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30004336B1 - 기어기구를 사용한 순차 제어기구 - Google Patents

기어기구를 사용한 순차 제어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30004336B1
KR930004336B1 KR1019890004924A KR890004924A KR930004336B1 KR 930004336 B1 KR930004336 B1 KR 930004336B1 KR 1019890004924 A KR1019890004924 A KR 1019890004924A KR 890004924 A KR890004924 A KR 890004924A KR 930004336 B1 KR930004336 B1 KR 9300043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transmission gear
motor
rotation
transmis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49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978A (ko
Inventor
다까시 와다나베
Original Assignee
다나신 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다나까 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신 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다나까 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신 덴기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90004924A priority Critical patent/KR930004336B1/ko
Publication of KR90001697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97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300043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43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기어기구를 사용한 순차 제어기구
제1도는 본 발명의 기어기구를 이용한 순차제어기구를 구비한 테이프 레코더의 평면도.
제2도는 동 순차제어기구 부분의 평면도.
제3도 내지 제15도는 동 동작설명도.
제16도 동 순차제어기구에 있어서 결치기어에 의한 전달기어의 공전저지작용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17도 동 순차제어기구의 각 동작상태에 있어서 모터의 회전방향의 반전타이밍과 각 동작상태에 있어서 녹음·재생 헤드위치 관계를 도시하는 도면.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모터 3 : 감김릴(작동기구)
4 : 공급릴(작동기구) 5 : 캡스턴(구동기어의 축)
9 : 헤드설치판(작동기구) 18 : 구동기어
19 : 선회암 20 : 전달기어
23 : 제1결치기어 23a : 유치부
23b : 제2결치기어 24 : 제2결치기어
24a : 유치부 24b : 결치부
29,30 : 캠 31,32 : 캠 플로어 핀
본 발명은, 예를들면 테이프 레코더의 동작절환장치의 등에 적용되는 스퀀스 제어기구로서, 특히 클러치 기구 및 이것을 제어하는 전자석을 이용하지 않고 기어기구를 이용하여 실현되는 순차제어기구에 관한 것이다.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회전체(예를들면, 기어)의 회전력을 이용하여 복수의 작동부(예를들면 제1, 제2의 작동부)를 순서대로(순차적으로) 작동시키기 위한 순차제어기구는 종래 일반적으로는 클러치기구를 설치하여 구성된다. 구체적으로는 모터에서 제1 및 제2의 작동부로의 회전전달경로에 각각 클러치 기구를 설치하고 이들 클러치 기구의 작동을 전자석에 의해 순차제어하는 것으로, 예를들면 제1의 작동부를 동작시킨 후, 그 동작이 종료한 시점에서 제2의 작동부를 동작시킨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순차제어기구는, 각 작동부로의 회전전달경로중에 각각 클러치 기구를 설치할 필요가 있고, 더구나 각 클러치 기구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기구를 필요로 한다. 이 때문에 회전 전달경로의 구성이 복잡해지며 또한 제어계의 구성이 복잡하다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클러치 기구나 전자석 등을 이용하지 않고, 복수의 작동부의 구동원인 모터의 동작 타이밍만으로, 또 이것에 덧붙여서 상기 모터의 회전방향의 절환제어만으로 상기 복수의 작동부에 대한 순차제어를 확실하게 행할 수 있는 간단한 구성으로 실용성이 높은 기어기구를 이용한 순차제어기구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에 관한 기어기구를 사용한 순차제어기구는 : 모터(2)에 구동되는 구동기어(18)와 동축에 선회암(19)을 설치하고, 이 선회암에 상기 구동기어와 항상 맞물리는 전달기어(20)를 축지하여 이 전달기어가 상기 구동기어의 회전으로 공전이동 가능하게 설치하고, 한편, 유치부(23a,24a,25a) 및 결치부(23b,24b,25b)를 구비하고, 이 회전에 연동시켜서 제1의 작동기구를 동작시키는 결치기어(23,24,25)를 상기 결치부가 상기 전달기어에 대향했을때에는 이 전달기어의 공전을 허용하고, 또 상기 유치부가 상기 전달기어에 맞물렸을때에는 그 톱니밑면으로 상기 전달기어의 공전동작을 저지하면서 상기 전달기어에 의해 회전구동되도록 설치하고, 유치부를 전달기어에 맞물리게 하여 회전한 결치기어의 결치부로 상기 전달기어의 공전을 허용하여 이 전달기어를 제2의 작동기구를 동작시키는 위치에 공전이동시키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또, 결치기어에는 상기 유치부가 상기 전달기어와 맞물리는 위치까지 회전시키기 위한 복귀력을 상기 제1의 작동기어에서 주어지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처럼 구성된 순차제어기구에 의하면 구동기어를 회전구동하면 이 구동기어의 회전에 의해 공전하고자 하는 전달기어는 결치기어에 맞물려서 공전저지된 상태에서 이 결치기어를 회전구동하여 제1의 작동기구를 동작시킨 후 이 결치기어의 결치부가 대향하는 상태에 이르러 다시 공전하고, 제2의 작동기구를 동작시키는 위치로 공전이 동하므로 구동기어의 동작을 제어하는 것만으로 전달기어의 회전에 의해 이 결치기어를 통하여 제1의 작동기구가 동작하고, 그 동작이 완료된 후 다음의 제2의 작동기구의 동작이 실행되게 된다. 즉, 구동기어에 맞물리는 전달기어의 공전과 공전저지를 전달기어에 맞물리게 하여 회전구동되는 결치기어 자체의 회전에 의해 제어하면서 전달기어의 회전력으로 제1의 작동기구 및 제2의 작동기구를 순서대로, 또 확실히 동작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기어기구를 사용한 순차제어기구를 갖춘 테이프 레코더의 개략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 제2도는 동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 순차제어기구 부분의 구성을 도시하는 평면도이다.
이 두 도면에서 (1)은 기판이고, 그 상면 소정위치에는 정역회전 가능한 모터(2), 감김릴(3), 공급릴(4) 및 캡스턴(5)이 각각 배치되어 있다. 모터(2)의 회전축(2a)은 기판(1)의 하면측에 돌출해 있으며 이 돌출 단부에는 모터풀리(6)가 고정되어 있다. 또, 캡스턴(5)의 하단측도 기판(1)의 하면측에 돌출되어 있고, 이 돌출단부에는 풀리겸용의 플라이 휠(7)이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그 플라이 휠(7)과 모터풀리(7)과 모터풀리(6)와의 사이에는 무단벨트(8)가 팽팽하게 감겨 있다.
