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9545B1 -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9545B1
KR102469545B1 KR1020220047112A KR20220047112A KR102469545B1 KR 102469545 B1 KR102469545 B1 KR 102469545B1 KR 1020220047112 A KR1020220047112 A KR 1020220047112A KR 20220047112 A KR20220047112 A KR 20220047112A KR 102469545 B1 KR102469545 B1 KR 10246954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inge
press
assembly
shoulder
cor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471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태성
Original Assignee
이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태성 filed Critical 이태성
Priority to KR10202200471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6954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95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95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02C5/2209Pivot bearings and hinge bolts other than screw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8Modular frames, easily exchangeable frame parts and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의 양단에 안경다리를 힌지구조로 조립하여, 상기 안경다리의 힌지절첩과 힌지전개가 구현되도록 하는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Hinge assembly for glasses frame having improved assembly structure}
본 발명은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프론트의 양단에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판상형 안경다리를 정형화되게 힌지구조로 조립하는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무테안경으로서, 미국특허 제5,835,183호 및 일본등록실용신안 제3007846호에 개시된 것이 예로서 알려져 있다.
미국특허 제5,835,183호에 개시된 무테안경은 힌지들을 통하여 안경다리들에 연결된 끝단부재들 및 브리지를 갖는다.
끝단부재들 및 브리지의 각 끝부분들에 형성된 U자형의 탄성클램프부재인 제1스트립부는 렌즈에 마련된 개구들로 삽입되고, 렌즈에 마련된 구멍과 렌즈의 테두리 사이에 U자형 탄성클램프부재에 의해 렌즈를 클램프하기 위하여 렌즈의 테두리에 마련된 홈에 제2스트립부가 맞물려, 렌즈와 끝단부재 및 브리지 각각이 서로 연결된다.
한편, 일본등록실용신안 제3007846호에 개시된 안경은, 렌즈의 내측테두리들과 접촉할 수 있는 평행선형태의 테두리접촉부 및 렌즈의 내측테두리의 주변에 형성된 개구들을 고정하는 브리지를 통하여 연장할 수 있는 내측관통부들을 갖는 금속브리지와, 렌즈의 외측테두리와 접촉할 수 있는 평행선형태의 테두리접촉부 및 렌즈의 외측테두리의 주변에 형성된 개구를 고정하는 끝단부재를 통하여 연장될 수 있는 외측관통부를 각각 구비한 금속끝단부재들을 통하여 한 쌍의 좌측 및 우측렌즈를 연결하여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한편, 기존 안경의 힌지는 나사와 경첩을 사용하여 안경 다리와 안구 전면부를 조립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기존 안경의 힌지를 사용하는 가운데 안경 다리 부분이 지속적으로 접혔다 펴지는 운동을 반복하면 자연스럽게 나사가 풀리는 현상이 발생하고, 이를 방치하면 나사가 빠져서 분실되기 쉽고 안경을 정상적으로 착용할 수 없게 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와 같이 종래의 안경 힌지는 나사를 사용함으로써 쉽게 풀릴 수 있을 뿐 아니라, 디자인적으로 획일적이어서 타 안경 제품과 상이한 점을 찾기 힘들며, 좋은 착용감을 위해 코일스프링 또는 고무줄을 경첩 부분에 삽입하게 되면 부피가 커지게 되고 불량이 발생할 경우 다리 전체를 교체해야 하는 부담이 있다는 문제점이 있다.
KR 10-2016-0129411 A KR 10-0919464 B1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목적은, 프론트의 양단에 금속판재로 이루어진 판상형 안경다리를 정형화되게 힌지구조로 조립하는 것으로, 특히 상기 판상 안경다리의 선단부를 프론트의 양단에 동심구조로 정형화되게 힌지 절첩 및 전개에 따른 부드러운 작동 안정성과 함께, 판상 안경다리의 상하 및 좌우 유동 발생을 억제하여 향상된 착용 안정성과 내구성을 갖도록 한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은, 본 발명에서 제공되는 하기 구성에 의해 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는,
프론트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중공의 힌지포트가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힌지림 부재와;
상기 힌지림 부재의 힌지포트에 동심구조로 배치되는 힌지 코어부재; 및
판상 안경다리의 전반부에 상하 분지하여 형성되어, 상기 힌지 코어부재에 고정되어 힌지림 부재에 힌지구조로 조립되는 분지암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 코어부재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일자형 절개슬롯이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분지암부는, 금속평판으로 이루어진 안경다리의 전반부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자유단을 형성한 선단부를 일자형 절개슬롯에 하향 삽입하여 고정되는 상부 조립편과, 자유단을 형성한 선단부를 일자형 절개슬롯에 상향 삽입하여 고정되는 하부 조립편이 상하 분지하여 형성된 판상몸체로 구성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분지암부를 구성하는 상부 조립편과 하부 조립편 중 어느 하나의 조립편에는 한 쌍의 견착핀이 설정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 압입소켓을 형성하고, 나머지 조립편에는 상기 한 쌍의 견착핀 사이에 형성된 압입소켓에 수직으로 압입하여 견착되는 압입핀을 일체로 형성한다.
