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74216Y1 -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 Google Patents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74216Y1
KR200474216Y1 KR2020140003948U KR20140003948U KR200474216Y1 KR 200474216 Y1 KR200474216 Y1 KR 200474216Y1 KR 2020140003948 U KR2020140003948 U KR 2020140003948U KR 20140003948 U KR20140003948 U KR 20140003948U KR 200474216 Y1 KR200474216 Y1 KR 20047421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rim
tightening
lens
tightening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4000394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광태
Original Assignee
김광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광태 filed Critical 김광태
Priority to KR202014000394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421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421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4216Y1/ko
Priority to PCT/KR2015/004879 priority patent/WO2015178628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02C1/08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the rims being tranversely split and provided with secur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22Leaf sp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에 의하면, 렌즈를 고정하며 코브릿지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렌즈 고정용 림과 상기 림의 양단에서 힌지연결구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된 안경다리를 포함하는 금속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림의 상측 개구단과 하측 개구단에 각각 상측 조임틀과 하측 조임틀이 고정되어 상호간 대면된 상태를 가지고 상기 상측 조임틀과 하측 조임틀이 탄성수단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가 제공된다.

Description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Rim locking structure for metal frame of a pair of spectacles}
본 고안은 금속 안경테 림조임 구조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렌즈가 삽입되는 림을 가지는 금속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림의 상하 조임틀이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확장 및 복원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림에 렌즈의 삽입 및 탈거가 용이하도록 하여 안경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형상과 빛을 감지하는 눈에 장애가 있어 그 기능을 다하지 못하는 것을 보충하여 잘 보이게 하며 보안용이나 선글라스로도 사용하는 것으로 대단히 중요하여 없어서는 안 되는 존재이며 눈으로 보는 매체, TV나 휴대폰 등 미디어가 발전함에 있어 눈을 많이 사용함으로 국민 전체가 시력이 나빠지고 있어 안경 인구가 계속 늘어나고 있는 시점에서 안경을 조립하는 안경사들이 편리하고 정확하게 할 수 있는 안경을 고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주로 사용되는 금속 안경테의 구성은, 렌즈를 고정하는 림(rim)과 림을 연결하는 코브릿지 그리고 림과 다리를 연결하는 엔드피스(endpiece)에 안경 다리가 경첩에 의해 연결된다. 그리고 안경렌즈 삽입은 홈이 있는 림 양쪽 끝단에 장착된 림조임틀의 볼트를 풀어 개방하고 거기에 렌즈를 넣고 림 양쪽에 장착된 림조임틀에 볼트가 나사 결합됨에 따라 이루어진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금속 안경테의 림조임 구조체는, 상기 림 끝 상단과 하단의 조임틀이 볼트에 의해 상호간 결합 및 결합 해제되는 경우 상기 볼트의 사이즈가 작기 때문에 취급이 용이하지 못하여 분실 등의 문제점이 자주 발생되고, 또한, 드라이버 등과 같은 별도의 공구를 이용하여 작은 크기의 볼트를 이에 대응된 작은 크기의 조임공에 삽입시키는 조립 작업이 매우 불편하여 조립성이 현저히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볼트에 의해 림의 조임틀이 상호간 결합되는 경우 장시간 사용시 볼트와 조임공 사이에 유동이 생겨 렌즈가 림으로부터 이탈 및 파손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또한, 안경조립시 렌즈를 확실하게 림에 고정하기 위해서 렌즈를 감싸고 있는 림을 렌즈에 최대한 밀착되도록 볼트 고정하기 때문에 안경에 충격이 가해지면 렌즈가 쉽게 파손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금속 안경테의 림조임 구조체는, 상기 렌즈의 크기가 림의 내경 보다 약간 크게 가공되었을 경우 상기 림에 삽입할 수가 없기 때문에, 상기 렌즈가 림의 내경에 대응되는 크기를 가지도록 재가공되어야 하고 이에 따라 작업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등록실용신안 20-0443382호 등에 조립형 안경이 개시된 바 있다.
