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40002833Y1 - 상태 검출 기구 - Google Patents
상태 검출 기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940002833Y1 KR940002833Y1 KR2019880003839U KR880003839U KR940002833Y1 KR 940002833 Y1 KR940002833 Y1 KR 940002833Y1 KR 2019880003839 U KR2019880003839 U KR 2019880003839U KR 880003839 U KR880003839 U KR 880003839U KR 940002833 Y1 KR940002833 Y1 KR 940002833Y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gear
- lever
- cam
- state
- state detection
- Prior art date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제 1 도 내지 제 6 도는 본 고안의 상태 검출 기구를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1 도는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의 일부를 절단하여 도시한 요부 확대 평면도, 제 2 도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메카덱크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 3 도는 메카덱크 중 메카샤시의 하측에 설치되어 있는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제 4 도는 제 3 도의 IV-IV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 5 도는 요동 레버와 캠 기어를 도시하늣 사시도.
제 6a 도 및 제 6b 도는 테이프 엔드 검출 동작을 순차로 도시하는 요부 평면도.
제 7 도 및 제 8 도는 요동레버를 구비한 종래의 상태 검출기구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 7 도는 평면도, 제 8 도는 제 7 도의 VIII-VIII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44 : 구동체 53 : 상태 검출기구
54 : 상태 검출 레버 56 : 탄성편
본 고안은 신규한 상태 검출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소정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 회전하는 구동체와 이 구동체에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또한 구동체의 회전력이 마찰 접촉 수단을 거쳐 전달되는 상태 검출 레버를 가짐과 동시에, 구동체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상태 검출 레버에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세되므로서 소정의 동작 모드인 것이 검출되고, 구동체의 회전이 정지하였을 때는 상태 검출 레버에 대한 상기 회전력의 부세가 해제되므로서 상기 동작 모드와 다른 모드로 된 것이 검출되는 상태 검출 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상태 검출 레버의 구동체에의 지지 구조를 개량하므로서, 특별한 부품으로 된 마찰 접촉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상태 검출 레버를 구동체에 회전자재로 지지시키고 또한 마찰 접촉시킬 수 있도록 하여 이러한 종류의 기구를 보다 소수의 부품으로 구성할 수가 있음과 동시에, 상태 검출 레버의 구동체에의 조립을 극히 간단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신규한 상태 검출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상태 검출 기구는 소정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 회전하는 구동체와 이 구동체에 회전 자재로 지지되고 또한 구동체의 회전력이 마찰 접촉 수단을 거쳐 전달되는 상태 검출 레버를 가짐과 동시에, 구동체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상태 검출 레버에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세되므로서 소정의 동작 모드인 것이 검출되고 구동체의 회전이 정지하였을 때에는 상태 검출 레버에 대한 상기 회전력의 부세가 해제되므로서 상기 동작 모드와 다른 모드로 된 것이 검출되는 상태 검출 기구에 있어서, 상태 검출 레버의 구동체에 지지되는 부분을 두 개의 탄성편에 의해 구성함과 동시에 이 탄성편을 구동체에 그것을 양측으로부터 끼여지도록 탄성적으로 계합하므로서 상태 검출 레버를 구동체에 지지시키도록 하고 그에 따라 특별한 부품으로 이루어진 마찰 접촉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상태 검출 레버를 구동체에 회전자재로 지지시키고 또한 마찰 접촉시킬 수 있으며, 또한 상태 검출 레버의 구동체에의 조립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어떤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동작 모드(이하, 「제1모드」라 칭함)로부터 이 제1모드와 다른 모드(이하, 「제2모드」라 칭함), 예를 들면 상기 제1모드에 있어서의 동작이 정지한 모드로 된 것을 기계적으로 검출하는 기구, 즉 상태 검출기구에는 종래부터 각종의 것이 있지만, 그중의 하나에, 소정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 회전하는 구동체와 이 구동체에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또한 구동체의 회전력이 마찰 접촉 수단을 거쳐 전달되는 상태 검출 레버를 가짐과 동시에, 구동체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상태 검출 레버에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세되므로서 소정의 동작 모드인 것이 검출되고, 구동체의 회전이 정지하였을 때는 상태 검출 레버에 대한 회전력의 부세가 해제되므로서 상기 동작 모드와 다른 모드로 된 것이 검출되도록 구성된 것이었다.
제 7 도 및 제 8 도는 그와 같은 상태 검출 기구 (a)의 일예를 도시한 것이다.
이를 도면에 있어서, b는 구동기어하고, 이 구동기어(b)는 샤시(c)로부터 세워 설치된 지지축(d)에 회전자재로 지지됨과 동시에, 도시하지 않은 구동수단에 마찰 접촉 수단을 거쳐 결합되고, 또한 소정의 동작을 행하는 동작 부재와 맞물려 있으며, 상기 동작 부재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구동 수단에 의해 제 7 도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e는 구동기어(b)의 상면에 형성된 결합 보스이다.
f는 상태 검출 레버이며, 이 상태 검출 레버(f)는 대략 원환상으로 형성된 기부(g)와 이 기부(g)로부터 측방으로 향해 돌출한 아암부(h)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상기 아암부(h)의 선단부로부터 피압압핀(i)이 하방으로 향해 돌출되어 있으며, 기부(g)가 구동기어(b)의 결합보스(e)에 회전자재로 외측에서 끼워져 있다.
j는 상단부에 플랜지(k)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구동기어(b)의 결합보스(e)에 압입 형상으로 외측에서 끼워진 캡 몸체이며, 이 캡 몸체(j)의 플랜(k)와 상태 검출 레버(f)의 기부(g)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1)이 걸쳐 삽입되어 있다.
따라서, 상태 검출 레벌(f)의 기구(g)가 구동기어(b)의 상면에 적당한 압착력으로 압착되게 된다.
m은 지지축(n)에 회전자재로 지지된 캠 기어이며, 이 캠 기어(m)는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에 의해 항상 제 7 도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어 있고 그 상면에 대략 반원형을 이루며, 또한 그 일단부가 캠 기어(m)의 중심부에 위치한 제 1 캠(o)과, 이 제 1 캠(o)과 외주 모서리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에 그 외측면이 대략 원호형상으로 또한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감에 따라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연장하는 제 2 캠(p)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태 검출 레버(f)의 피압압핀(i)의 하단부는 캠 기어(m)의 제1캠(o)의 외주면에 측방으로부터 대향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도시하지 않은 구동 수단이 동작을 개시하면 그 구동력이 마찰 접촉 수단을 거쳐서 구동기어(b)에 전달되므로서, 구동기어(b)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이 구동기어(b)에 맞물려 있는 동작 부재가 동작하게 된다. 즉 제 1 모드로 된다. 또, 이 구동기어(b)의 회전력에 의해 상태 검출 레버(f)에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세되고, 그에 따라 상태 검출 레버(f)의 피압압핀(i) 이 캠 기어(m)의 제1캠(o)에 압착하게 된다.
