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37105Y1 -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37105Y1
KR0137105Y1 KR2019970039491U KR19970039491U KR0137105Y1 KR 0137105 Y1 KR0137105 Y1 KR 0137105Y1 KR 2019970039491 U KR2019970039491 U KR 2019970039491U KR 19970039491 U KR19970039491 U KR 19970039491U KR 0137105 Y1 KR0137105 Y1 KR 013710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lever
switching
gear
ca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7003949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츠유키 오토
히사노리 와타나베
Original Assignee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880006370A external-priority patent/KR890001053A/ko
Application filed by 오가 노리오, 소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오가 노리오
Priority to KR2019970039491U priority Critical patent/KR013710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3710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37105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3/00Record carrier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Accessories, e.g. 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o-operation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apparatus ; Intermediate medium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their manufacture
    • G11B23/02Containers; Storing means both adapted to cooperate with the recording or reproducing means
    • G11B23/04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 G11B23/08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 G11B23/087Magazines; Cassettes for webs or filaments for housing webs or filaments having two distinct ends using two different reels or cores
    • G11B23/08707Details
    • G11B23/08721Brakes for tapes or tape ree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33/00Constructional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G11B33/12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 G11B33/121Disposition of constructional parts in the apparatus, e.g. of power supply, of modules the apparatus comprising a single recording/reproducing devic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220/00Record carriers by type
    • G11B2220/90Tape-like record carriers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한쌍의 릴대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추어져 토크를 전달하는 구동기어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가동전환레버와, 상기 전환레버를 모드의 전환에 따라서 가동상태 또는 고정상태로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전환레버제어부와,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한쌍의 릴대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추어지거나 또는 상기 한쌍의 릴대중 어느 하나에도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이탈위치에 있도록 모드의 전환에 따라서 상기 전환레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한쌍의 릴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쌍의 릴대에 걸어맞추기 위한 왕복동 브레이크부재와, 상기 브레이크부재와 상기 전환레버제어부를 모드의 전환에 따라서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환레버제어부는 상기 전환레버에 배설된 제1의 걸어맞춤부와, 상기 전환레버의 상기 제1의 걸어맞춤부와 선택적으로 걸어맞추기 위한 상기 브레이크부재에 배설된 제2의 걸어맞춤부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오토리버스식 테이프레코더의 테이프주행구동계의 분해사시도.
제2도는 상기 제1도의 테이프주행구동계의 평면도.
제3도는 모드전환의 플로차트.
제4도는 모드전환기구에 사용되는 솔레노이드의 온·오프에 의한 모드전환의 타이밍차트.
제5도는 제1도의 오토리버스식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기구를 저면측에서 본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모드전환기구에 사용되는 결치(欠齒)기어와 그 상면의 캠부를 나타낸 사시도.
제7도는 정지모드에 있어서의 제5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평면도.
제8a도는 제7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저면도.
제8b도는 제8a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부분파단저면도.
제9a도는 테이프의 포워드구동의 선택을 나타낸 제5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부분파단저면도.
재9b도는 테이프의 리버스구동의 선택을 나타낸 제9a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부분파단저면도.
제10도는 포워드 또는 리버스구동모드의 선택완료상태를 나타낸 제9a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부분파단저면도.
제11a도는 재생(기록)모드에 있어서의 제5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저면도.
제11b도는 제11a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부분파단저면도.
제12a도는 비선곡(非選曲)모드의 선택을 나타낸 제5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부분파단저면도.
제12b도는 선곡모드의 선택을 나타낸 제12a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부분파단저면도.
제13도는 급속이송모드의 선택을 나타낸 제5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저면도.
제14a도는 급속이송모드에 있어서의 제13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저면도.
제14b도는 제14a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부분파단저면도.
제14c도는 급속이송모드의 통과를 나타낸 제13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저면도.
제15a는 리와인딩모드에 있어서의 제5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저면도.
제15b도는 제15a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부분파단저면도.
제15c도는 리와인딩모드의 통과를 나타낸 제15a도의 모드전환기구의 요부의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3 : 릴대 22,23 : 릴대기어
30 : 반전기어 31 : FR구동기어(구동기어)
50 : 솔레노이드(제어부) 60 : 제어레버(제어부)
70 : 브레이크부재 71,72 : 계합클릭
75,76 : 치부 78 : 계합부
80 : FR전환레버(전환레버) 82 : 피걸어맞춤부
120 : 결치기어(구동부) 150 : 캠부(구동부)
N : 중립위치
본 고안은 예를 들면 테이프레코더에 있어서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에 적용하기에 가장 적합한 것으로서, 특히 소정 방향으로 전환레버의 요동에 의해 구동기어를 한쌍의 릴대의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추어지도록 한 릴대의 회전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테이프레코더 등에 있어서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예를 들면 급송이송모드와 리와인딩모드에 있어서 구동기어에 의해 한쌍의 릴대의 어느 한쪽을 선택적으로 회전구동시키는 것으로서, 그 구동기어를 요동할 수 있게 구성된 전환레버에 부착하고, 이 전환레버를 모드의 전환에 따라서 요동시켜 구동기어를 양 릴대의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추도록 한 것이 있었다.
한편, 테이프레코더 등에 있어서, 양 릴대가 회전구동되지 않는 상태, 즉 정지모드나 각 모드의 전환 도중에, 양 릴대가 예기치 않게 회전되어 테이프가 느슨해지지 않도록 하기 위해, 양 릴대에 브레이크를 걸어 양 릴대의 회전을 규제하는 브레이크부재를 설치한 것이 있었다.
그러나, 전환레버의 요동에 의해 구동기어를 양 릴대의 어느 한쪽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추는 기구와, 브레이크부재에 의해 양 릴대에 브레이크를 거는 기구와를 상호 접속됨이 없이 서로 협동하도록 테이프레코더에 함께 설치할 경우, 양 기구를 동작시키는 타이밍이 어긋나면, 구동기어가 릴대에 걸어맞추어질 때, 및 그 구동기어가 릴대에서 이탈될 때에, 기어전환노이즈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즉, 전환레버의 요동에 의해 구동기어가 릴대에 걸어맞추어지는 타이밍이, 브레이크부재에 의한 릴대의 회전의 규제가 해제되기 전이면, 고속으로 회전되고 있는 구동기어가 고정되어 있는 릴대에 강제적으로 걸어맞추어지게 되며, 거기서 커다란 기어전환노이즈가 발생한다. 역으로, 구동기어가 릴대로부터 이탈될 때, 그 이탈전에 브레이크부재에 의해 릴대의 회전이 규제되면, 구동기어에 의해 회전구동되고 있는 릴대에 브레이크가 걸리게 되며, 거기서 커다란 기어전환노이즈가 발생한다.
