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68407Y1 - 고글 - Google Patents

고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68407Y1
KR200468407Y1 KR2020110011519U KR20110011519U KR200468407Y1 KR 200468407 Y1 KR200468407 Y1 KR 200468407Y1 KR 2020110011519 U KR2020110011519 U KR 2020110011519U KR 20110011519 U KR20110011519 U KR 20110011519U KR 200468407 Y1 KR200468407 Y1 KR 200468407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groove
frame
binding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1001151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30004035U (ko
Inventor
현도명
Original Assignee
현도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도명 filed Critical 현도명
Priority to KR202011001151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68407Y1/ko
Publication of KR2013000403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004035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6840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6840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9/025Special attachment of screens, e.g. hinged, removable; Roll-up protective lay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00Assemblies of lenses with bridges or browbars
    • G02C1/04Bridge or browbar secured to or integral with partial rims, e.g. with partially-flexible rim for holding le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9/00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 G02C9/04Attaching auxiliary optical parts by fitting over or clamping 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2Goggles
    • A61F2009/021Goggles with prescription spectacle lens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렌즈의 색상이나 도수 또는 렌즈테의 색상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누구나 간단하게 기본테의 좌우 결합부에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글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 고글은, 상측부(121)의 각 내단측에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편(122)과 상기 지지편의 하측으로부터 상측부의 하면 중간부분에 이르게 중간에 요입형성되는 결합홈(123)과 상기 결합홈의 모서리부분에 내측으로 깊게 형성되는 결속홈(124) 및 상기 상측부의 하면 외단측에 외측이 예각을 이루는 형태로 요입형성되는 결착홈(125)을 구비하는 결합부(12)가 전면의 좌우에 형성되는 기본테(10)와, 하부가 개방되며 내·외측편(211)(212)은 하단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되고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과 결속홈 및 결착홈에 각각 결합결속되는 결합돌기(213)와 결속편(214) 및 결착편(215)이 형성되며 하주면 중간에는 고정돌기(216)가 형성된 상부테(21)와 양단을 상기 내·외측편의 각 하단에 고정하는 와이어 형태의 하부테(22)로 형성되는 렌즈테(20) 및 외주면 중간에 상기 고정돌기와 하부테가 결합되는 고정홈(31)이 빙 둘러 형성된 렌즈(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고글{Goggle}
본 고안은 고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렌즈의 색상이나 도수 또는 렌즈테의 색상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누구나 간단하게 기본테의 좌우 결합부에 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글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도 시력이 나쁜 안경착용자들이 고글을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해, 기본테의 결합부를 포함하는 전면에 장착홈을 형성하여 도수렌즈가 결합된 도수보조테나 고글렌즈를 결합한 고글보조테 중 하나를 선택하여 결합할 수 있도록 한 렌즈 교환식 고글(실용신안등록 제350085호)이 있었는데, 이러한 렌즈 교환식 고글은 기본테의 결합홈에 도수보조테나 고글보조테를 결합하면 전면부가 이중으로 중첩되기 때문에 전면부가 두껍고 투박하게 됨은 물론 무겁게 되어 착용시 잘 흘러내리게 되는 등 제품가치가 저하되고 착용감이 불량한 문제점들이 있었다.
또한, 기본테의 전면 장착홈에 도수보조테나 고글보조테를 결합 또는 분리할 때에는 다수의 결합홈에 다수의 결합돌기를 일일이 맞춰 주어야 하기 때문에 결합 또는 분리하는 것이 매우 번거롭고 불편하였음은 물론 기본테의 전면에 도수보조테나 고글보조테를 결합하면 이중으로 중첩되므로 불필요한 재료의 낭비는 물론 제조원가가 상승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따라서, 본원 출원인은 종래 렌즈 교환식 고글의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렌즈를 장착하는 좌우 렌즈테를 분리하여 제작함과 동시에 기본테는 탄성과 유연성이 양호한 재질로 성형함과 동시에 좌우 결합부는 상기 렌즈테의 상부와 양 상측부분만 결합하여도 한 몸체와 같이 단단히 결합되도록 한 고글을 고안하여 선등록(실용신안등록 제20-0451344호)받았다.
