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27484B1 - 누름 단추 기구 - Google Patents
누름 단추 기구Info
- Publication number
- KR0127484B1 KR0127484B1 KR1019880003214A KR880003214A KR0127484B1 KR 0127484 B1 KR0127484 B1 KR 0127484B1 KR 1019880003214 A KR1019880003214 A KR 1019880003214A KR 880003214 A KR880003214 A KR 880003214A KR 0127484 B1 KR0127484 B1 KR 0127484B1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push button
- gear
- lever
- play
- piec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Landscapes
- Push-Button Switch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본 발명은 신규한 누름 단추 기구에 관한 것이다. 자세하게는 샤시 등의 지지 부재에 비압입 위치와 압입 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는 한편 상기 비압입 위치쪽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된 상태로 설치되는 동시에 압입 위치로 밀어넣어지므로서 소정의 동작을 행하는 누름 단추를 구비한 누름 단추 기구에 관한것이며, 누름 단추의 지지 부재로의 부착, 즉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이 자유로운 동시에 비압입 위치로 향하게 하여 작용되고 있는 상태에서의 부착을, 누름 단추와 일체화한 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도록하고 그것에 의해 상기 종류의 기구를 단일 부품 구조로 할 수 있도록 한 신규의 누름 단추 기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누름 단추 기구는 지지 부재에 비압입 위치와 압입 위치의 사이를 이동하게 되는 한편 상기 비압입 위치쪽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된 상태로 설치되는 누름 단추를 구비한 누름 단추 기구에 있어서, 누름 단추부와 지지 부재의 누름 단추부가 대향하는 면에 탄성 접촉하는 누름 단추부에 반지지 부재쪽으로의 이동력을 작용하는 탄성편과 선단부가 지지 부재의 상기 탄성편이 접촉하는 면과 반대측면에 결합하는 결합편을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하므로서, 누름 단추부의 지지 부재로의 부착을 그누름 단추부와 일체화된 상기 탄성편과 결합편에 의해 행할 수 있도록 하고, 이것에 의해 이 종류의 누름 단추 기구를 단일 부품 구조로 할 수 있어 그 취급이나 지지 부재로의 부착 작업을 매우 쉽게 행할수 있는 동시에 염가로 제조할 수 있고, 또한 일정한 품질이나 동작 특성을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예컨대 소정 방향으로 압압되므로서 소정의 기계적 또는 전기적 동작을 행하는 동작 부재를 압압하기 위한 조직 수단으로서 소위 누름 단추 기구가 있다.
이와 같은 누름 단추 기구에는 종래부터 각종의 것이 있으나, 이 종류 기구는 기본적으로 조작부로서의 누름 단추와 누름 단추를 동작 부재와 대향하는 상태로 지지 부재에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 자유로운 상태로 지지하는 지지 부재와 누름 단추에 반동작 부재측으로의 이동력을 작용하기 위한 탄성 수단 등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런데 종래의 누름 단추 기구는 그 구성부분인 상기 누름 단추, 지지 수단, 탄성 수단 및 기타부분의 전부 또는 대부분이 각기 개별 부품에 의해 구성되어 있었으므로, 부품 갯수가 많고 따라서 누름 단추 기구 자체의 구조가 복잡한 한편, 지지 부재에는 이들 부품을 지지하기 위한 다수의 지지부가 필요하게 되고, 지지부재의 구조도 복잡하게 되는 동시에 부품 관리나 조립에 많은 일손을 필요로 하고 비용이 높아지며, 또한 각 부분의 부착 상태에 있어서의 위치 관계의 변동에 의해 동작 특성에 변동이 발생하는 등 많은 문제점이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누름 단추 기구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지지부재에 비압입 위치와 압입 위치 사이를 이동하게 되는 한편, 상기 비압입 위치쪽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된 상태로 설치되는 누름단추를 구비한 누름 단추 기구에 있어서, 지지 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한 누름 단추부와, 지지부재와 누름 단추부의 사이에 위치하는 한편, 한쪽 단부가 누름 단추부에 연속하며, 다른쪽 단부가 지지 부재에 접촉하므로서 누름 단추부에 반지지 부재쪽으로 이동력을 작용하는 탄성편과, 선단부가 지지부재의 상기 탄성편이 탄성 접촉하는 면과 반대쪽면에 결합하는 결합편을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누름 단추 기구에 의하면, 누름 단추를 그 누름 단추와 일체화한 탄성편과 결합편에 의해서 지지 부재에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 자유로운 한편 비압입 위치쪽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상기 종류의 누름 단추 기구를 단일 부품 구조로 할 수 있고, 이로 인하여 그 취급이나 지지부재로의 부착 작업을 때우 쉽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염가로 제조할 수 있는 한편 일정한 품질이나 동작 특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도면은 본 발명의 누름 단추 기구를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주행 방향 전환 기구에 있어서의 방향 전환 버튼에 적용한 실시의 한 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제3도의 I - I 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2도는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의 메카데크를 도시하는 평면도.
제3도는 메카데크중 메카샤시 하측 부분을 도시하는 확대 평면도.
제4도는 테이프 주행 방향 전환 기구를 도시하는 분해 사시도.
제5도는 요부의 사시도.
제6도는 요부의 분해 사시도.
제7A도 및 제7B도는 테이프 주행 방향의 전환 동작을 차례로 도시하는 요부의 저면도.
제8도는 자동 정지 모드에 있어서의 메카데크의 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지지부재, 68,69 : 누름 단추부,
69 : 누름 단추, 70,70 : 탄성편,
71 : 결합편, 72 : 선단부.
이하에, 본 발명의 누름 단추 기구의 상세를 첨부 도면에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또한, 도시한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오토리버스 기능 및 자동 정지 기능을 구비한 오디오 테이프 플레이어(1)의 테이프 주행 방향 전환 기구에 있어서의 방향 전화 버튼 기구에 적용한 것이다.
2는 메카샤시이다.
3은 메카샤시(2)의 주부를 이루는 샤시부이며, 상기 샤시부(3)는 그 후단 근처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이 좌우 방향으로 긴 대개 직사각형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후단 근처 부분이 대개 M자형을 하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M자형을 한 부분의 후단부에서 리일대 지지축(4,4')이 설치되고 또한 전단부의 좌우 양단부에서 아암 지지축(5,5')이 설치되어 있다.
6은 샤시부(3)의 전단부에서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여 돌출한 비교적 키가 낮은 전벽이고, 그 전벽(6)은 그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대개 중앙부가 아래쪽에서 보아서 대개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되어 있고, 상기 크랭크 형상으로 굴곡한 위치에서 우측부분(6a)이 그 나머지 부분보다 조금 앞쪽에 위치하고있다.
7,7실은 샤시부(3)에 인서어트 성형된 캡스턴 지지 슬리이브이며 그 캡스턴 지지 슬리이브(7,7')는 샤시부(2)의 전단 모서리 부근 부분의 상호 좌우 방향으로 떨어진 위치에 설치되어 있고, 그 상단부가 샤시부(3)의 상면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며 그 하단부가 샤시부(3)의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샤시부(3)에 형성된 각부중 상기한 각부 이외의 부분에 대해서는 후술하는 각 부재의 설명중에서 관련하여 기술하기로 한다.
8은 재생 동작이 행하여지는 상태(이하 「플레이 모드」라 한다)를 형성하기 위한 플레이 레버이다. 그 플레이 레버(8)는 그 전후 양단부를 제외한 주부(8a)가 좌우 방향으로 긴 대개 직사각형상의 판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주부(8a)의 후단 테두리에서 2개의 규제편(9,9실)이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설치되어 있고, 그 규제편(9,9실)의 각 후단부는 이들 사이의 간격이 타부분 사이의 간격보다 좁아지도록 상호 내측으로 향하게 하여 돌출되어 있다.
