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023432B1 - 안경테 코받침 - Google Patents

안경테 코받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023432B1
KR101023432B1 KR1020090041791A KR20090041791A KR101023432B1 KR 101023432 B1 KR101023432 B1 KR 101023432B1 KR 1020090041791 A KR1020090041791 A KR 1020090041791A KR 20090041791 A KR20090041791 A KR 20090041791A KR 101023432 B1 KR101023432 B1 KR 10102343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ing
nose
frame
nose support
spectacle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00417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122738A (ko
Inventor
김형국
우형주
Original Assignee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우형주
김형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우형주, 김형국 filed Critical 영진전문대학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0900417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023432B1/ko
Publication of KR20100122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122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02343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02343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안경테 코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본체 상부에는 안경테와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결합부(1)를 형성하고, 하부는 양 갈래로 분할 형성하여 가운데에 공간부(2)를 형성하며, 양측 하단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대칭이 되도록 내측으로 곡률지게 가공하여 코밀착부(3)를 형성함으로써, 생산성 향상과 제조원가 절감 효과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다양한 제품 생산이 용이하고, 소재 자체의 탄력성을 이용하기 때문에 우수한 착용감도 보장할 수 있어 상품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안경테, 코받침, 박판, 결합부, 코밀착부

Description

안경테 코받침{Nose support for rim of a pair of spectacles}
본 발명은 안경테 코받침에 관한 것으로 더욱 구체적으로는 안경테의 코받침을 탄력성을 가진 판 형태로 제조함으로써 코받침의 생산성을 극대화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안경의 착용감 향상과 더불어 다양한 디자인의 제작이 가능케 하여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한 안경테 코받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테에는 착용감을 향상시키고, 안경 렌즈의 내면과 인체의 눈꺼풀에 있는 속눈썹 간의 거리를 확보하기 위하여 안경테를 구성하는 림의 내측 또는 림과 림을 연결하는 브릿지 내측에 인체의 코 양 측면과 밀착하는 코받침을 형성하게 된다.
이러한 코받침은 안경테의 종류, 재질에 따라서 형태가 달라지는데 일반적으로는 합성수지 안경테에서 주로 볼 수 있는 일체형 코받침과 금속재 안경테에서 볼 수 있는 조립형 코받침으로 구분할 수 있다.
일체형 코받침의 경우에는 주로 합성수지 안경테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림의 내측에 코받침을 일정한 형상과 높이로 돌출되게 성형하는 것으로써 높은 생산성과 생산비 절감 효과를 동시에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안경테를 사출 성형하는 과정에서 그 형상과 높이가 결정되기 때문에 코받침의 폭이나 높이를 임의로 조절하는 것이 불가능할 뿐만 아니라, 다른 형상과 높이를 가진 코받침을 성형하기 위해서는 안경테 전체의 디자인을 모두 새로 해야하고, 안경테 제조를 위한 사출 금형도 새로 제작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한편, 조립형 코받침의 경우에는 주로 금속재로 된 안경테의 림 내측에 연결다리를 용접하여 일체로 형성한 후 연결다리의 단부에 형성된 결합부에 실리콘으로 된 코받침을 나사 결합하는 방식으로 설치하게 되는데 이러한 조립형 코받침은 설치 후 연결다리의 안경사 또는 안경 착용자가 임의로 구부려서 착용자의 코에 맞는 높이와 폭으로 쉽게 조절할 수 있는 장점이 있는 반면에 연결다리를 안경테의 림 내측에 일일이 용접해야 하기 때문에 생산성이 떨어지고, 제조원가가 인상되는 단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높은 생산성과 저렴한 제조원가를 만족함과 동시에 안경테의 소재나 디자인에 따른 제한을 최소화하면서 다양한 형태나 색상, 높이로 제작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우수한 착용감도 보장할 수 있도록 한 코받침을 제공하는데 발명의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 상부에는 안경테와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결합부(1)를 형성하고, 하부는 양 갈래로 분할 형성하여 가운데에 공간부(2)를 형성하며, 양측 하단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대칭이 되도록 내측으로 곡률지게 가공하여 코밀착부(3)를 형성한 구성이다.
