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255B1 - 테이프 레코오더 - Google Patents

테이프 레코오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255B1
KR860001255B1 KR1019830002497A KR830002497A KR860001255B1 KR 860001255 B1 KR860001255 B1 KR 860001255B1 KR 1019830002497 A KR1019830002497 A KR 1019830002497A KR 830002497 A KR830002497 A KR 830002497A KR 860001255 B1 KR860001255 B1 KR 86000125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rotating body
speed drive
high speed
ta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49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252A (ko
Inventor
타카마사 구라후지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40005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2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25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25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10Manually-operated control; Solenoid-operated contro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테이프 레코오더
제1도 내지 제25도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레코오더를 도시하는 바, 제1도는 본 발명이 용융된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전반적인 구성을 보여주는 평면도.
제2도는 주샤시를 제1도에 도시한 구성으로부터 제거시킨 상태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정속구동 기어와 정속구동 레버간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
제4도, 제4도는 각기 PLAY 조작판, REC 조작판, 그리고 정속로크 레버간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
제6도는 헤드슬라이더, 핀치(pinch)레버, 그리고 정속구동 레버간의 관계를 예시한 평면도.
제7도는 모터, 플라이휘일, 그리고 우측 리일테이블간의 회전력 이송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8도 내지 제10도는 제3도에 도시한 메커니즘(mechanism)의 동작상태를 표시한 도면.
제11도는 고속구동기어 및 고속구동 레버간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
제12도, 제13도는 각기 REW(rewind)조작판, FF(fast forward)조작판, 그리고 고속로크 레버간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
제14도는 테이프 이동을 위한 회전력 이송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제15도, 제16도는 각기 제11도에 도시한 메커니즘의 동작상태를 예시한 도면.
제17도는 FF 모우드에 있어서의 메커니즘을 예시한 평면도.
제18도는 테이프의 고속이동 모우드에 있어서의 고속구동기어 및 고속로크 레버간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
제19도는 REW 모우드에 있어서의 동작상태를 예시한 평면도.
제20도는 PAUSE 조작판과 고속로크 레버간의 관계를 예시한 도면.
제21도 내지 제23도는 각기 PAUSE 모우드, CUE 모우드 그리고 리뷰(review)모우드를 나타내고 있는 평면도.
제24도는 FF 레버, REW 레버, 릴리스(release)레버, 그리고 정속구동 기어간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
제25도는 제24도에 도시한 매커니즘의 동작상태를 예시할 것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주샤시 12 : 우측리일테이블
13 : 좌측리일테이블 14 : 헤드슬라이더
15 : 녹음겸 재생헤드 16 : 소거헤드
17 : 캡스턴 19 ; 모터
20 : 테이프카운터 21 : 소거예방레버
22 : 방측슬라이더 23 : 슬레노이드플란져
24 : 동작부 25 : 로크판
26 : 푸시푸시메커니즘 27 : 플라이휘일
28 : 구동기어 30 : 고속구동기어
31 : 자동정지매커니즘 32 : 정속구동레버
33 : 정속로크레버 34 : REC 구동슬라이더
35 : 중심플리 36 : 정속판
37 : 고속구동레버
〔발명의 배경〕
본 발명은 테이프 레코오더에 관한 것이며, 특히 구체적으로는 "소프트터치(Soft-touch)"동작스위치를 사용하기 적합한 테이프 레코오더에 관한 것이다.
최근 기계식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다양한 유형의 제어버튼들이 여러가지 테이프 이동기능을 제어하도록 소프트-터치동작 메커니즘에 설비되어 있다.
이러한 소프트 터치동작은 헤드샤시 등과 같은 이동부재들을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규정위치로 이동시킴으로써 실행됨에 따라, 이들 이동부재들을 제어버튼들의 어떤 동작턱에 의해 직접 이동하지 않음으로써 이들 제어버튼을 누르는데 요구되는 힘을 줄이고 있다.
그러나 소프트 터치에 의해 동작되는 버튼은 아직 도고로 발달되지 못해 여러가지 문제점들이 미해결된 상태로 남아있다. 예를들어, 종래의 소프트 터치동작 메커니즘은 크고 고전력 소모를 수반하여 지금까지 그 사용이 크고 질이 좋은 테이프 덱에로만 제한되어 있었다. 따라서 라디오가 부착된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 등과 같이 베터리로 동작되고 휴대용이며 소형인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에 사용할 수 있도록 전력소모가 적고 소형경량의 소프트-터치제어 메커니즘의 개발에 대한 필요성이 크게 존재하고 있다. 더우기, 소형이고 경량이며 전력소모가 적은것에 덧붙여서, 또한 일정한 순서로 다양한 유형의 이동부재들을 순탄하게 동작시키고 배터리의 전력고갈에 대해 안전보호책을 마련하기 위한 요구도 존재하고 있다.
종래의 소프트 터치특징을 지닌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는, 플레이 버튼이 예를들어 리뷰기능을 허용하도록 고속주행 모우드에서 동작될 때, 평상시와 다른 큰 부하가 모터에 기해져서 저전력 소모 특징에 역행하게 배터리 전력의 소모를 가속화시킨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은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안축되었는 바, 그 목적은 모터에 부과된 부하를 줄이고 그에따라 정상적인 테이프 이동동작 부재가 테이프의 고속이동시 동작될때 전력소모를 줄이면서 소프트-동작에 적합한 테이프 레코오더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1면에 따라 마련된 테이프 레코오더는 ; 모터와; 테이프가 감겨진 리일허브가 설치된 리일데이블과; 저속으로 테이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동작부재 및 고속으로 테이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동작 부재와; 상기 제2동작부재와 연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일테이블에 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기 위해 상기 테이블에 각기 모터의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도록 상기 제2동작부재의 비동작상태동안 제2상태에 유지하도록 되어있는 고속구동메커니즘과; 상기 제1동작부재와 연동할 뿐만 아니라,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리일테이블에 전달할수 있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의해 동작상태로 들어감에 따라 테이프르 저속으로 구동시키는 저속구동메커니즘과; 그리고 상기 고속구동 메커니즘을 제2상태에 유지시키는 동안 상기 저속구동 메커니즘이 비동작 상태로부터 동작상태로 변화하는 제2상태에 유지시키는 동안 상기 저속구동메커니즘이 비동작 상태로부터 동작상태로 변화하는 제어메커니즘으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모터에 부과된 부하는 상기 제1동작부재가 동작되면서 테이프가 고속으로 구동될때 감소되는 특징을 지닌다.
〔우선적인 실시예의 설명〕
본 발명의 1실시예에 의한 테이프 레코오더를 첨부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제1도, 제2도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주샤시를 상부 측으로부터 제거했을 때의 정면도 및 저면도이다.
제1도를 참조하면, 참조번호 11은 예를들어 플라스틱재로 성형하여 얻어진 거의 상자형의 주샤시이다. 테이프 카세트(도시하지 않음)의 1쌍의 리일허브가 설치된 우측리일테이블(12) 및 좌측리일 테이프(13)은 주샤시(11)의 거의 중앙부분에 회전 가능하게 설서되어 있다. 헤드슬라이더(14)는 우측 리일테이블(12)및 좌측 리일테이블(13)사이에서 화살표 A, B로 가리켜진 방향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어 있다. 녹음겸 재생헤드(이하, 레코드/플레이헤드라 칭함)(15) 및 소게헤드(16)는 제1도의 하부에서 서로
캡스턴(17)은 주샤시(11)의 하부(제1도 참조)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캡스턴(17)은 주샤시(11)의 하부표면에 배치된 플라이휘일의 회전샤프트(후술함)로서 기능한다. 핀치롤러(18)는 캡스턴(17)근처에 배치된다. 핀치롤러(18)는 핀치레버(181)의 1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핀치레버(181)의 타단부가 주샤시로부터 연장하는 피봇핀(182)주위에 맞추워져 있기 때문에, 핀치레버(181)는 피봇핀(182)주위로 회동한다 특히, 핀치레버(181)가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할때(제1도 참조), 핀치롤러(18)가 캡스턴(17)과 단단하게 접촉하게 된다.
모터(19)는 주샤시(11)의 최우측 부위(제1도 참조)에 배치된다. 테이프 카운터(20)는 모터(19)위의 주샤시(11)의 일부분에 배치되고, 벤트(201)를 통해 우측리일 테이블과 함께 연동한다.
주지의 우연적인 소거예방 레버(21), 카세트카버(미표시함)를 닫힘위치에 유지하고 그것을 닫힘위치로 부터 릴리스하며 열림위치로 유지하기 위한 방축슬라이더(22), 큐(cue)하기 위한(즉, 요망한 테이프 위치를 검축하기 위해 테이프의 블랭크 부분을 검축하기 위한)(솔레노이드 플란져(23)등의 주샤시(11)의 최좌측부위(제1도 참조)에 배치되어 있다.
제2도를 참조하면, 동작부(24)는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를 규정된 동작모우드 또는 정지모우드에 설정하기 위해 하위부분에 배치된다.
동작부(24)는 스톱/방출 모우드용 동작보오드(241), 녹음 모우드용 동작보오드(242), 리와인드 모우드용 REW 동작보오드(243), 플레이 모우드용 PLAY 동작보오드(244), 파스트 포워드 모우드용 FF 동작보오드(245), 그리고 포즈모우드용 PAUSE 동작보오드(246)가 상술한 순서대로 좌측에서 우측으로 배열된다.
이러한 보오들은 그들이 화살표 C로 표시된 방향에 따라 눌러지고 화살표 D로 가리켜진 방향을 따라 그 초기위치로 릴리수되게끔 지지되어 있다. 로그플레이트(25)는 화살표 E, F로 가리켜진 방향을 따라 접동자재할 수 있게 주샤시(11)위에 지지되어 있고, 조작판(241 내지 246)에 거의 수직이다. 조작판(241 내지 246)간의 REC, REW, PLAY 그리고 FF 조작판(242 내지 245)들은 이들이 눌러지고 그 필름위치에 로크되었을때 로크판(25)과 결합한다. STOP 조작판(241)는 로크판(25)에 의해 로크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조작판(242 내지 245)중 1개 또는 2개를 로크상태로부터 릴리스할 수 있도록 로그판(25)과 결합한다.