그리고, 상기 압입소켓을 형성하는 견착핀의 내벽에는 견착홈이 내향 요입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입소켓에 억지끼움하여 압입되는 압입핀의 외벽에는 견착홈에 견착되는 견착돌기가 대응하여 형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림 부재는 금속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림 부재의 힌지포트에 동심구조로 삽입되어 힌지림 부재에 판상 안경다리를 힌지구조로 이음하는 힌지 코어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힌지 조립체는, 프론트의 양단에 판상체로 이루어진 안경다리를 정형화되게 힌지구조로 조립하여서, 힌지 절첩 및 전개에 따른 부드러운 작동 안정성과 함께, 판상 안경다리의 상하 및 좌우 유동 발생을 억제하여 향상된 착용 안정성과 내구성을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안경테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를 통한 프론트와 안경다리의 힌지 연결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를 구비한 안경테를 보여주는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의 전체 구성을 보여주는 것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를 통한 프론트와 안경다리의 힌지 연결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다.
본 발명에서 바람직한 실시예로 제안하고 있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1)는,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안경테(100)를 구성하는 프론트(110)와 안경다리(120)를 힌지구조로 조립하여, 상기 안경다리(120)를 프론트(110)의 양단에 힌지구조로 이음하는 연결수단이다.
상기 프론트(110)는 브릿지(111)의 양편에 렌즈 장착부(112)가 형성된 형태로 구성되고, 상기 안경다리(120)는 금속판재를 절삭 가공한 판상형으로 구성되며, 상기 프론트(110)와 안경다리(120)는 본 실시예에서 제안하고 있는 힌지 조립체(1)를 통해 힌지구조로 이음된다.
상기 힌지 조립체(1)는, 도 2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프론트(110)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중공의 힌지포트(11)가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힌지림 부재(10)와; 상기 힌지림 부재(10)의 힌지포트(11)에 동심구조로 배치되는 힌지 코어부재(30); 및 안경다리(120)의 전반부에 상하 분지하여 형성되어 상기 힌지 코어부재(30)에 고정되는 분지암부(2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림 부재(10)의 외경 일지점에는 힌지 코어부재(30)를 통해 힌지림 부재(10)에 절첩 및 전개구조로 힌지 이음된 판상 안경다리(120)의 전개각을 제한하는 스토핑 돌기(12)가 형성되어서, 상기 스토핑 돌기(12)에 의해 판상 안경다리(120)의 전개각이 물리적으로 제한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분지암부(20)는 금속평판으로 이루어진 안경다리(120)의 전반부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후단은 고정단을 형성하고 선단부는 자유단을 형성한 상부 조립편(21)과 후단은 고정단을 형성하고 선단부는 자유단을 형성한 하부 조립편(22)이 상하 분지하여 형성된 판상몸체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힌지림 부재(10)에 동심구조로 조립되어 판상 안경다리(120)의 분지암부(20)를 고정하는 힌지 코어부재(30)는, 힌지림 부재(10)의 힌지포트(11) 내경면에 동심구조로 내접하여 지지되는 내경 지지부(30a)와, 상기 힌지림 부재(10)의 저면에 단차구조로 지지되는 지지 단차부(30b)가 일체로 형성된 원통몸체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판상 안경다리(120)의 분지암부(20)를 고정하여 힌지림 부재(10) 내에 동심구조로 설치된 힌지 코어부재(30)는, 판상 안경다리(120)의 절첩 및 전개시에 힌지림 부재(10)의 힌지포트(11) 내에서 힌지포트(11)를 중심으로 내외측으로 공회전하면서 판상 안경다리(120)의 절첩과 전개를 구현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림 부재(10)는 스테인레스, 티타늄 등의 금속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림 부재(10)의 힌지포트(11)에 동심구조로 삽입되어 힌지림 부재(10)에 판상 안경다리(120)를 힌지구조로 이음하는 힌지 코어부재(30)는 셀룰로이드, TR, 울템, 아세테이트, 옵틸 등 힌지림 부재(10)와 이형재질인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다.
