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10872A -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 Google Patents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10872A
KR20220010872A KR1020200089541A KR20200089541A KR20220010872A KR 20220010872 A KR20220010872 A KR 20220010872A KR 1020200089541 A KR1020200089541 A KR 1020200089541A KR 20200089541 A KR20200089541 A KR 20200089541A KR 20220010872 A KR20220010872 A KR 202200108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temple
spectacle frame
connector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95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귀애
Original Assignee
권귀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귀애 filed Critical 권귀애
Priority to KR10202000895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10872A/ko
Publication of KR202200108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08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안경테(10)가 구비되고, 안경테(10)의 일측에는 안경테(10)와 함께 절단되어 상하로 분리된 상태에서 안경테(10)에 렌즈(11)를 끼운 후 상하로 절단되어 형성된 체결홈(21)에 안경다리(30)를 위치시켜 체결나사에 의해 상하로 결합고정시켜 안경다리(30)가 설치되는 연결구(20)로 구성되어 안경테(10)에 안경다리(300)를 결합함에 있어 안경다리(30)의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렌즈(11)의 고정도 간편하게 이루어져 안경의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COMBINED STRUCTURE OF EYEGLASS FRAME AND EYEGLASS LEG AND COMBINED METHOD}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결합하기 위한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 안경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로 이루어지고, 안경다리는 다리연결구를 통해 안경테와 그 결합이 이루어진다. 이러한 안경은 안경테와 다리 사이에 장석을 개재하고 각각 용접에 의하여 견실하게 일체로 연결되는 구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근래에는 부분적으로 결합하는 구조를 채용한 안경이 등장하여 조립성의 향상이나 패션의 변화를 가능하게 하려는 시도가 있다.
일반적으로 안경의 안경테는 주로 금속이나 플라스틱 재질로서 제작되며, 안경테에 안경다리를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한다.
최근 들어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결합함에 있어 구조가 간단하면서도 렌즈 역시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으며, 안정적으로 안경테와 안경다리가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에 대한 기술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공개특허공보 제10-2014-0015233호, '안경다리와 안결테의 결합구조'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결합함에 있어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렌즈가 간편하게 고정될 수 있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상기의 목적에 따른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안경테(10)가 구비되고, 안경테(10)의 일측에는 안경테(10)와 함께 절단되어 상하로 분리된 상태에서 안경테(10)에 렌즈(11)를 끼운 후 상하로 절단되어 형성된 체결홈(21)에 안경다리(30)를 위치시켜 체결나사에 의해 상하로 결합고정시켜 안경다리(30)가 설치되는 연결구(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방법에 있어서, 안경테(1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구(20)를 안경테(10)와 함께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형성하는 단계와, 상하로 분리된 연결구(20)의 중단에 형성되는 체결홈(21)에 안경다리(30)의 결합부(31)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안경테(10)에 렌즈(11)를 끼운 후 체결나사에 의해 연결구(20), 결합부(31)에 형성되는 체결공(23)을 체결하여 연결구(20)에 안경다리(30)를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방법에 있어서, 안경다리(3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21)이 형성된 연결구(20)를 안경테(10)의 일측에 고정설치하는 단계와, 안경테(10)의 일측에 설치된 연결구(20)를 안경테(10)와 함께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형성하는 단계와, 상하로 분리된 연결구(20)의 중단에 형성되는 체결홈(21)에 안경다리(30)의 결합부(31)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안경테(10)에 렌즈(11)를 끼운 후 체결나사에 의해 연결구(20), 결합부(31)에 형성되는 체결공(23)을 체결하여 연결구(20)에 안경다리(30)를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안경테에 안경다리를 결합함에 있어 안경다리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를 설치하고 안경테와 연결구를 절단하여 렌즈를 고정한 후 절단된 상하 연결구 사이에 안경다리를 결합함으로써 안경다리의 설치가 용이하면서도 렌즈의 고정도 간편하게 이루어져 안경이 조립이 용이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기 위한 안경테의 도면,
도 2는 안경테에 연결구가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안경테와 함께 절단한 형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상하로 절단된 연결구 사이에 안경다리를 결합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안경테에 결합된 안경다리의 힌지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연결구의 절단면 형상을 도시한 도면,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안경테에 고정설치된 연결구(20)를 절단한 형태를 도시한 것이며, 도 3은 절단된 연결구(20) 사이에 안경다리를 결합하는 형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는 안경테(10)가 구비되고, 안경테(10)의 일측에는 안경테(10)와 함께 절단되어 상하로 분리된 상태에서 안경테(10)에 렌즈(11)를 끼운 후 상하로 절단되어 형성된 체결홈(21)에 안경다리(30)를 위치시켜 체결나사(22)에 의해 상하로 결합고정시켜 안경다리(30)를 설치하는 연결구(20)로 구성된다.
