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832Y1 -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 Google Patents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40002832Y1
KR940002832Y1 KR2019880003838U KR880003838U KR940002832Y1 KR 940002832 Y1 KR940002832 Y1 KR 940002832Y1 KR 2019880003838 U KR2019880003838 U KR 2019880003838U KR 880003838 U KR880003838 U KR 880003838U KR 940002832 Y1 KR940002832 Y1 KR 940002832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lever
gear
mode
pla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8000383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8523U (ko
Inventor
가즈히또 구리따
고지 도이
다께요시 다까시나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852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852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40002832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2832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6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auxiliary features on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e.g. to stop machine near the end of a ta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도면은 본 고안인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를 오디오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엔드 검축기구로 적용한 일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 1 도는 테이프 FF 모드에서 메카 데크(Mecha-Deck)를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
제 2 도는 정지 모드에서 메카 데크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3 도는 플레이 모드에서 메카 데크를 나타내는 평면도.
제 4 도는 메카 데크 중 메카 샤시 하면 측에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나타내는 확대 평면도.
제 5 도는 헤드 베이스와 캡스탄과 탄발수단을 나타내는 사시도.
제 6 도는 제 4 도의 VI-VI선 단면도.
제 7 도는 요동 레버와 캠 기어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 8a 도 및 제 8b 도는 테이프 엔드 검출 동작을 제 8a 도에서 제 8b 도로 차례로 나타내는 요부 평면도.
제 9a 도 및 제 9b 도는 테이프 주행방향의 절환동작을 제 9a 도에서 제 9b 도의 차례로 나타내는 요부 저면도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테이프 플레이어 45 : 테이프
73 : 부세수단 94 :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
95 : 요동레버 104 : 요동수단
110 : 탄발수단
본 고안은 새로운 테이프 플레이의 테이프 엔드(Tape End) 검출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 말하면, 테이프가 주행상태에서 테이프 엔드가 되었을 때, 즉 2개의 테이프릴 가운데 한쪽에 의해 테이프의 권취가 완료되었을 때 테이프 주행방향의 절환이나 셧 오프(Shut off) 등 소정의 테이프 엔드 모드를 형성하는 동작을 자동적으로 행하기 위해, 테이프 엔드, 상태가 된 것을 검축하는 기구이며, 상기 테이프 엔드 모드의 형성을 기록 및 /또는 재생 및/또는 재생 모드로부터 테이프 엔드가 되었을 경우에만 행하는 테이프 플레이어 등에서의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이다. 특히 테이프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일정한 요동 스트로크(Stroke)의 범위 내에서 요동되다가, 테이프 엔드 상태가 될 때는 상기 요동 스트로크의 범위를 초과하는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어 소정의 테이프 엔드 모드를 형성하는 요동레버를 구비한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에 관한 것이며, 한 개의 탄발수단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테이프 엔드의 검출을 기록 및/또는 재생 모드에서만 행할 수 있도록 한 신규한 테이프 레코더에서의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를 제공하도록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인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는, 테이프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부세(付勢)수단이 요동수단을 압압(押壓)하여 일정한 요동 스트로크의 범위 내에서 요동되도록 하고 테이프 엔드 상태가 되었을 때는 상기 부세 수단에 의한 압압력이 해제되므로써 요동 스트로크의 범위를 초과한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며, 그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소정의 테이프 엔드 모드를 형성하는 요동레버를 구비한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이다. 이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는 기록 및/또는 재싱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테이프 엔드의 검출을 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기록 및/또는 재생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만 요동레버에 요동수단의 압착력을 부세하는 탄발수단을 설치하므로써 테이프 엔드의 검출을 기록 및/또는 재생 모드에서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요즘의 오디오 테이프 플레이어 등은 통상 재생기능과 녹음기 등의 기본 기능 외에 테이프의 조송(이하 "F"라 함) 기능과 테이프 되감기(이하 "RW"라 함)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또 리버스 기능, 즉 테이프의 주행방향이 포워드(Forward) 방향인 때외 리버스(reverse) 방향인 때의 어떤 경우에도 녹음/재생을 행할 수 있는 기능을 구비한 것도 많고, 또한 오토리버스 기능, 즉 기록 또는 재생모드(이하 "플레이 모드"라 함)에서 테이프 엔드가 되었을 때는 테이프 주행방향을 자동적으로 반대방향으로 절환하여 녹음 동작 또는 재생 동작을 계속하는 기능과 오토 셧 오프 기능, 즉 테이프가 리버스 방향에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테이프 엔드가 되었을 때는 그 동작모드를 자동적으로 해제하여 정지(stop) 모드로 하는 기능을 구비한 것도 있다.
그리고 상기 오토리버스와 오터 셧 오프는 테이프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 테이프 엔드가 되었을 때 행해지는 동작이기 때문에, 이러한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플레이어에서는 어떤 것인가의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가 설치되어 있으며, 또 이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에는 종래부터 여러 종류의 것이었다.
즉, 테이프 엔드의 검출을 기계적으로 행하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테이프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항상 일정한 동작을 하는 장치의 동작을 검출하는 것과, 테이프의 장력의 변화를 검출하는 것 등이 있으며, 또 전기적으로 행하는 것으로서는 예를 들면 테이프 양단에 센싱(Sensing) 박(箔)을 부착하여 그 센싱박을 검출하기도 하고 혹은 테이프의 기록면에 특정한 엔드(End) 신호를 기록하여 그 엔드 신호를 읽음으로써 테이프엔드가 된 것을 검출하는 것 등이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테이프엔드의 검출은 오토리버스와 오토 셧 오프를 행하기 위해서 하게 되는 상태 검출이지만, 이 테이프 엔드 검출은 다음과 같은 이유에 의해 일반적으로 플레이 모드 이외의 모드, 즉 FF 모드나 REW 모드에서는 행해지지 않도록 구성될 필요가 있다.
즉, FF와 REW는 음악의 처음 부분을 찾기 위해 행해지기도 하고 또는 테이프를 한쪽의 테이프릴에 전부 감기 위해 행해지는 것이기 때문에, 통상 테이프 플레이어를 조작하고 있는 사람이 테이프의 주행상태를 감시하면서 행하는 일이 많으며, 이 때문에 테이프 엔드가 된 것을 검출할 필요가 있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리고 FF 모드와 REW 모드로부터 테이프엔드가 되면 그것과 거의 동시에 정지 보턴을 눌러서 정지 상태로 하는 조작이 행해지는 경우가 있다. 이 경우 FF 모드와 REW 모드로부터 테이프 엔드로 되었을 때에도 그 테이프 엔드를 검출하여 오토리버스와 오토셧 오프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으면, 오토리버스 동작 등이 개시된 것에도 불구하고 모터에의 전원 공급이 끊어진다. 즉, 개시된 오토리버스 동작 등이 종료되기 전에 모터의 회전이 정지해 버리는 일이 일어나며, 이러한 일이 일어나면 다음에 플레이 보턴을 누르는 순간에 셧 오프가 행해지기도 하고 혹은 선택하려고 하는 테이프 주행방향과 반대방향으로 테이프가 주행하여 재생 등을 행하기도 하는 일이 있다.
또, FF 모드와 REW 모드로부터 테이프 엔드가 되었을 때도 오토리버스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으면, 음악의 처음부분을 찾고 있는 중에 테이프 엔드가 된 때에도 재생 시의 주행방향이 절환되어 버리기 때문에 주의하지 않고 음악의 첫부분을 찾고 있으면 목표로 하는 위치에서 재생 보턴을 눌러서 첫 부분을 재생하려고 하는 트랙과는 다른 트랙에서의 재생이 개시되어 버리는 일이 일어난다.
또한 오토리버스와 오토 셧 오프에는 큰 전력을 필요로 하기 때문에 소형 테이프 레코더에 사용되는 토크(Torgue)가 작은 모터로는 그 동작이 불확실하게 되기 쉽다. 이러한 이유로 인해, 오토리버스 기능과 테이프엔드 기능을 구비하고 있는 테이프 레코더에서도 FF 모드와 REW 모드에서 테이프 엔드가 되었을 경우에는 오토리버스 등이 행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테이프엔드의 검출이 되지 않도록 구성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종래부터 이러한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에서는 테이프엔드의 검출을 플레이 모드에서만 행하도록 하기 위해서, 예를 들면 테이프엔드 검출기구와 모드 절환기구와를 연결하여 그 모드 절환기구의 이동장치가 플레이 모드를 형성하는 위치로 이동된 때에 테이프 검출기구가 동작되도록 하는 수단 등을 사용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단에 의하면 테이프엔드 검출기구와 모드 절환기구를 연결하기 위한 특별한 기구가 필요해지며 또한 회로에 특별한 스위치 등을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구조가 복잡하게 되는 문제가 있고, 또 모드절환기구의 조작이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그런데, 테이프 엔드의 검출 등을 기계적으로 행하는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 중에는, 테이프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부세 수단에 의해 요동수단을 압압하여 일정한 요동 스트로크의 범위 내에서 요동되도록 하고, 테이프 엔드 상태가 되었을 때는 상기 부세수단에 의한 압압력이 해제됨으로써 요동 스트로크 범위를 넘어선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며, 그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는 것에 의해 소정의 테이프 엔드 모드를 형성하는 요동 레버를 구비한 것이었다. 이러한 구조의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에서는 테이프 엔드가 되어도 요동 레버의 요동 수단에 대한 압착력이 해제되지 않도록 하는 것에 의해 테이프 엔드의 검출 동작을 행하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인 테이프 플레이어에서의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는 상기한 점에 착안하여 앞에서 기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테이프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부세수단에 의해 요동레버가 요동수단을 압압하여 일정한 요동 스트로크의 범위 내에서 요동되도록 하고 테이프 엔드 상태가 된 때에는 상기 부세수단에 의한 압압력이 해제됨으로써 요동 스트로크의 범위를 넘어선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며, 그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소정의 테이프 엔드 모드를 형성하는 요동 레버를 구비한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에 있어서, 플레이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요동 레버가 요동수단에 대한 압착력을 부세하는 위치에 유지되고 플레이 모드가 형성되었을 때는 상기 압착력을 부세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는 탄발수단을 설치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에 의하면, 플레이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요동 레버에 요동수단에 대한 압착력이 탄발수단에 의해 항상 부세되기 때문에, 테이프 엔드가 되어도 요동 레버가 요동 스트로크의 범위를 벗어난 위치로 이동되는 일이 없으며, 따라서 테이프 엔드가 되어도 그 상태가 검출되는 일은 없다. 또 플레이 모드에서는 탄발수단에 의해 요동 레버의 요동 수단에 대한 압착력의 부세가 되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엔드가 되었을 때는 요동 레버는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어 테이프 엔드의 검출이 행해질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 본 고안인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에 대해 첨부 도면에 표시한 실시예에 따라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리고 도시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재생기능만을 가지고 있는 오디오 테이프 플레이어 1에 있어서의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에 적용한 것이다.