그리하여, 상기 판상 안경다리(120)의 절첩 및 전개시 힌지 코어부재(30)의 외경면과 힌지림 부재(10)의 힌지포트(11) 내경면 사이의 마찰에 따른 소음 발생이 저감되고, 특히 상기 힌지 코어부재(30)는 금속재로 이루어진 힌지림 부재(10)의 내경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 부드러운 작동성과 외부 충격이나 진동 등에 의해 힌지림 내에서 임의로 회전하는 현상이 방지된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림 부재(10)의 힌지포트(11)에 동심구조로 배치되는 힌지 코어부재(30)와 판상 안경다리(120)의 분지암부(20) 사이에 독특한 조립구조를 마련하여 힌지림 부재(10)와 힌지 코어부재(30) 사이, 그리고 힌지 코어부재(30)와 분지암부(20) 사이의 정형화된 조립이 도모되도록 한다.
이를 상술하자면,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힌지 코어부재(30)에는 상하 관통된 일자형 절개슬롯(31)을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힌지 코어부재(30)의 내경 지지부(30a)에는 상하 관통된 일자형 절개슬롯(31)이 전후면이 개방되게 형성되고, 상기 지지 단차부(30b)는 상하 관통된 일자형 절개슬롯(31)의 전면과 후면이 폐쇄된 상태를 형성하여서, 상기 힌지 코어부재(30)의 내경 지지부(30a)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일자형 절개슬롯(31)에 의해 좌우 분할되도록 한다.
따라서, 상기 일자형 절개슬롯(31)에 상하로 삽입되는 분지암부(20)의 상부 조립편(21)과 하부 조립편(22)은 일자형 절개슬롯(31)의 양측 내벽에 의해 좌우 양측벽이 지지된 상태로 힌지 코어부재(30)에 정형화되게 고정된다.
그리고, 상기 분지암부(20)를 구성하는 상부 조립편(21)과 하부 조립편(22) 중 어느 하나의 조립편(22)에는 한 쌍의 견착핀(22a, 22b)이 설정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 압입소켓(22c)을 형성하고, 나머지 조립편(21)에는 상기 한 쌍의 견착핀(22a, 22b) 사이에 형성된 압입소켓(22c)에 수직으로 압입하여 견착되는 압입핀(21a)을 일체로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하부 조립편(22)의 상부면에 한 쌍의 견착핀(22a, 22b)으로 이루어진 상부 개방형의 압입소켓(22c)을 형성하고, 이와 마주하는 상부 조립편(21)의 저면에 압입소켓(22c)에 수직으로 압입되는 압입핀(21a)을 하향 돌출되게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힌지 코어부재(30)의 절개슬롯(31)에 하향 삽입하는 상부 조립편(21)과 상기 힌지 코어부재(30)의 일자형 절개슬롯(31)에 상향 삽입하는 하부 조립편(22)은 압입소켓(22c)과 압입소켓(22c)에 압입핀(21a) 사이의 압입 구속에 의해 일자형 절개슬롯(31)을 관통된 상태로 구속된다.
바람직하게는, 도 2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기 힌지 코어부재(30)의 절개슬롯(31)에 상하방향으로 삽입되는 하부 조립편(22)의 견착핀(22a)과, 상부 조립편(21)의 압입핀(21a)의 하단부에는 적어도 측면을 설정 두께로 절취한 절취 조립면(21a-b, 22a-b. 22b-b)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절취 조립면(21a-b, 22a-b, 22b-b)을 통해 두께가 절개슬롯(31)의 폭보다 좁도록 구성함으로써, 이들 견착핀(22a, 22b)과 압입핀(21a)은 초기 조립과정에 절개슬롯(31)에 간섭없이 진입하도록 함으로써 향상된 조립성을 확보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입소켓(22c)을 형성하는 견착핀(22b)의 내벽에는 견착홈(22a-a, 22b-a)이 내향 요입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입소켓(22c)에 억지끼움하여 압입되는 압입핀(21a)의 외벽에는 견착홈(22a-a, 22b-a)에 견착되는 견착돌기(21a-a)가 각각 형성되어서, 상기 압입핀(21a)은 압입소켓(22c) 내에 견착하여 고정되도록 한다.
