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00010406Y1 -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00010406Y1
KR900010406Y1 KR2019870011604U KR870011604U KR900010406Y1 KR 900010406 Y1 KR900010406 Y1 KR 900010406Y1 KR 2019870011604 U KR2019870011604 U KR 2019870011604U KR 870011604 U KR870011604 U KR 870011604U KR 900010406 Y1 KR900010406 Y1 KR 90001040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ch roller
capstan
point
cam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87001160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03443U (ko
Inventor
다까시 야마나까
Original Assignee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나가 신사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다나가 신사꾸 filed Critical 다나싱뎅기 가부시기가이샤
Priority to KR2019870011604U priority Critical patent/KR900010406Y1/ko
Publication of KR890003443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03443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0001040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0406Y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제1도는 본 고안의 연결구조를 적용한 링크기구를 구비한 자기기록 재생장치의 평면도.
제2도는 동장치의 저면도.
제3도는 동 장치의 캠판의 하면도.
제4도는 동 상면도.
제5도는 제1도의 Ⅴ-Ⅴ선 단면도.
제6도는 제1도의 Ⅵ-Ⅵ선 단면도.
제7도는 본 고안의 핀치롤러 구동기구의 대기상태 평면도.
제8도는 동 저면도.
제9도는 본 테이프 안내면 지지체를 회동한 상태의 평면도.
제10도는 동 저면도.
제11도는 동 핀치롤러 지지함이 제1단 희동한 상태의 평면도.
제12도는 동 저면도.
제13도는 동 핀치롤러 지지암이 제2단 회동한 상태의 평면도.
제14도는 동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샷시 7 : 캠판
15 : 제1캠부 16 : 제2캠부
17 : 핀치롤러 구동기구 18 : 핀치롤러
19 : 핀치롤러 지지함 20 : 링크부재
21 : 캡스턴 22 : 제1전달기구
23 : 제2전달기구 28 : 제1회동암
29 : 제2회동암 30 : 스프링
O1: 제1작용점 O2: 제2작용점
본 고안은 VTR등의 자기기록 재생장치등에 구비하는 테이프 주행장치에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핀치롤러 지지함을 회동시킴으로서, 이 핀치롤러를 캡스턴 측에 이동시켜, 이 캡스턴에 압접시키도록 한 테이프 주행장치에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는 공지이다.
이러한 종래 장치에 있어서는, 핀치롤러의 움직임이, 1단 동작임으로, 핀치롤러를 캡스턴에 접리(接離)시키는 시간이 길고 또 이 캡스턴에 핀치롤러를 강하게 압접시키는 것은 곤란했었다.
또 , 예를 들면 포오즈 모든 조작을 하는 경우도, 상술한 바와 같이 1단 동작임으로, 이 포우즈 모드 조작을 하기 위한 기구도 복잡했었다.
또 고안은 상기 사정을 감안한 것으로서, 핀치롤러를 캡스턴에 접리시키기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캡스턴에 대하여 핀치롤러를 가벼운 힘으로 강하게 압접할 수 있으며, 또 예를 들면 포오즈 모드조작을 하기 위한 기구를 간단히 할 수 있도록 한 테이프 주행장치에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를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 것으로, 상승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핀치 롤러 지지암을 회동시킴으로서, 이 핀치롤러를 캡스턴측에 이동시켜 이 캡스턴에 압접하도록 한 테이프 주행장치에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치롤러 지지암에 연결되고 또 이 핀치롤러 지지암과의 연결점에서 소정 크기로 떨어지는 제1작용점 및 제2작용점과 상기 연결점과의 사이에 위치한 제2작용점 등을 갖는 링크부재와, 상기 제1, 제2작용점에 각각 관계하는 제1, 제2전달기구와, 모터에서 소정각도 범위 회전구동하는 캠판과, 이 캠판에 형성된 제1, 제2캠부 등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캠부는, 상기 캠판이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는 제1회동범위에서는, 제1캠부로 상기 제1전달기구의 동작을 금하면은 제2캠부로 제2전달기구를 통하여 제2작용점을 변위시킴으로서 제1작용점을 중심으로 핀치롤러 지지암을 회동시켜서 핀치 롤러를 캡스턴에 급속 접근시켜, 다시 캠판은 제1회동범위에서 일정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는 제2회동범위에서는 제2캠부로 제2전달기구의 동작을 금하면서 제1캠부로 제2전달기구를 통하여, 제1작용점을 변위시킴으로서 제2작용점을 중심으로 핀치롤러 지지암을 회동시켜서 핀치 롤러를 캡스턴에 강하게 압접 하도록 구성하고, 또 상기 제2전달기구는, 대체로 중간부의 회동지점은 샷시에 소정범위 이동 자재로 장착하고 일단이 상기 링크부재의 제2작용점에 회동 자재로 연결한 제1회동암과, 대체로 중간부가 상기 샷시에 회동자재로 장착되며 또 일단이 상기 캠판의 제2캠부에 계합암과 동시에 타단은 상기 제1회동암의 타단에 회동자재로 연결한 제2회동암과, 상기 샷시와 제1회동암의 대체로 중간부와의 사이에 가설한 스프링으로 되며, 상기 핀치롤러는 캡스턴에 당접후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암의 회동지점은 상기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동함으로서, 이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상기 핀치 롤러는 캡스턴에 강하게 압접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제1전달기구와 동작하면, 핀치롤러 급속히 접근한 다음 제2전달기구가 동작하면, 핀치롤러 지지암은 제2단동작하여, 캡스턴에 핀치롤러를 당접하고, 이 당접후는 탄발력이 작용하여 핀치롤러를 캡스턴에 강하게 압접한다.
