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20002605B1 - 음향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20002605B1
KR920002605B1 KR1019890003346A KR890003346A KR920002605B1 KR 920002605 B1 KR920002605 B1 KR 920002605B1 KR 1019890003346 A KR1019890003346 A KR 1019890003346A KR 890003346 A KR890003346 A KR 890003346A KR 920002605 B1 KR920002605 B1 KR 9200026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lever
pose
drive motor
head bas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900033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90016534A (ko
Inventor
아끼라 오오쓰끼
Original Assignee
알파인 가부시기가이샤
도자와 겐다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46694U external-priority patent/JPH082818Y2/ja
Priority claimed from JP198804669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1151434U/ja
Application filed by 알파인 가부시기가이샤, 도자와 겐다로오 filed Critical 알파인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90016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90016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200026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0026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7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 G11B15/67544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 G11B15/67555Guiding containers, e.g. loading, ejecting cassettes with movement of the cassette parallel to its main side and subsequent movement perpendicular thereto, i.e. front loading the second movement only being made by the cassette holder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음향 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음향 재생장치의 사시도.
제2도는 다른방향에서 본 사시도.
제3도는 저부커버를 제거한 상태의 저면도.
제4도는 이젝트 완료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5도는 이젝트 동작전의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측면도.
제7도는 제4도의 측면도.
제8도 내지 제10도는 구동모터의 전달경로부분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제8도는 구동모터가 반시계 회전방향에서의 파워 어시스트 동작을 나타낸 요부 저면도.
제9도는 구동모터가 시계 회전 방향에서의 파워 어시스트 동작을 나타내는 요부 저면도.
제10도는 구동모터와 랙이 전달상태에 있는 요부 저면도.
제11도 및 제12도는 셀렉트 레버가 우위치 혹은 좌위치에 있는 상태를 나타낸 요부저면도.
제13도 내지 제16도는 이젝트동작에 있어서의 헤드 베이스의 후퇴 동작을 설명하는 것으로서, 제13도는 FWD 주행에서의 플레이(PLAY)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제14도는 이젝트 동작의 도중을 나타낸 요부 평면도.
제15도는 이젝트 완료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제16도는 제13도의 상태로부터 키이오프(KEY OFF)되었을 때의 평면도.
제17도는 FWD 주행에 있어서의 플레이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제18도는 헤드 베이스를 후퇴시킨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제19도는 FF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요부 평면도.
제20도는 RWD 주행에 있어서의 플레이 상태를 나타낸 요부 평면도.
제21도는 샤시의 저면도.
제22도는 로즈레버의 정면도.
제23도는 유성 기어를 설치한 회동편의 정면도.
제24도는 핀치레버의 정면도.
제25는 셀렉트 레버의 정면도.
제26도는 제1의 서브베이스의 정면도.
제27도는 제2의 서브베이스의 정면도.
제28도는 헤드 베이스의 정면도.
제29도 및 제30도는 측판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31도는 클러치 레버의 정면도.
제32도 및 제33도는 이젝트레버의 측면도 및 평면도.
제34도는 플레이트베이스의 평면도.
제35도 및 제36도는 홀더 프레임의 평면도 및 측면도.
제37도 내지 제40도는 카세트 홀더의 평면도, 정면도 및 좌우측면도.
제41도 및 제42도는 저부커버의 저면도 및 측면도.
제43도 및 제44도는 제1 및 제2의 이젝트 아암의 조립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 및 측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샤시 2 : 구동모터
4 : 풀리 5 : 소 기어
6, 7 : 캡스턴축 8, 9 : 플라이 휠
10, 11 : 기어 12 : 벨트
14, 15 :핀치레버 16, 17 : 기어
18, 19 : 캠구멍 22, 23 : 릴 기어
26, 27 : 핀치롤러 30, 31 : 회동축
36 : 셀렉트 레버 37, 38 : 이접 캠구멍
53 : 셀렉트 핀 54 : 회동편
55 : 기어 56 : 소기어
58 : 유성기어 59 : 호상기어
62 : 자기헤드 63 : 헤드 베이스
63a : FF록용 구멍 63d : 솔레노이드 레버
63f : 솔레노이드 68, 69 : 삽통구멍
70 : 롤러 72 : 제1의 서브베이스
74 : 제1의 서브베이스 75 : 가이드 핀
78 : 코일 스프링 82 : 소기어
83 : 포즈레버 84 : 요동치차
86, 87 : 단연(段緣) 89 : 소토퍼 핀
91 : 기어 92 : 포즈기어
95 : 계지 캠 97 : 단부(段部)
98 : 플레이 레버 99 : 스토퍼 래치
105 : 솔레노이드 106 : 클러치
110 : 이젝트솔레노이드 120 : 록레버
124 : 랙 구동용 소기어 125 : 이젝트 레버
126 : 랙 136 : 제1의 이젝트 아암
138 : 제2의 이젝트 아암 146 : 후퇴 캠
149 : 프레이트 베이스 161 : 카세트 홀더
166 : 창부(窓部)
본 발명은 음향재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오토리버스 기구를 구비한 음향재생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승용차등의 차량에 탑재되어 있는 음향 재생장치는 테이프 카세트를 절반 정도만 삽입하면 이 카세트가 자동적으로 연주위치에 세트되어 연주상태가 된다. 그리고 테이프가 종단에 오면, 자동적으로 테이프의 종단을 검출하여 지금까지의 캡스턴 축에 테이프를 압접하고 있던 핀치 롤러를 떨어지게 하고, 역전하고 있는 다른 캡스턴 축에 다른 핀치롤러를 압접시켜, 이들의 사이에 테이프를 끼워 넣어 이 테이프를 역송하여, 그 연주를 계속시키는 소위 오토리버스 기구를 구비하고 있다. 또, 캡스턴축과 핀치롤러의 압접을 떨어지게 하고, 릴 기구의 회전을 빠르게 하여 테이프를 권취하는 빠른 이송(FF)동작 및 되감기(FEW)동작, 혹은 재생음을 내면서 빠른 이송을 하는 빠른이송 재생(QUE)동작 및 재생음을 내면서 되감는 되감기 재생(REVEW) 동작등이 행해지게 되어 있다. 그리고, 이들의 기구 및 동작은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는 구동모터의 회전을 여러가지의 기어기구, 캠기구 등의 수단을 구비함으로써 행해지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그런데, 상기 종래 기술에서는 구동모터가 일방향으로 밖에 회전하지 아니하므로, 각종 동작을 행하는데 여러가지의 기어 및 캠기구가 필요하게 되어 필연적으로 구조가 복잡하게 되어, 제조, 조립이 곤란하여 제조 가격이 높아졌었다. 또 기구가 복잡하기 때문에 고장을 일으킬 염려도 있고, 보수비도 높아졌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것을 해결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구동모터를 정역전 가능하게 하고, 동작기구를 간소화 하여, 제조가격을 저감할 수 있는 음향 재생 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정회전 혹은 역회전 가능한 모터와, 그 모터에 의하여 회전되는 한쌍의 릴 기구와 상기 모터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되는 한쌍의 캡스턴축과, 그 캡스턴 축에 이접되는 한쌍의 핀치롤러와, 그 핀치롤러에 계합하여 강제적으로 캡스턴축으로부터 이간시키는 헤드 베이스와 그 헤드 베이스를 전진시켜 유지하는 유지기구를 구비하고, 적어도 플레이 동작중에 상기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에 들어가면, 상기 유지기구가 해제되어 상기 헤드 베이스가 후퇴되고, 상기 핀치롤러를 캡스턴축으로부터 이간시키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또,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기헤드가 설치되어 전진 혹은 후퇴되는 헤드 베이스와 이 헤드 베이스를 전진시켜 유지하는 유지기구와, 이 유지기구에 의하여 전진 동작되는 헤드 베이스를 전진 종료 바로앞에서 계지하는 FF/REW 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또 정전 혹은 역전 가능한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에 따라 회동되는 포즈레버와, 이 포즈레버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요동기어가 상기 구동모터의 정전 혹은 역전에 따라 직접 혹은 중간 기어를 거쳐 간접으로 맞물리는 포즈기어와, 이 포즈기어에 설치된 계지캠에 의하여 전진 이동되어 전진 위치에서 유지되는 헤드 베이스와, 상기 포즈기어의 계지위치에서 포즈기어를 계지하여 회전을 정지시키는 솔레노이드 기구를 구비한 구성으로 하고, 또 정전 혹은 역전 가능한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테이프 로딩동작을 행하고, 또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테이프를 FWD 주행을 하고, 이 FWD 주행과 테이프 로딩 동작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 모터의 회전 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하는 구성으로 하고 있다.
