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988570B1 -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 - Google Patents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988570B1
KR101988570B1 KR1020180174094A KR20180174094A KR101988570B1 KR 101988570 B1 KR101988570 B1 KR 101988570B1 KR 1020180174094 A KR1020180174094 A KR 1020180174094A KR 20180174094 A KR20180174094 A KR 20180174094A KR 101988570 B1 KR101988570 B1 KR 1019885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groove
metal insert
protrusion
eye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74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도형
정은영
Original Assignee
김도형
정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도형, 정은영 filed Critical 김도형
Priority to KR1020180174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885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885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885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4/00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at different temperature; Force fits; Non-releasable friction-grip fastenings
    • F16B4/006Shrinkage connections, e.g. assembled with the parts being at different temperatur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결합하기 위해서 안경다리의 결합핀을 포함되고, 결합핀에 부합하도록 안경테에 연결홈을 포함하며, 연결홈에 결합핀을 꽂았을 때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하도록 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안경테에 버(Burr)가 생기지 않아 불량률을 없애 안경을 제작할 때 다듬는 수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시간을 단축시키고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STRUCTURE FOR UNION PIN OF GLASSES CONNECT PORTION}
본 발명은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안경다리의 결합핀이 부합하도록 안경테에 홈을 만들어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열압입 고정하도록 하여 연속적인 작업이 가능하고, 안경테 홈에 결합핀을 꽂았을 때 안경테에 버(Burr)가 생기지 않아 불량률을 없애 다듬는 수작업을 하지 않아도 되므로 제작시간을 단축시키고 상품성을 증대시키는데 효과가 있다.
일반적으로 안경은 시력이 저하된 사람의 시력회복을 위한 목적으로 사용되거나 강한 광선으로부터 눈을 미리 보호하여 시력을 잃게 되는 것을 방지하는 선글라스 등을 포함하는 총칭으로서, 그 구성으로는 내부에 렌즈를 결합하는 안경테와, 상기 안경테의 내부에 마련되는 렌즈와, 안경테를 지지하는 안경다리와, 안경이 착용자의 안면으로부터 흘러내리지 않도록 코에 안착되는 코받침으로 구성된다.
상기 공개특허 제10-2011-0045577호의 기술내용을 살펴보면, 안면 상에 안경테를 지지하면서 안경 전체를 지탱하는 코받침대를 결합하기 위한 구조에 있어서, 알루미늄이나 마그네슘을 용융하여 사출로 성형하는 안경테, 스텐이나 양백을 이용하여 형성하고 안경테의 사출시 각각 인서트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한 쌍의 코다리, 및 상기 코다리의 양단에 코받침대를 결합 가능하게 용접하여 일체로 구비하는 연결구를 포함한다.
하지만, 상기의 선행문헌에 따른 코다리는 안경테의 사출시 각각 인서트(삽입)하여 일체로 형성하는 선삽입방식을 사용함에 따라 사출이나 용접작업시 안경테에 코다리가 제대로 결합하지 못하여 부러지는 등의 결합이 발생함은 물론, 안경테와 코다리의 인서트 작업에서 불량률이 다소 나타나므로 제조비용의 증가로 이어지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또한, 종래 일반적인 합성수지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에 있어서, 그 결합을 견고히 하기 위해서 금속제 부품을 제작 인서트 하므로써, 견고히 부착, 유지하게 되는바, 그 금속제 부품이 도시한 도 1과 같이 금속인서트(10)가 사각형의 형상만을 하고 있어, 금속인서트(10)와 안경테(50)를 결합시 금속인서트에 열을 가할 수 있는 코드식 전열집게로 집어서 직접 열을 180∼200℃로 순간적으로 상승시켜, 금속인서트(10)가 합성수지 홈으로 구성된 삽입홈(20) 속에 압입하면서 합성수지 안경테 부분이 열에 의하여 용융되면서 금속재 인서트가 결속되는 순간 열을 식히면 견고히 부착하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방법은 금속인서트(10)가 합성수지 안경테(50)를 융용할 시 융용된 삽입홈(20)부분에 합성수지가 요홈 외부에 넘쳐나오게 되어 버가 발생하여 상품성을 훼손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되어, 불량발생이 많았다.
