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68505A -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 - Google Patents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68505A
KR20230068505A KR1020210154354A KR20210154354A KR20230068505A KR 20230068505 A KR20230068505 A KR 20230068505A KR 1020210154354 A KR1020210154354 A KR 1020210154354A KR 20210154354 A KR20210154354 A KR 20210154354A KR 20230068505 A KR20230068505 A KR 202300685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or
glasses
frame
coupling groov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543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여규성
Original Assignee
여규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여규성 filed Critical 여규성
Priority to KR10202101543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68505A/ko
Publication of KR202300685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685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6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closed rigid rims for the lens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가 안경테에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에 관한 것으로써, 안경테에 연결구를 손쉽게 결합, 분리가 가능토록 안경테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를 상기 결합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 Glasses that can be fitted with a connector }
본 발명은 안경에 관한 것으로써,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가 안경테에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에 관한 것이다.
우선,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통상,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강한 광선으로부터 눈을 미리 보호하여 시력을 잃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선글래스 등을 포함하는 총칭으로서, 그 구성으로는 내부에 렌즈를 결합하 는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의 내부에 마련되는 렌즈와, 안경테를 지지하는 안경다리로 크게 구성되며 그 재질로 는 디자인과 용도에 따라서 금속재 또는 플라스틱재를 사용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안경알이 결합되는 안경테의 양측단으로 제1ㆍ2고정 프레임을 위아래로 절개하면서 연장시켜 형성시키되, 상기 제1고정프레임에는 복수개의 체결구멍 을 가공하고, 상기 제1ㆍ2고정프레임의 종방향으로는 안경테에 결합된 안경알의 이탈을 방지할수 있도록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고정구멍을 가공하며, 상기 제1고정프레임에는 안경다리와 결합된 절곡형태 의 다리연결체가 체결되도록 하되, 상기 다리연결체에는 제1고정프레임에 가공된 복수개의 체결구멍으로 삽입 체결되는 복수개의 체결돌기를 형성하고, 상기 체결돌기의 내부에는 체결구멍으로 삽입 체결된 체결돌기의 이탈을 방지할수 있도록 체결수단이 체결되는 나사구멍을 형성시킨 것이 개시된다.
그런데,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하면 안경테의 제1ㆍ2고정프레임을 체결수단(볼트)으로 직접 결합하 는 구조이기에 결합부의 접촉면적이 좁아 렌즈에 국부적인 압력이 증가된다. 때문에 안경테가 요동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볼트를 너무 세게 조이거나 외부에서 갑작스런 충격이 작용하면 렌즈가 쉽게 항복점에 도달하여 파손 되는 경우가 많다.
또한, 착용중 렌즈와 다리 사이에 빈번한 운동이 발생하는 과정에서 안경테의 체결수단의 체결이 느슨해 지고 풀리기 쉬워 이렇게 되면 렌즈가 흔들려 안경테로부터 이탈되어 파손될 염려가 있고, 이를 해결하기 위 해 볼트를 자주 조이다 보면 무리한 힘이 작용되어 결국 렌즈를 손상시킬 우려도 커지는 단점이 있었다.
더구나, 안경테에 안경다리를 결합하기 위해서 별도의 다리연결체를 체결수단을 이용하여 결합하기 때 문에 조립성과 작업성이 저하되고, 다수의 부품을 사용하므로 안경이 전체적으로 투박해지고 제조 원가도 상승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공개번호 20-2009-0011566호의 '안경의 연결구'와, 공개번호 20-2011-0004203호의 '금속재 미미를 끼워서 조립하는 플라스틱 안경테'와, 공개번호 10-2013-0044476호의 '무테 안경의 레그 연결체' 및 등록번호 10-1757044호의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가 개시되어 있지만, 상기한 문제점에 대해서는 여전히 개선되고 있지 않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해낸 것으로써, 안경테에 연결구를 손쉽게 결합, 분리가 가능토록 안경테에 결합홈을 형성하고, 상기 연결구를 상기 결합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한 안경을 제공함에 주안점을 두고 기술적 과제로서 완성해낸 것이다.
이에 본 발명은 안경테, 연결구 및 안경다리로 구성된 안경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의 미미부분에는 ㄷ자형으로 형성된 결합홈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의 일 측에는 상기 결합홈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부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에서 연장된 부분에는 안경다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을 그 기술적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인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에 따르면, 안경테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구로 상기 연결구를 안경테에 손쉽게 결합, 분리가 가능하고, 안경렌즈가 연결구의 일부분을 지지하고 있어 연결구의 분리를 미연에 방지하였으며, 손쉬운 결합, 분리로 인해 교체가 용이하게 할 수 있는 등 그 효과가 큰 발명이다.
도 1은 본 발명인 안경의 핵심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인 안경의 핵심부분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인 안경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인 안경테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인 안경테를 나타내는 정면도
도 6은 본 발명인 안경테를 나타내는 배면도
도7은 본 발명인 연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성 및 작용에 대해 도 1 내지 도 7을 참고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인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은,
안경테(100), 연결구(200) 및 안경다리로 구성된 안경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00)의 미미부분에는 ㄷ자형으로 형성된 결합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00)의 일 측에는 상기 결합홈(110)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10)에서 연장된 부분에는 안경다리가 연결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우선, 일반적으로 안경은 안경테(100), 연결구(200) 및 안경다리로 구성된다.
본 발명인 안경은 안경테(100)와 안경다리를 상호 연결하는 연결구(200)를 손쉽게 결합, 분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에 상기 안경테(100)의 미미부분에는 ㄷ자형으로 형성된 결합홈(110)이 형성되도록 하였다.
상기 결합홈(110)은 안경테(100)의 전면 전부와 후면 전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전면 일부분과 후면 전부에 형성되거나 또는 전면 전부와 후면 일부분에 형성될 수도 있다.
본 발명에서 결합홈(110)은 전면 일부분과 후면 전부에 형성되어 있어 연결구(200)의 결합부(210)가 손쉽게 결합, 분리 될 수 있도록 하였다.
상기 연결구(200)의 일 측에는 결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10)는 상기 결합홈(110)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상기 연결구(200)의 타 측에는 안경렌즈의 외주가 안착되는 안착부(22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안착부(220)는 림에 결합되는 안경렌즈의 외주를 감싸며 고정할 수 있도록 오목한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하나 이상 다수개의 돌기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연결구(200)의 타 측에는 안경렌즈의 외주를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지지부(230)는 림에 결합되는 안경렌즈의 외주를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안경렌즈의 이탈을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상기 지지부(230)는 안경렌즈의 지지와 이탈방지를 위해 안경렌즈가 있는 방향으로 연장된 연장부가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결합부(210)의 일 측에서 연장된 부분에는 안경다리가 연결된다.
상기 연장된 부분에는 안경다리와 체결부재로 연결되도록 체결홈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상기 연장된 부분에는 체결되는 안경다리가 외측 방향으로 일정 각도 이상 꺾임 되지 않도록 지지하는 지지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안경테에 형성된 결합홈과 상기 결합홈과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된 연결구로 상기 연결구를 안경테에 손쉽게 결합, 분리가 가능하고, 안경렌즈가 연결구의 일부분을 지지하고 있어 연결구의 분리를 미연에 방지하였으며, 손쉬운 결합, 분리로 인해 교체가 용이하게 할 수 있다.
100 : 안경테 110 : 결합홈
200 : 연결구
210 : 결합부 220 : 안착부 230 : 지지부

