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9476B1 -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장치 - Google Patents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9476B1
KR100209476B1 KR1019900005857A KR900005857A KR100209476B1 KR 100209476 B1 KR100209476 B1 KR 100209476B1 KR 1019900005857 A KR1019900005857 A KR 1019900005857A KR 900005857 A KR900005857 A KR 900005857A KR 100209476 B1 KR100209476 B1 KR 1002094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pinch
pair
tape
recor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58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6984A (ko
Inventor
구리다가즈히또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000169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69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94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947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02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 G11B15/05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 G11B15/093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e.g. switching from recording to reproducing by sensing features present on or derived from record carrier or container by sensing driving condition of record carrier, e.g. travel, tape tension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11B15/29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through pinch-rollers or tape rol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1883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for record carriers inside container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Landscapes

  • Adjustment Of The Magnetic Head Position Track Following On Tapes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 Impression-Transfer Materials And Handling Thereof (AREA)
  • Studio Devices (AREA)
  • Recording Or Reproducing By Magnetic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는 서로 대향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캡스턴에 대응하는 한 쌍의 핀치 롤러를 축지지한 핀치 레버가 플레이 레버 혹은 이 플레이 레버의 이동 동작에 따라 이동되는 헤드 베이스 등의 헤드 작동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핀치 롤러가 한 쌍의 캡스턴에 대하여 교대로 절환 맞닿게 되도록 한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이고, 핀치 레버상에 한 쌍의 핀치 롤러 사이에 위치하고, 테이프 가이드와 헤드 지지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함으로서, 핀치 롤러와 테이프 가이드와 헤드의 상관 관계가 도출 쉽게 되고, 테이프 패스의 형성에 유리함과 동시에 구성부품 갯수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데크)의 일예의 평면도.
제2도는 배면도.
제3도는 일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4도는 핀치 레버의 일부분의 평면도.
제5도는 제4도의 분해 단면도.
제6도는 일부분의 분해 사시도.
제7도는 일부분의 평면도.
제8도는 플레이 레버의 일부분의 사시도.
제9도는 헤드 부착부의 단면도.
제10도는 핀치 레버의 다른 예의 사시도.
제11도 내지 제13도는 동작 설명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메인샤시 2, 3 : 릴축
12, 13 : 캡스턴 16 : 플레이 레버
21 : 헤드 22 : 헤드 홀더
22a, 22b, 125a, 125b : 테이프 가이드 24, 124 : 핀치 레버
25, 26 : 핀치 롤러 28 : 절환 레버
[산업상의 이용분야]
본 발명은 테이프를 왕복 주행시키는 오토리버스식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데크)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요]
본 발명에 의한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는 서로 대향 방향으로 회전되는 한 쌍의 캡스턴에 대응하는 한 쌍의 핀치 롤러를 축지지한 핀치 레버가 플레이 레버 혹은 이 플레이 레버의 이동 동작에 따라 이동되는 헤드 베이스 등의 헤드 작동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한 쌍의 핀치 롤러가 한 쌍의 캡스턴에 대하여 교대로 절환 맞닿게 되도록 한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이고, 핀치 레버상에 한 쌍의 핀치 롤러 사이에 위치하고, 테이프 가이드와 헤드 지지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함으로서, 핀치 롤러와 테이프 가이드와 헤드의 상관 관계가 도출 쉽게 되고, 테이프 패스의 형성에 유리함과 동시에 구성부품 개수도 절감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
종래, 리버스 방식의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에서 테이프 주행 방향을 절환하는 절환 기구는 여러 가지가 제안되어 있다.
이 테이프 주행 절환기구로서는 예를 들면 실개소 58-131457호 공보, 실개소 60-155031호 공보에 개시되는 것이 있다.
실개소 58-131457호 공보에 개시된 것은 좌우 한 쌍을 이루는 캡스턴축에 각각 대응하는 핀치 롤러가 헤드 기판의 좌우 양측에 위치하여 각각 개별로 메카샤시에 축지지된 한 쌍의 핀치 롤러에 축지지되어, 양 핀치 롤러 레버가 조작 부재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회전됨으로서, 그 핀치 롤러 레버에 축지지되어 있는 핀치 롤러가 이것과 대응하는 캡스턴 축에 테이프를 거쳐 이동 접촉되어 양 핀치 롤러 레버의 선택 회전에 의하여 테이프의 주행 방향이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실개소 60-155031호 공보에 개시된 것은 좌우 한 쌍의 캡스턴에 각각 대응하는 한 쌍의 핀치 롤러가 공통의 핀치 롤러 기판에 축지지되고, 이 핀치 롤러 기판과 헤드 기판은 전후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또한 회전할 수 있는 관계에 있으며, 이 핀치 롤러 기판은 슬라이드 레버에 의하여 헤드 기판에 대해 시계 방향, 반시계 방향으로 선택적 회동되고, 이 선택적 회전에 의하여 한쪽의 핀치 롤러가 이것과 대응하는 캡스턴에 테이프를 거쳐 이동 접촉되어 슬라이드 레버에 의해서 핀치 롤러 기판이 회전하게 되어 테이프의 주행 방향이 절환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발명이 해결하려는 과제]
종래의 기술에서 서술한 것 중 전자에서는 좌우 한 쌍의 캡스턴에 대응하는 한 쌍의 핀치 롤러는 각각 개별의 핀치 롤러 레버에 축지지되고, 이 양 핀치 롤러 레버는 메카샤시에 대하여 개별로 축지지되며, 이 양 핀치 롤러 레버는 독자의 조작부재에 의하여 선택 조작하는 것으로 구성이 복잡하고, 부품 개수가 많고 조립시에 시간이 걸리고 가격도 높게 되는 불합리가 있다.
후자에서는 한 쌍의 핀치 롤러의 공통의 핀치 롤러 기판에 축지지되지만, 이 핀치 롤러 기판도 독자의 조작 부재에 의하여 회전 조작하여 양 핀치 롤러를 선택적으로 캡스턴에 이동 접촉시키는 구성이므로, 이것에서도 구성의 간략화에 난점이 있다.
