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8631B1 - 기록재생장치 - Google Patents

기록재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8631B1
KR100298631B1 KR1019940015899A KR19940015899A KR100298631B1 KR 100298631 B1 KR100298631 B1 KR 100298631B1 KR 1019940015899 A KR1019940015899 A KR 1019940015899A KR 19940015899 A KR19940015899 A KR 19940015899A KR 100298631 B1 KR100298631 B1 KR 1002986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el
tape
gear
supported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400158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04176A (ko
Inventor
스즈키가즈요시
유에타케아키히로
마미야도시오
아키모토가추지
다카세마사키
Original Assignee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179493A external-priority patent/JP3211497B2/ja
Priority claimed from JP517560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729247A/ja
Application filed by 이데이 노부유끼, 소니 가부시끼 가이샤 filed Critical 이데이 노부유끼
Publication of KR9500041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41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86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8631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26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 G11B15/28Driving record carriers by members acting directly or indirectly thereon through rollers driving by frictional contact with the record carrier, e.g. capstan; Multiple arrangements of capstans or drums coupled to means for controlling the speed of the drive; Multiple capstan systems alternately engageable with record carrier to provide reversal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18Driving; Starting; Stopping; Arrangements for control or regulation thereof
    • G11B15/44Speed-changing arrangements; Reversing arrangements; Drive transfer means therefor
    • G11B15/442Control thereof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5/00Driving, starting or stopping record carriers of filamentary or web form; Driving both such record carriers and heads; Guiding such record carriers or containers therefor; Control thereof; Control of operating function
    • G11B15/60Guiding record carrier
    • G11B15/6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 G11B15/665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 G11B15/6653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 G11B15/6656Threading; Loading; Automatic self-loading by extracting loop of record carrier from container to pull the record carrier against drum using two-sided extraction, i.e. "M-type"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5/00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 G11B25/0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 G11B25/066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record carrier employed but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e.g. dictating apparatus; Combinations of such apparatus using web-form record carriers, e.g. tape adapted for use with containers of different sizes or configurations; adaptor devices therefor

Landscapes

  • Gear Transmission (AREA)
  • Automatic Tape Cassette Chang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자기테이프의 양단이 각 별개로 멈춰져서 바깥에 감긴 2개의 테이프릴간의 간격이 각각 다른 2개의 크기가 다른 테이프카세트가 장착 가능하고, 상기 2개의 테이프릴에 각 별개로 결합하는 2개의 릴대를 2개의 위치에서 이동하도록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릴대전용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캡스턴모터등의 기존의 모터로 릴대를 회전시키는 간접구동을 가능하게 하고, 소형화, 경량화, 저코스트화를 도모하는데 있다.
그 구성은 릴대(16, 16')가 각각 2개의 위치에 이동 할 수 있도록 메카샤시(17)에 지지된 지지점(16a, 16'a)의 주위를 회동할 수 있도록 되어 있고, 수진아암(38)에 지지되는 동시에 캡스턴모터(29)로 구동하도록된 구동기어(39)를 상기 2개의 릴대에 설치된 피구동기어(19, 19')중의 하나에 맞물리도록 하고, 상기 구동기어에 의해 릴대를 회전시키도록한 구성이다 .

Description

기록재생장치
제1도는 본 발명 기록재생장치의 실시의 일예를 나타내는 것으로 큰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큰테이프 카세트를 수평단면으로 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2도는 작은테이프 카세트를 장착한 상태에서 작은테이프 카세트를 수평단면으로 하여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3도는 큰테이프 카세트 사용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4도는 작은테이프 카세트 사용시의 요부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제5도는 수진아암 에 지지된 구동기어와 릴대아암에 지지된 피구동기어의 위치 관계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설명>
1 : 큰테이프 카세트(테이프 카세트) 5 : 자기테이프(기록매체 테이프)
6 : 테이프릴(공급측 테이프릴) 6 : 테이프릴(감는측 테이프릴)
8 : 작은테이프 카세트(테이프 카세트) 12 : 자기테이프(기록매체 테이프)
12 : 자기테이프(기록매체 테이프) 13 : 테이프릴(공급측 테이프릴)
13' : 테이프릴(감는측 테이프릴)
15 :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기록재생장치)
16,16' : 릴대아암(회동아암) 17 : 메카샤시(메카데크부)
18,18' : 릴대 19,19' : 피구동기어
29 : 캡스턴모터 38 : 수진아암(요동아암)
39 : 구동기어
본 발명은 신규한 기록재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세히는 기록매체 테이프의 양단이 각 별개로 멈춰져서 바깥에 감긴 공급측 테이프릴과 감는측 테이프릴과의 사이의 간격이 각각 다른 2개의 크기가 다른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 가능하고, 상기 2개의 테이프릴에 각 별개로 결합하는 2개의 릴대를 2개의 위치에서 이동하도록한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 릴대전용의 모터를 사용하지 않고, 캡스턴모터등의 기존의 모터로 릴대를 회전시키는 간접구동을 가능하게하고 소형화, 경량화, 저코스트화를 도모할 수 있는 신규한 기록재생장치를 제공코저하는 것이다.