즉, 상기 힌지 코어부재(30)의 절개슬롯(31)을 따라 상하 대응하여 삽입되는 분지암부(20)의 상부 조립편(21)과 하부 조립편(22)은 압입소켓(22c)의 내벽에 형성된 견착홈(22a-a, 22b-a)과 압입핀(21a)의 외벽에 형성된 견착돌기(21a-a)의 견착에 의해 힌지 코어부재(30)에 상하방향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힌지림 부재(10)의 힌지포트(11)에 동심구조로 배치된 힌지 코어부재(30)는 판상 안경다리(120)의 전반부에 형성된 분지암부(20)를 관통하여 고정하여서, 판상 안경다리(120)를 통해 내외측으로 제공되는 작용력에 의해 힌지포트(11) 내에서 내외측으로 회전하여서 판상 안경다리(120)의 절첩 및 전개를 도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압입핀(21a)의 두께는 절개슬롯(31)의 좌우 폭보다 상대적으로 두껍게 제작되어, 도 5와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같이 상기 힌지 코어부재(30)는 절개슬롯(31)을 따라 수직으로 삽입되는 압입핀(21a)에 의해 힌지림 부재(10)의 힌지포트(11) 내에서 확관되어 힌지포트(11)의 내경면에 외경면이 긴밀히 밀착되도록 한다.
그리고, 상기 압입소켓(22c)의 전후 너비는 압입핀(21a)의 전후너비 보다 좁게 제작되어, 상기 압입소켓(22c)에 수직으로 진입하는 압입핀(21a)에 의해 압입소켓(22c)을 구성하는 견착핀(22a, 22b)들은 전후방향으로 탄력적으로 굽힘하면서, 절개슬롯(31)의 전후 내벽에 긴밀히 고착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일자형 절개슬롯(31)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중앙부에서 단부로 갈수록 점차 폭이 좁아지는 협폭구간(31a)으로 이루어져, 도 5와 같이 상기 압입소켓(22c) 내로 압입되는 압입핀(21a)과의 간섭에 의해 전후측으로 전개되는 견착핀(22a, 22b)과의 간섭에 의해 일자형 전개슬롯(31)의 전단부와 후단부는 외측으로 확장되면서, 견착핀(22a, 22b)들과 절개슬롯(31) 사이, 그리고 힌지 코어부재(30)와 힌지림 부재(10)에 형성된 힌지포트(11) 사이의 긴밀한 밀착을 도모한다.
이와 같이 힌지 코어부재(30)의 확관을 통한 힌지림 부재(10)과 힌지 코어부재(30) 사이의 긴밀한 밀착과, 상기 힌지림 부재(10) 내에 동심구조로 설치된 힌지 코어부재(30)와 분지암부(20) 사이의 긴밀한 밀착 고정을 도모하면, 상기 힌지림 부재(10)와 힌지 코어부재(30) 사이의 불필요한 유격 발생과, 판상 안경다리(120)의 상하 및 좌우 유동 발생이 예방되므로, 향상된 품질 안정성을 갖는다.
1. 힌지 조립체
10. 힌지림 부재 11. 힌지포트
12. 스토핑 돌기
20. 분지암부 21. 상부 조립편
21a. 압입핀 21a-a. 견착돌기
21a-b. 절취 조립면
22. 하부 조립편 22a. 견착핀
22a-a. 견착홈 22a-b. 절취 조립면
22b. 견착핀 22b-a. 견착홈
22b-b. 절취 조립면
22c. 압입소켓
30. 힌지 코어부재 30a. 내경 지지부
30b. 지지 단차부
31. 일자형 절개슬롯 31a. 협폭구간
100. 안경테 110. 프론트
111. 브릿지 112. 렌즈 장착부
120. 판상 안경다리

Claims (5)

  1. 프론트의 양단에 각각 형성되며 중공의 힌지포트가 상하 관통되게 형성된 힌지림 부재와;
    상기 힌지림 부재의 힌지포트에 동심구조로 배치되는 힌지 코어부재; 및
    판상 안경다리의 전반부에 상하 분지하여 형성되어, 상기 힌지 코어부재에 고정되어 힌지림 부재에 힌지구조로 조립되는 분지암부를 포함하며,
    상기 힌지 코어부재에는 전후 길이방향으로 절개된 일자형 절개슬롯이 상하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분지암부는, 금속평판으로 이루어진 안경다리의 전반부를 전후 길이방향으로 절개하여 자유단을 형성한 선단부를 일자형 절개슬롯에 하향 삽입하여 고정되는 상부 조립편과, 자유단을 형성한 선단부를 일자형 절개슬롯에 상향 삽입하여 고정되는 하부 조립편이 상하 분지하여 형성된 판상몸체로 구성되며,
    상기 분지암부를 구성하는 상부 조립편과 하부 조립편 중 어느 하나의 조립편에는 한 쌍의 견착핀이 설정간격으로 이격하여 형성된 압입소켓이 형성되고, 나머지 조립편에는 상기 한 쌍의 견착핀 사이에 형성된 압입소켓에 수직으로 압입하여 견착되는 압입핀이 일체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압입소켓을 형성하는 견착핀의 내벽에는 견착홈이 내향 요입하여 형성되고, 상기 압입소켓에 억지끼움하여 압입되는 압입핀의 외벽에는 견착홈에 견착되는 견착돌기가 대응하여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림 부재는 금속몸체로 구성되고,