안경테(10) 일측에 고정설치되는 연결구(20)는 도 1에서와 같이 안경테(10)의 일측에 납땜 등에 의해 고정될 수 있으며, 상하 집게 형상으로 이루어져 가운데에 안경다리(3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21)이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20)는 안경테(10)에 고정설치된 상태에서 도 2에서와 같이 가운데부분을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되며, 그에 따라 안경테(10)도 상하로 벌어지게 분리된다.
안경테(10)가 벌어짐에 따라 렌즈(11)를 안경테(10)에 끼우기가 용이해지는 것이며, 도 3에서와 같이 렌즈(11)를 안경테(10)에 끼운 후 연결구(20) 사이에 안경다리(30)를 위치시켜 체결공(23)을 통해 체결나사(22)를 상하로 조립하여 고정시킴에 따라 렌즈(11)와 안경다리(30)의 고정이 한번에 이루어져 안경테(10)의 조립이 용이한 것이다.
안경테(10)에 결합된 안경다리(30)는 체결나사(22)를 기준으로 힌지작동하게 되며,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테(10)와 결합된 안경다리(30)가 별도의 힌지축이 형성되지 않고 체결나사(22)를 기준으로 힌지작동하게 결합된다.
이때, 안경다리(30)에는 절단된 상하 연결구(20) 사이에서 결합되는 결합부(31)와, 결합부(31)의 끝단에 형성되어 안경다리(30)가 반대편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된다.
상기 결합부(31)가 연결구(20)에 의해 형성되는 체결홈(21)에 놓여진 상태로 체결나사(22)가 체결되면서 안경다리(30)가 체결나사(22)를 기준으로 힌지 작동가능하게 설치되며, 힌지작동하는 안경다리(30)가 안경의 착용방향인 일방향으로만 회전하도록 걸림돌기(32)에 의해 반대측으로의 회전은 방지하게 된다.
즉, 안경다리(30)가 반대편으로 회전하는 경우 걸림돌기(32)가 안경테(10)에 걸림으로써 회전되지 않게 되는 것이다.
도 5를 참조하면, 안경다리(30)의 결합을 위해 상하결합되는 연결구(20)의 결합면 하부에는 결합돌기(24)가 형성되고, 상부에는 결합돌기(24)에 맞물려 결합되기 위한 결합홈(25)이 형성된다.
체결나사(22)에 의한 연결구(20)와 안경다리(30)의 체결고정시 크기가 작은 체결나사(22)를 체결하기 위해 연결구(20)의 상하에 형성된 체결공(23)이 수직선상에 놓이도록 맞추기가 어려워 조립과정에서 상당한 노력이 필요해 조립시간이 길어질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체결나사(22)의 조립시간을 줄이기 위해 상하로 분리된 연결구(20)에 형성된 각각의 체결구가 연결구(20)의 상하 결합에 의해 자동으로 수직선상에 놓이도록 연결구(20)의 상하 결합위치가 고정되게 결합돌기(24)와 결합홈(25)을 형성하게 된다.
즉, 연결구(20)의 상하 결합시 하부의 결합돌기(24)가 상부의 결합홈(25)에 맞춤하여 끼워짐으로써 절단된 상하 연결구(20)가 항상 일정한 위치로 상하 결합됨에 따라 상하 체결공(23)의 위치 역시 항상 수직선상에 놓여져 체결나사(22)의 조립성이 용이해지는 것이다.
도 6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로서, 안경다리(30)가 설치되는 안경다리설치부(60)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40)를 안경테(10)의 일측에 안경테(10)와 일체로 형성되게 한다.
안경테(10) 제조시에 안경다리설치부(60)를 결합하기 위한 연결구(40)를 안경테(10)와 일체로 형성하고 가운데를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되게 하며, 안경테(10)가 상하로 분리된 상태에서 안경테(10)에 렌즈(11)를 끼운 후 연결구(40)에 형성된 체결홈(41)에 안경다리설치부(60)를 위치시켜 체결나사(42)에 의해 상하로 결합함으로써 렌즈(11)를 간단히 고정하면서 안경다리설치부(60)의 조립도 용이한 것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로서, 안경테(10)의 일측에 연결구(50)를 납땜 등의 방법으로 고정하게 되며, 이때 연결구(50)에는 안경다리(3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51)이 형성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연결구(50)를 안경테(10)의 일측에 고정설치한 후 안경다리(3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51)을 별로 가공하여 형성하게 되며, 체결홈(51)이 형성된 연결구(50)는 안경테(10)와 함께 가운데 부분을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하게 된다.
