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64009B1 -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 Google Patents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64009B1
KR0164009B1 KR1019950048623A KR19950048623A KR0164009B1 KR 0164009 B1 KR0164009 B1 KR 0164009B1 KR 1019950048623 A KR1019950048623 A KR 1019950048623A KR 19950048623 A KR19950048623 A KR 19950048623A KR 0164009 B1 KR0164009 B1 KR 0164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ctacle lens
lens
support structure
spectac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8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507A (ko
Inventor
유끼히로 이즈미타니
Original Assignee
야마나까 마모루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863694A external-priority patent/JP2854531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나까 마모루, 호야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나까 마모루
Publication of KR9600245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50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64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640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3/00Special supporting arrangements for lens assemblies or mono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2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 G02C1/023Bridge or browbar secured to lenses without the use of rims with lenses secured to the fixing parts by clamping, luting, soldering, gluing without holes or recesses in th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의하면 렌즈 전후면에 돌출부가 없으며, 유효시야가 우수하고, 제작이 용이한 테두리 없는 타입의 안경 프레임을 얻는다. 안경 렌즈의 코측 테두리면과 관자놀이측 테두리면에 불관통의 구멍을 각각 형성한다. 코측 접촉판과 안경다리측 접촉판에 핀 형상의 돌기부를 각각 형성하고, 이들 돌기부를 불관통의 구멍에 삽입하여 접착제로 고정한 구성이다.

Description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제1도는 안경 렌즈 지지구조의 1실시예를 나타낸 사시도.
제2도는 브리지부의 정면도.
제3도는 단말부재부의 정면도.
제4도는 브리지와 코측 접촉판의 사시도.
제5도는 단말부재와 안경다리측 접촉판의 분해사시도.
제6도는 안경 렌즈의 구멍 뚫기 가공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제7(a)도 제7(b)도는 구멍 뚫기 가공의 방향을 나타낸 도면이며, 제7(a)도는 테두리면에 수직으로 뚫은 예를 나타낸 도면, 제7(b)도는 렌즈면에 평행으로 뚫은 예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돌기부의 구멍에 삽입, 고정하는 방법의 적합한 예를 나타낸 도면.
제9(a)도~제9(c)도는 돌기부에 요철을 만든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제9(a)도는 제1의 예, 제9(b)도는 제2의 예, 제9(c)도는 제3의 예를 나타낸 도면.
제10(a)도, 제10(b)도는 코측의 렌즈 지지부재의 일부인 브리지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제10(a)도는 정면도, 제10(b)도는 평면도.
제11(a)도, 제11(b)도는 브리지와 안경 렌즈간의 연걸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제11(a)도는 제10(a)도, 제10(b)도의 구성을 갖는 브리지와 안경 렌즈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1(b)도는 제4도의 구성을 갖는 브리지와 안경 렌즈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제12(a)도, 제12(b)도는 안경다리측의 렌즈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요소인 핀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제12(a)도는 핀 부재의 원형을 나타낸 도면, 제12(b)도는 핀 부재의 사용시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
제13도는 핀 부재의 부착방법을 나타낸 도면.
제14(a)도, 제14(b)도는 핀 부재를 안경 렌즈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제14(a)도는 정면도, 제14(b)도는 측면도.
제15도는 와셔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
제16(a)도, 제16(b)도는 핀에 와셔를 끼었을 때의 양자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제16(a)도는 와셔의 평면부와 핀이 거의 수직의 관계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제16(b)도는 와셔의 평면부와 핀이 기울어진 관계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
본 발명은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특히 테두리 없는 타입의 안경에 적용하기에 아주 적합한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에 관한 것이다.
근년에 시야의 넓음이나 경량성의 이점 등으로 인해 테두리 없는 타입의 안경이 주목되어지고 있다. 이와 같은 테두리 없는 타입의 안경으로서는 반-테두리 없는 안경이라 불리우는 렌즈 하부주위를 나일론사로 두르는 타입과, 렌즈에 나사용 구멍을 관통 형성하고 이 구멍에 끼워지는 나사로 멈추게 하는 투 포인트(two-point) 또는 스리 피스(three piece)라 불리우는 타입의 2종류가 있다. 전자의 타입의 렌즈 지지구조는 렌즈 상부주위를 금속으로 구성하고, 하부는 렌즈 주위에 홈을 형성하여 나일론사를 이 홈에 삽입하여 양단을 렌즈 상부의 금속부에 이어서 렌즈를 두르는 구성을 취하고 있다. 한편 후자의 타입의 렌즈 지지구조는 렌즈의 좌우주위의 테두리에 치우쳐서 1.4mm/e 정도의 나사용 구멍을 뚫어, 이 작은 구멍을 이용하여 렌즈를 브리지, 단말부재, 렌즈 멈추개 등의 렌즈 지지부재에 나사 멈춤하고 있다(예:일본국 실개평 4-63419호 공보, 특개소 63-6521호 공보 참조).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반-테두리 없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에서는 안경 렌즈를 둥글게 갈 때에는 주위가 평평하게 되도록 둥근 형상으로 깎은 후, 렌즈의 테두리면의 전 둘레에 걸쳐 홈을 파야 하였다. 이 경우에 두께가 엷은 렌즈는 홈을 파는 데 숙련을 요하거나, 또는 홈 내면과 렌즈 외면간의 두께가 엷어져서 안경을 떨어뜨렸을 때 깎이는 일이 있었다.
한편 투 포인트 또는 스리 피스의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에서는 나사용 구멍을 안경 렌즈에 관통 형성하기 때문에 형성시에 나사용 구멍의 출구 주변부분이 깎일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가공이 곤란하였다. 또 나사용 구멍의 형성시에는 렌즈가 갈라질 우려가 있어서, 나사용 구멍을 렌즈 주위의 테두리로부터 떨어지게 하여 형성할 필요가 있었다. 그러나 렌즈주위의 테두리로부터 떨어지게 형성하면 이 나사용 구멍이나 그 지지부가 시야를 방해하는 문제도 있었다. 또한 나사, 너트 등의 렌즈 지지부재가 렌즈의 표면 및 이면에 돌출부를 형성하기 때문에 렌즈면의 더러움을 닦아낼 때에 장애가 되었다.
