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13417B1 -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 Google Patents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13417B1
KR100213417B1 KR1019900004274A KR900004274A KR100213417B1 KR 100213417 B1 KR100213417 B1 KR 100213417B1 KR 1019900004274 A KR1019900004274 A KR 1019900004274A KR 900004274 A KR900004274 A KR 900004274A KR 100213417 B1 KR100213417 B1 KR 1002134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nsion
tape
side reel
gear
mechanical chas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42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982A (ko
Inventor
도시나리 고구찌
도시유끼 야마자끼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080466A external-priority patent/JP2949716B2/ja
Priority claimed from JP109635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2276050A/ja
Priority claimed from JP1106439A external-priority patent/JP2775841B2/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기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0001698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98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134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134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3Control or regulation of mechanical tension of record carrier, e.g. tape te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reversing arrangement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1Guiding record carrier on drum, e.g. drum containing rotating head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Landscapes

  • Braking Arrangements (AREA)
  • Registering, Tensioning, Guiding Webs, And Rollers Therefor (AREA)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인장 조절 아암과 인장 조절 아암에 연동하여 공급측 릴대에 감겨진 브레이크 밸크로 이루어진 인장 조절기를 구비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재생 모드로 부터 역재생 모드로의 전환시에 공급측 릴대를 테이프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강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제1도 내지 제4e도는 본 발명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시도로서, 제1도는 전체의 개략 평면도.
제2도는 개략 저면도.
제3도는 주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4a도 내지 제4e도는 회전 강제 수단 및 인장조절기의 동작을 순서에 따라 도시한 개략 평면도.
제5도는 종래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일예를 도시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3 : 공급측 릴대
21 : 인장 조절기 22 : 인장조절 아암
23 : 브레이크 벨트 36 : 회전 강제수단
[산업상 이용분야]
본 발명은 새로운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인장조절 아암과 인장조절 아암에 연동하여 공급측 릴대에 감겨진 브레이크 벨트로 이루어진 인장 조절기를 구비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관한 것으로, 재생 모드에서 역재생 모드로의 전환시에, 회전 헤드에 대한 테이프의 위치 이탈을 방지하고, 이러한 것에 의하여 화면 빠짐, 화면 이탈 또는 화면에 대한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인장조절 아암과 인장조절 아암에 연동하여 공급측 릴대에 감겨진 브레이트 벨트로 이루어진 인장 조절기를 구비하며, 재생모드에서 역재생 모드로서 전환시에 공급측 릴대를 테이프의 권취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강제 수단을 설치함으로써, 인장조절 아암 및 브레이크 벨트의 해제에 따른 테이프 경로 시스템에 이완이 생겨도, 회전 헤드 드럼에 대한 테이프의 위치 이탈이 생기지 않고, 화면 빠짐, 화면 이탈 또는 화면의 노이즈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는 회전 헤드 드럼과 테이프의 접촉 상태가 양호하게 유지되도록 테이프 경로 시스템의 테이프에 일정의 인장력이 부가되는 것이 필요하고, 이때문에, 테이프 인장 조절기가 사용되고 있다.
제5도는 이러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일예(a)를 나타낸다.
참조부호(b)는 S측 릴대, 참조부호(c)는 T측 릴대이고, 양 릴대(b,c)는 적절한 간격을 두고 메카샤시(d)의 상면측에 위치하고, 메카샤시(d)에 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참조부호(e)는 캡스턴 축이고, 메카샤시(d)의 하면에 부착된 캡스턴 모터(f)의 출력축은 메캬샤시(d)를 위쪽으로 관통한 캡스턴 축(e)으로 되어 있다.
참조부호(g)는 핀치 로울러이고, 캡스턴 축(e)에 대향하여 캡스턴 축(e)에 압착시키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h)는 캡스턴 모터(f)의 출력축에 고정된 구동풀리이고, 메카샤시(d)의 하면측에 위치되어 있다.
참조부호(i)는 종동풀리이고, 2개의 릴대(b,c)의 대략 중간에서 메카샤시(d)의 하면측에 위치되어 있다.
참조부호(j)는 메카샤시(d)의 상면측에 위치된 종동 기어로, 종동풀리(i)에 동심으로 설치되고, 그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토크 리키터가 개재되어 있으며, 낮은 부하가 적용될 때, 종동풀리(i)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참조부호(k)는 진동레버이고, 종동기어(j)의 상측에서, 종동 풀리(i) 및 종동기어(j)의 회전축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이 진동레버(k)의 요동단부에는 종동기어(j)와 이맞물려진 진자기어(ℓ)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참조부호(m,n)은 아이들러 기어이고, 메카샤시(d)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고, S측 릴대(b)는 또는 T측 릴대(c)의 각각의 기어부에 개별적으로 이맞물려 있다.
참조부호(o)는 구동풀리(h)와 종동풀리(i)에 설치된 무단형상의 벨트이다.
참조부호(p)는 메카샤시(d)의 상면에 회전가능하게 부착된 회전 헤드 드럼이고, 테이프 로딩에 의하여 테이프 카셋트(9)의 테이프(r)가 소정의 감김각도로 감기게 되어 있다.
참조부호(s)는 테이프(r)의 테이프 경로 시스템에 있어서의 장력을 일정하게 보유하기 위한 인장 조절기이고, 거의 L자 형상의 인장조절 아암(t)과 S측 릴대(b)에 감겨진 브레이트 벨트(u)로 형성된다.
