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8036B1 -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를 함유하는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 Google Patents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를 함유하는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8036B1
KR0178036B1 KR1019900019416A KR900019416A KR0178036B1 KR 0178036 B1 KR0178036 B1 KR 0178036B1 KR 1019900019416 A KR1019900019416 A KR 1019900019416A KR 900019416 A KR900019416 A KR 900019416A KR 0178036 B1 KR0178036 B1 KR 01780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
acrylate
glycol dimethacrylate
resin composition
glyc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94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9742A (ko
Inventor
히로시 후꾸시마
아끼라 모도나가
에리꼬 스다
스스무 스기다니
Original Assignee
나가이 미쯔다로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08322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15512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4903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3218335A/ja
Priority claimed from JP14253790A external-priority patent/JP2855359B2/ja
Application filed by 나가이 미쯔다로, 미쯔비시 레이온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가이 미쯔다로
Publication of KR9100097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97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80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803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08F290/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unsaturated end groups
    • C08F290/06Polymers provided for in subclass C08G
    • C08F290/062Polyeth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10Esters
    • C08F20/12Esters of monohydric alcohols or pheno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 carboxyl radical and containing at least one other carboxyl radical in the molecule;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 C08F22/10Esters
    • C08F22/1006Esters of polyhydric alcohols or polyhydric phenols, e.g. ethylene glycol dimethacrylat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cromonomer-Based Addition Polym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우수한 가요성과 저흡수성을 가지는 각종 플라스틱을 제공하는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에 관한 것이다. 또한, 여기에는 내충격성 및 표면경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우수한 내열성, 우수한 가요성 및 저흡수성 가지는 성형물을 제공하는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들은 광학재료, 렌즈등으로서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Description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를 함유하는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본 발명은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를 함유하는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특히, 높은 내열성, 양호한 가요(可撓)성 및 낮은 흡수성(吸水性)을 가지는 플라스틱위의 제조용으로 유용한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그를 함유하는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플라스틱은, 성형재료, 광학렌즈, 광학데스크, 전기 및 전자부품, 필름, 기계부품, 라미네이트유리 등의 각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들 분야에서 널리 사용되고 있는 플라스틱에는 강성, 유연성, 내충격성 등의 향상이 요구된다. 이러한 요구는 폴리머체인에 폴리에테르, 폴리 우레탄,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등의 탄성구조와 결합함으로써 충족하였다. 이들 결합은 중합단계이전에 모노머 또는 올리고머의 단계에서 수행된다. 이들 응용분야는 플라스틱에 내습성능이 요구된다. 이것은, 폴리머분자에 탄화수소체인, 방향족환, 할로겐원자 등을 결합함으로서 이루어진다.
일반적으로, 폴리머의 제조에 주형중합이 적용될 경우에는, 작업성의 면에서 모노머가 저점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폴리머분자체인이 탄성이 풍부한 구조인 폴리에테르구조를 가질 때 가능하다. 이 폴리에테르구조는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로 알려져 있다. 그리고, 폴리머에 함유된 에틸렌옥사이드 및 플로필렌옥사이드의 반복단위수의 증가에 비례하여, 폴리머의 가요성이 향상된다.
그러나, 탄화수소체인, 방향족환, 할로겐원자 등과 결합하면 폴리머를 저흡수성으로 할수는 있으나, 폴리머의 가용성이 상실된다. 또한, 폴리에테르 구조를 가지는 주형중합용 폴리에틸렌 글리콜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은 가요성의 면에서 어느 정도 충족할 수 있으나, 이 폴리머는 10-20%의 흡수율을 가지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들을 제거하기 이하여 완성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목적은 우수한 가요성 및 저흡수성(吸水性)을 가지는 성형제품을 생상하는 신규의 폴리부틸렌 글리콘 디메타크릴레이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충격성 및 표면경도의 손실없이, 우수한 가용성 및 저흡수성을 가지는 성형제품을 생상하는 주형중합용 제1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우수한 내열성, 우수한 가요성 및 저흡수성을 가지는 성형제품을 생산하는 주형중합용 제2수지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는 다음 일반식
(식중, n은 5-16의 정수)으로 표시된다.
본 발명에 관한 주형중합용 제1수지조성물은
(A) 다음 일반식
(식중, n은 5 내지 16의 정수)으로 표시되는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의 10-90중량부와, (B) 분자내에 적어도 한 개의 중합성 이중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의 10-90 중량부를, (A)와 (B)성분의 총량이 100중량부로 되도록 한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관한 주형중합용 제2수지조성물은 (a) 한 분자내에 두 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가지는 에폭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와 한 분자내에 두 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가지는 우레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되는 기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10-90중량부와,
(b) 다음 일반식
(식중, R은 수소 또는 메틸을 표시하며, n은 5 내지 16의 정수)으로 표시되는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 아크릴레이트의 10-90 중량부를 (a)와(b)의 성분의 합계가 100중량부로 되도록 한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기타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은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는 중합도 5-16의 폴리부틸렌 글리콜의 양 말단을 메타크릴산으로 블로킹한 것이다. 중합도는 식(CH2CH2CH2CH2O)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수를 나타내며, 본 발명에 의하면 5-16의 범위이내이어야 한다. 이 중합도가 5미만에서는 충분한 가용성을 얻을 수 없으며, 16을 초과하면 흡수성이 증가하는 동시에 가교밀도(crosslinking density)의 저하를 초래하여 폴리머경도가 저하하고 내열성도 저하한다. 중합도 7-12의 버위가 바람직하다. 물론,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는 분자중량분포가 상이한 종(種)의 혼합물이라는 것은 말할나위 없다.
