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20295B1 - 논슬립형 직선 신선기 - Google Patents

논슬립형 직선 신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20295B1
KR100220295B1 KR1019910004386A KR910004386A KR100220295B1 KR 100220295 B1 KR100220295 B1 KR 100220295B1 KR 1019910004386 A KR1019910004386 A KR 1019910004386A KR 910004386 A KR910004386 A KR 910004386A KR 100220295 B1 KR100220295 B1 KR 10022029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stan
wire
ring
traction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0043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16398A (ko
Inventor
쉬아니 길리오리
Original Assignee
릴리아나 리쉬아니
알.리쉬아니 트래필러리 이 디비션 다인 아트매션 인더스트리알 에스.엔.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릴리아나 리쉬아니, 알.리쉬아니 트래필러리 이 디비션 다인 아트매션 인더스트리알 에스.엔.씨. filed Critical 릴리아나 리쉬아니
Publication of KR9100163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163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2029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2029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9/00Devices for straightening wire or like work combined with or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connection with drawing or winding machines or apparatu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02Drawing metal wire or like flexible metallic material by drawing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drums
    • B21C1/12Regulating or controlling speed of drawing drums, e.g. to influence tension; Drives; Stop or relief mechanis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1MECHANICAL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PUNCHING METAL
    • B21CMANUFACTURE OF METAL SHEETS, WIRE, RODS, TUBES OR PROFILES, OTHERWISE THAN BY ROLLING; AUXILIARY OPERATIONS USED IN CONNECTION WITH METAL-WORKING WITHOUT ESSENTIALLY REMOVING MATERIAL
    • B21C1/00Manufacture of metal sheets, metal wire, metal rods, metal tubes by drawing
    • B21C1/02Drawing metal wire or like flexible metallic material by drawing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drums
    • B21C1/04Drawing metal wire or like flexible metallic material by drawing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drums with two or more dies operating in series
    • B21C1/08Drawing metal wire or like flexible metallic material by drawing machines or apparatus in which the drawing action is effected by drums with two or more dies operating in series in which the material does not slip on the drums

Landscapes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tal Extraction Processes (AREA)
  • Unwinding Of Filamentary Materials (AREA)
  • Electrophotography Configuration And Component (AREA)
  • Tension Adjustment In Filamentary Materials (AREA)
  • Coating With Molten Metal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ntrol Of Electric Motors In General (AREA)
  • Storing, Repeated Paying-Out, And Re-Storing Of Elongated Articles (AREA)
  • Manufacture, Treatment Of Glass Fibers (AREA)
  • Paper (AREA)
  • Winding Filamentary Materials (AREA)
  • Electrical Discharge Machining, Electrochemical Machining, And Combined Machining (AREA)
  • Control And Safety Of Cranes (AREA)
  • Jib Crane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와이어가 접선방향으로 풀려나가는 캡스턴(1)을 갖는 논슬립형의 직선 신선기에 관한 것으로, 각 탭스턴이 동심원상이고 동축상인 두 부분으로 구성되고, 제 1 부분(2)은 모우터(10)에 의하여 구동되며 전형적인 캡스턴 견인면(2a)으로 구성되고, 제 2 부분(3)은 와이어(9)가 연속된 캡스턴을 통하여 다이(32)를 지나 인발되는 방출구(3a)를 제공하는 자유롭게 회전하는 링(33)으로 구성되며, 각 캡스턴의 속도가 캡스턴의 제 1 부분을 구동시키는 축(5)의 각운동(Sc)과 링(33)의 각운동(Sa)을 모니터하고 이들 두 각운동 사이의 차이를 탐지하여 축(5)의 각속도(Nc)를 보정하는 장치(50)에 의하여 동기화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논슬립형 직선 신선기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캡스턴의 구조를 도시한 개략도.
제2도는 상기 캡스턴의 상측 단부 상세도.
제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와이어 신선기의 주요 구성부인 동기화 장치 구성의 일실시예를 1 캡스턴을 통하여 도시한 개략도.
제4도는 상기 동기화 장치의 블록 다이아그램.
