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2833B1 - 동작 상태 선택 기구 - Google Patents

동작 상태 선택 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2833B1
KR970002833B1 KR1019880003213A KR880003213A KR970002833B1 KR 970002833 B1 KR970002833 B1 KR 970002833B1 KR 1019880003213 A KR1019880003213 A KR 1019880003213A KR 880003213 A KR880003213 A KR 880003213A KR 970002833 B1 KR970002833 B1 KR 97000283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ver
gear
operating state
pla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800032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11761A (ko
Inventor
가즈히또 구리따
고지 도이
다께요시 다까시나
Original Assignee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오오가 노리오 filed Critical 소니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11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11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283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283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Landscapes

  • Transmission Devices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Abstract

내용없음

Description

동작 상태 선택 기구
도면은 본 발명 동작 상태 선택 기구를 테이프 플레이어의 엔드 모드 선택 기구에 적용한 실시의 일예를 도시한 것으로서,
제1도는 셔트 오프 모드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평면도.
제2도는 플레이 모드시의 메카덱크를 도시한 평면도.
제3도는 메카덱크중의 메카샤시의 하측 부분을 도시한 평면도.
제4도는 플레이 레버와 캡스턴 풀리를 도시한 사시도.
제5도는 테이프 주행 방향 절환 기구를 도시한 분해 사시도.
제6도는 제3도의 Ⅵ-Ⅵ선에 따른 단면도.
제7도는 메카덱크의 일부와 엔드 모드 선택 기구를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메카덱크의 일부와 엔드 모드 선택 기구를 분해하여 도시한 사시도.
제9도는 테이프 엔드 상태를 도시한 주요부의 평면도.
제10도는 리버스 모드에서의 테이프 주행 방향 절환 기구를 도시한 저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 : 지지부재 84 : 동작 상태 선택 기구
85 : 선택 손잡이 91 : 동작 상태 절환 레버
97 : 탄성부
본 발명은 신규의 동작 상태 선택 기구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서로 다른 동작 상태를 형성하는 복수의 위치의 어디에 오느냐에 따라 해당 위치에 대응한 소정의 동작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동작 상태 절환레버와 그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이동하기 위한 선택 손잡이와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그 이동된 위치에 보유하기 위한 보유 수단등을 구비한 동작 상태 선택 기구 예를 들면, 소위 오토리버스 기능과 오토 셔트 오프 기능을 구비한 테이프 플레이어에 있어서, 재생 동작이 엔드레스로 행해지는 엔드레스 모드와 리버스 재생 상태로부터 테이프 엔드로 되었을 때는 재생 동작이 자동적으로 종료하는 오토 셔트 오프 모드중의 어느것의 모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엔드 모드 선택 기구 등의 동작 상태 선택 기구에 관한 것이며, 각각의 다른 기능 및 움직임을 가지는 복수의 부재를 상기 기능이나 움직임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고 단일 부품으로서 구성할 수 있도록 하여, 작업성이나 품질 및 경제성이 우수한 새로운 동작 상태 선택 기구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 동작 상태 선택 기구는, 각각 다른 동작 상태를 형성하기 위한 복수의 위치 사이를 이동시키고 또 그 이동된 위치에 보유될 것을 필요로 하는 동작 상태 절환 레버와 그 동작 상태 절환 레버가 이동되는 위치의 수에 따른 수의 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또, 소정의 위치로 이동함으로써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소정의 위치로 이동시키는 선택 손잡이를 가진 동작 상태 선택 기구에 있어서, 상기 동작 상태 절환 레버와 선택 손잡이와 이들을 연결함과 동시에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선택 손잡이의 위치에 따른 소정의 위치로 보유하기 위한 탄성부를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함으로써, 각각이 다른 기능 및 움직임을 가지는 동작 상태 절환 레버와, 선택 손잡이를 이들 기능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고 단일의 부품으로서 구성하고, 그에 따라 이 종류의 기구의 구조를 극히 간단하게 할 수 있고 또, 취급이나 부착 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음과 동시에 항상 일정한 품질을 보유할 수가 있고 또, 염가로 제조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동작 상태 선택 기구 즉, 복수의 위치의 어디에 오느냐에 따라 해당 위치에 대응한 소정의 동작 상태를 형성하는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구비하고, 그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상기 복수의 위치의 어느것으로 선택적으로 이동함으로써 소정의 동작 상태를 선택적으로 설정하는 기구에는 종래로부터 각종의 것이 있지만 이 종류의 기구는 기본적으로 상기 동작 상태 절환 레버, 그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이동하기 위한 선택부재와 소정의 위치에 이동된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그 위치에 보유하기 위한 보유 부재, 선택 손잡이의 움직임을 동작 상태 절환 레버에 전달하는 부재 및 그외의 부재가 별개로 존재하고 또, 서로 관련지워 조립함으로써 구성되어 있다.
종래의 엔드 모드 선택 기구는 상기한 바와 같이 그 구성 부재의 수가 대단히 많고, 더우기, 메카샤시는이들 부재를 지지하기 위한 지지축이나 스프링 걸림부 등을 다수 설치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그 구조가 극히 복잡해지는 동시에 상기 많은 부재를 서로 관련지워 조립할 필요가 있기 때문에 조립에 많은 작업을 필요로 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의 동작 상태 선택 기구는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지지 부재에 회전 자재로 지지됨과 동시에 제1동작 상태를 형성하는 제1위치와 제2동작 상태를 형성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또, 상기 2개의 위치에서 보유할 것을 필요로 하는 동작 상태 절환 레버와, 지지 부재에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됨과 동시에 상기 동작 상태 절환 레버에 의해 형성되는 제1동작 상태를 선택하는 제1위치와 제2동작상태를 선택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선택 손잡이와 그 선택 손잡이와 상기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연결함과 동시에 선택 손잡이가 제1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제1위치로 이동시키고 또, 그 제1위치에 보유하고 선택 손잡이가 제2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고 또, 그 제2위치에 보유하는 탄성부를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 동작 상태 선택 기구에 의하면 각각 다른 기능 및 움직임을 가지는 본래 별개의 부재인 동작 상태 절환 레버와 선택 손잡이 및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보유하는 수단을 이들 동작 상태 절환 레버나 선택 손잡이 등이 가지는 기능 및 움직임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고, 단일 부품으로서 구성할 수가 있으므르 그 취급이나 부품관리를 간단히 행할 수가 있고, 또, 지지 부재에의 부착 작업이 극히 소수의 작업으로 이루어지게 되고, 더우기, 1회의 성형에 의해 필요한 모든 부재 성형이 완료되므로 제조 작업이 극히 간단해짐과 동시에 그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 동작 상태 선택 기구의 상세를 첨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 따라 설명한다.
도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을 리버스 재생 기능을 구비한 오디오 테이프 플레이어(1)의 엔드 모드 선택기구에 적용한 것이다.
또한, 도면에는 메카덱크와 외부 게이스의 전방 벽부만을 도시하고 있다.
(2)는 메카샤시이고, 그 메카샤시(2)는 판형으로 형성된 샤시부(3)와 후술하는 각부의 대부분이 합성수지로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샤시부(3)는 그 후단 근처의 부분을 제외한 대부분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대략 장방형을 이룸과 동시에 후단 근처 부분이 대략 M자형을 이루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M자형을 이루는 부분의 후단부로부터 릴대지지축(4,4')이 설치되고, 또, 전단부의 좌우 양단부로부터 암 지지축(5,5')이 세워 설치되어 있다.
(6)은 샤시부(3)의 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된 비교적 높이가 낮은 전방벽,(7,7')은 샤시부(3)에 인서트 성형에 의해 설치된 캡스턴 지지 슬리브이고, 그 캡스턴 지지 슬리브(7,7')는 샤시부(3)의 전단 근처 부분의 서로 좌우방향으로 이간된 위치에 설치되어 있으며 그 상단부가 샤시부(3)의 상면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고 그 하단부가 샤시부(3)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상태로 설치되어 있다.