PAUSE 조작판(246)은 로크판(25)과 결합하지 않고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PAUSE조작판(246)는 주지의 푸시푸시(push-push)메커니즘(26)과 결합함에 따라, 녹음기 사용자가 PAUSE 버튼을 눌렀을때 PAU-SE판(246)은 눌러진 위치에 로크되고; 녹음기 사용자가 PAUSE 버튼을 다시 눌렀을때 PAUSE판(246)은 릴리스되고 그 로크되지 않은 위치로 돌아간다. 이 상태에서, 예를들어 플레이 모오드는 재시작하게 된다.
REW 및 FF 조작판(243)(245)은 좌측 리일테이블(13) 또는 우측리일테이블(12)을 선택적으로 고속으로 시계바늘 회전방향 또는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고속구동메커니즘(100)(후술함)을 구동시킨다. 따라서, 자기테이프는 다시 감기거나 또는 신속하게 앞으로 감기게 된다. 플레이 조작판(244)은 저속 메커니즘을 구동하여(이 경우에, 이것은 플레이 상태에 해당함으로, 정속구동 메커니즘 200으로 인용함)(이에 대해설 후술함)헤드슬라이더(14)가 화살표 A로 가리켜진 방향으로 활주함으로서, 녹음겸 플레이헤드(15)는 자기테이프와 꽉 접촉하게된다(미표시). 도시에, 핀치롤러(18)는 자기테이프를 통해 캡스턴(17)과 꽉 접촉하게 된다.
그후, 우측리일 테이블(12)은 테이프 이동이 플레이 모우드로 이루어질 수 있게 제1도에서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REC 조작판(242)은 녹음겸 플레이헤드(15)를 이동시키고 핀치롤러(18) 및 우측리일 테이블(12)을 플레이모우드에 있어서와 동일한 식으로 회전시키도록 정속구동 메커니즘(200)을 구동시킨다.
테이프 레코오더회로(미표시)는 녹음을 위해 지지테이프를 이송시키게 녹음모우드로 스위칭된다. 이 경우, REC 조작판(242)은 PLAY 조작판(244)과 함께 동작할 필요가 없어서, 녹음기 사용자는 녹음 모우드를 설정하게 REC 조작판(242)의 REC 버튼을 단지 누를 필요성이 있다. 소거헤드(16)느 헤드 슬라이더(14)과 연동하고 녹음겸 플레이헤드(15)와 함께 단지 녹음모우드에서 자기 테이프 꽉 접촉하게 된다. 플레이 모우드에 있어서, 소거헤드(16)는 자기테이프와 접촉될 수 없다.
제2도에 도시하였듯이, 플라이휘일(27) 및 구동기어(28)는 캡스턴(17)위에 동축으로 설치되어 있다.
캡스턴(17), 플라이휘일(27) 및 구동기어(28)는 서로 통합적으로 회전한다. 정속속도 구동기어(29) 및 고속구동기어(30)는 구동기어(28)의 양측에서 회전샤프트(291)(301) 위에 각기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정속 및 고속구동기어(29)(30)는 회전을 위해 구동기어(28)와 맞물리게 된다.
노치(후술함)는 정속 및 고속구동기(29)(30) 각각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정상상태 하에서, 정속 및 고속 구동기어(29)(30)의 노치들은 구동기어(28)와 대향함에 따라, 정속 및 고속구동기어(29)(30)는 회전할 수 없다.
REC 또는 PLAY 조작판(242) 또는 (244)등과 같은 정속테이프 이동조작판이 동작할때, 정속 구동기어(29)가 구동기어(28)와 맞물리고 그에따라 구동한다. 정속 구동기어(29)가 회전하자마자, 헤드 슬라이더(14) 및 핀치로울러(18)는 규정된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우측리일 테이블(12)은 회전한다. 결과적으로, 자기테이프는 정속으로 구동한다. REW 및 FF 조작판(243)(245)등과 같은 고속테이프 이동조작판에 동작할때, 고속구동기어(30)는 구동기어(28)와 맞물리게 된다. 고속구동기어(30)가 회전하자마자, 우측리일 테이블(12) 또는 좌측리일 테이블(13)은 선택적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 자기테이프를 고속으로 구동시키게 된다. 더우기, 고속 구동기어(30)는 구동기어(28)와 맞물리게 되고 PAUSE 조작판(246)이 동작할때 회전한다.
우측 및 좌측리일 테이블(12)(13)은 리일샤프트(121)(131)가 주샤시(11)에서 각기 실린더형 베어링(122)(132)에 꼭 맞게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우측 리일테이블(12)과 동축으로 통합적으로 회전하는 정속기어(123) 및 FF기어(124)는 리일테이블(12)위에 놓여지고 설치되어 있다.
REW 기어(133)는 좌측 리일테이블(13)과 동축을 이루고 있는 리일테이블(13)위에 설치되어 있다. REW 기어(133)는 좌측 리일테이블(13)과 함께 회전한다.
여러가지 유형의 기어(후술함)는 기어(123)(124)(133)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게 됨에 따라 우측 또는 좌측 리일테이블(12) 또는 (13)이 구동될 것이다. 자동정지 메커니즘(ASO 메커비즘으로 인용함)은 우측 리일테이블(12)근처에 배치된다.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전반적인 구성 및 동작을 앞서 설명하였다. 이제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의 구성 및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정속구동메커니즘(200)에 대해 제3도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3도는 정속 구동기어(29)의 상세한 구조를 보여주고 있다. 노치(292)는 앞서 설명하였듯이 정속구동기어(29)의 중심에 관하여 약 90°의 각도를 이루게 정상속도 구동기어(29)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캠(293)은 정속구동기어(29)의 1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계지부(294)(295)는 정속구동기어(29)의 타측에 형성되어 있다.
캠(293)은 평평한 제1부분(296)과 호를 이룬 제2부분(297)로 구성되어 있다. 계지부(294)는 정속구동기어(29)의 외주면에 형성되어 있고, 계지부(295)는 그 내쪽 주변부에 형성되어 있다. 계지부(294)(295)는 정속구동기어(29)의 중심에 관하여 약 45°의 각도를 이루게 형성되어 있다.
정속구동레버(32)는 캡(293)과 맞물리고, 정속로크레버(33)는 계지부(294)(295)와 맞물린다. 정속구동레버(32) 및 정속로크레버(33)는 피봇핀(331)에 관하여 회동하게끔 주샤시(11)위에 연장하는 피봇핀(331) 위에 동축으로 설치된다. 정속구동레버(32)는; 피봇핀(331)주위에 맞도록 하는 근접부를 지닌 거의 U형인 두꺼운 부분(321); 그리고 개구를 지닌 얇은 부분(322)으로 구성된다.
정속구동레벨(32)의 두꺼운 부분(321)의 1개의 아암(323)의 내쪽 표면은 캠(293)과 인접하는 계합부(324)를 구성한다. 구동부분(326)은 헤드슬라이더(14)를 이동시키도록 두꺼운 부분(321)의 타아암(325)의 먼쪽의 단부를 구성되어 있다.
세장형의 구멍(327)은 정속구동기어(29)의 회전샤프트(291)에 관하여 정속구동레버(32)의 피봇운동을 막지않도록 얇은 부분(322)에 형성되어 있다. 정속구동레버(32)는 제3도에서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비틀림 스프링(미표시, 그러나 후술함)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아암(34)의 계합부(324)는 캠(293)과 꽉 접촉하게 된다.
로크부분(332)은 정속구동기어(29)의 계지부(294)(295)와 선택적으로 맞물리게끔 정속로크레버(33)로부터 연장함에 의하여 정속구동기어(29)의 회전을 예방한다.
정속로크레버(33)는 스프링(미표시)에 의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바이어스 되어있다. 정속로크레버(33)는 로크부분(332)이 정속구동기어(29)의 계지부(294)와 맞물릴 때까지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제3도참조).
정속로크레버(33)의 로크부분(332)이 정속구동기어(29)의 계지부(294)에 의해 정지되었을때, 정속구동기어(29)의 노치(292)는 구동거어(28)와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 정속구동레버(32)의 계합부(324)는 캠(293)의 제1(편평한)부분 (296)을 압압함에 따라제3도에서 정속구동기어(29)를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바이어스 시킨다.
그러나, 정속로크레버(33)의 로크부분(332)이 정속구동기어(29)의 계지부(294)에 대하여 접함에 따라, 정속구동기어(29)는 회전하지 않게되고 이에따라 구동기어(29)와 맞물리지 않게 된다.
위의 상태에서, REC 또는 PLAY 조작판(242) 또는 (244)가 동작할때, 정속로크레버(33)의 로크부분(332)은 후술하는대로 정속구동기어(29)의 계지부(294)로부터 떨어질다. 이런 이유때문에, 정속구동기어(29)는 정속구동레버(32)를 통해 인가된 압압된 함에 의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구동기어(23)와 맞물리게 된다.
제4도, 제5도는 PLAY 조작판(244), REC 조작판(242), 그리고 정속로크레버(33)간의 위치관계를 보여주는 동작상태를 예시하고 있다.
제4도에서, 실질적으로 칼럼을 이루고 있는 계합부(333)는 정속로크레버(33)으로부터 외쪽으로 연장한다. 돌출부(334)는 정속로크레버(33)의 계합부(333)와 맞물릴 수 있도록 PLAY 조작판(244)의 1측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 돌출부(334)는 PLAY 조작판(44)이 제4도의 화살표 C로 가리켜진 방향에서 움직일때 정속로크레버(33)의 계합부(333)와 간섭하지 않은 경사진 부분(335)을 지니고 있다. 이런 이유때문에, PLAY 조작판(244)가 동작하게 되었을때 계합부(333)는 경사진부분(335)에 의해 압압되어져서 정속 로크레버(33)는 제4도에서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
결과적으로, 정상상태하에서 로크를 이룬 레버(33)의 로크부분(332)은 전속구동기어(29)의 계지부(294)로부터 릴리스된다.
PLAY 조작판(244)이 플레이 모우드에서 로크판(25)과 로크될때, 정속로크레버(33)는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의 회동에 의하여 얻어진 위치에 의해 보지된다(제4도 참조). 정속로크레버(33)가 이런식으로 유지될때, 로크부분(332)은 정속구동기어(29)의 계지부(295)의 외곽표면이 회전하게 되는 통로에 위치한다.
