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86440B1 - 안경 프레임 - Google Patents

안경 프레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86440B1
KR101786440B1 KR1020170008701A KR20170008701A KR101786440B1 KR 101786440 B1 KR101786440 B1 KR 101786440B1 KR 1020170008701 A KR1020170008701 A KR 1020170008701A KR 20170008701 A KR20170008701 A KR 20170008701A KR 101786440 B1 KR101786440 B1 KR 1017864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end piece
coupling
temple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00870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87040A (ko
Inventor
도지현
Original Assignee
도지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지현 filed Critical 도지현
Publication of KR2017008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870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864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8644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6Collapsib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안경 프레임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은 렌즈가 안착되는 한 쌍의 림을 포함하고 상기 림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엔드피스가 형성되며 상기 림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엔드피스의 끝단까지 횡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엔드피스가 상, 하 분할 가능하되 상, 하 분할된 상기 엔드피스의 서로 마주보는 절개면에는 상, 하 분할된 상기 엔드피스를 결합하는 결합구조가 이중으로 형성되는 프론트유닛, 기둥 형상을 가지며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엔드피스의 끝단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회전유닛, 상기 프론트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템플유닛 및 상기 템플유닛의 끝단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유닛이 상기 템플유닛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유닛이 상기 엔드피스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안경 프레임{EYEGLASSES FRAME}
본 발명은 안경 프레임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며, 프론트유닛과 템플유닛의 결함 시 별도의 힌지나 나사를 요구하지 않는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난시, 근시 등의 시력을 교정하거나 또는 패션을 위한 소품의 하나로서, 착용하게 되는데, 이러한 안경은 안경렌즈를 전체적으로 지지하는 프론트유닛과, 상기 프론트유닛의 양단에 각각 결합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어주는 템플유닛으로 나누어진다. 상기 프론트유닛, 즉, 안경 전면부는 안경렌즈가 끼워지는 한 쌍의 림과 상기 양측 림의 중앙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지와, 상기 림의 양단에 연장된 형태로 절곡 형성되어 상기 림과 템플유닛을 연결하는 엔드피스와, 상기 림의 내측 하단에 각각 부착되어 코를 받쳐주는 코받침으로 구성된다. 상기 림의 소정 부위에는 림락이 용접 결합되는데, 이러한 림락의 가장 일반 적인 형태로서 안경렌즈를 끼울 수 있도록 림과 함께 횡방향으로 절개되어 상하로 분리 가능하게 이루어지고 종 방향으로 나사공이 형성되어 있어 안경렌즈가 림에 끼워진 상태에서 나사에 의해 체결되어 상기 림을 조이면 안경렌즈가 이탈하지 않고 제자리에 고정되는 것이다. 그런데 이와 같은 종래의 안경은 안경렌즈를 조여 고정하는 림락과, 안경테의 프론투부와 템플유닛을 연결하는 힌지가 각각 별도로 구성되어 있어 부품이 많이 소요되고 조립이 번거롭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기 위하여 림으로부터 연장 형성된 엔드피스 내측에 림락과 힌지기능을 겸하는 힌지부재를 용접 결합함과 아울러 종 방향으로 한 쌍의 나사공을 형성하고 상기 힌지 부재를 엔드피스와 함께 횡 방향으로 절개한 후 템플유닛 선단과 연결하여 나사로 체결함에 따라 상기 림을 조여 줌과 동시에 템플유닛을 연결하도록 하는 장치가 고안되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안경은 안경렌즈를 림에 끼운 후 나사로 체결하는 과정에서 안경렌즈가 빠지지 않도록 림의 상하부 가장자리를 손으로 단단히 누르고 있어야 할 뿐 아니라 나사를 나사골에 맞추어 끼우기 위해 신경을 많이 써야하며, 또한 템플유닛 선단을 힌지부재 사이의 홈에 끼운 후 나사로 체결해야 하는 등 조립이 번거롭고 한 쌍의 나사를 체결하기 전까지는 불안정한 상태에서 조립 해야 한다는 불편함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3-0075215호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은 안경 렌즈의 삽입 및 분리가 편리함과 동시에, 상, 하로 절개된 엔드피스가 벌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는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둘째, 본 발명은 별도의 힌지나 나사 없이 프론트유닛과 템플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는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셋째, 본 발명은 별도의 기구 없이 프론트유닛과 템플유닛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는 안경 프레임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는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은 프론트유닛, 회전유닛, 템플유닛 및 결합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프론트유닛은 렌즈가 안착되는 한 쌍의 림을 포함하고, 상기 림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엔드피스가 형성되며, 상기 림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엔드피스의 끝단까지 횡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엔드피스가 상, 하 분할 가능하되, 상, 하 분할된 상기 엔드피스의 서로 마주보는 절개면에는 상, 하 분할된 상기 엔드피스를 결합하는 결합구조가 이중으로 형성된다.
