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177870B1 -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 Google Patents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177870B1
KR101177870B1 KR1020120044579A KR20120044579A KR101177870B1 KR 101177870 B1 KR101177870 B1 KR 101177870B1 KR 1020120044579 A KR1020120044579 A KR 1020120044579A KR 20120044579 A KR20120044579 A KR 20120044579A KR 101177870 B1 KR101177870 B1 KR 10117787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necting means
sole
shoe
coupling housing
fixing n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445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성엽
Original Assignee
유성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성엽 filed Critical 유성엽
Priority to KR10201200445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177870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17787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177870B1/ko
Priority to PCT/KR2012/010472 priority patent/WO2013162147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21/00Heels; Top-pieces or top-lifts
    • A43B21/36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 A43B21/38Heels; Top-pieces or top-lif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Securing devices for the attaching means by screws only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13/00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 A43B13/28Soles; Sole-and-heel integral units characterised by their attachment, also attachment of combined soles and heels
    • A43B13/36Easily-exchangeable sole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4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between upper and sole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24Collapsible or convertible
    • A43B3/246Collapsible or convertible characterised by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른 색상 및 디자인을 갖는 갑피나 신발창으로 교체하거나 손상된 갑피나 신발창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기술로서, 신발창 상면에 제1연결수단이 마련되고, 갑피의 바닥 하면에 상기 제1연결수단에 대응되는 제2연결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제1연결수단과 상기 제2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갑피와 신발창이 결합되되, 상기 제1연결수단은 상기 신발창의 전방측과 후방측 각각에 끼움홈과 끼움슬롯을 갖는 전방 결합 하우징과 후방 결합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수단은 상기 전방 결합 하우징에 끼워지는 전방 결합돌기와 상기 후방 결합 하우징에 끼워지는 후방 결합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FOOTWEAR WITH A SWITCHABLE UPPER OR SOLE}
본 발명은 사용자의 취향에 따라 다른 색상 및 디자인을 갖는 갑피나 신발창으로 교체하거나 손상된 갑피나 신발창을 교체하여 사용할 수 있는 신발에 관한 기술이다.
신발은 단순히 발을 보호하는 목적을 넘어 패션을 이루는 중요한 요소로 자리잡아가고 있다.
신발산업은 대량 생산 체제를 갖춘 저임금 국가에서 생산되어 공급되어 왔으며, 각 국가의 산업 및 경제 발전에 따라 그 역할의 변화에 맞추어 지속적인 생산기지 이동이 이루어져 왔다.
한국은 1970년대 신발 중흥기를 거쳐 88 올림픽을 기점으로 노무비 증가에 따른 가격 경쟁력의 상실로 생산기지를 중국, 베트남 등으로 이전하여 신발을 생산을 하고 있으며, 이러한 저임금 국가에 전세계 대부분의 주요한 신발 브랜드들의 생산기지가 위치하고 있다.
중국이나 베트남도 경제 발전에 따라 지속적인 노무비 상승으로 점차 가격 경쟁력을 상실하고 있으며, 중국의 경우 해안가의 도시 생산기지에서 내륙의 저렴한 노무비 조건을 찾아 공장들이 이동하고 있고, 일부는 경제가 발달되지 않은 방글라데시와 같은 국가로 생산기지를 옮기고 있는 실정이다.
전통적으로 신발산업은 노동집약적인 산업으로 분류되기 때문에 생산에 따른 노무비의 상승은 가격 경쟁력을 확보하는데 중요한 영향을 미치게 된다.
일반적으로 갑피와 신발창을 포함하는 신발의 생산을 위해서는 접착공정을 통해서 갑피와 신발창을 결합하게 된다. 따라서 다수의 작업자들의 접착제를 갑피나 신발창에 도포한 다음에 신발창을 붙이거나 갑피를 붙여야 하므로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시간도 많이 소요된다.