이러한 선등록 고글은, 렌즈테의 상부와 양 상측부분만 기본테의 좌우 결합부에 결합하여도 한 몸체와 같이 단단히 결합되기 때문에 종래 렌즈 교환식 고글에 비하여 렌즈가 장착된 렌즈테를 기본테에 결합 및 분리하는 것이 매우 간단 용이하여 사용하는 것이 매우 편리하고 재료의 낭비 및 제조원가를 낮출 수 있음은 물론 기본테의 좌우 결합부에 렌즈테를 각각 결합하면 단일체로 제작한 것과 같은 상태가 되어 외관이 미려하게 되어 상품가치도 크게 향상되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렌즈테가 렌즈를 빙 둘러 감싸게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렌즈테를 제조하는데 많은 재료가 소요되므로 제조원가의 상승이 초래되었음은 물론, 특히, 렌즈의 색상이나 도수 또는 렌즈테의 색상을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간단·용이하게 결합 또는 교체시켜 착용하는 것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렌즈테를 제조하는데 소요되는 재료의 분량에 비례하여 무게가 늘어나기 때문에 착용감이 저하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본 고안은 이러한 문제점들 감안하여 고안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누구나 필요로 하는 도수나 색상의 렌즈 또는 렌즈테를 자유롭게 선택하여 간단·용이하게 결합시켜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고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제조원가가 최대한 절감되도록 함과 동시에 착용감이 더욱 향상되게 하는 고글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고안은 이러한 목적들은 달성하기 위해, 하부가 개방된 상부테와 유연성 재질로 되며 양단은 상기 상체부의 양측부 하단에 고정하는 와이어 형태의 하부테로 되는 좌우의 렌즈테와, 좌우의 결합부에 상기 좌우 렌즈테의 상부테만 각각 결합하여도 한 몸체와 같이 단단히 결속되게 형성되는 기본테 및 상기 렌즈테에 결합하며 외주면에는 결속홈이 형성된 렌즈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착용자의 필요에 따라 렌즈는 물론 렌즈테도 누구나 간단·용이하게 기본테에 결합 또는 교체할 수 있도록 한 고글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에 따른 고글은, 좌우의 렌즈테를 하부가 개방된 상부테와 유연성 재질로 되며 양단은 상기 상체부의 양측부 하단에 고정하는 와이어 형태의 하부테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렌즈를 렌즈테에 간단·용이하게 결합 또는 교체할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으며, 이에 따라 누구나 렌즈의 색상이나 도수 또는 렌즈테의 색상 등도 필요에 따라 선택하여 착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상품가치를 더욱 향상시켜 주게 되는 장점도 있다.
또한, 렌즈테의 하부테를 와이어 형태로 형성하는 것이므로 렌즈테의 전체적인 재료의 사용량이 감소하여 생산원가가 절감됨은 물론 그 무게도 감소하기 때문에 착용감이 크게 향상되게 하는 효과도 얻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 예에 따른 고글을 일부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를 일부 발췌하여 확대한 정면도
도 3은 도 2의 확대 정 단면도
이하, 본 고안 실시 예에 따른 고글을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 실시 예에 따른 고글을 일부 분리하여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조립상태를 일부 발췌하여 확대한 정면도이며, 도 3은 도 2의 확대 정 단면도이다.
본 고안 실시 예에 따른 고글은, 기본테(10)와 좌우의 렌즈테(20) 및 좌우의 렌 즈(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기본테(10)는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합성수지 등으로 형성되며, 양단부에 부설되는 다리(11)와, 전면의 좌우에 렌즈테(20)의 상측부만 결합하게 형성되는 결합부(12)를 구비하여 된다.
좌우의 결합부(12)는, 상측부(121)와, 상기 상측부의 각 내단측에 하단으로 갈수록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편(122)과, 상기 지지편의 하측으로부터 상측부의 하면 중간부분에 이르게 중간에 요입형성되는 결합홈(123)과, 상기 결합홈의 모서리부분에 내측으로 깊게 형성되는 결속홈(124) 및 상기 상측부의 하면 외단측에 외측이 예각을 이루는 형태로 요입형성되는 결착홈(125)을 구비하여 된다.
렌즈테(20)는, 하부가 개방되는 상부테(21)와, 양단을 각각 상기 상부테의 내·외측편(211)(212) 하단에 고정하는 하부테(22)로 된다.
상부테(21)는 일반적인 렌즈테의 상부형태로 되며, 내·외측편(211)(212)은 하단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되어 렌즈(30)의 외주면 상측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속고정하게 된다.
