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5104B1 - 테이프 플레이어 - Google Patents

테이프 플레이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5104B1
KR910005104B1 KR1019880008372A KR880008372A KR910005104B1 KR 910005104 B1 KR910005104 B1 KR 910005104B1 KR 1019880008372 A KR1019880008372 A KR 1019880008372A KR 880008372 A KR880008372 A KR 880008372A KR 910005104 B1 KR910005104 B1 KR 9100051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mode
switching
planetary gear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837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8774A (ko
Inventor
노리아사 고마쓰
아사시 미야사키
Original Assignee
알프스뎅키 가부시키가이샤
가다오카 가쓰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6229382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34744A/ja
Priority claimed from JP6302835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1204254A/ja
Application filed by 알프스뎅키 가부시키가이샤, 가다오카 가쓰다로오 filed Critical 알프스뎅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087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87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51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51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32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the reels or cores on to which the record carrier is wound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플레이어
도면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제1도는 제1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플레이어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 내지 제8도는 구동기구부분을 동작모드별로 나타내는 평면도로, 제2도는, REW 모드.
제3도 및 제4도는 REW 모드로부터 플레이어모드로의 절환.
제5도는 플레이어모드.
제6도는 플레이어모드로부터 스톱모드, REW 모드 또는 FF모드로의 절환.
제7도는 스톱모드.
제8도는 플레이어모드 또는 FF 모드로부터 REW 모드로의 절환을 각각 나타낸 것이다.
제9도는 제2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플레이어의 전체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 내지 제14도는 제2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플레이어의 구동기구부분을 동작모드별로 나타내는 평면도로, 제10도는 스톱모드.
제11도는 플레이어모드.
제12도는 FF 모드.
제13도는 리뷰모드.
제14도는 REW 모드이다.
제15도는 제3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플레이어의 구동기구부분을 나타낸 것으로, 리버스 플레이어모드를 나타낸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시 2, 3 : 리-일대
4, 5 : 리-일기어 6 : 캡스턴
7 : 플라이휘일 8 : 벨트
9 : 구동기어 12 : 유성기어
15 : 모드절환기어 15Aa : 톱니의 결손부
15b : 톱니 16 : 절환캠
20 : 헤드베이스 20a : 절곡편
21 : 스프링 22 : 핀치로울러
25 : 제1절환캠 26, 28 : 제2절환캠
27 : 스토퍼 H : 자기헤드
M : 모터
본 발명은 자동응답 전화장치등에 장비된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하나의 모터에 의해 캡스턴 구동과 한쌍의 리-일대의 구동 및 헤드베이스 구동의 전체를 행할 수 있도록한 테이프 플레이어에 관한 것이다.
테이프 플레이어의 카세트 구동유니트에 장비될 기구로서는, 캡스턴의 구동, 테이프리-일을 구동하기 위한 한쌍의 리-일대의 구동, 그리고, 자기헤드를 테이프에 접촉시키는 핀치로울러를 캡스턴에 접촉하고 분리시키기 위한 헤드베이스의 구동을 행하는 것이 필요하다.
지금까지, 상기의 테이프 플레이어의 기본적인 동작을 시키기 위한 최소한의 동력원으로서는 , 캡스턴의 구동 및 한쌍의 리-일대의 구동을 겸용하는 한 개의 모터, 헤드베이스를 구동시키기 위한 하나의 솔레노이드가 사용되고 있다. 이런 종류의 테이프 플레이어의 종래의 예로서는, 예를 들어 일본국 실개소 61-174036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하나의 모터와 하나의 솔레노이드를 구비하고 있는 종래의 테이프 플레이어에는 아직도 기구의 간소화와 저코스트화에는 불충분하며, 자동응답 전화장치 등에 사용되고 있는 간이형의 테이프 플레이어를 제작함에 있어 코스트가 높게 된다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만으로 캡스턴 및 한쌍의 리-일대의 회전구동뿐만 아니라, 헤드베이스의 구동도 할 수 있도록 되며 게다가 기구가 간략화되어, 저코스트로 제작될 수 있도록한 테이프 플레이어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모터만으로 구동할 수 있는 기구가 간략화된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리뷰모드 또는 리버스 플레이어모드의 설정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플레이어는, 모터에 의해서 회전구동되는 캡스턴 및 이 캡스턴과 일체로 되어 회전구동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와 항상 치합하면서 구동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구동기어의 주위를 주회하는 유성기어와, 구동기어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있어서 주회된 유성기어가 치합되는 위치 및 구동기어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에 있어서 주회된 유성기어가 치합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리-일기어 및 이 리-일기어에 의해 회전되는 리-일대와, 유성기어가 일방의 리-일기어와 치합되는 위치로부터 타방의 리-일기어에 치합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주회궤적의 도중에서 유성기어와 치합되도록 배치하며, 또한 유성 기어에 의해 소정 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톱니가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모드절환기어와, 모드절환기어와 같이 회전하는 절환캠과, 모드절환기어가 유성기어에 의하여 회전되고 있는 사이에 상기 절환캠에 눌리어져서 상기 리-일대의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자기헤드와 상기 캡스턴에 대향하는 핀치로울러가 구비되어 있는 헤드베이스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테이프 플레이어는 상기 구성에 있어서, 절환캠이 모드절환기어와 동일축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유성기어에 의해 모드 절환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사이에 상기 헤드베이스를 압압하여 핀치로울러를 캡스턴에 압접시킴과 동시에 자기헤드를 테이프에 접촉시켜서 플레이모드를 설정하는 제1절환캠과, 이 제1절환캠보다도 회전반경이 작게 형성됨과 동시에 유성기어에 의해 모드절환기어가 플레이모드로 절환되고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사이에 헤드베이스를 압압하여 핀치로울러가 캡스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자기헤드를 자기테이프에 가볍게 접촉시켜서 리뷰모드를 설정하는 제2절환캠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테이프 플레이어는,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제1절환캠보다도 회전반경이 작은 제2절환캠 대신에 제1절환캠과 동일한 회전반경의 제2절환캠이 설치되고, 모드절환기어가 플레이모드로 절환되고,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사이에 이 제2절환캠이 헤드베이스를 압압하여 핀치로울러를 캡스턴에 압접시킴과 동시에 자기헤드를 자기테이프에 접촉시켜서 리버스 플레이모드를 설정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유성기어에 의한 모드절환기어의 한방향으로의 구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제1절환캡이 헤드베이스의 압압을 완료할 때와 유성기어에 의한 모드절환캠의 역방향으로의 구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제2절환캠이 헤드베이스의 압압을 완료할 때에, 헤드베이스에 괘지되어 있는 모드절환기어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모드 절환기어에 설치되어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테이프 플레이어는, 모터의 정,역회전의 제어만으로서 전체의 모드의 절환이 가능하게 되어 있다. 즉, 하나의 모터에 의해 캡스턴 및 구동기어를 회전시키면, 이 구동기어의 주위를 유성기어가 주회한다. 주회하는 유성기어를 한쌍의 리-일기어에 치합시키는 것에 의해 어느 하나의 리-일대가 회전구동된다. 그리고 모터의 일방의 회전에 의해 유성기어를 주회시키면, 이 주회궤적의 도중에서 모드절환기어와 치합되고, 모드절환기어의 회전에 따라서 헤드베이스가 구동되어, 헤드베이스상의 자기헤드가 테이프에 접촉하는 위치에까지 이동하며, 또한 핀치로울러가 캡스턴에접촉하기에 이르른다. 모드절환기어가 헤드베이스의 구동을 완료하면, 유성기어가 모드절환기어의 톱니결손부를 통과하여 주회를 계속하고, 타방의 리-일기어에 치합하여 리-일대가 구동되어, 테이프가 감겨진다. 이 위치에서 모터를 역전시켜서, 유성기어를 역방향으로 주회시키면, 그 주회궤적의 도중에서 다시 모드절환기어에 치합되고, 이 모드절환기어의 회전에 의해 헤드베이스가 원상복귀되어, 자기헤드 및 핀치로울러가 테이프와 캡스턴으로부터 떨어지게 된다. 이와 같이 구동기어의 정, 역회전만으로, 리-일대의 구동뿐만 아니라 헤드베이스의 구동도 행하여지도록 한다.
