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63313Y1 - 슬리퍼 - Google Patents

슬리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63313Y1
KR200163313Y1 KR2019990012913U KR19990012913U KR200163313Y1 KR 200163313 Y1 KR200163313 Y1 KR 200163313Y1 KR 2019990012913 U KR2019990012913 U KR 2019990012913U KR 19990012913 U KR19990012913 U KR 19990012913U KR 200163313 Y1 KR200163313 Y1 KR 200163313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ok portion
fixing
fixing band
outsole
s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1291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근우
Original Assignee
이근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근우 filed Critical 이근우
Priority to KR201999001291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63313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6331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63313Y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3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attachment of the toestra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1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 A43B3/102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 A43B3/105Slippers, e.g. flip-flops or thong sandals leaving the heel of the foot bare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layout of the toestrap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BCHARACTERISTIC FEATURES OF FOOTWEAR; PARTS OF FOOTWEAR
    • A43B3/00Footwear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the use
    • A43B3/10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 A43B3/108Low shoes, e.g. comprising only a front strap; Slippers characterised by the sole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일체로 사출성형되는 슬리퍼에 있어서 발등을 고정하는 고정밴드의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응력집중부위를 줄일 수 있도록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슬리퍼는, 바닥창(11)과; 상기 바닥창의 후단부 측면 둘레로 분리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양단부가 상기 바닥창의 중단부 측면에 일체로 연결된 고정밴드(21)와; 상기 고정밴드의 후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선단에 후크부(25)가 형성된 고정스트립(23)과; 상기 바닥창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개방슬릿(15)과; 그리고, 상기 개방슬릿의 종단부 저면에 후크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삽입홈(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고안에 따르면, 고정밴드(21)의 후단부에 후크부(25)를 가진 고정스트립(23)이 하나 더 형성되고, 상기 추가 설치되는 고정스트립과 대응하여 바닥창(11)의 선단부에 개방슬릿(15)이 추가로 형성되며, 상기 추가 설치되는 개방슬릿의 종단부 저면에 상기 후크부와 대응하여 삽입홈(17)이 더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슬리퍼{Slippers}
본 고안은 슬리퍼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닥창과, 발이 이탈되지 않도록 발등을 감싸는 고정밴드가 일체로 성형되어 이루어지는 슬리퍼에 있어서 고정밴드의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는 슬리퍼에 관한 것이다.
슬리퍼는 통상적으로 바닥창과, 발이 이탈되지 않도록 발등을 감싸는 고정밴드로 이루어지며, 상기 고정밴드는 그 양단부 내면이 바닥창의 양측면에 접합되거나, 그 양단부가 바닥창의 양측면에 삽입되어 접합됨으로써 바닥창과 조립된다. 그러나, 이러한 슬리퍼는 바닥창 및 고정밴드를 각각 별도로 제조하여야 할 뿐만 아니라 바닥창 및 고정밴드를 조립하는 공정도 수반함으로써, 많은 제조설비가 요구되고 제조공정이 복잡할 뿐만 아니라 제조시간도 많이 걸리며 재료비도 많이 소요되기 때문에 원가상승 및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대한민국 실용공고 제1997-1544호 및 동 공개실용 제1998-12736호에 개시된 바와 같은 슬리퍼가 제안되었다. 이 슬리퍼들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발바닥과 유사한 형상을 갖는 평판체(1)의 후방측에 형성되는 디귿자형 절취선(3)에 의해 구성되는 갑피부(2)와; 상기 평판체(1)의 선단부에 좌우 대칭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절결선(5,5)에 의해 구성되는 고정편(4)과; 그리고, 상기 절취선(3)과 연결되는 상태로 갑피부(2)에 절결 형성되며 상기 고정편(4)을 끼워 지지하기 위한 끼움공(6)으로 구성된 것이다. 이 슬리퍼에 의하면, 갑피부(2)를 위로 들어 올림과 아울러 고정편(4)을 위로 들어 올려, 고정편(4)을 끼움공(6)에 끼우면 슬리퍼의 조립이 완료되고, 이와 같이 조립된 슬리퍼를 착용하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고정편(4)이 삽입되고 갑피부(2)는 발등을 덮게 되므로 발이 이탈되지 않는다.