테이프레코더의 모드전환기구에 있어서, 모드전환을 위한 전환레버는 캠부에 의해 구동되어 급속이송모드 또는 리와인딩모드를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있어서, 전환레버가 캠부에 의해 확실히 구동될 수 있도록 전환레버는 특수스프링에 의해 캠부쪽으로 힘이 가해져 있다. 이 특수스프링은 테이프레코더의 부품수를 증가시키며, 조립에 필요한 스텝을 증가시켜 전체구조를 복잡하게 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종래 기술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는 테이프기록재생장치용 급속이송 및 리버스모드전환기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레코더의 릴대에 구동부를 설치하여, 구동기어를 양 릴대중 하나에 걸어맞추게 하는 전환레버와 양 릴대를 규제하는 브레이크부재를 걸어맞춤부에 설치하여, 릴대가 자유로이 회전할 수 있게 된 후에만 구동기어가 릴대와 확실히 결합하게 되고, 구동기어가 릴대로부터 이탈된 후에만 릴대가 확실히 규제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레코더 릴대에 구동부를 설치하여, 구동기어를 한쌍의 릴대중 하나에 걸어맞추게 하는 전환레버를 한쌍의 릴대를 규제하는 브레이크부재와 연관시켜 장착함으로써, 양자가 일정한 시간관계로 구동되어 구동기어가 릴대에 걸어맞추어질 때나 또는 릴대로부터 이탈될 때 노이즈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레코더 릴대에 구동부를 설치하여 구동기어를 한쌍의 릴대중 하나에 걸어맞추는 전환레버를 중립위치에 유지시키고, 구동기어가 한쌍의 릴대중 어느 것에도 걸어맞추어지지 않고, 모드전환기구가 예를 들면 고속이송모드나 리와인딩모드로 전환되는 것을 방지하거나 또는 전환레버에 간섭하는 것을 방지하여, 한쌍의 릴대를 브레이크부재는 전환레버가 작동하는 동안 그 복동위치로 움직일 수 없어서 릴대가 회전중 규제되지 않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테이프레코더 릴대에 구동부를 설치하고 캔틸레버스프링을 제1 및 제2통로가 분기하는 캠부의 위치에 배설하고, 구동기어를 한쌍의 릴대중 어느 한쪽에 걸어맞추는 전환레버는 제1 및 제2의 통로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안내되고, 전환레버는 다단 캔틸레버스프링에 의해서만 구동되며, 전환레버에 힘을 가하기 위하여 설치된 특수스프링을 요하지 않으므로, 부품의 수와 조립에 필요한 스텝이 감소되며, 전체 구조가 간소화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또 다른 목적은 테이프레코더 릴대용 구동부를 설치하여 구동기어를 한쌍의 릴대중 어느 한쪽에 걸어맞추는 전환레버가 모터풀리를 구동풀리 사이에 걸쳐 있는 구동벨트에 의해 가해지는 힘에 의해 모드전환캠부에 대하여 탄성적으로 눌려, 전환레버를 캠부에 대하여 밀게 하는 특수스프링을 요하지 않으므로, 부품의 수와 조립에 필요한 스텝이 감소되며, 구조가 간소화되도록 하는데 있다.
본 고안의 한 실시예에 의하면 자동리버스테이프레코더에 구동부 및 모드전환기구를 설치하여, 모드전환동작중 레코더의 릴대가 아직 회전하는 동안 규제되지 않도록 하며, 완전히 규제에서 해제될 때까지 구동되지 않도록 한다. 이것은 요망되는 모드전환동작을 행하는데 사용되는 하나의 솔레노이드만을 요하고 결합과 동시 동작을 위하여 접속되는 구동부와 로크부를 설치함으로써 이루어진다. 모드전환기구는 피봇식으로 장착되며, 그 위에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구동기어를 가진 전환레버를 포함하고 있다. 전환레버의 동작에 의해 구동기어는 테이프레코더의 구동모터로부터 양 릴대중의 하나에 토크를 전달한다. 상이한 모드전환동작중 선택된 한 동작에 대응하여 전환레버를 피봇에 허용하든가 또는 고정된 위치에 전환레버를 유지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가 설치되어 있다. 모드전환캠부에는 제1의 캠통로와 제2의 캠통로가 배설되어 있다. 모드전환캠부가 회전하면 모드전환레버는 제1의 캠통로에 의해 제1의 모드위치로 향하게 되고, 모드전환캠이 계속 회전하면 제2의 캠위치로 향하게 된다. 제1의 캠통로와 제2의 캠통로가 분기되는 위치에서 모드전환캠부에 하나의 스프링이 배치된다. 스프링이 동작하여 2개의 캠통로중 어느 하나를 전환레버가 선택하도록 한다. 이와 같은 기구를 사용함으로써 제1의 모드가 선택될 때, 제어부는 모드전환캠이 회전함에 따라 전환레버가 스프링의 힘에 의해 제1의 캠통로로 들어가도록 피봇할 수 있는 상태에 전환레버를 위치시킨다. 제2의 모드가 선택되면, 모드전환레버는 제어부에 의해 피봇되지 않은 고정상태에 놓이게 된다. 그리하여, 전환레버는 모드전환캠이 회전함에 따라 스프링의 힘에 대항하여 제2의 캠통로 아래쪽으로 인도된다. 전환레버의 제어부는 한쌍의 릴브레이크를 걸어맞추어 회전을 방지하도록 왕복이동식으로 장착된 브레이크를 포함한다. 브레이크의 동작은 브레이크제어부에 의해 테이프레코더의 전환모드에 대응하여 제어되며, 따라서 브레이크가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릴대에 걸어맞추어지면 전환레버는 피봇되지 않도록 방지되며, 브레이크가 해제되어 릴대가 움직일 수 있게 되면 전환레버도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된다. 전환레버제어부는 각각 탭과 슬롯 사이의 걸어맞춤이 브레이크의 이동기능이 되는 전환레버와 브레이크상에 배치된 한짝의 탭과 슬롯으로 구성된다. 주변의 여러곳에 결치부(欠齒部)가 형성된 결치기어는 선택된 모드전환에 대응하여 테이프레코더모터의 구동기어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된다. 모드전환캠부는 이 결치기어의 평탄한 면상에 형성된다. 구동기어는 결치기어에 대하여 결치기어가 회전하는 동안 구동기어가 결치부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솔레노이드구동브레이크제어부는 각 결치부가 구동기어의 반대쪽에 있을 때 결치기어의 회전을 규제 또는 그 규제를 해제하는 레귤레이터를 제어한다.
다음에 본 고안을 콤팩트카세트에 사용하는 오토리버스식 테이프레코더에 적용한 일실시예를 도면에 따라서 설명한다.
먼저, 제1도 및 제2도에 의하여, 테이프주행구동계와 테이프레코더의 개요동작을 설명한다.
제1도 및 제2도는 이 테이프레코더의 테이프주행구동계를 나타낸 것이다. 샤시(1)의 상부에는 좌우 1쌍의 릴대(2),(3), 캡스턴(4),(5), 핀치롤러(6),(7) 및 기록재생겸용의 자기헤드(8) 등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샤시(1)위에 테이프카세트(10)가 장착되면, 그 릴허브(11),(12)가 릴대(2),(3)에 걸어맞추어지는 동시에, 자기테이프(13)가 캡스턴(4),(5) 및 자기헤드(8)에 걸쳐진다.
다음에, 제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시(1)의 하부(1b)에는, 캡스턴(4),(5)의 하단에 고착된 캡스턴플라이휠겸용의 캡스턴풀리(15),(16), 급속이송 및 리와인딩용의 FR풀리(17), 회전구동원인 한 개의 모터(18)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 각 풀리(15),(16),(17)와 모터(18)의 구동풀리(19)와의 사이에 탄성을 가진 1개의 벨트(20)가 걸쳐져 있다. 한편, 샤시(1)의 상부에 장착되어 있는 릴대(2),(3)의 외주에는 릴대기어(22),(23)가 형성되어 있으며, 그들 릴대(2),(3)의 근방에는 포워드재생(기록)용의 F구동기어(24), 리버스재생(기록)용의 R구동기어(25)가 설치되어 있다. 제2도의 평면상의 이들 F구동기어(24), R구동기어(25)의 아래쪽에는 동축으로 일체로 회전되는 기어(26),(27)가 설치되어 있어서, 이들 기어(26),(27)는 캡스턴풀리(15),(16)에 형성된 기어(28),(29)에 항상 걸어맞추어져 있다.
