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3600B1 - 테이프 구동장치의 자동 정지 기구 - Google Patents

테이프 구동장치의 자동 정지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3600B1
KR900003600B1 KR1019870000426A KR870000426A KR900003600B1 KR 900003600 B1 KR900003600 B1 KR 900003600B1 KR 1019870000426 A KR1019870000426 A KR 1019870000426A KR 870000426 A KR870000426 A KR 870000426A KR 900003600 B1 KR900003600 B1 KR 9000036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pe
rail
gear
cam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04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349A (ko
Inventor
신사꾸 다나가
다다오 아라다
Original Assignee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신사꾸 다나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신사꾸 다나가 filed Critical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700004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3600B1/ko
Priority to KR1019870001830A priority patent/KR900008492B1/ko
Publication of KR8800093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3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36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36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2Stopping mea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Convey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구동장치의 자동 정지 기구
제 1 도, 제 2 도는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의 개략 평면도 및 저면도.
제 3 도, 제 4 도는 정지 기구와 계지부재와의 관계 평면도.
제 5 도 내지 제 7 도는 FF/REW 절환레버의 평면도, 정면도 및 제 6 도의 VII-VII선의 단면도.
제 8 도, 제 9 도는 회전 검출부재의 평면도 및 정면도.
제 10 도, 제 11 도는 요동부재의 평면도 및 정면도.
제 12 도, 제 13 도는 컴 원판의 평면도 및 종 단면도.
제 14 도는 기어 프레이트의 평면도.
제 15 도는 헤드 프레이트의 평면도.
제 16 도 내지 제 19 도는 핀치롤러 레버의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및 사시도.
제 20 도는 정지 기구와 계지부재와의 관계 평면도.
제 21 도, 제 22 도(a),(b), 제 23 도는, 모터 브라겟트의 정면도, 저면도.
제 22 도(a)의 B-B선 확대 단면도 및 좌측면도.
제 24 도, 제 25 도는 소거헤드 레버의 정면도 및 평면도.
제 26 도 내지 제 29 도는 B 스라이드 레버의 정면도, 평면도, 좌측면도 및 제 26 도의 A-A선 확대 단면도.
제 30 도, 제 31 도는 샷시 우측 절곡부의 정면도 및 평면도.
제 32 도는 제 1 도의 B-B선 샷시의 단면도.
제 33 도는 기판의 부분 평면도.
제 34 도 및 35 도는 일시 정지동작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6-21 : 조작부재 26 : 계지부재
36 : 모터 62,78 : 리일기어(리일대)
66,0 : 리일받이 94 : 회전 검출부재
96 : 요동부재 113 : 습동부
114 : 켐판 118 : 편심캠
122 : 계합부 126 : 기어프레이트
130 : 압압부
본 발명은 테이프 끝단에 의한 리일받이의 회전 정지를 검출하여 테이프 구동원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동작 모드 설정용 조작부재를 초기 위치에 복귀시키는 테이프 구동장치의 자동 정지 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를들면 테이프 레코더, VTR(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등의 테이프 구동장치에 있어서, 테이프 끝단에 의한 리일받이의 회전 정지를 검출하여 재생(PLAY)등의 동작 모드를 해제하는 자동 정지 기구가 알려져 있다.
종래의 테이프 구동장치의 자동 정지 기구는, 테이프 텐션의 변동으로 테이프 끝단을 검출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자기 헤드를 지지하는 서포오트 프레이트에, 테이프 텐션 검출암이 취부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텐션 검출암(텐션암)의 선단은 자기 테이프(테이프)에 붙혀져, 테이프를 국부적으로 굴곡시킨 상태에서 주행시키고 있다.
재생 모드(PLAY) 또는 녹음 모드(REC)에 있어서, 테이프 끝단에 도달하면 테이프는 긴장되어 테이프 텐션이 급격하게 증대한다. 그러므로 국부적으로 굴곡되어 있던 테이프는 똑바로 되고져 하여 테이프가 텐션암을 되돌린다.
이때의 톈션암의 동작을 이용하여 테이프 구동원등을 정지시킴과 동시에 재생 모드 등의 조작부재를 초기 위치에 복귀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텐션암을 이용한 자동 정지 기구는, 아래와 같은 폐단을 갖고있다.
(가) 테이프는 텐션암이 붙어 있어서 국부적으로 굴곡된 상태에서 주행하게 되므로, 테이프의 손상이 빨라지며, 또 테이프 주행시의 저항이 증가하므로 그 저항 증가에 대응하여 캡스탠에 대한 핀치롤러의 압접력을 다시 강하게 해둘 필요가 있다.
그러나, 핀치롤러의 압접력을 강하게 하면, 캡스탠에 큰 축압이 작용하게 되고 캡스탠을 견고하게 지지할필요가 있게 되어 캡스탠의 축수부의 설계가 곤란해진다.
(나) 테이프를 국부적으로 굴곡시키기 위하여, 테이프 주행이 불안정해지며 특히 테이프의 이음새에는 불안전성이 한층 뚜렷해진다.
그리고 텐션암이 자기 헤드의 서포오트 프레이트에 취부되어 자기 헤드에 인접하여 위치하게 되므로 테이프 주행의 불안전성이 재생, 녹음의 특성에 크게 영향하여 음향특성의 저하를 초래한다.
(다) 텐현암은, 테이프 텐션의 변동에 따라 이동하는 가동부재임으로 텐션암의 테이프 접촉부를 고정도로 평행 이동시키는 설계가 곤란하다. 따라서 테이프의 접촉부의 테이프에 대한 접촉압이 테이프 폭방향으로 시동할 염려가 있고 또 테이프를 구부러지게 할 염려도 있다.
(라) 또 빨리보냄 모드(FF)나 되돌림 모드(REW)에서는 서포오트 프레이트는 초기 위치에 있음으로서, 서포오트 프레이트 위의 텐션암은, 테이프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다. 그러므로 테이프 끝단은 검출되지 않고, 따라서 빨리보냄 모드나 되돌려 감음 모드에서는, 테이프 끝단이 되어도 자동 정지 기구가 작동하지 않는다.
또 빨리보냄 모드나 되돌려 감음 모드에 있어서도 텐션암을 테이프에 접촉하는 구성을 생각하지 않는 것은 아니나, 그렇게 한다해도, 빨리보냄 또는 되돌려 감음 모드에서는, 테이프의 주행속도는 빠르게, 이에따라 테이프 텐션도 크므로, 테이프 끝단시의 테이프 텐션과 빨리보냄 또는 되돌려 감음 모드시의 테이프텐션과의 차가 작아진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종래 형식의 자동 정지 기구는 빨리 보냄 모드나 되돌려 감음 모드로 작동시키는 것이 극히 곤란하였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재생모드, 녹음 모드에서는 물론 빨리보냅 모드, 되돌려 감음 모드에서도 테이프 끝을 검출하여 작동하는 테이프 구동장치의 자동 정지 기구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하고 있는 바, 이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자동 정지 기구는, 테이프 끝단시에 있어서 리일받이의 정지를 기계적으로 검출하여 작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리일받이에 회전 검출부재를 좌우 모든 방향에도 회전 자재로 장착하고, 이 검출부재를 리일받이와의 사이의 접촉 마찰에 의하여 리일받이와 같은 방향으로 탄지하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검출부재에 탄지력이 작용하고 있는 사이는 리일받이가 회전하고 있는 것이고, 탄지력이 소실하면 리일받이는 정지한 것으로 그리고 회전 검출부재는 요동부재를 압압하고, 리일받이는 좌우 어느 방향으로든 회전하고 있는 경우에도 일정방향으로 탄지한다.