10은 주부(8a)의 전단부에 지지된 자기(磁氣) 헤드, 11은 주부(8a)의 전단 모서리에서 전방으로 향하게 해서 돌출된 돌출부에 고정된 플레이버튼, 12는 주부(8a)의 조금 좌측 치우친 위치에서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여 꺾어 세운 형상을 형성된 잠김편이다.
그리고, 플레이 레버(8)는 샤시부(3)의 상면에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인장 스프링(13)에 의해서 전방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된 상태로 되어 있고,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압압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자기 헤드(10)가 플레이어(1)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14)의 전면에 전방에서 조금 간격을 두어서 대향하는 위치(이하,「비플레이 위치」라 한다. 또한, 이 위치에 와 있는 플레이 레버(8)의 일부를 제8도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하고 있다.)에 유지되고, 또한 후방으로 소정량 밀어넣어지므로서 제2도에 도시하는 것처럼 자기 헤드(10)가 테이프 카세트(14)의 자기테이프(15)중 테이프 카세트(14)의 전면부를 통해 있는 부분에 접촉하는 위치(이하,「플레이 위치」라한다)로 이동되게 된다.
또한, 플레이 레버(8)의 잡김편(12)의 하부는 샤시부(3)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구멍을 통해서 샤시부(3)의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하게 되어 있다.
16은 잠금 슬라이더이다. 그 잠금 슬라이더(16)는 좌우 방향으로 긴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샤시부(3)의 하면에 일정한 범위내에서 좌우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지지되고, 또한 인장 스프링(17)에 의해 항시 좌측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되고 있다.
그리고 잠금 슬라이더(16)의 우측 대개 반분에 상호 좌우 방향으로 조금 간격을 두어서 위치한 3개의 결합구멍(18,19 및 20)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들 결합구멍(18,19 및 20)의 우측 테두리에 후단으로 감에 따라서 좌측으로 변위하는 피압압 경사 테두리(18a,19a,20a)와 그 피압압 경사 테두리(18a,19a,20a)의 후단에 연속하여 우측으로 향하게 하여 뻗는 결합 테두리(18b,19b,20b)가 형성되어 있고, 플레이 레버(8)에 형성된 상기 잠김편(12)의 하단부는 이들 결합구멍(18,19 및 20)의 한가운데의 것(19)내에 위치하고 있다.
그래서, 플레이 레버(8)가 소정량 후방으로 밀어 넣어지면 그 잠김편(12)이 잠금 슬라이더(16)의 결합 구멍(19)의 피압압 테두리(19a)를 압압하므로서 잠금 슬라이더(16)가 일단 우측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잠김편(12)이 결합구멍(19)의 결합 테두리(19b)보다 후방으로 온곳에서 잠금 슬라이더(16)를 인장스프링(17)의 인장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고 그것에 의해 플레이 레버(8)의 잡김편(12)이 제8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처럼 결합 테두리(19b)에 결합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플레이 레버(8)가 플레이 위치에 유지하게 된다.
또한, 잠금 슬라이더(16)의 3개의 결합구멍(18,19 및 20)의 우측의 것(18)은 FF레버(21)용의 결합구멍, 좌측의 것(20)은 REW레버(22)용의 결합구멍이다.
또한, 23은 스톱 레버이고, 잠금 슬라이더(16)는 스톱 레버(23)가 소정량 후방으로 밀어 넣어지므로서 오른쪽으로 이동되도록 되어 있고, 따라서 플레이 레버(8)가 플레이 위치에 와 있는 상태 또는 FF레버(21)의 잠김편(21a) 또는 REW레버(22)의 잠김편(22a)이 잠금 슬라이더(16)의 결합 테두리(18b또는 20b)와 결합하고 있는 상태에서 스톱 레버(23)가 밀어 넣어지면 결합 테두리(18b,19b,20b)가 잠김편(12,21a,22a)에서 우측으로 벗어난 위치로 달아나므로, 밀어넣어졌던 플레이레버(8)가 비플레이 위치에, 혹은 FF레버(21) 또는 REW레버(22)가 원래 위치로 되돌아오게 되고, 그것으로 인하여 플레이어(1)가 스톱 모드가 된다.
또한, 플레이 모드에서의 스톱 모드의 형성은 후술하는 모드 전환 레버가 동작했을 때는 자동적으로 된다.
(24)는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의 자기 테이프(15)의 주행 방향을 규정하기 위한 방향 전환 슬라이더이고, 상기 방향 전환 슬라이더(24)는 좌우 방향으로 길고 가느다란 주부(24a)와, 그 주부(24a)의 우단근처 위치에서 후방으로 향하게 해서 돌출한 돌출부(24b)와, 대개 ㄴ자형을 이루는 한편 그 ㄴ자형의우단이 상기 돌출부(24b)의 후단에 연속한 아암부(24c)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룬다.
그리고, 주부(24a)의 후측 테두리의 우단부 및 좌단에서 조금 우측으로 치우친 위치에 위쪽으로 향하게 해서 돌출한 키가 낮은 핀치롤러 규제편(25,25')이 형성되고, 또한 돌출부(24b)에 대개 직사각형을 이루는 캠 배치구멍(26)이 형성되어 있다.
27은 후술하는 아이들러 레버에 소정의 모드에 있어서의 소정의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작용하기 위한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이고, 그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27)은 대개 가위 형상을 하고 있으며, 상기 코일부가 방향 전환 슬라이더(24)의 아암부(24c)의 ㄴ자형의 굴곡점에 지지되는 동시에 2개의 아암(27a,27b)이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대개 평행으로 돌출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그리고, 방향 전환 슬라이더(24)는 샤시부(3)의 하면에 좌우 방향으로 이동 자유롭게 설치되는 동시에 캠 배치구멍(26)의 좌우측 테두리가 후술하는 방향 전환 기어의 캠에 의해서 압압되므로서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전진 위치와 제7B도에 도시하는 후진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되도록 되어 있다.
28,28'는 캡스턴이고, 상기 캡스턴(28,28실)은 후술하는 캡스턴 풀리에서 설치되는 동시에, 그 하측 대개 절반이 메카샤시(2)의 샤시부(3)에 설치된 상기 캡스턴 지지 슬리이브(7,7')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들 2개의 캡스턴(28,28')중 우측의 것(28)이 전진 플레이 모드 즉, 자기 테이프(15)를 전진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재생을 행하는 모드에 있어서 기능하는 캡스턴(이하,「F측 캡스턴」이라 한다)이고, 좌측의 캡스턴(28')이 후진 플레이 모드 즉 자기 테이프(15)를 후진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재생을 행하는 모드에 있어서 기능하는 캡스턴(이하,「R측 캡스턴」이라 한다)이다.
29,29실는 리일대이고, 상기 리일대(29,29')는 비교적 지름이 큰 기어부 (29a,29'a)와 상기 기어부(29a,29'a)의 중심부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리일 결합축 (29b,29'b)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고, 메카샤시(2)의 샤시부(3)에 설치된 상기 리일대 지지축 (4,4')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14)가 플레이어(1)에 장착되면, 2개의 테이프 리일 (30,30')이 상기 리일대(29,29')의 리일 결합축 (29b,29'b)에 별개로 결합되고, 그것에 의해서 우측 테이프 리일(30 : 이하,「T리일」이라 한다)이 우측 리일대(29 : 이하「F축 리일대」라 한다)와, 좌측 테이프 리일대(30' : 이하,「S리일」이라 한다)가 좌측 리일대(29' : 이하,「R측 리일대」라 한다)와 각기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상태가된다.