기록매체 테이프의 양단이 각 별개로 멈춰져서 바깥에 감긴 공급측 테이프릴과 감는측 테이프릴과의 사이의 간격이 각각 다른 2개의 크기가 다른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가능하고, 테이프릴에 결합하는 릴대를 2개의 위치에서 이동하도록한 기록재생 장치가 있다.
릴대를 2개의 위치에서 이동시키기 위해 각 릴대에 전용모터를 갖추고 있다.
그런데 종래의 기록재생장치와 같이 각 릴대에 전용모터를 갖춘 것으로는 릴대를 지지한 부재의 크기나 중량이 증대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그 기구가 복잡하게 된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위해 기록매체 테이프의 양단이 각 별개로 멈춰져서 바깥에 감긴 공급측 테이프릴과 감는측 테이프릴과의 사이의 간격이 각각 다른 2개의 크기가 다른 테이프 카세트가 장착가능하고, 상기 2개의 테이프릴에 각 별개로 결합하는 2개의 릴대를 2개의 위치에서 이동하도록한 기록재생장치이며, 릴대를 구동하는 구동기어는 메카테크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요동아암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구동기어는 각 릴대와 동일축상에 설치된 피구동기어중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되어있고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 함으로써 릴대를 회전시키도록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는 릴대가 2개의 위치의 어디에 있어도 릴대에 설치된 피구동기어는 구동기어와 맞물림이 가능한 상태에 있으므로 다른 모터의 구동력을 구동기어에 전달하여 릴대를 구동할 수 있으므로 릴대전용의 모터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적어도 2개의 릴대에 대하여 1개의 릴대용 모터로 충분하게 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에 본 발명 기록재생장치의 상세한 것을 도시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한다.
먼저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에 사용하는 대소 2개의 테이프 카세트에 대하여 그 개요를 설명한다.
(1)은 큰테이프 카세트이고, (2)는 그 카세트 케이스이다.
카세트 케이스(2)는 상편에서 보아 가로길이의 직사각형을 한 편평한 상자형태를 하고 있고, 그 전면의 좌우양단부에 테이프출구(3, 3)가 형성되고, 또 이 테이프출구(3과 3)와의 사이에 전편과 하편에 개구(open)된 마우스부(4)가 형성되어 있다.
카세트 케이스(2)내에는 자기테이프(5)의 양단부를 고정하여 바깥(둘레)에 감은 테이프릴(6, 6')이 회전가능하게 수납되어 있고 이들 테이프릴(6, 6')의 허브(7, 7)에는 그 하단에 형성된 구멍으로서 릴대결합구멍(7a, 7a)이 형성되어 이들 릴대 결합구멍(7a, 7a)은 카세트 케이스(2)의 저면벽에 형성된 도시하지 않은 릴대관통구멍을 통해 외부로 향하고 있다.
그리고 자기테이프(5)의 일부는 상기 테이프출구(3, 3)에서 카세트 케이스(2)외로 도출되고 상기 마우스부(4)의 전(front)면을 따라 위치되고 있다.
또한 기타 카세트 케이스(2)가 전면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카세트 케이스(2)의 전면을 따라 건너질러있는 자기테이프(5)의 전면을 개폐하는 프론트리드 등이 설치되어 있으나 그들에 대해서는 도시 및 설명을 생략한다.
도 2의 (8)은 작은테이프 카세트이며 (9)는 그 카세트 케이스이다.