절환캠이 제1절환캠과 제2절환캠으로 이루어지는 경우에는, 모터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한 모드절환 기어의 회전에 따라 제1절환캠이 헤드베이스를 압압하여 구동하고, 헤드베이스상의 자기헤드가 테이프에 접촉하는 위치에까지 이동하며, 또한 핀치로울러가 캡스턴에 접촉하게 되어 플레이모드가 설정된다. 모드절환기어가 헤드베이스의 구동을 완료하면, 유성기어가 모드절환기어의 톱니결손부를 통과하여 주회를 계속하고 타방의 리-일기어에 치합하여 리-일대가 구동되며, 테이프가 감겨진다. 또한 이 위치에서 모터를 역전시켜, 유성기어를 역방향으로 주회시키면, 그 주회궤적의 도중에서 다시 모드절환기어에 치합하여 모드절환기어가 역방향으로 회전구동된다. 이 모드절환기어의 회전전반(前半)에 있어서, 제1절환캠이 헤드베이스로부터 벗어나서 헤드베이스가 복귀되고, 자기헤드 및 핀치로울러가 테이프 및 캡스턴으로부터 떨어지도록 된다. 그리고 모드절환기어 회전의 후반에 있어서는 제2절환캠이 헤드베이스를 압압한다. 이 동작이 완료된 후에 유성기어가 보드 절환기어로부터 떨어져 플레이모드와 반대측의 리-일기어에 치합하여, 이 리-일기어와 같이 리-일대가 구동된다. 이때 제2절환캠이 제1절환캠보다도 회전반경이 작은 경우에는, 헤드베이스의 진행위치는 핀치로울러가 캡스턴으로부터 떨어져 있지만 자기헤드가 자기테이프에 가볍게 접촉하는 위치로 된다. 이때 리-일대에 의하여 테이프가 고속으로 되감겨져서 리뷰동작이 행하여진다. 또한 제2절환캠의 회전반경이 제1절환캠의 회전반경과 동일할 경우에는 이 제2절환캠에 의하여 헤드베이스가 눌리어지면 자기헤드가 자기테이프에 접촉함과 동시에 핀치로울러가 캠스턴에 압접하는 상태로 된다. 이때 리-일대에 의하여 테이프가 플레이모드와 역방향으로 감겨지게 되어 리버스 플레이모드로 절환된다.
또한 제1절환캠에 의한 헤드베이스의 압압이 완료된 때나, 또는 제2절환캠에 의한 헤드베이스의 압압이 완료된 때에는 모드절환기어에 설치된 스토퍼가 헤드베이스에 괘지되도록 하면 모드절환기어의 회전위치가 록크되어, 일단 모드절환기어로부터 떨어진 유성기어가 원래의 위치로 복귀될때에, 이 유성기어가 모드절환 기어와 확실히 치합할 수 있도록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에 의해 설명한다.
[제1실시예]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플레이어의 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내지 제8도는 각 모드로의 절환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테이프 플레이어는 소위 마이크로 사이즈의 카세트 하프가 장진된 것이다.
[테이프 플레이어의 구조]
제1도에 있어서, 부호 1은 판금체의 샤시이다. 이 샤시(1)는 그 측면 형상이 크랭크상으로 절곡되어 있고, 저부 설치면(1a)과 상부 설치면(1b)의 2단 구조로 되어 있다.
저부설치면(1a)에는, 권취측의 리-일대(2)와 공급측의 리-일대(3)가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권취축의 리-일대(2)의 기부에는 리-일기어(4)가, 공급측의 리-일대(3)의 기부에는 리-일기어(5)가 각각 설치되어 있다. 리-일기어(4)와 리-일대(2) 사이에는 각각 슬립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리-일대(2) 또는 리-일대(3)에 테이프 텐션이 작용하는 경우에는 리-일대(2,3)와 리-일기어(4,5)가 슬립하여, 테이프 권취속도와 리-일기어의 회전속도의 차이가 흡수되도록 되어 있다.
샤시(1)의 상부설치면(1b)에는 하우징(6a)에 의하여 지지된 축수가 설치되어 있고, 이 축수에 의하여 캡스턴(6)이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상부설치면(1b)의 하측에는 캡스턴(6)과 일체화된 플라이휘일(7)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샤시(1)의 측방에는 하나의 모터(M)가 설치되어 있고, 이 모터(M)의 구동플리와 플라이휘일(7) 사이에 벨트(8)가 걸어져 있어, 모터(M)에 의해 플라이휘일(7)과 동시에 캡스턴(6)이 회전구동되도록 되어 있다. 플라이휘일(7)의 상면에는 캡스턴(6)과 같이 회전 구동기어(9)가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샤시(1)의 상부 설치면(1b)에 설치된 전술한 하우징(6a)에는 아이들아암(11)이 지지되어서, 이 아이들아암(11)의 선단이 구동기어(9)와 항시 치합하고 있는 유성기어(12)가 설치되어 있다. 아이들아암(11)에 설치된 축과 이 축에 지지되어 회전하는 유성기어(12)의 사이에는 스프링 등에 의하여 가벼운 회전부하가 주어져 있고, 이 부하의 존재에 의해, 캡스턴(6) 및 구동기어(9)가 어느쪽의 방향으로 회전하면, 아이들아암(11)이 그의 회전방향으로 추종하며, 이것에 수반되어 유성기어(12)가 구동기어(9)의 주위를 주회하도록 되어 있다. 그래서, 구동기어(9)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그 주위를 주회하는 유성기어(12)가 권취측의 리-일기어(4)에 치합하는 위치에 이르고(제5도참조), 구동기어(9)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 유성기어(12)가 공급측의 리-일기어(5)와 치합하는 위치에 이른다(제2도 참조).