제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신선기의 개략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캡스턴 2,3 : 캡스턴 부분
2a : 견인면 3a : 방출구
5 : 캡스턴 구동축 9 : 와이어
32 : 인발 다이(die) 33 : 링
본 발명은 2개의 각각의 캡스턴들 사이에 있는 동기화 장치와 결합되고 접선 방향으로 와이어를 풀어내는 캡스턴(이후, "해선(解線) 캡스턴"이라 함)들을 구비한 논-슬립(non-slip)형 직선 신선기(recrilinear wire drawing)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금속 와이어를 제조하기 위한 다중 드로잉 장치는 각각의 신선단계에서 와이어의 등근 영역에 대하여 주어진 비율로 와이어의 직경을 감소시키도록 되어 있었으며, 상기 단계에서 직면하게 되는 근본적인 문제점은, 재료의 일정한 이동을 보장하는 방식으로 연속적 인발 다이 또는 플레이트가 삽입된 수집단-공급단으로서의 기능을 필수적으로 하는 캡스턴의 회전속도를 동기화시키기가 어려운 점이었다. 그러므로, 각 인발 단계(n)에서 와이어의 속도와 단면적을 Vn 및 Sn 이라 할 때 다음 식이 성립하게 된다: Sn × Vn = k.
즉, 와이어의 단면적을 속도와 곱한 값은 와이어의 이동체적을 나타내는 것으로,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이어져도 그 값이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한다. 따라서 와이어의 단면이 캡스턴 사이에 배치된 인발 다이의 직경에 따라 결정되고, 와이어가 제조공정 중에 마모되어 직경이 예측 및 통제를 할 수 없도록 변화되는 경우에는, 와이어의 속도를 가변시켜야만 보정을 할 수 있게 되며, 상기 와이어의 속도는 논-슬립형 신선기의 경우(즉, 캡스턴이 매우 많은 수의 단일 코일 와이더를 이송하여 캡스턴과 재료들간에 상대적 이동을 못하게 하는 경우)에 캡스턴의 주변면 속도와 같다.
Morgan 또는 이와 유사한 형태의 다중 신선기에 있어서, 와이어는 원통형 캡스턴에 와선(渦線) 상으로 감기고 캡스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풀리게 된다. 이러한 신선기에서 캡스턴을 간헐적으로 작동시키면 동기화가 이루어지고 이러한 방법으로 와이어의 이동이 안정되며, 그 결과 근래에 가장 성공적인 것이 되었다.
이러한 신선기의 주된 문제점은, 일면에 있어서 간헐적 작동이 이루어져야 하는 점이며, 다른 면에서는 와이어가 축방향으로 풀리는 작용에 의해 바람직하지 않게 스트레스를 받게 되어 캡스턴으로부터 축방향으로 눌려나간 각각의 코일 전체가 꼬이게 되는 현상이다.
더우기, 와이어가 축방향으로 풀려나가게 되어 있는 신선기는 와이어를 일측 캡스턴으로부터 타측 캡스턴(실질적인 해선 캡스턴)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장치를 필요로 하는 바, 이 장치는 2개의 풀리로 구성되고, 일측 풀리는 캡스턴에 나란히 배열되고 다른 하나는 이 캡스턴으로부터 축방향 상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해선 캡스턴의 앞에 설치된 인발 다이 측으로 와이어를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
와이어가 꼬이는 것(이는 어느 경우에나 바람직하지 않으나, 특히 그 탄소 함량의 강철로 된 와이어를 신선하는 경우에는 절대적으로 방지되어야 한다)을 방지할 수 있게된 이러한 신선기의 변형형태에 있어서는 상하로 배치된 두개의 캡스턴이 사용되고 이들 사이에 단일 이송풀리가 배치되어 와이어가 축방향이 아닌 접선방향으로 제 2 캡스턴으로부터 풀려 나가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러한 신선기에는 간헐 작동의 결점이 그대로 남아있고 또한 각 인발단계마다 2개의 캡스턴이 설치되어 구조가 상당히 복잡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직류 캡스턴 구동 모우터의 출현으로 이들 신선기가 보다 새로운 기술 규격으로 개선됨에 따라, "정지/전진" 형태의 간헐적 작동은 "저속전진/고속전진"의 형태로 개선되었으며, 특정 수단과 변환기들이 결합됨으로서 연속적이고 완전 간헐작동이 없는 작동방식이 달성되었다. 또한 변속 변환기를 이용함으로써 와이어가 직접 일측 캡스턴으로부터 다음 캡스턴으로 통과하는 새로운 직선 신선기의 구성이 가능하게 되었다. 각 캡스턴에 와이어가 감기는 수는 일정하며 와이어가 여러 단계를 거치는 중에 절대로 꼬이지 않도록 되었다. 캡스턴 자체는 완만한 경사의 절단된 원추형(frustoconical)이며 와이어라 충분히 접촉하여 감기어지는 견인면과 캡스턴 최상부의 방출면 사이의 권선면에 와이어가 겹치지 않고 순차적으로 감길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와이어가 이러한 캡스턴으로부터 접선 방향으로 풀리게 된다.