카세트 케이스(9)는 상편에서 보아 큰테이프 카세트(1)의 카세트 케이스(2)보다는 약간 작은 가로길이의 직사각형을 한 편평한 상자형태를 하고 있고, 테이프출구(10, 10), 마우스부(11)등을 가지며 또 그중에는 자기테이프(12)를 바깥에 감는 테이프릴(13, 13')이 수납되어 있다. 또한 (14, 14)는 테이프릴(13, 13')의 허브이고, (14a, 14a)는 허브(14, 14)의 하단에 개구한 릴대 결합구멍이며, 이 릴대 결합구멍(14a, 14a)은 큰테이프 카세트(1)의 테이프릴(6, 6')의 릴대결합구멍(7a, 7a)과 대략 같은 크기를 하고 있다.
(15)는 비디오 테이프 레코더이며, 상기 대소 2종류의 테이프 카세트(1, 8)를 사용 할 수 있는 소위 호환성형의 것이다.
(16, 16')은 릴대아암이고, 그 기단부느 기본체가 되는 메카샤시(17)의 바로앞쪽가까이의 위치에 좌우로 약간 떨어져서 회동축(16a, 16'a)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릴대아암(16, 16')의 회동단부에는 릴대(18, 18')가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다. (18a, 18'a)는 릴대(18, 18')의 상면에서 돌출설치된 릴결합축이다.
또 릴대(18, 18')의 하단부에는 피구동기어(19, 19')가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피구동기어(19, 19')는 후술하는 텐션기어와 맞물리는 대기어(19a, 19'a)와 구동기어와 맞물리는 소기어(19b, 19'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어서 이룬다.
(20, 20')는 상기 릴대아암(16, 16')의 회동축(16a, 16'a)에 회전자재로 지지된 텐션기어이며, 상기 피구동기어(19, 19')의 (19a, 19'a)와 맞물리고 있다. 그리고 텐션기어(20, 20')는 릴대아암(16, 16')의 회동축(16a, 16'a)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릴대 아암(16, 16')이 회동하여도 릴대아암(16, 16')에 지지되어 있는 피구동기어(19, 19')와의 맞물림이 벗겨지지 않는다.
또, 공급측의 텐션기어(20)에는 그 텐션기어(20)의 하측에 브레이크드럼(20a)이 일체적으로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릴대아암(16, 16')은 제 2도에 나타내는 작은카세트 위치와 제 1도에 나타내는 큰카세트 위치와의 사이로 회동된다. 그리고 작은카세트 위치에 있을때 릴대(18, 18')의 축간거리가 작은테이프 카세트(8)의 테이프릴(13, 13')의 축간거리와 같고, 또 큰카세트 위치에 있을때 릴대(18, 18')의 축간거리가 큰테이프 카세트(1)의 테이프릴(6, 6')의 축간거리와 같다.
(21)은 인출아암이며, 그 일단부가 메카샤시(17)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기타 단부에 인출가이드(22)가 세워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테이프 카세트(1 또는 8)가 장착될때까지의 사이 즉 초기상태에서는 제 1도 및 제 2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에 있고, 자기테이프(5 또는 12)를 카세트 케이스(2 또는 9)에서 인출하여 헤드드럼에 감기는 테이프로딩을 행할때에는 제 2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릴대아암(16, 16')이 작은카세트 위치에 있을때는 동도면에 나타내는 제 1인출위치까지 회동하고 제 1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릴대아암(16, 16')이 큰카세트 위치에 있을때는 동도면에 나타내는 제 2인출위치까지 회동한다.
(23)은 메카샤시(17)의 안쪽의 좌우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부에 설치된 헤드드럼이며 고정드럼과 회전드럼을 가지며 회전드럼에는 도시하지 않은 자기헤드가 지지되어 있다.
(24, 24)는 테이프 로딩블록이며 각각 로딩가이드(25, 25) 및 경사가이드(26, 26)를 가지고 있고, 메카샤시(17)에 형성된 가이드홈(27, 27)에 따라서 이동되고 상기 초기 상태에서는 제 1도 및 제 2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에 있고, 테이프 로딩시에 헤드드럼(22)의 양옆의 약간 안쪽에 위치한 로딩완료위치까지 이동된다.
(28)은 캡스턴이며, 캡스턴모터(29)에 의해 회전되고, 헤드드럼(23)의 오른쪽으로 약간 떨어진 위치에서 메카샤시(17)의 윗쪽으로 돌출하고 있다.
또, 캡스턴모터(29)의 출력축에는 기어(30)가 고정되어 있다.