요동부재는 습접부를 구비하고, 그 습접부는 회전 가능한 환상 캠판에 형성된 편심 캠에 습접하나, 편심캠에서 떨어진 위치에 머물면, 캠판에 형성된 계합부에 당접하도록 되어 있다
또 캠판을 회전 자재로 지지한 해제부재도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해제부재는, 계지부재를 압압할 압합부도 구비하고 있다. 또 계지부재는 테이프 구동장치를 동작 모드로 하기 위한 조작부재, 예를들면 재생 조작부재를 그 동작위치에 계지하기 위한 것이다.
따라서 리일받이의 정지로, 회전 검출부재의 부세력이 소거하면, 요동부재의 습접부는 캠판의 편심캠에서 반대로 떨어진 위치에 머물고, 캠판의 계합부에 당접한다. 그러므로 해제부재는 습접부에서는 반력을 받아 요동하고 그 요동으로 캠판에서 리일대에 이르는 구동경로를 차단함과 동시에, 해제부재의 압압부에서 계지부재를 압압하여 이것을 이동시켜 조작부재의 계지를 해제하게 된다.
이하 도면에 따라 실시예를 상술한다.
테이프 구동장치로서의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 10는, 자동 정지 기구 12를 구비하고 있으며,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 10의 기본적 구성은 종래와 같으며, 제 1 도,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금속판으로된 샷시 14의 전면에, 복수 즉 6의 조작부재 16 내지 21이 누름이 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들 조작부재 16 내지 21의 단부에는, 도시없는 누름보턴이 장착되어 있다.
좌측의 4개 조작부재 16 내지 19는 녹음, 재생, 되돌려 감음, 빨리보냄의 각 동작 모드 설정용이고 조작부재 20는 스톱, 앤드, 이젝트 조작용이고, 조작부재 21는 일시 정지(포우즈)조작용이다.
동작 모우드 설정용 조작부재 16 내지 19는 대체로 같은 형상을 이루고 있음으로 재생 조작부재 16를 예로하여 그 구성을 설명한다. 조작부재 16는, 제 3 도에서와 같이 상면에 계합핀 24을 가지며 리턴 스프링(도시없음)에 의하여 도면중 상방향에 밀어지면, 계합핀 24은 계지부재 26에 형성된 훅크 28의 사면 29에 당접한다.
한편, 계지부재 26도 리턴 스프링(도시없음)에 의하여 도면중 좌방향으로 상시 부세되어 있으나, 조작부재의 계합핀 24은 사면 29을 압압하므로서 도면중 우방향으로 이동한다. 계합핀 24은 사면 29의 종단에서 벗어나면, 계지부재 26는 발조력으로 도면중 좌방향으로 약간 복귀하여 그 훅크 28를 계합핀 24에 계합시켜 조작부재 l6를 동작위치에 계지한다.
샷시 14위에는 플라스틱으로된 기판 34이 배설되며, 이 샷시 14와 기판 34과의 사이에서, 조작부재 16-21, 계지부재 26등의 판상 가동부재를 협지하도록 되어 있다. 기판 34의 이면에는 상기 판상 가동부재에 대한 이동방향 규제부나 이동량 규제부(모두 도시없음)가 凹凸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기판 34의 이면에는,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모터36의 스위치 38를 취부할 스위치 취부부 38a가 샷시 14위의 아이드러 기어 69에 치합하고 있다.
또 제 2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캡스탠 풀리 56에 전달된 모터의 구동력은, 별도의 엔드레스 벨트 70를 거쳐, 빨리보냄, 되돌려 감음용 풀리 72에 전달된다. 이 풀리 72는, FF/REW 절환레버 74의 하면측에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으며, 절환레버 74의 상면측에는, 풀리 72와 동측으로, 기어 76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어 76는, 풀리 72와의 사이의 접촉 마찰에 의하여 풀리 72에 추종하고, 제 1 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회전한다.
절환레버 74는 되돌려 감음 조작부재 18 및 빨리보냄용 조작부재 19의 누름으로 좌측 또는 우측으로 요동한다. 즉 되돌려 감음용 조작부재 18가 눌리워지면, 절환레버 74는 제 1 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여 기어 76를 공급 리일기어(리일대) 78에 치합시켜 공급측 리일받이 80를 시계 방향으로 고속 회전 시킨다. 또 빨리보냄용 조작부재 19를 누르면, 절환레버 74는 시계 방향으로 운동하여 기어 76를 아이드러 기어 69에 치합시켜, 권취측의 리일받이 66를 고속 회전시킨다. FF/REW용 절환레버 74는, 나착에 의하지안혹 완텃치로 취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절환레버 74는 플라스틱에 의하여 성형된 것임으로 제 5 도 내지 제 7 도에서와 같이 본체 81의 상면에 축 82을 돌출시켜 본체의 일단에 1쌍의 갈퀴상 협지편 84와 연출편 81등을 구비하고 본체 측부에는 훅크편86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이 절환레버 74는 샷시 14에 대하여 다음과 같이 취부한다.
먼저 샷시에 형성한 개구부 89(제 1 도, 제 2 도, 제 5 도 참조)내에 샷시 하면측에서 부분적으로 삽입하고, 연출편 81a와 협지편 84등으로 개구연 14a을 협지한다. 그리고 샷시에 형성된 취부공 88에 축 82을 끼워맞춘다. 이때 훅크편 86의 사면이 l4에 형성된 소개구연에 습접하게 되고, 훅크편 86은 탄성 변형 하면서, 샷시 상면측에 돌출하고, 훅크편 86의 탄성 복귀에 의하여 상기 소개구의 가장자리에 계지하여 절환레버 74의 취부를 끝낸다.
이러한 절환레버를 일방향에 부세하기 위하여 공지의 구성에서는 스프링을 사용하고 있으나, 본 발명에서는 스프링을 사용치 않고 엔드레스 벨트 70의 장력을 이용하여 절환레버 74에 시계 방향의 부세력을 주고있다(제 5 도 참조).
또 절환레버 74의동작 자체는 이미 공지이다. 즉, 되돌려 조작부재 18 또는 빨리보냄용 조작부재 19는 눌리워지지 않은 상태에서는 제 1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기어 76가 아이드러 기어 69, 공급측 리일기어 78 어느 것에도 치합하지 않는 뉴트럴(Neutral)위치에 있다.
그러나, 빨리보냄용 조작부재 19를 누르면, 절환레버 74의 요동을 방해하는 스톱퍼(도시없음)가 제거되어 절환레버 74는 엔드레스 벨트 70의 장력으로 시계 방향에 요동한다. 그러고 기어 76는 아이드러 기어 69에치합하고 권취측 리일받이 66를 반시계 방향으로 고속 회전 시켜서 테이프를 빨리 보낸다.
또 되돌려 감음용 조작부재 18를 누르면, 절환레버 74는 조작부재 18에 눌리워 반시계 방향에 요동하고, 기어 76를 공급측의 리일기어 78에 치합시켜서 공급측 리일받이 80를 반시계 방향에 고속 회전시켜 테이프를 되돌려 감는다.
자동 스톱 기구 12의 회전 검출부재 94는, 제 8 도, 제 9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1쌍의 암 95을 갖는 부분링형을 이루는 플라스틱제의 것으로 탄성을 이용하고 리일받이 66의 외주에 측방에서 끼워 맞춘다. 여기서 회전 검출부재 94는 좌우 모든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나, 리일받이 66과의 사이의 접촉 마찰에 의하여 리일받이의 회전방향에 부세된다.
