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08476B1 - 테이프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08476B1
KR900008476B1 KR1019870001828A KR870001828A KR900008476B1 KR 900008476 B1 KR900008476 B1 KR 900008476B1 KR 1019870001828 A KR1019870001828 A KR 1019870001828A KR 870001828 A KR870001828 A KR 870001828A KR 900008476 B1 KR900008476 B1 KR 900008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ch roller
capstan
gear
rotating
rotating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018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9552A (ko
Inventor
신사꾸 다나가
다다오 아라다
Original Assignee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신사꾸 다나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신사꾸 다나가 filed Critical 다나싱 뎅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10198700018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08476B1/ko
Publication of KR8800095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95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08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08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5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with single capstan or drum simultaneously driving the record carrier at two separate points of an isolated part thereof, e.g. the capstan acting directly on the tape rollers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구동장치
제1도, 제2도는 본 발명의 테이프 구동장치를 구비한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개략 평면도 및 개략 저면도.
제3도는 회동부재의 개략 평면도.
제4도, 제5도는 전달기어의 종단면도 및 평면도.
제6도, 제7도는 핀치롤러레버의 정면도 및 좌측면도.
제8도는 헤드판의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 14 : 섀시
16-21 : 조작부재 24a, 24b : 리일받이
25 : 캡스턴 26 : 모터
28 : 헤드판 30 : 핀치롤러
31 : 핀치롤러레버 42 : 피니언기어(주회전체)
44 : 회동부재 46 : 전달기어(전달회전체)
47a, 47b : 전달기어의 기어 48 : 종동기어(종동 회전체)
50 : 비틀림 스프링(스프링 부재) 52 : 핀치롤러의 계합핀
54 : 회동부재의 섭접면
본 발명은 캡스턴에서 리일받이에 이르는 회전전달 경로를 핀치롤러의 이동에 관련하여 차단하고 연결하는 테이프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자기 테이프(테이프)를 매개로 하는 테이프 레코더, VTR(비디오 테이프 레코더)등의 음향기기, 영상기기에 있어서, 테이프는 핀치롤러에 의해 캡스턴에 밀착되며 캡스턴의 호전에 의해 정속으로 주행된다. 또, 권취측의 리일받이에 모터의 회전력이 마찰기구를 통하여 전달되고, 권취측 리일과 캡스턴의 사이에 있어서 적당한 장력을 가한채로, 테이프가 권취측 리일에 권취된다. 그런데, 핀치롤러는 녹음재생용의 자기 헤드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자기 헤드가 테이프에 접하는 방향으로 이동할때는 캡스터에 밀착되며, 헤드가 테이프에서 떨어질때는 켑스턴으로부터 이반되어 캡스턴과의 사이의 테이프 이송기능을 상실하고 있다. 따라서, 핀치롤러를 캡스턴에 접촉 또는 이반 (접리)시키는 타이밍과, 모터에서 권취측 리일받이에 이르는 회전전달 경로를 또는 차단시키는 타이밍과를 고정밀도로 일치시킬 필요가 있다.
이 타이밍을 일치시키지 않고, 예를 들면 모터에서 리일받이에 이르는 회전전달 경로가 차단되어 있음에도 불구하고 핀치롤러가 캡스턴에 밀착되어 있으면, 권취측의 리일과 캡스턴의 사이에서 테이프가 이완되어 버린다. 또, 회전전달 경로가 차단되지 않는 동안에 핀치롤러가 캡스턴에서 떨어지면, 핀치롤러가 캡스턴에서 떨어진 순간부터 테이프는 권취측 리일에 고속으로 권취되어 버린다.
그렇지만, 이들의 타이밍을 고정도로 일치시키기 위해서는 관련부품의 치수의 정밀도나 조립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있으며 이것이 테이프 구동장치의 비용을 높이는 커다란 요인으로 되어 있다.