그리고, 그 외에도 핀치 롤러와 헤드 및 테이프 가이드는 별개의 부재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상관 관계 특히 상호의 위치 관계가 도출되기 어렵고, 테이프 패스의 형성에 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기술이 가지는 이러한 문제점에 감안하여 된 것이고, 본 발명의 목적으로 하는 것은 구성의 간단화, 부품 개수의 저감화 및 가격의 저렴화를 가능하게 하고, 테이프 패스를 정확하게 형성시켜서 성능이 양호한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릴상에 권취되는 카세트 함유 자기 테이프에 사용하기 위한 오토리버스식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자기 기록 및 재생 헤드 조립체와, 조작자 작동식 플레이 버튼과, 서로 대향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한 쌍의 캡스턴과, 자기 테이프 주위에 권취되는 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한 쌍의 릴 베이스와, 상기 플레이 버튼의 작동에 따라 한 쌍의 릴 베이스에 연결된 직선과 수직한 제1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레이 모드와, 상기 한 쌍의 캡스턴에 각각 대응하게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한 쌍의 핀치 롤러와, 상기 핀치 롤러중 하나가 각 단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단일 핀치 레버와, 자기 기록 및 재생 헤드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해 캡스턴 사이와 플레이 모드 베이스상에 있는 헤드지지 수단과, 자기 기록 및 재생 헤드 조립체와 접촉하는 자기 테이프를 안내하기 위한 캡스턴 사이와 상기 핀치 레버상에 지지된 테이프 안내 수단과, 상기 핀치 레버가 한 쌍의 릴 베이스를 연결하는 직선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핀치 레버를 지지하기 위해 플레이 모드 베이스상에 있는 핀치 레버지지 수단 및, 상기 핀치 롤러를 상기 캡스턴에 대해 가압하도록 상기 핀치 레버를 제2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한 핀치 롤러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작용]
이상의 구성에 의하여 한 쌍의 핀치 롤러와 테이프 가이드와 헤드의 상관관계 즉, 서로의 관계 위치를 쉽게 그리고 정확하게 하여 테이프 패스를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고, 테이프 카세트의 교환 사용으로 고장이 나지 않고 특히 기록 완료시 테이프 카세트의 재생을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되어 신뢰성이 향상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카세트 테이프 데크(기록 및 재생 장치)에 적용한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서 도면부호 1은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메인샤시를 나타내고, 공급측 릴 구동축(이하 S측 릴축이라 한다; 2)과 권취측 구동축(이하 T축 릴축이라 한다; 3)이 축지지되고, 이 양릴 축(2,3)에는 각각 기어(4,5)가 동심상으로 고정되어 있으며, S축 릴축(2)의 기어(4)에는 메인샤시(1)에 축지지된 되감기 기어(6)가 맞물려 있다.
한편, T측 릴축(3)의 기어(5)와, 되감기 기어(6) 사이에 위치하고, 권취 레버(7)가 축지지되는 절환 기어(8)가 레버의 일단(외단)부에 피봇되어 있으며, 이 절환 기어(8)는 권취 레버(7)의 피봇축과 동축에 축지지된 연동 기어(9)에 맞물리고 권취 레버(7)의 요동 동작에 의하여 T측 기어(5)와 되감기 모드 기어(6)로 절환 맞물림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권취 레버(7)의 타단(내단)부 하면에는 메인샤시(1)의 배면측으로 향하는 돌기(10)가 설치되고 이 돌기(10)와 메인샤시(1) 사이에 토글스프링(11)이 길게 설치되어 있으며, 이 토글스프링(11)에 의하여 권취 레버(7)는 양 회전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치우쳐, 절환 기어(8)가 T측 기어(5) 또는 되감기 기어(6)에 확실하게 맞물림 되도록 이루어져 있다.
메인샤시(1)에는 S측 릴축(2)에 대응하는 리버스 주행측 캡스턴(이하 RVS측 캡스턴이라 한다; 12)과 T측 릴축(3)에 대응하는 전진 주행측 캡스턴(이하 FWD측 캡스턴이라 한다; 13)이 관통 축지지되고, 각각의 캡스턴(12, 13)에는 중심부에 캡스턴 기어를 가지는 풀리 모양의 플라이휘일(14, 15)이 메인샤시(1)의 배면측에 고정되어 있다.
도면부호 16은 메인샤시(1)의 표면측에, 양 릴축(2, 3)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갖추어진 플레이 레버이고, 플레이 레버(16)의 외연측에는 직립 벽면(17)이 형성되고, 또한 조작자(18)가 설치되어 있으며, 외연측에는 이 플레이 레버(16)의 미끄럼 운동에 있어서 권취 레버(7)의 돌기(10)의 양측에서 대응하게 되는 한 쌍의 가이드 갈고리(19, 20)가 굴곡형상으로 대향하여 설치되어 있다. 이 플레이 레버(16)의 직립 벽면(17)의 내측 중앙부에는 헤드(21)가 홀더(22)를 거쳐 장치되고, 그리고 이 플레이 레버(16)는 메인샤시(1) 사이에 압축 코일 스프링(23)을 내장함으로서, 항상 외측, 즉 릴축(2, 3)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치우치도록 되어 있다.
상술한 헤드 홀더(22)의 양측면의 내측 단부에는 테이프 가이드(22a, 22b)가 형성되고, 하부의 양측에 횡 방향으로 부착부(22c, 22d)가 설치되어 있다.
도면부호 24는 한 쌍의 필치 롤러(25, 26)를 캡스턴(12, 13)의 간격보다 약간 넓은 간격에서 축지지한 핀치 레버이고, 플레이 레버(16)에 직립 벽면(17)의 내측에 따라 횡방향, 즉 플레이 레버(16)의 미끄럼 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 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플레이 레버(16)에 설치된 갈고리(16a, 16b)와 직립 벽면(17)에 형성한 갈고리(17a, 17b)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으며, 이 핀치 레버(24)의 내연측에는 아암(24a)이 설치되고, 이 선단 하면측에는 맞물림핀(27)이 설치되어 플레이 레버(16)를 통하여 메인샤시(1)에 형성한 대략 역삼각형상의 창구멍(1a)에서 배면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이 핀치 레버(24)에 대한 필치 롤러(25, 26)의 축지지는 핀치 레버(24)의 양측부에 U자상의 축지지부(24b, 24c)를 설치하고, 이 축지지부 상하의 지지편(24b1, 26b2) 및 (24c1, 24c2)을 얇게 형성하고, 이 탄성 휘어짐을 이용하여 이른바 패칭(patching) 정지에 의하여 행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제4도 및 제5도에 나타나듯이 필치 롤러(25, 26)의 축(25a, 26a)의 양단에 원형돌부(25a1, 25a2) 및 (26a1, 26a2)를 설치하고 있으며, 한쪽 핀치 레버(24)의 축지지부(24b, 24c)의 지지편(24b1, 26b2) 및 (24c1, 24c2)에 핀치 롤로축의 원형돌부(25a1, 25a2) 및 (26a1, 26a2)가 맞물림되는 축구멍(24d1, 25d2) 및 (24e1, 24e2)을 설치하고 지지편의 내면측의 단부에서 축구멍에 걸쳐 축구멍의 직경과 거의 같은 폭의 홈(24f1, 26f2) 및 (24g1, 24g2)을 형성하고, 이 홈의 선단부는 테이퍼 형태로 형성하고 있으며, 축구멍은 홈측 외주변을 직선 형태로 하여 D자형으로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필치 롤러(25, 26)의 축(25a, 26a)과 핀치 레버(24)의 축지지부(24b, 24c)를 형성함으로써 필치 롤러(25, 26)의 맞물림 축지지에 있어서, 축(25a, 26a)의 돌부(25a1, 25a2) 및 (26a1, 26a2)를 축지지부(24b, 24c)의 지지편(24b1, 26b2) 및 (24c1, 24c2)의 홈(24f1, 26f2) 및 (24g1, 24g2)에 맞물림되어 이 홈에 따라 압입함으로서, 이것에 안내되어 축구멍(24d1, 24d2) 및 (24e1, 24e2)에 떨어지도록 맞물림되어 축지지된다.