31 및 31'은 핀치롤러이다.
32,32'는 핀치 롤러아암이고, 상기 핀치롤러아암(32,32')은 그 기단부가 샤시부(3)에 설치된 상기 아암 지지축(5,5실)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그 회전 단부에 지지축(33,33')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지지축(33,33')에 핀치롤러(31,31실)가 회전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상기 지지축(33,33')의 하단부는 샤시부(3)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는 구멍을 통해서 샤시부(3)의 아래쪽까지 달하고, 상기 방향 전환 슬라이더(24)에 설치된 핀치롤러 규제편(25,25')과 대향되어 있고, 또한 핀치롤러 아암(32,32')은 대개 후방으로의 회전력이 작용되는 동시에 플레이 레버(8)가 비플레 위치와 플레이 위치의 사이를 이동하는데 수반하여 대개 전후방으로 회동되고, 또한 플레이 레버(8)가 비플레이 위치에 와 있을 때는 핀치롤러(31,31')가 상기 캡스턴(28,28')에 대개 전방에서 조금 간격을 두어서 대향하는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방향 전환 슬라이더(24)가 전진 위치에 와 있을 때는 그 핀치롤러 규제편(25,25')의 우측의 것(25)이 우측 핀치롤러 아암(32)의 지지축(33)의 후방에서 조금 좌측으로 달아난 위치에 와 있고, 또한 좌측 핀치롤러 규제편(25실)이 좌측 핀치롤러아암(32실)의 지지축(33')에 후방에서 대향하여 위치하고, 또한 방향 전환 슬라이더(24)가 후진 위치에 와 있을 때는 우측 핀치롤러 규제편(25)이 우측 핀치롤러 아암(32)의 지지축(33)에 후방에서 대향하여 위치하고, 또한 좌측 핀치롤러 규제편(25')이 좌측 핀치롤러 아암(32')의 지지축(33')의 후방에서 조금 우측으로 달아난 위치에 와 있다.
따라서, 방향 전환 슬라이더(24)가 전진 위치에 와 있는 상태(이하,「전진 상태」라 한다)에서 플레이레버(8)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하면, 우측 핀치롤러아암(32)은 핀치롤러(31)가 F측 캡스턴(28)에 압착하는 위치까지 이동하나, 좌측 핀치롤러아암(32')은 제3도에 도시하는 것처럼 펀치롤러(31')가 R측 캡스턴(28')에 접촉하기 직전의 위치까지 온곳에서 지지축(33')이 방향 전환 슬라이더(24)의 좌측 핀치롤러 규제편(25')에 접촉하여 그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되게 된다.
또한, 이것과는 반대로 방향 전환 슬라이더(24)가 후진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플레이 레버(8)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한 때는 좌측 핀치롤러아암(32실)의 후방으로서 이동이 핀치롤러 규제편(25')에 의해서 지지되지 않으므로, 핀치롤러(31')가 R측 캡스턴(28')에 장착하는 위치까지 이동하게 되나, 우측 핀치롤러아암(32)의 후방으로의 이동은 방향 전환 슬라이더(24)의 우측 핀치롤러 규제편(25)에 의해서 저지되기 때문에, 핀치롤러(31)가 F측 캡스턴(28)에 접촉하기 직전의 위치에 온곳에서 후방으로의 이동이 저지되게 된다. 그리고, 전진 위치에서 플레이 모드가 되었을 때는 우측 핀치롤러(31)가 F측 캡스턴(28)에 장착되고, 후진 상태에서 플레이 모드가 되었을 때는 좌측 핀치롤러(31실)가 R측 캡스턴(28')에 장착되게 된다.
34는 후술하는 제2전달 기어에 의해서 회전되며 리일대(29,29')와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맞물림으로써 이들 리일대(29,29')를 구동하는 아이들러 기어, 35는 상기 아이들러 기어(34)를 지지하고 있는 아이들러 레버이다.
아이들러 레버(35)는 대개 전후 방향으로 긴 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에서 약간 전방근처 위치가 샤시부(3)의 후단 테두리의 좌우 방향에 있어서의 대개 중앙부에 근접한 위치에 설치된 지지축(36)의 샤시부(3)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부분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그 후단부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기어 지지축(37)에 아이들러 기어(34)가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38은 아이들러 기어(35)의 전단부에서 아래쪽으로 향하게 해서 돌출한 피압압된, 39는 아이들러 레버(35)의 전단부 상면에 형성된 피규체 돌출부이다.
또한 아이들러 기어(34)는 리일대(29,29')의 기어부(29a,29실a) 직경의 대개 반분의 직경을 지닌 대기어(34a)와, 상기 대기어(34a)의 상면에 위치한 소기어(34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고, 대기어(34a)가 후술하는 제2전달 기어와 항시 맞물려 있다.
또한, 40은 샤시부(3)의 상면중 아이들러 레버(35)의 우측 위치에 설이된 중간 기어이며, 그 중간 기어(40)는 F측 리일대(29)의 기어부(29a)와 향시 맞물려 있다.
그리고, 아이들러 레버(35)의 피압압핀(38)의 하단부는 상기 방향 전환 슬라이더(24)에 설치된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27)의 2개의 아암(27a와 27b)의 선단부간에 위치해 있고, 아이들러 레버(35)는 방향전환 슬라이더(24)가 전진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처럼 피압압핀(38)이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27)의 우측 아암(27a)에 의해 좌측으로 향하게 하여 압압되므로서, 시계 방향으로서의 회전력이 작용되고, 방향 전환 슬라이더(24)가 후진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동도면에 이점쇄선으로 도시하는 것처럼 피압압핀(38)이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27)의 좌측 아암(27b)에 의해 우측으로 향하게 하여 압압되므로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력이 작용되고 있다. 또한, 아이들러 레버(35)의 피규제돌출부(39)는 플레이 레버(8)의 상기 2개의 규제편(9,9')의 사이에 위치되어있고, 플레이 레버(8)가 비플레이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규제편(9,9')의 후단부가 상기 피규제 돌출부(39)를 좌우 양측에서 대개 끼도록 위치하고, 그것에 의해 아이들러 레버(35)가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27)에 의해 작용된 상기 회동력이 대항하여 그 회전 범위의 대개 중간 위치에 유지되도록 되어있고, 아이들러 레버(35)가 이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아이들러 기어(34)가 그 소기어(34b)가 R측 리일대(29')의 기어부(29'a) 및 중간 기어(40)의 모두가 맞물리지 않는 위치(이하,「중립위치」라 한다)에 유지된다.
그래서, 플레이 레버(8)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하면 제2도에 도시하는 것처럼 규제편(9,9')의 후단부가 아이들러 레버(35)의 피규제 돌출부(39)보다 후방의 위치로 달아나기 때문에 아이들러 레버(35)의 규제편(9,9')에 의한 위치 규제가 해제되는 것이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방향 전환 슬라이더(24)가 전진 위치에 와 있으면 아이들러 레버(35)가 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아이들러 기어(34)의 소기어(34b)가 중간 기어(40)에 개재하여 F측 리일대(29)의 기어부(29a)와 맞물리고, 또한 방향 전환 슬라이더(24)가 후진 위치에 와 있으면 아이들러 레버(35)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하여 아이들러 기어(34)의 소기어(34b)가 R측 리일대(29')의 기어부(29'a)와 맞물리게 된다.
또한, 상기한 상태에서 플레이 레버(8)가 비플레이 위치에 되돌아오게 되면 규제편(9,9')의 후단부가 아이들러 레버(35)의 피규제 돌출부(39)의 위치를 규제하므로 아이들러 기어(34)가 중립 위치에 되돌아오게 된다.
