 절연몰드(10)에 인서트몰딩되는 작동단자(30)와, 상기 작동단자와 스위칭되어 기판의 전자회로를 단속하는 고정단자(20)와, 상기 절연몰드(10)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부도체셀(40)을 포함하는 동축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작동단자(30)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기판접속부(31)와, 상기 기판접속부(31)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작동단자(30)가 고정단자(20) 및 핀홀(10a)을 향하도록 탄성지지하도록 복수의 절곡부를 갖는 탄성부(32)와, 상기 탄성부(32)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자(20) 또는 상기 핀홀(10a)에 삽입된 외부단자(2)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단자접속부(33)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동축커넥터, 절연몰드, 작동단자, 고정단자, 몰드

Description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A COAXIAL CONNECTOR HAVING A RF SWITCH}
본 발명은 동축케이블을 기판에 접속되도록 하는 동축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높이를 낮출 수 있고, 접속시 신뢰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하는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고주파신호가 흐르는 동축케이블을 각종 소자가 실장된 인쇄회로기판에 접속하기 위해 동축케이블의 단부에 구비된 동축플러그와 접속되는 동축커넥터를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하게 된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기술에 따른 동축커넥터는 커넥터핀과 같은 외부단자가 삽입되는 핀홀(111)이 중심축 방향으로 형성된 절연몰드(110)와, 상기 절연몰드(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핀홀(111)을 통하여 삽입되는 외부단자에 의해 전자회로를 단속하는 스위칭기구 및 상기 절연몰드(110)의 외부에 조립되는 외부도체셀(140)을 포함한다.
스위칭기구는 상기 절연몰드의 내부에 삽입되어 상기 핀홀을 통하여 삽입되는 외부단자와 접속하는 작동단자(120)와, 상기 작동단자와 스위칭되어 회로기판의 전자회로를 단속하도록 절연몰드에 구비되는 고정단자(130)를 포함한다.
고정단자(130)와 작동단자(120)는 각각 'ㄷ'자 형상으로 절곡되어 성형된 후 절연몰드(110)를 파지하도록 압입되어 조립된다. 따라서 고정단자(130)와 작동단자(120)가 절연몰드(110)의 하방에 위치하는 부분만큼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고정단자(130)와 작동단자(120)에서 기판에 접속되는 부분을 제외한 부분도 외부도체셀(140)의 외부로 노출되어 구비됨으로써 인쇄회로기판에 실장시 고정단자(130)와 작동단자(120)에 불량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즉, 상기 동축커넥터를 기판에 실장할 때, 열풍에 의한 납땜을 하게 되는데 납타오름으로 인해 진액과 같은 플럭스(flux)가 발생하여 고정단자(130)나 작동단자(120)에 쇼트가 일어나기 쉽고, 통전 손실이 커지며, 아울러 작동단자(120)가 변형될 우려가 있다.
아울러, 고정단자(130)와 작동단자(120)가 동축커넥터의 측단에서 외부로 노출됨으로 인해 절연효과가 크지 못한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발명된 것으로서, 제품의 높이를 낮추고 기판에 실장시 단자의 손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를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는, 외부단자가 끼워지는 핀홀이 중심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절연몰드와, 상기 절연몰드의 핀홀로 삽입되는 외부단자와 접속되고 상기 절연몰드에 인서트몰딩되는 작동단자와, 상기 작동단자와 스위칭되어 기판의 전자회로를 단속하는 고정단자와, 상기 절연몰드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부도체셀을 포함하는 동축커넥터에 있어서, 상기 작동단자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기판접속부와, 상기 기판접속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어 작동단자가 고정단자 및 핀홀을 향하도록 탄성지지하도록 복수의 절곡부를 갖는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자 또는 상기 핀홀에 삽입된 외부단자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단자접속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단자접속부는, 상기 탄성부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핀홀의 하방에 위치하여, 핀홀에 삽입된 외부단자에 접속될 수 있는 외부단자접속부와, 상기 외부단자접속부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단자의 타단에 위치하고,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단자의 저면에 접속될 수 있는 고정단자접속부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 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절연몰드는, 상기 고정단자를 수용하도록 인서트몰딩되고 외부도체셀의 내부에 끼워지는 상부몰드와, 상기 작동단자를 수용하도록 인서트몰딩되고 상기 외부도체셀의 저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하부몰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하부몰드의 양측단에는 돌출되게 걸림돌기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는 상기 외부도체셀의 하부로 하부몰드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상부몰드에 형성된 걸림홈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에 따르면, 외부도체셀의 측방에서 기판과 실장됨으로써, 실장에 따른 높이의 상승이 필요없으므로 제품의 높이를 낮출 수 있다.
