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45070B1 - 보안경 조립체 - Google Patents

보안경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45070B1
KR101845070B1 KR1020150136595A KR20150136595A KR101845070B1 KR 101845070 B1 KR101845070 B1 KR 101845070B1 KR 1020150136595 A KR1020150136595 A KR 1020150136595A KR 20150136595 A KR20150136595 A KR 20150136595A KR 101845070 B1 KR101845070 B1 KR 1018450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frame
side frame
glasses
safety gla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365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37257A (ko
Inventor
방기태
Original Assignee
방기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방기태 filed Critical 방기태
Priority to KR10201501365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45070B1/ko
Priority to PCT/KR2016/004878 priority patent/WO2017052023A1/ko
Priority to CN201680068631.4A priority patent/CN108292051B/zh
Priority to US15/770,834 priority patent/US20180303670A1/en
Priority to PCT/KR2016/004871 priority patent/WO2017052022A1/ko
Priority to EP16848748.6A priority patent/EP3355099A4/en
Publication of KR201700372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372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450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4507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6Paddings; Cushions; Fittings to the 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14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incorporating preformed parts or layers, e.g. injection moulding around inserts or for coating articles
    • B29C45/14467Joining articles or parts of a single art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1/00Producing optical elements, e.g. lenses or prisms
    • B29D11/00009Production of simple or compound len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12/00Producing frames
    • B29D12/02Spectacle fram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01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or not fully classifiable according to technical characteristics, e.g. therapeutic 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22Hing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2200/00Generic mechanical aspects applicable to one or more of the groups G02C1/00 - G02C5/00 and G02C9/00 - G02C13/00 and their subgroups
    • G02C2200/04Junctions between frame elements having a click func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안경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그러한 보안경 조립체는 안경테와 일체로 형성되는 렌즈(Lens portion;3)와; 렌즈(3)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얼굴의 양 측부에 밀착되는 측면 프레임(Side frame;7)과; 측면 프레임(7)에 배치되어 측면 프레임(7)을 접거나 펼수 있는 절첩부재(6)와; 렌즈(3)의 테두리에 결합됨으로써 얼굴에 접촉하여 습기를 방지할 수 있는 탄력부재(9)와; 렌즈(3)에 장착되어 안경을 지지하는 걸이부(13)와; 그리고 걸이부(13)의 하부에 구비되어 코의 상부에 지지되는 코 받침대(11)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보안경 조립체{Safety glasses assembly}
본 발명은 보안경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안경테와 렌즈와 다리를 일체로 사출성형하되, 다리에 절첩부재를 적용한 보안경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포츠 고글 수중에서 사용되는 수경과, 스키와 패러글라이딩등과 같은 운동을 행할 때 사용되는 고글과, 산업현장에서 안전용으로 사용하는 보안경으로 구분된다.
수경과 고글은 사용자의 눈을 보호하기 위하여 착용하는 것으로서, 이는 렌즈와, 이 렌즈와 일체로 접착되는 프레임 및 안면에 긴밀하게 밀착시키기 위한 패드 및 머리에 고정하기 위한 밴드 등 여러 가지의 부품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것이다.
또한, 산업현장에서 사용되는 보안경은 용접 등의 작업시 눈을 보호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고글은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다.
첫째,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보안용 고글을 착용하는 경우, 안경과의 간섭등으로 인하여 착용하기 불편하며, 안경과 고글이 별도 구조이므로 작업이나 운동 등으로 안경이 흔들림으로써 방해가 되는 문제점이 있다.
둘째, 안경 다리가 귀에 걸리는 데도 불구하고, 안경이 얼굴의 피부에 충분히 밀착되지 못하여 착용시 얼굴에서 이탈되기 쉽고, 뛰는 경우에는 안경이 유동하는 문제점이 있다.
셋째, 안경테와, 렌즈와, 다리로 구성됨으로써 조립공정이 복잡해지고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
넷째, 종래의 고글과 같이 안경테의 가장자리를 따라 러버(Rubber)를 배치하는 경우, 고글을 착용하였을 때, 러버가 얼굴 피부에 압착됨으로써 습기가 차서 시야를 가리는 문제점이 있다.