상기한 바와 같은 슬리퍼에 있어서는 평판체(1)를 일체로 성형함으로써 원가절감 및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고, 미조립상태에서 겹쳐서 보관하면 부피를 줄일 수 있다는 등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갑피부(2)와 고정편(4)이 모두 위로 절곡되어 결합되기 때문에 갑피부(2)와 고정편(4)이 평판체(1)으로부터 절곡되는 시작부위에 응력이 집중되어 이 응력집중부위가 파단되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발등을 고정하는 고정밴드의 조립상태를 견고하게 유지함과 아울러 응력집중부위를 줄일 수 있는 슬리퍼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리퍼를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동 전개 사시도이다.
도 3은 동 전개 평면도이다.
도 4는 동 저면도이다.
도 5는 도 1의 요부 확대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리퍼를 전개한 평면도이다.
도 7은 동 저면도이다.
도 8은 종래 슬리퍼를 조립한 사시도이다.
도 9는 동 전개 평면도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1 : 바닥창, 13 : 요철부,
15 : 개방슬릿, 17 : 삽입홈,
21 : 고정밴드, 23 : 고정스트립,
25 : 후크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은 3점식 고정밴드가 적용된 슬리퍼로서, 저면에 미끄럼방지용 요철부가 형성된 바닥창과; 상기 바닥창의 후단부 측면 둘레로 분리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양단부가 상기 바닥창의 중단부 측면에 일체로 연결된 고정밴드와; 상기 고정밴드의 후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선단에 후크부가 형성된 고정스트립과; 상기 바닥창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개방슬릿과; 그리고, 상기 개방슬릿의 종단부 저면에 상기 고정밴드를 앞쪽으로 굴곡함으로써 개방슬릿을 통하여 삽입되는 고정스트립의 후크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삽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슬리퍼에 따르면, 고정밴드를 바닥창의 상부 앞쪽으로 굴곡하면서 고정스트립을 개방슬릿을 통하여 삽입하여 고정스트립의 후크부를 바닥창의 저면에 형성되는 삽입홈에 삽입함으로써 슬리퍼의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슬리퍼를 착용하면 고정스트립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밴드는 발등을 덮게 되므로 발이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슬리퍼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바닥창과 지면과의 사이에 후크부가 위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발의 힘이 과도하게 작용하거나 발이 미끄러질 경우라도 후크부가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또한, 본 고안은 4점식 고정밴드가적용된 슬리퍼로서, 저면에 미끄럼방지용 요철부가 형성된 바닥창과; 상기 바닥창의 후단부 측면 둘레로 분리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양단부가 상기 바닥창의 중단부 측면에 일체로 연결된 고정밴드와; 상기 고정밴드의 후단부 양쪽으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선단에 후크부가 각각 형성된 양쪽 고정스트립과; 상기 바닥창의 선단부 양쪽에 형성되는 양쪽 개방슬릿과; 그리고, 상기 각 개방슬릿의 종단부 저면에 상기 고정밴드를 앞쪽으로 굴곡함으로써 개방슬릿들을 통하여 삽입되는 각 고정스트립의 후크부들을 고정하도록 형성된 양쪽 삽입홈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슬리퍼에 따르면, 고정밴드를 앞쪽으로 굴곡하면서 고정스트립들을 각각 개방슬릿들을 통하여 삽입하여 고정스트립들의 각 후크부를 바닥창의 저면에 형성되는 삽입홈들에 삽입함으로써 슬리퍼의 조립이 완료되기 때문에, 슬리퍼를 착용하면 고정밴드는 발등을 덮게 되므로 발이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슬리퍼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바닥창과 지면과의 사이에 후크부들이 위치하여 견고하게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발의 힘이 과도하게 작용하거나 발이 미끄러질 경우라도 후크부가 삽입홈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본 고안의 다른 특징 및 이점들은 첨부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대한 상세한 설명으로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실시예 1>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1에 따른 슬리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1에 따른 슬리퍼는 3점식 고정밴드가 적용된 것으로서, 전체가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지며, 착용시에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고정밴드의 전단부가 삽입되어 발이 이탈되지 않게 되는 형태의 슬리퍼이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창(11)은 대략 발바닥의 외관에 따른 평면 형상을 가지며, 저면에는 미끄럼방지용 요철부(1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바닥창(11)의 후단부 측면 둘레로 고정밴드(21)가 배치되고, 이 고정밴드(21)의 양단부는 바닥창(11)의 대략 중단부 측면에 이것과 일체로 연결되어 있다. 따라서, 고정밴드(21)는 이것과 바닥창(11)과의 사이에 존재하는 틈새(27)에 의하여 바닥창(11)의 상부 앞쪽으로 굴곡가능하다.