또한, 외부도체셀의 측면으로 고정단자와 작동단자가 노출되지 않는 바, 절연효과가 향상된다.
아울러, 작동단자는 복수로 절곡되게 형성된 탄성부에 의해서 고정단자 또는 핀홀에 삽입된 외부단자로 탄성지지되도록 함으로써, 반복적인 사용에 따른 피로를 줄여 수명이 연장되고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본 발명에 따른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 및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의 사시도 및 분해사시도이고, 도 6은 작동단자와 하부몰드의 조립체의 사시도이며, 도 7은 도 4의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의 고정단자의 사시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는, 외부도체셀(40)의 내부에 절연몰드(10)가 구비되고, 상기 절연몰드(10)의 내부에 스위칭기구, 즉 고정단자(20)과 작동단자(30)가 구비되도록 한다.
절연몰드(10)는, 도전체로 이루어지는 고정단자(20), 작동단자(30)를 외부도체셀(40)에 대하여 절연되도록 함과 동시에 고정단자(20)와 작동단자(30)를 지지한다.
상기 절연몰드(10)는 고정단자(20)를 고정하는 상부몰드(11)와, 상기 작동단자(30)를 고정하는 하부몰드(12)를 포함한다. 상부몰드(11)는 상부는 아래로 갈수로 좁아지는 깔때기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심축에는 외부단자(2)가 삽입될 수 있는 핀홀(10a)이 형성되고, 하부면은 작동단자(30)가 작동할 수 있도록 공간이 형성된 단자수용홈(13)이 형성된다. 하부몰드(12)는 상기 상부몰드(11)의 하부에 배치된다.
고정단자(20)는 상기 상부몰드(11)의 내부에 구비된다. 상기 고정단자(20)는 일단은 회로가 인쇄된 기판에 접속되고, 타단은 상기 상부몰드(11)의 하부면, 즉 단자수용홈(13)으로 노출된다. 이를 위해서 상기 고정단자(20)는 도 7에 도시된 바 와 같이, 서로 다른 방향으로 2번 절곡부를 갖는 형태로서, 마치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일단은 단자수용홈(13)으로 노출되도록 하고, 타단을 기판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때, 타단이 기판과 접속될 때, 외부도체셀(40)의 외측에서 기판과 접속되므로 기판에 동축커넥터(1)가 실장되더라도, 높이는 높아지지 않는다.
상기 고정단자(20)가 상부몰드(11)의 내부에 수용되게 성형되도록 함으로써, 고정단자(20)를 상부몰드(11)의 내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작동단자(30)는 상기 하부몰드(12)의 내부에 구비된다. 작동단자(30)도 일단은 기판에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기판접속부(31)와, 작동단자(30)도 일단은 상기 고정단자(20)의 저면에 절속되거나 분리되는 단자접속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작동단자(30)는 하부몰드(12)가 상기 작동단자(30)의 일부를 파지하는 형태로 상기 작동단자(30)가 하부몰드(12)에 고정 설치된다.
다만, 상기 작동단자(30)는 고정단자(20)와는 달리, 단자접속부(33)가 탄성지지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핀홀(10a)로 외부단자(2)가 입력하는 경우에만 상기 작동단자(30)의 단자접속부(33)에 접속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서, 작동단자(30)는 일단에서 기판에 접속되는 기판접속부(31)가 형성되고, 상기 기판접속부(31)에서 일측으로 연장되어 타단에는 단자접속부(33)가 형성되며, 기판접속부(31)와 단자접속부(33)의 사이에는 상기 단자접속부(33)가 고정단자(20)의 저면에 밀착되도록 탄력지지하는 탄성부(32)가 형성된다.
기판접속부(31)는 작동단자(30)의 일단에 형성되어 기판에 밀착되어 실장되 게 형성된다. 상기 기판접속부(31)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게 탄성부(32)와 단자접속부(33)가 순차적으로 형성되고, 상기 기판접속부(31)는 하부몰드(12)의 외측으로 노출되어 기판에 접속된다. 또한, 상기 기판접속부(31)는 하부몰드(12)의 외측으로 노출될 뿐만 아니라 외부도체셀(40)의 외부에 위치하게 됨으로써, 동축커넥터(1)의 실장에 따른 높이 상승이 없어지게 된다.