특허출원 제10-2005-120293호(실리콘 고무와 기재의 일체 성형 복합체 및 그의 제조방법)
따라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안경테와 렌즈와 다리를 일체로 사출성형하되, 다리에 절첩부재를 적용한 보안경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보안경을 안정적이고 간편하게 착용할 수 있는 보안경 조립체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안경테가 렌즈에 일체로 형성되어 안경테가 생략되는 렌즈(Lens portion;3)와;
렌즈(3)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얼굴의 양 측부에 밀착되는 측면 프레임(Side frame;7)과;
측면 프레임(7)에 배치되어 측면 프레임(7)을 접거나 펼수 있는 절첩부재(6)와;
렌즈(3)의 테두리에 결합됨으로써 얼굴에 접촉할 수 있는 탄력부재(9)와;
렌즈(3)에 장착되어 내측의 안경이나 렌즈를 지지하는 걸이부(13)와; 그리고
걸이부(13)의 하부에 구비되어 코의 상부에 지지되는 코 받침대(11)를 포함하며,
렌즈(3)는 금형의 내부에 렌즈 및 측면 프레임(7)에 해당하는 틀을 마련하고, 이 틀에 렌즈를 성형하는 원료를 주입하여 사출함으로써 렌즈(3)와 측면 프레임(7)이 일체로 성형되며,
탄력부재(9)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바, 제 1렌즈의 하부 테두리(5)에 결합되는 제 1탄력부(9a)와; 제 2렌즈의 하부 테두리(5)에 결합되는 제 2탄력부(9b)를 포함하며,
절첩부재(6)는 다리 일측에 장착되는 제 1절첩편과; 다리 타측에 장착되는 제 2절첩편과; 제 1 및 제 2절첩편을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을 포함하는 보안경 조립체를 제공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 조립체 및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장점이 있다.
첫째, 안경테와, 렌즈와, 다리를 일체로 사출성형함으로써 제조효율을 높이고, 다리에 절첩부재를 장착함으로써 필요시 다리를 접어서 보관할 수 있다.
둘째,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도 안경의 외측에 보안경 조립체를 착용할 수 있다.
셋째, 보안경 조립체에 걸이부를 장착함으로써 안경을 착용하였을 경우 안경을 고정시킴으로써 운동이나 작업중에도 안경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하여 안정성을 높일 수 있다.
넷째, 보안경의 양 렌즈와 렌즈의 중간에 각각 걸이부를 배치함으로써 내측의 안경을 3지점에서 걸어서 고정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안경을 고정시킬 수 있다.
다섯째, 보안경의 렌즈에 안경 고정바를 장착하여 안경용 렌즈만을 결합하여 고정할 수 있음으로 내측에 안경 전체를 착용할 필요없이 렌즈만을 장착할 수 있어서 간편하다.
여섯째, 안경 전체를 보안경에 장착하여야 하는 경우, 걸이부에 의하여 장착할 수 있어서 편리하다.
일곱째, 안경 다리에 해당하는 측면 프레임의 길이가 짧아도 렌즈와 탄력적으로 결합된 구조로 인하여, 착용하였을 경우 양측의 측면 프레임이 얼굴의 양 측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여덟째, 렌즈와 양측의 측면 프레임을 사출에 의하여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제조공정이 간단한 장점이 있다.
아홉째, 렌즈의 가장자리를 따라 탄력부재를 배치하여도 오목홈으로 인한 공기 순환으로 인하여 습기가 차지않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안경 착용자용 보안경 조립체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후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걸이부를 확대하여 보여주는 부분 확대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렌즈의 테두리에 탄력부재가 보안경을 얼굴에 착용하였을 경우를 보여주는 측면 상태도이다.
도 5는 도 1에 도시된 보안경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3점 걸이식 걸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에 도시된 걸이부의 구조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에 도시된 걸이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안경렌즈만을 보안경에 결합할 수 있는 보안경 조립체를 보여주는 후면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보안경 조립체의 내측에 안경렌즈가 결합된 상태를 보여주는 측면도이다.
도 14는 도 1에 도시된 안경 걸이부의 다른 실시예로서 외측의 보안경을 내측의 안경에 거는 방식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15는 도 15에 도시된 걸이부의 측면도이다.
도 16은 도 1에 도시된 안경 착용자용 보안경 조립체를 사용자가 착용한 상태를 보여주는 상태도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 조립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을 보여주는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보안경 조립체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보안경 조립체(1)는 안경테와 렌즈가 일체로 형성되는 렌즈(Lens portion;3)와; 렌즈(3)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얼굴의 양 측부에 밀착되는 측면 프레임(Side frame;7)과; 측면 프레임(7)에 배치되어 측면 프레임을 접거나 펼수 있는 절첩부재(6)와; 렌즈(3)의 테두리에 결합됨으로써 얼굴에 접촉하여 습기를 방지할 수 있는 탄력부재(9)와; 렌즈(3)에 장착되어 내측의 안경이나 렌즈를 지지하는 걸이부(13)와; 걸이부(13)의 하부에 구비되어 코의 상부에 지지되는 코 받침대(11)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조를 갖는 보안경 조립체(1)에 있어서, 안경테는 생략되고 렌즈(3)와 측면 프레임(7)만이 일체로 형성되는 구조이다.