직선 신선기에 있어서, 와이어와 캡스턴면 사이에는 미끄럼이 없으므로 와이어의 속도는 캡스턴 주변면 속도와 일치한다. 이는 자동적으로 캡스턴 사이에서 와이어의 장력 조절을 필요로 하게 되며, 이러한 조절은 2개 캡스턴 사이의 와이어 루우프에서 나타나는 어떠한 기하학적인 변화에 반작용하도록 일측 캡스턴과 다음 캡스턴사이, 정확하게는 각 캡스턴의 출구측과 인발 다이 사이에 조정자(jockey) 또는 덴서(dencer)를 배치함으로써 적절히 달성된다. 덴서는 적당한 변환기와 조합되고, 그 응답은 와이어의 장력의 변화에 의하여 유도된 진동(oscillation)으로 변화함으로써, 이에 대응되는 출력 변화를 사용하여 연결된 캡스턴의 속도를 보정할 수 있는 제어 매체를 생성시킬 수 있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직선 신선기에 있어서, 일반적으로 와이어는 덴서의 행정(excursion)에 충분히 적응할 수 있을 정도로 느슨해지도록 하기 위해 후속 캡스턴과 결합된 인발 다이에 진입하기 전에 하나 이상의 풀리 주변으로 지향하여야 하며, 결과적으로 와이어 루우프상에 어느 정도 견인력이 발생하게 되는데, 이러한 힘은 덴서에 부과된 기계적인 부하에 따라 달라지게 된다. 더우기 이들 풀리의 직경은 캡스턴의 직경보다 훨씬 작으며, 와이어가 연속교변식 벤딩 스트레스를 받게 되는 어떤 부재상에 설치될 때 상기 효과는 불필요할 뿐만 아니라, 특히 와이어가 초기 인발 단계에서 비교적 굵은 상태이거나 공칭 직경이 큰 와이어를 제조하는 경우에는 손상을 초래하게 되는 결점이 있다. 반대로 덴서 메카니즘은 2개 캡스턴 사이에 배치된 와이어의 단일 루우프를 모니터하는 간단한 감지기로 축소되어, 결과적으로 제어는 임계적 작동특성을 나타낼 정도로 매우 민감해지고 탄력이 상실된다.
이와 같이 속도 제어수단이 제공되는 장점이 있음에도 불구하고 직선형의 신선기는 상당한 결점을 내포하고 있다.
캡스턴 속도는 속도보다는 토오크를 모니터하므로서 조절될 수 있으나, 이러한 방법은 속도가 견인력에 의하여 보상되는 다른 형태의 신선기에 적용된다. 상기 신선기의 잇점은 덴서나 이와 유사한 다른 형태의 장치 없이 일측 캡스턴과 타측 캡스턴으로 와이어가 직접 이송되는 것이며, 실제로 와이어는 일측 캡스턴으로부터 이 캡스턴과 다른 캡스턴 사이에 배치된 인발 다이측으로 직접 통과하게 된다. 연결된 캡스턴의 구동이 인발 토오크 필요량을 모두 제공하지 않고 캡스턴을 회전시키기에 불충분하게 일부만을 제공하는 한, 동기화는 자동적으로 이루어진다. 나머지 부분은 연결 와이어에 의해 라인(line)상의 다음 캡스턴으로부터 제공되며, 이는 부족분을 보상하는데 필요한 견인력을 발생시킨다.
이러한 효과는 라인상의 최종 캡스턴에까지 이어지며, 속도제어 방식의 상기 최종 캡스턴은 모든 선행 캡스턴들의 속도를 자동적으로 결정한다.
이러한 신선기에 있어서, 일측 캡스턴으로부터 다음 캡스턴으로 와이어가 이송되는 데에는 문제점이 없으나, 보상 견인력이 정확히 측정될 수 없으므로 와이어가 파단될 위험이 매우 크다. 더우기 일측 캡스턴과 다음 캡스턴 사이에는 속도 매칭이 매우 경직되어 있고, 재료의 불규칙한 이동에 따라 야기되는 캡스턴들간의 적은 속도변화를 흡수하는 간극(tolerance margin) 또는 이동 보상수단이 결여되어 있다.