상기 회전유닛은 기둥 형상을 가지며,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엔드피스의 끝단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된다.
상기 템플유닛은 상기 프론트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상기 결합유닛은 상기 템플유닛의 끝단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유닛이 상기 템플유닛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유닛이 상기 엔드피스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된다.
상, 하로 분할된 상기 엔드피스 중 어느 하나에는 절개면에 제 1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절개면에 상기 제 1 돌기와 대응된 제 1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기는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 하로 분할된 상기 엔드피스는 상기 제 1 돌기 및 상기 제 1 수용홈에 의해 쐐기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상, 하로 분할된 상기 엔드피스 중 어느 하나에는 절개면에 제 2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절개면에 상기 제 2 돌기와 대응된 제 2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2 돌기는 중앙부보다 상기 절개면 측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 하로 분할된 상기 엔드피스는 상기 제 2 돌기 및 상기 제 2 수용홈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이중으로 형성되는 상기 결합구조 중 하나는 상기 엔드피스 중 상기 회전유닛에 삽입되는 부분에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회전유닛의 외부에 위치하는 부분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엔드피스의 끝단이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결합유닛의 측면에는 상기 엔드피스의 끝단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홀로부터 상기 템플유닛이 외측으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딩홀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엔드피스는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체결홀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엔드피스부, 상기 삽입부와 상기 엔드피스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와 상기 엔드피스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가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삽입부의 폭은 상기 엔드피스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결합홈, 상기 체결홀의 높이는 상기 삽입부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가이딩홀의 높이는 상기 가이딩부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가이딩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엔드피스부는 상기 결합유닛의 외측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에 의하면 한 쌍의 림의 양 측으로부터 엔드피스의 끝단까지 수평 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안경 렌즈의 삽입 및 분리가 용이하며, 절개부에 의해 상, 하로 분리된 엔드피스가 이중으로 형성된 결합구조에 의해 상, 하 방향 이동 및 전, 후 방향 이동이 제한되어 엔드피스가 벌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에 의하면 템플유닛의 끝단에 마련된 결합유닛에 회전유닛이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며, 회전유닛에 엔드피스의 끝단이 삽입됨으로써 별도의 힌지나 나사 없이 프론트유닛과 템플유닛을 회전 가능하게 결합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에 의하면 결합이나 회전을 위한 힌지나 나사가 필요하지 않으며, 결합유닛, 회전유닛, 프론트유닛이 손으로도 충분히 결합 및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어 별도의 기구 없이 프론트유닛과 템플유닛을 결합 및 분리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아래에서 설명하는 본 출원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뿐만 아니라 위에서 설명한 요약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해서 읽을 때에 더 잘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도면에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본 출원은 도시된 정확한 배치와 수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프론트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엔드피스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상, 하로 분할된 엔드피스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회전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결합유닛을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회전유닛과 결합유닛의 분해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템플유닛과 엔드피스가 결합되기 전 모습을 타나내는 도면;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템플유닛과 엔드피스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템플유닛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템플유닛이 펼쳐져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템플유닛이 접힌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템플유닛을 가압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및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템플유닛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첨부된 도면은 본 발명의 내용을 보다 쉽게 개시하기 위하여 설명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첨부된 도면의 범위로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기술의 구성요소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은 프론트유닛(100), 회전유닛(200), 템플유닛(300) 및 결합유닛(400)을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프론트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유닛(100)은 서로 대칭되도록 형성되어 렌즈가 안착되는 한 쌍의 림(110)을 포함하고, 양측 림(110)의 중앙을 서로 연결하는 브릿비(112)가 형성되며, 그 하단에는 코받침이 형성된다. 그리고, 림(110)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엔드피스(120)가 일체로 형성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엔드피스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엔드피스(120)는 끝단에 형성되어 후술할 회전유닛(200)의 결합홈(210)에 삽입되는 삽입부(121), 체결홀(420)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엔드피스부(122), 삽입부(121)와 엔드피스부(122) 사이에 형성되며 삽입부(121)와 엔드피스부(122)보다 상, 하 방향으로 좁은 폭을 가지는 가이딩부(123)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삽입부(121)의 상, 하 방향 폭은 엔드피스부(122)의 폭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프론트유닛(100)에는 림(110)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엔드피스(120)의 끝단까지 횡방향으로 절개부(120a)가 형성되어 엔드피스(120)가 재료의 탄성에 의해 상, 하 분할된다. 이로써, 절개부(120a)를 중심으로 상, 하 분리된 엔드피스(120)를 벌려 안경 렌즈를 림(110)에 끼울 수 있다. 안경 렌즈를 림(110)에 끼운 후에는 상, 하 분리된 엔드피스(120)를 다시 결합하여 안경 렌즈를 고정한다.