그리고, 이러한 보안경 조립체(1)는 안경(36)을 착용한 상태에서 안경(36)의 외부에 착용하는 구조이므로 통상의 안경 보다는 크게 형성된다.
이러한 보안경 조립체(1)를 성형할 때, 통상적인 사출공정과 같이, 금형의 내부에 렌즈(3) 및 측면 프레임(7)에 해당하는 틀을 마련하고, 이 틀에 렌즈를 성형하는 원료를 주입하여 사출함으로써 성형하는 방식이다. 이와 같이, 사출된 보안경 조립체(1)는 안경테가 생략되고 렌즈(3)와 측면 프레임(7)만이 일체로 연결된 구조를 갖는다.
이때, 사출기에 주입되는 원재료는 렌즈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 등이 적합하다. 물론, 투명재질 이외에 전방을 인식할 수 있을 정도의 투명도, 예를 들면 반투명 정도의 합성수지이면 적용가능하다.
또한 이 원재료는 보안경 조립체(1)를 착용하는 경우 양측 측면 프레임(7)이 얼굴의 양 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야 하므로 탄력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렌즈(3)와 테두리(5)는 동일한 두께로 형성할 수도 있지만, 적절하게 변경하여 서로 다른 두께를 갖도록 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렌즈(3)는 2mm두께로 하고, 테두리(5)는 3mm두께로 할 수 있다. 물론, 렌즈(3)의 두께는 이 수치를 넘어서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따라서, 이와 같이 형성된 보안경 조립체(1)는 렌즈(3)와 양측의 측면 프레임(7)이 일체로 형성되며, 위에서 볼때 "∪"자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이러한 렌즈(3)는 얼굴방향의 후면에 테두리(5)를 따라 탄력부재(9)가 삽입될 수 있다.
즉, 탄력부재(9)는 렌즈(3)의 하부 테두리를 따라 배치됨으로써 보안경 조립체(1)를 착용하였을 경우 눈의 외곽부에 밀착될 수 있다.
상기 측면 프레임(7)은 렌즈(3)의 양측단에서 후방으로(얼굴의 귀방향) 절곡되어 일정 길이 돌출된다. 이때, 측면 프레임(7)의 길이는 다양한 길이를 갖을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는 렌즈(3)에서 귀의 사이 구간에 위치할 수 있는 정도의 길이를 갖는다. 즉, 측면 프레임(7)은 귀에 걸리지 않고 얼굴의 측면에 탄성력만으로 착용될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측면 프레임(7)에 의하여 보다 안정적으로 밀착할 수 있어서 이동시 혹은 운동시에도 흔들리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 측면 프레임(7)에는 절첩부재가 장착됨으로써 필요에 따라 측면 프레임을 접거나 펼수 있다.
이러한 절첩부재(6)는 통상적인 구조의 경첩 등을 포함하는 바, 측면 프레임(7) 일측에 장착되는 제 1절첩편(14)과; 측면 프레임(7) 타측에 장착되는 제 2절첩편(16)과; 제 1 및 제 2절첩편(14,16)을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P)을 포함한다. 따라서, 힌지핀(P)을 중심으로 다리를 접거나 펼칠 수 있다.
이때, 제 1절첩편(14)은 안경테가 생략된 렌즈(3)의 양측단에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절첩편(16)은 측면 다리 프레임(7)에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따라서, 측면 프레임(7)을 렌즈(3)에 결합하는 경우, 제 1 및 제 2절첩편(14,16)을 서로 결합하고 힌지핀(P)을 삽입함으로써 측면 프레임(7)이 렌즈(3)에 결합될 수 있다.
한편, 탄력부재(9)는 렌즈(3)의 후면 하부 테두리에 장착됨으로써 보안경 조립체(1)가 얼굴의 눈 주위(P)에 밀착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탄력부재(9)는 다양한 탄력재질로 형성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실리콘과 같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력부재(9)는 렌즈(3)의 하부 테두리(5)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짐으로써 렌즈(3)의 후면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탄력부재(9)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바, 제 1렌즈의 하부 테두리(5)에 결합되는 제 1탄력부(9a)와; 제 2렌즈의 하부 테두리(5)에 결합되는 제 2탄력부(9b)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 1 및 제 2탄력부(9a,9b)는 전면(렌즈방향)에는 렌즈(3)의 하부 테두리(5)가 삽입되는 결합홈(h1)과; 후면(얼굴방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홈(h2)이 형성된다.