인장조절 아암(t)은 긴쪽의 아암의 선단부가 메타샤시(d)의 S 측 릴대 (b)의 반 T측 릴대(c)측의 위치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짧은쪽 아암의 선단부에는 상측으로 연장하는 인장조절 핀(v)이 설치되고, 인장 조절 핀(v)은 인장조절 아암(t)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에 메카샤시(d)의 회전 헤드 드럼(p)의 경사전방 위치에 설치된 2개의 안내핀(w)사이를 테이프 경로 시스템의 내측으로부터 통과하여 외측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인장 조절 핀(v) 및 안내핀(w)에 의하여 이 사이의 테이프(r)는 위쪽에서 보아 「」형상으로 굴곡되고, 인장조절 핀(v)이 테이프(r)의 장력에 따라 이동됨으로써 상기 3개의 핀(v, w, w)을 연결하는 거리가 변화하고, 인장 조절핀(v)에 의하여 테이프(r)에 부여되는 장력을 가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브레이크 벨트(u)는 그 일단이 메카샤시(d)의 인장조절 아암(t)의 회전 지점에서 전방의 위치로 고착되고, 타단이 인장조절 아암(t)의 긴쪽아암의 회전지점보다도 약간 회전단부측(짧은 쪽의 아암측)으로 기울어진 위치에 고착되고, 그 중간부는 S측 릴대(b)에 대략 180°의 감김각도로 감기게 된다.
참조부호(x)는 인장조절 아암(t)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이고, 코일 스프링(x)은, 그 일단이 인장조절 아암(t)의 회전 지점보다 약간 회전단측으로 기울어진 위치로 부터 측방으로 설치된 스프링 편에, 그 타단이 메카샤시(d)의 인장조절 아암( t)의 회전지점 보다도 전방의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편에 각각 걸어져 양 스프링 사이에서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인장조절 아암(t)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여되고, 상기 브레이크 벨트(u)가 S측 릴대(b)에 압접하여, S측 릴대(b)의 회전을 저지하는 힘이 부여된다.
인장조절 아암(t)은 메카샤시(d)의 하면에 설치된 도시하지 않은 요동 레버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x)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으며, 예를들면 역재생 모드, 급송 모드, 되감기모드 등, 인장 조절기(s)에 의한 테이프 경로 시스템의 장력이 불필요할 때에, 인장조절 아암(t)이 시계방향으로 회전되어, 테이프(r)로의 장력을 해제하고, S측 릴대(b)에 대하는 브레이크 벨트(u)의 압접이 해제되고, S측 릴대(b)가 프리(free) 상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재생 모드일 때는 인장조절 아암(t)이 도시하지 않은 요동레버로 규제되지 않고, 코일 스프링(x)의 탄성력만으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여되어 인장조절 핀(v)이 테이프(r)를 안내핀(w)사이로 테이프 경로 시스템의 내측으로부터 양쪽 핀(w)으로 누르도록 작용하고, 브레이크 벨트(u)가 S측 릴대(b)에 접촉함으로써 S측 릴대(b)의 회전을 지지하도록 작동함과 동시에, 캡스턴 모터(f)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캡스턴 축(e) 및 핀치로울러(g)에 의하여 테이프(r)가 재생 방향으로 송출되며, T측 릴대(c)가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되며, 이로부터 송출된 테이프(r)를 권취하고, 이것을 재생 방향으로 주행 시키게 된다. 그리고, 캡스턴 측(e)의 회전에 의하여 S측 릴대(b)로부터 테이프(r)가 인출됨과 동시에, S측 릴대(b)에 걸리는 브레이크 벨트(u)의 제동력에 의하여 S측 릴대(b)와 캡스턴 축(e)사이에 있어서의 테이프(r)에 장력이 발생하고, 인장조절 아암(t)의 회전에 의한 테이프(r)로의 장력에 대한 가변 및 브레이크 벨트(u)의 제동력의 조정에 의하여 장력이 일정하게 유지된다.
또한 역재생 모드일 때는 인장조절 아암(t)이 도시하지 않은 요동 레버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x)의 탄성력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이에 따라 브레이크 벨트(u)의 S측 릴대(b)에 대한 재동력이 완화됨과 동시에, 캡스턴 모터(f)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캡스턴 축(e)과 핀치 로울러(g)에 의하여 테이프(r)을 역재생 방향으로 송출하고, S측 릴대(b)를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송출된 테이프(r)를 권취하고, 이것을 역재생 방향으로 주행시키게 된다. 그리고, 역재생 모드일 때는, S측 릴대(b)의 회전에 의한 테이프 권취 속도를 캡스턴 축(e) 및 핀치 로울러(g)에 의한 테이프(r)의 송출 속도 보다도 빠르게 설정하며, 이것에 의하여, 캡스턴 축(e)과 S측 릴대(b) 사이의 테이프(r)에 일정의 장력이 부여되게 된다.