상기 수단에 의하여, 플레이(이하 : PLAY로 기재함)상태로부터 구동모터가 PLAY 상태와는 역방향의 회전 동작에 들어갈 때는, 반드시 유지기구가 해제되게 되므로, 핀치롤러와 캡스턴축과의 접축이 해제되어 캡스턴 축이 역방향으로 회전하고 있어도 테이프가 역방향으로 송출되는 일이 없이 테이프의 캡스턴축에의 감겨붙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상기 수단에 의하여 헤드 베이스는 FF/REW 위치에 록되어 FF/REW를 행할 수가 있다. 또, 구동모터의 정전 또는 역전의 어느쪽이더라도 헤드 베이스는 전진 유지된다. 또, FWD 주행과 테이프 로딩 동작에 있어서의 구동모터의 회전 방향이 동일 방향이므로, 이젝트시의 테이프 주행방향의 여하에 관계없이, 테이프 로딩시에는 반드시 FWD 주행 방향으로부터 PLAY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모터를 정전 또는 역전되는 형식의 것을 사용할 수 있게 되므로, 제조가격을 저감시킬 수가 있다.
도면에 있어서, 1은 샤시이고, 이 샤시(1)에는 구동모터(2)가 설치되고, 그 회전축(3)은 샤시(1)의 이면측에 돌출되고, 그 회전축(3)에는 풀리(4) 및 소기어(5)가 설치되어 있다. 이 샤시(1)에는 2개의 캡스턴 축(6,7)이 도시하지 않은 베어링에 의하여 회전자유롭게 설치되고, 이 캡스턴축(6,7)에는 플라이 휠(8,9) 및 기어(10, 11)가 설치되어 있다. 이 플라이 휠(8,9)의 외주와 상기 풀리(4)에는 밸브(12)가 걸쳐지고, 벨트(12)에 장력을 가하는 장력 풀리(13)가 샤시(1)에 설치되어 있다. 또, 캡스턴 축 (6,7)에는 핀치레버(14, 15)가 각각 회전 자재롭게 설치되고, 이 핀치레버(14, 15)의 일단에는 상기 기어(10, 11)와 맞물리는 기어(16, 17)가 설치되고, 타단에는 굴곡된 캠구멍(18, 19)이 천설되어 있다. 이 핀치레버(14, 15)의 기어(16, 17)는 샤시(1)에 설치된 회동축(20, 21)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된 릴기어(22, 23)에 이접(이接)되고, 이 회동축(20, 21)에는 릴기구(24, 25)가 설치되어 있다.
한편, 캡스턴 축(6,7)에는 핀치롤러(26,27)가 이접되도록 되어 있고, 이 핀치롤러(26, 27)는 핀치롤러레버(28, 29)에 회동축(30, 31)을 거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핀치롤러레버(28, 29) 및 회동축(30, 31)은 지지부재를 구성하고 있다. 이 핀치롤러레버(28, 29)는 샤시(1)에 입설된 축(32, 33)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고, 또, 스프링(34, 35)에 의하여 핀치롤러(26, 27)는 캡스턴 축(6,7)에 압접하는 방향으로 가세되어 있다. 이 핀치롤러(26, 27)의 회동축(30, 31)의 일단은 상기 핀치레버 (14, 15)의 캠구멍(18, 19)에 삽입되고, 또 셀렉트 레버(36)에 설치된 이접(이接) 캠구멍(37, 38)에 삽입되어 있다. 이 셀렉트 레버(36)는 그 양단에 가이드구멍(39, 40)이 2개의 캠스턴축(6,7)을 연결하는 선 방향에 따라 천설되고, 이 가이드구멍(39, 40)에 상기축(32, 33)이 삽입되어 셀렉트 레버(36)는 슬라이드하도록 되어 있다. 셀렉트 레버(36)의 캠구멍(37, 38)은 그 내연(內緣)측에 향하여 테이퍼상으로 형성되어 양연부(緣部)가 압접 캠부(43), (이간(離間) 캠부(440)에 각각 형성되어 있다. 이 압접캠부(43)에 핀치롤러(26), 혹은 (27)의 회동축(30 혹은 31)이 위치되어 있는 경우, 핀치롤러(26 또는 27)는 캡스터 축(6) 또는 (7)에 스프링(34, 35)에 의하여 압접되어 있다. 또, 이간 캠부(44)에 핀치롤러(26) 또는 (27)의 회동축(30, 31)이 위치되어 있는 경우, 핀치롤러(26, 27)는 스프링(35, 35)의 가세력에 대향하여 캡스턴축(6), (7)으로부터 이간됨과 동시에, 이 이간캠부(44)에는 클릭용 요(요 )부가 있으므로, 클릭감을 발생하여 셀렉트 레버(36)가 위치결정된다.
또, 섹렐트 레버(36)에는 후술하는 자기헤드를 테이프 이송방향의 변환에 대하여 적정 위치로 수정하는 캠(45)을 동작하는 캠구멍(46)이 설치되고, 이 캠구멍(46)의 근방에는 상기 가이드구멍(39, 40)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셀렉트 핀용 삽입구멍(47)이 천설되어 있다. 또, 셀렉트 레버(36)의 중앙으로부터 상기 릴기구(24, 25)사이에 중앙편(片)(48)이 연장 설치되고, 이 중앙편(48)의 선단에는 회전검출용 기어(49)가 회동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검출용 기어(49)가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 검출용 기어(49)의 일면에는 반사판을 설치함과 동시에 반경 방향으로 소용돌이 형상의 슬릿이 설치되고, 이 반사판에 대향하여 광센서가 샤시(1)에 부착된 기판에 설치되어 있다. 또 회전검출용기어(49)는 릴기구(24, 25)의 테이프 권취축(卷取軸)과 함께 회전하는 기어(50, 51)에 이접된다. 52는 셀렉트 레버(36)에 천설된 광센서용 검출창이다. 이 셀렉트 레버(36)의 셀렉트 핀용 삽입구멍(47)에 삽입된 셀렉트 핀(53)은, 샤시(1)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된 회동편(54)에 돌설되어 있다. 이 회동편(54)의 회동중심이 동일하고, 일체성형된 기어(55) 및 소기어(56)가 회동 자유롭게 설치되고, 이 기어(55)가 감속기어(57)를 거쳐 상기 기어(11)에 맞물려 있다.