이 맞물림에서, 축구멍의 홈측 외주면은 직선상이므로, 축의 돌부가 지지편을 휘면서 축구멍에 맞물림할 때의 주변부의 충합 범위를 적게 억누르는 것이 가능하여 맞물림이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축구멍을 직선 형태의 단부가 홈측으로 들어가도록 형성하면 축의 돌부와의 충합 범위를 매우 적게하는 것이 가능하고 또한 맞물림을 원활하게 행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축의 돌부와 축구멍 사이에 간격이 생기고, 핀치 롤러에 다소의 흔들림이 생기게 되지만, 핀치 롤러가 캡스턴에 압점되는 상태에서는 축의 돌부는 축구멍의 원호상 내주단부에 맞닿게 됨으로 핀치 롤러의 회전의 지장이 없게 된다.
이상의 핀치 롤러의 핀치 레버에 대한 축지지 구성은 기어를지지 아암등에 축지지하는 경우에도 적용할 수 있는 것이다. 즉, 이 경우는 지지 아암등에 형성되고, 기어측의 양단이 지지되는 지지편을 얇게 형성하고 단부에서 축구멍으로 향하여 홈을 형성하고, 축구멍의 홈측 외주변을 직전상에 형성하게 된다.
이 구성은 후술하는 신속 이송 레버 및 되감기 레버에 대한 기어의 축지지에 적용되어 있다.
도면부호 28은 메인샤시(1)의 배면측에 횡방향, 즉 플레이 레버(16)의 미끄럼운동 방향에 대하여 직교하는 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배치된 절환 레버이고, 릴축과 상대하는 측의 단부의 거의 중앙부에 상술한 권취 레버(7)의 돌기(10)를 소정 간격으로 끼우는 한 쌍의 맞물림 갈고리(29a, 29b)를 가지는 맞물림 아암(29)을 설치하고 있으며, 일단부에는 DIR 레버(30)에 맞물림되는 돌기(31)와 셧 오프 레버(38)와 맞물림하는 고리(33)가 설치되고,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픽업 레버에 맞닿는 단부(34a, 34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절환 레버(28)의 중앙부에는 한 쌍의 다리부(35a, 35b)를 가지는 나사 코일스프링(35)이, 다리부(35a, 35b)를 전방 단부측에서 소정 간격으로 이간하여 돌출하도록 장치하고 있으며, 이 양다리부(35a, 35b)의 선단부(351, 352)는 각각 외향으로 굴곡되고, 그 간격부는 상술한 핀치 레버(24)의 맞물림핀(27)으로 대향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환 레버(28)는 토글스프링(36)에 의하여 양 미끄럼운동 방향으로 강제적으로 치우치도록 되어 있다.
이 절환 레버(28)를 절환 조작하는 DIR 레버(30)는 메인샤시(1)에 축지지되고 이 선단부에 절환 레버(28)의 돌기(31)에 소정 간격(a)을 두어 대응하여 맞물림되는 오목형상의 맞물림부(30a)가 형성되어 있으며, 선단의 일 측부에는 가압돌편(30b)이 설치되고, 축지지부에서 횡방향으로 아암(30c)이 설치되고 이 선단이 메인샤시(1)에 설치된 블록부(37)로 상승하도록 접촉되고 DIR 레버(30)는 클릭 스톱퍼적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면부호 32는 모드 레버로서 메인샤시(1)에 축지지되고 절환 레버(28)의 고리(33)에 대응하는 맞물림 갈고리(38a)를 가지는 셧 오프 레버(38)가 스프링 부재(39)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으며, 이 셧 오프 레버(38)는 메인샤시(1)에 설치된 맞물림핀(40)에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어 모드 레버(32)를 회전 조작함으로서, 스프링 부재(39)를 거쳐 절환 레버(28)에 대하여 접근 이격 동작되고, 이 접근 상태에서 맞물림 갈고리(38a)가 고리(33)에 대향되고, 이 상태에서 DIR 레버(30)의 일 방향 회전에 의하여 가압돌편(30b)이 맞물림 갈고리(38a)에 맞물림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모드 레버(32)에도 축지지부에 횡방향으로 아암(32a)이 설치되고 이 선단이 메인샤시(1)에 설치된 블록부(41)를 타고 넣도록 접촉되고, 모드 레버(32)는 클릭스톱퍼적으로 회전시키도록 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이 모드 레버(32)와 셧 오프 레버(38)와 스프링 부재(39)는 수지재에 의하여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42는 로크 플레이트이고, 메인샤시(1)의 배면측에 절환 레버(28)와 평행하게 횡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배치되고 일체로 형성된 스프링 부재(43)에 의하여 일 방향으로 치우쳐 플레이 레버(16), 신속 이송(빨리 보내는) 레버(44), 되감기 레버(45)의 동작 상태로서 로크하고, 조작 레버(46)의 조작에 의하여 미끄럼운동되어 로크를 해제하도록 되고, 이 로크 플레이트(42)의 미끄럼 운동편 방향의 단부에는 셧 오프 레버(32)와 대응하는 피가압부(42a)가 형성되어 있다.
신속 이송 레버(44)의 선단에는 T측 릴축(3)의 기어(5)와 맞물림하는 기어(47)가, 되감기 레버(45)의 선단에는 되감기 기어(6)와 맞물림하는 기어(48)가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도면부호 49는 메인샤시(1)의 배면측에 축지지되고, T측 릴축(3)과 대응하는 캡스턴(13)의 플라이휘일(15)과 일체적인 캡스턴 기어(15a)와 연동 기어(9)와 동축에서 일체적으로 회전되는 중간기어(50)사이에 맞물림되는 검출 기어이고, 제7도에 나타나듯이 메인샤시(1)의 배면과 배향하는 면의 외주측에 재측캠(51)이 형성되고, 중심부에 내측캠(51)과 대응하는 외측캠(52)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내측캠(51)과 외측캠(52) 사이에 위치하여 외주 방향으로 안내돌부(53)가 설치되어 있다. 이 안내돌부(53)에는 외주 방향의 제1안내부(53a)와 중심 방향의 제2안내부(53b)가 형성되어 있다.