제5도를 참조하면, REC 조작판(242)는 그 동작방향에(즉 제5도의 화살표 C로 가리켜진 방향에 수직인 방향에서)배치된 REC 구동슬라이더(34)와 맞물린다. REC 구동슬라이더(34)는 주샤시(11)위에 접동 자재하게 지지되어 있고 제5도에서 우측으로 스프링(미표시)에 의해 바이어스 되어있다. 계합부(341)는 REC 구동슬라이더(34)의 1단부에 형성되어 있어 정속로크레버(33)의 계합부(333)와 맞물린다. 절곡 계합편(343)은 REC 구동슬라이더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고 REC 조작판(242)에 형성된 안내공(342)에 느슨하게 맞도록 되어있다.
REC 조작판(242)의 안내공(342)은 REC 조작판(242)이 화살표 C로 가리켜진 방향을 따라 움직일때(제5도 참조)REC 구동슬라이더(34)가 좌측으로 미끄러지게끔(제5도 참조)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REC 조작판(242)이 움직일때, REC 구동슬라이더(34)는 제5도에서 좌측에서 미끄러지고 정상속도 록레버(33)의 계합부(333)가 계합부(341)에 의해 압압된다. 결과적으로, 정속로크레버(33)가 제5도에서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하고 정속로크레버(33)의 로크부(332)가 정속구동기어(29)의 계지부(294)로부터 이탈한다. 이 상태에서, REC 조작판(242)이 로크판(25)에 의해 로크될때, 정속로크레버(33)는 제5도에서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한 후에 어떤 위치에 보지된다. 정속로크레버(33)이 이런식으로 보지될때, 로크부(332)는 정속구동기어(29)의 외주면이 회전할 통로에 위치한다.
정속로크레버(33)는 플레이 및 녹음모우드에서 동일거리 만큼 회동한다. 장공(328)은 정속구동레버(32)의 두꺼운 부분(321)에 형성되어 있어, 정속구동레버(32) 및 정속로크레버(33)가 정속로크레버(33)의 계합부(333)와 결합함이 없이 회동할 수 있게 한다.
정속구동레버(32)의 구동부(326)는 주샤시(11)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느슨하게 맞도록 관통구멍을 통해 주샤시(11)의 상측으로 연장된다. 제6도에 도시하였듯이, 헤드슬라이더(14)에 배치된 비틀림스프링(141)의 1단부는 구동부(326)와 결합하고, 동시에 핀치레버(18)상에 배치된 비틀림 스프링(183)의 1단부는 구동부(326)와 결합한다. 비틀림스프링(141)의 중심부는 헤드슬라이더(14)의 녹음겸 플레이헤드(15)가 설치된 일부분에 배치된 지지편(142)주위에 권회되어 있다. 비틀림스프링(141)의 2개의 단부들은 헤
비틀림스프링(145)의 중심부는 주샤시(11)로부터 상측으로 연장하는 지지핀(146)주위에 권회되어 있다. 비틀림스프링의 타단부는 주샤시(11)로부터 연장하는 계지부(147)에 의해 계지되어, 비틀림스프링(145)은 화살표 B로 가리켜진 방향에서 헤드슬라이더(14)를 압압한다. 이 때문에, 헤드슬라이더(14)는 스톱 모우드에서 화살표 B로 가리켜진(제6도 참조)방향으로 움직인다.
비틀림스프링(141)의 1단부는 정속구동레버(32)의 구동부(326)를 압압한다. 제3도를 참조하여 이미 설명하였듯이, 정속구동레버(32)는 제3도에서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바이어스 되어있다. 달리말해, 정속구동레버는 비틀림스프링(145)에 의해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제3도 참조)바이어스 된다.
비틀림스프링(183)은 중심부는 핀치레버(181)의 피봇핀(182)주위에 권회되어 있다. 비틀림스프링(183)의 그 단부들은 핀치레버(181)상에 연장하는 각기 계지부(184)(185)에 의해 계지되어 있다.
비틀림스프링(183)은 핀치레버(181)에 어떠한 바이어스 힘도 가하지 않는다. 계합부(148)는 핀치레버(181)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하는 돌출부(186)와 결합하도록 헤드슬라이더(14)의 아래쪽 우측부분(제6도 참조)에 형성된다. 따라서, 헤드슬라이더(14)가 제6도의 화살표 B로 가리켜진 방향에서 변위된 정지모우드에서, 핀레버(181)는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연동하고 캡스턴(17)으로부터 핀치로울러(18)를 분리하도록 이렇게 연동된 위치에서 보지된다.
제7도에 도시하였듯이, 모티플리(192)(193)는 모터(19)의 회전축(191)주위에 동축으로 설비되어 있다. 모터플리(192)는 벨트(194)를 통해 모터(19)의 회전력을 플라이휘일(27)에 자유롭게 전달하도록 모터(19)에 결합되어 있다. 모터풀리(193)는 모터(19)의 회전력을 벨트(195)를 통해 중심플리(35)로 자유롭게 전달하도록 모터(19)에 결합된다. 중심의 풀리(35)는 주샤시(11)위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중심기어(351)는 중심풀리(35)와 동축을 이룰 수 있도록 통합 형성되어 있다. 정속판(36)은 중심풀리(35)근체어 배치된다. 정속판(36)은 중심풀리(35)의 회전축(352)주위로 회동하도록 주샤시(11)에 지지되어 있다. 힘전달기어 기어(361)는 정속판(36)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어 중심기어(351)와 맞물린다.
정속판(36)은 중심풀리(35)의 회전축(352)주위로 회동한다.
결과적으로, 기어(361)는 정속판(36)이 회동할지라도 기어(351)와 항시 맞물린다.
종속판(36)으 그 1단부에 형성된 훅(362)과 주샤시(11)에 형성된 계합부(363) 사이에 설치된 코일 스프링(364)에 의해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바이어스 되어있다(제6도 참조).
힘 전달기어(631)은 우측 리일테이블(12)의 정속기어(123)과 맞물린다. 계합부(365)는 정속판(36)의 1단부에서 연장한다.
헤드슬라이더(14)의 상단부(제7도 참조)는 계합부(36)와 상측에서 하측으로 계합하도록(제7도 참조)경사진 표면을 지닌 계합부(366)를 가지고 있다.
전지모우드에서, 헤드슬라이더(14)가 화살표 B로 가리켜진 방향에서 움직임에 따라(제7도 참조). 헤드슬라이더(14)의 계합부(366)는 정속판(36)의 계합부(366)를 압압한다. 정속판(36)은 스프링(364)의 바이어스 힘에 대해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연동하여(제7도)참조), 힘 전달기어(361)는 정속기어(123)로부터 분리된다.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정지모우드에서 헤드슬라이더(14)는 화살표 B로 가리켜진 방향을 따라 비틀림스프링(145)에 의해 아래쪽으로 압압한다(제6도 참조).
따라서, 핀치레버(181)는 제6도에서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하는 위치에 보지된다. 이에따라 핀치로울러(18)는 캡스턴(17)으로부터 분리된다. 동시에, 정속판(36)은 제7도에서 시계바늘 회전방향에서 연등하여, 힘 전달기어(361)는 정속기어(123)로부터 분리된다. 정지모우드에 있어서, 제4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식으로 플레이 모우드로 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를 설정하기 위해 PLAY 조작판(244)이 동작되었다고 가정하자, 이미 설명하였듯이, 정속로크레버(33)는 제4도에서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정속로크레버(33)의 로크부분(332)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정속구동기어(29)의 계지부(294)로부터 분리된다. 이때 정속구동기어(29)는 구동기어(28)와 맞물린다.
PLAY 조작판(244)이 조작되었을때, 전력리이프(leaf)스위치가 스위치 슬라이더를 통해 절환되고, 이때 모터(19)가 시동함에 따라 플라이휘일(27) 및 중심풀리(35)는 제7도와 같이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전력리치프 스위치는 스위치 슬라이더를 통해 PLAY 조작판 뿐만 아니라 REC, REW, FF 조작판(242)(243)(244)을 제어함을 유의해야 한다. 플라이휘일(27)이 회전할때, 구동기어(28)은 제3도에서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한다. 이 때문에, 제8도에 도시하였듯이, 접속구동기어(29)는 구동
둘째, 정속구동기어(29)상에 형성된 캠(293)의 현을 이룬 부분(297)은 정속구동레버(32)의 계합부(324)를 압압힌다.
결과적으로, 정속구동레버(32)는 제8도에서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
정속구동레버(32)의 구동부(326)는 헤드슬라이더(14)에 배치된 비틀림스프링(141)의 1단부 및 핀치레버(181)에 배치된 비틀림스프링(183)의 1단부를 위쪽으로 압입한다(제6도 참조). 따라서, 헤드슬라이더(14)는 제6도에서 화살표 A로 가리켜진 방향에서 비틀림스프링(145)의 바이어스력에 대한 미끄러진다. 핀치레버(181)는 비틀림스프링(183)을 통하여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제6도 참조).
제9도에 도시하였듯이, 정속구등기어(29)가 314회 만큼 회전하고 그 노치(292)가 구동기어(28)와 대향하여 할때, 정속구동레버(32)는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고 또 그 회동된 위치에 보지된다.
이 경우에, 헤드슬라이더(14)는 헤드슬라이더(14)에 설치된 녹음겸 플레이헤드(15)가 다음의 방식대로 최적 압력에서 자기테이프와 적절하게 접속하게 될때까지 제6도의 화살표 A 로 가리켜진 방향에서 미끄러진다. 헤드슬라이더(14)의 최적위치에 해당하는 계합부(미표시)는 주샤시(11)에 형성되어 있고 헤드슬라이더(14)에 대해 접한다. 핀치레버(181)는 핀치로울러(18)가 캡스턴(17)과 접할때까지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제6도 참조).
제9도에 도시한 위치로 이동될 정소구동레버(32)의 행정은 헤드슬라이더(14) 및 핀치로울러(181)의 행정 각각보다 더 길게 설정되어 있다. 정속구동레버(32)가 제9도에 도시한 위치로 회동함때, 그 구동부(326)는 헤드슬라이더(14)에 배치된 비틀림스프링(141)의 1단부 및 핀치레버(181)상에 배치된 비틀림스프링(183)의 1단부를 헤드슬라이더(14)의 계지부(144) 및 핀치레버(181)의 계지부(185)로부터 각기 분리시키도록 위쪽으로 압압한다. 비틀림스프링(141)(183)은 헤드슬라이더(14) 및 핀치레버(181)에 바이어스를 잡아주는 힘을 가한다. 헤드슬라이더(14)는 녹음겸 플레이헤드(15)가 최적의 압력에서 자기테이프와 적절한 접촉을 이루는 위치에서 비틀림스프링(141)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보지된다. 핀치로울러(18)는 자기테이프를 통하여 캡스턴(17)과 단단한 접촉을 이룰 수 있도록 비틀림스프링(183)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압압된다.