또 나사용 구멍은 렌즈면에 대해 수직 또는 비스듬히 뚫을 필요가 있었다. 이 렌즈의 구멍 뚫기는 단말부재 부품이나 브리지 부품을 강력하게 고정할 수 있도록 렌즈 테두리로부터 정확한 위치에 할 필요가 있으나, 렌즈는 그 형상이 구면이기 때문에 드릴 날이 렌즈 구면을 따라 미끄러지기 쉬어져서, 그 가공에는 고도의 기술을 요하였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나사나 너트 등의 렌즈 전후면에 돌출하는 부재를 사용함이 없이 확실하게 안경 렌즈를 지지할 수 있으며, 유효시야가 우수하고, 제작이 용이한 테두리 없는 타입의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테두리 없는 타입의 안경에 적용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안경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재가 안경 렌즈와 접촉하는 면에 돌기부를 형성하고, 이 돌기부는 상기 안경 렌즈에 형성된 불관통의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가 제공된다.
또 상기 불관통의 구멍은 상기 안경 렌즈의 테두리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렌즈 지지부재는 돌기부가 안경 렌즈에 형성된 불관통의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됨으로써 안경 렌즈를 지지한다. 이에 따라 나사나 너트 등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지지구조가 얻어지므로 느슨해지거나 흔들거리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안경 렌즈를 지지할 수가 있다. 또 구멍을 관통시키지 않으므로 안경 렌즈가 갈라질 우려도 없어서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렌즈 주위의 테두리면 부근에서 지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효시야가 우수하다.
또한 불관통의 구멍을 안경 렌즈의 테두리면에 형성함으로써 유효시야가 보다 우수해지며, 특히 근거리를 볼 때 사용빈도가 높은 누진 렌즈나 다초점 렌즈에 대해서도 아주 적합하다. 또 이 구성에 의해 렌즈 지지부재의 돌기부를 렌즈 테두리면에 대해 수직 또는 약간 비스듬히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렌즈 표면에 불필요한 돌기를 없앨 수가 있어서, 렌즈면을 닦아내기가 용이해지고, 디자인의 미화도 도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1실시예를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의한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에 1실시예를 나타내는 사시도, 제2도는 브리지부의 정면도, 제3도는 단말부재부의 정면도, 제4도는 브리지부와 코측 접촉판의 사시도, 제5도는 단말부재와 안경다리측 접촉판의 분해 사시도이다. 이들 도면에서 안경 프레임(1)은 좌우의 안경 렌즈(2, 2)간에 배설된 브리지(3)와, 브리지(3)의 양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각 렌즈(2, 2)의 코측 테두리면(2a, 2a)을 각각 지지하는 한쌍의 코측 접촉판(4, 4)과, 각 코측 접촉판(4, 4)의 하단부에 각각 일체적으로 부착된 좌우 한쌍의 패드(5, 5)와, 각 안경 렌즈(2, 2)의 안경다리측 테두리면부(2b, 2b)에 배설된 좌우 한쌍의 단말부재(6, 6)와, 각 단말부재(6, 6)의 전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안경 렌즈(2, 2)의 안경다리측 테두리면부(2b, 2b)를 지지하는 좌우 한쌍의 안경다리 접촉판(7, 7)과, 각 단말부재(6, 6)의 후단에 경첩(9, 9)을 통해서 개폐자재하게 연결된 좌우 한쌍의 안경다리(8, 8) 등을 갖추고 있다.
안경 렌즈(2, 2)는 유리, 플라스틱(합성수지) 등을 재료로 하고 있다. 합성수지제 렌즈의 경우에는 디에틸렌글리콜아릴카보네이트(CR-39) 또는 그 혼합계로 된 공중합체 등의 아릴계 렌즈, 폴리카보네이트계 렌즈, 아크릴계 렌즈, 비스페놀 A 유도체계 렌즈, 폴리우레탄계 렌즈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의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에 바람직스러운 것은 폴리우레탄계 렌즈로서, 내충격성, 인장강도 등이 우수하다. 폴리우레탄계 렌즈는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티올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으로서, 일본국 특히 제1879252호, 동 1850838호, 특공평 4-58489호에 개시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폴리우레탄게 렌즈는 본 형태의 렌즈 지지부재(브리지(3), 코 접촉판(4, 4)등)와의 결합부분의 강도가 강하고, 접착제 등의 내용재성이 우수하다.
또 유리제 렌즈의 경우에는 일반적인 무기 유리가 사용된다.
브리지(3)의 재질로서는 Ti 또는 Ti 합금, 철게 합금, 양은, 모넬, 하이니켈, 스테인리스 등의 니켈 합금, 또는 브론스나 베릴륨동 등의 동 합금의 금속재료나 폴리아미드, PAS, PES 등의 수지 등이 사용된다. 브리지(3)와 안경 렌즈(2, 2)의 고정은 코측 접촉판(4, 4)를 통해서 이루어진다.
코측 접촉판(4, 4)은 안경 렌즈(2, 2)의 코측 테두리면(2a, 2a)의 상측 각부를 지지하는 렌즈지지부재이고 브리지(3)와 거의 직각방향으로 향하도록 그 중심부분이 브리지(3)의 각 단부에 형성되어 있다. 또 코측 접촉판(4, 4)와 브리지(3)는 동일 재료로 일체로 형성해도 좋고 별개로 형성하여 땜납 등으로 접합하여도 좋다.