41은 모터이고, 그 모터(41)는 샤시부(3)의 하면의 우단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그 회전축(41a)의 하단부에 비교적 지름이 작은 풀리(42)가 장착되어 있다.
43,43'는 캡스턴 풀리이고, 그 캡스턴 풀리(43,43')는 이것보다 조금 지름이 큰 플라이 휠(44,44')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고, 이들 캡스턴 풀리(43,43')의 중심에 상기 캡스턴(28,28실)의 하단부가 고정되어있다.
45는 우측 캡스턴 풀리(43)의 상면 중심에서 위쪽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기어부이다.
46은 전달 풀리이고, 그 전달 풀리(46)에는 그 상면 중심부에서 위쪽으로 돌출한 원통형상의 보스(47)와 그 보스(47)를 에워싸도록 위치한 제1전달 기어(48)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49는 제2전달 기어이고, 그 제2전달 기어(49)는 상기 보스(47)에 회전 자유롭게 밖으로 끼워넣어지는 동시에 전달 풀리(46)에 그 회전력이 도시하지 않는 마찰 접촉 수단을 개재하여 전달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전달 풀리(46)는 그 보스(47)에 상기 지지축(36), 즉 아이들러 레버(35)가 지지되어 있는 지지축의 샤시부(3)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부분에 의해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또한, 아이들러 기어(34)의 대기어(34a)는 상기 제2전달 기어(49)와 항시 맞물려 있다.
50은 무단 형상의 밸트이며, 그 무단 형성 밸트(50)는 상기 모터(41)의 풀리(42)-우측 캡스턴 풀리(430-좌측 캡스턴 풀리(43')-전달 풀리(46)에 이 순서로 감겨져 있고, 우측 캡스턴 풀리(43)에는 후방을 향하고 있는 부분에, 또한 좌측 캡스턴 풀리(43')에는 전방을 향한 부분에 각각 감겨져 있다. 따라서, 2개의 캡스턴 풀리(43,43실)는 상호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또한, 모터(41)는 상기 플레이 레버(8), FF레버(21) 및 REW레버(22)의 어느 것이 밀어넣어지므로서 회전되고, 그 회전방향은 회전축(41a)이 제3도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되어 있다.
그래서 모터(41)가 회전하면 밸트(50)가 주행되고, 그것에 의해 우측 캡스턴 풀리(43)가 제3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좌측 캡스턴 풀리(43') 및 전달 풀리(46)가 동도면에 있어서의 시계회전 방향으로 각기 회전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F측 캡스턴(28) 및 아이들러 기어(34)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R측 캡스턴(28실)이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래서, 스톱 상태에서 플레이 레버(3)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되면, 모터(41)가 회전하고, 캡스턴(28,28') 및 아이들러 기어(34)가 회전됨과 동시에, 방향 전환 슬라이더(24)가 전진 위치에 와 있을 때에는 우측 핀치롤러(31)가 F측 캡스턴(28)에 장착되고 또한 아이들러 기어(34)의 소기어(34b)가 중간기어(40)를 개재하여 F 리일대(29)의 기어부(29a)에 맞물리며, 또한 방향 전환 슬라이더(24)가 후진위치에 와 있을 때에는 좌측 핀치롤러(31')가 R측 캡스턴(28실)에 장착되고, 또한 아이들러 기어(34)의 소기어(34b)가 R측 리일대(29')의 기어부(29'a)와 맞물리게 되고, 그것에 의해 전진 상태에 있어서는 F측 리일대(29)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또 후진 상태에 있어서는 R측 리일대(29')가 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14)가 플레이어(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플레이 모드가 되면 자기 헤드(10)가 자기 테이프(15)에 접촉함과 동시에 자기 테이프(15)는 전진 상태에 있어서는 F측 캡스턴(28)과 이것에 부착한 우측 핀치롤러(31)에 의해서 접어져서 전진 방향으로 정속으로 주행되고, 또한 T리일(30)에 감겨지게 되고, 후진 상태에 있어서는 R측 캡스턴(28')과 이것에 부착한 좌측 핀치롤러(31')에 의해서 접히어 후진 방향으로 정속으로 주행되는 한편, S리일(30실)에 감겨지게 된다.
또한,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의 테이프의 주행 방향으로 후술하는 테이프 주행 방향 전환 기구에 의해 전환된다.
또한, FF레버(21) 또는 REW레버(22)가 밀어넣어진 때는, 이들 레버(21,22)가 샤시부(3)에 회동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는 고속 주행 기어(51,51')를 리일대(29,29')의 기어부(29a,29'a)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고, 그것에 의해 리일대(29,29')가 고속으로 테이프 권취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52는 테이프 주행 방향 전환 기구, 즉 플레이 모드에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15)의 주행 방향을 전진 방향에서 후진 방향으로 전환하기 위한 기구이며, 상기 방향 전환 슬라이더(24)와 그 방향 전환 슬라이더(24)를 이동하기 위한 방향 전환 기어와, 그 방향 전환 기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어와, 상기 방향 전환 기어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트리거 레버와, 그 트리거 레버를 이동하기위한 방향 전환 버튼 등으로 이룬다.
53은 구동 기어이며, 그 구동 기어(53)는 평기어 형상을 이루는 기어부(54)와 그 기어부(54)의 상면에 형성된 제1캠(55) 및 제2캠(56)과 기어부(54)의 하면에 형성된 소기어(57)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룬다.
그리고, 구동 기어(53)는 샤시부(3)의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여 설치된 지지축(58)에 회전자유롭게 지지되는 동시에, 그 기어부(54)가 우측 캡스턴 풀리(43)에 형성된 기어부(45)와 맞물려있다.
따라서, 구동 기어(53)는 모터(41)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항시 회전하고 있으며, 그 회전 방향은 제3도에 있어서의 시계 회전 방향이다.
59는 트리거 레버이다.
그 트리거 레버(59)는 그 대부분이 전후 방향에 걸고 가느다란 판형상으로 형성되고 또한 그 후단부(59a)가 측방에서 보아 대개 ㄷ자형상으로 굴곡됨과 동시에 전후 방향에 있어서의 대개 중앙부에 전후방향으로 긴 피가이드구멍(60)이 형성되고, 또한 그 피가이드 구멍(60)에서 앞쪽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 위쪽으로 향하게 하여 돌출한 비교적 작은 제어돌편(61)이 잘라 일으킨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다시 그 좌측 테두리에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여 돌출한 스프링 걸이편(62)이 형성되어 있다.
63은 샤시부(3)중 방향 전환 슬라이더(24)의 캠배치구멍(26)의 중심부에서 조금 오른쪽으로 치우친 위치와 대향한 위치에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여 설치된 지지축이며, 그 지지축(63)의 하단에 결합홈(63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64는 메카샤시(2)의 전벽(6)의 우측 반분(6a)의 좌단쪽 부분의 하단부에 형성된 레버 관통구멍이며, 그 레버 관통구멍(64)은 트리거 레버(59)의 전단부의 폭과 대개 같은 길이로 좌우 방향으로 길고 가늘게 뻗고 또한 그 아래쪽 테두리의 좌우 양단부를 제외한 부분에 절결(64a)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트리거 레버(59)는 그 전단쪽 부분이 상기 레버 관통구멍(64)에 미끄럼 자유롭게 결합되고, 또한 피가이드구멍(60)의 양측 테두리가 상기 지지축(63)에 형성된 결합홈(63a)에 미끄럼 자유롭게 결합되므로서,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이 자유롭게 설치되는 동시에, 스프링 걸이편(62)과 전벽(6)의 하면에 형성된 스프링 걸이 돌출부(65 : 제5도 참조)와의 사이에 걸쳐진 인장 스프링(66 : 제7도 참조)의 인장력에 의해서 항시 전방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되고 있고, 후방으로 압압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피가이드구멍(60)의 후단 테두리가 지지축(63)에 접촉하므로서 제3도에 도시하는 위치(이하, 대기 위치라 한다)에 유지되어 있고, 또한 후술하는 방향 전환 버튼에 의해서 후방으로 압압되므로서 혹은 후술하는 요동 레버에 의해서 후방으로 잡아당겨지므로서 제7A도에 도시하는 위치(이하,「스톱 해제 위치」라 한다)로 이동되게 되어 있다.