또, 이와 함께 캠 기어(m)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제 1 캠(o)의 외주면의 상태 검출 레버(f)의 피압압핀(i)과 접촉하는 위치의 캠 기어(m)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되며, 그에 따라 피압압핀(i)이 제 7 도에 파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와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 사이를 주기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동작부재의 이동이 저지되는, 즉 제 2 모드로 되면, 동작 부재와 맞물려 있는 구동기어(b)의 회전이 저지되므로서, 상태 검출 레버(f)로의 상기 회전력의 부세가 해제되게 된다.
그러면, 상태 검출 레버(f)는 그 피압압핀(i)이 캠 기어(m)의 제1캠(o)의 중심부로 부터의 거리가 가장 먼 부분에 의해 압압된 위치, 즉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에 온 곳에서 그 이동이 멈추게 되며, 이 상태로부터 캠 기어(m)가 대략 반회전하여 가면, 제2캠(p)이 피압압핀(i)을 압압하여 상태 검출 레버(f)를 제 7 도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고, 그리고 상태 검출 레버(f)가 이 위치에 오는 것에 의해 도시하지 않은 모드 형성 수단이 동작되게 되어 있다.
그리고 동작부재가 동작하고 있지 않은 상태, 즉 제 2 모드로 된 것의 검출은 상태 검출 레버(f)에 회전력이 부세되지 않는 것에 의해 이루어진다.
제 7 도 및 제 8 도에 도시하는 상태 검출 기구(a)에 의한 상태 검출은 상기한 바와 같이 이루어지지만, 이와 같은 상태 검출기구는 구조가 복잡하고 또한 조립 작업이 성가시다는 등의 문제가 있다.
즉, 구동기어(b)의 회전력을 마찰 접촉에 의해 상태 검출 레버(f)에 전달하는 수단으로서 상태 검출 레버(f)를 구동기어(b)에 코일 스프링 (l)의 탄성력에 의해 탄성 접촉시킨다고 하는 구조를 이용하고 있기 때문에, 그 수단에 코일 스프링(l), 캡 몸체(j) 및 이 캡 몸체( j)의 지지축(d)으로 부터의 빠짐 방지를 행하는 와셔(g) 등의 특별한 부재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이들 부재의 수만큼 구성부품의 수가 증가하게 되므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며, 또한 비용이 높아짐과 동시에, 상기 코일 스프링(l) 및 캡 몸체(j)는 상태 검출 기구(a)의 높이 방향으로 배열되기 때문에, 그만큼 상태 검출 기구의 높이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리고, 상태 검출 레버(f), 코일 스프링(l) 및 캡 몸에(j)의 구동기어(b)에의 조립은 상태 검출 레버(f)의 기구(g) 및 코일 스프링(l)을 이 순서로 구동기어(b)에 외측에서 끼우고, 이어서 캡 몸체(j)를 구동기어(b)에 압입형상으로 외측에서 끼우고, 게다가 지지축(d)의 캡 몸체(j)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부분에 빠짐 방지 와셔(q)를 계합한다고 하는 순서로 행하게 되며, 더우기 이들 조립작업을 상태 검출 레버(f)나 캡 몸체(j)를 보유 지지하면서 행할 필요가 있으므로, 그 작업이 극히 귀찮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의 상태 검출 기구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소정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 회전하는 구동체와 이 구동체에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또한 구동체의 회전력이 마찰 접촉 수단을 거쳐 전달되는 상태 검출 레버를 가짐과 동시에, 구동체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상태 검출 레버에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세되므로서 소정의 동작 모드인 것이 검출되고, 구동체의 회전이 정지하였을 때는 상태 검출 레버에 대한 상기 회전력의 부세가 해제되므로서 상기 동작 모드와 다른 모드로 된 것이 검출되는 상태 검출 기구에 있어서, 상태 검출 레버를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하고 또한 그 구동체에 지지되는 부분에 휨탄성을 갖는 두 개의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태 검출 레버의 탄성편을 구동체에 그것을 양측으로부터 끼여지도록 탄성적으로 계합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상태 검출 기구에 의하면, 상태 검출 레버는 그것에 설치된 두 개의 탄성편이 구동체에 그것을 양측으로부터 끼여지도록 계합되므로서 이 구동체에 회전자재로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계합은 탄성편이 갖는 휨탄성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므로서, 상태 검출 레버를 구동함에 마찰 접촉시키기 위한 특별한 부재를 필요로 하지 않을 수가 있으며, 이에 따라 이러한 종류의 상태 검출 기구를 필요 최소한의 수의 부재로써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태 검출레버의 구동체에의 조립은 그 두 개의 탄성편을 구동체의 소정의 부분에 계합시키는 거세 의해 완료하므로서, 그 조립 작업을 극히 간단하게 할 수가 있다.
이하에, 본 고안의 상태 검출 기구의 상세를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역전 재생 기능을 구비한 오디오 테이프 플레이어(1)에 있어서의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에 적용한 것이다.
도면에 메카덱크와 외부 하우징의 전방벽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제 2 도 내지 제 4 도, 제 6a 도 및 제 6b 도를 참조하면, 2는 메카샤시이며, 이 메카샤시(2)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샤시부(3)와 후술하는 각 부의 대부분이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샤시부(3)는 그 후단쪽의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이 좌우 방향으로 길다란 대략 장방형상을 이룸과 동시에 후단쪽의 부분이 대략 M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이 M자형을 이루는 부분의 후단부로부터 릴다이 지지축(4, 4')이 세워 설치되고 또 전단부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아암 지지축(5, 5')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6(제 6a 도 및 제 6b 도 참조)은 샤시부(3)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비교적 키가 낮은 전방벽, 7, 7'는 카세트 위치 결정된, 8, 8'는 샤시부(3)에 인서트 성형되므로서 설치된 캡스턴지지 슬리브이다.