그리고, 상부테(21)의 외주면에는 좌우의 결합부(12)에 형성된 결합홈(123)과 결속홈(124) 및 결착홈(125)에 각각 결합과 결속되는 결합돌기(213)와 결속편(214) 및 결착편(215)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상부테(21)를 결합부(12)에 결합하면, 결합홈(123)과 결속홈(124) 및 결착홈(125)에 결합돌기(213)와 결속편(214) 및 결착편(215)이 각각 결합결속되어 한 몸체로 되기 때문에 임의로 분리되지 않게 고정된다.
또한, 상부테(21)의 하주면 중간에는 내·외측편(211)(212)의 하측으로부터 고정돌기(216)가 형성되며, 상기 내·외측편의 하단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속공에는 하부테(22)의 양단을 각각 관통하게 결합하여 고정한다.
하부테(22)는 낚싯줄과 같은 가늘고 질긴 와이어 형태로 되는 것이며, 양단을 내·외측편(211)(212)의 하단측에 각각 형성되는 결속공에 관통하게 결합한 다음 각 단부를 녹여서 부착고정한다.
렌즈(30)는 도수에 따라 그 두께가 다르게 되는 것임은 물론 선글라스와 같이 다양한 색상으로 되는 것으로서, 외주면 중간에는 고정돌기(216)와 하부테(22)가 결합되는 고정홈(31)이 빙 둘러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 실시 예에 따른 고글은, 렌즈(30)를 렌즈테(20)에 결합할 때에는 먼저 상기 렌즈테의 하주면에 형성된 고정돌기(216)가 고정홈(31)의 상부에 삽입되게 상기 렌즈의 상부를 하주면에 결합한 다음에 하부테(22)를 상기 고정홈의 하부에 끼워주면 된다.
이때, 하부테(22)는 와이어 형태로 되어 있는 것이므로 큰 힘으로 들이지 않고도 고정홈(31)에 용이하게 끼워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렌즈(30)를 결합고정시킨 렌즈테(20)를 기본테(10)의 결합부(12)에 결합할 때에는 상기 기본테가 탄성과 유연성을 갖는 재질로 되는 것이므로, 상기 결합부의 결속홈(124)에 결속편(214)을 삽입하면서 결합홈(123)에 결합돌기(213)를 결합한 상태에서 상기 결합부의 외측부분을 상방으로 구부리다가 하방으로 원위치시키면서 결착홈(125)에 결착편(215)을 삽입하면 된다.
이렇게 하면, 결속홈(124)에는 결속편(214)이 삽입되고 결합홈(123)에는 결합돌기(213)가 결합되며 결착홈(125)에는 결착편(215)이 삽입됨과 동시에 기본테(10)의 탄성에 의해 서로 견고하게 결합결속고정된다.
이에 따라, 렌즈(30)와 렌즈테(20) 및 기본테(10)는 서로 한 몸체와 같이 결합고정되므로 일반적인 고글과 같은 상태로 착용할 수 있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렌즈테(20)를 분리할 때에는 결합부(12)의 외측부분을 상방으로 구부리면서 결착홈(125)에서 결착편(215)을 이탈시켜 주면 간단히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렌즈(30)는 와이어 형태의 하부테(22)를 고정홈(31)에서 이탈시켜주기만 하면 간단히 분리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 실시 예에 따른 고글은, 렌즈(30)와 렌즈테(20) 및 기본테(10)를 간단·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할 수 있기 때문에 필요에 따라 누구나 렌즈(30)의 도수나 색상은 물론 렌즈테(20)나 기본테(10)의 색상 등도 자유롭게 선택결합하여 착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기본테 12 : 결합부
122 : 지지편 123 : 결합홈
124 : 결속홈 125 : 결착홈
20 : 렌즈테 21 : 상부테
22 : 하부테 211,212 : 내,외측편
213 : 결합돌기 214 : 결속편
215 : 결착편 216 : 고정돌기
30 : 렌즈 31 : 고정홈

Claims (1)

  1. 상측부(121)의 내단측에 외측으로 경사지게 연장되는 지지편(122)과 상기 지지편(122)의 하측으로부터 상측부의 하면 중간부분에 이르게 중간에 요입형성되는 결합홈(123) 및 상기 결합홈(123)의 모서리부분에 깊게 요입형성되는 결속홈(124)과 상측부(121)의 하면 외단측에 외측이 예각을 이루는 형태로 형성되는 결착홈(125)을 구비하는 결합부(12)가 전면의 좌우에 형성된 기본테(10)와, 하부가 개방되며 외주면에는 상기 결합홈(123)과 결속홈(124) 및 결착홈(125)에 각각 결합결속되는 결합돌기(213)와 결속편(214) 및 결착편(215)이 형성된 상부테(21)와 양단을 상기 상부테(21)의 내·외측편(211)(212) 각 하단에 고정하는 와이어 형태의 하부테(22)로 되는 렌즈테(20) 및 외주면의 중간에 상기 하부테(22)가 결합되는 고정홈(31)이 빙 둘러 형성된 렌즈(30)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고글에 있어서,
