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1855Y1 - 테이프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테이프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21855Y1
KR0121855Y1 KR2019970029366U KR19970029366U KR0121855Y1 KR 0121855 Y1 KR0121855 Y1 KR 0121855Y1 KR 2019970029366 U KR2019970029366 U KR 2019970029366U KR 19970029366 U KR19970029366 U KR 19970029366U KR 0121855 Y1 KR0121855 Y1 KR 012185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pressing
lever
trigger lever
engagem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2936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또 구리따
고지 도이
다께요시 다까시나
Original Assignee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068261A external-priority patent/JP2805701B2/ja
Application filed by 오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to KR2019970029366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2185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2185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21855Y1/ko

Link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한쌍의 치결부(105,105')를 갖고 구동 기어(88; 실제로는 소기어(92))와 나사 맞물림하여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한쌍의 치결부(105,105')중 어느 한쪽의 치결부와 대향한 위치에서 회전이 정지되는 치결 기어(99)와, 비압입 위치와 압입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함과 동시에 항상 비압입 위치측으로 이동력이 작용되고 또한 상기 치결 기어의 한쪽면과 대향한 위치에 압압편(80)이 설치된 트리거 레버(77)를 구비하고, 상기 치결 기어의 한쪽면의 상기 비압입 위치로 이동된 상기 트리거 레버의 상기 압압편과 대향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원주상에 스톱퍼 돌출부(107,107')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치결 기어의 한쪽면에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된 트리거 레버의 상기 압압편에 의해 압압 조작되어서 치결 기어에 초기 회전력을 부여하는 피압압 돌출부(108,108')를 형성하며, 상기 트리거 레버를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트리거 레버의 상기 압압편의 상기 스톱퍼 돌출부로의 압압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압압편이 상기 피압압 돌출부를 압압 조작하여 상기 치결 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치결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를 나사 맞물림시켜서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테이프의 주행 방향이 절환되며, 그 후에 상기 트리거 레버를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있을때 스톱퍼 돌출부와 트리거 레버의 상기 압압편이 맞닿아서 상기 치결 기어의 회전을 방지하도록한 것이다.

Description

테이프 플레이어
본 고안은 신규한 테이프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한쌍의 치결부가 형성되고 또한 구동 기어와 나사 맞물림하는 것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치결부가 구동 기어와 대향한 정지 위치에 도달하여 정지하고, 정지 위치에 도달한 것에 의해 또는 정지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동작 예컨대, 테이프+주행 방향을 규정하는 부재의 이동을 수행하는 치결 기어를 구비한 테이프 플레이어에 관한 것으로서, 치결 기어를 정지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어떤 스톱퍼 수단과 치결 기어를 그 정지 위치로부터 구동 기어와 나사 맞물림하는 위치까지 송출하기 위한 송출 수단을 개량하므로서 1개의 조작 부재(트리거 레버)에 의해 치결 기어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의 유지와 송출을 수행할 수 있고, 더구나 그 송출을 확실하게 수행할 수 있도록 한 신규한 테이프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 테이프 플레이어는 한쌍의 치결부를 갖고, 구동 기어와 나사 맞물림하여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한쌍의 치결부중 어느 한쪽의 치결부와 대향한 위치에서 회전이 정지되는 치결 기어와, 비압입 위치와 압입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함과 동시에 항상 비압입 위치측으로 이동력이 가압되고 또한 상기 치결 기어의 한쪽면과 대향한 위치에 압압편이 설치된 트리거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치결 기어의 한쪽면의 상기 비압입 위치로 이동된 상기 트리거 레버의 압압편과 대향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원주상에 스톱퍼 돌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치결 기어의 한쪽면에 압압 위치로 이동된 트리거 레버의 압압편에 의해 압압 조작되어서 치결 기어에 초기 회전력을 부여하는 피압압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테이프 주행방향 절환 기구를 가지며, 트리거 레버를 압압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트리거 레버의 압압편의 상기 스톱퍼 돌출부로의 압압을 해제함과 동시에, 압압편이 피압압 돌출부를 압압 조작하여 치결 기어를 회전시키고, 치결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를 나사 맞물림시켜서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테이프의 주행 방향이 절환되고, 그 후에 트리거 레버를 상기 압압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있을때 스톱퍼 돌출부와 트리거 레버의 압압편이 맞닿아서 치결 기어의 회전을 방지하도록하며, 트리거 레버가 치결 기어의 회전 지령을 행하지 않는 위치에 와있을때에는 스톱퍼 돌출부의 압압편에 맞닿는 것에 의해서 치결 기어가 정지 위치에 유지됨과 동시에 트리거 레버가 상기 지령을 행하는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 그 압압편이 피압압 돌출부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치결 기어가 구동 기어와 나사 맞물리는 위치까지 송출되도록 하며, 그것에 의하여 1개의 트리거 레버에 의해 치결 기어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의 유지와 송출을 행할 수 있고, 더구나 그 송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도록 구성시킨 것이다.
어떤 동작에 있어서 항상 회전하고 있는 구동 기어와 이 구동 기어의 회전력을 전달하여 소정의 회전각 회전하는 것에 의해 소정의 일을 행하는 피구동 기어를 구비함과 동시에, 이 피구동 기어가 소정의 회전각 회전한 곳에서 정지하는 것을 필요로 하는 기어 장치로서, 상기 피구동 기어에 소위 치결 기어 즉, 1 내지 복수의 치결부가 형성되어 이 치결부가 구동 기어와 대향한 위치에 위치하므로서 구동 기어와의 나사 맞물림이 해제되는 기어를 사용한 것이 있다.
예를들면, 소위 리버스 재생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주행 방향 절환 장치에 있어서 테이프 주행 방향을 규정하는 이동 부재를 구동 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캠 기어에 의해 이동하도록한 것중에 상기 캠 기어에 치결 기어를 사용한 것이 있고, 그런 종류의 테이프 주행 방향 절환 위치에 있어서는 통상 재생 동작이 행해지고 있는 상태에 있어서 항상 회전하는 무엇인가의 구동 기어와 이 구동 기어를 나사 맞물림하므로서 회전됨과 동시에 중심각에서 대략 180° 이격된 위치에 치결부가 형성된 캠 기어와, 이 캠 기어가 거의 반회전할때마다 테이프 주행 방향을 선택적으로 절환시키는 2개의 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이동 부재등을 구비하고 있고, 테이프 주행 방향의 절환을 행하는 지령을 행하였을때 캠 기어의 구동 기어와 나사 맞물림하는 위치까지 보내져서 이 구동 기어에 의해 회전됨과 동시에 그 치결부가 구동 기어와 대향한 곳에서 캠 기어의 회전이 정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치결 기어를 구비한 기어 장치에 있어서는 적어도 치결 기어가 그 치결부가 구동 기어와 대향한 위치 즉, 정지 위치에 온 곳에서 치결 기어를 그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스톱퍼 수단과 치결 기어를 그 정지 위치로 부터 구동 기어와 나사 맞물림되는 위치까지 송출하기 위한 어떤 송출 수단을 갖는 제어 기구가 설치되어 있다.
제9도 및 제10도는 그와 같은 치결 기어를 구비한 테이프 주행 방향 절환 장치의 일예(a)를 도시한 것이다.
동 도면에 있어서 b는 도시하지 않는 메카 샤시에 일정한 범위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된 디렉션 슬라이더이고, 거의 직사각형을 이루는 캠 배치 구멍(c)과 규제편(d,d')이 설치되어 있으며, 제9도(a)에 도시하는 전진 위치와 제9도(b)에 도시하는 리버스(되감기) 위치의 어느 한쪽의 위치에 와있으므로서 테이프 주행 방향을 규정하는 핀치 롤러의 캡스턴에 대한 위치나 릴 다이(대) 구동 기어의 릴대에 대한 위치가 선택적으로 절환되어서 테이프 주행 방향이 규정되도록 되어 있다.
e는 지지축(f)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디렉션 기어 즉, 치결 기어이고, 이 디렉션 기어(e)는 대략 평기어 형상을 하고 있는 원판부(g)와 이 원판부(g)의 상면에 형성된 편심 캠(h)과 하면에 형성된 피압압 캠(i)이 일체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외주부의 중심각에서 서로 대략 180° 이격된 위치에 치결부(j1,j2)가 형성되며, 또한 원판부(g)의 하면 외주부의 피압압 캠(i)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부와 대향한 위치에 스톱퍼 돌출부(k1,k2)가 형성되어 있다.
1은 모터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기어이다.
그리고 디렉션 기어(e)는 그 편심각(h)이 디렉션 슬라이더(b)의 캠 배치 구멍(c)내에 조금 여유를 두고 위치하고, 또한 원판부(g)중 치결부(j1,j2) 이외의 부분이 구동 기어(1)에 대향하는 상태에 있어서 이 구동 기어(1)와 나사 맞물림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디렉션 기어(e)는 2개의 치결부(j1,j2)중 한쪽 치결부(j1)가 구동 기어(1)와 대향하는 제1위치 및 다른쪽의 치결부(j2)가 구동 기어(1)와 대향하는 제2위치에 왔을 때에는 구동 기어(1)에 의해서는 구동 되지 않는 상태로 된다.
m은 이송 스프링이고, 이 이송 스프링(m)은 그 기단부가 메카샤시에 지지되며 그 선단부가 디렉션 기어(e)의 피압압 캠(i)에 항상 측방으로 탄성 접촉하는 상태로 설치되어 있고 따라서 디렉션 기어(e)의 방향이 이송 스프링(m)의 선단부가 피압압 캠(i)에 회전력을 가압하도록 탄성 접촉되는 방향을 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디렉션 기어(e)에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압되는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회전력의 가압은 적어도 디렉션 기어(e)가 제1위치에 와있는 상태 및 제2위치에 와있는 상태에 있어서 행하여 지도록 되어 있다.
n은 메카샤시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인장 스프링(o)에 의해서 항상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작용되는 스톱퍼 아암이고, p는 자기 흡착 수단이며, 스톱퍼 아암(n)은 그 피작용 단부(q)가 자기 흡착 수단(p)에 흡착되어 있을 때에는 그 규제 단부(r)가 디렉션 기어(e)에 형성된 스톱퍼 돌출부(k1,k2)의 회전 궤적상에 위치하는 방지 위치에 유지됨과 동시에 자기 흡착 수단(p)에 의한 흡착이 해제되었을 때에는 인장 스프링(o)의 인장력에 규제 단부(r)가 상기 회전 궤적에서 외측으로 달아난 비방지 위치로 이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s는 스톱퍼 아암(n)에 형성된 복귀 아아암 이다.