또한, 샤시부(3)에 형성된 각부중 상기한 각부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각 부재의 설명 중에서 관련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9는 플레이 모드를 형성하기 위한 플레이 레버이며, 이 플레이 레버(9)는 그 주요부(9a)가 좌우 방향으로 길다란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주요부(9a)의 후단 모서리로부터 두 개의 규제편(10, 10')이 후방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설치되어 있으며, 이 규제편(10, 10')의 각 후단부는 이들 후단부 사이의 간격이 다른 부분 사이의 간격보다 좁아지도록 서로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이다.
11은 플레이 레버(9)의 전단부 쪽의 위치에 장착된 자기 헤드, 12는 플레이 레버(9)의 전단부에 고정된 누름 보턴이다.
그리고, 플레이 레버(9)는 샤시부(3)의 상면에 일정한 범위 내에서 전후방향으로 이동자재로 되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항상 전방으로의 이동력을 부세되어 있으며, 후방으로 향해 압입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자기 헤드(11)가 오디오 테이프 플레이어(1)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13)의 전면에 약간 간격을 두고 전방으로부터 대향하는 위치(이하, 「비플레이 위치」라 칭함)에 보유 지지되고, 또 후방으로 향해 소정량 밀어넣어지므로서, 제 2 도에 도시하는 위치, 즉 자기 헤드(11)가 자기 테이프(14)중 테이프 카세트(13)의 전면부를 통과하고 있는 부분에 접촉하는 위치(이하, 「비플레이 위치」라 칭함)로 이동되며, 또한 이 플레이 위치에 보유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15, 15'는 캡스턴이며, 이들 캡스턴(15, 15')은 후술하는 캡스턴 풀리로부터 세워 설치됨과 동시에 그 대략 하측반분이 상기 캡스턴지지 슬리브(8, 8')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두 개의 캡스턴(15, 15')중 우측의 캡스턴(15)이 전진 플레이 모드, 즉 자기 테이프(14)를 전진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재생을 행하는 모드에 있어서 기능을 수행하는 캡스턴(이하, 「F측 캡스턴」이라 칭함)이며, 좌측의 캡스턴(15')이 역전 플레이 모드, 즉 자기 테이프(14)를 역전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재생을 행하는 모드에 있어서 기능을 수행하는 캡스턴(이하, 「R측 캡스턴」이라 칭함)이다.
16, 16'는 릴다이이며, 이 릴다이(16, 16')는 비교적 직경이 큰 기어부(16a, 16a')와 이 기어부(16a, 16'a)의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릴 계합축(16b, 16'b)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메카샤시(2)의 샤시부(3)에 설치된 상기 릴다이 지지축(4, 4')에 회전 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13)가 오디오 테이프 플레이어(1)에 장착되면, 두 개의 테이프릴(17, 17')이 상기 릴다이(16, 16')의 릴 계합축(16b, 16'b)의 각각 별도로 계합되고, 그에 따라 우측의 테이프 릴(17)(이하, 「T릴」이라 칭함)이 우측의릴다이(16)(이하, 「F측 릴다이」라 칭함)와, 좌측의 테이프 릴(17')(이하, 「S릴」이라 칭함)이 좌측의 릴다이(16')(이하, 「R측 랄다이」라 칭함)와 각각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상태로 된다.
18 및 18'는 핀치롤러이다.
19, 19'는 핀치 롤러 아암이며, 이 핀치롤러 아암(19, 19')은 그 기단부가 샤시부(3)에 설치된 상기 아암 지지축(5, 5')에 회전 자재로 지지됨과 동시에 그 회전단부에 지지축(20, 20')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축(20, 20')에 핀치롤러(18, 18")가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20, 20')의 하단부는 샤시부(3)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을 통해 샤시부(3)의 하방에까지 도달하여 후술하는 방향성 슬라이더에 설치된 핀치롤러 규제편과 대양되어 있다.
21은 방향성 슬라이더이다. 이 방향성 슬라이더(21)는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의 핀치롤러 아암(19, 19')의 위치를 규제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아이들러 레버에 소정 방향으로서의 회전력을 부세하기 위한 부재이며, 샤시부(3)의 하면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이 자유롭도록 지지됨과 동시에, 그 좌우방향으로 길다란 기부(21a)의 우단부 및 좌단부의 위치로부터 핀치롤러 규제편(22, 22')이 올려 세워진 형상으로 설치되고, 또 기부(21)의 우단쪽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21b)에 대략 직사각형을 이루는 캠 배치구멍(23)이 형성되며, 더욱이 돌출부(21b)의 후단으로부터 좌측으로 향행 돌출된 대략 L자형으로 이루는 아암(21c)에 대략 가위형으로 이루는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24)이 지지되어 있고 후술하는 방향성 기어에 의해 제 3 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전진 위치와 동도면에 그 일부를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역전위치 사이에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방향 슬라이더(21)가 전진 위치에 오고 있을 때는 핀치롤러 규제편(22, 22')의 우측 규제편(22)이 우측의 핀치롤러 아암(19)의 지지축(20)의 후방으로부터 약간 좌측으로 도피한 위치에 와 있고, 또한 좌측의 핀치롤러 규제편(22')이 좌측으로 핀치롤러 아암(19')의 지지축(20')에 후방으로부터 대향하여 위치하며, 또 방향성 슬라이더(21)가 역전 위치로 이동하면, 우측의 핀치롤러 규제편(22)이 우측의 핀치롤러 아암(19)의 지지축(20)에 후방으로부터 대향하여 위치하고 또한 좌측의 핀치롤러 규제편(22')이 좌측의 핀치롤러 아암(19')의 지지축(20')의 후방으로부터 약간 우측으로 도피한 위치에 오도록 되어 있다.
또한, 핀치롤러 아암(19, 19')은 플레이 레버(9)가 비플레이 위치에 오고 있을 때는, 이 플레이 레버(9)에 의해 그 핀치롤러(18, 18')가 캡스틴(15, 15')에 전방으로부터 약간 떨어져서 대향하는 위치에 지지되어 있으며, 플레이 레버(9)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되므로서 캡스틴(15, 15') 측을 향해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방향성 슬라이더(21)가 전진 위치에 와 있는 상태로부터 플레이 레버(9)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하면, 제 3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핀치롤러 아암(19)은 핀치롤러(18)가 F측 캡스턴(15)에 압착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지만, 좌측의 핀치롤러 아암(19')은 핀치롤러(18')가 R측 캡스턴(15')에 접촉하기 직전의 위치까지 온 곳에서 지지축(20')이 방향성 슬라이더(21)의 좌측 핀치롤러 규제편(22')에 맞닿아 그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되게 한다.