한편, 소기어(56)는 회동편(54)의 유단(遊端)에 설치된 유성기어(58)를 거쳐 호상(弧狀) 기어(59)에 맞물려져 있다. 이 호상기어(59)의 양단에는 절결(60, 61)이 형성되어 유성기어(58)의 재맞물림이 용이하게 되어 있다. 또, 회동편(54)의 회동범위의 종단은, 섹렉트 레버(36)의 슬라이드 범위의 종단이고 이때 핀치롤러(26) 또는 (27)의 회동축(30) 혹은 (31)이 셀렉트 레버(36)의 이접캠부(44)에 위치되고, 이 이접캠부(44)의 클릭 작용에 의하여 셀렉트 레버(36)가 바깥쪽으로 약간 슬라이드 됨으로써, 유성기어(58)와 호상기어(59)의 맞물림이 완전히 이탈된다. 한편, 셀렉트 레버 (36)의 상면측에는 자기헤드(62)가 설치된 헤드 베이스(63)가 배설되고, 이 헤드 베이스(63)는 상기 축(32, 33)에 가이드부(65)가 가이드되어 셀렉트 레버(36)의 슬라이드 방향과 직행하는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 헤드 베이스(63)는 4각 프레임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창부내에 릴 기구(24, 25)가 배설되어 있다. 또, 헤드 베이스(63)에는 헤드위치 수정용 캠(45)이 회동축 (66)에 지지되고, 자기헤드(62)가 회동축(67)에 지지된 자기헤드 지지체에 설치되어 있다. 또 헤드 베이스(63)에는 핀치롤러(26, 27)의 회동축(30, 31)이 삽통되는 삽통구멍(68, 69)이 천설되고, 헤드 베이스(63)의 후퇴 이동에 의하여 핀치롤러(26, 27)의 회동축(30, 31)에 계합될 수 있다. 또, 헤드 베이스(63)의 전변(前邊)모서리에는 FF록용 구멍(63)이 천설되어 있다. 이 FF용 록구멍(63a)은 돌기(63b) 및 단부(段部)(63c)가 설치되고, 이 돌기(63b)에 FF록용 구멍(63a)에 삽입된 솔레노이드 레버(63d)의 돌출핀(63e)이 계합되어 솔레노이드 레버(63d)가 회동되어 단부(63c)에 솔레노이드 레버(63d)의 돌출 핀(63e)이 당접되어, 헤드 베이스(63)는 약간 후퇴한 위치에 록된다. 이 솔레노이드 레버(63d)는 일단이 솔레노이드(63f)의 구동축 (63g)에 피보팅(피支)되고, 타단에는 L자 형상의 굴곡편(63h)이 형성되고, 이 굴곡편(63h)이 샤시(1)이 천설된 계합구멍(63i)에 계합되고, 또 솔레노이드 레버 (63d)에는 샤시(1)의 면을 섭동하는 섭동편(63j)이 굴곡 형성되고, 이들에 의하여 솔레노이드 레버(63d)는 3점 지지되면서 회동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또, 헤드 베이스(63)에는 후술하는 후퇴캠에 계합되는 롤러(70)가 축(71)에 지지되고 이 축(71)에는 제1의 서브베이스(72)가 계합되어 있다. 이 축(71)은 샤시 (1)의 장공(長孔)에 계합하여 요동된다.
이 제1의 서브 베이스(72)는 헤드 베이스(63)의 슬라이드 방향과 동일 반향으로 장공(長孔)(73, 73)이 천설되고, 이장공(73, 73)에 제2의 서브베이스(74)에 상하로 돌설된 가이드 핀(75, 75)의 상부가 삽입되어 있다. 이 가이드 핀(75, 75)의 하부는샤시(1)에 천설된 가이드 구멍(76, 76)에 끼워 넣어지고, 제2의 서브 베이스(74)는 헤드 베이스(63)와 동일 방향으로 슬라이드 된다. 이 제2의 서브베이스(74)에는 걸림래치(77)가 설치되고, 이 걸림래치(77)에 코일스프링(78)의 일단이 걸려 멈추어짐과 동시에 코일스프링(78)의 타단이 제1의 서브베이스(72)에 설치된 걸림래치(79)에 걸어 멈추어져 있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2)의 소기어(5)에는 샤시(1)에 돌설된 지지축(80)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된 기어(81)가 맞물려져 있다. 이 기어(81)의 샤시(1)측에는 소기어 (82)가 일체적으로 설치되고, 또 이 소기어(82)와 샤시(1)간에는 지지축(80)에 회동 자유롭게 설치된 포즈레버(83)가 개재되고, 이 포즈레버(83)에 피보트(피支)된 요동치차(84)에 상기 소기어(82)가 맞물려져 있다. 또 포즈레버(83)에는 회동범위를 규제하기 위한 절결(85)이 형성되고, 이 절결(85)의 양단연(86, 87)이 샤시(1)에 굴곡 형성한 스토퍼 편(89)에 계합된다. 이 포즈레버(83)의 요동기어(84)는 한쪽의 단연 (86)이 스토퍼 편(89)에 계합된 위치에서 샤시(1)에 돌설된 지지축(90)에 피보팅 된 기어(91)에 맞물린다.