본 발명은 켑스턴에 대한 핀치롤러의 이접 타이밍과 모터에서 권취측 리일받이에 이르는 회전전달 경로의 연결 차단의 타이밍을 용이하게 일치시킬 수가 있으며, 그에따라 비용의 저하를 달성할 수 있는 테이프 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캡스턴을 중심으로 하여 회동자재인 회동부재로 전달 회전체를 축지하여 캡스턴과 일체의 주회전체로 이 전달 회전체를 계합시키고 있다. 또, 권취측의 리일받이에 마찰기구를 통하여 종동 회전체를 연결하고, 이 종동회전체에 전달회전체를 계합시키는 방향으로 회동부재를 스프링 부재에 의해 탄지하고 있다. 그리고, 캡스턴에서 이반하는 방향으로 핀치롤러레버가 회동할 때, 이 핀치롤러에서 회동부재를 반탄지방향으로 회동시켜서 리일받이로의 회전력의 전달경로를 차단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이하, 본 발명의 테이프 구동장치를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10)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도, 제2도에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10)의 평면도, 저면도를 도시한다.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10)로서의 기본적 구성은 종래의 구성과 큰차이 없고 섀시(14)에 복수개, 예를 들면 6개의 조작부재(16-21)가 압입가능하게 배치되어 있다. 이들의 조작부재(16-21)는 제1도의 좌로부터 녹음, 재생, 되감기, 고속이송, 스톱/이젝트, 포즈(일시정지)용의 조작부재이다.
또, 섀시(14)에 한쌍의 리일받이(24a, 24b), 캡스턴(25), 이들을 회전구동하는 모터(26), 녹음 재생용 자기헤드(27)가 취부된 헤드판(28), 핀치롤러(30)를 축지한 회전자재한 핀치롤러레버(31), 소거헤드(32)가 취부된 소거헤드레버(33)등이 장착되어 있다.
헤드판(28)은 재생조작부재(17)에 직접 계합되어 있으며, 재생조작부재를 압입하면, 제1도에서 상방으로 이동하고, 헤드(27)를 카세트(34)의 자기테이프에 접촉시킨다. 또, 재생조작부재(17)가 복귀할 때, 헤드판(28)도 동시에 복귀한다.
모터(26)는 섀시(14)의 이면에 취부되고, 모터의 구동력은 제2도에서 알 수 있듯이 모터풀리(37)에서 앤드리스 벨트(38)를 지나 캡스턴풀리(40)로 전달되고 있다. 캡스턴풀리(40)의 상방의 캡스턴(25)의 기단부에 주회전체로서의 피니언기어(42)가 고착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 부가하여 제3도를 보면 잘 알 수 있듯이, 캡스턴(25)을 중심으로 회동자재한 회동부재(44)가 설치되고 전달회전체로서의 전달기어(46)가 회동부재의 하면에 축지되어 있다. 이 전달기어(46)는 제4도, 제5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하단부에 플렌지를 가지며, 이 플랜지의 외연부에 형성된 기어(47a)와 상부의 외연부에 형성된 소경의 기어(47b)를 구비하고, 기어(47a)는 피니언기어(42)에 항시 교합하여 있다. 한편, 상기 한쌍의 리일받이 가운데, 권취측 리일받이(24a)의 기단부에 종동 회전체로서의 종동기어(48)가 리일받이와 동축으로, 또한 마찰기구를 통하여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전달기어의 기어(47a)는 녹음모드 또는 재생모드에 있어서, 종동기어(48)에 교합하여 리일받이(24a)를 회전구동시킨다. 상기 회동부에(44)는 전달기어의 기어(47a)를 종동기어(48)에 교합시키는 방향(제1도의 반시계방향)으로 스프링 부재, 예를 들면 비틀림 스프링(50)에 의해 탄지 되어 있다. 그리고, 회동부재(44)는 상기 핀치롤러레버(31)의 회동단부에 설치된 계합핀(52) (제3도, 제6도, 제7도 참조)에 섭접하는 섭접면(54)을 가지고 있다.