또한, 트리거 레버(59)는 대기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 그 전단부가 상기 레버 관통구멍(64)에서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다.
67은 누름 단추이고, 상기 누름 단추(67)는 테이프 주행 방향을 임의로 전환할 때 조작하는 것이다. 누름 단추(67)는 상기 트리거 레버(59)를 압압하는 압압부 및 그 압압부에서 전방으로 돌출한 누름단추를 포함한 누름 단추부와, 메캬샤시(2)에 부착된 상태에 있어서 누름 단추부에 반메캬샤시쪽으로의 이동력을 작용하는 탄성편과, 메캬샤시(2)에 결합하는 결합편과 피가이드핀 등이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룬다.
68은 압압부이며, 그 압압부(68)는 전후 방향에서 보아서 상하 방향으로 긴 대개 직사각형의 판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높이는 메카샤시(2)의 전벽(6)의 높이와 대개 같은 높이가 되어 있고, 그 좌우 양측 테두리의 하단부에 측방으로 돌출한 작은 돌출편(68a,68a)이 형성되어 있다.
69는 대개 원주 형상을 이루는 누름 단추이고, 그 누름 단추(69)는 상기 압압부(68)의 중앙부보다 조금 상측으로 치우친 부분에서 전방으로 향하게 하여 돌출되어 있다.
70,70은 탄성편이고, 그 탄성편(70,70)은 그 하단이 압압(68)의 돌출편(68a,68a)의 상단에 연속하고, 또한 상단에 감에 따라 차츰 위쪽으로 경사져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변위하는 경사 방향으로 향하게하여 연장함과 동시에, 그 길이는 압압부(68)의 높이와 대개 같은 길이를 지니고 있고, 그 상단부에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돌출하고 또한 그 후면이 대개 반구면 형상을 한 돌출부(70a,70a)가 형성되어 있다.
72a는 결합 갈퀴(72)의 하면을 이루는 피안내면, 72b는 결합 갈퀴(72)의 결합면이고, 피안내면(72a)은 후단으로 감에 따라서 차츰 위쪽으로 변위하는 경사면으로 형성되고, 또한 결합면(72b)은 피안내면(72a)의 전단에 연속하는 한편 전방을 향한 면으로 되어 있다.
또한, 누름 단추(67)가 메카샤시(2)에 부착되기 전의 상태에 있어서의 탄성편(70,70)의 돌출부(70a,70a)의 후면과 결합편(71)의 결합 갈퀴(72)의 결합면(72b) 사이의 위쪽에서 본 간격은 마카샤시(2)의 전벽(6)의 두께보다 조금 좁은 간격이 되어 있다.
73은 키가이드핀이고, 그 키가이드핀(73)은 압압부(68)의 좌단부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대개 중간위치에서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대개 수평으로 돌출하는 동시에 그 상하에 회전 멈춤 돌출편(74,74)이 형성되어 있다.
75는 메카샤시(2)의 전벽(6)의 우측 반분(6a)의 좌단부에서 전방으로 향하게 하여 돌출한 단추 지지용 돌출편, 그 단추 지지용 돌출편(75)은 좌우 방향에서 보아 대개 직사각형을 한 동시에 전벽(6)의 상방쪽 위치에서 돌출되어 있다.
또한, 76은 전벽(6) 중 상기 단추 지지용 돌출편(75)의 우측에 근접한 위치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이고, 그 가이드 구멍(76)은 누름 단추(67)의 피가이드핀(73)의 회전 멈춤 돌출편(74,74)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횡단면 형상과 대개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누름 단추(67)는 그 압압부(68)와 좌측 탄성편(70) 사이에 단추 지지용 돌출편(75)이 위치하는 상태에서 피가이드핀(73)이 상기 가이드구멍(76)에 미끄럼 자유롭게 관통되는 동시에, 결합편(71)의 결합 갈퀴(72)가 상기 레버 관통구멍(64)의 절결(64a)의 아래쪽 테두리의 후측에 결합하므로서 전벽(6)에 부착하게 된다.
이 부착은 피가이드핀(73)의 선단을 가이드구멍(76)에 위치 맞춤을 하고, 또한 결합편(71)의 선단을 레버 관통구멍(64)의 절결(64a)에 위치 맞춤을 한 상태에서 누름 단추(67)를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압압하므로서 행하여진다.
즉, 상기한 상태에서 누름 단추(67)를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압압하면, 피가이드핀(73)이 가이드 구멍(76)에 관통되는 동시에 결합편(71)의 결합 갈퀴(72)의 안내면(72b)이 레버 관통구멍(64)의 절결(64a)의 앞쪽 하측 테두리에 접촉하여 일단 상대적으로 조금 위쪽으로 압압되면서 이동하고 안내면(72b)의 앞테두리가 상기절결(64a)의 위쪽을 향한 면에서 벗어난 곳에서 결합 갈퀴(72)의 결합면(72b)이 절결(64a)의 하측 테두리의 후측에 결합하게 된다.
그리고, 누름 단추(67)는 전후 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 자유로운 것처럼, 또한 전방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되는 동시에 회전 멈춤이 행하여진 상태에서 전벽(6)에 지지되어진다.
즉, 상기한 것처럼 탄성편(70,70)의 돌출부(70a,70a)의 후면과 결합편(71)의 결합 갈퀴(72)의 결합면(72b)과의 사이의 위쪽에서 본 간격은 전벽(6)의 두께보다 조금 좁음으로, 상기 결합면(72b)이 전벽(6)의 후면에 결합한 상태에 있어서 탄성편(70,70)은 조금 전방으로 휘어지게 되고, 이로인하여 탄성편(70,70)의 돌출부(70a,70a)는 전벽(6)에 적당한 탄성력으로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탄성편(70,70)의 하단부에는 돌출부(70a,70a)가 전벽(6)에 접촉하므로 인한 반발력, 즉 대략전방으로의 탄성력이 발생하게 되고, 이로인하여 압압부(68)에 반전력(6)측으로의 이동력이 작용하게된다.
그리고, 누름 단추(67)는 전방에서 압압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상기 이동력과 결합편(71)의 결합 갈퀴(72)의 전벽(6)에 대한 결합에 의해서 압압부(68)가 전벽(6)과 소정의 간격을 두고 대향하여 위치하는 상태가 유지되게 되고, 또한 전방에서 압압되어지므로서 탄성편(70,70)에 발생하고 있는 탄성력에 저항하여 후방으로 밀어넣어지게 된다.