또, 샤시부(3)에 형성된 각부중에 상기한 각 부 이외의 부분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각 부재나 기구의 설 명중에서 관련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8)은 플레이 모드를 형성하기 위한 플레이 레버이다. 상기 플레이 레버(8)는 그 전후 양단부를 제외한 주요부(8a)가 좌우방향으로 긴 대략 장방형 판 형상을 이루는 동시에 주요부(8a)의 후단 모서리로부터 두개의 규제편(9,9')이 후방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규제편(9,9')의 각 후단부는 이들간의 간격이 다른 부분간의 간격보다 좁아지게 서로 내측을 향해 굴곡되어 있다.
(l0)은 주요부(8a)의 전방 단부애 부착된 자기 헤드, (l1)은 주요부(8a)의 전방 단부 모서리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하도록 위치한 돌출부에 고정된 플레이 버튼, (12)는 주요부(8a)의 약간 좌측 부근의 위치로부터 하방을 향해 꺾여진 형상으로 형성된 피 로크편이다
그리고, 플레이 레버(8)는 샤시부(3)의 상면에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범위내에서 이동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인장 스프링(13)에 의해 전방에의 이동력을 받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으며, 후방을 향해 눌려 있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의 자기 헤드(10)가 플레이어(1)에 장착된 테이프 카세트(14) 전방면에 전방으로부터 약간 간격을 두어 대향하는 위치(이하, "비 플레이 위치"라 한다. 또, 이 위치에 와 있는 플레이 레버(8)의 일부를 제1도에 1점 쇄선으로 도시하였다.)에 유지되고, 또 후방으로 소정량 압입됨으로써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자기 헤드(10)가 테이프 카세트(14)의 자기 테이프(15)중 테이프 카세트(14)의 전면부를 관통하고 있는 부분에 접촉하는 위치(이하, "플레이 위치"라 한다.)로 이동되게 된다.
(16)은 FF(고속 전진)모드를 형성하기 위한 FF 레버, (17)은 REW(되감기) 모드를 형성하기 위한 REW레버이며, 이들 레버(16,17)는 샤시부(3)하면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또 전방에의 이동력을 받은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으며, 그 전방 단부에 누름버튼(18,18')이 부착되고, 또 피 로크편(19,19')이 하방을 향해 꺾인 형태로 형성되어 있다.
또, 플레이 레버(8)의 피 로크편(12) 하부는 샤시부(3)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을 통하여 샤시부(3)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위치되어 있다.
(20)은 상기 플레이 레버(8), FF 레버(16) 및 REW 레버(17)를 그 압입된 위치에 유지하기 위한 로크 슬라이더이다.
상기 로크 슬라이더(20)는 좌우방향으로 긴 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샤시부(3)의 하측 전단 부근의 부분의 좌측 반정도의 부분에 대응한 위치에 그 좌우 양측 근처 부분에 형성된 피 안내 구멍(21,21')이 샤시부(3)에 형성된 안내 돌출부(22,22')와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함으로써 일정한 범위내에서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인장 스프링(23)에 의해 항상, 좌측으로의 이동력을 받고 있다.
그리고, 로크 슬라이더(20)의 우측 대략 중간에 서로 좌우방향으로 약간 간격을 두고 위치한 3개의 결합구멍(24,25 및 26)이 형성되는 동시에, 이들 결합 구멍(24,25 및 26) 우측 모서리에 후단으로 감에 따라 좌측으로 변위하는 피 가압 경사 모서리(24a,25a,26a)와 상기 피 가압 경사 모서리(24a,25a,26a)의 후단에 연속하여 우측을 향해 연장되는 걸림 모서리(24b,25b,26b)가 형성되어 있으며, 플레이 레버(8), FF 레버(16) 및 REW 레버(17)에 형성된 상기 피 로크편(12,19,19')은 이들 결합 구멍(24,25 및 26)내에 각별히 위치되어 있다.
(27)은 스톱 레버이며, 상기 스톱 레버(27)는 샤시부(3)의 하측 좌단부에 전후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전방으로의 이동력을 받은 상태에서 설치되는 동시에 로크 슬라이더(20)의 좌측 모서리 일부를 이루는 피 가압 모서리(28)에 대략 전방으로부터 대향한 도시하지 않은 가압 돌편이 설치되어 있으며, 이 스톱 레버(27)를 압입함으로써 그 도시하지 않은 가압 돌편이 로크 슬라이더(20)의 상기 피 가압 모서리(28)를 대략 우향 경사 후방으로 밀고, 그로써 로크 슬라이더(20)가 우측으로 이동되게 되어 있다.
거기서,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레이 레버(8)가 비 플레이 위치로 와 있으며, 또 FF 레버(l6) 및 REW 레버(17)가 모두 후방으로 압입되지 않은 위치(이하, "비 압입 위치"라 한다.)에 와 있는 상태, 즉, 스톱모드로부터 플레이 레버(8), FF 레버(l6) 및 REW 레버(17)의 어느 하나가 소정량 후방으로 압입되면 그 압입된 레버의 피 로크편(12,19,19')이 로크 슬라이더(20)의 걸림 구멍(24,25,26)의 피 가압 모서리(24a,25a,26a)를 누름으로써 로크 슬라이더(20)가 일단 우측으로 이동되는 동시에 피 로크편(12,19,19')이 이 걸림 구멍(24,25,26)의 걸림 모서리(24b,25b,26b)로부터 후방으로 온 곳에서 로크 슬라이더(20)가 인장 스프링(23)의 인장력에 의해 좌측으로 이동되고, 그애 의해 압입된 레버의 피 로크편(12,19,19')이 걸림 모서리(24b,25b,26b)에 결합되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 레버(8)가 압입된 때는 상기 플레이 레버(8)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되고, 또 그 위치로 유지되게 되며, 또, FF 레버(16) 또는 REW 레버(17)가 소정량 압입된 때는 이들 FF 레버(16) 또는 REW 레버(17)가 상기 비 압입 위치로부터 소정 거리 후방으로 근접한 위치(이하, "압입 위치"라 함)로 이동되고, 또, 그 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또, 이와 같이 하여 플레이 레버(8), FF 레버(16) 및 REW 레버(17)의 어느것이 압입되어 있는 상태에서 스톱 레버(27)가 소정량 압입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로크 슬라이더(20)가 우측으로 이동되기 때문에, 압입되어 있는 레버의 피 로크편(12,19,19')과 걸림 구멍(24,25,26)의 걸림 모서리(24b,25b,26b)와의 결합이 해제되게 되며, 따라서 압입되어 있는 레버가 비 플레이 위치 또는 비 압입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또, 플레이 레버(8)의 플레이 위치로부터 비 플레이 위치에의 이동은 후술하는 엔드 모드 절환 레버가 동작함으로써도 행해진다.
(29)는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의 자기 테이프(15)의 주행방향을 규정하기 위한 방향 슬라이더이며, 이 방향 슬라이더(29)는 좌우방향으로 가늘고 긴 주요부(29a)와 상기 주요부(29a)의 우단 근처 위치로부터 후방으로 돌출한 돌출부(29b)와 대략 L자형을 이루고 또 그 L자형 우단이 상기 돌출부(29b)의 후단에 연속한 아암부(29c)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진다.
그리고, 주요부(29a)의 후단 모서리 우단부 및 좌단으로부터 약간 우측으로 근접한 위치로 상방을 향해 돌출한 높이가 낮은 핀치 롤러 규제편(30,30')이 형성되고, 또 돌출부(29b)에 대략 사각형을 이루는 캠 배치구멍(31)이 형성되고, 또 아암부(29c)의 후단부로부터 돌편(32)의 상방을 향해 돌출 설치되어 있다.