Claims (3)

  1. 안경테(100), 연결구(200) 및 안경다리로 구성된 안경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100)의 미미부분에는 ㄷ자형으로 형성된 결합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연결구(200)의 일 측에는 상기 결합홈(110)과 동일한 형상의 결합부(210)가 형성되며,
    상기 결합부(210)에서 연장된 부분에는 안경다리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0)의 타 측에는 안경렌즈의 외주가 안착되는 안착부(22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구(200)의 타 측에는 안경렌즈의 외주를 지지하는 지지부(230)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
KR1020210154354A 2021-11-11 2021-11-11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 KR202300685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354A KR20230068505A (ko) 2021-11-11 2021-11-11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54354A KR20230068505A (ko) 2021-11-11 2021-11-11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68505A true KR20230068505A (ko) 2023-05-18

Family

ID=865457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54354A KR20230068505A (ko) 2021-11-11 2021-11-11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68505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60050224A1 (en) Eyewear assembly with auxiliary frame and lens assembly
US7543930B2 (en) Adaptor for securing eyewear lenses to a frame and a method of using the same
CN1307466C (zh) 一种连接辅助镜片的镜梁
US7370961B2 (en) Interchangeable eyewear assembly
US6474812B1 (en) Structure for assembling auxiliary spectacles with main spectacles by means of magnetic clips
KR102144105B1 (ko) 안경과 광학보조 기구의 세트
US20190265516A1 (en) Eyeglasses structure
KR20230068505A (ko) 연결구의 끼움 결합이 가능한 안경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KR20230126954A (ko) 렌즈 교체가 용이한 자석 안경
KR102234023B1 (ko) 렌즈의 고정력을 향상시킨 안경
US5406337A (en) Semi-rimless eyeglass frame assembly
KR200215644Y1 (ko) 무테 안경렌즈에 안경다리와 코다리의 결합구조
KR20010030708A (ko) 브릿지로 장착되는 클립온형 선글라스
KR200441972Y1 (ko) 와이어 타입 안경테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KR101941402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EP0685754A1 (en) A pair of spectacles
KR102396810B1 (ko) 안경테 구조체
CN213302694U (zh) 一种眼镜框以及具有两种镜片的眼镜
GB2178864A (en) Spectacle front frames
KR102391257B1 (ko) 안경테의 코받침 결합 구조
KR200347243Y1 (ko) 무테안경용 다리 고정구조
KR101711179B1 (ko) 보조안경의 결합구조
KR20090011566U (ko) 안경의 연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