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044B1 -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 Google Patents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044B1
KR101757044B1 KR1020150070126A KR20150070126A KR101757044B1 KR 101757044 B1 KR101757044 B1 KR 101757044B1 KR 1020150070126 A KR1020150070126 A KR 1020150070126A KR 20150070126 A KR20150070126 A KR 20150070126A KR 101757044 B1 KR101757044 B1 KR 101757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yeglass
coupling
sliding piece
frame
eyeglas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01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63343A (ko
Inventor
장한수
Original Assignee
장한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한수 filed Critical 장한수
Priority to KR10201500701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044B1/ko
Publication of KR201500633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633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0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02C13/001Assembling; Repair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02C5/10Intermediate bars or bars between bridge and 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다리와 연결 구성되는 연결체를 안경테와 결합고정시킴에 있어 용접이 아닌 조립에 의해 견고한 고정이 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의 간소화와 동시에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수월하게 분리 및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경테 및 안경다리 선택의 폭을 확대시켜 취향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품질의 안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
안경렌즈가 장착고정되는 림(120)의 좌,우측 끝단 일측에는 림이 상, 하로 분리되도록 하는 절개선(110)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선(110)에 의해 상, 하로 분리됨과 동시에 그 절개선(110)에 의해 렌즈 및 연결체(200)가 용이한 탈부착이 될 수 있도록 절개선(110)을 중심으로 상측에는 연결체(200)의 슬라이딩편(210)이 수평방향으로 용이한 끼움 결합 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130)이 구성되며, 절개선(110)을 중심으로 하측 방향에는 연결체(200)의 결합돌기(220)가 수직방향으로 용이한 끼움 결합이 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140)을 구비하는 안경테(100)와,
안경다리(300)와 연결되어 안경다리가 접철이 되도록 힌지(230)가 일체형으로 고정되며, 타측 방향에는 상기 안경테(100)의 슬라이딩홈(130)에 대향 하는 슬라이딩편(210)이 구성되고, 그 슬라이딩편(210)의 하측 방향에는 안경테(100)의 결합홈(140)에 대향 하는 결합돌기(220)가 구성되되, 상기 결합돌기(220)에는 고정볼트(1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221)이 형성된 체결홈(222)이 마련되며 안경의 내측 방향으로 휘어진 밴딩부(250)가 형성된 연결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Description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Spectacle frame connecting body and the coupling structure of the spectacle frame}
본 발명은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히는 안경다리와 연결 구성되는 연결체를 안경테와 결합고정시킴에 있어 용접이 아닌 조립에 의해 견고한 고정이 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의 간소화와 동시에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수월하게 분리 및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경테 및 안경다리 선택의 폭을 확대시켜 취향에 알맞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고품질의 안경을 제공할 수 있도록 하는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1)을 구성하고 있는 물품은 크게 안경렌즈(30)와 안경렌즈를 고정시켜 주는 림(11)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안경테(10), 신체의 일부에 착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안경다리(20)와, 상기 안경테(10)과 안경다리를 연결시켜 주는 연결체(70, 당업계에서는 "미미" 라고 칭함) 및 코 다리(코 받침, 50), 그리고 안경다리(20)와 연결체(70) 간 연결 고정되어 안경다리가 접철이 용이하도록 하는 힌지(경첩, 40)로 나눌 수 있다.
그런데, 상기와 같이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연결 구성시켜 주는 연결체(70)는 안경테의 재질이 금속인 경우 안경테와 용접고정을 하는 것이 대부분이며, 안경테가 도 2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사출성형 제품인 경우에는 안경테와 안경 미미가 일체형으로 연결 구성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의 간소화를 얻고자 하였다.
물론, 안경테가 사출성형 제품인 경우에 한해서는 조립의 간소화를 제공받을 수 있지만, 사출성형으로 제조되지 않는 금속 및 비철금속 재질의 안경테에서는 용접작업의 난해함으로 인해 간소화를 제공받기에 어려움이 있었다.
뿐만 아니라, 안경렌즈를 교체하거나 혹은 안경다리를 교체하고자 할 경우에는 선택의 폭이 좁을 수밖에 없었으며, 이때는 사용자가 직접 교체를 하는 것이 아니라 안경 전문점에 의뢰를 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던 것이 사실이다.