또한 코측 접촉판(4, 4)의 외측면은 안경 렌즈(2)의 코측 테두리면(2a, 2a)에 밀착하도록 만곡 형성됨과 동시에 핀 형상의 돌기부(13, 13, 13, 13)가 각각 2개씩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13, 13, 13, 13)는 안경 렌즈(2)의 테두리면(2a, 2a)에 거의 수직 또는 비스듬히 형성된 불관통의 구멍(14)에 삽입, 고정됨으로써 렌즈(2, 2)를 지지한다. 돌기부(13, 13, 13, 13)의 삽입, 고정시에는 돌기부(13, 13, 13, 13)를 구멍(14, 14, 14, 14)에 삽입하고, 그 삽입시에 접착제를 첨가함으로써 코측 접촉판(4, 4)과 안경 렌즈(2, 2)간의 결합을 보다 강고하게 한다. 또 접착제의 사용은 구멍(14, 14, 14, 14)의 형성시에 발생한다고 생각되는(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는다) 구멍주변의 미세한 균열이나 광학적 왜곡 등에 대해 보완적인 작용이 있다고 추정되어 바람직하다.
여기서 사용되는 접착제로서는 에폭시계(예를 들어 스리본드사제), 아크릴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예를 들어 스리본드사제), 혐기성계(예를 들어 록타이트사제)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에폭시계의 것은 렌즈 재료에 상관없이 접촉효과가 우수하다. 또 접착제를 사용할 때의 점도는 25℃에서 3000포아스 정도의 저 점도로 투명성이 높은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저 점도의 것은 기포의 발생이 적으며, 작업성이 우수하다. 또한 안경 렌즈(2)에 아크릴계 렌즈를 사용할 경우에는 이 아크릴계 렌즈는 일반적으로 특정의 용재에 대해 강하지 않으므로, 접착제에는 에폭시계의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에폭시계의 것이라도 2액성의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특별한 가열경화특성을 갖지 않으며, 상온에서 반응하고,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돌기부(13, 13, 13, 13)를 각 코측 접촉판(4, 4)에 2개씩 형성한 예를 나타내었으나, 그 수, 길이, 형상 등은 임의이다. 그리고 구멍(14)의 형상도 동그라미, 4각, 3각 등 임의로 설정할 수 있다.
코측 접촉판(4, 4)의 이면 하단부에는 패드 다리(15, 15)의 상단이 납땜등으로 접속되어 있으며, 이 패드 다리(15, 15)의 하단에 일체적으로 형성된 패드함(16, 16)에 패드(5, 5)의 패드함 심(도시하지 않음)이 나사(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신축자재하게 연결되어 있다. 또한 제1도에서는 한 쪽의 패드 다리(15) 및 패드함(16)만이 도시되어 있다.
단말부재(6, 6)은 브리지(3), 코측 접촉판(4, 4)과 동일 금속재료, 또는 폴리아미드, PAS, PES 등의 수지에 의해 평면 보기 L자형으로 구부러져서 형성되어 있다. 이 단말부재(6, 6)의 전단에는 안경다리 접촉판(7, 7)이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후단부 내측면에는 경첩(9, 9)을 구성하는 한쌍의 경첩편(17)(제5도 참조)이 일체로 돌설되어 있다. 또 경첩편(17)의 중앙에는 나사가 끼워지는 나사 구멍(18)이 형성되어 있다.
단말부재(6, 6)와 안경 렌즈(2, 2)의 고정도 브리지(3)와 안경 렌즈(2, 2)의 연결구조와 마찬가지로 안경다리 접촉판(7, 7)을 통해서 이루어진다. 안경다리 접촉판(7, 7)은 안경 렌즈(2, 2)의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b)의 상부 각도를 지지하는 부재이다. 이 때문에 안경다리 접촉판(7, 7)은 변형강도에 견디는 강성을 갖는 것이 요구되는 데, 본 실시예에서는 하이니켈재(니켈 85%, 크롬 10%, 기타 동등)를 사용하여 상하방향으로 긴 판상체로 형성되어, 단말부재(6, 6)의 전단부에 납땜 등에 의해 일체적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 안경다리 접촉판(7, 7)의 표면, 즉 안경 렌즈(2, 2)의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b, 2b)에 밀접하는 면에는 핀 형상의 돌기부(20, 20, 20, 20)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돌기부(20, 20, 20, 20)는 상술한 코측 접촉판(4, 4)의 돌기부(13, 13, 13, 13)와 마찬가지로 안경 렌즈(2, 2)의 외측 테두리면(2b, 2b)에 형성된 불관통의 구멍(21, 21, 21, 21)에 삽입되어,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에 따라 안경 렌즈(2, 2)를 지지하고 있다.
다음에 이와 같은 구성의 안경 프레임(1)의 안경 렌즈(2)에 대한 구멍 뚫기 가공의 절차의 일례를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안경 렌즈(2)에는 그 코측 테두리면(2a) 및 안경다리측 테두리면(2b)에 구멍 뚫기 가공을 실시할 필요가 있다. 물론, 안경 렌즈(2)를 정확히 지지하여 수치제어의 범용 밀링기를 이용하여 이 구멍 뚫기 가공을 할 수도 있으나, 이들 설비는 고가이어서, 일반 안경점에서 이와 같은 대규모의 기계를 설치한다는 것은 무리이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안경 렌즈(2)의 구멍 뚫는 위치에 구멍 뚫이 가이드(25)를 붙이고, 이 구멍 뚫기 가이드(25)를 따라 단계식 루머드릴(step-type pivot drill)(26)로 구멍 뚫기 가공을 함으로써 안경 렌즈(2)의 테두리면(2b, 2b)에 각각 구멍(14, 21)을 용이하게 뚫을 수가 있다.
이 경우에 구멍 뚫기 가이드(25)가 안경 렌즈(2)에 접착하는 면(27a)은 안경 렌즈(2)에 구멍을 가공하는 부분의 둥근 커브에 맞추어서 가공되어 있으며, 이 면(27a)에 양면 테이프 등으로 접착기능을 갖게 함으로써 구멍 뚫기 가이드(25)를 안경 렌즈(2)의 소정의 위치에 정확히 접착할 수가 있다. 또 이 구멍 뚫기 가이드(25)에는 코측 접촉판(4)의 돌기부(13)나 안경다리 접촉판(7)의 돌기부(20)의 핀 간격과 같은 간격으로 단계식 루머 드릴(26)의 가이드가 되도록 가이드 구멍(28)이 형성되어 있다.