한국 특허등록 제10-1757044호 (2017. 07. 05)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을 제작할 때 안경테에 안경다리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조를 쉽게 끼울 수 있도록 하여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고정되도록 하므로 버(Burr)가 생기지 않고 불량률을 없게 하여 다듬어야하는 수작업이 필요없게 되고 짧은 시간동안 많은 양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도록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한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는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안경다리(60)와 안경테(50)를 연결해주도록 결합해주는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50)의 좌우측에 결합구조를 삽입할 수 있는 결합홈(20)과, 상기 결합홈(20)에 상응되어 삽입되는 금속인서트(10)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인서트(10)와 연결되어 안경다리(60)를 이어주는 연결부(30)와, 상기 연결부(30)와 상기 금속인서트(10)를 결합해주는 상기 나사(40)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금속인서트(10)는 열을 가해 열압입으로 상기 결합홈(20)의 삽입홈(25)에 부합하여 삽입되는 삽입돌기(15)와, 상기 삽입돌기(15)는 T자 모양의 상하간격을 가진 돌출핀 2개가 상하로 배치되어 마주보고 있고, 각 삽입돌기(15)의 T자 모양의 각 외측면 끝단부 상단은 2∼3°정도의 기울기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돌기(15)는 상단의 모서리가 상기 결합홈(20)에 압입시 힘에 의하여 압입될 수 있도록 반지름이 0.3mm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30)와 연결될 수 있는 라운드모양의 결합돌기(17)와, 상기 결합돌기(17)는 상기 나사로 상기 연결부(30)와 체결할 수 있도록 관통홈(13)이 형성된다.
또한, 안경테측의 상기 결합홈(20)은 상기 금속인서트로 된 T형태의 삽입돌기(15)가 부합하게 들어가도록 두개의 상하 삽입홈(25)을 포함하며, 상기 삽입홈의 내측벽(27)의 끝단부의 외측은 T형의 금속인서트와 결착을 위하여2∼3°정도의 기울기의 구베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15)는 상단의 모서리가 상기 결합홈(20)에 압입시 힘에 의하여 압입될 수 있도록 반지름이 0.3mm의 곡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25)의 상하 사이에 요홈 격벽(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30)는 ㄴ자 모양으로 안쪽은 곡선, 바깥쪽은 직각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인서트(10)와 결합될 수 있는 라운드 모양의 연결돌기(35)와, 상기 연결돌기(35)는 상기 나사(40)로 상기 금속인서트(10)와 체결할 수 있도록 관통홈(33)이 형성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를 정확한 위치에 안정적으로 열압입 고정에 의해 안경을 제작할 때 안경테에 안경다리를 연결시키기 위한 연결구조를 쉽게 끼울 수 있도록 하여 불량률을 없애 버(Burr)가 생기지 않아 다듬어야하는 수작업이 필요없게 되고 시간을 단축하여 짧은 시간동안 많은 양을 제작할 수 있도록 하여 상품성을 증대시키도록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와 연결홈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와 연결홈이 분해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와 연결홈이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와 결합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와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이하, 본 문서의 다양한 실시예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재된다. 그러나 이는 본 문서 재된 기술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문서의 실시예의 다양한 변경(modifications), 균등물(equivalents), 및/또는 대체물(alternatives)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면의 설명과 관련하여,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유사한 참조 부호가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제1," "제2," 등의 표현들은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순서 및/또는 중요도에 상관없이 수식할 수 있고, 한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분하기 위해 사용될 뿐 해당 구성요소들을 한정하지 않는다. 예를 들면, '제1 부분'과 '제2 부분'은 순서 또는 중요도와 무관하게, 서로 다른 부분을 나타낼 수 있다. 예를 들면, 본 문서에 기재된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바꾸어 명명될 수 있다.
