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757188B1 - 콤비네이션 안경테 - Google Patents

콤비네이션 안경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757188B1
KR101757188B1 KR1020160003965A KR20160003965A KR101757188B1 KR 101757188 B1 KR101757188 B1 KR 101757188B1 KR 1020160003965 A KR1020160003965 A KR 1020160003965A KR 20160003965 A KR20160003965 A KR 20160003965A KR 101757188 B1 KR101757188 B1 KR 10175718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
main front
nose
main
eyeglass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03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전진오
Original Assignee
(주)제이씨에스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제이씨에스몰드 filed Critical (주)제이씨에스몰드
Priority to KR10201600039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75718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5718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5718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3/00Assembling; Repairing; Cleaning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11/00Non-optical adjuncts; Attachment thereof
    • G02C11/02Ornaments, e.g. exchange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02Bridges; Browbars; Intermediate ba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2Nose pads; Nose-engaging surfaces of bridges or rim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5/00Constructions of non-optical parts
    • G02C5/14Side-memb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yeglasses (AREA)

Abstract

콤비네이션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한 쌍의 렌즈지지부의 사이에 연결부가 마련된 메인프론트; 메인프론트의 각 렌즈지지부의 상부에 덮어씌워지는 캡; 각 캡에 내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템플; 각 캡의 내측에 설치되는 코받침;을 포함하는 기술 구성을 통하여
메인프론트와 캡, 템플, 코받침 등의 구성부품을 다양한 소재와 색상으로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스타일의 안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체결나사 등의 별도의 체결부품 없이 메인프론트와 캡, 코받침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안경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것이다.