이 상태에서, 비틀림스프링(141)(183)(145)의 바이어스력이 합쳐진 힘이 구동부(326)를 통해 정속구동레버(32)에 인가된다. 정속구동기어(29)는 제9도에 도시한 위치로부터 구동기어(28)의 회전력에 의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약간 회전한다(제9도 참조)
결과적으로, 제10도에 나타나 있듯이, 정속구동레버(32)의 계합부(324)는 정속구동기어(29)의 캠(293)의 제1(평편한)부분(296) 및 제2(아아치형)부분(297)간의 경계에 대향하고 있다.
앞서 설명하였듯이, 정속구동기어(29)가 제9도에 도시한 위치에 있을때, 비틀림스프링(141)(183)(145)의 바이어스력의 합이 정속 구동레버(32)에 인가되고 캠(293)을 통해 회전축(291)으로 이송된다. 정속구동기어(29)가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위치하기 이전에(즉, 구동기어 29가 회전중이기 전에), 정속구동레버(32)에 인가된 바이어스력이 캠(293)에 인가된다. 정속구동기어(29)가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8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바이어스 되지만, 정속구동기어(29)는 정속구동레버(32)에 인가된 바이어스력이 캠(293)에 인가된다. 정속구동기어(29)가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8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바이어스 되지만, 정속구동기어(29)는 정속구동레버(32)에 인가된 바이어스력이 캠(293)에 인가된다. 정속구동기어(29)가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전하도록 제8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바이어스 되지만, 정속구동기어(29)는 정속구동레버(32)에 인가된 바이어스력에 대한 구동기어(29)의 회전력에 의하여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제8도 참조). 그러나, 캠(293)은 정속구동기어(29)가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위치했을때 정속구동레버(32)에 인가된 바이어스력을 수신함에 따라, 정속구동기어(29)는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바이어스된다(제10도 참조). 캠(293)의 형상 및 회전축(291)의 위치는 상술한 동작을 실행하도록 결정된다.
제10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정속구동기어(29)는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바이어스 되어있다. 그러나, 정속구동기어(29)의 계지부(295)가 정속로크레버(33)의 로크부(332)에 의해 정지되기 때문에, 정속구동기어(29)는 회전하지 않을 것이다.
결과적으로 정속구동기어(29)와 정속구동레버(32)는 제10도에 도시한 각각의 위치에 확고하게 보지된다. 이 상태에서, 정속구동기어(29)의 노치(292)는 구동기어(28)와 완전히 대향함에 따라, 구등기어(28)로부터 나온 유도력은 정상 구동기어(29)에 전달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헤드슬라이더(14) 및 핀치로울러(18)는 제6도에 도시한 각자의 위치에 적당히 보지된다.
헤드슬라이더(14)가 화살표 A로 가리켜진 방향에서 미끄러질때, 그 계합부(366)는 정속판(36)의 계합부(365)로부터 분리된다.
정속판(36)은 스프링(364)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제6도참조). 제7도에 도시하였듯이, 전달기어(361)는 정속기어(123)와 맞물림에 따라 모터(19)의 회전력은 모터풀리(193), 벨트(195), 중심풀리(35), 중심기어(351), 전달기어(361), 그리고 정속기어(123)를 통해 우측리일 테이블(12)에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우측리일 테이블은 제7도에서 시계바늘 회전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고 자기 테이프는 플레이모우드 방향에서 움직인다.
STOP 조작판(241)이 플레이 모우드에서 조작될때, 로크판(25)에 의해 로크된 PLAY 조작판(244)이 릴리스 된다. PLAY 조작판(244)은 제4도에서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고 비조작 위치로 돌아간다.
이 상태에서 정속로크레버(33)는 제4도에서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하고 비동작 위치로 돌아간다. 이 때문에 제10도에 도시하였듯이 정속구동기어(29)의 계지부(295)에 의해 계지되는 정속로크레버(33)의 로크부(332)는 계지부(295)로부터 분리된다.
정속구동기어(29)가 종속구동레버(32)를 통해 제10도에서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바이어스됨에 따라, 구동기어(29)는 그 계지부(294)가 정속로크레버(33)의 로크부(332)에 의해 계지될 때까지 제10도에서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런식으로, 정속구동기어(29)는 (비조작임)정지위치로 돌아간다. 이런 운동이 있자마자, 정속구동레버(32)는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여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초기위치에 보지된다. 헤드슬라이더(14)는 화살표로 가리켜진(제6도 참조)방향을 따라 미끄러지고 핀치레버(181)는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제6도 참조)회전한다. 헤드슬라이더(14) 및 핀치레버(181)가 움직이자마자, 정속판(36)은 제7도에서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녹음겸 플레이헤드(15) 및 핀치레버(181)가 움직이자마자, 정속판(36)은 제7도에서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 녹음겸 플레이헤드(15)는 테이프로부터 분리되어, 핀치로울러(18)는 캡스턴(17)으로부터 분리된다. 동시에, 전달기어(361)가 정속기어(123)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정지모우드를 설정하게 된다.
테이프레코오더의 동작모우드를 정지모우드에서 녹음모우드로 변화시키기 위해 REC 조작판(242)이 제5도에 도시한 상태에서 움직인다로 가정하자. 이미 설명하였듯이, 정속로크레버(33)는,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제5도 참조).
헤드슬라이더(14) 및 핀치로울러(18)는 플레이모우드에 있어서와 동일한 방식으로 규정위치에 유지된다. 동시에, 전달기어(361)는 정속기어(123)와 맞물림에 따라 자기테이프를 구동한다.
녹음모우드에서, STOP 조작판이 조작되었을때, 로크판(25)에 의해 로크된 REC 조작판(242)이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릴리스 된다. REC 조작판(242)은 아래쪽으로 미끄러지고(제5도 참조)비조작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때 REC 구동슬라이더(34)는 우측으로 미끄러져가고(제5도 참조), 정속로크레버(33)는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제5도 참조) : 이미 설명하였듯이, 헤드슬라이더(14), 핀치레버(181), 정속판(36) 등이 그들 각자의 초기위치로 돌아간다. 결과적으로, 정지모우드가 설정된다.
이제 고속구동 메커니즘(100)을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제11도는 고속구동기어(30)의 상세한 구조를 예시하고 있다. 노치(302)는 고속구동기어(30)의 주변부의 일부에 형성되어 그 중심에 관해 약 90°의 각을 이루고 있다, 캠(303)은 고속구동기어(30)의 1표면부에 형성되고 2개의 계지부(304)(305)는 그 타표면부로부터 연장한다. 캠(303)은 편평한 제1부분(306)과 아아치형의 제2부분(307)을 지니고 있다. 계지부(304)는 고속구동기어(30)의 표면영역의 내쪽 부분에 형성되고, 계지부(305)는 그 표면영역의 외측부분에 형성된다. 계지부(304)(305)는 그 사이에 약 45°의 각을 이루게 간격지어져 있다.
고속구동레버(37) 및 고속도로크레버(38)는 각기 캠(303)과 계지부(304),(305)중의 하나와 결합한다. 실질적으로, 고속구동레버(37)의 중심은 주샤시(11)로부터 연장하는 피봇핀(371) 주위에서 회동한다. 계합부(372)는 고속구동기어(30)의 캠(303)과 접할 수 있도록 고속구동레버(37)의 1단부에 형성된다. 칼럼형의 구동부(373)는 후술한 제어레버와 결합하도록 고속구동레버(37)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고속구동레버(37)는 제11도에서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바이어스되어 있고, 그 계합부(372)는 캠(303)과 탄탄하게 접촉하게 된다.
실질적으로, 고속 모로크레버(38)의 중심은 주샤시로부터 연장하는 피봇핀 주위에 회동할 수 있도록 지지된다. 로크부(392)는 고속구동기어(30)의 계지부(304) 또는 (305)와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고속로크레버(38)의 1단부에 형성됨에 따라 고속구동기어(30)의 회전을 막는다. 고속로크레버(39)는 제11도에서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스프링(미표시)에 의해 바이어스된다. 고속로크레버(38)는 그 로크부(282)가 고속구동기어(30)의 계지부(304)와 결합할 때까지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제11도 참조).
고속로크레버(38)의 로크부(382)가 계지부(304)와 결합하는 상태에서, 고속구동기어(30)의 노치(302)는 구동기어(28)와 대향한다. 이경우에, 고속구동 레버(37)의 계합부(372)는 캠(303)의 제1의 편평한 부분을 압압함에 따라 고속구동기어(30)를 제11도에서 처럼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바이어스시킨다. 그러나, 고속 로크레버(38)의 로크부(382)가 고속로크레버(38)의 개지부(304)와 결합하기 때문에, 고속구동기어(30)는 구동기어(28)와 맞물리지도 않고 단 그에 의해 회전하지도 않는다.
한 계합편(383)는 고속 구동 슬라이더(39)와 결합하도록 고속 로크레버(38)의 타단부에 형성된다. 고소구동 슬라이더는 로크판(25)와 병렬로 배치되고 수평방향에서 미끄러질 수 있도록 주샤시(11)에 지지된다(제11도 참조). 고속 구동 슬라이더(39)는 스프링(미표시)에 의해(제11도에서)좌측으로 바이어스된다.
후술 하듯이, 고속구동 슬라이더(39)는 REC 또는 FF조작판 (243) 또는 (245)와 연동할 수 있도록 스프링의 바이어스력에 대해 우측으로 미끄러진다(제11도 참조).
고속 구동 슬라이더(39)가 우측으로 미끄러질때(제11도 참조), 고속구동 슬라이더(39)는 고속 로크레버(39)의 계합편(383)을 동일방향에서 압압시킨다. 이때 고속 로크레버(38)는 제11도에서 시계 바늘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 고속 로크레버(38)의 로크부(382)는 고속 구동기어(30)의 계지부(304)로 부터 분리된다. 이때 고속 구동기어(30)는 고속 구동레버(37)를 통해 연가된 바이어스력에 의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제11도 참조).