절개부(120a)에 의해 상, 하 분할된 엔드피스(120)의 서로 마주보는 부분에는 절개면이 형성되며, 절개면에는 상, 하 분할된 엔드피스(120)를 결합하는 결합구조가 이중으로 형성된다. 이로써, 상, 하 분리된 엔드피스(120)의 벌어짐을 방지할 수 있다. 이중으로 형성되는 결합구조 중 하나는 삽입부(121)에 형성되며, 나머지 하나는 엔드피스부(122)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상, 하로 분할된 엔드피스의 결합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분리된 엔드피스(120)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 하 분리된 엔드피스(120) 중 어느 하나의 절개면에는 제 1 돌기(125)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절개면에는 제 1 돌기(125)와 대응되는 부분에 제 1 돌기(125)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 1 수용홈(126)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1 돌기(125)는 림(110) 또는 엔드피스(120)의 끝단을 향하여 기울어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돌기(125)와 제 1 수용홈(126)은 쐐기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상, 하 분할된 엔드피스(120)가 제 1 돌기(125)와 제 1 수용홈(126)에 의해 결합 시, 상, 하 분할된 엔드피스(120)의 전, 후 방향 상대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 하 방향 상대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 1 돌기(125) 및 제 1 수용홈(126)은 엔드피스부(122)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 하 분할된 엔드피스(120)를 결합하기 위하여 상, 하 분리된 엔드피스(120) 중 어느 하나의 절개면에는 제 2 돌기(127)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의 절개면에는 제 2 돌기(127)와 대응되는 부분에 제 2 돌기(127)와 대응되는 형상의 제 1 수용홈(126)이 함몰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 2 돌기(127)는 중앙부보다 절개면 측의 폭이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상, 하 분할된 엔드피스(120)의 전, 후 방향 상대이동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 하 방향 상대이동을 방지할 수 있다. 제 2 돌기(127) 및 제 2 수용홈(128)은 삽입부(121)에 형성될 수 있다.
엔드피스(120)의 결합 시에는 제 1 돌기(125)와 제 1 수용홈(126)을 먼저 결합한 호, 제 2 돌기(127)와 제 2 수용홈(128)을 결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결합 구조가 이중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단일 결합구조를 가지는 것에 비하여 결합력이 뛰어난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엔드피스부(122)에 제 1 돌기(125) 및 제 1 수용홈(126)이 형성되고, 삽입부(121)에 제 2 돌기(127) 및 제 2 수용홈(128)이 형성되는 것을 예로 들어 설명 및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상술하는 것과 반대로 형성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회전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한편,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닛(200)은 기둥 형상을 가지며, 일반적으로 회전을 원활하게 하기 위하여 원기둥 형상이 적용될 수 있다. 또한, 회전유닛(200)에는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엔드피스(120)의 끝단, 즉 삽입부(121)가 삽입되는 결합홈(210)이 형성된다. 즉, 엔드피스(120)의 끝단이 결합홈(210)에 삽입됨으로써 상, 하 분할된 엔드피스(120)가 벌어지는 것을 재차 방지할 수 있다. 회전유닛(200)은 프론트유닛(100)과 템플유닛(300) 사이에 배치되어 프론트유닛(100)과 템플유닛(300)의 상대 회전을 가능하게 하는 회전 매개체 역할을 하는 구성요소로서, 후술할 결합유닛(400)에 삽입되어 회전할 수 있다. 결합유닛(400)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템플유닛(300)은 안경 다리에 해당하는 부분으로서, 프론트유닛(100)의 양 측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결합유닛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회전유닛과 결합유닛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템플유닛(300)의 끝단에는 결합유닛(400)이 마련되며, 결합유닛(400)에 회전유닛(200)이 삽입되는 삽입홀(410)이 형성된다. 회전유닛(200)은 삽입홀(410) 내에 삽입되어 엔드피스(120)와 결합된 상태에서 템플유닛(300)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할 수 있다.