이한 도면에 따라 상세히 설명하면, 도면중 1은 자기기록 재생장치이고, 그 샷시 2에는 캠 모터 3, 캡스턴 모터 4 및 안내실린더 모터 5가 각각 취부되어 있다.
상기 캠모터 3는, 재생모드 또는 기록모드시 정회전하고 또 빨리보냄 또는 되돌려감음 모드시 역회전하는 것으로, 그 회전력은 제1동력전달기구 6를 통하여 캠판 7에 전달된다.
상기 동력전달기구 6은, 제2도에서와 같이 상기 샷시 2의 하면(이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기 캠 모터 3의 회전축 3a에 고정된 소경의 제1풀리 8와, 상기 샷시 2의 하면에 회전자재로 축착된 대경의 제2풀리 9와. 이들 제1 및 제2풀리 8, 9 사이에 장치된 고무등으로 된 부단벨트 10와, 상기 제2풀리 9의 상면 중앙에 동심상으로 하여 일체로 형성된 소경의 제1기어 11와, 제1기어 치합함과 동시에, 상기 샷시 2의 하면에 회전 자재로 축착된 대경의 제2기어 12와, 이 제2기어 12의 상면 중앙에 동심상으로 일체로 형성된 소경의 제3기어 13로 되어 있다.
상기 캠판 7은 제2도에서와 같이 상기 샷시 2의 하면에 정, 역 회전 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이 캠판7은 그 외주연부에 기어 14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음과 동시에, 그 하면(이면)에는 제3도에서와 같이 제1캠부 15를 구비하며, 또 그 상면(표면)에는 제4도에서와 같이 제2캠부 16를 갖으며, 상기 기어 14는 상기 제1동력전달기구 6의 제3기어 13와 치합하고 있다.
상기 캠 모터 3의 회전력은, 상기 제1동력전달 기구 6, 캠판 7을 통하여 핀치 롤러 구동 기구 17에 구동력으로서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 핀치 롤러 구동기구 17은, 제1도, 제5도 및 제6도에서와 같이 핀치 롤러 18를 지지한 핀치롤러 지지암 19과, 링크 부재 20과, 작동시 상기 핀치롤러 지지암 19를 통하여 상기 핀치롤러 18를 캡스턴 21에 급속히 접근시키는 제1전달기구 22와, 작동시 상기 핀치롤러 지지암 19를 통하여 상기 핀치롤러 18를 상기 캡스턴 21에 강하게 압접시키는 제2전달기구 23등을 갖고 있다.
상기 핀치롤러 지지암 19은 그 대체로 중간부가 상기 샷시 2의 상면에 소정각도 범위 정, 역 회전 자재로 축착되고, 그 일단에 상기 핀치 롤러 18를 회전자재로 축착하여져 있다.
상기 링크부재 20는, 그 대체로 중간부가 상기 제1전달기구 22의 제1미끄럼부재 24의 일단에 소정각도 범위 회동자재로 연결하며, 또 일단은 상기 핀치롤러 지지암 19의 타단에 회동자재로 연결되어 있음과 동시에, 타단은 상기 제2전달기구 23의 연결함 25의 일단에 회동자재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링크 부재 20와 연결암 25와의 연결점은 제1작용점 O1와 상기 링크부재 20와 제1미끄럼부재 24와의 연결점은 제2작용점 O2로 되어 있다.
이 제1전달기구 22는 상기 샷시 2의 상면에 소정범위 미끄럼 자재로 장착된 제1미끄럼부재 24와, 상기 샷시 2의 하면에 소정각도 범위 회동자재로 축착된 회동체 26와, 상기 샷시 2의 소정범위 미끄럼 자재로 장착된 제2미끄럼부재 27등을 갖고 있다.