본 발명에 관한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의 구체예로서는 펜타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헥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헵타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옥타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노나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운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도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클리레이트, 펜타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헥사데카부틸렌 글리콜디메타클리레이트 등이 있다.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개환(開環)중합하여 얻는) 폴리부틸렌 글리콜과 메타크릴산과의 축합반응, 또는 폴리부틸렌 글리콜과 메틸메타크릴레이트와의 에스테르교환 반응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이들 제조방법은 최종적으로는 폴리머의 용도에 따라서 임의로 선택되어야 하는 것으로서, 예를들면, 이 모노머로부터 투명재료를 얻으려면 무색투명한 모노머를 생성하는 에스테르교환 반응이 선택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B) 성분을 함유하는 주형중합용 수지조합물은 내열성 및 표면경도를 부여하는 것으로서, 그 분자내에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이중결합을 갖는 것이면 어떠한 것이라도 좋다. 이 (B) 성분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I-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타)아클리에트, 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아크릴레이트, 스테아릴(메타)아크릴레이트, 부톡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메탈릴(메타)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메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N,N-디에틸아미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시아노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브로모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N-비닐-2-피롤리돈(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모노알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모노알킬에테르(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타)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메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시클로헥실(메타)아크릴레이트, 노르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이소보르닐(메타)아크릴레이트, 아다만틸(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릴(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타)아크릴레이트, 포스포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페녹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 페닐셀로솔브(메타)아크릴레이트, 노닐페녹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바이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나프틸(메타)아크릴레이트, 브로모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브로모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브로모페닐(메타)아크릴레이트, 클로로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브로모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브로모벤질(메타)아크릴레이트 및 2-페닐페놀(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모노(메타)아크릴레이트 화합물과,
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노나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에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테트라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노나폴리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등의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와,
1,3-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4-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 1,6-헥사메틸렌 디(메타)아크릴레이트, 1,14-테트라데카메틸렌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히드록시피발레이트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히드록시피발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부가물의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 디(메타)아크릴레이트, ,2-(2-히드록시-1,1-디메틸에틸)-5-히드록시메틸-5-에틸-1,3-디옥산 디(메타)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 테트라(메타)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리톨 펜타(메타)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트로톨 헥사(메타)아크릴레이트, 디(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트리스(메타)아크릴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펜타에톡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디에톡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디에톡시-3,5-디브로모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펜타에톡시-3,5-디브로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디에톡시-3,5-디메틸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디에톡시-3-페닐페닐)-프로판,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술폰,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펜타에톡시페닐)-술폰,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에톡시-3-페닐페닐)-술폰, 2,2'-비스(4-(메타)아크릴옥시에톡시-3,5-디메틸페닐)-술폰, 디((메타)아크릴옥시에톡시)포스페이트 및 트리((메타)아크릴옥시에톡시)포스페이트 등의 다관능성(多官能性)(메타)아크릴화합물과, 스티렌, 비닐톨루엔, 클롤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디비닐벤젠, 1-비닐나프탈렌, 2-비닐나프탈렌 및 N-비닐피롤리돈 등의 비닐화합물과, 디에틸렌 글리콜 비스알릴 카르보네이트, 트리메틸올 프로판디알릴, 디알릴 프탈레이트, 디메타크릴 프탈레이트 및 알릴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알릴 화합물과, 바륨, 납, 안티몬, 티타늄, 주석 및 (메타)아크릴산 아연 등의 (메타)아크릴산의 금속염을 포함한다.