가공 작업자는 이 구멍 뚫기 가이드(25)를 안경 렌즈(2)의 소정의 위치에 가 접착하고, 구멍 뚫기 가이드(25)에 형성된 가이드 구멍(28)을 따라 단계식 루머드릴(26)의 단부(30)가 가이드(25)에 닿을 때까지 삽입함으로써 구멍 뚫기 가공을 실시한다. 이 때 안경 렌즈(2)에 가공되는 가이드 구멍(14, 21)의 깊이는 단계식 루머드릴(26)의 날 길이 L과 구멍 뚫기 가이드(25)의 높이 h와의 차에 의해 결정된다. 이상과 같은 방법에 의해 가공 작업자는 안경 렌즈(2)의 정확한 위치에 정확한 간격으로 정확한 구멍을 뚫을 수가 있다.
제7(a)도, 제7(b)도는 안경 렌즈(2)에 개구하는 구멍(14, 21)의 방향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실시예에서는 안경 렌즈(2)의 테두리면에 구멍(14, 21)을 형성한다. 이 구멍(14, 21)의 방향은 제7(a)도와 같이 안경 렌즈(2)의 테두리면(2a)(2b)에 대해 수직이어도 좋으나, 이 경우에는 통상 안경 렌즈(2)의 표면 2h는 도면과 같은 블록 커브로 되어 있기 때문에 구멍 뚫기 가공후의 렌즈 후면의 살 두께 i가 엾어져서, 이 부분의 강도가 약해져버린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제7(b)도와 같이 렌즈의 테두리면(2a)((2b))의 구멍(14((21))을 렌즈 표면 2h의 렌즈 커브를 따라 평행하게 경사시켜 형성함으로써 상기 결점을 해소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코측 접촉판(4) 및 안경다리 접촉판(7)에 각각 돌기부(13, 20)를 형성하고, 이들 돌기부(13, 20)를 안경 렌즈(2)의 테두리면(2a, 2b)에 형성한 구멍(14, 21)에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하였으므로 나사나 너트 등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은 지지구조가 얻어져서 느슨해지거나 흔들거리지 않고 확실하게 안경 렌즈(2)를 지지할 수가 있다. 또 구멍(14, 21)을 관통시키지 않으므로 안경 렌즈(2)가 갈라질 우려도 없어서 제작이 용이해질 뿐 아니라, 렌즈 주위의 테두리 부근의 지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효시야갸 우수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구멍(14, 21)을 안경 렌즈(2)의 테두리면(2a, 2b)에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유효시야가 보다 우수해져서, 특히 근거리를 볼 때 사용빈도가 높은 누진 렌즈나 다초점 렌즈에 대해 아주 적합하다. 또 이 구성에 의해 렌즈 지지부재의 돌기부를 렌즈 테두리면에 대해 수직 또는 약간 비스듬히 삽입하여 고정하게 되므로 렌즈 표면에 불필요한 돌기를 없앨 수가 있어, 렌즈면을 닦아내기가 쉬워지고, 디자인의 미화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설명에서는 돌기부(13)((20))를 구멍(14)((21))에 삽입하도록 하였으나, 이때 접착제를 첨가하면 높은 결합력을 얻을 수가 있다. 접착제의 첨가방법에는 구멍(14)((21))에 접착제를 넣는 방법, 돌기부(13)((20))에 접착제를 바르는 방법, 또는 이들을 조합하는 방법 등을 생각할 수 있으나, 하기에 나타낸 방법이 보다 우수하다.
제8도는 돌기부(13)((20))의 구멍(14)((21)에 대한 삽입, 고정방법의 가장 적합한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구멍(14)((21))에는 미리 접착제(30)(에폭시계의 것)를 구멍(14)((21))의 개구부 부근까지 충전해 두고, 이 상태에서 돌기부(13)((20))를 구멍(14)((21))에 삽입하여 여분의 접착제(30)를 밖으로 밀어내고, 그것을 닦아내는 등 하여 제거한다. 이와 같이 해서 구멍(14)((21))내의 접착제(30)가 굳어지면 돌기부(13)((20))은 구멍(14)((21))에 고정된다. 이와 같이 접착제(300를 충전한 상태에서 돌기부(13)((20))를 삽입함으로써 접착부분에 접착제의 중합 수축에 의한 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여 보다 높은 접착강도가 얻어짐과 동시에 미관도 우수하다.
또 돌기부(13)((20))의 형상에 대해서도 단순히 핀 형상이 아니고, 표면에 요철을 형성함으로써 보다 결합력을 높일 수가 있다.
제9도는 돌기부(13)((20))에 요철을 형성한 예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제1도의 예, (b)는 제2도의 예 (c)는 제3도의 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제9(a)도의 예에서는 돌기부(13)((20))의 표면에 1개의 환상 홈(41)이 형성되어 있다. 제9(b)도의 예에서는 비스듬한 환상 홈(42)이 거의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제9(c)의 예에서는 환상 홈(43)이 거의 등간격으로 복수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현상의 요철이라도 좋다.