따라서, 탄력부재(9)의 결합홈(h1)에 렌즈(3)의 하부 테두리(5)를 삽입함으로써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보안경 조립체(1)를 착용하였을 경우, 탄력부재(9)가 얼굴 피부(f)에 접촉하며, 이때 오목홈(h2)을 통하여 공기 순환이 가능하므로 완전히 밀착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탄력부재(9)는 규격에 따라 다양한 크기를 갖을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탄력부재(9)의 폭은 8-20mm이고, 안경테가 삽입되는 결합홈(h1)의 깊이는 2-10mm 범위이며, 피부(f)에 접촉하는 오목홈(h2)의 깊이는 5-20mm 범위이다. 물론, 상기 수치를 벗어나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상기 걸이부(13)는 베이스(19)와; 베이스(19)의 상측에 돌출되어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그 사이에 배치된 렌즈(3)의 연결프레임에 밀착되는 한 쌍의 수직바(20,24)와; 한 쌍의 수직바(20,24)중 일측 수직바(20)의 상부에서 측방으로 돌출되어 렌즈(3) 연결 프레임(F)의 상면에 접촉되는 수평바(22)와; 수평바(22)의 선단에 하측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착용한 안경의 프레임을 걸어서 고정시키는 걸림턱(23)을 포함한다.
이러한 걸이부(13)에 있어서, 한 쌍의 수직바(20,24)는 제 1수직바(20)와 제 2수직바(24)로 이루어지며, 제 1 및 제 2수직바(20,24)는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된다. 이때, 제 1 및 제 2수직바(20,24)의 간격은 그 사이에 삽입되는 렌즈(3)의 연결 프레임(F)의 폭 정도의 간격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제 1 및 제 2수직바(20,24)는 렌즈(3) 연결 프레임(F)의 전면 및 후면에 탄력적으로 접촉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바(22)는 한 쌍의 수직바(20,24)중 임의의 바에 배치될 수 있으며, 이하 제 1수직바(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한다.
즉, 수평바(22)는 제 1수직바(20)의 상부에서 내측방향(얼굴방향)으로 돌출 형성되며, 저면은 렌즈(3) 연결 프레임(F)의 상부에 접촉한다. 이때, 수평바(22)는 소정의 탄력성을 갖는 재질이므로 연결 프레임(F)의 상부에 탄력적으로 밀착됨으로써 보다 효과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결국, 걸이부(13)는 한 쌍의 수직바(20,24)와 수평바(22)가 렌즈(3)의 연결 프레임(F)을 감싸는 형태로 결합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수평바(22)의 선단에는 걸림턱(23)이 하부로 형성됨으로써 내측에 착용하는 안경의 프레임을 상부로부터 걸어서 고정할 수 있다.
따라서, 내측에 착용하는 안경의 프레임은 제 2수직바(24)와 걸림턱(23)의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걸림턱(23)에 의하여 걸려서 고정되는 구조이다.
이와 같이, 걸이부(13)가 렌즈(3)에 고정된 상태에서 내측에 착용하는 안경의 프레임을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 결국 외측의 보안경과 내측의 안경은 서로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따라서,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부에 보안경 조립체를 착용하고 뛰거나 작업을 진행하여도 외부 진동에 의하여 안경이 흔들리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상기에서는 수평바(22)가 제 1수직바(20)에 배치되는 것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제 2수직바(24)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이는 보안경 조립체의 규격에 따라 적절하게 선택되어질 수 있다.
한편, 이러한 걸이부(13)의 다른 실시예가 도 5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걸이부(13)가 중간 뿐만 아니라 한 쌍의 렌즈(3a,3b) 각각에도 장착되어 안경을 고정하는 3점 걸이식 구조인 차이점이 있다. 안경테가 생략된 렌즈와, 절첩부재(6)가 장착된 구조는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 1렌즈(3a)에 제 1걸이부(40)가 장착되고 제 2렌즈(3b)에 제 2걸이부(42)가 장착되며, 제 1 및 제 2렌즈(3a,3b)의 중간에 중간 걸이부(44)가 장착되는 방식이다.
따라서, 내측에 착용되는 안경을 3지점에서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이때, 제 1 및 제 2걸이부(40,42)는 렌즈(3)의 상부로부터 삽입되어 탄력적으로 고정되어야 하므로 중간의 걸이부(13)와는 구조에 있어서 차이가 있다.