또, 이와는 반대로 방향성 슬라이더(21)가 역전 위치에 와 있는 상태로부터 플레이 레버(9)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하였을 때는, 좌측 핀치롤러 아암(19')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방향성 슬라이더(21)의 핀치롤러 규제편(22')에 의해 저지되는 일이 없으므로, 핀치롤러(18')가 R측 캡스턴(15')에 압축되게 되지만, 우측의 핀치롤러 아암(19)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방향성 슬라이더(21)의 핀치롤러 규제편(22)에 의해 저지되기 때문에, 핀치롤러(18)가 F측 캡스턴(15)으로부터 약간 떨어진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25는 상기 두 개의 릴다이(16, 16')를 선택적으로 구동하기 위한 아이들러 기어, 26은 이 아이들러 기어(25)를 지지하고 있는 아이들러 레버(26)는 대략 전후방향으로 길다란 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로부터 약간 앞쪽의 위치가 샤시부(3)중 후단 모서리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부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지지축(27)의 샤시부(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부분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으며, 그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지지축(28)에 아이들러 기어(25)가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29는 아이들러 레버(26)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한 피압압핀, 30은 아이들러 레버(26)의 전단부 상면에 피규제 돌기부이다.
또, 아이들러 기어(25)는 릴다이(16, 16')의 기어부(16a, 16a')의 직경의 절반 정도의 직경을 갖는 대기어(25a)와 이 대기어(25a)의 상면에 위치한 소기어(26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대기어(25a)가 후술하는 전달 기어 블록의 제2기어와 항상 맞물려 있고, 이 제2기어에 의해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히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31은 샤시부(3)의 상면중 아이들러 레버(26)의 우측 위치에 설치된 중간 기어이며, 이 중간 기어(31)는 F측 릴아디(16)의 기어부(16a)와 항상 맞물려 있다.
그리고, 아이들러 레버(26)의 피압압핀(29)의 하단부는 상기 방향성 슬라이더(21)에 설치된 아이들러 압압스프링(24)의 두 개의 아암(24a, 24b)의 선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이들러 레버(26)는 방향성 슬라이더(21)가 전진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 3 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피압압핀(29)이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24)의 우측 아암(24a)에 의해 좌측을 향해 압압되므로서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세받고 방향성 슬라이더(21)가 역전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동도면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같이 피압압핀(29)이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24)의 좌측 아암(24b)에 의해 우측을 향해 압압되므로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세받고 있다.
또, 아이들러 레버(26)의 피규제 돌기부(30)는 플레이 레버(9)의 상기 두 개의 규제편(10, 10)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플레이 레버(9)가 비플레이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규제편(10, 10')의 후단부가 상기 피규제 돌기부(30)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대략 끼여지도록 위치하므로서, 아이들러 레버(26)가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24)에 의해 부세된 상기 회전력에 저항하여 그 회전 범위의 대략 중간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아이들러 레버(26)가 이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 아이들러 레버(26)가 그 소기어(25b)가 R측 릴다이(16')의 기어부(16'a) 및 중간 기어(31)의 어느 것에도 맞물러 있지 않은 위치(이하, 「중립위치」라 칭함)에 보유 지지된다.
그래서, 플레이 레버(9)가 비플레이 위치에 와 있는 상태로부터 플레이 위치로 이동하면, 제 2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편(10, 10')의 후단부가 아이들러 레버(26)의 피규제 돌기부(30)보다 후방 위치로 도피하기 때문에, 아이들러 레버(26)의 규제편(10, 10')에 의한 위치의 규제가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방향성 슬라이더(21)가 전진 위치에 와 있으면, 아이들러 레버(26)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이들러 기어(25)의 소기어(25b)가 중간 기어(31)와 맞물리고 또 방향성 슬라이더(21)가 역전 위치에 와 있으면, 아이들러 레버(26)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이들러 기어(25)의 소기어(25b)가 R측 릴다이(16')의 기어(16'a)와 맞물리게 된다.
이제 제 1 도 내지 제 4 도, 제 6a 도 및 6b 도를 참조하면, 32는 모터이며, 이 모터(32)는 샤시부(3)의 하면 우단부에 고정됨과 동시에 그 회전축(32a)에 비교적 직경이 작은 풀리(33)가 고착되어 있다.
34, 34'는 캡스턴 풀리이며, 이 캡스턴 풀리(34, 34')는 이보다 약간 큰 직경의 플라이휘일(35, 35')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고, 이들 캡스턴 풀리(34, 34')의 중심에 상기 캡스턴(15, 15')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36은 우측의 캡스턴 풀리(34)의 상면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기어부이다.
또한, 모터(32)는 플레이 레버(9) 및 그밖의 도시하지 않은 모드 레버 중 어느 것인가가 밀어 넣어지므로서 회전되고, 그 회전 방향은 시계 회전 방향이다.
한편, 37은 상기 아이들러 기어(25) 등을 구동함과 동시에 후술하는 요동 레버에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부세하기 위한 전달 기어 블록이다.
38은 전달 기어 블록(37)의 제1회전체이며, 이 제1회전체(38)는 상기 캡스턴 풀리(34, 34')보다 약간 직경이 큰 풀리(39)와, 이 풀리(39)의 상면 중심부와 외주모서리 사이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돌출하고 또한 그 상부가 기어(40)(이하, 「제1기어」라 칭함)에 형성된 키가 낮은 원통부(41)와, 풀리(39)의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대략 원통형상을 이룬 보스(4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원통부(41)는 내주면에는 복수의 계합부(43), (43). …(도면에서는 1개만 도시하고 있음)가 형성되어 있다.
또, 44는 전달 기어 블록(37)의 제2회전체이며, 이 제2회전체(44)는 상기 제1회전체(38)의 원통부(41)의 내경보다 직경이 작은 외경을 갖는 원판(45)과 이 원판(45)의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원통부(4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원통부(46)의 외주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이 원통부(46)의 높이의 1/3 정도의 폭을 갖고 원주방향으로 연장하는 비교적 얕은 게합홈(47)이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원통부(46)의 상기 게합홈(47)으로부터 상방의 부분이 기어(48)(이하, 「제2기어」라 칭함)로 형성되어 있다.
49는 제1회전체(38)의 상면을 폐쇄하도록 부착된 캡 몸체이며, 이 캡 몸체(49)는 대략 환상을 이루는 주요부(49a)와 이 주요부(49a)의 내주면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내측으로 돌출한 폐쇄편(49b)과 주요부(49a)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복수의 계합편(49c), (49c), …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그 계합편(49c), (49c), …의 하방으로부터 계합하므로서 상방으로의 빠짐 방지가 이루어지고 있다.