(31)은 핀치롤러아암이며 그 기단부가 메카샤시(17)의 중앙보다 약간 안쪽의 우측 가까이 위치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그 회동단부에는 핀치롤러(32)가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그리고 핀치롤러아암(31)은 상기 초기상태에서는 제 1도 및 제 2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낸 초기위치에 위치되고, 재생 또는 기록을 행할때는 동도면에 실선으로 나타내는 바와같이 핀치롤러(32)가 자기테이프(5 또는 12)를 거쳐 캡스턴(28)에 압착한 압착위치로 이동된다.
(33)은 텐션레귤레이터아암이며, 그 일단보다 어느정도 타단가까이의 위치가 메카샤시(17)의 중앙보다 약간 안쪽의 좌측가까이의 위치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있다. 그리고 이 텐션레귤레이터아암(33)의 타단부에는 텐션레큘레이터핀(34)이 세워설치되어 있다.
이와같은 텐션레귤레이터아암(33)은 상기 초기상태에서는 제 1도 및 제 2도에 2점쇄선으로 나타내는 초기위치에 있고, 재생이나 기록시의 동작시에는 초기위치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하여 자기테이프(5 또는 12)를 카세트 케이스(2 또는 9)에서 꺼낸다.
텐션레귤레이터아암(33)은 도시하지않은 스프링과 같은 탄발수단에 의해 상편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방향에의 회동력을 가세하고 있고, 동작시에는 자기테이프(5 또는 12)에 내측에서 탄접하게 된다.
(35)는 밴드형의 브레이크밴드이며, 그 일단부에는 메카샤시(17)의 중앙부의 좌단 가까이의 지지부(36)에 지지되고, 타단부는 텐션레귤레이터아암(33)의 일단부의 지지부(37)에 지지된다. 그리고 브레이크 밴드(35)의 중간부분은 공급측의 텐션기어(20)의 브레이크드럼(20a)에 감겨져 있다.
그리고 테이프카세트(1또는 8)가 비디오테이프레코더(15)의 카세트장치 위치에 장착되면, 초기위치에 있는 인출가이드(22), 로딩가이드(25, 25), 경사가이드(26, 26), 핀치롤러(32)및 텐션레귤레이터핀(34)이 테이프카세트(1또는 8)의 마우스부(4또는 11)내에 상대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큰테이프카세트(1)가 장착되었을때는 큰카세트 위치에 있는 릴대(18, 18')의 릴결합축(18a, 18'a)이 테이프릴(6, 6')의 릴대결합구멍(7a, 7a)에 결합되고, 작은테이프카세트(8)가 장착되었을때는 작은카세트 위치에 있는 릴대(18, 18')의 릴결합축(18a, 18'a)이 테이프릴(13, 13')의 릴대 결합구멍(14a, 14a)에 결합된다.
그리고 테이프로딩블록(24, 24)이 로딩완료위치로 이동되고, 인출가이드(22)가 큰 테이프카세트(1)의 경우는 제 1도에 나타내는 제 2위치로, 또 작은테이프카세트(8)의 경우는 제 2도에 나타내는 제 1위치로 이동되고, 이것에 의해 자기테이프(5또는 12)가 소정의 테이프패스를 통과하게 된다. 그리고 재생 또는 기록을 위할때는 핀치 롤러(32)가 자기테이프(5또는 12)를 끼우고 캡스턴(28)에 압착되고, 텐션레귤레이터아암(33)이 초기 위치에서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되어서 텐션레귤레이터핀(34)이 자기테이프(5또는 12)에 내측으로 탄접된다.
그리고 헤드드럼(23)에서 공급측의 자기테이프(5또는 12)의 텐션이 작아지면 텐션레귤레이터아암(33)이 상편에서 보아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일단부의 지지부(37)(브레이크 밴드(35)의 지지부)가 텐션기어(20)에서 멀어지는 쪽으로 이동하므로 브레이크밴드(35)가 텐션기어(20)의 브레이크드럼(20a)을 체결하고, 이것에 의해 자기테이프(5또는 12)의 텐션이 높게된다.
또 헤드드럼(23)에서 공급측의 자기테이프(5또는 12)의 텐션이 커지면 텐션레귤레이터아암(33)이 상편에서 보아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하여 그 일단부의 지지부(37)가 텐션기어(20)에 가까운편으로 이동하므로 브레이크밴드(35)의 텐션기어(20)의 브레이크드럼(20a)에 대한 체결이 약하게 되고, 이것에 의해 자기테이프(5또는 12)의 텐션이 작아진다.