Description

콤비네이션 안경테 { COMBINATION EYEGLASS FRAME }
본 발명은 콤비네이션 안경테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메인프론트와 캡, 템플, 팁, 코받침 등의 구성부품을 다양한 소재와 색상으로 조합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한 것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안경테는 한 쌍의 렌즈가 장착되는 메인프론트(Main Front), 메인프론트에 내측 방향으로 접을 수 있도록 설치되는 템플(Temple), 메인프론트의 후단 중앙 양측에 설치되어 콧등에 접촉되는 코받침(Nose Support)을 포함한다.
본 발명이 관계하는 콤비네이션 안경테(Combination Eyeglass Frame)은 상기 안경테의 구성부품을 다양한 소재와 색상으로 조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메인프론트의 상부에 덮어씌워지는 캡을 더 포함한다.
이러한 콤비네이션 안경테는 캡과 템플의 팁을 거북의 등껍질인 귀갑 재질의 것으로 하고, 메인프론트와 템플을 금속재질로 한 귀갑안경테가 많이 알려져 있다.
이처럼 콤비네이션 안경테는 캡과 프레임, 템플과 팁 등을 다양한 소재와 색상으로 조합함으로써 안경테의 상품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되는 특징이 있다.
하기의 특허문헌 1에는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교체가 용이한 소비자 맞춤형 안경프레임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안경프레임은 렌즈의 양측부와 하부를 고정하는 하부 안경테; 하부 안경테의 중앙 걸림고리에 중앙부가 결합되고, 좌우 단부측 하부가 좌우 클로징 블록에 결합되는 상부 안경테; 하부 안경테의 클로징 블록에 연결되어 하부 안경테를 지지하는 안경다리; 하부 안경테의 클로징 블록과 안경다리를 결합하는 힌지;를 포함한다.
특허문헌 1의 안경프레임은 안경다리나 안경테의 일부분을 용이하게 교체하여 안경다리나 안경테의 디자인을 변형함으로써 필요에 따라 안면 마스크의 이미지나 안경다리의 변형이 가능하고, 새로운 안경의 구입에 따른 비용이 소요되지 않아 경제성이 탁월할 뿐만 아니라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교체구조가 간단하여 간편하고 용이하게 안경테와 안경다리를 교체할 수 있어 사용자가 손쉽게 채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이다.
하기의 특허문헌 2에는 콤비 안경테가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 2의 콤비 안경테는 안경렌즈를 걸 수 있는 홈선과 금속 홈선과 조립될수 있는 조립구멍이 있는 플라스틱 사출 성형 안경 프레임 사출물과 금속으로 안구의 반만 형말기에 의해 완성된 홈선에도 플라스틱 사출물과 결합할 수 있는 구멍을 만든 다음, 금속 홈선을 플라스틱 사출물의 구멍과 홈선의 구멍을 맞추어 끼운 다음 나사를 이용해 조립하여 안경테 전체에 렌즈를 걸 수 있는 홈선이 있는 프레임을 완성한 형태이다.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09-0012390호 (2009년 12월 03일 공개) 대한민국 공개실용신안공보 제20-2012-0006574호 (2012년 09월 25일 공개)
그러나 특허문헌 1, 2를 포함한 종래 기술에 의한 콤비네이션 안경테는 메인프론트와 캡, 코받침의 조립이 번거롭게 될 뿐 아니라 각 구성부품이 견고하게 조립되지 않게 되어 사용과정에서 구성부품의 파손의 우려가 많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종래 기술에 의한 콤비네이션의 안경테는 다수의 체결부품이 외부로 노출되어 안경의 상품성을 저하시키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에 의한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그 목적이 메인프론트와 캡, 코받침을 별도의 체결부품 없이 간편하고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하여 안경의 상품성 및 생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하는 콤비네이션 안경테를 제공하는 데에 있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는 한 쌍의 렌즈지지부의 사이에 연결부가 마련된 메인프론트; 메인프론트의 각 렌즈지지부의 상부에 덮어씌워지는 캡; 각 캡에 내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템플; 각 캡의 내측에 설치되는 코받침;을 포함하고, 메인프론트의 각 렌즈지지부의 내측 상부에 제1걸림턱부가 마련되고, 메인프론트의 각 렌즈지지부의 외측 상부에 제2걸림턱부가 마련되고, 캡의 내부 상부에 메인프론트 삽입공간부가 마련되고, 메인프론트 