종동기어(48), 리일받이(24a)간의 마찰기구는 공지의 것이며,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슬리브부를 가지는 리일기어(55) (제1도 참조)를 설치하고, 리일기어에 중첩하여 펠트 등의 마찰판, 종동기어(48), 압축스프링을 순차로 감합시킨 후, 그 슬리브부를 권취측 리일받이(24a)의 중심공에 압입하고, 섀시 상면에 설치된 축에 회전자재롭게 장착하여 구성된다.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FF기어(56)가 섀시(14)에 회전자재로 축지되며, 이 FF기어는 상기 리일기어(55)에 항시 교합된다. 또, 절환기어(58)를 축지한 절환레버(60)가 섀시(14)에 회동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공급축의 리일받이(24b)의 기단부에도 리일기어(62)가 고착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절환레버(60)의 회동에 의해 절환기어(58)가 FF기어(56) 또는 공급측 리일기어(62)의 일측에 선택적으로 교합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절환기어(58)와 동축으로 풀리(64)가 설치되고, 앤드리스 벨트(66)를 통하여 캡스턴(25)의 회전력이 이 풀리에 전달된다(제2도 참조). 그리고, 풀리(64)와 절환기어(58)는 마찰기구를 통하여 일체적으로 회전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테이프 앤드를 검출하여 녹음, 재생, 되감기, 고속이송동작을 정지시키기 위한 자동정지기구(68)가 섀시(14)에 장착되어 있다. 제1도,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이 자동정지기구(68)는 권취측 리일받이(24a)가 회전되고 있는 동안, 그 회전력을 받는 회전검출부재(70)와, 상기 전달기어(46)에 설치된 편심캠면(72) 및 당접부(74)와, 회전검출부재로부터 압압력을 받아 캠면에 접하고, 회전검출부재로부터 압압력을 받고 있는 동안, 요동하는 요동판(76) 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자동정지기구(68)는 대체로 이하와 같이 작용한다.
테이프 앤드에 이르러 권취측 리일받이(24a)가 정지하면 요동판(76)에 대한 회전검출부재(70)의 압압력이 소실된다. 이에 따라, 요동판(76)의 요동이 정지되고, 당접부(74)와 요동판이 당접하여 회동부재(44)가 반탄지방향(시계방향)으로 크게 회동한다. 그 결과, 전달기어의 기어(47b)가 종동기어(48)에서 이반되고, 동시에 회동부재(44)의 회동력을 이용하여 녹음, 재생, 되감기, 고속이송용의 조작부재(16-19)를 왕동위치에서 해제하여 복귀시키고, 테이프 레코더를 정지시킨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캡스턴(25)과 동축이며 또한 일체로 회전하는 피니언기어(42)가 주회전체로 된다. 그리고 종동회전체에 해당하는 종동기어(48)의 사이에 회동부재(44)가 배설되어 있다. 또한, 피니언기어(주회전체) (42)와 항시 계합하는 기어(47a)와, 종동기어(48)와 선택적으로 계합하는 기어(47b)를 구비한 전달기어(46)가 전달회전체로서 기능하고 있다.
비틀림 스프링(36)이 헤드판(28)에 취부되고, 제1도,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비틀림 스프링의 일단(36a)은 섀시(14)의 계지부(15)에, 타단(36b)이 헤드판 우단의 계지부(88)에 각각 계지되어 있다. 이 비틀림 스프링(36)에 의해 헤드판(28)은 비동작 위치(초기위치)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또, 헤드판 우단의 계지부(88)에 계지된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36b)은 계지부를 넘어 핀치롤러레버(31)에 계지되어 있다.
핀치롤러레버(31)는 제6도,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은 하방으로 뻗은 계지부(90)를 구비하고, 이 계지부에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36b)이 계지되어 있다.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36b)은 계지부(90)의 계지가 용이하게 벗어나지 않도록 선단이 절곡되어 있다(제8도 참조). 또, 상기 계합핀(52)이 계지부(90)에 인접하여 핀치롤러레버(31)의 하면에서 연출하여 있다.