(33)은 후술하는 아이들러 레버에 소정 모드에 있어서의 소정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가하기 위한 아이들러 가압 스프링이며, 상기 아이들러 가압 스프링(33)은 대략 가위형을 이루고 있으며, 그 코일부가 방향 슬라이더(29)의 아암부(29c)의 L자형 굴곡점에 설치된 핀(34)에 지지되는 동시에 그 두개의 아암(33a,33b)이 후방을 향해 연장되고, 또 아이들러 레버의 피 가압핀에 의해 상대적으로 가압되지 않은 상태에 있어서 상기 돌편(32)에 좌우 양측으로부터 탄성 접촉함으로써 서로 대략 평행으로 연장되는 자세로 위치하도록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방향 슬라이더(29)는 샤시부(3)의 하면의 전단부에 좌우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동시에 그 캠 배치 구멍(3l)의 좌우측 모서리가 후술하는 방향 기어의 캠에 의해 가압됨으로써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포워드 위치와 그 도면에 그 일부를 2점 쇄선으로 도시하고, 또 제10도에 도시한 리버스 위치사이를 이동하게 되어 있다.
(35,35')는 캡스턴이며, 이들 캡스턴(35,35')은 후술하는 캡스턴 풀리로부터 세워 설치되는 동시에 그 하측 대략 반이 메카샤시(2)의 샤시부(3)에 설치된 상기 캡스턴 지지 슬리브(7,7')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또, 이들 두 캡스턴(35,35')중 우측것(35)이 포워드 플레이 모드, 즉 자기 테이프(15)를 포워드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재생을 행하는 모드에 있어서 기능하는 캡스턴(이하, "F측 캡스턴"이라 한다)이며, 좌측 캡스턴(35')이 리버스 플레이 모드, 즉 자기 테이프(15)를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시키면서 재생을 행하는 모드에 있어서 기능하는 캡스턴(이하 "R측 캡스턴"이라 한다)이다.
(36,36')는 릴대이며, 상기 릴대(36,36')는 비교적 대경인 기어부(36,36'a)와 상기 기어부(36a,36'a)의 중심부로부터 상방을 향해 돌출한 릴 결합축(36b,36b')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메카샤시(2)의 샤시부(3)에 설치된 상기 릴대 지지축(4,4')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14)가 플레이어(l)에 장착되면 두개의 테이프 릴(37,37')이 상기 릴대(36,36')의 릴 결합축(36b,36b')에 각별히 결합되고, 그로써 우측 테이프 릴(37)(이하, "T릴"이라 한다)이 우측 릴대(이하,"F측 릴대"라 한다.)(36)와 좌측 테이프 릴(37')(이하 "S릴"이라 한다.)이 좌측 릴대(이하 "R측 릴대"라 한다)(36')와 각각 일체적으로 회전하는 상태가 된다.
(38 및 38')은 핀치 롤러이다.
(39,39')는 핀치 롤러 아암이며, 상기 핀치 롤러 아암(39,39')는 그 기단부가 샤시부(3)에 설치된 상기 아암 지지축(5,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그 회전 단부에 지지축(40,40')이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지지축(40,40')에 핀치 롤러(38,38')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핀치 롤러 아암(39,39')에는 각 후방에의 회전력이 가해지는 동시에 플레이 레버(8)가 비플레이위치에 와 있을 때는 상기 회전력에 대향하여 핀치 롤러(38,38')를 캡스턴(35,35')으로부터 약간 전방으로 이간하여 위치시키는 위치에 유지되어 있다.
또 상기 지지축(40,40')의 하단부는 샤시부(3)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구멍을 통하여 샤시부(3)의 하방에까지 달하고 상기 방향 슬라이더(29)에 설치된 핀치 롤러 규제편(30,30')과 대향되어 있다.
그리고 플레이 레버(8)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하면 핀치 롤러 아암(39,39')이 대략 후방을 향해 회전되는 동시에 방향 슬라이더(29)가 포워드 위치에 와 있는 상태(이하 "포워드 상태"라 한다.)에 있어서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우측의 핀치 롤러 아암(39)는 핀치 롤러(38)가 F측 캡스턴(35)에 압착하는 위치까지 이동하지만 좌측 핀치 롤러 아암(39')은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핀치 롤러(38')가 R측 캡스턴(35')에 접촉하기 직전의 위치까지 온 곳에서 지지축(40')이 방향 슬라이더(29)에 설치된 좌측의 핀치 롤러 규제편(30')에 맞닿아 그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또, 이와는 반대로 방향 슬라이더(29)가 리버스 위치에 와 있는 상태(이하 "리버스 상태"라 함)에 있어서는 좌측 핀치 롤러 아암(39')이 핀치 롤러(38')가 R측 캡스턴(35')에 압착하는 위치까지 회전하지만 우측 핀치 롤러 아암(39)의 후방에의 이동은 방향 슬라이더(29)에 설치된 우측의 핀치 롤러 규제편(30)에 의해 그 핀치 롤러(38)가 F측 캡스턴(35)에 접촉하기 직전의 위치까지 온 곳에서 그 이상 후방으로 이동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이리하여, 포워드 상태로부터 플레이 모드가 형성된 때는 우측 핀치 로러(38)가 F측 캡스턴(35)에 압착되고, 리버스 상태로부터 플레이 모드가 형성된 때는 좌측 핀치 롤러(38')가 R측 캡스턴(35')에 압착되게 된다.
(4l)은 후술하는 전달 기어에 의해 회전되고 릴대(36,36')와 맞물림으로써 이들 릴대(36,36')를 구동하는 아이들러 기어,(42)는 상기 아이들러 기어(41)를 지지하고 있는 아이들러 레버이다.
아이들러 레버(42)는 대략 전후방향으로 긴 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길이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부로부터 약간 전방 근처의 위치가 샤시부(3)의 후단 모서리 근처의 위치에 설치된 지지축(43)의 샤시부(3)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부분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그 후단부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지지축(44)에 아이들러 기어(41)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45)는 아이들러 레버(42)의 전달부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한 피 가압핀, (46)은 아이들러 레버(42)의 전단부 상면에 형성된 피 규제 돌출부이다.
또, 아이들러 기어(41)는 릴대(36,36')의 기어부(36a,36'a)의 2분의 l 정도의 직경을 갖는 대기어(41a)와 상기 대기어(41a)의 상면에 위치한 소기어(41b)가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대기어(41a)가 후술하는 제2전달 기어와 항상 맞물려 있다.
또, (47)은 샤시부(3)의 상면중 아이들러 레버(42)의 우측 위치에 설치된 중간 기어이며, 상기 중간 기어(47)는 F측 릴대(36)의 기어부(36a)와 항상 맞물려 있다.
그리고 아이들러 레버(42)의 피 가압핀(45)의 하단부는 상기 방향 슬라이더(29)에 설치된 아이들러 가압 스프링(33)의 두 아암(33a와 33b)의 선단부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아이들러 레버(42)는 방향 슬라이더(29)가 포워드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3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피 가압핀(45)이 아이들러 가압 스프링(33)의 우측 아암(33a)에 의해 좌측을 향해 가압됨으로써 시계 방향으로의 회전력을 가하고, 방향 슬라이더(29)가 리버스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이 도면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피 가압핀(45)이 아이들러 가압 스프링(33)의 좌측 아암(33b)에 의해 우측을 향해 가압됨으로써 반시계 방향에의 회전력을 받고 있다.