그리고 공업용 접착제의 대부분은 인체에 유해하기 때문에 작업자들은 장시간 유해환경에 노출된 채 작업을 할 수 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일반적인 신발들은 한번 구매하면 갑피나 신발창이 떨어질 때까지 착용하며, 혹은 유행이 지난 것은 상태가 양호하더라도 폐기하는 경우가 많았다. 유행에 민감하고 패션에 신경을 많이 쓰는 젊은 사람들은 매일 다른 신발을 착용하거나 의상에 맞는 신발을 신고자 하는 경향이 강하다. 따라서 운동화만 하여도 여러 켤레를 가지고 있는 경우도 많다. 하지만 고가의 신발을 여러 켤레 구비하는 것은 상당한 경제적 부담이 아닐 수 없다.
본 발명과 관련된 종래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4-0062253호(2004.07.07 공개)의 "신발 밑창이 탈착되어지는 낚시용 신발"이 알려져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사시도이며, 도시된 바와 같이 낚시용 신발(2)에 장착되는 중창(4)에는 삽입요홈(6)이 형성되는 기둥(12)이 형성되고, 중창(4)의 요홈(6)에 탈부착되는 밑창(8)에는 삽입돌기(10)가 형성된다. 따라서 밑창(8)은 중창에 탈부착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종래기술은 단지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해 밑창을 교체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며, 중창 전체에 확고히 밑창이 밀착 결합되지 않는 구조이므로 밑창과 중창 사이 공간으로 이물질이 쉽게 들어갈 수 있고 돌부리 등에 걸리게 되면 밑창이 중창으로부터 떨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문제점이 있다.
신발창이나 갑피를 교체할 수 있는 신발이 제품화되기 위해서는 갑피와 신발창이 틈새없이 확실하게 결합이 되어야 하고, 교체가 용이해야 한다.
1. 대한민국 공개특허번호 제10-2004-0062253호(2004.07.07 공개)
본 발명은 갑피나 신발창을 사용자가 간편하게 교체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되, 갑피와 신발창이 틈새없이 전체적으로 확실하게 결합을 이루어 실제 제품화가 가능한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통상적인 신발 제조라인과 달리 공업용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고 신발창과 갑피를 결합할 수 있고, 소규모 조립 라인 및 소규모 인력으로도 효과적으로 신발을 생산할 수 있는 신발을 제공하고자 한다.
제시한 바와 같은 과제 달성을 위한 본 발명의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은, 신발창 상면에 제1연결수단이 마련되고, 갑피의 바닥 하면에 상기 제1연결수단에 대응되는 제2연결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제1연결수단과 상기 제2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갑피와 신발창이 결합되되, 상기 제1연결수단은 상기 신발창의 전방측과 후방측 각각에 끼움홈과 끼움슬롯을 갖는 전방 결합 하우징과 후방 결합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수단은 상기 전방 결합 하우징에 끼워지는 전방 결합돌기와 상기 후방 결합 하우징에 끼워지는 후방 결합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신발창의 상면인 상기 전방 결합 하우징과 상기 후방 결합 하우징 사이에 제3연결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갑피의 바닥 하면 중심부에 상기 제3연결수단과 결합되는 제4연결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연결수단과 상기 제3연결수단은 플라스틱 사출로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제2연결수단과 상기 제4연결수단도 플라스틱 사출로 일체로 성형된 것이고, 상기 제3연결수단과 상기 제4연결수단은 볼트를 이용한 체결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연결수단과 상기 제4연결수단은,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3연결수단은 상기 전방 결합 하우징과 상기 후방 결합 하우징 사이에 상하로 관통되는 센터홀과 상기 센터홀 주위로 함몰된 복수의 위치결정홈과 상기 신발창 하부면에 위치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4연결수단은 상기 전방 결합돌기와 상기 후방 결합돌기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센터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삽입돌기 주위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결정홈에 끼워지는 복수의 위치결정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너트가 상기 삽입돌기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또 다른 사상으로서의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은, 신발창 상면에 제1연결수단이 마련되고, 갑피의 바닥 하면에 상기 제1연결수단에 대응되는 제2연결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제1연결수단과 상기 제2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갑피와 신발창이 결합되되, 상기 제1연결수단은 상기 신발창의 전방측에 끼움홈과 끼움슬롯을 갖는 전방 결합 하우징과, 상기 신발창의 후방측에 상하로 형성되는 관통홀 및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수단은 상기 전방 결합 