그리고 디렉션 기어(e)가 제1위치에 와있는 상태에 있어서 스톱퍼 아암(n)이 자기 흡착 수단(p)에 흡착되어 있을 때에는 한쪽의 스톱퍼 돌출부(k1)가 스톱퍼 아암(n)의 구제 단부(r)에 접촉하므로서 디렉션 기어(e)가 제1위치에 유지되고 또한 디렉션 기어(e)가 제2위치에 와있는 상태에 있어서 스톱퍼 아암(n)이 자기 흡착 수단(p)에 흡착되어 있을 때에는 다른쪽 스톱퍼 돌출부(k2)가 스톱퍼 아암(n)의 규제 단부(r)에 접촉하므로서 디렉션 기어(e)가 제2위치에 유지되는 된다.
그래서 디렉션 슬라이더(b)가 전진 위치 또는 리버스 위치에 와있는 상태에서 테이프 주행의 절환을 행하기 위한 지령이 행해지면 자기 흡착 수단(p)에 대한 전력 공급이 일시적으로 해제되고 그것으로 인하여 스톱퍼 아암(n)이 비방지 위치로 이동되기 때문에 디렉션 기어(e)가 이송 스프링(m)에 의해서 가압되는 회전력에 의해 반시계 방향으로 그것에 의해 원판부(g)가 구동 기어(1)와 나사 맞물림된다.
즉, 디렉션 기어(e)의 구동기어(1)에 대한 나사 맞물림은 이송 스프링(m)의 압압력에 의해 행하여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디렉션 기어(e)는 구동 기어(1)에 의해서 회전되어 행해지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디렉션 기어(e)의 회전이 개시되어 곧 스톱퍼 돌출부(k1,k2)중 그때까지 이동을 방지되고 있던 쪽의 스톱퍼 돌출부가 스톱퍼 아암(n)의 복귀 아암(s)을 압압하여 그 스톱퍼 아암(n)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키고, 그로 인하여 스톱퍼 아암(n)이 방지 위치에 되돌아오는 동시에 자기 흡착 수단(p)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디렉션 기어(g)가 반회전한 위치에 이르는 조금 앞쪽의 위치, 즉 그 피압압 돌출부(i)에 이송 스프링(m)에 의한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압되는 위치까지 와있는 후에 치결부(j1,j2)의 한쪽이 구동 기어(1)와 대향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디렉션 기어(e)는 이송 스프링(m)의 압압력에 의해 다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회전이 개시되고나서 반회전한 위치에 온곳에서 그 스톱퍼 돌출부(k1,k2)의 한쪽이 스톱퍼 아암(n)의 규제 단부(r)에 접촉하여 그 이상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디렉션 기어(e)의 정지 위치로의 최종적인 이송은 스프링(m)에 의해서 행하여지게 된다.
이와 같은 테이프 주행 방향 절환 장치(a)에서는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해지는 등의 문제가 있다.
즉, 상술한 테이프 주행 방향 절환 장치(a)에 있어서 디렉션 기어(e)를 그 정지 위치인 곳의 제1위치 및 제2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스톱퍼 수단으로서 자기 흡착 수단(p)과 인장 스프링(o)과 스톱퍼 아암(n)을 사용하고 있으며, 또한 디렉션 기어(e)를 구동 기어(1)와 나사 맞물림하는 위치까지 송출하는 수단으로서 이송 스프링(m)을 사용하고 있기 때문에 많은 부품을 필요로 하고, 따라서 그 구조가 매우 복잡해짐과 동시에 이들 스톱퍼 수단이나 이송 수단을 배치하기 위하여 적지 않은 공간을 필요로 하므로 형상이 커지고 또한 자기 흡착 수단(p)은 일반적으로 고가의 부품이기 때문에 코스트(비용)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가 있으며 또한, 자기 흡착 수단(p)을 제어하는 특별한 회로가 필요하게 되므로 회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고 더구나, 이러한 자기 흡착 수단은 큰 전력을 소비하는 문제점도 있다.
그래서, 본 고안의 테이프 플레이어는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한쌍의 치결부를 가지며 구동 기어와 나사 맞물림하여 회전됨과 동시에 구동 기어와 한쌍의 치결부중 어느 한쪽의 치결부와 대향한 위치에서 회전이 정지되는 치결 기어와, 비압입 위치와 압입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함과 동시에 항상 비압입 위치쪽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되고 또한 상기 치결 기어의 한쪽면과 대향한 위치에 압입편이 설치된 트리거 레버를 구비하고, 치결 기어의 한쪽면의 비압입 위치로 이동된 상기 트리거 레버의 압압편과 대향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원주상에 스톱퍼 돌출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치결 기어의 한쪽면에서 비압입 위치로 이동된 트리거 레버의 압입편에 의해서 압입 조작되어 치결 기어의 초기 회전력을 부여하는 피압압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진 테이프 주행 방향 절환 기구를 가지며, 트리거 레버를 압입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트리거 레버의 압압편의 스톱퍼 돌출부로의 압압을 해제함과 동시에 압압편이 피압압 돌출부를 압압 조작하여 치결 기어를 회전시키고, 치결 기어와 구동 기어를 나사 맞물림시켜서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테이프의 주행 방향이 절환되고, 그 후에 트리거 레버를 압입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있을때에는 스톱퍼 돌출부와 트리거의 압압편이 맞닿아서 치결 기어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의 테이프 플레이어에 의하면 트리거 레버가 비압입 위치에 와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치결 기어는 그 스톱퍼 돌출부가 트리거 레버의 압압편과 접촉하는 것에 의해 회전이 방지된다. 즉, 정지 위치에 유지되고 또한 그 상태에서 트리거 레버이 압입 위치로 이동될때에는 그 압압편이 스톱퍼 돌출부의 이동을 방지하지 않는 위치로 이동함과 동시에 그것과 거의 동시에 피압압 돌출부를 압압하여 치결 기어를 구동 기어와 나사 맞물림하는 위치까지 송출하게 되므로 치결 기어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의 유지와 송출을 1개의 트리거 레버에 의해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송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제1도 내지 제8도는 본 고안의 테이프 플레이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제1도는 디렉션 기어의 위치 제어를 (A)에서 (D)까지 차례를 따라서 도시하는 주요부의 저면도.
제2도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외부 덮개를 떼어내서 도시한 개략 평면도.
제3도는 테이프 플레이어의 메카샤시 보다 아래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테이프 주행 방향 절환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5도는 디렉션 기어를 제4도에 도시하는 방향과 다른 방향으로 도시한 사시도.
제6도는 제3도의 Ⅵ-Ⅵ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7도는 제3도의 Ⅶ-Ⅶ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8도는 테이프 엔드 검출 동작을 (a)에서 (b)로 순서를 따라서 도시한 주요부분의 평면도.
제9도 및 제10도는 치결 기어를 구비한 종래의 테이프 플레이어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도면으로,
제9(a)도는 제1모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9(b)도는 제2모드에 있어서의 평면도.
제10도는 주요부의 평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77:트리거 레버 80:압압편
89:구동 기어 99:치결 기어
105,105':치결부 107,107':스톱퍼 돌출부
108,108':피압압 돌출부
이하에, 본 고안의 테이프 플레이어의 상세한 설명을 첨부도면에 도시한 실시예레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는 메카덱과 외부 덮개의 전방벽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2는 메카샤시이고, 이 메카샤시(2)는 판 형상으로 형성된 샤시부(3)와 후술하는 각부의 대부분이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샤시부(3)는 그 후단 끝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이 좌우 방향으로 긴 거의 장방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후단 끝부분이 거의 M자형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이 M자형을 이루는 부분의 후단부로 부터 릴 다이 지지축(4,4')이 똑바로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전방단부의 좌우 양단부로 부터 아암 지지축(5,5')이 똑바로 설치되어 있다.
6은 샤시부(3)의 전방단부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돌출된 비교적 키가 낮은 전방벽, 7과 7'는 카세트 위치 결정핀, 8과 8'는 샤시부(3)에 인서어트 성형된 캡스턴 지지 슬리브이고, 이 캡스턴 지지 슬리브(8,8')는 샤시부(3)의 전단 끝부분의 좌우에 치우친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그 상단부가 샤시부(3)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하여 그 하단부가 샤시부(3)의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9와 9'는 후술하는 고속 주행 기어를 배치하기 위한 기어 배치 구멍이고, 이 기어 배치 구멍(9,9')은 샤시부(3)의 후단 끝부분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서 조금 좌측으로 치우친 위치를 집어서 좌우 방향으로 조금 이격하여 위치되어 있고, 이들 기어 배치 구멍(9,9')과의 사이 부분에 지지돌기(10, 제2도 참조)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샤시부(3)에 형성된 각부중 상술한 각부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각 부재의 설명중에서 관련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12는 플레이 모드를 형성하기 위한 플레이 레버, 13은 테이프를 전방 방향으로 고속 주행시키는 모드(이하, FF 모드를 한다)를 형성하기 위한 FF 레버(도면에서는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14는 테이프를 리버스 방향으로 고속 주행시키는 모드(이하 REW 모드라 한다)를 형성하기 위한 REW 레버(이것도 도면에서는 일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15는 상기 레버(12,13 및 14)가 소정량 압입 되었을 때 이들 레버를 그 위치에 유지시키기 위한 록크 슬라이더, 16은 레버(12,13 및 14)가 압입되므로서 형성된 모드를 해제하여 스톱퍼 모드로 형성하기 위한 스톱퍼 레버이고, 플레이 레버(12)는 샤시부(3)의 상면측에 또한 FF 레버(13), REW 레버(14) 및 스톱퍼 레버(16)는 샤시부(3)의 하면측에 위치되고 또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그 전방단부에 모드 버튼(12a,13a,14a 및 16a)이 부착되어 있다.