또, 아이들러 레버(42)의 피규제 돌출부(46)는 플레이 레버(8)의 상기 두 규제편(9,9')의 사이에 위치되어 있으며, 플레이 레버(8)가 비 플레이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규제편(9,9')의 후단부가 상기 피 규제 돌출부(46)를 좌우 양측으로부터 대략 끼도록 위치하고, 그로써 아이들러 레버(42)가 아이들러 가압 스프링(33)에 의해 가압된 상기 회전력에 대항하여 그 회전 범위의 대략 중간 위치에 유지되게 되어 있으며, 아이들러 레버(42)가 이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 아이들러 기어(41)의 소기어(41b)가 R측 릴대(36')의 기어부(36'a) 및 중간기어(47) 어느것에도 맞물리지 않는 위치(이하, "중립 위치"라 한다)에 유지된다.
그래서, 플레이 레버(8)가 비 플레이 위치에 와 있는 상태로부터 플레이 위치로 이동하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규제편(9,9')의 후단부가 아이들러 레버(42)의 피규제 돌출부(46)보다 하방의 위치로 빠지기 때문에 아이들러 레버(42)의 규제편(9,9')에 의한 위치 규제가 해제되게 된다.
따라서, 이 경우 방향 슬라이더(29)가 포워드 위치에 와 있으면 아이들러 레버(42)가 시계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이들러 기어(41)의 소기어(41b)가 중간 기어(47)를 거쳐 F측 릴대(36)의 기어부(36)의 기어부(36a)와 맞물리고, 또 방향 슬라이더(29)가 리버스 위치에 와 있으면 아이들러 레버(42)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여 아이들러 기어(41)의 소기어(41b)가 R측 릴대(36')의 기어부(36'a)와 맞물리게 된다.
또, 상술한 상태로부터 플레이 레버(8)가 비 플레이 위치로 복귀되면, 규제편(9,9')의 후단부가 아이들러레버(42)의 피 규제 돌출부(46)의 위치를 규제하므로 아이들러 기어(41)가 중립 위치로 복귀되게 된다.
(48)은 모터이며, 상기 모터(48)는 샤시부(3)의 하면 우단부에 고정되는 동시에 그 회전축(48a)의 하단부에 비교적 소경의 풀리(49)가 고착되어 있다.
(50,50')는 캡스턴 풀리이며, 상기 캡스턴 풀리(50,50')는 이보다 약간 대경의 플라이 휘일(5l,51')의 상면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들 캡스턴 풀리(50,50') 중심에 상기 캡스턴(35,35')의 하단부가 고정되어 있다.
(52)는 우측 캡스턴 풀리(50)의 상면 중심으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된 기어부이다.
(53)은 전달 풀리이며, 상기 전달 풀리(53)에는 그 상면의 중심부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원형형 보스(54)와 상기 보스(54)를 둘러싸도록 위치한 제1전달 기어(55)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또,(56)은 제2전달 기어이며, 상기 제2전달 기어(56)는 상기 보스(54)에 회전 가능하게 외부 끼움되는 동시에, 전달 풀리(53)에 그 회전력을 도시하지 않은 마찰 접촉 수단을 거쳐 전달되는 상태로 결합되어 있다.
그리고, 전달 풀리(53)는 그 보스(54)에 상기 지지축(43), 즉 아이들러 레버(42)가 지지되어 있는 지지축의 샤시부(3)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부분이 삽입 관통됨으로써 상기 지지축(43)이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있다.
또, 아이들러 기어(41)의 대기어(41a)는 상기 제2전달 기어(56)와 항상 맞물려 있다.
(57)은 무단형의 벨트이며, 상기 무단형 벨트(57)는 상기 모터(48)의 풀리(49) 우측의 캡스턴 풀리(50)-좌측 캡스턴 풀리(50')-전달 풀리(53)에 이 순서로 무단형으로 권취되어 있으며, 우측 캡스턴 풀리(50)에는 후방을 향한 부분에, 또 좌측 캡스턴 풀리(50')에는 전방을 향하고 있는 부분에 각각 권취되어 있다. 따라서 두 캡스턴 풀리(50,5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또, 모터(48)는 상기 플레이 레버(8), FF 레버(16) 및 REW 레버(18)의 어느것이 압입됨으로써 회전되고, 그 회전방향은 회전축(48a)이 제3도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회전되는 방향으로 되어 있다.
그래서, 모터(48)가 회전하면 벨트(57)가 주행되고, 이에 의해 우측 캡스턴 풀리(50)가 제3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좌측 캡스턴 풀리(50'), 전달 풀리(53), 제l, 제2 두 전달 기어(55,56)가 이 도면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으로 각각 회전되게 되며, 이로써 F측 캡스턴(5) 및 아이들러 기어(41)가 반시계 방향으로, R측 캡스턴(35')이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그래서, 스톱 상태로부터 플레이 레버(8)가 플레이 위치로 이동되면 모터(48)가 회전하고 캡스턴(35,35'), 전달 기어(55,56) 및 아이들러 기어(41)가 회전되는 동시에 포워드 상태에 있어서는 우측 핀치 롤러(38)가 F측 캡스턴(35)에 압착되고, 또 아이들러 기어(41)의 소기어(41b)가 중간 기어(47)를 거쳐 F측 릴대(36)의 기어부(36a)에 맞물리고, 또 리버스 상태에 있어서는 좌측 핀치 롤러(38')가 R측 캡스턴(35')에 압착되고, 또 아이들러 기어(41)의 소기어(41b)가 R측 릴대(36')의 기어부(36'a)와 맞물리게 되며, 그로써 포워드 상태에 있어서는 F측 릴대(36)가 R측 릴대(36')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따라서, 테이프 카세트(14)가 플레이어(1)에 장착되어 있는 상태로부터 플레이 모드가 되면 자기 헤드(10)가 자기 테이프(15)에 접촉하는 동시에 자기 테이프(15)는 포워드 상태에 있어서는 F측 캡스턴(35)과 이에 압착한 우측 핀치 롤러(38)에 의해 끼어서 포워드 방향으로 접속 주행되고, 또 T릴(37)에 권취되어가는 상태로 재생 동작이 행해지게 되며, 리버스 상태에 있어서는 R측 캡스턴(35')과, 이에 압착한 좌측 핀치 롤러(38')에 의해 끼어서 리버스 방향으로 정속 주행하고, 또 S릴(37')에 권취되어가는 상태로 재생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또,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의 테이프 주행 방향은 후술하는 테이프 주행방향 절환 기구에 의해 절환된다.
또, FF 레버(16) 혹은 REW 레버(17)가 압입될 때는 이들 레버(16,17)가 샤시부(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고속 주행 기어(58,58')를 릴대(36,36')의 기어부(36a,36'a)에 직접 또는 간접으로 맞물리는 위치로 이동하도록 되어 있으며, 그로써 릴대(36,36')가 고속으로 테이프 권취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59)는 테이프 주행방향 절환 기구, 즉 플레이 모드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자기 테이프(15)의 주행방향을 포워드 방향으로부터 리버스 방향으로 혹은 리버스 방향으로부터 포워드 방향으로 절환하기 위한 기구이며, 상기한 방향 슬라이더(29)와 상기 방향 슬라이더(29)를 이동하기 위한 방향 기어와, 상기 방향기어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 기어와, 상기 방향 기어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트리거 레버와, 상기 트리거 레버를 이동하기 위한 방향 버튼 및 전달 기어 등으로 이루어진다.
(60)은 구동 기어이다. 상기 구동 기어(60)는 평 기어형을 이루는 기어부(61)와 상기 기어부(61) 상면에 형성된 제1캠(62) 및 제2캠(63)과 기어부(61) 하면에 형성된 소기어(64)가 일체로 형성되고, 제1캠(62)은 기어부(61)의 중심부로부터 상기 중심부와 외주연 사이의 대략 중간 위치까지의 부분에 대략 타원형을 이루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또 제2캠(63)은 기어부(61)의 외주연과 제1캠(62)의 기단부 사이의 대략 중앙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그 외측을 향한 캠면이 우회전 방향으로 감에 따라 구동 기어(60)의 중심에 근접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구동 기어(60)는 샤시부(3)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 돌출 설치된 지지축(55)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그 기어부(61)가 우측 캡스턴 풀리(50)에 형성된 기어부(52)와 맞물려 있다.