여기서, 상기 등록실용신안 20-0443382호 등에 개시된 조립형 안경은, 렌즈테 외측 절단부의 탄력적 벌어짐 작용과 삽입공과 경첩의 결합 작용만으로 렌즈테에 렌즈를 고정됨으로써, 별도의 고정 요소 즉, 종래의 볼트 등을 구성하지 않더라도 렌즈를 고정 할 수 있는 구조를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조립형 안경의 림조임 구조체는, 렌즈를 렌즈테에 삽입하기 위해서는 안경다리를 렌즈테에서 분리하고, 렌즈테를 벌려서 렌즈의 끼움홈에 렌즈를 임시로 고정한 후, 렌즈테의 연결대에 형성되는 삽입공에 경첩판의 경첩을 관통 삽입하여 렌즈테가 임의로 벌어지는 현상을 방지한 상태에서 렌즈가 정상으로 고정되도록 하고 이어서 안경다리의 내측 끝부의 상하 경첩돌기가 경첩공에 끼워져 안경다리가 절첩되도록 하고 있다.
이에, 렌즈를 렌즈테에서 삽입 고정시, 반드시 안경테에서 안경다리와 경첩을 분리해야 하고 또한, 렌즈를 렌즈테에 임시로 끼우고 경첩판의 경첩을 관통 삽입한 후 경첩공에 안경다리를 끼워야 하는 과정이 이루어져야 하기 때문에, 그 과정이 복잡하고 작업 시간 또한,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목적은 림의 상하 조임틀이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확장 및 복원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림에 렌즈의 삽입 및 탈거가 용이하도록 하여 안경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는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고안에 의하면, 렌즈를 고정하며 코브릿지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렌즈 고정용 림과 상기 림의 양단에서 힌지연결구(endpiece)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는 안경다리를 가지는 금속 안경테에 있어서, 상기 림의 상측 개구단과 하측 개구단에 각각 상측 조임틀과 하측 조임틀이 고정되어 상호간 대면된 상태를 가지고 상기 상측 조임틀과 하측 조임틀이 탄성수단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는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 상측 조임틀과 하측 조임틀은, 상기 고정용 림의 상측 개구단과 하측 개구단의 단부에 용접 접합이 용이하도록 개구단의 두께에 대응된 접합홈이 측면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측 조임틀과 하측 조임틀은, 상측 조임틀의 하면에 요홈이 구성되고 하측 조임틀의 상면에 상기 요홈에 대응되는 돌기가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은,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 조임틀의 하면과 하측 조임틀의 상면에 각 단부가 접합 구성되거나,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 조임틀의 상면과 하측 조임틀의 하면에 각 단부가 접합 구성되는 판스프링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은, 상기 하측 조임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상측 조임틀의 하면까지 관통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측 조임틀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측 조임틀의 하면에 걸림되도록 헤드를 가지는 관통축과, 상기 관통축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와 하측 조임틀의 하면 사이에 위치되어 신장 및 압축 동작되는 스프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상측 조임틀은 하면이 개방된 플랫한 박스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측 조임틀은 상면이 개방된 플랫한 박스 형상을 가지며 개방부위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의 돌기가 돌출된 상태에서, 판스프링이 상기 상측 및 하측 조임틀의 상호간 대면시 제공되는 공간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각 단부가 상측 및 하측 조임틀의 대면 부위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상측 조임틀은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측 조임틀은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개방부위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의 돌기가 돌출된 상태에서, 스프링이 상기 상측 및 하측 조임틀의 상호간 대면시 제공되는 공간부에 위치된 상태에서 각 단부가 상측 및 하측 조임틀의 대면 부위에 접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림의 상하 조임틀이 탄성수단에 의해 탄성적으로 확장 및 복원되는 구조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림에 렌즈의 삽입 및 탈거가 렌즈를 림의 일부에 끼워놓고 림을 당긴 후 렌즈를 쉽게 밀어 넣거나 반대로 빼도록 하는 방식에 의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경의 