플레이 레버(12)는 그 전후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이 좌우 방향으로 긴 거의 직사각형의 판형상을 하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그 후단부에서 상호 좌우 방향으로 이격되어 후방으로 향하여 돌출된 2개의 규제편(17,17')이 형성되어 있고, 이 규제편(17,17')의 각 후단부는 이들 간격이 다른 부분의 간격보다 조금 좁아지도록 상호 대향하는 쪽으로 향하여 굴곡 형성되어 있다.
18은 플레이 레버(12) 상면의 전방단부에 부착된 자기 헤드이고, 19는 플레이 레버(12)의 좌단 가장자리 편향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향하여 잘라 일으켜 세운 형상으로 형성된 피록크편이다.
그리고 플레이 레버(12)는 인장 스프링(20)에 의해 항상 전방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되고 후방으로 향하여 압압되어 있지 않는 사이는 자기 헤드(18)가 플레이(1)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21)의 전면과 조금 이격되어 대향하는 위치(이하, 비플레이 위치라 한다)에 유지된다.
또한 FF 레버(13) 및 REW 레버(14)는 전후 방향으로 가늘고 긴 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후단부에 도시하지 않는 규제 구멍이 형성되고 또한 그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 위치에서 피록크편(22,23, 제3도 참조)이 아래쪽으로 향하여 잘라 일으켜 세운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FF 레버(13) 및 REW 레버(14)는 메카샤시(2)에 지지된 도시하지 않는 스프링에 의해서 항상 전방으로 이동력이 작용하며 후방으로 향해서 압압되있지 않는 사이는 도면에 도시하는 위치(이하, 비압입 위치라 한다)에 유지되어 있다.
록크 슬라이더(15)는 좌우 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샤시부(3)의 아래쪽에 일정한 범위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고, 또한 인장 스프링(24)에 의해 항상 좌측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되며 또한 그 우측 거의 반분에서 상호 좌우 방향으로 조금 간격을 두고서 위치한 3개의 결합 구멍(25,26 및 27)이 형성되어 있다.
그래서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레이 레버(12)가 비구동 위치에 와있고 또한 FF 레버(13) 및 REW 레버(14)가 모두 비압입 위치에 와있는 상태 즉, 스톱 상태에서 플레이 레버(12), FF 레버(13) 및 REW 레버(14)중 어느 하나가 소정량 후방으로 밀어 넣어지면 레버의 피록크편(19,22,23)이 록크 슬라이더(15)의 결합 구멍(25,26,27)의 우측 가장자리의 경사진 가장자리부를 압압하여 록크 슬라이더(15)를 일단 우측으로 이동시킨 후 피록크편(19,22,23)이 결합 구멍의 결합 가장자리(25a,26a,27a)에 결합하게 되고, 그것으로 인하여 플레이 레버(12)가 밀어넣어진 때에는 이 플레이 레버(12)가 자기 헤드(18)가 테이프 카세트(21)의 자기 테이프(28)중 테이프 카세트(21)의 전면부를 통하고 있는 부분에 접촉하는 위치(이하, 플레이 위치라 한다)로 이동되고 또한, 그 위치에 유지되게 되며 또한 FF 레버(13) 또는 REW 레버(14)가 밀어 넣어졌을 때에는 소정 거리 비압입 위치에서 후방으로 치우친 압입 위치로 이동되고, 또한 그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또한, 이와 같이 하여 플레이 레버(12), FF 레버(13) 및 REW 레버(14)중 어느것이 밀어넣어진 상태에서 스톱퍼(16)가 소정량 밀어 넣어지면 록크 슬라이더(15)가 우측으로 이동되고, 그것으로 인하여 밀어 넣어져 있는 레버의 피록크편(19,22,23)과 결합 구멍(25,26,27)의 결합 가장자리(25a,26a,27a)와의 결합이 해제되므로, 밀어 넣어진 레버가 비플레이 위치 또는 비압입 위치에 되돌아 오게 된다.
29는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의 자기 테이프(28)의 주행 방향을 규정하기 위한 디렉션 슬라이더이고, 이 디렉션 슬라이더(29)는 샤시부(3)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길이의 약 3/4의 길이를 갖응 좌우 방향으로 가즐고 긴 주부(메인부;29a)와 이 주부(29a)의 우단 치우침 위치에서 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29b)와 대략 L자형을 이루는 한편 그 L자형의 우단이 상기 돌출부(29b)의 후단에 연속한 아암부(29c)가 일체로 형성되며 이루어 진다.
그리고, 주부(29a)의 상호 좌우 방향으로 이격한 위치에 좌우 방향으로 긴 피가이드 구멍(30,30')이 형성되고, 또한 주부(29a)의 후측 가장자리의 우단부 및 좌단에서 조금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위쪽으로 향해서 돌출한 키가 낮은 핀치 롤러 규제편(31,31')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핀치 롤러 규제편(31,31')의 우측의 것(31)은 우단으로 향해 이동함에 따라 차츰 후방으로 또한 좌측의 핀치 롤러 규제편(31')은 좌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차츰 후방으로 각각 변위하도록 비스듬히 형성되어 있다.
32는 돌출부(29b)에 형성된 거의 직사각형을 형성하는 캠 배치 구멍이고, 이 캠 배치 구멍(32)의 좌우측 가장자리(32a,32b)가 후술하는 디렉션 기어의 캠에 의해 규제되는 피규제 가장자리로 되어 있다.
33은 아암부(29c)의 후단부에서 위쪽으로 향하게 해서 돌출한 돌출편이다.
34는 후술하는 아이들 레버에 소정 모드에서 소정 방향으로 회동력을 작용하기 위한 아이들 압압 스프링이고, 이 아이들 압압 스프링(34)은 대략 가위 형상을 하고 있으며 그 코일부가 디렉션 슬라이더(29)의 아암부(29c)의 L자형의 굴곡점에 설치된 핀(35)에 지지됨과 동시에 2개의 아암(34a,34b)이 후방으로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또한 아이들 레버의 피압압핀에 의해서 상대적으로 압압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출편(33)에 좌우 양측에서 접촉하는 것에 의해 서로 대략 평행하게 연장하는 자세로 위치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디렉션 슬라이더(29)는 그 피가이드 구멍(30,30')이 샤시부(3)의 하면 전방단부에 형성된 가이드 돌출부(36,36')에 슬라이딩 가증하게 결합하므로서 좌우 방향을 이동 가능하게 설치됨과 동시에 그 캠 배치 구멍(32)의 피규제면(32a,32b)이 후술하는 디렉션 기어의 캠에 의해서 압압되므로서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된 전진 위치와 동도면에 그 일부를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또한 제1도(d)에 도시하는 리버스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37,37'는 캡스턴이고, 이들 캡스턴(37,37')은 후술하는 캡스턴 풀리에 똑바로 설치됨과 동시에 그 하부측 거의 반분이 메카샤시(2)의 샤시부(3)에 설치된 상기 캡스턴 지지 슬리브(8,8')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2개의 캡스턴(37,37')중 우측의 것(37)이 전방 플레이 모드, 즉 자기 테이프(28)를 전방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재생을 행하는 모드에 있어서 기능하는 캡스턴(이하, F측 캡스턴이라 한다)이고, 좌측의 캡스턴(37')이 리버스 플레이 모드 즉, 자기 테이프(28)를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재생을 하는 모드에 있어서 가능하는 캡스턴(이하, R측 캡스턴이라 한다)이다.
38,38'는 릴 다이이고, 상기 릴 다이(38,38')는 비교적 대경의 기어부(38a,38'a)와 이 기어부(38a,38'a)의 중심부에서 위쪽으로 향해서 돌출한 릴 결합축(38b,38'b)이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며, 메카샤시(2)의 샤시부(3)에 설치된 상기 릴 다이 지지축(4,4')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21)가 플레이어(1)에 장착되면 2개의 테이프 릴(39,39')이 상기 릴 다이(38,38')의 릴 결합축(38b,38'b)에 각별하게 결합되고 그것에 의해 우측의 테이프 릴(39)(이하, T 릴이라 한다)이 우측의 릴 다이(38)(이하, F측 릴 다이라 한다)와 좌측의 테이프 릴(39')(이하, S 릴이라 한다)이 좌측의 릴 다이(38')(이하, R측 릴 다이라 한다)와 각각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40, 40'는 핀치 롤러이다.
41, 41'는 핀치 롤러아암이고, 이 핀치 롤러아암(41,41')은 그 기단부가 샤시부(3)에 설치된 상기 아암 지지축(5,5')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그 회동 단부에 지지축(42,42')이 설치되어 있고, 이 지지축(42,42')에 핀치 롤러(40,40')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42,42')의 하단부는 샤시부(3)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구멍을 통해서 샤시부(3)의 아래쪽에까지 도달하여 상기 디렉션 슬라이더(29)에 설치된 핀치 롤러 규제편(31,31')과 대향되고 있다.