결합유닛(400)의 측면에는 회전유닛(200)의 회전에 따라 결합홈(210)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체결홀(420)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결합홈(210)과 체결홀(420)이 연통된 상태에서 엔드피스(120)의 삽입부(121)가 체결홀(420)을 관통하여 결합홈(210)까지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결합유닛(400)의 측면에는 삽입부(121)가 결합홈(210)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종방향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체결홀(420)으로부터 일측으로 연장되는 가이딩홀(430)이 형성될 수 있다. 가이딩홀(430)은 템플유닛(300)이 접힌 상태에서 외측으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그리고, 가이딩홀(430)의 원주방향 길이에 따라 템플유닛(300)이 펼쳐질 수 있는 각도가 한정될 수 있다. 즉, 가이딩홀(430)이 원주방향으로 길게 형성될수록 템플유닛(300)이 펼쳐질 수 있는 각도는 커질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템플유닛과 엔드피스가 결합되기 전 모습을 타나내는 도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템플유닛과 엔드피스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템플유닛의 회전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홈(210)과 체결홀(420)의 높이는 삽입부(121)의 상, 하 방향 폭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210)의 깊이는 체결홀(420)의 전, 후 방향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가이딩홀(430)의 높이는 가이딩부(123)의 상, 하 방향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딩부(123)의 전, 후 방향 길이는 결합유닛(400)의 두께와 같거나 약간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로써, 가이딩홀(430)에 가이딩부(123)가 위치한 상태로 회전유닛(200)이 템플유닛(300)에 대하여 회전하되, 삽입부(121)의 높이가 가이딩홀(430)의 높이보다 높기 때문에 삽입부(121)가 회전유닛(200)으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여 프론트유닛(100)과 템플유닛(300)의 결합 및 분리에 대해 다시 설명하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유닛(200)이 결합유닛(400)에 삽입된 상태에서, 결합홈(210)이 체결홀(420)과 연통된 상태에서 삽입부(121)를 결합홈(210) 및 체결홀(420)과 일직선 상에 위치시킨 후,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삽입부(121)를 체결홀(420)을 통하여 결합홈(210)까지 밀어넣으면 프론트유닛(100)과 템플유닛(300)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삽입부(121)를 결합홈(210) 및 체결홀(420)과 일직선 상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템플유닛(300)을 가압하는데, 이에 대해서는 후술하기로 한다.
삽입부(121)가 결합홈(210)에 삽입된 상태에서 템플유닛(300)을 가압하는 힘을 제거하면 도 10과 같은 상태가 되고, 이 상태에서 도 11과 같이 템플유닛(300)을 회전시키면 회전유닛(200)이 템플유닛(300)에 대하여 상대회전하여, 즉 실질적으로 회전유닛(200)은 회전하지 않지만 템플유닛(300)이 회전유닛(200)의 외주면을 따라 회전하며 템플유닛(300)이 접히거나 펼쳐질 수 있다.
또한, 결합유닛(400) 및 회전유닛(200)에 의해 프론트유닛(100)과 템플유닛(300)이 결합된 상태에서 가이딩부(123)가 체결홀(420)에 위치하도록, 즉 결합홈(210), 체결홀(420) 및 엔드피스(120)가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한 상태에서 결합유닛(400)과 엔드피스(120)에 서로 반대방향으로 당기는 힘을 가하면 삽입부(121)가 결합홈(210) 및 체결홀(420)으로부터 이탈되어 프론트유닛(100)과 템플유닛(300)이 분리될 수 있다.
템플유닛(300)을 귀에 거는 부분은 템플유닛(300)을 펼친 상태에서 약간 내측으로 휘어져 있다. 따라서, 템플유닛(300)을 접으면 귀에 거는 부분이 프론트유닛(100)과 맞닿게 되고, 나머지 부분은 프론트유닛(100)과 이격된 상태를 유지한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템플유닛이 펼쳐져 있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템플유닛이 접힌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템플유닛을 가압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1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프레임의 템플유닛을 분리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내지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론트유닛(100)과 템플유닛(300)의 분리 시에는 삽입부(121)가 체결홀(420)을 통하여 이탈 가능하도록 엔드피스(120)가 체결홀(420) 및 결합홈(210)과 일직선 상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즉, 가이딩부(123)가 체결홀(420)에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템플유닛(300)을 접어 프론트유닛(100)의 배면에 위치시킨 후 템플유닛(300)의 절곡된 부분을 프론트유닛(100) 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템플유닛(300)의 탄성에 의해 템플유닛(300)의 변형이 일어나면서 가이딩부(123)가 체결홀(420)에 위치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템플유닛(300)을 당겨 프론트유닛(100)과 템플유닛(300)을 분리할 수 있다.