조립성이 향상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에 의해 림의 상하 조임틀이 상호간 대면되려고 하는 복원력을 유지하고 있어 렌즈가 삽입되거나 탈거시 림의 상하 조임틀이 항상 대면되도록 할 수 있어 한번 삽입된 렌즈가 쉽게 림으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고 안경에 충격이 가해지더라도 림의 탄력으로 렌즈가 파손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렌즈의 크기가 림의 내경보다 약간 큰 사이즈를 가지면서 가공되더라도 상기 림에 삽입이 가능하도록 할 수 있어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림 조임틀이 탄성수단에 의해 연결된 상태를 가짐에 따라 종래와 같이 볼트 결합시 발생되는 볼트 유동 문제점이 방지되고 또한, 드라이버 등과 같은 공구가 없이도 조립 작업이 가능하여 안경사에게 안경 조립시 편리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가 적용된 금속 안경테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금속 안경테에 있어서 림의 개구부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
도 3은 도 2의 개구부위를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도 2의 개구부위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가 적용된 금속 안경테에 있어서 림의 개구부위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가 적용된 금속 안경테에 있어서 림의 개구부위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가 적용된 금속 안경테에 있어서 림의 개구부위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4변형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가 적용된 금속 안경테에 있어서 림의 개구부위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가 적용된 금속 안경테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금속 안경테에 있어서 림의 개구부위를 나타낸 분해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2의 개구부위를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개구부위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는, 렌즈(1)를 고정하며 코브릿지(10)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렌즈 고정용 림(20)과 상기 림(20)의 양단에서 힌지연결구(3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사용자의 귀에 걸리는 안경다리(40)를 포함하는 금속 안경테(100)에 있어서, 상기 림(20)의 상측 개구단(21)과 하측 개구단(22)에 각각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이 고정되어 상호간 대면된 상태를 가지고 상기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이 탄성수단(13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여, 상기 림(20)에 렌즈(1)의 삽입 및 탈거시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이 상호간 소정의 탄력을 가지면서 멀어지는 것에 의해 상기 림(20)이 확장되도록 하고, 그 후에는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이 상호간 소정의 탄력에 의해 대면되는 것을 통해 상기 림(20)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한다.
여기서, 상기 금속 안경테(100)에 있어서, 상기 코브릿지(10), 고정용 림(20), 힌지연결구(30) 및 안경다리(40)는, 공지의 재질과 형상 및 구성을 가지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상기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은, 상기 고정용 림(20)의 상측 개구단(21)과 하측 개구단(22)의 단부에 용접 접합 또는 일체로 구성되어 상호간 대면된 상태를 가지고, 상기 림(20)의 개구단(21,22) 중 어느 하나에 연결되는 힌지연결구(30)의 몸체에 의해 상기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이 커버되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조임틀(110,120)의 구성이 정시(正視)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은,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플랫한 형상을 가지고, 상기 고정용 림(20)의 상측 개구단(21)과 하측 개구단(22)의 단부에 용접 접합이 용이하도록 개구단(21)의 두께에 대응된 접합홈(111,121)이 측면에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측 조임틀(110)의 경우 힌지연결구(130:엔드피스)에 용접 연결된 상태를 가질 수도 있다.