또한 텐션기어(20')에는 도시하지 않은 리미터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이 리미터기구는 헤드드럼(23)에서 감는측의 자기테이프(5또는 12)에 적당한 부하를 주도록 설치 되어 있다.
(38)은 수진아암(swing arm)이며, 그 전단부가 메카샤시(17)의 전단부에 회동축(38a)에 의해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고, 그 회동단부에 수진기어(39)가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다. 또한 이 수진기어(39)가 피구동기어(19, 19')에 구동력을 전하는 구동기어이다.
또 수진아암(38)의 회동축(38a)은 2개의 릴대가 각각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위치 간을 수직 이등분한 선이 교차한점 상에 설치되어 있으므로 큰테이프 카세트 사용시, 작은테이프 카세트 사용시의 어디에 있어서도 구동기어(39)는 피구동기어(19또는 19')에 대하여 동일하게 맞물린다.
그리고 수진아암(38)의 회동축(38a)에는 풀리(40)가 회전자재로 지지되어 있고, 이 풀리(40)에는 기어(41)가 일체로 설치되어 있고, 이 기어(41)는 상기 구동기어(39)와 맞물려 있다.
또한 풀리(40)와 수진아암(38)과의 사이에는 마찰부재가 개재되고, 또 풀리(40)에 일체의 기어(41)와 구동기어(39)와의 사이에는 도시하지 않은 토크리미터기구가 개재 되어 있다.
(42)는 상기 캡스턴모터(29)에 근접하여 메카샤시(17)에 회전자재로 지지된 풀리이며, 이 풀리(42)에는 일체로 기어(43)가 형성되어 있고, 이 기어(43)가 캡스턴모터(29)의 출력축에 고정된 상기 기어(30)와 맞물려 있다.
(44)는 메카샤시(17)의 우단측의 전후방향에 있어서의 대략 중간위치에 회전자재로 지지된 풀리이며, 이 풀리(44)와 상기 풀리(42)에 벨트(45)가 건너질러져 있다.
그리고 풀리(44)에는 이것에 의해 큰지름의 풀리(46)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풀리(46)와 상기 수진아암(38)의 회동축(38a)에 회전자재로 지지된 풀리(40)에 벨트(47)가 건너질러져 있다.
그러나 캡스턴모터(29)가 회전하면, 풀리(42), 벨트(45), 풀리(44, 46), 벨트(47)를 거쳐 풀리(40)가 회전된다.
풀리(40)가 회전하면 이것과 수진아암(38)과의 사이의 마찰에 의해 수진아암(38)이 풀리(40)의 회전방향에 따른 방향으로 회동한다. 즉 풀리(40)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수진아암(38)은 시계 회전방향예로 회동하고 풀리(40)가 반시계 회전 방향으로 회전하면, 수진아암(38)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동한다.
또 풀리(40)가 회전하면 이 풀리(40)와 일체적인 기어(41)와 맞물려 있는 구동기어(39)가 회전한다.
따라서 풀리(40)가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기어(39)는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리고 수진아암(38)의 반시계 회전방향에의 회동에 의해 릴대(18)의 하단부에 일체로 설치된 피구동기어(19)와 맞물리고, 이 피구동기어(19)를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 풀리(40)가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면 구동기어(39)는 반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하고 그리고 수진아암(38)의 시계 회전방향에의 회동에 의해 피구동기어(19')와 맞물리고, 이 피구동기어(19')를 시계 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킨다.
그리고 구동기어(39, 39')에 의해 피구동기어(19, 19')가 회전되고, 이것에 의해 릴대(18, 18')가 소정의 방향으로 회전된다.
제 5도에 나타내는 점 A는 수진아암(38)의 회동축(38a)의 축심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점B, 점B' 및 점C, 점C'는 릴대아암(16, 16')에 지지된 피구동기어(19, 19')의 회전중심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고, 점B, B'는 피구동기어(19, 19')가 큰카세트 위치에 있을때의 회전중심의 위치를 나타내고 점C, C'는 피구동기어(19, 19')가 작은카세트 위치에 있을때의 회전중심의 위치를 나타내고 있다.