43, 43'(제2도 참조)는 핀치 롤러아암(41,41')에 소정의 회동력을 작용하기 위한 토오션 스프링이고, 그 토오션 스프링(43,43')은 그 코일부가 상기 플레이 레버(12)의 전방 단부 가장자리에 형성된 지지 돌출부(44,44')에 지지됨과 동시에 그 한쪽 아암(43a,43'a)의 선단부가 핀치 롤러아암(41,41')의 지지축(42,42')에서 대략 전방에서 대향하고 있고 플레이 레버(12)가 비플레이 위치와 플레이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므로서 그 한쪽의 아암(43a,43'a)이 핀치 롤러아암(41,41')의 지지축(42,42') 또는 도시하지 않는 돌기를 대략 전후 방향으로 압압하도록 되어 있고 그것에 의하여 플레이 레버의 이동에 따라서 핀치 롤러아암(41,41')이 회동되어서 핀치 롤러(40,40')가 대략 전후 방향으로 이동함과 동시에 플레이 레버(12)가 비플레이 위치에 와있을 때에는 핀치 롤러(40,40')가 상기 캡스턴(37,37')에 대략 전방에서 조금 간격을 두고서 대향하는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상기 디렉션 슬라이더(29)가 전진 위치에 와있을 때에는 그 핀치 롤러 규제편(31,31')의 우측의 것(31)이 우측의 핀치 롤러아암(41)의 지지축(42)의 후방에서 조금 좌측으로 달아난 위치에 와있고 또한 좌측의 핀치 롤러 규제편(31')이 좌측 핀치 롤러아암(41')의 지지축(42')에 후방에서 대향하여 위치하며, 또한 디렉션 슬라이더(29)가 리버스 위치로 이동하면 우측 핀치 롤러 규제편(31)이 우측 핀치 롤러아암(41)의 지지축(42)에 후방에서 대향하여 위치하고, 또한 좌측 핀치 롤러 규제편(31')이 좌측 핀치 롤러아암(41')의 지지축(42')의 후방에서 조금 우측으로 달아난 위치에 오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디렉션 슬라이더(29)가 전진 위치에 와있는 상태에서 플레이 레버(12)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하면 제3도에 도시하는 것처럼 우측 핀치 롤러아암(41)은 토오션 스프링(43)의 탄발력에 의해서 핀치 롤러(40)가 F측 캡스턴(37)에 압착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나 좌측 핀치 롤러아암(41')은 핀치 롤러(40')가 R측 캡스턴(37')에 접촉하는 직전의 위치까지 온곳에서 지지축(42')이 디렉션 슬라이더(29)의 좌측 핀치 롤러 규제편(31')에 접촉하여 그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디렉션 슬라이더(29)가 리버스 위치에 와있는 상태에서 플레이 레버(12)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한 때에는 좌측 핀치 롤러아암(41')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디렉션 슬라이더(29)의 핀치 롤러 규제편(31')에 의해서 방지되는 일이 없으므로 핀치 롤러(40')가 R측 캡스턴(37')에 압착되는 것이나 우측 핀치 롤러아암(41)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디렉션 슬라이더(29)의 핀치 롤러 규제편(31)에 의해서 방지되기 때문에 핀치 롤러(40)가 F측 캡스턴(37)에서 조금 이간한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45는 후술하는 전달 기어 블록에 의해서 회전되어 릴 다이(38,38')와 나사 맞물림하므로서 이들 릴 다이(38,38')를 구동하는 아이들 기어, 46은 이 아이들 기어(45)를 지지한 아이들 레버이다.
아이들 레버(46)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형성됨과 동시에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서 조금 앞쪽으로 치우친 위치가 샤시부(3)중 후단 가장자리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 위치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지지축(47)의 샤시부(3)에서 상방으로 돌출한 부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그 후단부에서 하방으로 돌출한 지지축(48)에 아이들 기어(45)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49는 아이들 레버(46)의 전방단부에서 아래쪽으로 향해서 돌출한 피압압핀이고, 50은 아이들 레버(46)의 전방단부 상면에 형성된 피규제 돌출부이다.
또한 아이들 기어(45)는 릴 다이(38,38')의 기어부(38a,38'a)의 직경의 대략 반분의 직경을 갖는 대기어(45a)와 이 대기어(45a)의 상면에 위치한 소기어(45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고 대기어(45a)가 후술하는 전달 기어 블록의 기어부와 항상 나사 맞물림되어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51은 샤시부(3)의 상면중 아이들 레버(46)의 우측 위치에 설치된 중간 기어이고, 이 중간 기어(51)는 F측 릴 다이(38)의 기어부(38a)와 항상 나사 맞물림하고 있다.
그리고 아이들 레버(46)의 피압압핀(49)의 하단부는 상기 디렉션 슬라이더(29)에 설치된 아이들 압압 스프링(34)의 2개의 아암(34a,34b)의 선단부간에 위치해 있고 아이들 레버(46)는 디렉션 슬라이더(29)가 포오워드 위치에 와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피압압핀(49)이 아이들 압압 스프링(34)의 우측 아암(34a)에 의해 좌측으로 향해서 압압되므로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력이 작용되고 디렉션 슬라이더(29)가 리버스 위치에 와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동일 도면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피압압핀(49)이 아이들 압압 스프링(34)의 좌측 아암(34b)에 의해 우측으로 향하게 해서 압압되므로서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작용되고 있다.
또한 아이들 레버(46)의 피규제 돌출부(50)는 플레이 레버(12)의 상기 2개의 규제편(17,17') 사이에 위치되어 있고 플레이 레버(12)가 비플레이 위치에 와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편(17,17')의 후단부가 상기 피규제 돌출부(50)를 좌우 양측에서 거의 끼워서 집듯이 위치하고, 그것으로 인하여 아이들 레버(46)가 아이들 압압 스프링(34)에 의해 작용된 상기 회동력에 저항하여 그 회동범위의 대략 중간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으며, 아이들 레버(46)가 이 위치에 와있는 상태에 있어서 아이들 기어(45)가 제2도에 도시하는 중립 위치 즉, 그 소기어(45b)가 R측 릴 다이(38')의 기어부(38'a) 및 중간 기어(51)의 어느 것에도 나사 맞물림하지 않는 위치(이하, 중립 위치라 한다)에 유지된다.
그래서, 플레이 레버(12)가 비플레이 위치에 와있는 상태에서 플레이 위치로 이동하면 규제편(17,17')의 후단부가 아이들 레버(46)의 피규제 돌출부보다 후방 위치로 달아나기 때문에 아이들 레버(46)의 규제편(17,17')에 의한 위치의 규제가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디렉션 슬라이더(29)가 포오워드 위치에 와있으면 아이들 레버(46)는 중립 위치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아이들 기어(45)의 소기어(45b)가 중간 기어(51)와 나사 맞물림되고 또한, 디렉션 슬라이더(29)가 리버스 위치에 와있으면 아이들 레버(46)가 중립 위치에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아이들 기어(45)의 소기어(45b)가 R측 릴 다이(38')의 기어부(38'a)와 나사 맞물림되게 된다.
또한, 상술한 상태에서 플레이 레버(12)가 비플레이 위치에 되돌려지면 규제편(17,17')의 후단부가 아이들 레버(46)의 피규제 돌출부(50)의 위치를 규제하므로 아이들 기어(45)가 중립 위치에 되돌아오게 된다.
52, 52'는 자기 테이프(28)를 고속 주행시키기 위한 고속 주행 기어이다.
53은 고속 주행 기어(52,52')를 지지한 시이소체이고, 이 시이소체(53)는 대략 옆으로 자빠진 H자형을 이루며, 이 중앙부가 샤시부(3)의 상면에 형성된 상기 지지 돌출부(10)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그 전측편의 좌우 양단부에서 아래쪽으로 향해서 돌출한 피제어핀(54,54') 및 후측편의 좌우 양단부에서 아래쪽으로 향해서 돌출한 지지축(55,55')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핀(55,55')에 고속 주행 기어(52,52')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고속 주행 기어(52,52')는 상기 아이들 기어(45)의 소기어(45b)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동시에 그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도시하지 않는 원통부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이 원통부의 하단부가 고속 주행 기어(52,52')보다 지름이 조금 작은 전달 기어(56,56')에 형성되어 있다.
또한, 시이소체(53)의 피제어핀(54,54'), 지지축(55,55'), 고속 주행 기어(52,52')는 모두 샤시부(3)에 형성된 상기 기어 배치 구멍(9,9')내에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시이소체(53)는 FF 레버(13) 및 REW 레버(14)가 모두 비압입 위치에 와있을 때에는 그 피제어핀(54,54')의 위치가 FF 레버(13) 및 REW 레버(14)에 의해서 규제되므로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속 주행 기어(52,52')가 좌우 방향으로 늘어서서 위치하는 자세로 유지되어 있고, FF 레버(13 및 REW 레버(14))가 압입 위치로 이동되면 그 피제어핀(54 또는 54')이 FF 레버(13 또는 REW 레버(14))에 의해서 압압되므로서 반시계 방향(또는 시계 방향)으로 회동되게 된다.
그리고 FF 레버(13)가 압입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우측의 고속 주행 기어(52)가 중간 기어(51)와 나사 맞물림되고, 또한 우측 전달 기어(56)가 후술하는 전달 기어 블록의 기어부와 나사 맞물림되고, 또한 REW 레버(14)가 압입 위치로 밀어 넣어졌을 때에는 좌측 고속 주행 기어(52')가 R측 릴 다이(38')의 기어부(38'a)와 나사 맞물림되며, 또한 좌측 전달 기어(56')가 전달 기어 블록(67)의 기어부와 나사 맞물림되게 한다.
57은 모터이고, 이 모터(57)는 샤시부(3)의 하면 우단부에 고정됨과 동시에 그 회전축(57a)의 하단부에 비교적 지름이 작은 풀리(58)가 고정되어 있다.
59,59'는 캡스턴 풀리이고, 이 캡스턴 풀리(59,59')는 이것보다 지름이 조금 큰 플라이휠(60,60')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캡스턴 풀리(59,59')의 중심에 상기 캡스턴(37,37')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61은 우측 캡스턴 풀리(59)의 상면 중심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기어부이다.
62는 후술하는 요동 레버에 소정 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작용하고, 또한 상기 아이들 기어(45) 및 고속 주행 기어(52,52')를 구동하기 위한 전달 기어 블록이다.
63은 전달 기어 블록(62)의 제1회전체이고, 이 제1회전체(63)는 상기 캡스턴 풀리(59,59') 보다 지름이 조금 큰 풀리(64)와 이 풀리(64)의 상면 중심부와 외주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대략 중앙부에서 돌출하고, 또한 그 상부가 기어(이하 제1기어라 한다)(65)에 형성된 키가 낮은 원통부(66)와 풀리(64)의 중심부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대략 원통형상을 이루는 보스(67)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제1기어(65)에 상기 아이들 기어(45)의 대기어(45a)가 항상 나사 맞물림하고 있다.
또한, 68은 전달 기어 블록(62)의 제2회전체이고, 이 제2회전체(68)는 상기 제1회전체(63)의 원통부(66)의 내경보다 지름이 조금 작은 원판(69)과 이 원판(69)에서 위쪽으로 향해서 돌출한 원통부(70)가 일체로 형성되어서 이루어지며, 이 원통부(70)의 상단부가 기어(이하 제2기어라 한다)(71)에 형성되어 있다.