도면에서, 좌측의 감김릴(3)은 릴기어(3a)의 상면에 릴받이(3b)를 동축 일체 회전자유롭게 설치한 것이며, 또, 도면에서 우측의 공급릴(4)은 릴기어(4a)의 상면에 릴받이(4b)를 동축 일체회전 자유롭게 설치한 구성이다.
한편, 기판(1)의 상면에는 녹음·재생헤드(10) 및 소거헤드(11)를 상면에 설치한 헤드설치판(9)이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이 헤드설치판(9)와 기판(1) 사이에 가설된 헤드복귀스프링(12)은 헤드설치판(9)을 화살표 B방향(정지위치방향)으로 가세하는 것이다.
또, 상기 기판(1)의 상면에는 핀치롤러 암(13)이 축(14)를 지점으로 하여 화살표 C, D 방향으로 회전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핀치롤러 암(13)은 그 회전운동단에 축(16)을 개재하여 핀치롤러(15)를 회전자유롭게 설치한 것이며, 화살표 C, D 방향으로의 회전운동에 의해 핀치롤러(15)를 도시하지 않는 테이프 카세트내의 테이프를 통하여 상기 캡스턴(5)에 접속분리시킨다.
이 핀치롤러 암(13)의 핀치롤러(15)를 축지한 회전운동단부는 막대기 모양의 핀치롤러 스프링(17)을 통해서 헤드설치판(9)에 연결되어 있다. 이 핀치롤러 스프링(17)에 의해 핀치롤러 암(13)은 상기 핀치롤러(15)가 캡스턴(5)에서 이간하는 방향(화살표 D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 핀치롤러 스프링(17)을 통하여 핀치롤러 암(15)은 상기 헤드설치판(9)의 화살표 A, B 방향으로의 이동에 따라 화살표 C, D 방향으로 회전운동한다.
테이프 레코더에 있어서는 상술한 헤드설치판(9)의 화살표 A, B 방향으로의 이동, 캡스턴(5)으로의 핀치롤러(15)의 접속분리, 감김릴(3) 및 공급릴(4)의 회전구동을 상호 관련시켜서 제어하므로서 그 동작제어가 실시된다. 결국 상기 각 부재의 상호 관련된 작동에 의해 테이프 카세트내의 테이프의 정속주행에 의한 녹음·재생·고속이송·되감기의 각 동작이 제어된다.
그런데 이러한 동작제어를 실시하기 위한 순차제어기구는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다.
순차제어기구의 구동원인 구동기어(18)는 상기 플라이 휠(7)의 상면에 동축일체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고, 모터(2)에 의해 회전구동된다. 이 구동기어(18)와 기판(1)과의 사이에 설치된 선회암(19)은 이 구동기어(18)와 동축인 상기 캡스턴(5)에 그 일단을 회전운동 자유롭게 축지되어 있다. 상기 구동기어(18)와 맞물리는 전달기어(20)는 선회암(19)의 타단부(회전운동단부)에 축(21)을 통하여 회전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결국, 전달기어(20)는 선회암(19)에 축지되어 구동되어(18)와 맞물려서 회전가능하게 또 구동기어(18)의 회전을 공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기어(18)의 회전을 공전하는 전달기어(20)는 선회암(19)이 제2도중 시계방향 회전운동 한계 위치까지 회전운동했을 때에는 상기 감김릴(3)의 릴기어(3a)에 맞물리고, 반대로 선회암(19)이 반시계방향 회전운동 한계위치까지 회전운동했을때에는 상기 공급릴(4)의 릴기어(4a)에 맞물린다. 이들 릴기어(3a,4a)에 대한 전달기어(20)의 선택적인 맞물림에 의해 상기 구동기어(18)의 회전이 전달기어(20)를 통하여 릴기어(3a,4a)에 전달되어 감김릴(3) 또는 공급릴(4)이 선택적으로 회전구동된다.
이렇게 하여 회전동작하는 감김릴(3) 또는 공급릴(4)이 상기 구동기어(18)에 의해 구동되어 동작하는 작동기구의 하나이다.
또, 선회암(19)의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운동 한계위치 규제는 선회암(19)의 대략 중간부 양측면에 각각 설치한 단부(19a,19b)를 기판(1)에 설치한 스토퍼부재(22)의 단부(22a,22b)에 각각 맞닿게 하므로서 실시된다.
한편, 상기 기판(1)의 하면에는 상기 전달기어(20)의 공전이동영역의 주위에 위치하여 결치부(23b,24b,25b) 및 유치부(23a,24a,25a)를 각각 구비한 제1, 제2 및 제3 결치기어(23,24,25)가 축(26,27,28)에 축지되어 각각 회전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제1 결치기어(23) 및 제2 결치기어(24)는 도면중 상기 감김릴(3) 및 공급릴(4)의 하방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또 제3 결치기어(26)는 제1, 제2 결치기어(23,24)의 중간에 위치하여 도면중 구동기어(18)의 하방위치에 설치되어 있다.
이들 각 결치기어(23,24,25)는 구동기어(18)의 주위를 공전이동하는 전달기어(20)에 그 유치부(23a,24a,25a)를 맞물리게 하는 것으로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전달기어(20)의 공전을 저지하면서 그 맞물림 위치로 이 전달기어(20)에 의해 회전구동되는 것이다. 그리고 각 결치기어(23,24,25)는 그 회전에 의해 유치부(23a,24a,25a)가 전달기어(20)에 벗어나고, 결치부(23b,24b,25b)를 전달기어(20)에 대향시켰을 때에 이 전달기어(20)의 공전을 허용하는 것으로 되어 있다.
즉, 각 결치기어(23,24,25)는 상기 구동기어(18)의 회전을 공전하는 전달기어(20)에 유치부(23a,24a,25a)를 맞물릴 수 있는 위치에, 또 결치부(23b,24b,25b)가 전달기어(20)에 대향했을 때에는 이 전달기어(20)와는 비접촉이 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다.
특히 각 결치기어(23,24,25)가 각각 배치되는 위치는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구동기어(18)의 회전을 공전이동하는 전달기어(20)가 유치부(23a,24a,25a)에 맞물렸을때 구동기어(18)의 회전중심과 결치기어(23,24,25)의 회전중심을 연결하는 선보다도 전달기어(20)의 회전중심이 약간 그 공전방향 상류측이 되는 위치로서 정해져 있다.