또 도면에는 메카 데크(Mecha-Deck)와 바깥케이스의 앞벽(前壁)부만을 나타내고 있다.
a. 메카 샤시(제 1 도 내지 제 4 도, 제 6 도) 부호(2)는 메카 샤시이며, 그 메카 샤시(2)는 판 모양으로 형성된 샤시부(3)와 나중에 설명하는 각부의 대부분이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샤시부(3)는 후단 중간 부분을 제외하고 대부분이 좌우방향으로 긴 장방형을 이룸과 동시에 후단 중간 부분은 대체로 M자형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M자형을 한 부분의 후단부로부터 릴(reel)대 지지축(4, 4')이 입설되고 또 전단부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아암 지지축(5, 5')이 입설되어 있다.
부호(6)(제 1 도 참조) 샤시부(3)의 전단부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한 비교적 높이가 낮은 압벽이고, 부호(7, 7')는 카세트 위치 결정핀이며, 그 카세트 위치 결정핀(7, 7')은 샤시부(3)의 전단 가장자리로부터 샤시부(3)의 전후방향 길이의 약 3분의 1거리 후방에 위치한 부분에 서로 좌우방향으로 떨어져 입설되어 있다.
부호(8, 8')는 샤시부(3)에 인서트(insert) 형성된 금속제의 캡스탄 지지 슬리브이고, 그 캡스탄지지 슬리브(8, 8')는 상기 카세트 위치 결정핀(7, 7')에서 거의 좌우 양측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가 샤시부(3)의 상면으로부터 윗쪽으로 돌출되고 그 하단부가 샤시부(3)의 하면으로부터 아래쪽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부호(9, 9')는 나중에 설명하는 접지 스프링을 지지하기 위한 스프링지지 돌부이고 이들 스프링 지지돌부(9, 9')중 좌측의 것(9')은 샤시부(3)의 상면 안쪽 좌측의 캡스탄 지지 슬리브(8')로부터 약간 뒷편 좌측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며, 또 우측의 스프링(9)은 우측의 캡스탄 슬리브(8)로부터 약간 뒤쪽으로 떨어진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스프링 지지돌부(9, 9')에는 그 상단부에서 앞쪽으로 돌출된 걸림편(9a, 9'a)이 형성되어 있다.
부호(10, 10')는 나중에 설명하는 고속 주행 기어를 배치하기 위한 기어공이며, 그 기어공(10, 10')은 샤시부(3)의 후단 중간 부분의 좌우방향에서 중앙부로부터 약간 좌측에 인접한 위치에 좌우방향으로 서로 약간 떨어져서 위치되어 있고, 이들 기어공(10, 10') 사이 부분에 지지돌기 11(제 2 도 참조)가 돌설되어 있다.
부호(12)는 샤시부(3)의 하면 측에 설치된, 후술하는 요동 레버의 피압압(被押壓) 핀의 상단부를 샤시부(3)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위치시키기 위한 반달 모양의 구멍이며, 그 반달 모양의 구멍(12)은 샤시부(3)의 안쪽 우측의 카세트 위치 결정핀(7)에서 약간 뒤로 떨어진 위치와 우측 릴대 지지축(4)에서 약간 앞쪽으로 떨어진 위치와의 사이에 길게 형성되어 있고, 후술하는 전달 기어 블록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를 그리도록 연장된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샤시부(3)에 형성된 각부중 상기한 각부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는 각 부분의 설명중에서 관련시켜 설명하기로 한다.
b. 모드 레버(제 1 도 내지 제 5 도) 부호(13)는 재생 모드를 형성하기 위한 플레이 레버, 부호(14)는 FF모드를 형성하기 위한 FF레버, (15)는 REW 모드를 형성하기 위한 REW레버, (16)은 상기 레버(13, 14 및 15)가 소정량만큼 압입되었을 때, 이들 레버를 그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로크 슬라이더, (17)은 레버(13, 14 및 15)가 압입되는 것에 의해 형성된 모드를 해제하여 정지 모드로 하기 위한 정지 레버이며, 이들 플레이 레버(13), FF레버(14), REW레버(15) 및 정지 레버(17)는 샤시부(3)에 전후방향으로 습동 자재하에 지지됨과 동시에 그 전단부에 누름 보턴(13a, 14a, 15a 및 17a)이 부착되어 있고, 그 누름보턴(13a, 14a, 15a 및 17a)의 대부분이 바깥케이스(18)의 조작판넬(18a)에 형성된 구멍(1a)으로부터 앞쪽으로 돌출되어 끼워져 있다.
b-1. 플레이 레버(제 1 도 내지 제 3 도, 제 5 도) 플레이 레버(13)는 그 전후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좌우방향의 길이가 샤시부(3)의 좌우방향 길이의 반 정도이고, 좌우방향으로 긴 거의 네모형의 판상이 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그 후단부에 서로 좌우방향으로 떨어져서 후방을 향하여 돌출된 2개의 규제편(20, 20')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규제편(20, 20')의 각 후단부는 이들 각 후단부 간의 간격이 다른 부분의 간격보다 약간 접게 되도록 서로 대향하는 측을 향해 굴곡되어 있다.
부호(21)는 플레이 레버(13)의 좌측 가장자리의 후단부로부터 약간 앞쪽에 붙은 위치에 형성된 절결부이고, (22)는 플레이 레버(13)의 우측 가장자리의 후단부보다 약간 앞쪽에 붙은 위치에서 아랫쪽으로 향해 돌출된 스프링 걸림편이고, (23)은 상기 스프링 걸림편(22)의 좌측에 형성된 전후방향으로 긴 피가이드공이고, (24)는 좌우방향에서 중앙부로부터 약간 우측에 붙은 위치에 형성된 전후방향으로 긴 스프링 배치공이고, (25)는 그 스프링 배치공(24)의 후단 가장자리에 뒤쪽으로부터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스프링 걸림공이다.
부호(26)는 플레이 레버(13)의 상면 전단부의 좌우방향에서 대략 중앙부에 부착된 자기 헤드이고, (27, 27')는 그 자기헤드(26)의 좌우 양단부에 설치된 테이프 가이드이고, (28)은 플레이 레버(13)의 상기 테이프 가이드(27, 27')중 좌측의 것(27') 하방의 위치에서 아랫쪽을 향해 굽혀 세운 형태로 형성된 로크 걸림편이다.
그리고 플레이 레버(13)는,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 및 피가이드공(23)의 좌우 양측 가장자리부 등이 샤시부(3)의 상면에 형성된 가이드 돌부(29)에 습동 자재하에 계합되게 하므로서 샤시부(3)에 일정한 범위 내에서 습동 자재하게 되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 배치공(24)에 위치되고 또 그 전단부가 샤시부(3)에 지지된 인장스프링(30)의 후단부가 스프링 걸림공(25)에 끼워져 고정되므로서, 항상 앞쪽으로 이동력을 부세시키고 있으며, 뒤쪽을 향하여 압압되어 있지 않은 동안은 스프링 배치공(24)의 좌측 가장자리 전후 방향의 중앙부에 형성된 절결부(24a)의 뒤쪽 가장자리가 샤시부(3)에 형성된 스토퍼(stopper) 돌부(31)에 접촉되므로서 제 2 도에 나타낸 위치, 즉 자기 헤드(26)가 플레이어(1)에 장착된 상태의 테이프 카세트(32)의 전면과 약간 간격을 두고 대향되는 위치(이하 "비플레이 위치"라고 함)에 유지된다.
b-2. FF레버, REW레버(제 1 도 내지 제 3 도) FF레버(14) 및 REW레버(15)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후단부에 규제공(33, 33')이 형성되어 있으며, 그 전후 방향의 중간 위치에서 로크 걸림편(34, 34')이 아랫쪽을 향하여 굽혀 세운 상태로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FF레버(14) 및 REW레버(15)는 샤시부(3)의 아랫쪽 좌우방향의 중앙부로부터 약간 좌측에 붙은 위치에 서로 좌우방향으로 약간 거리르 두고 나란하게 배치됨과 동시에, 이들 레버(14 및 15)에 형성된 피 가이드공(35, 35')이 샤시부(3)의 아랫쪽에 형성된 가이드 돌부(36, 36')에 습동 자지하게 계합되고, 또 그 전단부가 메카 샤시(2)의 앞벽(6)에 형성된 가이드홈(37, 37')에 끼워지므로써, 샤시부(3)에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습동 자재하게 되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메카 샤시(2)에 지지된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코일 스프링의 양단부가 이들 레버(14, 15)에 형성된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스프링 걸림편에 뒤쪽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접속되므로써 항상 전방으로 이동력을 부세시키고 있으며, 후방을 향해 압압되어 있지 않은 동안은 피가이드공(35, 35')의 후단 가장자리가 상기 가이드 돌부(36, 36')에 접촉되어 제 2 도에 표시한 위치(이하 "비압입위치"라고 함)에 유지되어 있다.
b-3. 로크 슬라이더, 정지레버(제 2 도 내지 제 4 도) 로크 슬라이더(16)는 좌우방향으로 긴 판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샤시부(3)의 아랫쪽 전단 중간부분의 좌측 반 정도인 부분에 해당하는 위치에, 그 좌우 양단부에 형성된 피 가이드공(38, 38')이 샤시부(3)에 형성된 가이드 돌부(39, 39')와 습동 자재하게 계합되므로써 일정한 범위 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또 인장 스프링(40)에 의해 항상 좌측으로 이동력을 부세시키고 있다.