S측 릴대(b) 및 T측 릴대(c)의 회전은 캡스턴 모터(f)의 정역회전에 따라 진동 레버(k)가 진동 동작을 행하지 않고, 진동 레버(k)의 요동단부에 지지되는 진자 기어(1)가 S측 또는 T측의 아이들러 기어(m,n)에 선택적으로 결합함으로써 부여되도록 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해야 하는 과제]
그러나, 상술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재생모드(테이프를 재생 방향으로 주행시키고, 또한 화상 신호를 재생하는 모드)로부터 역재생 모드(테이프를 역재생 방향으로 주행시키고, 화상 신호를 재생하는 모드)로의 전환이 행해졌을때, 전환시에 재생되어 있던 화면에 노이즈가 들어가거나, 화면이 빠지는 소위 화면 빠짐이 생기거나 화면 이탈이 생기거나 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재생 모드로부터 역재생 모드로의 전환이 이루어지면, 인장조절 아암(t)이 도시하지 않은 요동 레버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이것은 테이프(r)의 장력이 S측 릴대(b)의 테이프 권취속도와 캡스턴 축 (e)의 테이프 송출 속도의 차에 의하여 규제되고, 인장조절 아암(t)및 코일 스프링(x)에 의한 테이프(r)로의 장력 부여가 불필요하게 되고, S측 릴대(b)의 브레이크 벨트(u)에 의한 제동력을 해제하고, S측 릴대(b)의 회전을 용인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인장조절 아암(t)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 안내핀(w)사이에서, 테이프(r)를 느슨하게 하며, 해당 부분에 테이프(r)의 이완이 생기고, 이것에 의하여 회전 헤드 드럼(p)과 테이프(r)면의 접촉에 이탈이 발생하고, 화면빠짐, 화면 이탈, 또는 화면에 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발명을 해결하고자 위한 수단]
그래서, 본 발명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인장조절 아암과 이 인장조절 아암에 연동하여 공급측 릴대에 감겨진 브레이크 벨트로 형성되는 인장 조절기를 구비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고, 재생 모드로부터 역재생 모드로의 전환시에 공급측 릴대를 테이프의 권취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는 회전강제 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의하면, 재생 모드에서 역재생 모드로의 전환시에 인장 조절기의 테이프로의 장력 부여의 해제가 이루어져도, 공급측 릴대를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키기 때문에, 테이프에 이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 헤드 드럼과 테이프면의 접촉에 이탈이 생기지 않고, 따라서 화면빠짐, 화면이탈, 화면 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바람직한 실시에의 설명]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를 실시예에 따라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 제1도 및 제4도 참조]
도면번호 1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고, 도면번호 2는 그 메카샤시로서, 메카샤시(2)의 상면측에서 그 중앙으로부터 전측(제1도에 있어서 하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전측으로 하고, 상측으로 향하는 방향으로 후측으로 하고, 우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우측으로 하고, 좌측으로 향하는 방향을 좌측으로 한다. 아래의 설명에서 방향을 나타낼 때는 이 방향에 따르는 것으로 한다)의 위치로 좌우로 이격되어, S측 릴대(3)와 T측 릴대(4)가 메카샤시(2)에 대하여 각각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있으며, 각 릴대(3,4)에는 각각 릴대 기어(3a,4a)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번호 5는 T측 릴대(4)의 후방에서 메카샤시(2)의 하면측에 설치된 캡스턴 모터이고, 캡스턴 모터(5)의 출력축은 메카샤시(2)를 관통하여 메카샤시의 상면측으로 돌출되어, 캡스턴 축(6)으로 되어 있다.
도면번호 7은 캡스턴 축(6)에 대향하여 메카샤시(2)의 상면측에 설치된 핀치 로울러이고, 핀치 로울러(7)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가 영상 신호등을 재생하는 모드일 때 테이프를 정속 주행시키기 위하여 캡스턴 축(6)에 압착되도록 되어 있다.
도면번호 8은 캡스턴 모터(5)의 하측에서, 캡스턴 모터의 출력축에 고정된 구동 풀리이다.
도면번호 9는 상기 2개의 릴대(3,4)사이의 대략 중간에서, 메카샤시(2)의 하면측에 메카샤시(2)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종동 풀리이다. 종동 풀리(9)와 상기 구동풀리(8)는 상하 방향에서 거의 같은 높이로 위치하고 , 양자 사이에는 무단형상의 벨트(10)가 걸어져 있다.
도면번호 11은 메카샤시(2)의 상면측에서, 상기 종동풀리(9)의 메카샤시(2)의 상면측으로 돌출한 회전축(12)에 지지되는 종동 기어이고, 종동기어(11)와 종동풀리(9)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토오크 리미터가 삽입되어 있으며, 경부하시에는 종동풀리(9)와 일체로 회전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번호 13은 종동풀리(9)와 종동기어(11)의 공통의 회전축(1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진동 레버이고, 진동 레버(13)는 종동기어(11)의 상측에 위치하고, 진동 레버의 요동단부에는 종동기어(11)에 결합된 진자기어(14)가 지지축 (15)을 통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면번호 16,17은 각 릴대(3,4)의 릴대 기어(3a,4a)와 각각 상시 결합하는 아이들러 기어이고, 아이들러 기어(16,17)는 상기 진자기어(14)를 끼우고, 또한 진자기어(14)가 거의 중앙에 위치할 때는 어느쪽의 아이들러 기어(16,17)에도 결합되지 않고, 어느것이 한쪽으로 치우쳤을 때에, 그 치우친 쪽의 아이들러 기어(16또는17)에 결합하도록 하는 위치에서 메카샤시(2)의 상면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면번호 18은 테이프 카셋트이고,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1)의 소정의 위치에 장착되면, 테이프(19)가 인출되어 회전 헤드드럼(20)에 소정의 감김 각도로 감기게 되고, 또한 각종의 테이프 안내에 의하여 테이프 경로 시스템이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인장 조절기; 제1도, 제2도, 제4도 참조]
도면번호 21은 테이프(19)의 테이프 경로 시스템에서의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시키는 인장 조절기이고, 대략 L자 형상을 한 인장조절 아암(22)과 S측 릴대(3)의 브레이크 드럼(3b)에 권취된 브레이크 벨트(23)로 형성되어 있다.
인장조절 아암(22)은 그 긴쪽 아암(22a)에 대한 선단부가 메카샤시(2)의 S측 릴대(3)의 좌측의 위치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짧은쪽 아암(22b)의 선단부에는 상측으로 연장하는 인장조절핀(24)이 설치되고, 인장조절 핀(24)은 인장조절 아암(22)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었을 때에 메카샤시(2)의 회전 헤드드럼(20)의 경사전방의 위치에 설치된 2개의 안내핀(25)사이에 그 우측으로부터 통한 2개의 안내핀(25)을 연결한 선보다도 좌측으로 기울어진 위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인장조절핀(24)및 안내핀(25)에 의하여, 그 사이의 테이프(19)는 상측에서 보아「」의 형상으로 굴곡되고, 또한 인장조절 핀(24)이 테이프(19)의 장력의 변화에 따라 이동되어, 상기 3개의 핀(24,25)을 연결하는 거리가 변화하여, 테이프 장력을 일정하게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도면번호 26은 인장조절 아암(2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후술하는 요동 레버에 압압되는 눌림 핀이고, 인장조절 아암(22)에 그 회전 지점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장 설치된 아암편(22c)의 선단부에 하측으로 향하여 세워져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눌림 핀(26)은 메카샤시(2)에 형성된 전후로 연장하는 긴 구멍(2a)을 통하여 그 하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브레이크 벨트(23)는 일단이 메카샤시(2)의 인장조절 아암(22)의 회전 지점보다 전방의 위치에 고착되고, 타단이 인장조절 아암(22)이 긴쪽의 아암(22a)의 회전 지점보다도 약간 회전단부측(짧은쪽의 아암(22b)측)으로 기울어진 위치에 고착되고, 그 중간부는 S측 릴대(3)의 브레이크 드럼(3b)에 대략 180°의 감김각도로 감겨져 있다.