또한 릴대(2)의 릴대기어(22)에는 반전기어(30)가 항상 걸어맞추어져 있어서, 이 반전기어(30)와 릴대(3)의 릴대기어(23)와의 사이에는 급속이송 및 리와인딩용의 FR구동기어(3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2도의 평면 아래에 배치된 이 FR구동기어(31)는 FR풀리(17)와 동축으로 일체로 회전된다.
다음에, 제2도(단 이것은 정지모드를 나타내고 있음)에 있어서, 모터(18)의 구동풀리(19)가 화살표 a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면, 벨트(20)에 의해서 캡스턴풀리(15),(16), FR풀리(17)가 각각 화살표 b, c, d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그리고, 후술하는 모드전환기구에 의하여 포워드재생(기록)모드가 선택되면, 기어(26)가 기어(28)와의 걸어맞춤상태에서 릴대(2)의 회전축에 안쪽으로 이동되고, 제2도의 평면상 기어(26)의 위쪽의 F구동기어(24)가 한쪽의 릴대(2)의 릴대기어(22)에 걸어맞추어진다.
또한, 이와 동시에 자기헤드(8)가 자기테이프(13)에 접촉되는 동시에, 한쪽의 캡스턴(4)에 핀치롤러(6)가 압착된다. 이로 인해서 한쪽의 릴대(2)가 화살표 e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자기테이프(13)가 화살표 f방향으로 주행되는 포워드재생(기록)모드로 이루어지고, 자기헤드(8)에 의한 포워드재생(기록)이 행해진다.
또한, 리버스재생(기록)모드가 선택되면, 기어(27)가 기어(29)와의 걸어맞추어진 상태에서 릴대(3)의 회전축쪽인 안쪽으로 이동되며, 제2도의 평면상 기어(27)의 위쪽의 R구동기어(25)가 다른쪽의 릴대(3)의 릴대기어(23)에 걸어맞추어진다. 또한, 이와 동시에 자기헤드(8)가 자기테이프(13)에 접촉되는 동시에, 다른쪽의 캡스턴(5)에 핀치롤러(7)가 압착된다. 이로써 다른쪽의 릴대(3)가 화살표 g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자기테이프(13)가 화살표 f'방향으로 주행되는 리버스재생(기록)모드로 되고, 자기헤드(8)에 의한 리버스재생(기록)이 행하여진다.
한편, 급속이송모드가 선택되면, FR풀리(17)와 일체로 회전하고 있는 FR구동기어(31)가 반전기어(30)에 걸어맞추어진다. 이로써, 한쪽의 릴대(2)가 화살표 e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구동되고, 자기테이프(13)가 화살표 f방향으로 고속주행되는 급속이송모드가 된다.
또한, 리와인딩모드가 선택되면, FR구동기어(31)가 다른쪽의 릴대(3)의 릴대기어(23)에 걸어맞추어진다. 이로써 다른쪽의 릴대(3)가 g방향으로 고속으로 회전구동되고, 자기테이프(13)가 화살표 f'방향으로 고속주행되는 리와인딩모드로 된다.
그리고, 이 테이프레코더는, 상기 급속이송모드 및 리와인딩모드가 설정될 때, 각각의 그 모드에의 전환상태와 비전환상태를 선택할 수 있으며, 또한 이 테이프레코더는, 자기헤드를 자기테이프에 가볍게 접촉시킨 상태로 급속이송 및 리와인딩을 행하여 녹음부분과 비녹음부분을 검출하는 이른바 선곡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역시 상기 모드전환기구에 의해서 그들 급속이송선곡모드 및 리와인딩선곡모드를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5도 및 제7도에 있어서, 상기 자기헤드(8)는 자기테이프(13)의 주행방향에 따라서 소정각도로 반전되는 반전형 자기헤드로 구성되고, 대체로 T자 모양을 이루는 헤드기판(40)의 후단중앙부에 부착되어 있다. 제7도의 평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 헤드기판(40)은 샤시(1)의 상부(1a)에서 화살표 h, h'방향으로 왕복운동할 수 있게 구성되며, 샤시(1)와의 사이에 걸쳐진 토션코일스프링(41)에 의하여 화살표 h'방향으로 복동부세되어 있다.
그리고, 토션코일스프링의 한끝은 샤시(1)에 형성된 구멍에 걸려 있고, 다른끝은 헤드기판(40)에서 돌출된 로크부재(41a)에 의해 걸려 있고, 코일부분은 샤시(1)에서 돌출된 핀(40c)에 끼워져 있다. 그리고, 헤드기판(40)의 전단부 하면에는 피구동용 핀(42)이 고착되고, 이 핀(42)은 샤시(1)에 형성된 긴구멍(43)에 삽입되어서 아래쪽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헤드기판(40)의 중앙 일측부에는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출핀(44)이 형성되어 샤시(1)에 형성된 구멍(67)에 삽입되어 있다.
다음에, 제5도 및 제8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시(1)의 하부(1b)에는 솔레노이드(50)가 하나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솔레노이드(50)의 플런저(50a)에 제어레버(60)의 핀(61)이 걸어맞추어져 있다. 이 제어레버(60)는 샤시(1)에서 설치된 축(62)에 의하여 화살표 i, i'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레버(60)에 누름부(63)와 긴구멍(64)과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로크부(65)가 일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5도의 저면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레버(60)에는 위쪽으로 돌출된 돌출부(66)가 일체 성형되고, 제어레버(60)가 화살표 i방향(제8b도)으로 왕동에 의해서 그 돌출부(66)는 절결구멍(67)(제7도 참조)안에서 상기 헤드기판(40)의 돌출편(44)보다 샤시의 후방쪽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5도 및 제8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시(1)의 하부(1b)에는 브레이크부재(70)가 화살표 j, j'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이 브레이크부재(70)의 좌우양단부에는 1쌍의 걸어맞춤클릭(71),(72)이 일체 성형되고, 이들 양 걸어맞춤클릭(71),(72)은 샤시(1)에 형성된 긴구멍(73),(74)에 삽입되어서 샤시(1)의 상부(1a)로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부재(70)의 화살표 j'방향으로의 복동할 때 양 걸어맞춤클릭(71),(72)은 상기 양 릴대(2),(3)의 하면에 형성된 치부(75),(76)에 각각 걸어 맞추어지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브레이크부재(70)에는 상기 제어레버(60)의 누름부(63)에 의하여 눌리는 피누름부(77)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브레이크부재(70)의 대략 중앙부에는 오목부로 이루어지는 계합부(78)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5도 및 제8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브레이크부재(70)의 아래쪽 샤시(1)의 하부(1b)에 급속이송 및 리와인딩용의 FR전환레버(80)가 배치되어 있다. 이 FR전환레버(80)는 같은 축으로 일체로 회전되는 FR풀리(17)를 FR구동기어(31)를 회전할 수 있게 지지하는 것이며, 제8a도에 나타낸 축(81)에 의해서 화살표 k, k'방향으로 요동할 수 있게 한끝에서 지지되어 있다. 그 FR전환레버(80)의 FR풀리(17)에는 상기 구동벨트(20)가 감겨 있으므로, 이 벨트(20)의 탄성에 의한 누르는 힘 P에 의해서 FR전환레버(80)는 화살표 k'방향으로 늘려 힘이 가해져 있다.