상기 탄성수단(130)은, 상기 림(20)의 상측 개구단(21)과 하측 개구단(22)이 상호간 탄성적으로 대면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거나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조임수단으로,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 조임틀(110)의 하면과 하측 조임틀(120)의 상면에 각 단부가 접합 구성되는 판스프링(131)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에 의하면, 상기 림(20)에 렌즈(1)의 삽입 및 탈거시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이 상기 판스프링(131)에 의해 상호간 소정의 탄력을 가지면서 멀어지게 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림(20)의 개구단(21,22)이 약 0.5mm 내지 3mm 정도 확장되도록 하고, 그 후에는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이 상기 판스프링(131)에 의해 상호간 소정의 탄력에 의해 다시 대면되는 것을 통해 상기 림(20)의 개구단(21,22)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즉, 렌즈(1)를 삽입 및 탈거하기 위해 림(20)을 당기면 조임틀(110,120)이 벌어져 림(20)의 크기가 늘어나게 되어 렌즈(1)의 삽입 및 탈거가 용이하고, 렌즈(1)의 삽입 이후에는 조임틀(110,120)이 원상태로 복원되어 렌즈(1)의 외곽을 탄성적으로 계속 조이고 있어 렌즈(1)의 탈착 분리를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종래와 같이, 볼트와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렌즈(1)의 삽입 및 탈거가 간편히 이루어지도록 하여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1변형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가 적용된 금속 안경테에 있어서 림의 개구부위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는, 'V'자 형상을 가지는 탄성수단(130)의 판스프링(131) 각 단부가 상기 상측 조임틀(110)의 하면과 하측 조임틀(120)의 상면에 접합 구성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제1변형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U'자 형상을 가지는 판스프링(131)의 각 단부가 상기 상측 조임틀(110)의 상면과 하측 조임틀(120)의 하면에 접합 구성되도록 하여, 바람직한 실시예에 비해서 상기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의 대면 상태가 보다 밀접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은, 상호간 대면시 결합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측 조임틀(110)의 하면에는 요홈(112)이 구성되고 하측 조임틀(120)의 상면에는 상기 요홈(112)에 대응되는 돌기(122)가 구성되어 요홈(112)의 내면에 돌기(122)가 삽입되는 요철의 암수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6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2변형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가 적용된 금속 안경테에 있어서 림의 개구부위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제1변형예는,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130)이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에 판스프링(131)이 구성되어 상기 조임틀(110,120)들이 상호간 탄성적으로 대면 상태가 해제 및 복원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제2변형예는,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에 있어서 탄성수단(130)이,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하측 조임틀(12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상측 조임틀(110)의 하면까지 관통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측 조임틀(11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측 조임틀(120)의 하면에 걸림되도록 헤드(132a)를 가지는 관통축(132)과, 상기 관통축(132)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132a)와 하측 조임틀(120)의 하면 사이에 위치되어 신장 및 압축 동작되어 상기 림(20)의 상측 개구단(21)과 하측 개구단(22)이 상호간 탄성적으로 대면 상태가 해제되도록 하거나 다시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하는 용수철 타입의 스프링(1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은, 상호간 대면시 결합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도록 상측 조임틀(110)의 하면에는 요홈(112)이 구성되고 하측 조임틀(120)의 상면에는 상기 요홈(112)에 대응되는 돌기(122)가 구성되어 요홈(112)의 내면에 돌기(122)가 삽입되는 요철의 암수구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3변형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가 적용된 금속 안경테에 있어서 림의 개구부위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는, 상기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플랫한 형상을 가지는 상태에서 탄성수단(130)의 판스프링(131)이 조임틀(110,120)의 대면 부위 사이에 각 단부가 접합된 구성을 가지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제3변형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측 