끝으로, 캡스턴 구동 모터의 최적 토오크의 측정은 궁극적으로, 탐지할 수 있는 견인력을 출력신호로 전환시키도록 각 다이(die) 전방 지점에서 와이어와 접촉되게 배치된 특수 변환기(스트레인 게이지; strain gauge)를 이용하여 달성된다. 이것은 장치를 특히 복잡하고 세밀하게 하면서도 극단적으로 와이어 파단 위험을 해소하지는 못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 언급된 결점을 해결한 개선된 논-슬입형 신선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본원에 첨부된 청구범위에서 특정된 바와 같은 직선 신선기에 의하여 현실화되는 바, 본 발명의 신선기에 따르면, 와이어가 1개 캡스턴으로부터 인발 다이와는 무관한 다음 캡스턴으로 보내어짐으로써 와이어에 불필요하게 가해지는 스트레스를 배제함과 동시에, 전형적으로 견인력 보상기에서 발생되는 와이어의 파단 위험을 제거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와이어에 아무런 스트레스도 가하지 않으면서도 속도의 제어에 의해 효율적 동기화의 문제점이 적절히 해결되며, 동기화 과정의 어느 주어진 순간에 와이어의 일체성을 보존하기에 충분한 공극을 구비한 기하학적으로 조절된 상태에서 와이어의 코일링 작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본 발명의 한가지 장점은, 덴서의 속도가 조절되는 방식의 직선 신선기의 장점과 토오크-조절 방식의 견인력 보상형 직선 신선기의 특징이 조합되는 것이다.
본 발명 신선기의 다른 장점은, 구조가 특히 간단하여, 특별히 캡스턴의 적당한 구조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간단한 전기-기계적 제어에 의하여 신뢰도 높은 동기화가 달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에 의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신선기를 도시한 것으로서, 9는 와이어를 나타내며, 9i에서 공급되어 점점 단면이 작아져 주어진 직경(9u)에 이른 후, 스풀(21)에 되감기게 되며, 이 스풀은 그 회전속도가 감기는(coiling) 수의 증가, 및 궁극적으로 이들의 전체 직경의 증가에 따라 조절되므로 되감기는 주변면 속도가 일정하다.
본 발명의 신선기에 사용되는 캡스턴(1)은 기본적으로 첨단부가 절단된 원추형(fructoconical)이고 견인면(2a)상에 순차적으로 감겨 상측 단부의 방출면(3a)에 도달하게 되어 있다. 보다 정확하게, 각 캡스턴(1)은 동심원상에 그리고 동축상에 배치된 2개 캡스턴 부분(2), (3)으로 형성되어 있고(제1도, 제3도 및 제5도), 캡스턴 부분(2)은 축(10a)이 캡스턴 부분(2)에 축방향으로 결합된 공지의 캡스턴 구동축(5)에 동력 전달장치(10b)를 통하여 결합된 모터(10)에 의하여 구동된다. 이와 같이 구동되는 캡스턴 부분(2)은 다른 캡스턴 부분(3)에 대하여 동축상으로 배치된 원추대(22)의 형태를 이룬다.
본 발명에 따르면, 캡스턴 부분(3)은 자유롭게 회전하는 관상의 링(33)으로 구성되며 와이어(9)가 풀려나가는 방출구(3a)를 제공하고 상기 언급된 축(5)에 일체로 지지된 축(4)에 설치된다. 링(33)은 첨단부가 절단된 원추형이어야 하며 원추대(22)의 경사면과 일치하는 경사면을 갖거나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형이어야 한다.
어느 경우에라도, 링(33)에는 풀려나가는 와이어(9a)의 최외곽에 감긴 코일이 풀려나가기 전까지 그대로 유지될 수 있도록 하는 확개편(33a)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각 링(33)은 다음의 캡스턴(1)에 의하여 연속 회전하며 와이어(9)는 각 인발 다이(32)(제5도)를 통하여 통과함으로써 축(4)의 주어진 각속도 Na따 설정된다.