그리고, 제1회전체(38)와 제2회전체(44)는 제1회전체(38)의 보스(42)가 제2회전체(44)의 원통부(46)에 회전 자재로 삽입됨과 동시에 원판(45)의 하면과 풀리(39)의 상면 사이에 마찰판(50)이 개재되고, 또한 상기 원판(45)과 캡 몸체(49)의 폐쇄편(49b)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51)이 끼여 삽입된 상태에서 서로에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회전체(38)의 회전은 마찰판(50)을 거쳐서 제2회전체(44)에 전달되므로서, 제2회전체(44)에 일정치 이상의 부하가 가해지고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제1회전체(38)와 제2회전체(44)가 일체적으로 회전되고, 상기 부하가 일정치를 초월하면 제1회전체(38)와 제2회전체(44)사이의 접촉부가 미끄러져 풀리게 된다.
그리고, 전달 기어 블록(37)은 그 제1회전체(38)의 보스(42)에 상기 지지축(27), 즉 아이들러 레버(26)가 지지된 지지축의 샤시부(3)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이 삽입 관통되므로서 상기 지지축(27)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으며, 또 그 제2기어(48)에 상기 아이들러 기어(25)의 대기어(25a)가 항상 맞물려 있다.
또한, 제1기어(40)에는 도시하지 않은 고속주행용 기어가 결고떼기 자유롭게 맞물려지게 되어 있다.
특히 제 3 도를 참조하면, 52는 무단형의 벨트이며, 이 무단형 벨트(52)는 상기 모터(32)의 풀리(33) - 우측의 캡스턴 풀리(34)-좌측의 캡스턴 풀리(34')-전달 기어 블록(37)의 풀리(39)에 이 순서로 감겨져 있고, 우측의 캡스턴 풀리(34)에는 후방을 향해 있는 부분에, 또 좌측의 캡스턴 풀리(34')에는 전방을 향해 있는 부분에 각각 감겨져 있다. 따라서, 두 개의 캡스턴 풀리(34, 34')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그래서, 모터(32)가 회전하면, 벨트(52)가 주행되고, 그에 따라 우측의 캡스턴 풀리(34)가 제 3 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좌측의 캡스턴 풀리(34') 및 전달 기어 블록(37)이 동도면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각각 회전되게 되며, 이에 따라 F측 캡스턴(15) 및 아이들러 기어(25)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R측 캡스턴(15')이 시계 회전방향으로 각각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플레이 레버(9)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하면, 모터(32)가 회전되고, 캡스턴(15,15'), 전달 기어 블록(37) 및 아이들러 기어(25)가 회전됨과 동시에 방향성 슬라이더(21)가 전진 위치에 와 있을때(이하, 「전진상태」라 칭함)에는 우측의 핀치롤러(18)가 F측 캡스턴(15)에 압착되며, 또한 아이들러 기어(25)의 소기어(25b)가 중간 기어(31)를 거쳐 F측 릴다이(16)의 기어부(16a)와 맞물리고 또 방향성 슬라이더(21)가 역전 위치에 와 있을 때(이하, 「역전 상태」라 칭함)에는 좌측의 핀치롤러(18)가 R측 캡스턴(15')에 압착되며, 또한 아이들러 기어(25)의 소기어(25b)가 중간기어(31)를 거쳐 F측 릴다이(16)의 기어부(16a)와 맞물리고, 또 방향성 슬라이더(21)가 역전위치에 와 있을때(이하, 「역전 상태」라 칭함)에는 좌측의 핀치롤러(18)가 R측 캡스턴(15')에 압착되며, 또한 아이들러 기어(25)의 소기어(25b)가 R측 릴다이(16')의 기어부(16'a)와 맞물러지게 되고, 그에 따라 전진 상태에 있어서는 F측 릴다이(16)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또 역전 상태에 있어서는 R측 릴다이(16')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13)가 플레이어(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상기한 모드, 즉 플레이 모드로 되면, 자기 헤드(11)가 자기 테이프(14)에 접촉함과 동시에 자기 테이프(14)는 전진 상태에 있어서는 F측 캡스턴(15)과 이것에 압착한 우측의 핀치롤러(18)에 의해 끼어져서 전진 방향으로 정속으로 주행되고, 또한 T릴(17)에 감겨져 가게 되며, 역전 상태에 있어서는 R측 캡스턴(15')가 이것에 압착한 좌측의 핀치롤러(18')에 의해 끼여져서 역전방향으로 정속으로 주행되며, 또한 S릴(17')에 감겨져 가게 된다.
또한,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의 테이프의 주행 방향은 후술하는 테이프 주행 방향 절환 기구에 의해 절환된다.
이제 제 1 도, 제 3 도 내지 제 6a 도 및 제 6b 도를 참조하면, 53은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이며, 이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53)는 상기한 전달 기어 블록(37)의 제2회전체(44)와, 이 제2회전체(44)에 지지된 요동 레버와, 캠기어 등으로 이루어진다.
54는 요동 레버로서, 이 요동 레버(54)는 대략 L자형을 이루는 판형상으로 형성된 주요부(55)와, 이 주요부(55)의 좌단으로부터 대략 좌측을 향해 돌출한 두 개의 탄성편(56, 56)이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두 개의 탄성편(56, 56)은 전후 방향에 있어서 대칭을 이루는 대략 사다리꼴형으로 형성되어 있다. 즉 탄성편(56, 56)은 주요부(55)의 좌단부로부터 좌측을 향해 대략 V자형으로 열린 상태로 돌출한 연속편(57, 57)과, 이 연속편(57, 57)의 선단으로부터 좌측을 향해 서로 대략 평행으로 연장하는 중간편(58, 58)과, 이 중간편(58,58)의 좌단으로부터 좌측을 향해 돌출한 스프링 걸림편(59,59)으로 이루어짐과 동시에, 중간편(58, 58)의 좌단부는 비교적 작은 대략 원판형을 이루고, 또한 그 대부분이 중간편(58, 58)의 그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서로에 내측으로 향해 돌출하도록 위치한 계합부(58a, 58a)(제 1 도에 파선으로 도시하였음)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스프링 걸림편(59, 59)은 상기 계합부(58a, 58a)의 대략 좌측을 향한 부분의 상부로부터 돌출하도록 위치되고, 또한 그 서로에 대향하는 대향면은 선단으로 감에 따라 이를 사이의 간격이 넓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중간편(58, 58) 사이의 간격은 전달 기어 블록(37)의 제2회전체(44)에 형성된 상기 계합홈(47)의 직경보다 약간 좁게 되어 있다.