이 화합물들은 단독으로 또는 상호간의 결합으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은 (A)성분의 10-90중량부와 (B)성분의 90-10중량부로 구성되어야 한다. (A)성분이 10중량부 미만이면 얻어진 수지조성물은 충분한 가요성과 낮은 흡수성을 가지는 폴리머를 생성할 수 없다. 한편, (A)성분이 90중량부를 초과하면, 얻어진 수지조성물은 충분한 내열성 및 표면경도를 가지는 폴리머를 생성할수 없다. 바람직한 (A)화합물의 양은 20-60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은 필요에 따라서 산화방지제, 황변(黃變)방지제, 자외선흡수제, 청화(靑化)제, 안료 등의 각종의 첨가제를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내에서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은 그 사용방법에 따라서 상기한 성분(A), (B)와 선택적인 첨가제를 혼합하여 생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은 그 용도에 따라서 적합한 방법으로 경화시켜 각종 용도에 제공될 수 있다. 이 경화에 적용되는 중합개시제로서는 예를 들면 (과산화 벤조일, t-부틸페록시이소부티레이트 및 t-부틸 페록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유기과산화물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 화합물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메틸페닐 글리옥실레이트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술폰옥사이드 등의) 광중합개시제가 있다. 이들 중합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상호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 중합개시제의 배합비율은 성분(A) 및 (B)의 총량 100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005-5중량부로 사용될 수 있다. 경화는 중합개시제와 혼합된 수지조성물을 가스켓을 통하여 주형공동(鑄型空洞)에서 주조하여, 그 주형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활성에너지선을 조사하거나 가열처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조사와 가열을 함께 적용할 수도 있다. 주형은 두 개의 반(半)주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수지조성물로 광학렌즈, 라미네이트 유리, 광학디스크, 또는 필름을 성형할 경우에 각각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중합 및 경화후에는 용도에 따라서 형으로부터 이형시키거나 또는 (라미네이트 유리와 같이) 이형없이 각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주형들은 광학렌즈, 광학디스크, 전기 및 전자부품, 필름, 기계부품, 라미네이트 유리 등으로 사용되며, 이들은 우수한 가용성 및 저흡수성으로 광학렌즈, 광학디스크, 라미네이트 유리, 필름으로 사용하기 가장 적합한다.
본 발명은 또 다른 주조용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그것은 (a)성분 및 (b)성분으로 이루어진다. (a)성분은 한분자내에 두 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가지는 우레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와, 한 분자내에 두 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가지는 에폭시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로 구성된 기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이다. 우레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히드록실시-함유(메타)아크릴레이트와, 한 분자내에 적어도 두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생성물을 포함한다. (a)성분은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인 (b)성분에 의하여 부여된 내열성을 향상시킨다.
한 분자내에 적어도 두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예는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다이머산 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렌 디이소시아네이트, 크실릴렌 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α,α-디메틸이소시아네이트메틸)벤젠, 디페닐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m-페닐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및 바이페닐 디이소시아네이트 등의 지방족, 방향족 또는 지환(指環)족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의 또 다른 예는 한 분자내에 적어도 두 개의 이소시아네이트기를 가지는 화합물을 포함하며, 이들은 아미노기, 히드록실기, 카르복실기, 또는 물의 형태로 적어도 두 개의 활성 수소원자를 가지는 화합물과 상기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중 하나와 반응함으로써 형성된다. 상술한 디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은 3량체, 4량체, 또는 5량체의 형태로 사용될 수 있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반응되는 히드록실기-함유(메타)아크릴레이트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리트, 2-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리트 및 4-히드록시부틸(메타)아크릴리트 등의) 히드록실기-함유(메타)아크릴리트와, (부틸 글리시딜 에테르, 2-에틸헥실 글리시딜 에테르, 페닐 글리시딜 에테르 및 글리시딜 메타크릴레이트 등의)(메타)아크릴산과 모노에폭시 화합물간의 부가(附加)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생성물과, 폴리에틸렌글리콜 또는 폴리프로필렌 글리콜을 가지는 모노(메타)아크릴 에스테르와, 폴리카프로락톤 디올(n = 1-5)을 가지는 모노(메타)아크릴에스테르 등의 히드록실시-함유(메타)아크릴레이트를 포함한다.
폴리이소시아네이트와 히드록실기-함유(메타)아크릴레이트간의 부가반응은 히드록실기-함유(메타)아크릴레이트와 (디라우린산 디-n-부틸주석 등의) 촉매의 혼합물을 50-90℃에서 이소시아네이트화합물에 점적식으로 첨가하는 것으로 구성되는 임의의 공지방법으로 달성될 수 있다.
우레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개별적으로 또는 상호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성형된 주형중합물의 무색투명성 및 내열성에 있어서,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3량체,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 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α,α-디메틸이소시아네이트메틸)벤젠, 또는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와 함께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2-히드록시프로필(메타)아크릴레이트의 부가물인 우레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인 (a)성분의 또 다른 화합물은 한분자내에 두 개 이상의 글리시딜기를 가지는 에폭시 화합물과 한분자내에 (메타)아크릴로일기 및 카르복실산을 가지는 (아크릴산 및 메타크릴산 등의) 화합물사이에서 이루어지는 글리시딜기의 개환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생성물이다. 이 성분은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인 (b)성분에 의하여 부여된 내열성을 향상시킨다.
분자내에 적어도 두 개의 글리시딜기를 가지는 에폭시 화합물은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테트라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노나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테트라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노나프로필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네오펜틸 글리콜 히드록시피발레이트 에스테르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디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글리세롤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디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 테트라글리시딜 에테르, 소르비톨 테트라글리시딜 에테르,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및 2,2-비스(4-글리시딜옥시시크롤로헥실)프로판 등의 지방족 및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과,
레소르신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S 디글리시딜 에테르(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비스페놀 S 각각으로 에피클로로히드린의 응축에 의하여 얻어짐),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오르토프탈린 산 디글리시딜 에테르, 페놀노볼락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및 크레솔노볼락 폴리글리시딜 에테르 등의 방향족 에폭시화합물을 포함한다.