이러한 각 결치기어(23,24,25)의 배치에 의해 전달기어(20)가 결치기어(23,24,25)의 유치부(23a,24a,25a)에 맞물렸을 때 이 유치부(23a,24a,25a)이 유저면에서 전달기어(20)의 공전이 저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공전저지된 위치에서 회전하는 전달기어(20)에 의해 이것이 맞물린 결치기어(23,24,25)가 회전구동된다. 그리고 이 결치기어(23,24,25)의 회전에 따라 결치부(23b,24b,25b)가 전달기어(20)에 대향한 시점에서는 전달기어(20)과 비접촉되기 때문에 상기 전달기어(20)의 공전저지가 해제되고, 전달기어(20)는 다시 공전하게 된다.
그런데 상술한 바와 같이 작용하는 제1, 제2 결치기어(23,24)의 상면에는 캠(29,3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제1 결치기어(23)에 설치된 캠(29)은 그 회전중심(26)에서의 거리가 일정하게 된 제1 원호부(29a)와, 일단부가 제1 원호부(29a)의 일단부와 연속함과 동시에 타단부로 향함에 따라 회전중심(26)에서의 거리가 점차 작아지는 제2 원호부(29b)와 연속함과 동시에 타단부가 회전중심(26)측으로 향하여 경사하는 제1경사부(29c)와, 일단부가 제1 경사부(29c)와 연속함과 동시에 타단부가 외주측으로 향하여 경사하는 제2 경사부(29d)와, 이 제2경사부(29d)의 타단부와 상기 제1 원호부(29a)의 타단부를 연락하는 제3 경사부(29e)를 구비하고 있다.
또, 제2 결치기어(24)에 설치된 캠(30)은 그 회전중심(27)에서의 거리가 일정하게 된 제1 원호부(30a)와, 일단부가 제1 원호부(30a)의 일단부와 연속함과 동시에 타단부로 향함에 따라 회전중심(27)에서의 거리가 점차 작어지는 제2 원호부(30b)와, 일단부가 제2 원호부(30b)와 연속함과 동시에 타단부가 외주측으로 향하여 완만하게 경사하는 제1 경사부(30c)와, 일단부가 제1 경사부(30c)와 연속함과 동시에 타단부가 외주측으로 향하여 강하게 경사하는 제2 경사부(30d)와, 이 제2 경사부(30d)의 타단부와 상기 제1 경사부(30a)의 타단부를 연락하는 제3경사부(30c)를 갖고 있다.
이들의 캠(29,30)은 상기 헤드설치판(9)의 하면에 돌출설치되고, 기판(1)에 뚫어 설치된 긴구멍(33,34)을 통하여 돌출한 캠 플로어 핀(31,32)에 각각 걸어맞춘다. 그리고, 결치기어(24,25)의 회전에 따르는 캠(29,30)의 작용에 의해 캠 플로어 핀(31,32)을 통하여 헤드설치판(9)의 화살표 A, B 방향으로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또, 헤드복귀스프링(12)에 의해 헤드설치판(9)의 화살표 B방향으로의 가세력은 캠 플로어 핀(31,32)을 통하여 캠(29,30)에 작용하고, 제1, 제2 결치기어(23,24)를 안정위치까지 회전시키는 힘으로서 작용한다. 이 힘에 의한 제1, 제2 결치기어(23,24)의 안정위치로의 회전에 의해 결치기어(23,24)는 그 유치부(23a,24a,25a)를 전달기어(20)에 맞물리게 할 수 있는 상태로 설정된다.
이렇게하여 제1, 제2 결치기어(23,24)의 회전에 연동하여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되는 헤드설치판(9)이 상기 구동기어(18)에 의해 구동되어 작동하는 별도의 작동기구이다.
그런데 상기 제3 결치기어(25)의 상면에는 제1 캠(35)이 설치되고, 다시 그 하면에는 제2 캠(36)이 설치되어 있다.
제1 캠(35)은 그 회전중심(28)에서의 거리가 일정하게 된 원호부(35a)와, 일단부가 원호부(35a)의 일단부와 연속함과 동시에 타단부가 회전중심(28)으로 향하여 경사하는 제1 경사부(35b)와, 일단부가 제1 경사부(35b)와 연속함과 동시에 타단부가 외주측으로 향하여 경사하는 제2 경사부(35c)와, 일단부가 제2 경사부(35c)와, 일단부가 제2 경사부(35c)와 연속함과 동시에 타단부가 제2 경사부(35c)와 선대칭이 되도록 회전중심(28)으로 향하여 경사하는 제3 경사부(35d)와 이 제3 경사부(35d)의 타단부와 상기 원호부(35a)의 타단부를 연락하고, 또 제3 경사부(35d)와 선대칭한 제4 경사부(35e)를 갖고 있다.
그리고 이 제1 캠(35)에는 봉스프링을 구성하는 제동스프링(37)의 일단측의 V자형 굴곡부(37a)가 맞닿아 있다. 이 제동스프링(37)은 그 중간부위의 환상부(37b)와 타단부(37c)를 기판(1)의 스프링 걸림부(도시없음)에 각각 걸고 상기 V자형 굴곡부(37a)에서 제1 캠(35)을 누르는 것으로 제3 결치기어(25)의 회전위치를 규제하고, 그 유치부(25a)가 전달기어(20)에 맞물리는 상태로 설정하는 것이다.
또, 제3 결치기어(25)의 제2캠(36)은 그 회전중심(28)에서의 거리가 일정하게 된 동심원호부(36a)와, 그 외주면의 일부를 외주측으로 향하여 대략 삼각형으로 돌출시킨 돌출부(36b)를 갖고 있다.
이 돌출부(36)는 제3 결치기어(25)의 회전에 따라 상개(常開)스위치로 구성되는 모터정지스위치(38)의 가동접편(38a)을 누르고, 이것을 고정접편(38b)에 접촉시키는 기능을 담당한다. 이 모터정지스위치(38)는 기판(1)의 하면에 설치된 것으로, 상기 접편(38a,38b)의 접촉에 의해 ON이 되어 상기 모터(2)에 대한 정지 신호를 발한다. 이 모터정지스위치(38)의 ON에 의해, 혹은 도시하지 않은 수동정지 조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상기 모터(2)의 회전이 정지된다.
이렇게하여 제3 결치기어(25)의 회전에 의해 동작제어되는 모터정지스위치(38) 및 제3 결치기어(25)의 회전위치를 규제하는 제동스프링(37)이 상기 구동기어(18)에 의해 구동되어 동작하는 별도의 작동기구이다.