또, 포즈레버(83)의 다른쪽의 단연(87)이 스토퍼 편(89)에 계합된 위치에서는 요동기어(84)는 상기 기어(91)와 직접 맞물리지 않고 중간기어(91a)를 거쳐 기어(91)에 맞물려 있다. 이 기어(91)는 포즈기어(92)에 맞물려 있고, 이 포즈기어 (92)는 샤시(1)에 돌설된 지지축(93)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그 외주의 일부에는 절결되어 결치부(缺齒部)(94)가 설치된 결치기어로 형성되어 있다. 또 포즈기어(92)의 일면에는 중앙부분에 계지캠(95)이 설치되고, 이 계지 캠(95)에 상기 제2의 서브베이스(74)의 가이드 핀(75)의 하나가 계지되어 제2의 서브케이스(74)는 계지위치에 록된다. 이 계지 위치에 있어서, 기어(91)는 포즈기어(92)의 결치부(94)에 위치하도록 계지 캠(95)은 설정되고, 또 계지에 의하여 생기는 포즈기어(92)의 회동력은 스토퍼기구에 의하여 저지되고 있다. 이 스토퍼 기구는 포즈기어(92)의 일면에 회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호상돌기(96)가 설치되고, 이 호상돌기(96)의 외주면에 단부(97)가 설치되고, 이 단부(97)에 구동레버에 의하여 형성된 플레이 레버(98)의 스토퍼 래치(99)가 계지된다. 이 프레이 레버(98)는 샤시(1)에 돌설된 지지축(100)에 지지되고, 이 플레이 레버(98)에는 플레이레버(98)의 회동 동작에 의하여 호상돌기(96)의 외주면에 이접되는 당접부(101)가 설치되어 있다. 또 플레이 레버(98)에는 절결홈부(102)가 설치되고, 이 절결홈부(102)의 양영부에 위치 결정용 돌기(103, 103, 103)가 돌기되고, 이를 돌기(103…)사이에 4각통 형상의 작동부(104)가 협지되어 설치되어 있다. 이 작동부(104)는 샤시(1)에 설치된 솔레노이드(105)의 여자에 의하여 밀착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또 솔레노이드(105)의 여자를 중지하면, 포즈기어(92)의 계지캠(92)에 제2의 서브스페이스(74)의 가이드 핀(75)이 계지되어 포즈기어(92)가 반시계 회전방향(제8도)으로 가세되어 있으므로, 포즈기어(92)는 플레이 레버(98)의 스토퍼 래치(99)를 누르면서 단부(97)와 떨어져 회동되고, 플레이 레버(98)는 작동부(104)가 솔레노이드(105)로부터 떨어지는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당접부(101)가 호상돌기(96)의 단부 가까이의 외주면에 당접된다. 또, 상기 포즈레버(83)에 접하는 소기어(82)에는 클러치 레버(106)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소기어(107)가 맞물리도록 되어 있다. 이 클러치 레버(106)는 샤시(1)에 돌설된 지지축(108)에 의하여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클러치 레버(106)의 일단에는 절결부(109)가 형성되어 이젝트 솔레노이드(110)에 연동한 작동편(111)의 일단이 삽입되어 있다. 이 작동편(111)은 그 중앙부를 샤시(1)로부터 절결 형성된 지점(112)에 의하여 지지되고, 작동편(111)의 타단은 이젝트 솔레노이드(110)의 작동축(112)에 계합되어 있다. 또 이 클러치 레버(106)에는 상기 소기어(107)에 맞물린 소기어(113)가 피보팅되고, 이 소기어(113)에 맞물린 기어(114)가 클러치 레버(106)에 돌설된 지지축(115)에 지지되고, 이 기어(114)는 랙 구동용 기어(116)에 맞물려져 있다. 이 클러치 레버(106)에는 샤시(1)에 굴곡형성한 걸림래치(래치)(117)와의 사이에 인장스프링(118)이 팽팽하게 설치되어 클러치 레버(106)는 제8도에 있어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가세되고, 이 인장스프링(118)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이젝트 솔레노이드(110)의 여자에 의하여 작동편(111)을 거쳐 클러치 레버(106)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들의 동작에 의하여 클러치레버(106)의 소기의(107)는 상기 소기어(82)와 맞물리거나 또는 맞물리지 않는 상태가 된다. 또, 클러치 레버(106)의 상기 절결부 (109)와 반대의 단부에는 받침편부(119)가 굴곡 형성되고, 이 받침편부(119)에는 샤시(1)에 피보팅 된 록레버(120)의 록편부(121)가 계합되도록 되어 있다. 이 록 레버(120)의 회동 동작에 의하여 검출 스위치(122)는 온ㆍ오프 조작된다.
한편, 상기 랙구동용 기어(116)은 제41도 및 제42도에 나타낸 저부커버(167)에 설치된 지지축(123)에 지지되고, 이 지지축(123)에는 랙구동용 기어(116)와 일체 성형된 랙구동용 소기어(124)가 지지되어 있고, 이 랙 구동용 소기어(124)는 샤시(1)를 관통하여 표면축에 배설되어 있다. 이 랙 구동용 소기어(124)는 이젝트 레버(125)에 설치된 랙(126)에 맞물려 있다. 이 이젝트 레버(125)는 제32도 및 제3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측면부(127)와 그 측면부(127)의 상연부에 연속되어 굴곡 형성된 평면부 (128)로 이루어지고, 이 측면부(127)에는 장공 (129, 129)이 형성되고, 이 장공 (129, 129)에는 샤시(1)에 입설된 축판(13a)의 측면으로부터 돌설된 가이드 돌출부(131, 131)가 삽입되고, 이젝트레버(125)는 카세트 삽탈(揷脫) 방향으로 가이드되도록 되어 있다. 또,이젝트레버(125)의 평면부(128)에 도장공(132)이 천설되고, 이 장공(132)에는 측판(130)의 상연(上緣)에 굴곡 형성된 굴곡편(133)에 돌설된 핀 (134)이 삽입되어 있다. 또한 이 핀(134)을 축받이하는 제1의 이젝트 아암(136)의 베어링부(136a)가 장공(132)에 삽입되어 이젝트레버(125)는 요동하지 않도록 가이드 되고 있다.
이 제1의 이젝트아암(136)의 베어링부(136a)에는 제2의 이젝트아암(138)이 제34도 및 제4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합되어 회동 자유롭게 일체하 되어 있다. 또, 이젝트 레버(125)의 평면부(128)에는 L자 형상의 슬릿(135)이 천설되고, 이 슬릿 (135)에는 상기 핀(134)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된 제1의 이젝트 아암(136)의 돌기(137)가 삽입되고, 또 핀(134)을 중심으로 하여 제2의 이젝트 아암(138)도 회동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2의 이젝트 아암(138)과 제1의 이젝트 아암(136)과의 사이에는 인장스프링(139)이 장설(張設)되고, 제2의 이젝트 아암(138)은 제1의 이젝트 아암(136)의 돌기(137)에 당접되어 일정한 스프링 힘이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이 제2의 이젝트 아암(138)에는 카세트 삽입 검출용 캠(140)이 천설되고, 이 캠(140)에 검출용 레버(141)의 돌기(141a)가 삽입되어 있다. 이 검출용 레버(141)는 샤시(1)에 피보팅되고, 이 레버(141)의 회동 동작에 의하여 샤시(1)에 설치된 카세트삽입 검출용 스위치(42)가 온ㆍ오프된다. 즉, 이 캡(140)은 제2의 이젝트 아암(138)이 제4도의 상태로부터 약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동(일점쇄선으로 나타낸 위치)되면 검출용 레버(141)가 회동되도록 핀(134)으로부터의 반경이 다른 호상부가 연속하여 형성되어 있다.
또, 제2의 이젝트 아암(138)의 회동단에는 후술하는 카세트 인입용 슬라이더가 설치되는 장공(143)이 천설되어 있고, 이 장공(143)은 핀(134)을 중심으로 하여 원근(遠近)방향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이젝트 레버(125)의 측면부(127)의 하연(下椽)중앙에는 돌기편(144)이 샤시(1)에 천설된 슬라이더용 장공을 관통하여 연설(延說)되고, 이 돌출편(144)은 상기 록레버(120)에 계합되도록 되어 있다.
또, 이젝트 레버(125)의 측면부(127)의 하연(下椽)에는 링편(145)이 굴곡 형성되고, 이 링편(145)에는 상기 헤드 베이스(63)를 후퇴시키는 후퇴캠(146)의 계지편(146a)이 계지되고, 후퇴캠은 이젝트 레버(125)와 함께 슬라이드 동작된다.