상술한 에폭시기중의 하나와 반응될 분자내에 (메타)아크릴로일기 및 카르복실산을 가지는 (아크릴산 및 메타아크릴산 등의) 화합물은 아크릴산, 메타아크릴산, 카르복실산-함유(메타)아크릴레이트(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와, 0-프탈릭 안히드리드 등의 산무수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획득됨) 및 카르복실산-함유(메타)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메타)아크릴레이트와, 분자중에 두 개 이상의 카르복실기를 가지는(아디픽산 등의)화합물과의 반응에 의하여 획득됨)를 포함한다.
에폭시 화합물과 카르복실산-함유(메타0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은 촉매, 예를 들면 (디메틸아미노 에틸 메타크릴레이트 등의) 3차 아미노화합물 및 (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 등의) 4차 아민 염의 존재하에서 60-110℃로 가열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에폭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상호 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주조제품들의 무색투명도 및 내열성에 있어서 바람직한 것은,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1,6-헥산디올 디글리시딜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디글리시딜, 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트리디글리시딜,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트리글리시딜, 2,2-비스(4-글리시딜옥시헥실)프로판,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 비스페놀 S 디글리시딜 에테르 및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를 가지는 아크릴 산 또는 메타크릴 산의 반응생성물이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형중합용 제2수지조성물은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인 (b)화합물을 함유한다. 이 화합물은 그 양 말단이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으로 블로킹된, 5-16의 범위내의 중합도를 가지는 폴리부틸렌 글리콜이다. 중합도는 식(CH2CH2CH2CH2O)n으로 표시되는 반복단위의 수(n)을 표시한다. n의 값이 5보다 적으면, 수지조성물은 가요성이 불충분한 주형제품을 생성한다. n의 값이 16을 초월하면 수지조성물은 점도가 너무 높아 작업성을 저하시키며, 높은 흡수성과 낮은 가교농도 및 경도를 가지며 내열성이 빈약한 주형제품을 생성한다. 바람직한 중합도는 7-12의 범위이다. n값은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가 분자중량 분포가 다른 종의 혼합물이므로 그 중심값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는 폴리부틸렌 글리콜(테트라히드로푸란의 개환(開環)중합에 의하여 획득됨)과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의 응축반응에 의하여, 또는 폴리부틸렌 글리콜과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또는 에틸 메타크릴레이트와의 에스테르 교환반응에 의하여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상기 방법의 선택은 폴리머의 최종 사용에 따른다. 폴리머가 투명물질로 만들어져야 하면, 무색투명한 모노머를 밸생시키는 에스테르 교환반응을 선택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형중합용 제2수지조성물은 (a)성문의 10-90중량부와 (b)성분의 90-10중량부를, (a) 및 (b)성분의 총량이 100중량부로 되도록 구성되어야 한다. (a)성분이 10중량부미만이면 결과의 수지조성물은 내열성이 불충분한 폴리머를 생성할 것이다. (a)성분이 90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조성물은 작업성을 저하시키는 높은 점도를 가진다. (a)성분의 바람직한 양은 20-70중량부이다. (b)성분이 10중량부미만이면 수지조성물은 가요성이 불충분하고 높은 흡수성을 가지는 폴리머를 생성한다. (b)성분이 90중량부를 초과하면, 수지조성물은 내열성 및 표면경도가 불충분한 폴리머를 생성한다. (b)성분의 바람직한 양은 20-60중량부이다.
본 발명에 의하며, 주형중합용 제2수지조성물은 한 분자내에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이중결합을 가지는 화합물과 바람직하게 결합되어야 한다. 이 화합물은 내열성과 표면경도를 향상시키고 점도를 저하시킨다. 수지조성물은 고점도의 우레탄 폴리(메타)이크릴레이트 및/또는 에폭시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를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주형작업의 용이성을 위하여 저점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화합물은 바람직하게는 저점도 에스테르 모노머이어야 하며, 이러한 예들은 본 발명의 주형중합용 제1수지조성물의 (B)성분으로서 상기 열거한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형중합용 제2수지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본 발명의 효과에 해롭지 않는 양으로, 산화방지제, 황화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청화제 및 안료 등의 첨가물과 결합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형중합용 제2수지조성물은 통상적인 방법으로 상술한 (a) 및 (b)성분과 선택적인 첨가물을 혼합함으로써 용이하게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주형중합용 제2수지조성물은 개별적인 용도에 따라 선택된 적합한 방법으로 경화한 후에 여러 가지 분야에서 사용될 수 있다. 경화는 중합개시제의 도움으로 이루어지며, 그것은 (과산화벤조일, t-부틸 페록시이소부티레이트 및 t-부틸 페록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등의) 유기과산화물과, (2,2'-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및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 등의) 아조화합물과, (2-히드록시-2-메틸-1-페닐프로판-1-온, 메틸페닐 글리옥실레이트 및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술폰옥사이드 등의) 중합개시제를 포함한다.