샤시(1)의 상부설치면(1b)의 하측에는 모드절환기어(15)가 설치되어 있다. 이 모드절환기어(15)는, 전술한 유성기어(12)가 일방의 리-일기어(4)에 치합하는 위치로부터 타방의 리-일기어(5)에 치합하는 위치에 이르는 주회궤적의 도중에서 그 유성기어(15)가 치합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모드절환기어(15)에는 톱니의 결손부(15a)가 설치되어 있고, 그 이외의 부분에 톱니(15a)가 부분적으로 설치된 구조로 되어 있다. 구동기어(9)의 주위를 주회하는 유성기어(12)에 대하여 톱니(15b)의 부분이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유성기어(12)의 회전력이 톱니(15b)를 개재하여 모드절환기어(15)에 전달되지만, 주회하는 유성기어(12)에 대하여 톱니의 결손부(15a)가 대향하고 있는 경우에는 유성기어(12)가 이 톱니결손부(15a)를 통과하여, 유성기어(12)는 모드절환기어(15)를 구동함이 없이 주회궤적을 이동하도록 되어 있다.
상기 모드절환기어(15)의 상면에는 절환캠(16)이 일체로 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샤시(1)의 상부 설치면(1b)의 상면에는 헤드베이스(2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헤드베이스(20)은 샤시(1)의 상부설치면(1b)에 설치된 위치결정핀(17,18)등에 가이드되어 A-A 방향으로 섭동자재로 되어 있다. 또한 헤드베이스(20)의 후단부와 샤시(1)사이에는 스프링(21)이 끼워져 장치되어 있고, 이 스프링(21)에 의해 헤드베이스(20)는 B방향으로 부세되어 있다. 또한, 헤드베이스(20)의 후단부에는, 절곡편(20a)이 절곡 형성되어 있고, 이 절곡편(20a)이 전술한 절환캠(16)에 대향하는 위치에 연장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베이스(20)상에는 자기헤드(H) 및 전술한 캡스턴(6)에 대향하는 핀치로울러(22)가 지지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 구조의 테이프 플레이어의 동작을 제2도 이하의 도면에 의해 순차 설명한다.
소위 마이크로 사이즈의 카세트 하프(도시되지 않음)는 위치결정핀(17,18)에 의하여 위치결정된 상태로 장진되어 있다. 그리도 카세트 하프내의 테이프 리-일은 각 리-일대(2,3)의 위에 설치된다.
[REW 모드]
제2도는 테이프 되감기모드(REW 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이 모드에서는 모드절환기어(15)가 도면에 표시한 방향으로 위치하고 있으며, 절환캠(16)이 좌측 경사 측방을 향하고 있다. 그리고 헤드베이스(20)는 스프링(21)의 힘에 의하여 B방향으로 원상복구되고 있으며, 헤드베이스(20)상의 핀치로울러(22)는 캡스턴(6)으로부터 떨어져 있고 또한 자기헤드(H)는 카세트 하프내의 테이프(T)로부터 떨어진 위치로 후퇴되어 있다. 이 상태에서 모터(M)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 플라이휘일(7), 구동기어(9) 및 캡스턴(6)이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구동기어(9)의 반시계방향으로의 회동에 추종하여 유성기어(12)가 구동기어(9)의 주위를 반시계방향으로 주회하여 유성기어(12)는 공급측의 리-일기어(5)에 치합된다. 모터(M)의 회전력은 구동기어(9)로부터 유성기어(12)를 경유하여 리-일기어(5)에 전달되고, 리-일기어(5)와 같이 공급측의 리-일대(3)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래서 카세트 하프내의 공급측의 테이프 리-일(Rb)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테이프의 되감기가 행하여진다. 이때 모터(M)의 회전수는 고속이어서, 테이프(T)의 되감기는 고속주행으로 행하여지게 된다.
[플레이모드로의 주행]
제2도의 REW 모드로부터 녹음 또는 재생모드(플레이모드)로 절환될 때에는, 제3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터를 시계방향으로 구동한다. 모터(M)에 의하여 구동기어(9)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 이것에 추종하여 유성기어(12)가 시계방향으로 주회하고, 유성기어(12)는 리-일기어(5)로부터 떨어져서 모드절환기어(15)에서의 톱니결손부(15a)의 연부(Eb)에서 톱니(15b)에 치합한다. 그래서 이 위치에서 모터(M)의 동력이 구동기어(9), 유성기어(12)를 개재하여 모드절환기어(15)에 전달되어, 모드절환기어(15)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모드절환기어(15)가 구동되는 사이, 유성기어(12)는 그 위치에서 머무르게 된다. 그리고 모드절환기어(15)가 제4도에 나타나는 위치까지 회전되면,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결손부(15a)가 유성기어(12)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유성기어(12)가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15b)의 연부(Ea)에서 떨어질 수 있도록 된다. 연부(Ea)에서 떨어진 유성기어(12)는 그대로 구동기어(9)의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주회하고, 제5도(플레이모드)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성기어(12)가 권취측의 리-일기어(4)에 치합하는 위치에 도달한다. 전술한 제3도에서 제4도에 이르기까지의 사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구동기어(15)와 같이 절환캠(16)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 절환캠(16)이 헤드베이스(20)의 절곡편(20a)에 당접하며, 헤드베이스(20)가 스프링(21)의 힘에 대향하여 A방향으로 밀어내게 된다. 제4도의 시점에서 유성기어(12)가 톱니(15b)의 연부(Ea)로부터 떨어지지만, 이때 절환캠(16)의 최선단(16a)이절곡편(20a)에 당접하고 있다. 유성기어(12)가 톱니(15b)의 연부(Ea)로부터 떨어지지만, 이때 절환캠(16)의 최선단(16a)이 절곡편(20a)에 당접하고 있다. 유성기어(12)가 톱니(15b)의 연부(Ea)로부터 떨어진 후로는 절환캠(16)의 형상에 의하여 그리고 스프링(21)에 의한 헤드베이스(20)의 B방향으로의 복귀력에 의하여 헤드베이스(20)가 B방향으로 간신히 복귀되며, 제5도의 플레이모드에서는, 제4도의 상태에 비하여 모드절환기어(15)가 각도 a만큼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된 상태에서 정지한다. 이와 같이, 톱니(15b)의 연부(Ea)는 유성기어(12)가 떨어진 시점보다도 먼저 반시계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으로 되며, 후의 모드절환동작에 있어서, 유성기어(12)가 반시계방향으로 주회되었을때에 이 유성기어(21)가 톱니(15a)의 연부(Ea)에 확실히 치합할 수 있도록 된다.