암 95의 선단부에는, 후술하는 요동부재를 압압하는 핀 95a이 형성되어 있다. 또 리일받이 66는, 되돌려 샷시 14의 이면측까지 돌출하여 형성되어 있다. 스위치 38는, 도전체로된 1쌍의 탄성편 39,40을 갖추며, 계지부재 26의 하면에 형성된 절곡편 42은, 일방 탄성편 39에 대향 시켜져 있다.
그리고, 계지부재 26는 조작부재 16의 압입으로 제 2 도의 우측(제 3 도에서는 좌측이됨)으로 이동할 때, 절곡편 42에서 탄성편 39의 선단에 취부한 플라스틱편 43을 압압하고, 양 탄성편 39,40을 접촉시켜서 스위치 38를 온하여 모터 36를 기동시킨다.
또 녹음, 재생용 자기헤드 44를 취부한 헤드 프레이트 46가 기판 34위에 취부되어 있다. 이 헤드 프레이트는, 재생용 조작부재 17의 압입을 제 1 도에 있어서의 상방향에 이동한다.
또 녹음용 조작부재 16를 누르면, 재생용 조작부재 17도 추종하여 눌리워지도록 구성되어 있음으로 이때도 헤드 프레이트 46는 제 1 도에 있어서의 상방향이 이동한다. 그리고 헤드 프레이트 46의 이러한 이동으로, 자기헤드 44는, 카셋트 47내의 테이프의 접촉하게 된다.
또 기판 34위에는 소거용 헤드 48가 회동 자재로 취부되어 있으나 이 헤드 48는 녹음용 조작부재 16의 압입으로 테이프에 접촉할 동작위치까지 이동한다. 또 기판 34위에 회동자재로 취부된 핀치롤러 50도, 헤드프레이트가 동작위치 방향으로 이동할 때 이에 추종하여 캡스탠 52이 압접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녹음용 조작부재 16 또는 재생용 조작부재 17를 누르면, 헤드 44,48, 핀치롤러 50는 소정의 동작 위치에 이동함과 동시에, 계지부재 26에 의하여 모터 36의 스위치는 온하게 되어, 소망한 녹음 또는 재생 모드가 설정된다.
또 상세하게는 생략하나, 되돌려 감음용 조작부재 18 또는 빨리보냄 조작부재 l9는 눌렀을때도, 이들 조작부재는 계지부재 26에 의하여 동작위치에 계지된다. 그리고 녹음, 재생, 빨리보냄, 되돌려 감음의 모든 동작모드시에 있어서, 스톱, 앤드, 이젝트용 조작부재 20를 누르면, 계지부재 26는 일단 제 3 도의 우측 방향으로 일단 이동하여 동작위치에 있는 동작모드 설정용 조작부재 16-19를 초기 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스톰, 앤드, 이젝트용, 조작부재 20는, 초기 위치에 돌아가면, 계지부재 26는 리턴 스프링에 의하여 제 3 도에 있어서 좌방향에 복귀하여 스위치 38를 오프로 한다. 또 모든 동작 모드에도 설정되어 있지 않은 상태로 스톱, 앤드, 이젝트용 조작부재 20를 누르면, 이젝트 기구(도시없음)가 작동하여 카셋트 홀더(도시없음)는 회동하고, 카셋트의 꺼냄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같이 조작부재 16-21 및 계지부재 26등의 판상 가동부재는, 기판 34의 이면에 형성된 凹凸상 이동방향 규제부, 이동량 규제부에 의하여 샷시 14에 대하여 위치 결정하게 되나, 그 조립 작업 순서는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판상가동부재를 기판 34의 이면에 태운다. 그위에 샷시 14를 포개고, 샷시와 기판등을 고정한다. 따라서 조작부재 16-21, 계지부재 26등의 판상 가동부재의 샷시의 조립에는 나사등을 일체 필요로 하지 않아 조립공구를 크게 줄일 수 있다.
그러므로, 조립작업이 신속 용이하게 되고, 조립의 자동화도 용이해진다. 그리고 모터 36의 구동력은 제 2 도에서와 같이 모터 풀리 53에서 엔드레스 벨트 54를 거쳐 캡스탠 풀리 56에 전달된다. 캡스탠 52에는 피니온 기어 58도 취부되며, 이 피니온 기어에는 중간기어 60를 치합하며, 중간기어 60는 녹음 또는 재생 모드에 있어서, 권취측 리일기어(리일대) 62에 치합하여 모터의 구동력을 권취측 리일받이 66에 전달하는 것이다.·
리일기어 62는, 샷시 14에 고정된 축(도시없음)에 회전자재로 취부되어 있다. 또 리일기어 62와 동축으로 리일받이 66를 형성하며, 이 리일받이 66는, 리일기어 62와의 사이에 접촉 마찰로 리일기어에 추종하여 회전한다. 또 리일받이 66의 하단에는 리일기어 62에서 소경기어 68가 리일기어 62의 하면측에 고정 착설하고 감음 모드에 있어서는 테이프 장력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고, 그 이외의 녹음, 재생, 빨리보냄의 각 동작 모드에서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자동 정지 기구 12는 리일받이 66가 좌우 어떤 방향으로 회전해도, 회전 검출부재 94의 회전력을 받아 시계 방향으로 부세하는 요동부재 96를 구비하고 있다. 요동부재 96은, 제 10 도, 제 11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하면 중앙부에 축 98, 일단측에 훠오크부 100, 타단측에 중추부(102)를 각각 구비한 플라스틱제의 것이다.
요동부재 96는, 축 98을 기판에 요동 가능하게 취부되어 있다. 또 중추부 102의 존재로서 축 98은 요동부재의 대체로 중심위치에 위치한다. 그러므로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 10에 사용되는 자제여하를 불문하고, 요동부재 96는 항상 안정된 자세를 유지하며, 또 훅크편 106은, 하측으로 연장하여 기판의 가장자리 34a에 계합하여 요동부재 96는 상측으로 벗겨지지 않게 되어 있다.
이 요동부재 96는, 아래 순서로 기판 34위에 조립된다. 먼저 중추부 102의 단부(요동부재의 좌단) 96a를 기판 34에 형성된 L자형 압편 108아래에 삽입 시키면서, 축 98을 취부공 104에 끼워 맞춘다. 이때, 훅크편106은 탄성 변형하여 기판 34의 어떤측에 서게 되고 훅크편 106의 탄성 복귀로 기판 34에의 취부를 끝낸다.
따라서 나사로 지착할 필요가 없고 완텃치로 신속, 용이하게 취부할 수가 있다. 여기서 중추부 102와 압편 108과는 항상 접촉하는 관계에 있고, 양자간의 접촉 마찰에 의하여 요동부재의 기우뚱거림을 방지한다. 또 요동부재 96의 하면에는 스톱편 110이 연출하고, 이 스톱편은 기판위의 구멍 112의 가장자리에 당접하므로서 요동부재의 요동 범위가 규제된다. 회전 검출부재 94는 1쌍의 암 95을 훠오크부 100의 좌측 가장자리100a에 대향시켜져 있다(제 1 도 참조)
그러므로, 리일받이 66가 회전하면 회전 검출부재 94는 리일받이와 동일 방향의 회전력을 얻어, 암 선단에 형성된 핀 95a으로 좌측 가장자리 100a를 밀어준다. 제 1 도에서와 같이 리일받이 6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할 때(녹음, 재생 또는 빨리보냄 모드일때)도 리일받이 66는 시계 방향으로 회전할때(되돌려 감음 모드일때)도 회전 검출부재 94의 핀 95a은 요동부재 96은 좌측 가장자리를 밀어주게 되는데, 요동부재 96는 리일받이 66은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든 시계 방향으로만 부세하게 된다.