삽입공간부의 내측에 메인프론트의 제1걸림턱부에 결합되는 제1걸림부가 마련되고, 메인프론트 삽입공간부의 외측에 메인프론트의 제2걸림턱부에 결합되는 제2걸림부가 마련되는 콤비네이션 안경테에 있어서, 메인프론트의 제2걸림턱부의 상부에 체결돌기가 마련되고, 캡의 전면 외측 상부에 마련된 메인프론트 체결돌기 삽입홈이 메인프론트의 체결돌기에 삽입 결합되는 동시에 캡의 제2걸림부의 상부에 마련된 끼움돌기부가 메인프론트의 체결돌기의 상부 공간에 끼워져 캡의 외측 부위가 메인프레임에 고정되고, 메인프론트의 각 렌즈지지부의 후면 내측 상부에 코받침 접속구멍이 마련되고, 캡의 후면 내측 하부에 코받침 접속구멍이 마련되고, 코받침이 캡의 코받침 접속구멍을 통해 메인프론트의 코받침 접속구멍에 삽입 결합되어 캡의 내측 부위가 메인프레임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는 메인프론트의 각 렌즈지지부의 내부 하부와 캡의 하단에 렌즈삽입홈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는 템플이 캡에 접속되는 본체; 본체의 후단에 설치되고, 후단부가 하향으로 굴곡된 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본 발명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는 코받침이 금속재의 코기둥; 코기둥의 선단에 접속되고, 캡의 코받침 접속구멍 및 메인프론트의 코받침 접속구멍에 결합되는 후크부재; 코기둥에 삽입 설치되는 코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에 의하면, 메인프론트와 캡, 템플, 코받침 등의 구성부품을 다양한 소재와 색상으로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스타일의 안경을 제공할 수 있게 되고, 안경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에 의하면, 체결나사 등의 별도의 체결부품 없이 메인프론트와 캡, 코받침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어 안경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사시도,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분해사시도,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메인프론트와 캡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메인프론트의 배면도,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일부 절제 정면도,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요부 종단면도,
도 7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코받침 설치부위의 사시도,
도 8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코받침 설치부위의 종단면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이하에서, "상방", "하방", "전방" 및 "후방" 및 그 외 다른 방향성 용어들은 도면에 도시된 상태를 기준으로 정의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메인프론트와 캡의 분해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100)는 메인프론트(110), 캡(120), 템플(130), 코받침(140)을 포함한다.
도 4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메인프론트의 배면도이다.
메인프론트(110)는 안경렌즈가 장착되는 것으로, 한 쌍의 렌즈지지부(111)의 사이에 연결부(112)가 마련된 형태이다.
메인프론트(110)의 각 렌즈지지부(111)의 내부 하부에는 렌즈삽입홈(113)이 마련된다.
메인프론트(110)의 각 렌즈지지부(111)의 내측 상부에는 제1걸림턱부(114)가 마련되고, 외측 상부에는 제2걸림턱부(115)가 마련되고, 제2걸림턱부(115)의 상부에 체결돌기(116)가 마련된다.
상기에서 렌즈지지부(111)의 내측은 연결부(112) 쪽을 의미한다.
메인프론트(110)의 각 렌즈지지부(111)의 후면 내측 상부에는 코받침 접속구멍(117)이 마련된다.
캡(120)은 메인프론트(110)의 각 렌즈지지부(111)의 상부에 덮어씌워지는 것이다.
캡(120)의 외측 후방에는 템플(130)이 내측으로 회전 가능하게 접속되는 템플 장착부(121)가 마련된다.
캡(120)의 하단에는 렌즈삽입홈(122)이 마련된다.
캡(120)의 내부 상부에는 메인프론트 삽입공간부(123)가 마련된다.
캡(120)의 메인프론트 삽입공간부(123)의 내측에는 메인프론트(110)의 제1걸림턱부(114)에 결합되는 제1걸림부(124)가 마련되고, 외측에는 메인프론트(110)의 제2걸림턱부(115)에 결합되는 제2걸림부(125)가 마련되고, 제2걸림부(125)의 상부에 끼움돌기부(126)가 마련된다.