제12도는 REW조작판(24) 및 FF조작판(245) 및 고속구동 슬라이더(39)간의 관계를 보이고 있다. 특히, REW조작판(243) 및 FF조작판(245)에 각기 대응하는 계합편(391)(292)은 고속구동 슬라이더(39)에 형성되어 있다. 경사진부분(393)(394) 각각은 REW조작판(243) 및 FF조작판(245)이 동시에 화살표 A로 가리켜진 방향으로(제12도 참조) 움직이는 상태에서 고속구동 슬라이더(39)의 계합편(391)(392) 각각을 압압하도록 REW조작편(243) 및 FF조작편(245)중 대응하는 것에 형성되어 있어, 고속구동 슬라이더(39)를 우측으로 미끄러지게 한다(제12도 참조). REW조작판(243)이 제1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동작할때, 고속구동 슬라이더(39)의 계합편(391)은 경사진 부분에 의해 압압된다. 고속 구동 슬라이더(39)는 우측으로 미끄러진다(제12도 참조).
고속 구동 슬라이더(39)가 움직이자마자, 고속 로크레버(38)는 시계바늘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제12도 참조). 결과적으로, 고속 로크레버(38)의 로크부(382)는 고속 구동기어(30)의 계지부(304)로 부터 분리된다. 조작판(243)이 리와인드 모우드에서 로크판(25)에 의해 로크되었을 때, 고속 로크레버(38)는 시계바늘 회전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제11도 참조) 회동된 위치에 보지된다. 고속로크 레버(38)가 로크된 위치에서, 그 로크위치는 고속구동기어(30)의 계지부(305)의 외주면이 회동하는 통로에 위치한다.
제13도에 도시하였듯이, FF조작판이 화살표 A로 가리켜진 방향으로 움직일때, 경사진 부분(394)은 고속 구동 슬라이더(39)의 계합편(392)를 압압하고, 이때 고속 슬라이더(39)가 우측으로 미끄러진다. (제13도 참조). 고속 로크레버(38)는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제11도 참조) 고속 로크레버(38)의 로크부분(382)을 고속 구동기어(30)의 계지부(304)로부터 분리시켰다. 로크 판(25)이 로크되어 있는 동안 FF조작판(245)이 조작상태에서 이동할때, 고속 로크레버(38)는 (제11도에서 시계바늘 회
고속구동레버(37)의 칼럼형 구동부분(373)은 주 샤시(11)에 형성된 관통구멍(미표시)을 통하여 주 샤시(11)의 상부면으로 연장한다. 칼럼형 구동부분(373)은 이 관통구멍에서 느슨하게 맞추어진다. 제14도에 도시하였듯이, 칼럼형 구동부분(373)은 (제1도의 검선으로 가리켜진)제어 레버의 1번과 결합한다. 실질적으로 제어레버(40)의 중심은 주샤시(11)에 배치된 피봇핀(401)주위로 회동할 수 있게지지 된다. 굽혀진 계합편(402)은 고속 구동레버(37)의 칼럼형 구동부분(373)과 접할 수 있도록 제어레버(40)의 상
제14도에 도시하였듯이, 고속기어(353)는 중심플리(35)에 설치되어 있다. 고속기어(353)는 중심기어(351)외부에 동축으로 배치되고 함께 회전한다. 전달기어(421)(422)는 FF레버(43)의 1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달기어(421)는 전달기어(422)에 동축으로 겹쳐함께 회전한다. 전달기어(421)는 고속기어(353)와 맞물려, 전달기어(422)는 FF기어(124)와 맞물릴 수 있다. FF레버(42)의 타단부는 주 샤시(11)로부터 연장하는 피봇된(423)주위에 맞추어져 있어 그 주위에서 회동한다. FF레버(42)가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할때(제14도 참조), 전달기어(421)(422)는 고속기어(353) 및 FF기어 (124)와 각기 맞물린다.
비틀림 스프링(424)의 중심부는 FF레버(42)의 리봇핀(423)주위에 권회된다. 비틀림 스프링(424)의 2개의 단부는 각기 FF레버(42)의 계지부(425)(426)에 의해 계지된다. 이 상태에서, 비틀림 스프링(424)는 FF레버(42)에 어떠한 바이어스력도 가하지 않는다. 계합부(427)는 FF레버(42)의 계지부(426)에 의해 계지되는 비틀림 스프링(424)의 단부와 결합할 수 있도록 FF조작판(245)의 위쪽단부에 형성된다(제14도 참조). FF조작판이 비조작위치에 보지될때, 계합부(247)는 비틀림 스프링(424)의 단부로 부터 약간 떨
주 샤시(11)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 역회전 기어(134)는 좌측 리일테이블(13)의 REW기어(133)와 맞물린다. 전달기어(431)(432)는 역회전기어(134)상의 REW레버(43)의 1단부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전달기어(431)의 직경은 전달기어(432)의 그것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이들기어(431)(432)는 동축을 이루고 함께 회전한다. 전달기어(431)는 고속기어(353)와 맞물릴 수 있고, 전달기어(432)는 역회전기어(134)와 맞물릴 수 있다. 실질적으로 REW레버(43)의 중심은 좌측 리일 테이블(13)의 리일축(131)주위에 회동할 수 있게 주샤시(11)위에 지지되어 있다. REW레버(43)가 시계바늘회전 방향으로 회동할때(제14도 참조), 전달기어(431)(432)는 고속기어(353) 및 역회전기어(134)와 각기 맞물린다.
실질적으로 비틀림 스프링(433)의 중심은 좌측리일 테이블(13)의 베어링(132)주위에 권회한다. 비틀림 스프링(433)의 2단부들은 REW레버(43)위에 형성된 계지부(434)(435)에 의해 계지된다. 비틀림 스프링(433)은 REW레버(43)에 어떠한 바이어스력도 가하지 않는다. 계합부(436)는 계지부(435)에 의해 계지될 수 있는 비틀림 스프링(433)의 단부와 계합할 수 있도록 REW조작판(43)의 성축단부에 형성된다(제14도 참조). REW조작판(243)이 비조작위치에 위치할때, 계합부(436)는 비틀림 스프링(433)의 단부로 부터
제어부(437)는 제어레버(40)의 제2아암(405)의 내측과 계합한다. 후크(429)는 FF레버(42)의 타단부에 형성되어있다. 마찬가지로, 후크(438)은 REW레버(43)의 타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코일스프링(44)은 후크(429)(438)사이에 설치된다. FF레버(42) 및 REW레버(43)가 시계바늘 회전 방향으로 바이어스되지만(제14도 참조)이들은 단지 제14도에 도시한 위치에 도달할때까지 회동한다.
테이프 레코오더를 FF모우드에 설정하게 FF조작판(245)이 화살표 A로 가리켜진 향으로 움직인다고 가정하다(제14도 참조). FF조작판(245)의 계합부(427)는 FF레버(42)의 비틀림 스프링(424)의 단부를 상측으로 압압한다. 이 상태에서, FF레버(42)의 중앙부(428)가 제1아암(404)의 내측면에 정지되기 때문에, FF레버(42)는 제14도에서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하지 않는다. 그러나, FF조작판(245)이 화살표A로 가리켜진방향에서 충분히 미끄러지기 때문에, 비틀림 스프링(424)의 단부는 계합부(427)에 의해 상측
FF조작판(245)이 화살표 A로 가리켜진 방향에서 움직일때, 고속로크레버(38)의 로크부분(382)는 고속구동기어(30)의 계지부(304)로 부터 이탈한다. 이때 고속구동기어(30)는 구동기어(28)와 맞물린다. FF조작판(245)이 이동하자마자, 리이프전력 스위치는 턴언되어, 모터(19)는 회전하고 구동기어(28)는 제11도에서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구동한다. 고속구동기어(30)는 구동기어(28)의 회전력에 의해 시계바늘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제11도 참조). 제15, 16도에 도시하였듯이, 캠(303)의 제2부분(307)은 고속구동
제17도에 도시하였듯이, 구속구동레버(37)의 칼럼형 구동부분(373)은 제어레버(40)의 굽혀진 계합편(402)를 압압함에 따라, 제어레버(40)를 비틀림 스프링(41)의 바이어스력에 대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킨다(제17도 참조). FF레버(42)의 제어부(428)는 제어레버(40)의 제1아암(404)으로 부터 릴리스한다. 따라서, 레버(42)는 비틀림 스프링(424)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제17도 참조). 전달기어(421)(422)는 각기 고속기어(353) 및 FF기어 (424)와 맞물린다. 모터(19)의 회전력은 벨트(195), 중심풀리(35), 고속기어(353), 전달기어(421)(422), 그리고 기어(124)를 통해 우측리일 테이블(12)로 전달된다. 결과적으로, 우측리일 테이블(12)은(제17도에서)고속으로 시계바늘 회전반대 방향으로 회전한다.
고속구동기어(30)가 1회전의 약 3/4반큰 회전했을 때, 구속구동기어(30)의 계지부(305)는, 제18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고속 로크레버(38)의 로크부분(382)에 의해 계지된다. 동시에, 고속구동기어(30)의 노치(302)는 구동기어(28)와 대향함에 따라, 고속구동기어(30)의 회전을 계지시킨다. 이 상태에서, 제17도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고속구동레버(37)의 바이어스를 잡아주기 위한 스프링(미표시)과 제어레버(40)의 비틀림 스프링(41)의 바이어스력의 합이 캠(303)을 통해 고속구동기어(30)에 인가된다.
캠(303)의 형상은 상술한 힘의 합에 의해, 제10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정속구동기어(29)와 동일한 식으로, 고속 구동기어(30)가 회전할 수 있게 설계되어 있다. 이 때문에, 고속 구동기어(30)의 계지부(305)는 제18도에 도시한 위치에서 고속구동기어(30)를 안정하게 보지할 수 있도록 고속 로크레버(38)의 로크부분(382)과 꽉 접촉하게 됨에 따라, FF모우드를 유지시키게 된다.
STOP조작판(241)이 FF모우드에서 조작될때, FF조작판(245)은 제18도에서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하여 비조작 위치로 돌아간다. 따라서, 고속 로크레버(38)의 로크부분(382)은 고속구동기어(30)의 계지부(305)로 부터 분리되어 계지부(304)에 대응하는 위치에 보지된다. 이때 고속 구동기어(30)는 고속구동레버(37)를 통해 인가된 바이어스력에 의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제18도 참조).