도면부호 54는 메인샤시(1)의 배면과 검출기어(49) 사이에 배치되고, T측 릴축(3)의 하단부(3a)에 이동 가능하게 맞물림된 픽업 레버이고, 선단에 상하 방향으로 맞물림돌기(55)가 설치되고 이 상반부가 메인샤시(1)의 배면에 형성된 안내 오목부(56)에 맞물림되고 하반부가 검출 기어(49)의 캠 형성면 측으로 향하도록 되어 있으며, 이 픽업 레버(54)의 선단부와 T측 릴축(3)의 하단부(3a) 사이에 인장 코일 스프링, 즉 마찰 스프링(57)이 설치되어 항시 한쪽으로 이동편의 되어 있다.
안내 오목부(56)는 검출 기어(49)의 축지지부 근방에서 외주측에 걸쳐 형성되고, 제1 및 제2 안내부(56a, 56b)가 분기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상술한 캡스턴(12, 13)에 고정된 플라이휘일(14, 15)과 모터(58)의 모터 축에 부착된 구동 풀리(59) 사이에는 플라이휘일(14)과 플라이휘일(15)이 서로 역 방향으로 회전 구동되도록 고무 벨트가 설치되어 있다.
상술한 플레이 레버(16)의 직립 벽면(17)의 외면에는 제8도에 나타나듯이 팽창 두부를 가지는 맞물림핀(61)이 설치되어 있으며, 한쪽 헤드(21)에 접속되는 가요성 배선기판(62)에는 맞물림핀(61)의 두부와 거의 같은 직경의 대경 관통 구멍부(63a)와, 축부와 거의 같은 직경의 소경 관통 구멍부(63b)가 슬릿(63c)을 거쳐 연속하여 이루는 맞물림구멍(63)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헤드(21)를 플레이 레버(16)에 부착한 상태에서 가요성 배선기판(62)을 직립 벽면(17)의 외면측으로 절반하여 그 맞물림구멍(63)을 맞물림핀(61)에 대경 관통 구멍부(63a)에서 끼워넣어서 슬릿(63c)을 통하여 소경관통 구멍부(63b)에서 맞물림 함으로서 멈춘다.
플레이 레버(16)의 헤드 부착부에는 제3도 및 제9도에 나타나듯이, 헤드 홀더(22)의 양측 부착부(22c, 22d)에 설치된 부착구멍(22c1, 22d1)이 끼워지는 돌기(64a, 64b)가 설치되고, 이 돌기(64a, 64b)의 외측 선단에 양측 부착부(22e, 22d)의 단부가 맞물림되는 단면 3각 형상의 맞물림부(65a1, 65b1)를 가지는 맞물림편(65a, 65b)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플레이 레버(16)에 헤드(21)를 부착하는 데는 헤드 홀더(22)를, 그 양측 부착부(22c, 22d)에 부착구멍(22c1, 22d1)을 돌기(64a, 64b)에 대응시켜 압입하면 부착구멍(22c1, 22d1)이 돌기(64a, 64b)에 끼워지고, 양측 부착부(22c, 22d)의 단부가 맞물림편(65a, 65b)을, 그 맞물림부(65a, 65b)에 맞닿아 외측으로 가압하도록 압입하고, 그 맞물림편(65a, 65b)의 반발력으로 맞물림부(65a, 65b)가 전방 단부의 상면측에 맞물림 함으로서 멈춘다. 이 멈춤은 이른바 패칭 정지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또한, 본 예에서는 플레이 레버(16)의 상면에 핀치 레버(24)를 배치하고, 그 위에 헤드(21)를 부착함으로서 돌기(64a, 64b) 및 맞물림편(65a, 65b)은 핀치 레버(24)에 형성된 횡방향의 창구멍(24d, 24e)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헤드 홀더(22)는 핀치 레버(24)의 상면측에서 돌기(64a, 64b) 및 맞물림편(65a, 65b)에 의하여 멈추고 있다.
제10도는 핀치 레버의 다른 예를 나타내고, 이 핀치 레버(124)에는 내면측에 헤드가 배치되는 부위를 좁혀서 테이프 가이드(125a, 125b)를 내측으로 향하여 설치하고 있다. 이 테이프 가이드(125a, 125b)는 테이프 카세트의 헤드가 삽입되는 중간창과 핀치 롤러가 삽입되는 양측 창의 사이, 중간창에 삽입되어 테이프를 가이드하게 되고, 테이프의 헤드와 양 핀치 롤러에 대하는 관계, 즉 위치가 도출되기 쉬운 테이프 패스에 유리하게 된다.
핀치 레버(124)에는 테이프 가이드(125a, 125b)에 따라서 소거 헤드를 부착하여도 좋고, 이 경우도 소거 헤드는 테이프 카세트의 중간창에 삽입시키게 된다.
다음에,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예의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는데, 우선 전진 주행에 대하여 설명하고, 계속하여 리버스 주행에 대하여 설명한다.
전진 주행은 제11도의 실선 및 일점 쇄선과 제12a도에 나타나듯이, DIR 레버(30)를 전진 측(실선측)으로 회전하면, 절환 레버(28)가 돌기(31)를 거쳐서 도면에서 좌측으로 가압 미끄럼운동되고, 토글스프링(36)에 의하여 미끄럼운동 위치에 지지된다. 이 상태에서 권취 레버(7)는 돌기(10)가 절환 레버(28)의 맞물림아암(29)의 한쪽 맞물림 갈고리(29b)에 맞물림하여 눌려져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지만, 이 상태에서는 돌기(10)가 플레이 레버(16)의 한쪽 가이드 갈고리(19)의 굴곡 단부(19a)의 선단내에 맞닿게 되어 회전이 규제되고 외측단부의 절환 기어(8)는 T측 릴축(3)의 기어(5)에 근접된 상태에서 지지되어 있다.
그래서, 조작자(18)를 가압함으로써 플레이 레버(16)를 내측으로 미끄럼운동 시키면, 가이드 갈고리(19)의 굴곡 단부(19a)가 권취 레버(7)의 돌기(10)에서 떨어지고, 이 때문에 권취 레버(7)는 규제가 해제되어 토글스프링(11)에 의하여 시계 방향으로 편의되어 절환 기어(8)가 T측 릴축(3)의 기어(5)에 맞물림된다(제11도 일점 쇄선의 상태).