그리고, 누름 단추(67)의 자세는 누름 단추의 이동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 상호 떨어져 위치한 피가이드된(73)과 결합편(7l)이 전벽(6)에 미끄럼 자유롭게 결합하는 것 및 그 압압부(68)와 좌측탄성편(70) 사이에 단추 지지용 돌출편(75)이 가볍게 접촉하는 상태로 위치하는 것에 의해 회전 멈춤이 이루어지므로서, 일정하게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누름 단추(67)는 후방으로 압압되어 있지 않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1도에 도시하는 것처럼압압부(68)의 하단쪽 위치가 상기 트리거 레버(59)의 전단에 전방에서 근접하여 대향하는 위치(이하, 비압압 위치라 한다)에 유지되고 또한 후방으로 소정량, 즉 그 압압부(68)가 전벽(6)에 대략 접촉할때까지 밀어넣어지므로서 제7A도에 도시하는 위치(이하, 압입 위치라 한다)로 이동되게 된다.
77은 방향 전환 기어이고, 그 방향 전환 기어(77)에는 대개 평기어 형상을 이루는 기어부(78)와 그기어부(78)의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키가 낮은 보스부(79)와 일단부가 상기 보수부(79)의 중심부 상단에 연속하고, 또한 상기 동기어(53)에 형성된 제1캠(55)과 대개 동일한 형상을 가지는 캠(80)이 일체로 형성되어 있고, 보스부(79)의 외주면중 캠(80)의 선단부와 대개 반대측의 위치에 압압 돌기(81)가 형성됨과 동시에 기어부(78)의 이빨부중 캠(80)의 길이 방향으로 다른 방향에 있어서 상호 대략 반대측에 위치한 부분에 치결부(78a,78b)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기어부(78) 하면의 이뿌리원에 근접한 부분중 기어부(78)의 중심을 집어서 반대측 위치에 스톱퍼 돌출부(82,82')가 형성되고, 다시 그 스톱퍼 돌출부(82,82')에 대개 중심축에서 조금 떨어져 대향하는 위치에 피이송 돌출부(83,8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향 전환 기어(77)는 샤시부(3)에서 아래쪽으로 향하게 하여 설치된 상기 지지축(63), 즉 그 하단부에 트리거 레버(59)를 지지하고 있는 지지축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캠(80)이 방향 전환 슬라이더(24)에 형성된 상기캠 배치구멍(26)내에 약간 여유를 갖고 위치하고, 또한 치결부(78a,78b) 이외의 부분이 구동 기어(53)의 소기어(57)와 대향하는 방향이 되었을 때 기어부(78)가 상기 소기어(57)와 맞물리도록 설치되어 있다.
또한, 방향 전환 기어(77)가 제3도에 도시하는 위치, 즉 캠(80)의 선단부가 기어부(78) 중심부의 약간 좌측으로 경사진 전방에 위치하는 방향이 되는 위치(이하, 제1의 위치라 한다)에 와 있을 때는, 기어부(78)의 2개의 치결부(78a,78b)의 한쪽(78a)이 구동 기어(53)의 소기어(57)와 대향하고, 또한 방향 전환 기어(77)가 제7B도(동도면은 아래쪽에서 보고 있다)에 도시하는 위치, 즉 캠(80)의 선단부가 기어부(78) 중심부의 약간 우측으로 경사져 후방에 위치하는 방향이 되는 위치(이하, 제2위치라 한다)에 와 있을 때는 다른쪽의 치결부(78b)가 구동 기어(53)의 소기어(57)와 대향하고, 방향 전환 기어(77)는 이들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왔을 때 스톱퍼 돌출부(82,82')의 한쪽이 트리거 레버(59)의 제어 돌출편(61)에 대략 좌측에서 부터 접촉하므로서, 그 이상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되게 된다.
그리고, 방향 전환 기어(77)가 제1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방향 전환 슬라이더(24)가 그아이들러 압압 스프링(27)의 우측 아암(27a)이 아이들러 레버(35)의 피압압핀(38)을 좌측으로 압압하므로서 발생하는 오른쪽으로의 이동력과 그 캠 배치구멍(26)의 좌측 테두리가 방향 전환 기어(77)의 캠(80)의 선단면에 접촉하므로서 전진 위치에 유지되고, 또한 방향 전환 기어(77)가 제2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방향 전환 슬라이더(24)가 그 아이들러 압압 스프링(27)의 좌측 아암(27b)이 아이들러 레버(35)의 피압압된(38)을 우측으로 압압하므로서 발생하고 있는 왼쪽으로의 이동력과 그 캠 배치구멍(26)의 우측 테두리가 방향 전환기어(77)의 캠(80) 선단면에 접촉하므로서 후진 위치에 유지되게된다.
그래서, 플레이 모드에서 누름 단추(67)를 압압하여 압입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한 것처럼 트리거 레버(59)가 스톱 해제 위치로 이동된다.
그러면, 제7A도에 도시한 것처럼, 트리거 레버(59)의 제어 돌출편(61)이 방향 전환 기어(77)의 스톱퍼 돌출부(82또는82')의 이동을 저지하지 않는 위치로 달아남과 동시에, 피이송 돌출부(83 또는 83실)의 경사면을 압압하게 되고, 이로인하여 방향 전환 기어(77)가 약간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어, 기어부(78)가 회전하고 있는 구동 기어(53)의 소기어(57)와 맞물리므로 방향 전환 기어(77)가 상기 소기어(57)에 의해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방향 전환 기어(77)가 대략 반회전하는 곳에서 치결부(78a 또는 78b)가 구동 기어(53)의 소기어(57)와 대향되는 동시에, 스톱퍼 돌출부(82' 또는 82)가 트리거 레버(59)의 제어 돌출편(61)에 접촉하여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즉, 방향 전환 기어(77)는 대략 반회전환 곳에서 그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그리고, 방향 전환 기어(77)가 제1위치에 와 있는 상태, 즉 자기 테이프(15)가 전진 방향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의 플레이 모드에서 누름 단추(67)가 밀어 넣어졌을 때는 방향 전환 기어(77)가 제2위치로 이동되므로, 방향 전환 슬라이더(24)가 전진 위치에서 후진 위치로 이동하여 테이프 주행 방향이 후진 방향으로 전환되어지고, 또한 방향 전환 기어(77)가 제2위치에 와 있는 상태, 즉 자기 테이프(15)가 후진 방향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의 플레이 모드에서 누름 단추(67)가 밀어넣어졌을 때는 방향전환 기어(77)가 제1위치로 이동되므로 방향 전환 슬라이더(24)가 후진 위치에서 전진 위치로 이동되어서 테이프 주행 방향이 전진 방향으로 전환되게 된다.
그런데, 테이프 주행 방향의 전환은 상기한 것처럼 행하여지나, 이 전환은 플레이 모드에서 테이프엔드가 되었을 때는 후술하는 요동 레버가 트리거 레버(59)를 스톱 해제 위치로 이동시키므로서, 자동적으로 행하여지고, 또한 이 자동적인 전환은 후술하는 엔드 모드 선택 기구에 의해서 엔드레스 모드가 선택되어 있을 경우는 테이프 엔드가 될때마다 행하여지며, 따라서 재생동작은 전진 플레이 모드와 후진 플레이 모드로 번갈아 전환되어서 무한히 계속하게 된다.
그리고, 엔드 모드 선택 기구에 의해서 자동 정지 모드가 선택되고 있는 경우는 후진 플레이 모드에서 테이프 엔드가 되었을 때 자동 정지, 즉 재생 동작의 자동 해제가 행하여지게 되고, 다시 자동 정지모드에서 누름 단추(67)가 압압되었을 때는 상기 자동 정지 모드가 일시적으로 해제되도록 되어 있다.
이하, 이들의 구성과 동작에 대해서 간단하게 설명한다. 84는 요동 레버이다.