탄성부(32)는 기판접속부(31)에 이어서 일체로 형성되고 절곡가공을 통하여 단자접속부(33)가 상방을 향하도록 탄성지지한다. 상기 탄성부(32)는 복수의 절곡된 부분이 형성되도록 하여 대략 '∩'과 같은 형상을 갖도록 한다. 상기 탄성부에 절곡된 부분이 복수로 형성됨으로써, 단자접속부(33)를 지지할 수 있게 충분히 탄성지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반복적인 사용에도 초기의 탄성력을 발휘할 수 있다. 만약, 상기 탄성부(32)가 없이 기판접속부(31)와 단자접속부(33)가 직접연결될 수도 있지만, 이러한 경우 기판접속부(31)에 대하여 단자접속부(33)가 상측으로 탄성지지되도록 하는 충분한 탄성력을 발휘할 수 없고, 반복적인 사용시 피로로 인하여 작동단자(30)가 고정단자(20) 또는 외부단자(2)와의 접속이 되지 않는 불량이 발생할 수 있는데, 복수의 절곡부가 형성된 탄성부(32)가 피로에 의한 접속 불량을 방지하여, 제품의 신뢰성을 향상시킨다.
한편, 상기 탄성부(32)의 일부가 하부몰드(12)의 내부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하부몰드(12)에 작동단자(30)가 고정되도록 한다.
단자접속부(33)는 상기 탄성부(32)에 이어 형성되고, 상기 기판접속부(31), 탄성부(32) 및 단자접속부(33)는 금속판재를 프레스가공하여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단자접속부(33)는 상기 탄성부(32)에 이어 형성되고 상기 핀홀(10a)을 통하여 접속되는 외부단자(2)와 접속될 수 있도록 평면으로 형성되는 외부단자접속부(33a)와, 작동단자(30)의 타단에 형성되어 상기 고정단자(20)의 저면에 접속되는 고정단자접속부(33b)로 이루어진다.
외부단자접속부(33a)는 상기 탄성부(32)로부터 연장되어, 작동단자(30)가 외부도체셀(40)에 조립되었을 때, 핀홀(10a)의 하방에 위치하도록 한다. 상기 외부단자접속부(33a)는 탄성부(32)로부터 핀홀(10a)의 하방을 지나도록 연장되게 형성됨으로써, 상기 핀홀(10a)을 통하여 외부단자가 접속되면, 외부단자의 선단과 접촉하여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고정단자접속부(33b)는 상기 외부단자접속부(33a)에서 연장되어 작동단자(30)의 타단이 된다. 상기 고정단자접속부(33b)는 상향을 향하도록 절곡되게 형성됨으로써, 조립되었을 때, 고정단자(20)의 저면을 향하도록 한다.
상기 외부단자접속부(33a)와 고정단자접속부(33b)는 둘 중의 어느 하나만 외부단자 또는 고정단자(20)에 접속됨으로써, 스위칭한다. 즉,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단자(2)가 접속되지 않은 경우에는 고정단자접속부(33b)가 고정단자(20)의 저면에 접속됨으로써, 고정단자(20)와 작동단자(30)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단자(2)가 접속되는 경우에는 외부단자(2)의 선단이 외부단자접속부(33a)를 눌러서 외부단자(2)와 외부단자접속부(33a)가 전기적으로 연결되고, 이와 동시에 고정단자(20)와 고정단자접속부(33b)의 연결은 해제된다.
한편, 상기 절연몰드(10), 즉 상부몰드(11)와 하부몰드(12)가 상기 고정단 자(20) 및 작동단자(30)와 결합하는 방법으로는, 인서트 몰딩방식이 적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금형의 내부에 고정단자(20)를 고정하고, 상부몰드(11)의 내부에 고정단자(2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도록 인서트 몰딩함으로써, 상부몰드(11)와 고정단자(20)를 일체로 하여 조립체가 된다.
마찬자지의 방법으로 작동단자(30)를 고정시키고 용융물을 주입함으로써, 작동단자(30)와 하부몰드(12)가 인서트 몰딩함으로써, 하부몰드(12)와 작동단자(30)를 일체로 하여 조립체가 된다.
아울러, 상기와 같이 상부몰드(11)와 하부몰드(12)의 내부에 각각 고정단자(20)와 작동단자(30)가 인서트 몰드됨으로써, 고정단자(20)와 작동단자(30)는 기판에 접속되는 부분만 외부로 노출되는 바, 동축커넥터(1)를 실장할 때, 동축커넥터(1)의 측면에서 땜납 또는 플럭스 등에 의한 쇼트를 방지할 수 있고, 통전 손실을 방지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고정단자(20)와 작동단자(30)의 절연을 개선하게 된다. 즉, 고정단자(20)와 작동단자(30)의 노출된 부분을 통하여 쇼트가 발생할 수 있는데, 이를 상부몰드(11)와 하부몰드(12)를 통하여 절연시킬 수 있다.