한편, 프론트유닛(100)과 템플유닛(300)의 결합 시, 삽입부(121)와 결합홈(210) 및 체결홀(420)을 일직선상에 위치시키기 위해서는 템플유닛(300)을 프론트유닛(100)의 배면에 위치시킨 후 템플유닛(300)의 절곡된 부분을 프론트유닛(100) 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면, 템플유닛(300)의 탄성에 의해 템플유닛(300)의 변형이 일어나면서 삽입부(121)와 체결홀(420), 결합홈(210)이 모두 일직선 상에 위치할 수 있다. 이 상태에서 삽입부(121)를 체결홀(420)을 통하여 결합홈(210)에 밀어넣은 후 템플유닛(300)에 가하던 힘을 제거하면, 도 10과 같이 템플유닛(300)이 원래 상태로 복원되면서 회전유닛(200)이 약간 회전하며, 가이딩부(123)가 가이딩홀(430) 측으로 이동하여 템플유닛(300)의 분리가 방지될 수 있다.
템플유닛(300)을 가압한 상태로 당기지 않는 이상 템플유닛(300)과 프론트유닛(100)이 분리되지 않기 때문에, 안경을 접고 펴는 과정 또는 안경의 사용 중 프론트유닛(100)과 템플유닛(300)이 분리될 가능성은 매우 희박하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 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프론트유닛 110: 림
112: 브릿지 120: 엔드피스
120a: 절개부 121: 삽입부
122: 엔드피스부 123: 가이딩부
125: 제 1 돌기 126: 제 1 수용홈
127: 제 2 돌기 128: 제 2 수용홈
200: 회전유닛 210: 결합홈
300: 템플유닛 400: 결합유닛
410: 삽입홀 420: 체결홀
430: 가이딩홀

Claims (9)

  1. 렌즈가 안착되는 한 쌍의 림을 포함하고, 상기 림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연장된 엔드피스가 형성되며, 상기 림의 양측 끝단으로부터 상기 엔드피스의 끝단까지 횡방향으로 절개부가 형성되어 상기 엔드피스가 상, 하 분할 가능하되, 상, 하 분할된 상기 엔드피스의 서로 마주보는 절개면에는 상, 하 분할된 상기 엔드피스를 결합하는 결합구조가 이중으로 형성되는 프론트유닛;
    기둥 형상을 가지며, 측면으로부터 내부로 연장되어 상기 엔드피스의 끝단이 삽입되는 결합홈이 형성되는 회전유닛;
    상기 프론트유닛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템플유닛; 및
    상기 템플유닛의 끝단에 마련되며, 상기 회전유닛이 상기 템플유닛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는 삽입홀이 형성되며, 상기 회전유닛이 상기 엔드피스와 결합된 상태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성되는 결합유닛;을 포함하며,
    상, 하로 분할된 상기 엔드피스 중 어느 하나에는 절개면에 제 1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절개면에 상기 제 1 돌기와 대응된 제 1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1 돌기는 일측으로 기울어지게 형성되어, 상, 하로 분할된 상기 엔드피스는 상기 제 1 돌기 및 상기 제 1 수용홈에 의해 쐐기 형태로 결합되고, 상, 하로 분할된 상기 엔드피스 중 어느 하나에는 절개면에 제 2 돌기가 돌출 형성되고 나머지 하나에는 절개면에 상기 제 2 돌기와 대응된 제 2 수용홈이 함몰 형성되며 상기 제 2 돌기는 중앙부보다 상기 절개면 측의 폭이 좁게 형성되어 상, 하로 분할된 상기 엔드피스는 상기 제 2 돌기 및 상기 제 2 수용홈에 의해 결합됨으로써 서로 반대되는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 힘이 가해지는 경우에도 견고하게 고정 상태를 유지하며,
    이중으로 형성되는 상기 결합구조 중 하나는 상기 엔드피스 중 상기 회전유닛에 삽입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구조가 상기 회전유닛에 의해 고정되며, 나머지 하나는 상기 회전유닛의 외부에 위치하는 안경 프레임.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의 측면에는,
    상기 결합홈과 연통되는 체결홀이 형성되어, 상기 엔드피스의 끝단이 상기 체결홀을 관통하여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안경 프레임.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유닛의 측면에는,
    상기 엔드피스의 끝단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된 상태로부터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체결홀로부터 상기 템플유닛이 외측으로 펼쳐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딩홀이 형성되는 안경 프레임.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엔드피스는,
    끝단에 형성되어 상기 결합홈에 삽입되는 삽입부;
    상기 체결홀을 제외한 나머지 부분인 엔드피스부;
    상기 삽입부와 상기 엔드피스부 사이에 형성되며, 상기 삽입부와 상기 엔드피스보다 좁은 폭을 가지는 가이딩부;
    를 포함하는 안경 프레임.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부의 폭은 상기 엔드피스부의 폭보다 좁게 형성되는 안경 프레임.