상기 제1미끄럼부재 24의 타단에 형성된 계합돌기 24a는 상기 샷시 2의 구멍 2a을 이동가능하게 하여 이 샷시 2의 하면측에 연출하여 상기 회동체 26와 당접게합하고 있다.
이 희동체 26의 계합돌기 26a는, 상기 제2미끄럼부재 27의 타단측에 도려낸부 27a에 회동자재로 계합되어 있다.
이 제2미끄럼부재 27의 타단 계합돌기 27b는 후술하는 테이프 로딩기구 33의 기어기구 35의 부채꼴기어 45의 계합공 45a에 계합되어 있다.
상기 부채꼴 기어 45는 비로딩위치. (제2도의 상태)에 있을때, 상기 제2미끄럼부재 27의 타단 계합돌기 27b는, 이 부채꼴기어 45의 계합공 45a의 일단면에 당접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캠판 7은 일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링크 기구 36를 통하여 기어기구 35의 부채꼴 기어 45는 로딩축으로 소정각도 회동함에 따라서, 계합공 45a의 타단면에 상기 제2미끄럼부재 27의 타단의 계합돌기 57b가 당접한 다음, 로딩이 완료할때까지 이 부채꼴기어 45와 같이 제2미끄럼부재 27는 제2도중 우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이 제2미끄럼부재 27의 미끄러짐에 따라서, 상기 회동체 26는 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되고, 이 회동체 26에 의하여, 상기 제1미끄럼부재 24는 제1도중 우방향으로 압압되어서 미끄러진다.
이 제1미끄럼부재 24의 미끄러짐에 따라 즉, 상기 캠판 7이 일방향(제2도중 시계방향)에 소정각도 회동하는 제1회동범위에서는, 제1캠부 15로 제1전달기구 22의 동작을 금하면서 제2캠부 15로 제2전달기구 23를 통하여 제2작용점 O2을 제1도중 우측으로 변위시킴으로서 제1작용점 O1을 중심으로 핀치룰러 지지암 19이 동도면중 반시계 방향으로 급속하게 회동하여, 핀치 룰러 18가 캡스턴 21에 약간의 간격을 둔 상태로 급속히 접근한다.
상기 제2미끄럼부재 27는 스프링 27c에 의하여 제2도중 좌방향에 탄지되어 있다.
상기 제2전달기구 23는, 연결암 25과, 제1회동암 28과, 스프링 30등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연결암 25의 일단은 상기 링크부재 20의 타단에 회동자재로 연결되고, 이 연결암 25의 타단은 상기 제2회동암 28의 일단에 회동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제1회동암 28은 그 대체로 중간부가 상기 샷시 2의 상면에 회동자재로 또 좌우방향으로 이동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이 제1회동암 28의 타단 도려낸부 28a에는 상기 샷시 2의 구멍 2b를 통하여 이 샷시 2의 상면측에 연출하고 있는 상기 제2회동암 29의 일단측의 계합돌기 29a가 회동자재로 계합하고 있다.
이 제2회동암 29는, 대체로 L자 모양을 하며, 그 중간부는 상기 샷시 2의 하면에 소정범위 회동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상기 제2회동암 29의 타단의 계합편 29b는, 상기 캠판 7의 제2캠부 16와 미끄럼 자재로 계합하고 있다.
그리고 이 캠판 7은 상기 제1회동범위에서 다시 일방향(제2도중 시계방향)에 소정각도 회동하는 제2회동범위에서는 상기 제2캠부 16로, 제2전달기구 33의 동작을 금하면서 제1캠부 15로 제2전달기구 23를 통하여 제1작용점 O1을 제1도중 좌측으로 변위시킴으로서, 제2작용점 O2를 중심으로 핀치롤러 지지암 19이 제1도중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핀치로러 18는 캡스턴 21에 강하게 압접한다.
상기 링크부재 제20는 코일스프링 31에 의하여 제1도중 반시계방향(핀치 롤러 18가 캡스턴 21에서 떨어지는 방향)에 탄지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30은, 코일스프링으로 되며, 그 일단은 상기 샷시 2의 상면 소정장소에 타단은 상기 제1회동암 28과, 일체로 이동 가능하게 형성된 미끄럼판 32에 통하여 상기 제1회동암 28의 중간부의 회동지점에 작용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핀치 롤러 18는, 캡스턴 21에 당접후에 있어서, 미끄럼판 32과 일체로 제1회동암 28은 스프링 3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일방향(제1도중 우방향)에 이동하고, 이 스프링 30의 탄발력은 핀치롤러 지지암 19에 작용하여, 핀치롤러 18가 캡스턴 21에 강하게 압접한다.
또 이 제1회동암 28은 미끄럼판 32에 대하여는 회동자재이다.