즉, 수평바(45)의 저면에서 한 쌍의 수직바(46,47)가 직접 연결되어 하부로 연장된 형상이다. 따라서, 한 쌍의 수직바(46,47)의 사이에 렌즈(3)의 상부 테두리를 위치시키고 하부로 밀어 내림으로써 걸이부(40,42)가 렌즈(3)의 테두리에 고정되는 방식이다.
그리고, 이 상태에서 걸림턱(49)에 내측에 착용한 안경의 프레임이 걸림으로써 고정될 수 있다.
다시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걸이부(13)의 하부에는 코 받침대(11)가 배치된다. 이 코 받침대(11)는 걸이부(13)의 베이스(19) 하부에 배치되며 한 쌍으로 이루어진다.
즉, 코 받침대(11)는 베이스(19)의 하부 일측에 하부로 돌출되는 제 1받침대(25)와; 제 1받침대(25)와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되는 제 2받침대(27)를 포함한다.
그리고, 제 1 및 제 2받침대(25,27)는 그 사이 간격이 하부로 갈수록 점차 벌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이때, 제 1 및 제 2받침대(25,27)간의 거리 및 각도는 규격에 따라 적절하게 변경되어 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코 받침대(11)는 수평에 대하여 60-85도 각도를 유지하고, 제 1 및 제 2받침대(25,27)간의 거리는 5-20mm 범위이고, 높이는 15-25mm 범위이다. 물론, 상기 범위를 벗어나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따라서, 제 1 및 제 2받침대(25,27)는 사용자의 코 등에 안정적으로 지지됨으로써 보안경 조립체를 착용한 상태에서 보다 안정적으로 고정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보안경 조립체(1)는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안경의 외측에 착용하는 경우, 한 쌍의 측면 프레임(7)이 얼굴의 양측에 탄력적으로 밀착되고, 코 받침대(11)가 하부를 지지하는 3각 지지 방식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어서 운동시 혹은 작업시 보안경 조립체(1)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렌즈만을 장착하는 구조도 가능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보안경 조립체(1)의 렌즈(3) 상부 테두리에 렌즈 고정바(30)를 각각 장착하는 차이점이 있다. 이때 안경테가 생략된 렌즈(3)와, 절첩부재(6)가 장착된 구조는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렌즈 고정바(30)는 한 쌍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렌즈(3)의 상부 테두리에 각각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렌즈 고정바(30)는 하부에 2개 이상의 결합홈(34,36)이 형성된다.
그리고, 이러한 결합홈(34,36) 중 하나의 결합홈(34)은 렌즈(3)의 상부 테두리에 삽입됨으로써 고정되는 역할을 수행하고, 다른 하나의 결합홈(36)은 안경용 렌즈(32)가 각각 삽입된다.
이때, 렌즈 고정바(30)는 소정의 탄력성을 갖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결합홈(36)에 렌즈가 삽입되었을 경우, 결합홈(36)의 양측 내벽이 렌즈의 외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함으로써 렌즈가 렌즈 고정바(30)로부터 쉽게 분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렌즈 고정바(30)에 의하여 안경용 렌즈(32)만을 고정시킬 수 있음으로, 내측에 통상적인 구조의 안경을 착용할 필요없이 렌즈만을 착용할 수 있어서 착용에 간편하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삭제
한편, 도 14 및 15에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가 도시되는 바, 보안경 조립체(70)의 양측 다리 프레임(74)에 구비된 측면 걸이부(71,72)가 내측의 안경(75)에 결합되는 방식이다. 이때 안경테가 생략된 렌즈(3)와, 절첩부재(6)가 장착된 구조는 동일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보안경 조립체(70)의 양측 다리 프레임(74)에는 측면 걸이부(71,72)가 각각 장착되는 바, 이 측면 걸이부(71,72)는 다리 프레임(74)의 내측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수평 프레임(78)과; 수평 프레임(78)의 단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수직 프레임(79)을 포함한다.
따라서, 수평 프레임(78)과 수직 프레임(79)은 서로 절곡된 형상으로서 내측에 일정 공간이 형성됨으로써 안경의 다리(76)가 이 공간에 삽입될 수 있다.
결국, 안경(75)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측의 보안경 조립체(70)를 상측에서 내려쓰는 경우 양측의 측면 걸이부(71,72)가 형성하는 공간에 안경의 다리(76)가 삽입됨으로써 보안경 조립체와 안경은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보안경 조립체를 제조하는 방법에 대하여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8과, 도 14 내지 도 1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이 제안하는 보안경 조립체(1)의 제조방법은 (a)렌즈(3) 및 측면 프레임(7) 형상의 틀이 구비된 금형에 렌즈 원재료를 주입하여 사출하는 단계(S100)와; (b)플렉시블한 재질의 탄력부재(9) 를 결합하는 단계(S110)과; (C)걸이부(13)를 렌즈(3)에 결합하는 단계(S120)와; (d)외측의 보안경(1)에 내측의 안경(32)을 결합하는 단계(S130)를 포함한다.