따라서 구동 기어(60)는 모터(48)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은 항상 회전하고 있게 되며, 그 회전방향은 제3도에 있어서의 시계방향이다.
(66)은 방향 기어이며, 상기 방향 기어(66)는 대략 평 기어형을 이루는 기어부(67)와 상기 기어부(67) 상면 중심부에 형성된 높이가 낮은 원기둥형을 이루는 보스부(68)와, 일단부가 상기 보스부(68)의 중심부 상면에 연속하고, 또 상기 구동 기어(60)에 형성된 제1캠(62)과 대략 같은 형상을 갖는 캠(69)이 일체로 형성되어 이루어지며, 보스부(68)의 외주면중 캠(69)의 선단부와 대략 반대측 위치에 가압 돌기(70)가 형성되는 동시에 기어부(67)의 치부중 캠(69)의 길이방향에 대략 따르는 방향으로 서로 반대측에 위치한 부분에 결치부(이기없는 부분)(67a,67b)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어부(67)의 하면의 이뿌리원에 근접한 부분중 기어부(67) 중심을 끼어 반대측 위치에 스톱퍼 돌기부(71,71')가 형성되고, 또 상기 스톱퍼 돌기부(71,71')에 중심측으로부터 약간 이간되어 대향하는 위치에 피 이송 돌기부(72,7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방향 기어(66)는 샤시부(3)로부터 하방으로 향해 돌출 설치된 지지축(7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캠(69)이 방항 슬라이더(29)에 형성된 상기 캠 배치 구명(31)내에 약간 여유를 갖고 위치되고, 또 결치부(67a,67b) 이외의 부분이 구동 기어(60)의 소기어(64)와 대향하는 방향이 된 때 기어부(67)가 상기 소기어(64)와 맞물리는 상태에서 설치되어 있다.
(74)는 트리거 레버이며, 상기 트리거 레버(74)는 전후방향으로 긴 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상기 지지축(73)의 하단부 및 메카샤시(2)의 전방벽(6)에 전후방향으로 일정 범위내에서 이동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인장 스프링(75)에 의해 항상 전방에의 이동력을 받는 상태로 되어 있으며, 그 상면, 즉 방향 기어(66)에 하방으로부터 대향하는 면에 제어 돌편(76)이 형성되고, 또 그 후단부는 후방으로부터 보아 대략 ㄷ자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ㄷ자형 부분의 상편(77)이 플레이 모드로부터 테이프 엔드가 된 때 후술하는 요동레버에 의해 가압되는 피 가압부로 되어 있다.
그리고, 배향 기어(66)가 제3도에 도시한 위치, 즉 캠(69)의 선단부가 기어부(67) 중심부 좌측 약간 경사진 전방으로 위치하는 방향이 되는 위치(이하 "제1위치"라 한다)에 와 있을 때는 기어부(67)의 두 결치부(67a,67b)의 한쪽(67a)이 구동 기어(60)의 소기어(64)와 대향되고, 또 방향 기어(66)가 제10도(이 도면은 하방에서 보고 있다)에 도시한 위치, 즉 캠(69)의 선단부가 기어(67)의 중심부의 우측 약간 경사진 후방으로 위치하는 방향이 되는 위치(이하 "제2위치"라 한다)에 와 있을 때는 기어부(67)의 하방의 결치부(67b)가 구동기어(60)의 소기어(64)와 대향되고 방향 기어(66)는 이들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온 때 주로 그 스톱퍼 돌기부(71,71') 한쪽이 트리거 레버(74)의 제어 돌편(76)에 좌측으로부터 맞닿음으로써 이들 제1위치 또는 제2위치에 유지되게 된다.
이리하여 방향 기어(66)가 제1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방향 슬라이더(29)가 그 아이들러 가압스프링(33)의 우측 아암(33a)이 아이들러 레버(42)의 피 가압핀(45)을 좌측으로 가압함으로써 생기는 우측에의 이동력과 그 캠 배치 구멍(31)의 좌측 모서리가 방향 기어(66)의 캠(69)의 선단면에 맞닿음으로써 포워드 위치에 유지되고, 또 방향 기어(66)가 제2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방향 슬라이더(29)가 그 아이들러 가압 스프링(33)의 좌측 아암(33b)이 아이들러 레버(42)의 피 가압핀(45)을 우측으로 가압함으로써 발생하고 있는 좌측에의 이동력과 그 캠 배치 구멍(31)의 우측 모서리가 방향 기어(66)의 캠(69) 선단면에 맞닿음으로써 리버스 위치로 유지되게 된다.
(78)은 테이프 주행 방향을 임의로 절환할 때 조작하는 방향 버튼이다. 상기 방향 버튼(78)은 그 가압편(78a)이 상기 트리거 레버(74)의 전방단 모서리에 전방으로부터 근접하여 대향한 상태에서 메카샤시(2)의 전방벽(6)에 일정 범위내에 있어서 전후방향으로 이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동시에, 상기 가압편(78a)으로부터 후방으로 향해 돌출 설치된 해제핀(79)의 선단부가 전방벽(6)에 형성된 구멍(80)을 통해 상기 전방벽(6)의 후방에 위치되어 있다.
이리하여 이 방향 버튼(78)이 압입되면 그 가압편(78a)이 트리거 레버(74)를 가압하게 되므로, 그에 따라 트리거 레버(74)가 후방으로 이동되게 된다.
(8l)은 요동 레버이다.
상기 요동 레버(8l)은 대략 L자형의 판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전단부에 하방으로 돌출한 걸림 돌기부(82)와 맞닿음 돌기부(83)가 형성되어 있으며, 또 그 좌단부가 상기 제2전달 기어(56)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한 도시하지 않은 축부에 상기 제2전달 기어(56)의 회전력을 마찰 접촉 수단을 거쳐 전달되는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또 상기 맞닿음 돌기부(83)가 상기 구동 기어(60)의 제l캠(62)의 외주면에 대략 후방으로부터 대향되어 있다.
그래서 모터(48)가 회전하면 제2전달 기어(56)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요동 레버(81)에 제3도에 있어서의 시계 방향에의 회전력이 가해지게 되지만, 요동 레버(81)의 맞닿음 돌기부(83)는 구동 기어(60)의 제1캠(62)에 대향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맞닿음 돌기부(83)가 제1캠(62)에 맞닿음으로써 그이상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저지하게 되며, 따라서 유동 레버(81)는 제2전달 기어(56)에 대해 슬립하는 동시에 그 맞닿음 돌기부(83)가 구동 기어(60)의 제1캠(62)의 외주면에 압착되게 된다.
또, 이와 동시에, 모터(48)가 회전하면 구동 기어(60)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므로 제1캠(62) 및 제2캠(63)이 시계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며, 그리고 제1캠(62)의 외주면은 그 기단부로부터 선단부로 감에 따라서 구동 기어(60)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길게 되어 있기 때문에, 제1캠(62)의 외주면의 요동 레버(81)의 맞닿음 돌출부(83)와 대향하는 위치의 구동 기어(60)의 중심으로부터의 거리가 주기적으로 변화하게 된다.