그리고 로크 슬라이더(16)의 우측 약 반 정도에 서로 좌우방향으로 약간 간격을 두고 위치한 3개의 계합공(41, 42 및 43)이 형성됨과 동시에, 이들 계합공(41, 42 및 43)의 우측 가장자리에는 뒤쪽으로 밀려 가도록 하기 위해 좌측으로 변위하는 압압 경사연(41a, 42a, 43a)과 그 압압 경사연(41a, 42a, 43a)의 후단에 우측으로 향해 연장된 계합연(41b, 42b, 43b)이 형성되어 있다. 플레이 레버(13) FF레버(14) 및 REW(레버 15)에 형성된 상기 로크 걸림편(28, 34, 34')의 하단부는 이들 계합공(41, 42 및 43) 내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또 정지 레버(17)는 샤시부(3)의 아랫쪽 좌단부에 전후방향으로 습동 자재하게 되도록 지지되며, 또한 전방으로 이동력을 부세시킨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이와 동시에 로크 슬라이더(16)의 좌단 가장자리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피압압연(44)에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압압 돌편이 전방과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으며, 정지 레버(17)를 압입하면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그 압압 돌편이 로크 슬라이더(16)의 피압압연(44)을 우측으로 기울게 하면서 후방으로 압압하고, 이에 따라서 로크 슬라이더(16)가 우측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b-4. 동작 제 2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플레이 레버(13)가 비플레이 위치에 와 있고, 또한 FF레버(14) 및 REW레버가 모두 비압입 위치에 와 있는 상태, 즉 정지 모드로부터 플레이 레버(13), FF레버(14) 및 REW레버(15) 중 어떤 하나가 소정량만큼 후방으로 압입되면, 그 압입된 레버의 피로크편(28, 34, 34')이 로크 슬라이더(16)의 계합공(41, 42, 43)의 피압압연(41a, 42a, 43a)을 압압하게 되어 로크 슬라이더(16)가 일단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와 동시에 피로크편(28, 34, 34')이 계합공(41, 42, 43)의 계합연(41b, 42b, 43b)보다 후방으로 오게 되어 로크 슬라이더(16)가 인장 스프링(40)의 인장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며, 그것에 의해 압입된 레버의 피로그편(28, 34, 34')이 계합연(41b, 42b, 43b)에 계합하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 레버(13)가 압입되었을 때는 그 플레이 레버(13)가 제 3 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기 헤드(26)가 테이프 카세트(32)의 자기 테이프(45) 중 테이프 카세트(32)의 전면부를 통과하고 있는 부분에 접촉하는 위치(이하 "플레이 위치"라고 함)로 이동되고, 또한 그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REW레버(15)가 압입되었을 때는 그 REW레버(15)가, 제 1 도에 나타낸 것과 같이, 그 피가이드공(35') 길이의 약 반 정도 거리의 비압입 위치로부터 후방에 붙은 위치(이하 "압입위치"라고 함)로 이동되고, 또한 그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또 FF레버(14)가 압입되었을 때는 그 FF레버(14)가 상기 REW레버(15)의 이동거리와 거의 같은 거리 후방에 붙은 위치(이하 "압입위치"라 함)로 이동되고, 또한 그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이렇게 하여 플레이 레버(13), FF레버(14) 및 REW레버(15) 중 어떤 것이 압입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정지 레버(17)가 소정량 압입되면, 앞에서 설명한 것과 같이 로크 슬라이더(16)가 우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압입되어 있는 레버의 피로크편(28, 34, 34')와 그 계합공(41, 42, 43)의 계합연(41b, 42b, 43b)과의 계합이 해제되게 되며, 다라서 압입되어 있던 레버가 비플레이 위치 또는 비압입위치로 되돌아가게 된다.
c. 캡스탄, 릴대(제 1 도 내지 제 4 도) 부호(46, 46')는 캡스탄이며, 이들 캡스탄(46, 46')은 나중에 설명하는 캡스탄 풀리(capstan pully)에 입설됨과 동시에 그것의 하측 양반정도가 메카 샤시(2)의 샤시부(3)에 설치된 상기 캡스탄지지 슬리브(8, 8')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2개의 캡스탄(46, 46')중 우측의 것(46)이 포워드(forward) 플레이 모드, 즉 자기테이프(45)를 포워드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재생을 행하는 모드에서 기능하는 캡스탄(이하 "F측 캡스탄" 이라고 함)이고, 좌측의 캡스탄(46')이 리버스(reverse) 플레이 모드, 즉 자기 테이프(45)를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재생을 행하는 모드에서 기능하는 캡스탄(이하 "R측 캡스탄"이라고 함)이다.
부호(47, 47')는 릴(reel)대이다. 릴대(47, 47')는 비교적 지름이 큰 기어부(47a, 47'a)와 그 기어부(47a, 47'a)의 중심부에서 윗쪽으로 돌출된 릴 계합축(47b, 47'b)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메카 샤시(2)의 샤시부(3)에 설치된 상기 릴대 지지축(4, 4')에 회전 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32)가 플레이어(1)에 장착되면, 2개의 테이프 릴(48, 48')이 상기 릴대(47, 47')의 릴 계합축(47b, 47'b)에 각각 계합되고, 이에 따라 우측의 테이프 릴(48)(이하 "T릴"이라고 함) 이 우측의 릴대(이하 "F측 릴대"라고 함)(47)과 좌측의 테이프 릴(48')(이하 "S 릴"이라고 함)이 좌측의 릴대(이하 "R측 릴대"라고 함)(47')와 각각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된다.
d. 디렉션 슬라이더(제 4 도, 제 9 도) 부호(49)는 플레이 모드에서 자기 테이프(45)의 주행방향을 규정하기 위한 디렉션 슬라이더(Direction Slider)이다. 디렉션 슬라이더(49)는 샤시부(3)의 좌우방향 길이의 약 4분의 3의 길이를 가지며, 좌우 방향으로 가늘고 긴 주부(49a)와 그 주부(49a)의 우단에 붙은 위치에서 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49b), 대략 L자형을 이루고 또 그 L자형의 우측이 상기 돌출부(49b)의 후단에 연속된 완(脘)부(49c)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부(49a)의 좌우방향으로 서로 떨어져 위치하고 좌우 방향으로 길게 된 피가이드공(50, 50')이 형성되며, 또 주부(49a)의 뒤쪽 가장자리 우단부 및 좌단으로부터 약간 우측으로 붙은 위치에서 위쪽으로 향해 돌출된 높이가 낮은 핀치롤러 규제편(51, 51')이 형성되어 있다. 그 핀치롤러 규제편(51, 51') 중 우측의 것(51)은 우단으로 갈 수 있도록, 좌측의 핀치롤러 규제편(51')는 좌단으로 갈 수 있도록 변위하도록 각각의 가장자리가 후방으로 점차 경사지게 형성되어 있다.
부호(52)는 돌출부(49b)의 전반부에 형성된 대략 사각형(矢巨形)을 이루는 캠 배치공이고, (53)은 완부(49c)의 후단부에서 윗쪽을 향해 돌출된 돌편이다.
부호(54)는 나중에 설명하는 아이들러 레버(Idler lever)에 소정의 모드에서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력을 부세하기 위한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이다. 그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54)은 가위 형상을 하고 있고, 그것의 코일부가 디렉션 슬라이더(49)의 완부(49c)의 L자형 굴곡점에 설치된 핀(55)에 지지됨과 동시에, 그 2개의 완(脘)(54a, 54b)이 후방으로 향해 뻗어 있고, 또한 아이들러 레버의 피압압핀에 의해 상대적으로 압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상기돌편(53)에 좌우 양측으로부터 탄력적으로 접속되므로써 서로 거의 평행으로 뻗어 있는 자세로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디렉션 슬라이더(49)는 그 피가이드공(50, 50')이 샤시부(3)의 아랫쪽 전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부(56, 56')에 습동자재로 계합하므로써 좌우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될 수 있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와 동시에 캡 배치공(52)의 좌우측 가장자리가 후술하는 디렉션 기어의 캠에 의해 압압되므로써 제 4 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하는 포워드 위치와 동도에 그 일부를 2점 쇄선으로 표시하고 또한 제 9b 도에 표시하는 리버스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e. 핀치롤러(제 2 도 내지 제 4 도) 부호(57 및 57')는 핀치롤러(Pinch Roller)이다.
부호(58, 58')는 핀치롤러 아암이며, 그 핀치롤러 아암(58, 58')은 기 기단부가 샤시부(3)에 설치된 상기 아암 지지축(5, 5')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 회동 단부에 지지축(59, 59')이 설치되어 있고, 그 지지축(59, 59')에 핀치롤러(57, 57')가 자유롭게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지지축(59, 59')의 하단부는 샤시부(3)에 형성된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구멍을 통하여 샤시부(3)의 하부에까지 도달하고 상기 디렉션 슬라이더(49)에 설치된 핀치롤러 규제편(51, 51')과 대향되어 있다.