고정밴드(21)의 후단부에는 고정스트립(23)이 뒤쪽으로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이 고정스트립(23)의 선단(즉, 자유단)에는 후크부(25)가 형성되어 있다. 후크부(25)는 도시된 바와 같이 대략 사각형 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직립자세를 취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이외에 걸어 고정할 수 있는 것이라면 그 형상은 임의이다.
한편, 바닥창(11)의 선단부에는 상기 고정스트립(23)과 대응하여 개방슬릿(15)이 후측으로 형성으로 있고, 이 개방슬릿(15)의 종단부 저면(즉, 요철부(13))에는 상기 후크부(25)와 대응하여 삽입홈(17)이 형성되어 있다. 이 삽입홈(17)의 형상은 후크부(25)의 형상과 동일한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실시예 1에 따른 슬리퍼에 따르면, 슬리퍼를 조립하여 착용하기 위하여 우선 고정밴드(21)를 바닥창(11)의 상부 앞쪽으로 굴곡하면서 고정스트립(23)를 아래로 굴곡하여 개방슬릿(15)을 통하여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하면 고정스트립(23)의 선단에 형성된 후크부(25)는 수평자세를 취하게 되고, 따라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크부(25)를 삽입홈(17)에 삽입할 수 있다. 후크부(25)를 삽입홈(17)에 삽입하여 슬리퍼의 조립을 완료한 후 슬리퍼를 착용하면, 고정스트립(23)이 엄지발가락과 검지발가락 사이에 삽입되고 고정밴드(21)는 발등을 덮게 되므로 발이 슬리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이와 같은 슬리퍼를 착용하고 있는 상태에서는 바닥창(11)과 지면과의 사이에 후크부(25)가 위치하여 걸을 때마다 지면에 밀착되므로 슬리퍼의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고, 이에 따라 달리다가 멈출 때와 같이 발의 힘이 과도하게 작용하거나 발이 미끄러질 경우라도 후크부(25)가 삽입홈(17)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는다.
<실시예 2>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본 고안의 실시예 2에 따른 슬리퍼에 대하여 설명한다. 실시예 2에 있어서는 전술한 실시예 1과 대응하는 구성요소는 동일부호를 붙여 나타내고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실시예 2에 따른 슬리퍼는 4점식 고정밴드가 적용된 슬리퍼로서, 착용시에 밴드와 바닥창과의 사이에 발을 집어넣는 형태의 일반적인 슬리퍼이다. 본 실시예의 슬리퍼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슬리퍼 전체가 합성수지재로 일체로 사출성형되어 이루어지며, 성형된 슬리퍼를 조립하여 착용하면 바닥창(11)과 고정밴드(21)와의 사이의 공간으로 발가락이 모두 삽입되어 발이 이탈되지 않게 되어 있다.
즉, 실시예 2에 있어서는 고정밴드의 후단부 양쪽으로부터 사선방향 후측으로 2개의 고정스트립(23,23)이 차례로 형성되고, 이 고정스트립(23)들의 선단에 후크부(25)가 각각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고정스트립(23)들과 대응하여 바닥창(11)의 선단부 양쪽에는 두 개의 개방슬릿(15,15)이 차례로 형성되고, 이 개방슬릿(15)들의 종단부 저면에는 삽입홈(17)이 각각 형성된다.
이 슬리퍼에 따르면, 고정밴드(21)를 바닥창(11)의 상부 앞쪽으로 굴곡하면서 각 고정스트립(23)을 각각의 대응하는 개방슬릿(15)을 통하여 삽입한 다음 각 후크부(25)를 삽입홈(17)에 각각 삽입함으로써 슬리퍼의 조립이 완료되고, 이와 같이 조립이 완료된 슬리퍼는 바닥창(11)과 고정밴드(21)와의 사이에 전후로 통하는 공간이 형성된다. 따라서, 슬리퍼를 착용하면 고정밴드(21)는 발등을 덮게 되므로 발이 이탈되지 않으며, 바닥창(11)과 지면과의 사이에 후크부(25)들이 위치하여 지면에 밀착되므로 슬리퍼의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에 따른 슬리퍼에 있어서는, 고정스트립(23)의 후크부(25)가 바닥창(11)의 선단에 형성되는 개방슬릿(15)을 통하여 바닥창(11)의 저면에 삽입되어 고정되는 구조를 가짐으로써, 바닥창(11)과 지면과의 사이에 후크부(25)들이 위치하여 지면에 밀착되어 슬리퍼의 조립상태가 견고하게 유지될 수 있으므로, 고정밴드(21)가 풀어지는 일이 발생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와는 달리 고정밴드(21)만을 바닥창(11)의 상부 앞쪽으로 굴곡하여 바닥창(11)에 결합하도록 이루어짐으로써 응력집중부위가 줄어들고 이에 따라 슬리퍼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슬리퍼 전체가 일체로 사출성형에 의해 제작되므로 제작이 간편하다는 효과가 있다.