테이프 로딩기구 33는, 카셋트 로딩기구(도시생략)로 장착위치에 있는 카셋트의 케이스내에서 자기 테이프를 꺼내어 헤드(도시없음)을 갖음과 동시에 상기 실린더 모터 5에 의하여 회전되는 안내 실린더 34의 외주면에 소정각도 범위에 걸쳐 첨접(添接)되는 것이다.
이 테이프 로딩기구 33는, 제2도에서와 같이 1쌍의 로딩암(도시생략)을 서로 연동시키는 기어기구 35와, 이 기어기구 35와 상기 캠판 7의 제1캠부 15와를 연락하는 링크기구 36등을 구비하며, 상기 로딩암의 일단에는, 선도안내블럭 37의 하면이 각각 고정되고, 이 선도안내 블럭 37, 37은 그 하면측 계합부(도시생략)가 상기 안내 실린더 34의 양측에 위치하여 보조샷시 38에 형성된 소정형상의 안내공 39, 39에, 미끄럼 자재로 계합되어 있다.
상기 각 선도안내블럭 37의 상면측은 상기 보조 샷시 38 상방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상면에는, 테이프 안내용 경사포울 40과 수직포울 41등이 각각 식설되어 있다.
상기 안내공 39의 선단부에는 스톱퍼 42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기어기구 35는, 상기 로딩암의 타단에 스프링(도시생략)을 통하여 일체로 회전자재하게 장착된 서로 치합 하는 1쌍의 기어 43, 44와 그 일방의 기어 43와 치합할 부채꼴기어 45 등으로 되어 있다.
이 부채꼴기어 43와 치합한 부채꼴기어 45는 상기 샷시 2의 하면에 소정각도 범위 정역회전 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상기 링크 기구 36는, 제1회동레버 46와, 미끄럼 레버 47와, 제2화동레버 48등으로 되어 있다.
상기 제1회동레버 46는, 그 일단이 상기 부채꼴기어 45의 도련내부 45b에 회동자재로 계합되고, 또 그 대체로 중간부는 상기 샷시 2의 하면에 소정각도 범위 회동 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상기 제1회동레버 46는, 그 대체로 중간부의 계합돌기 46a가 상기 샷시 2에 뚫어진 소정 중심각의 원호상안내공 2c내에 미끄럼 자재로 계합하고, 이 안내공 2c의 중심각 범위에서 상기 제1회동레버 46가 정역회동한다.
이 제1회동레버 46의 타단은 상기 미끄럼레버 47의 일단에 코일스프링 49를 통하여 접리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이 미끄럼레버 47는, 상기 샷시 2의 하면에 소정범위 미끄럼 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이 미끄럼레버 47의 타단에 돌설한 핀 47a는, 상기 제2회동레버 48의 일단의 도련내부 48a에 회동자재로 계합되어 있다.
이 제2회동레버 48는, 그 타단이 상기 샷시 2의 하면에 소정각도 범위 정, 역회동 자재로 축착되어 있다.
이 제2회동레버 48의 일측 대체로 중간부의 계합핀 48b은, 상기 캠판 7의 제1캠부 15에 미끄럼 자재로 계합되어 있다.
상기 캠판 7은 일방향(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했을때, 제2회동레버 48, 미끄럼레버 47, 제1회동레버 46를 통하여 부채꼴기어 45가 비로딩측(제2도중 반시계방향)에 회동하고, 양 로딩암은 축소상태가 되어, 그 선도안내블럭 37은 안내공 39의 기단측에 위치하고 있다.
이 상태에서 상기 캠판 7은 타방향(제2도중 시계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며, 부채꼴 기어 45는 로딩측(제2도중 시계방향)을 회동하고, 양 로딩암은 신장상태로 되어 그 선다안내블럭 37은 스톱퍼 42에 당접한다.
상기 캡스턴 모터 4의 회전력은, 제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제2동력전달기구 50를 통하여 캡스턴 21에, 또 제3동력전달기구 51 및 회전속도 절환기구 52를 통하여 공급측 리일대 53와 권취측 리일대 54등에 각각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이들 양 리일대 53, 54는 상기 샷시 2의 상면에 서로 간격을 두고 회전자재로 장착되어 있다.
상기 제2동력전달기구 50는, 상기 샷시 2의 하면에 형성된 것으로, 상기 캡스턴 모터 4의 회전축 4a에 고정된 소경 제1풀리 55와, 상기 캡스턴 21의 하단에 일체로 회전자재로 고정된 대경 제2풀리(후라이휘일) 56과, 이들 양 풀리 55, 56사이에 장치된 고무 등으로 된 무단밸트 57등으로 된다.