그리고, FR전환레버(80)의 대체로 중앙부에는, 상기 브레이크부재(70)의 오목한 걸어맞춤부(78)에 걸어맞추어지는 돌출부로 이루어지는 피걸어맞춤부(82)가 일체 성형되고, 이 피계합부(82)가 오목한 걸어맞춤부(78)로부터 이탈되므로써 FR전환레버(80)는 화살표 k, k'방향으로 요동가능하게 되고, 계합부(82)가 오목한 걸어맞춤부(78)에 걸어맞추어짐으로써 FR전환레버(80)는 FR구동기어(31)가 어떤 인접한 기어와도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중립위치 N의 고정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FR전환레버(80)의 앞끝부에는 위쪽으로 돌출하는 피구동용의 핀(83)이 일체 성형되어 있다. 또한, (84)는 샤시(1)에 형성된 구동기어(31)를 수납하는 원형구멍이다.
다음에, 제5도 및 제8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시(1)의 하부(1b)에는 선택슬라이더(90)가 화살표 l, l'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선택슬라이더(90)에는 좌우 1쌍의 누름부(91),(92)와 아래쪽으로 돌출하는 돌출부(93)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레버(60), 브레이크부재(70) 및 선택슬라이더(90)는, 그 코일부분이 브레이크부재(70)에 형성된 핀(79)에 끼워져 있는 한 개의 토션코일스프링(94)에 의해서 각각 화살표 i, i'방향으로 복동되어 힘이 가해져 있다. 스프링(94)의 한끝은 제어레버(60)의 스프링스톱(68)과 걸어맞추어져 있고, 스프링(94)의 다른끝은 슬라이더(90)의 스프링스톱(95)에 걸어맞추어져 있다. 그리고, 샤시(1)의 하부(1b) 후방측에는 전환슬라이더(100)가 화살표 m방향의 포워드 위치와 화살표 m'방향의 리버스위치와의 사이에서 슬라이드할 수 있게 배치되어 있다. 이 전환슬라이더(100)의 상기 m 및 m'의 2방향중 1방향으로의 슬라이드이동에 의하여 상기 자기헤드(8)가 선택적으로 소정의 각도로 반전되는 동시에, 전환슬라이더(100)의 양단부(100a),(100b)에 의해서 상기 F구동기어(24) 및 핀치롤러(6), 또는 R구동기어(25) 및 핀치롤러(7)의 이동이 선택적으로 규제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슬라이더(100)의 중앙부에는 긴구멍(101)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전환슬라이더(100)와 상기 제어레버(60)와의 사이에 전환레버(11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전환레버(110)에는 샤시(1)의 상부(1a)로 같은 방향으로 돌출된 한쌍의 지지점핀(111),(112)과 좌우 1쌍의 피누름부(113),(114)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지지점핀(111)은 제어레버(60)의 긴구멍(64)에 삽통되어서 샤시(1)의 긴구멍(115)에 삽입되고, 지지점핀(112)은 전환슬라이더(100)의 긴구멍(101)에 삽입되어 있다. 이로 인해서 전환레버(110)는 지지점핀(111) 또는 지지점핀(112)을 중심으로 하여 화살표 n, n'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전환레버(110)의 피누름부(113),(114)는 상기 선택슬라이더(90)의 누름부(91),(92)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눌리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5도 및 제8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샤시(1)의 하부(1b) 중앙에서 상기 제어레버(60)나 선택슬라이더(90) 등의 아래쪽에는, 캠을 포함한 결치기어(120)가 샤시(1)에 설치된 축(125)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게 지지되어 있다. 이 결치기어(120)의 외주에는 제1의 결치부(121), 제2의 결치부(122), 제3의 결치부(123) 및 제4의 결치부(12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결치기어(120)는 제1도의 캡스턴풀리(15)와 같은 축으로 일체로 중심 상부에 형성된 구동기어(126)에 의해서 제8a도의 화살표 o방향으로 간헐적으로 회전구동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6도 및 제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치기어(120)의 상면(샤시(1)의 하면에 대향하는 면)의 외주부 근방에는 제1의 로크클릭(131), 제2의 로크클릭(132), 제3의 로크클릭(133) 및 제4의 로크클릭(134)이 일체로 성형되고, 이들이 상기 제어레버(60)의 로크부(65)에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결치기어(120)의 상면에는 상기 헤드기판(40)의 핀(42)을 구동하기 위하여, 중심으로부터의 반경이 일정한 제1의 캠부(141)와, 이 제1의 캠부(141)에 연속해서 반경이 점차로 커지는 제2의 캠부(142)와, 이 제2의 캠부(142)에 연속해서 반경이 약간 작은 제3의 캠부(143)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제3의 캠부(143)에는 절결부(144)가 형성되고, 제3의 캠부(143)와의 사이에는 절결부(145)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결치기어(120)의 상면의 중앙부 근방에는 상기 선택슬라이더(90)의 돌출부(93)를 누르기 위한 돌출부(146)가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돌출부(146)는 결치기어(120)의 평면위로 캠부(141),(142),(143)보다 약간 높게 돌출되어 있다.
한편, 제5도 및 제8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결치기어(120)의 하면에는 상기 FR전환레버(80)의 핀(83)을 구동하기 위한 캠부(150)가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결치기어(120)의 저면의 캠부(150)의 외측의 일부에는 급속이송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캠돌출부(151)와 여기에 인접하여 캠돌출부(1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150),(152),(153)은 결합하여 이 캠돌출부(151)와 캠돌출부(152) 사이에 의해서 제1의 캠통로 S가 구성되고, 캠돌출부(151)와 캠돌출부(150)와의 사이에 의해서 제2의 캠통로 t가 구성되어 있다.
캠부(150)의 안쪽에는 토션코일스프링으로 이루어지는 통로선택용의 스프링(153)이 결치기어(120)의 한끝 즉 결치기어(120)의 중심 부근에 장착되고, 이 스프링(153)의 자유단(153a)이 캠부(150)와 제1의 통로 S와 제2의 통로 t와의 분기부분에 돌출되어 있다. 또한, 캠부(150)의 일부에는 리와인딩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오목부(15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캠에 따라 결치기어(120)의 하면에는 제1의 핀(161), 제2의 핀(162), 제3의 핀(163) 및 제4의 핀(164)이 일체 성형되어 있다. 그리고, 각 핀(161),(162),(163) 및 (164)이 샤시(1)에 부착된 토션코일스프링(165)의 암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걸어맞추어져서 기어(120)에 화살표 o방향으로의 초기회전력이 부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다음에, 제3도, 제4도, 제7도∼제8b도에 의하여 정지모드를 설명한다.
먼저, 정지모드에서는 솔레노이드(50)가 오프되어 있다. 그리고, 플런저(50a)는 가장 멀리 연장된 상태에 있게 된다. 제8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레버(60)는 화살표 i'방향으로 복동되고, 그 로크부(65)에 결치기어(120)의 제1의 로크클릭(131)이 접촉됨으로써, 결치기어(120)는 제1의 결치부(121)가 구동기어(126)에 대향하는 상태로 로크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레버(60)의 복동에 의하여 브레이크부재(70)도 화살표 j'방향으로 복동되며, 제7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양 걸어맞춤클릭(71),(72)이 양 릴대(2),(3)의 양 치부(75),(76)에 걸어맞추어져서, 양 릴대(2),(3)의 회전이 규제되어 있다.
또한, 제8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브레이크부재(70)의 오목한 걸어맞춤부(78)가 FR전환레버(80)의 피걸어맞춤부(82)에 걸어맞추어져서, 그 FR전환레버(80)가 중립위치 N에 유지되어 있다. 이로써,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FR구동기어(31)가 반전기어(30) 및 릴대기어(23)의 어디에서나 이간되어 있다.