외부도체셀(40)은 본 발명에 따른 동축커넥터(1)의 외형을 형성하고, 접지의 역할을 하게된다. 상기 외부도체셀(40)의 내부에 상부몰드(11)와 고정단자(20)의 조립체를 삽입한 이후, 하부몰드(12)와 작동단자(30)를 슬라이드 결합함으로써, 동축커넥터(1)를 완성하게 된다.
상기 외부도체셀(40)의 하부 양단은 'ㄷ'자 형태로 절곡된 가이드(41)가 형 성되어 있어서, 하부몰드(12)가 외부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하부몰드(12)의 양단에는 상기 가이드(41)의 내부로 하부몰드(12)가 삽입시 상기 상부몰드(11)에 형성된 결합홈(10b)에 삽입될 수 있는 결합돌기(12a)가 돌출되게 형성되어 있어서, 외부도체셀(40)에서 하부몰드(12)와 작동단자(30)의 조립체의 결합을 견고히 한다. 즉, 조립과정에서는 상기 가이드(41)를 약간 벌려서 작동단자(30)와 하부몰드(12)의 삽입이 용이하게 하고, 상기 결합홈(10b)에 결합돌기(10a)가 위치하도록 하며, 가이드(41)를 누름으로써, 외부도체셀(40)의 내부에서 작동단자(30)와 하부몰드(12)의 조립을 견고히하고, 이탈을 방지하게 된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따른 동축커넥터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동축커넥터의 저면사시도.
도 3은 도 1의 동축커넥터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의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에서 작동단자와 하부몰드의 조립체의 사시도.
도 7은 도 4의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의 고정단자의 사시도.
도 8은 도 4의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의 저면도.
도 9 및 도 10은 도 8의 Ⅰ-Ⅰ선을 따라 절개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설명 *
1 : 동축커넥터 10 : 절연몰드
10a: 핀홀 11 : 상부몰드
12 : 하부몰드 12a : 걸림돌기
13 : 단자수용홈 20 : 고정단자
30 : 작동단자 31 : 기판접속부
32 : 탄성부 33 : 단자접속부
33a : 외부단자접속부 33b : 고정단자접속부
40 : 외부도체셀 41 : 가이드

Claims (4)

  1. 외부단자가 끼워지는 핀홀이 중심축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되는 절연몰드(10)와, 상기 절연몰드(10)의 핀홀(10a)로 삽입되는 외부단자(2)와 접속되고 상기 절연몰드(10)에 인서트몰딩되는 작동단자(30)와, 상기 작동단자와 스위칭되어 기판의 전자회로를 단속하는 고정단자(20)와, 상기 절연몰드(10)의 외부에 결합되는 외부도체셀(40)을 포함하는 동축커넥터(1)에 있어서,
    상기 작동단자(30)는,
    상기 기판에 실장되는 기판접속부(31)와,
    상기 기판접속부(31)에서 연장되게 형성되되 복수회 절곡되는 복수의 절곡부를 갖는 탄성부(32)와,
    상기 탄성부(32)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상기 고정단자(20) 또는 상기 핀홀(10a)에 삽입된 외부단자(2) 중 어느 하나와 접속되는 단자접속부(33)를 포함하고,
    상기 탄성부(32)는 상기 복수의 절곡부를 가져 상기 단자접속부(33)가 상측으로 탄성 지지되도록 함에 따라 반복적인 사용 시 상기 단자접속부(33)가 상기 고정단자(20) 또는 외부단자(2)와 접속되지 않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단자접속부(33)는,
    상기 탄성부(32)에서 연장되게 형성되고 핀홀(10a)의 하방에 위치하여, 핀홀(10a)에 삽입된 외부단자(2)에 접속될 수 있는 외부단자접속부(33a)와,
    상기 외부단자접속부(33a)에서 연장되어 상기 작동단자(30)의 타단에 위치하고, 상방으로 절곡되어 상기 고정단자(20)의 저면에 접속될 수 있는 고정단자접속부(33b)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몰드(10)는,
    상기 고정단자(20)를 수용하도록 인서트몰딩되고 외부도체셀(40)의 내부에 끼워지는 상부몰드(11)와,
    상기 작동단자(30)를 수용하도록 인서트몰딩되고 상기 외부도체셀(40)의 저면에 슬라이딩 결합되는 하부몰드(12)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몰드(12)의 양측단에는 돌출되게 걸림돌기(12a)가 형성되고,
    상기 걸림돌기(12a)는 상기 외부도체셀(40)의 하부로 하부몰드(12)가 삽입되었을 때, 상기 상부몰드(11)에 형성된 걸림홈(10b)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KR1020090012428A 2009-02-16 2009-02-16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KR1010137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28A KR101013738B1 (ko) 2009-02-16 2009-02-16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12428A KR101013738B1 (ko) 2009-02-16 2009-02-16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304A KR20100093304A (ko) 2010-08-25
KR101013738B1 true KR101013738B1 (ko) 2011-02-14

Family

ID=427577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12428A KR101013738B1 (ko) 2009-02-16 2009-02-16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1373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1925A (zh) * 2013-03-13 2014-05-2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开关型同轴连接器