이들 중합개시제는 단독으로 또는 상호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이들은 (a) 및 (b)성분의 총량의 100중량부에 대하여 0.005-5중량부의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경화는 중합개시제와 혼합된 수지조성물을 가스켓을 통하여 주형공동으로 주조하여, 그 주형의 한쪽 또는 양쪽으로부터 활성에너지선을 조사하거나, 가열처리함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 조사와 가열을 함게 적용할 수도 있다. 주형은 두 개의 반(半)주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이들은 수지조성물로 광학렌즈, 라미네이트 유리, 광학 디스크, 또는 필름을 성형할 경우에, 각각 유리, 플라스틱, 또는 금속으로 이루어진다. 중합 및 경화후에는, 용도에 따라서 형으로부터 이형시키거나 또는 (라미네이트유리와 같이) 이형없이 각 용도에 사용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제조된 주형들은 광학렌즈, 광학디스크, 전기 및 전자부품, 필름, 기계부품, 라미네이트유리 등으로 사용되며, 이들은 우수한 가요성 및 저흡수성으로 광학렌즈, 광학다스크, 라미네이트유리, 필름으로 사용하기 가장 적합한다.
[실시예]
본 발명을 다음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 관하여 더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에 사용된 단량체 명칭은 다음과 같이 축약하여 사용한다.
9BGDM : 노나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2BGDM : 도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9BGDA : 노나부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UA1 ;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와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와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
UA2 :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와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
EA1 ;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와 메타크릴산과의 반응에 의하여 형성된 에폭시 디메타크릴레이트
EA2 ;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와 아크릴산과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에폭시 디메타크릴레이트
EA3 : 2,2(4-글리시딜옥시시클로헥실)프로판과 메타크릴산과의 반응에 의하여 생성된 에폭시 디메타크릴레이트
BP2EA : 2,2'-비스(4-아크릴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
HDDM : 1,6-헥사메틸렌 디메타크릴레이트
TMPM : 트리메틸올프로판 트리메타크릴레이트
MMA :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St : 스티렌
2GDM :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n-BMA :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9EGDM : 노나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9EGDA ; 노나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9PGDM : 노나프로필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4EGDM : 테트라데카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14EGDA : 테트라데카에틸렌 글리콜 디아크릴레이트
[실시예 1(에스테르 교환법에 의한 9BGDM의 합성)]
5ℓ들이 4목 플라스크내에 2.0kg의 노나부틸렌 글리콜(평균분자량 680, PTG-650SN, 호도가야 가가꾸 주식회사 제품), 2.0kg의 MMA, 0.5g의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 에테르 및 50g의 티타늄 테트라부틸-n-부톡사이드(촉매)를 넣었다. 반응은 공비(共沸)증류에 의하여 MMA와 더불어 (반응에 의하여 형성된)메탄올을 서서히 제거하면서, 100-120℃로 반응물을 교반함으로써 3시간동안 수행되었다. 반응후에, 과잉 MMA는 감압하에서 증류제거되었다. 잔류물에 1kg의 톨루엔을 가하고 알칼리수로 톨루엔용액을 세척하여 최종적으로 진공증류에 의하여 톨루엔을 제거하였다. 상기와 같이하여 9BGDM을 얻었으며, 그것은 무색투명이었고 부롬부가순도시험에 따른 순도는 100%이었다.
[실시예 2(축합반응에 의한 12BGDM의 합성)]
5ℓ들이 4목 플라스크내에 2.0kg의 도데카부틸렌 글리콜(평균분자량 890, PTG-850SN, 호도가야 가가꾸 주식회사 제품), 1.5kg의 톨루엔, 0.6g의 메타크릴 산, 1g의 하이드로퀴논 및 50g의 황산을 넣었다. 반응은 공비증류에 의하여 톨루엔과 더불어(반응에 의하여 형성된)물을 제거하면서, 120℃로 반응물을 교반함으로써 4시간동안 수행하였다. 반응후에, 1kg의 톨루엔을 가하여, 톨루엔용액을 알칼리수로 세척하고, 최종적으로 진공증류에 의하여 톨루엔을 제거하였다. 상기와 같이하여 12BGDM을 얻었으며, 그것은 담황색 투명이었고 부롬부가 순도시험에 따른 98.0%이었다.
[실시예 3-8]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을 표 1에 표시한 (A) 및 (B)성분과 0.02g의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로부터 실온에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수지조성물을 두 개의 강화유리판(사각형의 한변이 100mm, 두께가 5mm)과 PVC관의 가스켓(6mm 외경의 2mm 두께판 또는 10mm 외경의 5mm 두께판)으로 만든 주형으로 주입하였다. 주형수지조성물을 80℃로 3시간동안 가열하고 또한 120℃로 3시간동안 가열하여 경화하였다. 이형(離型)후에 경화된 산물을 100℃로 1시간동안 가열처리하여 내부스트레인을 제거하였다. 상기와 같이 얻어진 판을 다음의 방법으로 물리적 특성을 시험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 광선 투과율(%) ; ASTM D1003-61에 의하여 측정함.