회동부재(44)는 비틀림 스프링(50) (제1도 참조)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탄지되고, 전달기어의 기어(47b)는 종동기어(48)의 교합하는 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또, 회동부재(44)의 주변에 설치된 섭접면(54)이 핀치롤러의 계합핀(52)에 압입되어 있다(제3도, 제8도 참조).
헤드판(28), 핀치롤러레버(31), 회동부재(44)가 상기와 같은 관계로 배치되어 있다. 그때문, 헤드판(28)이 조작부재(16, 17)의 압입동작에 연동하여 제8도에 있어서, 화살표 방향으로 왕동하면, 비틀림 스프링의 타단(36b)이 계지부(90)에 계합하여 압압하기 때문에 핀치롤러레버(31)는 회동축(92)의 회전으로 화살표시와 같은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핀치롤러레버(31)의 이 회동에 의해 핀치롤러(30)는 켑스턴(25)에 압압되어 캡스턴의 사이에서 테이프를 협지한다. 또, 핀치롤러레버(31)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핀치롤러레버의 계합핀(52)은 회동부재(44)의 섭접면(54)에서 이반한다. 그러나, 섭접면(54)이 계합핀(52)에 탄지되어 있기 때문에 계합핀에 추종하여 이동하고, 결국 회동부재(44)는 회동중심인 캡스턴(25)의 회전으로 화살표와 같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리고, 회동부재(44)의 회동에 의하여 전달기어의 기어(47b)는 종동기어(48)에 교합하고, 캡스터(25)에서 피니언기어(42) (주회전체), 종동기어(48) (종동회전체)를 지나 권취측 리일받이(24a)에 이르는 회전전달 경로가 구성되어 리일받이 회전력이 전달된다.
그후, 스톱/이젝트용의 조작부재(21)가 압입되면, 그 압입동작에 연동하여 헤드판(28)이 제8도에서 반화살표방향으로 이동하여 초기위치로 복귀한다. 그러면, 상기와는 반대로 핀치롤러레버(31)가 반시계방향으로 연동하여 핀치롤러(50)는 캡스턴(25)에서 이반한다. 그리고, 핀치롤러레버(31)의 회동에 추종하여, 회동부재(44)는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전달기어의 기어(47b)는 종동기어(48)에서 이반되고, 그들 사이의 교합이 해제된다. 그 때문에, 캡스턴(25)에서 피니언기어(42) (주회전체), 종동기어(48) (종동회전체)를 지나 권취측 리일받이(24a)에 이르는 회전전달 경로가 차단되어 리일받이로의 회전력 전달이 차단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헤드판(28), 핀치롤러레버(31), 회동부재(44)의 동작이 연동하여 확실하게 발생한다. 그와같은 테이프에의 헤드(27)의 당접, 핀치롤러(30), 캡스턴(25) 사이의 테이프의 협지, 종동기어(48)의 기동이 직접적으로 동기되어 이들의 동작 타이밍이 완전하게 일치된다. 결국, 핀치롤러(30)가 캡스턴(25)에서 이반하는 타이밍과 캡스턴에서 종동기어(48)에 이르는 회전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타이밍이 고정밀도로 일치한다. 그리고, 이와같은 헤드판(28), 핀치롤러레버(31), 회동부재(44)를 연동시키는 구성에서는 관련부품의 치수의 정밀도나 조립의 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없다. 이와같이, 간단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테이프의 이완이나 강제적인 권취에 기인하는 테이프의 이상 주행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으며, 테이프 구동장치를 저렴한 비용으로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본 발명을 하등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기술범위 내에서 변형, 개조등이 시행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되는 것은 말할 것도 없다.