  9.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홈, 상기 체결홀의 높이는 상기 삽입부의 폭과 동일하며, 상기 가이딩홀의 높이는 상기 가이딩부의 높이와 동일하게 형성되어,
    상기 삽입부는 상기 결합홈의 내측에 위치하며, 상기 가이딩부는 상기 가이딩홀 내에 위치하고, 상기 엔드피스부는 상기 결합유닛의 외측에 위치하는 안경 프레임.
KR1020170008701A 2016-01-19 2017-01-18 안경 프레임 KR1017864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6679 2016-01-19
KR20160006679 2016-01-1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040A KR20170087040A (ko) 2017-07-27
KR101786440B1 true KR101786440B1 (ko) 2017-10-18

Family

ID=59428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08701A KR101786440B1 (ko) 2016-01-19 2017-01-18 안경 프레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8644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218A (ko) 2020-12-30 2022-07-07 문경식 안경용 힌지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68086B1 (ko) * 2017-09-27 2019-04-11 박영상 안경테
KR101955149B1 (ko) * 2018-01-19 2019-05-23 손진균 안경경첩
KR102469545B1 (ko) * 2022-04-15 2022-11-21 이태성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8145A1 (en) 2012-03-14 2013-09-19 Bystritsky Felix Screw-less rim lock and hinge eyewea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KR101390038B1 (ko) * 2013-07-24 2014-04-29 주식회사 휴브아이웨어 안경다리 힌지 및 그 결합구조와 결합방법
KR101518133B1 (ko) * 2013-11-26 2015-05-07 김영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3138145A1 (en) 2012-03-14 2013-09-19 Bystritsky Felix Screw-less rim lock and hinge eyewear and assembly method therefor
KR101390038B1 (ko) * 2013-07-24 2014-04-29 주식회사 휴브아이웨어 안경다리 힌지 및 그 결합구조와 결합방법
KR101518133B1 (ko) * 2013-11-26 2015-05-07 김영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96218A (ko) 2020-12-30 2022-07-07 문경식 안경용 힌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87040A (ko) 2017-07-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6440B1 (ko) 안경 프레임
TWI489166B (zh) 眼鏡腿鉸鏈及其結合結構和結合方法
US7695133B2 (en) Pair of spectacles with interchangeable lenses
KR20160046503A (ko) 플라스틱소재 안경테와 금속소재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101647798B1 (ko) 림락 결합장치
US9081207B2 (en) Eyeglasses structures
JP2001228446A (ja) めがねユニットの組み付け方法
US20140125942A1 (en) Temple Folding Structure on a Pair of Eyeglasses
JP7086871B2 (ja) 眼鏡フレームの複数の構成部品を取り付けるための装置およびそのような取付け装置を備える眼鏡
JP3198464U (ja) 半縁なし眼鏡フレームと眼鏡レンズとの連結構造及び眼鏡
KR101099214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200410499Y1 (ko) 무테안경의 렌즈지지구조
US20160231591A1 (en) Eyewear having compression hinges
KR20180127796A (ko) 안경 프레임의 결합 및 분리 방법
US7043796B2 (en) Hinge connector assembly
KR200450246Y1 (ko) 림락과 힌지기능을 가진 안경테 고정수단
KR101870528B1 (ko) 조립형 안경
KR101766264B1 (ko) 조립형 안경
KR200474216Y1 (ko)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KR102571096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101786441B1 (ko) 림락 결합장치의 돌기형 회전 실린더
KR200364408Y1 (ko) 안경다리 조립구조
KR20180002777U (ko)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KR10228931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JP3040986B1 (ja) 眼鏡レンズ止着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