부호(60, 60')(제 2 도 참조)는 핀치롤러 아암(58, 58')에 소정의 회동력을 부세하기 위한 비틀림 스프링이다. 그 비틀림 스프링(60, 60')은 그 코일부가 상기 플레이 레버(13)의 전단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돌부(61, 61')에 지지됨과 동시에, 그 한쪽의 완(60a, 60'a)의 선단부가 핀치롤러 아암(58, 58')의 지지축(59, 59')에 대략 앞쪽으로부터 대향하고 있으며, 플레이 레버(13)가 대략 앞쪽으로부터 대향하고 있으며, 플레이 레버(13)가 지지축(59, 59') 또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돌기를 전후방에서 압압하도록 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서, 플레이 레버(13)의 이동에 따라서 핀치롤러(57, 57')가 대략 전후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플레이 레버(13)가 비플레이 위치에 와 있을 때는 핀치롤러(57, 57')가 상기 캡스탄(46, 46')에 전방으로부터 약간 간격을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서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렉션 슬라이더(49)가 포워드 위치에 와 있을 때는 그 핀치롤러 규제편(51, 51') 중 우측의 것(51)이 우측 핀치롤러 아암(58)의 지지축(59)의 후방으로부터 약간 좌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와 있고, 또한 좌측 핀치롤러 규제편(51')이 좌측 핀치롤러 아암(58')의 지지축(59')에 후방으로부터 대향하여 위치하며, 또 디렉션 슬라이더(49)가 리버스 위치로 이동하면 우측의 핀치롤러 규제편(51)이 우측의 핀치롤러아암(58)의 지지축(59)에 후방으로부터 대향하여 위치하고, 또한 좌측의 핀치롤러 규제편(51')이 좌측 핀치롤러 아암(58')의 지지축(59')의 후방으로부터 약간 우측으로 벗어난 위치에 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디렉션 슬라이더(49)가 포워드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플레이 레버(13)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하면, 제 3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우측의 핀치롤러 아암(58)은 비틀림 스프링(60)의 탄발력에 의해 핀치롤러(57)가 F측 캡스탄(46)에 압착하는 위치가지 이동하지만, 좌측 핀치롤러 아암(58')은 제 4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핀치롤러(57')가 R측 캡스탄(46')에 접촉하기 직전의 위치까지 오면 지지축(59')이 디렉션 슬라이더(49)의 좌측 핀치롤러 규제편(51')에 걸리게 되어 그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시키기게 된다.
또 이것과는 반대로, 디렉션 슬라이더(49)의 핀치롤러 규제편(51')에 의해 저지되지 않기 때문에 핀치롤러(57')가 R측 캡스탄(46')에 압착되게 되지만, 우측 핀치 롤러 아암(58)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디렉션 슬라이더(49)의 핀치롤러 규제편(51)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핀치롤러(57)가 F측 캡스탄(46)에서 조금 떨어진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f. 구동계(제 1 도 내지 제 6 도, 제 8 도) f-1. 모터, 캡스탄 풀리(제 2 도 내지 제 5 도) 부호(62)는 모터이고, 그 모터(62)는 샤시부(3)의 하면 우측부에 고정됨과 동시에 회전축(62a)의 하단부에 비교적 지름이 적은 풀리(63)가 고착되어 있다.
부호(64, 64')는 캡스탄 풀리이며, 그 캡스탄풀리(64, 64')는 이것보다 약간 직경이 큰 플라이 휠(65, 65')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고, 이들 캡스탄 풀리(64, 64')의 중심에 상기 캡스탄(46, 46')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부호(66)는 우측 캡스탄 풀리(64)의 상면 중심에서 윗쪽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된 거이부이다.
f-2, 전달기어 블록(제 1 도, 제 4 도, 제 6 도, 제 8 도) 부호(67)는 나중에 설명하는 요동 레버에 소정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부세하고, 또한 후술하는 아이들러 기어 및 고속 주행 기어를 구동하기 위한 전달기어 블록이다.
부호(68)는 전달기어 블록(67)의 제 1 회전체이며, 그 제 1 회전체(68)는 상기 캡스탄 풀리(64, 64')보다 약간 직경이 큰 풀리(69)와, 그 풀리(69)의 상면 중심부와 외주연과의 사이의 중앙부에서 돌출되고 또한 그 상부가 기어(이하 "제1기어"라고 함)(7)에 형성된 높이가 낮은 원통부(71)와, 풀리(69)의 중심부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모양을 이루는 보스(7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 부호(73)는 전달기어 블록(67)의 제 2 회전체이며, 이 제 2 회전체(73)는 상기 제 1 회전체(68)의 원통부(71)의 안쪽 직경보다 약간 직경이 작은 원판(74)과, 그 원판(74)에서 상방으로 돌출된 원통부(75)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그 원통부(75)의 외주면 높이 방향에서 거의 중앙부에 그 원통부(75) 높이의 3분의 1정도의 폭을 가지고 둘레 방향으로 연장된 비교적 얕은 계합구(76)가 형성됨과 동시에, 원통부(75)의 상기 계합구(76)에서부터 위쪽의 부분이 기어(이하 "제2기어"라고 함)(77)에 형성되어 있다.
부호(78)는 제1회전체(68)의 상면을 가리도록 부착된 캡이다. 제1회전체(68)와 제2회전체(73)는, 제1회전체(68)의 보스(72)가 제2회전체(73)의 원통부(75)에 회전자재하게 삽입됨과 동시에 원판(74)의 하면과 풀리(69)의 상면과의 사이에 마찰판(79)이 끼워지고, 또한 상기 원판(74)과 캡(78)과의 사이에는 압축 코일 스프링(80)이 개재된 상태로 서로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회전체(68)의 회전은 마찰판(79)을 통하여 제2회전체(73)에 전달되기 때문에, 제2회전체(73)에 일정한 값 이상의 부하가 가해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1회전체(68)와 제2회전체(73)와의 사이의 접촉부가 헛돌게 된다.
부호(81)는 샤시부(3)의 안쪽 후단 가장자리의 좌우방향에서 대략 중간부에 근접한 위치에 고정된 지지축이며, 그 지지축(81)은 그 상단부가 샤시부(3)에서 약간 윗족으로 돌출됨과 동시에 그 대부분이 샤시부(3)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전달기어 블록(67)은 그 제1회전체(68)의 보스(72)에 상기 지지축(81)의 샤시부(3)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부분이 끼워지므로써, 그 지지축(81)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f-3. 벨트, 캡스탄 등의 회전(제 4 도) 부호(82)는 무단(無端)벨트이다. 이 무단벨트(82)는 상기 모터(62)의 풀리(63)-우측의 캡스탄 풀리(64)-좌측의 캡스탄 풀리(64')-전달기어 블록(67)의 풀리(69)-모터(62)의 풀리(63)에 이 순서로 감겨져 있으며, 우측 캡스탄 풀리(64)에는 후방을 향하고 있는 부분에, 또 좌측 캡스탄 풀리(64')에는 전방을 향한 부분에 각각 권취되어 있다. 따라서 2개의 캡스탄 풀리(64, 6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모터(62)는 상기 플레이레버(13), FF레버(14) 및 REW레버(15)의 어떤 것이 압입되는 것에 의해 회전되며, 그 회전 방향은 회전축(62a)이 제 4 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이 된다.
그래서 모터(62)가 회전하면 벨트(82)가 주행되고, 그것에 따라 우측 캡스탄 풀리(64)가 제 4 도에서 반시계방향으로, 좌측 캡스탄 풀리(64') 및 전달기어 블록(67)이 동도에서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하게 되며, 이것에 따라 F측 캡스탄(46)이 반시계방향으로, R측 캡스탄(46')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g. 아이들러 레버, 아이들러 기어(제 2 도 내지 제 4 도) 부호(83)는 상기 전달기어 블록(67)의 제 2 기어(77)에 의해 회전되는 릴대(47, 47')와 치합하는 것에 의해 이들 릴대(47, 47')를 구동하는 아이들러 기어이고, (84)는 그 아이들러 기어(83)를 지지하는 아이들러 레버이다.
g-1. 구성, 아이들러 레버(84)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길게 된 판 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긴쪽 방향의 중간부에서 약간 앞에 붙은 위치가 상기 전달기어 블록(67)을 지지하고 있는 지지축(81)의 샤시부(3)에서 위쪽으로 돌출된 부분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후단부에서 아랫쪽으로 돌출된 지지축(85)에 아이들러 기어(83)가 회전자재하게 직지되어 있다.
부호(86)는 아이들러 레버(84)의 전단부에서 아랫쪽으로 향해 돌출된 피압압핀이고, (87)은 아이들러 레버(84)의 전단부 상면에 형성된 피규제 돌부이다.
또, 아이들러 기어(83)는 전달기어블럭(67)의 제 2 기어(77)의 2배 정도의 직경을 가지는 큰 기어(83a)와, 그 큰 기어(83a) 상면에 위치한 작은 기어(83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큰 기어(83a)가 전달기어 블록(67)의 제 2 기어(77)와 항상 치합되어 있다.
그리고 부호(88)는 샤시부(3)의 상면 안쪽 아이들러 레버(84)의 우측의 위치에 설치된 중간기어이며, 그 중간기어(88)는 F측 릴대(47)의 기어부(47a)와 항상 치합되어 있다.