한편, 제8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기판(40)은 화살표 h'방향으로 복동되어 있으며, 그 핀(42)이 결치기어(12)의 캠의 절결부(145)에 위치하고 있다. 제7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헤드기판(40)의 복동에 의하여 자기헤드(8)는 자기테이프(13)로부터 완전히 이간되는 동시에, F구동기어(24), R구동기어(25), 양 핀치롤러(6),(7)로 복동되어 있다. 그리고, 제8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택슬라이더(90)도 화살표 l'방향으로 복동되어 있다. 이와 같은 상태로 제3도 및 제4도에 있어서의 정지모드가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일시정지(포즈)모드도 상기 정지모드와 동일하게 행해진다.
다음에, 제3도, 제4도, 제8a도∼제10도에 의하여, 포워드와 리버스와의 선택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재생(기록)모드로의 전환 지령이 출력되면, 솔레노이드(50)가 온이 되고, 플런저(50a)는 가장 짧은 연장된 위치로 철수된다. 제8b도에 있어서 제어레버(60)는 화살표 i방향으로 왕동되고, 그 로크부(65)가 결치기어(120)의 제1의 로크클릭(131)에서 이탈되며, 기어는 또 상기와 같이 캠을 포함한다.
그러므로, 제8a도에 있어서, 토션코일스프링(165)의 암에 의해서 결치기어(120)의 제1의 핀(161)에 눌려서, 그 결치기어(120)에 화살표 o방향으로의 초기회전력이 부여되어서 구동기어(126)에 걸어맞추어지고, 결치기어(120)는 화살표 o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그리고, 상기 로크부(65)를 제1의 로크클릭(131)에서 해제 후에, 제3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0)의 오프 또는 온에 의하여 포워드 또는 리버스를 선택하는 제1의 분기점 A이 설정되어 있다. 즉, 포워드가 지령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50)가 온에 의한 로크 해제 후에 오프된다. 제9a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레버(60)는 화살표 i'방향으로 복동되고, 그 긴구멍(64)에 의해서 전환레버(110)가 지지점핀(112)을 중심으로 해서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결치기어(120)의 화살표 o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하여 그 돌출부(146)가 선택슬라이더(90)의 돌출부(93)를 누르고, 선택슬라이더(90)는 화살표 l방향으로 왕동된다. 여기서 전환슬라이더(100)가 제9a도의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처음부터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된 포워드 위치에 있으면, 전환레버(110)는 선택슬라이더(90)에 의하여 동작되지 않고, 그대로 전환슬라이더(100)는 포워드 위치에 유지된다.
역으로, 전환슬라이더(100)가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처음부터 화살표m'방향으로 이동된 리버스위치에 있으면, 선택슬라이더(90)의 누름부(91)에 의하여 전환레버(110)의 피누름부(113)가 눌린다. 그러면, 전환레버(110)는 지지점핀(111)을 중심으로 해서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되고, 지지점핀(112)에 의하여 전환슬라이더(100)가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되어서 포워드 위치로 된다. 따라서, 어느 경우라도 전환슬라이더(100)는 포워드 위치로 이동된다.
한편, 제3도 플로차트의 제1의 분기점 A에서 리버스가 지령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50)가 로크해제시의 온에 이어서 온되기 때문에, 제9b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제어레버(60)는 화살표 i방향으로 왕동되고, 그 긴구멍(64)에 의하여 전환레버(110)가 지지점핀(112)을 중심으로 해서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상기 포워드가 지령된 경우와 같이 선택슬라이더(90)가 회전하는 결치기어(120)에 의해 화살표 l방향으로 왕동된다.
전환슬라이더(100)가 일점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처음부터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된 리버스 위치에 있으면, 전환레버(110)는 동작되지 않고, 전환슬라이더(100)는 리버스 위치에 유지된다.
역으로, 전환슬라이더(100)가 실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처음부터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된 포워드 위치에 있으면, 선택슬라이더(90)의 누름부(92)에 의해서 전환레버(110)의 피누름부(114)가 눌린다. 그러면, 전환레버(110)는 지지점핀(112)을 중심으로 해서 화살표 n'방향으로 회전되고, 지지점핀(112)에 의해서 전환슬라이더(100)가 화살표 m'방향으로 이동되어 리버스 위치로 된다. 따라서, 어느 경우라도 전환슬라이더(100)는 리버스 위치로 이동된다.
이와 같이, 결치기어(120)가 회전구동될 때에 그 캠의 작용에 의해, 제3도 플로차트의 제1의 분기점 A에 있어서의 솔레노이드(50)의 오프 또는 온에 의해서, 포워드와 리버스가 선택된다. 그리고, 이 사이에, 헤드기판(40)의 핀(42)은 결치기어(120)의 제1의 캠부(141)에 의해서 안내된다.
그리고, 제10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포워드와 리버스의 선택이 완료되면, 솔레노이드(50)는 오프되어서 제어레버(60)가 화살표 i'방향으로 복동된다. 또한,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결치기어(120)가 더 회전하면 선택슬라이더(90)는 그 돌출부(93)로부터 결치기어(120)의 돌출부(146)가 이탈되므로써 화살표 l'방향으로 복동된다.
다음에, 제3도, 제4도, 제10도∼제11b도에 의해서, 재생(기록)모드에의 전환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제10도에 있어서 포워드와 리버스와의 선택이 완료된 후, 결치기어(120)는 계속 화살표 o방향으로 회전구동되며, 그 제2의 캠부(142)에 의해서 헤드기판(40)의 핀(42)이 안내되어서, 헤드기판(40)이 화살표 h방향으로 왕동되어 간다. 그리고, 제11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0)가 온되면, 제어레버(60)가 화살표 i방향으로 왕동되고, 그 로크부(65)에 결치기어(120)는 제2의 로크클릭(132)이 접촉되므로써, 결치기어(120)는 제2의 결치부(122)가 구동기어(126)에 대향하는 상태로 로크된다. 그리고, 제어레버(60)의 누름부(63)에 의해서 브레이크부재(70)의 피누름부(77)가 눌리고, 그 브레이크부재(70)가 제어레버(60)에 의해 화살표 j방향으로 왕동된다. 이로써 양 걸어맞춤클릭(71),(72)이 양 릴대(2),(3)의 양 치부(75),(76)에서 이탈되어서, 양 릴대(2),(3)의 회전이 규제가 해제된다.
그리고, 제11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브레이크부재(70)의 걸어맞춤부(78)가 FR전환레버(80)의 피걸어맞춤부(82)에서 이탈되므로, 그 FR전환레버(80)가 요동가능하게 되지만, FR풀리(17)에 감겨진 구동벨트(20)의 탄성에 의해 압입력 P에 의해서 FR전환레버(80)는 화살표 k'방향으로 돌려 힘이 가해져 있다. 이 때문에, FR전환레버(80)의 핀(83)이 결치기어(120)의 캠부(150)의 주위면에 접촉되고, FR전환레버(80)는 중립위치 N에 유지되어 있다.
한편, 제11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헤드기판(40)의 핀(42)은 결치기어(120)의 제2의 캠부(142)에 의해서 안내되고, 그 헤드기판(40)은 화살표 h방향으로 완전히 왕동된다. 그리고, 이 헤드기판(40)의 왕동에 의해서 자기헤드(8)가 자기테이프(13)에 완전히 접촉된다.
또한, 도시되지 않았지만, F구동기어(24) 및 핀치롤러(6), 또는 R구동기어(25) 및 핀치롤러(7)중 후자가 포워드위치에 있는 전환슬라이더(100)의 타단부(100b)에 의해서 규제되므로, 전자만이 헤드기판(40)의 일단부(40a)에 의해서 왕동된다. 이로써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포워드재생(기록)모드가 된다.