상기 캡스턴 21은 상기 샷시 2의 상면에 회전자재로 식설되어 있다.
또 제1도 및 제5도중 58은 테이프 안내핀 구동기구로서, 이 테이프 안내핀 구동기구 58는, 상기 핀치롤러 지지암 19과 캡스턴 21과의 사이에 위치하여 상기 샷시 2의 상면에 소정각도 범위 회동자재로 축착된 테이프 안내핀 지지체 59를 구비하며, 이 테이프 안내핀 지지체 59에 테이프 64의 권취측 주행방향 앞측에 위치하여 테이프 안내핀 60이 지지되어 있다.
이 테이프 안내핀 60은, 그 외주면에 환상홈으로 된 안내부 60a가 형성되어 있고, 이 안내부 60a에 의항 테이프 64의 폭방향의 이동이 규제된다.
상기 테이프 안내핀 지지체 59는, 상기 샷시 2의 상면에 소정범위 미끄럼 자재로 형성한 제1미끄럼암 61의 일단에 회동자재로 연결되어 있다.
이 제1미끄럼암 61의 타단의 도련내부 61a는, 상기 샷시 2의 하면에 소정범위 미끄럼 자재로 형성한 제2미끄럼암 62의 일단 계합돌기 62a에 계합되어 있다.
이 제2미끄럼암 62의 타단의 계합돌기 62b는, 상기 샷시 2의 하면에 회동자재로 축착된 회동레버 63의 일단에 당접계합되어 있다.
이 회동레버 63의 타단은,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 33의 기어기구 35의 타방기어 44에 형성된 캡 44a에 당접계합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로딩이 계시됨에 따라서 캡 44a의 작용으로, 회동레버 63, 제2미끄럼암 62, 제1미끄럼암 61를 통하여 테이프 안내핀 지지체 59가 제1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그 테이프 안내핀 60에 의하여 테이프 64는 핀치룰러 18의 외주에 대체로 140°의 범위에 걸쳐서 감기는 상태로 된다.
상기 미끄럼암 61은 코일스프링 65에 의하여 제1도중 우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또 제1도중 66은, 상기 샷시 2의 상면 소정 위치에 회전 자재로 축착한 인피던스 로러 67는 이 인피단스롤러 66와 동축으로 일단이 회동자재로 취부된 회동체로서, 그 타단상면에는 소거 헤드 68가 취부되어 있다.
상기 회동체 67는, 코일스프링 69에 의하여 제1도중 시계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상기 회동체 67의 일단측 하면에는 계합핀 67a이 돌설되고, 이 계합핀 67a은, 상기 샷시 2의 구멍 2d를 통하여, 이 샷시 2의 하면측에 연출되어서, 미끄럼체 70의 일단 70a에 당접계합되어 있다.
이 스라이드체 70는, 상기 샷시 2의 하면에 소정범위 미끄러짐 자재로 형성되어 있다.
이 미끄럼체 70의 미끄러짐에 따라서 상기 회동체 67가 회동하는 것으로, 이 미끄럼체 70는 코일스프링 71에 의하여 제2도중 좌방향으로 탄지되어 있다.
이 미끄럼체 70는 코일스프링 71의 탄지력으로 제2도중 좌측으로 미끄러졌을때, 상기 회동체 70는 코일스프링 69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제1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상기 미끄럼체 70의 타단 70b에는 소정시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 33의 기어기구 35의 일방기어 43의 돌기 43a가 당접 계합함으로서, 이 미끄럼체 70는 코일스프링 7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제1도중 우측으로 미끄러져 상기 회동체 67가 코일스프링 69의 탄지력으로 제1도중 시계방향에 회동한다.
상기 회동체 67는 제1도중 반시계방향에 회동위치하고 있을때, 상기 선도 안내블럭 37은 상기 소거헤드 68 및 회동체 67에 당접하지 않는다.
또 상기 회동체 67는 제1도중 시계방향에 회동위취하고 있을때, 상기 소거헤드 68는 테이프 64에 접촉한다.
또 제1도중 72는 재생헤드이다. 다음에 상기 구성으로 된 본 고안의 작동을 설명하면, 카셋트 하우징내에 캇세트를 소정셋트 위치까지 삽입하면, 그 삽입을 검출스위치 (도시없음)가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거 캡스턴 모터 4는 일방향(제2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고, 카셋트 로딩기구는 로딩 측에 구동하여 카셋트가 로딩되어 장착위치로 된다.
이 캇세트 로딩이 끝나면, 이것을 검출스위치(도시없음)가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캡스틴 모터 4의 회전구공이 정지하여, 캇세트 로딩기구의 구동이 정지한다.