하우징에 끼워지는 전방 결합돌기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며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삽입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 결합 하우징에 상기 전방 결합돌기가 끼워지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는 고정너트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갑피와 신발창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제1연결수단은 상기 관통홀 주위에 복수의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수단은 상기 위치결정홈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신발창의 후방측 하부면은 말굽 형태를 이루어 상기 고정너트를 상기 삽입돌기에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신발창의 후방측은 분리가능한 후방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창의 상면에 상기 삽입돌기가 체결될 수 있는 상기 고정너트가 마련되어 상기 후방창을 회전시켜서 상기 삽입돌기와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 상기 후방창은 상면으로부터 함몰홈이 형성되는 후방본체와, 상기 함몰홈에 끼워지는 상기 고정너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너트는 상기 후방본체 상면을 덮게되는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함몰홈에 삽입되고 내경면에 암나사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은 갑피와 신발창을 조립할 때 접착제를 사용하지 않아도 되므로 대규모의 조립라인이 불필요하고 환경친화적이라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사용자가 갑피나 신발창을 필요에 맞게 교체할 수 있어 하나의 신발로 여러 켤레의 신발을 구매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갑피와 신발창이 확실히 밀착 결합될 수 있는 구조이므로 착용시에 불편함이 없고 갑피나 신발창의 교체시 교체작업이 어렵지 않다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종래기술에 대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조립 상태 단면도.
도 3은 분해 단면도.
도 4는 제1연결수단의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결합 단면도.
도 6은 분해 상태 단면도.
도 7은 제1연결수단의 사시도.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조립 단면도.
도 9는 분해 단면도.
도 10은 제1연결수단 및 제3연결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
도 11은 제4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단면도.
도 12는 도 11의 분해 단면도.
도 13은 제1연결수단의 사시도.
도 14는 제5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단면도.
도 15는 도 14의 분해 단면도.
도 16은 제1연결수단의 사시도.
도 17은 후방창의 사시도.
도 18은 제5실시예의 또 다른 변형 실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부여하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 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은 신발창 상면에 제1연결수단이 마련되고, 갑피의 바닥에 제2연결수단이 마련되어 제1연결수단과 제2연결수단을 통해서 갑피와 신발창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첨부되는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조립 상태 단면도이며, 도 3은 분해 단면도이고, 도 4는 제1연결수단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신발창(A)과 갑피(B)가 결합되어 이루어지며, 신발창(A) 상면에 제1연결수단(100)이 마련되고 갑피(B)의 바닥 하면에 제1연결수단(100)에 대응하는 제2연결수단(200)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갑피(B)를 신발창(A)에 연결하기 위해서는 갑피(B)를 굽혀서 길이방향의 길이가 짧아지도록 한 후 제1연결수단(100)에 제2연결수단(200)이 끼워지도록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신발창(A) 상면에 마련되는 제1연결수단(100)은 전방 결합 하우징(110)과 후방 결합 하우징(12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바람직하게 전방 결합 하우징(110)과 후방 결합 하우징(120)은 플라스틱 사출로 일체로 연결되는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전방 결합 하우징(110)과 후방 결합 하우징(120)은 서로 마주보는 형태를 이루며, 서로 마주보는 각각의 내측부로부터 끼움홈(101)이 형성된다. 전방 결합 하우징(110)과 후방 결합 하우징(120)의 상면은 덮개(102)가 형성되어 덮개(102)의 하부에 빈 공간을 이루는 끼움홈(101)이 마련된다.
그리고 전방 결합 하우징(110) 및 후방 결합 하우징(120)의 덮개(102)에 끼움홈(101)과 연결되는 끼움슬롯(103)이 형성된다. 본 실시예는 대략 U 자형을 이루도록 절개된 형태의 끼움슬롯(103)이 전방 결합 하우징(110) 및 후방 결합 하우징(120)의 내측 단부 중심으로부터 길게 형성되는 것으로 한다.