72는 제1회전체(63)의 상면을 막듯이 부착된 캡체이고, 제1회전체(63)와 제2회전체(38)는 제1회전체(63)의 보스(67)가 제2회전체(68)의 원통부(70)에 회전가능하게 삽입되는 동시에 원판(69)의 하면과 풀리(64)의 상면과의 사이에 마찰판(73)이 개재되며, 또한 상기 원판(69)과 캡체(72)와의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74)이 개재된 상태에서 상호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제1회전체(63)의 회전은 마찰판(73)을 거쳐서 제2회전체(68)에 전달되므로 제2회전체(68)에 일정한 값 이상의 부하가 걸려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는 제1회전체(63)와 제2회전체(68)가 일체로 회전되고, 상기 부하가 일정한 값읗 초과하면 제1회전체(63)와 제2회전체(68)와의 사이의 접촉부가 슬립하게 된다.
그리고, 전달 기어 블록(62)은 제1회전체(63)의 보스(67)에 상기 아이들 레버(46)가 지지축(47)의 샤시부(3)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부분이 관통되므로서 이 지지축(47)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75는 무단 형상의 벨트이고, 이 무단 형상 벨트(75)는 상기 모터(57)의 풀리(58)-우측의 캡스턴 풀리(59)-좌측의 캡스턴 풀리(59')-전달 기어 블록(62)의 풀리(64)-모터(57)의 풀리(58)에 이 순서로 감겨져 있고 우측의 캡스턴 풀리(59)에는 후방을 향하고 있는 부분에, 또한 좌측의 캡스턴 풀리(59')에는 전방을 향한 부분에 각각 감겨져 있다. 따라서 2개의 캡스턴 풀리(59,59')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또한 모터(57)는 상기 플레이 레버(12), FF 레버(13) 및 REW 레버(14)중 어느것이 밀어 넣어지므로서 회전되고, 그 회전 방향은 회전축(57a)이 제3도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모터(57)가 회전하면 벨트(75)가 주행되고, 그것에 의해 우측 캡스턴 풀리(59)가 제3도에 있어서 반시계 방향으로, 좌측 캡스턴 풀리(59') 및 전달 기어 블록(62)이 동일 도면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 각각 회전하게 되며, 이로 인하여 F측 캡스턴(37) 및 아이들 기어(45)가 반시계 방향으로, R측 캡스턴(37')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플레이 모드, FF 모드 및 REW 모드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28)는 다음과 같이 주행하게 된다.
스톱 상태에서 플레이 레버(12)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하면 모터(57)가 회전하고, 캡스턴(37,37'), 전달 기어 블록(62) 및 아이들(45)가 회전되는 동시에 디렉션 슬라이더(29)가 포오워드 위치에 와있을 때(이하 포오워드 상태라 한다)에는 우측 핀치 롤러(40)가 F측 캡스턴(37)에 장착되고, 또한 아이들 기어(45)의 소기어(45b)가 중간 기어(51)에 나사 맞물림되며, 또한 디렉션 슬라이더(29)가 리버스 위치에 와있을 때(이하 리버스 상태라 한다)에는 좌측 핀치 롤러(40')가 R측 캡스턴(37')에 장착되고, 또한 아이들 기어(45)의 소기어(45b)가 R측 릴 다이(38')의 기어부(38'a)와 나사 맞물림하게 되며, 그것으로 인하여 전방 상태에 있어서는 F측 릴 다이(38)가 반시계 방향(이하 테이프 잠김 방향이라 한다)으로, 또 리버스 상태에 있어서는 R측 릴 다이(38')가 시계 방향(이하 테이프 감김 방향이라 한다)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셋트(21)가 플레이어(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레이 모드로 되면 자기 헤드(18)가 자기 테이프(28)에 접촉하는 동시에 자기 테이프(28)는 포오워드 상태에 있어서는 F측 캡스턴(37)과 이것에 압착된 우측 핀치 롤러(40)에 의해서 집어져서 포오워드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주행되고, 또한 T 릴(39)에 감겨지게 되며 리버스 상태에 있어서는 R측 캡스턴(37')과 이것에 압착된 좌측 핀치 롤러(40')에 의해서 집어져서 리버스 방향으로 일정 속도로 주행되고 또한 S 릴 (39')에 감겨지게 된다.
또한,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의 테이프의 주행 방향은 후술하는 테이프 주행 방향 절환 기구에 의해 전환된다.
또한, 스톱 상태에서 FF 레버(13) 또는 REW 레버(14)가 밀어 넣어지면 모터(57)가 회전하고 이 경우도 캡스턴(37,37'), 전달 기어 블록(62) 및 아이들 기어(45)가 회전하는 동시에 FF 레버(13)가 밀어 넣어졌을 때에는 F측 릴 다이(38)의 기어부(38a)가 중간 기어(51), 우측 고속 주행 기어(52) 및 전달 기어(56)를 거쳐서 전달 기어 블록(62)의 제1기어(65)와 나사 맞물림되어서 F측 릴 다이(38)가 고속으로 테이프 감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또한 REW 레버(14)가 밀어 넣어졌을 때에는 R측 릴 다이(38')의 기어부(38'a)가 좌측 고속 주행 기어(52') 및 전달 기어(56')를 거쳐서 전달 기어 블록(62)의 제1기어(65)와 나사 맞물림되어서 R측 릴 다이(38')가 고속으로 테이프 감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셋트(21)가 플레이어(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FF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자기 테이프(28)가 고속으로 T 릴(39)에 감겨지고, REW 모드로 되었을 때에는 자기 테이프(28)가 고속으로 S 릴(39')에 감겨지게 된다.
76은 테이프 주행 방향 절환 기구이고, 이 (76)는 상술한 디렉션 슬라이더(29)와 이 디렉션 슬라이더(29)의 위치를 규정하는 디렉션 기어와 이 디렉션 기어의 회전을 제어하는 트리거 레버와 이 트리거 레버를 조작하는 디렉션 버튼 및 테이프 엔드 검출 수단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77은 트리거 레버이고, 이 트리거 레버(77)는 전후 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후단부가 측방에서 보아서 대략자 형상을 하도록 굴곡 되고, 또한자 형상을 하는 부분의 상편(78)의 우단부가 조금 비스듬이 전방으로 향해서 굴곡한 피압압부(78a)에 형성되어 있으며, 또한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에서 조금 앞 끝부분에서 전후방향으로 긴 결합 구멍(79)이, 또한 이 결합 구멍(79)에서 조금 전방으로 이간한 위치에 비교적 키가 낮은 압압편(80)이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절기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81는 지지축이고, 이 지지축(81)은 샤시부(3)중 포오워드 위치에 와있는 디렉션 슬라이더(29)의 캠 배치 구멍(32)의 우측 피규제 가장자리(32a)에서 조금 왼쪽으로 치우친 위치와 대응하는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향하게 해서 설치되는 동시에 그 하단부에 환현상홈(81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트리거 레버(77)는 그 결합 구멍(79)이 상기 지지축(81)의 환형상홈(81a)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결합되고, 또한 그 전방단부가 메카샤시(2)의 전방벽(6)에 형성된 구멍(82)에 슬라이딩 가능하게 위치하게 되므로서 일정한 범위내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그 좌측 가장자리에 형성된 스프링 괘편(83)과 상기 전방벽(6)에 형성된 스프링 괘편(84)과의 사이에 인장 스프링(85)이 결쳐지므로서 전방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트리거 레버(77)는 후방으로 향하게 해서 압압되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그 결합 구멍(79)의 후단이 지지축(81)에 접촉하므로서 제1도(b)등에 도시한 비압입 위치에 유지되게 되고 또한 후술하는 디렉션 버튼이 소정량 밀어 넣어지므로서 또는 후술하는 요동 레버가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므로서 제1도(a)등에 도시하는 압입 위치로 이동하게 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 레버(77)가 비압입 위치에 와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전방단부는 메카샤시(2)의 전방벽(6)에서 조금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86은 디렉션 버튼이다. 이 디렉션 버튼(86)은 테이프 주행 방향을 임의로 변경할때 조작하는 것이고, 상기 트리거 레버(77)의 전방단부에 전방에서 근접하여 대향하는 상태에서 위치하게 되는 동시에 메카샤시(2)의 전방벽(6)에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가능하고 또한 항상 전방으로 향해서 작용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디렉션 버튼(86)을 후방으로 향하게 해서 소정량 압압하면 트리거 레버(77)가 압입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87은 테이프 엔드 검출 수단이다. 이 테이프 엔드 검출 수단(87)은 플레이 모드에서 소위 테이프 엔드 상태가 되었을 때 그 테이프 엔드를 검출하여 트리거 레버(77)를 이동하기 위한 것이며, 상술한 전달 기어 블록(62)과 캠 기어와 요동 레버등으로 이루어진다.
88은 캠 기어이고, 이 캠 기어(88)는 평기어 형상을 이룬 기어부(89)와 이 기어부(89)의 상면에 형성된 제1캠(90) 및 제2캠(91)과 기어부(89)의 하면에 형성된 소기어(92)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제1캠(90)은 기어부(89)의 중심부에서 중심과 외주 가장자리와의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까지의 부분에 대략 타원형을 이루는 듯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제2캠(91)은 기어부(89)의 외주 가장자리와 제1캠(90)의 기어부(89)의 중심부에 위치한 기단부와의 사이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그 외측을 향한 캠면이 우회전 방향으로 이동함에 따라서 캠 기어(88)의 중심에 가까워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 기어(88)는 샤시부(3)의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향해서 설치된 지지축(93)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그 기어부(89)가 우측 캡스턴 풀리(59)에 형성된 기어부(61)와 나사 맞물림되어 있다.
따라서, 캠 기어(88)는 모터(57)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항상 회전하게 되고 그 회전 방향은 제3도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제1도에 있어서는 반시계 방향)이다.