본 발명에 따른 신선기는 동기장치(50)(제4도 참조)에 의하여 제어되며, 이 동기장치는 각 축(5),(4)에 설치되어 각속도를 모니터하는 감지기(7), (6)에 의하여 각 운동 Sa와 일치하는 링(33) 축(4)의 각속도 Na 사이에 차이가 있는 경우 캡스턴의 캡스턴 부분(2)의 회전속도를 보정한다. 이 장치(50)는 전기장치로서 제4도에서 15로 도시한 블럭에서 일어나는 감지 및 각각의 각속도의 적분이 이루어져 축(4), (5)(제3도 참조)에 설치된 통상적 엔코우더(encoder)(66), (77)를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동기장치(50)를 설명하기에 앞서서, 각 캡스턴은 블럭(20)에 의하여 증폭된 정신호 또는 부신호를 통해 모우터(10)의 회전속도 Nc의 제어가 이루어지도록 하는 통상적인 속도제어 궤환 루우프(17)와 결합되는 점에 유의하기로 한다. 상기 신호는 모우터(10)의 축에 설치된 타코 발생기(tacho generator)(16)의 출력신호와 사전에 선택되고 캡스턴 속도제어 파라메타로서 사용되는 기준전압 Vrn 사이의 비교기(14)에 의해 탐지된 차이에 반영된다.
따라서, 상기 통상적인 루우프(17) 및 이미 언급된 엔코우더(66), (67)이외에, 동기장치(50)는 엔코우터로부터 나오는 출력신호를 일정 비율로 감소시키는 분할 회로(18), 및 상기 비율을 상기 캡스턴(1)에 대하여 선택된 공칭 동기화값 Rsyn보다는 크고 상기 값에 거의 근사한 예정 기준값 Rfunz으로부터 감산시키는 비교기(1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감산되어 블럭(19)에서 증폭된 차이신호는 동기화에 결함이 있는 경우에 상기 기준 전압 Vrn을 보정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작동에 있어서, 순서에 따라 연속적으로 다음 캡스턴으로 견인되는 와이어(9)는 상기 캡스턴에 의해서, 원추대(22)와는 기계적 구성상 무관하고 와이어의 최종 코일에 의해 결정되는 각속도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동기화가 달성되지 않으면 링(33)에 감긴 코일이 원추대(22)에 느슨하거나 빡빡하게 감길 것이다. 즉 이와 같이 느슨하거나 빡빡하게 감기는 현상은 원추대(22)로부터 링(33)에 걸쳐 표시된 부호 23으로 나타낸 영역에서 일어나게 된다.
최외측 코일(9a)은 견인력을 받아 결과적으로 링(33)에 빡빡하게 감기는 반면, 캡스턴의 견인면(2a)에 감기는 와이어의 이동이 반대측 단부(3a)에서 방출되는 와이어의 이동과 일치하기만 하면 최외측에 감긴 코일의 앞에 감긴 코일들은 실제로 일정한 직경으로 유지되는 경향이 있게 된다. 이는 실제로, 와이어(9) 단면이 캡스턴을 따라 일정하게 유지된다 하더라도 접선 방향으로 풀려 나가는 속도 또한 일정하게 유지되어야 함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특정 캡스턴의 속도가 빨라진 결과, 최외측에 감긴 코일(9a)에 증가된 견인력이 가해진다면, 자유롭게 회전하는 링(33)은 이에 대한 반응으로 빠르게 회전하여 영역(23)상에 와이어 코일이 빡빡하게 감기게 되고, 원추대(22)의 속도는 변화없이(전형적으로 느리게) 유지된다. 따라서, 링(33) 직경을 Da라 하고 원추대(22)의 넓은 단부(즉, 견인면 2a)의 직경을 Dc라 할 때, 일정한 표면 속도와 공칭 동기화는 다음과 같이 표현될 수 있다:
Na × Da =Nc × Dc
따라서, Nc/Na = Da/Dc = Rsyn < 1
이로써, 축(5), (4)의 속도간의 비율은 직경의 차이를 보정함을 알 수 있다. 만일, 그래서 링(33)과 원추대(22) 사이에 값 Rsyn과 1 사이의 비율로 전기적인 값의 조합이 성립된다면, 교차영역(23)에 코일이 빡빡하거나 느슨하게 감기도록 촉진됨으로써 간극 또는 이동 보상에 있어서 효과적인 동기화 수단을 갖추게 된다. 따라서 동기화 조건은 일반적으로, 공칭 Rsyn과 1 사이에서 Rfunz 값으로 유지되는 것인 바, 그 이유는 링(33)을 구동시키는 최외측에 감긴 코일(9a)의 직경이 거의 다발 또는 묶음으로 된 직경 Da 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감긴 코일이 너무 느슨하게 되어 링(33)이 실제로 Nc 보다 작은 각속도 Na로 회전하게 되어 허용될 수 없는 결과를 초래하더라도, 1 보다 큰 Rfun의 값으로 작동이 가능하다.