이 캡스턴 모터 4의 회전구동이 정지하면, 이것을 검출스위치가 검출하고, 이 검출신호에 의거하여 캡모터 3는 정방향(제2도중 시계방향)에 회전구동하고, 그 회전력은 제1동력전달기구 6를 통하여 캠판 7에 전달하고, 이 캠판 7은 정방향(제2도중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이 회전에 따라서 회전속도 절환기구 52등이 소정상태로 절환한 다음, 대기상태(제7도 및 제8도의 상태)로 된다.
이러한 대기상태에서 모드설정부의 재생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하면, 그 조작신호에 의거하여 캠 모터 3는 정방향으로, 캡스턴 모터 4는 역방향(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및 안내실린더 모터 5는 일방향으로 각각 회전구동하고, 캠판 7, 캡스턴 21 및 실린더 34는 회전한다.
상기 캠 모터 3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는데 따르는 캠판 7의 정회전으로, 테이프 로딩기구 33의 링크 기구 36의 제2회동레버 48는, 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연결된 미끄럼레버 47는 제2도중 우측으로 이동한다.
이 미끄럼레버 47의 이동으로, 이에 연결된 제1회동레버 46를 통하여 부채꼴기어 45가 제2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이에 치합한 기어 43, 44를 통하여, 양 로딩암은 로딩측으로 작동하고, 그 선단안내블럭 37은 제9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안내공 39의 대체로 중간위치에 도달하여, 카셋트내의 자기 테이프 64는 꺼내져 안내실린더 34의 외주에 첨접된다.
또 상기 기어 43, 44에 회전에 따라서, 타방의 기어 44의 캠 44a의 작용으로, 회동레버 63는 제8도중 시계방향을 회동함으로서, 제2미끄럼 암 62을 통하여 제1미끄럼암 61이 코일스프링 65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제7도 중 좌방향으로 미끄러짐에 따라서 테이프 안내핀 지지체 59가 제7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그 테이프 안내핀 60에 의하여 테이프 64는 핀치롤러 18의 외주면에 대체로 140°의 범위에 걸쳐서 감아지는 상태(제9도 및 제10도의 상태)로 된다.
또 이 제9도 및 제10도의 상태에서 캠판 7은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바부채꼴기어 45가 다시 제10도 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이 제12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되는데 따라서, 선도 안내블럭 37이 제11도에 표시한 스톱퍼 42에 당접함과 동시에, 이 부채꼴기어 45의 계합공 45a에 핀치룰러 구동기구 17의 제1전달기구 22의 제2미끄럼부재 27의 계합돌기 27b가 당접한 다음은, 이 부채꼴 기어 45의 제2도중 시계방향의 회동에 따라서 동도면중 우측으로 미끄러짐에 따라서 제1전달기구 22는 작공하고, 제11도에 표시한 핀치롤러 지지암 19이 제1단 회동하여, 핀치롤러 18는 캡스턴 21에 급속하게 접근함과 동시에, 이 핀치 롤러 18의 외주에 테이프 64는 감아 진다.
또 상기 선도안내블럭 37은 회동체 67 및 소거헤드 68를 통과한 다음 일방기어 43의 돌기 43a의 작용으로, 미끄럼체 70는 코일스프링 71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제10도중 우측으로 미끄러져 제12도에 상태로 되어, 회동체 67는 코일스프링 69의 탄지력으로 제1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소거헤드 67는 제11도에서와 같이 테이프 64에 접촉한다.
그리고, 상기 테이프 로딩기구 33의 선도안내블럭 37이 스톱퍼 42에 당접하여 테이프 로딩 끝나면, 핀치롤러 구동기구 17의 제2전달기구 23의 제2회동암 29의 계합돌기 29a는 캠판 7의 제2캠부 16의 소경부에서 대경부로 계합함으로서, 이 제2전달기구 23의 제2회동암 29은, 제2도중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제13도에서와 같이 핀치 롤러 지지암 19이 제2단회동하여 핀치롤러 18가 캡스턴 21에 자기 테이프를 통하여 당접한다.
이 핀치 롤러 18는 캡스턴 21에 당접한다음, 캠판 7이 다시 정방향으로 회전함으로서 제2전달기구 23의 제2회동암 29은 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서, 스프링 3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 제1회동암 28의 중간부의 회동지점이 미끄럼판 32와 같이 제13도중 우측에 이동하여 동 도면중 2점 점선으로 표시한 상태로 된다.
따라서 스프링 30의 탄발력이 제1회동암 28, 연결암 25, 링크부재 20 및 핀치롤러 지지암 19을 통하여 핀치롤러 18에 작용하여, 이 핀치롤러 18는 캡스틴 21에 강하게 압접함으로서 자기 테이프 64는 소정 방향으로 주행되어 재생 모드를 실행한다.