그리고, 마찬가지로 도시되지 않았지만 전환슬라이더(100)가 리버스위치에 있는 경우는, 그 일단부(100a)에 의해서 F구동기어(24) 및 핀치롤러(6)가 규제되고, R구동기어(25) 및 핀치롤러(7)만이 헤드기판(40)의 한끝부(40b)에 의해서 왕동되므로, 리버스방향재생(기록)모드로 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의 분기점 A에 있어서의 포워드와 리버스와의 선택 후에, 포워드재생(기록)모드와 리버스재생(기록)모드가 선택적으로 설정된다.
다음에, 제3도, 제4도, 제11a도∼제12b도에 의해서, 선곡모드의 선택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포워드 또는 리버스에 있어서 재생(기록)모드로 솔레노이드(50)가 오프되면, 플런저(50a)는 밖으로 연장되어서, 제11b도에 있어서 제어레버(60)는 화살표 i'방향으로 복동되고, 그 로크부(65)가 결치기어(120)의 제2의 로크클릭(132)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러면, 제11a도에 있어서, 토션코일스프링(165)에 의해서 결치기어(120)의 제2의 핀(162)이 눌려서 그 결치기어(120)에 화살표 o방향으로 초기회전력이 부여되어서 결치기어(120)는 구동기어(126)에 걸어맞추어진다. 그리고, 양 평탄한 면에 캠을 포함하는 결치기어(120)는 화살표 o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간다.
그리고, 상기 솔레노이드(50)를 오프하여 로크해제 후에,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0)의 오프 또는 온에 의해서 비선곡모드 또는 선곡모드를 선택하는 제4의 분기점 D에 설정되어 있다.
즉, 비선곡모드가 제4의 분기점 D에 지령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50)가 오프에 의한 로크해제 후에 계속해서 오프된다.
제12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레버(60)는 화살표 i'방향으로 복동되고, 제12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어레버(60)의 돌출부(60)가 헤드기판(40)의 돌출핀(44)으로부터 이탈된다.
그리고, 결치기어(120)가 화살표 o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헤드기판(40)의 핀(42)이 결치기어(120)의 제3의 캠부(143) 위로 이동된다. 그리고, 헤드기판(40)의 핀(42)이 제3의 캠부(143)의 절결부(144)에 도달하면, 헤드기판(40)의 핀(42)은 화살표 P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절결부(144)에서 낙하하여 그 헤드기판(40)은 화살표 h'방향으로 복동된다.
이로써, 자기헤드(8)가 자기테이프(13)에서 완전히 이간된다. 그리고, 왕동되어 있던 F구동기어(24) 및 핀치롤러(6), 또는 R구동기어(25) 및 핀치롤러(7)도, 헤드기판(40)의 복동에 따라서 복동된다.
한편, 선곡모드가 제4의 분기점 D에서 지령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50)가 오프에 의한 로크해제 후에 온된다. 제12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레버(60)는 화살표 i방향으로 왕동되고, 그 돌출부(66)가 헤드기판(40)의 돌출핀(44)의 뒤쪽에 삽입된다.
이 때문에, 헤드기판(40)의 핀(42)이 제3의 캠부(143)의 절결부(144)에 도달했을 때, 헤드기판(40)의 돌출핀(44)에 제어레버(60)의 돌출부(66)에 의해서 규제되므로, 헤드기판(40)의 핀(42)은 화살표 Q로 표시한 바와 같이 절결부(144)에 낙하하지 않고 제3의 캠부(143) 위에 이동된다. 이로써 헤드기판(40)은 화살표 h'방향으로 약간 복동된 상태로 유지되고, 자기헤드(8)가 자기테이프(13)에 가볍게 접촉하는 상태가 되어 선곡모드를 수행한다.
이와 같이, 결치기어(120)가 회전구동될 때에 제4의 분기점 D에 있어서의 솔레노이드(50)의 오프 또는 온에 의해서, 자기테이프(13)에 대한 자기헤드(8)의 이간상태로 접촉상태가 선택된다. 또한, 그 후 솔레노이드(50)는 오프된다.
다음에, 제3도, 제4도, 제13도∼제14c도에 의해서, 급속이송모드로의 전환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비선곡모드와 선곡모드와의 선택 후, 제1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결치기어(120)는 계속 화살표 o방향으로 회전구동되고, FR전환레버(80)의 핀(83)이 화살표 r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결치기어(120)의 캠부(150)와 캠돌출부(152)와의 사이로 이동되어 간다. 그리고, 여기서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0)의 온 또는 오프에 의해서 급속이송모드로의 전환상태와 비전환상태를 선택하는 제2의 분기점 B이 설정되어 있다. 즉, 급속이송모드가 지령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50)가 온된다. 제14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레버(60)는 화살표 i방향으로 왕동되고, 그 누름부(63)에 의해서 브레이크부재(70)의 피누름부(77)가 눌려서 화살표 j방향으로 왕동된다. 브레이크부재(70)의 걸어맞춤부(78)가 FR전환레버(80)의 피걸어맞춤부(82)에서 이탈되므로, 그 FR전환레버(80)는 요동가능상태로 된다. FR전환레버(80)의 핀(83)이 결치기어(120)의 캠돌출부(152)와 캠부(150)와의 사이로 이동하면 FR전환레버(80)의 핀(83)은 스프링(153)에 의해서 선택적으로 제1의 캠통로(화살표 s)에 안내되고, 캠돌출부(151)의 외측으로 이동한다. 이로써 FR전환레버(80)가 화살표 k방향으로 요동되고, FR전환레버(80)에 의해 지지되는 FR구동기어(31)가 반전기어(30)에 걸어맞추어진다.
그리고, 솔레노이드(50)의 온에 의해서 제14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레버(60)가 화살표 i방향으로 왕동되어 있으므로, 그 로크부(65)에 결치기어(120)의 제3의 로크클릭(133)에 접촉되므로써, 결치기어(120)는 제3의 결치부(123)가 구동기어(126)에 대향하는 상태로 로크된다. 이로써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급속이송모드로 된다.
한편, 급속이송모드가 지령되지 않았을 경우는, 솔레노이드(50)가 오프된다. 제14c도에 있어서 제어레버(60)의 화살표 i방향으로의 복동에 의해서 브레이크부재(70)도 화살표 j'방향으로 복동되어 있으므로, 그 걸어맞춤부(78)가 FR전환레버(80)의 피걸어맞춤부(82)에 걸어맞추어져서, FR전환레버(80)가 중립위치 N의 고정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FR전환레버(80)의 핀(83)은 통로선택용의 스프링(153)에 항거해서 선택적으로 제2의 캠통로(화살표 t)로 안내되고, 캠부(150)와 캠돌출부(151)와의 사이를 이동한다. 이로써 FR구동기어(31)는 반전기어(30) 또는 릴대기어(23)의 어디에도 걸어맞추어지지 않으며, 또한, 솔레노이드(50)가 오프이므로 제어레버(60)의 로크부(65)는 제3의 로크클릭(133)에 접촉되지 않으며, 결치기어(120)는 로크되지 않고, 급속이송모드가 통과(패스)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의 분기점 B에 있어서 급속이송모드로의 전환상태와 비전환상태가 선택되어, 급속이송모드와 그 통과가 선택적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급속이송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의 분기점 a에 있어서의 포워드와 리버스와의 선택 및 제4의 분기점 D에 있어서의 비선곡모드와 선곡모드와의 선택에 의해서, 포워드에서의 급속이송, 포워드에서의 급송이송선곡, 리버스에서의 급속이송, 리버스에서의 급속이송선곡의 각 모드가 각각 설정된다.