그리고 아이들러 레버(84)의 피 압압핀(86)의 하단부는 상기 디렉션 슬라이더(49)에 설치된 아이들러 압압스프랭(54)의 2개의 완(54a와 54b)의 선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이들러 레버(84)는 디렉션 슬라이더(49)가 포워드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는, 제 4 도에 실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피압압핀(86)이 아이들러 압압스프링(54)의 우측 완(54a)에 의해 좌측을 향해 압압되므로 시계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부세시키고, 디렉션 슬라이더(49)가 리버스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는, 도면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피 압압핀(86)이 아이들러 압압스프링(54)의 좌측 완(54b)에 의해 우측을 향해 압압되므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력을 부세시키고 있다.
또 아이들러 레버(86)의 피규제 돌부(87)는 플레이 레버(13)의 상기 2개의 규제편(20, 20')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플레이 레버(13)가 비플레이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는, 제 2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규제편(20, 20')의 후단부가 상기 피규제 돌부(87)를 좌우 양측에서 끼우고 있는 것 같이 위치된다.
이에 따라 아이들러 레버(84)가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54)에 의해 부세된 상기 회전력을 저항하고, 그 회동 범위의 대략 중간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아이들러 레버(84)가 이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아이들러 기어(83)가 제 2 도에 표시한 중립 위치, 즉 그 작은 기어(83b)가 R측 릴대(47')의 기어부(47'a) 및 중간기어(88)의 어떤 것에도 치합되지 않은 위치에 유지된다.
g-2 작용, 그리고 플레이 레버(13)가 비플레이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플레이 위치로 이동하면, 제 3 도 표시한 것과 같이 규제편(20, 20')의 후단부가 아이들러 레버(84)의 피규제 돌부(87)보다 후방의 위치로 벗어나기 때문에, 아이들러 레버(84)의 규제편(20, 20')에 의한 위치의 규제가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디렉션 슬라이더(49)가 포워드 위치에 와 있으면, 아이들러 레버(84)가 중립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아이들러 기어(83)의 작은 기어(83b)가 중간기어(88)와 치합되고, 또 디렉션 슬라이더(49)가 리버스 위치에 와 있으면, 아이들러 레버(84)가 중간위치로부터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아이들러 기어(83)의 작은 기어(83b)가 R측 릴대(47)의 기어부(47'a)와 치합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로부터 플레이 레버(13)가 비플레이 위치로 되돌아 오면, 규제편(20, 20')의 후단부가 아이들러 레버(84)의 규제 돌부(87)의 위치를 규제하기 때문에, 아이들러 레버(84)가 중립위치로 돌아오게 된다.
h. 고속 주행기어(제 1 도 내지 제 3 도) 부호(89, 89')는 자기 테이프(45)를 고속 주행시키기 위한 고속 주행 기어이다.
h-1. 구성, 부호(90)는 고속 주행기어(89, 89')를 지지하는 시이소(SeeSaw)체이며, 그 시소오체(90)는 위에서 보아 대략 가로눕힌 H자형으로 이루어지고, 그 중앙부가 샤시부(3)의 상면 안쪽의 상기 기어 배치공(10과 10') 사이의 위치에 형성된 지지돌기(11)에 회동 자재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시이소체(90)에는 그 전측편의 좌우 양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피제어핀(91, 91') 및 지지축(92, 92')이 일체로 형성되고 있고, 상기 피제어핀(91, 91')의 하단부가 FF레버(14) 및 REW레버(15)의 후단부에 형성된 상기 규제공(33, 33') 내에 여유를 두고 위치되어 있다.
또 고속 주행기어(89, 89')는 상기 아이들러 기어(83)의 작은 기어(83b)보다 작은 직경을 가짐과 동시에 그 하면에서 하방으로 돌출된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그 원통부의 하단부가 고속 주행기어(89, 89')보다 약간 작은 직경인 전달 기어(93, 93')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시이소체(90)의 피제어핀(91, 91'), 지지축(92, 92'), 고속 주행기어(89, 89') 및 전달 기어(93, 93')는 어떤 것도 샤시부(3)에 형성된 상기 기어 배치공(10, 10') 내에 위치되어 있다.
h-2. 동작, 그리고 시이소체(90)는, FF레버(14) 및 REW레버(15)가 모두 비압입 위치에 있을 때는 그 피제어핀(91, 91')에 FF레버(14) 및 REW레버(15)의 규제공(33, 33')의 후측 가장자리가 후측에서 가볍게 접촉되므로써, 제 2 도 및 제 3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고속 주행기어(89, 89')가 좌우로 나란하게 위치하는 자세로 유지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한 상태로부터 REW레버(15)가 압입위치로 이동되면, 제 1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REW레버(15)의 규제공(33')의 앞쪽 가장자리가 시이소체(90)의 좌측의 피 제어핀(91)을 후방으로 향해 압입하기 때문에 시이소체(90)가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좌측의 고속 주행기어(89')가 R축 릴대(47')의 기어부(47'a)와 치합되고, 또한 좌측의 전달기어(93')가 전달 기어블럭(67)의 제 1 기어(70)와 치합되게 된다.
또, FF레버(14)가 압입위치로 이동되면, FF레버(14)의 규제공(33)의 앞쪽 가장자리가 시이소체(90)의 우측 피 제어핀(91)을 후방을 향해 압압하기 때문에, 시이소체(9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 우측의 고속 주행기어(89)가 중간기어(88)와 치합되고, 또한 우측 전달 기어(93)가 전달기어 블록(67)의 제 1 기어(70)와 치합되게 된다.
i. 모드의 형성(제 1 도, 제 3 도) 플레이 모드, FF모드 및 REW모드는 다음과 같이 형성된다.
i-1. 플레이 모드(제 3 도) 정지 상태로부터 플레이 레버(13)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되면 모터(62)가 회전하여 캡스탄(46, 46'). 전달 기어 블록(67) 및 아이들러 기어(83)가 회전됨과 동시에, 디렉션 슬라이더(49)가 포워드 위치에 와 있을 때(이하 "포 워드 상태"라고 함)에는 우측 핀치롤러(57)가 F측 캡스탄(46)에 압착되고 또한 아이들러 기어(83)의 작은 기어(83b)가 중간기어(88)에 치합된다. 또 디렉션 슬라이더(49)가 리버스 위치에 와 있을 때(이하 "리버스 상태"라고 함)에는 좌측 핀치롤러(57')가 R측 캡스탄(46')에 압착되고, 또한 아이들러 기어(83)의 작은 기어(83b)가 R측 릴대(47')의 기어부(47'a)와 치합되게 된다. 그것에 따라 포워드 상태에서는 F측 릴대(47)가 반시계방향(이하 "테이프 권취방향"이라고 함)으로, 또 리버스 상태에서는 R측 릴대(47')가 시계방향(이하 "테이프 권취방향"이라고 함)으로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32)가 플레이어(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레이 모드가 되면, 자기 헤드(26)가 자기 테이프(45)에 접촉함과 동시에, 자기 테이프(45)는 포워드 상태에서는 F측 캡스탄(46)과 그것에 압착된 우측 핀치 롤러(57)에 의해 끼워져 포워드 방향으로 정속 주행하고 또한 T릴(48)에 권취되어 가게 된다. 리버스 상태에서는 R축 캡스탄(46)과 이것에 압착된 좌측 핀치롤러(57')에 의해 끼워져 리버스 방향으로 정속주행되고 또한 S릴(48')에 권취되어 가게 된다.
그리고 플레이 모드에서의 테이프 주행방향은 나중에 설명하는 테이프 주행방향 절환기구에 의해 절환된다.
i-2. FF모드, REW모드(제 1 도) 또, 정지상태로부터 FF레버(14) 또는 REW레버(15)가 압입되면, 모터(62)가 회전하여 이 경우에도 캡스탄(46, 46'), 전달 기어 블록(67) 및 아이들러 기어(83)가 회전됨과 동시에, FF레버(14)가 압입되었을 때는 F측 릴대(47)의 기어부(47a)가 중간기어(88), 우측의 고속기어(89) 및 전달기어(93)를 통하여 전달기어 블록(67)의 제 1 기어(70)와 치합되어 F측 릴대(47)과 고속으로 테이프 권취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또 REW레버(15)가 압입되었을 때는 R축 릴대(47')의 기어부(47'a)가 좌측의 고속 주행기어(89') 및 전달기어(93')를 통하여 전달기어 블록(67)의 제1기어(70)와 치합되어 R축 릴대(47')가 테이프 권취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32)가 플레이어(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FF모드로 되었을 때는 자기테이프(45)가 고속으로 T릴(48)에 권취되어 가고, REW모드로 되었을 때는 자기 테이프(45)가 고속으로 S릴(48')에 권취되어 가게 된다.
j.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제 1 도 내지 제 9 도) 부호(94)는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이며, 그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94)는 상기 전달 기어 블록(67)의 제1회전체(73)와 요동레버, 캠기어 및 접지 스프링 등으로 구성된다.
j-1. 요동레버(제 1 도 내지 제 4 도, 제 6 도 내지 제 8 도) 부호(95)는 요동레버이다. 그 요동레버(95)는 대략 L자형을 한 판모양으로 형성된 주부(96)와, 그 주부(96)의 좌단에서 대략 좌측으로 향해 돌출된 두 개의 탄성편(97, 97)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2개의 탄성편(97, 97)은, 전후방향에서 대칭하는 대략 받침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받침형(台形)의 좌우 방향으로 뻗어나온 중간편(97a, 97a) 사이의 간격은 전달 기어 블록(67)의 바깥 지름보다 약간 좁고, 중간부(97a, 97a)에서 우측부분, 즉 우편(7b, 97b)은 우단으로 갈수록 그 간격이 좁아지도록 비스듬하게 되어 있으며, 또 중간편(97a, 97a)의 좌단부는 서로 안쪽을 향해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고, 그 굴곡된 부분에서 좌측으로 향해 스프링 걸림편(97c, 97c)이 돌출되어 있다.