예를 들면, 종동회전체는 피니언기어(42)로서 구체화되어 있으나 기어가 아니고 풀리등 다른 형태를 취해도 좋다. 또, 전달회전체인 전달기어(46)는 피니언기어(종동회전체) (42)에 항시 계합하는 기어(47a)와 종동기어(종동회전체) (48b)에 선택적으로 계합하는 기어(47b)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테이프 구동장치에 의하면 핀치롤러레버와 전달회전체를 축지하는 회동부재를 계합시키고 헤드판, 핀치롤러레버, 회동부재를 연동시키고 있다. 핀치롤러가 캡스턴에 접리하는 타이밍과 캡스턴에서 권취측 리일받이에 연결된 종동기어에 이르는 회전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타이밍이 고정밀도로 일치된다. 그리고, 이와같은 구성에서는 관련부품의 치수정밀도나 조립정밀도를 높일 필요가 없다. 이와같이, 간단한 구성에도 불구하고 테이프의 이완이나 강제적인 권취에 기인하는 테이프의 이상주행이 미연에 확실히 방지될 수 있으며 테이프 구동장치가 저가에 제공될 수 있다.

Claims (1)

  1. 캡스턴(25)과 동축이며 또한 일체로 회전하는 주회전체(42)와; 리일받이(24a)와 동축으로 설치되어 마찰기구를 통하여 리일받이에 연결된 종동회전체(48)와; 캡스턴을 중심으로 회동자재한 회동부재(44)와; 이 회동부재에 축지되어 주회전체와 항시 계합함과 동시에 상기 종동회전체와 선택적으로 계합하여 캡스턴의 회전을 상기 종동회전체에 전달하는 전달회전체(46)와; 이 전달회전체를 공동 회전체에 계합시키는 방향으로 상기 회동부재를 탄지하는 스프링 부재(50)와; 핀치롤러(30)를 축지하여 회동자재로 설치되고, 핀치롤러를 캡스턴에서 이반시키는 방향으로 회동할 때 계합핀(52)으로 섭접면(54)을 압압하여 회동부재를 반탄지방향으로 회동시키고, 캡스턴에서 리일받이에 이르는 회전전달 경로를 차단하는 핀치롤러레버(31)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구동장치.
KR1019870001828A 1987-03-02 1987-03-02 테이프 구동장치 KR90000847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1828A KR900008476B1 (ko) 1987-03-02 1987-03-02 테이프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70001828A KR900008476B1 (ko) 1987-03-02 1987-03-02 테이프 구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0426A Division KR900003600B1 (ko) 1987-01-20 1987-01-20 테이프 구동장치의 자동 정지 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552A KR880009552A (ko) 1988-09-15
KR900008476B1 true KR900008476B1 (ko) 1990-11-22

Family

ID=26627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01828A KR900008476B1 (ko) 1987-03-02 1987-03-02 테이프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0847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9552A (ko) 1988-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1195772A (en) Cassette for cleaning driving and recording elements of a tape recorder
US5459626A (en) Apparatus for driving a dual deck type video recorder having a specific tape guiding configuration
KR900008476B1 (ko) 테이프 구동장치
KR860000916B1 (ko) 테이프 종단검출장지
US4313144A (en) Tape cassette having internal drive with speed adjustment
US5005094A (en) Mode changeover mechanism with flat cam surface for a tape player
US5719728A (en) Mode changeover apparatus for a tape player with over-stroke correction mechanism
KR0179247B1 (ko) 비디오기기의 핀치롤러 장치
US4774604A (en) Tape looseness preventive device
KR0117898Y1 (ko) 테이프 레코더의 아이들러 제어장치
EP0345739B1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EP0045328B1 (en) A loading mechanism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KR860000918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
JPS6260160A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2621386B2 (ja) テープ終端検出装置
KR950008505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구동장치
US5982575A (en) Tape loading apparatus with a pair of link devices having deformable bent portions
KR10029658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테이프 텐션 조절장치
KR850001265Y1 (ko)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동장치
JPS624928Y2 (ko)
KR94000159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오이송 방지장치
KR840005252A (ko) 테이프 레코오더
JPH0452824Y2 (ko)
KR100277740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권취측 폴 베이스 구동장치
KR100277739B1 (ko) 자기기록재생기의 모드 감지방법 및 그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01101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