유리하게는, 캡스턴으로부터 풀려나가는 코일(9a)의 안정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비교적 빡빡하거나 느슨하게 되는 작동에 의해 야기되는 속도 변화에 적응되도록 허용하는 것과 같이 교차영역(23)에서 코일의 직경이 유지되도록 하는 간극을 허용하면서도, 교차영역(23)에서 와이어의 감긴 코일을 가능한 한 빡빡하게(즉, Rsyn에 근사하게) 유지시킨다. 따라서, 어느 경우에서나 Rsyn 의 값보다는 크게 선택되고 장치의 작동에 있어서 선택된 적당한 Rfunz 값을 이용하여 실제로 최상의 동기화가 이루어질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신선기는 캡스턴(1)의 접선방향 속도변화에 따른 와이어 견인력의 변화에 응답하여 링(33)의 양방향 반작용과 관성에 작용되도 축(4)에 설치되는 브레이크(8)를 포함한다. 이는 어떤 상태에서도 최외측의 코일(9a)이 링(33)의 표면에 영구접촉하여 있으므로 엔코우더(66), (67)가 순간적으로 응답하도록 한다.
이러한 장치(50)의 실제 응용예가 제5도에 도시되어 있는바, 주어진 캡스턴에 대한 기준신호(Vrn)은 연속된 다음 캡스턴의 속도제어궤환 루우프(17)에 대한 입력 "i" 과 일치하는 반면, 먼저 언급된 캡스턴의 궤환 루우프(17)에 대한 입력 "i"의 값 Vr1은 연속된 선행 캡스턴에 대한 기준진호 Vrn을 제공한다.
특히 제5도에서, 제 1 캡스턴에 대한 기준신호 Vr1은 다음 캡스턴에 의하여 공급되며, 마찬가지로 신호 Vr2와 Vr3는 다음의 두 캡스턴에 공급되는 한편, 최종 캡스턴에 공급되는 기준신호 Vr4은 방출되는 와이어(9u)의 접선방향 속도에 의하여 결정되고 스풀(21)의 주변속도와 일치한다.

Claims (8)

  1. 연속적으로 접선 방향으로 와이어를 풀어내는 캡스턴들간에 동기화를 제공하는 논-슬립형 직선 신선기에 있어서, 각각의 캡스턴(1)이 동심원상 및 공축상으로 형성된 2개 부분(2, 3)으로 구성되어, 제 1 부분(2)은 구동 모우터(10)에 의해 구동되고 주어진 직경(Dc)을 갖는 캡스턴의 단일의 견인면(2a)으로 구성되고, 제 2 부분(3)은 견인면(2a)보다 작은 직경(Da)을 가지고 자유롭게 회전하는 관상 링(33)으로 구성되어, 와이어(9)가 인발 다이(32)를 직접 통하여 연속 캡스턴에 의해 인발 될 수 있는 방출구(3a)를 제공하며; 상기 장치는 대응 감지기(6, 7)에 의해 모니터되는 축(5) 및 링(33)에 의해 각각 나타나는 각운동(Sc, Sa)의 차이에 대한 반응으로, 캡스턴의 제 1 부분(2)이 지지되어 회전구동되는 축(5)의 각속도(Nc)를 보정하도록 설계된 동기장치(50)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기.
  2. 제1항에 있어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관상 링(33)이 원통형이고 와이어(9) 최외측의 코일(9a)이 접하여 유지되는 확개편(33a)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기.
  3. 제1항에 있어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관상 링(33)이 첨단부 절단 원추형이고, 캡스턴의 제 1 부분(2)의 경사면과 일치하는 경사면을 가지며, 와이어(9)의 최외측 코일(9a)이 접하여 유지되는 단부의 확개편(33a)을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기.
  4. 제1항에 있어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관상 링(33)이 캡스턴(1)의 제 1 부분(2)의 축(5)에 동축상으로 설치된 회전축(4)에 결합되고, 동기화 장치(50)의 감지기(60, 7)가 축(4, 5)에 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기.
  5. 제4항에 있어서, 동기장치(50)가 전기 장치이고 감지기(6, 7)는 각 축(4, 5)에 설치되어 각 축의 각운동(Sa, Sc)에 비례하는 전기적 출력신호를 공급할 수 있게 된 회전 엔코우더(66, 77)임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기.