갑피(B)의 바닥 하면에 마련되는 제2연결수단(200)은 전방 결합돌기(210)와 후방 결합돌기(220)가 되며, 전방 결합돌기(210)는 전방 결합 하우징(110)에 끼워지고 후방 결합돌기(220)는 후방 결합 하우징(120)에 끼워져 결합이 이루어진다.
전방 결합돌기(210)와 후방 결합돌기(220) 각각은 전방 결합 하우징(110) 및 후방 결합 하우징(120)과 암수 형태로 끼워질 수 있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그리고 바람직하게 갑피(B) 바닥 하면에 마련되는 전방 결합돌기(210)와 후방 결합돌기(220)는 플라스틱 사출로 일체로 성형되는 형태로 되는 것이 좋다.
그리고 제2연결수단(200)이 결합된 갑피(B)는 길이방향에 대해 탄력적으로 굽혀질 수 있으며, 제2연결수단(200)이 플라스틱 사출로 이루어지므로 사용자가 소정의 힘을 가해 갑피(B)를 구부리면 전방 결합돌기(210)와 후방 결합돌기(220)를 잇는 중간 부분이 굽혀지게 되어 전방 결합 하우징(110)과 후방 결합 하우징(120)의 끼움홈(101)에 전방 결합돌기(210)와 후방 결합돌기(220)를 삽입시킬 수 있다.
굽혀진 상태에서 전방 결합 하우징(110) 및 후방 결합 하우징(120)의 끼움홈(101)에 삽입되는 전방 결합돌기(210)와 후방 결합돌기(220)는 다시 원상태로 펴지면서 유동이 발생되지 않는 상태로 결합을 이루게 된다.
제1연결수단(100)을 이루는 전방 결합 하우징(110)과 후방 결합 하우징(120) 사이에는 제3연결수단(300)이 더 마련될 수 있고, 갑피(B)의 바닥 하면 중심부에는 제4연결수단(400)이 더 마련될 수 있다. 제3연결수단(300)과 제4연결수단(400)은 서로 결합을 이루게 되며 갑피(B)와 신발창(A)간의 보다 견고한 결합이 가능하도록 한다.
제1연결수단(100)과 제3연결수단(300)은 플라스틱 사출로 일체로 성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2연결수단(200)과 제4연결수단(400)도 플라스틱 사출로 일체로 성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제3연결수단(300)과 제4연결수단(400)은 볼트를 이용하여 결합을 이루는 체결구조가 적용될 수 있고, 그 외 선택적으로 체결/분리될 수 있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연결수단(300)은 제1연결수단(100)의 중간부분에 돌출되되 상단부분으로부터 암나사(k)가 형성된다. 한편, 제4연결수단(400)은 제2연결수단(200)의 중간부분에 상하로 천공된 볼트홀(420)이 형성되어 볼트(m)가 암나사(k)에 결합되게 함으로써 제3연결수단(300)과 제4연결수단(400)이 결합을 이루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제3연결수단(300)과 제4연결수단(400)으로는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즉, 서로 극성을 달리하는 자석을 각각 제3연결수단 및 제4연결수단으로 하여 구성할 수 있고, 혹은 제3연결수단과 제4연결수단 중 어느 하나를 자석으로 하고 다른 하나를 금속판과 같은 것으로 하여 자력에 의해 결합이 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결합 단면도이며, 도 6은 분해 상태 단면도이고, 도 7은 제1연결수단의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다.