    상기 힌지림 부재의 힌지포트에 동심구조로 삽입되어 힌지림 부재에 판상 안경다리를 힌지구조로 이음하는 힌지 코어부재는 합성수지 재질로 제작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KR1020220047112A 2022-04-15 2022-04-15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KR1024695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112A KR102469545B1 (ko) 2022-04-15 2022-04-15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47112A KR102469545B1 (ko) 2022-04-15 2022-04-15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69545B1 true KR102469545B1 (ko) 2022-11-21

Family

ID=84233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47112A KR102469545B1 (ko) 2022-04-15 2022-04-15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9545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464B1 (ko) 2008-04-17 2009-09-28 배창혁 안경다리와 조립체로 형성되는 안경용 힌지
KR100931791B1 (ko) * 2009-06-08 2009-12-14 권두열 안경용 힌지구조
KR20140015233A (ko) * 2013-12-31 2014-02-06 (주)시원아이웨어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KR101518133B1 (ko) * 2013-11-26 2015-05-07 김영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60129411A (ko) 2015-04-30 2016-11-09 정병재 안경 힌지
US20170082867A1 (en) * 2014-05-14 2017-03-23 Von Arkel Sa Articulated assembly
KR20170087040A (ko) * 2016-01-19 2017-07-27 도지현 안경 프레임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19464B1 (ko) 2008-04-17 2009-09-28 배창혁 안경다리와 조립체로 형성되는 안경용 힌지
KR100931791B1 (ko) * 2009-06-08 2009-12-14 권두열 안경용 힌지구조
KR101518133B1 (ko) * 2013-11-26 2015-05-07 김영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20140015233A (ko) * 2013-12-31 2014-02-06 (주)시원아이웨어 안경다리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US20170082867A1 (en) * 2014-05-14 2017-03-23 Von Arkel Sa Articulated assembly
KR20160129411A (ko) 2015-04-30 2016-11-09 정병재 안경 힌지
KR20170087040A (ko) * 2016-01-19 2017-07-27 도지현 안경 프레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30889B1 (ko) 기구학적 만능 힌지
US5585870A (en) Rimless spectacles with its lenses supported and clipped at three points
KR100892543B1 (ko) 안경 프레임
JP4759056B2 (ja) 2つの取替え可能なテンプルを有するタイプの眼鏡
US20140036221A1 (en) Detachable eyeglass frame
CA2590094A1 (en) Hinge system for eyewear
US6210002B1 (en) Lens holding mechanism of spectacles
KR102469545B1 (ko)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용 힌지 조립체
KR100512893B1 (ko) 간단한 연결구조 및 무나사힌지를 갖는 안경
KR102604772B1 (ko) 안경용 프레임
JP3345407B2 (ja) 眼鏡のテンプル連結構造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20040030600A (ko) 안경테, 힌지, 안경 및 힌지의 제조 방법
JP2003215506A (ja) 眼鏡のテンプル連結構造
EP1489452B1 (en) Screwless hinge structure for eyeglasses
KR20210021722A (ko) 안경용 힌지
US2169235A (en) Spectacle temple connection
KR20190026195A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힌지구조체
KR102395530B1 (ko) 조립식 안경테
JP3246597U (ja) 眼鏡の組立構造
KR20230074341A (ko) 안경다리 힌지 조립체
JP3040986B1 (ja) 眼鏡レンズ止着機構
KR200407816Y1 (ko) 안경과 선셰이드클립어셈블리
JP2006017887A (ja) テンプル取付け部の構造及びメガネフレーム
KR10189284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