제5도의 플레이모드에서는, 헤드베이스(20)가 A방향으로 전진하고 있기 때문에, 헤드베이스(20)상에 설치된 자기헤드(H)가 카세트 하프내의 테이프(T)에 접촉한다. 또한 핀치로울러(22)가 테이프(T)를 캡스턴(6)에 밀어붙이도록 된다. 모터(M)는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기 때문에 캡스턴(6)은 동일하게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며, 핀치로울러(22)와 이 캡스턴에 끼워진 테이프(T)가 캡스턴(6)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일정속도에서도면의 우측 방향으로 주행된다. 또한 모터(M)의 동력은 구동기어(9), 유성기어(12)를 개재하여, 리-일기어(4)에 전달되며, 권취측의 리-일대(2)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래서 카세트 하프내의 권취측의 테이프 리-일(Ra)이 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테이프의 권취(감기)가 행하여진다. 그리고 리-일대(2)의 회전속도와 캡스턴(6)에 의해 송출되는 테이프 주행속도의 차이는 리-일기어(4)와 리-일대(2)의 사이에 설치된 스프링기구에 의하여 흡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캡스턴(6)에서 주행되어지는 테이프(T)에 대해, 자기헤드(H)에 의한 녹음동작 또는 재생동작이 행하여진다.
[플레이모드의 해제]
제5도에 나타난 플레이모드를 해제하는 경우, 즉, 플레이모드로부터, 스톱모드, REW 모드 또는 테이프 급송모드(FF 모드)로 절환하는 경우에는, 제5도의 플레이모드에서 모터(M)의 회전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절환한다. 모터(M)에 의하여 구동기어(8)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 이 구동기어(9)의 회전방향에 따라 유성기어(12)가 주회동작을 시작하고, 리-일기어(4)로부터 떨어지게 되어, 권취측의 리-일대(2)에 대한 동력이 끊어진다. 그리고, 유성기어(12)가 반시계방향으로 주회하여 제6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15b)의 연부(Ea)에 치합하게 된다. 제5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드절환기어(15)의 각도 a의 회전에 의해 톱니(15b)의 연부(Ea)는 유성기어(12)와 맞물리기 쉬운 위치로 이동하고 있기 때문에, 반시계방향으로 주회하는 유성기어(12)를 개재하여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15b)에 확실히 치합하게 된다. 제6도에 나바와 같이, 유성기어(12)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156)에 치합하면, 그후는 모터(M)의 동력이 구동기어(9)로부터 유성기어(12)를 개재하여 모드절환기어(15)에 전달되어, 모드절환기어(15)가 반시계 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모드절환기어(15)가 제7도의 각도까지 회전하면, 절환캠(16)의 절곡편(20a)에 대한 압압력이 해제되어 헤드베이스(20)는 스프링(21)의 힘에 의해 B방향으로 복귀되며, 자기헤드(H)가 테이프(T)에 부딪히지 않는 위치로 후퇴하고 또한 핀치로울러(22)가 캡스턴(6)으로부터 떨어진다. 모드절환기어(15)의 화전각도의 검지장치를 설치하여 놓아, 제7도에 이르를 때 모터(M)를 정지시키면, 스톱모드로 된다.
[FF 모드로의 절환]
테이프의 급송모드(FF 모드)로 이행될 때에는, 제7도의 상태로부터 모터(M)를 시계방향으로 역전시킨다. 구동기어(9)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유성기어(12)는 구동기어(9)의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주회하고 모드절환기어(15)로부터 떨어져서 리-일기어(4)에 치합하는 상태로 된다. 이때 헤드베이스(20)는 제7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B방향으로 후퇴한대로 있기 때문에 자기헤드(H) 및 핀치로울러(22)는 테이프(T)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에 후퇴하여 있다. 이 상태에서 유성기어(12)에 의하여 리-일기어(4)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리-일대(2)에 의해 테이프(T)감기가 행하여진다. 이때에는 모터(M)는 고속으로 구동되어 테이프(T)는 고속으로 주행된다. 스톱모드위치로부터 FF 모드로 이행할때에는 상기와 같이 제7도의 상태로부터 모터(M)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되지만, 제2도에 나타나는 REW 모드로부터 FF 모드로 이행하는 경우에는 제2도의 상태로부터 제3도 내지 제5도에 나타나 있는 플레이모드로 일단 이행한 후, 바로 제6도에서 제7도의 경로를 거쳐서 FF 모드로 절환하게 된다.
[REW 모드로의 절환]
다음에 제5도의 플레이모드로부터 제2도의 REW 모드로 절환하는 경우, 또는 FF 모드로부터 REW 모드로 절환하는 경우에는, 모터(M)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하여 제7도의 상태로 이행한다. 그리고 제7도의 상태에서 다시 모터(M)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킨다. 이 동력은 구동기어(9)로부터 유성기어(9)를 개재하여 모드절환기어(15)에 전달되어 모드절환기어(15)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래서 모드절환기어(15)가 제8도에 나타난 위치에까지 회전하면,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15b)의 연부(Eb)로부터 유성기어(12)가 벗어나고, 유성기어(12)는 톱니결손부(15a)를 통과하여 반시계방향의 주행궤적을 통과하며,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공급측의 리-일기어(5)와 치합하는 위치로 이동한다. 그리고 전술한 바와 같이 유성기어(12)로부터 리-일기어(5)에 동력이 전달되어 있어서, 리-일대(3)에 의해 테이프의 되감기가 행하여진다.