이 후퇴캠(146)은 샤시(1)의 핀(147, 147)에 의하여 슬라이드 자유롭게 지지되고, 이 후퇴캠(146)에 롤러(70)가 당접됨으로써 헤드 베이스(63)가 후퇴 동작된다. 또, 이젝트 레버(125)의 측면부(127)에는 카세트 홀더 상하이동용 캠(148)이 천설되고, 이 캠(148)에 플레이트 베이스(149)의 핀(150)이 삽입되어 있다. 이 플레이트 베이스(149)는 제3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평판부(151) 및 평판부(151)의 인접변에 굴곡 형성된 굴곡판(152, 153)으로 이루어지고, 이 굴곡판(152)에 상기 핀(150)이 돌설됨과 동시에 굴곡판(152, 153)에 회동축(154, 154)이 연설되고, 이 회동축(154, 154)이 측판(130) 및 샤시(1)에 설치된 홀더 프레임(155)에 지지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 베이스(149)의 평판부(151)에는 카세트 삽입 방향에 따라 슬라이드용 슬릿 (156)이 형성되고, 이 슬릿(156)에 카세트 인입용 슬라이더(157)가 슬라이드 자유롭게 감입되어 있다. 이 슬라이더(157)의 돌기(158)가 상기 제2의 이젝트 아암(138)의 장공(143)에 슬라이드 자유롭게 감입되어 있다. 또, 플레이트 베이스(149)의 평판부 (151)의 회동단에는 돌기편 (159) 및 들어올림편(160)이 연장 설치되고, 이 돌기편(159)은 카세트 홀더(161)에 계합되어 있다. 이 카세트 홀더(161)는 제37도 내지 제4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윗판(162) 및 윗판(162)의 양측 연부에 굴곡 형성된 연설판(延設板)(163,163)으로 이루어지고, 이 카세트 삽입구에는 바깥쪽으로 구부려 가이드편(164…)이 형성되어 있다. 또, 카세트 홀더(161)의 윗판(162)에는 상기 돌기편(159)이 계합되는 계합구멍(165)이 형성되고, 이 윗판(162)의 하면에 플레이트 베이스(149)의 들어올림편(160)이 배설되어 있다. 또, 윗판(162)에는 자기헤드(62)를 청소하기 위한 창부(166)가 형성되어 있고, 이 창부(166)에 의하여 카세트를 장전하지 않은 상태에서 플레이위치에 자기헤드(62)를 음향재생장치의 전면으로부터 크리닝할 수 있게 되어 있다. 이 카세트 홀더(161)는 플레이트 베이스(149)의 회동 동작에 의하여 상위치 및 하위치를 홀더 프레임(155)에 가이드 되어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의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카세트 삽입동작]
제4도의 이젝트 완료 상태로부터 카세트를 카세트 홀더(161)에 삽입하면, 카세트 인입용 슬라이더(157)에 당접하여 슬라이더(157)를 누름과 동시에 슬라이더 (157)는 카세트의 리일 구멍에 걸린다. 그리고 이 슬라이더(157)가 안으로 슬라이드되면, 제2의 이젝트 레버(138)가 인장스프링(139)의 스프링 힘에 대항하여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된다.
이때 제2의 이젝트 레버(138)(제4도에서 일점쇄선)의 위치에서 검출레버 (141)의 돌기(141a)는 제2의 이젝트 레버(138)의 카세트 삽입 검출용 캡(140)에 따라 이동되고, 검출레버(141)도 회동하여 카세트 삽입 검출용 스위치(142)가 온된다. 이 스위치(142)의 온에 의하여 구동모터(2)가 구동되어 제10도에 나타낸 소기어 (50), 기어(81), 소기어(82), 소기어(107, 113), 기어(114), 랙구동용 기어(116) 및 랙구동용 소기어(124)를 거쳐 랙(125)이 제4도에 있어서 좌측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젝트 레버(125)도 함께 아래로 움직여, 제1의 이젝트 아암(138)의 돌기(137)가 슬릿(135)의 단부에 당접되어 제1의 이젝트 아암(136)은 핀(134)을 중심으로 하여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된다.
다시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137)에 의하여 제2의 이젝트 아암(138)이 동일방향으로 회동됨으로써, 카세트 인입용 슬라이더(157)가 슬라이드용 슬릿(156)에 따라 안쪽으로 슬라이드되어 카세트가 인입된다. 또, 이젝트 레버(125)의 이동에 의하여 제7도의 상태로부터 측면부(127)의 카세트 홀더 상하이동용 캠(148)에 따라 플레이트 베이스(149)의 핀(150)이 상하위치로 부터 하위치가 되고, 프레이트 베이스(149)가 회동축(154)을 중심으로 하여 아래쪽으로 회동되어 카세트 홀더(161)가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위치에 떨어져 들어간다. 이 상태에서 이젝트 레버(125)의 측면부(127)의 돌기편(144)과 록레버(120)와의 계합이 해제되어 클러치 레버(106)는 인장스프링(118)에 의하여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어 소기어 (107)는 소기어(8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카세트 삽입동작이 종료된다.
[재생동작]
상기 카세트 삽입동작전, 헤드 베이스(63)는 제15도에 나타낸바와 같이 후퇴캠 (146)에 의하여 후퇴되어 있다. 그리하여, 상기 카세트 삽입동작에 있어서의 이젝트 레버(125)의 이동과 함께 후퇴캠(146)은 좌방향으로 이동된다. 이때 헤드 베이스(63)는 롤러(70)가 후퇴캠(146)에 압접되어 있으나, 헤드 베이스(63)는 전진 가능 상태가 되게 된다. 한편, 제2의 서브 베이스(74)는 제15도의 이젝트 완료시에 있어서 후퇴측에 있고, 구동모터(2)가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CCW 회전하면 소기어(5)에 의하여 기어(81)에 전달되어 소기어(82)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때, 소기어(82)에 섭접되고 있는 포즈레버(83)도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하여 스토퍼편(89)에 당접되어 정지한다. 이 위치에서 요동치차(84)는 기어(91)와 직접 맞물려져 있어 기어(91)는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있다.
이때, 기어(91)와 포즈기어(92)와는 맞물려져 있으므로, 포즈기어(92)는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계지캠(95)이 제2의 서브 베이스(74)의 가이드 핀(75)에 당접되어 코일스프링(78)에 대항하여 상방향으로 밀어올린다. 그리고,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캠(95)에 가이드 핀(75)이 계지되어 제2의 서브 베이스(74)는 계지 상태가 된다. 이때, 포즈기어(92)는 솔레노이드(105)의 여자에 의하여 플레이 레버 (98)의 스토퍼 래치(99)가 단부(97)에 계합되어 회전 저지되고 있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기어(91)는 포즈기어(92)의 결치부(94)에 위치되어 구동력을 전달되지 않는다. 이와 같이 하여, 파워어시스트 동작이 행해지고, 제2의 서브 베이스(74)가 전진위치에 계지되어 코일스프링(78)의 스프링 힘이 제1의 서브 베이스 (72) 및 헤드 베이스(63)의 전진력으로서 작용하여, 헤드 베이스(74)가 확실하게 전진된다.
한편, 구동모터(2)가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는 경우, 소기어(82)는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어 포즈레버(83)도 같은 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러면 요동기어(84)는 중간기어(91a)를 거쳐 기어(91)에 맞물리므로, 기어 (91)의 회전방향은 상기 경우와 마찬가지로 시계 회전방향이 되어 상기 파워 어시스트 동작이 된다. 이와 같이 구동모터(2)가 정전 혹은 역전의 어느쪽이더라도 헤드 베이스 (63)는 전진되도록 되어 있다.
[오토리버스 동작]
이 오토리버스 동작, 즉, 테이프의 주행 방향이 역방향이 될 때에는, 헤드 베이스 (63)는 후퇴하여 전진하는 동작, 소위 포즈동작이 반드시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캡스턴 축(6,7)과 핀치롤러(26,27)는 테이프주행방향 역전시에 반드시 떨어진다.