조임틀(110)이 하면이 개방된 플랫한 박스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측 조임틀(120)이 상면이 개방된 플랫한 박스 형상을 가지며 개방부위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의 돌기(120a)가 돌출된 상태에서, 판스프링(131)의 각 단부가 조임틀(110,120)의 대면 부위에 접합됨으로써, 조임틀(110,120)의 상호간 대면시 상기 판스프링(131)이 수용되는 공간부(130a)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판스프링(131)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상기 하측 조임틀(120)의 돌기(120a)가 상측 조임틀(120)의 개방부위 내부로 가이드 되도록 하여 상기 판스프링(131)의 탄성에 의해 확장 후 복원시 상호간 대면시 결합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제4변형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가 적용된 금속 안경테에 있어서 림의 개구부위의 작용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고안의 제3변형예의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는, 상기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이 소정의 면적을 가지는 플랫한 형상을 가지는 상태에서 판스프링(131)에 의해 상호간 대면 상태가 해제되거나 복원되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본 고안의 제4변형 예에 따른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는, 상기 상측 조임틀(110)이 하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고, 상기 하측 조임틀(120)이 상면이 개방된 원통 형상을 가지며 개방부위의 상측으로 소정 높이의 돌기(120a)가 돌출된 상태에서, 용수철 타입의 스프링(133)의 각 단부가 조임틀(110,120)의 대면 부위에 접합됨으로써, 조임틀(110,120)의 상호간 대면시 상기 스프링(133)이 수용되는 공간부(130a)를 가지도록 하여, 상기 조임틀(110,120)의 구성이 하나의 장식으로 활용되도록 함과 동시에, 상기 스프링(133)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하여 미관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상기 하측 조임틀(120)의 돌기(120a)가 상측 조임틀(120)의 개방부위 내부로 가이드 되도록 하여 상기 스프링(133)의 탄성에 의해 확장 후 복원시 상호간 대면시 결합 상태가 보다 안정적으로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의하면, 상기 림(20)에 렌즈(1)의 삽입 및 탈거시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이 상기 탄성수단(130)에 의해 상호간 소정의 탄력을 가지면서 멀어지게 되는 것을 통하여 상기 림(20)의 개구단(21,22)이 약 0.5mm 내지 3mm 정도 확장되도록 하고, 그 후에는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이 다시 탄성수단(130)에 의해 상호간 소정의 탄력에 의해 대면되는 것을 통해 상기 림(20)의 개구단(21,22)이 원상태로 복원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종래와 같이, 볼트와 드라이버 등을 사용하지 않고도 렌즈(1)의 삽입 및 탈거가, 이루어지도록 하여 안경의 조립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이를 통하여, 상기 렌즈(1)의 사이즈가 림(20)의 내경 보다 약간 크게 가공된다고 하더라도 다시 렌즈(1)를 별도로 가공하지 않고도 해당 림(20)에 삽입이 가능하고 이때, 상기 림(20)의 개구단(21,22) 또는 조임틀(110,120)이 소정 간격 이격된 상태를 가지면서 대면되더라도 힌지연결구(30)의 몸체에 의해 상기 조임틀(110,120)이 커버되어 정면에서 바라볼 때 조임틀(110,120)의 구성이 정시(正視)되지 않도록 할 수 있어 미관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고 조립성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수단(130)에 의해 상기 림(20)에는 항상 안으로 조여지는 탄력이 발생 하고 있기 때문에, 렌즈(1)가 림(20)으로부터 탈거 되지 않고 안경테에 충격이 가해저도 그 탄력으로 렌즈(1)의 파손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한 본 고안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여러 가지 변형이 본 고안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실시될 수 있다. 따라서 고안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정할 것이 아니고 청구 범위와 청구 범위의 균등한 것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7)

  1. 렌즈(1)를 고정하며 코브릿지(10)에 의해 연결되는 한 쌍의 렌즈 고정용 림(20)과 상기 림(20)의 양단에서 힌지연결구(30)를 통해 회동 가능하게 조립되어 사용자의 귀에걸리는 안경다리(40)를 포함하는 금속 안경테(100)에 있어서,
    상기 림(20)의 상측 개구단(21)과 하측 개구단(22)에 각각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이 고정되어 상호간 대면된 상태를 가지고 상기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이 탄성수단(130)에 의해 연결되도록 하며,
    상기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은,
    상측 조임틀(110)의 하면에 요홈(112)이 구성되고 하측 조임틀(120)의 상면에 상기 요홈(112)에 대응되는 돌기(122)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측 조임틀(110)과 하측 조임틀(120)은,
    상기 고정용 림(20)의 상측 개구단(21)과 하측 개구단(22)의 단부에 용접 접합이 용이하도록 개구단(21)의 두께에 대응된 접합홈(111,121)이 측면에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130)은,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 조임틀(110)의 하면과 하측 조임틀(120)의 상면에 각 단부가 접합 구성되거나,