REW 모드로 이행하는 과정에 있어서, 제8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성기어(12)가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15b)의 연부(Eb)에서 벗어난 직후에는 절환캠(16)의 연부(16b)가 헤드베이스(20)의 절곡편(20a)을 B방향으로 일단 압압하고 있다. 따라서 유성기어(12)가 (15)에서 벗어난 직후에 스프링(21)의 힘에 의해서 헤드베이스(20)가 간신히 복귀되어,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드절환기어(15)가 시계방향으로 각도 B만큼 복귀하는 것으로 된다. 이와 같이 모드절환기어(15)가 B만큼 복귀하게 되는 것에 의해 톱니(15b)의 연부(Eb)가 제8도의 위치보다도 더욱 시계방향으로 이동한다. 이것은 REW 모드에서 플레이모드등으로 이행할 때, 유성기어(12)가 시계방향의 주회궤적을 이동할때에 유성기어(12)가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15b)와 치합하기 쉽게 하기 위한 것이다.
[제2실시예]
제9도는 본 발명에 의한 테이프 플레이어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10도 내지 제15도는 제2실시예의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각 모드로의 절환동작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이 제2실시예는 전술한 제1실시예와는 절환캠에 있어서 상이하다.
[테이프 플레이어의 구조]
모드절환기어(15)의 상면에는 제1도에 나타난 절환캠(16)에 대신하여 제1절환캠(25)과 제2절환캠이 설치되어 있다. 제10도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제2절환캠(26)의 반경은 제1절환캠(25)의 반경보다도 근소한 칫수만큼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결손부(15a)의 연부 하면으로부터 이면방향으로 스토퍼(27)가 돌출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 스토퍼(27)와 각 절환캠(25,26)의 위치관계는 제10도에 나타낸 대로이다.
다음에, 상기 구조의 테이프 플레이어의 동작을 제10도 이하의 도면에 의해 순차적으로 설명한다.
[스톱모드]
제10도는 스톱모드를 나타내고 있다. 이때 모드절환기어(15)상의 제1절환캠(25)과 제2절환캠(26)은 헤드베이스(20)의 절곡편(20a)으로부터 벗어나 있고, 헤드베이스(20)는 스프링(21)의 힘에 의해 B방향으로 끌어당겨져 있다. 헤드베이스(20)가 이 위치에 있을때에는, 자기헤드(H)가 카세트 하프내의 자기테이프로부터 떨어져 있음과 동시에 핀치로울러(22)가 캡스턴(6)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스톱모드로부터 플레이모드로의 절환]
제10도의 스톱모드로부터 녹음 또는 재생모드(플레이모드)로 절환할때에는 제10도의 상태에서, 모터(M)를 시계방향으로 구동한다.(제10도에서 파선실인으로 도면에 표시되어 있다). 모터(M)에 의해서 구동기어(9)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 이것에 추종하여 유성기어(12)가 시계방향으로 주회하는 힘을 받아서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15b)에 확실히 치합한다. 그리고 모터(M)의 동력이 구동기어(9), 유성기어(12)를 개재하여 모드절환기어(15)에 전달되어, 모드절환기어(15)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모드절환기어(15)가 구동되는 사이, 유성기어(12)는 그 위치에서 머무르는 것으로 된다. 그래서 모드절환기어(15)가 제11도에 나타나는 위치까지 회전되면,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결손부(15a)가 유성기어(12)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유성기어(12)가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15b)의 연부(Ea)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된다. 연부(Ea)에서 떨어진 유성기어(12)는 그대로 구동기어(9)의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주회하며, 제11도(플레이모드)에 나타나는 바와 같이, 유성기어(12)가 권취축의 리-일기어(4)에 치합하는 위치에 이르른다. 전술한 제10도에서 제11도에 이르기까지의 사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는 구동기어(15)와 같이 제1절환캠(25)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이 제1절환캠(25)이 헤드베이스(20)의 절곡편(20a)에 당접하게 되고, 헤드베이스(20)가 스프링(21)의 힘에 대향하여 A방향으로 밀려나오게 된다. 이 절환동작의 도중에서 유성기어(12)가 톱니(15b)의 연부(Ea)로부터 떨어져 있지만, 이때, 모드절환기어(15)에 설치된 스토퍼(27)가 헤드베이스(20)의 절곡편(20a)의 우측연부에 맞닿게 된다. 따라서 제11도의 플레이모드에서는 모드절환기어(15)가 그이상 시계방향으로 회동됨이 없이, 톱니(15b)의 연부(Ea)가 시계방향으로 이동하지 않게 된다. 그래서, 그후의 모드절환동작에 있어서, 유성기어(12)가 반시계방향으로 주회하였을 때에, 그 유성기어(12)가 톱니(15b)의 연부(Ea)에 확실히 치합할 수 있도록 된다. 스토퍼(27)가 절곡편(20a)의 연부에 폐지되어 있는 것에 의해 헤드베니스(20)가 위치결정되도록 된다.
제10도의 플레이모드에서는 헤드베이스(20)가 A방향으로 전진하여 있기 때문에, 헤드베이스(20)상에 설치된 자기헤드(H)가 카세트 하프내의 테이프(T)에 접촉한다. 또한 핀치로울러(22)가 테이프(T)를 캡스턴(6)에 밀어붙이도록 된다. 모터(M)는 시계방향으로 계속 회전하기 때문에, 캡스턴(6)은 똑같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핀치로울러(22)와 끼워진 테이츠(T)가 캡스턴(6)의 회전속도에 따라서 일정속도에서 도면의 유측방향으로 주행되어진다. 또한 모터(M)의 동력은 구동기어(9), 유성기어(12)를 개재하여 리-일기어(4)에 전달되어, 권취측의 리-일대(2)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래서 카세트 하프내의 권취측의 테이프 리-일(Ra)이 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테이프의 감기가 행하여진다. 또한, 리-일대의 회전속도와 캡스턴(6)에 의해서 이송되는 테이프 주행속도의 차이는 리-일기어(4)와 리-일대(2)의 사이에 설치된 슬립기구에 의하여 흡수된다.
이와 같이 하여, 캡스턴(6)에서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주행되고 있는 테이프(T)에 대하여, 자기헤드(H)에 의한 녹음동작 또는 재생동작이 행하여진다. 자기헤드로서는, 예를 들면, 녹음재생헤드 및 소거헤드가 일체화된 것이 사용된다. 양 헤드는 동일 케-스내에 설치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고, 2개가 접합된 것이어도 좋다.