계지부(304)는 고속 로크레버(38)의 로크부분(382)에 대해 접속함에 따라, 고속 구공기어(30)는 정지하여 정지위치로 돌아간다. 이때, 고속구동레버(37), 제어레버(40)등은 제14도에 표시한 정지위치로 돌아감에 따라 정지로 우드를 설정하게 된다.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를 리와인드 모우드로 설정하기 위해 REW조작판(243)이 화살표 A로 가리켜진 방향으로 움직인다고 가정하자(제14도 참조). REW조작판(243)의 계합부(436)는 REW레버(43)의 비틀럼 스프링(433)의 단부를 상측으로 압압한다(제14도 참조).
이 상태에서, REW레버(43)의 제어부(437)의 내측면에 의해 레버(40)의 제2아암(405)의 내측면에 의해 정지되어, REW레버(43)는 제14도에서 시계바늘회전 방향으로 회동하지 않게된다. 그러나, REW조작판(243)이 화살표 A를 가리켜진 방향에서 충분히 미끄러질때, 비틀림 스프링(433)의 방 단부는 계합부(436)에 의해 상측으로 압압된다. REW조작판(243)은 REW레버(43)의 계지부(435)로 부터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비틀럼 스프링(433)은 REW레버(43)에 대해 바이어스력을 가해 그것을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킨다(제15도 참조).
테이프 레코오더를 리와인드 모우드를 설정하게 REW조작판(243)이 움직일때, 이미 제11도를 참조하여 설명하였듯이, 고속 로크레버(31)의 로크부분(382)은 고속구동기어(30)의 계지부(304)로 부터 분리되고, 고속구동기어(30)는 구동기어(28)와맞물린다. 이미 설명하였듯이, 제어레버(40)는 고속구동레버(37)를 통해 시계바늘회전 방향으로 회동한다(제19도 참조). 제어레버(40)의 제2아암(405)은 REW레버(43)의 제어부(437)로 부터 릴리스한다.
REW래버(43)는 비틀림 스프링(433)에 의해 가해진 바이어스력에 의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제19도 참조). 전달기어(431)(432)는 고속기어(353) 및 역회전기어(134)와 각기 맞물린다. 이때 모터(19)의 회전력은 벨트(195), 중심풀리(35), 고속기어(353), 전달기어(431)(432), 역회전기어(134) 그리고 REW기어(133)를 통해 좌측리일 테이블(13)는 전달됨에 따라 좌측 리일 테이블(13)은 고속으로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고 1(제19도 참조), 테이프를 다시 감는다.
고속구동기어(30)가 1회전의 3/4만큼 회전하였을 때, 고속구동기어(30)는 제19도에 도시한 위치에 안정하게 유지됨에 따라 테이프 재감기 동작을 지속시킨다.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를 정지모우드를 설정하게 STOP조작판(241)이 이동하는 한편 리와인드 모우드가 설정되어져 있을때, REW조작판(243)은 그 비조작위치로 돌아간다. REW조작판(243)이 이동하자 마자, 고속로크레버(38)는 그 초기위치로 돌아간다. 결과적으로, 고속구동기어(30)는 그 초기 위치로 되돌가 감에 따라고, 속구동레버(37), 제어레버(40)등이 제1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지모우드용 위치로 돌아가게되어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다를 정지 모우드로 설정시킨다.
이제 PAUSE조작판(246)의 동작을 설명할 것이다. 제20도에 도시하였듯이, 계합부(385)는 고속 로크레버(38)의 피봇핀(381)주위에 권회된 중심부를 지닌 비틀림 스프링(384)의 1단부와 계합할 수 있도록 PAUSE조작판(246)의 1번에 형성된다. PAUSE조작판(246)이 비조작위치에 있을때, 비틀림 스프링(384)의 2단부들은 각기 고속로크레버(38)에 형성된 계지부(386)(387)에 의해 계지된다. 비틀림 스프링(384)는 고속로크레버(38)에 어떠한 바이어스력도 가하지 않는다. 고속로크레버(38)의 계합부(385)는 고속로크레
이제 PAUSE조작판(246)이 제29도의 화살표 A로 가리켜진 방향에서 움직이는 한편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가 제6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같은 플레이 모우드에 설정되어있다고 가정하자. 조작판(246)의 계합부(385)가 비틀림 스프링(384)의 단부를 상측으로 압압한다(제20도 참조). 이때 고속로크레버(38)가 제20도에서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 고속토로크 레버(38)의 로크부분(382)은 제11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식으로 고속구동기어(30)의 계지부(304)으로 부터 분리된다. 이때 고속구동기어(30)는 구동기어(28)와 맞물린다.
고속구동기어(30)의 계지부(305)가 움직이는 통로에 로크부분(382)이 다달을 때까지 고속 로크레버(38)가 제20도에서 시계바늘 회전반대 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나, PAUSE조작판(246)이 제20도의 화살표 A로 가리켜진 방향에서 충분히 미끄러지기 때문에, 그 계합부(385)는 비틀림 스프링(384)의 단부를 상측으로 압압시킨다. 결과적으로, PAUSE조작판(246)은 고속로크레버(38)의 계지부(386)로 부터 분리된다. 비틀림 스프링(384)은 고속로 크레버에(38)바 이어스력을 가해 그것을 시계바늘 회전 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킨다(제20도 참조), 고속로크레버(38)는 제11도에 도시한 위치에 보지된다. PAUSE조작판(246)은 푸시푸시 메커니즘(26)(제20도에 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눌려진 즉 조작위치에 로크된다.
고속구동기어(30)가 구동기어(28)의 회전력에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전할때(제11도 참조), 제어레버(40)는 제17,19도에 도시하였듯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 상태에서, 제21도에 도시하였듯이, 제어레버(40)의 1단부에 형성된 제3의 아암(406)은 회전축(187)을 계합시켜 핀치로울러(18)를 핀치레버(181)에 관해 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또한 제어레버(40)는 헤드슬라이더(14)의 1면에 형성된 돌출부(149)와 결합할 수 있는 굽혀진 계합편(407)을 지니고 있다. 계합부(367)는 제1 아암의 외측면과 계합할 수 있도록 정속판(36)에 형성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한 플레이모우드에서, PAUSE조작판(246)이 조작되어 제어레버(40)를 제2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시킬때, 제3의 아암(406) 및 제어레버(40)의 굽혀진(18)의 회전축(187) 및 헤드 슬라이더(14)의 돌출부(149)를압압시킨다. 핀치레버(181)는 비틀림 스프링(183)의 바이어스력에 대해 시계바늘 회전반대 방향으로 회동하고(제21도 참조), 헤드 슬라이더(14)는 비틀림 스프링(141)의 바이어스역에 대해 아래쪽으로 움직인다(제21도 참조).
음경점 플레이 헤드(15)는 자기 테이프와 가볍게 접촉하는 위치로 되돌아간다. 동시에, 핀치로울러(18)는 캡스턴(17)으로 부터 분리된다. 더우기, 제어레버(40)의 제1 아암(404)의 외측면은 정속판(36)의 계합부(367)를 압압시킨다. 정속판(36)은 스프링(364)의 바이어스역에 대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제21도 참조). 전달기어(361)는 우측리일 테이블(12)의 정속기어(123)로 부터 분리된다. 결과적으로, 우측리일 테이블은 정지하게 됨에 따라, 테이프 이동을 잠정적으로 정지시키게 된다.
포즈모우드에서, PAUSE조작판(246)이 다시 제20도의 화살표 A로 가리켜진 방향에서 움직일때, 그 비조작 위치로 릴리스되어 되돌아간다. 이때 고속 로크레버(38)는 초기위치로 되돌아 감에 따라, 고속구동기어(30)는 이미 설명하였듯이 정지모우드위치로 되돌아간다. 고속구동기어(30)가 이동하자마자, 제어레버(40)는 제6도에 도시한 위치로 되돌아감에 따라,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를 놀레이 모우드로 다시 설정시킨다.
포오즈 모우드는 상술한 바와 같은 식으로 녹음하는 동안 설정된 수 있다.
상술한 유형의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FF모우드 및 플레이 모우드의 결합(이하, 큐우 모우드 또는 큐우잉으로 인용됨) 또는 리와인드 및 플레이모우드의 결합(이하 리뷰모우드 또는 리뷰잉으로 인용함)은 PLAY조작판(244) 및 FF조작판(245) 또는 PLAY조작판 (244) 및 REW조작판(243)을 각기 동작시킴으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들 1쌍의 R은 독립적으로(즉, PLAY조작판이 먼저 조작되고 그후 FF 또는 REW조작판이 조작됨) 또는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먼저, 큐잉에 대해서 또는 동시에 동작될 수 있다. 먼저, 큐잉에 대해서 설명한다. 이 모우드는 FF조작판(245)이 플레이모우드에서 조작하는 모우드와 동일하다. 고속구동기어(30)는 FF조작판(245)에 따라 회전한다. 이러한 동작이 있자마자, 제어레버(40)는 제2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 포오즈 모우드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한 식으로, 헤드 슬라이더(14)는 녹음겸 플레이헤드(15)가 자기테이프와 꽉 접촉할 수 있도록 제어레버(40)에 의해 아래쪽으로 압압된다. 핀치로울러(18)는 캡스턴(17)으로 부터 분리되고, 전달기어(361)는 우측리일 테이블(12)의 정속기어(23)로 부터 분리된다. 이 상태에서, FF조작판(245)이 조작될시, FF레버(42)는 제22도에 도시한 위치까지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 전달기어(421)(422)는 각기 고속기어(353) 및 FF기어(124)와 맞물린다. 우측리일 테이블(12)은 테이프가 신속하게 앞으로 나아가게끔 시계바늘 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됨에 따라(제22도 참조),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를 큐우 모우드에 설정시킨다.
이제 리뷰우 모우드에 대해 설명할 것이다. 리뷰우 모우드는 REW조작판(243)이 플레이 모우드에서 동작하는 모우드와 동일하다. REW조작판(243)이 이동하자마자, 고속 구동기어(30)는 회전한다.