또한, 브레이크 벨트(23)의 S측 릴대(3)의 브레이크 드럼(3b)과 접하는 부분에는 펠트등의 고 마찰계수의 재료가 점착되어 있다.
도면번호 27은 인장조절 아암(22)에 회전력을 부여 하기 위한 코일 스프링이고, 코일 스프링(27)은 일단이 인장 조절 아암(22)의 회전 지점보다 약간 회전단부측으로 기울어진 위치로부터 측방으로 설치된 스프링편(22d)에, 타단이 메카샤시(2)의 인장조절 아암(22)의 회전 지점보다도 전방의 위치에 설치된 스프링편(28)에 각각 고정되어, 양 스프링편(22d, 28)사이에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하여, 인장조절 아암(22)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여되고, 상기 브레이크벨트(23)가 S측 릴대(3)의 브레이크 드럼(3b)에 압접되어, S측 릴대(3)의 회전을 저지하는 힘이 부여된다.
그리고, 테이프(19)의 장력이 높을 때는 인장 조절 아암(22)이 테이프(19)의 장력에 의하여 코일 스프링(27)의 인장력에 저항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안내핀(25) 사이의 테이프(19)의 굴곡정도를 적게하여 각 핀(24,25)에 대한 테이프(19)의 감김각도를 작게하고, 이것에 의하여 테이프(19)의 장력이 낮게 되도록 작용하고, 테이프(19)의 장력이 낮을 때는, 인장조절 아암(22)이 코일 스프링(27)의 인장력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안내핀(25)사이의 테이프(19)의 굴곡도를 크게 하여 각 핀(24,25)에 대한 테이프(19)의 감김각도를 크게 하여 테이프(19)의 장력이 높게 되도록 작용하게 된다.
도면번호 29는 평기어 형상을 한 캠기어이고, 그 한쪽면에 2개의 캠홈(30,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인장 조절기(21)의 동작 및 후술하는 회전 강제 수단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것이다. 그리고, 캠기어(29)는 메카샤시(2)의 하면에서 S측 릴대(3)의 대략 하측에 위치하고, 캠홈(30,31)이 메카샤시(2)의 하면에 대향하도록 메카샤시(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도면번호 32는 캠기어 (29)에 의하여 제어되고 상기 인장조절 아암(22)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요동 레버이고, 좌우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며 그 대부분이 상기 캠기어(29)와 메카샤시(2)사이에 위치되며, 그 우측 전방의 각도부(32a)가 메카샤시(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레버(32)의 회전지점(32a)의 후방에 위치한 각도부에는 하측으로 돌출한 결합핀(32b)이 일체로 형성되고, 요동 레버(32)의 캠기어(29)의 바깥 가장자리보다 외측으로 돌출한 좌단부의 전방각도에 절결부가 형성되고, 절결부의 전방을 향하는 면(32c)이 압압면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레버(32)의 결합핀(32b)은 캠기어(29)의 캠홈(30,31)중 내측에 위치하는 캠홈(30)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상기 압압면(32c)은 메카샤시(2)의 긴 구멍(2a)이 하측에 위치되고, 긴 구멍(2a)으로부터 하측으로 돌출한 인장조절 아암(22)의 눌림핀(26)의 그 후방에서 대향되고 있다.
도면부호 33은 그 출력축에 워엄기어(34)가 고정된 모드 설정 모터이고, 모드 설정 모터(33)는 메카샤시(2)의 전단부 좌측부의 하면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워엄기어(34)가 중간기어(35)와, 그 중간기어(35)가 상기 캠기어(29)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부(29a)와 각각 결합되고, 모드 설정 모터(33)의 회전이 캠기어(29)에 전달되도록 되어 있다.
[회전 강제 수단; 제1도 및 제4도 참조]
도면번호 36은 S측 릴대(3)를 강제적으로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강제 수단이고, 회전 강제 수단(36)은 S측 릴대(3)의 릴대기어(3a)에 적시결합하는 래크판과, 래크판을 탑재하여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가능하도록 메카샤시(2)에 지지된 미끄럼 이동부재와, 미끄럼 이동 부재를 접동시키는 요동 아암등으로 형성되어 있다.
[미끄럼 이동부재 ; 제1도 및 제4도 참조]
도면번호 37은 S측 릴대(3)의 좌측에 설치된 평면 형상이 전후 방향으로 직사각형 형상을 한 판상의 미끄럼 이동 부재이고, 미끄럼 이동 부재(37)의 하면의 좌측부이고, 전방단부 가장자리 및 후방단부 가장자리의 2개의 위치에 각각 결합핀(37a,37b)이 설치되고, 결합핀(37a,37b)이 메카샤시(2)의 S측 릴대(3)의 좌측 전방으로 이격되어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는 2개의 미끄럼 이동 구멍(2b,2c)에 각각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시킴으로써, 미끄럼 이동 부재(37)가 메카샤시(2)에 전후 방향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지지된다.
도면번호 38은 미끄럼 이동 부재(37)의 상면의 좌측부에서 중앙에서 약간 앞쪽위치에 설치된 스프링 핀이고, 그 스프링 핀(38)에는 후술하는 요동 아암과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지지되어 있다.
도면번호 39는 미끄럼 이동부재(37)의 우측부의 중앙부에 절결 형성된 캠가장자리이고, 후방 가장자리가 평면 형상에서 보아 단계상으로 형성되고, 전방을 향한 제1스토퍼 가장자리 (39a)와 제1스토퍼 가장자리(39a)에 전방으로 위치하여 같은 전방을 향한 제2스토퍼 가장자리(39b)를 가지고, 제1스토퍼 가장자리(39a)와 제2스토퍼 가장자리(39b) 사이를 연결하고 있는 제1위치 규제 가장자리(39c)와 제2스토퍼 가장자리(39b)의 안쪽에서 전방으로 연장하는 제2위치 규제 가장자리(39d)을 가지고 있다.