따라서, 연결체(70)를 안경테 또는 안경다리에 용접고정시키거나, 크기가 매우 작은 고정용 볼트 없이 안경다리와 안경테가 결합 고정되도록 함과 동시에 렌즈 역시 간편하게 고정시킬 수 있는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 간 결합구조가 필요하게 되었다.
한편,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와 관련된 선행기술자료로서 대한민국 특허등록 제10-1248647-0000호가 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일소키 위해 안출한 것으로, 안경다리와 연결 구성되는 연결체를 안경테와 결합고정시킴에 있어 용접이 아닌 조립에 의해 견고한 고정이 되도록 함으로써 조립의 간소화와 동시에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수월하게 분리 및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하고, 나아가 사용자가 안경테 및 안경다리를 수시로 선택 사용할 수 있게 하여 분위기와 취향에 알맞은 안경을 사용하도록 하는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원 발명의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는,
안경렌즈가 장착고정되는 림(120)의 좌,우측 끝단 일측에는 림이 상, 하로 분리되도록 하는 절개선(110)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선(110)에 의해 상, 하로 분리됨과 동시에 그 절개선(110)에 의해 렌즈 및 연결체(200)가 용이한 탈부착이 될 수 있도록 절개선(110)을 중심으로 상측에는 연결체(200)의 슬라이딩편(210)이 수평방향으로 용이한 끼움 결합 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130)이 구성되며, 절개선(110)을 중심으로 하측 방향에는 연결체(200)의 결합돌기(220)가 수직방향으로 용이한 끼움 결합이 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140)을 구비하는 안경테(100)와,
안경다리(300)와 연결되어 안경다리가 접철이 되도록 힌지(230)가 용접에 의한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고정되며, 타측 방향에는 상기 안경테(100)의 슬라이딩홈(130)에 대향 하는 슬라이딩편(210)이 구성되고, 그 슬라이딩편(210)의 하측 방향에는 안경테(100)의 결합홈(140)에 대향 하는 결합돌기(220)가 구성되되, 상기 결합돌기(220)에는 고정볼트(1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221)이 형성된 체결홈(222)이 마련되며 안경의 내측 방향으로 휘어진 밴딩부(250)가 형성된 연결체(20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안경테(100)의 슬라이딩홈(130)에는 슬라이딩편(210)이 슬라이딩 하면서 끼움 되는 과정에서 전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31)이 상, 하 2개소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31)에 대향 할 수 있도록 연결체(200)의 슬라이딩편(210) 상, 하측 2개소에도 걸림돌기(211)가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연결체(200)의 슬라이딩편(210) 일측에는 슬라이딩편(210)의 추가 슬라이딩이 방지될 수 있도록 스토퍼(240)가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편(210)과 슬라이딩홈(130)의 결합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결합돌기(220)와 결합홈(140)은 수직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되, 상기 결합홈(140)에는 결합돌기(220)가 자유로운 출납이 용이하도록 상측 방향으로 개구 된 개구홈(141)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홈(141)의 하측 방향에는 고정볼트(150)가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공(142)이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는 안경다리와 연결 구성되는 연결체를 안경테와 용접이 아닌 조립에 의해 견고한 고정을 하기 때문에 조립의 간소화와 동시에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수월하게 분리 및 결합이 되도록 하여 사용자가 안경테 또는 안경다리를 수시로 선택 사용할 수 있어 다양한 분위기 연출이 용이하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종래 사출성형으로 제조된 안경다리의 가공과정을 도시한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 예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안경테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안경다리를 확대하여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안경테를 도시한 정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안경의 정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된 안경의 평면도
이하, 첨부된 도면 및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라 본원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본원 발명에서 제공하는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는 도 3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렌즈가 장착고정되는 안경테(100)는 도 3 및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림(120)의 좌, 우측 끝단 일측에는 림이 상, 하로 분리되도록 하는 절개선(110)이 형성된다.