안경테(10)가 상하로 분리된 상태에서 렌즈(11)를 안경테(10)에 끼운 후 연결구(50)에 형성된 체결홈(51)에 안경다리(30)를 위치시켜 체결나사를 체결고정하여 렌즈(11)를 고정시킴과 함께 안경다리(30)를 결합하는 것이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특허청구범위 및 그 특허청구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 안경테 (11)-- 렌즈
(20)-- 연결구 (21)-- 체결홈
(22)-- 체결나사 (23)-- 체결공
(24)-- 결합돌기 (25)-- 결합홈
(30)-- 안경다리 (31)-- 결합부
(32)-- 걸림돌기
(40)-- 연결구 (41)-- 체결홈
(42)-- 체결나사
(50)-- 연결구 (51)-- 체결홈
(60)-- 안경다리설치부

Claims (6)

  1.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에 있어서,
    안경테(10)가 구비되고,
    안경테(10)의 일측에는 안경테(10)와 함께 절단되어 상하로 분리된 상태에서 안경테(10)에 렌즈(11)를 끼운 후 상하로 절단되어 형성된 체결홈(21)에 안경다리(30)를 위치시켜 체결나사에 의해 상하로 결합고정시켜 안경다리(30)가 설치되는 연결구(20)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안경다리(30)에는 절단된 상하 연결구(20) 사이에서 결합되는 결합부(31)와, 결합부(31)의 끝단에 형성되어 안경다리(30)가 반대편으로 회전하지 않도록 하는 걸림돌기(32)가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연결구(20)는 안경테(10) 제조시 일체로 성형되어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4. 제1항에있어서,
    연결구(20)는 안경테(10)에 납땜에 의해 고정설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5.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방법에 있어서,
    안경테(10)의 일측에 형성된 연결구(20)를 안경테(10)와 함께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형성하는 단계와,
    상하로 분리된 연결구(20)의 중단에 형성되는 체결홈(21)에 안경다리(30)의 결합부(31)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안경테(10)에 렌즈(11)를 끼운 후 체결나사에 의해 연결구(20), 결합부(31)에 형성되는 체결공(23)을 체결하여 연결구(20)에 안경다리(30)를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방법.
  6.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방법에 있어서,
    안경다리(30)를 결합하기 위한 체결홈(21)이 형성된 연결구(20)를 안경테(10)의 일측에 고정설치하는 단계와,
    안경테(10)의 일측에 설치된 연결구(20)를 안경테(10)와 함께 절단하여 상하로 분리형성하는 단계와,
    상하로 분리된 연결구(20)의 중단에 형성되는 체결홈(21)에 안경다리(30)의 결합부(31)를 위치시키는 단계와,
    안경테(10)에 렌즈(11)를 끼운 후 체결나사에 의해 연결구(20), 결합부(31)에 형성되는 체결공(23)을 체결하여 연결구(20)에 안경다리(30)를 결합하는 단계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방법.
KR1020200089541A 2020-07-20 2020-07-20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KR2022001087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541A KR20220010872A (ko) 2020-07-20 2020-07-20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9541A KR20220010872A (ko) 2020-07-20 2020-07-20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0872A true KR20220010872A (ko) 2022-01-27

Family

ID=800495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9541A KR20220010872A (ko) 2020-07-20 2020-07-20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010872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264B1 (ko) * 2022-11-10 2023-03-14 김춘락 슬라이딩 결합 방식의 조립식 안경테의 결합구조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5233A (ko) 2013-12-31 2014-02-06 (주)시원아이웨어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15233A (ko) 2013-12-31 2014-02-06 (주)시원아이웨어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264B1 (ko) * 2022-11-10 2023-03-14 김춘락 슬라이딩 결합 방식의 조립식 안경테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80017809A1 (en) Eyeglasses
AU2002347897B2 (en) Eyewear assembly with side shields and method of installing same
KR20160051811A (ko) 제거가능한 안경 렌즈 및 프레임 플랫폼
US8752957B2 (en) Detachable eyeglass frame
US5585870A (en) Rimless spectacles with its lenses supported and clipped at three points
US7543930B2 (en) Adaptor for securing eyewear lenses to a fram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JP2003228027A (ja) 取り外し可能に装着されるレンズを有する眼鏡フレーム
US7695133B2 (en) Pair of spectacles with interchangeable lenses
KR20110086212A (ko) 조립이 용이한 안경테
KR20220010872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및 결합방법
KR101786440B1 (ko) 안경 프레임
US9298018B2 (en) Eyewear with lens retention fea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484111B1 (ko) 조립형 안경
JPS60244923A (ja) 金属製眼鏡フレ−ム
KR200273935Y1 (ko) 무테안경의 조립구조
CN219916109U (zh) 一种眼镜架及眼镜
KR200441972Y1 (ko) 와이어 타입 안경테
EP2740005B1 (en) Structural element for eyeglasses, system and procedure for assembling eyeglasses frames and eyeglasses frame
KR20180002777U (ko)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KR200464216Y1 (ko) 안경테의 렌즈고정림 조정용 경첩
KR200195898Y1 (ko) 안경테와 템플을 연결하는 경첩
KR20230068505A (ko)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
KR101988570B1 (ko)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
KR200272462Y1 (ko) 무테안경용 안경렌즈의 결합구조
KR20160046438A (ko) 코 기둥의 교체가 용이한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