○ 굴곡시험에 의한 신장율(%) : ASTM D790-71에 의하여 측정함.
○ 포화상태에서의 흡수율(Wt %) : 원반상재료(직경 75mm, 두께 5mm)의 중량증가를 70℃에서 3일간 포화증기조속에 방치한 후에 측정함.
○ 흡수시험후의 상태 : 흡수시험후에 판상재료를 육안으로 외관에 대하여 검사함.
○ 낙구(洛球) 시험 : 2mm 두께 판상재료를 FDA표준에 의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는 강구를 127cm의 높이에서 낙하시켰을 때 재료를 파괴하는 강구의 최대중량으로 표시한다.
[비교예 1-8]
비교용 성형물을 표 1에 도시한 것과 같이 (A) 및 (B)성분의 조성을 변경한 것외에는, 실시예 3 내지 8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하고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표시한다.
[실시예 9(필름의 성형)]
본 바렴의 수지조성물을 표 1에 표시한 (A) 및 (B)성분과 0.1g의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을 충분히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수지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두께 200㎛, 폭 10mm)의 주변 가스켓이 설치된 강화유리판(사각형의 한변이 200mm, 두게가 5mm상에 주조하였다. 기포의 침입을 방지하기 위하여 주조수지조성물을 폴리에스테르 필름(두께 200㎛)으로 피복하였다. 폴리에스테르 필름위에는 상술한 것과 같은 크기의 제2강화유리판을 올려 놓았다. 주조수지조성물을 80℃로 1시간동안 가열하고 또한 120℃로 3시간동안 더 가열하여 경화시켰다. 경화된 생성물을 유리판 및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부터 제거후에, 실시예 3 내지 8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물리적 특성을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경화된 생성물을 또한 JIS K-7113에 의한 인장강도에 대하여 시험하였다.(필름으로부터 절단된 시험편은 제2번 시험편용 표준에 따른다). 재료의 파단(破斷)될 때의 신장율(伸張率)은 약 50%이었다.
[비교예 9]
비교용 필름은 제조하여 표 1에 표시한 것과 같이 (A)성분을 사용하지 않고 (B)성분으로 MMA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9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파단될 때의 신장율은 약4%이었다.
[실시예 10(라미네이트유리의 성형)]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을 표 1에 표시된 (A) 및 (B)성분과 0.5g의 t-부틸페녹시-2-에틸헥사노에이트 및 1g의 γ-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으로부터 실온에서 혼합하여 제조하였다. 수지조성물을 두 개의 소다유리판(사각형의 한변이 300mm, 두께가 3mm)과 부틸고무로 구성된 주형속에 주입하였다. 주조수지조성물을 실온에서 5시간동안, 이어서 50℃에서 5시간동안 가열하여 경화시켰다. 이렇게하여 얻은 라미네이트유리를 실시예 3- 8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라미네이트유리는 광학적으로 균일하고 우수한 내충격성을 가짐을 확인했다.
[비교예 10]
비교용 라미네이트유리를 제조하여 표 1에 표시한 것과 같이 단량체를 사용한 것외에, 실시예 10과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이 라미네이트유리는 낙구시험에서 100g을 나타내었으나, 내습시험후에 유리판과 수지층사이에 라미네이트박리를 발생하였다.
[합성예 1(우레탄 트리아크릴레이트의 합성)]
3목 플라스크속에 200부의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3량체(Sumidule N3200,스미토모 바이엘 우레탄 주식회사 제품)와 0.2부의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를 넣었다. 플라스크에 140부의 2-히드록시에틸 아크릴레이트와 0.2부의 라우린산 n-부틸 주석의 혼합물을 3시간동안 교반하면서 점적식으로 첨가하여 60℃로 가열하였다. 70℃로 3시간동안 반응을 계속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우레타트리아크릴레이트를 얻었다.
[합성예 2(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의 합성)]
3목 플라스크속에 258부의 디시클로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와 0.3부의 하이드로퀴논 모노메틸에테르를 넣었다. 플라스크에 302부의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크릴레이트와 0.3부의 라우린산 n-부틸 주석의 혼합물을 3시간동안 교반하면서 정적식으로 첨가하고, n-부틸 주석의 혼합물을 3시간동안 교반하면서 점적식으로 첨가하고, 60℃로 가열하였다. 70℃로 3시간동안 반응을 계속하였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우레탄 디메타크릴레이트를 얻었다.