제1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신발창(A) 상면에 제1연결수단(100)이 마련되고 갑피(B) 바닥 하면에 제2연결수단(200)이 마련되며, 제1연결수단(100)의 중간에 제3연결수단(300)이 마련되고, 제2연결수단(200)의 중간에 제4연결수단(400)이 마련된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3연결수단(300)과 제4연결수단(400)이 가장 기본적인 체결방식인 볼트를 이용한 방식인 것으로 하되, 신발창(A)의 하부에서 볼트(m)를 삽입하여 제3연결수단(300)과 제4연결수단(400)이 볼트(m)에 의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신발창(A)의 중간부분에 생크(n)가 내장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생크(n)에는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n1)을 형성시킨다. 그리고 신발창(A) 하면에 체결판(p)을 마련한다. 체결판(p)에도 볼트(m)가 삽입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제3연결수단(300)은 요철 형태를 이루고 제4연결수단(400)은 제3연결수단(300)과 맞물릴 수 있도록 요철이 형성된다. 제4연결수단(400)의 돌출부(410)에 암나사(k)가 형성되고 제3연결수단(300)의 함몰부(310)에 볼트가 지날 수 있는 관통홀이 형성된다.
따라서 제1연결수단(100)에 제2연결수단(200)을 결합시킨 후 제3연결수단(300)과 제4연결수단(400)이 결합되도록 하면 갑피(B)와 신발창(A)은 견고하게 결합이 이루어지고, 갑피(B)나 신발창(A)의 교체시에는 역으로 쉽게 갑피나 신발창을 교체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하며,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개략적인 조립 단면도이며, 도 9는 분해 단면도이고, 도 10은 제1연결수단 및 제3연결수단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제3실시예에서 제1연결수단(100)으로 전방 결합 하우징(110)과 후방 결합 하우징(120)이 사용되고, 제2연결수단(200)으로는 전방 결합돌기(210) 및 후방 결합돌기(220)가 사용된다.
제1연결수단(100)의 중간부인 전방 결합 하우징(110)과 후방 결합 하우징(120) 사이에 제3연결수단(300)이 마련되는데, 제3연결수단(300)은 센터홀(320)과 위치결정홈(330) 및 고정너트(340)를 포함하게 된다.
전방 결합 하우징(110)과 후방 결합 하우징(120) 사이에 상하로 관통되는 하나의 센터홀(320)이 형성되며, 센터홀(320) 주위로 복수의 위치결정홈(330)이 형성된다. 그리고 신발창(A)의 하부면에 고정너트(340)가 위치되고, 바람직하게 신발창 하부면에 생크(350)를 마련하고 생크(350) 하부에 고정너트(340)가 위치되는 것으로 한다. 생크(350)에도 센터홀(320)과 같은 구멍이 형성된다.
제4연결수단(400)은 삽입돌기(430)와 위치결정돌기(440)로 이루어지며, 전방 결합돌기(210)와 후방 결합돌기(220) 사이에 삽입돌기(430)가 돌출된다. 삽입돌기(430)의 외면에는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삽입돌기(430)는 센터홀(320)에 삽입된다.
그리고 위치결정돌기(440)들은 위치결정홈(330)에 끼워져 정확한 위치에서 결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센터홀(320)에 끼워지는 삽입돌기(430)는 신발창 하부로 돌출되며 고정너트(340)가 삽입돌기(430)에 체결됨으로써 제3연결수단(300)과 제4연결수단(400)은 결합이 된다. 바람직하게 신발 하부면에 생크(350)를 마련하며, 생크에도 구멍이 형성되어 삽입돌기(430)는 생크(350)의 구멍을 관통한 후 고정너트(340)와 체결된다.
다음으로 제4실시예를 설명하며, 도 11은 제4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단면도이며, 도 12는 도 11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13은 제1연결수단의 사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의 신발 역시 신발창(A) 상면에 제1연결수단(100)이 마련되고, 갑피(B)의 바닥 하면에 제1연결수단(100)과 결합될 수 있는 제2연결수단(200)이 마련됨으로써 갑피와 신발창을 결합/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특히 제1연결수단(100)은 신발창(A) 상면을 덮게 되는 사출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신발창(A)의 전방측에 끼움홈(101)과 끼움슬롯(103)을 갖는 전방 결합 하우징(110)과, 신발창(A)의 후방측에 상하로 관통되는 관통홀(130) 및 고정너트(140)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제1연결수단(100)의 상면으로 관통홀(130) 주위로 복수개의 위치결정홈(150)이 형성되도록 하며, 관통홀(130)은 하나 이상이 형성될 수 있다.