이러한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a)단계(S100)에서는 렌즈(3) 및 측면 프레임(7)을 사출성형한다. 즉, 렌즈(3) 및 측면 프레임(7)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의 틀이 구비된 금형을 마련한다.
그리고, 이 금형의 틀에 렌즈용 원재료를 주입하고, 통상적인 사출공정과 같이 가압, 가열 과정을 거침으로써 측면 프레임(7)이 일체로 구비된 렌즈(3)를 성형할 수 있다.
이때, 사출기에 주입되는 원재료는 렌즈의 투명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투명 재질의 합성수지 등이 적합하다. 또한 이 원재료는 보안경 조립체(1)를 착용하는 경우 양측 측면 프레임(7)이 얼굴의 양 측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되어야 하므로 탄력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제 1절첩편(14)은 안경테가 생략된 렌즈(3)의 양측단에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그리고 제 2절첩편(16)은 측면 다리 프레임(7)에 일체로 사출성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a)단계가(S100) 완료된 후 (b)단계가(S110) 진행된다. 이 단계에서는, 별도의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탄력부재(9)를 렌즈(3)의 테두리에 결합한다.
이때, 탄력부재(9)는 사출성형 등 다양한 방식에 의하여 제조될 수 있다.
그리고, 탄력부재(9)의 전면에는 결합홈(h1)이 형성되는 바, 이 결합홈(34,36)에 렌즈(3)의 테두리(5)를 삽입함으로써 일체로 고정시킬 수 있다.
이때, 탄력부재(9)는 일단의 측면 프레임(7)으로부터 렌즈(3)의 테두리(5)를 통과하여 타단의 측면 프레임(7) 구간에 걸쳐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b)단계가 완료된 후, 걸이부(13)를 렌즈(3)의 연결 프레임(F)에 장착하는 (c)단계가 진행된다.
즉, 걸이부(13)의 수평바(22)를 상측으로 젖힌 상태에서 한 쌍의 수직바(20,24)를 렌즈(3)의 연결 프레임(F)에 삽입한다. 이때 한 쌍의 수직바(20,24)의 간격은 연결 프레임(F)의 폭과 거의 동일한 길이를 갖음으로써 한 쌍의 수직바(20,24)는 연결 프레임(F)의 전후면에 탄력적으로 밀착될 수 있다.
그리고, 상부로 젖혀진 수평바(22)에 가해진 외력을 해제함으로써 수평바(22)가 원위치로 복귀할 수 있다.
(C)단계가 완료된 후, 안경에 결합하는 (d)단계가 진행된다. 즉, 내측에 안경을 착용한 상태에서 외측에 보안경 조립체를 착용하는 경우, 걸이부(13)의 걸림턱(23)을 하부로 눌러서 안경의 프레임이 이 걸림턱(23)과 제 2수직바(24)의 사이로 진입되도록 한다.
그리고, 일정 거리 누르면, 안경의 프레임이 걸림턱(23)의 내측에 걸리게 됨으로써 외측의 보안경은 내측의 안경과 일체로 결합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은 공정을 통하여 제조된 보안경 조립체(1)는 내측에 안경을 착용한 후 외측에 사용자가 착용하였을 경우, 양단의 측면 프레임(7)이 얼굴의 양측면을 탄력적으로 가압하고, 동시에 코 받침대(11)가 하부를 지지하는 3각 지지방식에 의하여 지지함으로써 보다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또한, 안경과 보안경 조립체가 서로 일체로 연결됨으로써 안경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착용할 수 있다.