94는 요동 레버이며, 이 요동 레버(94)는 대략 역 L자 형상을 하는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좌단부가 좌측을 향하여 개구한 대략자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이자 형상 부분이 전후 2개의 탄성편(95)이 상기 전달 기어 블록(62)의 제2회전체(68)의 원통부(70)를 대략 전후 양측에서 집듯이 접촉하고, 또한 그 선단부간에 인장 스프링(96)을 걸치므로서 제2회전체(68)에 적당한 강도의 탄발력으로 접촉한 상태로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요동 레버(94)의 전단 가장자리에 따르는 부분에는 그 좌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끌어 걸이 돌출부(97)와 우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접촉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고, 상기 끌어 걸이 돌출부(97)는 상기 트리거 레버(77)의 피압압부(78a)에 대략 전방 경사 좌측에서 비교적 근접하게 대향하도록 위치되고, 또한 접촉 돌출부(98)는 상기 캠 기어(88)의 제1캠(90)에 대략 후방에서 대향되어 있다,
그래서 모터(57)가 회전하면 전달 기어 블록(62)이 제2회전체(68)와 마찰 접촉하고 있는 요동 레버(94)에 제3도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작용되어서 그 접촉 돌출부(98)가 캠 기어(88)의 제1캠(90)에 장착되어 동시에 캠 기어(88)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1캠(90) 및 제2캠(91)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제1캠(90)의 외주면은 그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이동함에 따라 캠 기어(88)의 중심에서의 거리가 길어지기 때문에 이 제1캠(90)의 외주면의 접촉 돌출부(98)와 대향하는 위치의 캠 기어(88)의 중심에서의 거리는 캠 기어(88)의 회전에 수반하여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되므로 제1캠(90)의 외주면에 압착하고 있는 접촉 돌출부(98)는 대략 전후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이동되게 하고, 이로 인하여 요동 레버(94)가 제3도에 도시하는 위치와 제8도(a)에 도시하는 위치와의 사이를 주기적으로 이동하게 된다. 즉 요동하게 되고 이 요동은 제2회전체(68) 및 캠 기어(88)가 회전하고 있는 한 연속하여 행하여지게 된다.
또한 테이프 엔드의 상태가 되면 릴 다이(38,38')의 회전이 방지되므로 이 부하에 의해 전달 기어 블록(62)의 제2회전체(68)의 회전이 방지된다.
그러면, 그때까지 제2회전체(68)가 회전하는 것으로 인하여 요동 레버(94)에 작용되고 있던 시계 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없어지므로 요동 레버(94)의 접촉 돌출부(98)의 캠 기어(88)의 제1캠(90)에 대한 압착력이 없어지게 되고, 따라서 이 상태가 되면 요동 레버(94)의 접촉 돌출부(98)는 제1캠(90)의 선단부에 의해서 전방에서 압압된 곳에서 그 위치, 즉 제8도(a)에 도시한 바와 같이 캠 기어(88)의 제2캠(91)의 앞이 뾰족한 부분의 회전 궤적보다 외측 위치에 있어서 움직임이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캠 기어(88)가 다시 회전하면 제8도(a)에서 2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것처럼 제2캠(91)의 앞이 뾰족한 부분이 요동 레버(94)의 접촉 돌출부(98)에 대략 앞쪽에서 접촉하고, 이어서 제2캠(91)의 외주면이 상기 접촉 돌출부(98)를 대략 후방으로 향하게 해서 압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요동 레버(94)가 제8도(b)에 도시하는 것처럼 다시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이하 테이프 엔드 위치라 한다)로 이동하게 된다.
그리고 요동 레버(94)가 이와 같이 하여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면 그 끌어 걸이 돌출부(97)가 상기 트리거 레버(77)의 피압압부(78a)를 대략 후방 경사 우측으로 압압하게 되고 그것에 의해 트리거 레버(77)가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99는 디렉션 기어이다.
디렉션 기어(99)는 그 외주부에 기어 잇빨이 형성된 원판부(100)와, 이 원판부(100)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보스부(101) 및 하면 중심부에 형성된 보스부(102)와, 중심 측단이 상기 보스부(101)와 연속한 캠(103)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원판부(100)의 외주 가장자리 끝부분중 이 원판부(100)의 중심을 집어서 서로 반대쪽으로 위치한 부분에는 중심각에서 대략 60°정도의 길이를 가지며, 또한 외주 가장자리에 따라서 연장하는 절결홈(104,104')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 절결홈(104,104')의 반시계 방향측의 대략 반분은 외주 가장자리에 도달하고, 이로 인하여 중심각에서 대략 180° 이간한 2개의 위치에 휘는 탄성을 지닌 탄성편(100a,100b) 및 치결부(105,10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캠(103)은 위쪽에서 보아 대략 반원형을 하고 있는 동시에 그 반원형의 대략 직선 형상으로 연장하는 면과 원호 형상으로 뻗는 면이 연속하는 2개의 모서리부의 한쪽이 보스부(101)와 연속하고 또한 상기 모서리부의 다른쪽(이하 선단부라 한다)이 위쪽에서 보아 상기 2개의 절결부(104,104')의 한쪽의 대략 중앙부에 비교적 근접하여 위치는 경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디렉션 기어(99)의 축심부에는 두께 방향으로 관통한 관통 구멍(106)이 형성되어 있고, 디렉션 기어(99)는 상기 관통 구멍(106)에 샤시부(3)에서 아래쪽으로 향하게 해서 설치된 지지축(81), 즉 그 하단부가 상기 트리거 레버(77)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축이 관통되므로서 이 지지축(8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캠(103)의 상면 끝부분이 디렉션 슬라이더(29)에 형성된 캠 배치 구멍(32)내에 조금 여유가 있는 상태로 위치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 레버(77)의 큰 부분은 디렉션 기어(99)에 아래쪽으로 비교적 근접하여 대향되어 있고, 또한 그 압압편(80)은 트리거 레버(77)가 비압입 위치에 와있는 상태에 있어서 디렉션 기어(99)의 원판부(100) 하면의 잇빨 뿌리 원에 치우친 위치와 대향하고 있다.
또한 원판부(100)는 상기 캠 기어(88)의 소기어(92)와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되는 동시에 그 치결부(105,105') 이외의 부분이 상기 소기어(92)와 대향한 경향으로 되었을 때 그 소기어(92)와 나사 맞물림하는 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디렉션 기어(99)의 원판부(100)의 하면에는 다음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돌출부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돌출부의 위치 및 방향등에 대해서는 디렉션 기어(99)가 제3도에 도시하는 방향, 즉 2개의 치결부(105,105')중 캠(103)의 선단부와 반대측에 위치하는 쪽의 것(105)(이하 제1치결부라 하고, 또 하나의 치결부(105')를 제2치결부라 한다)이 캠 기어(88)의 소기어(92)와 대향한 방향이 되는 위치(이하 제1위치라 한다)에 와있는 상태에 있어서 설명한다.
107, 107'는 스톱퍼 돌출부이고, 이 스톱퍼 돌출부(107,107')는 원판부(100)의 외주 가장자리 끝부분, 즉 비압입 위치에 와있는 트리거(77)의 압입편(80)의 대향한 위치를 통해서 원주 형상으로 연장하는 부분중 원판부(100)의 중심부를 집어서 전후 반대측의 위치에 형성되는 동시에 그 전방측의 스톱퍼 돌출부(107)(이하 제1스톱퍼 돌출부라 한다)의 우측을 향한 면(107a) 및 후측의 스톱퍼 돌출부(107')(이하 제2스톱퍼 돌출부라 한다)의 좌측을 향한 면(107'a)이 스톱퍼 면이며, 제1스톱퍼 돌출부(107)의 좌측으로 조금 경사진 후방을 향한 면(107b) 및 제2스톱퍼 돌출부(107')의 우측으로 조금 경사진 전방을 향한 면(107'b)이 피압압면이다.
또한, 108, 108'는 피압압 돌출부이고, 이 피압압 돌출부(108,108')는 상기 스톱퍼 돌출부(107,107')에 대략 원판부(100)의 중심측으로 부터 비교적 근접하여 대향하는 위치에 형성되는 동시에 대략 직각 삼각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직각 삼각형의 빗변을 이루는 면(이하 피압압면이라 한다)(108a,108'a)중 전방측의 피압압 돌출부(108)(이하 제1피압압 돌출부라 한다)의 피압압면(108a)은 좌측방향으로 조금 경사진 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또한 후방측의 피압압 돌출부(108'))이하 제2피압압 돌출부라 한다)의 피압압면(108'a)은 우측 방향으로 조금 경사진 후방을 향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다시, 109, 109'는 피전송 돌출부이며, 이 피전송 돌출부(109,109')의 전방측의 것(109)(이하 제1피전송 돌출부라 한다)은 제1스톱퍼 돌출부(107)의 대략 우측의 위치에 형성되고, 후방측의 피전송 돌출부(이하 제2피전송 돌출부라 한다)(109')는 제2스톱퍼 돌출부(107')의 대략 좌측의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09a, 109'a가 차지면, 109b, 109'b가 피압압면이고, 차지면(109a,109'a)은 대략 좌우 방향으로 따라서 연장하도록 형성되고, 또한 피압압면(109b,109'b)은 차지면(109a,109'a)의 스톱퍼 돌출부(107.107')측의 끝에서 스톱퍼 돌출부(107,107')의 스톱퍼면(107a,107'a)의 반 피압압 돌출부(108,108')측이 끝과 매우 근접한 위치로 향하게 비스듬이 연장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술된 바와 같이, 제1스톱퍼 돌출부(107), 제1피압압 돌출부(108) 및 제1피전송 돌출부(109)와 제2스톱퍼 돌출부(107'), 제2피압압 돌출부(108') 및 제2피전송 돌출부(109')는 원판부(100)의 중심을 대칭점으로한 점 대칭의 형상을 하고 있으며, 따라서 디렉션 기어(99)가 상술한 제1위치에서 반회전하여 제1도(d)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 즉, 제2치결부(105')가 캠 기어(88)의 소기어(92)와 대향한 방향이 되는 위치(이하 제2위치라 한다)에 오면 제1돌출부(107,108 및 109)와 제2돌출부(107',108' 및 109')의 위치 및 방향이 교체하게 된다.
그래서 상기 디렉션 슬라이더(29)의 포오워드 위치와 리버스 위치의 유지는 다음과 같이 하게 된다.