그리고 점A는 선분 BC의 수직이등분선(D)와, 선분 B'C'의 수직이등분선(D')가 교차한 점상에 설치되어 있다.
상기한 바와같이 수진아암(38)의 회동축(38a)의 축심은 점 A상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이 수진아암(38)에 지지된 구동기어(39)와 피구동기어(19)와의 맞물림 또는 피구동기어(19')와의 맞물림은 이 피구동기어(19, 19')의 축심이 큰카세트 위치점(B, B') 및 작은카세트 위치점(C, C')의 어디에 위치하고 있어서 대략 같은 조건으로 행하여 진다.
일예로서 피구동기어(19)가 큰카세트 위치에 있는 경우와 작은카세트 위치에 있는 경우에 있어서의 구동기어(39)와 피구동기어(19)와의 맞물림 상태를 제 5도에 나타낸다.
점E는 큰카세트 위치에 있을때의 구동기어(39)의 축심의 위치를 나타내고, 점E'는 작은카세트 위치에 있을때의 구동기어(39)(이점쇄선으로 표시)의 축심의 위치를 나타낸다.
각도 ∠BAE와 각도 ∠CAE'는 동일하게 되고, 따라서 구동기어(39)는 피구동기어(19)가 큰카세트 위치 및 작은카세트 위치의 어디에 위치하고 있어도 이 피구동기어(19)에 대하여 대략 동일한 결합상태에서 구동력을 전달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 수진아암(38)의 회동축(38a)은 상기한 점A상에 꼭 일치시켜서 설치하는 것은 반드시 필요하지 않고, 점A의 근방이라면 좋다.
(48)은 메카샤시(17)의 후부의 좌단부에 지지된 로딩모터이며, 이 로딩모터(48)의 회전이 도시하지 않은 기어열에 의해 테이프 로딩블록(24, 25)등의 테이프 로딩부재를 구동시켜 자기테이프(5, 12)를 소정의 패스를 통과하도록 하는 테이프로딩을 한다.
이상에 기재한바에서 명백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는 기록매체테이프의 양단이 각 별개로 멈춰져서 바깥에 감긴 공급측 테이프릴과 감는측 테이프릴과의 사이의 간격이 각각 다른 2개의 크기가 다른 테이프카세트가 장착가능하고, 상기 2개의 테이프릴에 각 별개로 결합하는 2개의 릴대를 2개의 위치에서 이동하도록한 기록재생장치이며, 릴대를 구동하는 구동기어는 메카데크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요동아암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구동기어는 각 릴대와 동축상에 설치된 피구동기어중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되어있고,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함으로써 릴대를 회전시키도록 한것을 특징으로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록재생장치에 있어서는 릴대가 2개의 위치의 어디에 있어도 릴대에 설치된 피구동기어는 구동기어와 맞물림이 가능한 상태에 있으므로 다른 모터의 구동력을 구동기어에 전달하여 릴대를 구동할 수 있으므로 릴대전용의 모터를 불필요하게 할 수 있고, 적어도 2개의 릴대에 대하여 1개의 릴대용 모터로 충분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 나타낸 각부의 구체적 구조내지는 형태는 어느것이나 본 발명의 실시에 있어서의 구체화의 본보기의 일예를 나타낸것에 불과하다. 이들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범위가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Claims (4)

  1. 기록매체테이프의 양단이 각 별개로 고정되어 바깥에 감긴 공급측 테이프릴과 감는측 테이프릴과의 사이의 간격이 각각 다른 2개의 크기가 다른 테이프카세 트가 장착가능하고, 상기 2개의 테이프릴에 각 별개로 결합하는 2개의 릴대를 2개의 위치에서 이동하도록 한 기록재생장치이며, 릴대를 구동하는 구동기어는 메카데크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요동아암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구동기어는 각 릴대와 동축상에 설치된 피구동기어중의 하나와 선택적으로 맞물리도록 되어 있고, 상기 구동기어를 구동함으로써 릴대를 회전시키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요동아암의 회동축이 2개의 릴대가 각각 이동할 수 있는 2개의 위치간의 대략 수직이등분선상에 위치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릴대는 메카데크부에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된 회동아암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고, 이 하나의 회동아암의 회동축상에 상기 피구동기어와 맞물린 텐션기어가 설치되어 있고, 이 텐션기어에 브레이크 드럼이 형성되고, 이 브레이크 드럼에 텐션레귤레이터의 동작에 수반하여 작동하는 브레이크 밴드가 두루 감겨지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요동아암에 지지된 구동기어가 캡스턴모터에 의해 구동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재생장치.