다음에 코측의 렌즈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도는 코측의 렌즈 지지부재의 일부인 브리지의 다른 실시예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정면도, (b)는 평면도이다. 본 실시예의 브리지(50)에는 좌우에 각각 기대(51, 51)가 형성되어 있다. 이 기대(51, 51)에는 각각 2개의 코측 접촉판(52, 52, 52, 52)이 형성되어 있다. 또 이들 코측 접촉판(52, 52, 52, 52)에는 핀 형상의 돌기부(53, 53, 53, 53) 및 돌기부(53, 53, 53, 53)는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으며, 코측 접촉판(52, 52, 52, 52)은 기대(51, 51)에 납땜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브리지(50)의 재질로서는 Ti 또는 Ti 합금, 철게 합금, 양은, 모넬, 하이니켈, 스테인리스 등의 니켈 합금, 또는 브론스나 베릴륨동 등의 동 합금의 금속재료나, 폴리아미드, PAS, PES 등의 수지 등이 사용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브리지(50)는 상술한 브리지(3)와 마찬가지로 그 돌기부(53, 53, 53, 53)가 안경 렌즈(2, 2)의 각 구멍(14, 14, 14, 14)에 삽입, 고정된다. 이 삽입, 고정의 방법은 제8도에 설명한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 돌기부(53, 53, 53, 53)는 제9도에 나타낸 형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안경 렌즈(2, 2)에 대한 삽입각도는 제7(b)도와 같이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브리지(50)에서는 돌기부(53, 53, 53, 53)와 대응하는 코측 접촉판(52, 52, 52, 52)를 형성하도록 하였으므로 돌기부(53, 53, 53, 53) 및 코측 접촉판(52, 52, 52, 52)을 일체로 형성하고나서 브리지(50)의 기대(51, 51)에 부착시킬 수가 있다. 이에 따라 돌기부(53, 53, 53, 53)의 방향이나 부착위치의 미세조정이 간단하고, 정확하게 이루어지기 때문에 작업효율이 향상한다.
또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하기에 설명하는 안경 렌즈 교환시의 브리지(50)와 안경 렌즈(2)의 때어내기 작업이 용이해진다.
제11도는 브리지와 안경 렌즈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제10도의 구성을 갖는 브리지(50)와 안경 렌즈(2)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 (b)는 제4도의 구성을 갖는 브리지(3)와 안경 렌즈(2)간의 연결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안경 렌즈를 교환하기 위해 브리지(50)와 안경 렌즈(2)를 떼어낼 경우에는 브리지(50)의 돌기부(53, 53)를 안경 렌즈(2)의 구멍(14, 14)으로부터 빼낼 필요가 있다. 이는 브리지(3)에 대해서도 마찬가지이다.
빼내는 경우에는 코측 접촉판(52, 52)(4)과 안경 렌즈(2)의 테두리면(2a)의 틈 사이에 선단이 쐐기형인 빼내는 막대(60)를 삽입하여 지레의 원리를 이용하여 브리지(50)나 브리지(3)를 상하방향으로 흔들리게 하여 빼낸다. 이 때 브리지(50)에서는 코측 접촉판(52, 52)이 작용점이 되므로 안경 렌즈(2)의 구멍(14, 14)의 개구분에 대한 가중이 경감된다. 따라서 개구부가 깎인다거나 하는 일이 방지된다.
또 브리지(50), 브리지(3)를 빼낼 때 빼내는 막대(60)의 선단을 삽입하기 곤란한 경우에는 초음파 발진기의 끝에 빼내는 막대(60)를 부착하고, 이 빼내는 막대(60)의 선단을 초음파 진동시킴으로써 삽입을 용이하게 할 수가 있다.
다음에 안경다리측 렌즈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2도는 안경다리측 렌즈 지지부재의 다른 실시에의 구성요소인 핀 부재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이며, (a)는 핀 부재의 원형을 나타낸 도면, (b)는 핀 부재 사용시의 형상을 나타낸 도면이다. 핀 부재(70)의 재질로서는 예를 들어 하이니텔재가 사용된다. 핀 부재(70)는 본체부(71)의 양단이 테이퍼부(73, 73)를 통해서 본체부(71)보다 지름이 작아지도록 형성되고, 이 가늘게 형성된 부분이 핀(72, 72)(돌기부)으로 되어 있다. 핀(72, 72)은 그 길이 및 지름이 안경 렌즈(2)의 구멍(21, 21)의 깊이 및 내경과 각각 거의 같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핀(72, 72)의 중간부분에는 환상 홈(74, 74)이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은 핀 부재(70)는 제12(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U자형으로 구부러짐으로써 핀(72, 72)을 서로 거의 평행이 되게 하여 안경 렌즈(2)의 구멍(21, 21)에 삽입, 고정된다.
제13도는 핀 부재(70)의 부착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핀 부재(70)의 본체부(71)에는 L자형의 단말부재(80)가 납땜 등으로 접합된다. 이 단말부재(80)가 접합된 핀 부재(70)는 핀(72, 72)에 각각 와셔(90, 90)를 테이퍼부(73, 73)의 위치까지 끼우고, 그 상태에서 핀(72, 72)을 안경 렌즈(2)의 테두리면(2b)의 구멍(21, 21)에 삽입하여 접착제로 고정한다. 이 때 핀(72, 72)은 그 환상 홈(74, 74)의 작용에 의해 보다 강력하게 고정되어 있다. 그리고 이 삽입, 고정의 작업에는 제8도에 나타낸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4도는 핀 부재(70)를 안경 렌즈(2)에 부착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정면도, (b)는 측면도이다. 여기서는 와셔(90, 90)가 제10도, 제11도에 나타낸 코측 접촉판(52)의 작용을 가지며, 이 와셔(90, 90) 및 핀 부재(70)에 의해 안경다리측의 렌즈 지지부재가 구성되어 있다. 핀 부재(70)를 안경 렌즈(2)로부터 빼낼 경우에는 와셔(90, 90)가 작용점이 되므로 안경 렌즈(2)의 구멍(21, 21)의 개구부에 대한 가증이 경감된다. 따라서 개구부가 깎이거나 하는 일이 방지된다.
그런데 와셔(90, 90)는 안경 렌즈(2)와의 결합력의 문제로 인해 그 평면부가 테두리면(2b)와 밀착할 수 있도록 할 필요가 있다. 이에 반해 핀 부재(70)의 핀(72, 72)은 제7(b)도와 같이 렌즈면에 평행하게 삽입하는 것이 요구된다. 이 때문에 그와 같은 요구대로 부착시키면 와셔(90, 90)의 평면부와 핀(72, 72)은 직각의 관계가 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와셔(90, 90)의 구조에 대한 고안을 하고 있다.