한편 플레이 레버(16)상에 장착되는 핀치 레버(24)도 플레이 레버(16)와 일체로 내측으로 이동시킴으로서 아암(24a)편의 하면측에 설치된 맞물림핀(27)이 절환 레버(28)에 부착된 나사 코일스프링(35)의 한쪽 다리부(35b)에 굴곡 선단부(35b1)에 맞닿게 안내되어 접촉하고, 이것에 의하여 핀치 레버(24)는 플레이 레버(16)에 대하여 좌측 방향으로 미끄럼운동되고, 우측의 핀치 롤러(26)가 이것과 대응하는 한쪽의 캡스턴(13)에 나사 코일스프링(35)의 편의력에 의하여 가압 접촉되어 전진 주행 상태로 된다(제11도 일점 쇄선).
다음에, 리버스 주행에 따라 설명하면, 이 경우는 DIR 레버(30)를 제11도에 2점 쇄선과 제12b도에 나타나듯이 리버스 측으로 회전한다.
이 DIR 레버(30)의 리버스 측의 회전에 의하여, 절환 레버(28)가 돌기(31)를 거쳐 도면에서 우측으로 가압 미끄럼운동되고, 이 미끄럼운동 위치에 토글스프링(36)의 반전 탄력에 의하여 유지된다.
이 상태에서 권취 레버(7)는 돌기(10)가 절환 레버(28)의 맞물림 아암(29)의 다른 쪽 맞물림 갈고리(29a)에 맞물림하여 눌려지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돌기(10)가 플레이 레버(16)의 다른 쪽 가이드 갈고리(20)의 굴곡단부(20a)의 선단내에 맞닿게되어 회전이 규제되고, 절환 기어(8)는 S측 릴축(2)의 기어(4)에 맞물림하는 되감기 기어(6)에 근접된 상태로 유지된다.
절환 레버(28)의 우측 미끄럼운동에 의하여 나사 코일스프링(35)도 일체로 우측으로 이동 위치되어 있다. 그래서, 플레이 레버(16)를 상술한 전진 주행 조작과 마찬가지로 내측으로 미끄럼운동시키면, 가이드 갈고리(20)의 굴곡단부(20a)가 권취 레버(7)의 돌기(10)에서 떨어져, 권취 레버(7)는 규제가 해제되어 토글스프링(11)에 의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편의 되어 절환기어(8)가 되감기 기어(6)에 맞물림된다(제11도 2점쇄선).
한편, 플레이 레버(16)와 일체로 내측으로 이동되는 핀치 레버(24)는 그 맞물림핀(27)을 우측으로 이동 위치시키는 나사 코일스프링(35)의 다른 쪽 다리부(35a)의 굴곡선단부(35a1)에 당접 안내되어 습접함으로서 우측 방향으로 미끄럼운동되고 좌측의 핀치 롤러(25)가 이것과 대응하는 다른 쪽의 캡스턴(12)에 나사 코일스프링(35)의 편의력에 의하여 압접되어 리버스 주행 상태로 된다(제11도 2점 쇄선).
이상의 전진 주행 및 리버스 주행의 절환 동작은 플레이 레버(16)를 가압 미끄럼운동하여 로크한 상태, 측 플레이 상태에서도 행할 수 있는 것이고, 이 경우 전진 절환 동작, 즉 절환 레버(28)의 좌측 미끄럼운동과 동시에 절환 기어(8)는 T측 릴축(3)의 기어(5)에 맞물림되고, 핀치 레버(24)는 나사 코일스프링(35)의 한쪽 다리(35b)의 가압 탄력에 의하여 좌측 방향으로 미끄럼운동되고, 우측 핀치 롤러(26)는 한쪽의 캡스턴(13)에 가압 접촉된다.
리버스 절환 동작, 즉 절환 레버(28)의 우측 미끄럼운동과 동시에 절환기어(8)는 S측 릴축(2)의 기어(4)에 맞물림되는 되감기 기어(6)에 맞물림되고, 핀치 레버(24)는 나사 코일스프링(35)의 다른 쪽 다리부(35a)의 가압 탄력에 의하여 우측 방향으로 미끄럼운동되어 좌측 핀치 롤러(25)는 다른 쪽의 캡스턴(12)에 가압 접촉된다.
이상의 전진 및 리버스 플레이 동작은 테이프 기록 및 재생 장치에 테이프 카세트를 장전한 상태, 즉 양 릴축(2, 3)이 릴 허브에 감합되고, 양 캡스턴(12, 13)이 캡스턴 삽입 구멍에 삽입된 상태로서 행하여진다.
즉, DIR 레버(30)를 전진측 또는 리버스 측으로 절환하여 플레이 레버(16)를 가압 미끄럼운동하여 로크 플레이트(42)에 의하여 로크시키면, 테이프는 한쪽의 캡스턴(13)과 핀치 롤러(26), 또는 다른 쪽의 캡스턴(12)과 핀치 롤러(25)에 의하여 끼워눌려지고, 헤드(21)가 테이프 카세트 내의 중앙창에 삽입되어 테이프에 맞닿게 된다.
이 상태에서 모터(58)가 구동되어 캡스턴(12, 13)이 플라이휘일(14, 15)을 거쳐 서로 역방향으로 회전되고, 권취 레버(7)의 절환 기어(8)에 한쪽의 플라이휘일(15)의 회전이 캡스턴 기어(15a)에서 검출 기어(49), 중간기어(50), 연동 기어(9)를 거쳐 전달되고, 이 절환 기어(8)의 회전은 T측 릴축(3)에는 기어(5)를 거쳐, S측 릴축(2)에는 되감기 기어(6), 기어(4)를 거쳐서 전달되어 T측 릴축(3) 또는 S측 릴축(2)이 회전한다.
이 T측 릴축(3) 또는 S측 릴축(2)이 회전됨으로써 테이프 카세트 내의 테이프 전진 주행 또는 리버스 주행된다.
이상과 같이, 본 예에서는 1개의 핀치 레버(24)에 한 쌍의 핀치 롤러, 즉 리버스용의 핀치 롤러(25)와 전진용의 핀치 롤러(26)를 좌우 대칭으로 갖추고, 이 핀치 레버(24)를 플레이 레버(16)상에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운동 가능하게 배치하고, 이 핀치 레버(24)를 좌우 방향으로 미끄럼운동시키므로서, 각각의 핀치 롤러(25, 26)에 상대하는 리버스용의 캡스턴(12) 및 전진용의 캡스턴(13)에 대하여 압착, 비압착이 절환된다. 이 핀치 레버(24)의 이동은 S측 릴축(2)과 T측 릴축(3)에 회전을 전달하는 권취 레버(7)의 절환에 사용하는 절환 레버(28)를 구비한 맞물림 가압수단으로서의 나사 코일스프링(35)에 맞물림핀(27)이 맞물려 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전진 주행, 리버스 주행의 절환 조작에는 1개의 절환 레버(28)가 겸용된다. 스톱시, 즉 플레이 레버(16)의 복귀시 핀치 레버(24)는 나사 코일스프링(35)에서 이간됨으로 절환 레버(28)에 핀치 레버(24)에서의 반력이 가하여지지 않으므로 플레이 레버(16)의 복귀에 있어서 비틀어짐 등이 생기지 않고 원활하게 복귀된다.