  6. 제5항에 있어서, 엔코우더(66, 77)가 동기화 장치(50)에 일체식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엔코우더(66, 77)로부터 나오는 신호들간의 비율을 계산하는 분할 회로(18) 및 비교기(12)가 포함되고, 상기 비교기에 의해 상기 분할회로의 신호가 그 값이 항상 1 보다 작거나, 자유롭게 회전하는 링(33)의 직경(Da)과 캡스턴(1)의 제 1 코일(2)의 견인면 직경(Dc) 사이의 비율(Da/Dc)과 같은 공칭 캡스턴 속도 동기 기준신호(Rfunz)으로부터 대수적으로 감산되며, 이로써 적당히 증폭되었을 때에 단일 캡스턴에 결합된 통상적인 궤환속도제어 루우프(17)에 인가되는 기준신호(Vrn)을 보정하는데 사용되는 차이신호가 제공되고, 캡스턴의 제 1 부분(2)과 자유롭게 회전하는 관상 링(33) 사이의 교차영역(23)이, 연속된 캡스턴의 각속도 변화에 응답하여 직경이 빡빡하거나 느슨하게 되도록 링(33)에 접촉되는 와이어의 다수 코일(9)에 의하여 점유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기.
  7. 제4항 내지 제6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유롭게 회전하는 관상 링(33) 축(4)에 설치된 제동수단(8)이 연속된 캡스턴(1)의 견인속도 변화에 일치하는 와이어(9)의 견인력 변화에 응답하여 링의 양방향 반작용과 관성에 작용하게 되어 감지기(6), (7)가 즉시 응답하고 와이어(9)의 최외측에 감긴 코일(9a)이 링(33)의 표면에 확고하게 접촉하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기.
  8. 제6항에 있어서, 주어진 캡스턴의 회전속도를 제어하는데 사용되는 기준신호(Vrn)가 연속되는 다음 캡스턴의 속도제어 궤환 루우프(17)에 대한 입력(i)과 일치하는 반면, 캡스턴의 궤환 루우프(17)에 대한 입력(i)에 일치하여 제어된 값 Vrn이 선행 캡스턴의 제어를 위한 전기적 기준신호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신선기.
KR1019910004386A 1990-03-21 1991-03-20 논슬립형 직선 신선기 KR10022029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T00340390A IT1238280B (it) 1990-03-21 1990-03-21 Trafilatrice antislittante e rettilinea per filo metallico, con dispositivo di sincronismo tra cabestani consecutivi a svolgimento tangenziale.
IT3403A/90 1990-03-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398A KR910016398A (ko) 1991-11-05
KR100220295B1 true KR100220295B1 (ko) 1999-09-15

Family

ID=11106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004386A KR100220295B1 (ko) 1990-03-21 1991-03-20 논슬립형 직선 신선기

Country Status (16)

Country Link
US (1) US5136866A (ko)
EP (1) EP0448528B1 (ko)
JP (1) JP3034989B2 (ko)
KR (1) KR100220295B1 (ko)
AT (1) ATE114122T1 (ko)
CA (1) CA2038301A1 (ko)
CS (1) CS76791A2 (ko)
DE (1) DE69105156T2 (ko)
DK (1) DK0448528T3 (ko)
ES (1) ES2067204T3 (ko)
HU (1) HU207812B (ko)
IE (1) IE65722B1 (ko)
IT (1) IT1238280B (ko)
MX (1) MX174629B (ko)
PT (1) PT97087B (ko)
SK (1) SK280843B6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T1272560B (it) * 1993-09-03 1997-06-23 Redaelli Tecna Mecc Spa Macchina trafilatrice a piu' stadi con regolazione del tiro
DE59801770D1 (de) * 1998-04-07 2001-11-22 Niehoff Kg Maschf Verfahren zur Antriebsregelung einer Ziehmaschine und Ziehvorrichtung
IT1309934B1 (it) * 1999-11-18 2002-02-05 Tecnocard Srl Struttura di trafila per fili metallici
ITRN20000027A1 (it) * 2000-06-16 2000-09-16 Lisciani Trafilerie S R L R Trafilatrice antislittante rettilinea per filo metallico con sincronismo tra cabestani consecutivi, perfezionata.