이상과 같이 이 실시예에서는 구동기어(18)에 의해 구동되는 복수의 작동기구로서 구동기어(18)에서 전달기어(29)를 통하여 회전력이 전달되어 회전구동되는 감김릴(3)과 공급릴(4), 구동기어(18)에서 제1 결치기어(23)(캠(29)) 또는 제2결치기어(24)(캠(30))를 통하여 이동력이 전달되어 화살표 A, B 방향으로 이동하는 헤드설치판(9), 구동기어(18)에서 제3 결치기어(25)(제2캠(36))을 통하여 동작제어되는 모터정지스위치(3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1 내지 제3 결치기어(23,24,25)는 구동기어(18)의 회전에 따르는 전달기어(20)의 공전을 저지하면서 그 저지상태에서 전달기어(20)에 의해 회전구동되어 소정의 작동기구를 작동시킨다. 그 후, 각 결치기어(23,24,25)는 그 회전에 의한 소정의 작동기구의 동작완료에 따라 결치부(23b,24b,25b)를 전달기어(20)에 대향시키고, 상기 전달기어(20)의 다음의 작동기구의 동작위치로의 공전이동을 허용하게 된다.
이러한 결치기어(23,24,25)와 전달기어(20)와의 관련동작에 의해 전달기어(20)의 공전위치에 따라 전술한 작동기구가 차례로 즉, 순차적으로 동작하게 된다.
다음에 상기 구성의 순차제어기구를 구비한 테이프 레코더의 동작을 제3도 내지 제17도를 참조하면서 설명하고, 순차제어기구의 작용에 대하여 밝힌다.
재생동작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재생조작 스위치(도시생략)가 조작되면서 그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모터(2)가 도면중 시계방향(정방향)으로 정속회전한다. 이 모터(2)의 회전에 의해 모터 풀리(6)와 무단밸트(8)를 통하여 플라이 휠(7), 구동기어(18) 및 캡스터(5)이 서로 일체로 되어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구동기어(18)이 맞물리는 전달기어(20)에는 구동기어(18)의 회전방향에 따른 시계방향으로의 공전력이 발생되지만 전달기어(20)는 제3 결치기어(25)에 맞물리고 있기 때문에 그 공전이 저지되고, 이 제3 결치기어(25)와의 맞물림 위치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즉, 전달기어(20)의 중심이 구동기어(18)의 중심과 제3 결치기어(25)의 중심을 연결하는 선보다 공전방향 상류측(도면중 우측)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제1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달기어(20)의 톱니끝이 제3 결치기어(25)의 유치부(25a)의 치저면과 맞닿고, 전달기어(20)의 시계방향으로의 공전이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제3 결치기어(25)는 구동기어(18)에 의해 전달기어(20)을 통하여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다.
그러면 이 제3 결치기어(25)의 회전에 따라 제2캠(36)의 돌출부가 모터정지스위치(38)의 가동접편(38b)에서 분리되므로 가동접폄(38a)은 고정접편(38b)에서 분리되어 모터정지스위치(38)가 OFF가 된다. 그후, 제3 결치기어(25)가 다시 회전하고, 이 결치부(25b)가 전달기어(20)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전달기어(20)는 제3 결치기어(25)에서 분리되어 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한다.
이때, 즉, 제3 결치기어(25)의 결치부(25b)가 전달기어(20)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했을 때, 제3 결치기어(25)는 제동스프링(37)의 굴곡부(37a)와 제1캠(35)의 제2 경사부(35c)와의 슬라이딩 접촉에 의한 캠작용에 의해 약간 반시계방향으로 복귀 회전운동한다. 그리고 굴곡부(37a)가 제1경사부(35b)와의 사이의 제1 굴곡홈부(35f)에 걸어맞춘 상태가 되었을 때, 제3 결치기어(25)는 이 상태에서 안정정지한다. 이 제3 결치기어(25)의 안정정지위치는 전달기어(20)가 역방향에서 공전이동해 왔을 때 그 유치부(25a)에 전달기어(20)가 원활하게 또, 확실히 맞물릴 수 있는 상태의 위치이다.
제3 결치기어(25)에서 이간하여 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하는 전달기어(20)는 다음에 제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결치기어(23)의 유치부(23a)와 맞물린다. 그리고, 이 제1 결치기어(23)와의 맞물림 위치에서 전달기어(20)의 공정이 저지되고, 그 위치에서 회전하는 전달기어(20)에 의해 제1 결치기어(23)가 회전구동된다. 이 제1 결치기어(23)에 의한 전달기어(20)의 공전저지의 작용은 전술한 제3 결치기어(25)에 있어서 전달기어(20)의 공전저지의 작용과 완전히 같다.
이 상태에서 제1 결치기어(23)는 구동기어(18)에 의해 전달기어(20)를 통하여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다. 그러면 제1 결치기어(23)의 회전에 따라 그때까지 캠(29)의 제1 원호부(29a)와 제3 경사부(29e)와의 사이의 제1굴곡홈부(29)에 걸어맞추어져 있던 캠 플로어 핀(31)이 제1, 제2의 원호부(29a,29b) 및 제1 경사부(29c)에 순차 슬라이딩 접촉하므로서 캠작용이 생기고, 캠 플로어 핀(31)을 통하여 헤드설치판(9)이 제1도에 도시하는 정지위치에서 화살표 A 방향으로 헤드 복귀 스프링(12)의 가세력에 저항하여 이동한다. 그리고 그 이동종단에서 제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결치기어(23)의 결치부(23b)가 전달기어(20)에 대향하는 위치에 도달하면 전달기어(20)는 제1 결치기어(23)에서 분리되어 다시 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한다.
이때, 캠 플로어 핀(3)은 캠(29)의 제1 경사부(29c)에 슬라이딩 접촉하도록 된다. 또 이 제4도에 도시하는 헤드설치판(9)의 화살표 A 방향으로의 이동종단에서는 헤드설치판(9)은 헤드 복귀 스프링(12)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가세되고 있고, 그 복귀력은 캠 플로어 핀(31)에 작용한다. 이 캠 플로어 핀(31)에 작용하는 힘은 제1 경사부(29c)를 누르므로 그 캠작용에 의해 제1 결치기어(23)는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복귀회전운동하고, 캠 플로어 핀(31)이 제2원호부(29b)와 제1 경사부(29c)와의 사이의 제2 굴곡홈부(29g)에 걸어맞춘 상태에서 안정정지한다. 이 제1 결치기어(23)의 안정정지위치는 전달기어(20)가 역방향에서 공전이동해 왔을 때, 그 유치부(23a)에 전달기어(20)가 원활하게 또 확실히 맞물릴 수 있는 상태의 위치이다.
또, 제1 결치기어(23)가 상술한 바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약간 복귀 회전운동하여 캠 플로어 핀(31)이 캠(29)의 제2 굴곡부(29g)에 맞물릴때, 이것에 따라 헤드설치판(9)은 헤드 복귀스프링(12)의 가세력을 받아 제4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약간 화살표 B 방향으로 복귀한다. 헤드설치판(9)은 이 위치를 재생동작위치로서 안정유지한다.