이 플레이 레버(16)의 복귀에 의하여 핀치 레버(24)는 맞물림핀(27)이 메인샤시(1)에 설치한 역 삼각형 형상의 안내구멍(1a)의 가장자리부에 안내 위치됨으로서, 핀치 레버(24)는 중립 위치에서 미끄럼운동된다. 나사 코일스프링(35)의 양다리부(35a, 35b)의 선단부(35a1, 35b1)는 외측으로 굴곡되어 있으므로서, 스톱시에 DIR 레버(30)가 절환되어도 다음 플레이시에 핀치 레버(24)는 플레이 레버(16)의 압입미끄럼운동에 의하여, 맞물림핀(27)이 나사 코일스프링(35)의 어느 한쪽의 다리부에 안내되어 절환 레버(28)의 절환 방향으로 원활하게 미끄럼운동하는 것이 가능하게 한다.
권취 레버(7)는 토글스프링(11)에 의하여 양 회전 방향에 강제적으로 편의하도록 함으로써, 토글 기구는 사점을 초과하면, 최후까지 누를 필요가 없는 것을 이용하고, 절환 레버(28)의 스토로크를 권취 레버(7)의 회전보다 적게 할 수 있고, 절환 레버(28)의 스토로크를 최소로 하여 스페이스의 이동을 최대로 하도록 하고 있다. 이것은 절환 레버(28)의 스토로크의 여유에도 연결됨으로 권취 레버(7) 위치의 영향을 플레이 작동시 및 스톱시에 절환 레버(28)에 부여하지 않고 완료할 수 있다. 역으로 말하면 절환 기어(8)의 맞물림에 영향을 부여하지 않고 완료할 수 있다.
이 절환 레버(28)와 권취 레버(7)의 각 동작으로 위치에 영향을 주지 않으므로, 플레이 레버(16)의 복귀가 양호하고, 절환 레버(28) 위치의 메모리가 절환 레버(28)를 직접 셋트의 DIR 표시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본 예에서는 DIR 레버(30)의 회전 조작에 의하여, 절환 레버(28)가 절환 미끄럼운동되어 전진 주행과 리버스 주행이 행하여진다.
그리고, 셧 오프 동작은 제12a도 및 제12b도에 나타나듯이 모드 레버(32)의 조작에 의하여 행하여지고, 모드 레버(32)는 전진 주행과 리버스 주행이 연속으로 일 왕복 주행측과, 전진 주행과 리버스 주행이 반복 연속하여 행하여지는 연속 주행측으로 절환된다.
이 모드 레버(32)의 전진 주행과 리버스 주행이 연속하는 일 왕복 주행 모드에서는 모드 레버(32)와 스프링 부재(39)에 의하여 연결되는 셧 오프 레버(38)가 내측, 즉 절환 레버(28)의 고리(33)와 맞물림하는 위치로 이동되고, 절환 레버(28)가 리버스 주행에서 전진 주행으로의 전환 이동시에 고리(33)가 맞물림 갈고리(38a)에 맞물림하여 가압되고, 이것에 의하여 셧 오프 레버(38)가 회전되어 로크 플레이트(42)의 피가압부(42a)가 가압하여, 로크 플레이트(42)를 로크 해제 방향으로 미끄럼운동되어 플레이 레버(16)의 로크를 해제하고, 플레이 레버(16)는 복귀, 즉 셧 오프된다.
그런데, DIR 레버(30)는 절환 레버(28)에 대하여 완전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은 아니고, 절환 레버(28)의 돌기(31)에 대하여 맞물림부(30a) 사이에 소정 간격(a)을 가지고 있으므로 절환 레버(28)를 리버스 주행에서 전진 주행으로 절환할 수 있는 DIR 레버(30)에 의한 수동 절환일 때는 DIR 레버(30)를 회전하면, 맞물림부(30a)가 돌기(31)를 가압하기 전에 가압 돌편(30b)이 셧 오프 레버(38)의 직립 편(38b)에 접촉하고, 이것에 의하여 셧 오프 레버(38)는 외측, 즉 절환 레버(28)에서 분리되는 방향으로 눌러지고, 그 선단의 맞물림 갈고리(38a)는 절환 레버(28)의 고리(33)의 궤도에서 벗어나게 된다. 이 때문에 셧 오프 레버(38)는 절환 레버(28)의 전진 주행으로의 DIR 레버(30)에 의한 절환 미끄럼운동에서는 회전되지 않고, 즉 셧 오프 동작이 행하여지지 않도록 되어 있다.
모드 레버(32)를 전진 주행과 리버스 주행의 반복하여 연속 주행측으로 절환하면, 셧 오프 레버(38)는 스프링부재(39)에 의하여 절환 레버(28)에서 떨어지는 방향으로 가압되고 맞물림 갈고리(38a)는 절환 레버(28)의 고리(33)의 궤도에서 떨어지게 되고 절환 레버(28)는 전진 주행과 리버스 주행 방향으로 자유롭게 미끄럼운동되고, 로크 레버(42)는 로크 해제 작동되지 않고, 즉 셧 오프 동작되지 않고 전진 주행과 리버스 주행이 연속하여 반복하여 행하여지는 상태로 된다.
다음에, 검출 기어(49)와 픽업 레버(54)로 이루어지는 테이프 엔드 검출과 자동 절환을 행하는 기구를 제7도 및 제13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구성에서, 검출 기어(49)는 캡스턴(13)의 회전에 의하여 캡스턴 기어(15a)를 거쳐 일 방향으로 회전되고, 픽업 레버(54)는 T측 릴축(3)의 회전 방향의 힘을 마찰 스프링(57)을 통해서 받아서 요동된다.
즉, T측 릴축(3)이 전진 주행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픽업 레버(54)는 맞물림 돌기(55)가 검출 기어(49)의 내측 캠(51)의 내주에 접촉하고, 제7도 I-II로 나타내는 범위로서 요동되고, T측 릴축(3)이 리버스 주행 방향으로 회전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픽업 레버(54)는 맞물림 돌기(55)가 검출 기어(49)의 외측 캠(52)의 외주에 접촉하여 제7도 III-IV에 나타내는 범위로 요동된다.