US7137430B2 (en) * 2002-03-25 2006-11-21 Rollease, Inc. Mono control lift and tilt mechanism for horizontal blinds
US20070240478A1 (en) * 2006-04-12 2007-10-18 Martin Kalweit Wire-drawing apparatus
CN101708506B (zh) * 2009-12-08 2011-06-22 吴伟琦 废边角料拉丝机及拉丝方法
CN102139285A (zh) * 2010-11-12 2011-08-03 吴江市神州双金属线缆有限公司 一种连续拉拔装置
CN102139286A (zh) * 2010-11-12 2011-08-03 吴江市神州双金属线缆有限公司 连续拉拔用的控制装置
WO2014045373A1 (ja) * 2012-09-20 2014-03-27 株式会社エフ・エー電子 伸線機及び伸線方法
JP6139923B2 (ja) * 2013-03-11 2017-05-31 株式会社エフ・エー電子 伸線機及び伸線方法
CN103599951A (zh) * 2013-10-30 2014-02-26 安徽奇峰机械装备有限公司 一种钢丝加工装置
CN113458766B (zh) * 2020-03-30 2022-10-18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螺栓拧紧设备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960215A (en) * 1957-11-16 1960-11-15 Rehnqvist Nils Bernhard Wire-drawing machines
SE359037B (ko) * 1970-10-21 1973-08-20 Arboga Mek Verk Ab
US4079609A (en) * 1976-12-14 1978-03-21 Amtel, Inc. Control system for multiple stage reducing apparatus
IT1088302B (it) * 1977-11-16 1985-06-10 Fachini & Co Macchina trafilatrice rettilinea comprendente due bobine coassiali rotanti nello stesse senso, con controllo continuo automatico della velocia', senza rinivio del materiale trafilato su tastatori esterni ma con confronto continuo della velocita' di rotazione delle due predette bobine
US4511096A (en) * 1983-11-14 1985-04-16 Morgan Construction Company Spinner drive for double block wire drawing machine
US4604883A (en) * 1985-10-17 1986-08-12 Morgan Construction Company Mass flow control system for wire drawing machine
CA1247501A (en) * 1986-01-30 1988-12-28 Alan C. Glover Methods and apparatus for drawing wir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16398A (ko) 1991-11-05
PT97087B (pt) 1998-08-31
IE910811A1 (en) 1991-10-09
ATE114122T1 (de) 1994-12-15
DE69105156D1 (de) 1994-12-22
ES2067204T3 (es) 1995-03-16
JP3034989B2 (ja) 2000-04-17
EP0448528B1 (en) 1994-11-17
PT97087A (pt) 1993-03-31
DK0448528T3 (da) 1995-02-27
MX174629B (es) 1994-05-30
SK280843B6 (sk) 2000-08-14
US5136866A (en) 1992-08-11
IT9003403A1 (it) 1991-09-21
DE69105156T2 (de) 1995-04-27
HU910931D0 (en) 1991-10-28
EP0448528A1 (en) 1991-09-25
IT9003403A0 (it) 1990-03-21
HU207812B (en) 1993-06-28
IT1238280B (it) 1993-07-12
CA2038301A1 (en) 1991-09-22
CS76791A2 (en) 1991-10-15
IE65722B1 (en) 1995-11-15
HUT59853A (en) 1992-07-28
JPH0780536A (ja) 1995-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20295B1 (ko) 논슬립형 직선 신선기
EP0078979B1 (en) A yarn winding apparatus
EP0074972B1 (en) Arrangement when winding yarn, strip-material or the like from a supply roll onto a bunch of wires or the like fed through the centre hole of the supply roll
US5628472A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balancing armatures during coil winding
EP0228807B1 (en) Apparatus for tension control of a flexible material during winding or unwinding from a drum or reel
JP2005154061A (ja) テープ類送り装置
CN1052207A (zh) 磁带张力的调整方法
US5566604A (en) Apparatus for extracting a flexible product from a machine for fabricating same
JPH07124643A (ja) 伸線及び巻取装置の速度制御方法
US4046176A (en) Winding machine for continuously manufacturing circular waveguides
JPH08319059A (ja) 線状体の貯線装置
JP2508216B2 (ja) テ―プ張力自動制御機能付テ―ピング機
SU792320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выравнивани колебаний нат жени длинномерного издели при намотке
JP2000053334A (ja) テープ巻付装置のテープ送出張力制御方法
JPS6231482B2 (ko)
JPH04341463A (ja) パーンワインダーの駆動方法
SU922890A1 (ru) Станок для перемотки нитевидных материаловi
JPS6052472A (ja) 糸条巻取方法
JPS5833626B2 (ja) テ−プ張力制御装置
JPS63310466A (ja) 自動ワインダ−におけるテンション制御方法
JPS5820327A (ja) 巻取機の速度制御方法
JPS62196271A (ja) ワイヤ巻取装置
JPS63258379A (ja) テ−ピング機のテ−プ張力調整装置
JPS63310465A (ja) 自動ワインダ−におけるテンション制御方法
JPH05314721A (ja) 磁気テープ巻き取り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5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