또, 주부(96) 중 전후 방향으로 길게 된 부분의 후단 부근을 제외한 부분은 전단으로 갈수록 그 폭이 넓게 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그 전단 가장자리에 연한 부분에는 좌우방향의 약 중간위치에서 윗쪽으로 향해 돌출된 피 압압핀(98)과 좌단부에서 아랫쪽을 향해 돌출된 걸림돌부(99)와 우단부에서 아랫쪽을 향해 돌출된 맞닿은 돌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부호(101)는 주부(96)에 형성된 긴 구멍이며, 이 긴 구멍(101)은 두 개의 탄성편(97)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대략 중심을 중심으로 하는 원호에 연하여 뻗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레버(95)는, 그 두 개의 탄성편(97, 97)이 전달기어 블록(67)의 제2회전체(73)에 형성된 계합구(76)에 탄발적으로 계합한다. 즉 그 중간편(97a, 97a) 내면의 대략 중앙부가 상기 계합구(76)의 주면을 대략 전후방향에서 탄발적으로 끼움과 동시에, 그 중간편(97a, 97a)의 좌단부와 우편(97b, 97b)의 내면 중앙부가 계합(96)의 주면을 대략 전후방향에서 탄발적으로 끼우도록 계합시키게 된다. 이에 따라 제2회전체(73)에 연계되고, 또 그 스프링 걸림편(97c, 97c) 사이에 탄발력이 비교적 적은 인장 스프링(102)이 가로질러 걸리도록 설치된다.
이렇게 하여 탄성편(97, 97)이 제2회전체(73)의 계합구(76)의 적당한 탄발력으로 탄접하게 되기 때문에, 요동레버(95)는 제2회전체(73)의 회전력을 제2회전체(73)와 탄성편(97, 97) 사이의 마찰 접촉에 의해 전달받는 상태로 제2회전체(73)에 회동자재하게 지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요동 레버(95)의 제2회전체(73)에 의한 상기와 같은 지지는, 그 피 압압핀(98)의 상단부가 샤시부(3)에 형성된 상기 반달모양 구멍(12)에 위치되고, 또한 그 긴구멍(101)의 우측 가장자리가 샤시부(3)의 하면에서 돌출된 대략 자형을 이루는 유지편(103)에 습동자재하게 계합되는 상태로 되며, 요동레버(95)는 그 탄성편(97, 97)이 제2회전체(73)에 지지되고, 또한 그 긴 구멍(101)의 개구연부가 상기 유지편(103)의 수평부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는 것에 의해 수평한 자세로 유지된다.
또, 피 압압핀(98)의 상단부는 상기 반달모양 구멍(12)을 통하여 샤시부(3)에서 약간 위로 돌출되어 있다.
j-2. 캠 기어(제 1 도, 제 4 도, 제 7 도 내지 제 9 도) 부호(104)는 캠 기어이다. 그 캠 기어(104)는 평기어 모양을 이루는 기어부(105)와, 그 기어부(105)의 상면에 형성된 제1캠(106) 및 제2캠(107)과 기어부(105)의 하면에 형성된 작은 기어(108)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캠(106)은, 기어부(105)의 중신부에 형성된 삽통공(109)를 둘러싸는 위치로부터 상기 삽통공(109)과 외주연과 사이의 대략 중간위치까지의 부분에 대략 타원형과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1캠(106)의 외주면은 삽통공(109)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로 갈수록 캠 기어(104)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점차 길게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의 캠(107), 기어부(105)의 외주연과 제1캠(106)의 가단부 사이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바깥쪽을 향한 캠의 면이 오른쪽으로 또는 방향으로 갈수록 캠 기어(104)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기어(104)는, 샤시부(3)의 안쪽 상기 반달모양 구멍(12)의 전단부보다 약간 우측에 붙은 위치에서 아랫쪽으로 향해 돌설된 지지축(109a)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그 기어부(105)가 우측 캡스탄 풀리(64)에 형성된 기어부(66)와 치합되어 있다. 따라서 캠부(104)는 모터(62)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항상 회전하고 있게 되며, 그 회전방향은 제 1 도에서의 시계 회전방향이다.
그리고, 상기 요동레버(95)의 맞닿은 돌부(100)는 통상의 상태에서 캠 기어(104)의 제1캠(106)에 접촉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j-3. 접지 스프링(제 1 도 내지 제 3 도, 제 5 도, 제 8 도) 부호(110 및 111)은 비틀림 스프링 모양을 한 접지 스프링이다. 그 접지 스프링(110 및 111)은 원래 캡스탄(46, 46')과 플레이 레버(13)를 전기적으로 저지하기 위한 구성품이지만, 이 실시예에서는 이들 접지 스프링(110 및 111) 중 우측의 것(110)을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의 구성부품으로서 이용하고 있다.
즉, 접지스프링(110 및 111)은 코일부(110a, 111a)가 샤시부(3)에 형성된 상기 2개의 스프링 지지돌부(9, 9')에 바깥에서 끼운 상태로 지지됨과 동시에, 그 한쪽의 대략 전후 방향으로 뻗은 연장부(110b, 111b)의 선단부가 캡스탄 지지슬리브(8, 8')의 샤시부(3)로부터 위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에 탄접되어 있다. 그리고 접지 스프링(110, 111)의 다른쪽 연장부(110c, 111c)의 선단부는 대략 직각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우측 접지 스프링(110)의 다른쪽 연장부(110c)의 선단부 부분이 요동레버(95)에 형성된 피 압압핀(98)의 상단부 및 플레이 레버(13)에 형성된 상기 스프링 걸림편(22)에 후방으로부터 대향되고, 또 좌측 접지 스프링(111)의 다른쪽 연장부(111c)의 선단부가 플레이 레버(13)의 좌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상기 절결부(21)에 후방으로부터 계합하는 상태로 탄접되어 있다.
그리고, 우측 접지 스프링(110)의 다른쪽 연장부(110c)의 선단부 부분은, 플레이 모드, 즉 플레이 레버(13)가 플레이 위치에 온 상태에서는 플레이 레버(13)의 스플링 걸림편(22)에 후방으로부터 탄절되고, 그 이외의 상태에서는 요동레버(95)의 피 압압핀(98)에 탄접되게 된다. 이점에 대해서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리하여 R측 캡스탄(46')은 좌측 접지 스프링(111)을 통해서 항상 플레이 레버(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고 F측 캡스탄(46)은 플레이 모드에서 우측 접지 스프링(110)을 통하여 플레이 레버(13)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그리고, 플레이 레버(13)는 도면에 표시되지 않은 접지수단을 통하여 회로기판의 접지 등과 접속되어 있다. 따라서, 예를 들면 자기 테이프(45)가 주행하면서 접촉될 때 캡스탄(46, 46')에 대전된 정전기는 접지스프링(110, 111), 플레이 레버(13) 등을 통하여 회로 기판의 접지회로 등으로 흐르게 된다.
j-4. 동작
j-4-a. 요동레버의 요동(제 1 도 내지 제 4 도) 그리고, 모터(62)가 회전하면 전달 기어 블록(67)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그 전달기어 블록의 제2회전체(73)와 마찰 접촉하고 있는 요동레버(95)에 제2회전체(73)의 회전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요동레버(95)에 제 1 도에서의 시계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세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와같이, 요동레버(95)의 맞닿은 돌부(100)는 캠 기어(104)의 제1캠(106)에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그 맞닿은 돌부(100)가 제1캠(106)에 맞닿게 되어 그 이상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하는 것을 저지하게 되며, 따라서 요동레버(95)는 제2회전체(73)에 대하여 슬립됨과 동시에 그 맞닿은 돌부(100)가 캠 기어(104)의 제1캠(106)의 외주면에 압착되게 된다.
또, 이와 동시에 모터(62)가 회전하면 캠 기어(104)가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기 때문에 제1캠(106) 및 제2캠(107)이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제1캠(106)의 외주면은 그 기단부에서부터 선단부로 갈수록 캠 기어(104)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캠 기어(104)가 회전하면, 제1캠(106)의 외주면이 요동레버(95)의 맞닿은 돌부(100)와 대향하는 위치에서의 캠 기어(104) 중심으로부터의 거리는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제1캠(106)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있는 맞닿은 돌부(100)는 제1캠(106) 외주면의 상기 거리의 변화에 따라서 전후방향으로 이동하게 되며, 이것에 의해 요동레버(95)가 제 1 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와 1점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 사이를 주기적으로 이동, 즉 요동되게 된다. 이 요동은 제2회전체(73) 및 캠 기어(104)가 회전하고 있는 한 쉬지 않고 행해지게 되며, 또 그 요동행정, 즉 상기 2개의 위치 사이의 이동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플레이 모드에서는 플레이 레버(13)가 플레이 위치에 오기 때문에, 상기 우측 접지 스프링(110)의 다른쪽 연장부(110c)의 선단부분은, 제 3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플레이 레버(13)의 스프링 걸림면(22)에 의해 후방으로 압압되어 요동레버(95)의 피 압압핀(98)에서 후방으로 떨어진 위치에 유지되게 되며, 따라서 이 경우의 요동레버(95)의 요동은 그 피 압압핀(98)이 접지 스프링(110)에 의해 후방으로부터 압압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행해지게 된다.