제2연결수단(200)은 전방 결합 하우징(110)에 끼워지는 전방 결합돌기(210)와 관통홀(130)에 삽입되도록 돌출되고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삽입돌기(230)로 이루어진다.
전방 결합 하우징(110)에 전방 결합돌기(210)가 끼워지고 관통홀(130)에 삽입되는 삽입돌기(230)는 고정너트(140)와 체결됨으로써 갑피와 신발창은 결합을 이루게 된다.
고정너트(140)는 신발창(A)의 하부면에서 체결되어야 하므로 바람직하게 신발창의 후방측 하부면은 말굽 형태를 이루어 신발창(A) 하부로 돌출되는 삽입돌기(230)에 고정너트(140)를 체결할 수 있도록 한다.
다음으로 제5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며, 도 14는 제5실시예에 따른 신발의 단면도이며, 도 15는 도 14의 분해 단면도이고, 도 16은 제1연결수단의 사시도이고, 도 17은 후방창의 사시도이다.
제5실시예에 따른 신발은 신발창(A) 상면에 형성되는 제1연결수단(100)으로 전방 결합 하우징(110)과 신발창 후방측에 관통홀(130)이 형성되고, 고정너트(140)는 분리 가능한 후방창(C)에 형성된다.
제2연결수단(200)으로 전방 결합돌기(210)가 마련되고 후방측에 삽입돌기(230)가 마련된다.
즉, 후방창(C) 상면에 삽입돌기(230)가 체결될 수 있는 고정너트(140)가 마련됨으로써 후방창(C)을 회전시켜서 갑피(B)를 신발창(A)에 고정되게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후방창(C)은 후방본체(C1)와 고정너트(140)로 이루어지며, 후방본체(C1)의 상면에 함몰홈(Ca)이 형성된다. 고정너트(140)는 함몰홈(Ca)에 끼워져 고정되며, 고정너트(140)는 덮개판(141)과 암나사부(142)로 이루어진다.
바람직하게 덮개판(141)의 하면으로 돌출되게 암나사부(142)가 형성되며 사출을 통해 일체로 덮개판(141)과 암나사부(142)가 성형되게 하여 하나의 고정너트(140)를 이루도록 한다.
고정너트(140)의 덮개판(141)은 후방본체(C1) 상면을 덮게 되며 암나사부(142)가 상기 후방본체(C1)의 함몰홈(Ca)에 끼워져 고정된다.
관통홀(130)을 통해 돌출되는 삽입돌기(230)에 후방창(C)의 암나사부(142)를 맞추어 회전시킴으로써 후방창(C)은 삽입돌기(230)와 체결되고, 이를 통해 갑피와 신발창은 결합된다.
그리고 관통홀(1330) 주위로 복수의 함몰되는 위치결정홈(150)이 형성될 수 있고, 삽입돌기(230) 주위로 위치결정돌기(240)가 형성되어 위치결정홈(150)에 위치결정돌기(240)가 끼워질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8은 제5실시예의 변형으로서 신발창(A)의 대략 중간부분에서 갑피(B)와 신발창(A)이 한번 더 체결될 수 있는 구조로 할 수 있다.
즉, 후방창(C)과 별도로 갑피(B) 중간부분에 수나사산을 갖는 돌출된 중간삽입돌기(250)를 형성시키고 제1연결수단(100)에 상하로 개구된 중간삽입홀(160)을 형성시켜서 중간삽입돌기(250)를 너트(170)로 체결하여 고정시킬 수 있도록 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전방 결합 하우징(110)에 전방 결합돌기(210)가 끼워져 1차적인 결합을 이루고 삽입돌기(230)에 후방창(C)을 체결하면 최종적으로 신발창과 갑피가 결합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와 같은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은 사용자가 간편하게 갑피나 신발창을 교체할 수 있고, 갑피와 신발창이 유격없이 확실히 고정될 수 있는 구조인 바, 신발의 완성도를 높일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신발은 갑피와 신발창을 단품으로 별도로 제공할 수 있기 때문에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다양한 색상, 형태의 갑피나 신발창을 구매한 후 적절히 조립하여 여러 켤레의 신발을 구매한 것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신발은 갑피와 신발창을 접착제로 결합하지 않기 때문에 제조라인을 단순화시킬 수 있고 환경오염을 방지할 수 있고 작업자의 건강도 지킬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일 뿐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되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종류의 신발에 적용될 수 있다.