CN103825126A (zh) * 2013-03-13 2014-05-28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贴装于印刷电路板上的同轴连接器
CN103840349A (zh) * 2014-03-21 2014-06-04 康联精密机电(深圳)有限公司 带侦测功能的i/o连接器及其制作方法
KR101552825B1 (ko) * 2015-03-18 2015-09-14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성회로기판용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98049B1 (ko) * 2013-10-31 2014-05-27 주식회사 기가레인 동축 커넥터 및 이의 제조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189Y1 (ko) 2002-05-01 2002-07-26 케이. 에이. 이 (주)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KR20020083189A (ko) * 2001-04-26 2002-11-02 황택성 탄소 침착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 및 탈취용경량 복합재의 제조방법
KR100424671B1 (ko) 2000-03-31 2004-03-24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 플러그 커넥터용 콘센트
KR20060005876A (ko) * 2004-07-14 2006-01-18 (주)베스트원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4671B1 (ko) 2000-03-31 2004-03-24 마츠시다 덴코 가부시키가이샤 동축 플러그 커넥터용 콘센트
KR20020083189A (ko) * 2001-04-26 2002-11-02 황택성 탄소 침착 폴리우레탄 폼을 이용한 전자파 차폐 및 탈취용경량 복합재의 제조방법
KR200283189Y1 (ko) 2002-05-01 2002-07-26 케이. 에이. 이 (주)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 커넥터
KR20060005876A (ko) * 2004-07-14 2006-01-18 (주)베스트원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11925A (zh) * 2013-03-13 2014-05-21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开关型同轴连接器
CN103825126A (zh) * 2013-03-13 2014-05-28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贴装于印刷电路板上的同轴连接器
CN103825126B (zh) * 2013-03-13 2016-06-29 深圳市长盈精密技术股份有限公司 贴装于印刷电路板上的同轴连接器
CN103840349A (zh) * 2014-03-21 2014-06-04 康联精密机电(深圳)有限公司 带侦测功能的i/o连接器及其制作方法
KR101552825B1 (ko) * 2015-03-18 2015-09-14 주식회사 기가레인 연성회로기판용 커넥터
CN105990741A (zh) * 2015-03-18 2016-10-05 吉佳蓝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印刷电路板用连接器
CN105990741B (zh) * 2015-03-18 2018-01-19 吉佳蓝科技股份有限公司 柔性印刷电路板用连接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93304A (ko) 2010-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03429B2 (en) Terminal and connector using the same
KR100827576B1 (ko) 인쇄 회로용 플러그인 커넥터
JP5413988B2 (ja) 同軸コネクタ
WO2009147791A1 (ja) 電気コネクタ
KR100952773B1 (ko) 인쇄회로기판 연결용 버스바 터미널
KR101013738B1 (ko) Rf 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US8905782B2 (en) Bending coaxial electrical connector
US20100003842A1 (en) Coaxial connector with a new type of contact
US7726992B2 (en) RF connector having contact terminal set with movable bridge
CN101901976A (zh) 小型开关连接器
KR20200080647A (ko) 리셉터클 커넥터
US7393246B2 (en) Transfer card structure
US7220140B2 (en) Board connector
US20120122326A1 (en) Pluggable Varistor
CN114824903B (zh) 线缆连接器组件
WO2010021055A1 (ja) コネクタ
KR101086278B1 (ko) 커넥터 및 도전부재
JP3720642B2 (ja) スイッチ装置
KR200458463Y1 (ko) 피씨비기판의 전원연결용 인렛소켓
CN201075493Y (zh) 电连接器
KR100909579B1 (ko) 동축커넥터
KR101685603B1 (ko) 동축 커넥터 및 그 조립방법
JP2003045594A (ja) Icソケット
JP5193109B2 (ja) 回路基板用コネク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80055242A (ko) Rf스위치를 구비한 동축커넥터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2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2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6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13

Year of fee payment: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