한편, 상기 본체는 두께가 1㎜ 이하의 탄력성이 우수한 박판 형태의 합성수지재인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한 쌍의 결합공(101)을 형성하여 안경테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401)와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결합수단은 결합편(102)을 형성하여 안경테에 형성된 절개홈에 상기 결합편(102)을 끼워서 결합하는 것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합성수지 필름과 같은 박판 소재를 절단, 성형함으로써 높은 생산성을 달성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대량 생산이 용이하여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조립이 간편하고 안경테의 소재나 디자인에 따른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기 때문에 합성수지 안경테나 금속재 안경테 모두에 사용할 수 있으며, 소재의 선택이 용이하여 다양한 형태나 색상, 높이로 제작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소재 자체가 가지는 탄력성을 이용할 수 있기 때문에 우수한 착용감도 보장할 수 있어 상품성이 매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주요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와 정면도, 평면도를 순차적으로 나타낸 것으로서 상기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탄력성이 우수한 박판 형태의 소재를 안경테 코받침의 형상대로 절단하게 된다.
이때, 절단된 코받침의 상부에는 안경테와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결합부(1)를 형성하여 이 결합부(1)를 이용해 안경테에 설치하게 되며, 이때 결합부(1)에 형성되는 결합수단은 다양한 형태나 종류를 생산자가 선택적으로 적용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결합수단으로 한 쌍의 결합공(101)을 형성하여 안경테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401)와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도록 함으로써 높은 생산성과 조립 편의성 및 대량 생산의 용이성에 따른 생산비 절감 효과를 동시에 만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코받침 하부는 양 갈래로 분할 형성하여 가운데에 공간부(2)를 형성함으로써, 코받침을 안경테에 설치한 후에 안경테를 착용했을 때 인체의 코 부분이 상기 공간부(2)에 위치하기 때문에 안경 착용의 편의성을 보장할 수 있게 된다.
아울러 상기 코받침의 양측 하단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대칭이 되도록 내측으로 곡률지게 가공하여 코밀착부(3)를 형성하게 되는데, 곡률지게 가공하는 방식은 가열 성형 방식을 이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할 것이나, 그에 한정하는 것은 아님을 미리 밝혀둔다.
이처럼 형성된 본 발명은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5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테의 내면에 코받침을 설치하게 된다.
즉, 도면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안경테의 내면에 한 쌍의 결합돌기(401)와 같은 결합수단을 형성하여 코받침의 결합부(1)에 형성된 결합공(101)에 상기 안경테의 결합돌기(401)가 끼워지도록 억지 끼움으로 결합함으로써 안경테와 코받침의 신속하고 간편한 결합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안경테에 코받침을 결합하기 위한 결합수단으로는 상기와 같이 결합돌기(401)와 결합공(101)을 조합하거나, 안경테에 절개홈을 형성하고 코받침에는 결합편(102)을 형성한 조합을 이용하거나, 안경테에 나사공을 형성하여 코받침을 체결나사를 이용해 안경테에 결합하는 방식 등 매우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두는 바이다.
아울러, 본 발명의 재료가 되는 박판 형태의 소재는 두께가 1㎜ 이하이며, 인체에 유해한 성질이 없는 합성수지재로 제작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한데, 이는 얇은 두께로 인하여 절단 및 가열 성형과 같은 가공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무게가 매우 가볍고, 다양한 색상의 제품 생산이 용이하며, 탄력성을 유지하는데 용이한 소재의 특성 때문이다.
그러나 상기와 같이 얇은 두께에 우수한 탄력성을 가지면서도 가볍고 다양한 색상을 가진 제품 생산이 가능하며, 인체에 유해한 성질이 없는 소재라면 어느 것이든 본 발명의 코받침 재료로서 사용이 가능함은 당연하다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구성을 나타낸 평면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안경테 내측면 예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안경테 평면 예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코밀착부를 가열 성형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코밀착부를 가열 성형하기 전 상태를 나타낸 정면 예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결합부 101: 결합공
102: 결합편 2: 공간부
3: 코밀착부 4: 안경테
401: 결합돌기