그리고, 헤드설치판(9)이 재생동작위치에 도달함에 따라 피치롤러(15)는 테이프 카세트(도시생략)내의 테이프를 통하여 캡스터(5)에 눌러 접속되고, 동시에 녹음·재생헤드(10)가 테이프에 접촉한다. 또 이렇게 하여 헤드설치판(9)이 재생동작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는 헤드설치판(9)의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검출스위치(도시생략)에서 헤드설치판(9)이 재생동작위치에 있다는 뜻의 신호가 발신된다.
그런데 제1 결치기어(23)에서 분리되어 다시 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하는 전달기어(20)가 제5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선회 암(19)의 시계방향 최대선회위치에 도달하면 그 위치에서 전달기어(20)는 감김 릴(3)의 릴 기어(3a)에 맞물린다. 이 맞물림은 전달기어(20)와 릴 기어(3a)와의 피치원끼리의 맞물림에 의해 이루어진다. 이 결과, 감김 릴(3)은 전달기어(20)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 경우, 테이프는 핀치롤러(15)와 캡스턴(5)에 끼워져서 정속주행되므로 테이프는 공극 릴(4) 측의 감김 릴(3)측으로 정속으로 보내져서 재생동작이 실시된다.
이상과 같이 테이프 레코더의 정지상태에서 재생조작 스위치를 조작하여 모터(2)를 시계방향(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모터(2)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구동기어(18)에 맞물린 전달기어(20)는 우선 제3 결치기어(25)에 맞물려서 이 제3 결치기어(25)를 회전시키고, 모터정지스위치(38)를 OFF 동작시킨다. 그후, 전달기어(20)는 제1 결치기어(23)와 맞물리는 위치에 공전이동하여 제1 결치기(23)를 회전시키고, 헤드설치판(9)을 정지위치에서 재생동작위치로 이동시킨다. 그 후, 전달기어(20)는 릴 기어(3a)와 맞물리는 위치로 다시 공전이동하여 감김 릴(3)을 회전구동하게 된다. 즉 구동기어(18)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므로서 모터정지스위치(38)를 OFF 동작, 헤드 설치판(9)의 정지위치에서 재생동작위치로의 이동, 감김 릴(3)의 회전구동이라는 단계적인 동작이 순서대로 실시된다.
조속이송동작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조속이송 조작스위치(도시생략)가 조작되면 그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모터(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 경우, 전달기어(20)가 제3 결치기어(25)를 회전시켜서 모터정지스위치(38)를 OFF 동작시킨 후, 제1 결치기어(23)를 회전시켜서 헤드설치판(9)를 정지위치에서 재생동작위치로 이동시킬때까지의 동작과정은 상술한 재생동작과 마찬가지로 실시된다.
그러나 전달기어(20)가 제1 결치기어(23)에서 분리되어 공정이동할때 조속이송조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발신되는 신호와, 헤드설치판(9)이 재생동작위치에 있다는 뜻의 위치검출스위치에서 발신되는 신호에 의해 이들 양 신호가 검출된 시점에서 모터반전회로(도시생략)가 작동하여 모터(2)의 회전방향이 반전되고, 모터(2)는 반시계방향(역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결과, 전달기어(20)는 제1 결치기어(23)에서 약간 떨어진 위치에서 역방향(반시계방향)으로의 공전이동을 개시하고,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결치기어(23)의 유치부(23a)의 역방향에서 맞물린다. 이때에도 전달기어(20)의 중심이 구동기어(18)의 중심과 제1 결치기어(23)의 중심을 연결선보다 공전방향 상류측(도면중 좌측)에 위치하므로 전달기어(20)의 톱니끝이 유치부(23)의 치저부와 맞닿아 그 공전이동이 저지되고, 전달기어(20)는 그 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1 결치기어(23)는 전달기어(2)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회전에 의해 캠 플로어 핀(31)은 제2 원호부(29b)에 슬라이딩 접촉한다. 이 결과, 캠(29)에 의한 헤드설치판(9)의 재생위치로의 변위력이 없어지므로 헤드설치판(9)은 헤드복귀스프링(12)의 가세력에 의해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캠 플로어핀(31)이 제2원호부(29b)와 제1원호부(29a)와의 사이의 제3 굴곡홈부(29h)에 걸어맞추어졌을 때 제7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헤드설치판(9)은 초기의 정지위치에 도달하여 정지한다. 이 헤드설치판(9)의 정지위치로의 복귀에 따라 핀치롤러(15)는 캡스턴(5)에서 이간됨과 동시에 녹음·재생헤드(19)가 테이프에서 이간된다.
또, 헤드설치판(9)이 정지위치에 복귀함에 따라 위치검출스위치에서의 신호의 발신이 정지한다. 그러면 이 신호발신정지에 의해 상기 모터반전회로로의 반전지령신호의 입력이 정지하므로 모터(2)는 다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모터(2)의 회전방향의 전환시점에서는 상기 전달기어(20)는 제1 결치기어(23)의 유치부(23a)의 도면중 좌측으로부터 맞물린 상태에 있으므로 구동기어(18)의 회전방향의 전환에 따라 전달기어(2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결치기어(23)와의 맞물림상태에서 빠져나와 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한다. 이 결과, 제8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술한 재생동작시와 같은 전달기어(20)가 릴 기어(3a)에 맞물리고, 감김 릴(3)이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 경우, 헤드설치판(9)의 정지위치로의 복귀에 따라 핀치롤러(15)는 캡스턴(5)에서 반전한 위치에 놓여지므로 테이프는 감김 릴(3)의 회전력만큼을 받아서 공극 릴(4)측에서 감김 릴(3)측으로 고속으로 보내져서 조속이송동작이 실시된다.
이처럼 테이프 레코더의 정지상태에서 조속이송스위치를 조작하면 우선 모터(2)가 시계방향(정방향)으로 회전되고, 이 모터(2)에 의해 정방향으로 회전구동되는 구동기어(18)에 맞물린 전달기어(20)는 우선 제3 결치기어(25)에 맞물려서 이 제3 결치기어(25)를 회전시키고, 모터정지스위치(38)를 OFF 동작시킨다. 그후, 전달기어(20)는 제1 결치기어(23)와 맞물리는 위치에 공전이동하여 이 제1 결치기어(23)를 회전시키고, 헤드설치판(9)을 정지위치에서 재생동작위치로 이동시키면 상기 모터(2)의 회전방향이 반전되고, 제1 결치기어(23)의 역회전에 의해 헤드설치판(9)은 다시 정지위치로 복귀된다. 그러면 모터(2)가 다시 회전방향을 반전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전달기어(20)는 제1 결치기어(23)에서 분리되어 릴 기어(3a)와 맞물리는 위치에 다시 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하여 감김 릴(3)을 회전구동하게 된다.