따라서, 이 제1캠(62)의 외주면에 압착되어 있는 맞닿음 돌기부(83)는 제1캠(62)의 상기 거리 변화에 따라서 대략 전후방향으로 주기적으로 이동되게 되며, 이에 의해 요동 레버(81)가 대략 전후방향으로 일정한 스트로크로 주기적으로 이동, 즉 요동되게 되며, 이 요동은 제2전달 기어(56) 및 구동 기어(60)가 회전하고 있는 한 쉬지 않고 행해지게 된다.
그리고 플레이 모드로부터 테이프 엔드가 된 때, 즉 T랄(37)에 의한 자기 테이프(l5)의 권취가 완료된 때, 혹은 S릴(37')에 의한 자기 테이프(15)의 권취가 완료된 때, 이들 테이프 릴(37,37')이 장착되어 있는 F측 릴대(36) 또는 R측 릴대(36')의 회전이 지지되므로 이 부하에 의해 이들 릴대(36,36')에 아이들러 기어(41)나 중간 기어(47)를 거쳐 맞물려 있는 제2전달 기어(56)의 회전이 저지되게 되며, 이로써 그때까지 요동레버(81)에 가해지고 있던 시계 방향에의 회전력이 없어지므로 요동 레버(81)의 맞닿음 돌기부(83)의 구동기어(60)의 제1캠(62)에 대한 압착력이 없어지게 된다.
따라서, 이 상태가 되면 요동 레버(81)의 맞닿음 돌기부(83)는 제1캠(62)에 의해 가장 후방으로 이동된 곳에서 움직임이 정지하게 된다.
그리고, 이 상태로부터 구동 기어(60)가 더욱 회전하면 제2캠(63)의 끝이 뾰족한 부분이 요동 레버(81)의 맞닿음 돌기부(83)에 대략 전방측으로부터 접촉하고, 이어서 제2캠(63)의 외주면이 상기 맞닿음 돌기부(83)를 대략 후방을 향해 밀게 된다.
이로써 요동 레버(81)가 제9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더욱 후방으로 근접된 위치, 즉 상기 요동 스트로크범위를 넘은 위치(이하, "테이프 엔드"라 한다)로 이동되게 된다.
이리하여 요동 레버(81)가 이와 같이 하여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면 그 걸림 돌기부(82)가 상기 트리거 레버(74)의 피 가압부(77)를 대략 후향 경사 우측으로 가압하고, 이로써 트리거 레버(74)를 후방으로 이동시키게 된다.
이리하여 테이프 주행방향의 절환은 방향 버튼(78)이 압입되고, 혹은 요동 레버(8l)가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되어 트리거 레버(74)가 후방으로 이동됨으로써 개시된다.
즉, 트리거 레버(74)가 후방으로 이동되면 트리거 레버(74)의 제어 돌기(76)가 방향 기어(66)의 스톱퍼 돌기부(71)(또는 71')의 이동을 저지하지 않는 위치로 빠지는 동시에 피 이송 돌기부(72)(또는 72')의 경사면을 가압하게 되며, 이로써 방향 기어(66)가 약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기어부(67)가 회전하고 있는 구동 기어(60)의 소기어(64)와 맞물리므로 방향 기어(66)가 상기 소기어(64)에 의해 제3도에 있어서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그리고, 방향 기어(66)가 대략 반회전한 곳에서 기어부(67)의 결치부(67b)(또는 67a)가 구동 기어(60)의 소기어(64)와 대향되는 동시에 스톱퍼 돌기부(71')(또는 71)가 트리거 레버(74)의 제어 돌편(76)에 맞닿아 그 이상의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즉, 방향 기어(66)는 대략 반회전한 곳에서 그 회전이 저지되게 된다.
이리하여, 방향 기어(66)가 제l위치에 와 있는 상태, 즉 자기 테이프(15)가 포워드 방향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의 플레이 모드로부터 방향 버튼(78)이 가압되고 혹은 테이프 엔드가 된 때는 방향 기어(66)가 제2위치로 이동되므로 방향 슬라이더(29)가 포워드 위치로부터 리버스 위치로 이동되어 테이프 주행 방향이 리버스 방향으로 절환되게 되며, 또 방향 기어(66)가 제2위치에 와 있는 상태, 즉 자기 테이프(l5)가 리버스 방향으로 주행하는 상태에서의 플레이 모드로부터 방향 버튼(78)이 가압되고 혹은 테이프 엔드가 된 때는 방향 기어(66)가 제l위치로 이동되므로 방향 슬라이더(29)가 리버스 위치로부터 포워드 위치로 이동되어 테이프 주행 방향이 포워드 방향으로 절환되게 된다.
또,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의 테이프 주행 방향의 자동 절환은 요동 레버(81)가 테이프 엔드 위치로 이동됨으로써 상기한 바와 같이 행해지지만 이 동작은 후술하는 엔드 모드 선택 기구에 의해 엔드레스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는 테이프 엔드가 될때마다 행해지고, 따라서 재생 동작은 포워드 플레이 모드와 리버스 플레이 모드로 교대로 절환되어 무한히 계속되게 된다.
또, 후술하는 엔드 모드 선택 기구에 의해 셔트 오프 모드가 선택되어 있는 경우는 리버스 플레이 모드로부터 테이프 엔드로 된 곳에서 오토 셔트 오프, 즉 플레이 모드의 자동 해제 동작이 행해지게 된다.
(84)는 엔드 모드 선택 기구이며 상기 엔드 모드 선택 기구(84)는 플레이어(l)에 의한 재생 동작이 엔드레스로 행해지는 상태로 하거나 리버스 플레이 모드로부터 테이프 엔드로 된 때 자동적으로 종료하는 상태로 하거나 그 어느것을 선택적으로 설정하기 위한 기구이며, 각각 다른 기능을 갖는 3개의 부재가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된 단일 부품 구조를 갖고 있다.
(85)는 엔드 모드 선택 기구(84)의 선택 손잡이이다.
상기 선택 손잡이(85)는 후방으로부터 보아 좌우방향으로 긴 판형으로 형성된 기부편(86)과 상기 기부편(86)에 메카샤시(2)의 전방벽(6)의 판 두께보다 약간 큰 간극을 두어 전방으로부터 대략 평행으로 대향하고 또 비교적 얇은 판형으로 형성되어 약간 굽힘 탄성을 갖는 탄성편(87)과 상기 탄성편(87)의 전방면의 대략 중앙부로부터 전방으로 돌출한 손잡이부(88)와 상기 기부편(86)의 하면 대략 중앙부와 탄성편(87)의 하측모서리의 대략 중앙부 사이를 연결한 연결편(89)로 이루어지며, 탄성편(87)의 후면 좌우 양단부에 높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대략 반원기둥형을 이루는 돌기(90,90')가 형성되어 있다.
(91)은 엔드 모드 선택 기구(84)의 엔드 모드 절환 레버이다.
상기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는 그 좌단부를 제외한 대부분이 좌단으로 감에 따라 그 폭이 좁아지는 대략 쐐기형을 이루는 기부편(92)과 상기 기부편(92)의 우단으로부터 후방을 향해 뾰족한 주둥이형으로 형성된 피 가압편(93)과 기부편(92)의 우단으로부터 약간 전방으로 이간하여 위치하고, 또 높이 방향을 향해 연장되는 지점축(94)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지점축(94)의 하단 부근 부분이 기부편(92)의 후면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한 연속부(95)에 의해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기부편(92)의 좌단부 후방으로 돌출한 걸림 돌기부(96)가 형성되고, 또, 기부편(92)의 전방면 우단에는 전단으로 감에 따라서 차제에 좌측으로 변위하는 피 가압 경사면(92a)이 형성되어 있다.
(97)은 엔드 모드 선택 기구(84)의 탄성편이다.