1: 보안경 조립체
3: 렌즈
5: 테두리
6: 절첩부재
7: 측면 프레임

Claims (6)

  1. 안경테가 렌즈에 일체로 형성되어 안경테가 생략되는 렌즈(Lens portion;3)와;
    렌즈(3)의 양측에 일체로 형성되어 얼굴의 양 측부에 밀착되는 측면 프레임(Side frame;7)과;
    측면 프레임(7)에 배치되어 측면 프레임(7)을 접거나 펼수 있는 절첩부재(6)와;
    렌즈(3)의 테두리에 결합됨으로써 얼굴에 접촉할 수 있는 탄력부재(9)와;
    렌즈(3)에 장착되어 내측의 안경이나 렌즈를 지지하는 걸이부(13)와; 그리고
    걸이부(13)의 하부에 구비되어 코의 상부에 지지되는 코 받침대(11)를 포함하며,
    렌즈(3)는 금형의 내부에 렌즈 및 측면 프레임(7)에 해당하는 틀을 마련하고, 이 틀에 렌즈를 성형하는 원료를 주입하여 사출함으로써 렌즈(3)와 측면 프레임(7)이 일체로 성형되며,
    탄력부재(9)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바, 제 1렌즈의 하부 테두리(5)에 결합되는 제 1탄력부(9a)와; 제 2렌즈의 하부 테두리(5)에 결합되는 제 2탄력부(9b)를 포함하며,
    절첩부재(6)는 다리 일측에 장착되는 제 1절첩편(14)과; 다리 타측에 장착되는 제 2절첩편(16)과; 제 1 및 제 2절첩편(14,16)을 힌지가능하게 연결하는 힌지핀(P)을 포함하며,
    걸이부(13)는 렌즈(3)의 중간에 장착되는 중간 걸이부(13)와; 제 1렌즈(3)에 장착되는 제 1걸이부(40)와; 제 2렌즈(3b)에 장착되는 제 2걸이부(42)를 포함하며,
    제 1 및 제 2걸이부(40,42)는 수평바(22)와; 수평바(22)의 하측에 돌출되어 서로 일정 거리 떨어져 배치됨으로써 그 사이에 배치된 렌즈(3)에 밀착되는 한 쌍의 수직바(20,24)와; 수평바(22)의 선단에 하측으로 형성되어 내측에 착용한 안경의 프레임을 걸어서 고정시키는 걸림턱(23)을 포함하며,
    상기 측면 프레임(7)에는 측면 걸이부(71,72)가 각각 장착되는 바, 이 측면 걸이부(71,72)는 측면 프레임(7)의 내측으로부터 측방으로 돌출되는 수평 프레임(78)과; 수평 프레임(78)의 단부에서 하부로 돌출되는 수직 프레임(79)을 포함하는 보안경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제 1 및 제 2탄력부(9a,9b)는 전면(렌즈방향)에는 렌즈(3)의 하부 테두리(5)가 삽입되는 결합홈(h1)과; 후면(얼굴방향)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오목홈(h2)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경 조립체.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항에 있어서,
    렌즈(3)에는 한 쌍의 렌즈 고정바(30)가 추가로 포함되며, 렌즈 고정바(30)는 하부에 2개 이상의 결합홈(34,36)이 형성됨으로써, 결합홈(34,36) 중 하나는 렌즈(3)의 상부 테두리에 삽입되고, 다른 결합홈(36)에는 안경용 렌즈(32)가 각각 삽입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안경 조립체.
KR1020150136595A 2015-09-25 2015-09-25 보안경 조립체 KR1018450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595A KR101845070B1 (ko) 2015-09-25 2015-09-25 보안경 조립체
PCT/KR2016/004878 WO2017052023A1 (ko) 2015-09-25 2016-05-10 안경 착용자용 고글
CN201680068631.4A CN108292051B (zh) 2015-09-25 2016-05-10 用于不戴眼镜的人的护目镜
US15/770,834 US20180303670A1 (en) 2015-09-25 2016-05-10 Goggles for person not wearing eyeglasses
PCT/KR2016/004871 WO2017052022A1 (ko) 2015-09-25 2016-05-10 안경 비착용자용 고글
EP16848748.6A EP3355099A4 (en) 2015-09-25 2016-05-10 Goggles for person not wearing eyeglasse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36595A KR101845070B1 (ko) 2015-09-25 2015-09-25 보안경 조립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37257A KR20170037257A (ko) 2017-04-04
KR101845070B1 true KR101845070B1 (ko) 2018-04-03

Family

ID=58386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36595A KR101845070B1 (ko) 2015-09-25 2015-09-25 보안경 조립체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80303670A1 (ko)
EP (1) EP3355099A4 (ko)
KR (1) KR101845070B1 (ko)
CN (1) CN108292051B (ko)
WO (2) WO201705202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070B1 (ko) * 2015-09-25 2018-04-03 방기태 보안경 조립체
USD846625S1 (en) * 2017-12-11 2019-04-23 Adam Au Protective eyewear