또 리일받이 66의 회전방향에 불구하고 요동부재 96를 항상 일정방향으로 부세하기 위하여 실시예에서는 1쌍의 암 95을 회전검출부재로 형성하였으나, 예를들면, 요동부재의 좌측 가장자리를 역 테이퍼상, 즉 V형 凹부로 형성하고, 회전 검출부재의 암은 1개로 하고, 그 암의 선단부 좌측 테이퍼면 또는 우측 테이퍼면을 누르도록 할수도 있다. 요동부재 96의 훠오크부 100의 일단에는, 습접부 113을 형성하여 이 습접부 113를 후술하는 편심캠 118에 습접시키도록 하여져 있다.
상술한 중간기어 60는, 제 12 도, 제 13 도에서와 같이 캠판 114의 일부로 형성되어 있으며, 이 캠판 114에는, 리일기어 62(제 1 도 참조)에 치합 가능한 기어 116도 구비하며, 이 기어 116의 네측 凹부에 환상의 편심캠 118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편심캠 118의 최대 변위부에 대향한 부위에는, 편심캠 118의 최소 번위량 R1에서 약간 회전 중심의 편기 위치에, 계합부 122를 형성하고 있다. 캠판 114는 플라스틱제로 초생달형의 홈 124이 냉각시에 물러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형성된 것이다. 캠판 114은 모터 36의 구동력에 의하여 회전한다. 그리고, 녹음 또는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그 구동력은 리일기어 62에 전달되어, 리일받이 66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 편심캠 118은, 실시예에서는 캠판 114의 상면에 凹설 되어 있으나, 이 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들면 캠판의 상면에 凸설 하여 외주면에 습접부를 습접시키도록 해도 된다. 캠판 114를 지지하는 회전축 120은, 해제부재로서의 기어 프레이트 126의 하면에 착설되어 있다. 기어 프레이트 126는, 제 14 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캡스탠 52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자재로 되어 있으며, 장공 128을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장공을 통하여, 요동부재 96의 습접부 113가 하측으로 연장, 편심캠 118에 도달하고 있다. 습접부 113는 요동부재 96가 회전 검출부재 94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부세 하므로서 편심캡 118에 접하게 된다. 기어 프레이트 126는 하방에 절곡된 압압부 130를 구비하여 이 압압부를 계지부재 269의 우단에 형성된 연출편 l32(제 3 도, 제 4 도 참조)에 좌측에서 대향시켜져 있다. 기어 프레이트 126는, 통상 캠판114의 기어 116이 리일기어 62에 치합하지 않은 뉴트럴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제 1 도 참조).
그리고 헤드 프레이트 46는 동작 위치에 이동할 때, 그 동작에 연동하여 기어 프레이트 126은, 제 1 도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이에 의하여 기어 116이 리일기어 62에 치합하게 된다.
즉, 헤더 프레이트 46에는, 제 15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권회 스프링 134이 취부되어 있다. 이 권회 스프링 134는, 일단 134a을 기판 34에 형성된 계지편 136에 계지시키고, 타단 136b는 헤더 프레이트 우단의 계지편 138에 계지시키고 다시 계지편 138에 계지된 권회 스프링의 타단 134b는, 계지편 138을 넘어서 핀치롤러 레버 140에 계합시켜져 있다.
그리고 권회 스프링 134으로, 헤더 프레이트 46은 비 동작위치(초기위치) 방향에 항상 부세되어 있다. 핀치롤러 레버 140는, 제 6 도 내지 제 19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하측에 연출한 계지편 142을 구비하여 이 계지편에 권회 스프링 134의 타단 134b를 계합시켜져 있다. 또 권회 스프링의 타단 134b는, 계합편 142와의 계지가 용이하게 벗어나지 않도록 만곡 시켜져 있다. 또 핀치롤러 레버 140의 하면에는 핀 14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 프레이트 126은, 도시없는 스프링으로 반시계 방향에 부세되어 그 탄력으로 기어 프레이트의 가장자리에 형성된 캠면 126a가 핀치롤러의 핀 144에 압압부착되어있다(제 14 도, 제 15 도, 제 17 도 참조).
따라서 헤드 프레이트 46가 조작부재 16 또는 l7을 누름에 따라 동작 위치에 이동하면, 핀치롤러 레버140는 권회 스프링의 타단 134b에 밀어져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따라서 핀치롤러 50는, 캡스탠 52에 압접함과 동시에, 기어 프레이트 126는 핀 144에 추종하여 회동하고, 기어 116를 리일기어 62에 치합시킨다.
또 공지의 테이프 구동장치에서는, 핀치롤러는, 독립된 축을 통하여 펀치롤러 레버에 축지되어 있다. 따라서 핀치롤러 레버에는, 핀치롤러를 취부하는 경우는, 핀치롤러 레버의 상하 지지암 사이에 위치시킨다음 그 상하 지지암 및 핀치롤러의 중심공에 1개의 축을 삽입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핀치롤러의 중심공을 지지암의 축지공에 맞추어 축을 삽입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세련된 기술이 필요하며 조립을 신속하게 할 수 없고 또 자동화도 곤란하였다. 또 별도의 부품으로서 축을 필요로 하므로 그만큼 단가가 높아진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핀치롤러 레버 140를 플라스틱제로하고, 제 17 도, 제 19 도에서와 같이 상하지지암 146에는 핀치롤러 축 50a의 지름보다 약간 작은 폭 만큼만 개구한 취부공 148을 형성한다. 한편 핀치롤러 축 50a은 핀치롤러의 중심부 50b와 일체로 플라스틱으로 성형해져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핀치롤러 축 50a을 취부공 148내에 측방에서 밀어 넣으면,지지암 146의 탄성 변형에 의하여 용이하게 조립을 끝낼수가 있다. 따라서 이 조립은 신속하게 할 수 있고, 자동화도 용이하게 독립 부품으로서의 축도 불필요하므로 단가를 크게 낮출수가있다.
녹음, 또는 재생 모드에서는, 상기와 같이 하여 리일기어 62, 리일받이 6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테이프를 감는다. 테이프 끝단에 이르기 이전에는 아래의 이유로 자동 정지기구 12는 작동하지 않는다.
주로 제 20 도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녹음 또는 재생 모드에서는, 회전 검출부재 94는, 리일받이 66와의 사이의 접촉 마찰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에 부세하여 요동부재 96를 시계 방향에 민다. 그리고 요동부재 96의 습접부 113를, 캠판의 편심캠 118에 습접시킨다(제 14 도 참조).
제 14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요동부재 96은 시계방향으로 부세하고 있는한, 습접부 113는 편심캠 118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여기서 제 12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캠판의 계합부 122는, 편심캠 118의 최소 변위량에서 약간 회전 중심에서 기울어진 위치에 있고, 최대 변위부와 계합부 122와의 사이에는 습접부 113가 통과할 수 있는 간극이 존재한다. 따라서 습접부는 계합후 122에 당접하는 일이 없게 되며, 습접부 113가 계합부 122에 당접하지 않으면·기어 프레이트 126는 회동하지 않고, 기어 프레이트의 압압편 130이 계지부재의 우단 연출편 132를 압압하는 일도 생기지 않는다.