디렉션 슬라이더(29)의 포오워드 위치의 유지는 트리거 레버(77)가 비압입 위치에 와있고, 또한 디렉션 기어(99)가 제1위치에 위치하는 것으로 한다. 즉 디렉션 슬라이더(29)가 포오워드 위치에 와있을 때에는 그 아이들 압압 스프링(34)의 우측 아암(34a)가 상기 아이들 레버(46)의 피압입핀(49)을 좌측으로 향하게 해서 압압하므로서 디렉션 슬라이더(29)에 상대적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력이 발생하고,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디렉션 기어(99)의 캠(103)은 그 선단부가 원판부(100)의 중심에서 좌측으로 조금 경사진 전방으로 향하게 해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되기 때문에 디렉션 슬라이더(29)의 캠 배치 구멍(32)의 좌측 피규제 가장자리(32b)가 캠(103)의 선단부를 우측으로 경사진 전방으로 향하게 해서 압압하는 상태로 되며, 따라서 디렉션 기어(99)에는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력이 작용하게 되나, 이때 그 제1스톱퍼 돌출부(107)가 트리거 레버(77)의 압압편(80)에 좌측에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디렉션 기어(99)의 반시계 방향으로의 회동이 방지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디렉션 슬라이더(29)가 포오워드 위치에 유지하게 된다.
디렉션 슬라이더(29)의 리버스 위치의 유지는 트리거 레버(77)가 비압입 위치에 와있고 디렉션 기어(99)가 제2위치에 위치하게 된다.
즉, 디렉션 슬라이더(29)가 리버스 위치에 와있을 때에는 그 아이들 압압 스프링(34)의 좌측 아암(34b)이 아이들 레버(46)의 피압압핀(49)을 우측으로 향하게 해서 압압하므로서, 디렉션 슬라이더(29)는 상대적으로 왼쪽으로 이동하고자 하는 이동력이 발생하고, 또한 이 상태에 있어서 디렉션 기어(99)의 캠(103)은 그 선단부가 원판부(100)의 중심부에서 우측으로 조금 경사진 후방으로 돌출하는 방향이 되어 있기 때문에 디렉션 슬라이더(29)의 캠 배치 구멍(32)의 우측 피규제 가장자리(32a)가 캠(103)의 선단부를 좌측으로 조금 경사진 후방으로 향하게 해서 압압하게 되며, 따라서 이 경우도 디렉션 기어(99)에는 시계 방향(제1도(d)에 있어서)으로의 회동력이 작용되는 것이 되나 이때에는 그 제2스톱퍼 돌출부(107)가 트리거 레버(77)의 압압편(80)에 좌측에서 접촉하고 있기 때문에 디렉션 기어(99)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동력(제1도(d)에 있어서)이 방지되게 된다.
이로 인하여 디렉션 슬라이더(29)가 리버스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그래서 디렉션 기어(99)는 다음과 같이 하여 회전되게 된다.
또한, 이 설명은 디렉션 기어(99)가 제1위치에 와있는 상태를 기준으로 하여 행한다.
디렉션 기어(99)가 제1위치에 와있는 상태에서 상기 디렉션 버튼(86)이 소정량 밀어 넣어지고 또는 요동 레버(94)가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면(제1도(a)는 디렉션 버튼(86)이 압압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상술한 것처럼 트리거 레버(77)가 압입 위치로 이동되므로 그 압압편(80)이 디렉션 기어(99)의 제1스톱퍼 돌출부(107)의 우측에서 후방으로 달아나는 동시에 그것과 대략 동시에 제1피압압 돌출부(108)의 피압압면(108a)을 대략 후방으로 경사진 우측으로 향하게 하여 압압하는 것으로 된다.
따라서, 디렉션 기어(99)는 트리거 레버(77)의 압압편(80)에 의한 회동 방지가 해제되는 동시에 제1피압압 돌출부(108)의 피압압면(108a)이 압압되므로서 시계 방향(제1도(a)에 있어서)으로 강제적으로 회전하게 되고, 그것으로 인해 그 원판부(100)의 외주면에 형성된 기어 잇빨이 캠 기어(88)의 송기어(92)와 나사 맞물림하게 된다.
또한 상술한 바와 같이,디렉션 기어(99)에는 디렉션 슬라이더(29)에 의해서 압압되는 것에 의한 시계 방향(제1도(a)에 있어서)으로 회동력이 작용되므로 트리거 레버(77)에 의한 방지의 해제가 되었을 때에는 상기 회동력에 의해서도 시계 방향(제1도(a)에 있어서)으로 회전할 수 있게 되나, 이 회동력은 아이들 압압 스프링(34)이 아이들 레버(46)에서 받는 반발력이 작용하여 발생하는 것이며, 더구나 상기 반발력은 그다지 큰 탄발력은 아니므로 이 회동력에 의해서 디렉션 기어(99)가 그 원판부(100)의 기어 잇빨이 캠 기어(88)의 소기어(99)와 나사 맞물림하는 위치까지 회전하는 데는 확실성이 없고, 또한 무엇인가의 원인에 의해서 디렉션 슬라이더(29)의 오른쪽으로의 움직임이 무거워져 있거나 또는 무엇인가에 걸려서 상기 반발력만으로 오른쪽으로 이동할 수가 없는 상태로 되는 일도 있을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로 되면 많은 경우 트리거 레버(77)가 압입 위치로 이동하여도 디렉션 기어(99)가 캠 기어(88)와 나사 맞물림하는 위치까지 이동되지 않는다고 하는 일이 일어날 우려가 있다.
그러나 상술한 것처럼 트리거 레버(77)가 압입 위치로 이동되면 그 압압편(80)이 피압압 돌출부(108)의 피압압면(108a)을 압압하여 디렉션 기어(99)를 강제적으로 시계 방향(제1도(a)에 있어서)으로 회전시키므로 디렉션 슬라이더(29)가 상술한 바와 같은 상태가 되어 있어도 트리거 레버(77)가 압입 위치로 이동하면 디렉션 기어(99)가 캠 기어(88)와 나사 맞물림하는 위치까지 확실하게 이동하게끔 되어진다.
또한 트리거 레버(77)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디렉션 버튼(86)을 누르므로서 행하여질때 디렉션 버튼(86)의 압입량이 불충분하면, 디렉션 기어(99)의 시계 방향(제1도(b)에 있어서)으로 회전향이 캠 기어(88)와 나사 맞물림하는데 불충분한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는 트리거 레버(77)가 비압입 위치에 되돌아 올때 그 압압편(80)이 제1스톱퍼 돌출부(107)의 피압압면(107b)을 전방으로 조금 경사진 우측으로 향하게 해서 압압하는 것이 되므로 그것으로 인해 디렉션 기어(99)가 다시 강제적으로 시계 방향(제1도(b)에 있어서)으로 회전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캠 기어(88)와의 나사 맞물림이 확실하게 된다.
그러나 상술한 것처럼 캠 기어(88)는 항상 반시계 방향(제1도(c)에 있어서)으로 회전하고 있으므로 디렉션 기어(99)는 소기어(92)와 나사 맞물림한 시점에서 이번에는 모터(57)의 회전력에 의해서 시계 방향(제1도(c)에 있어서)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디렉션 기어(99)가 제1위치에서 소정 회전각 회전하여 제1도(c)에 1점 쇄선으로 도시한 위치 즉, 제2위치 직전의 위치까지 오면 제2피전송 돌출부(109')의 차지면(109'a)이 비압입 위치에 와있는 트리거 레버(77)의 압압편(80)을 우선, 우측으로 조금 경사진 후방으로 압압하는 동시에, 다음에 후방으로의 성분을 늘리면서 압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트리거 레버(77)가 비압입 위치에서 조금 후방으로 치우친 위치로 이동하게 되고, 따라서 트리거 레버(77)에 상기 위치에서 비압입 위치로 되돌아 올려고 하는 이동력이 차지되는 것으로 된다.
다시 상수한 상태에서 디렉션 기어(99)가 제1도(c)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위치까지 회전해 오면 트리거 레버(77)의 압압편(80)에는 제2피전송 돌출부(109')의 피압압면(109'b)이 대향하고, 이 시점에 있어서 원판부(100)는 그 제2치결부(105')가 캠 기어(88)의 소기어(92)와 대향하는 직전 위치까지 와있고, 또한 캠(103)은 그 선단면이 오른쪽을 향하는 방향보다 아주 조금 후방을 향한 방향으로 된다.
그리고 이 상태가 되면 트리거 레버(77)의 압압편(80)이 제2피전송 돌출부(109')의 피압압면(109'b)을 대략 전방으로 경사진 우측으로 압압하는 것이되므로 이 압압에 의해서 디렉션 기어(99)에 시계 방향(제1도(c)에 있어서)으로의 회전력이 가해지게 되고, 따라서 디렉션 기어(99)는 트리거 레버(77)에 의해 가해지는 회전력과 캠 기어(88)에 의해 가해지는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고, 또한 이와 같은 상태가 된 직후에 원판부(100)의 캠 기어(88)에 대한 나사 맞물림이 벗어나고, 이 상태에서는 디렉션 기어(99)는 트리거 레버(77)에 의해 가해지는 상기 회전력에 의해서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트리거 레버(77)의 압압편(80)에 의해 제2피전송 돌출부(109')의 피압압면(109'b)에 대한 압압이 종료되는 것과 거의 동시에 제2스톱퍼 돌출부(107')가 트리거 레버(77)의 압압편(80)에 대략 우측(제1도(d)에 있어서)에서 접촉하게 되고, 이로 인하여 디렉션 기어(99)가 그 이상 시계 방향(제1도(d)에 있어서)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그리고 디렉션 기어(99)가 제1위치에서 반회전하여 제2위치에 오게 된다.
그리고 디렉션 기어(99)가 제1위치에서 제2위치로 이동하는 동안에, 디렉션 슬라이더(29)가 그 캠 배치 구멍(32)의 우측의 피규제 가장자리(32a)가 디렉션 기어(99)의 캠(103)에 의해서 압압되므로서 포오워드 위치에서 리버스 위치로 이동되고, 그것으로 인해 우측 핀치 롤러(40)가 F측 캡스턴(37)에서 전방으로 조금 이간되며 또한 좌측 핀치 롤러(40')가 R측 캡스턴(37')에 압착되는 동시에 아이들 레버(4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되어서 아이들 기어(45)의 소기어(45b)가 R측 릴 다이(38')의 기어부(38'a)와 나사 맞물림되게 된다.