그리고, 테이프 엔드에서 T측 릴축(3)이 정지하면, 픽업 레버(54)는 전진 주행 상태에서는 제7도의 위치에, 리버스 주행 상태에서는 제7도의 IV 위치에 각각 위치, 즉 센터핑된다. 이 상태에서 검출 기어(49)는 더욱 회전됨으로, 이 검출 기어(49)에 설치된 안내부(53)가 픽업 레버(54)의 맞물림 돌기(55)를, II의 위치에 있을 때는 제1안내부(53a)에 의하여, IV의 위치에 있을 때는 제2안내부(53b)에 의하여 밀어체쳐지고 전진 주행, 리버스 주행의 자동 절환이 행하여진다.
여기서, 픽업 레버(54)는 전진 주행시와 리버스 주행시의 센터링 위치를 변화하고, 또한 안내돌부(53)에 의한 밀어내는 위치를 바꾸므로서, 맞물림 돌기(55)의 상단부는 메인샤시(1)에 형성된 안내 오목부(56)로 안내되고 다른 두 방향으로 이동되고, 이 픽업 레버(54)의 이동에 의하여, 직접 픽업 레버(54)를 좌우, 즉 리버스 주행 방향과 전진 주행 방향으로 절환하도록 되어 있다.
이 안내 오목부(56)의 제1안내부(56a)와 제2안내부(56b)에는 각각 절환 레버(28)의 제1과 제2 안내 단부(34b, 34a)가 대응되어 있다.
즉, 전진 주행 종단에서는 제13a도의 II점에 센터링된 픽업 레버(54)는 그 맞물림 돌기(55)가 검출 기어(49)의 회전에 의하여 안내돌부(53)의 제1안내부(53a)에 의하여 안내 오목부(56)의 제1안내부(56a) 방향으로 가압되고, 제1안내부(56a) 측으로 향한 상태에 있는 절환 레버(28)의 제1안내단부(34b)에 맞닿아 안내단부(34b)를 가압하고, 이것에 의하여 절환 레버(28)는 우측 방향, 즉 리버스 주행 방향으로 미끄럼운동되고, 리버스 주행으로 절환된다.
리버스 주행 종단에서는 제13b도의 IV점에 센터링된 픽업 레버(54)는 그 맞물림 돌기(55)가 안내돌부(53)의 제2안내부(53b)에 의하여 안내 오목부(56)의 제2안내부(56b)의 방향으로 가압되고, 제2안내부(56b) 측으로 향한 상태에 있는 절환 레버(28)의 제2안내면(34b)에 맞닿아 가압하고, 이것에 의하여 절환 레버(28)는 좌측 방향, 즉 전진 주행 방향으로 미끄럼운동되고, 전진 주행으로 절환된다.
이상의 구성에서, 픽업 레버(54)의 마찰을 취하는 인장 코일 스프링, 즉 마찰 스프링(57)은 픽업 레버(54)가 검출 기어(49)의 안내돌부(56)에 의하여 가압되어 이동하는 경우 리턴 스프링을 겸하고 있다. 또한, 테이프가 장전되어 있지 않은 상태에서 되감기 조작하여도 T측 릴축(3)은 회전되지 않으므로, 절환 동작이 반복하여 행하게 되지만, 이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플레이 작동시 이외에는 픽업 레버(54)를 방지 스프링(70)에 의하여 검출 기어(49)의 외측 캠(52)에 항상 눌려져 있으며, 플레이 동작시는 플레이 레버(16)의 선단에 설치한 맞물림판(71)에 의하여 방지 스프링(70)을 눌러 픽업 레버(54)에서 이간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와 같이 본 예에서는 주행 방향의 절환 기구는 1개의 검출 기어(49)와 1개의 픽업 레버(54)의 매우 적은 부품에 의하여 구성된다.
[발명의 효과]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1개의 핀치 레버에 한 쌍의 캠스턴에 대응하는 한 쌍의 핀치 롤러를 갖추고, 이 핀치 레버를 플레이 레버 등의 헤드 작동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배치되며, 한 쌍의 핀치 롤러가 한 쌍의 캡스틴에 대하여 교대로 절환 맞닿게 되도록 하고, 핀치 레버상에 한 쌍의 핀치 롤러 사이에 위치하여 테이프 가이드, 헤드 지지부를 일체적으로 설치하여 구성함으로써, 한 쌍의 핀치 롤러와 테이프 가이드 및 헤드의 상관관계, 즉 서로의 관계 위치를 쉽고 정확하게 설정하여 테이프 패스를 정확하게 형성할 수 있게 되며, 테이프 카세트의 교환 사용이 지장없고, 특히 기록을 마친 테이프 카세트의 재생이 확실하게 행할 수 있게 되고, 신뢰성이 향상된다.
또한, 구성이 간략화되고, 부품 개수가 절감되어 가격의 저렴화가 가능하게 되는 등의 효과를 가진다.

Claims (7)

  1. 릴상에 권취되는 자기 테이프를 갖는 카세트에 사용하기 위한 오토리버스식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자기 기록 및 재생 헤드 조립체와, 조작자 작동식 플레이 버튼과, 서로 대항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한 쌍의 캡스턴과, 자기 테이프 주위에 권취되는 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한 쌍의 릴 베이스와, 상기 플레이 버튼의 작동에 따라 한 쌍의 릴 베이스에 연결된 직선과 수직한 제1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레이 모드와, 상기 한 쌍의 캡스턴에 각각 대응하게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한 쌍의 핀치 롤러와, 상기 핀치 롤러중 하나가 각 단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된 단일 핀치 레버와, 자기 기록 및 재생 헤드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해 캡스턴 사이와 플레이 모드 베이스상에 있는 헤드지지 수단과, 자기 기록 및 재생 헤드 조립체와 접촉하는 자기 테이프를 안내하기 위한 캡스턴 사이와 상기 핀치 레버상에 지지된 테이프 안내 수단과, 상기 핀치 레버가 한 쌍의 릴 베이스를 연결하는 직선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핀치 레버를 지지하기 위해 플레이 모드 베이스상에 있는 핀치 레버 지지 수단 및, 상기 핀치 롤러를 상기 캡스턴에 대해 가압하도록 상기 핀치 레버를 제2방향으로 선택적으로 미끄럼 이동시키기 위한 핀치 롤러 연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리버스식 기록 및 재생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핀치 롤러는 상기 한 쌍의 캡스턴 사이의 간격보다 더 큰 이격 간격으로 핀치 레버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리버스식 기록 및 재생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 레버와 테이프 안내 수단은 단일체로 일체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리버스식 기록 및 재생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 레버, 테이프 안내 수단 및 헤드지지 수단은 단일체로 일체식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리버스식 기록 및 재생 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정상 테이프 구동 모드와 역전 테이프 구동 모드 및 구동 모터를 갖는 형태이고, 상기 핀치 롤러 연결 수단은 정상 테이프 구동 모드와 역전 테이프 구동 모드사이에서 각각의 절환에 응답하여 제1 및 제2 위치사이에서 제2방향으로 이동가능한 절환 레버와, 변환 기어와, 상기 절환 레버가 제1 또는 제2 위치에 있을 때 모터의 구동력을 한 쌍의 릴 베이스에 전달하도록 상기 변환 기어를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절환 레버에 작동적으로 연결된 수단 및, 상기 플레이 모드 베이스가 전진일 때만 캡스턴중 하나에 대해 핀치 롤러중 하나를 가압하여 제2방향으로 핀치 레버를 이동시키기 위한 푸싱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리버스식 기록 및 재생 장치.