이때 제어레버(40)는 제23도에서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 포오즈 모우드와 동일한 식으로, 제어레버(40)는 녹음겸 플레이 헤드(15)를 자기 테이프와 꽉 접촉시킬 수 있도록 헤드 슬라이더(14)를 아래쪽으로 압압시키고, 핀치 로울러(18)는 캡스턴(17)으로 부터 분리된다. 이 경우, REW조작판(243)이 조작될 시, REW레버(43)는 이미 설명한 바와같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제23도 참조). 전달기어(431)(432)는 각기 고속기어(353) 및 역회전기어(134)와 맞물린다. 좌측 리일테이블(13)(제23도에
제어캠(298)은 제24도에 도시하였듯이 정속구동기어(29)에 형성되어있다. 제어캠(298)은 정속구동기어(29)의 캠(293)과 겹친다. 제어캠(298)은 편평한 제1 부분(298a)과 아아치형의 제2 부분(298b)으로 구성된다. 보조샤시(미표시)는 주샤시(11)에 나란히 배치된다. 제어 메커니즘(300)을 구성하는 릴스레버(45)는 보조리샤시위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릴리스레버(45)의 기부(451)는 보조샤시로 부터 연장하는 피봇핀(452)주위에 맞추어져있다. 릴리스 레버(45)는 기부(451)로 부터 연장하는 제1 내지 제3 연장부(453-455)를 지니고 있다. 제1 연장부(453)는 REW레버(43)상에 형성된 계합부(43a)와 계합한다. 제 2연장부(454)는 FF레버(42)상에 형성된 계합부(42a)와 계합한다. 제3 연장부(455)는 정속 구동기어(29)의 제어캠(298)과 계합한다. 릴리스레버(45)는 비틀림 스프링(458)에 의해 시계바늘 회전반대방향으로(제24도 참조). 바이어스되고, 제24도에 도시한 위치까지 회동한다. 비틀림 스프링(458)의 중심부는 피봇핀(452)주위에 권회되고, 그 2단부는 각기 릴리스 레버(45)에 형성된 계지부(456) 및 주샤시(11)에 형성된 계지부(457)에 의해 계지된다.
이미 설명하였듯이, 정속구동기어(29)의 계지부(294)가 정속 로크레버(33)의 로크부(332)에 의해 계지되었을 때, 제어캠(298)의 제1 부분(298a)은 릴리스 레버(45)의 제3 연장부(455)에 대향한다. 이 상태에서, REW조작판(243)이 조작될때,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가 제19도를 참조하여 설명한 바와 같은 리와인드모우드에 있게된다.
이때 제2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를 리뷰우 모우드로 설정할 수 있게 PLAY조작판(244)이 조작된다고 가정하자. 이미 설명하였듯이, PLAY조작판(244)이 조작되자마자, 정속구동기어(29)는 구동기어(28)와 맞물려서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제25도 참조). 릴리스 레버(45)의 제3 연장부(455)는 정속구동기어(29)의 캠의 제2 부분(298b)에 의해 압압된다. 릴리스 레버(45)는 비틀림 스프링(458)의 바이어스력에 대해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제25도 참조). 이 상태에서, 릴리스 레버(45)의 제1 연장부(453)는 제25도의 REW레버(43)를 시계바늘 회전반대방향으로 회동시키도록 REW레버(43)의 계합부(43a)와 계합한다. 전달기어(431)(432)는 고속기어(353) 및 역회전기(134)어로부터 각기 분리되어, 좌측리일테이블(13)은 일시 계지된다.
정속구동기어(29)가 1회전의 3/4만큼 회전하여 제10도에 도시한 위치에 보지될 때, 제어 캠(298)의 제1 부분(298a)은 릴리스 레버(45)의 제3연장부(455)와 다시 대향한다. 릴리스레버(45)는 비틀림 스프링(458)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시계바늘회전반대방향으로 회동하여 (제25도 참조). 초기위치로 돌아간다. 릴리스 레버(45)의 제1 연장부(453)는 REW레버(43)의 계합부(43a)로 부터 분리된다. REW레버(43)는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하여(제25도 참조), 전달기어(431)(432)는 각기 고속기어(353) 및 역회전기어(134)와 맞물린다. 좌측리일 테이블(13)은 다시 구동한다. 정속구동기어(29)가 회전하자마자, 헤드 슬라이더(14), 핀치레버(181), 정속판(36)등이 움직이여 카셋트 테이프 레코오더를 플레이 모우드로 설정시킨다. 그러나, 제23도에 도시하였듯이, 제어레버(40)는 이들 부재의 운동을 조절한다. 결과 적으로,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는 리뷰우 모우드에 있게된다.
녹음기 사용자가 FF조작판(245)를 조작함으로써 설정한 FF모우드에서 큐우잉을 실행하기를 바랄경우, PLAY조작판(244)에 대응하는 PLAY버튼을 눌러, 리뷰오우드에서와 같이 테이프 레코오더를 큐우모우드로 설정한다. 그러나, 이 경우에 릴리스 레버(45)가 제25도에서처럼 시계바늘 회전방향으로 회동될때, 릴리스레버(45)의 제2 연장부(454)는 FF레버(42)의 계합부(42a)와 계합하여 FF레버(42)는 제17에서처럼 시계바늘회전반대방향으로 회동한다. 결과적으로 전달기어(421)(422)는 각기 고속기어(353) 및 기어(124)로부터 분리됨에 따라, 우측리일 테이블(12)을 일시 계지시킨다.
정속구동기어(29)가 제10도에 도시한 위치로 보지될 때, 릴리스레버(45) 및 FF레버(42)는 각기 그들의 초기위치로 돌아간다. 전달기어(421)(422)는 각기 고속기어(353) 및 FF기어(124)와 맞물림에 따라, 우측 리일테이블(12)을 회전시킨다. 이 상태에서, 헤드 슬라이더(14), 핀치레버(181), 정속판(36)등은 헤드 슬라이더(14), 핀치레버(181), 정속판(36)등은 제어레버(40)에 의한 위치에 보지된다. 이에따라, 큐잉이 실행된다.
FF 또는 리와인드 모우드에서 PLAY 조작판(244)이 구동될시, 정속기어(29)와 연동된 릴리스레버(45)는 좌측 리일테이블(12) 또는 리일테이블(13)의 어느것에도 회전력을 전달하지 않음에 따라, 모터(19)에 부과된 부하를 줄이고, 전력소모를 줄인다. 특히, PLAY조작판(244)이 조작되고 정속구동기어(29)가 회전할시, 정속구동레버(32)는 회동한다. 헤드 슬라이더(14) 및 핀치레버(181)는 규정위치로 움직인다. 정속구동기어(29)에 인가된 구동력은 고속구동기어(30)에 인가된 것보다 더 클것이 요구된다. 달리말해, 정속구동기어(29)를 회전할 수 있게 모터(19)에 부과된 부하는 고속구동기어(30)를 회전할 수 있게모터(19)에 부과된 것보다 커야한다. PLAY조작판(244)이 FF모우드 또는 리화인드 모우드에서 조작될시, 모터(19)의 회전력은 정속구동기어(29)가 일정각도만큼 회전하는 동안 우측리일 테이블 (12) 또는 좌측리일케이블(13)의 어느것에도 릴리스 레버(45)에 의해 전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우측리일 테이블(12) 또는 좌측리일 테이블(13)의 구동하게 모터(19)에 부과된 부하가 배재된다. 따라서, 전력소모가 감소되는바, 이것은 배터리로 동작되
릴리스레버가 마련되어 있지않은 종래의 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고속 테이프 이동변화가 큐잉 또는 리뷰우상태로 변화할 경우, 모터(19)는 정구속구동기어(29)를 구동하고 우측리일 테이블(12) 또는 좌측리일 테이블(13)을 고속으로 구동시킨다. 따라서, 모터는 큰 부하를 갖게되고, 전력소모가 컸었다 이러한 종래의 배터리 사용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 모터(19)의 회전토오크는 배터리의 전압이 정격전압의 70%로 감소될때까지는 만족된다. 그후, 모터(19)는 고속테이프 이동이 큐잉 또는 리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하면, 릴리스 레버(45)는 우측리일 테이블(12) 또는 좌측리일 테이블(13)을 계지하게 사용됨에 따라, 테이프 이동을 계지시킨다. 고속테이프 이동은 배터리 전압이 그 정격전압의 약 50%로 감소할때까지 큐잉 또는 리뷰우 모우드로 변화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배터리를 사용하는 휴대용 카세트테이프 레코오더에 대해 매우 적합하다.

Claims (11)

  1. 모터(19)와; 테이프가 권회된 리일 허브가 설치된 리일 테이블(12)(13)과; 저속으로 테이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1 조작부재(242)(244) 및 고속으로 테이프를 구동시키기 위한 제2 조작부재(243)(245)와; 그리고 상기 제2 부재(243)(245)와 연동될뿐만 아니라, 상기모터(19)의 회전력을 상기 리일 테이블(12)(13)에 각기 전달하도록 상기 제2 조작부재(243)(245)의 조작상태동안 제2 상태에 보지되게 되어있고, 상기 모터(19)의 회전력을 상기 리일 테이블(12)(13)에 각기 전달한지 않도록 상기 제2 조작부재(243)(245)의 비조작상태동안 제2 상태에 보지되게 되어있는 고소구동메커니즘(100)으로 구성되어 있는 테이프레코오더에 있어서; 상기 제1 조작부재(242)(244)와 연동할뿐만 아니라, 모터(19)의 회전력을 상기 리일 테이블(12)(13)에 각기 전달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력에 대해 어떤 동 작상태로 들어가, 테이프를 저속으로구동시키는 저속구동메커니즘(200)과; 상기 저속구동메커니즘(200)이 비족작상태로부터 조작상태로 변화하는 동안 상기 고속구동 메커니즘(100)을 제2 상태로 보지하기 위한 제어 메커니즘(300)이 구성되어 있어;테이프가 고속으로 구동되는 동안 상기 제1 조작부재(242)(244)가 조작될때 상기 모터(19)에 부과된 부하가 감소되는 특징을 지닌 테이프레코오더.