다음에, 제3도, 제4도, 제14a도∼제15c도에 의해서, 리와인딩모드로의 전환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상기 급속이송모드로 솔레노이드(50)가 오프된다. 또한, 급속이송모드를 통과한 경우는 솔레노이드(50)는 그대로 오프이다. 제14b도에 있어서, 제어레버(60)는 화살표 i'방향으로 복동되고, 그 로크부(65)가 결치기어(120)의 제3의 로크클릭(133)에서 이탈된다. 그러면, 제14a도에 있어서 토션코일스프링(165)에 의해서 결치기어(120)의 제3의 핀(163)이 눌리고, 그 결치기어(120)에 스프링(165)에 의해 화살표 o방향으로의 초기회전력이 부여되어서 구동기어(126)에 걸어맞추어진다. 그리고, 양측에 캠을 포함하고 있는 결치기어(120)는 화살표 o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간다.
그리고, 상기 결치기어(120)가 로크해제된 후에,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솔레노이드(50)의 온 또는 오프에 의해서 리와인딩모드로의 전환상태와 비전환상태를 선택하는 제3의 분기점 C이 설정되어 있다. 즉, 리와인딩모드가 지령된 경우에는 솔레노이드(50)가 온된다. 제15a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레버(60)를 통해서 브레이크부재(70)가 화살표 j방향으로 왕동되므로 상기 급속이송모드로의 전환동작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FR전환레버(80)가 요동가능상태로 된다. FR전환레버(80)는 FR풀리(17)에 감겨진 구동벨트(20)의 탄성에 의한 누르는 힘 P에 의해서 화살표 k'방향으로 누르는 힘이 가해지고 있으므로, 결치기어(120)의 회전에 따라서 FR전환레버(80)의 핀(83)이 화살표 u로 표시한 바와 같이 캠부(150)의 오목부(154)내로 삽입된다. 이에 따라서 FR전환레버(80)가 화살표 k'방향으로 요동되고, FR구동기어(31)가 릴대기어(23)에 걸어맞추어진다.
그리고, 솔레노이드(50)의 온에 의해서 제15b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어레버(60)가 화살표 i방향으로 왕동되어 있으므로, 그 로크부(65)에 결치기어(120)의 제4의 로크클릭(134)이 접촉되므로써, 결치기어(120)는 제4의 결치부(124)가 구동기어(126)에 대향하는 상태로 로크된다. 이로써 상기 설명한 바와 같이 리와인딩모드로 된다.
한편, 분기점 C에서 리와인딩모드가 지령되지 않았을 경우는 솔레노이드(50)가 오프된다. 제15c도에 있어서 제어레버(60)의 화살표 i'방향으로의 복동에 의해서 브레이크부재(70)도 화살표 j'방향으로의 복동되어 있으므로, 상기 급속이송모드로의 전환동작을 설명한 바와 같이 FR전환레버(80)는 중립위치 N의 고정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이 때문에, FR전환레버(80)의 핀(83)은 화살표 v로 표시한 바와 같이 캠부(150)의 오목부(154)내에 삽입되지 않고 이동한다. 이로써, FR구동기어(31)는 반전기어(30) 또는 릴대기어(23)의 어디에도 걸어맞추어지지 않고, 또한 솔레노이드(50)가 오프이므로 제어레버(60)의 로크부(65)는 제4의 로크클릭(134)에 접촉되지 않고 양측에 캠이 있는 결치기어(120)는 로크되지 않고, 리와인딩모드가 통과된다.
이와 같이 해서, 제3도 및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3의 분기점 C에 있어서 리와인딩모드로의 전환상태와 비전환상태가 선택되고, 리와인딩모드와 그 통과가 선택적으로 설정된다. 그리고, 제3도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리와인딩모드가 설정된 경우에는, 상기 제1의 분기점 A에 있어서의 포워드와 리버스와의 선택 및 제4의 분기점 D에 있어서의 비선곡모드와 선곡모드와의 선택에 따라서, 포워드에서의 리와인딩, 포워드에서의 리와인딩선곡, 리버스에서의 리와인딩, 리버스에서의 리와인딩선곡의 각 모드가 각각 설정되게 된다.
그러나, 상기 급속이송모드 및 리와인딩모드로의 전환시, FR전환레버(80)와 브레이크부재(70)가 피걸어맞춤부(82)와 걸어맞춤부(78)에 의해 서로 규제된다. 즉, 제14a도 또는 제14a도에 있어서 브레이크부재(70)가 화살표 j방향으로 왕동되어 비로서 FR전환레버(80)가 요동된다. 즉, 양 릴대(2),(3)를 규제해제하도록 브레이크부재(70)로부터 이탈시킨 후, FR구동기어(31)가 장착된 FR전환레버(80)는 요동이 가능해지며, FR전환레버(80)의 FR구동기어(31)가 반전기어(30) 또는 릴대기어(23)에 걸어맞추어질 때에, 기어전환노이즈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그리고, FR전환레버(80)가 요동되고 있는 상태에서는, 브레이크부재(70)의 복동이 FR전환레버(80)의 피걸어맞춤부(82)에 의해서 규제되므로, FR전환레버(80)의 요동이 가능한 동안 브레이크부재(70)에 의해서 양 릴대(2),(3)의 회전이 규제되는 일은 없다.
한편, FR전환레버(80)가 중립위치 N에 복귀되어서 그 피걸어맞춤부(82)에 브레이크부재(70)의 걸어맞춤부(78)가 걸어맞추어지므로써, 비로서 브레이크부재(70)가 복동된다. 따라서, FR전환레버(80)의 FR구동기어(31)가 반전기어(30) 또는 릴대기어(23)에서 이탈될 때도, 릴대(2),(3)는 브레이크부재에 걸어맞추어지며, 기어전환노이즈가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한, 결치기어(120)의 캠부(150)에 의해서 FR전환레버(80)를 구동할 때, FR전환레버(80)의 FR풀리(17)에 감겨진 구동벨트(20)의 탄성에 누르는 힘 P에 의해서 FR전환레버(80)에 누르는 힘이 가해져서, 그 FR전환레버(80)의 핀(83)이 캠부(150)에 탄성적으로 접촉되어 있다. 따라서, 구동벨트(20)가 모터(18)의 회전을 FR구동기어(31)에 전달하는 기능과, FR전환레버(80)를 눌러 힘을 가하는 기능과의 양쪽이 기능을 발휘하기 때문에, FR전환레버(80)에 특별한 전용의 부세스프링을 설치할 필요가 없다.
또한, 상기 리와인딩모드에서 솔레노이드(50)가 오프되면, 제15b도에 있어서 제어레버(60)는 화살표 i방향으로 복동되고 그 로크부(65)가 결치기어(120)의 제4의 로크클릭(134)에서 이탈된다. 그러면, 토션코일스프링(165)에 의해서 결치기어(120)의 제4의 핀(164)이 눌리고, 그 결치기어(120)에 화살표 o방향으로의 초기회전력이 부여되어서 구동기어(126)에 걸어맞추어진다. 그리고, 결치기어(120)는 화살표 o방향으로 회전구동되어 가고, 솔레노이드(50)의 오프에 의해서 상기 정지모드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다시 정지모드가 설정된다.
상기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은 이 실시예에 한정되는 일없이,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따라 각종의 유효한 변경이 가능하다.