도면번호 40은 미끄럼 이동 부재(37)의 상면중, 상기 캠 가장자리 (39)에서 후방의 우측 가장자리에 설치된 지지핀이고, 그 지지핀(40)은 후술하는 래크판을 지지하기 위한 것이다.
도면번호 41은 미끄럼 이동 부재(37)의 상면중, 상기 캠 가장자리(39)의 좌측 경사 후방 위치에 설치한 스프링 핀이고, 스프링 핀(41)은 후술하는 래크판과 연결되는 코일 스프링의 일단이 걸어져 있다.
그러나, 미끄럼 이동 부재(37)은 하면의 결합핀(37a, 37b)이 메카샤시(2)의 미끄럼 이동 구멍(2b,2c)에 각 별로 결합되고, 결합핀(37a,37b)이 미끄럼 이동구멍(2b,2c)의 후단에 접하는 위치(이하 초기위치라 한다)와 전단에 접하는 위치(이하 강제위치라 한다)사이클 미끄럼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래크판; 제1도 및 제4도 참조]
도면번호 42은 판형상의 래크판이고, 대략 사각형 형상을 한 후에 본체부(43)와 본체부(43)의 전방단부 가장자리의 거의 중앙에서 전방으로 향하여 일체로 설치된 혀 형상부(44)와, 본체부(43)의 하면에서, 전단 우단부에서 전방으로 향하여 돌출한 래크부(45)가 일체로 형성된다.
본체부(43)의 후단부의 중앙에서 전후 방향으로 약간 긴 긴 구멍(43a)이 형성되고, 좌측 가장자리의 전측 부분이 전방으로 향하는데 따라 우측으로 변위하는 경사면(43b)에 형성되어 있다.
혀 형상부(44)의 상면의 거의 중앙부에는 스프링 핀(44a)이 설치되고, 그 하면의 거의 중앙에는 핀(44b)이 설치되어 있다.
래크부(45)에는 그 선단부 우측 가장자리에 3개의 래크 기어(45a, 45b,45c)가 형성되고, 래크기어(45a,45b,45c)는 상기 S측 릴대(3)의 릴대 기어(3a)의 기어와 동일 피치로서 형성되고, 이들의 돌출량은 도면부호 45a, 45b, 45c순으로 크게 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래크부(45)의 래크기어(45a,45b,45c)는 S측 릴대 기어(3a)와 높은 방향에서 같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래크판(42)은 그 본체부(43)의 긴 구멍(43a)에 상기 미끄럼 이동 부재(37)의 결합핀(40)이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결합되어 미끄럼 이동 부재(37)에 대하여 전후 방향으로 미끄럼 이동 및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며, 혀 형상부(44)의 스프링 핀(44a)과 미끄럼 이동 부재(37)의 스프링 핀(41)사이에 코일 스프링(46)이 약간 신장하도록 길게 설치되고, 혀 형상부(44)의 핀(44b)이 미끄럼 이동 부재(37)의 캠 가장자리(39)내에 위치된다.
그러나, 래크핀(42)이 미끄럼 이동부재(42)가 미끄럼 이동부재(37)에 대한 이동범위중의 후단에 위치할 때는 그 핀(44b)이 캠 가장자리(39)의 제1스토퍼 가장자리(39a)와 제1위치 규제 가장자리(39c)에 접하도록 위치(이하, 결합위치라 한다)하고, 래크판(42)이 미끄럼 이동 부재(37)에 대한 이동 범위중의 전단에 위치할 때는, 상기 핀(44b)이 캠 가장자리(39)의 제2스토퍼 가장자리(39b)와 제2위치 규제 가장자리(39d)에 접하도록 위치(이하, 결합해제 위치라 한다)하도록 되어 있으며, 래크판(42)은 결합 위치와 결합 해제 위치 사이에서 코일 스프링(46)에 의하여 클릭 스톱이 걸리도록 되어 있다.
래크판(42)의 핀(44b)은 미끄럼 이동 부재(37)의 두께 보다도 길고, 미끄럼 이동 부재(37)의 결합핀(37a,37b)이 각각 결합하는 메카샤시(2)의 미끄럼 이동 구멍(2b,2c)에 그 우측에 인접한 후술하는 역 J자형상의 긴 구멍내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래크판(42)이 결합 위치에 있는 경우, 래크기어(45a,45b,45c)는 후술하듯이 미끄럼 이동 부재(37)가 메카샤시(2)에 대하여 전방으로 향하여 미끄럼 이동했을 때에 S측 릴대기어(3a)에 결합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도면번호 47은 상기 캠기어(29)에 의하여 제어되고, 상기 미끄럼 이동 부재(37)를 전후 방향으로 접동시키기 위한 요동 아암이고, 좌우 방향에 긴 판상을 이루고, 전체가 상기 캠기어(29)와 메카샤시(2)의 사이에 위치되고, 우단부가 지지핀(2d)으로서 메카샤시(2)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요동 아암(47)의 중앙부와 회전 지점사이의 위치에는 하측으로 향하여 돌출한 결합핀(47a)이 일체로 설치되고, 요동 아암(47)의 좌단부에는 상기 메카샤시(2)에 형성된 역 J자상의 긴 구멍(2e)을 통하여 메카샤시(2)의 상면측에 돌출하는 스프링 핀(47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아암(47)의 결합핀(47a)은 캠기어(29)의 외측의 캠홈(31)에 접동가능하게 결합되어 있으며, 스프링 핀(47b)과 상기 미끄럼 이동 부재(37)에 스프링 핀(38)사이에 코일 스프링(48)이 약간 신장한 상태로서 설치되어 있다.