또한, 본 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다른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닐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할 수 있다.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문서에 기재된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질 수 있다. 본 문서에 사용된 용어들 중 일반적인 사전에 정의된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동일 또는 유사한 의미로 해석될 수 있으며, 본 문서에서 명백하게 정의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경우에 따라서, 본 문서에서 정의된 용어일지라도 본 문서의 실시예들을 배제하도록 해석될 수 없다.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종래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와 연결홈이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와 연결홈이 분해된 상태를 확대하여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연결부와 연결홈이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5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부가 분해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6은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부와 결합부가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이를 위한 본 발명의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를 도 3과 함께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안경다리(60)와 안경테(50)를 연결해주도록 결합해주는 결합 구조에 있어서;
도 2에서와 같이, 상기 안경테(50)의 좌우측에 결합구조를 삽입할 수 있는 결합홈(20)과, 상기 결합홈(20)에 상응되어 삽입되는 금속인서트(10)를 포함하며, 상기 금속인서트(10)와 연결되어 안경다리(60)를 이어주는 연결부(30)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부(30)와 상기 금속인서트(10)를 결합해주는 상기 나사를 포함한다.
상기 금속인서트(10)는 열을 가해 열압입으로 안경테측의 상기 결합홈(20)에 부합하여 삽입되는 삽입돌기(15)를 포함하고, 상기 삽입돌기(15)는, 제 도3에서 도시한 그림과 같이, T자 모양의 상하간격을 가진 돌출핀 2개가 상하로 배치되어 나란히 돌출되어 있고, 2개의 상기 삽입돌기(15)의 각 외측면은 그 끝단부 외측면(25`)이 2∼3°정도의 기울기의 구베로 형성되며, 전체 외곽의 크기는 상기 결합홈(20)의 크기와 같아 압력을 가하여 끼워진다. 상기 삽입돌기(15)의 끝단부 외측면(15`)과 대응되는 상기 삽입홈(25)에 압입시 힘에 의하여 압입될 수 있도록 T자 모양의 끝단부(15`) 인입부의 반지름이 0.3mm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안경다리(60)와 연결될 수 있는 안경테(50)측의 T형의 금속인서트가 삽입될 수 있는 상기 삽입홈(25)에 T자 모양의 상하의, 상기 삽입돌기(15)가 압입될 수 있도록 된다.
이때, 상기 금속인서트(10)의 T자 모양의 상기 삽입돌기(15)와, 안경테(50)측의 상기 결합홈(20) 속 요철모양의 상기 삽입홈(25)은 서로 부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돌기(15)의 끝단부 외측면(15`)의 모양과 같이, 상기 삽입홈(25) 가장자리 외측면(27`)의 모양도 2∼3°정도의 기울기의 구베로 형성되고, 끝단부 인입부의 반지름이 0.3mm의 곡선으로 형성되어, 서로 압입시 교합되어 상하로 튼튼한 결합이 가능해진다.
이렇게 결합된 금속인서트(10)는, 그 상하측 2개의 상기 삽입홈(25) 사이에 있는 상기 요홈측벽(23)이 T자 모양의 삽입돌기(25) 상하단의 사이에 끼워져 상하측에 있는 상기 삽입돌기(15)는 코드식 전열압입 장치의 압입력에 의하여 상기 삽입홈(25)에 끼워지는 즉시 열을 가하여 안경테(50)와 안경다리(60)를 더욱 견고하게 결착하게 하는 역할을 가지는 구조가 완성된다. 이때, 상기 금속인서트인 삽입돌기(15)는 순간적으로 뜨거워져서 상기 삽입홈내측벽(27)의 합성수지를 표면용융을 발생시키게 되면서 접착하게 된다. 그 시간의 소요는 2초 정도면 충분하고, 상하로 나란히 있는 상기 삽입돌기(15)가 상하로 있는 상기 삽입홈(25)에 끼워지는 그 상기 삽입돌기(15)의 사이로 상기 요홈격벽(23)이 끼워지는 상태가 되므로 사실상 열을 가하나, 그냥 압입된 상태에서도 안경테(50)와 안경다리(60)를 연결하는 상기 금속인서트(10)가 결착되어 있다.