A : 신발창 B : 갑피
100 : 제1연결수단 110 : 전방 결합 하우징
120 : 후방 결합 하우징 200 : 제2연결수단
210 : 전방 결합돌기 220 : 후방 결합돌기
300 : 제3연결수단 400 : 제4연결수단

Claims (10)

  1. 신발창 상면에 제1연결수단이 마련되고, 갑피의 바닥 하면에 상기 제1연결수단에 대응되는 제2연결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제1연결수단과 상기 제2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갑피와 신발창이 결합되되,
    상기 제1연결수단은 상기 신발창의 전방측과 후방측 각각에 끼움홈과 끼움슬롯을 갖는 전방 결합 하우징과 후방 결합 하우징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수단은 상기 전방 결합 하우징에 끼워지는 전방 결합돌기와 상기 후방 결합 하우징에 끼워지는 후방 결합돌기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의 상면인 상기 전방 결합 하우징과 상기 후방 결합 하우징 사이에 제3연결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갑피의 바닥 하면 중심부에 상기 제3연결수단과 결합되는 제4연결수단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수단과 상기 제3연결수단은 플라스틱 사출로 일체로 성형되며, 상기 제2연결수단과 상기 제4연결수단도 플라스틱 사출로 일체로 성형된 것이고, 상기 제3연결수단과 상기 제4연결수단은 볼트를 이용한 체결구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수단과 상기 제4연결수단은,
    자력에 의해 서로 결합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3연결수단은 상기 전방 결합 하우징과 상기 후방 결합 하우징 사이에 상하로 관통되는 센터홀과 상기 센터홀 주위로 함몰된 복수의 위치결정홈과 상기 신발창 하부면에 위치되는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4연결수단은 상기 전방 결합돌기와 상기 후방 결합돌기 사이에 돌출되게 형성되고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어 상기 센터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와 상기 삽입돌기 주위에 돌출되게 형성되어 상기 위치결정홈에 끼워지는 복수의 위치결정돌기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너트가 상기 삽입돌기와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6. 신발창 상면에 제1연결수단이 마련되고, 갑피의 바닥 하면에 상기 제1연결수단에 대응되는 제2연결수단이 마련되어 상기 제1연결수단과 상기 제2연결수단에 의해 상기 갑피와 신발창이 결합되되,
    상기 제1연결수단은 상기 신발창의 전방측에 끼움홈과 끼움슬롯을 갖는 전방 결합 하우징과, 상기 신발창의 후방측에 상하로 형성되는 관통홀 및 고정너트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제2연결수단은 상기 전방 결합 하우징에 끼워지는 전방 결합돌기와,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도록 돌출되며 외면에 수나사산이 형성되는 삽입돌기로 이루어져 상기 전방 결합 하우징에 상기 전방 결합돌기가 끼워지고 상기 관통홀에 삽입되는 삽입돌기는 고정너트와 체결됨으로써 상기 갑피와 신발창이 결합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수단은 상기 관통홀 주위에 복수의 위치결정홈이 형성되며, 상기 제2연결수단은 상기 위치결정홈에 대응하여 돌출되는 복수의 위치결정돌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의 후방측 하부면은 말굽 형태를 이루어 상기 고정너트를 상기 삽입돌기에 체결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9.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신발창의 후방측은 분리가능한 후방창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후방창의 상면에 상기 삽입돌기가 체결될 수 있는 상기 고정너트가 마련되어 상기 후방창을 회전시켜서 상기 삽입돌기와 결합시킬 수 있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창은 상면으로부터 함몰홈이 형성되는 후방본체와, 상기 함몰홈에 끼워지는 상기 고정너트로 이루어지되, 상기 고정너트는 상기 후방본체 상면을 덮게되는 덮개판 및 상기 덮개판의 중심부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함몰홈에 삽입되고 내경면에 암나사산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KR1020120044579A 2012-04-27 2012-04-27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KR10117787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579A KR101177870B1 (ko) 2012-04-27 2012-04-27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PCT/KR2012/010472 WO2013162147A1 (ko) 2012-04-27 2012-12-05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44579A KR101177870B1 (ko) 2012-04-27 2012-04-27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177870B1 true KR101177870B1 (ko) 2012-08-29