    상기 상부테(21)의 내·외측편(211)(212)은, 상기 렌즈(30)의 외주면 상측부를 감싸는 상태로 결속고정하게 하단으로 갈수록 서로 간격이 좁아지는 형태로 연장되며;
    상기 상부테(21)의 하주면 중간에 내·외측편(211)(212)의 하측으로부터 렌즈(30)의 고정홈(31)에 결합되게 형성되는 고정돌기(216)를 더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글.
KR2020110011519U 2011-12-26 2011-12-26 고글 KR20046840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519U KR200468407Y1 (ko) 2011-12-26 2011-12-26 고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10011519U KR200468407Y1 (ko) 2011-12-26 2011-12-26 고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35U KR20130004035U (ko) 2013-07-04
KR200468407Y1 true KR200468407Y1 (ko) 2013-08-09

Family

ID=51396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10011519U KR200468407Y1 (ko) 2011-12-26 2011-12-26 고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68407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50Y1 (ko) 2013-01-21 2014-02-28 현도명 고글
KR20230029313A (ko)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마글 탈부착용 스마트 안경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058Y1 (ko) * 2004-04-16 2004-07-02 정진백 안경렌즈 고정장치
KR200451344Y1 (ko) * 2008-06-13 2010-12-09 현도명 고글
KR101093870B1 (ko) 2011-07-26 2011-12-19 심성기 시력 보정용 고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55058Y1 (ko) * 2004-04-16 2004-07-02 정진백 안경렌즈 고정장치
KR200451344Y1 (ko) * 2008-06-13 2010-12-09 현도명 고글
KR101093870B1 (ko) 2011-07-26 2011-12-19 심성기 시력 보정용 고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71550Y1 (ko) 2013-01-21 2014-02-28 현도명 고글
KR20230029313A (ko) 2021-08-24 2023-03-03 주식회사 마글 탈부착용 스마트 안경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004035U (ko) 2013-07-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09043B1 (ko) 조립식 모자
KR101584209B1 (ko) 렌즈교체형 안경
KR200459902Y1 (ko) 합성수지제 안경커버가 결합된 반테 안경
KR200468407Y1 (ko) 고글
KR200451344Y1 (ko) 고글
KR20130138870A (ko) 합성수지안경테의 교환형 코받침
KR101397357B1 (ko) 교체 가능한 안경테
KR200435380Y1 (ko) 안경
JP2014002386A (ja) 非定形の眼鏡フレーム
KR200473157Y1 (ko) 안경 세트
KR200454255Y1 (ko) 조립식 안경
KR101350938B1 (ko) 안경용 헤어밴드 및 그 헤어밴드 장착구조
KR200466884Y1 (ko) 다리교환이 용이한 안경다리 연결장치
KR102056754B1 (ko) 조립식 안경
KR101729043B1 (ko) 렌즈 교체가 용이한 안경테
KR200469057Y1 (ko) 개량된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테
KR101177870B1 (ko)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US20130180037A1 (en) Simple and handy snow goggles
JP2015016001A (ja) 検眼テストレンズ用リング枠
KR200471550Y1 (ko) 고글
KR101663014B1 (ko) 개량된 템플 조립구조를 갖는 안경
KR101023432B1 (ko) 안경테 코받침
KR100948226B1 (ko) 안경다리의 장식구 설치 구조
CN205880397U (zh) 一种可更换镜框的眼镜
KR200461568Y1 (ko) 선글라스헬멧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5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