또, 플레이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플레이 레버(13)이 비플레이 위치에 머물고 있기 때문에, 우측 접지 스프링(110)의 다른쪽 연장부(110c)의 선단부분은 항상 요동레버(95)의 피 압압핀(98)에 탄접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요동레버(95)의 요동은 피 압압핀(98)이 접지 스프링(110)에 의해 항상 압압되어 있는 상태로 행해지게 된다. 이리하여 플레이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 요동레버(95)가 요동하고 있는 동안 우측접지 스프링(110)의 다른쪽 연장부(110c)는 제 1 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위치와 1점 쇄선으로 표시한 위치와의 사이를 주기적으로 왕복하도록 이동시키게 된다.
j-4b. 테이프 엔드의 검출(제 8 도) 그리고, 플레이 모드로부터 테이프 엔드, 즉 T릴(48)에 의해 자기 테이프(45)의 권취가 완료되었을 때 혹은 S릴(48')에 의해 자기 테이프(45)의 권취가 완료되었을 때는 이들 테이프릴(48, 48)이 장착되어 있는 F측 릴대(47) 또는 R측 릴대(47')의 회전이 저지되기 때문에, 이들 릴대(47, 47')에 아이들러 기어(83)와 중간 기어(88)를 통하여 치합되어 있는 전달 기어블럭(67)의 제2회전체(73)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그리고, 이때 제1회전체(68)는 제2회전체(73)에 대하여 슬립되면서 회전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그때까지 제2회전체(73)가 회전됨에 따라 요동레버(95)에 부세되어 있던 시계회전 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없어지기 때문에, 요동레버(95)의 맞닿은 돌부(100)의 캠 기어(104)의 제1캠(106)에 대한 압착력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로 되면, 요동레버(95)의 맞닿은 돌부(100)는 제1캠(106)의 선단부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압압되는 위치, 즉 제 8a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캠기어(104)의 제 2 캠(107)의 앞 뽀족한 부분의 회전궤적 보다 바깥쪽 위치에서 동작이 멎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캠 기어(104)가 다시 회전하면, 제 8a 도에 2점 쇄선으로 표시한 것과 같이 제 2 캠(107)의 앞 뾰족한 부분이 요동레버(95)의 맞닿은 돌부(100)에 전방으로부터 접촉되며, 이어서 제 2 캠(107)의 외주면이 상기 맞닿은 돌부(100)를 후방을 향해 압압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요동레버(95)가 제 3b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다시 후방으로 붙은 위치, 즉 상기 요동행정의 범위를 벗어난 위치(이하 "테이프 앤드 위치"라고 함)로 이동되게 된다.
그리고, 요동레버(95)가 이와 같이 하여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하게 되면, 그 걸림 돌부(99)가 후술하는 트리거 레버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고 그것에 의해 소정의 테이프 엔드 동작, 즉 테이프 주행방향의 자동절환이나 오토 셧(Auto shut) 등의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이들 동작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한다.
j-4-c. 테이프 엔드의 비검출(제 1 도) 테이프 엔드의 검출은 상기와 같이 행해지나, 이 검출은 플레이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행해지지 않는다.
즉, 상기와 같이 FF 모드와 REW 모드에서는 FF레버(14) 또는 REW레버(15)가 압입될 뿐 플레이레버(13)는 비플레이 위치에 머물러 있기 때문에, 우측 접지 스프링(110)의 다른쪽 연장부(110c)의 선단부분은 항상 요동레버(95)의 피 압압핀(98)의 피 압압핀(98)에 후방으로부터 탄접되어 있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 엔드 상태로 되면 전달 기어 블록(67)의 제2회전체(73)의 회전이 저지되기 때문에, 그 제2회전체(73)에 의한 요동레버(95)에 대한 시계회전 방향으로의 회동력 부세는 없어지지만, 이번에는 피압압핀(98)이 접지 스프링(110)에 의해 압압되므로써 요동레버(95)에 대한 시계회전방향으로의 회동력이 부세되게 된다.
이 때문에 FF모드와 REW모드에서는 테이프 엔드가 되어도 요동레버(95)가 그 요동행정의 범위를 벗어난 위치로 이동되는 일은 없다.
그래서 플레이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테이프 엔드상태가 되어도 그 상태의 검출이 되는 일은 없고, 따라서 후술하는 테이프 주행방향의 자동절환과 오토셧 등의 테이프 엔드 동작이 행해지는 일은 없다.
k. 테이프 엔드 검출에 의한 동작
k-1. 테이프 주행방향의 자동절환(제 4 도, 제 9 도)
k-1-a. 테이프 주행방향 절환기구 부호(112)는 테이프 주행방향 절환기구이다.
테이프 주행방향 절환기구(112)는, 상기 디렉션 슬라이더(49) 및 캠 기어(104), 나중에 설명하는 디렉션 기어 및 트리거 레버 등으로 이루어진다.
부호(113)는 디렉션 기어(Direction Gear)이다. 이 디렉션 기어(113)는 대략 평기거 모양을 하는 기어부(114)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높이가 낮은 보스(115)와, 한쪽 안부가 상기 보스(115)의 중심부 상면에 연속되고 또한 상기 캠기어(104)에 형성된 제1캠(106)과 대략 같은 형상을 가지는 캠(116)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보스(115)의 외주면 중 캠(116)의 선단부와 거의 반대측 위치에 압압돌기(117)가 형성됨과 동시에, 기어부(114)의 톱니부중 캠(116)의 길이 방향에 해당하는 방향의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 부분에 치결부(114a, 114b)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어부(114) 하면의 치결부에 근접한 부분중 기어부(114)의 중심을 기준으로 하여 반대측 위치에 스토퍼(Stopper) 돌부(118, 118')가 형성되고, 또한 그 스토퍼 돌부(118, 118')에 중심측에서 약간 떨어져서 대향하는 위치에 피송돌부(119, 119')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디렉션 기어(113)는 샤시부(3)에서 아랫쪽으로 향해 돌설된 지지축(120)에 회전자재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캠(116)이 디렉션 슬라이더(49)에 형성된 상기 캠 배치공(52) 내에 약간 여유를 두고 위치되고, 또한 치결부(114a, 114b) 이외의 부분이 캠 기어(104)의 작은 기어(108)와 대향하는 방향으로 되었을 때 기어부(114)가 상기 작은 기어(108)와 치합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부호(121)는 트리거 레버이다. 그 트리거 레버(121)는 전후방향으로 길게 된 판 모양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지측(120) 및 메카샤시(2)의 앞벽(6)에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범위 내에서 자유롭게 이동되도록 지지되고, 또한 인장 스프링(122)에 의해 항상 전방으로의 이동력을 부세시킨 상태로 되어 있으며, 그 상면 즉 디렉션 기어(113)에 하방으로부터 대향하는 면에 제어돌편(123)이 형성된다. 또한 그 후단부는 옆에서 보아 대략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그자형 부분의 상편을 이루는 피 압압편(124)의 우단부가 상기 요동 레버(95)에 형성된 걸림돌부(99)에 우측으로 치우친 후방으로부터 약간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디렉션 기어(113)가 제 4 도에서 표시한 위치, 즉 캠(116)의 선단부가 디렉션 기어(113) 중심부의 약간 왼쪽 전방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되는 위치(이하 "제1의 위치"라고 함)에 와 있을 때는 기어부(114)의 2개의 치결부(114a, 114b) 중 한쪽(114a)이 캠기어(104)의 작은 기어(108)와 대향된다. 또 디렉션 기어(113)가 제 9 도(B)(동도는 아랫쪽으로부터 보고 있다)에서 표시하는 위치, 즉 캠(116)의 선단부가 디렉션 기어(113)의 중심부 약간 오른쪽 후방에 위치하는 방향으로 되는 위치(이하 "제2의 위치"라고 함)에 와 있을 때는 기어부(114)의 다른쪽 치결부(114b)가 캠 기어(104)의 작은 기어(108)와 대향된다. 디렉션 기어(113)는 이들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왔을 때, 주로 그 스토퍼 돌부(118, 118')의 한쪽이 트리거 레버(121)의 규제돌편(123)에 우측으로부터 당접하는 것에 의해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디렉션 기어(113)가 제 1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는 디렉션 슬라이더(49)가, 그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54)의 우측완(54a)이 아이들러 레버(84)의 피 압압핀(86)을 좌측으로 압압함에 따라 생기는 오른쪽으로의 이동력과, 그 캠 배치공(52)의 좌측 가장 자리가 디렉션 기어(113)의 캠(116)의 선단면에 맞닿는 것에 의해 포워드 위치에 유지된다. 또 디렉션 기어(113)과 제2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는 디렉션 슬라이더(49)가, 그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54)의 좌측완(54b)이 아이들러 레버(84)의 피 압압핀(86)을 우측으로 압압함에 따라 생기는 왼쪽으로의 이동력과, 그 캠 배치공(52)의 우측 가장자리가 디렉션 기어(113)의 캠(116) 선단면에 맞닿는 것에 의해 리버스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k-1-b. 테이프 주행방향의 자동절환, 이렇게 하여 플레이 모드로부터 테이프 엔드 상태로 되면, 상기와 같이 요동레버(95)가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이때 요동레버(95)가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이때 요동레버(95)에 형성된 걸림돌부(99)가 제 8b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트리거 레버(121)의 피 압압편(124)의 우단부를 뒤로 기울도록 우측으로 압압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트리거 레버(121)가 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그렇게 하면, 제 9a 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트리거 레버(121)의 규제돌편(123)이 디렉션 기어(113)의 스토퍼 돌부(118)(또는 118')의 이동을 저지하지 않는 위치로 벗어나도록 함과 동시에, 파송돌부(119)(또는 119')의 경사면을 압압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서 디렉션 기어(113)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약간 회전되어 그 기어부(114)가 회전하고 있는 캠 기어(104)의 작은 기어(108)와 치합되기 때문에, 디렉션 기어(113)가 상기 작은 기어(108)에 의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디렉션 기어(113)가 약 반회전한 곳에서 그 기어부(114)의 치결부(114a 또는 114b)가 캠 기어(104)의 작은 기어(108)와 대향됨과 동시에, 스토퍼 돌부(118')(또는 118)가 트리거 레버(121)의 규제돌편(123)에 맞닿아서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즉, 디렉션 기어(113)는 약 반회전한 곳에서 그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그리하여 디렉션 기어(113)가 제1위치에 와 있는 상태, 즉 자기 테이프(45)가 포워드 방향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 프레이 모드에서 테이프 엔드로 된 때에는 디렉션 기어(113)가 제 2 의 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디렉션 슬라이더(49)가 포워드 위치에서 리버스 위치로 이동되어 테이프 주행방향이 리버스 방향으로 절환되게 된다. 또, 디렉션 기어(113)가 제2위치에 와 있는 상태, 즉 자기 테이프(45)가 리버스 방향으로주행하는 상태에서의 플레이 모드에서 테이프 엔드로 된 때에는 디렉션 기어(113)가 제1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디렉션 슬라이더(49)가 리버스 위치에서 포워드 위치로 이동되어 테이프 주행방향이 포 워드 방향으로 절환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와 같이 플레이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테이프 엔드가 되어도 그 상태의 검출이 행해지지 않는다. 즉 요동레버(95)가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지 않기 때문에, 트리거 레버(121)가 후방으로 이동되는 일은 없고, 따라서 상기 테이프 주행방향의 자동적인 절환이 행해지는 일은 없다.