Family

ID=468879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44579A KR101177870B1 (ko) 2012-04-27 2012-04-27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1177870B1 (ko)
WO (1) WO2013162147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7374A1 (en) * 2015-12-29 2017-07-06 Nike Innovate C.V. Footwear component manufacturing fixture
KR20210014447A (ko) 2019-07-30 2021-02-09 이종윤 탈부착 스터드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689Y1 (ko) 2002-05-08 2002-09-05 임석규 이중 기능성 신발
KR200360869Y1 (ko) 2004-06-08 2004-09-07 박두호 교환용 구두 뒷굽.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50274A (ko) * 2008-11-05 2010-05-13 동서대학교산학협력단 기능성 밑창을 구비한 조립식 신발
KR20100010624U (ko) * 2009-04-20 2010-10-28 조재규 다기능 교체식 밑창을 갖는 신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7689Y1 (ko) 2002-05-08 2002-09-05 임석규 이중 기능성 신발
KR200360869Y1 (ko) 2004-06-08 2004-09-07 박두호 교환용 구두 뒷굽.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17374A1 (en) * 2015-12-29 2017-07-06 Nike Innovate C.V. Footwear component manufacturing fixture
US10905200B2 (en) 2015-12-29 2021-02-02 Nike, Inc. Footwear component manufacturing fixture
US11369168B2 (en) 2015-12-29 2022-06-28 Nike, Inc. Footwear component manufacturing fixture
KR20210014447A (ko) 2019-07-30 2021-02-09 이종윤 탈부착 스터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3162147A1 (ko) 2013-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650704B2 (en) Footwear system with interchangeable portions
US20090260260A1 (en) Flip-Flop Type Shoes and Method of Fastening Straps on the Soles of Flip-Flop Type Shoes
US20120174435A1 (en) Shoe with interchangeable heel
AU2012259515A1 (en) Sandal, set of a sandal and strips and method for forming a sandal
KR101177870B1 (ko) 갑피 또는 신발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WO2015069019A1 (ko) 신발 밑창이 자유롭게 분리, 결합이 가능하도록 하는 방법 및 기능성 신발의 제조방법
US20190045878A1 (en) Shoe constructions
KR101823292B1 (ko) 조립식 신발
US20150223551A1 (en) Footwear
WO2009117772A1 (en) Footwear
KR100509657B1 (ko) 조립식 신발
KR200468407Y1 (ko) 고글
US20150366287A1 (en) Shoe assembly
KR200346303Y1 (ko) 신발 밑창 구조
CN204070745U (zh) 一种可拆卸的鞋
KR200325513Y1 (ko) 구두 뒷굽의 착탈구조
KR20170004663A (ko) 갑피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
KR20150074398A (ko) 탈부착이 가능한 일체형 아웃솔을 갖는 슈즈 및 제조방법
JP2014033970A (ja) 履物、履物様鼻緒、履物への鼻緒の係合部材、履物及び鼻緒総体、並びに履物製造及び組立方法
KR101895665B1 (ko) 신발용 보조뒷굽
KR200163313Y1 (ko) 슬리퍼
KR101334091B1 (ko) 뒷굽 또는 앞굽의 교체가 가능한 신발창
KR20120005462U (ko) 탈착식 양방향 슬리퍼
KR20120007455U (ko) 안경 연결구
KR20140005906U (ko) 슬리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