그러므로, 계지부재 26는 그 계지위치에 머물고, 모터의 스위치 38도 온 상태로 유지되고 리일받이 66는 테이프 끝단에 이를때까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한다. 또 이러한 상황하에서는, 편심캠 118의 편심량에 맞춘 진폭으로 요동부재 96가 요동을 계속하게 된다. 그런데, 녹음 또는 재생 모드에 있어서는 테이프 끝단에 이르면, 테이프는 긴장하고, 리일받이 66의 회전은 정지하므로, 리일받이는 회전 검출부재 94를 부세하지 않고 회전 검출부재 94는, 이미 요동부재 96을 밀지 않는다. 따라서 요동부재의 습접부 113는, 펀심캠 118의 최소 변위부에 습접한 다음, 편심캔에서 떨어진 위치에 멈추어진다.
이와같이 멈추어진 습접부 113는, 캠판 114은 거기서 약 반회전 했을 때, 계지부 122에 당접한다. 이때, 계지부 122는, 요동부재의 요동 중심(축 98)과 습동부 113과를 묶는 직선상에 있고, 그 직선과 계지부 122, 습접부 113의 당접 위치와 캡스탠 52과를 묶는 직선 등의 협각 α는 대체로 90도이다(제 4 도 참조).
그러므로 캠판 114이 회전해도 요동부재 96는 움직이지 않고 기어 프레이트 126측의 습동부 113에서의 반력을 받아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기어 116를 리일기어 62에서 떨어뜨려 리일기어 62의 구동경로를 차단한다.
이와 동시에, 기어 프레이트의 압압부 130는, 계지부재 26의 연출편 132을 우방향으로 압압하고, 계지부재를 우방향으로 이동시킨다.
이에 의하여, 녹음, 재생용 조작부재 16,17는 계지를 해제, 초기 위치로 복귀한다. 또, 이들 조작부재의 복귀로 계지부재 26도 좌방향으로 복귀하고, 모터의 스위치 38를 오프로 하여 자동 정지 동작을 끝낸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자동 정지 기구 12는, 녹음 또는 재생 모드에 있어서, 러일받이 66의 회전으로 회전검출부재 94에 부세력이 작용하고 있는 동안은, 작동하지 않고, 테이프 끝단에 이르러, 리일받이의 회전이 정지하고 상기 부세력이 소실하면 작동한다.
다음에 되돌려 감음 모드에서의 자동 정지에 대하여 상술하면, 되돌려 감음용 조작부재 18를 누르면, FF/REW 절환레버 74는 반시계 방향에 요동하고, 기어 76는 리일기어 78에 치합하여 리일받이 8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 테이프를 되돌려 감는다.
되돌려 감음 모드에서는, 헤드 프레이트 46가 비동작 위치에 있음으로, 캠판의 기어 116는, 리일기어 62에 치합하지 않는다. 그리고 권취측 리일받이 66는 테이프의 장력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 하므로, 회전 검출부재 94도 같은 방향으로 부세하여 핀 95a로 요동부재 96의 좌측 가장자리 100a를 압압하여 습접부 133의 편심캠 118에 대한 습접 상태를 유지한다. 따라서 리일받이 80,66는 회전하고 있는한 자동 정지 기구12는 작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테이프 끝이되면 리일받이 80,60의 회전은 정지하므로, 회전 검출부재 94의 부세력을 소실하고, 상술한 바와같이 자동 정지 기구 12는 작동한다. 또 빨리보냄 모드용 조작부재 19를 누르면, FF/REW 레버 74는 시계 방향으로 요동하고 기어 76는 아이드러 기어 69에 치합한다. 그리고 리일받이 66가 반시계 방향으로 고속 회전하여 테이프를 감는다.
이 빨리보냄 모드에 있어서도 헤드 프레이트 46는 비동작 위치에 있음으로 캠판 기어 116는, 리일받이 62에 치합하지 않는다. 그리고, 리일받이 66는, 회전 검출부재 94를 시계 방향으로 계속 부세함으로, 자동 정지 기구 12는 작동하지 않으나, 테이프 끝단에 이르고 리일받이 66의 회전이 정지하면, 회전 검출부재 94에 리일받이 66에서 부세력이 작용하지 않음으로, 상술한 바와같이 자동 정지 기구 12는 작동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의 자동 정지 기구 12는, 리일받이 66이 회전하여 회전 검출부재 94에 부세력을 발생하고 있으면 작동하지 않고, 테이프 끝단에 이르러 리일받이의 회전이 정지하고, 회전 검출부재에 부세력이 소실하면 작동하므로, 재생 모드, 녹음 모드에서는 물론, 되돌려 감음 모드, 빨리보냄 모드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이 작동하는 이른바 완전 자동 정지로 된다.
또 실시예의 카셋트 레코더 10에는, 상기 이외에도 여러가지 신규한 구성이 채용된다. 또 동작모드를 설정하고 있지 않을때, 부세력이 발생하여 요동부재 96를 시계 방향으로 탄지하고 동작 모드 설정용 조작부재 16-19중 어느 하나가 눌리우면 부세력을 소실하도록 스프링 259이 배설되어 있다(제 3 도, 제 4 도 참조).
그리고, 스프링 259에 탄지력을 발생하도록, 계합부재 260이, 계지부재 26의 후방에서, 축방에 습동 가능하게 샷시 14, 기판 34사이에 배설되어 있다. 이 계합부재 260은, 조작부재 16-19의 눌림으로 연동하여 습동 가능하게 형성되어 있다.
즉, 제 3 도에서와 같이 계합부재 260은, 조작부재 16-19에 형성된 압압핀 262에 당접 가능한 경사면 264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리턴 스프링 266의 부세력에 의하여 계합부재 260를 우면의 우측에 부세하고, 어느 압압핀 262에 경사면 264을 당접시켜서 그 초기 위치가 설정되어 있다. 스프링 259에는, 실시예에서는, 기판상의 핀 268에 권장된 꼬임 스프링의 형태를 취하고있다.
그리고 조작부재 16-19는 어느것도 누르지 않고, 계합부재 260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부세력이 발생하도록 스프링 259는 배설되어 있다. 즉 제 3 도에서와 같이 계합부재 260은 초기 위치에 있을 때, 단부 259a가 계합부재의 계합핀 270에, 타단 259b는 요동부재 하면의 계합핀 272에 각각 압압되어 부세력을 발생, 이에 따라, 요동부재 96를 시계 방향에 부세 시키고 있다. 요동부재 96에 시계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시킴으로서 요동부재의 습접부 113은 편심캠편 118에 습접된다.
그리고, 조작부재 16-19의 어느, 즉 조작부재 17가 압입되면, 조작부재 17의 압압핀 262는 계합부재의 경사면 246를 당접, 리턴 스프링 266의 부세력에 저항하여, 계합부재 260를, 제 4 도에서와 같이 좌측에 이동시킨다.
계합부재 260은 좌측에 이동하면, 계합부재의 계합핀 270이 나사의 일단 259a에서 떨어짐으로 스프링259는 자유로히 되며, 부세력은 스프링 259에 이미 발생하지 않는다. 또 계합부재 260는 초기 위치에 있으면, 모터의 스위치 38는 오프의 상태를 유지한다.
그리고 조작부재 16-19의 압입에 추종하여, 계합부재 260이 좌측으로 이동하면, 상기와 같이 절곡편 42은 플라스틱편 43을 압압하고, 탄성편 39,40을 접촉하여 스위치 38를 온하고 모터 36를 시동시킨다.
상기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동작 모드가 설정되어 있지 않을때만 요동부재 96에 부세력을 작용시켜서 습동부 113을 편심캠편 114에 습접시켜져 있다. 이러한 구성은 다음의 경우에 효과가 있다.