k-2. 오토 셧 오프(제 2 도 내지 제 4 도) 부호(125)는 메카샤시(2)의 앞벽(6)에 좌우방향으로 습동자재하게 지지된 셧 오프(Shut off) 선택 손잡이 이고, (126)은 샤시부(3)의 하면 전단부의 디렉션 기어(113)의 앞쪽 위치에 회전자재하게 설치된 셧 오프 레버(Shut off Lever)이다. 그 셧 오프 레버(126)는 스프링편(217)을 통하여 셧 오프 선택 손잡이(125)와 연결됨과 동시에, 전후방향으로 뻗은 피 압압완(126a)이 그 피 압압완(126a)의 기단부에서 좌측으로 향해 뻗은 압압완(126b)을 가지고 있다. 셧 오프 선택 손잡이(125)를 그 이동범위의 우단의 위치(도면에서는 이동범위의 좌단의 위치에 와 있는 상태로 표시하고 있다)로 이동하면 셧 오프 레버(126)가 셧 오프 위치, 즉, 그 피 압압완(126a)의 선단부가 디렉션 기어(113)에 설치된 상기 압압돌기(117)의 회전궤적의 약간 안쪽에 오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서 리버스 상태, 즉 디렉션 기어(113)가 제2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셧 오프 레버(126)가 셧 오프 위치에 있으면, 디렉션 기어(113)의 압압돌기(117)가 셧 오프 레버(126)의 피 압압완(126a) 선단부에 비교적 근접하여 대향되게 되고, 이 상태에서 테이프 엔드가 되면 상기와 같이 디렉션 기어(113)가 제1위치로 향하여 회전되기 때문에, 그 압압돌기(117)가 셧 오프 레버(126)의 피 압압완(126a) 선단부를 우측으로 향해 압압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렇게 되면 셧 오프 레버(126)가 셧 오프 위치로부터 다시 시계회전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며, 이때 그 압압완(126b)의 선단부가, 상기 로크 슬라이더(16)의 전단 가장자리 우단부에서 전방을 향해 돌출된 계합부(128)를 우측으로 기울도록 뒤쪽으로 향해 압압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로크 슬라이더(16)가 우측으로 향해 이동되기 때문에, 플레이 위치에 와 있던 플레이 레버(13)가 비플레이 위치로 돌아가고, 정지상태로 된다.
그리고, 오토 셧 오프도 디렉션 기어(113)가 회전되는 것에 의해 행해지기 때문에 셧 오프 레버(126)가 셧 오프 위치에 와 있어서 FF모드와 REW모드에서 테이프 엔드로 된 경우에는 행해지지 않는다.
이상에 기재한 것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고안인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는 테이프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부세수단에 의하여 요동수단을 압압시켜 일정한 요동행정 범위 내에서 요동시킴과 동시에, 테이프 엔드 상태가 되었을 때는 상기 부세수단에 의한 압압력이 해제되므로써 요동행정 범위를 벗어난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고, 그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소정의 테이프 엔드 모드를 형성하는 요동레버를 구비한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이며, 플레이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요동레버에 요동수단에 대한 압착력을 부세하는 위치에 유지되고, 플레이 모드가 형성된 때 상기 압착력을 부세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는 탄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플레이 모드에서는 탄발수단에 의한 요동레버의 요동수단에의 압착력 부세가 되지 않기 때문에, 테이프 엔드 모드가 되면 요동레버가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어 검출이 행해지게 되지만, 플레이 모드 이외의 모드, 예를 들면 FF모드 등에서는 요동레버의 요동수단에의 압착력이 탄발수단에 의해 항상 부세되어 있기 때문에, 테이프 엔드 모드가 되어도 요동레버가 요동행정 범위를 벗어난 위치로 이동되는 일이 없고 따라서 테이프 엔드가 되어도 그 상태가 검출되는 일이 없다.
그리하여 본 고안에 의하면, 한 개의 탄발수단을 설치하는 것만으로, 테이프 엔드의 검출을 재생 모드에서만 할 수가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캡스탄의 접지를 행하기 위한 스프링을 요동레버의 요동수단에의 압착력을 부세하기 위한 탄발수단으로서 이용하도록 했으나, 플레이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테이프 엔드의 검출을 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탄발수단으로서 그것에 전용되는 것을 설치하지 않고도 가능하도록 할 수가 있다.
그래서, 본 고안에 있어서의 탄발수단은 테이프 엔드의 검출을 행하지 않도록 하기 위한 전용의 것으로도 좋다.
또, 상기 실시예에서는, 요동레버가 요동수단으로 압착력을 부세하지 않는 위치로 되도록 탄발수단을 이동시킨 수단으로서 플레이 레버를 이용하도록 했으나, 탄발수단을 이동시키기 위한 수단이 이러한 플레이 레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플레이 모드가 형성될 때 이동되는 구성품이라면 어떠한 기능을 가지는 것이라도 좋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본 고안을 재생 기능만 가진 오디오 테이프 플레이어에서의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로 적용한 것을 나타냈으나, 본 고안은 이러한 적용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녹음기능을 가진 테이프 레코더 등 각종 테이프 플레이어에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로 적용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용신안 등록청구의 범위에 있는 "플레이 모드"에는 "재생모드" 외에 "녹음 모드"도 포함된다.

Claims (1)

  1. 테이프가 주행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부세수단에 의해 요동수단을 압압하므로써 일정한 요동행정의 범위내에서 요동되고, 테이프 엔드 상태가 되었을 때는 상기 부세수단에 의한 압압력이 해제됨으로써 요동행정의 범위를 벗어난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고, 그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됨에 따라 소정의 테이프 엔드 모드를 형성하는 요동레버를 구비한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에 있어서, 플레이 모드 이외의 모드에서는 요동레버에 요동수단에 대한 압착력을 부세하는 위치에 유지되고, 플레이 모드가 형성된 때는 상기 압착력을 부세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하는 탄발수단을 설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
KR2019880003838U 1987-03-23 1988-03-23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KR940002832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2251 1987-03-23
JP1987042251U JP2506564Y2 (ja) 1987-03-23 1987-03-23 テ−ププレ−ヤ−におけるテ−プエンド検出機構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523U KR880018523U (ko) 1988-10-29
KR940002832Y1 true KR940002832Y1 (ko) 1994-04-23

Family

ID=126308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80003838U KR940002832Y1 (ko) 1987-03-23 1988-03-23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2506564Y2 (ko)
KR (1) KR940002832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477A (ko) * 2001-09-21 2003-03-29 서명근 정미기용 도정축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472567A1 (fr) * 1979-12-28 1981-07-03 Cerm Cent Europ Rech Mauvernay Ethers de 1- (2-propynyloxy)-2-amino-3-propanol, leur preparation et leur application en therapeutique
JPS6032151A (ja) * 1983-07-30 1985-02-19 Sony Corp シヤツトオフ機構
JPS6313426U (ko) * 1986-07-14 1988-01-28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25477A (ko) * 2001-09-21 2003-03-29 서명근 정미기용 도정축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8523U (ko) 1988-10-29
JPS63149425U (ko) 1988-10-03
JP2506564Y2 (ja) 1996-08-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5203B2 (ja) リバ−ス式記録再生装置のモ−ド切換機構
US4342055A (en) Automatic reverse tape recorder
KR940002832Y1 (ko)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CA1321990C (en) Ff/rew changing mechanism for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940006388B1 (ko) 오토리버스식 기록 재생장치
US5018401A (en) Translation cam means
US4805044A (en) Idler gear cut-off mechanism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US4055288A (en) Front drive cartridge-tape player system with fast forward and reverse modes
US4656321A (en) Three position switch and switching device for a magnetic-tape-cassette apparatus
JPH083922B2 (ja) テ−プレコ−ダ
EP0345739B1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KR940002833Y1 (ko) 상태 검출 기구
JP2672452B2 (ja) 磁気テープの走行状態切換機構
US4034925A (en) Front drive cartridge-tape player system with fast forward and reverse modes
JPH042425Y2 (ko)
JP2600177B2 (ja) リール台の回転駆動装置
JPH0624018Y2 (ja) テ−プレコ−ダにおけるモ−ド切換機構
JP2621386B2 (ja) テープ終端検出装置
JP2621168B2 (ja) 回転機構
KR0127484B1 (ko) 누름 단추 기구
JP2541926B2 (ja) オ−トリバ−ス式記録再生装置
JPH0685244B2 (ja) リバ−ス式記録再生装置のノ−マル,リバ−ス切換装置
JP2746579B2 (ja) テープレコーダ
KR970002833B1 (ko) 동작 상태 선택 기구
JP2725288B2 (ja) テープレコー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