  6. 릴상에 권취되는 자기 테이프를 갖는 카세트에 사용하기 위한 오토리버스식 기록 및 재생 장치에 있어서, 자기 기록 및 재생 헤드 조립체와, 조작자 작동식 플레이 버튼과, 서로 대향 방향으로 회전가능한 한 쌍의 캡스턴과, 자기 테이프 주위에 권취되는 릴을 회전시키기 위한 한 쌍의 릴 베이스와, 상기 플레이 버튼의 작동에 따라 한 쌍의 릴 베이스에 연결된 직선과 수직한 제1방향으로 이동가능한 플레이 모드와, 상기 한 쌍의 캡스턴에 각각 대응하게 소정 거리만큼 이격된 한 쌍의 핀치 롤러와, 상기 핀치 롤러중 하나가 각 단부상에 회전가능하게 장착되고 복수개의 안내홈부를 갖는 단일 핀치 레버와, 상기 캡스턴에 대해 핀치 롤러를 선택적으로 이동시켜서 가압하기 위한 핀치 롤러 연결 수단과, 자기 기록 및 재생 헤드 조립체를 지지하기 위해 캡스턴 사이와 플레이 모드 베이스상에 있는 헤드지지 수단과, 자기 기록 및 재생 헤드 조립체와 접촉하는 자기 테이프를 안내하기 위한 캡스턴 사이와 상기 핀치 레버상에 지지된 테이프 안내 수단 및, 상기 핀치 레버가 한 쌍의 릴 베이스에 연결된 직선과 평행한 제2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핀치 레버를 지지하기 위해 플레이 모드 베이스상에 있고 복수개의 안내홈부에 연결된 복수개의 안내부를 갖는 핀치 레버지지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리버스식 기록 및 재생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핀치 레버지지 수단은 상기 안내 홈부와 안내부가 서로 해제되는 것을 방지하도록 핀치 레버를 파지하기 위한 후크식 지지 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토리버스식 기록 및 재생 장치.
KR1019900005857A 1989-04-27 1990-04-26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장치 KR1002094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08769A JP2669048B2 (ja) 1989-04-27 1989-04-27 テープレコーダ
JP108769 1989-04-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6984A KR900016984A (ko) 1990-11-15
KR100209476B1 true KR100209476B1 (ko) 1999-07-15

Family

ID=1449302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5857A KR100209476B1 (ko) 1989-04-27 1990-04-26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EP (1) EP0395364B1 (ko)
JP (1) JP2669048B2 (ko)
KR (1) KR100209476B1 (ko)
CA (1) CA2015545C (ko)
DE (1) DE6902111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9206B2 (ja) * 1992-10-16 1997-12-10 タナシン電機株式会社 テープレコーダ
CN1042066C (zh) * 1993-02-15 1999-02-10 德利信电机股份有限公司 磁带驱动机构的旋转传动转换装置
DE19519371A1 (de) * 1995-05-26 1996-11-28 Philips Patentverwaltung Magnetkopf mit einer Bandführungsvorrichtung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42058A (en) * 1979-04-20 1982-07-27 Olympus Optical Co., Ltd. Apparatus for running magnetic tapes
JPS57113449A (en) * 1980-12-29 1982-07-14 Sony Corp Tape driver
JPS61175951A (ja) * 1985-01-29 1986-08-07 Sanyo Electric Co Ltd ピンチロ−ラ−の切換装置
JPS61187150A (ja) * 1985-02-15 1986-08-20 Akai Electric Co Ltd リバ−ス式テ−プ走行装置
JPS62298049A (ja) * 1986-06-17 1987-12-25 Toshiba Corp テ−プレコ−ダ
DE3714702A1 (de) * 1987-05-02 1988-11-17 Philips Patentverwaltung Vorrichtung zum verstellen eines funktionsteiles in einem elektrischen geraet
JPS63285756A (ja) * 1987-05-15 1988-11-22 Clarion Co Ltd 磁気ヘッドアジマス切換装置
JPS6428533U (ko) * 1987-08-14 1989-02-20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2149965A (ja) 1990-06-08
CA2015545A1 (en) 1990-10-27
JP2669048B2 (ja) 1997-10-27
KR900016984A (ko) 1990-11-15
CA2015545C (en) 1999-05-18
DE69021117D1 (de) 1995-08-31
DE69021117T2 (de) 1995-12-14
EP0395364A3 (en) 1991-09-18
EP0395364B1 (en) 1995-07-26
EP0395364A2 (en) 1990-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S5856166B2 (ja) テ−プレコ−ダ
KR100209476B1 (ko) 카세트 테이프 기록 및 재생장치
US5144507A (en) Cassette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with a single pinch lever assembly
KR900008357B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오더에 있어서의 테이프 감기방향 변환장치
JPH0725870Y2 (ja) テ−プレコ−ダ
JPH0628736A (ja) 記録再生装置用モード切換え機構
US4603358A (en) Auto-reverse tape recording and reproducing apparatus
KR100301447B1 (ko) 기록재생장치
US4587584A (en) Rewind lever for a reciprocating type tape recorder
JPH0528576Y2 (ko)
JP2830006B2 (ja) カセットテープデッキ
JP2595699B2 (ja) カセットテープデッキ
JP2669049B2 (ja) テープレコーダ
JPH0150984B2 (ko)
JP2621476B2 (ja) カセットテープデッキ
JPH083922B2 (ja) テ−プレコ−ダ
US6636373B1 (en) Tape running drive device and tape recording and or reproducing device
KR100195427B1 (ko) 테이프 레코더
JPH0348732Y2 (ko)
JP2501781Y2 (ja) テ―プガイド機構
KR850001206Y1 (ko) 카세트 녹음기의 자동반전 재생장치
KR900003385Y1 (ko)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구동장치
KR930006887Y1 (ko) 테이프 레코더의 모드전환 장치
KR900009462Y1 (ko)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
KR0127484B1 (ko) 누름 단추 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410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