62는 주요부(55)에 형성된 긴구멍이며, 이 긴구멍(62)은 두개의 탄성편(56,56)에 의해 둘러싸인 공간의 대략중심을 중심으로 한 원호를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주요부(55)중 전후방향으로 길다란 부분의 후단쪽의 부분을 제외한 부분은 전단으로 감에 따라 그 폭이 넓어지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그 전단 모서리를 따른 부분에는 좌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향해 돌출한 걸림돌기부(60)와 우단부로부터 하방으로 향해 돌출한 당접 돌기부(6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주요부(55)와 탄성편(56, 56)이 연속하는 부분은 전방에서 보아 대략 크랭크 형성으로 굴곡되어 있으며, 탄성편(56, 56)의 주요부(55)보다 약간 낮은 위치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이와 같이 구성된 요동 레버(54)는 상기 전달 기어 블록(37)의 제2회전체(44)에 다음과 같이 지지된다.
이 요동 레버(54)의 제2회전체(44)에의 지지는 그 탄성편(56, 56)의 선단부, 즉 스프링 걸림편(59, 59)을 제2회전체(44)의 계합홈(47)에 측방으로부터 접촉하도록 대향시킨 상태에 요동 레버(54)를 제2회전체(44)측으로 압압하므로서 이루어진다.
즉, 상기한 상태로부터 요동레버(54)를 압압하면, 먼저 제 1 도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중간편(58, 58)의 계합부(58a, 58a)가 계합홈(47)에 의해 상대적으로 압압되므로서, 주로 그 중간편(58, 58)이 일단 V자형으로 열리도록 변형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계합부(58a, 58a)가 계합홈(47)의 중심으로부터 반 주요부(55)측으로 치우친 곳까지 오면, 이번은 중간편(58, 58)이 상기한 바와 같이 변형되므로서 모여진 탄성력에 의해 그 계합부(58a, 58a)이 계합홈(47)의 원주면을 반 주요부(55) 측으로 미끄러지도록 이동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 1 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연속편(57, 57)의 내면의 대략 중앙부와 중간편(58, 58)의 계합부(58a, 58a)가 계합홈(47)의 원주면을 대략 양측으로부터 끼여지도록 하여 상기 원주면에 탄성 접촉하고, 또한 중간편(58, 58)의 내면의 대략 중앙부가 계합홈(47)의 원주면을 양측으로부터 끼여지도록 탄성 접촉하게 된다.
그리고 요동레버(54)는 그 탄성편(56k, 56)이 제 2 회전체(44)의 계합홈(47)에 상기한 바와 같이 탄성 접촉하므로서 이 제2회전체(44)에 회전자재로 또한 마찰 접촉한 상태로 지지되게 된다.
63은 탄성편(56, 56)의 스프링 걸림편(59, 59) 사이에 걸쳐진 비교적 탄성력이 작은 인장 스프링이며, 두 개의 탄성편(56, 56)의 제2회전체(44)에 대한 압착은 탄성편(56, 56) 자체에 발생하고 있는 탄성력과 이 인장 스프링(63)에 의해 부세된 탄성력에 의해 이루어지게 된다.
또한, 요동 레버(54)의 제2회전체(44)로부터의 상방으로 빠짐 방지는 그 탄성편(56, 56)이 계합홈(47)의 상측면에 맞닿음으로서 이루어진다.
또, 요동레버(54)의 제2회전체(44)에 대한 상기한 바와 같은 부착은 그 긴구멍(62)의 우측 모서리가 샤시부(3)의 하면으로부터 돌출한 대략 L자형을 이루는 지지편(64)에 미끄럼 이동 가능하게 계합되는 상태로 이루어지며, 요동 레버(54)는 그 탄성편(56, 56)이 제2회전체(44)에 지지되고, 또한 그 긴구멍(62)의 우측 모서리부가 상기 지지편(64)의 수평부에 의해 하방으로부터 지지되므로서 수평한 자세로 지지되게 된다.
제 3 도, 제 5 도 및 제 6a 도 및 제 6b 도에 있어서, 65는 캠 기어이며, 이 캠 기어(65)는 평 기어 형상을 이루는 기어부(66)와 이 기어부(66)의 상면에 형성된 제1캠(67) 및 제1캠(68)과 기어부(66)의 하면에 형성된 소기어(69)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캠(67)은 기어부(66)의 중심부에 형성된 삽입관통구멍(70)을 둘러싸는 위치로부터 상기 삽입관통구멍(70)과 외주 모서리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까지의 부분에 대략 타원형을 이루는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제1캠(67)의 외주면, 즉 캠면은 삽입관통구멍(70)을 둘러싸도록 위치하는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로 감에 따라 캠 기어(65)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서서히 길어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캠(68)은 기어부(66)의 외주 모서리와 제1캠(67)의 기단부 사이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함과 동시에 그 외측을 향한 캠면이 우회전방향으로 감에 따라 캠 기어(65)의 중심에 가깝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 기어(65)는 샤시부(3)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향해 돌출 설치된 지지축(71)에 회전자재로 지지됨과 동시에 그기어부(66)가 우측의 캡스턴 풀리(34)에 형성된 기어부(36)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캠 기어(65)는 모터(32)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항상 회전하고 있는 것으로 되며, 그 회전방향은 제 3 도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방향이다.
또한, 상기 요동 레버(54)의 당접 돌기부(61)는 통상의 상태에 있어서의 캠 기어(65)의 제1캠(67)의 캠면에 접촉하도록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제 3 도 및 제 6a 도에 있어서, 모터(32)가 회전하면, 전달 기어 블록(37)이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이 전달 기어 블록(37)의 제2회전체(44)와 상기한 바와 같이 마찰 접촉하고 있는 요동레버(54)에 제 2회전체(44)의 회전력이 전달되기 때문에, 요동레버(54)에 제 3 도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세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이, 요동 레버(54)의 당접돌기부(61)는 캠 기어(65)의 제1캠(67)의 캠면에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이 당접 돌기부(61)가 제1캠(67)의 캠면에 맞닿으므로서 그 이상 시계 회전방항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게 되며, 따라서 요동 레버(54)는 제2회전체(44)에 대해 미끄러져 풀림과 동시에 그 당점 돌기부(61)가 캠 기어(65)의 제1캠(67)의 캠면에 압착되게 된다.