캡(120)의 전면 외측 상부에는 메인프론트 체결돌기 삽입홈(127)이 마련된다.
캡(120)의 후면 내측 하부에는 코받침 접속구멍(128)이 마련된다.
템플(130)은 안경을 귀에 걸어 착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으로, 각 캡(120)의 템플 장착부(121)에 내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템플(130)은 캡(120)에 접속되는 본체(131); 본체(131)의 후단에 설치되고, 후단부가 하향으로 굴곡된 팁(132);을 포함한다.
코받침(140)은 콧등에 접촉되어 메인프론트(110)가 안면에서 이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도시된 실시 예에서 코받침(140)은 금속재의 코기둥(141); 코기둥(141)의 선단에 접속되고, 캡(120)의 코받침 접속구멍(128) 및 메인프론트(110)의 코받침 접속구멍(117)에 결합되는 후크부재(142); 코기둥(141)에 삽입 설치되는 코패드(143);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100)는 메인프론트(110), 캡(120), 템플(130)의 본체(131), 템플(130)의 팁(132)의 소재 및 색상을 다양하게 조합함으로써 다양한 스타일의 안경테를 구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100)는 별도의 체결부품 없이 메인프론트(110)와 캡(120), 코받침(130)을 견고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100)에 있어서 메인프론트(110)에 캡(120)을 조립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우선 캡(120)의 내측 부위를 메인프론트(110)의 렌즈지지부(111)에 투입한다.
다음에 캡(120)의 메인프론트 삽입공간부(123)의 내측 부위를 메인프론트(110)에 삽입하면서 캡(120)의 제1걸림부(124)를 메인프론트(110)의 제1걸림턱부(114)에 결합한다.
다음에 캡(120)의 메인프론트 삽입공간부(123)의 외측 부위를 메인프론트(110)에 삽입하면서 캡(120)의 제2걸림부(125)를 메인프론트(110)의 제2걸림턱부(115)에 결합하는 동시에 메인프론트(110)의 체결돌기(116)가 캡(120)의 메인프론트 체결돌기 삽입홈(127)에 끼워지도록 한다.
도 5는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일부 절제 정면도이고, 도 6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요부 종단면도이다,
상기 캡(120)의 결합상태에서는 도 5 및 도 6과 같이 캡(120)의 끼움돌기부(126)가 메인프론트(110)의 체결돌기(116)의 상부 공간에 끼워지게 된다.
도 7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코받침 설치부위의 사시도이고, 도 8은 동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의 코받침 설치부위의 종단면도이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콤비네이션 안경테(100)에 있어서 코받침(140)은 캡(120)의 코받침 접속구멍(128)을 통해 메인프론트(110)의 코받침 접속구멍(117)에 결합된다.
상기와 같이 캡(120)과 코받침(140)이 조립된 상태에서 메인프론트(110)와 캡(120)은 견고한 체결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즉, 캡(120)의 외측 부위는 캡(120)의 제2걸림부(125)가 메인프론트(110)의 제2걸림턱(115)에 결합되고, 메인프폰트(110)의 체결돌기(116)가 캡(120)의 메인프론트 체결돌기 삽입홈(127)에 끼워지고, 캡(120)의 끼움돌기부(126)가 메인프론트(110)의 체결돌기(116) 상부 공간에 끼워진 상태이므로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캡(120)의 내측 부위는 캡(120)의 제1걸림부(124)가 메인프론트(110)의 제1걸림턱(114)에 결합되고, 코받침(140)이 캡(120)의 코받침 접속구멍(128)을 통해 메인프론트(110)의 코받침 접속구멍(117)에 결합된 상태이므로 메인프론트(110)와 캡(120)이 견고한 조립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처럼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체결나사나 그 밖의 별도의 체결부품 없이 메인프론트(110)와 캡(120), 코받침(130)을 견고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되고, 그에 따라 체결부품의 외부 노출이 없게 되므로 안경의 상품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00 : 콤비네이션 안경테
110 : 메인프론트
120 : 캡
130 : 템플
140 : 코받침