이 재생모드의 실행에 따라서 상기 캠 모터 3의 회전구동은 정지한다.
이러한 재생모드에서 모드 설정부의 포우즈 모드 설정용 조작체를 조작하면, 그 조작신호에 따라 캠모터 3는 역방향(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구동하고, 캠판 7은 재생모드 위치에서 포우즈 모드 위치까지 역방향(제2도중 반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이 캠판 7의 역회전에 따라서 핀치롤ㄹ 구동기구 17의 제2전달기구 23는 역동작하여, 핀치 롤러 지지암 19은 제2단 회동개시위치(제1단 회동종료위치)까지 되돌아가, 핀치 롤러 18는 제11도에 표시한 바와 같이 캡스턴 21에서 약간 떨어진다.
또 기타 각 기구도 상기 캠판 7은 포우즈 위치까지 역회전하는 사이에, 포우즈 모드 상태로 셋트되어서 포우즈 모드를 실행한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은, 핀치 롤러 지지암을 회동시킴으로서 이 핀치롤러를 캡스턴 측에 이동시켜, 이 캡스턴에 압접시키도록 한 테이프 주행장치에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치 롤러 지지암에 연결되고 또 이 핀치롤러 지지암과의 연결점에서 소정크기 떨어지는 제1작용점 및 제1작용점과 상기 연결점과의 사이에 위치한 제2작용점등을 갖는 링크부재와, 상기 제1, 제2작용점에 각각 관계한 제1, 제2전달기구와, 모터로 소정 각도범위 회전 구동하는 캠판과, 이 캠판에 형성된 제1, 제2캠부와를 부하고, 상기 제1, 제2캠부는, 상기 캠판이 일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는 제1회동범위에서는 제1캠부로, 상기 제1전달기구의 동작을 금하면서, 제2캠부로 제2전달기구를 통하여 제2작용점을 변위시킴으로서 제1작용점을 중심으로 핀치 롤러 지지암을 회동시켜서 핀치롤러를 캡스턴에 급속접근시키고, 다시 캠판이 제1회동범위에서 일정 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는 제2회동범위에서는 제2캠판으로, 제2전달기구의 동작을 금지하면서 제1캠부로 제2전달기구를 통하여 제1작용점을 변위시킴으로서 제2작용점을 중심으로 핀치롤러 지지암을 회동시켜서 핀치롤러를 캠스턴에 강하게 압접하도록 구성하고, 또 상기 제2전달기구는, 대체로 중간부의 회동지점은, 샷시에 소정범위 이동자재로 장착하며, 또 일단은 상기 링크 부재의 제2작용점이 회동자재로 연결된 제1회동암과, 대체로 중간부가 상기 샷시에 회동자재로 장착하며, 또 일단이 상기 캠판의 제2캠부에 계합함과 동시에 타단이 상기 제1회동암의 타단에 희동자재로 연결된 제2회동암과, 상기 샷시와 제1회동암의 중간부와의 사이에 가설된 스프링으로되고, 상기 핀치롤러는 캡스턴에 당접후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암의 회동지점은 상기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동함으로서, 이 스프링의 탄발력으로 상기 핀치롤러는 캡스턴에 강하게 압접하도록 구성한 것이다.
따라서 핀치롤러를 캡스턴에 접리하기 위한 시간을 단축할 수 있음과 동시에, 이 캡스턴에 대하여 핀치 롤러를 강하게 압접할 수 있을뿐 아니라, 예를 들면 포우즈 모든 조작을 하는 경우, 제2단 동작개시위치(제1단동작종료위치)까지, 캡스턴을 되돌리면 됨으로, 포우즈 모든 조작을 하기 위한 기구가 간단해진다.
또 핀치 롤러는 캡스턴에 급속하게 접근할때는, 스프링은 하등관여하지 않고, 핀치롤러가 캡스턴에 당접후에 있어서, 처음 상기 스프링이 핀치롤러를 캠스턴에 강하게 압접하도록 탄발력을 발생함으로, 필요시 이외에도 탄력이 작용함에 따라 구동원에 대한 여분 동력부하를 경감할 수 있다.
또 캠판으로 회동되는 제2회동암에 연결된 제1회동암에 회동지점은 스프링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동함으로, 핀치 롤러가 캡스턴에 강하게 압접함으로 가벼운 힘으로 핀치 롤러를 캡스턴에 강하게 압접할 수 있다.