상기 탄성편(97)은 상방에서 보아 좌우방향으로 약간 간격을 두어 위치한 두개의 역 U자형인 서로 대향하는 두개의 변의 선단부 사이를 전방으로 돌출한 원호형으로 연속한 바와 같은 형상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각 원호형으로 굴곡된 위치에 그 폭방향에 따라 연장되는 작은 보강 돌기(97a,97a,97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탄성편(97)은 그 우단이 상기 선택 손잡이(85)의 기부편(86)의 좌단에 연속하고, 그 좌단이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의 피 가압편(93)의 우측면에 연속하고 있으며, 이에 의해 선택 손잡이(85)와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가 탄성편(97)을 거쳐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의 지점축(94)의 위치가 고정된 상태에서 선택 손잡이(85)가 좌우방향으로 이동하면 탄성편(97)이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의 피 가압편(93)을 좌우방향으로 가압 혹은 인장하면서 이동되므로, 엔드 모드 절환 레버(9l)가 그 지점축(94)을 회전 중심으로 하여 대략 좌우방향으로 회전되는 동시에 그 회전된 위치에 탄성편(97)에 의해 탄성적으로, 즉 그 회전방향으로의 힘이 가해진 때는 상기 힘을 작용하는 방향으로 이동되고 또 상기 힘이 가해지지 않게 된 때는 상기 이동에 의해 생긴 복귀력에 의해 원래 위치로 복귀하는 상태로 유지되게 된다.
(98)은 메카샤시(2)의 전방벽(6)의 우단 근처 부분에 형성된 부착 구멍이며, 상기 부착 구멍(98)은 선택손잡이(85)의 연속편(89)의 판 두께보다 약간 큰 폭을 가지며, 또 연속편(89)의 폭의 두배 남짓한 길이를 갖는 좌우방향으로 긴 구멍형으로 형성되는 동시에 그 우측 대략 반정도가 전방벽(6) 하단까지 달하고 있다.
또, 전방벽(6)의 전방면중 상기 부착 구멍(98)의 우단으로부터 우측으로 연속한 부분에 서로 좌우방향으로 약간 간극을 두어 위치한 두개의 결합 요부(99,99')가 형성되고, 또 샤시부(3)의 하면의 전방벽(6)에 따른 부분중 방향 기어(66)가 지지된 지지축(73)의 전방 위치에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의 지점축(94)의 연속부(95)로부터 상방으로 돌출한 부분이 대략 완전히 수납되는 깊이를 갖는 환형 구멍 모양의 요부(100)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택 손잡이(85)는 그 연결편(89)이 상기 부착 구멍(98)에 좌우방향으로 미끄럼 가능하게 결합되는 동시에 그 기부편(86)과 탄성편(87)이 전방벽(6)을 전후 양측으로부터 가볍게 탄성 접촉한 상태에서 위치되고, 또 탄성편(87)에 형성된 두개의 돌기(90,90')의 우측것(90)(이하 "스톱퍼"라 한다)이 전방벽(6)의 전방면에 형성된 상기 두개의 결합 요부(99,99')의 어느 한쪽에 결합된 상태에서 전방벽(6)에 부착되어 있다.
따라서, 선택 손잡이(85)는 제3도에 도시한 위치, 즉 스톱퍼(90)가 두 결합 요부(99,99')중 우측것(99)에 결합한 위치(이하, "셔트 오프 모드 선택 위치"라 한다)와 제1도에 도시한 위치, 즉 스톱퍼(90)가 좌측 결합요부(99')에 결합한 위치(이하 "엔드레스 모드 선택 위치"라 함) 사이를 이동할 수 있고, 또 이들 위치에 있어서 클릭스톱이 걸리는 상태에서 전방벽(6)에 지지되게 된다.
또,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는 그 지점축(94)의 연속부(95)로부터 상방 부분이 샤시부(3)에 형성된 상기 환형 구멍 형상의 요부(100)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됨으로써 샤시부(3)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으며, 따라서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는 그 피 가압부(93)가 방향 기어(66)의 중심부에 전방으로부터 대향하는 상태에서 위치하게 된다.
또,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는 방향 기어(66)의 보스부(68)와 대략 같은 높이에 위치하고 있으며, 또 그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위치는 탄성편(97)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
그리고,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는 선택 손잡이(85)가 상기 엔드레스 모드 선택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기부편(92)의 전단면이 메카샤시 전방벽(6)의 후면에 가볍게 접촉하는 동시에 피 가압편(93)의 선단이 방향 기어(66)의 보스부(68) 외주면에 전방으로부터 근접하여 위치하고, 또 상기 보스부(68)에 형성된 상기 가압 돌기(70)의 회전 궤적에 의해 약간 외측으로 위치하는 방향이 되는 위치(이하, "엔드레스 모드 형성 위치"라 한다)로 유지되고, 또, 선택 손잡이(85)가 상기 셔트 오프 모드 선택 위치로 이동하면 상기 엔드레스 모드 형성 위치로부터 시계방향으로 약간 이동한 위치, 즉 제1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피 가압편(93)의 선단이 방향 기어(66)의 가압 돌기(70)의 회전 궤적 내측에 든 위치(이하 "셔트 오프 모드 형성 위치"라 함)로 이동되게 된다.
또 (101)은 상기 로크 슬라이더(20)에 형성된 피 가압편이며, 상기 피 가압편(101)은 로크 슬라이더(20)의 전방측 모서리와 우측 모서리가 교차되는 귀퉁이로부터 전방을 향해 돌출되는 동시에 엔드 모드 절환레버(91)의 걸림 돌기부(96)에 우향 경사 후방으로부터 약간 이간되어 대향하도록 위치되어 있으며 엔드 모드 절환 레버(9l)가 셔트 오프 모드 형성 위치에 오면 제1도에 실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그 걸림 돌기부(96)가 로크 슬라이더(20)의 상기 피 가압편(101)에 비교적 근접하여 위치하게 된다.
이리하여 오토 셔트 오프는 선택 손잡이(85)가 셔트 오프 모드 선택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서 리버스 플레이 모드로부터 테이프 엔드가 된 때 행해지게 된다.
즉, 상기한 바와 같이, 선택 손잡이(85)가 셔트 오프 모드 선택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의 피 가압편(93)의 선단부가 방향 기어(66)의 가압 돌기(70)의 회전 궤적 내측에 위치되어 있으며, 또 리버스 플레이 모드에 있어서는 방향 기어(66)가 제2위치에 와 있기 때문에 그 가압 돌기(70)가 제1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엔드 모드 절환 레버(9l)의 피 가압편(93)의 선단부에 좌측으로 약간 경사진 후방측으로부터 근접하여 대향한 위치에 와 있다.
그리고, 테이프 엔드가 되면 상기한 바와 같이 방향 기어(6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므로 상기한 상태로 되어 있을 때는 가압 돌기(70)가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의 피 가압편(93)의 선단부를 대략 우측으로 향해 가압하면서 이동하게 된다.
그러면 제1도에 2점 쇄선으로 도시한 바와 같이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가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되며 이때, 그 기부편(92)의 좌단부에 설치된 걸림 돌기부(96)가 로크 슬라이더(20)의 피 가압편(101)을 약간 우향 경사진 후방을 향해 가압되게 된다.
이에 의해 로크 슬라이더(20)가 우측으로 이동되므로, 플레이 레버(8)의 피 로크편(12)과 로크 슬라이더(20)의 걸림 구멍(25)의 걸림 모서리(25b)와의 결합이 해제되게 되며, 따라서 플레이 위치에 와 있던 플레이 레버(8)가 비 플레이 위치로 복귀되고, 스톱 모드가 된다.
또, 엔드레스 재생이 행해지는 상태는 선택 손잡이(85)가 엔드레스 모드 선택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 유지된다.