[플레이모드의 해제]
제11도에 나타낸 플레이모드를 해재하는 경우에는, 모터(M)의 회전방향을 반시계방향으로 절환한다. 모터(M)에 의해서 구동기어(9)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 이 구동기어(9)의 회동방향에 따라서 유성기어(12)가 주회동작을 시작하며, 리-일기어(4)에서 떨어져 권취축 리-일대(2)에 대한 동력이 끊어진다. 그리고 유성기어(12)가 반시계방향으로 주회하여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15b)의 연부(Ea)에 치합하기에 이르른다. 유성기어(12)가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15b)에 치합하면, 그후는 모터(M)의 동력이 구동기어(9)에서 유성기어(12)를 개재하여 모드절환기어(15)에 전달되어, 모드절환기어(15)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이때의 유성기어(12)의 위치는 도면에서 파선으로 표시되어 있다. 또한 이때의 각 기어의 회전방향은 제12도에서 파선실인으로 표시한 대로이다. 그리고 모드절환기어(15)가 제12도의 각도까지 회전하면, 제1절환캠(25)의 절곡편(20a)에 대한 압압력이 해제되어, 헤드베이스(20)는 스프링(21)의 힘에 의하여 B방향으로 복귀되며, 자기헤드(H)가 테이프(T)에 닿지않는 위치로 후퇴한 핀치로울러(22)가 캡스턴(6)으로부터 떨어진다. 모드절환기어(15)의 회전각도의 검지장치를 설치하여 놓아, 제12도에 이르를 때에 모터(M)를 정지시키면 스톱모드로 된다.
[FF 모드로의 절환]
테이프의 급송모드(FF 모드)로 이행시킬 때에는, 제12도의 상태로부터 모터(M)를 시계방향으로 역회전시킨다(이때의 회전방향은 제12도에서 실선의 실인으로 표시). 구동기어(9)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에 의해, 유성기어(12)는 구동기어(9)의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주회하여 모드절환기어(15)로부터 떨어져서 리-일기어(4)에 치합하는 상태로 된다. 이때 헤드베이스(20)는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B방향으로 후퇴한대로 있기 때문에, 자기헤드(H) 및 핀치로울러(22)는 테이프(T)로부터 떨어져 있는 위치로 후퇴하여 있다. 이 상태에서 유성기어(12)에 의해서 리-일기어(4)가 시계방향으로 구동되어, 리-일대(2)에 의한 테이프의 감기가 행하여진다. 이때에는 모터(M)는 고속으로 구성되어, 테이프(T)는 고속주행된다.
[리뷰모드로의 절환]
리뷰모드는, 테이프가 고속으로 되감기게 됨과 동시에 자기헤드(H)가 테이프(T)에 가볍게 접촉하고 있는 상태를 말한다. 이 리뷰모드에 의해서, 녹음내용의 두출제어(頭出制御)등이 행하여지도록 된다.
이 리뷰모드로의 절환은, 제12도에서 실선으로 표시한 FF 모드 또는 유성기어(12)가 파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있는 스톱모드로부터 이행한다. 제4도에 표시하는 위치에서 모터(M)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키면, 구동기어(9)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따라서 유성기어(12)는 반시계방향으로 주회하는 힘을 받고, 이 힘에 의해서 유성기어(12)가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15b)에 치합한다. 이대로 모터(M)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을 계속하면, 유성기어(12)는 제4도에서 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에서 회전을 계속하여, 모드절환기어(15)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리고 모드절환기어(15)가 제13도에 표시하는 각도까지 회동하면, 톱니의 결손부(15a)가 유성기어(12)의 위치까지 이동하여, 유성기어(12)가 톱니(15b)의 연부(Eb)로부터 벗어나, 유성기어(12)가 그대로 구동기어(9)의 주위를 반시계방향으로 주회하여 도시된 좌측의 리-일기어(5)에 치합하기에 이르른다. 제13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유성기어(12)가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15b)로부터 떨어진 때에는, 모드절환기어(15)에 설치된 스토퍼(27)가 헤드베이스(20)의 굴곡편(20a)의 좌측 연부에 괘지된다. 따라서 모드절환기어(15)는 그 이상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지 않아, 톱니(15b)의 연부(Eb)는 그 이상 반시계방향으로 이동되지 않도록 규제된다. 따라서 그후의 절환동작에 있어서 유성기어(12)가 시계방향으로 주회한 경우에 이 유성기어(12)가 톱니(15b)의 연부(Eb)에 확실하게 치합될 수 있도록 된다. 또한 스토퍼(27)에 의해 헤드베이스(20)도 위치결정되게 된다. 제13도에 나타나는 상태로 이행하는 사이에, 모드절환기어(15)에 설치된 제2절환캠(26)이 헤드베이스(20)의 굴곡편(20a)를 압압하여, 헤드베이스(20)가 A방향으로 이동되게 된다. 단, 제2절환캠(26)의 회전반경은, 플레이모드로의 절환에 사용되는 제1절환캠(25)보다도 회전반경이 t만큼 작게되어 있기 때문에(제10도 참조). 제13도때의 헤드베이스(20)의 A방향으로의 이동량은 제11도에 표시한 플레이모드때의 헤드베이스(20)의 이동량보다 근소하게 짧게된다. 따라서 헤드베이스(20)가 A방향으로 이동할 때에는 핀치로울러(22)가 캡스턴(6)에서 떨어져서 캡스턴(6)의 회전력이 테이프(T)에 전달되지 않도록 되어 있다. 또한 자기헤드(H)는 테이프(T)에 가볍게 접촉하고 있다(제11도에 표시한 플레이모드에는 자기헤드(H)는 테이프(T)가 휠정도로 접촉하여 있다). 제13도에 나타나고 있는 상태에서 모터(M)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며, 유성기어(12)를 개재하여 리-일기어(5)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고, 공급측 리-일대(3)에 의하여 테이프리-일(Rb)이 구동되어 테이프(t)가 되감겨진다. 이때의 모터(M)의 회전속도는 고속으로 절환된다. 이와 같이 테이프(T)가 고속으로 되감겨지는 사이에 자기헤드(H)에 의하여 테이프(T)로의 기록신호가 독출되며, 이것에 의하여 기록이 두출등이 되도록 된다.
[REW 모드로의 절환]
REW 모드로 절환될때에는, 제13도에 나타난 리뷰모드의 상태에서 모터(M)를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구동기어(9)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유성기어(12)가 시계방향으로 주회하여 유성기어(12)가 모드절환기어(15)의 톱니(15b)에 치합한다. 그대로 모터(M)의 회전에 의해 모드절환기어(15)가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래서 제2의 절환캠(26)이 헤드베이스(20)의 절곡편(20a)로부터 벗어나고, 헤드베이스(20)가 스프링(29)의 힘에 의해 B방향으로 복귀되어, 자기헤드(H)가 테이프(T)로부터 떨어진다(제14도 참조). 그리고 다시 모터(M)를 반시계방향으로 구동시켜, 구동기어(9)를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제14도에서 파선으로 표시한 위치에 있는 유성기어(12)가 반시계방향으로 주회하여, 리-일기어(5)에 치합하는 위치에 도달하기에 이르른다. 모터(M)의 회전력은 구동기어(9)로부터 유성기어(12)를 경유해서 리-일기어(5)에 전달되어, 리-일기어(5)와 같이 공급측의 리-일대(3)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된다. 그래서 카세트 하프내의 공급측 테이프리-일(Rb)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테이프의 되감기가 행하여진다. 이때의 모터(M)의 회전수는 고속이어서 테이프(T)의 되감기는 고속주행으로 행하여지게 된다.