결국 구동기어(18)의 정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모터정지스위치(38)가 OFF 동작되고, 그 후, 헤드설치판(9)의 정지위치에서 재생동작위치로의 이동이 이루어진다. 이 시점에서 구동기어(18)의 회전방향이 반전되어 헤드설치판(9)의 정지위치로 복귀되고, 이 헤드설치판(9)이 정지위치로 복귀된 시점에서 다시 구동기어(18)의 회전방향이 반전되어 정방향회전이 되고, 감김 릴(3)의 회전구동이 실시된다. 여기에 테이프의 조속이송을 실현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이 상술한 바와 같이 단계적으로 실시되게 된다.
고속소거동작
제1도 및 제2도에 도시하는 테이프 레코더의 정지상태에 있어서, 고속소거조작스위치(도시생략)가 조작되면 그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우선 모터반전회로가 작동하여 모터(2)가 반시계방향(역방향)으로 정속회전구동된다. 이 모터(2)의 역회전에 의해 구동기어(18)가 역회전하고 이것이 맞물리는 전달기어(20)에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 및 반시계방향으로의 공전력이 주어진다. 그리고, 상기 정지상태에서는 전달기어(20)는 제3 결치기어(25)에 도면중 우측에서부터 맞물리고 있을 뿐이므로 전달기어(20)에는 공전을 저지하는 힘이 작용하지 않고, 전달기어(20)는 반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한다.
이 공전이동에 의해 제3 결치기어(25)에서 이간된 전달기어(20)는 다음에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결치기어(24)의 유치부(24a)와 맞물린다. 그리고 전달기어(18)의 중심과 제2 결치기어(24)의 중심을 연결선보다 공전방향 상류측(도면중 좌측)에 위치하기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전달기어(20)의 톱니끝이 제2 결치기어(24)의 유치부(24a)의 치저부에 맞닿아 그 공전이 저지된다. 또, 전달기어(20)는 그 맞물림위치에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유치부(24a)를 전달기어(20)에 맞물리게 한 제2 결치기어(24)는 전달기어(20)의 회전에 따라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전된다. 이 제2 결치기어(24)의 회전에 의해 그때까지 캠(30)의 제1원호부(30a)와 제2 원호부(30b)와의 사이의 제1 굴곡홈부(30f)에 걸어맞추어져있던 캠 플로어 핀(32)이 제2원호부(30b) 및 제1 경사부(30c)에 순차 슬라이딩 접촉하므로 캠 플로어 핀(32)을 통하여 헤드설치판(9)이 정지위치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한다. 헤드설치판(9)이 그 이동종단에 도달하는 시점에서 제10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결치기어(24)는 그 결치부(24b)가 전달기어(20)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회전하고 있고, 전달기어(20)의 공전저지가 해제되고, 전달기어(20)는 다시 반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한다.
또, 이 상태에서는 캠 플로어 핀(32)는 제1 경사부(30c)에 슬라이딩접촉한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제1 경사부(30c)에 슬라이딩 접촉하고 있는 캠 플로어 핀(32)에는 헤드복귀스프링(12)에 의한 화살표 B방향으로의 복귀력이 헤드설치판(9)을 통하여 주어지고 있기 때문에 캠 플로어 핀(32)과 제1 경사부(30c)와의 캠 작용에 의해 제2 결치기어(24)는 시계방향으로 약간 복귀 회전운동한다. 이 제2 결치기어(24)의 복귀회전운동에 따라 캠 플로어 핀(32)이 제2 원호부(30b)와 제1 경사부(30C)와의 사이의 제2 굴곡홈부(30g)에 걸어맞추면 제2 결치기어(24)는 이 상태에서 안정정지한다. 이 제2 결치기어(24)의 안정정지위치는 전달기어(20)가 역방향에서 공전이동해왔을때, 그 유치부(24a)에 전달기어(20)가 확실하고 또 원활하게 맞물릴 수 있는 상태의 위치가 된다.
또, 상술한 바와 같이 제2 결치기어(24)가 약간 시계방향으로 복귀 회전운동하여 캠 플로어 핀(32)이 캠(30)의 제1 굴곡홈부(30f)에 걸어맞출때, 이것에 따라 헤드설치판(9)은 제10도에 도시하는 상태에서 소정량만큼 화살표 B방향으로 복귀하고, 그 위치를 소거동작위치로서 안정유지된다. 이 헤드설치판(9)의 소거동작위치는 전술한 재생동작위치보다도 화살표 B방향으로 약간 후퇴한 위치이다. 그리고 헤드설치판(9)이 소거동작위치에 있을 때는 핀치롤러(15)는 캡스턴(5)에서 약간 이간되고, 또, 녹음·재생헤드(10)도 테이프에서 약간 이간되고, 소거헤드(11)만 테이프에 접촉하는 상태가 된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결치기어(24)에서 이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하고 선회 암(19)의 단부(19b)가 스토퍼부(22)의 타단(22b)에 맞닿아 반시계방향으로의 최대선회위치가 규제되면 제11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그 위치에서 전달기어(20)는 공급 릴(4)의 릴 기어(4a)에 맞물린다. 이 결과, 공급 릴(4)은 전달기어(20)를 통하여 구동기어(18)에서의 회전력을 받아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테이프는 감김 릴(3)측에서 공급 릴(4)측으로 고속으로 주행되면서 소거헤드(11)에 의한 소거에 제공된다.
이상과 같이 정지상태에서 고속소거조작스위치가 조작되면 구동기어(18)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제2 결치기어(20)와의 맞물림위치까지 반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하는 전달기어(20)에서 제2 결치기어(20)를 회전시켜서 헤드설치판(9)을 소거동작위치로 이동시킨 후, 다시 전달기어(20)를 반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시켜서 릴 기어(4a)에 맞물리게하여 공급 릴(4)을 회전구동한다는 고속소거를 실현하는 일련의 동작이 단계적으로 실시된다.
되감기동작
테이프 레코더의 정지상태에서 되감기조작스위치(도시생략)가 조작되면 그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모터(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상술한 고속소거동작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전달기어(20)는 제2 결치기어(26)에 맞물리는 위치까지 공전이동하고, 제2 결치기어(20)을 회전시켜서 헤드설치판(9)을 소거동작위치까지 이동시키고, 그 상태에서 전달기어(20)는 제2 결치기어(26)에서 분리되어 반시계 방향으로의 공전이동을 개시한다.