즉, 선택 손잡이(85)가 엔드레스 모드 선택 위치에 와 있는 상태에 있어서는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의 피 가압편(93)의 선단부가 방향 기어(66)의 가압 돌기(70)의 회전 궤적 외측이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방향기어(66)가 회전할 때, 즉 테이프 주행방향의 절환이 행해질 때 가압 돌기(70)에 의해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를 회전시키는 동작이 행해지지 않는다.
따라서 이 경우는 플레이 모드로부터 테이프 엔드가 될때마다 테이프 주행방향의 절환이 행해져서 재생동작이 계속되어 가게 된다.
또, 선택 손잡이(85)가 셔트 오프 모드 선택 위치에 와 있는 상태, 즉 셔트 오프 모드가 형성되어 있는 상태에 있어서, 테이프 주행방향의 절환이 상기 방향 버튼(78)을 압입함으로써 행해지는 경우는 형성되어 있는 셔트 오프 모드가 일시적으로 해제되어 오토 셔트 오프가 행해지지 않게 된다.
즉, 제1도를 보면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가 셔트 오프 모드 형성 위치로 오면 그 기부편(92)의 우측면의 상기 피 가압 경사면(92a)이 방향 버튼(78)의 해제핀(79) 선단에 대략 후방으로부터 근접하여 위치하게 되며, 따라서, 이 상태에서 방향 버튼(78)이 압입되면 트리거 레버(74)가 후방으로 이동되어 방향 기어(66)가 트리거 레버(74) 후방에의 이동이 개시되기 직전 혹은 그와 거의 동시에 방향 버튼(78)의 해제핀(79)이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의 피 가압 경사면(92a)을 대략 후방 경사 좌측으로 가압하여 엔드 모드 절환 레버(91)를 엔드레스 모드 위치로 이동시키게 되며, 이 상태에 있어서 방향 기어 (66)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게 된다.
이리하여 이 경우는 리버스 플레이 모드라도 방향 기어(66)의 가압 돌기(70)가 엔드 모드 절환 레버의 피 가압편(93)을 가압하지 않고 이동하므로 상기한 오토 셔트 오프가 행해지는 일이 없고, 따라서 플레이모드가 포워드 플레이 모드로 절환되게 된다.
이상에 기재한 바로부터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동작 상태 선택 기구는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제1동작 상태를 형성하는 제1위치와 제2동작 상태를 형성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또 상기 두 위치에 있어서 유지될 것을 필요로 하는 동작 상태 절환 레버와, 지지부재에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동작 상태 절환 레버에 의해 형성되는 제1동작 상태를 선택하는 제1위치와 제2동작상태를 선택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선택 손잡이와 상기 선택 손잡이와 상기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연결하는 동시에 선택 손잡이가 제1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제1위치로 이동시키고 또 제1위치로 유지하고 선택 손잡이가 제2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고 또 제2위치로 유지하는 탄성부를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각각 다른 기능 및 움직임을 갖는 본래 별개의 부재인 동작 상태 절환 레버와 선택 손잡이 및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유지하는 수단을, 이들 동작 상태 절환 레버나 선택 손잡이 등이 갖는 기능 및 움직임을 전혀 손상시키지 않고 단일 부품으로서 구성할 수 있다.
이리하여, 본 발명 동작 상태 선택 기구에 따르면 그 취급이나 부품 관리를 간단히 행할 수 있고, 또 지지부재에의 부착 작업이 극히 소수의 작업으로 가능하게 되며, 게다가 l회의 금형 성형에 의해 필요한 부재 전부의 성형이 완료하므로 제조 작업을 극히 간단히 행할 수 있는 동시에 그 품질을 일정하게 유지할수 있다.
또, 상기한 실시예에 있어서는 본 발명을 테이프 플레이어의 엔드 모드 선택 기구에 적용한 것을 도시하였으나, 본 발명 동작 상태 선택 기구는 이와 같은 적용예에 한정되지 않고,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제1동작 상태를 형성하는 제1위치와 제2동작 상태를 형성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또 상기 두 위치에 있어서 유지될 것을 필요로 하는 동작 상태 절환 레버와, 지지부재에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동작 상태를 선택하는 제1위치와 제2동작 상태를 선택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선택 손잡이를 갖는 각종 동작 상태 선택 기구에 적용할 수 있다.

Claims (1)

  1. 지지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제l동작 상태를 형성하는 제1위치와 제2동작 상태를 형성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고 또 상기 두 위치에 있어서 유지될 것을 필요로 하는 동작 상태 절환 레버와, 지지부재에 미끄럼 가능하게 지지되는 동시에 상기 동작 상태 절환 레버에 의해 형성되는 제1동작 상태를 선택하는 제1위치와 제2동작 상태를 선택하는 제2위치 사이를 이동하는 선택 손잡이와, 상기 선택 손잡이와 상기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연결하는 동시에 선택 손잡이가 제1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동작 상태 절환 레버를 제l위치로 이동시키고 또 상기 제1위치에 유지하고 선택 손잡이가 제2위치로 이동됨으로써 동작상태 절환 레버를 제2위치로 이동시키고 또 상기 제2위치에 유지하는 탄성부를 합성수지에 의해 일체로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동작 상태 선택 기구.
KR1019880003213A 1987-03-25 1988-03-25 동작 상태 선택 기구 KR97000283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87044086U JPH0734500Y2 (ja) 1987-03-25 1987-03-25 テーププレーヤーの動作状態選択機構
JP44086 1987-03-25
JP?44086 1987-03-25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11761A KR880011761A (ko) 1988-10-31
KR970002833B1 true KR970002833B1 (ko) 1997-03-12

Family

ID=126818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80003213A KR970002833B1 (ko) 1987-03-25 1988-03-25 동작 상태 선택 기구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JP (1) JPH0734500Y2 (ko)
KR (1) KR970002833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942Y2 (ko) * 1979-11-29 1988-03-09
JPS6111956A (ja) * 1984-06-27 1986-01-20 Sanyo Electric Co Ltd テ−プレコ−ダ−のリ−ル軸駆動装置
JPH0337051Y2 (ko) * 1985-09-03 1991-08-06
JPH0516658Y2 (ko) * 1985-09-03 1993-05-06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S63153328U (ko) 1988-10-07
JPH0734500Y2 (ja) 1995-08-02
KR880011761A (ko) 1988-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565203B2 (ja) リバ−ス式記録再生装置のモ−ド切換機構
KR900007310Y1 (ko) 오토리버스식 테이프 레코더
KR970002833B1 (ko) 동작 상태 선택 기구
CA1321990C (en) Ff/rew changing mechanism for tap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KR940006388B1 (ko) 오토리버스식 기록 재생장치
EP0766242B1 (en) Tape recorder
EP0467371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having torque generator generating the most appropriate torque and rotation detecting function
KR0127484B1 (ko) 누름 단추 기구
KR0176532B1 (ko) 테이프 레코더의 릴 구동장치
US4656321A (en) Three position switch and switching device for a magnetic-tape-cassette apparatus
JP3138269B2 (ja) テーププレーヤのリール台駆動機構
JP2595699B2 (ja) カセットテープデッキ
JP2952927B2 (ja) テーププレーヤのオートリバース機構
KR940002832Y1 (ko) 테이프 플레이어용 테이프 엔드 검출 기구
JP2506587Y2 (ja) ピンチロ―ラ圧着機構
KR940007619B1 (ko) 오토 리버스형 카세트 레코더의 핀치 암 구동장치
KR0121855Y1 (ko) 테이프 플레이어
KR940002833Y1 (ko) 상태 검출 기구
JP3008487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2571718B2 (ja) オートリバース式テープレコーダのモード切換装置
JP3089483B2 (ja) テーププレーヤ
JPH0450584Y2 (ko)
JP2725288B2 (ja) テープレコーダ
JP2746579B2 (ja) テープレコーダ
JP2621476B2 (ja) カセットテープデッキ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630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