[제3실시예]
다음에, 제15도에 의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5도는 제3실시예의 테이프 플레이어가 리버스 플레이모드인 경우에 대하여 나타낸 것이다.
이 제3실시예는 전술한 제2실시예와 제2절환캡의 형상이 상이하다. 이 제3실시예에서는 제2절환캠(28)과 제1절환캠(25)이 거의 대칭형상으로 되어있고 제2절환캠(28)의 회전반경이 제1절환캠(25)의 회전반경과 똑같이 되어있다. 또한 이 제3실시예에서는 헤드베이스(20)상에 2개의 자기헤드(Ha,Hb)가 탑재되어 있다. 이 2개의 자기헤드(Ha,Hb)는 캡스턴(6)에 대하여 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일방의 자기해드(Ha)는 노멀플레이(normal play)이고, 타방의 자기헤드(Hb)는 리버스 플레이용이다. 각 헤드(Ha,Hb)는 각각이 녹음재생헤드 및 소거헤드의 조합으로 되어 있다. 녹음재생헤드와 소거헤드는 일체화되어 있는 것이어도 좋고, 2개 접합된 것이어도 좋다. 또한 헤드베이스(20)상에 장비되어 있는 핀치로울러(22a)는 캡스턴(6)에 대하여 축이 동일선상에 배치되도록 대향하여 배치되어 있다.
이 제3실시예에서는 스톱모드, 플레이모드, FF 모드 및 REW 모드 등이 제2실시예와 동일한 동작에 의해서 작동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제2실시예에서의 제11도의 상태와 동일한 절환동작때에 제1절환캠(25)이 헤드베이스(20)를 A방향으로 압압하여 헤드(Ha,Hb)가 테이프에 접촉하고, 또한 권취측 리-일대(2)에 의하여 테이프리-일(Ra)이 구동되어 테이프가 도면의 우측방향으로 주행한다. 이때에는 노멀플레이용의 자기헤드(Ha)에 의해서 녹음 또는 재생동작이 행하여진다.
다음에 제15도에 나타나 있는 리브스 플레이모드의 설정은, 제2실시예에서의 제13도의 리뷰모드와 동일한 동작에 의하여 절환된다. 즉, 유성기어(12)에 의하여 모드절환기어(15)가 반시계방향으로 구동되면, 제2절환캠(28)에 의해 헤드베이스(20)가 A방향으로 밀리어나오게 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2절환캠(26)의 회전반경이 작기 때문에 제13도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리뷰모드의 설정으로 되었지만, 제3실시예에서는 제2절환캠(28)이 제1절환캠(25)과 동일한 회전반경이기 때문에 헤드베이스(20)가 A방향으로 크게 전진하여, 양 자기헤드(Ha,Hb)가 테이프(t)에 접촉함과 동시에 핀치로울러(22a)가 캡스턴(6)에 압접된다. 이때에는, 공급측의 리-일대(3)가 모터(m)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저속으로 구동하고, 또한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캡스턴(6)에 의해 테이프(t)가 도면의 좌측방향으로 송출된다. 그래서 리버스용 자기헤드(Hb)에 의하여 녹음 또는 재생동작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제15도의 실시예에 있어서도 플레이모드 및 리버스 플레이모드의 때에 모드절환기어(15)에 설치된 스토퍼(27)가 헤드베이스(20)의 절곡편(20a)의 좌측 연부에 괘지되어 모드절환기어(15)의 회동이 저지되도록 된다.
또한 다른 모드로의 절환은 제2실시예와 동양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기어의 주위를 주회하는 유성기어에 의하여 리-일대의 구동과 모드 절환기어의 구동을 행하게 되기 때문에, 하나의 모터로 캡스턴 및 구동기어를 구동시킴으로써, 한쌍의 리-일대는 말할것도 없거니와 자기헤드 및 핀치로울러를 구비한 헤드베이스의 구동되도록 된다. 즉 동력원으로서는 한 개의 모터만으로도 되고, 솔레노이드 등이 필요하지 않게되어 간결하여 소형화된 테이프 플레이어를 저코스트로 제공되도록 된다.
또한 제2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제1절환캠 보다도 반경이 작은 제1절환캠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리뷰모드의 설정도 가능하게 된다.
제3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제1절환캠과 동일한 반경의 제2절환캠이 설치되어 있기 때문에 리버스 프레이모드의 설정도 가능하게 된다.
제4항 기재의 발명에서는 모드절환기어가 위치결정되는 것을 되어 플레이모드 등으로부터 유성기어가 주회하였을 때에 그 유성기어가 모드기어와 확실히 치합하도록 된다.

Claims (4)

  1. 모터에 의하여 회전구동하는 캠스턴 및 이 캠스턴과 일체로 되어 회전하는 구동기어와, 구동기어와 항상 치합하면서 구동기어의 회동방향에 따라 구동기어의 주위를 주회하는 유성기어와, 구동기어의 일방향으로의 회전에 있어서 주회된 유성기어가 치합하는 위치와 구동기어의 역방향으로의 회전에 있어서 주회된 유성기어가 치합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된 한쌍의 리-일기어 및 리-일기어에 의하여 회전되는 리-일대와, 유성기어가 일방의 치합하는 위치로부터 타방의 리-일기어에 치합하는 위치로 이동하는 주회궤적의 도중에서 유성기어와 치합하도록 배치됨과 동시에, 유성기어에 의하여 소정각도만큼 회전되도록 톱니가 부분적으로 설치되어 있는 모드절환기어와, 모드절환기어와 같이 회전하는 절환캠과, 모드절환기어가 유성기어에 의하여 회전되고 있는 사이에 상기 절환캠에 밀리어져서 상기 리-일대의 방향으로 이동됨과 동시에 자기헤드와 상기 캠스턴에 대향하는 핀치로울러가 구비되어 있는 헤드베이스로 구성되는 테이프 플레이어.