① 먼저, 상기 구성의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 10를 2개 사용하여 이른바 따블류 덱커의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를 형성할때, 통상 모터 36는, 2개가 아니고, 1개만 조입한다. 그리고 겸용의 모터 36에서 각 캡스탠등에 동시에 구동력이 전달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경우, 일방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 10를 동작 모드로 하고 타방을 동작 모드로 하지 않고 사용한다고 하자, 이 조건 하에서, 동작 모드가 아닌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 10에 있어서도, 모터의 구동력이 전달되어서, 캠 원판 114가 회동하기 때문에, 혹시 요동부재의 습접부 113이 편심캠펀 118에서 떨어져 있으며, 계합부 122는, 요동부재의 습접부 113에 계합하여, 자동 정지 기구 12가 작동할 염려가 있다.
그리고 자동 정지 기구 12가 반복 작동하여 이음이 주기적으로 발생한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동작 모드를 설정하고 있지 않을 경우, 스프링 259에 부세력을 발생하여, 요동부재의 습접부 113를 편심캠편 118에 항상 습접시킨 구성에서는, 계합부 122는, 습접부에 계합함이 없이 자동 정지 기구 12는 작용하지 않고 이음의 발생을 방지한다.
② 또 조작부재 16-19는, 통상, 신속하게 압입되어, 모터 36의 기동과, 프레이트 46, 절한레버 74등의 이동과는 지체없이 연속하여 발생한다. 그러나, 모터 36의 기동과 프레이트 46, 절환레버 74등의 이동등이 연속하여 발생하지 않을 정도로, 조작부재 16-19를 늦게 압입하거나, 또는, 중간에서 압입을 중단한 다음, 재차 압입하면, 소정의 동작모드의 설정이 곤란해진다. 즉, 모터 36는 조작부재 16-19가 완전히 압입되기이전에 이미 시동하는 것에 대하여 프레이트 46, 절환레버 74등은,좌작부재 16-19는 완전하게 압입하지 않으면, 소정위치에 도달하지 않는다.
그러므로 프레이트 46, 절환레버 74등이 소정위치에 도달하기 전에 모터 36가 시동하여, 모터의 구동력이 캠 원판 114에 전달하는 경우가 있다.
그러므로 혹시 요동부재의 습접부 1l3이 편심캠편 118에 습접하여 있지 않으면, 계합부 122는, 요동부재의 습접부 113에 계합하여 자동 정지 기구 12가 작동할 우려가 있다. 그러므로 조작부재 16-19가 소정위치에 압입해도 자동 정지 기구 12가 작동하여 조작부재 16-19는 자동적으로 초기위치에 복귀하고 따라서 소망의 동작모드의 설정이 불가능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조작부재 16-19가 초기 위치에 있을때, 스프링 259에 부세력이 발생, 조작부재 16-19가 충분히 압입했을때 비로서 스프링 259의 부세력이 소실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조작부재 16-19는 충분히 압입되기 이전에서의 자동 정지 기구 12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 있어서 조작부재 16-19의 이상 압입시에 있어서도 소망의 동작 모드의 설정이 이루어진다.
또 스프링 259는 실시예에서는 꼬임 스프링의 형태로 하였으나, 조작부재 16-19가 초기 위치에 있을때 부세력을 발생하면 족하고 꼬임 스프링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또 조작부재 16-19의 압입에 연동하여 계합부재 260를 이동시켜, 계합부재위의 계합핀 270을 스프링의 일단 259a에서 떨어뜨려, 스프링 259의 부세력을 소실하고 있으나, 이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즉 조작부재 16-19가 압입했을때, 스프링 259의 부세력을 소실 시키는 구성이면 족하며, 계합부재 260에 연동시킬 필요는 없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고안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고안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범위내에서 변형, 개조등이 가능하며, 또 핀치롤러 레버 140는, 일시 정지(포오우즈)용 조작부재 21의 압입에 연동하여 회전축 141의 둘레를 반시계 방향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 16 도, 제 34 도에서와 같이 계합편 150은, 핀치롤러 레버 140의 우단에서 조작부재 21위에 연출하고, 이 계합편에 계합 가능한 핀 252가 조작부재 21에 돌설되어 있다.
조작부재 21는, 도시없는 리턴 스프링에 의하여 화살표 방향 즉, 초기 위치 방향에 부세되어 있다. 녹음모드, 또는 재생모드에서는, 제 20 도에서와 같이 핀치롤러 50, 캡스탠 52사이에서 테이프를 협지하도록 핀치롤러 레버 140은 위치한다. 그러나 부세력에 저항하여 일시 정지용 조작부재 21이 압입하면, 제 35 도에서와 같이 조작부재 위의 핀 252가 핀치롤러 레버의 계합편 150에 계합하고, 회전축 141의 둘레에서 핀치롤러 레버 140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러므로 핀치롤러 50는 캡스탠 52에서 떨어져, 테이프가 핀치를러 50, 캡스탠 사이에 협지하지 않는다.
따라서 캡스탠 52는, 테이프를 주행시킴이 없이 공전하고 일시 정지 모드가 설정된다. 일시 정지용 조작부재 선단의 절곡편 21a는 유지부재 254에 계지 됨으로서 조작부재는 그 압입 위치에 유지된다. 유지부재 254는 공지의 구성을 하고 있으며, 기판 34의 이면에 형성된 핀 255에 요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제 34 도 참조).
그리고 압입 위치에 있는 조작부재 21를 재차 누르면, 유지부재 254의 유지상태가 해제되어 리턴 스프링의 부세력에 의하여 조작부재는 초기 위치에 복귀한다. 또 일시 정지용 조작부재 21가 압입하면, 요동부재 96에 시계 방향의 부세력을 작용하도록 스프링 256이 배설되어 있다.
스프링 256은 실시예에서는, 꼬임 스프링의 형태를 취하고 제 34 도에서와 같이 유지부재 254의 요동 중심인 핀 255에 장치되어 있다. 스프링 256의 일단 256a는, 요동부재의 포오크부 좌단 100a를 압압 가능하게 위치 하고, 타단 256b, 조작부재 21에 형성된 계합편 258의 후방에 연출하고 있다.
그리고 제 34 도에서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조작부재 21는 압입하치 않은 상태에서는 스프링 256은 자유로되며, 부세력은 스프링 256에는 발생하지 않는다. 그러나, 조작부재 21가 압입되면, 제 35 도에서와 같이 계합편 258이 스프링의 타단 256b에 계합하여 스프링의 일단 256a를 요동, 녹음 또는 재생 모드 하에서, 일시 정지용 조작부재 21를 압입, 일시정지 모드를 설정했다고 한다.
이 일시 정지 모드에 있어서도, 모터의 구동력은 캡스탠의 피니온 기어 58, 중간기어 60를 통하여 캠 원판 114에 이미 전달되어 캠 원판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이 이어진다. 그러나, 제 35 도에서와 같이 캠 원판의 기어 116가 리일기어 62에서 떨어짐으로, 리일기어 62에 회전력이 전달되지 않고, 회전 검출부재 94에의 부세력은 발생하지 않는다.
이와같이 이 일시 정지 모드에서는, 펀치롤러 50가 캡스탠 52에서 떨어져, 테이프의 주행을 중단시키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테이프 끝에 이른것과 같은 상태로 설정된다.