KR1019940015899A 1993-07-07 1994-07-04 기록재생장치 KR10029863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3-191794 1993-07-07
JP19179493A JP3211497B2 (ja) 1993-07-07 1993-07-07 記録再生装置
JP93-175601 1993-07-15
JP5175601A JPH0729247A (ja) 1993-07-15 1993-07-15 記録再生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176A KR950004176A (ko) 1995-02-17
KR100298631B1 true KR100298631B1 (ko) 2001-10-22

Family

ID=2649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40015899A KR100298631B1 (ko) 1993-07-07 1994-07-04 기록재생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992781A (ko)
EP (1) EP0633574B1 (ko)
KR (1) KR100298631B1 (ko)
DE (1) DE69429217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15916B2 (ja) * 2003-01-06 2007-05-16 ソニー株式会社 記録再生装置
US7097125B2 (en) * 2003-06-27 2006-08-29 Certance Llc Tape drive with automatic adaptation for different size tape cassettes
GB2431284B (en) * 2005-10-15 2008-06-04 Hewlett Packard Development Co Tape deployment systems and methods of deploying tape in digital data transfer apparatus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771259U (ko) * 1980-10-16 1982-04-30
JPS5819763A (ja) * 1981-07-28 1983-02-0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磁気記録再生装置
US4490757A (en) * 1982-09-09 1984-12-25 Kabushiki Kaisha Welwod Tape recorder
DE3327403A1 (de) * 1983-07-29 1985-04-18 Grundig E.M.V. Elektro-Mechanische Versuchsanstalt Max Grundig holländ. Stiftung & Co KG, 8510 Fürth Kassettenlaufwerk
US4972278A (en) * 1987-10-15 1990-11-20 Victor Company Of Japan, Ltd. Tape cassette driving system compatible with two cassette types of different sizes
EP0707312B1 (en) * 1989-03-31 1999-06-02 Sony Corporation System for providing stable tape-traveling in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H02308462A (ja) * 1989-05-23 1990-12-21 Victor Co Of Japan Ltd カセット判別装置
US5314141A (en) * 1990-06-19 1994-05-24 Sony Corporation Cassette loading device for accommodating cassettes of different sizes in a tape cassette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3094611B2 (ja) * 1991-12-27 2000-10-03 ソニー株式会社 テープ供給巻取装置及び該装置に使用するテープカセッ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04176A (ko) 1995-02-17
US5992781A (en) 1999-11-30
DE69429217T2 (de) 2002-07-25
DE69429217D1 (de) 2002-01-10
EP0633574B1 (en) 2001-11-28
EP0633574A2 (en) 1995-01-11
EP0633574A3 (en) 1995-0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36810A (en) Adapter for a miniature type tape cassette
US5046168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the leader block drive in a device
US5086359A (en) Cassette tape slack-preventing apparatus for use in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4093151A (en) Web transporting apparatus and web cartridges
KR100298631B1 (ko) 기록재생장치
US5699972A (en) Magnetic tape apparatus for eliminating a slack of magnetic tape when changing a tape winding direction
US5511738A (en) Idler controlling apparatus of a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US5005094A (en) Mode changeover mechanism with flat cam surface for a tape player
US6215612B1 (en) Magnetic recording/reproduction apparatus having a rotary head cylinder and a mechanism for passing a magnetic tape around the rotary head cylinder for a predetermined arc
JP2986318B2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211497B2 (ja) 記録再生装置
JPH06168512A (ja) 記録再生装置
JPH08235685A (ja) テープ駆動装置
US5647548A (en) Tension arm driving apparatus for video cassette tape recorder
JP2512930B2 (ja) テ−プ駆動装置
US5573194A (en) Tape tension controlling apparatus for a reel shift deck mechanism
JPH0112575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2626410B2 (ja) テープカセットおよび磁気記録再生装置
US5568338A (en) Tape rewinding mechanism for magnetic recording/reproducing apparatus
JPS6212556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3536520B2 (ja) テープ走行装置
JPH11273193A (ja) 磁気記録再生装置
JPS58212668A (ja) カセットアダプタ−
JPS5916175A (ja) テ−プカセツト用アダプタ
JPS58177546A (ja) リ−ル駆動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5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