또한, 도 5에서와 같이, 안경테(50)와 안경다리(60)를 연결하는 상기 연결부(30)는 ㄴ자 모양으로 안쪽은 곡선, 바깥쪽은 직각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결합돌기(17)와 결합될 수 있는 라운드 모양의 연결돌기(35)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돌기(35)는 상기 나사(40)로 상기 결합돌기와 체결할 수 있도록 관통홈(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렇게 구성된 안경테(50)와 안경다리(60)를 연결하는 상기 금속인서트(10)의 구조는 사실상으로 본 공정을 진행하는 작업으로는 대단히 중요한 구성으로, 이러한 결착구조로 인하여 상기 금속인서트(10)에 전열집게로 180~200℃ 정도의 열을 1∼2초의 짧은 시간동안 가하면 튼튼히 결착되는 이점이 있다.
기존의 인서트(10)는 결합홈(20)과 맞닿는 면적이 적어 20초가량 열을 가하므로 인해, 버(1)가 발생해 다시 수작업으로 버(1)를 깎아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고, 생산시간이 오래 걸려 생산량은 적고, 또, 단순한 사각형 모양의 삽입부(70)로 체결되어 결착 능력이 저하되지만, 본 발명의 기술은 2배 이상 닿는 접착 면적과 구조적 긴밀하여 견고히 결착될 뿐만 아니라, 열을 가했을 때, 2초의 짧은 시간동안 열로 결합되므로, 버(1)의 발생으로 인한 불량을 없게 하여 수작업의 시간이 줄어들고 20초의 열압입 시간을 2초로 시간을 단축시켜주므로 같은 시간내에 10배로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효과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50)와 안경다리(60)를 연결하는 결합핀의 구조이다.
1: 버 10: 금속인서트
13,33: 관통홈 15: 삽입돌기
17: 결합돌기 20: 결합부
23: 요홈 격벽 25: 삽입홈(안경테)
25`: 삽입돌기 끝단부 외측면 27: 삽입홈 내측벽
27`: 삽입홈 가장자리 외측면 30: 연결부
35: 연결돌기 40: 나사
50: 안경테 60: 안경다리
70: 종래 기술의 삽입홈

Claims (2)

  1. 안경다리(60)와 안경테(50)를 연결해주도록 결합해주는 결합 구조에 있어서;
    상기 안경테(50)의 좌우측에 결합구조를 삽입할 수 있는 결합홈(20)과,
    상기 결합홈(20)에 상응되어 삽입되는 금속인서트(10)와,
    상기 금속인서트(10)와 연결되어 안경다리(60)를 이어주는 연결부(30)와,
    상기 연결부(30)와 상기 금속인서트(10)를 결합해주는 나사(40)를 포함하고,
    상기 금속인서트(10)는 열을 가해 열압입으로 상기 결합홈(20)의 삽입홈(25)에 부합하여 삽입되는 삽입돌기(15), 및 상기 연결부(30)와 연결될 수 있는 라운드모양의 결합돌기(17)를 구비하며,
    상기 삽입돌기(15)는 T자 모양의 상하간격을 가진 돌출핀 2개가 상하로 배치되어 마주보고 있고, 상기 삽입돌기(15)의 T자의 각 외측면 끝단부 상단은 2∼3°의 기울기의 구배로 형성되고,
    상기 삽입돌기(15)는 상단의 모서리가 상기 결합홈(20)에 압입시 힘에 의하여 압입될 수 있도록 반지름이 0.3mm의 곡선으로 형성되고,
    상기 결합돌기(17)는 상기 나사로 상기 연결부(30)와 체결할 수 있도록 관통홈(13)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홈(20)은 상기 삽입돌기(15)가 부합하게 들어가도록 두개의 상하 삽입홈(25)과, 상기 삽입홈(25)의 상하 사이에 형성된 요홈 격벽(23)을 포함하고,
    상기 금속인서트(10)의 T자 모양의 상기 삽입돌기(15)와, 안경테(50)측의 상기 결합홈(20) 속 요철모양의 상기 삽입홈(25)이 서로 부합되도록 하기 위해서 상기 삽입돌기(15)의 끝단부 외측면(15`)의 모양과 같이, 상기 삽입홈(25) 가장자리 외측면(27`)의 모양도 2∼3°의 기울기의 구배로 형성되고, 끝단부 인입부의 반지름이 0.3mm의 곡선으로 형성되어, 서로 압입시 교합되어 상하로 튼튼한 결합이 가능해지며,
    상기 삽입돌기(15)는 코드식 전열압입 장치의 압입력에 의하여 상기 삽입홈(25)에 끼워지는 즉시 열을 가하여 안경테(50)와 안경다리(60)를 견고하게 결착하게 하는 역할을 가지는 구조가 완성되고, 그냥 압입된 상태에서도 안경테(50)와 안경다리(60)를 연결하는 상기 금속인서트(10)가 결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30)는 ㄴ자 모양으로 안쪽은 곡선, 바깥쪽은 직각의 모양으로 형성되며,