상기 요동 레버(84)는 대략 역 ㄴ자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전단부에 아래쪽으로 돌출한 걸림돌출부(85)와 접촉 돌출부(86)가 형성되어 있고, 또한 그 좌단부가 상기 제2전달 기어(49)의 하면에서 아래쪽으로 돌출한, 도시하지 않는 축부에 제2전달 기어(49)의 회전력을 마찰 접촉 수단을 개재하여 전달되는 상태에서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고, 다시 상기 접촉 돌출부(86)가 상기 구동 기어(53)의 제1캠(55)의 외주면에 후방에서 대향되어 있다.
그래서, 모터(41)가 회전하면, 제2전달 기어(49) 및 구동 기어(53)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요동 레버(84)에 제3도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작용되어서, 그 접촉 돌출부(86)가 구동기어(53)의 제1캠(55)의 외주면에 장착되게 되고, 이 경우 제1캠(55)의 외주면은 그 기단부에서 선단부로 감에 따라서 구동기어(53)의 중심에서의 거리가 길어져 있기 때문에, 제1캠(55)의 외주면의 요동 레버(84)의 접촉 돌출부(86)와 대향하는 위치가 주기적으로 대개 전후 방향으로 변화하게 되고, 따라서 접촉 돌출부(86)가 대략 전후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이동되게 된다. 이로인하여, 요동 레버(86)가 일정한 이동 스트로크로 대개 전후 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이동, 즉 요동되게 되고, 상기 요동은 제2전달 기어(49) 및 구동 기어(53)가 회전하고 있는 한 쉴새없이 헹하여지게 된다.
그리고, 플레이 모드에서 테이프 엔드가 되면 테이프 리일(30,30') 및 이들 테이프 리일(30,30')이 장착되어 있는 리일대(29,29')의 회전이 저지되므로, 제2전달 기어(49)의 회전이 저지되기 때문에, 요동 레버(84)에 작용되고 있던 시계방향으로의 회전력이 없어진다. 따라서, 요동 레버(84)의 접촉 돌출부(86)의 제1캠(55)에 대한 압착력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가 되면, 요동 레버(84)의 접촉 돌출부(86)는 제1캠(55)의 선단부에 의해서 전방에서 압압되는 곳, 즉 상기 요동 스트로크 중의 가장 후방에 위치한 곳에서 움직임이 멈추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구동 기어(53)가 다시 회전하면 제2캠(56)의 끝이 뾰족한 부분이 요동 레버(84)의 접촉 돌출부(86)에 대략 앞쪽에서 접촉하고, 이어서 제2캠(56)의 외주면이 상기 접촉 돌출부(86)를 대략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압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요동 레버(84)가 다시 후방 위치, 즉 사이 이동 스트로크의 범위를 넘은 위치(이하, 테이프 엔드 위치라 한다)로 이동되게 되고, 요동 레버(84)가 이와 같이 하여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할때 그 걸림 돌출부(85)가 상기 트리거 레버(59)의 후단부(59a)의 상편의 우단부를 대개 후방으로 압압하게 된다.
그리고, 트리거 레버(59)가 스톱 해제 위치로 이동되므로, 방향 전환 기어(77)가 반회전되어서 상기한 것처럼 테이프 주행 방향의 전환이 행하여지게 된다.
87은 엔드 모드 선택 기구이다.
88은 모드 전환 레버이며, 그 모든 전환 레버(88)는 압압 아암(89) 및 피압압 아암(90)에 의해 대략 역 ㄴ자 형상을 한 주부와 지점축(91)으로 이루고, 그 지점축(91)이 샤시부(3)의 전벽(6)에 따르는 부분중 방향 전환 기어(77)의 중심부에 전방에서 부터 대향하는 위치에 회전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그피압압 아암(90)이 선단이 방향 전환 기어(77)의 보스부(79)에 전방에서 근접하여 위치되고, 또한 그압압 아암(89)의 선단부가 상기 잠금 슬라이더(16)의 우단부에 형성된 피압압편(92)에 대개 전방 경사좌측에서부터 비교적 근접하여 대향되어 있다.
또한, 모드 전환 레버(88)의 우측면의 전단부는 전단으로 감에 따라 차츰 좌측으로 변위하는 피압압 경사면(88a)에 형성되어 있다.
93은 선택 손잡이이며, 그 선택 손잡이(93)는 메카샤시(2)의 전벽(6)중 상기 누름 단추(67)의 우측부분에 제3도에 도시하는 엔드레스 선택 위치와 제8도에 도시하는 정지 모드 선택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게 되고, 또한 이들 2개의 위치에 있어서 클럭 스톱이 걸리는 상태에 설치되는 동시에, 탄성편(94)을 개재하여 모드 전환 레버(88)와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모드 전환 레버(88)는 선택 손잡이(93)가 엔드레스 모드 선택 위치에 와 있을 때는 제3도에 도시하는 것처럼 그 피압압 아암(90)의 선단부가 방향전환 기어(77)의 보스부(79)의 외주면에 형성된 상기 압압돌기(81)의 회전 궤적에서 벗어나 있는 위치(이하,「엔드레스 모드 형성 위치」라 한다)에 유지되고, 또한 선택 손잡이(93)가 정지 모드 선택 위치에 와 있을 때는 제8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처럼 그 피압압 아암(90)의 선단부가 상기 압압 돌기(81)의 회전 궤적상에 위치하게 되는 동시에, 그 압압 아암(89)의 선단부가 잠금 슬라이더(16)의 피압압편(92)에 약간 좌측 전방에서 근접한 위치(이하, 정지 모드 선택 위치라 한다)에 유지된다.
그리고, 모든 전환 레버(88)가 정지 모드 형성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 후진 플레이 모드에서 테이프 엔드가 되었을 때는 재생 동작의 자동 해제가 행하여지게 된다.
즉, 상기한 것처럼 모드 전환 레버(88)가 정지 모드 형성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그 모드전환 레버(88)의 피압압 아암(90)의 선단부가 방향 전환 기어(77)의 압압돌기(81)의 회전 궤적상에 위치해 있고, 또한 후진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는 방향 전환 기어(77)가 제2위치에 와 있기 때문에, 그 압압 돌기(81)가 제8도에 실선으로 도시하는 것처럼 모드 전환 레버(88)의 피압압 아암(90)의 선단부에 약간 좌측으로 경사져 후측에서 근접하여 대향한 위치에 와 있다.
그리고, 테이프 엔드가 되면 상기한 것처럼 방향 전환 기어(7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한 상태로 되어 있을 때는 압압 돌기(81)가 모드 전환 레버(88)의 피압압 아암(90)의 선단부를 대개 우측으로 향하게 하여 압압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8도에 이점 쇄선으로 도시하는 것처럼, 모드 전환 레버(88)가 제3도에서 본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되고, 이때 그 압압 아암(89)의 선단부가 장금 슬라이더(16)의 피압압편(92)을 약간 우측으로 경사져 후방으로 향하게 하여 압압하게 된다.
이로 인하여, 잠금 슬라이더(16)가 우측으로 이동케되므로, 플레이 레버(8)의 잠김편(12)과 잠금 슬라이더(16)의 결합구멍(19)의 결합 테두리(19b)의 결합이 해제되게 되고, 따라서 플레이 위치에 와 있던 플레이 레버(8)가 비플레이 위치로 되돌아오고, 플레이 모드가 해제되게 된다.
그리고, 모드 전환 레버(88)가 엔드레스 모드 형성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피압압 아암(90)의 선단부가 방향 전환 기어(77)의 압압 돌기(81)의 회전 궤적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방향 전환 기어(77)가 회전할 때, 즉 테이프 주행 방향의 전환이 행해질 때, 압압 돌기(81)에 의한 모드 전환 레버(88)를 회전시키는 동작이 행하여 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는 플레이 모드에서 테이프 엔드가 될적마다 테이프 주행 방향의 전환이 행해져서 재생 동작이 계속된다.