메카샤시(2)의 역 J 자 형상의 긴 구멍(2e)은 약간 폭이 넓고 상기 미끄럼 이동부재(37)의 캠 가장자리(39)의 우측 개구에서 제2위치 규제 가장자리(39d)까지의 거리와 거의 같은 폭의 치수로서, 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그 후단부의 좌측 가장자리에는 볼록부(2f)가 형성되고, 이것에 의하여 긴 구멍(2e)의 후단부 폭이 그 나머지 부분에 대하여 거의 절반으로 되어 있다.
그러나, 요동 아암(47)이 후술하듯이 캠기어(29)에 의하여 제어되기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코일 스프링(48)을 통하여 미끄럼 이동 부재(37)를 초기 위치에서 강제 위치로 이동시키고, 이것에 따라, 접동 부재(37)에 탑재된 래크판(42)의 래크부(45)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래크기어(45c)에 S측 릴대기어(3a)에 결합하고, S측 릴대(3)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게 된다.
그리고 미끄럼 이동 부재(37)가 강제 위치에 위치했을 때에 래크판(42)의 래크부(45)의 래크 기어(45a,45b,45c)를 S측 릴대 기어(3a)에 결합한 상태에서 정지된다. 다음에, S측 릴대(3)가 캡스턴 모터(5)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면, 래크판(42)은 래크리어(45a,45b,45c)를 S측 릴대기어(3a)의 회전에 의하여 그 전방으로 보내게 된다. 그리고, 래크판(42)은 그 긴 구멍(43)이 미끄럼 이동 부재(37)의 지지핀(40)에 미끄럼 이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므로, 전방으로 이동되고, 혀 형상부(44)의 핀(44b)이 미끄럼 이동부재(37)의 캠 가장자리(39)의 제1위치 규제 가장자리(39c)를 모방하고, 이것이 제1위치 규제 자장자리(39c)와 제2스토퍼 가장자리(39b)의 각도부까지 오면, 코일 스프링(46)의 인장력에 의하여 모방핀(44b)이 제2스토퍼 가장자리(39b)를 모방하면서, 래크판(42)은 시계 회전방향에 회전되고, 모방핀(44b)이 제2위치 규제 가장자리(39d)로 충돌한 곳에서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을 멈춘다. 이것에 의하여 래크판(42)은 각 래크기어(45a,45b,45c)의 S측 릴대기어(3a)와의 결합이 풀리게 되고, 상술한 결합 해제 위치로 이동시킨 것으로 된다. 요동 아암(47)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 스프링 핀(47b)이 미끄럼 이동부재(37)를 후방으로 눌러, 이것을 강제 위치에서 초기 위치를 이동시키게 된다. 그리고, 미끄럼 이동 부재(37)가 초기 위치로 복귀하기 직전에 래크판(42)은 모방핀(44b)이 메카샤시(2)의 긴 구멍(2e)의 후단부에 형성된 볼록부(2f)를 모방하여 우측으로 이동되고, 이것에 의하여 상술한 결합 위치에서 결합 해제 위치로의 이동과는 역의 동작으로서, 결합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인장 조절기와 회전강제 수단과의 동작 타이밍; 제4도 참조]
그러나, 재생 모드에서 역재생 모드로의 전환이 행해지면, 캡스턴 모터(5)의 회전의 반전에 약간 선행하여 인장 조절기(21)에 의한 테이프(19)로의 장력부여의 해제 및 S측 릴대(3)의 회전 저지의 해제 및 회전 강제수단(36)에 의한 S측 릴대(3)의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의 회전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또한, 인장 조절기(21)와 회전 강제수단(36)은 1개의 캠기어(29)에 형성된 2개의 캠홈(30,31)에 의하여 제어 됨으로, 양자(21,36)는 위상이 맞은 상태에서 동작하도록 되어 있다.
즉, 재생 모드에서 역재생 모드로의 전환이 행하여지면, 캡스턴 모터(5)가 정지되고, 모드 설정 모터(33)가 구동되고, 워엄기어(34) 및 중간기어(35)를 거쳐 캠기어(29)가 회전되고, 요동 레버(32) 및 요동 아암(47)은 각기 소정의 타이밍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우선, 요동 아암(47)이 요동 레버(32)보다 약간 선행하여 나오고, 미끄럼 이동 부재(37)를 초기 위치(제4a도)의 상태에서 전방으로 이동시킨다.
다음에, 미끄럼 이동 부재(37)에 탑재된 래크판(42)의 래크부(45)의 전단 래크 기어(45c)가 S측 릴대기어(3a)에 접촉되고, 요동 아암(47)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약간 회전된 상태에서 요동 레버(32)가 움직여 나오고, 인장조절 아암(22)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테이프(19)로의 장력 부여를 완화하고, 브레이크 벨트(23)를 완화하고, S측 릴대(3)로의 회전 저지를 서서히 해제한다.
이 상태에서 S측 릴대(3)는 브레이크 벨트(23)에 의하여 그 회전이 저지되어 있으므로, 미끄럼 이동 부재(37)는 래크판(42)의 래크기어(45c)가 S측 릴대 기어(3a)에 접촉된 상태에서 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고, 이것에 의하여 미끄럼 이동 부재(37)와 요동 아암(47)의 사이에 길게 설치된 코일 스프링(48)이 신장된다[제4b도].
그리고 상기 코일 스프링(48)이 신장되어 생기는 인장력이 S측 릴대(3)의 회전을 저지하고 있는 브레이크 벨트(23)의 브레이크 힘을 상회했을 때에, 래크판(42)의 래크부(45)의 래크기어(45a,45b,45c)와 S측 릴대 기어(3a)의 결합 및 래크판(42)의 전진력에 의하여 S측 릴대(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제4c도].
이때, 인장조절 아암(22)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안내핀(25)사이의 테이프(19)의 굴곡도가 얕게되는 것에 수반하여 생기는 테이프 경로 시스템의 이완이 S측 릴대(3)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권취시키게 되며, 전체의 테이프 경로 시스템에 이완이 생기지 않는다.