그러나 이때, 되감기조작스위치의 조작에 의해 발생되고 있는 신호와, 헤드설치판(9)이 고속소거동작위치에 있다는 신호가 신호검출스위치에서 발신되고 있기 때문에 이들의 신호에 의거하여 모터반전회로의 반전지령신호의 입력이 정지된다. 이 결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던 모터(2)는 그 회전방향을 역전시켜서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러면 제2 결치기어(26)에서 이반된 전달기어(20)는 그 시점에서 공전방향을 역전시키고, 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하여 제1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다시 제2 결치기어(24)의 유치부(24a)에 맞물린다. 그리고 전달기어(20)는 제2 결치기어(26)와의 맞물림에 의해 시계방향으로의 공전이동이 저지된 상태에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제2 결치기어(26)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렇게 하여 제2 결치기어(24)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면 헤드복귀스프링(12)의 가세력으로 캠(30)에 밀려 있는 캠 플로어 핀(32)은 제2 원호면(30b)에 슬라이딩 접촉하면서 이동하고, 이것에 따라 헤드설치판(9)은 화살표 B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3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플로어 핀(32)이 제2 원호면(30b)과 제1원호면(30a)과의 사이에 제1 굴곡홈부(30f)에 걸어맞추었을 때, 헤드설치판(9)은 초기의 정지위치에 도달하고 핀치롤러(15)가 캡스턴(5)에서 크게 분리됨과 동시에 녹음·재생헤드(10) 및 소거헤드(11)가 테이프에서 분리된다.
이렇게하여 헤드설치판(9)이 정지위치로 복귀되면 전술한 헤드설치판(9)이 고속소거동작위치에 있다는 신호가 정지하므로 이 신호에 의거하여 모터반전회로가 다시 작동하여 모터(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모터(2)가 다시 반전시계방향으로 회전됨에 따라 전달기어(20)는 제2 결치기어(26)에서 이반하여 반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한다. 그리고 고속소거동작시와 마찬가지로 전달기어(20)는 제14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릴 기어(4a)에 맞물리고, 공급 릴(4)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이 결과, 테이프는 감김 릴(3)측에서 공급 릴(4)측으로 고속으로 보내져서 되감기 동작이 실시된다.
이상과 같이 정지상태에서 되감기조작스위치가 조작되면 우선 모터(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전달 기어(20)를 제2 결치기어(26)에 맞물리게하여 헤드설치판(9)을 일단 소거동작위치로 이동시킴과 동시에 전달기어(20)를 제2 결치기어(26)에서 전달기어(20)를 이반시킨다. 그 후, 모터(2)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번에는 전달기어(20)를 반대쪽에서 제2 결치기어(26)에 맞물리게 하여 헤드설치판(9)을 정지위치로 복귀시킨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모터(2)의 회전방향을 다시 반전시켜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켜서 전달기어(20)를 릴 기어(4a)에 맞물리게 하고 공급 릴(4)을 회전구동한다. 이렇게 하여 테이프의 되감기를 실시하기 위한 일련의 동작이 단계적으로 실시된다.
재생동작상태에서 정지상태
그런데 제5도에 도시하는 재생동작상태에서 정지조작스위치(도시생략)가 조작되면 그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모터반전회로가 가동되고 모터(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면 모터(2)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전달기어(20)는 감김 릴(3)의 릴 기어(3a)에서 분리되어 반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하고, 제1 결치기어(23)의 유치부(23a)에 맞물린다. 이 결과, 전달기어(20)에 의해 제1 결치기어(23)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되고, 캠 플로어 핀(31)은 제2 원호부(29b)에서 제1 원호부(29a)에 슬라이딩접촉하면서 그 캠작용에 의해 위치변위하고, 재생동작위치에 있는 헤드설치판(9)은 정지위치로 일단 복귀한다. 그러나 이 시점에서는 아직 전달기어(20)가 제1 결치기어(29)에 맞물린 상태에 있으므로 제1 결치기어(23)는 결치부(23b)가 전달기어(20)에 대향할때까지 소정 각도만큼 회전하고, 그 회전에 따라 캠 플로어 핀(31)은 제3 경사부(29e)에 슬라이딩 접촉하여 화살표 A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결과, 헤드설치판(9)도 정지위치에서 화살표 A방향으로 약간 이동된다.
그리고, 제1 결치기어(23)는 그 결치부(23b)가 전달기어(20)에 대향하는 위치까지 소정각도만큼 회전하면 전달기어(20)는 그 공전저지가 해제되어 반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한다. 이때 제1 결치기어(23)는 전달기어(20)와의 맞물림에서 해제되기 때문에 캠 플로어 핀(31)에 작용하는 화살표 B방향으로 복귀력과 제3경사부(29e)와의 캠 작용에 의해 제1 결치기어(23)는 소정각도만큼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제1 결치기어(23)는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캠 플로어 핀(31)이 제3 경사부(29e)와 제1 원호부(23a)와의 사이의 굴곡홈부(29f)에 위치한 상태에서 회전정지하고, 안정상태로 유지된다. 또, 캠 플로어 핀(31)의 굴곡홈부(29f)로의 이동에 따라 헤드설치판(9)은 정지위치로 복귀하여 안정유지된다.
한편, 제1 결치기어(23)에서 분리된 전달기어(20)는 반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하여 제3 결치기어(25)에 맞물린다. 이 결과, 전달기어(25)는 공전저지된 상태에서 제3 결치기어(25)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한다. 이 제3 결치기어(25)의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에 의해 제2 캠(36)의 돌출부(36b)에서 정지스위치(38)의 가동접편(38a)이 늘려지고, 고정접편(38b)에 접촉하여 정지스위치(38)가 ON이 된다. 이때, 상술한 바와 같이 이미 정지조작스위치가 조작되고 있기 때문에 이 정지조작스위치의 조작신호와 정지스위치(38)의 ON신호에 의해 모터(2)의 전원공급이 차단된다. 이 결과, 모터(2)의 회전이 정지되고 제2도에 도시하는 정지상태가 된다.
이처럼 재생동작상태에서 정지조작스위치가 조작되면 모터(2)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모터(2)의 회전에 의해 전달기어(20)가 반시계방향으로 공전이동하여 릴 기어(3a)에서 분리되므로 감김 릴(3)의 회전이 정지한다. 다음에 전달기어(20)는 제1 결치기어(23)에 맞물려서 제1 결치기어(23)를 회전시켜서 헤드설치판(9)을 정지위치에 복귀시키고, 그 후, 전달기어(20)를 제3 결치기어(25)에 맞물리는 위치까지 공전이동하여 이 제3 결치기어(25)에 의해 정지스위치(38)를 ON동작시킨다. 이상의 일련의 동작과정을 순서대로 실행하는 것으로 재생동작에서 정지상태로 이동한다.