    상기 금속인서트(10)와 결합될 수 있는 라운드 모양의 연결돌기(35)와,
    상기 연결돌기(35)는 상기 나사(40)로 상기 금속인서트(10)와 체결할 수 있도록 관통홈(33)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
KR1020180174094A 2018-12-31 2018-12-31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 KR1019885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094A KR101988570B1 (ko) 2018-12-31 2018-12-31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74094A KR101988570B1 (ko) 2018-12-31 2018-12-31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08614 Division 2018-01-2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88570B1 true KR101988570B1 (ko) 2019-06-12

Family

ID=66846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74094A KR101988570B1 (ko) 2018-12-31 2018-12-31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8857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435U (ko) * 2010-02-24 2011-08-31 (주) 태흥광학연구소 판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안경용 힌지
KR101757044B1 (ko) 2015-05-20 2017-07-11 장한수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8435U (ko) * 2010-02-24 2011-08-31 (주) 태흥광학연구소 판스프링에 의해서 탄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안경용 힌지
KR101757044B1 (ko) 2015-05-20 2017-07-11 장한수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12895B2 (en) Eyeglasses structure
KR20160051811A (ko) 제거가능한 안경 렌즈 및 프레임 플랫폼
GB2034072A (en) Spectacle frames
JP5596772B2 (ja) 眼鏡レンズ組立体の止着構造及び眼鏡
US9684188B2 (en) Frame joint and hinge for eyewear
KR101988570B1 (ko)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
JP2007502448A (ja) 縁なし眼鏡
KR10136931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
EP1176453B1 (en) Glasses
JP3051737B2 (ja) 眼鏡における付加レンズの簡易着脱機構
US2694341A (en) Frame construction for eyeglasses, goggles, and the like
KR102126734B1 (ko) 안경테와 코기둥의 결합구조체
JP6125478B2 (ja) 眼鏡部材の連結構造及びそれを備えた眼鏡
JPS60244923A (ja) 金属製眼鏡フレ−ム
KR101587001B1 (ko) 안경테와 코다리의 결합구조체
TWM543376U (zh) 免用工具拆換鏡片之眼鏡的鏡框拆換結構
JP7048084B2 (ja) 眼鏡
TW202018378A (zh) 擬單片式鏡片的太陽眼鏡組件(二)
CN219202074U (zh) 眼镜组及其鼻托
KR20180002777U (ko) 안경테와 코받침대의 결합구조체
KR101445970B1 (ko) 안경테와 다리의 결합구조체
KR200405194Y1 (ko) 무테안경의 렌즈와 안경다리 회전방지구조
TWM642651U (zh) 眼鏡三點換片結構
TWM545262U (zh) 眼鏡換片結構
KR102018604B1 (ko) 키 삽입식 탬플을 가지는 안경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