Claims (2)

  1. 바닥창(11)과;
    상기 바닥창의 후단부 측면 둘레로 분리가능하게 배치됨과 아울러 양단부가 상기 바닥창의 중단부 측면에 일체로 연결된 고정밴드(21)와;
    상기 고정밴드의 후단부로부터 일체로 연장형성되고 선단에 후크부(25)가 형성된 고정스트립(23)과;
    상기 바닥창의 선단부에 형성되는 개방슬릿(15)과; 그리고,
    상기 개방슬릿의 종단부 저면에 상기 고정밴드를 바닥창의 상부 앞쪽으로 굴곡함으로써 개방슬릿을 통하여 삽입되는 고정스트립의 후크부를 고정하도록 형성된 삽입홈(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스트립(23)이 두개 이상 형성되고, 상기 각 고정스트립과 대응하여 바닥창(11)의 선단부에 개방슬릿(15)이 각각 형성되며, 상기 각 개방슬릿의 종단부 저면에 상기 후크부와 대응하여 삽입홈(17)이 각각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슬리퍼.
KR2019990012913U 1999-07-02 1999-07-02 슬리퍼 KR20016331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913U KR200163313Y1 (ko) 1999-07-02 1999-07-02 슬리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12913U KR200163313Y1 (ko) 1999-07-02 1999-07-02 슬리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63313Y1 true KR200163313Y1 (ko) 2000-02-15

Family

ID=19579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12913U KR200163313Y1 (ko) 1999-07-02 1999-07-02 슬리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63313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779B1 (ko) 2011-07-15 2013-06-04 도효림 윗몸일으키기용 발고정기구
KR200488641Y1 (ko) * 2017-09-27 2019-03-05 이중효 단일형 슬리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67779B1 (ko) 2011-07-15 2013-06-04 도효림 윗몸일으키기용 발고정기구
KR200488641Y1 (ko) * 2017-09-27 2019-03-05 이중효 단일형 슬리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389712B1 (en) Replaceable shoe sole
USD441946S1 (en) Shoe sole assembly with outsole and midsole
US20040187346A1 (en) Coupling device for a detachable shoe upper on a shoe
US20040055179A1 (en) Multifunctional slipper
KR200163313Y1 (ko) 슬리퍼
KR200390374Y1 (ko) 갑피가 착탈되는 신발
US6338205B2 (en) Footwear with molded web platform for attaching outsole
KR100509657B1 (ko) 조립식 신발
USD503527S1 (en) Portion of a shoe upper
US20050193534A1 (en) Coupling device and method for making a molded shoe sole
KR200240638Y1 (ko) 샌들 겸용 운동화
KR200242120Y1 (ko) 슬리퍼
KR200278141Y1 (ko) 뒤축이 탈, 부착되는 구두
KR200271359Y1 (ko) 샌들
CN213154330U (zh) 一种用于鞋底与鞋带的连接结构
KR200313777Y1 (ko) 슬리퍼
JP3045031U (ja) 組立て式サンダル
KR200209168Y1 (ko) 배수가 용이한 슬리퍼
CN211798724U (zh) 鞋体结构、轮滑鞋及冰滑鞋
KR200320733Y1 (ko) 조립식 신발
WO2010051586A1 (en) Footwear
KR20090077228A (ko) 슬리퍼 액세서리의 고정구조
KR200294202Y1 (ko) 키 높이 신발
KR200189654Y1 (ko) 착용을 편리하게 해 주는 보조구가 부착된 구두
KR890005630Y1 (ko) 운동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701 Written decision to grant on technology evalua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2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