Claims (6)

  1. 한 쌍의 렌즈지지부(111)의 사이에 연결부(112)가 마련된 메인프론트(110); 메인프론트(110)의 각 렌즈지지부(111)의 상부에 덮어씌워지는 캡(120); 각 캡(120)에 내측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템플(130); 각 캡(120)의 내측에 설치되는 코받침(140);을 포함하고,
    메인프론트(110)의 각 렌즈지지부(111)의 내측 상부에 제1걸림턱부(114)가 마련되고, 메인프론트(110)의 각 렌즈지지부(111)의 외측 상부에 제2걸림턱부(115)가 마련되고,
    캡(120)의 내부 상부에 메인프론트 삽입공간부(123)가 마련되고, 메인프론트 삽입공간부(123)의 내측에 메인프론트(110)의 제1걸림턱부(114)에 결합되는 제1걸림부(124)가 마련되고, 메인프론트 삽입공간부(123)의 외측에 메인프론트(110)의 제2걸림턱부(115)에 결합되는 제2걸림부(125)가 마련되는 콤비네이션 안경테에 있어서,
    메인프론트(110)의 제2걸림턱부(115)의 상부에 체결돌기(116)가 마련되고,
    캡(120)의 전면 외측 상부에 마련된 메인프론트 체결돌기 삽입홈(127)이 메인프론트(110)의 체결돌기(116)에 삽입 결합되는 동시에 캡(120)의 제2걸림부(125)의 상부에 마련된 끼움돌기부(126)가 메인프론트(110)의 체결돌기(116)의 상부 공간에 끼워져 캡(120)의 외측 부위가 메인프레임(110)에 고정되고,
    메인프론트(110)의 각 렌즈지지부(111)의 후면 내측 상부에 코받침 접속구멍(117)이 마련되고, 캡(120)의 후면 내측 하부에 코받침 접속구멍(128)이 마련되고,
    코받침(140)이 캡(120)의 코받침 접속구멍(128)을 통해 메인프론트(110)의 코받침 접속구멍(117)에 삽입 결합되어 캡(120)의 내측 부위가 메인프레임(110)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안경테.
  2. 제1항에 있어서,
    메인프론트(110)의 각 렌즈지지부(111)의 내부 하부와 캡(120)의 하단에 렌즈삽입홈(113)(122)이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안경테.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템플(130)은
    캡(120)에 접속되는 본체(131);
    본체(131)의 후단에 설치되고, 후단부가 하향으로 굴곡된 팁(132);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안경테.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코받침(140)은
    금속재의 코기둥(141);
    코기둥(141)의 선단에 접속되고, 캡(120)의 코받침 접속구멍(128) 및 메인프론트(110)의 코받침 접속구멍(117)에 결합되는 후크부재(142);
    코기둥(141)에 삽입 설치되는 코패드(143);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콤비네이션 안경테.
KR1020160003965A 2016-01-12 2016-01-12 콤비네이션 안경테 KR10175718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965A KR101757188B1 (ko) 2016-01-12 2016-01-12 콤비네이션 안경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03965A KR101757188B1 (ko) 2016-01-12 2016-01-12 콤비네이션 안경테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757188B1 true KR101757188B1 (ko) 2017-07-12

Family

ID=5935281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03965A KR101757188B1 (ko) 2016-01-12 2016-01-12 콤비네이션 안경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75718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1679A (ja) * 2005-03-14 2006-09-21 Sasamata:Kk 眼鏡用パッド取付具及び眼鏡用パッド取付具の製造方法
KR200466312Y1 (ko) * 2013-01-30 2013-04-08 류기현 안경테 앞면장식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6251679A (ja) * 2005-03-14 2006-09-21 Sasamata:Kk 眼鏡用パッド取付具及び眼鏡用パッド取付具の製造方法
KR200466312Y1 (ko) * 2013-01-30 2013-04-08 류기현 안경테 앞면장식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14515502A (ja) 磁石を利用した取替え可能なテンプルを有する眼鏡
KR200448466Y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결합구조
KR200459902Y1 (ko) 합성수지제 안경커버가 결합된 반테 안경
KR101468321B1 (ko) 안경테와 안경다리의 연결구조체
KR102334088B1 (ko) 자석을 이용한 선글라스 착탈 안경
KR101757188B1 (ko) 콤비네이션 안경테
KR101625290B1 (ko) 합성수지 안경테의 보조안경테 결합구조체
KR20170115721A (ko) 안경의 템플 힌지장치
KR200350658Y1 (ko) 모자 결합용 선글래스
KR20140000391U (ko) 조립이 편리한 안경테 탈부착형 쓰리디 안경
KR20170005593A (ko) 안경테
KR20110004695U (ko) 안경테의 림 구조
KR200435380Y1 (ko) 안경
KR101580588B1 (ko) 안경 프론트
KR102056754B1 (ko) 조립식 안경
KR200474716Y1 (ko) 교환이 가능한 안경다리
KR200473157Y1 (ko) 안경 세트
TWI596397B (zh) Eyeglasses that change lenses
KR101757044B1 (ko) 안경테 연결체와 안경테의 결합구조
KR101530988B1 (ko) 길이 조절이 가능한 블럭 안경
KR200244159Y1 (ko) 안경과 클립의 결합구조
KR100940213B1 (ko) 렌즈착탈식 물안경
KR200467559Y1 (ko) 안경
KR20130004035U (ko) 고글
KR20230034583A (ko) 분리 가능한 안경테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