제15도는 와셔(90, 90)의 구성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또 제16도는 핀(72)에 와셔(90)를 끼웠을 때의 양자의 관계를 나타낸 도면이며, (a)는 와셔(90)의 평면부(91, 92)와 핀(72)이 거의 수직의 관계에 있는 경우의 도면, (b)는 와셔(90)의 평면부(91, 92)와 핀(72)이 기울어진 관계에 있는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와셔(90)는 제1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부재(70)측과 렌즈측에서 그 내측면(93, 95)의 지름이 다르게 되어 있다. 내측면(95)은 테이퍼부(94)를 통해서 내측면(93)보다 지름이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내측면(95)은 제16(a)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 부재(70)의 본체부(71)의 지름과 거의 같거나 미소하게 작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 내측면(95)은 그 길이가 핀 부재(70)의 테이퍼부(73)와 거의 같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핀 부재(70)를 와셔(90)의 축심에 따라 삽입하면 테이퍼부(73)와 본체부(71)간의 경계점이 내측면(95)의 단부에 닿는다. 이 때 핀(72)과 테이퍼부(73)간의 경계점 부분은 와셔(90)의 렌즈측 평면부(92)와 거의 일치한다. 따라서 핀(72)은 안경 렌즈(2)의 구멍(21)내에 쓸 데 없는 공간을 두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삽입된다.
한편 안경 렌즈(2)의 구멍(21)의 방향이 테두리면(2b)과 수직의 관계에 있지 않은 경우에는 제16(b)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핀(72)의 방향과 와셔(90)의 평면부(91, 92)도 마찬가지 관계로 된다. 와셔(90)와 핀 부재(70)의 각 부의 지름의 차나테이퍼부(73, 94)의 작용에 의해 핀 부재(70)는 와셔(90)내에서 어느정도의 각도 범위로 기울일 수가 있다.
따라서 와셔(90)의 렌즈측 내측면(95)을 안경 렌즈(2)의 테두리면(2b)과 밀착시킨 상태에서도 핀(72)을 정확하게 구멍(21)에 삽입할 수가 있다.
또한 제1도~제16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접착제에 의해 돌기부(13, 20) 등을 구멍(14, 21)등에 고정하도록 하였으나, 접착제 대신에 렌즈면측으로부터 구멍을 뚫는 등 하여 보조적인 부재를 삽입하고, 이 보조적인 부재에 의해 돌기부(13, 20) 등을 구멍(14, 21) 등에 고정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에서는 코측 접촉판(4, 4)에 돌기부(13, 13, 13, 13)를 안경다리측 접촉판(7, 7)에 돌기부(20, 20, 20, 20)를 각각 일체로 형성하도록 하였으나, 각 돌기부 대신에 별개의 나사를 사용하도록 하여도 좋다. 예를 들어 코측 접촉판(4, 4)의 돌기부에 나사를 사용할 경우에는 코측 접촉판(4, 4)에 나사를 관통시킬 수 있는 구멍을 뚫어 놓고, 이 구멍에 나사를 삽입하여 제8도에 나타낸 방법으로 나사의 선단측을 안경 렌즈(2)의 구멍(14, 14, 14, 14)에 삽입하여 고정한다. 이 경우에 구멍(14, 14, 14, 14)측에는 암나사를 갖는 수지나 종이 등으로 된 파이프 형상의 부재를 삽입, 고정해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투 포인트 타입의 안경을 예로 들어 설명하였으나, 안경 렌즈(2)의 테두리면 홈 파기 가공을 실시하여 나일론사를 통과시키는, 이른바 반-테두리 없는 안경이라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가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렌즈 지지부재의 돌기부를 안경 렌즈에 형성된 불관통의 구멍에 삽입하여 고정하도록 하였으므로 나사나 너트 등의 부재를 사용하지 않는 지지구조가 얻어지므로 느슨해지거나 흔들거리는 일이 없이 확실하게 안경 렌즈를 지지할 수가 있다. 또 구멍을 관통시키지 않으므로 안경 렌즈가 갈라질 우려도 없어 제작이 용이할 뿐 아니라 렌즈 주위 테두리 부근의 지지가 가능하기 때문에 유효시야가 좋다.
또한 불관통의 구멍을 안경 렌즈의 테두리면에 형성하면 유효시야가 보다 우수해지고, 특히 근거리를 볼 때 사용빈도가 높은 누진 렌즈나 다초점 렌즈에 대해서도 아주 적합하다. 또 이 구성에 의해 렌즈 지지부재의 돌기부를 렌즈 테두리면에 대해 수직 또는 약간 기울게 삽입해서 고정하게 되므로 렌즈 표면에 불필요한 돌기를 없앨 수가 있어서, 디자인의 미화도 도모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대한 원리만을 설명한 것에 지나지 않으나, 당업자에게는 여러 가지 변형이나 변화시킴이 쉬울 것이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구조와 적용례에만 국한되지 않고 적절한 모든 변형이나 d사 기술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의 범주에 포함되는 것으로 간주해야 할 것이다.