[실시예 11-18]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을 표 2에 표시한 (a),(b) 및 (c)성분과 0.02g의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을 실온에서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수지조성물을 두 개의 강화유리판(사각형의 한변이 100mm, 두께가 5mm)과 PVC 관(외경 6mm, 두께 2mm의 판 또는 외경 10mm, 두께 5mm의 판)의 가스켓으로 구성된 주형속에 주입하였다. 주조수지조성물을 80℃로 3시간동안 가열한 후 120℃로 3시간동안 가열하여 경화시켰다. 이형후에, 경화물을 100℃로 1시간동안 열처리하여 내부스트레인을 제거하였다. 이와 같이하여 얻은 판을 실시예 3-10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물리적특성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비교예 11-21]
비교용 성형물을 제조하고, (a) 및 (b)성분의 조합이 표 2에 표시된 것과같이 변경된 것 외에는 실시예 11-18 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합성예 3(에폭시 디메타크릴레이트의 합성)]
5리터들이 3목 플라스크속에 3015g의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YD-8125, 토토 가세이 주식회사의 제품), 1485g의 메타크릴산(Methacrylic acid, 미쯔비시 레이온 주식회사의 제품), 45g의 벤질트리메틸암모늄 클로라이드(촉매) 및 1g의 하이드로퀴논 모노네틸에테르(억제제)를 넣었다. 반응은 70℃에서 3시간동안, 80℃에서 3시간동안, 그리고 110℃에서 8시간동안 행하였다. 반응은 반응생성물의 산가(酸價)가 0.15에 도달할 때 현탁되었었다.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에폭시 디메타크릴레이트(EA1)를 얻었다.
[실시예 19-26]
본 발명의 수지조성물을 표 3에 나타낸 것과 같이 (a),(b) 및 (c) 성분과, 0,02g의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를 실온에서 혼합함으로써 제조하였다. 수지조성물을 두 개의 강화유리판(사각형의 한변이 100mm, 두께가 5mm)과 PVC관(외경 6mm, 두께 2mm의 판 또는 외경 10mm, 두께 5mm의 판)의 가스켓으로 만든 주형속에 주입하였다. 주조된 수지조성물을 80℃에서 3시간동안 가열하고, 120℃에서 3시간동안 더 가열하여 경화시킨다. 이형한 후에 경화물을 100℃로 1시간동안 열처리하여 내부스트레인을 제거시켰다. 이와 같은 방법으로 얻은 판을 실시예 3-10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물리적 특성에 대하여 시험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비교예 22-31]
비교용 성형을 제조하고, (a),(b) 및 (c)성분의 조합이 표 3에 표시된 것과 같이 변경된 것 외에는 실시예 19-26에서와 같은 방법으로 평가하였다. 결과를 표 3에 나타낸다.
상기에서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는 우수한 가용성과 저흡수성을 가지는 각종 플라스틱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의한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은 내열성, 내충격성 및 표면경도에 영향을 주지 않고 우수한 가요성 및 저흡수성을 가지는 주형제품들을 제공한다. 따라서, 광학재료, 렌즈, 광학디스크, 라미네이트유리 및 필름으로서 유용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을 기술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의 범위에 정의된 바와 같이 본원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를 일탈하지 않고,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은 여러 가지 변형 및 변경을 가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Claims (14)

  1. 다음 일반식
    (식중 n은 5 내지 16의 정수)으로 표시되는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2. 제1항에 있어서, 헵타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옥타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노나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운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도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3. 제1항에 있어서, 광학잴교, 렌즈, 광학디스크, 라미네이트유리 및 필름용으로 적합한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4. (A) 다음 일반식
    (식중 n은 5 내지 16 정수)으로 표시되는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의 10-90중량부와, (B) 분자내에 적어도 한 개의 중합성 이중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의 10-90중량부를, (A)와 (B)성분의 총량이 100중량부로 되도록 한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는 헵타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옥타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노나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운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도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6. 제4항에 있어서, 분자내에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이중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은 메틸 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1,6-헥사메틸렌 디메타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7. 제4항에 있어서, 광학재료, 렌즈, 광학디스크, 라미네이트유리 및 필름용으로 적합한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8. (a) 한부자내에 두 개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가지는 에폭시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와 한 분자내에 두 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가지는 우레판 (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의 10-90중량부와, (b) 다음 일반식
    (식중 R은 수소 또는 메틸을 표시하며, n은 5 내지 16의 정수)으로 표시되는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의 10-90중량부를 (a)와 (b)성분의 총량이 100중량부로 되도록 한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9. 제8항에 있어서, 한 분자내에 두 개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가지는 우레탄 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2-히드록시에틸(메타)아크릴레이트 또는 이소포론 디이소시아네이트를 가지는 2-히드록시프로필 (메타)아크릴레이트, 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3량체,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 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 디이소시아네이트 1,3-비스(α,α-디메틸이소시아네이트메틸)벤젠, 또는 크실렌 디이소시아네이트의 부가물인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10. 제8항에 있어서, 한 분자내에 두갱 이상의 (메타)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가지는 에폭시폴리(메타)아크릴레이트는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 에테르, 디에틸렌 글리콜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 디글리시딜 에테르, 트리메틸올 프로판 트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 디글리시딜 에테르, 글리세롤 트리글리시딜 에테르,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트리글리시딜, 2,2-비스(4-글리시딜옥시헥실)프로판, 비스페놀 S 디글리시딜 에테르, 또는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 에테르와 아크릴산 또는 메타크릴산과의 반응생성물인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11. 