그리고 S측 릴대(3)의 회전 강제수단(36)에 의한 강제적인 일시 권취가 종료한 순간에 캡스턴 모터(5)가 역회전되고, 캡스턴 축(6)과 핀지 로울러(7)에 의한 테이프(19)의 송출 및 진자기어(14)의 전환에 의한 S측 릴대(3)의 회전이 이루어지고, 역재생 모드가 형성된다.
S측 릴대(3)가 캡스턴 모터(5)에 의하여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면, 상술한 바와 같이, 래크판(42)은 S측 릴대기어(3a)에 의하여 외측으로 밀어내게 되고, 결합 위치에서 결합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제4d도].
미끄럼 이동 부재(37)의 초기 위치로의 복귀 및 래크판(42)의 결합 위치로의 복귀는 모드 설정 모터(33)의 구동에 의하여 캠기어(29)를 회전시키고, 요동 아암(47)을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미끄럼 이동 부재(37)의 전단 가장자리를 눌러 이것을 후방으로 이동시켜, 초기 위치로 돌아가고, 상술된 바와 같이 래크판(42)의 핀(44b)을 긴 구멍(2e)의 볼록부(2f)로 모방되어, 이것을 결합 위치로 이동시킴으로서 행하여진다[제4e도].
[발명의 효과]
이상 설명했듯이, 본 발명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는 인장조절 아암과 인장조절 아암에 종동하여 공급측 릴대에 감겨진 브레이크 벨트로 이루어지는 인장 조절기를 갖춘 비디오 테이프 레코터에 있어서, 재생 모드에서 역재생 모드로의 전환시에 공급측 릴내를 테이프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강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의하면, 재생 모드에서 역재생 모드로의 전환시에, 인장 조절기의 테이프로의 장력부여의 해제가 이루어져도, 공급측 릴대를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회전시키므로써, 테이프에 이완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회전 헤드 드럼과 테이프면의 접촉에 이탈이 생기지 않고, 따라서 화면빠짐, 화면 이탈, 화면노이즈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1)

  1. 인장 조절 아암과 인장 조절 아암에 연동하여 공급측 릴대에 감겨진 브레이크 벨트로 이루어진 인장 조절기를 구비한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재생 모드로 부터 역재생 모드로의 전환시에 공급측 릴대를 테이프의 권취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회전 강제 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KR1019900004274A 1989-03-31 1990-03-30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KR10021341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6352 1981-06-22
JP1080466A JP2949716B2 (ja) 1989-03-31 1989-03-31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36352 1989-04-18
JP1096352A JPH02276050A (ja) 1989-04-18 1989-04-18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1106439A JP2775841B2 (ja) 1989-04-26 1989-04-26 テープガイ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982A KR900016982A (ko) 1990-11-15
KR100213417B1 true KR100213417B1 (ko) 1999-08-02

Family

ID=273033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4274A KR100213417B1 (ko) 1989-03-31 1990-03-30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4) US5438466A (ko)
EP (2) EP0707312B1 (ko)
KR (1) KR100213417B1 (ko)
DE (2) DE69033148T2 (ko)
MY (1) MY107134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335877A (en) * 1991-07-10 1994-08-09 Funai Electric Co., Ltd. Device for exchanging a tape drive mode
AT396853B (de) * 1991-08-16 1993-12-27 Philips Nv Gerät, das zumindest zum wiedergeben von signalen von einem magnetband ausgebildet ist
KR940007424B1 (ko) * 1992-01-30 1994-08-18 삼성전자 주식회사 테이프 레코더의 릴 구동 장치
US5481427A (en) * 1993-01-29 1996-01-02 Sony Corporation Mode selector mechanism for cassette tape recorder including improved cam gear and drive selecting mechanism
JP3455983B2 (ja) * 1993-02-09 2003-10-14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ープローディング方法
KR0123759B1 (ko) * 1993-02-26 1997-11-26 김광호 온 스크린 디스플레이 문자위치 보정방법
KR100298631B1 (ko) * 1993-07-07 2001-10-22 이데이 노부유끼 기록재생장치
JP3163858B2 (ja) * 1993-08-18 2001-05-08 三菱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KR960010030B1 (ko) * 1993-09-20 1996-07-2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자기기록 재생기의 조그장치
KR960702150A (ko) * 1994-03-02 1996-03-28 에프. 제이. 스미트 테이프 형상의 정보 캐리어용 구동 배열부를 구비한 장치(Apparatus with a drive arrangement for information carriers in the form of tapes)
KR0176513B1 (ko) * 1995-04-13 1999-04-15 김광호 자기 기록/재생장치
JP3531293B2 (ja) * 1995-06-29 2004-05-24 ミツミ電機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US20080003554A1 (en) * 1996-01-22 2008-01-03 Macri Vincent J Interactive system and method whereby users direct idio-syncratically controllable images to reverse simulated movements of actual physical movements, thereby learning usual sequences of actual physical movements
JPH10275378A (ja) * 1997-03-28 1998-10-13 Sanyo Electric Co Ltd テープテンション制御装置
US6125393A (en) * 1997-03-28 2000-09-26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System of compressing the tail of a sparse log stream of a multisystem environment
US6108168A (en) * 1997-10-21 2000-08-22 Sony Corporation Tension stabilizer insert for data cartridge
JP3436682B2 (ja) * 1998-03-19 2003-08-11 シャープ株式会社 キャプスタンモータおよびテープ走行装置
JPH11328777A (ja) 1998-03-19 1999-11-30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H11273195A (ja) 1998-03-19 1999-10-08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JP3565001B2 (ja) * 1998-03-19 2004-09-15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3646511B2 (ja) 1998-03-19 2005-05-1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3500997B2 (ja) 1998-03-19 2004-02-23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3531461B2 (ja) * 1998-03-19 2004-05-31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US6705557B2 (en) * 2000-12-11 2004-03-16 Lg Electronics Inc. Idler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7657427B2 (en) * 2002-10-11 2010-02-02 Nokia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source controlled variable bit-rate wideband speech coding