Claims (14)

  1. 테두리 없는 타입의 안경에 적용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에 있어서, 안경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재가 안경 렌즈와 접촉하는 면에 돌기부를 만들고, 이 돌기부는 상기 안경 렌즈에 형성된 불관통의 구멍에 삽입되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불관통의 구멍에 접착제에 의해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에폭시계, 아크릴계,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혐기성계중 어느 하나를 선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는 2액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관통의 구멍은 상기 안경 렌즈의 테두리면에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의 지지부재는 좌우의 상기 안경 렌즈를 연결하는 브리지와, 상기 브리지의 양단에 만들어진 코측 접촉판과, 상기 코측 접촉판으로부터 상기 불관통의 구멍내로 삽입되는 돌기부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렌즈 지지부재는 안경다리와 연결되는 단말부재와, 상기 단말부재의 선단에 만들어지고, 상기 불관통의 구멍내에 삽입되는 돌기부가 형성된 핀 부재와, 상기 핀 부재의 돌기부의 부착점 부분에 부착하는 안경다리측 접촉판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핀 부재는 양단부에 상기 돌기부가 형성된 U자 형상의 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에는 요철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돌기부는 상기 렌즈 지지부재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되는 나사부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는 반-테두리 없는 타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안경 렌즈의 재료는 폴리우레탄계, 아릴계, 아크릴계 수지중 어느 하나를 선택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13. 테두리 없는 타입의 안경에 있어서, 안경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재가 안경 렌즈와 접촉하는 면에 돌기부를 만들고, 그 돌기부를 상기 안경 렌즈에 형성된 불관통의 구멍에 삽입하여 고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14. 테두리 없는 안경에 적용되는 안경 렌즈의 지지방법에 있어서, 안경 렌즈에 형성된 불관통의 구멍에 접착제를 충전하고, 상기 안경 렌즈를 지지하는 렌즈 지지부재가 안경 렌즈와 접촉하는 면에 만들어진 돌기부를 상기 접착제가 충전된 불관통의 구멍에 삽입하여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 렌즈의 지지방법.
KR1019950048623A 1994-12-21 1995-12-12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KR0164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863694A JP2854531B2 (ja) 1993-12-21 1994-12-21 眼鏡レンズの保持構造
JP94-318636 1994-12-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507A KR960024507A (ko) 1996-07-20
KR0164009B1 true KR0164009B1 (ko) 1999-05-01

Family

ID=181013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8623A KR0164009B1 (ko) 1994-12-21 1995-12-12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3) US5646706A (ko)
EP (1) EP0718660A1 (ko)
KR (1) KR0164009B1 (ko)
TW (1) TW37172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47800A (en) * 1996-12-13 1998-12-08 Tachibana; Hideaki Lens holding mechanism of spectacles
DE19804428A1 (de) * 1998-02-05 1999-08-19 Wernicke & Co Gmbh Verfahren zum Markieren oder Bohren von Löchern in Brillengläsern und Vorrichtung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DK1127289T3 (da) * 1998-11-04 2005-10-31 Microvision Optical Inc Uindfattet brille
US6682193B1 (en) * 1998-12-30 2004-01-27 Sola International Holdings Ltd. Wide field spherical lenses and protective eyewear
JP3809030B2 (ja) * 1999-04-30 2006-08-16 Hoya株式会社 眼鏡
IT247493Y1 (it) * 1999-09-21 2002-08-22 Sinthesys S R L Occhiale con collegamento migliorato tra lente e struttura di sostegno .
JP3358656B2 (ja) 1999-10-20 2002-12-24 ホーヤ株式会社 眼鏡レンズ穴あけ治具位置決め装置
JP3737957B2 (ja) * 2000-04-25 2006-01-25 Hoya株式会社 リムレス眼鏡
WO2002037169A1 (en) * 2000-10-30 2002-05-10 Sola International, Inc. Wide field spherical lenses and protective eyewear
JP4104304B2 (ja) * 2001-08-03 2008-06-18 増永眼鏡株式会社 レンズ定置性の優れたリムレス眼鏡
CN1539092A (zh) * 2001-08-07 2004-10-20 金炯植 用于无边框眼镜的镜片固定装置
US6752893B2 (en) * 2001-09-28 2004-06-22 Gentex Corporation Rimless spectacles and method for making the same
GB2382665A (en) * 2001-11-07 2003-06-04 Wirral Optical Rimless spectacle frame with nose bridge and arms attached with adhesive
AT411404B (de) 2002-04-03 2003-12-29 Silhouette Int Schmied Ag Vorrichtung zum befestigen eines konstruktionsteiles an einem brillenglas
FR2844062B1 (fr) 2002-08-28 2004-10-15 Timon Lunettes du type sans entourage
FR2849510B1 (fr) * 2002-12-27 2005-04-15 Bacoptic Monture de lunettes
WO2004107021A1 (ja) * 2003-05-30 2004-12-09 Hoya Corporation 眼鏡レンズの保持構造及びその修復方法並びに眼鏡
AU2003304307A1 (en) * 2003-07-03 2005-01-21 Safilo Societa Azionaria Fabbrica Italiana Lavorazione Occhiali S.P.A. Spectacles, in particular of the type without lens-carrying rims
US6877855B2 (en) * 2003-07-08 2005-04-12 Dave Ng Spectacles with peripheral lens support
US6805441B1 (en) * 2003-08-11 2004-10-19 Jorg Schuster Rimless eyewear
FR2865550A1 (fr) * 2003-10-15 2005-07-29 De Hees Herve Allart Lunettes pre-montees pour porteur emmetrope presbyte d'un type morphologique donne
EP1531354A1 (en) * 2003-11-11 2005-05-18 Anders Grove Rimless spectacles and hinge pieces for rimless spectacles
DE102004018080A1 (de) * 2004-04-08 2005-10-27 Rodenstock Gmbh Brillenfassung mit schraubenloser, flächenbündiger Glasbefestigung
WO2006039835A1 (fr) * 2004-10-12 2006-04-20 Jung-Lan Yu Structure de lunettes sans bord et sans boulon
DE102005063312B4 (de) 2005-01-27 2007-08-23 Carl Zeiss Vision Gmbh Transportvorrichtung zum Handhaben von Linsen und Haltevorrichtung für diese
US7086733B1 (en) 2005-04-13 2006-08-08 Robert Bac Three-piece spectacle frame
WO2006123083A1 (en) 2005-05-19 2006-11-23 Revel International Limited Spectacles
US8241297B2 (en) * 2007-04-10 2012-08-14 Intelifuse, Inc. Surgical drill guide for shape memory clamps
JP5052442B2 (ja) * 2007-07-24 2012-10-17 アンガー ヴィルヘルム リムレス眼鏡の製造方法及び該方法で使用するために適したマスク
DE502007003869D1 (de) * 2007-09-28 2010-07-01 Wilhelm Anger Verbindungselement für eine randlose Brille
EP2270575B1 (en) * 2008-04-22 2018-11-14 Hoya Corporation Holding structure for eyeglass lens, eyeglasses, and method of producing eyeglasses
EP2286299B1 (en) * 2008-05-09 2011-12-14 Cristiano Malavasi Fastener for lenses
NL1035471C2 (nl) * 2008-05-26 2009-11-27 Hutter Veiligheid B V Lichtgewicht bril, in het bijzonder veiligheidsbril.