또, 기타의 동작상태이행에 대해서도 전달기어(20)의 공전이동과 결치기어(23,24,25)의 회전동자에 의해 순차 단계적으로 실시된다.
제17도는 각 동작상태에서 다른 동작상태로의 이행과정에 있어서 모터(2)의 회전방향의 반전타이밍과, 각 동작상태에 있어서 녹음·재생헤드(10)의 위치관계를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 도면에서 파선은 모터(2)의 정지를 나타내고, 이 판선보다 위쪽의 실선은 모터(2)의 정회전(도면중 시계방향회전)을, 또 파선보다 아래쪽의 실선은 모터(2)의 역회전(도면중 반시계방향회전)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 제17도는 예를들면 조속이송동작상태에서 재생동작상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우선 정회전하고 있는 모터(2)의 회전방향을 반전시키고, 그 후, 모터(2)를 다시 정회전시키면 좋다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마찬가지로 고속소거동작상태에서 조속이송동작상태로 이행시키는 경우에는 역회전하고 있는 모터(2)를 정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모터(2)의 역회전, 그 후의 정회전을 경유하여 동작상태가 이행되는 것이 나타난다.
이처럼, 본 실시예에서는 모터(2)의 회전방향의 전환에 의해 전달기어(20)의 공전이동과 결치기어(23,24,25)의 회전동작이 단계적으로 제어되면서 각 동작상태의 설정이 실시된다. 이 결과, 종래와 다르게 클러치 기구를 이용하지 않고, 테이프 레코더의 동작을 순차제어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 상기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더에 적용한 경우에 대하여 서술했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카메라의 필름자동감기와 셔터세트등을 관련동작시키는 모터 드라이브장치 혹은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의 테이프 로딩을 종료후에 테이프를 캡스턴에 누름동작시키는 기구, 또한 복수의 전자석을 제어하여 복수의 작동부를 순차 관련작동시키는 기구, 기타 각종 용도에 본 발명은 적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기어기구를 이용한 순차기구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와 동축에 설치된 선회암에 상기 구동기어와 연동하는 전달기어를 설치하고, 유치부와 결치부를 갖는 결치기어를 상기 전달기어에 맞물림 가능한 위치에 설치하고, 이 결치기어의 치저면에서 전달기어의 공전이동을 저지하면서 전달기어에 의해 결치기어를 회전시켜서 제1의 작동기구를 작동시키고, 그 후, 결치기어의 결치부를 전달기어에 대향시키는 것으로 전달기어를 제2의 작동기구를 동작시키는 위치로 공전이동시키므로 종래와 같은 클러치 기구나 전자석 등을 설치하지 않고, 모터의 구동·정지 타이밍과, 그 회전방향전환을 제어할 뿐인 간단한 조작으로 복수의 작동부에 대한 순차제어를 확실히 실행할 수 있다.

Claims (3)

  1. 모터(2)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18)와, 이 구동기어와 동축에 선회가능하게 설치된 선회 암(19)과, 이 선회 암에 축지되어 상기 구동기어와 맞물린 전달기어(20)와, 결치부(23b,24b,25b) 및 상기 전달기어와 맞물리는 유치부(23a,24a,25a)를 갖고, 상기 전달기어와 맞물릴때에는 상기 유치부의 치저면으로 이 전달기어의 공전을 저지하면서 이 전달기어에 의해 회전 구동됨과 동시에 상기 결치부를 상기 구동기어에 대향시켰을 때에는 상기 전달기어의 공전을 허용하는 결치기어(3,24,25)와, 이 결치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작함과 동시에 이 결치기어에 상기 유치부가 상기 전달기어와 맞물리는 위치까지 회전시키기 위한 복귀력을 주는 제1 작동기어와, 상기 전달기어가 상기 결치기어의 결치부를 통과하여 공정했을 때, 이 전달기어의 회전에 연동하여 동작하는 제2 작동기구와, 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기구를 이용한 시퀀스 제어기구.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작동기구는 캠(29,30,35,36)과 이 캠이 걸어맞추는 캠 플로어 핀(31,32) 또는 캠 슬라이드 접촉편(37a,38a)으로 구성되는 캠 기구를 통하여 결치기어의 회전에 연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기구를 이용한 시퀀스 제어기구.
  3. 제1항에 있어서, 모터는 정역회전 가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어기구를 이용한 시퀀스 제어기구.
KR1019890004924A 1989-04-13 1989-04-13 기어기구를 사용한 순차 제어기구 KR93000433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4924A KR930004336B1 (ko) 1989-04-13 1989-04-13 기어기구를 사용한 순차 제어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90004924A KR930004336B1 (ko) 1989-04-13 1989-04-13 기어기구를 사용한 순차 제어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978A KR900016978A (ko) 1990-11-15
KR930004336B1 true KR930004336B1 (ko) 1993-05-26

Family

ID=192853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4924A KR930004336B1 (ko) 1989-04-13 1989-04-13 기어기구를 사용한 순차 제어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30004336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978A (ko) 1990-11-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95638A (en) Reel driving apparatus for a videocassette recorder
US4408236A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910005104B1 (ko) 테이프 플레이어
KR970011132B1 (ko) 리버스식 기록 재생장치의 모드전환기구
US4964589A (en) Mode changing mechanism for a tape player
KR930004336B1 (ko) 기어기구를 사용한 순차 제어기구
US5031471A (en) Sequence control mechanism employing gear mechanism
KR900007310Y1 (ko)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
US4504877A (en) Auto-reverse type cassette tape player
EP0345739B1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KR0149004B1 (ko) 자기 녹음 재생 장치
JP2571718B2 (ja)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モード切換装置
US6081404A (en) Cassette tape driving device with auto-reverse function
KR900010406Y1 (ko)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KR920003991B1 (ko) 카세트 오토리버스 데크
JPS6314353A (ja) テ−プレコ−ダの動作モ−ド選択切換装置
KR0137105Y1 (ko)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JPH0418094Y2 (ko)
JPH0744945A (ja) テープレコーダの動作モード切換機構
JPS6213250Y2 (ko)
KR920008567Y1 (ko) 디에이티용 가이드 로울러 이동장치
GB2231705A (en) A sequence control mechanism employing the gear mechanism
JPS5911562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H0814904B2 (ja) テ−プレコ−ダの動作モ−ド選択切換装置
JPH0138752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