KR20060014880A (ko) * 2004-08-12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릴구동장치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810674A (en) * 1955-05-24 1959-03-18 Sylvio Bar Driving device for sound-record carrier in recording machines
US3691315A (en) * 1970-08-24 1972-09-12 Ampex Helical scan magnetic recorder having a critical angle for the tape at the entrance and exit guides in the head drum
US4040575A (en) * 1976-04-29 1977-08-09 Ampex Corporation Tape guiding structure
JPS5827580B2 (ja) * 1976-05-04 1983-06-1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3140007A (en) * 1977-05-13 1978-12-06 Hitachi Ltd Power transmission system for cassette tape recorder
US4279006A (en) * 1978-04-21 1981-07-14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Magnetic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5843820B2 (ja) * 1978-10-19 1983-09-29 三洋電機株式会社 カセット式テ−プレコ−ダ−
JPS5665354A (en) * 1979-10-29 1981-06-03 Hitachi Ltd Structure of magnetic tape run system
GB2090039B (en) * 1980-12-24 1985-04-24 Victor Company Of Japan Wheel-driven mode switching mechanism for cassette tape recorders
JPS57212649A (en) * 1981-06-24 1982-12-27 Hitachi Ltd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device
US4564873A (en) * 1981-10-06 1986-01-14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JPS58121170A (ja) * 1982-01-13 1983-07-19 Hitachi Ltd 磁気記録再生装置のテ−プ案内機構
AU538357B2 (en) * 1982-02-25 1984-08-09 Matsushita Electric Industrial Co., Ltd. V.t.r. tape loading and mode changing
JPS58171748A (ja) * 1982-03-31 1983-10-08 Sony Corp テ−プレコ−ダのモ−ド切換機構
US4665450A (en) * 1982-10-29 1987-05-12 Victor Company Of Japan, Ltd. Helical scan type magnetic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900003133B1 (ko) * 1983-02-28 1990-05-08 니뽕 빅터 가부시끼 가이샤 테이프 자동 장전형 기록 재생 장치
JPS6157057A (ja) * 1984-08-27 1986-03-22 Sony Corp テ−プ案内装置
US4723184A (en) * 1984-10-25 1988-02-02 Clarion Co., Ltd. Power cam driving mechanism for a tape recorder
JPH0413780Y2 (ko) * 1985-03-28 1992-03-30
JPS61163358U (ko) * 1985-03-30 1986-10-09
DE3643639A1 (de) * 1985-12-19 1987-06-25 Gold Star Co Kassetten-videobandgeraet
DE3622859A1 (de) * 1986-07-08 1988-01-21 Grundig Emv Video-magnetbandgeraet
JP2531171B2 (ja) * 1987-03-26 1996-09-04 ソニー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2565203B2 (ja) * 1987-06-30 1996-12-18 ソニー株式会社 リバ−ス式記録再生装置のモ−ド切換機構
KR900007830Y1 (ko) * 1987-09-15 1990-08-24 주식회사 금성사 브이씨알의 캡스턴 모터를 이용한 카세트로딩장치
JPS6482353A (en) * 1987-09-24 1989-03-28 Sankyo Seiki Seisakusho Kk Mode switching mechanism for tape recorder
KR910005104B1 (ko) * 1987-11-19 1991-07-22 알프스뎅키 가부시키가이샤 테이프 플레이어
JPH0687328B2 (ja) * 1988-04-18 1994-11-0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1290153A (ja) * 1988-05-17 1989-11-22 Clarion Co Ltd テープアンローディング機構
JPH0614297Y2 (ja) * 1988-06-02 1994-04-13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テープ走行方向制御装置
AT395489B (de) * 1988-07-05 1993-01-25 Philips Nv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aet fuer einen bandfoermigen aufzeichnungstraeger
JPH02201757A (ja) * 1989-01-31 1990-08-09 Toshiba Corp カセットテープのたるみ防止装置
CA2015431C (en) * 1989-04-29 1995-06-20 Yoshikazu Sasaki Magnetic tape back tension device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390433A2 (en) 1990-10-03
DE69033148D1 (de) 1999-07-08
DE69030979T2 (de) 1997-10-23
EP0390433A3 (en) 1994-05-11
US5438466A (en) 1995-08-01
EP0390433B1 (en) 1997-07-02
EP0707312A2 (en) 1996-04-17
MY107134A (en) 1995-09-30
US5689385A (en) 1997-11-18
KR900016982A (ko) 1990-11-15
EP0707312B1 (en) 1999-06-02
EP0707312A3 (ko) 1996-05-29
US5991128A (en) 1999-11-23
US5999358A (en) 1999-12-07
DE69030979D1 (de) 1997-08-07
DE69033148T2 (de) 1999-1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13417B1 (ko)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
US5295638A (en) Reel driving apparatus for a videocassette recorder
JPS6143773B2 (ko)
JPH01290153A (ja) テープアンローディング機構
US4504877A (en) Auto-reverse type cassette tape player
JPH02276050A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US5398880A (en) Device for selecting tape-reel control mode
US4017904A (en) Tape driving device including pinch roller and tape guide mounting means
KR960002757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제어장치
KR940006383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공급릴 브레이크장치
US4847714A (en) Magnetic head adjusting device for a double cassette tape player
US3471072A (en) Tape driving device
US3938195A (en) 8-Track - fast forward mechanism
KR0121855Y1 (ko) 테이프 플레이어
JPS62143252A (ja) 磁気テ−プのロ−デイング装置
JP3010830U (ja) テープ再生装置
JPH0255857B2 (ko)
JP2734082B2 (ja) テープレコーダにおける動力伝達機構
KR930000493Y1 (ko) 브이 씨 알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JP2511875Y2 (ja) テ―ププレ―ヤのソフトブレ―キ機構
KR940002832Y1 (ko)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JPH056583Y2 (ko)
KR910004835Y1 (ko) 릴 구동 및 급제동 장치
JP2797414B2 (ja) ビデオテープレコーダ
JPH029044A (ja) テープレコーダの回転検出用カム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29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