또한, 징지 모드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테이프 주행 방향의 전환이 상기 누름 단추(67)를 밀어넣으므로서 하게 되는 경우는, 형성되어 있는 정지 모드가 일시적으로 해제되어서 자동 정지가 행해지지 않도록 된다.
즉 제8도를 보아 잘 알듯이, 모드 전환 레버(88)가 정지 모드 형성 위치에 오면, 그 상기 피압압 경사 테두리(88a)가 누름 단추(67)의 피가이드핀(73)의 선단에 대개 후방에서 근접해서 위치하게 되고, 따라서 이 상태에서 누름 단추(67)가 밀어넣어지면 트리거 레버(59)가 후방을 이동되어서 방향 전환기어(7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나, 트리거 레버(59)의 후방으로의 이동이 개시하는 직전 또는 그것과 대개 동시에, 누름 단추(67)의 피가이드핀(73)의 선단이 모드 전환 레버(88)의 피압압 경사테두리(88a)를 대개 후경사 좌측으로 압압하여, 제8도에 일점쇄선으로 도시하는 것처점, 모드 전환 레버(88)를 엔드레스 모드 형성 위치로 일시적으로 이동케되고, 이 상태에 있어서 방향 전환 기어(77)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경우는 후진 플레이 모드라 하더라도 방향 전환 기어(77)의 압압 돌기(81)가 모드 전환 레버(88)의 피압압 아암(90)을 압압함이 없이 이동하므로, 상기 자동 정지가 행해지는 일이 없고, 플레이 모드가 전진 플레이 모드로 전환되게 된다.
이상에 기재한 바에서 명백하듯이, 본 발명의 누름 단추 기구는 비압입 위치와 압입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되는 한편 상기 비압입 위치측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되는 누름 단추를 구비한 누름 단추 기구이며, 지지 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두어서 위치한 누름 단추부와 지지 부재와 누름 단추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한편 일단부가 누름 단추부에 연속하며 타단부가 지지 부재에 접촉하므로서 누름 단추부에 반지지 부재측으로의 이동력을 작용하는 탄성편과 선단부가 지지 부재의 상기 탄성편이 접촉하는 면과 반대측면에 결합하는 결합편을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누름 단추부를 그 누름 단추부와 일체화한 탄성편과 결합편에 의해서 지지 부재에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 자유로운 한편, 비압입 위치측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된 상태로 설치할 수 있으므로 이 종류의 누름 단추 기구를 단일 부품 구조로 할 수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 의하면, 그 취급이나 지지 부재로의 부착 작업을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동시에, 1회의 금형성형에 의해 필요한 각부가 형성되므로 극히 염가로 제조할 수가 있고, 그 위에 항상 일정한 동작 특성을 확보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누름 단추부의 이동 방향에 따라서 뻗는 피가이드핀을 누름 단추부와 일체로 형성하는 동시에 그 피가이드핀을 지지 부재에 형성된 관통구멍에 미끄럼 자유롭게 관통하도록 하였으나, 이와 같이 하므로서 특별한 안내 수단을 이용하지 않아도 누름 단추부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는 동시에 누름 단추부의 자세를 안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테이프 플레이어의 테이프 주행방향 전환 기구에 있어서의 방향 전환 버튼에 적용한 것을 나타내었지만,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적용예에 한정됨이 없이 샤시등의 지지 부재에 비압입 위치와 압입위치와의 사이를 이동되고, 또한 상기 비압입 위치측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된 상태로 설치되는 동시에 압입 위치로 밀어넣어지므로서 소정의 동작을 행하는 누름 단추를 구비한 각종 누름 단추 기구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
- 비압입 위치와 압입 위치와의 사이를 이동하는 한편 상기 비압입 위치측으로의 이동력이 작용되는 누름 단추(69)를 구비한 누름 단추 기구에 있어서, 지지 부재와 소정의 간격을 두고 위치하고, 지지 부재에 대해 비압입 위치와 압입 위치 사이에 걸쳐서 이동 가능한 누름 단추부(67)와, 지지 부재에 지지되며 누름 단추부(67)의 지지부재에 대한 이동을 안내하는 안내핀(73)과, 지지부재와 누름 단추부와의 사이에 위치하는 한편 한쪽 단부가 누름 단추부에 연속하며 다른쪽 단부가 지지 부재에 탄성 접촉하므로서 누름 단추부에 반지지 부재측으로의 이동력을 부여하는 탄성편(70)과, 선단부가 지지 부재의 상기 탄성편(70)이 탄성 반발하는 면과 반대측면에 결합하여 누름 단추부(67)의 반지지 부재측으로의 이동을 규제하는 결합편(71)을, 합성 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누름 단추 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JP44722 | 1987-03-26 | ||
JP1987044722U JPS63151021U (ko) | 1987-03-26 | 1987-03-26 | |
JP?44722 | 1987-03-26 |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880011762A KR880011762A (ko) | 1988-10-31 |
KR0127484B1 true KR0127484B1 (ko) | 1998-04-04 |
Family
ID=126993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880003214A KR0127484B1 (ko) | 1987-03-26 | 1988-03-25 | 누름 단추 기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JP (1) | JPS63151021U (ko) |
KR (1) | KR0127484B1 (ko) |
-
1987
- 1987-03-26 JP JP1987044722U patent/JPS63151021U/ja active Pending
-
1988
- 1988-03-25 KR KR1019880003214A patent/KR0127484B1/ko not_active IP Right Cess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JPS63151021U (ko) | 1988-10-04 |
KR880011762A (ko) | 1988-10-31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JP2565203B2 (ja) | リバ−ス式記録再生装置のモ−ド切換機構 | |
KR880001550B1 (ko) | 기록 재생 장치 | |
KR900007310Y1 (ko) |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 | |
KR0127484B1 (ko) | 누름 단추 기구 | |
CA1321990C (en) | Ff/rew changing mechanism for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 |
KR0166349B1 (ko) | 편심 캠 기구 | |
KR970002833B1 (ko) | 동작 상태 선택 기구 | |
JPH083922B2 (ja) | テ−プレコ−ダ | |
KR100209476B1 (ko) |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장치 | |
KR940002832Y1 (ko) |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 |
JP2595699B2 (ja) | カセットテープデッキ | |
US5191490A (en) | Auto reverse type tape player capable of selectively switching between a one-cycle mode and an endless mode | |
JPH061568B2 (ja) | オ−トリバ−ス式記録再生装置 | |
KR940007619B1 (ko) | 오토 리버스형 카세트 레코더의 핀치 암 구동장치 | |
JP2725288B2 (ja) | テープレコーダ | |
JP2506587Y2 (ja) | ピンチロ―ラ圧着機構 | |
KR940002833Y1 (ko) | 상태 검출 기구 | |
KR0121855Y1 (ko) | 테이프 플레이어 | |
JP3138269B2 (ja) | テーププレーヤのリール台駆動機構 | |
JP2746579B2 (ja) | テープレコーダ | |
JP2679126B2 (ja) | テープレコーダ | |
KR900009462Y1 (ko) |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 | |
JP2751216B2 (ja) | テープレコーダ | |
JP2621168B2 (ja) | 回転機構 | |
JP2952927B2 (ja) | テーププレーヤのオートリバース機構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A201 | Request for examina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 ||
GRNT | Written decision to grant | ||
FPAY | Annual fee payment |
Payment date: 20040914 Year of fee payment: 8 |
|
LAPS |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