또, 이와 동시에, 모터(32)가 회전하면 캠 기어(65)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서, 제1캠(67) 및 제2캠(68)이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지만, 제1캠(67)의 캠면은 그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로 감에 따라 캠 기어(65)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캠 기어(65)가 회전하면 제1캠(67)의 캠면의 요동 레버(54)의 당점 돌기부(61)와 대향하는 위치의 캠 기어(65)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제1캠(67)의 캠면에 압착하고 있는 당점 돌기부(61)는 제1캠(67)의 캠면의 상기 거리의 변화에 따라서 대략 전후 방향으로 주기적으로이동되게 되며, 이에 따라 요동 레버(54)가 제 3 도에 도시하는 위치와 제 6a 도에 도시하는 위치 사이를 주기적으로 이동, 즉 요동되게 되고, 이 요동은 제 2회전체(44) 및 캠 기어(65)가 회전하고 있는 한 연속하여 행해지게 되며, 또 그 요동 스트로크, 즉 상기한 두 개의 위치 사이의 이동 거리는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리고, 플레이 모드로부터의 테이프 엔드, 즉 T릴(17)에 의한 자기 테이프(14)의 권취가 완료하였을 때, 혹은 S릴(17')에 의한 자기 테이프(14)의 권취가 완료하였을 때는, 이들 테이프 릴(17, 17')이 장착되어 있는 F측 릴다이(16) 또는 R측 릴다이(16')의 회전이 저지되므로서, 이 부하에 따라 이들 릴다이(16, 16')에 아이들러 기어(25)나 중간 기어(31)를 거쳐 맞물려 있는 전달 기어 블록(37)의 제 2회전체(44)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또한, 이때 제1회전체(38)는 제2회전체(44)에 대해 미끄러져 풀리면서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그때까지 제2회전체(44)가 회전하므로서 요동 레버(54)에 부세되어 있던 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없어지므로서, 요동레버(54)의 당접 돌기부(61)의 캠 기어(65)의 제1캠(67)의 캠면에 대한 압착력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로 되면, 요동 레버(54)의 당접 돌기부(61)는 제1캠(67)의 선단부에 의해 전방으로부터 압압된 곳에서 그 위치, 즉 제 6a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65)의 제2캠(68)의 끝이 뾰족한 부분의 회전궤적보다 외측의 위치에 있어서 이동이 멈춰지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캠 기어(65)가 더욱 회전하면 제 6a 도에 이점쇄선으로도시한 바와 같이 제2캠(68)의 끝이 뾰족한 부분이 요동레버(54)의 당접 돌기부(61)에 대략 전방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이어서 제2캠(68)의 캠면이 상기 당접 돌기부(61)를 대략 후방으로 향해 압압하게 된다.
이에 따라, 요동 레버(54)가 제 6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욱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 즉 상기 요동 스트로크의 범위를 초과한 위치(이하, 「테이프 엔드 위치」라 칭함)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요동레버(54)가 이와 같이 하여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하면, 그 걸림 돌기부(60)가 후술하는 트리거 레버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되며, 그에 따라 소정의 테이프 엔드 동작, 즉 테이프 주행 방향의 자동 절환이나 자동 차단 등의 동작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지만, 여기서는 테이프 주행 방향의 자동 절환 만에 대해 간단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72는 샤시부(3)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 설치된 지지축(73)에 회전자재로 지지된 방향성 기어이며, 이 방향성 기어(72)는 그 외주부의 대략 180° 떨어진 위치에 치결부(72a, 72b)가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방향성 슬라이더(21)에 형성된 캠 배치구멍(23)에 위치한 편심 캠(74)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치결부(72a, 72b) 이외의 부분이 상기 캠 기어(65)의 소기어(69)와 대향한 방향으로 된 상태에 있어서 이 소기어(69)와 맞물러 회전됨과 동시에, 치결부(72a, 72b)가 소기어(69)와 대향한 곳에서 그 회전이 정지되며, 또 한쪽 치결부(72a)가 상기 소기어(69)와 대향한 제1위치에 오므로서 그 캠(74)이 방향성 슬라이더(21)를 역전 위치에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75는 트리거 레버이며, 이 트리거 레버(75)는 전후 방향으로 길다란 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상기 지지측(73) 및 메카샤시(2)의 전방벽(6)에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이 자유롭도록 이동되며, 또한 인장 스프링(76)에 의해 항상 전방으로의 이동력을 부세받은 상태로 되어 있고, 그 방향성 기어(72)에 하방으로부터 대향하는 면에 제어 돌기편(77)이 형성되며, 또 그 후단부는 측방에서 보아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 ㄷ자형의 부분의 상편을 이루는 피압압편(78)의 우단부가 상기 요동 레버(54)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60)에 대략 우측으로 경사져 후방으로 약간 간격을 두고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 레버(75)가 그 이동 범위에 있어서의 전방단의 위치에 와 있고 또한 방향성 기어(72)가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제어 돌기편(77)에 방향성 기어(72)의 하면에 형성된 스토퍼 돌기부(79, 79')의 어느 것인가 한쪽이 대략 좌측으로부터 맞닿아 있으며, 이에 따라 방향성 기어(72)의 회전이 저지되어 있다.
그래서 플레이 모드로부터 테이프 엔드의 상태로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요동레버(54)가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면서, 이때 요동 레버(54)에 형성된 걸림 돌기부(60)가 제 6b 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트리거 레버(75)의 피압압편(78)의 우단부를 대략 뒤로 경사져 우측으로 압압하여 트리거 레버(75)를 소정량 후방으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트리거 레버(75)의 제어 돌기편(77)이 방향성 기어(72)의 스토퍼 돌기부(79)(또는 79')의 이동을 저지하지 않은 위치로 도피함과 동시에 스토퍼 돌기부(79, 79')에 방향성 기어(72)의 중심측으로부터 대향한 위치에 설치된 피이송 돌기부(80)(또는 80')의 경사면을 압압하게 되며, 이에 따라 방향성 기어(72)가 약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캠 기어(65)의 소기어(69)와 맞물리므로서, 방향성 기어(72)가 상기 소기어(69)에 의해 반시계 히전방향으로 대략 반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방향성 슬라이더(21)가 전진 위치로부터 역전 위치로 혹은 이 역의 위치로 이동되며, 그에 따라 테이프 주행 방향이 절환되게 된다.