  2. 제1항에 기재의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절환캠은 모드절환기어와 동축으로 배치됨과 동시에 유성기어에 의해 모드절환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사이에 상기 헤드베이스를 압압하여 핀치로울러를 캠스턴에 압접시킴과 동시에 자기헤드를 자기테이프에 접촉시켜서 플레이모드를 설정하는 제1절환캠과 절환기어가 이 제1절환캠보다도 회전반경이 작게 형성됨과 동시에 유성기어에 의해 모드절환기어가 플레이모드로 절환하고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사이에 헤드베이스를 압압하여 핀치로울러가 캡스턴으로부터 떨어져 있는 상태에서 자기헤드를 자기테이프에 가볍게 접촉시켜서 리뷰모드를 설정하는 제2절환캠으로 구성되는 테이프 플레이어.
  3. 제1항 기재의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절환캠은 모드절환기어와 동축으로 배치됨과 동축으로 유성기어에 의해 모드절환기어가 일방향으로 회전되는 사이에 상기 헤드베이스를 압압하여 핀치로울러를 캠스턴에 압접시킴과 동시에 자기헤드를 자기테이프에 접촉시켜서 플레이모드를 설정하는 제1절환캠과, 이 제1절환캠과 회전반경이 같도록 형성됨과 동시에 유성기어에 의해 모드절환기어가 플레이모드로 절환되고 역방향으로 회전되는 사이에 헤드베이스를 압압하여 핀치로울러를 캡스턴에 압접시킴과 동시에 자기헤드를 자기테이프에 접촉시켜서 리버스 플레이모드를 설정하는 제2절환캠으로 구성되는 테이프 플레이어.
  4. 유성기어에 의해 모드절환기어의 일방향으로의 구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제1절환캠이 헤드베이스의 구동을 완료하였을때와, 유성기어에 의해 모드절환캠의 역방향으로의 구동이 완료됨과 동시에 제2절환캠이 헤드베이스의 압압을 완료하였을때에, 헤드베이스에 괘지되어 모드절환기어의 회전을 규제하는 스토퍼가 모드절환기어에 설치되어 있는 제2항 또는 제3항 기재의 테이프 플레이어.
KR1019880008372A 1987-11-19 1988-07-06 테이프 플레이어 KR9100051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3821 1987-11-19
JP?62-293821 1987-11-19
JP62293821A JPH01134744A (ja) 1987-11-19 1987-11-19 テーププレーヤ
JP28354 1988-02-08
JP?63-28354 1988-02-08
JP63028354A JPH01204254A (ja) 1988-02-08 1988-02-08 テーププレー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8774A KR890008774A (ko) 1989-07-12
KR910005104B1 true KR910005104B1 (ko) 1991-07-22

Family

ID=26366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8372A KR910005104B1 (ko) 1987-11-19 1988-07-06 테이프 플레이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4922357A (ko)
KR (1) KR9100051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8926983T2 (de) * 1988-06-09 1997-03-27 Sanyo Electric Co Magnetisches Band-Aufnahme und -Wiedergabegerät
US5214551A (en) * 1988-10-04 1993-05-25 Kyowa Electric & Chemical Co., Ltd. Mechanism for positioning a magnetic head and a pinch roller in a tape recorder without reliance on a solenoid
US5005094A (en) * 1988-12-12 1991-04-02 Alps Electric Co., Ltd. Mode changeover mechanism with flat cam surface for a tape player
US5029028A (en) * 1989-02-01 1991-07-02 Alps Electric Co., Ltd. Single-motor changing tape player
EP0390433B1 (en) * 1989-03-31 1997-07-02 Sony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stable tape-travelling i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EP0395299B1 (en) * 1989-04-28 1995-11-15 Sony Corporation Drive means for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H0346149A (ja) * 1989-07-14 1991-02-27 T R S:Kk テープレコーダー
DE4404056C2 (de) * 1994-02-09 1996-03-14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 gesteuertes Kassetten-Laufwerk
US5561569A (en) * 1994-12-14 1996-10-01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Structure for tape driving device
JP3234849B2 (ja) * 1995-03-08 2001-12-04 アルプス電気株式会社 テーププレーヤのモード切換装置
KR970071625A (ko) * 1996-04-25 1997-11-07 배순훈 브이씨알의 캠기어 구동장치
DE19880270T1 (de) * 1997-01-29 1999-05-12 Sony Corp Aufzeichnungs- und/oder Wiedergabegerät für ein Magnetband
JPH10275319A (ja) * 1997-03-31 1998-10-13 Asahi Corp:Kk カセットテープ駆動装置
US6072666A (en) 1997-05-30 2000-06-06 Iomega Corporation Head retraction system for retracting the heads of a disk driv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79514B (en) * 1980-06-20 1985-01-16 Tanashin Denki Co An auto-reverse device for a two-reel type tape recorder
US4442466A (en) * 1981-02-20 1984-04-10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Head drive mechanism for a cassette deck
JPS59153639U (ja) * 1983-03-31 1984-10-15 有限会社 ゼロエンジニアリング カセツトテ−プ用録音・再生装置のロジツクコントロ−ル機構
JPS6482353A (en) * 1987-09-24 1989-03-28 Sankyo Seiki Seisakusho Kk Mode switching mechanism for tape record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4922357A (en) 1990-05-01
KR890008774A (ko) 1989-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5104B1 (ko) 테이프 플레이어
JPH0150983B2 (ko)
JP3234849B2 (ja) テーププレーヤのモード切換装置
US5005094A (en) Mode changeover mechanism with flat cam surface for a tape player
KR860000916B1 (ko) 테이프 종단검출장지
CA1334770C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with single drive source
KR920002608B1 (ko) 음향재생장치
JPS6238783B2 (ko)
JPH0734504Y2 (ja) テーププレーヤのモード切換装置
JPH0262903B2 (ko)
JPH079214Y2 (ja) テーププレーヤ
JPH079213Y2 (ja) テーププレーヤ
JPH082821Y2 (ja) テーププレーヤ
JP2672452B2 (ja) 磁気テープの走行状態切換機構
JP2667842B2 (ja) テープ駆動装置
US5029028A (en) Single-motor changing tape player
KR900010406Y1 (ko)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KR950000951B1 (ko) 자기기록 재생장치에 사용된 테이프 감기기구 및 테이프 감기방법
JPS6260160A (ja) カセツト式記録再生装置
JPH0262904B2 (ko)
JPH0430676Y2 (ko)
KR910000953Y1 (ko) 테이프 주행장치에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JPH0648595Y2 (ja) テープ案内体位置決め装置
JPS59101065A (ja) ビデオテ−プレコ−ダの機構部操作装置
KR910005800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 변환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629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