먼저, FWD 주행시, 즉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2)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경우, 풀리(4)에 걸쳐진 벨트(12)에 의하여 플라이휠(8,9)이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리고 기어(11)에 맞물린 감속기어(57)를 거쳐 기어 (55) 및 소기어(56)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이 소기어(56)에 맞물려 있는 유성기어(58)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유성기어(58)는 호상기어(59)와 맞물리므로 회동편(54)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어 제11도의 상태가 된다. 이 회동편(54)의 회동에 의하여 셀렉트 핀(53)이 이동되어 셀렉트 레버(36)가 이동된다. 이 섹렉트 레버(36)의 이동에 의하여 한쪽의 핀치롤러(27)는 이접캠구멍(38)의 압접캠부(43)에 위치되고, 핀치롤러(27)는 스프링 (35)에 의하여 캠스턴 축(7)에 압접된다. 한쪽의 핀치롤러(26)는 이간캠부(44)에 위치되어 스프링(34)에 대항하여 캡스턴 축(6)으로부터 떨어져 있다. 이때, 이간캠부(44)에는 클릭 작용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셀렉트 레버(36)가 약간 좌측으로 이동되어, 셀렉트핀(53)으로 계합된 회동편(54)로 시계 회전방향, 즉 유성기어(58)와 호상기어(59)의 맞물림이 완전히 해제되고, 또 셀렉트 레버(36)는 좌단에는 위치 결정된다.
또, 핀치롤러(26, 27)의 회동축(30, 31)은 핀치레버(14, 15)의 캠구멍(18, 19)에 삽입되어 있고, 캡스턴 축(7)에 압접되어 있는 핀치롤러(27)의 회동축(31)에 의하여 핀치레버(15)는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어 기어(17)가 릴기어(23)에 맞물려져 있다. 한편 캡스턴 축(6)으로 이간되어 있는 핀치롤러(26)의 회동축(30)에 의하여 핀치레버(14)는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어 기어(16)와 릴기어(22)와의 맞물림이 해제되어 있다.
이에 의하여, 구동모터(2)의 시계 회전방향의 회전이 벨트(12), 플라이휠(9), 기어(11), 기어(17)을 거쳐 릴기어(23)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되고, 다시 릴기구 (25)가 동작되어 장전된 카세트의 테이프가 권취된다.
한편, RWD 주행시, 즉 제12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동모터(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고 있는 경우, 풀리(4)로부터 벨트(12)를 거쳐 플라이 휠(8,9)이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기어(11)의 회전은 감속기어(57), 기어(55) 및 소기어(56)을 거쳐 유성기어(58)를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이에 의하여 회동편(54)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어, 셀렉트 핀(53)과 계합되어 있는 셀렉트 레버(36)가 우방향으로 이동된다. 이 셀렉트 레버(36)의 이동에 의하여 FWD 주행시와는 역으로 핀치롤러(27)는 캡스턴 축(7)으로부터 떨어지고, 핀치롤러(26)는 캡스턴 축(6)에 압접된다.
또 상기한 바와 같이 이간캠부(44)의 클릭 작용에 의하여 유성기어(58)와 호상기어(59)의 맞물림이 완전히 해제되고, 또, 셀렉트 레버(36)는 우단에서 위치결정된다.
또, 이 상태에 있어서, 핀치레버(14, 15)는 각각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고 있고, 핀치레버(15)의 기어(17)는 릴기어(23)와의 맞물림이 해제되고, 한편, 핀치레버 (14)의 기어(16)는 릴기어(22)와 맞물려져 있다.
이에 의하여, 릴 기구(24)가 동작되어 카세트 테이프가 감기게 된다.
한편, 셀렉트 레버(36)의 중앙편(48)에 설치된 회전검출용 기어(49)는 FWD 주행시에 릴기구(24)의 기어(50), 즉 권취측의 기어와 맞물려져 있다. 그리고 테이프가 종단에 이르러 테이프가 정지하면 릴기구(24, 25)에 연동되는 기어(50, 51)는 회전이 정지되고, 회전 검출기어(49)도 회전이 정지된다.
이 기어(49)의 정지는 광센서에 의하여 검출되고, 이 검출신호에 의하여 솔레노이드(105)의 여자가 정지되어 후술하는 포즈 동작이 행해진다. 그리고, 구동모터(2)는 정지전의 회전방향과 역전 구동되어 상기 재생 동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오토리버스동작이 행해진다.
[FF/REW 및 QUE/REVEW 동작]
제17도에 나타낸 FWD 주행 상태로부터 FF로 절환되는 경우, 솔레노이드 (105)의 여자가 정지되면, 제2의 서브 베이스(74)가 인장스프링(139)에 의하여 후퇴 방향으로 가세되므로, 제2의 서브 베이스(74)의 가이드 핀(75)에 의하여 포즈기어(92)의 계지 캠(95)을 거쳐 포즈기어(92)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됨과 동시에, 스토퍼래치(99)가 단부(97)로부터 이탈한다.
이에 의하여, 인장스프링(139)에 의하여 제2의 서브 베이스(74)의 가이드 핀(75)은 제10도에 나타낸 위치로 후퇴되고, 또 포즈기어(92)의 회동에 의하여 포즈기어(92)는 기어(91)와 맞물림 상태가 되고, 다시 구동모터(2)가 회전되었을 때에 파워 어시스트 동작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 베이스(63)는 상기 스프링(34, 35)에 의하여 제18도에 나타낸 위치로 후퇴하게 된다.
이 포즈 상태에서 헤드 베이스(63)의 FF록용 구멍(63a)에 삽입되어 있는 솔레노이드 레버(63d)의 돌편(63e)이 돌기(63b)에 계합하고, 솔레노이드 레버(63d)는 솔레노이드(63f)에 밀착상태가 된다. 그리고 솔레노이드(63f)가 여자되면 솔레노이드 레버(63d)는 밀착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상기 파워 어시스트 동작에 의하여 헤드 베이스(63)가 전진 동작되면, 헤드 베이스(63)는 그 단부(63c)에 솔레노이드레버(63d)의 돌편(63e)이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지된다. 또한, 제18도의 포즈상태에서는 헤드 베이스(63)의 후퇴이동에 의하여, 핀치롤러(26, 27)는 캡스턴 축(6,7)으로부터 이반(離反)됨과 동시에, 핀치롤러(26, 27)의 회동축(30, 31)의 후퇴이동에 의하여 핀치레버(14, 15)의 캠구멍(18, 19)의 관계에 의하여 핀치레버(14, 15)는 그 기어(16, 17)이 릴기어(22, 23)로부터 이반하는 방향으로 각각 회동하고, 릴기구(24, 25)에는 동력이 전달되지 않고 있다. 한편, 제19도의 FF상태에서는 핀치롤러(26, 27)는 캡스턴 축(6,7)과 이반되고 있으나, 한쪽의 핀치레버(15)의 기어(17)는 릴기어(23)에 맞물려지고, 릴기구(25)에 의하여 카세트 테이프는 권취된다. 이때 마이컴(도시생략)에 의하여 구동모터(2)의 거버너(GOV)는 떨어져 구동모터(2)의 회전속도는 증대되어, 권취측이 되는 릴기구(25)의 정(定) 각 속도 회전이 벗어난 상태에서의 FF상태가 된다.
또 REW 동작도, 릴기구(24)측에서 상기 FF 동작과 마찬가지로 행해진다. 또, QUE/REVEW 동작은 상기 FF/REW 동작에 있어서의 구동모터(2)의 거버너(GOV)를 걸어 행해지는 것으로 정각속도 회전이 행해진다.