이상에 기재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상태 검출기구는 소정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 회전하는 구동체와 이 구동체에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또한 구동체의 회전력이 마찰 접촉 수단을 거쳐 전달되는 상태 검출 레버를 가짐과 동시에, 구동체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상태 검출 레버에 소정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세되므로서 소정의 동작 모드인 것이 검출되고 구동체의 회전이 정지하였을 때는 상태 검출 레버에 대한 상기 회전력이 부세가 해제되므로서 상기 동작 모드와 다른 모드로 된 것이 검출되는 상태 검출기구로써, 상기 검출 레버를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하고 또한 그 구동체에 지지되는 부분에 휨탄성을 갖는 두 개의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검출 레버의 탄성편을 구동체에 그것을 양측으로부터 끼여지도록 탄성적으로 계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상태 검출 레버는 그 두 개의 탄성편이 구동체에 그것을 양측으로부터 끼여지도록 계합하므로서 이 구동체에 회전자재로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계합은 탄성편이 갖는 휨탄성에 의해 탄성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따라서, 본고안의 상태 검출기구에 의하면, 특별한 부재로 이루어진 마찰 접촉 수단을 이용하지 않고도 상태 검출 레버를 구동체에 회전자재로 지지하고 또한 마찰 접촉시킬 수 있으므로, 이러한 종류의 기구를 필요 최소한의 수의 부재로서 구성할 수 있음과 동시에, 상태검출 레버의 구동체에의 조립은 두 개의 탄성편의 구동체의 소정 부분에 계합시키므로서 완료하므로, 그 조립 작업을 극히 간략화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상태 검출 레버의 두 개의 탄성편의 선단부 사이에 인장 스프링을 걸친 상태로 설치하도록 하였지만, 이렇게 하면 온도변화 등에 의해 탄성편 자체의 탄성편이 저하해도 탄성편과 구동체 사이의 마찰력을 소정의 강도로 유지할 수가 있다.
게다가, 본 고안에 있어서는 상태 검출 레버에 이와 같은 인장 스프링을 설치할 것인가 아니가는 임의이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고안을 테이프 엔드 검출기구에 적용한 것을 도시하였지만, 본 고안은 이와 같은 적용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소정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 회전하는 구동체와 이 구동체에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또한 구동체의 회전력이 마찰 접촉 수단을 거쳐서 전달되는 상태 검출 레버를 가짐과 동시에, 구동체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상태 검출 레버에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부세되므로서 소정의 동작 모드인 것이 검출되고, 구동체의 회전이 정지하였을 때는 상태 검출 레버에 대한 상기 회전력의 부세가 해제되므로서 상기 동작 모드와 다른 모드로 된 것이 검출되는 각종의 상태 검출기구에 적용할 수가 있다.
Claims (1)
- 소정의 동작 모드에 있어서 회전하는 구동체와 이 구동체에 회전자재로 지지되고 또한 구동체의 회전력이 마찰 접촉 수단을 거쳐서 전달되는 상태 검출 레버를 가짐과 동시에, 구동체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상태 검출 레버에 소정 방향으로서의 회전력이 부세되므로서 소정의 모드인 것이 검출되고, 구동체의 회전이 정지하였을 때는 상태 검출 레버에 대한 상기 회전력의 부세가 해제되므로서 상기 동작 모드와 다른 모드로 된 것이 검출되는 상태 검출기구에 있어서, 상태 검출 레버를 합성수지에 의해 형성하고 또한 그 구동체에 지지되는 부분에 휨탄성을 갖는 두 개의 탄성편을 일체로 형성함과 동시에, 상태 검출 레버의 탄성편을 구동체에 그것을 양측으로부터 끼여지도록 탄성적으로 계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태 검출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1987044085U JP2506565Y2 (ja) | 1987-03-25 | 1987-03-25 | 状態検出機構 |
JP44085 | 1987-03-25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8555U KR880018555U (ko) | 1988-10-29 |
KR940002833Y1 true KR940002833Y1 (ko) | 1994-04-23 |
Family
ID=126817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880003839U KR940002833Y1 (ko) | 1987-03-25 | 1988-03-23 | 상태 검출 기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2506565Y2 (ko) |
KR (1) | KR940002833Y1 (ko) |
Family Cites Familie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JPH0656680B2 (ja) * | 1986-12-31 | 1994-07-27 |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 テ−プ駆動装置のオ−トストツプ機構 |
-
1987
- 1987-03-25 JP JP1987044085U patent/JP2506565Y2/ja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88
- 1988-03-23 KR KR2019880003839U patent/KR940002833Y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8555U (ko) | 1988-10-29 |
JP2506565Y2 (ja) | 1996-08-14 |
JPS63153331U (ko) | 1988-10-07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5295638A (en) | Reel driving apparatus for a videocassette recorder | |
KR940002833Y1 (ko) | 상태 검출 기구 | |
KR900007310Y1 (ko) |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 | |
JPH0629798Y2 (ja) | テープレコーダのリバース装置 | |
KR940006388B1 (ko) | 오토리버스식 기록 재생장치 | |
US5018401A (en) | Translation cam means | |
KR940002832Y1 (ko) |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 |
US4809101A (en) | Automatic stopping mechanism for a tape feeding device | |
EP0267756A2 (en) | Mode-change mechanism for a tape recorder | |
US5506741A (en) | Operation mode change-over device of a tape recorder and a reel rotation stoppage detection mechanism therefor | |
KR0127484B1 (ko) | 누름 단추 기구 | |
KR970002833B1 (ko) | 동작 상태 선택 기구 | |
JP2621386B2 (ja) | テープ終端検出装置 | |
JPH0610513Y2 (ja) | テ−プレコ−ダ | |
JPS5853720Y2 (ja) | 記録再生装置の早送り−巻戻し切換機構 | |
JPH0624018Y2 (ja) | テ−プレコ−ダにおけるモ−ド切換機構 | |
US6105892A (en) | Autoreverse mechanism | |
JP2725288B2 (ja) | テープレコーダ | |
JP2571718B2 (ja) |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モード切換装置 | |
KR0121855Y1 (ko) | 테이프 플레이어 | |
KR900003600B1 (ko) | 테이프 구동장치의 자동 정지 기구 | |
JP3099532U (ja) | 磁気テープ走行モード切換え装置 | |
JP2506587Y2 (ja) | ピンチロ―ラ圧着機構 | |
KR940007619B1 (ko) | 오토 리버스형 카세트 레코더의 핀치 암 구동장치 | |
JP2746579B2 (ja) | テープレコーダ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REGI |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20320 Year of fee payment: 9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