상기 절개선(110)에 의해 림(120)은 상, 하로 분리됨과 동시에 그 절개선(110)에 의해 렌즈 및 연결체(200)가 용이한 탈부착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절개선(110)을 중심으로 상측에는 연결체(200)의 슬라이딩편(210)이 수평방향으로 용이한 끼움 결합 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130)이 구성되며, 절개선(110)을 중심으로 하측 방향에는 연결체(200)의 결합돌기(220)가 수직방향으로 용이한 끼움 결합이 되도록 결합홈(140)이 구성된다.
또한 안경테(100)와 연결되는 연결체(200)는 도 3 및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300)와 연결되어 안경다리가 접철이 되도록 힌지(230)가 용접에 의한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고정된다.
즉, 힌지는 금속 내지 비철금속, 티타늄 소재인 경우에는 용접에 의한 고정이 이루어지며, 뿔테 내지 합성수지 소재인 경우에는 조립 내지는 일체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힌지(230)의 타측 방향에는 상기 안경테(100)의 슬라이딩홈(130)에 대향 하는 슬라이딩편(210)이 구성되고, 그 슬라이딩편(210)의 하측 방향에는 안경테(100)의 결합홈(140)에 대향 하는 결합돌기(220)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결합돌기(220)에는 고정볼트(1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221)이 형성된 체결홈(222)이 마련되며 안경의 내측 방향으로 휘어진 밴딩부(250)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안경테(100)의 슬라이딩홈(130)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슬라이딩편(210)이 슬라이딩하면서 끼움 되는 과정에서 전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31)이 상, 하 2개소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31)에 대향 할 수 있도록 연결체(200)의 슬라이딩편(210) 상, 하측 2개소에도 걸림돌기(211)가 각각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적어도 슬라이딩편(210)은 수평방향으로는 분리될 수 있으나, 전면 방향으로는 분리됨이 없이 어느 정도의 고정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체(200)의 슬라이딩편(210) 일측에는 슬라이딩편(210)의 추가 슬라이딩이 방지될 수 있도록 도 5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스토퍼(240)가 구성되어 슬라이딩편(210)을 강하에 밀어 넣는다고 하더라도 스토퍼(240)에 의해 정해진 거리만 끼움 되게 된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편(210)과 슬라이딩홈(130)의 결합은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 되면서 이루어지도록 구성되며, 결합돌기(220)와 결합홈(140)은 수직방향으로 결합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합홈(140)에는 도 4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돌기(220)가 자유로운 출납이 용이하도록 상측 방향으로 개구 된 개구홈(141)이 형성되며, 상기 개구홈(141)의 하측 방향에는 고정볼트(150)가 체결고정될 수 있도록 관통공(142)이 구성된다.
따라서, 연결체(200)와 안경테(100)를 결합할 때는 먼저 슬라이딩편(210)을 수평방향으로 슬라이딩시켜 슬라이딩홈(130)에 안착시킨다. 슬라이딩편이 안착 되면, 결합홈(140)이 구성된 림(120)을 수직방향으로 이동시켜 결합돌기(220)가 결합홈(140)에 삽입되도록 한다.
이렇게 되면, 슬라이딩편과 슬라이딩홈이 안경테와 연결체 간 전면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되며, 결합홈과 결합돌기는 안경테와 연결체 간 좌, 우 방향으로 분리되는 것을 잡아주는 기능을 수행하게 됨으로써 상호 보완 역할을 하여 고정볼트가 체결되기 전까지 어느 정도 가조립 상태를 유지하게 되는 것이다.
특히, 연결체(20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안경다리(300)와 힌지(230)로 연결 구성되기 때문에 안경다리와 일체형이 되는바, 안경테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안경 다리 전체를 교체할 수 있게 되는 것이며, 이 경우 안경테도 교체가 용이하게 되는 것이다.