여기서, 리일받이 66에서의 부세력이 회전검출부재 94에 작용하지 않으면, 당연히 회전검출부재 94에서의 부세력은 요동부재 96에 작용하지 않고 요동부재는 이유로 된다. 요동부재 96이 자유의 상태에 있으면, 요동부재의 습접부 113는, 편심캠면 118에서 떨어져, 캠원판의 계합부 122에 계합하여, 자동정지 기구 12를 오동작 시킬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일시 정지용 조작부재 21를 압입하면, 요동부재 96를 시계 방향에 부세하는 부세력이 스프링 256에 발생한다(제 35 도 참조). 그러므로 회전 검출부재 94에 부세력이 발생하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요동부재의 습접부 113은 펀심캠면 118에 항상 습접되어, 편심캠면에서 떨어지지 않는다. 따라서 습접부 113은 캠원판의 계합부 122에 계합하지 않고 자동 정지 기구 12의 오동작을 완전하게 방지한다. 예를들면, 종래 구성에서는, 모터는 진동흡수용 고무링을 통하여 샷시에 고정된 모터 브라켓트에 나사 조임으로 되어있었으나, 본 발명에서는 모터 36는 모터 브라켓트 150위에 고무팅 없이 취부된다. 또 모터 브라켓트도 단 1개의 나사로 샷시에 취부한다.
즉 제 21 도 내지 제 23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모터 브라켓트 150는, 플라스틱제로, 그 취부판부에는 2조의 부분 환형편 152,153이 교호로 90도씩 떨어져 환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부분 환형편 152,153은 제 22 도(a)에 표시한 바와같이 일측 지지 구조로 되어 있음으로 충분히 탄성 변형할 수 있다.
그리고, 더욱 탄성변형하기 용이한 자유단에, 원통상의 나사 삽통부 152a 또는 부분 구형의 동기 153a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나사 삽통부 152a와 동기 153a의 높이는 균일하지 않고, 제 22 도(b)에 표시한 바와같이 나사 삽통부 152a 보다도 돌기 153a측을 놓게 하고 있다. 이러한 모터 브라켓트 150의 취부판부에 모터 36를 태워, 제 22 도(b)에 표시한 바와같이 나사 삽통부 152a에 나사 154를 삽통하고, 이 나사로 모터를취부한다. 이와같이 하면, 부분 구형 돌기 153a는, 나사 삽통부 152a와 같은 높이로 될때까지 가라 앉히고, 모터 36는 나사 삽통부 1582a와 돌기 153a등 4개소에서 탄성적으로 지지된다. 따라서 모터의 진동은 환형편 152,153의 탄성 변형으로, 충분히 흡수된다. 그러므로, 샷시 14에의 모터 36의 진동 전달이 방지된다. 또 예를들면 반송시등에 있어서 층격적인 외부 진동이나, 장치 전체에 작용하는 경우가 있어도, 모터36의 진폭은 제 22 도(b)에 표시한 간극 a,b범위로 제한한다. 따라서 모터 36가 크게 과진동하여 환형편 152,153이 절손하는 염려를 배제한다.
모터 브라켓트 150는, 제 1 도, 제 23 도에서와 같이 하측에 각각 연출한 2개의 계지편 156,158과 2개의 압압펀 160,162등을 구비하고 있다. 계지편 156은, 샷시 14의 상측 절곡편 14a을 협지 가능한 2개의 갈퀴꼴을 하며, 그 선단부에는, 상측 절곡편 14a의 삽입을 용이하게 하기 위한 테이프 면이 형성되어 있다. 샷시 14의 상측 절곡편 14a을 도려낸부 156a내에서 협지하여 모터 브라켓트 150는 샷시 14의 저면에 취부하면, 모터 브라켓트의 Z방향, Y방향, Y'방향의 움직임이 규제된다. 또 별도의 계지편 158은, 하단에 내측 절곡부 158a을 가지며, 이 내방 절곡부는, 샷시 14의 하측 절곡편 14b을 계지편의 내벽과의 사이에서 안고 있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계지편 128에 의하여 샷시 l4의 하측 절곡펀 14b을 안아서 모터 브라켓트 150가 샷시 14위에 취부되면, 모터 브라켓트의 X방향 움직임을 규제된다. 또 압압편 160,162는 샷시 14의 저면에 당접하고, 모터 브라켓트 150의 Z'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한다. 이와같이 Z, Z', Y, Y', X방향의 움직임을 규제하고 남는 X'방향의 움직임은 나사 164 압압편 116의 나사 삽통공에 삽통하여 샷시 14에 나착함으로서 규제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서는, 모터 36는, 모터 브라켓트 150에, 내진용 고무팅 없이 취부할 수 있을뿐 아니라, 모터 브라켓트는, 1개의 나사로 샷시 14에 조립한다. 그러므로, 부품수를 감소하며, 조립 공정이 신속, 용이하여 자동화를 용이케 한다.
또 소거헤드 48는, 소거헤드 레버 166에 완텃치로 취부될 수 있음과 동시에, 소거헤드 레버 자체도 기판 34위에 완텃치로 취부할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제 24 도, 제 25 도에서와 같이 소거헤드 레버 166는 플라스틱제로서, 이에는 1쌍의 훅크편 168을 상방향에 연출시켜져 있으며, 1쌍의 훅크편 168의 간격은, 소거헤드 48의 폭에 맞추어 설정된다. 이러한 구성에서는, 위에서 소거헤드 48를 1쌍의 훅크편 168 사이에, 그들을 외측으로 탄성 변형 시키면서 누르면, 훅크편의 탄성 복귀에 의하여 확실하게 지지 유지된다. 이와같이 소거헤드 48는, 나사 등을 사용하지 않고, 소거헤드 레버 166에 신속, 용이하게 조립하게 되어 자동화를 용이하게 한다.
또 소거헤드 레버 166은, 일단에 형성한 원통부 169의 하단에, 플랜지편 170을 구비하고 있다. 여기서 이것을 기판 34위에 조합함에 있어서는, 원통부 169를 기판 34위의 측 171에 끼워 맞추고, 기판위의 훅크편 171a을 외측에 탄성 변형 시키면서 하강한다. 이때 기판 상면에 도달한 곳에서 혹크편 171a는 탄성 복귀하여 플랜지편 170은 계지되어 조립을 끝낸다. 본 실시예에서는, 플랜지편 170을 원통부 169의 하단에 부분적으로 형성한 것으로 하였으나, 부분적은 아니고 전 주면적으로 형성해도 무방하며, 또 하단이 아니고, 중간부에 형성해도 된다. 이와같이 소거헤드 레버의 플랜지편 177을 기판위의 훅크편 171a에 계지 시켜서 빠짐을 방지하는 구성임으로서, 나사등의 사용은 필요없고, 완텃치로 기판 34에 조립할 수 있어 그 자동화도 용이하게 된다.
또 카셋트 홀더가 달린 카셋트 테이프 레코더에서는, 카셋트를 카셋트 홀더(도시없음) 내에 삽입한후, 카셋트 홀더를 회동하고, 카셋트내의 리일 허브를 리일받이에 장진시킨다. 그리고 카셋트 홀더는 E스라이드 레버라 칭하는 록크부재에 계지하게 되나, E스라이드 레버는, 통상 기판에 스라이드 가능하게 취부한다. 그리고 스톱.앤드.이젝트용 조작부재를 누름으로서 E스라이드 레버는 스라이드하여, 카셋트 홀더에 대한 계지를 해제하고, 카셋트 홀더의 회동으로 카셋트의 취출 또는 교환을 가능케 한다.
공지의 구성에서는 E스라이드 레버는, 스라이드의 안내를 겸한 나사에 의하여 기판에 취부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E스라이드 레베는 나사를 사용치 않고 완텃치로 샷시에 취부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다.