    절첩된 상태에서 상기 상측 조임틀(110)의 상면과 하측 조임틀(120)의 하면에 각 단부가 접합 구성되는 판스프링(13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수단(130)은,
    상기 하측 조임틀(120)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상측 조임틀(110)의 하면까지 관통된 상태에서 일단이 상측 조임틀(110)의 하면에 고정되고 타단이 하측 조임틀(120)의 하면에 걸림되도록 헤드(132a)를 가지는 관통축(132)과,
    상기 관통축(132)이 관통된 상태에서 상기 헤드(132a)와 하측 조임틀(120)의 하면 사이에 위치되어 신장 및 압축 동작되는 스프링(13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6. 삭제
  7. 삭제
KR2020140003948U 2014-05-23 2014-05-23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KR200474216Y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948U KR200474216Y1 (ko) 2014-05-23 2014-05-23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PCT/KR2015/004879 WO2015178628A1 (ko) 2014-05-23 2015-05-15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40003948U KR200474216Y1 (ko) 2014-05-23 2014-05-23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4216Y1 true KR200474216Y1 (ko) 2014-08-29

Family

ID=52000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40003948U KR200474216Y1 (ko) 2014-05-23 2014-05-23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0474216Y1 (ko)
WO (1) WO201517862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810B1 (ko) * 2021-10-26 2022-05-12 주식회사 포스타즈 안경테 구조체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9593A (ja) 1998-07-23 2000-02-08 Fukui Megane Kogyo Kk フルリム眼鏡枠
KR200443382Y1 (ko) 2008-07-01 2009-02-09 이상탁 조립형 안경
KR20100010777U (ko) * 2009-04-24 2010-11-03 구본석 안경의 조립구조
KR20140015233A (ko) * 2013-12-31 2014-02-06 (주)시원아이웨어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39593A (ja) 1998-07-23 2000-02-08 Fukui Megane Kogyo Kk フルリム眼鏡枠
KR200443382Y1 (ko) 2008-07-01 2009-02-09 이상탁 조립형 안경
KR20100010777U (ko) * 2009-04-24 2010-11-03 구본석 안경의 조립구조
KR20140015233A (ko) * 2013-12-31 2014-02-06 (주)시원아이웨어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6810B1 (ko) * 2021-10-26 2022-05-12 주식회사 포스타즈 안경테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178628A1 (ko) 2015-11-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895B2 (en) Eyeglasses structure
US7517082B2 (en) Eyeglass assembly
TWM434949U (en) Glasses
KR100597298B1 (ko) 스프링 힌지가 달린 클립 안경
TWI489166B (zh) 眼鏡腿鉸鏈及其結合結構和結合方法
KR101572099B1 (ko) 안경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US20070091253A1 (en) Combination of eyeglasses and attachment glasses
US20070132938A1 (en) Foldable lens assembly
US7108372B2 (en) Eyeglasses assembly with elastic temples
KR101786440B1 (ko) 안경 프레임
US5473395A (en) Foldable elastic temple for spectacles
KR200448810Y1 (ko) 안경테 조립 구조
KR200474216Y1 (ko)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US9298018B2 (en) Eyewear with lens retention feature and method of manufacture
US5896186A (en) Eyeglass assembly having pivotable receiving means
KR101469366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JP3356787B2 (ja) メガネフレームのリムロック及びメガネフレーム
KR101099214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US7043796B2 (en) Hinge connector assembly
KR200477414Y1 (ko) 금속 안경테용 림조임 구조체
KR101699302B1 (ko) 금속 안경테용 림
JP2002268018A (ja) 前掛眼鏡取付装置
KR20190026195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US9715128B2 (en) Connecting structure for spectacle temples
US11029533B2 (en) Glasses with hinge structure with temple clip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0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61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