[포즈동작]
FWD 주행에 있어서 RLAY 상태로부터 다음의 모드로 이행할 때에, 구동모터(2)가 FWD 주행시와 역의 방향으로 회전하는 동작에 들어가는 경우, 핀치롤러(26) 또는 (27)은 캡스턴 축(6) 또는 (7)과의 접촉이 해제되는 포즈동작이 행해지도록 되어 있다. 즉, 제17도에 나타낸 FWD 주행에 있어서의 PLAY 상태로부터 제20도에 나타낸 RWD 주행을 행하는 경우, 제10도에 나타낸 솔레노이드(105)의 여자가 정지되고, 플레이 레버(98)는 회동되어 스토퍼 래치(99)가 단부(97)로부터 이탈된다. 이에 의하여 포즈기어(92)는 회전 가능하게 되고, 제2의 서브 베이스(74)의 가이드 핀(75)이 포즈기어(92)의 계지캠(95)를 좌측으로 밀어 벗겨지고, 제2의 서브 베이스 (74)는 인장스프링(139)에 의하여 후퇴방향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헤드 베이스(63)은 스프링(34, 35)에 의하여 후퇴되고, 헤드 베이스(63)에 계합되는 핀치롤러(26, 27)의 회동측(30, 31)이 후퇴 동작되어 핀치롤러(26, 27)는 캡스턴 축(67)으로부터 이반되는 포즈상태가 된다. 그후, 구동모터(2)가 역전되어 다음 모드, 예를 들면, REW 동작이 행해진다. 이와 같이 하여, 테이프의 주행방향이 역전될 때, 핀치롤러(26, 27)와 캡스턴 축(6,7)과의 접촉을 해제함으로써, 권취방향의 다름에 의하여 생기는 테이프의 캡스턴 축(6, 7)에의 감김을 방지할 수 있다.
[이젝트 동작]
제13도에 나타낸 FWD 주행에 있어서의 PLAY 상태로부터 이젝트 동작을 개시한다.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이젝트 솔레노이드(110)가 여자되면, 작동편(111)을 거쳐 클러치 레버(106)는 지지축(108)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어, 소기어(107)가 소기어(82)에 맞물린다. 그리고 구동모터(2)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구동되면 소기어(5), 기어(81), 소기어(82), 소기어(107, 113), 기어(114)를 거쳐 랙 구동용 기어ㆍ소기어(116, 114)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랙 구동용 소기어(124)는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랙(126)에 맞물려져 있어 랙(126)은 우측으로 이동된다. 이 랙(126)이 설치된 이젝트 레버(125)도 우측으로 이동되고, 이젝트 레버(125)의 카세트 홀더 상하이동용 캠(148)에 따라 플레이트 베이스(149)의 핀 (150)이 하위치로부터 상위치로 이동하여, 플레이트 베이스(149)가 회동축(154)을 중심으로 하여 상방으로 회동되어 카세트 홀더(161)가 상위치로 상승한다.
또, 슬릿(135)의 단부에 의하여 제1의 이젝트 아암(136)의 돌기(137)가 위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제1의 이젝트 아암(136)은 핀(134)을 중심으로 하여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어 제4도와 같이된다. 이때, 록레버(120)는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편(144)에서 록되고, 클러치 레버(106)의 소기어(107)와 소기어(82)의 맞물림이 유지된다. 또, 제1의 이젝트 아암(136)과 인장스프링(139)에 의하여 장가(張架)되어 있는 제2의 이젝트 아암(138)이 인장스프링(139)의 스프링힘에 의하여 인장되어, 제2의 이젝트 아암(138)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된다. 그리고, 이 제2의 이젝트 아암(138)에 계합되어 있는 카세트 인입용 슬라이더(157)가 슬라이드용 슬릿 (156)에 따라 전방으로 슬라이드되어 카세트가 배출된다.
또, 이젝트 레버(125)의 상기 이동에 의하여 후퇴 캠(146)도 이동하여 제13도와 같이 전진되어 있는 헤드 베이스(63)의 롤러(70)에 후퇴캠(146)이 당접되고, 헤드 베이스(63)는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후퇴된다. 이 상태에서, 헤드 베이스(63)는 후퇴 캠(146)에 의하여 전진하지 않도록 록되게 된다. 이 헤드 베이스(63)의 후퇴동작은 제1의 서브 베이스(72)와 제2의 서브 베이스(74)와의 사이에 인장 설치된 코일스프링(78)의 신축에 의하여 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제13도의 상태에서 전원을 차단했을 경우, 상기 파워어시스트 기구의 솔레노이드(105)의 여자도 정지되므로, 제2의 서브 베이스(74)의 가이드핀(75)에 대한 포즈기어(92)의 계지캠(95)의 록이 해제되고, 제2의 서브 베이스(74)는 후퇴 이동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상기 실시예에서는 구동모터(2)가 정전 또는 역전되고, 이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한 쌍의 릴기구(24, 25) 및 캡스턴 축(6,7)이 회전되고, 이 캡스턴 축(6,7)에 대하여 이접되는 한쌍의 핀치롤러(26, 27)이 각각 설치되고, 이 핀치롤러(26, 27)의 회전축(30, 31)에 헤드 베이스(63)의 삽통구멍(68, 69)이 계합되어 강제적으로 핀치롤러(26, 27)이 캡스턴 축(6,7)로부터 떨어지고, 이 헤드 베이스(63)를 전진시켜 유지하는 유지기구가 설치되고, 이 유지기구의 솔레노이드(105)의 여자를 정지함으로써 헤드 베이스(63)에 연동하는 제2의 서브 베이스(74)의 가이드핀(75)과 포즈기어(92)의 계기캠(95)과의 계지를 해제하여 전진되어 있던 헤드 베이스(63)가 후퇴시킨 포즈위치로 시킨다.
따라서, RLAY 상태로부터 구동모터(2)가 PLAY 상태와는 역방향으로 회전동작으로 들어갈때 유지기구를 해제할 수가 있으므로, 핀치롤러(26, 27)과 캡스턴 축(6,7)이 역방향으로 돌고 있어도 테이프가 역방향으로 송출되는 일이 없고, 테이프가캡스턴 축(6,7)에의 감겨붙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또, 헤드 베이스(63)가 포즈기어(92)를 가지는 유지기구에 의하여 전진되고, 이 전진 이동 종료 직전에서 FF/REW 기구를 구성하는 솔레노이드 레버(63d)의 돌기편(63e)이 헤드 베이스(63)의 FF록용 구멍(63a)의 단부(63c)에 계합되게 되어 헤드 베이스(63)이 전진 이동은 저지된다.
이 상태에서 헤드 베이스(63)에 의하여 핀치롤러(26, 27)은 캡스턴 축(6,7)으로부터 떨어져 있어 FF/REW 동작이 행해진다.
또, 구동모터(2)가 정전 혹은 역전되어도, 그 회전은 소기어(81)등을 거쳐 포즈레버(83)의 요동기어(84)에 전달된다.
그리고 포즈레버(83)는 구동모터(2)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동되고, 요동기어 (84)는 직접 혹은 중간기어(91a)를 거쳐 포즈기어에 맞물린다.