즉 실시예에서는 제 26 도 내지 제 28 도에서와 같이 E스라이드 레베 172는 플라스틱제로, 탄성편 174와 4개의 계지편 176등을 구비하고 있다. 4개의 계지편 176은, 제 26 도에서와 같이 상하, 좌우에 대칭으로 2개씩 형성되며, 샷시 14의 우측 절곡부를 상하에서 협지한다. 또 탄성편 174은, 선단에 돌기 174a를 구비하고 있다(제 29 도 참조). 타측 샷시 14의 우측 절곡부는, 제 30 도, 제 31 도에 표시한 바와같이 계지편 176을 삽입시킬 도려낸부 14c와 탄성편의 돌기 174a를 삽입시킬 개구 14d등을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E스라이드 레버 172를 샷시 14에 취부할 때는, 먼저 제 26 도에 표시된 바와같이 4개의 계지편 176을 샷시의 도려낸부 14c에 끼워 맞춘다음, 우측으로 스라이드시켜 샷시 14의 우측 절곡부를 상하의 계지편 176으로 협지한다. 이때 탄성편의 돌기 174a는 샷시 개구 14d내로 내려앉아, E스라이드 레버 172의 동작 범위가 제한되어 샷시 14에의 취부를 끝낸다. 이와같이 E스라이드 레버 172의 취부로 나사를 사용치 않고 완텃치로 할수 있다.
또 실시예에서는 상호 계합할 계합부가, 녹응용 조작부재 16와 재생용 조작부재 17에 각각 형성, 녹음용 조작부재를 누르면, 재생용 조작부재도 따라서 눌러지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또 재생용 조작부재 17의 리턴 스프링으로 녹음용 조작부재도 복귀 시키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조작부재 16비동작위치(초기위치)에 있을때, 양자의 계합부간에는, 진퇴 방향의 간극이 존재하므로, 그대로는 녹음용 조작부재 16가 유동하거나, 진동할 염려가 있다. 그러므로 실시예에서는 제 32 도, 제 33 도에서와 같이 기판 34에 탄성편 180을 형성하여 이 탄성편의 선단부에는 경사 하측으로 연출한 절곡부 180a를 형성해져 있다. 그리고 이 절곡부 180a는 조작부재 16의 개구 16a내로 연장하고, 조작부재 16는, 비동작 위치에 있을때는, 절곡부 180a는 그 개구 16a의 가장자리 당접하여 조작부재 16를 화살표 방향으로 부세하여 조작부재 16의 자유 움직임을 금지하고 있다. 그러므로 비동작 위치에 있어서의 조작부재 16의 진동이 방지된다.
또 본 발명은,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VTR 기타의 테이프 구동장치에도 널리 적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본 발명에 관한 자동 정지 기구는, 리일받이가 회전하여, 회전 검출부재에 부세력을 주고 있는한, 리일받이의 회전 방향은 좌우 어느측이건 작용하지 않고, 테이프 끝단에 이르러 리일받이의 회전이 정지하며, 회전 검출부재의 부세력이 소멸하면 작용한다. 그러므로, 재생모드, 녹음모드 뿐아니라, 되돌려 감음 모드, 빨리보냄 모드시에도 테이프 끝단에서 작동하는 이른바 전 자동 정지가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종래 텐션암을 이용한 구성과 같이 테이프 주행을 불안정으로 하지도 않으며, 또 캡스텐에 대한 핀치 로울러의 압접력을 지나치게 강하게 할 필요도 없고 따라서 캡스텐의 축수부의 설계도 용이하게 된다.

Claims (1)

  1. 테이프 구동장치를 동작 모드로 하기 위한 조작부재를 동작위치에 이동시키면 당해 조작부재에 연동하여 이동하고, 당해 조작부재를 계지하여 동작위치에 머물게 하는 계지부재(26)와, 회전 가능한 리일대(62,78)와 동축적으로 장착되어 리일대와의 접촉 마찰에 의하여 리일대에 추종하여 회전하는 리일받이(66,80)에, 좌우 어느 방향으로도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리일받이와의 사이에 접촉마찰에 의하여 리일받이의 회전방향으로 부세되는 회전 검출부재(94)와, 습접부(113)를 구비한 리일받이가 좌우 어느 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든간에 상기 회전 검출부재(94)의 회전력을 받아 1방향으로 부세되는 요동 가능한 요동부재(96)와, 요동부재의 습접부가 습접하는 환상의 편심캠(118)과 편심캠에서 떨어져 위치하는 계합부(122) 등을 가지며, 구동원의 구동력을 리일대에 전달 가능하게 배치된 캠판(114)과, 계지부재를 압압 가능한 압압부(130)를 구비하여 캠판을 회전자재로 지지한 요동가능한 해제부지(126)와를 구비하고, 리일받이의 정지로 회전 검출부재(94)의 부세력이 소실하면 요동부재(96)의 습접부(113)가 캠판의 편심캠(118)에서 떨어진 위치에 머물러 캠판의 계합부에 당접하고, 캠판은 습접부에서의 반력을 받아 해제부재(126)을 요동시켜, 해제부재의 요동으로 캠판에서 리일대에 이르는 구동경로를 차단함과 동시에, 해제부재(126)의 압압부가 계지부재(26)을 압압하고 계지부재를 이동시켜서 조작부재의 계지를 해제하는 테이프 구동장치의 자동 정지 기구.
KR1019870000426A 1987-01-20 1987-01-20 테이프 구동장치의 자동 정지 기구 KR90000360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0426A KR900003600B1 (ko) 1987-01-20 1987-01-20 테이프 구동장치의 자동 정지 기구
KR1019870001830A KR900008492B1 (ko) 1987-01-20 1987-03-02 회전 전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0426A KR900003600B1 (ko) 1987-01-20 1987-01-20 테이프 구동장치의 자동 정지 기구

Related Child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828A Division KR900008476B1 (ko) 1987-03-02 1987-03-02 테이프 구동장치
KR1019870001829A Division KR900008450B1 (ko) 1987-03-02 1987-03-02 모터 브래킷 취부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349A KR880009349A (ko) 1988-09-14
KR900003600B1 true KR900003600B1 (ko) 1990-05-26

Family

ID=19259041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426A KR900003600B1 (ko) 1987-01-20 1987-01-20 테이프 구동장치의 자동 정지 기구
KR1019870001830A KR900008492B1 (ko) 1987-01-20 1987-03-02 회전 전달장치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830A KR900008492B1 (ko) 1987-01-20 1987-03-02 회전 전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2) KR900003600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349A (ko) 1988-09-14
KR880009553A (ko) 1988-09-15
KR900008492B1 (ko) 1990-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370304B2 (ko)
CA1116293A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KR900003600B1 (ko) 테이프 구동장치의 자동 정지 기구
US4809101A (en) Automatic stopping mechanism for a tape feeding device
JPH05993Y2 (ko)
JPH0656680B2 (ja) テ−プ駆動装置のオ−トストツプ機構
US5029028A (en) Single-motor changing tape player
JP2621386B2 (ja) テープ終端検出装置
EP0345739B1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US6922306B2 (en) Tape recording and reproduction apparatus capable of stable operation with reduced wear
JPH0422422Y2 (ko)
KR940002832Y1 (ko)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JPH0135320Y2 (ko)
JPH0341294Y2 (ko)
JPH0422421Y2 (ko)
JP2571718B2 (ja)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モード切換装置
JPH0422420Y2 (ko)
JPH0411211Y2 (ko)
KR940002833Y1 (ko) 상태 검출 기구
JPH0411248Y2 (ko)
JPH0424505Y2 (ko)
KR850001265Y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장치
JPH0411249Y2 (ko)
JPH0753135Y2 (ja) 記録再生装置
JP2830006B2 (ja) カセットテープデ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J202 Request for trial for correction [limitation]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