  2. 제1항에 있어서, 저속구동메커니즘(200)이; 헤드(15)와; 이 헤드(15)가 설치되어 있고, 이 헤드가 테이프와 접촉하는 제1위치와 테이프로부터 분리되는 제2 위치간에 가동하는 헤드 슬라이더(14)와; 캠(294)을 지니고 있고, 상기 모터(19)로부터 회전력을 받도록 상기 제1 조작부재(242)(244)와 연동하는 제1 회전체(29)로 구성되어 있거; 상기 헤드 슬라이더(14)가 상기 제1 회전체(29)의 캠(293) 운동을 뒤따르게 제2위치로부터 제 1위치로 이동하는특징을 지닌 테이프 레코오더.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메커니즘(300)이; 상기 제1 회전체(29)에 형성된 제어캠(298); 상기 헤드 슬라이더(14)가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하여 상기 고속구동 메커니즘(100)을 제2 상태로 설정하는 동안 상기 제어캠(298)을 뒤따르게 구동되는 릴리스 레버(45)로 구성된 특징을 지닌 테이프 레코오더.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 구동메커니즘(200)이; 정속에서 테이크업 리일로서 기능하는 상기 리일테이(12)과 함께회전하는 제2 회전체(123)와; 테이프 이동과 독립적으로 상기 모터(19)의 회전력에 의해 구동되는 제3 회전체(361)와; 그리고 상기 제3 회전체(361)를 회전가능하게 지지하고 상기 헤드 슬라이더(14)와 연동할뿐만 아니라, 상기 헤드 슬라이더(14)가 제2 위치에 보지될때 상기 제3 회전체(361)가 상기 제2 회전체(123)으로부터 분리되는 위치에서 그리고 상기 헤드 슬라이더(14)가 제1 위치에서 설정될때 상기 제3 회전체(361)가 상기 제2 회전체(123)와 계합하는 위치에 보지될 수 있게 만든 정속판(36)으로 구성된 특징을 지닌 테이프 레코오더.
  5. 제4에 있어서, 상기 저속구동메커니즘(200)이; 상기 제1 회전체(29)의 캠(293)이 운동하자마자 구동되는 정속구동 레버(32)와; 상기 헤드 슬라이더(14)를 제2 위치로부터 제1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정속구동레버(32)의 구동력을 상기 헤드 슬라이더(14)에 전달하기 위한 제1 탄성 부재(141)로 구성된 특징을 지닌 테이프 레코오더.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구동메커니즘(200)이; 상기 모터(19)의 회전력은 수긴하고 테이프 리이동과 독립적으로 회전하며, 회전력을 상기 제1 회전체(29)에 전달하도록 상기 제1 회전체(29)와 계합되는 제4 회전체(28); 상기 제1 회전체(29)의 일부에 형성되고, 상기 제4 회전체(28)로부터 이탈되도록 되어있는 노치(292);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체(29)의 상기 노치(292)가 상기 제4 회전체(28)과 대향할때 상기 제1 회전체(29)의 회전은 예방하고 상기 제1 조작부재(242)(244)가 조작되자마자 상기 제1 회전체(29)의 회전을 허용하는 정속로크레버(33)로 구성되어있어; 상기 제1 회전체(29)의 노치(292)가 상기 제4 회전체(28)와 대향하여 상기 제1 회전체(29)가 1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바이어스될 때, 상기 제1 탄성부재(141)의 바이어스력이 상기 정속구동레버(32)를 통하여 상기 제1 회전체(29)로 인가되는 특징을 지닌 테이프 레코오더.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 구동 메커니즘(100)이; FF모우드에서 테이크업 리일로서 기능하는 상기 리일 테이블(12)과 함께 회전하는 제5 회전체(124)와; 상기 모터(19)로부터 회전력을 수신하고 테이프 이동과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제6 회전체(422)와; 조작부재로서 기능하는 상기 제2 조작부재(245)와 연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제2 조작부재(245)가 비조작상태에 설정될때 상기 제5 회전체(124)가 상기 제6 회전체(422)로부터 이탈되는 제1 위치에 그리고 상기 조작부재(245)가 조작상태에 설정되어 있을때 상기 제5 회전체(124)가 상기 제6 회전체(422)와 결합하는 제2 위치에서 선택적으로 보지될 수 있게 만들어져 있는FF레버(42); 와제감기에 있어서 레이크업 리일 테이블(13)과 함께 회전하는 제7 회전체(133)와; 상기 모터(19)의 회전력을 수신하고 테이프 이동과 독립적으로 회전하는 제8 회전체(353)와; 그리고 리와인드 조작부재로서 가능하는 상기 제2 조작부재(243)와 연동할 뿐만 아니라, 상기 리와인드 조작부재(243)가 비조작상태에 설정되었을시 상기 제7 회전체(133)가 상기 제8 회전체(353)로부터 이탈한 제1 위치에서 그리고 상기 리와인드 조작부재(243)가 조작상태에 있을때 상기 제8 회전체(353)와 계합하는 제2 위치에 보지되도록 만들어진 레버(43)로 구성된 특징을 지닌 테이프 레코오더.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릴리스 부재(45)가; 상기 REW레버(43)와 계합할 수 있게만든 제1 연장부(453)와; 상기 FF레버(42)와 계합할 수 있게 만든 제2 연장부(454)와; 그리고 상기 제1 회전체(29)의 상기 제어캠(298)과 계합할 수 있게만든 제3 연장부(455)로 구성되어 있어; 상기 제3 연장부(455)가 상기제어켐(298)의 운동이 있자마자 1방향으로 회동하고, 상기 제1, 2연장부(453)(454)가; 각기 상기 REW레버(43) 및 상기 FF레버(42)와 계합함에 따라, 상기 REW레버(43) 및 FF레버(42)를 제1 위치에 보지하는특징을 지닌 테이프 레코오더.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구동 메커니즘(100)이; 상기 제2 조작부재(243)의 조작과 아울러 상기 모터(19)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캠(303)을 지니 제9 회전체(30)와; 상기 REW레버(43) 및 상기 FF레버(42)를 각기 제1 위치로 부터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제9 회전체(30)의 캠(303)이 움직이자마자 구동되는 제어레버(40)로 구성된 특징을 지닌 테이프 레코오더.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저속구동메커니즘(100)이 조작되고 상기 제2 조작부재(245)(245)가 조작될때 상기 헤드 슬라이더(14)와 계합하는 계합부(407)를 상기 제어레버(40)가 가지고 있어, 상기 제3 회전체(361)가 상기 제2 회전체(123)로부터 이탈되는 위치에 상기 정속판(36)을 설정하고 테이프를 고속으로 구동시키면서도 상기 헤드(15)가 상기 테이프와 가볍게 접촉하도록 상기 헤드 슬라이더(14)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가볍게 이동하는특징을 지닌 테이프 레코오더.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고속구동 메커니즘(100)이; 상기 FF레버(42)에 배치되고, 상기 FF레버(42)가 제1위치에 있을 때는 바이어스력을 상기 FF레버(42)에 가하지않고 상기 FF조작부재로서 상기 제2 조작부재(245)가 동작하자마자 상기 FF레버(42)를 제2 위치로 이동할 수 있도록 바이어스력을 상기 FF레버(42)에 인가하게 만든 제2 탄성부재(424)와; 상기 REW레버(43)에 배치되고, 상기 REW레버(43)가 제1 위치에 설정되었을 때 상기 REW레버(43)에 바이어스력을 가하고, 상기 리와인드 조작부재로서 상기 제2 조작부재(243)가 조작되자마자 상기 REW레버(43)를 제2 위치로 이동시키도록 바이어스력을 상기REW레버(43)에 인가하게 만든 제3 탄성부재(433)로 구성함에 따라; 상기 제어레버(40)의 구동시 상기 FF레버(42) 및 상기 REW레버(43)가 상기 제2 탄성부재(424) 및 상기 제2 탄성부재(433)의 바이어스력에 의해제2 위치로 이동되는 특징을 지닌 테이프 레코오더.
KR1019830002497A 1982-06-04 1983-06-04 테이프 레코오더 KR86000125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96023 1982-06-04
JP57096023A JPS58212644A (ja) 1982-06-04 1982-06-04 テ−プレコ−ダ装置
JP96023 1982-06-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252A KR840005252A (ko) 1984-11-05
KR860001255B1 true KR860001255B1 (ko) 1986-09-01

Family

ID=14153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497A KR860001255B1 (ko) 1982-06-04 1983-06-04 테이프 레코오더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594625A (ko)
JP (1) JPS58212644A (ko)
KR (1) KR860001255B1 (ko)
DE (1) DE3320094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925848B2 (ja) * 1992-07-10 1999-07-28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回転伝達装置
IT1267038B1 (it) * 1993-04-28 1997-01-24 So Ge Mi Spa Apparecchio riproduttore di nastri magnetici registrati, utilizzante una meccanica "soft touch" in cui un solo motore elettrico svolge
KR20060014880A (ko) * 2004-08-12 2006-02-16 삼성전자주식회사 릴구동장치 및 그것을 갖는 자기기록재생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090039B (en) * 1980-12-24 1985-04-24 Victor Company Of Japan Wheel-driven mode switching mechanism for cassette tape recorders
JPS57113449A (en) * 1980-12-29 1982-07-14 Sony Corp Tape driver
US4531168A (en) * 1981-09-18 1985-07-23 Technical Incorporated Compact cassette tape recorder with mechanical soft touch operating and switching mechanis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320094C2 (ko) 1988-03-10
KR840005252A (ko) 1984-11-05
DE3320094A1 (de) 1983-12-08
US4594625A (en) 1986-06-10
JPS58212644A (ja) 1983-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029036A (en) Normal/reverse mode changing mechanism for tape transport apparatus
KR860001255B1 (ko) 테이프 레코오더
JP3273637B2 (ja) 記録再生装置用モード切換え機構
US5018401A (en) Translation cam means
US4185794A (en) Gear-driven change-over mechanism
KR920002605B1 (ko) 음향 재생장치
US5969900A (en) Tape drive unit where reverse rotation of a motor determines travel direction and speed of a tape
KR890002262B1 (ko) 테이프 플레이어
US4597024A (en) Tape recorder having soft-touch control of an erase head
KR920002608B1 (ko) 음향재생장치
CA1334770C (en) Magnetic tape recording and playback apparatus with single drive source
US4587582A (en) Magnetic tape recorder/player
KR900010406Y1 (ko) 테이프주행장치의 있어서의 핀치롤러 구동장치
US6636373B1 (en) Tape running drive device and tape recording and or reproducing device
JP2571718B2 (ja)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モード切換装置
JP2667842B2 (ja) テープ駆動装置
JPH0373948B2 (ko)
JPH034984Y2 (ko)
JPH0427001Y2 (ko)
JP3567650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KR930002273Y1 (ko) 로직형 카세트 데크의 모드 록킹장치
JPH0713064Y2 (ja) 磁気テ−プ記録装置の早送り機構
JPS624910Y2 (ko)
JPH029044A (ja) テープレコーダの回転検出用カム体
JPS615470A (ja) カセツト式テ−プレコ−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10830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