CN113359316B (zh) * 2021-07-16 2022-11-01 南京信息工程大学 一种利用大气压贴合的无架眼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4296A (ja) * 2003-02-26 2006-07-13 Combex Co Ltd 度付眼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55089Y1 (ko) 2010-11-26 2011-08-19 김인겸 보조안경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26449A (en) * 1967-11-09 1970-09-01 Ritchard Salvage One-piece sunglasses
US5300963A (en) * 1992-02-14 1994-04-05 Kanda Optical Co., Ltd. Structure for attaching member for protecting eyes from wind and dust
CA2089808A1 (en) * 1992-06-05 1993-12-06 Peter F. Leonardi Sports eyeglasses with soft resilient connector pads
CN2246814Y (zh) * 1995-05-24 1997-02-05 卓丽彬 戴眼镜者鼻梁皮肤保护器
US6938277B2 (en) * 1999-07-13 2005-09-06 Arthur Charles Lindahl Removable eyewear member
KR200201647Y1 (ko) * 2000-02-01 2000-11-01 김형식 안경 힌지 체결구조
US20050210568A1 (en) * 2004-03-26 2005-09-29 Brent Sheldon Lens attachment combined with formation of goggles frame
KR100695245B1 (ko) 2004-06-18 2007-03-14 에스케이 텔레콤주식회사 휴대 인터넷 시스템에서 이동 단말기의 이동시 휴대인터넷 호 연결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WO2008025083A1 (en) * 2006-08-31 2008-03-06 David John Springer Hard hat with attached safety glasses
US7585070B2 (en) * 2007-04-30 2009-09-08 Mei-Yueh Hou Multifunctional glasses
KR101106545B1 (ko) * 2010-05-31 2012-01-20 주식회사 한국 오.지.케이 탈부착 및 상ㆍ하 개폐가 가능한 보조 입체안경
TWM409439U (en) * 2011-03-16 2011-08-11 All Logic Internat Co Ltd Glasses with double lenses
AU2013308734B2 (en) * 2012-08-31 2016-07-21 Oakley, Inc. Eyewear having multiple ventilation states
CN203060040U (zh) * 2012-12-16 2013-07-17 孟津县电业公司 电力器材氩弧焊专用护目镜
KR101650032B1 (ko) * 2013-11-14 2016-08-23 주식회사 제이텍 고글
CN204129364U (zh) * 2014-07-28 2015-01-28 江苏洪旭光电科技有限公司 一种安装在近视眼镜上的护目镜
JP3199958U (ja) * 2015-07-09 2015-09-17 株式会社 エリカ オプチカル 保護グラス
KR101845070B1 (ko) * 2015-09-25 2018-04-03 방기태 보안경 조립체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184296A (ja) * 2003-02-26 2006-07-13 Combex Co Ltd 度付眼鏡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455089Y1 (ko) 2010-11-26 2011-08-19 김인겸 보조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80303670A1 (en) 2018-10-25
EP3355099A1 (en) 2018-08-01
CN108292051B (zh) 2020-12-08
WO2017052022A1 (ko) 2017-03-30
WO2017052023A1 (ko) 2017-03-30
CN108292051A (zh) 2018-07-17
KR20170037257A (ko) 2017-04-04
EP3355099A4 (en) 2018-09-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752231C (en) Flexible eyewear frame with rigid lens retainer
CN101019065B (zh) 眼镜及其制造方法
KR101845070B1 (ko) 보안경 조립체
KR101478740B1 (ko) 안경의 코받이 결합구조체
KR101602731B1 (ko) 안경 착용자용 보안경 조립체
KR20130002363U (ko) 코걸이 착탈이 용이한 안경테
KR101420774B1 (ko) 분리형 다기능 안경
KR20130138870A (ko) 합성수지안경테의 교환형 코받침
CN211318900U (zh) 一种眼镜
KR200473157Y1 (ko) 안경 세트
KR101578913B1 (ko) 보안경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KR101364270B1 (ko) 안경 코받침 결합구조
KR200483592Y1 (ko) 안경위에 착용할 수 있는 선글라스
KR101374129B1 (ko) 안경용 렌즈 프레임 탈착구조
JP2523720Y2 (ja) 眼鏡等のブローバーとレンズ枠との取付構造
KR200455196Y1 (ko) 스포츠 글라스용 보조안경의 탈착구조
KR200354829Y1 (ko) 고글용 안경
KR200341081Y1 (ko) 안경의 코다리 장착구조
JP3216991U (ja) レンズ交換式眼鏡
KR101023432B1 (ko) 안경테 코받침
TWM514582U (zh) 眼鏡
KR101350936B1 (ko) 착탈식 보조안경
KR200431459Y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코받침 연결구조
TWM530966U (zh) 眼鏡束帶定位結構(二)
TWM553815U (zh) 前掛式副眼鏡及其連接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