1:안경 10:안경테
11:림 20:안경다리
30:렌즈 40:힌지
50:코다리 60:절단선
61:절단부 70:연결체
100:안경테 110:절개선
120:림 130:슬라이딩홈
131:걸림턱 140:체결부
141:개구홈 142:관통공
150:고정볼트 200:연결체
210:슬라이딩편 211:걸림돌기
220:결합돌기 221:나선
222:체결홈 230:힌지
240:스토퍼 250:밴딩부
300:안경다리

Claims (4)

  1. 안경렌즈가 장착고정되는 림(120)의 좌, 우측 끝단 일측에는 림이 상, 하로 분리되도록 하는 절개선(110)이 형성되며, 상기 절개선(110)에 의해 상, 하로 분리됨과 동시에 그 절개선(110)에 의해 렌즈 및 연결체(200)가 용이한 탈부착이 될 수 있도록 절개선(110)을 중심으로 상측에는 연결체(200)의 슬라이딩편(210)이 수평방향으로 용이한 끼움 결합 되도록 하는 슬라이딩홈(130)이 형성되되, 상기 슬라이딩홈(130)에는 슬라이딩편(210)이 슬라이딩하면서 끼움 되는 과정에서 전면방향으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걸림턱(131)이 상, 하 2개소에 형성되며, 상기 걸림턱(131)에 대향 할 수 있도록 연결체(200)의 슬라이딩편(210) 상, 하측 2개소에도 걸림돌기(211)가 각각 구성되며, 절개선(110)을 중심으로 하측 방향에는 연결체(200)의 결합돌기(220)가 수직방향으로 용이한 끼움 결합이 되도록 형성되는 결합홈(140)을 구비하는 안경테(100);와,
    안경다리(300)와 연결되어 안경다리가 접철이 되도록 힌지(230)가 용접에 의한 일체형 또는 조립형으로 고정되며, 타측 방향에는 상기 안경테(100)의 슬라이딩홈(130)에 대향 하는 슬라이딩편(210)이 구성되고, 그 슬라이딩편(210)의 하측 방향에는 안경테(100)의 결합홈(140)에 대향 하는 결합돌기(220)가 구성되되, 상기 결합돌기(220)에는 고정볼트(150)가 체결될 수 있도록 나선(221)이 형성된 체결홈(222)이 마련되며 안경의 내측 방향으로 휘어진 밴딩부(250)가 형성된 연결체(200);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연결체(200)의 슬라이딩편(210) 일측에는 슬라이딩편(210)의 추가 슬라이딩이 방지됨과 동시에 수월한 결합이 될 수 있도록 하는 스토퍼(240);
    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2. 삭제
  3. 삭제
  4. 삭제
KR1020150070126A 2015-05-20 2015-05-20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KR1017570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126A KR101757044B1 (ko) 2015-05-20 2015-05-20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0126A KR101757044B1 (ko) 2015-05-20 2015-05-20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343A KR20150063343A (ko) 2015-06-09
KR101757044B1 true KR101757044B1 (ko) 2017-07-11

Family

ID=535038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0126A KR101757044B1 (ko) 2015-05-20 2015-05-20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04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570B1 (ko) 2018-12-31 2019-06-12 김도형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88570B1 (ko) 2018-12-31 2019-06-12 김도형 안경연결부의 결합핀의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63343A (ko) 2015-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645153B1 (en) Structure for coupling together a frame and a sidepiece of eyeglasses
KR20110086212A (ko) 조립이 용이한 안경테
US20130077041A1 (en) Eyeglasses having replaceable and foldable temples
US6199981B1 (en) Method for securing spectacle members together
KR101757044B1 (ko)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KR101842789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1664666B1 (ko) 안경테의 안경다리 결합구조체
KR10146832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US20230004021A1 (en) Eyeglasses
KR101845070B1 (ko) 보안경 조립체
KR10196597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 구조
KR101625290B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보조안경테 결합구조체
KR20170005593A (ko) 안경테
KR20190016652A (ko) 무용접 조립형 메탈 안경테
KR102289318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200473157Y1 (ko) 안경 세트
KR101477040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0478747Y1 (ko) 안경테와 힌지의 결합구조
KR101757188B1 (ko) 콤비네이션 안경테
KR102018604B1 (ko) 키 삽입식 탬플을 가지는 안경테
KR20150064643A (ko) 안경다리 및 연결구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체
KR200471547Y1 (ko) 디자인과 조립성을 향상시키는 안경의 다리 결합구조
KR102164745B1 (ko) 조립식 안경
KR102141013B1 (ko) 분할된 안경테의 연결구조체
KR101299061B1 (ko) 안경다리의 착탈이 용이한 안경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