Claims (1)

  1. 핀치롤러 지지암(19)을 회동시킴으로서 이 핀치롤러(18)를 캡스턴측(21)에 이동시키고, 캡스턴에 압접하도록된 테이프 주행장치에 있어서의 롤러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핀치롤러 지지암(19)에 연결하고, 이 핀치롤러 지지암과의 연결점에서 소정크기 떨어지는 제1작용점(O1) 및 이 제1작용점과 상기 연결점과의 사이에 위치하는 제2작용점(O2)등을 가지는 링크부재(20)와, 상기 제1, 제2작용점에 각각 관계하는 제1, 제2전달 기구(22, 23)와, 모터에 의하여 소정 각도범위 회전구동하는 캠판(7)과, 이 캠판에 형성된 제1, 제2캠부(15, 16)와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제2캠부는 상기 캠판이 일방향으로 소정 각도 회동하는 제1회동범위에서는 제1캠부(15)로 상기 제1전달기구 (22)의 동작을 금하면서 제2캠부(16)로 제2전달기구(23)를 통하여 제2작용점을 변위시킴으로서, 제1작용점을 중심으로 핀치롤러 지지암(19)을 회동시켜서 핀치롤러(18)를 캡스턴(21)에 급속히 접근시켜서, 캠판(7)이 제1회동범위에서 일정방향으로 소정각도 회동하는 제2회동범위에서는 제2캠부(16)로 제2전달기구(23)의 동작을 금지하면서 제1캠부(15)로 제2전달기구(23)를 통하여 제1작용점을 변위시킴으로 제2작용점을 중심으로 핀치롤러 지지암(19)을 회동시켜서 핀치 롤러를 캡스턴에 강하게 압접하도록 구성하고, 또 상기 제2전달기구(23)는, 대체로 중간부의 회동지점이 샷시에 소정범위 이동자재로 장착하고 또 일단이 상기 링크부재(20)의 제2작용점에 회동자재로 연결된 제1회동암(28)과, 대체로 중간부가 상기 샷시에 회동자재로 장착되고, 일단이 상기 캠판의 제2캠부에 계합함과 동시에 타단은 상기 제1회동암(28)의 타단에 회동자재로 연결된 제2회동암(29)과, 상기 샷시와 제1회동암의 대체로 중간부와의 사이에 가설된 스프링(30)으로 되고, 상기 핀치롤러는 캡스턴에 당접후에 있어서, 상기 제1회동암 (28)의 회동지점이 상기 스프링(30)의 탄지력에 저항하여 이동함으로서, 이 스프링의 탄발력을 상기 핀치롤러(18)를 캡스턴(21)에 강하게 상기 핀치롤러(18)를 캡스턴 (21)에 강하게 압접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테이프 주행장치에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KR2019870011604U 1987-07-15 1987-07-15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KR90001040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1604U KR900010406Y1 (ko) 1987-07-15 1987-07-15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870011604U KR900010406Y1 (ko) 1987-07-15 1987-07-15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443U KR890003443U (ko) 1989-04-13
KR900010406Y1 true KR900010406Y1 (ko) 1990-11-15

Family

ID=192652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870011604U KR900010406Y1 (ko) 1987-07-15 1987-07-15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900010406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337B1 (ko) * 2002-02-08 2004-03-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턴테이블모터 장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20337B1 (ko) * 2002-02-08 2004-03-0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전자레인지의 턴테이블모터 장착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03443U (ko) 1989-04-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408236A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910005104B1 (ko) 테이프 플레이어
US4819891A (en) Mode changing mechanism in tape recorder
KR900010406Y1 (ko)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US5144507A (en)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a single pinch lever assembly
US5029036A (en) Normal/reverse mode changing mechanism for tape transport apparatus
US5018401A (en) Translation cam means
KR880000805Y1 (ko) 자동반전식(反轉式) 카세트 플레이어(cassette player)
US5969900A (en) Tape drive unit where reverse rotation of a motor determines travel direction and speed of a tape
KR860001255B1 (ko) 테이프 레코오더
KR910000953Y1 (ko) 테이프 주행장치에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CA1334770C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with single drive source
US4656321A (en) Three position switch and switching device for a magnetic-tape-cassette apparatus
KR920002608B1 (ko) 음향재생장치
KR900010407Y1 (ko) 테이프 주행 장치에서의 테이프 이송장치
EP0395364B1 (en) A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0136511Y1 (ko) 테이프 레코더의 핀치아암 구동장치
US4597024A (en) Tape recorder having soft-touch control of an erase head
KR850001206Y1 (ko) 카세트 녹음기의 자동반전 재생장치
JPH0621063Y2 (ja) テ−プ走行装置におけるピンチロ−ラ駆動装置
JP2571718B2 (ja)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モード切換装置
JP2830006B2 (ja) カセットテープデッキ
KR100195427B1 (ko) 테이프 레코더
JP2535407Y2 (ja) テ−プ駆動装置の高速送り機構
KR86000174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구동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40826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