Claims (4)

  1. 본체 상부에는 안경테와 결합하는 결합수단을 구비한 결합부(1)를 형성하고, 하부는 양 갈래로 분할 형성하여 가운데에 공간부(2)를 형성하며, 양측 하단부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을 대칭이 되도록 내측으로 곡률지게 가공하여 코밀착부(3)를 형성한 구성으로 된 안경테 코받침.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두께가 1㎜ 이하의 탄력성이 우수한 박판 형태의 합성수지재인 것을 포함하는 안경테 코받침.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한 쌍의 결합공(101)을 형성하여 안경테에 형성되는 한 쌍의 결합돌기(401)와 억지 끼움으로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경테 코받침.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수단은 결합편(102)을 형성하여 안경테에 형성된 절개홈에 상기 결합편(102)을 끼워서 결합하는 것을 포함하는 안경테 코받침.
KR1020090041791A 2009-05-13 2009-05-13 안경테 코받침 KR10102343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791A KR101023432B1 (ko) 2009-05-13 2009-05-13 안경테 코받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90041791A KR101023432B1 (ko) 2009-05-13 2009-05-13 안경테 코받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738A KR20100122738A (ko) 2010-11-23
KR101023432B1 true KR101023432B1 (ko) 2011-03-25

Family

ID=434075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0041791A KR101023432B1 (ko) 2009-05-13 2009-05-13 안경테 코받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02343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191A (en) * 1911-10-28 1912-12-24 Jules J Maurice Sun-shield for the nose.
JPH03108106U (ko) * 1990-02-20 1991-11-07
KR200380000Y1 (ko) * 2004-12-30 2005-03-24 한상수 보빈레스 코일권선기의 코일집게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48191A (en) * 1911-10-28 1912-12-24 Jules J Maurice Sun-shield for the nose.
JPH03108106U (ko) * 1990-02-20 1991-11-07
KR200380000Y1 (ko) * 2004-12-30 2005-03-24 한상수 보빈레스 코일권선기의 코일집게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122738A (ko) 2010-1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20003995A (ko) 코받침 높낮이 조절식 안경프레임
KR200459902Y1 (ko) 합성수지제 안경커버가 결합된 반테 안경
JP3212105U (ja) メガネフレーム
KR101845070B1 (ko) 보안경 조립체
KR101023432B1 (ko) 안경테 코받침
JP2007058189A (ja) 眼鏡前枠製造基板及び眼鏡前枠の製造方法
KR20140000390U (ko) 안경용 패킹
KR101602731B1 (ko) 안경 착용자용 보안경 조립체
KR200435380Y1 (ko) 안경
CN204009249U (zh) 一种轻便的可分体式眼镜框
KR200468407Y1 (ko) 고글
KR200454255Y1 (ko) 조립식 안경
KR200466884Y1 (ko) 다리교환이 용이한 안경다리 연결장치
KR200467559Y1 (ko) 안경
KR200425132Y1 (ko) 밀착형 다리구조를 가지는 안경
KR101378767B1 (ko) 안경 코받침
CN213149395U (zh) 一种全框眼镜
KR200286676Y1 (ko) 안경테
KR200459668Y1 (ko) 안경렌즈고정용 실링부재
KR101578913B1 (ko) 보안경 조립체 및 그 제조방법
JP4620883B2 (ja) 眼鏡
KR101324337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탄성 연결구조
KR101761520B1 (ko) 안경테의 코받침
AU2016226534B2 (en) Flexible nose piece for eyewear
KR200431459Y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코받침 연결구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0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20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