CN103006375B (zh) * 2012-12-28 2015-12-30 中国人民解放军总后勤部军需装备研究所 一种防护眼镜
DE102014105062A1 (de) 2014-04-09 2015-10-15 Inomitec Gmbh & Co. K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direkten Befestigung zumindest eines Bügels, einer Backe und/oder Brücke eines Brillengestells an zumindest einem Brillenglas einer Randlosbrille
AT516930B1 (de) * 2015-03-09 2021-10-15 Silhouette Int Schmied Ag Rahmenlose Brille
DE102016102515A1 (de) * 2016-02-12 2017-08-17 Karl Engelhardt Steglose Brille
WO2019161488A1 (en) * 2018-02-20 2019-08-29 Brent Sheldon Flexible bridge assembly for eyewear and method of assembling flexible eyewear
EP4343412A1 (en) * 2022-09-22 2024-03-27 Haffmans & Neumeister GmbH Fastening assemblies for spectacles and spectacle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588505A (en) * 1949-04-07 1952-03-11 American Optical Corp Ophthalmic lens mounting
FR1049669A (fr) * 1952-01-21 1953-12-31 Creation Optical Co Perfectionnements aux montures de lunettes
FR1068345A (fr) * 1952-12-17 1954-06-24 Lunetterie Soc Ind De Procédé et dispositif de montage de verres de lunette ou de cercles porte-verre en matière plastique sur leur monture
FR1347120A (fr) * 1962-11-12 1963-12-27 Lunetiers Cottet Poichet Soc D Perfectionnements apportés aux montures de lunettes
US3824006A (en) * 1968-04-23 1974-07-16 F Voit Optical spectacles including adhesive bonding means between metal spectacle frames and ophthalmic lenses
US3846017A (en) * 1973-06-08 1974-11-05 B Ferrell Eyeglasses
AT381177B (de) * 1982-04-27 1986-09-10 Schmied Silhouette Brillen Fassung fuer brillenglaeser
DE3429090A1 (de) * 1984-08-07 1986-02-13 Wilhelm St. Moritz Anger Randlose brille zu korrektionszwecken
EP0361547A3 (de) * 1984-08-07 1990-04-11 Eyemetrics-Systems Ag Randlose Brille zu Korrektionszwecken
US4756612A (en) * 1986-05-01 1988-07-12 Hyman Roger L Eyeglass assembly
JPH0731309B2 (ja) 1986-06-26 1995-04-10 ホ−ヤ株式会社 縁なし眼鏡の製造方法
FR2624278A1 (fr) * 1987-12-03 1989-06-09 Jeangirard Claude Lunettes extra-souples
JPH0463419U (ko) 1990-10-13 1992-05-29
EP0561763A1 (de) * 1992-03-16 1993-09-22 SILHOUETTE INTERNATIONAL GESELLSCHAFT m.b.H. Glashalterung für eine Brille
DE9207109U1 (de) * 1992-05-26 1992-07-30 Uvex Winter Optik GmbH, 8510 Fürth Brille, insbesondere Arbeitsschutz- oder Sportbrille
US5544985A (en) * 1994-09-15 1996-08-13 Autodie International Deep bore drilling apparatus with rotatable single tube system
FR2726096B1 (fr) * 1994-10-21 1997-01-03 Robert Bac Monture de lunettes et son procede d'assemblage sur des verres organiques
DK9400456U4 (da) * 1994-12-06 1996-03-06 Finn Nielsen Brill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5646706A (en) 1997-07-08
AU680784B2 (en) 1997-08-07
TW371721B (en) 1999-10-11
USRE37461E1 (en) 2001-12-04
EP0718660A1 (en) 1996-06-26
AU4058695A (en) 1996-06-27
USRE37425E1 (en) 2001-10-30
KR960024507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64009B1 (ko) 안경 렌즈의 지지구조
US6540350B2 (en) Lens holding mechanism for spectacles
JP4350091B2 (ja) 眼鏡レンズの保持構造及びその修復方法並びに眼鏡
KR101280098B1 (ko) 안경렌즈의 유지구조, 안경 및 안경의 제조방법
JP2854531B2 (ja) 眼鏡レンズの保持構造
CA2692537C (en) Rimless eyeglasses
EP1176453B1 (en) Glasses
JP3625107B2 (ja) リムレス眼鏡
JPH0731309B2 (ja) 縁なし眼鏡の製造方法
KR20220010872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JP3447462B2 (ja) 眼鏡レンズの保持構造
KR200390671Y1 (ko) 안경
JP4084792B2 (ja) リムレス眼鏡のレンズ連結構造
KR950019816A (ko) 무테안경에 있어서 안경렌즈 연결구조
KR100399080B1 (ko) 무테안경용 고정치구
JPH04330414A (ja) 縁なし眼鏡用ワッシャー
JPH10282455A (ja) 縁なし眼鏡の結合構造及びその結合構造からなる眼鏡
JP3309258B2 (ja) 縁無し眼鏡の製造方法,縁無し眼鏡フレーム用レンズ間連結部品の製造方法,縁無し眼鏡フレーム用テンプル連結部品の製造方法,および縁無し眼鏡
KR200273935Y1 (ko)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JPH11271688A (ja) 眼鏡部品の取付構造
JP2005241699A (ja) 縁なしメガネ
JPH0933861A (ja) リムレス眼鏡のレンズ止着機構
JPH08136864A (ja) リムレス眼鏡のスクリューレスレンズ連結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2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