제8항에 있어서,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는 협타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옥타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노나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운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 및 도데카부틸렌 글리콜 디(메타)아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의 화합물인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12. 제8항에 있어서, 광학재료, 렌즈, 광학디스크, 라미네이트유리 및 필름용으로 적합한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13. 제8항에 있어서, 분자내에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이중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을 더 구비한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14. 제13항에 있어서, 분자내에 적어도 하나의 중합성 이중결합을 가지는 화합물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티렌, n-부틸 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1,6-헥사메틸렌 디메타크릴레이트의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인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KR1019900019416A 1989-11-29 1990-11-29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를 함유하는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KR01780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89-310,240 1989-11-29
JP31024089 1989-11-29
JP?89-310.240? 1989-11-29
JP90-8,322 1990-01-19
JP?90-8,322? 1990-01-19
JP2008322A JPH03215512A (ja) 1990-01-19 1990-01-19 注型重合用樹脂組成物
JP2049034A JPH03218335A (ja) 1989-11-29 1990-02-28 ポリブチレングリコールジメタクリレート及びそれを含む可撓性・低吸水性組成物
JP90-49,034 1990-02-28
JP?90-49,034? 1990-02-28
JP90-142,537 1990-05-31
JP?90-142,537? 1990-05-31
JP14253790A JP2855359B2 (ja) 1990-05-31 1990-05-31 注型重合用樹脂組成物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9742A KR910009742A (ko) 1991-06-28
KR0178036B1 true KR0178036B1 (ko) 1999-05-15

Family

ID=27454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9416A KR0178036B1 (ko) 1989-11-29 1990-11-29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를 함유하는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0430209B1 (ko)
KR (1) KR0178036B1 (ko)
AU (1) AU6690790A (ko)
DE (1) DE69025555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U634338B2 (en) * 1990-02-08 1993-02-18 Mitsubishi Rayon Company Limited Composition for plastic lenses
CN102471507B (zh) * 2009-07-14 2014-12-24 三菱丽阳株式会社 冲压加工用丙烯酸膜、面光源装置及光学部件的制备方法
EP3037447B1 (en) * 2013-08-20 2018-11-07 Mitsubishi Chemical Corporation Dispersion-type acrylic copolymer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21119A (ja) * 1984-07-10 1986-01-29 Yokohama Rubber Co Ltd:The 光硬化型樹脂組成物
JPS61162511A (ja) * 1985-01-10 1986-07-23 Sumitomo Chem Co Ltd 硬化性樹脂組成物
JPS61228007A (ja) * 1985-04-01 1986-10-11 Fuji Photo Film Co Ltd 光重合性組成物
US4873086A (en) * 1986-03-03 1989-10-10 Ciba-Geigy Corporation Hydrogels with increased organic solvent soluble active agent loading capacity, their preparation and the use thereof
JPS6424816A (en) * 1987-07-21 1989-01-26 Mitsui Toatsu Chemicals Photo-setting resin composi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30209A2 (en) 1991-06-05
EP0430209A3 (en) 1991-11-27
KR910009742A (ko) 1991-06-28
AU6690790A (en) 1991-08-15
DE69025555T2 (de) 1996-10-02
EP0430209B1 (en) 1996-02-28
DE69025555D1 (de) 1996-04-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0745B1 (ko) 플라스틱 렌즈용 조성물
US4985472A (en) Actinic ray curable composition for casting polymerization and casting polymerization molded products
JP5099280B1 (ja) ラジカル重合性組成物、硬化物及びプラスチックレンズ
US5247038A (en) Polybutylene glycol dimethacrylate and resin composition for cast polymerization
JP2992325B2 (ja) ポリブチレングリコールジ(メタ)アクリレート及びそれを含む注型重合用樹脂組成物
KR0178036B1 (ko) 폴리부틸렌 글리콜 디메타크릴레이트 및 이를 함유하는 주형중합용 수지조성물
JP2002138131A (ja) エポキシ(メタ)アクリレート及び該エポキシ(メタ)アクリレートを用いた樹脂組成物並びにこれらの硬化物
JP3362987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組成物
JP2726325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組成物
JP2003506500A (ja) 透明ポリマー基板製造用重合性組成物、これにより得られる透明ポリマー基板およびそのレンズへの使用
JPH03215512A (ja) 注型重合用樹脂組成物
JPH08208776A (ja) 樹脂組成物、レンズ用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2855359B2 (ja) 注型重合用樹脂組成物
JPS63207805A (ja) プラスチツクレンズ材料の製造方法
JPH08208775A (ja) 樹脂組成物、レンズ用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3528984B2 (ja) 樹脂組成物、レンズ用組成物及びその硬化物
JPH03255117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組成物
JPH03218335A (ja) ポリブチレングリコールジメタクリレート及びそれを含む可撓性・低吸水性組成物
JPH03239711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組成物
JP2661145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
JP2591012B2 (ja) 高屈折率レンズ用の組成物
JPS63199210A (ja) プラスチツクレンズ材料の製造方法
JP2849172B2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用組成物
JPH01103616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材料
JPH01309001A (ja) プラスチックレンズ材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1118

Year of fee payment: 13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