그리고 테이프 주행 방향이 그때까지의 포오워드 방향에서 리버스 방향으로 전환되게 되고, 자기 테이프(28)가 이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 재생 동작이 개시하게 된다.
또한 이 상태에서 트리거 레버(77)가 압입 위치로 이동되었을 때에는 압압편(80)이 디렉션 기어(99)의 제2피압압 돌출부(108')의 피압압면(108'a)을 압압하므로서 디렉션 기어(99)가 반시계 방향으로 송출되어서 캠 기어(88)와 나사 맞물림되는 동시에 캠 기어(88)와의 나사 맞물림이 벗어나기 전에 이번에는 제1피전송 돌출부(109)가 트리거 레버(77)를 후방으로 압압하고, 이어서 트리거 레버(77)가 디렉션 기어(99)를 제1위치까지 이송하게 되고, 그것으로 인해 디렉션 슬라이더(29)가 리버스 위치에서 포오워드 위치로 이동되어서 테이프 주행 방향이 포워드 방향으로 절환하게 된다.
또한 트리거 레버(77)의 압입 위치로의 이동을 디렉션 버튼(86)에 의해 행하는 경우, 이 디렉션 버튼(86)을 밀어 넣은채로 있으면 트리거 레버(77)가 압입 위치에 머물게 되기 때문에 그 압압편(80)이 스톱퍼 돌출부(107,107')의 회전 궤적에서 벗어난 위치에 유지되는 것이 되나 이와 같은 취급이 되었을 때도 디렉션 기어(99)가 반회전 이상 회전되는 일이 없다.
즉, 예컨대 포오워드 플레이 모드에서 디렉션 버튼(86)이 압입되면 트리거 레버(77)가 압입 위치로 이동되어서 디렉션 기어(99)가 상술한 것처럼 시계 방향(제1도(a)에 있어서)으로 회전하게 되나, 이 경우 트리거 레버(77)가 압입 위치에 유지되어 있을 때에는 제2피압압 돌출부(108')가 트리거 레버(77)의 압압편(80)에 대략 좌측에서 접촉하게 되며 그것에 의해 디렉션 기어(99)가 그 이상 시계 방향(제1도(c)에 있어서)으로 회전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고, 이때 제2피전송 돌출부(109')의 피압압면(109'b)이 트리거 레버(77)의 압압편(80)에 전방에서 대향하여 위치하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에서 디렉션 버튼(86)에 대한 압압을 해제하면 트리거 레버(77)가 비압입 위치로 되돌아오고 이때 그 압압편(80)이 제2피전송 돌출부(109')의 피압압면(109'b)을 필연적으로 압압하게 되므로 디렉션 기어(99)가 강제적으로 다음 정지 위치 즉, 제2위치까지 보내지는 동시에 이 제2위치에 온곳에서 제2스톱퍼 돌출부(107')가 트리거 레버(77)의 압압편(80)에 접촉하게 된다.
이상 기재한 바에서 명백하듯이, 본 고안의 테이프 플레이어는 한쌍의 치결부를 갖고 구동 기어와 나사 맞물림하여 회전하게 되는 동시에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한쌍의 치결부중 어느 한쪽의 치결부와 대향한 위치에서 회전이 정지하는 치결 기어와, 비압입 위치와 압입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게 되는 동시에 항상 비압입 위치측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되는 한편 상기 치결 기어의 한쪽면과 대향한 위치에 압입편이 설치된 트리거 레버를 구비하고, 상기 치결 기어의 한쪽면의 비압입 위치로 이동된 트리거 레버의 압압편과 대향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원주상에 스톱퍼 돌출부를 형성하는 동시에 상시 치결 기어의 한쪽면에 상기 피압입 위치로 이동된 상기 트리거 레버의 상기 압입편에 의해서 압입 조작되어 상기 치결 기어에 초기 회전력을 부여하는 피압압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루어지는 테이프 주행 방향 절환 기구를 가지며, 상기 트리거 레버를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트리거 레버의 상기 압압편의 상기 스톱퍼 돌출부로의 압압을 해제하는 동시에 상기 압압편이 상기 피압압 돌출부를 조작하여 상기 치결 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치결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를 나사 맞물림시켜서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테이프 주행 방향이 절환되고, 그 후 상기 트리거 레버를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있을때에는 상기 스톱퍼 돌출부와 트리거 레버의 상기 압압편이 접촉하여 상기 치결 기어의 회전을 방지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고안에 의하면 트리거 레버가 비압입 위치에 와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치결 기어는 그 스톱퍼 돌출부가 트리거 레버의 압압편에 접촉하므로서 회전이 방지된다. 즉, 정지 위치에 유지되고 또한 그 상태에서 트리거 레버가 압입 위치로 이동된 때에는 그 압입편이 스톱퍼 돌출부의 이동을 방지하지 않는 위치로 달아나는 동시에 그것과 거의 동시에 피압입 돌출부를 압입하여 치결 기어를 구동 기어와 나사 맞물림하는 위치까지 송출하는 것이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테이프 플레이어에 의하면 치결 기어의 정지 위치에 있어서의 유지와 송출을 1개의 트리거 레버에 의해서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그 송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스톱퍼 돌출부에도 피압압면을 설치하여 트리거 레버의 압입 위치로의 이동력이 불충분하였을 때에는 비압입 위치로 되돌아오는 트리거 레버의 압압편이 상기 파압압편을 압압하여 치결 기어를 회전 방향으로 보내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이 하므로서 트리거 레버의 압입 위치로의 이동량의 여하에 불구하고 치결 기어의 구동 기어와 나사 맞물림하는 위치로의 송출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치결 기어가 정지 위치, 즉 구동 기어와의 나사 맞물림이 벗어나는 위치에 이르는 조금 가까운 위치까지 왔을때 트리거 레버에 의해서 압압되는 것으로서 치결 기어에 회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작용하는 피전송 돌출부를 설치하였으나 이와 같이 하므로서 치결 기어가 구동 기어와의 나사 맞물림을 벗긴후의 소정 정지 위치까지의 이동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Claims (1)

  1. 한쌍의 치결부(105,105')를 갖고 구동 기어(88; 실제로는 소기어(92))와 나사 맞물림하여 회전됨과 동시에 상기 구동 기어와 상기 한쌍의 치결부(105,105')중 어느 한쪽의 치결부와 대향한 위치에서 회전이 정지되는 치결 기어(99)와, 비압입 위치와 압입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함과 동시에 항상 비압입 위치측으로 이동력이 작용되고 또한 상기 치결 기어의 한쪽면과 대향한 위치에 압압편(80)이 설치된 트리거 레버(77)를 구비하고, 상기 치결 기어의 한쪽면의 상기 비압입 위치로 이동된 상기 트리거 레버의 상기 압압편과 대향하는 위치를 포함하는 원주상에 스톱퍼 돌출부(107,107')를 형성함과 동시에, 상기 치결 기어의 한쪽면에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된 트리거 레버의 상기 압압편에 의해 압압 조작되어서 치결 기어에 초기 회전력을 부여하는 피압압 돌출부(108,108')를 형성하며, 상기 트리거 레버를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시키는 것에 의해서 트리거 레버의 상기 압압편의 상기 스톱퍼 돌출부로의 압압을 해제함과 동시에, 상기 압압편이 상기 피압압 돌출부를 압압 조작하여 상기 치결 기어를 회전시키고, 상기 치결 기어와 상기 구동 기어를 나사 맞물림시켜서 상기 구동 기어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테이프의 주행 방향이 절환되며, 그 후에 상기 트리거 레버를 상기 압입 위치로 이동시킨 상태로 있을때 스톱퍼 돌출부와 상기 트리거 레버의 상기 압압편이 맞닿아서 상기 치결 기어의 회전을 방지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플레이어.
KR2019970029366U 1987-03-23 1997-10-23 테이프 플레이어 KR012185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29366U KR0121855Y1 (ko) 1987-03-23 1997-10-23 테이프 플레이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7-68261 1987-03-23
JP62068261A JP2805701B2 (ja) 1987-03-23 1987-03-23 テーププレーヤー
KR1019880003077A KR880011760A (ko) 1987-03-23 1988-03-23 치결 기어 제어 기구
KR2019970029366U KR0121855Y1 (ko) 1987-03-23 1997-10-23 테이프 플레이어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3077A Division KR880011760A (ko) 1987-03-23 1988-03-23 치결 기어 제어 기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21855Y1 true KR0121855Y1 (ko) 1998-08-01

Family

ID=272996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29366U KR0121855Y1 (ko) 1987-03-23 1997-10-23 테이프 플레이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21855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6393B1 (ko) 자기 기록 재생 장치
JPH01290153A (ja) テープアンローディング機構
KR0121855Y1 (ko) 테이프 플레이어
KR900007310Y1 (ko)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
KR900001544Y1 (ko) 테이프 플레이어의 헤드 방출기구
KR0166349B1 (ko) 편심 캠 기구
US4370686A (en) Drive mechanism for tape recorder
JPH0743791Y2 (ja) テープレコーダ装置
KR970002833B1 (ko) 동작 상태 선택 기구
KR940002832Y1 (ko)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JP2805701B2 (ja) テーププレーヤー
KR0127484B1 (ko) 누름 단추 기구
JPH0535465Y2 (ko)
US5621585A (en) Reel brake device operated by a tape loading mechanism of magnetic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US4710835A (en) Magnetic head driving mechanism for tape player
KR940007619B1 (ko) 오토 리버스형 카세트 레코더의 핀치 암 구동장치
JPH01220165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20008564Y1 (ko) 테이프 레코더장치
KR920008563Y1 (ko) 테이프 레코더 장치
KR920000440Y1 (ko) 핀치로울러 구동장치
KR930004336B1 (ko) 기어기구를 사용한 순차 제어기구
JP2548139B2 (ja) テ−プレコ−ダ
JP2606200B2 (ja) テープレコーダ
JP2669845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KR940002833Y1 (ko) 상태 검출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2032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