Claims (11)

  1. 한쌍의 릴대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추어져 토크를 전달하는 구동기어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가동전환레버와, 상기 전환레버를 모드의 전환에 따라서 가동상태 또는 고정상태로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전환레버제어부와,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한쌍의 릴대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추어지거나 또는 상기 한쌍의 릴대중 어느 하나에도 걸어맞추어지지 않는 이탈위치에 있도록 모드의 전환에 따라서 상기 전환레버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부와, 상기 한쌍의 릴대의 회전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한쌍의 릴대에 걸어맞추기 위한 왕복동 브레이크부재와, 상기 브레이크부재와 상기 전환레버제어부를 모드의 전환에 따라서 제어하기 위한 브레이크제어부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환레버제어부는 상기 전환레버에 배설된 제1의 걸어맞춤부와, 상기 전환레버의 상기 제1의 걸어맞춤부와 선택적으로 걸어맞추기 위한 상기 브레이크부재에 배설된 제2의 걸어맞춤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복수의 동작모드를 가진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레버가 상기 가동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전환레버를 걸어맞춤위치로 가져오고, 상기 전환레버가 상기 고정상태에 있을 때는 상기 구동부가 상기 전환레버를 이탈위치로 가져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부는 상기 전환레버를 걸어맞춤위치로 가져오기 위한 제1의 캠통로와, 상기 전환레버를 이탈위치로 가져오기 위한 제2의 캠통로를 가진 모드전환캠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전환레버는 상기 모드전환캠부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의 캠통로 또는 상기 제2의 캠통로로 안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캠부는 주변에 결치부를 가진 결치기어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결치기어는 모드의 전환에 따라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되며, 상기 결치부는 상기 구동기어와 대향하여 위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결치부가 상기 구동기어와 대향하여 위치될 때에, 상기 브레이크제어부는 상기 결치기어의 회전을 규제하는 제어부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6. 한쌍의 릴대중 어느 하나에 선택적으로 걸어맞추어져 토크를 전달하는 구동기어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가동전환레버와, 상기 전환레버를 모드의 전환에 따라서 가동상태 또는 고정상태로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전환레버제어부와, 모드전환캠부의 회전에 의해 구동되는 상기 전환레버를 제1의 모드의 제1의 모드위치로 가져오기 위한 제1의 캠통로와, 상기 전환레버를 제2의 모드의 제2의 모드위치로 가져오기 위한 제2의 캠통로를 가진 모드전환캠부와, 상기 전환레버가 상기 2개의 캠통로중 하나를 선택하도록 하기 위하여 모드전환캠부의 상기 제1의 캠통로와 상기 제2의 캠통로가 분기되는 위치에 배설된 스프링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1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전환레버는 상기 전환레버제어부에 의해 가동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모드전환캠부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전환레버를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1의 캠통로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며, 상기 제2의 모드가 선택되면, 상기 전환레버는 상기 전환레버제어부에 의해 고정상태로 설정되어, 상기 모드전환캠부가 회전함에 따라서 상기 전환레버를 상기 스프링에 의해 상기 제2의 캠통로로 선택적으로 이동시키도록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환가능한 동작모드를 가진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레버제어부는 상기 한쌍의 릴대에 걸어맞추어져 그 회전을 규제하는 왕복동 브레이크부재, 및 이 브레이크부재를 모드의 전환에 따라서 제어하는 브레이크제어부에 의해 제어되고, 상기 브레이크부재가 상기 브레이크제어부에 의해 상기 한쌍의 릴대에 걸어맞추어져 그 회전을 규제할 때, 상기 전환레버는 상기 고정상태로 설정되며, 상기 브레이크부재에 의해 상기 한쌍의 릴대의 회전규제가 해제될 때, 상기 전환레버는 상기 가동상태로 설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전환레버제어부는 각각 상기 전환레버와 상기 브레이크부재에 배설된 한쌍의 걸어맞춤부로 이루어지며, 상기 브레이크부재의 걸어맞춤부는 전환레버의 상기 걸어맞춤부의 걸어맞춤상태 또는 이탈상태중 어느 하나의 상태를 선택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캠부는 모드의 전환동작에 따라서 전원에 의해 구동되는 구동기어에 의해 간헐적으로 회전되는 결치기어와 일체로 형성되며, 그 결치부는 상기 구동기어와 대향하여 위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각 결치부가 상기 구동기어와 대향하여 위치될 때에, 상기 브레이크제어부는 상기 결치기어의 회전을 규제 또는 규제를 해제하기 위하여 제어부를 제어하는 솔레노이드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11. 구동기어 및 풀리가 같은 축에 설치되고, 상기 풀리가 구동모터에 의해 공급되는 토크를 상기 구동기어에 전달하고, 상기 구동기어가 상기 구동모터로부터의 토크를 한쌍의 릴대중 하나에 선택적으로 전달하도록, 구동기어 및 풀리가 회전가능하게 부착되어 있는 선회가능한 전환레버와,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모드의 전환에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하며, 상기 전환레버를 구동하도록 배설된 모드전환캠부와, 상기 풀리와 상기 구동모터의 사이에 걸쳐져 상기 구동모터의 토크를 상기 풀리에 전달하는 탄성벨트로 이루어지고, 상기 전환레버는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는 동시에, 상기 탄성벨트의 탄성력에 의해 상기 모드전환캠부에 대하여 눌려지는 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동모터를 가진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KR2019970039491U 1987-06-30 1997-12-22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KR013710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70039491U KR0137105Y1 (ko) 1987-06-30 1997-12-22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870163354 1987-06-30
KR87-163354 1987-06-30
KR1019880006370A KR890001053A (ko) 1987-06-30 1988-05-30 테이프 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KR2019970039491U KR0137105Y1 (ko) 1987-06-30 1997-12-22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6370A Division KR890001053A (ko) 1987-06-30 1988-05-30 테이프 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0137105Y1 true KR0137105Y1 (ko) 1999-04-15

Family

ID=273485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70039491U KR0137105Y1 (ko) 1987-06-30 1997-12-22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37105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305B1 (ko) * 2007-08-07 2008-10-13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약초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약초된장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62305B1 (ko) * 2007-08-07 2008-10-13 한국국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약초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약초된장 및 그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40006387B1 (ko) 자기 기록 및 재생 장치
KR970011132B1 (ko) 리버스식 기록 재생장치의 모드전환기구
US4925127A (en) FF-rew changing mechanism for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US5184262A (en) Dual motor mode switching mechanism for 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0137105Y1 (ko) 테이프기록재생장치의 릴대의 회전구동장치
JP3085861B2 (ja) ビデオカセットレコーダのリールテーブル駆動装置
US5031471A (en) Sequence control mechanism employing gear mechanism
US5029036A (en) Normal/reverse mode changing mechanism for tape transport apparatus
EP0527041B1 (en) Mode changing apparatus for a tape cassette
US5668681A (en) Automatic-reverse tape player with a switchable rotational gear assembly
US5581431A (en) Playback/recording units with single power source selectively powering all operating functions
US5398880A (en) Device for selecting tape-reel control mode
JP2600177B2 (ja) リール台の回転駆動装置
US5729402A (en) Logic controlled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940004497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모드변환 장치 및 방법
JPH09204712A (ja) スイッチ装置を備える自動反転テープデッキ
KR100195427B1 (ko) 테이프 레코더
KR930004336B1 (ko) 기어기구를 사용한 순차 제어기구
KR100282139B1 (ko) 테이프 리코더의 구동 시스템
US5588607A (en) Apparatus with a drive arrangement of information carriers in the form of tapes
JPH0538419Y2 (ko)
JPS6220621B2 (ko)
JPH02239453A (ja) ギア機構を用いたシーケンス制御機構
JPH05266542A (ja) テープレコーダにおける操作モード切換え機構
JPH0249254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31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