이와 같이 하여, 포즈기어(92)는 구동모터(2)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일정방향으로 회전되어 계지캠(95)에 의하여 제2의 서브 베이스(74)가 전진 이동된다. 그리고, 코일스프링(98)을 거쳐 헤드 베이스(63)도 전진 이동되어 파워어시스트 동작이 행해진다. 또, FWD 주행에 있어서의 구동모터(2)의 회전방향과, 테이프 로딩시의 구동모터(2)의 회전방향이 동일방향으로 설정되어 있으므로, 이젝트시의 테이프 주행방향 여하에 관계없이 테이프로딩후에는 반드시 FWD 주행으로부터 PLAY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하여 구동모터(2)가 정전 혹은 역전하는 타입의 것을 사용할 수 있게 되어, 각종 동작 기구가 간소화되고, 제조가격을 저감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모터가 역방향으로 회전할때에 유지기구가 해제되어 핀치롤러와 캡스턴 축과의 접촉이 해제되기 때문에, 캡스턴 축이 역방향으로 돌아도 테이프가 역방향으로 송출되는 일이 없고, 테이프가 캡스턴 축에 감겨붙는 일이 없어 테이프 주행이 행해질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모터가 정전 역전 가능한 것을 사용할 수 있어, 동작기구가 간소화되어 제조가격을 저감할 수 있다.

Claims (8)

  1. 정전 혹은 역전가능한 모터와, 그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한쌍의 릴기구와, 상기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회전되는 한쌍의 캡스턴 축과, 그 캡스턴 축에 인접되는 한쌍의 핀치롤러와, 그 핀치롤러에 계합되어 강제적으로 캡스턴 축으로부터 이간시키는 헤드 베이스와, 그 헤드 베이스를 전진시켜 유지하는 유지 기구를 구비하고, 적어도 플레이 동작중에 상기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동작으로 들어갈 때에, 상기 유지기구가 해제되어 상기 헤드 베이스가 후퇴되어, 상기 핀치롤러를 캡스턴 축으로부터 이간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기구를 록하는 스토퍼기구가, 포즈기어에 설치된 단부와, 그 단부와 계합하여 포즈기어의 회전을 저지하는 스토퍼 래치를 구비한 회동레버와, 그 회동레버를 회동하는 솔레노이드로 형성되고, 상기 유지기구를 해제시킬 때, 솔레노이드의 여자를 정지시켜 상기 스토퍼 래치의 단부와의 계합을 해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장치.
  3. 자기헤드가 설치되고, 전진 혹은 후퇴동작하는 헤드 베이스와, 이 헤드 베이스를 전진시켜 유지하는 유지기구와, 이 유지기구에 의하여 전진 이동되는 헤드 베이스를 전진종료 직전에서 계지하는 FF/REW 기구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헤드 베이스에 돌기 및 단부를 구비한 록용 구멍이 설치됨과 동시에 그 록용 구멍에 일단이 솔레노이드와 계합하는 솔레노이드 레버가 삽입되고, FF/REW 동작시는 상기 솔레노이드 레버에 설치된 돌기팬이 상기 돌기에 계합됨과 동시에 상기 솔레노이드에 의하여, 상기 돌기를 계지 상태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FF/REW 기구에는, 정전 혹은 역전 가능한 구동모터를 구비하고, 테이프를 빠른 이송 또는 빠른 되감기를 할때, 구동모터의 조속기를 벗어나서 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장치.
  6. 정전 또는 역전 가능한 구동모터와, 이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 회동되는 포즈레버와, 이 포즈레버에 회전 자유롭게 설치된 요동기어가 상기 구동모터의 정전 혹은 역전에 따라 직접 혹은 중간기어를 거쳐 간접으로 맞물리는 포즈기어와, 이 포즈기어에 설치된 계지캠에 의하여 전진 이동되어 전진 위치에서 유지되는 헤드 베이스와, 상기 포즈기어의 계지위치에서 포즈기어를 계지하는 회전 지지하는 솔레노이드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포즈기어가 계지위치일때에, 그 포즈기어가 요동기어와 걸리지 않도록 포즈기어가 외주의 일부에 결치부를 가지는 결치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장치.
  8. 정전 혹은 역전 가능한 구동 모터를 구비하고, 이 구동 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테이프 로딩동작을 행하고, 또, 상기 구동모터의 구동에 의하여 테이프를 FWD 주행시키고 이 FWD 주행과 테이프로딩 동작에 있어서의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방향을 동일 방향으로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향재생장치.
KR1019890003346A 1988-04-06 1989-03-17 음향 재생장치 KR9200026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46694 1988-04-06
JP1988046694U JPH082818Y2 (ja) 1988-04-06 1988-04-06 音響再生装置
JP1988046693U JPH01151434U (ko) 1988-04-06 1988-04-06
JP?63-46693 1988-04-06
JP46693 1988-04-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534A KR890016534A (ko) 1989-11-29
KR920002605B1 true KR920002605B1 (ko) 1992-03-30

Family

ID=263868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90003346A KR920002605B1 (ko) 1988-04-06 1989-03-17 음향 재생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5006941A (ko)
KR (1) KR92000260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17097A (ja) * 1994-06-27 1996-01-19 Sony Corp テーププレーヤにおけるテープ走行機構
US5655724A (en) * 1996-01-16 1997-08-12 Ford Motor Company Autoreverse cassette tape mechanism with tape-eating prevention
US5883773A (en) * 1996-07-09 1999-03-16 Tanashin Denki Co., Ltd. Manual operating device for auto-reverse cassette tape recorder
JP3042767B2 (ja) * 1996-07-09 2000-05-22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車載用テープレコーダ
JP3610700B2 (ja) * 1996-10-09 2005-01-19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カセット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US6089488A (en) * 1999-03-09 2000-07-18 Mec Co., Ltd. Lock mechanism for the clutch of a reel base
EP2596958B1 (en) * 2010-07-22 2019-06-26 Toppan Printing Co., Ltd. Cassette attachment device and cassett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2055A (en) * 1978-11-16 1982-07-27 Olympus Optical Co., Ltd. Automatic reverse tape recorder
GB2079514B (en) * 1980-06-20 1985-01-16 Tanashin Denki Co An auto-reverse device for a two-reel type tape recorder
US4646302A (en) * 1982-04-30 1987-02-24 Tokyo Shibaura Denki Kabushiki Kaisha Tape recorder with a head position control
US4698706A (en) * 1984-12-04 1987-10-06 Fortel, Inc. Reversible drive mechanism for a magnetic tape in a magnetic tape recorder
JP2565203B2 (ja) * 1987-06-30 1996-12-18 ソニー株式会社 リバ−ス式記録再生装置のモ−ド切換機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90016534A (ko) 1989-11-29
US5006941A (en) 1991-04-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20002605B1 (ko) 음향 재생장치
JPH0150983B2 (ko)
JP3273637B2 (ja) 記録再生装置用モード切換え機構
KR920002608B1 (ko) 음향재생장치
US4507694A (en) Selection/drive system for use in a tape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029036A (en) Normal/reverse mode changing mechanism for tape transport apparatus
KR940006388B1 (ko) 오토리버스식 기록 재생장치
US3666208A (en) Automatic tape transducer mechanism
KR860000916B1 (ko) 테이프 종단검출장지
JPS6020177Y2 (ja) テ−プレコ−ダの連結機構
US4680659A (en) Tape drive mechanism having torque transmitting gear assemblies
KR860001255B1 (ko) 테이프 레코오더
EP0045328B1 (en) A loading mechanism for a cassette tape recorder
JPH082818Y2 (ja) 音響再生装置
KR860001745B1 (ko) 테이프 레코더의 구동장치
JPH0422421Y2 (ko)
JPH0422422Y2 (ko)
JP3044809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S5923239Y2 (ja) テ−プレコ−ダの可動部材摺動機構
JP2667843B2 (ja) テープレコーダ
JPH0135320Y2 (ko)
JPS6144268Y2 (ko)
JP3575192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3575191B2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H021058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219

Year of fee payment: 12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